KR102442348B1 - 잠금장치에서 전자식 실린더를 위한 저-소비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 및 그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잠금장치에서 전자식 실린더를 위한 저-소비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 및 그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2348B1
KR102442348B1 KR1020177008432A KR20177008432A KR102442348B1 KR 102442348 B1 KR102442348 B1 KR 102442348B1 KR 1020177008432 A KR1020177008432 A KR 1020177008432A KR 20177008432 A KR20177008432 A KR 20177008432A KR 102442348 B1 KR102442348 B1 KR 102442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component
rotation
protrusion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8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2929A (ko
Inventor
카를로스 페레이라
안데르 무뇨스
Original Assignee
살토 시스템즈 에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살토 시스템즈 에스.엘. filed Critical 살토 시스템즈 에스.엘.
Publication of KR20180122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2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 E05B47/0611Cylinder locks with electromagnetic control
    • E05B47/0638Cylinder locks with electromagnetic control by disconnecting the rotor
    • E05B47/0642Cylinder locks with electromagnetic control by disconnecting the rotor axially, i.e. with an axially disengaging coupling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4Devices for coupling the turning cylinder of a single or a double cylinder lock with the bolt operating member
    • E05B17/044Clutches, disengageable couplings
    • E05B17/045Clutches, disengageable couplings for keeping the rotor disconnected from the bolt actuating member, when being turned, e.g. forcefully, without the proper ke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5/00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 E05B35/007Locks for use with special keys or a plurality of keys ; keys therefor the key being a card, e.g. perforated,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 E05B47/0611Cylinder locks with electromagnetic control
    • E05B47/0615Cylinder locks with electromagnetic control operated by handles, e.g. by knob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 E05B47/0611Cylinder locks with electromagnetic control
    • E05B47/0638Cylinder locks with electromagnetic control by disconnecting the rotor
    • E05B47/0646Cylinder locks with electromagnetic control by disconnecting the rotor radially
    • E05B47/0649Cylinder locks with electromagnetic control by disconnecting the rotor radially with a rectilinearly moveable coupl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7/00Combinations of couplings and brakes; Combinations of clutches and brakes
    • F16D67/02Clutch-brake combinations
    • F16D67/06Clutch-brake combinations electromagnetically actu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6Clutches, couplings or brak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6Clutches, couplings or braking arrangements
    • E05B2047/0031Clutches, couplings or braking arrangements of the elastic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 One-Way And Automatic Clutches, And Combinations Of Different Clutch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잠금장치에서 전자식 실린더를 위한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 및 그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잠금장치에서 전자식 실린더를 위한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은 특히, 모터에 의해 공급된 에너지를 저장하고, 그리고 클러치 결합된 위치에서 클러치 결합 해제된 위치로 지나가는 순간에 클러치에 에너지를 복귀시키는 책임이 있는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에 관한 것으로, 이 모든 것은 감소된 에너지 소비로 실행되어진다. 이것은 또한 메커니즘을 작동시키는 방법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잠금장치에서 전자식 실린더를 위한 저-소비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 및 그 작동 방법{LOW-CONSUMPTION CLUTCH ACTUATING MECHANISM FOR ELECTRONIC CYLINDERS IN LOCK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잠금장치에서 전자식 실린더를 위한 저-소비 클러치 작동 기구 및 작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법과 관련된 단계들뿐만 아니라 실린더를 작동시키는 배터리의 유효 수명을 증가시키기 위한 감소된 전기적 소비를 가진 전자식 실린더와 관련된 제1 로터 및 제2 로터 사이에서 회전 이동을 전달하는 것을 책임지고 있는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a clutch actuating mechanism) 에 관한 것이다. 메커니즘은 에너지 소비를 제한하여, 모터에 의해 공급된 에너지를 저장하여 클러치 결합된 위치(a clutched position)에서 클러치 결합 해제된 위치(a declutched position)로 이동하는 순간에 클러치에 에너지를 귀환시키는 것을 책임지고 있는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식 폐쇄 시스템 분야 및 전자식 실린더의 분야 내에 구성되어 있다.
기술적 상황은, 전자식 또는 기계전자식(mechatronic) 실린더는 전자 열쇠(an electronic key)에 의해 일반적으로 작동되는 전자기적으로 제어된 폐쇄 시스템을 가지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실린더의 메커니즘은 클러치 기구를 작동시키는데 기본적인 역할을 가지는 전기적 모터 및 배터리를 포함한다.
현재 클러치 시스템들에서 구성요소의 크기가 더 크게 되면, 전자식 모터, 상기 구성요소들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더 큰 크기로 있는 것에 부가하여, 전기적 모터에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들의 유효 수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따라서 시스템의 유지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더 많은 전기적 에너지를 요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따라서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의 구성요소들의 크기뿐만 아니라 그들 사이의 마찰을 가능한 정도까지 감소시키고, 반면에 전기적 모터의 에너지 요구를 줄이고 그래서 가장 긴 가능한 시간을 위해 전자식 실린더의 유효 수명을 연장하도록 이것을 작동시키는 배터리들의 소비를 줄이도록 그것의 기능을 유지한다.
기술적 상황은, 실린더의 전기적 모터에 의해 직접 작동되는 클러치 메커니즘이 알려져 있고, 그리고 보통 클러치 구성요소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의 구동축으로부터 분리할 수 없는 무한 나사(an endless screw)를 포함한다. 모터에 의해 직접적인 이들 클러치 구성요소들의 이동은 모터의 더 큰 기능하는 시간을 요구하고, 따라서 직접적으로 배터리들의 지속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더 큰 전기적 소비를 요구한다.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의 본 발명은 그것의 구성요소들 때문에 모터는 클러치 메커니즘의 작동 사이클과 같은 수로 배터리의 50% 에너지 절약까지 직접 클러치 구성요소들을 작동시키는 배치를 달성할 수 있다.
기술적 상황은, 전기적 모터에 의해 직접 작동되는 다른 클러치 메커니즘이 알려져 잇고 두 개의 구성요소들 사이에 위치된 전달 구성요소(transmission elements)들의 위치의 조절에 따라(as a function of the position of transmission elements) 두 개의 구성요소들 사이에 회전 이동의 전달을 허용한다. 상기 전달 구성요소들은 적어도 하나의 방사상 이동(radial movement)을 포함하고, 그래서 전달 요소 또는 그렇지 않으며 구성요소들의 하나에 배치된 하우징 또는 공동(cavities)으로 도입을 가능하게 만든다. 상기 전달 구성요소들은 같은 축에 배치되어 그것의 방사상 이동을 허용하는 탄성 구성요소에 의해 분리되어진다. 예를 들어, 특허출원번호 DE10065155는 인용된 하나와 같이 해결책을 포함하는 실린더용 클러치 메커니즘을 도시하고 있다. 더구나, 특허출원번호 DE102007000439는 그것의 방사상 이동을 허용하는 탄성 수단을 가진 두 개의 전달 구성요소들을 또한 기술 및 도시하고 있다. 또한 특허출원번호 GB2259737은 두 개의 구가 내부 표면 위에 이동되고, 전기 모터에 의해 작동되어 두 개의 구들 사이에 위치된 구성요소의 위치의 조절에 따라 하우징에 도입되는 두 개의 구를 가진 클러치 메커니즘을 기술하고 있다.
또한, 그것의 구성요소 및 같은 배치에 기인하여, 상기 메커니즘은 전자식 실린더의 위배에 대한 현재의 기술에 대한 적절한 보호를 보장하고, 수동 테스트들에 의해 구현되어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이것은, 그것의 감소된 크기와 관련하여, 상기 위배에 대해 부가적인 보호 수단이 반영되는 것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따라서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의 구성요소들의 크기뿐만 아니라 그들 사이의 마찰을 가능한 정도까지 감소시키고, 반면에 전기적 모터의 에너지 요구를 줄이고 그래서 가장 긴 가능한 시간을 위해 전자식 실린더의 유효 수명을 연장하도록 이것을 작동시키는 배터리들의 소비를 줄이도록 그것의 기능을 유지한다
상기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발명의 제1 목적에 따라, 잠금장치를 위한 전자식 실린더를 위한 크러치 작동 메커니즘을 제공하고,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은 실린더 본체(a cylinder body)와 관련된 제1 로터 및 제2 로터 사이에 위치된 클러치 구성요소들에 의해 회전 이동의 전달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식 모터 및 다른 구성요소들을 포함하고, 그래서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과 관련된 제1 로터가 회전되어 제1 모터가 클러치 결합되어질 때 제1 로터에서 제2 로터로 회전 이동의 전달이 생성되고, 클러치 구성요소들과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의 상호작동에 기인하여 편심 작동한다.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이 클러치 결합 해제되는 경우에, 제1 로터의 회전은 제2 로터로 이동을 전달하지 않고, 따라서 편심장치가 작동되지 않는다.
언급된 메커니즘에서,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을 수용하는 제1 로터는 보통 도어와 관련된 전자식 실린더의 손잡이(knob)에 연결되고, 차량 또는 통자물쇠(vehicles or padlocks) 및 일반적으로 어떤 장치와 같이 다른 장치들에 반영될 수 있을지라도, 접근이 제어되어야 하고, 그리고 그것의 내부(the interior), 전자식 시스템 및 전기적 모터 양쪽에 공급하는 전자식 시스템 및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모터는 잠금장치의 실린더에 장착되어 제2 로터에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과 상호 작동하는 클러치 구성요소들에 의해 연결되고, 회전에 의해 실린더에 의해 잠금장치를 작동시킨다.
앞의 것을 고려하여, 전자식 실린더는 두 개의 메커니즘:
- 클러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고, 그리고 손잡이에 의해 작동되는 제1 로터에서 잠금장치를 작동시키는 캠 또는 편심장치(a cam or eccentric)에 연결된 제 2로터로 회전 이동을 전달하는 것을 책임지는 전달 또는 클러치 메커니즘, 그리고
- 상기 클러치 메커니즘이 제1 로터와 제2 로터 사이에서 이동을 전달하거나 또는 전달하지 않을 때 제어하는 것을 책임지는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
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이다.
구체적으로, 클러치 메커니즘이 위치된 내부에서, 제1 로터와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의 회전으로, 편심장치에 이동을 전달하는 제2 로터 사이에 클러치 구성요소들에 의해 회전이동의 전달을 제어하는 잠금장치를 위한 전자식 실린더의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은:
- 제1 축(a)에 동축으로 있고, 그리고 두 방향에서 회전하는 구동 축(a drive axle)을 작동시키는 전기 모터(an electric motor);
- 상기 구동축에 분리할 수 없는 방법으로 장착되고, 그리고 캠 및 제1 푸싱 수단(first pushing means)을 포함하는 제1 본체(a first body);
- 상기 제1 본체 다음에 배치되고, 그리고 제1 구동 수단 및 제동 수단(brake means)을 포함하는 제1 축 (a)에 동축인 제2 본체(a second body);
- 상기 제2 본체 다음에 배치되어, 그리고 이것을 통하여 클러치 구성요소들이 작동되고, 이동이 제1 로터 및 제2 로터 사이에 전달되지 않는 클러치 결합 해제된 위치(a declutched position) 및 이동이 제1 로터 및 제2 로터 사이에 전달되는 클러치 결합된 위치(a clutched position) 사이에서 회전하는 제1 축(a)에 동축인 제3 본체(a third body);
- 한 단부에 돌출부(a protrusion)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는 제1 본체의 캠과 관련되어 있는 이동하는 제동 구성요소(a moving brake element);
- 제1 본체의 캠 및 제2 본체의 제동 수단에 대하여 같은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동 구성요소와 접촉하는 제1 탄성 구성요소(a first elastic element); 및
- 제2 본체와 제3 본체 사이에서 양쪽에 연결된 제2 탄성 비틈 구성요소(a second elastic torsion element)를 포함하고,
구동축의 제1 방향에서 회전은 초기 위치와 최종 위치 사이에서 제1 본체의 회전을 생성하고, 그리고 제1 본체에서 제2 본체로 회전 이동의 전달 및 제2 본체의 것보다 더 작은 회전 각도를 가지고 제2 본체에서 제3 본체로 회전 이동의 전달을 생성하고, 제2 탄성 구성요소의 탄성 부하(an elastic load)를 야기한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청구항 14에 따른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앞의 작동 메커니즘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에서, 제1 본체가 초기 위치와 최종 위치 사이, 또는 그 반대로 회전할 때, 제동장치 구성요소의 돌출부는 아래의 위치들을 결정하는 캠에 따른 경로를 이동한다:
- 돌출부가 홈의 제1 단부의 제1 섹션을 통하여 미끄러질 때, 제2 본체의 회전을 방지하는 제동장치 구성요소의 잠금 위치(a locking position)
- 돌출부가 홈의 제1 섹션에서 돌출부의 제2섹션으로 미끄러져 갈 때 잠금에서 비잠금으로 이동하고, 또는 반대로, 다시 말해서, 제2 섹션에서 제1 섹션으로 비잠금에서 잠금으로 이동하는 제동장치 구성요소의 이동 위치(a transition position)
- 제동장치 구성요소가 제2 본체를 잠그지 않고, 그리고 돌출부가 홈의 제2 섹션을 통하여 미끄러지는 전달 위치(a transmission position)
- 돌출부가 홈의 제2 섹션에서 돌출부의 제2 단부의 제1섹션으로 미끄러져 갈 때 비잠금에서 잠금으로 이동하고, 또는 반대로, 다시 말해서, 제1 섹션에서 제2 섹션으로 잠금에서 비잠금으로 이동하는 제동장치 구성요소의 이동 위치(a transition position ) 및
- 돌출부가 홈의 제2 단부의 제1 섹션을 통하여 미끄러질 때 제동장치 구성요소의 잠금 위치(a locking position )
앞의 구성요소들과 언급된 방법에 의해, 회전 축 위의 전기 모터의 구동축의 제1 방향에서 회전은 두 개의 위치 A와 B, 초기 위치와 최종 위치 사이에서 제1 본체의 회전을 생성하고, 그리고 특히 제1본체에서 다른 구성요소들을 통하여 제3 본체로 회전 이동의 전달을 생성하고, 그래서 상기 제1 방향에서 모터의 회전축의 회전이 중단되면 상기 제3 본체는:
- 같은 방향 회전 및 제2 본체의 회전과 제3 본체의 회전의 불가능에 기인하여 제2 탄성 구성요소의 과부하를 야기하는 것을 방지하여 제3 본체에 작동하는 제1 로터 및 제2 로터 사이에 배치된 클러치 구성요소들에 기인하여 클러치 결합 해제 위치에 유지되고, 또는
- 제1 로터와 제2 로터 사이에 배치된 클러치 구성요소들이 제3 본체에 작동하는 것을 중단할 때, 상기 제3 본체의 회전을 언급된 클러치 결합 위치로 강제로 밀어 넣는 제2 탄성 구성요소를 느슨하게 하거나 또는 부하를 해제 (the easing or unloading)하는 것을 야기하여, 앞의 클러치 결합 해제된 위치에서 클러치 결합된 위치로 회전할 수 있고, 또는
- 클러치 구성요소들이 제3 본체의 회전을 방지할 수 없을 때 제1 로터와 제2 로터 사이에 배치된 클러치 구성요소들에 의해 제2 로터의 회전을 할 수 있게 하여, 해제된 위치에서 클러치 결합된 위치로 직접 회전할 수 있다.
전기 모터가 작동을 시작한 후, 손잡이에 설치된 전자식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전자식 카드에 의해, 모터는 구동축을, 바람직하게는 1회전보다 작게 회전시키고, 제1 및 제2 로터 사이에 위치된 클러치 메커니즘의 클러치 구성요소들의 위치에 따라서, 손잡이가 회전할 때 제2 로터의 회전을 야기하는 제3 본체의 회전을 일으키고, 따라서 잠금장치가 작동하거나 또는 작동하지 않는다.
제1 본체에 배치된 언급된 캠은 상기 본체를 통과하고, 그리고 제동장치 구성요소의 돌출부가 미끄러지는 내부를 통과하는 특별한 경로를 따르는 홈이 있다. 상기 돌출부는 홈의 두 개의 표면,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에 대해 제1 탄성 구성요소에 의해 밀려지고, 돌출부의 지지표면은 제1 표면이다. 돌출부는 따라서 제1 표면과 제1 탄성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표면은 제1 탄성 구성요소가 돌출부 그 자체의 하부 부분에서 돌출부를 밀면 상부 표면이고, 또는 제1 탄성 구성요소가 돌출부의 상부 부분에서 돌출부를 밀면 하부 표면이다. 더구나 제1 표면은 상기 경로에 따라서 제동장치 구성요소가 모터의 구동축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제2 축에 대해 피벗할 때 돌출부를 상승 또는 낮추도록 제1 본체가 회전할 때 돌출부가 미끄러져 통고하는 경로 따라야만 한다. 제1 탄성 구성요소는 제2 축에 대해 또한 피벗할 수 있는 비틀림 스프링(a torsion spring)이고, 상기 제1 탄성 구성요소는 제1 표면과 제2 아암에 대해 돌출부를 미는 것을 맡는 제1 아암을 포함하고, 다른 표면에 대해 지지되어, 탄성적으로 적재된 탄성 구성요소를 유지하고, 제1 탄성 구성요소에 대해 각도를 가지고 있다.
언급된 홈 또는 캠의 제1 표면은 적어도 3개의 섹션, 캠 또는 홈의 단부에 위치된 두 개의 제1 섹션 및 두 개의 제1 섹션 사이에 위치된 하나의 제2 중간 섹션을 가지는 경로를 따른다. 상기 경로는 제1 섹션에서 돌출부가 중간 섹션에서보다 구동축의 축에 대해 다른 높이로 위치되어지는 것을 허용하는 동안에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위치들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보다 상세히 아래 기술되어지고, 제2 본체는 구동 축, 그래서 제1 본체가 그것의 회전 축 주위를 회전하고 있을 때 돌출부가 캠에 위치되어지는 위치에 종속하여 제1 본체에 대하여 가질 수 있다:
- 잠금 위치(Locking position): 구동축이 구동축의 회전의 정지 또는 시작점에 있을 때, 그리고 돌출부가 캠의 두 개의 제1 섹션의 어떤 것에 대해 밀리고 있는 동안에, 캠을 통과하는 상기 돌출부는 제2 본체의 제동 수단과 접촉한다. 상기 제동수단은 돌출부가 결정된 높이에 있을 때, 제동수단과 상호 작동하고, 그래서 제1 본체에 대해 제2 본체의 이동을 제한하고, 그리고 제동 구성요소의 잠금 위치와 제2 본체의 잠금 위치를 정의한다.
- 이동 위치(Transition position): 구동축이 회전하면, 돌출부가 캠 또는 홈의 제1 섹션과 제2 중간 섹션 사이의 경로의 변경과 마주하고, 따라서 높이를 변경하고, 그리고 제1 탄성 구성요소로 상기 돌출부를 강제로 밀거나 또는 압축하고, 그래서 상기 돌출부와 제2 본체의 제동수단 사이의 접촉을 없애고, 그리고 제1 섹션과 중간 섹션 사이에서 현재의 이동 위치를 정의하거나 또는 그 반대로 정의한다.
- 전달 위치(Transmission position): 구동축의 회전이 계속될 때, 돌출부는 그것이 이동 후, 홈의 제1 섹션을 떠난 후 제2 중간 섹션을 통하여 캠의 제1 표면의 경로를 따르는 것을 계속한다. 이 제2 중간 섹션에서, 돌출부는 제2 본체의 제동수단과 아직은 접촉하고 있지 않으나, 그러나 구동축으로부터 분리할 수 없는 제1 본체의 회전은 제2 본체의 회전을 야기하도록 제1 본체의 미는 수단(the pushing means)은 그것의 회전에 제2 본체의 구동수단과 접촉한다. 이 방법에서, 제2 본체에 대해 제1 본체의 회전 이동의 전달 위치는 정의되고, 제동장치 구성요소는 지금 제2 본체를 잠그지 않는다. 상기 미는 수단과 구동 수단은 한쪽 본체 또는 다른 쪽 본체에 배치된 돌출부 또는 톱니모양(indentations)일 수 있고, 그러나 항상 다른 수단을 밀고 구동시키는 수단을 허용하는 상보적 수단(complementary means )이다.
따라서 구동축으로부터 분리할 수 없는 구동축 및 제1 본체의 회전 동안에, 구동축의 두 개의 회전 방향의 어느 것에서, 제1 본체 및 제2 본체 사이에서 방법의 앞에 언급된 연속 위치(succession of positions)들이 돌출부들이 캠의 제1 표면을 걸쳐 이동함에 따라 생성된다:
- 제동장치 구성요소의 잠금 위치,
- 제동장치 구성요소의 이동 위치,
- 제동장치가 비잠금으로 있는 전달 위치,
- 제동장치 구성요소의 이동 위치 및
- 제동장치 구성요소의 잠금 위치,
앞의 연속 위치들에 따라, 제2 본체는 캠의 제1 단부에서 제1 섹션과 제2 섹션 사이에서 이동 영역을 통과한 후 또는 캠의 제2 단부에서 제2 섹션에서 제1 섹션으로 통과한 후, 돌출부가 캠의 단부들의 어느 것에 있거나 또는 거기에 가까이 있을 때 제1 본체에 대해 잠금 위치에 있다.
제1 본체가 회전할 때 제1 본체에서 제2 본체로 이동이 어떻게 전달되는 정의가 되면, 회전 이동이 제2 본체에서 제3 본체로 어떻게 전달되는지 기술되어지고, 이 제3 본체는 제2 본체보다 더 작은 회전 각도를 가지고, 그리고 제2 탄성 구성요소의 탄성 부하(an elastic load)를 초래한다. 이것을 위하여, 적어도 두 개의 바람직한 선택이 있다:
- 제1 안으로서, 제2 본체 및 제3 본체는 제2 탄성 구성요소가 제2본체로부터 제3 본체로 회전을 전달하게 구동축의 회전축에 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제2 탄성 구성요소에 의해 연결되고, 제1 로터와 제2 로터 사이에 배치된 클러치 구성요소가 이것을 회전시킬 때 제1 클러치 결합 해제된 위치에서 제2 클러치 결합된 위치로 제3 본체에서 회전을 초래한다. 제2 탄성 구성요소 바람직하게는 차례차례 견인력(traction)에 의해 연결된 제2 본체 및 제3 본체를 유지하는 비틀림 스프링이다. 비틀림 스프링은 제2 본체에 배치된 비는 수단 및 제3 본체에 위치된 구동 수단과 협력하여 작동한다.
- 제2 대안으로서, 제2 본체는 제2 미는 수단을 포함하고, 제3 본체는 제2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톱니모양(indentations)과 돌출부(protrusions)는 양쪽 본체의 표면 위의 다른 부분 위치에 하나에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그리고 제2 탄성 구성요소는 양쪽 본체 사이에 배치된다. 이 대안에서, 제2 탄성 구성요소는 제1 아암 또는 단부에 대해 약간의 각도를 가진 제2 아암 및 제2 본체의 제2 미는 수단의 측면에 지지되고, 그리고 클러치 구성요소들의 역할로서 제3 본체에 대해 제2 본체의 회전 또는 그 반대에 기인하여, 미는 수단과 구동수단이 분리될 때, 제2 탄성 구성요소가 탄성적으로 적재되게 제3 본체의 제2 구동수단의 일 측면에 지지된, 제1 단부 또는 아암을 포함하고, 모터의 구동축의 회전축에 대해 피벗 하는 비틀림 스프링이다. 제3 본체는 제2 본체에 대해 회전하고, 따라서 클러치 결합된 위치 및 클러치 결합 해제된 위치 사이에서 또는 그 반대로 회전하고, 다시 말하면, 제3 본체에 대해 제2 본체는 제1 로터와 제2 로터 사이의 클러치 구성요소가 이것을 허용하는지에 종속한다.
두 개의 앞의 대안의 어느 것에서, 제1 로터와 제2 로터 사이의 클러치 구성요소가 제3 본체에 작동하고 있다면, 제2 본체가 회전할 때조차 그것의 회전을 방지하고, 더 큰 회전 각도에서 제3 본체에 대해 제2 본체의 회전은, 클러치 구성요소들이 제3 본체에 작동하는 것을 중단시킬 때, 제1 클러치 결합 해제된 위치에서 제2 클러치 결합된 위치로 회전하게 탄성적으로 적재되어 있는 양쪽 본체들 사이에서 위치된 제2 탄성 구성요소를 야기한다. 로터들 사이의 클러치 구성요소들이 제3 본체의 회전을 방지하지 못하면, 이것은 클러치 결합 해제된 위치에서 클러치 결합된 위치로 직접 간다.
제3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약 90°의 최대 회전을 허용하는 제3 본체 그 자체뿐만 아니라 실린더의 제1 로터 또는 케이싱 위에 배치된 멈춤 장치(stops)에 의해 제한되는 두 개의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고, 제3 본체의 최대 회전은 제2 본체의 회전이 제3 본체의 회전보다 더 크게 있을 때 제2 탄성 구성요소가 탄성적으로 적재되어지게 야기하는 제2 본체의 최대 회전보다 더 작게 있다. 다시 말하면, 제2 본체의 회전 각도는 제3 본체의 회전 각도보다 더 크다.
제3 본체는 클러치 메커니즘의 클러치 구성요소들과 상호 작동하도록 의도된 돌출부들을 또한 포함한다.
클러치 구성요소들은 잠금 장치와 상호작동하고 모터의 이동에 의해 작동 및 비작동되는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 및 실린더 편심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손잡이의 회전은, 그것의 내부에,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그리고 언급된 클러치 구성요소들에 의해, 제1 로터와 제2 로터 사이에 위치된, 잠금장치와 상호 작동하는 편심 장치의 이동을 전달하는 제2 로터에 회전 이동을 전달하는, 제1 로터의 회전을 야기한다.
언급된 바와 같이, 클러치 구성요소는 제1 로터로부터 제2 로터로 회전 이동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클러치 구성요소들은 방사상 미는 구성요소(a radial pushing element)에 의해 밀려서 방사상으로 이동되는 능력을 갖는 구름 구동 구성요소(rolling driving elements)들 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구름 구동 구성들은 방사상 미는 구성요소와 제2 로터 사이에 위치된다. 제1 로터의 회전은 구름 구동 구성요소들은 그들이 수용되는 제2 로터의 표면을 따라가게 제2 로터에 대해 차례로 밀려지는 구름 구동 구성요소들에 작동하는 미는 구성요소의 회전을 또한 야기한다. 클러치 구성요소들의 위치 및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의 제3 본체에 그것의 연결에 종속하여, 이동은 제1 로터에서 제2 로터로 전달되거나 또는 전달되지 않고, 따라서 잠금장치와 상호 작동하는 편심장치에 전달되거나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어셈블리는 구름 구동 구성요소들의 이동이 불가능할 때 클러치 결합되어지고, 토크가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과 협력하여 제1 로터에서 제2로터로 전달되고, 그리고 구름 구동 메커니즘의 이동이 가능할 때, 양쪽 로터들 사이에서 토크의 전달이 방지되는 클러치 결합 해제되어진다
다른 클러치 메커니즘들은,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과 상호 작동하며, 제3 본체가 미는 구성요소와 같이 클러치 메커니즘의 구름 구동 구성요소에 작동하는 것을 고려하여, 한 로터에서 다른 로터로 토크의 전달을 할 수 있게 설계될 수 있다.
현재 문서에서, 바람직한 클러치 메커니즘은 그것의 구성요소들 중에서 미는 수단으로서 미리 적재된 평평한 스프링 또는 압인 스프링(a preloaded flat or stamped spring)을 포함하는 것이 기술되어지고, 구름 구동 구성요소들로서 두 개의 구(two spheres), 구들은 평평한 스프링의 아암의 단부들에 의해 방사상으로 밀려지고, 그래서 그들은 제2 로터의 내부 표면을 통하여 표시된 경로를 따르고, 그리고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의 제3 본체는 그것의 두 개의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되는 가능성을 가진 평평한 스프링의 아암들의 양쪽 단부들 사이에 위치되어진다.
일반적으로, 다른 클러치 구성요소들 사이에 3개의 위치가 있다:
- 토크가 양쪽 로터들 사이에 전달되는 않는 클러치 결합 해제된 위치,
- 토크가 양쪽 로터들 사이에 전달되는 클러치 결합된 위치, 그리고
- 제1 로터가 회전되면, 상기 토크 전달이 달성될지라도, 토크가 또한 양쪽 로터들 사이에 전달되는 않는 이동 위치.
본 발명의 앞에서 언급한 이점, 다른 이점 및 특징들이 예시적이며 제한하지 않는 방법으로 보이는 부착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아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자세하게 이해되어질 것이다.
도 1은 손잡이와 실린더뿐만 아니라 클러치 메커니즘 및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의 분해 된 사시도이다.
도 2a는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의 내부에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을 가진 제1 로터의 케이싱의 절반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본 발명의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 대상물의 구성요소들의 분해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본체에서 캠의 제1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본체에서 캠의 제2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다.
도 5는 도 4의 캠의 세부 상세도를 예시하고 있다.
도 6a 내지 6g는 브레이크 구성요소의 돌출부가 제1 본체의 캠에 위치되어 있는 위치들의 순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a 내지7c는 도 6a, 6c 및 6d에 대응하는 제2 본체에 대해 브레이크 구성요소의 3개의 가능한 위치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8a, b는, 제1 본체의 측면으로 부터, 도6e 및6g에 대응하는 제1 본체 및 제2 본체에 대해 브레이크 구성요소의 위치들에 따른 메커니즘의 구성요소들의 두 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9a, b는, 제3 본체의 측면으로 부터, 도6e 및6g에 대응하는 제1 본체 및 제2 본체에 대해 브레이크 구성요소의 위치들에 따른 메커니즘의 구성요소들의 두 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2 본체 및 제3 본체 사이의 연결의 제1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분해도이다.
도 12는 제1 본체 및 제3 본체 사이의 연결의 제2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분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구성요소들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2 탄성 구성요소와 제2 본체 사이의 커플링의 세부 상세도이다.
도 16은 제2 탄성 구성요소와 제3 본체 사이의 커플링의 세부 상세도이다.
도 17은 같은 회전 동안에 이동을 제한하는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과 멈춤 장치의 케이싱의 한 부분 위의 제2 본체를 도시하고 있다.
도 18은 제2 로터에 연결된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의 케이싱의 부분적인 단면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분해도이다.
도 20은 시스템이 클러치 결합 해제되어질 때 손잡이, 클러치 메커니즘,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 및 실린더에 의해 형성된 어셈블리의 부분적인 단면 사시도이다.
도 21은 클러치 구성요소들이 클러치 결합 해제된 위치에서 관찰되는 도 20에 표시된 단면도이다.
도 22는 시스템이 클러치 결합되어질 때 손잡이, 클러치 메커니즘,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 및 실린더에 의해 형성된 어셈블리의 부분적인 단면 사시도이다.
도 23은 클러치 구성요소들이 클러치 결합된 위치에서 관찰되는 도 22에 표시된 단면도이다.
도 24는 클러치 구성요소들이 제1 로터와 제2 로터 사이의 전달 동안에 클러치 결합된 위치에서 관찰되는 실린더의 단면도이다.
도 25는 클러치 구성요소들이 클러치 결합 해제된 중간 위치에서 관찰되는 실린더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기술되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200) 대상물이 한 부분으로 있는 일반적인 어셈블리를 도시하고 있다.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200) 은 손잡이(a knob)(100)에 가해진 토크(a torque)가 클러치 메커니즘을 가진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200)의 조율 작동(the coordinated actuation)에 기인하여 제1로터(300)에서 제2 로터(450)로 전달되어지게 손잡이(100)로부터 한 단부 및 제2 로터와 관련된 반대 단부에서 분리할 수 없는 케이싱(a casing) 또는 제1 로터에 위치되어 있다. 제2 로터(450)의 회전은 잠금장치와 상호 작동하는 상기 로터로부터 분리할 수 없는 편심장치(an eccentric)(610)에 이동(a movement)을 전달한다. 모든 앞의 구성요소들은 손잡이를 제외하고 전자식 실린더(an electronic cylinder)(600)의 본체에 포함되어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로터 또는 케이싱(300)에 위치된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200)은 전기 모터(an electric motor)(210)로부터 제3 본체(a third body)(250) 회전을 시키고 있다. 메커니즘은 전기 에너지를 회전 이동(a rotational movement)으로 변환을 맡는 전기 모터(an electric motor)(210), 제1 본체(a first body)(220), 제2 본체(a second body)(230), 브레이크 구성요소(a brake element)(260), 제1 탄성 구성요소(a first elastic element)(270)에 의해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브레이크 구성요소 (260), 제3 본체(250) 및 제2 본체(230)와 제3 본체(250) 사이에 위치되어 또한 바람직하게는 축적 스프링(an accumulator spring)으로 작동하는 토션 스프링으로 있는 제2 탄성 구성요소(240, 245)에 작동하는 토션 스프링(a torsion spring)에 의해 형성된다. 전기모터(210)가 제1 본체(220)로부터 제3 본체(250)의 회전을 야기하도록 개시되어질 때, 이것은 그것의 이동을 제2 본체에 전달하고, 그리고 제2 탄성 구성요소(240, 245)에 의해 후자로부터 제2 본체로 전달한다. 클러치 구성요소들의 위치로서, 제3 본체(250)의 그것의 클러치 결합된 위치로 가는 것이 가능하도록 완전히 회전할 수 있게 하거나 완전히 회전할 수 없게 할 수 있다.
비록 상기 본체들의 기하학적 구조가 원형으로 있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것이 주로 공간을 절약하기 위하여 실질적인 이유들을 위해 최적이라는 것이 확실하다고 할지라도,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 2b를 보면, 제1 본체(220) 및 제2 본체(230)는 아래에 기술되어지는 것처럼 서로 또는 메커니즘의 다른 구성요소들과 상호 작동하도록 그것의 표면들에 돌출부 및/또는 톱니모양(protrusions and/or indentations)들을 가진 디스크들이다. 구동 수단(drive means)(231)의 방법으로 돌출부 또는 돌기부((a protrusion or protuberance)로 있을지라도, 제1 본체(220)의 앞의 표면에 대향된 제1 본체(230)의 표면이 톱니모양(231)을 가지고 있는 동안에, 미는 수단(pushing means)(222)의 방법으로 톱니모양(an indentation)으로 있을지라도, 이것이 예들 들어, 제1 본체(220)는, 제2 본체(230)에 대향된 그것의 표면 위에, 돌출부 또는 돌기부(262)를 가지고 있다. 미는 수단(222) 및 구동수단(231)의 작업은 제1 본체(220)가 회전할 때 제2 본체(230)의 회전을 야기하도록 허용하여 구동되는 후자를 미는 것이다.
제1 본체(220)는 전기모터가 작동할 때 구동 축(211)은 구동 축(211)에 동축으로 있는 회전 축(a)에 대해 제1 본체(222)를 또한 회전하도록 야기하는 같은 방향 또는 다른 방향에서 회전하게 배터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된 전기 모터의 구동축(211)로부터 분리할 수 없다. 제1 본체(220)는 그것의 표면을 통과하는 홈(a groove)이 형성된 캠(a cam)(211)을 가지고 있다.
가동 브레이크 구성요소 (a movable brake element)(260) 및 제1 탄성 구성요소 또는 브레이크 스프링(a first elastic element or brake spring)(270)은 구동 축(211)의 제1 축 또는 회전 축(a)에 평행한 제2 축(a second axis)(b) 주위의 모터(210)와 제1 본체(22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가동 브레이크 구성요소(260)는 바람직하게는 아암에 의해 형성되고, 가동 브레이크 구성요소의 단부의 하나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암에 수직인 돌출부(a protrusion)( 262)를 가지고 있고, 그리고 반대 단부에, 가동 브레이크 구성요소는 이것이 지지되어 제2 축(b)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수단을 가진다. 제1 탄성 구성요소(270)는 바람직하게는 제2 축(b)에 대해 피벗하는 토션 스프링(a torsion spring)이고, 그래서 이것은 구성에 종속하여 위쪽으로나 또는 아래쪽으로 돌출부(262)를 미는 아암 또는 단부(an arm or end)(271) 및 탄성적으로 적재된 탄성 구성요소(270)를 유지하기 위한 시스템의 또 다른 고정된 표면에 지지되는 제1 탄성 구성요소와 각을 이루로 있는 제2 아암 또는 단부(a second arm or end)(272)를 포함한다.
브레이크 구성요소(260)의 돌출부(262)는 제1 본체(220)의 캠(221)과 연관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제1 본체를 통과하여 캠의 두 개의 표면 중의 하나, 상부 표면 또는 하부 표면을 가로질러 미끄러지고, 돌출부(262)는 언급된 스프링(270)에 의해 미끄럼 표면에 밀려지고 있다. 도면들에서, 돌출부(262)가 제1 스프링(270)과 캠(221)의 상부 표면 사이에서 어떻게 위치되고, 돌출부가 미끄러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돌출부(262)가 미끄러지는 캠(221)의 표면은 돌출부(262)를 이동시킬 목적을 가진 특별한 경로를 가진다. 캠(221)에서 돌출부(262)의 위치에 종속하여, 돌출부는 제1 본체(220)와 반대인 제2 본체(230)의 표면에 배치된 브레이크 수단(232)과 접촉하기 시작하거나 또는 접촉하기 시작하지 않는다. 브레이크 수단(232)은 상기 표면에 돌출부 또는 융기부(a protrusion or protuberance)(232)로 그려져 있지만, 그러나 이것은 또한 마찬가지로 톱니 모양일 수 있다.
제2 본체(230) 다음에, 제3 본체(a third body)(250)는 제2 본체(230)와 같이 구동 축(211)의 회전 축(a) 주위에 축 방향으로 위치되어 배치되어 있다. 제2 탄성 구성요소( a second elastic element)(240, 245)는 제2 본체(230)와 제3 본체(250) 양쪽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3 본체(250)는 바람직하게는 실린더의 양 측면에서 두 개의 대향하는 융기부(252)를 가진 실린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제3 본체(250)는 제1 위치에서 메커니즘이 클러치 결합 해제되어지고, 말하자면 이동이 제1 로터(300)와 제2 로터(450) 사이에 전달되어지지 않게, 그리고 제2 위치에서 메커니즘은 클러치 결합되어지고, 말하자면 이동이 제1 로터(300)와 제2 로터(450) 사이에 전달되어지게 두 개의 최대 위치들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위치들, 제1 및 제2 위치는 제3 본체(250)의 돌출부(253)가 멈춤 장치(310)와 마주하고 있을 때 재1 로터(300)에 위치된 이동 멈춤 장치(the travel stops)(310)(도 17) 에 의해 제한되어진다. 클러치 메커니즘의 클러치 구성요소들은, 클러치 구성요소의 위치에 종속하여, 제1 및 제2 클러치 결합된 위치와 클러치 결합 해제된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고, 클러치 결합 해제된 위치 또는 클러치 결합된 위치에서 클러치 구성요소를 유지하여 제3 본체를 보호한다.
제2 탄성 구성요소(240, 245)는 제2 본체에 의해 밀려진 제2 본체(230)에 의해 실행된 회전과는 관계없이 제3 본체(250)를 제2 본체(230)와 항상 맞추게 하는 경향 및 그 반대를 허용하고, 제2 탄성 구성요소(240, 245)는 클러치 구성요소들이 제3 본체(25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때, 제2 본체(230)를 동반하여 탄성적으로 장전되거나 또는 그 반대이고, 그리고 상기 클러치 구성요소들이 제3 본체(250)에 작동하는 것을 중단할 때 장전이 해제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대안에서, 제2 탄성 구성요소(240)는 제2 본체(230)와 제3 본체(250) 사이에 위치된 토션 스프링(a torsion spring)(240)이고, 모터(210)의 구동 축(211)의 회전 축(a)에 대해 피벗할 수 있고, 그리고 제2 본체(230)의 지지 돌출부 또는 융기부(a support protrusion or protuberance)(233) 및 제2 단부 또는 아암(a second end or arm)(242)을 통하여 지지되고, 제1 단부 또는 아암(241)에 대해 약간 각도를 이루고, 그리고 제3 본체(250)의 지지 돌출부 또는 융기부(a support protrusion or protuberance)(251)를 지지된 제1 단부 또는 아암(a first end or arm 241)을 포함하고, 그래서 제2, 3 양 본체(230, 250)의 지지 돌출부(233, 251)들이 분리도리 때, 제2 스프링(240)이 탄성적으로 장전된다. 돌출부는 서로에 대해 방사상으로 위치된, 그러나 다른 높이에서 제2 구동 수단(a second drive means)(251)에 대해 제2 본체(230)와 제3 본체(250)에서 제2 미는 수단(a second pushing means)(233)과 동등하다. 제3 본체(250)는 제2 본체(230)에 대해 회전하고, 따라서 클러치 결합된 위치와 클러치 결합 해제된 위치 사이에서, 제1 로터(300)와 제2 로터(450) 사이의 클러치 구성요소들이 이것을 허용하는지에 종속하고 있다.
도 12 내지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대안에서, 제2 탄성 구성요소(245)는, 제2 본체(230)에 대하여 제3 본체(250)의 회전과 비틀림을 허용하는 것에 부가하여, 연결된 양 본체를 유지하기 위하여 양 본체 사이에 견인력(a traction force)을 가하는 토션 스프링이다. 제2 스프링(245)은 구동 축(211)의 회전 축(a)에 축 방향으로 양 본체가 위치되어, 제3 본체(250)와 제2 본체(230)에 회전축을 지나가고, 스프링(245)의 단부(246, 247)들이 각각 본체(250, 230)에 연결되어 있을 때 양 본체를 연결한다. 이렇게 하여, 제2 탄성 구성요소(245)는 제1 로터(300) 및 제2 로터(450) 사이의 클러치 구성요소들이 제1 클러치 결합 해제된 위치에서 제2 클러치 결합된 위치로 제3 본체(250)에서 회전을 야기하여, 제2 본체(230)의 회전을 제3 본체(250)에 전달한다.
도 3 및 4에서, 두 개의 대안 경로(221?, 221)는 제1 본체(220)가 회전할 때 브레이크 구성요소(260)의 돌출부(262)가 지지되거나 미끄러지는 표면 위에 캠(a cam)(221)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221)을 따라서 갈 수 있는 대안 표면들의 각각은 적어도 3개의 섹션들, 캠(221)의 단부들에 위치된 두 개의 제1 섹션(221a)과 두 개의 제1 섹션(221a) 사이에 위치된 제2 중간 섹션(221b)을 가진 경로이다. 경로는 제1 섹션(221a)에서 중간 섹션(221b)에서 보다 구동 축(211)의 회전 축(a)에 수평 또는 다른 높이에 위치되는 돌출부(262)를 허용하는 동안에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6a 에서6g의 순서로, 제1 본체(220)의 전면 부분으로부터, 모터(210)에 대향되어 두 개의 단부 위치들 사이에서 회전하는,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200)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위치가 주로 제1 본체(220) 및 그것의 구성요소들, 제2 본체(230)와 그것의 구성요소들, 브레이크 구성요소(260) 및 돌출부(262)뿐만 아니라 제1 탄성 구성요소(270)를 알 수 있다.
또한, 도7a 내지 7c는 도 6a, 6c 및 6d에 대응하는 제1 본체의 후면 부분으로부터 제2 본체(230)에 대하여 브레이크 구성요소(262)의 3개의 가능한 위치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8a와 8b는, 제1 본체의 전면 부분부터의 사시도에서, 도 6e와 6g에 대응하는 제1 본체(220) 및 제2 본체(230)에 대하여 브레이크 구성요소(262)의 위치들에 따라 메커니즘의 구성요소들의 두 개의 위치 a, b를 도시하고 있다. 도 9a와 9b는 제3 본체로부터의 사시도에서, 도 6e와 6g에 대응하는 메커니즘의 구성요소들의 두 개의 위치a, b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면들에 기초하여, 캠(221)에서 브레이크 구성요소(260)의 돌출부(262)의 위치에 종속하여, 돌출부(262)가 제2 본체(230)의 브레이크 수단(232)과 상호 작동하거나 상호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어떻게 제2 본체(230)가 제1 본체(220)에 대해 회전하는지 또는 회전하지 않는지 알 수 있다. 따라서, 그리고 캠(221)의 경로를 통하여 돌출부(262)의 특정 위치에 따라서, 제2 본체(230)는 이것이 구동 축(211)고 같은 시간에 회전할 때 제1 본체(22)에 대하여 다른 위치들을 채택한다.
제2 본체(230)는 구동 축(211)이 정지 상태에 있을 때 또는 구동축이 회전을 시작할 때, 그리고 돌출부(262)는, 구동 축(211)이 같은 방향 또는 다른 방향에서 회전하는지에 종속하여, 캠의 두 개의 제1 섹션(221a)의 어느 것으로 밀려지는 동안에 제1 본체에 대해 잠금 위치(a locking position)에서 벗어나고, 캠(221)을 통과하는 상기 돌출부(262)는, 제2 본체(230)의 회전을 방지하면서, 제2 본체(232)의 브레이크 수단(232)와 접촉하고 있다. 브레이크 수단(232)은 돌출부(262)가 제1 섹션(221a)에 의해 정해진 레벨에 있을 때, 이것이 브레이크 수단(232)과 상호 작동하여, 그래서 제1 본체(220)에 대해 제2 본체(230)의 이동을 방지하게 제2 본체의 표면에 융기부 또는 노치(a protuberance or a notch) 인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262)는 구동 축(211)의 회전이 계속함에 따라 캠(221)의 제1 섹션(221a)을 떠나가기 시작하면, 돌출부(262)는 캠(221)의 제1 섹션(221a)과 제2 중간 섹션 (221b) 사이의 경로의 변화에 직면하게 되고, 따라서 레벨을 변화시켜 돌출부(262)를 제1 스프링(270)으로 강요하거나 압축한다. 돌출부(262)의 높이 또는 레벨이 브레이크 수단(232)에 대해 변화할 때, 두 개 사이에 아직 접촉은 없고, 따라서 제2 본체(230)는 자유롭고, 그래서 전이 영역(a transition position)이 제1 섹션(221a)과 제2 중간 섹션 (221b) 이 존재하거나 또는 반대로 설정된다.
구동 축(211)의 회전이 계속될 때, 돌출부는 그것의 경로를 따라 캠(221)의 제2 섹션(221b) 위에 미끄러지기 시작한다. 이 제2 섹션(221b) 동안에, 돌출부(262)는 제2 본체(230)와 상호 작동하지 않고, 그러나 제1 본체(220)의 미는 수단(222)은, 그것의 회전에서, 제1 본체(22)의 회전이 제2 본체(230)로 전달되어지게 제2 본체(230)의 구동 수단(231)과 접촉한다. 그래서 전달 위치(a transmission position)는 회전이동이 제1 본체(220)에서 제2 본체(230)로 전달되고, 브레이크 구성요소(260)가 아직 제2 본체(230)를 잠그고 있지 않는 것으로 정의된다.
도 3에서, 캠(221)은, 제1 섹션은 경로의 단부들에 해당하고, 제2 섹션은 양 단부 사이의 경로 해당하는 경로 상에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제1 본체(220)에 대해 제2 본체(230)의 브레이크 위치의 지속을 결정한다.
캠(221)에서 돌출부(262)의 다른 위치들은, 구동 축(211) 따라서 제1 본체(220)는 돌출부(262)가 캠(221)의 전체 길이를 이동하게 같은 방향에서 회전할 때, 도 6a 내지 6g를 참조하여 아래에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도면들에서, 제1 본체(220)의 회전 방향은 화살표로 그려져 있다.
첫째로, 도 6a의 위치에서, 제1 본체(220)는 초기 위치에 있고, 그리고 브레이크 구성요소(260)의 돌출부(262)는 캠(221)의 오른쪽 수직면과 접촉하고 있다. 다음의 위치에서, 제1 본체(220)는 도 6b의 위치로 몇도 정도 회전하고, 그래서 캠(221)의 제1 섹션(221a)을 이동하여, 제2 본체(230)는 잠금 위치에 있다. 앞의 위치로부터 제1 스프링(270)을 압축하기 시작하기 전에, 제1 본체(220)는, 돌출부(262)가 낮아질 때, 제1 스프링(270)이 압축되어, 전이 위치에서, 캠(221)의 제1 섹션(221a)에서 제2 섹션(221b)으로 이동하게 캠(221)의 면을 가로질러 미끄러지는, 도 6c의 제3 위치로 회전한다. 제3 위치로부터, 제1 본체(220)에서 제2 본체(230)로 회전 이동의 전달 위치에서, 돌출부(262)가 캠(221) 표면의 제2 섹션(221b)을 통하여 미끄러지는 동안에, 본체(220)는 도 6d의 제4 위치로 회전을 계속한다. 그때, 도 6d의 제4 위치로부터, 제1 본체(220)는 도 6e의 제5 위치로 몇도 더 회전하고, 제1 스프링(270)은 압축이 풀리고, 그리고 돌출부(262)는, 다시 전이 위치를 통과하여, 후속의 시작에 나타난 같은 반경 방향 높이로 상승한다. 마지막으로, 제2 본체(220)는 같은 방향인 도 6f의 위치에서 거기서의 최종 회전을 만들고, 돌출부(262)는 캠(221)의 단부에 밀착되어, 제1 본체(220)의 회전 이동을 멈추게 한다.
최종 위치에 도달하면, 모터(210)는 멈추고, 그러나 돌출부(262)는 캠(221)의 단부에 유지되는 것이 아니라 제2 탄성 구성요소(240, 245)의 작용 때문에, 제2 본체(230)가 뒤로 향하여 밀려지고, 그래서 뒤로 향하여 이동하고, 그리고 제2 본체(230)의 브레이크 수단(232)과 접촉하기 시작하여 도 6g의 위치에 도달하여, 제2 본체(230)에 브레이크 구성요소(26)를 잠그거나, 또는 즉, 클러치 작동 어셈블리(200)가 제동되어 남아 있을 때까지 뒤쪽으로 향하여 돌출부(262)를 밀게 된다.
시스템은 브레이크 구성요소(260)의 돌출부(262)가 같은 방향 및 반대 방향에서 캠(221)을 따라 변위될 때 양 방향에서 대칭이다. 이렇게 하여, 모터(210)가 재가동될 때, 모터 축(210)은 앞에 기재된 하나에 대해 반대 방향에서 회전하고, 기재된 하나에 대해 반대 방향에서 제1 본체(220)의 회전을 야기하고, 그리고 상기 이동과 위치들이 재생되어진다.
제1 본체(220)와 브레이크 구성요소(260)의 돌출부(262)의 모든 이동 단계들은 제2 본체(230)의 브레이크 수단(232)에 작동하는 브레이크 구성요소(26)를 작동 및 작동을 정지시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브레이크 구성요소(260)의 작동 정지에 부가하여, 제1 본체(220)는 제2 본체(230)를 구동을 책임지고 있다. 앞에서 기술되어진 것처럼, 도 6b위치와 도 6c 위치 사이에서, 제1 본체(220)는 도 6b 위치로 자유롭게 회전하고, 제1 스프링(270)을 압축하여 캠(221)을 따라 돌출부(262)를 낮춘다. 도6c 위치로부터, 브레이크 구성요소(260)가 작동 정지되면, 제1 본체(220)는 제2 본체(230)에서 구동 수단(231)과 접촉하는 미는 수단(222)에 의해 제2 본체(230)를 구동하기 시작한다. 제1 본체(220)가 제2 본체(230)를 구동하기 시작하면, 두 개의 본체는 제1 본체(220)가 제2 본체(230)보다 더 회전한 도 6f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동시에 이동하고, 이것은 그것이 회전이 미리 시작되고, 그리고 제2 본체(230)가 제1 본체(220)에 의해 구동되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하여, 제2 본체(230)는 제1 본체(220)가 도 6c의 위치로 초기에 몇도 미리 회전되어지지 않을 때까지는 회전을 할 수 없고, 그래서 돌출부(262)가 제2 본체(230)의 브레이크 수단(232)과 접촉하는 것을 중단할 때 브레이크 구성요소(260) 작동을 정지시킨다. 이 브레이크 구성요소(260)는 이동 중에 구동 축(211) 및 제1 본체(2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양쪽 왕복으로 작동한다.
유사하게, 도 7에서, 도 6의 도 6 에서6g의 순서와 일치하는 도 6a에서 6g의 순서로, 브레이크 구성요소(26) 및 결과적으로 돌출부(262)가 회전 축(a)에 대해 제1 본체(220)의 회전에 따라 어떻게 상승 및 하강되는지 알 수 있다.
도 8 및 9에서, 도 6의 도 6 에서 6g의 순서와 일치하는 도 6a에서 6g의 순서로, 그러나 다른 사시도로부터,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200)의 다른 구성요소들이 제1 본체(220)의 회전 동안에 그것의 다른 위치들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도 7 및 8에 기초하여, 브레이크 구성요소(260) 및 그것의 돌출부(262)가 내려가지 않을 때, 제2 본체(230)는 회전할 수 없다는 것이 확인될 수 있다.
아래에 기술된 것처럼, 브레이크 구성요소(260)는 모터(210)와 제1 본체(220)가 초기 위치로 복귀할 때까지 결정된 상황에서 모터(210)에 의해 가해진 에너지를 제2 스프링(240, 245)에 메커니즘이 축적하도록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모터(210) 및 제1 본체(220)에 의해 실행된 회전 이동은, 기재된 바와 같이, 제3 본체(250)에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200)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의해 전달되어진다. 이 회전 이동은, 설명된 바와 같이, 제2 스프링(240, 245)에 의해 제2 본체(230)에서 제2 본체(230) 와 제3 본체(250) 및 사용된 제2 스프링(240, 245) 사이의 관계에 따라 다른 방법으로 제3 본체(250)로 전달되어진다.
제3 본체(250)는 그것의 클러치 결합 해제된 위치, 또는 위치 a에서 클러치 결합된 위치 또는 위치b로 바람직하게는 90° 회전을 실행한다. 회전은 제2 본체(230)에 의해 제3 본체(250)로 전달되고, 그리고 양 위치들은 제3 본체(250)가 회전할 때 제3 본체(250)에 배치된 돌출부(253)가 밀착하는 케이싱 또는 제1 로터(300)에 배치된 멈춤 장치(310)에 의해 제한되어진다. 유사하게, 언급된 두 개의 위치들 사이에서 제3 본체(250)의 회전은 제1 로터(300)와 제2 로터(450) 사이에 위치된 클러치 메커니즘의 클러치 구성요소들에 의해 지연되어진다.
제3 본체(250)가 클러치 결합 해제된 위치에서 클러치 결합된 위치로 이동하여 갈 때, 제3 본체(250)의 돌출부(253)는 제1 클러치 결합된 로터(300)의 이동 멈춤 장치(310)와 밀착하여, 제3 본체(250)의 회전이 계속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3 본체(250)가 클러치 결합 해제된 위치로 복귀할 때 동일한 것이 일어나고, 클러치 결합된 위치로부터 제1 클러치 결합 해제된 로터(300)의 이동 멈춤 장치(310)와 밀착한다.
앞에서 말한 것에 기초하여, 다른 위치들은 회전이 제1 축(a)에 대하여 구동 축(211)의 제1 방향에서 중단할 때, 그리고 두 개의 단부 위치들 사이에서 제1 본체(220)의 회전이 생성되어 제2 본체(230)에 의해 제3 본체(250)로 상기 회전을 전달한 후에 일어난다:
- 메커니즘은 제1 로터(300) 및 제2 로터(450) 사이에 배치된 클러치 구성요소들의 작동에 기인하여 클러치 결합 해제된 위치에 유지될 수 있고, 그리고 제2 본체(250)에 작동하고, 그것의 두 개 위치 사이에서 같은 종류의 완전한 회전을 방지하여, 제2 본체(230)의 회전에 기인한 제2 탄성 구성요소(240, 245)의 과부하를 야기하여, 제3 본체(250)의 회전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한다.
- 제1 로터(300)와 제2 로터(450) 사이에 배치된 클러치 구성요소들이 제3 본체(250)에 작동하는 것을 중단하고, 제2 본체(230)와 맞추어 조정되어지도록 제3 본체(250)의 회전을 강제로 맞추는 제2 탄성 구성요소(240, 245)를 느슨하게 하거나 부하를 내리는 것을 야기하기 때문에 메커니즘이 제 3 본체(250)가 클러치 결합 해제된 위치에서 클러치 결합된 위치로 회전할 때 클러치 결합된 위치로 이동하여 간다.
- 메커니즘은 제3 본체(250)가 회전할 때 클러치 결합 해제된 위치에서 클러치 결합된 위치로 직접 이동하여 가고, 제1 로터(300)와 제2 로터(450) 사이에 배치된 클러치 구성요소들이 제3 본체(25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을 때 제1 로터(300)와 제2 로터(450) 사이에 배치된 클러치 구성요소들에 의해 제2 로터(450)의 회전을 허용한다.
유사하게, 앞의 회전과는 반대로, 구동 축(211)의 제2 방향에서 회전은 제1축(a)에 대하여 그것의 두 개 단부 위치들로부터 제1 본체(220)의 반대 회전을 생성한다.
이어서 전기 모터(210)에서 제3 본체(250)로 회전 이동의 전달이 어떻게 실행되는지 상세히 설명되면, 손잡이의 위치에 따라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200)과 클러치 메커니즘, 두 개의 메커니즘에 의해 형성된 제3 본체(250)와 전자식 실린더 사이에서 일어나는 다른 위치들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하면, 그것의 내부에, 본 발명의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200) 대상물을 포함하는 제1 로터 또는 케이싱(300)은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200)의 외부에 있는 구성요소들과 제3 본체(250)에 의해 상호 작동한다. 특히, 로터(450)는, 그것의 회전에 의해, 실린더(600)의 편심장치(610)에 이동을 전달하고, 다른 전달 구성요소들을 가진 제1 로터(300)와 제2 로터(450) 사이에 배치된 전달 메커니즘의 제1 예시적인 실시인 것을 알 수 있다.
도18 및 19는 클러치 메커니즘을 형성하는 클러치 구성요소들 뿐만 아니라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을 가진 제1 로터 또는 케이싱(300) 및 제2 로터(450)의 사시도에서 어셈블리를 도시하고 있다. 특히, 클러치 구성요소들은 바람직하게는:
- 방사상 미는 구성요소(a radial pushing element), 바람직하게는 모터(210)의 각 측면에 위치되어 모터(210)의 한 단부에서 제3 본체(250)로 연장하는 두 개의 평행 아암(503)들을 포함하는 평평한 또는 찍어낸 스프링(a flat or stamped spring)(500), 그들은 공간(502)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아암(501)을 가진 포크로 끝나 있고,
- 적어도 두 개의 전혀 반대의 홈(451)을 포함하는 제2 로터(450)의 내부 실린더 표면(452), 그리고
- 전혀 반대의 롤링 구동 구성요소(rolling driving elements)들, 편평한 스프링(500)에 의해 방사상으로 밀려서 이동되는 능력을 가진 구(510)가 바람직하고, 구(510)는 제1 로터에 위치된 전혀 반대의 하우징(320)에 수용되어 평평한 스프링(500)과 제2 로터(450)의 내부 표면(452)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이들 구(510)는 그것의 축들의 어느 것에 대해 그들 스스로 구를 수 있고, 그리고 제2 로터(450)의 내부 표면(452)에 구를 수 있고, 위치가 상승하면 로터의 홈(451)에 수용된다.
앞의 구성에 의해, 제1 로터(300)의 회전이 또한 제2 로터(450)의 내부 표면(452)에 구(510)를 미는 것에 의해 작동하는 평평한 스프링(500)의 회전을 야기할 때, 이들 구들은 표면(452)을 따라 회전한다. 클러치 구성요소들의 위치뿐만 아니라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200)의 제3 본체(250)의 위치에 종속하여, 이동이 제1 로터(300)에서 제2 로터(450)로 전달되거나 또는 전달되지 않고, 따라서 실린더(600)의 편심장치(610)에 전달되거나 또는 전달되지 않는다.
도 20 및 21은 사용자가 제1 로터(300)에 연결된 손잡이(100)를 통하여 토크를 전달할 때, 제2 로터는,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200)의 회전 축(a)에 맞추어, 그 자신의 축 주위에서 회전을 실행하게 제1 로터(300)에서 제2 로터(450)로 토크 전달을 가능하게 하지 않는 어셈블리의 클러치 결합 해제된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 위치에서, 클러치 구성요소들과 상호 작동하도록 의도된 제3 본체(250)의 돌출부(252)는 구(510)의 중심을 통과하는 축에 수직인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제1 로터(300)의 이 회전은 제1 로터(300)에서 그런 목적을 위해 하우징(320)에 도입되는 두 개의 구(510)의 회전을 야기한다. 회전은 내부 표면(452) 위에서 구(510)들이 구르도록 하고, 그리고 구(510)들이 홈(451)에 반대로 있을 때, 구(510)들은 외부로 향하여 방사상 방향에서 평평한 스프링(500)에 의해 밀려지고, 다시 말하면, 홈(452)의 경사진 표면들 위를 구르는 홈(451)의 내부로 향하여 밀려져 내부에 위치되고, 따라서 제2 로터(450)에 위치되어진다. 토크가 제1 로터(300)에 전달되어지는 것이 계속하면, 구(510)는 홈(451)을 떠나고, 제1 로터(300)에서 하우징(320)으로 도입되어지는 것이 강제되어, 평평한 스프링(500)의 탄성력을 극복한다. 이것은 편심장치(610)에 작동할 수 있도록 하고, 그리고 제2 로터(450)의 회전을 위해 요구된 토크는 , 평평한 스프링(500)의 힘을 극복하여, 제1 로터(300)의 내부로 구(510)를 변위시키기 위하여 요구된 토크보다 더 크게 있기 때문에 사실이다.
그리고 도 22 및 23은 토크가 제1 로터(300)에서 제2 로터(450)로 전달되고, 따라서 실린더(600)의 편심장치(610)에 전달되는 어셈블리의 클러치 결합된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 위치에서, 클러치 구성요소들과 상호 작동하도록 의도된 제3 본체(250)의 돌출부(252)들은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200)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 제3 본체(250)의 위치를 수정할 목적을 가지고 작동되는 목적을 위해 클러치 결합된 위치에 대해 약 90°의 회전을 포함하는 구(520)의 중심을 지나가는 축에 맞추어진 위치에 위치되어진다. 제3 본체(250)의 완전한 변위가 그것의 클러치 결합된 위치에 일어나도록 하기 위하여, 클러치 메커니즘의 구(510)들은 제2 로터(450)의 홈(451)에 있어야만 하고, 그래서 제3 본체(250)의 회전을 허용하고, 도 25에 도시된 위치와 다르게, 구(510)는 제1 로터(300)에서 하우징(320)의 내부에 있고, 제3 본체(250)의 회전을 방지한다. 토크가 제1 로터(300)를 통하여 전달될 때, 홈(451)의 내부에 위치된 구(510)들은 제1 로터(300)에서 하우징(320)의 내부로 향하여 떠나도록 홈(451)의 면들 위를 구르고, 그러나 이 이동은 구(510)들과 간섭하는 제3 본체(250)의 돌출부(252) 때문에 불가능하게 만들어지고, 그리고 그들이 제1 로터(300)의 회전에 관계없이 홈(451)을 떠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불가능성은 같은 회전 방향에서 구(510)들이 제1 로터(300)와 같은 방향에서 제2 로터(450)를 구동하도록 야기하고. 편심장치(610)의 회전 토크를 극복하여 도 24에서 발수 있는 것처럼 같은 회전을 만든다.
유사하게, 도 25는 앞의 도20 내지 24에 도시된 클러치 결합 해제된 위치와 클러치 결합된 위치 사이의 전이 위치(a transition position)를 도시하고 있다. 특히, 제3 본체(250)는 롤링 구동 구(510)가 돌출부(252)와 내부 실린더 표면(452) 사이에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그들이 제2 로터(450)의 홈(451)에 수용되지 않아서 회전할 수 없다. 이위치는 사용자가 구(510)들이 홈(451)들 만나서 같이 수용되어지는 순간까지 제2 로터(450)에 이동을 전달하는 것 없이 제1 로터(300)를 회전하게 만들 때 해결되어진다. 이때에, 제3 본체(250)는 제2 탄성 구성요소(240, 245)에 축적된 에너지 때문에 클러치 결합된 위치로 자유롭게 회전하는 가능성을 가진다. 이렇게 하면, 클러치 구성요소들은 제1 로터(300)의 회전이 제2 로터(450)로 그것의 회전을 전달하는 도 23의 위치로 이동하여 간다.
100: 손잡이
200: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
210: 모터
220: 제1 본체
222: 미는 수단
230: 제2 본체
231: 구동수단
240, 245: 제2 탄성 구성요소
250: 제3 본체
260: 브레이크 구성요소
270: 제1 탄성 구성요소
300: 제1로터
450: 제2 로터
600: 전자식 실린더
610: 편심장치

Claims (17)

  1. 클러치 메커니즘(200)이 내부에 위치된 제1 로터(300)와 그것의 회전과 함께 실린더 본체(600)에서 편심장치(610)에 이동을 전달하는 제2 로터(450) 사이에서 클러치 구성요소에 의해 회전 이동의 전달을 제어하기 위한 잠금장치용 전자식 실린더의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으로서:
    - 제1 축(a)에 동축으로 두 방향에서 회전하는 구동 축 (211)을 작동시키는 전기 모터(200);
    - 캠(221)과 제1 미는 수단(222)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축(211)에 분리할 수 없는 방법으로 설치된 제1 본체(220);
    - 제1 본체(220) 다음에 배치되어, 제1 구동 수단(231) 및 브레이크 수단(232)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축(a)에 동축으로 있는 제2 본체(230);
    - 제2 본체(230) 다음에 배치되어, 클러치 구성요소들이 작동하는 제1 축(a)에 동축으로 있고, 이동이 제1, 2 로터(300, 450) 사이에서 전달되지 않는 클러치 결합 해제된 위치와 이동이 제1, 2 로터(300, 450) 사이에서 전달되는 클러치 결합된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는 제3 본체(250);
    - 한쪽 단부에 돌출부(262)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262)가 제1 본체(220)의 상기 캠(221)과 관련되어 있는 이동 브레이크 구성요소(260);
    - 제1 본체(220)의 캠 및 제2 본체(230)의 브레이크 수단(232)에 대하여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브레이크 구성요소(260)와 접촉하는 제1 탄성 구성요소(270); 및
    - 제2 본체(230)와 제3 본체(250) 사이에서 양쪽에 연결된 제2 탄성 구성요소(240, 245)를 포함하고,
    구동 축(211)의 제1 방향으로의 회전이 초기 위치와 최종 위치 사이에서 제1 본체(220)의 회전을 생성하고, 제1 본체(220)에서 제2 본체(230)로, 그리고 제2 본체(230)의 회전각도 보다 더 작은 회전 각도를 가지고 제2 본체(230)에서 제3 본체(25)로 회전 이동의 전달을 생성하여, 제2 탄성 구성요소(240, 245)의 탄성 부하를 야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실린더의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
  2. 제 1 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구성요소(260) 및 제1 탄성 구성요소(270)가 모터(210)와 제1 본체(220) 사이에 위치되고, 브레이크 구성요소(260)는, 구동 축(211)의 제1 회전 축(a)에 평행한, 제2 축(b)주위를 피벗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실린더의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
  3. 제 1 항에 있어서,
    캠(221)은 브레이크 구성요소(260)의 돌출부(262)가 위치되는 내부에 홈이 있고, 브레이크 구성요소(260)의 돌출부(262)는 제1 탄성 구성요소(270)에 의해 홈(221)의 제1 표면으로 향하여 구동되고, 브레이크 구성요소(260)의 돌출부(262)는 제1 탄성 구성요소(270)와 홈(221)의 제1 표면(221)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실린더의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
  4. 제 3 항에 있어서,
    홈(221)의 제1 표면은, 각각 홈(221)의 두 개의 단부 중 하나에 있는, 두 개의 제1 섹션 및 두 개의 제1 섹션의 사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중간 섹션을 포함하는 경로를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실린더의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
  5. 제 4 항에 있어서,
    홈(221)의 제1 섹션들에서, 제2 본체(230)의 브레이크 구성요소(232)는 구동 축(211)이 정지 상태에 있을 때 브레이크 구성요소(260)의 돌출부(262)와 접촉하고 있고, 그래서 제1 본체(220)에 대해 제2 본체(230)의 이동을 제한하고, 그리고 브레이크 구성요소(260)의 잠금 위치를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실린더의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
  6. 제 4 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구성요소(260)의 돌출부(262)는 돌출부(262)가 홈(221)의 중간 섹션에 위치되어 있을 때 제2 본체(230)의 브레이크 수단(232)과 접촉하지 않고, 제1 본체(220)의 제1 미는 수단(222)이 제2 본체(230)의 제1 구동 수단(231)과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제1 본체(220)와 함께 제2 본체(230)의 이동을 허용하고, 브레이크 구성요소(260)가 제2 본체(230)를 잠그고 있지 않는 전달 위치를 정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실린더의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
  7. 제 4 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구성요소(260)의 돌출부(262)는, 돌출부가 홈(221)의 제1 섹션(221a)의 하나와 중간 섹션(221b) 사이에 위치 될 때, 제1 탄성 구성요소(270)를 압축하고, 제1 탄성 구성요소(270)는 수직으로 돌출부(262)를 밀어서 돌출부(262)와 제2 본체(230)의 브레이크 수단(232) 사이의 접촉을 제거하여, 브레이크 구성요소(260)의 전이 위치를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실린더의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
  8. 제 3 항에 있어서,
    제1 표면은 제1 탄성 구성요소(270)가 돌출부(262)를 미는 홈(221)의 상부 표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실린더의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
  9. 제 1 항에 있어서,
    제2 본체(230) 및 제3 본체(250)는 제1 축(a)에 축 방향으로 배치된 제2 탄성 구성요소(245)에 의해 연결되고, 구동 축(211) 다음에 후자와는 독립적으로 제2 탄성 구성요소(245)는 제3 본체(250)에 제2 본체(230)의 회전을 전달하고, 클러치 결합 해제된 위치에서 클러치 결합된 위치로 또는 반대로 제3 본체(250)에 회전을 야기하고, 탄성 구성요소에 에너지를 축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실린더의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
  10. 제 9 항에 있어서,
    제2 탄성 구성요소(245)는 견인력에 의해 연결된 제2 본체(230)와 제3 본체(250)를 유지하는 토션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실린더의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
  11. 제 1 항에 있어서,
    제2 본체(230)는 제2 미는 수단(233)을 포함하고, 제3 본체(250)는 제2 구동 수단(251)을 포함하고, 상대 위치는 그들 사이에 배치된 제2 탄성 구성요소(240, 245)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실린더의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제2 본체(230)의 제2 미는 수단(233)과 제3 본체(250)의 제2 구동 수단(251)은 양쪽 사이에 위치된 제2 탄성 구성요소(240, 245)와 접촉하고, 클러치 결합 해제된 위치에서 클러치 결합된 위치 또는 역으로 제2 본체(230)의 회전, 제3 본체(250)의 회전을 야기하고, 제2 본체(230)가 제3 본체(250)보다 더 회전할 때 탄성 구성요소(240, 245)에 에너지를 축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실린더의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
  13. 제 1 항에 있어서,
    클러치 메커니즘은 적어도 아래의 클러치 구성요소:
    - 제1 로터(300)에 완전히 반대로 배치된 하우징들에 수용된 두 개의 롤링 구 구동 구성요소(510),
    - 제3 본체(250)와 롤링 구 구동 구성요소(510) 사이에 위치된 평평한 또는 앞인 스프링(500)의 형태의 방사상 미는 구성요소, 및
    - 롤링 구 구동 구성요소(510)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의 완전히 반대인 홈(451)들을 가진 제2 로터(450)에서 내부 표면(45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실린더의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1 본체(220)가 초기 위치와 최종 위치 사이 또는 반대의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때, 브레이크 구성요소(260)의 돌출부(262)는:
    - 돌출부(262)가 홈(221)의 제1 단부의 제1 섹션을 통하여 미끄러질 때 브레이크 구성요소(260)의 잠금 위치,
    - 돌출부(262)가 홈(221)의 제1 섹션에서 홈의 제2 섹션으로 미끄러져 갈 때, 잠금에서 비잠금으로, 또는 역으로 비잠금에서 잠금으로 갈 때, 브레이크 구성요소(26)의 전이 위치,
    - 브레이크 구성요소가 잠겨 있지 않고 돌출부(262)가 홈(221)의 제2 섹션을 통하여 미끄러지는 전달 위치,
    - 돌출부(262)가 홈(221)의 제2 섹션에서 홈의 제2 단부의 제1 섹션으로 미끄러져 갈 때, 비잠금 위치에서 잠금 위치로, 또는 역으로 잠금 위치에서 비잠금 위치로 갈 때, 브레이크 구성요소(262)의 전이 위치, 및
    - 돌출부(262)가 홈(221)의 제2 단부의 제1 섹션을 통하여 미끄러질 때 브레이크(260)의 잠금 위치,
    를 결정하는 캠(221)에 의해 이어진 경로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초기 위치와 최종 위치 사이 또는 그 반대 위치 사이에서 제1 본체(220)의 회전 후에, 제3 본체(250)에 작동하는 클러치 구성요소들과 함께 제3 본체(250)의 회전을 방지하여, 제2 탄성 구성요소(240, 245)의 과부하가 제3 본체(250)에 대해 제2 본체(230)의 추가적인 회전에 기인하여 야기되어, 제3 본체(250)가 클러치 해제된 위치에 유지되어 제2 로터(450)의 회전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클러치 구성요소들이 제3 본체(250)에 작동하는 것을 중단하고, 제2 탄성 구성요소(240, 245)가 제2 구동 수단(251)에 작동할 때 제3 본체(250)의 회전을 강제로 시키는 제2 탄성 구성요소(240, 245)를 느슨하게 하거나 또는 부하를 해제하는 것을 초래하여, 제3 본체(250)가 클러치 결합된 위치로 가고, 그래서 제2 로터(450)의 회전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초기 위치와 최종 위치 사이 또는 그 반대 위치 사이에서 제1 본체(220)의 회전 후에, 제3 본체(250)에 작동하지 않는 클러치 구성요소들과 함께, 제3 본체(250)는 탄성 구성요소(240, 245)가 제2 구동 수단(251)에 작동할 때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
KR1020177008432A 2016-03-21 2016-03-21 잠금장치에서 전자식 실린더를 위한 저-소비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 및 그 작동 방법 KR1024423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S2016/070192 WO2017162891A1 (es) 2016-03-21 2016-03-21 Mecanismo activador de embrague de cilindro electrónico para cerradura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929A KR20180122929A (ko) 2018-11-14
KR102442348B1 true KR102442348B1 (ko) 2022-09-08

Family

ID=56084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8432A KR102442348B1 (ko) 2016-03-21 2016-03-21 잠금장치에서 전자식 실린더를 위한 저-소비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 및 그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10145147B2 (ko)
EP (1) EP3241961B1 (ko)
JP (1) JP6821563B2 (ko)
KR (1) KR102442348B1 (ko)
CN (1) CN109072632B (ko)
AU (1) AU2016310332C1 (ko)
BR (1) BR112017006205B1 (ko)
CA (1) CA2958710C (ko)
DK (1) DK3241961T3 (ko)
ES (1) ES2693974T3 (ko)
MX (1) MX2017003654A (ko)
PL (1) PL3241961T3 (ko)
RU (1) RU2648630C1 (ko)
TR (1) TR201816073T4 (ko)
TW (1) TWI728072B (ko)
WO (1) WO20171628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39617B1 (en) 2019-04-03 2023-05-02 The Chamberlain Group Llc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CN110685505B (zh) * 2019-11-14 2024-01-02 广东好太太智能家居有限公司 一种自动智能锁具
TWI724766B (zh) * 2020-01-22 2021-04-11 顥記實業股份有限公司 電子圓筒鎖
WO2021201767A1 (en) * 2020-04-01 2021-10-07 Xcm Security Pte. Ltd. Electromechanical lock assembly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CN114033251B (zh) * 2021-11-15 2022-12-27 珠海优特物联科技有限公司 离合器和锁体
ES2948342B2 (es) * 2022-02-15 2024-02-07 Salto Systems Sl Cilindro electronico
US11655653B1 (en) 2022-04-15 2023-05-23 Digilock Asia Ltd. Electronically operated lock cylind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8106A1 (en) 2013-02-19 2014-08-28 Iseo Serrature S.P.A. Cylinder for a lock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91265B1 (fr) * 1985-12-11 1988-03-25 Llort Oscar Serrure a armement par commande electrique a l'aide d'un electro-aimant
GB2259737B (en) 1991-09-19 1996-02-07 Klidi Technology Corp Remotely-operated self-contained electronic lock security system assembly
ES2106668B1 (es) * 1994-11-18 1998-06-01 Azbe B Zubia S A Perfeccionamientos introducidos en cilindros de cierre electronicomecanico.
FR2779168B1 (fr) * 1998-05-27 2001-01-26 Euronetics France Serrure electronique a embrayage mecanique
DE19824713A1 (de) * 1998-06-03 1999-12-16 Dom Sicherheitstechnik Schließzylinder
DK1214491T3 (da) * 1999-09-21 2005-01-31 Berchtold Ag Sea Schliess Syst Låseindretning til en cylinderlås
DE10065155B4 (de) 2000-12-23 2005-11-10 C. Ed. Schulte Gmbh Zylinderschlossfabrik Kupplungsanordnung in einem Schließzylinder
DE10328297A1 (de) * 2003-06-23 2005-01-20 Buga Technologies Gmbh Elektromechanischer Schließzylinder
GB2412413A (en) * 2004-03-26 2005-09-28 Pbt Piezo ceramic actuated clutch in a cylinder lock
DE102004034229A1 (de) * 2004-07-15 2006-02-16 Schukra Gerätebau AG Betätigungseinrichtung
JP4847266B2 (ja) * 2006-09-28 2011-12-28 美和ロック株式会社 電気錠用のクラッチ機構
US20080180211A1 (en) * 2007-01-31 2008-07-31 Chin-Min Lien Electricity-saving type infrared electronic lock core
DE102007000439A1 (de) 2007-08-13 2009-02-19 Aug. Winkhaus Gmbh & Co. Kg Elektronisch betätigter Schließzylinder
SE0702814L (sv) * 2007-12-18 2008-10-21 Assa Oem Ab Handtagsanordning
ES2331864B1 (es) * 2008-07-15 2010-10-28 Salto Systems, S.L. Cilindro electromecanico para cerradura.
DE202009006211U1 (de) * 2009-04-29 2009-09-03 Beloxx Newtec Gmbh Einrichtung zum Betätigen des Schließmechanismus eines Schlosses
CN102741490A (zh) * 2010-01-25 2012-10-17 诺克N’洛克有限公司 圆筒门锁
CA2783072C (en) * 2011-07-15 2020-02-18 Medeco Security Locks, Inc. Electronically-controlled removable core lock
TWI458882B (zh) * 2012-05-15 2014-11-01 Wfe Technology Corp 電子鎖之作動馬達組
CN103243970B (zh) * 2013-02-06 2015-08-26 杭州双华智能家居有限公司 智能电子锁专用电动离合器及锁定开启方法
IL226186B (en) * 2013-05-06 2019-02-28 Mul T Lock Technologies Ltd Electromechanical cylinder lock with key enforcement
DK2860331T3 (en) 2013-10-08 2016-11-28 Assa Oem Ab Handle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8106A1 (en) 2013-02-19 2014-08-28 Iseo Serrature S.P.A. Cylinder for a 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6310332B2 (en) 2022-03-17
WO2017162891A1 (es) 2017-09-28
ES2693974T3 (es) 2018-12-17
AU2016310332A1 (en) 2017-10-05
CN109072632B (zh) 2020-08-07
RU2648630C1 (ru) 2018-03-26
JP2019511647A (ja) 2019-04-25
TWI728072B (zh) 2021-05-21
CA2958710C (en) 2023-09-19
CA2958710A1 (en) 2017-09-21
EP3241961A1 (en) 2017-11-08
US20180187453A1 (en) 2018-07-05
EP3241961B1 (en) 2018-08-08
US10145147B2 (en) 2018-12-04
JP6821563B2 (ja) 2021-01-27
KR20180122929A (ko) 2018-11-14
BR112017006205B1 (pt) 2022-12-20
MX2017003654A (es) 2017-12-07
BR112017006205A2 (pt) 2018-04-10
CN109072632A (zh) 2018-12-21
TR201816073T4 (tr) 2018-11-21
DK3241961T3 (en) 2018-11-19
TW201740001A (zh) 2017-11-16
PL3241961T3 (pl) 2019-01-31
AU2016310332C1 (en) 2022-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2348B1 (ko) 잠금장치에서 전자식 실린더를 위한 저-소비 클러치 작동 메커니즘 및 그 작동 방법
US20110277520A1 (en) Electronic device for a mechanical blocking.
EP3498953B1 (en) Vehicle door handle assembly
CN110359775B (zh) 锁芯和解锁钥匙
CN104481271A (zh) 一种复用机械锁芯孔的电子锁离合装置
CN107859740B (zh) P挡驻车机构和车辆
KR20190041486A (ko) 전자기 작동기
CN107701681B (zh) 包括依赖于负载的制动器的旋转式驱动装置
GB2494620A (en) Thumb turn mechanism for a cylinder lock
US20020166744A1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CN109253250B (zh) 用于车辆变速器的驻车锁定装置
CN107725765B (zh) P挡驻车机构和车辆
EP1128006B1 (en) Actuator assemblies
CN107859739B (zh) P挡驻车机构和车辆
CN210770190U (zh) 驻车锁止结构及车辆
CN201112239Y (zh) 安全开关
CN210105488U (zh) 锁具及车桩锁
CN216690642U (zh) 一种智能门锁
CN217233085U (zh) 井盖锁
CN115610397B (zh) 一种电子机械制动装置
CN212177840U (zh) 凸轮回转式驻车机构、变速器及车辆
CN108533747B (zh) 电子换挡装置及汽车
CN112460256A (zh) 锁定装置
SU821260A1 (ru) Пружинный энергоаккумул тор дл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14658292A (zh) 一种拉链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