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1696B1 -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1696B1
KR102441696B1 KR1020220065121A KR20220065121A KR102441696B1 KR 102441696 B1 KR102441696 B1 KR 102441696B1 KR 1020220065121 A KR1020220065121 A KR 1020220065121A KR 20220065121 A KR20220065121 A KR 20220065121A KR 102441696 B1 KR102441696 B1 KR 102441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pouch
fragrance
hole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5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성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정티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정티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정티앤티
Priority to KR1020220065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1696B1/ko
Priority to KR1020220110592A priority patent/KR20230165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2Cushio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1Semi-permeable membra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착용자의 두부에 착용되면 상기 두부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스티로폼 층을 포함하는 두부 보호 착용구의 내측과 상기 두부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의 내측을 향하는 일 면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홀 및 상기 두부를 향하는 타 면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홀이 형성된 파우치, 상기 파우치의 일 면에 형성된 상기 제1 홀을 덮는 덮개, 상기 파우치의 타 면에 형성된 상기 제2 홀을 덮되, 상기 파우치의 타 면으로부터 박리되어 상기 덮은 제2 홀을 노출시키는 박리층, 및 상기 파우치의 내부에 배치되되, 휘발성 향을 가지는 액상 방향제가 함침된 멤브레인 타입의 방향 바디로 이루어진 방향체를 포함하되, 상기 박리층이 박리되면, 상기 파우치 내부에 배치된 방향체의 휘발성 향은, 상기 박리층이 박리되어 노출된 상기 제2 홀을 통기공으로 상기 두부 측으로 유동되되, 상기 제1 홀을 덮은 덮개에 의하여 상기 스티로폼 층으로의 유동은 차단되고, 상기 박리층은, 상기 박리 정도에 따라 상기 덮은 제2 홀을 노출시키는 노출량을 조절하되, 상기 노출량에 따라 상기 두부 측으로 유동되는 상기 휘발성 향의 양이 조절되는,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 및 그의 제조방법{Fragrance for head protection headwea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휘발성 향의 유동 방향 및 유동 양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련된 것이다.
종래의 두부 보호 착용구는, 내피, 스티로폼 층, 및 외부 쉘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상술된 바와 같은 적층 구조에서 최외각 층에 형성된 외부 쉘은, 통기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보모를 착용한 착용자의 두부에서 땀이 생성되는 경우, 생성된 땀이 두부 보호 착용구에 잔존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두부 보호 착용구에 상술된 바와 같이 땀이 잔존되는 경우, 땀에 의하여 박테리아, 세균, 등이 증식될 수 있다. 또한, 두부 보호 착용구에 상술된 바와 같이 박테리아, 세균 등이 증식되는 경우, 증식된 박테리아, 세균 등이 두부 보호 착용구에 잔존된 땀을 분해하면서 땀 냄새가 발생될 수 있다. 여기에서 땀 냄새라 함은, 상술된 바와 같이, 박테리아, 세균 등에 의하여 땀이 분해되면서 발생하는 악취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통상적인 방향제 또는 탈취제에는, 향기의 확산 속도를 높이기 위하여 알코올류와 같은 유기용매가 포함될 수 있다.
하지만, 두부 보호 착용구의 스티로폼 층은, 폴리스티렌 소재에 공기를 주입하여 발포시킨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알코올류와 같은 유기용매에 용해될 수 있다. 여기에서 용해는, 스티로폼 층이 유기용매와 반응하는 경우, 폴리스티렌 소재는 남되, 스티로폼 층에서 공기가 빠져나가면서 구조가 무너지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착용자가 착용한 두부 보호 착용구에서 땀 냄새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상술된 바와 같은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방향제 또는 탈취제를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에는, 통상적인 방향제 또는 탈취제에 포함된 유기용매에 의하여, 두부 보호 착용구의 스티로폼 층이 용해될 수 있기 때문에, 두부 보호 착용구에 방향제 또는 탈취제의 사용이 제한적일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두부 보호 착용구를 착용한 착용자의 두부(에서 땀이 생성되는 경우, 땀 냄새를 최소화하고, 착용자에게 향을 제공하면서도, 두부 보호 착용구의 스티로폼 층의 용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두부 보호 착용구의 스티로폼 층의 용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두부 측으로 유동되는 휘발성 향의 양을 조절 수 있는,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두부 보호 착용구를 착용한 착용자의 두부에서 땀이 생성되는 경우에도, 땀 냄새를 최소화할 수 있는,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를 제공한다.
상기 제1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는, 착용자의 두부에 착용되면 상기 두부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스티로폼 층을 포함하는 두부 보호 착용구의 내측과 상기 두부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의 내측을 향하는 일 면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홀 및 상기 두부를 향하는 타 면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홀이 형성된 파우치, 상기 파우치의 일 면에 형성된 상기 제1 홀을 덮는 덮개, 상기 파우치의 타 면에 형성된 상기 제2 홀을 덮되, 상기 파우치의 타 면으로부터 박리되어 상기 덮은 제2 홀을 노출시키는 박리층, 및 상기 파우치의 내부에 배치되되, 휘발성 향을 가지는 액상 방향제가 함침된 멤브레인 타입의 방향 바디로 이루어진 방향체를 포함하되, 상기 박리층이 박리되면, 상기 파우치 내부에 배치된 방향체의 휘발성 향은, 상기 박리층이 박리되어 노출된 상기 제2 홀을 통기공으로 상기 두부 측으로 유동되되, 상기 제1 홀을 덮은 덮개에 의하여 상기 스티로폼 층으로의 유동은 차단되고, 상기 박리층은, 상기 박리 정도에 따라 상기 덮은 제2 홀을 노출시키는 노출량을 조절하되, 상기 노출량에 따라 상기 두부 측으로 유동되는 상기 휘발성 향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를 제공한다.
상기 제2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는, 착용자의 두부에 착용되면 상기 두부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스티로폼 층을 포함하는 두부 보호 착용구의 내측과 상기 두부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의 내측을 향하는 일 면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홀 및 상기 두부를 향하는 타 면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홀이 형성된 파우치, 상기 파우치의 일 면에 형성된 상기 제1 홀을 덮는 덮개, 상기 파우치의 타 면에 형성된 상기 제2 홀을 덮되, 수분에 분해되어 상기 덮은 제2 홀을 노출시키는 가수 해리층, 및 상기 파우치의 내부에 배치되되, 휘발성 향을 가지는 액상 방향제가 함침된 멤브레인 타입의 방향 바디로 이루어진 방향체를 포함하되, 상기 가수 해리층이 상기 착용자의 두부에서 생성되는 땀에 분해되면, 상기 파우치 내부에 배치된 방향체의 휘발성 향은, 상기 가수 해리층이 분해되어 노출된 상기 제2 홀을 통기공으로 상기 두부 측으로 유동되되, 상기 제1 홀을 덮은 덮개에 의하여 상기 스티로폼 층으로의 유동은 차단되고, 상기 가수 해리층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홀 각각에 서로 상이한 두께로 마련되고, 상기 땀의 생성 양에 따라 상기 덮은 제2 홀을 노출시키는 노출량을 조절하되, 상기 노출량에 따라 상기 두부 측으로 유동되는 상기 휘발성 향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를 제공한다.
상기 제3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는, 착용자의 두부에 착용되면 상기 두부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스티로폼 층을 포함하는 두부 보호 착용구의 내측과 상기 두부 사이에 배치되되, 일 단에 두께 방향으로 절개 가능한 슬릿이 형성된 파우치, 및 상기 파우치의 내부에 배치되되, 휘발성 향을 가지는 액상 방향제가 함침된 멤브레인 타입의 방향 바디로 이루어진 방향체를 포함하되, 상기 파우치의 일 단이 상기 슬릿을 통하여 절개되어,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의 내측을 향하는 일 면 보다 상기 두부를 향하는 타 면의 면적이 작도록 상기 파우치의 두께 방향으로 개구가 형성되면, 상기 파우치 내부에 배치된 방향체의 휘발성 향은,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두부 측으로 유동되되, 상기 파우치의 타 면 보다 면적이 넓은 일 면에 의하여 상기 스티로폼 층으로의 유동은 차단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1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 제조방법은, 착용자의 두부에 착용되면 상기 두부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스티로폼 층을 포함하는 두부 보호 착용구의 내측과 상기 두부 사이에 배치되는,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의 내측을 향하는 파우치의 일 면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홀 및 상기 두부를 향하는 상기 파우치의 타 면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홀을 상기 파우치에 동시에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파우치의 일 면에 형성된 상기 제1 홀을 덮개로 덮는 단계, 상기 파우치의 타 면에 형성된 상기 제2 홀을 덮되, 상기 파우치의 타 면으로부터 박리되어 상기 덮은 제2 홀을 노출시키는 박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파우치의 내부에 휘발성 향을 가지는 액상 방향제가 함침된 멤브레인 타입의 방향 바디로 이루어진 방향체를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박리층이 박리되면, 상기 파우치 내부에 배치된 방향체의 휘발성 향은, 상기 박리층이 박리되어 노출된 상기 제2 홀을 통기공으로 상기 두부 측으로 유동되되, 상기 제1 홀을 덮은 덮개에 의하여 상기 스티로폼 층으로의 유동은 차단되고, 상기 박리층은, 상기 박리 정도에 따라 상기 덮은 제2 홀을 노출시키는 노출량을 조절하되, 상기 노출량에 따라 상기 두부 측으로 유동되는 상기 휘발성 향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2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 제조방법은, 착용자의 두부에 착용되면 상기 두부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스티로폼 층을 포함하는 두부 보호 착용구의 내측과 상기 두부 사이에 배치되는,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의 내측을 향하는 파우치의 일 면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홀 및 상기 두부를 향하는 상기 파우치의 타 면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홀을 상기 파우치에 동시에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파우치의 일 면에 형성된 상기 제1 홀을 덮개로 덮는 단계, 상기 파우치의 타 면에 형성된 상기 제2 홀을 덮되, 수분에 분해되어 상기 덮은 제2 홀을 노출시키는 가수 해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파우치의 내부에 휘발성 향을 가지는 액상 방향제가 함침된 멤브레인 타입의 방향 바디로 이루어진 방향체를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가수 해리층이 상기 착용자의 두부에서 생성되는 땀에 분해되면, 상기 파우치 내부에 배치된 방향체의 휘발성 향은, 상기 가수 해리층이 분해되어 노출된 상기 제2 홀을 통기공으로 상기 두부 측으로 유동되되, 상기 제1 홀을 덮은 덮개에 의하여 상기 스티로폼 층으로의 유동은 차단되고, 상기 가수 해리층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홀 각각에 서로 상이한 두께로 마련되고, 상기 땀의 생성 양에 따라 상기 덮은 제2 홀을 노출시키는 노출량을 조절하되, 상기 노출량에 따라 상기 두부 측으로 유동되는 상기 휘발성 향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3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 제조방법은, 착용자의 두부에 착용되면 상기 두부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스티로폼 층을 포함하는 두부 보호 착용구의 내측과 상기 두부 사이에 배치되는,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 제조방법에 있어서, 파우치의 일 단에 두께 방향으로 절개 가능한 슬릿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파우치의 내부에 휘발성 향을 가지는 액상 방향제가 함침된 멤브레인 타입의 방향 바디로 이루어진 방향체를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파우치의 일 단이 상기 슬릿을 통하여 절개되어,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의 내측을 향하는 일 면 보다 상기 두부를 향하는 타 면의 면적이 작도록 상기 파우치의 두께 방향으로 개구가 형성되면, 상기 파우치 내부에 배치된 방향체의 휘발성 향은,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두부 측으로 유동되되, 상기 파우치의 타 면 보다 면적이 넓은 일 면에 의하여 상기 스티로폼 층으로의 유동은 차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착용자의 두부에 착용되면 상기 두부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스티로폼 층을 포함하는 두부 보호 착용구의 내측과 상기 두부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의 내측을 향하는 일 면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홀 및 상기 두부를 향하는 타 면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홀이 형성된 파우치, 상기 파우치의 일 면에 형성된 상기 제1 홀을 덮는 덮개, 상기 파우치의 타 면에 형성된 상기 제2 홀을 덮되, 상기 파우치의 타 면으로부터 박리되어 상기 덮은 제2 홀을 노출시키는 박리층, 및 상기 파우치의 내부에 배치되되, 휘발성 향을 가지는 액상 방향제가 함침된 멤브레인 타입의 방향 바디로 이루어진 방향체를 포함하되, 상기 박리층이 박리되면, 상기 파우치 내부에 배치된 방향체의 휘발성 향은, 상기 박리층이 박리되어 노출된 상기 제2 홀을 통기공으로 상기 두부 측으로 유동되되, 상기 제1 홀을 덮은 덮개에 의하여 상기 스티로폼 층으로의 유동은 차단되고, 상기 박리층은, 상기 박리 정도에 따라 상기 덮은 제2 홀을 노출시키는 노출량을 조절하되, 상기 노출량에 따라 상기 두부 측으로 유동되는 상기 휘발성 향의 양이 조절되는,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두부 보호 착용구를 착용한 착용자의 두부에서 땀이 생성되는 경우에도, 땀 냄새를 최소화하고, 상기 착용자에게 향을 제공하면서도,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의 스티로폼 층의 용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실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게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형상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가 설명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두부 보호 착용구(hm)는 통상적으로 외부 쉘(sh) 및 내피(i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두부 보호 착용구(hm)라 함은, 자전거, 오토바이 등과 같은 이륜차용 헬멧, 군용 안전모, 및 건설용 안전모 등과 같이 착용자(ps)의 두부(hd)에 착용되는 경우, 상기 두부(hd)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모자를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쉘(sh)은,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hm)가 착용자(ps)의 두부(hd)에 착용되면 상기 두부(hd)를 보호하도록,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hm)의 최외각 층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쉘(sh)은, 가벼우며 외부 충격에 강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소재 예를 들어, 특수 플라스틱 소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내피(is)는,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hm)가 착용자(ps)의 두부(hd)에 착용되면 상기 두부(hd)에 직접 접촉하도록,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hm)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내피(is)는, 두피와 접촉하는 경우 통기성을 제공하는 소재 예를 들어 메쉬형의 직물 소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hm)의 A-A' 절단면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hm)는, 상기 외부 쉘(sh) 및 상기 내피(is) 사이에, 스티로폼 층(s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티로폼 층(st)은,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hm)가 착용자(ps)의 두부(hd)에 착용되고, 상기 두부(hd)에 착용된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hm)에 외부로부터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외부 충격을 흡수하도록, 상기 외부 쉘(sh) 및 상기 내피(is)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스티로폼 층(st)은, 상술된 바와 같은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polystyrene) 소재에 공기를 주입하여 발포시킨 EPS 폼(expanded polystyrene foam) 소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종래의 두부 보호 착용구(hm)는, 도 2를 참조하면,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내피(is), 상기 스티로폼 층(st), 및 상기 외부 쉘(sh)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상술된 바와 같은 적층 구조에서 최외각 층에 형성된 상기 외부 쉘(sh)은, 통기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hm)를 착용한 착용자(ps)의 두부(hd)에서 땀(sw, 도 4 참조)이 생성되는 경우, 상기 생성된 땀(sw, 도 4 참조)이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hm)에 잔존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hm)에 상술된 바와 같이 땀(sw, 도 4 참조)이 잔존되는 경우, 상기 땀(sw, 도 4 참조)에 의하여 박테리아, 세균, 등이 증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hm)에 상술된 바와 같이 박테리아, 세균 등이 증식되는 경우, 상기 증식된 박테리아, 세균 등이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hm)에 잔존된 땀(sw, 도 4 참조)을 분해하면서 땀 냄새가 발생될 수 있다. 여기에서 땀 냄새라 함은, 상술된 바와 같이, 박테리아, 세균 등에 의하여 땀(sw, 도 4 참조)이 분해되면서 발생하는 악취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통상적인 방향제 또는 탈취제에는, 향기의 확산 속도를 높이기 위하여 알코올류와 같은 유기용매가 포함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hm)의 스티로폼 층(st)은, 상술된 바와 같이 폴리스티렌 소재에 공기를 주입하여 발포시킨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알코올류와 같은 유기용매에 용해될 수 있다. 여기에서 용해는, 상기 스티로폼 층(st)이 유기용매와 반응하는 경우, 폴리스티렌 소재는 남되, 스티로폼 층에서 공기가 빠져나가면서 구조가 무너지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착용자(ps)가 착용한 두부 보호 착용구(hm)에서 땀 냄새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상술된 바와 같은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방향제 또는 탈취제를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에는, 통상적인 방향제 또는 탈취제에 포함된 유기용매에 의하여,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hm)의 스티로폼 층(st)이 용해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hm)에 방향제 또는 탈취제의 사용이 제한적일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된 바와 같이, 두부 보호 착용구(hm)를 착용한 착용자(ps)의 두부(hd)에서 땀(sw, 도 4 참조)이 생성되는 경우에도, 땀 냄새를 최소화하고, 상기 착용자(ps)에게 향(fg, 도 3 내지 도 5 참조)을 제공하면서도,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hm)의 스티로폼 층(st)의 용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100, 도 1 및 도 2 참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100)는, 두부 보호 착용구(hm)의 내측과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hm)를 착용한 착용자(ps)의 두부(hd) 사이 즉, 즉, 상기 내피(is)의 하측 및 상기 두부(hd)의 상측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100)가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내피(is)의 하측 및 상기 두부(hd)의 상측 사이에 배치되기 위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100)가 상기 두부(hd)의 상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hm)가 상기 착용자에게 착용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100)가 상기 내피(is)의 하측에 부착되고,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hm)가 상기 착용자에게 착용되는 방식에 의하여,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100)가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내피(is)의 하측 및 상기 두부(hd)의 상측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100)가 상기 내피(is)의 하측 및 상기 두부(hd)의 상측 사이에 배치되는 형태는 다양한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100)는, 몇 가지 실시 예들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설명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100a)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100a)는, 파우치(10), 덮개(20), 박리층(30, 도 9 참조), 및 방향체(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100a)의 각 구성이 설명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100a)에서, 상기 파우치(10) 내부에는, 후술되는 방향체(50)가 배치되되, 상기 파우치(10)는, 내부에 상기 방향체(50)가 배치되면, 상기 방향체(50)의 휘발성 향(fg)을 상기 착용자(ps)의 두부(hd) 측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상기 파우치(10)의 내부라 함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파우치(10)의 일 면(11) 및 타 면(13) 사이의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파우치(10)의 일 면(1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hm)의 내측 즉, 상기 내피(is) 측을 향하고, 상기 파우치(10)의 타 면(1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용자(ps)의 두부(hd) 측을 향하는 것을 상정하기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파우치(10)는, 상술된 바와 같이, 내부에 상기 방향체(50)가 배치되면 밀봉될 수 있는 한편, 상기 파우치(10)에는, 상기 내부에 배치된 방향체(50)의 휘발성 향(fg)을 상기 착용자(ps)의 두부(hd) 측으로 유동시키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우치(10)의 일 면(11)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홀(hl1) 및 상기 파우치(10)의 타 면(13)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홀(hl2)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100a)에 따르면, 상기 파우치(10)에, 상기 제1 홀 및 제2 홀(hl1, hl2)은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도 7 참조).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공정 단계가 간소화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이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100a) 제조방법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파우치(10)에, 상기 제1 홀 및 제2 홀(hl1, hl2)이 동시에 생성되면, 상술된 바와는 달리, 상기 파우치(10) 내부의 방향체(50)의 휘발성 향(fg)은, 상기 제2 홀(hl2)을 통하여 상기 두부(hd) 측으로 유동될 수 있는 한편, 상기 제1 홀(hl1)을 통하여 상기 스티로폼 층(st)으로도 유동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파우치(10) 내부의 방향체(50)의 휘발성 향(fg)이 상기 제1 홀(hl1)을 통하여 상기 스티로폼 층(st)으로도 유동되는 경우,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스티로폼 층(st)이 용해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파우치(10) 내부의 방향체(50)의 휘발성 향(fg)이, 상기 두부(hd) 측으로 유동되되, 상기 스티로폼 층(st)으로의 유동은 차단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100a)는, 덮개(2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덮개(20)는, 상기 파우치(10)의 일 면(11)에 형성된 상기 제1 홀(hl1)을 덮도록 상기 파우치(10)의 일 면(1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덮개(20)는, 상기 제1 홀(hl1)을 덮는 일 면이 접착성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접착성을 가지는 덮개(20)의 일 면이 상기 파우치(10)의 일 면(11) 상에 상기 제1 홀(hl1)을 덮도록 접착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례일 뿐, 상기 덮개(20)는, 상기 제1 홀(hl1)을 덮도록 상기 파우치(10) 일 면(11) 상에 형성될 수 있는 형태이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여기에서, 상기 덮개(20)가 상기 제1 홀(hl1)을 덮는 것은, 상기 덮개(20)가 상기 제1 홀(hl1)을 덮으면 상기 덮개(20)에 의하여 상기 제1 홀(hl1)이 밀폐됨에 따라, 상기 파우치(10) 내부의 방향체(50)의 휘발성 향(fg)이 상기 제1 홀(hl1)을 통하여 비-유동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파우치(10) 내부의 방향체(50)의 휘발성 향(fg)은, 상기 제1 홀(hl1)을 덮은 덮개(20)에 의하여 상기 스티로폼 층(st)으로의 유동은 차단되되, 상기 제2 홀(hl2)을 통기공으로 상기 두부(hd) 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100a)에 따르면,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hm)를 착용한 착용자(ps)에게 상기 방향체(50)의 휘발성 향(fg, 도 3 내지 도 5 참조)을 제공하면서도,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hm)의 스티로폼 층(st)의 용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덮개(20)의 타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기재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정보라 함은,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100a)의 사용방법 및 품질표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100a)에 따르면, 상기 두부(hd) 측으로 유동되는 상기 파우치(10) 내부의 방향체(50)의 휘발성 향(fg)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100a)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리층(3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박리층(30)은, 상기 파우치(10)의 타 면(13)에 형성된 상기 제2 홀(hl2)을 덮되, 상기 파우치(10)의 타 면(13)으로부터 박리(ex, 도 10 참조)되어 상기 덮은 제2 홀(hl2)을 노출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박리층(30)은, 상기 파우치(10)의 타 면(13)에 형성된 상기 제2 홀(hl2)을 덮도록 상기 파우치(10)의 타 면(13)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박리층(30)은, 상기 제2 홀(hl2)을 덮는 일 면이 접착성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접착성을 가지는 박리층(30)의 일 면이 상기 파우치(10)의 타 면(13) 상에 상기 제2 홀(hl2)을 덮도록 접착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례일 뿐, 상기 박리층(30)은, 상기 제2 홀(hl2)을 덮도록 상기 파우치(10) 타 면(13) 상에 형성될 수 있는 형태이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여기에서, 상기 박리층(30)이 상기 제2 홀(hl2)을 덮는 것은, 상기 박리층(30)이 상기 제2 홀(hl2)을 덮으면 상기 박리층(30)에 의하여 상기 제2 홀(hl2)이 밀폐됨에 따라, 상기 파우치(10) 내부의 방향체(50)의 휘발성 향(fg)이 상기 제2 홀(hl2)을 통하여 비-유동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홀(hl2)을 덮은 박리층(30)이 상기 파우치(10)의 타 면(13)으로부터 박리(ex, 도 10 참조)되면 상기 덮은 제2 홀(hl2)이 노출되기 때문에, 상기 파우치(10) 내부의 방향체(50)의 휘발성 향(fg)은, 상기 노출된 제2 홀(hl2)을 통기공으로 상기 두부(hd) 측으로 유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박리층(30)에는, 상기 박리층(30)의 박리(ex, 도 10 참조)를 돕기 위한 손잡이(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31)는, 상기 박리층(30)의 박리(ex, 도 10 참조)를 돕도록, 예를 들어, 상기 박리층(30)으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다른 예를 들어, 상기 박리층(3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손잡이(31)가 상기 착용자(ps, 도 1 및 도 2 참조)에 의해 잡혀 외측 방향으로 당겨지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박리층(30)이 박리(ex)되고, 상기 제2 홀(hl2)이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박리층(30)은, 상기 박리(ex) 정도에 따라 상기 덮은 제2 홀(hl2)을 노출시키는 노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100a)에 의하면, 상기 노출량에 따라 상기 두부(hd, 도 3 참조) 측으로 유동되는 상기 휘발성 향(fg)의 양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박리층(3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홀(hl2) 각각에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착용자(ps, 도 1 및 도 2 참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홀(hl2) 각각에 마련된 상기 박리층(30)을, 각각 박리(ex, 도 10 참조)함으로써, 상기 덮은 제2 홀(hl2)을 노출시키는 노출량을 조절하고, 상기 노출량에 따라 상기 두부(hd, 도 3 참조) 측으로 유동되는 상기 휘발성 향(fg)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박리층(3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홀(hl2)이 복수의 행과 열로 배열된 경우, 각 행별 또는 각 열별로 제2 홀(hl2)을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착용자(ps, 도 1 및 도 2 참조)는, 상기 각 행별 또는 각 열별로 제2 홀(hl2)을 덮도록 마련된 상기 박리층(30)의 손잡이(31)를 잡고 외측 방향으로 당겨,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박리층(30)이 덮은 각 행 또는 각 열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홀(hl2) 중 노출되는 홀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박리층(3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은 하나의 제2 홀(hl2) 행만을 노출시키도록 상기 파우치(10)의 타 면(13)으로부터 박리(ex)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박리층(3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홀(hl2)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즉, n 개의 제2 홀(hl2)을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착용자(ps, 도 1 및 도 2 참조)는, 상기 n 개의 제2 홀(hl2)을 덮도록 마련된 상기 박리층(30)의 손잡이(31)를 잡고 외측 방향으로 당겨,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박리층(30)의 박리(ex) 정도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박리층(30)이 덮은 상기 n 개의 제2 홀(hl2) 중 노출되는 홀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박리층(3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은 하나의 제2 홀(hl2) 만을 노출시키도록 상기 파우치(10)의 타 면(13)으로부터 박리(ex)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예를 들어, 상기 박리층(30)은, 상기 덮은 두 개 또는 세 개 또는 n 개의 제2 홀(hl2)을 노출시키도록 상기 파우치(10)의 타 면(13)으로부터 박리(ex)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박리층(30)의 박리(ex) 정도에 따라, 상기 제2 홀(hl2)을 노출시키는 노출량이 조절되고, 상기 노출량에 따라 상기 두부(hd, 도 3 참조) 측으로 유동되는 상기 휘발성 향(fg)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파우치(10) 내부의 방향체(50)는, 상기 착용자(ps)에게 향(fg)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방향체(50)는, 멤브레인 타입의 방향 바디(51) 및 상기 멤브레인 타입의 방향 바디(51)에 함침된 휘발성 향(fg)을 가지는 액상 방향제(5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100a)에서, 상기 방향체(50)가, 상기 멤브레인 타입의 방향 바디(51)로 이루어진 것은, 여기에서 상기 멤브레인 타입은 두께가 얇은 막의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방향체(50)가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hm)의 내측과 상기 두부(hd)의 상측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hm)의 내측과 상기 두부(hd)의 상측 사이의 이격이 최소화되도록 고려된 것이다.
또한, 상기 방향체(50)가,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멤브레인 타입의 방향 바디(51)로 이루어지면, 상술된 바와 같은 상기 멤브레인 타입의 얇은 막의 형태에 의하여, 고체 타입과는 달리 상기 두부(hd)의 상측에서 이물감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100a)에서, 상기 방향체(50)가, 상기 휘발성 향(fg)을 가지는 액상 방향제(53)로 이루어진 것은, 상기 액상 "?향?*(53)의 향(fg)이 휘발되어,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hm)에서 상술된 바와 같이 땀(sw, 도 4 참조)에 의하여 발생되는 땀 냄새가 최소화되도록 고려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100a)에 의하면,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hm)를 착용한 착용자(ps)의 두부(hd)에서 땀(sw, 도 4 참조)이 생성되는 경우에도, 땀 냄새가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방향체(5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휘발성 향(fg)을 가져 향기를 제공하는 개념에서 나아가, 상술된 바와 같이 땀(sw, 도 4 참조)으로부터 발생되는 땀 냄새의 근본적인 원인인, 박테리아 세균 등을 비 활성화시키기 위한 소독제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방향체(50)는, 상기 멤브레인 타입의 방향 바디(51)에 함침된 휘발성 소독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휘발성 향(fg)을 통하여 향기를 제공할 뿐 아니라, 나아가, 상기 휘발성 소독제를 통하여 근본적인 원인인 박테리아, 세균 등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hm)에서 상술된 바와 같이 땀(sw, 도 4 참조)에 의하여 발생되는 땀 냄새가 최소화될 수 있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100b)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100b)는, 앞서 설명된 제1 실시 예(100a)와 동일한 구성 즉, 상기 파우치(10), 상기 덮개(20), 및 상기 방향체(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앞서 설명된 제1 실시 예(100a)에서 상기 박리층(30, 도 9 참조)을 대신하여 가수 해리층(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100b)의 각 구성이 설명된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100b)에서, 앞서 설명된 제1 실시 예(100a)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이 생략된다고 하여서, 이를 배제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며,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앞선 실시 예의 설명을 참고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100b)에서, 상기 두부(hd) 측으로 유동되는 상기 방향체(50)의 휘발성 향(fg)의 양의 조절은 상기 가수 해리층(60)에 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100b)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수 해리층(6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가수 해리층(60)은, 상기 파우치(10)의 타 면(13)에 형성된 상기 제2 홀(hl2)을 덮되, 수분에 분해(60s)되어 상기 덮은 제2 홀(hl2)을 노출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수 해리층(60)은 수분과 반응하여 분해되는 소재 예를 들어, 가수 해리 콜라겐 겔 패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수분은 도 4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hm)를 착용한 착용자(ps)의 두부(hd)에서 생성되는 땀(sw)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100b)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hm)의 하측 및 상기 착용자(ps)의 두부(hd)의 상측 사이에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100b)가 배치되고,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hm)를 착용한 착용자(ps)의 두부(hd)에서 땀(sw)이 생성되는 경우, 상기 땀(sw)에 의하여 상기 가수 해리층(60)이 분해(60s)됨에 따라, 상기 가수 해리층(60)이 덮고 있던 상기 제2 홀(hl2)이 노출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수 해리층(60)은, 상기 분해(60s) 정도에 따라 상기 덮은 제2 홀(hl2)을 노출시키는 노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100b)에 의하면, 상기 노출량에 따라 상기 두부(hd, 도 4 참조) 측으로 유동되는 상기 휘발성 향(fg)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가수 해리층(6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홀(hl2) 각각에 서로 상이한 두께(t1~t4)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로 상이한 두께(t1~t4)로 마련된 가수 해리층(60)은, 상기 땀(sw)의 생성 양에 따라 상기 분해(60s) 정도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가수 해리층(60)이 제1 두께(t1), 상기 제1 두께(t1) 보다 두꺼운 제2 두께(t1), 상기 제2 두께(t2) 보다 두꺼운 제3 두께(t3), 및 상기 제3 두께(t3) 보다 두꺼운 제4 두께(t4)로 각각 상기 제2 홀(hl2)을 덮는 것을 상정해 보기로 한다.
이때,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hm)를 착용한 착용자(ps)의 두부(hd)에서 땀(sw)의 생성 양이 적은 경우, 가장 두께가 얇은 상기 제1 두께(t1)를 가지는 상기 가수 해리층(60)이 먼저 분해(60s)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hm)를 착용한 착용자(ps)의 두부(hd)에서 땀(sw)의 생성 양이 점차 증가하는 경우, 상기 제2 두께(t2), 상기 제3 두께(t3), 및 상기 제4 두께(t4)를 가지는 상기 가수 해리층(60) 순으로 분해(60s)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서로 상이한 두께(t1~t4)로 마련된 가수 해리층(60)은, 상기 땀(sw)의 생성 양에 따라 상이한 순으로 분해(60s)되기 때문에, 상기 덮은 제2 홀(hl2)을 노출시키는 노출량을 조절할 수 있고, 상기 노출량에 따라 상기 두부(hd, 도 4 참조) 측으로 유동되는 상기 휘발성 향(fg)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100b)에서도,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100b)는, 덮개(20)를 포함할 수 있는 바, 상기 가수 해리층(60)이 상기 착용자(ps)의 두부(hd)에서 생성되는 땀(sw)에 분해되면, 상기 파우치(10) 내부에 배치된 방향체(50)의 휘발성 향(fg)은, 상기 가수 해리층(60)이 분해(60s)되어 노출된 상기 제2 홀(hl2)을 통기공으로 상기 두부(hd) 측으로 유동되되, 상기 제1 홀(hl1)을 덮은 덮개(20)에 의하여 상기 스티로폼 층(st)으로의 유동은 차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가수 해리층(60)은, 상기 휘발성 향(fg)의 유동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격벽(미 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격벽(미 도시)은, 상기 제2 홀(hl2)의 외주연을 따라 마련되되, 상기 두부(hd)를 향하여 소정 높이 돌출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가이드 격벽의 소정 높이라 함은, 상기 방향체(50)의 휘발성 향(fg)이, 상기 가수 해리층(60)이 분해되어 노출된 상기 제2 홀(hl2)을 통기공으로 유동됨에 있어서 상기 두부(hd) 측을 향하되, 상기 돌출된 가이드 격벽에 의하여 상기 스티로폼 층(st)으로의 유동은 차단될 수 있는 정도의 높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수 해리층(60)에 포함된 상기 가이드 격벽은, 상기 가수 해리층(600)이 분해되면, 유동관의 형태로 상기 두부(hd)에 닿을 수 있고, 상기 방향체(50)의 휘발성 향(fg)은, 상기 노출된 제2 홀(hl2)과 상기 유동관을 통해, 상기 두부(hd)로 유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방향체(50)의 휘발성 향(fg)은, 상기 가수 해리층(60)이 상기 착용자(ps)의 두부(hd)에서 생성되는 땀(sw)에 분해되어 노출된 상기 제2 홀(hl2)을 통기공으로 하고, 상기 가이드 격벽을 유동관으로 하여, 상기 두부(hd) 측으로 유동되되, 상기 가이드 격벽에 의하여 상기 스티로폼 층(st)으로의 유동은 차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100b)의 다른 구성 즉, 상기 파우치(10), 상기 덮개(20), 및 상기 방향체(50)에 관해서는, 앞서 설명된 제1 실시 예(100a)와 중복되는 바, 앞서 설명된 제1 실시 예(100a)의 설명을 참고하기로 한다.
제3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100c)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100c)는, 앞서 설명된 제1 실시 예(100a) 및 제2 실시 예(100b)와 동일한 구성 즉, 상기 파우치(10) 및 상기 방향체(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파우치(10)의 일 단에는 두께 방향으로 절개 가능한 슬릿(sl)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100c)의 각 구성이 설명된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100c)에서, 앞서 설명된 제1 실시 예(100a) 및 제2 실시 예(100b)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이 생략된다고 하여서, 이를 배제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며,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앞선 실시 예의 설명을 참고하기로 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100c)에서, 상기 파우치(10)의 일 단에 두께 방향으로 절개 가능한 슬릿(sl)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우치(10)의 일 단이 상기 슬릿(sl)을 통하여 절개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우치(10)의 절개된 일 단 두께 방향으로 개구(op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우치(10)의 일 (11)면의 면적(s1) 보다 타 면(13)의 면적(s2)이 작도록, 상기 파우치(10)의 일 단이 상기 슬릿(sl)을 통하여 절개되어, 상기 파우치(10)의 두께 방향으로 개구(op2, 도 5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파우치(10)의 타 면(13)에는, 상기 파우치(10)의 일 면(11)의 면적(s1) 보다 면적(s2)이 작도록 절개되기 위한, 절취선(dl)이, 상기 타 면(13)의 일 측 슬릿(sl)으로부터 타 측 슬릿(sl)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착용자(ps)가 상기 파우치(10)의 일 단을 잡고 상기 슬릿(sl)을 통하여 상기 파우치(10)의 일 단을 절개하는 경우, 상기 절취선(dl)을 따라 상기 파우치(10)의 타 면(13)의 면적(s2)이 상기 파우치(10)의 일 면(11)의 면적(s1)보다 작도록 절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우치(10)의 타 면(13) 일 단은, 상기 절취선(dl)을 따라 상기 일 측 슬릿(sl)으로부터 타 측 슬릿(sl) 방향으로 완전히 절개되어 탈락되되, 상기 파우치(10)의 일 면(11) 일 단은, 상기 슬릿(sl)이 형성된 일 측 일 부분만이 절개되거나 비-절개되어 탈락되지 않고 잔존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우치(10)의 타 면(13) 일 단은 완전히 절개되어 탈락되되, 상기 파우치(10)의 일 면(11) 일 단은 일 부분만이 절개되거나 비-절개되어 여전히 잔존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파우치(10)의 타 면(13) 일 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절개되어 탈락됨으로써, 상기 절개 전 보다 면적(s2)이 좁아질 수 있는 한편, 상기 파우치의 일 면(11) 일 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존됨에 따라, 상기 절개 전과 동일한 면적(s1)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파우치(10) 내부에 배치된 방향체(50)의 휘발성 향(fg)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op2)를 통하여 상기 두부(hd) 측으로 유동되되, 상기 파우치(10)의 타 면(13) 보다 면적이 넓은(s1) 일 면(11)에 의하여 상기 스티로폼 층(st)으로의 유동은 차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100c)의 다른 구성 즉, 상기 파우치(10) 및 상기 방향체(50)에 관해서는, 앞서 설명된 제1 실시 예(100a) 및 제2 실시 예(100b)와 중복되는 바, 앞서 설명된 제1 실시 예(100a) 및 제2 실시 예(100b)의 설명을 참고하기로 한다.
한편,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 예(100a~100c) 중 적어도 둘 이상은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실시 예(100a)의 박리층(30)과 상기 제2 실시 예(100b)의 가수 해리층(60)이 조합되거나, 상기 제1 실시 예(100a)의 박리층(30)과 상기 제3 실시 예(100c)의 슬릿(sl)이 조합되거나, 상기 제2 실시 예(100b)의 가수 해리층(60)과 상기 제3 실시 예(100c)의 슬릿(sl)이 조합되거나, 상기 제1 실시 예(100a)의 박리층(30), 상기 제2 실시 예(100b)의 가수 해리층(60), 및 상기 제3 실시 예(100c)의 슬릿(sl)이 모두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100a~100c)가 설명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100a~100c) 제조방법이 설명된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100a~100c) 제조방법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제1 내지 제3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100a~100c)의 각 구성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이 생략된다고 하여서, 이를 배제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며,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앞선 실시 예의 설명을 참고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100a) 제조방법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100a) 제조방법은,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hm)의 내측을 향하는 파우치(10)의 일 면(11)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홀(hl1) 및 상기 두부(hd)를 향하는 상기 파우치(10)의 타 면(13)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홀(hl2)을 상기 파우치(10)에 동시에 형성하는 단계(S110), 상기 파우치(10)의 일 면(11)에 형성된 상기 제1 홀(hl1)을 덮개(20)로 덮는 단계(S120), 상기 파우치(10)의 타 면(13)에 형성된 상기 제2 홀(hl2)을 덮되, 상기 파우치(10)의 타 면(13)으로부터 박리(ex)되어 상기 덮은 제2 홀(hl2)을 노출시키는 박리층(30)을 형성하는 단계(S130), 및 상기 파우치(10)의 내부에 휘발성 향(fg)을 가지는 액상 방향제(53)가 함침된 멤브레인 타입의 방향 바디(51)로 이루어진 방향체(50)를 배치시키는 단계(S1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100a) 제조방법의 각 단계가 설명된다.
단계 S110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S110에서, 상기 파우치(10)의 일 면(11)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홀(hl1) 및 상기 파우치(10)의 타 면(13)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홀(hl2)을 상기 파우치(10)에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홀(hl1) 및 상기 제2 홀(hl2)을 동시에 형성하는 것은, 예를 들어, 펀칭((punching)기를 이용해 상기 파우치(10)의 일 면(11) 및 타 면(13)을 동시에 타공하여, 상기 제1 홀(hl1) 및 상기 제2 홀(hl2)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공정 단계가 간소화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상기 파우치(10), 상기 제1 홀(hl1), 및 상기 제2 홀(hl2)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100a)의 설명과 중복되는 바,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100a)의 설명을 참고하기로 한다.
단계 S120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S120에서, 상기 파우치(10)의 일 면(11)에 형성된 상기 제1 홀(hl1)을 덮개(20)로 덮을 수 있다.
상기 덮개(20)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100a)의 설명과 중복되는 바,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100a)의 설명을 참고하기로 한다.
단계 S130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단계 S130에서, 상기 파우치(10)의 타 면(13)에 형성된 상기 제2 홀(hl2)을 덮되, 상기 파우치(10)의 타 면(13)으로부터 박리(ex)되어 상기 덮은 제2 홀(hl2)을 노출시키는 박리층(3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박리층(30)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100a)의 설명과 중복되는 바,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100a)의 설명을 참고하기로 한다.
단계 S140
도 11을 참조하면, 단계 S140에서, 상기 파우치(10)의 내부에 휘발성 향(fg)을 가지는 액상 방향제(53)가 함침된 멤브레인 타입의 방향 바디(51)로 이루어진 방향체(50)를 배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파우치(10)의 개구(op1)를 통해, 상기 방향체(50)를 상기 파우치(10) 내부로 인입시킬 수 있다. 한편 이는, 상기 파우치(10)의 적어도 일 단에 개구(op1)가 형성된 것을 상정한 것이다.
한편, 본 단계에서, 상기 파우치(10)의 내부에 상기 방향체(50)가 배치되면, 상기 파우치(10)는 밀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파우치(10) 내부의 방향체(50)의 휘발성 향(fg)은, 앞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파우치(10)의 타 면(13)의 상기 제2 홀(hl2)을 덮은 상기 박리층(30)이, 상기 파우치(10)의 타 면(13)으로부터 박리(ex, 도 10 참조)되는 경우, 노출되는 상기 제2 홀(hl2)을 통기공으로 상기 두부(hd) 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우치(10)의 일 면(11)의 상기 제1 홀(hl1)은 상기 덮개(20)에 의하여 덮인 바, 상기 파우치(10) 내부의 방향체(50)의 휘발성 향(fg)은, 상기 스티로폼 층(st)으로의 유동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방향체(50)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100a)의 설명과 중복되는 바,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100a)의 설명을 참고하기로 한다.
한편, 상술된 단계 S120 내지 단계 S140은, 비록 순차적으로 설명되었으나, 각 단계는 순서가 뒤바뀌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된 단계 S140의 방향체(50)를 배치시키는 단계가 선-수행되고, 상술된 단계 S120의 상기 덮개(20)로 덮는 단계 및 상술된 단계 S130의 상기 박리층(30)을 형성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가 후-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100b) 제조방법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100b) 제조방법은, 앞서 설명된 제1 실시 예(100a)에 따른 제조방법과 동일한 단계 즉, 상기 단계 S110, 상기 단계 S210, 및 상기 단계 S1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앞서 설명된 단계 S130을 대신하여 단계 S2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100b) 제조방법의 단계 S230이 설명된다.
상기 단계 S110, 상기 단계 S210, 및 상기 단계 S140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100a)에 따른 제조방법의 설명과 중복되는 바,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100a)에 따른 제조방법의 설명을 참고하기로 한다.
단계 S230
도 13을 참조하면, 단계 S230에서, 상기 파우치(10)의 타 면(13)에 형성된 상기 제2 홀(hl2)을 덮되, 수분에 분해되어 상기 덮은 제2 홀(hl2)을 노출시키는 가수 해리층(60)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수분은 앞서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hm)를 착용한 착용자(ps)의 두부(hd)에서 생성되는 땀(sw)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가수 해리층(60)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100b)의 설명과 중복되는 바,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100b)의 설명을 참고하기로 한다.
한편, 상술된 단계 S120, 단계 S230, 및 단계 S140은, 비록 순차적으로 설명되었으나, 각 단계는 순서가 뒤바뀌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된 단계 S140의 방향체(50)를 배치시키는 단계가 선-수행되고, 상술된 단계 S120의 상기 덮개(20)로 덮는 단계 및 상술된 단계 S230의 상기 가수 해리층(60)을 형성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가 후-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제3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100c) 제조방법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100c) 제조방법은, 앞서 설명된 제1 및 제2 실시 예(100a, 100b)에 따른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상기 단계 S140를 포함하되, 단계 S3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100c) 제조방법이 설명된다.
단계 S310
도 16을 참조하면, 단계 S310에서, 상기 파우치(10)의 일 단에 두께 방향으로 절개 가능한 슬릿(sl)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단계에서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파우치(10)의 타 면(13)에는, 상기 파우치(10)의 일 면(11)의 면적(s1) 보다 면적(s2)이 작도록 절개되기 위한, 절취선(dl)이, 상기 타 면(13)의 일 측 슬릿(sl)으로부터 타 측 슬릿(sl)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릿(sl) 및 절취선(dl)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100c)의 설명과 중복되는 바,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100c)의 설명을 참고하기로 한다.
단계 S140
도 17을 참조하면, 단계 S140에서, 상기 파우치(10)의 내부에 휘발성 향(fg)을 가지는 액상 방향제(53)가 함침된 멤브레인 타입의 방향 바디(51)로 이루어진 방향체(50)를 배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파우치(10)의 개구(op1)를 통해, 상기 방향체(50)를 상기 파우치(10) 내부로 인입시킬 수 있다. 한편 이는, 상기 파우치(10)의 적어도 일 단에 개구(op1)가 형성된 것을 상정한 것이다.
한편, 본 단계에서, 상기 파우치(10)의 내부에 상기 방향체(50)가 배치되면, 상기 파우치(10)는 밀봉될 수 있다.
한편, 앞서 단계에서, 상기 파우치(10)의 타 면(13)에는 상기 절취선(dl)이 형성된 바, 이에 따라, 상기 착용자(ps)가 상기 밀봉된 파우치(10)의 일 단을 잡고 상기 슬릿(sl)을 통하여 상기 파우치(10)의 일 단을 절개하는 경우,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취선(dl)을 따라 상기 파우치(10)의 타 면(13)의 면적(s2)이 상기 파우치(10)의 일 면(11)의 면적(s1)보다 작도록 절개될 수 있다.
상기 파우치(10)의 일 면(11)의 면적(s1) 및 타 면(13)의 면적(s2)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100c)의 설명과 중복되는 바,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100c)의 설명을 참고하기로 한다.
한편, 상술된 단계 S310 및 단계 S140은, 비록 순차적으로 설명되었으나, 각 단계는 순서가 뒤바뀌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된 단계 S140의 방향체(50)를 배치시키는 단계가 선-수행되고, 상술된 단계 S310의 상기 슬릿(sl)을 형성하는 단계가 후-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 예(100a~100c)에 따른 제조방법 중 적어도 둘 이상은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실시 예(100a)에서 박리층(30)의 제조방법과 상기 제2 실시 예(100b)에서 가수 해리층(60)의 제조방법이 조합되거나, 상기 제1 실시 예(100a)에서 박리층(30)의 제조방법과 상기 제3 실시 예(100c)에서 슬릿(sl)의 제조방법이 조합되거나, 상기 제2 실시 예(100b)에서 가수 해리층(60)의 제조방법과 상기 제3 실시 예(100c)에서 슬릿(sl)의 제조방법이 조합되거나, 상기 제1 실시 예(100a)에서 박리층(30)의 제조방법, 상기 제2 실시 예(100b)에서 가수 해리층(60)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3 실시 예(100c)에서 슬릿(sl)의 제조방법이 모두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 구현 예가 설명된다.
도 19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실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100a)에 따라, 상기 파우치(10)의 일 면(11)에 형성된 상기 제1 홀(hl1)을 관측할 수 있고,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100a)에 따라, 상기 파우치(10)의 타 면(13)에 형성된 상기 제2 홀(hl2)을 관측할 수 있다.
한편,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100a)에 따라, 상기 제2 홀(hl2)을 덮은 상기 박리층(30)을 관측할 수 있고,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100a)에 따라, 상기 제1 홀(hl1)을 덮은 상기 덮개(20)를 관측할 수 있다.
한편,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100c)에 따라, 상기 파우치(10)의 일 단에 형성된 상기 슬릿(sl)을 관측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파우치
20: 덮개
30: 박리층
50: 방향체
51: 방향 바디
53: 액상 방향제
60: 가수 해리층
100: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
100a: 제1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
100b: 제2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
100c: 제3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

Claims (6)

  1. 착용자의 두부에 착용되면 상기 두부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스티로폼 층을 포함하는 두부 보호 착용구의 내측과 상기 두부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의 내측을 향하는 일 면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홀 및 상기 두부를 향하는 타 면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홀이 형성된 파우치;
    상기 파우치의 일 면에 형성된 상기 제1 홀을 덮는 덮개;
    상기 파우치의 타 면에 형성된 상기 제2 홀을 덮되, 상기 파우치의 타 면으로부터 박리되어 상기 덮은 제2 홀을 노출시키는 박리층; 및
    상기 파우치의 내부에 배치되되, 휘발성 향을 가지는 액상 방향제가 함침된 멤브레인 타입의 방향 바디로 이루어진 방향체;를 포함하되,
    상기 박리층이 박리되면, 상기 파우치 내부에 배치된 방향체의 휘발성 향은, 상기 박리층이 박리되어 노출된 상기 제2 홀을 통기공으로 상기 두부 측으로 유동되되, 상기 제1 홀을 덮은 덮개에 의하여 상기 스티로폼 층으로의 유동은 차단되고,
    상기 박리층은, 상기 박리 정도에 따라 상기 덮은 제2 홀을 노출시키는 노출량을 조절하되, 상기 노출량에 따라 상기 두부 측으로 유동되는 상기 휘발성 향의 양이 조절되는,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
  2. 착용자의 두부에 착용되면 상기 두부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스티로폼 층을 포함하는 두부 보호 착용구의 내측과 상기 두부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의 내측을 향하는 일 면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홀 및 상기 두부를 향하는 타 면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홀이 형성된 파우치;
    상기 파우치의 일 면에 형성된 상기 제1 홀을 덮는 덮개;
    상기 파우치의 타 면에 형성된 상기 제2 홀을 덮되, 수분에 분해되어 상기 덮은 제2 홀을 노출시키는 가수 해리층; 및
    상기 파우치의 내부에 배치되되, 휘발성 향을 가지는 액상 방향제가 함침된 멤브레인 타입의 방향 바디로 이루어진 방향체;를 포함하되,
    상기 가수 해리층이 상기 착용자의 두부에서 생성되는 땀에 분해되면, 상기 파우치 내부에 배치된 방향체의 휘발성 향은, 상기 가수 해리층이 분해되어 노출된 상기 제2 홀을 통기공으로 상기 두부 측으로 유동되되, 상기 제1 홀을 덮은 덮개에 의하여 상기 스티로폼 층으로의 유동은 차단되고,
    상기 가수 해리층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홀 각각에 서로 상이한 두께로 마련되고, 상기 땀의 생성 양에 따라 상기 덮은 제2 홀을 노출시키는 노출량을 조절하되, 상기 노출량에 따라 상기 두부 측으로 유동되는 상기 휘발성 향의 양이 조절되는,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
  3. 착용자의 두부에 착용되면 상기 두부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스티로폼 층을 포함하는 두부 보호 착용구의 내측과 상기 두부 사이에 배치되되,
    일 단에 두께 방향으로 절개 가능한 슬릿이 형성된 파우치; 및
    상기 파우치의 내부에 배치되되, 휘발성 향을 가지는 액상 방향제가 함침된 멤브레인 타입의 방향 바디로 이루어진 방향체;를 포함하되,
    상기 파우치의 일 단이 상기 슬릿을 통하여 절개되어,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의 내측을 향하는 일 면 보다 상기 두부를 향하는 타 면의 면적이 작도록 상기 파우치의 두께 방향으로 개구가 형성되면,
    상기 파우치 내부에 배치된 방향체의 휘발성 향은,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두부 측으로 유동되되, 상기 파우치의 타 면 보다 면적이 넓은 일 면에 의하여 상기 스티로폼 층으로의 유동은 차단되는,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
  4. 착용자의 두부에 착용되면 상기 두부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스티로폼 층을 포함하는 두부 보호 착용구의 내측과 상기 두부 사이에 배치되는,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의 내측을 향하는 파우치의 일 면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홀 및 상기 두부를 향하는 상기 파우치의 타 면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홀을 상기 파우치에 동시에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파우치의 일 면에 형성된 상기 제1 홀을 덮개로 덮는 단계;
    상기 파우치의 타 면에 형성된 상기 제2 홀을 덮되, 상기 파우치의 타 면으로부터 박리되어 상기 덮은 제2 홀을 노출시키는 박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파우치의 내부에 휘발성 향을 가지는 액상 방향제가 함침된 멤브레인 타입의 방향 바디로 이루어진 방향체를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박리층이 박리되면, 상기 파우치 내부에 배치된 방향체의 휘발성 향은, 상기 박리층이 박리되어 노출된 상기 제2 홀을 통기공으로 상기 두부 측으로 유동되되, 상기 제1 홀을 덮은 덮개에 의하여 상기 스티로폼 층으로의 유동은 차단되고,
    상기 박리층은, 상기 박리 정도에 따라 상기 덮은 제2 홀을 노출시키는 노출량을 조절하되, 상기 노출량에 따라 상기 두부 측으로 유동되는 상기 휘발성 향의 양이 조절되는,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 제조방법.
  5. 착용자의 두부에 착용되면 상기 두부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스티로폼 층을 포함하는 두부 보호 착용구의 내측과 상기 두부 사이에 배치되는,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의 내측을 향하는 파우치의 일 면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홀 및 상기 두부를 향하는 상기 파우치의 타 면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홀을 상기 파우치에 동시에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파우치의 일 면에 형성된 상기 제1 홀을 덮개로 덮는 단계;
    상기 파우치의 타 면에 형성된 상기 제2 홀을 덮되, 수분에 분해되어 상기 덮은 제2 홀을 노출시키는 가수 해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파우치의 내부에 휘발성 향을 가지는 액상 방향제가 함침된 멤브레인 타입의 방향 바디로 이루어진 방향체를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가수 해리층이 상기 착용자의 두부에서 생성되는 땀에 분해되면, 상기 파우치 내부에 배치된 방향체의 휘발성 향은, 상기 가수 해리층이 분해되어 노출된 상기 제2 홀을 통기공으로 상기 두부 측으로 유동되되, 상기 제1 홀을 덮은 덮개에 의하여 상기 스티로폼 층으로의 유동은 차단되고,
    상기 가수 해리층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홀 각각에 서로 상이한 두께로 마련되고, 상기 땀의 생성 양에 따라 상기 덮은 제2 홀을 노출시키는 노출량을 조절하되, 상기 노출량에 따라 상기 두부 측으로 유동되는 상기 휘발성 향의 양이 조절되는,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 제조방법.
  6. 착용자의 두부에 착용되면 상기 두부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스티로폼 층을 포함하는 두부 보호 착용구의 내측과 상기 두부 사이에 배치되는,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 제조방법에 있어서,
    파우치의 일 단에 두께 방향으로 절개 가능한 슬릿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파우치의 내부에 휘발성 향을 가지는 액상 방향제가 함침된 멤브레인 타입의 방향 바디로 이루어진 방향체를 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파우치의 일 단이 상기 슬릿을 통하여 절개되어, 상기 두부 보호 착용구의 내측을 향하는 일 면 보다 상기 두부를 향하는 타 면의 면적이 작도록 상기 파우치의 두께 방향으로 개구가 형성되면,
    상기 파우치 내부에 배치된 방향체의 휘발성 향은,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두부 측으로 유동되되, 상기 파우치의 타 면 보다 면적이 넓은 일 면에 의하여 상기 스티로폼 층으로의 유동은 차단되는,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 제조방법.

KR1020220065121A 2022-05-27 2022-05-27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441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121A KR102441696B1 (ko) 2022-05-27 2022-05-27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220110592A KR20230165666A (ko) 2022-05-27 2022-09-01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121A KR102441696B1 (ko) 2022-05-27 2022-05-27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 및 그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0592A Division KR20230165666A (ko) 2022-05-27 2022-09-01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1696B1 true KR102441696B1 (ko) 2022-09-08

Family

ID=832796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5121A KR102441696B1 (ko) 2022-05-27 2022-05-27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220110592A KR20230165666A (ko) 2022-05-27 2022-09-01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0592A KR20230165666A (ko) 2022-05-27 2022-09-01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41696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1710U (ko) * 1993-03-23 1994-10-19 백성학 모자용 패드
JPH108321A (ja) * 1996-06-20 1998-01-13 Buikutorian Pojii:Kk 芳香物質を内蔵した頭部保護ヘルメット
KR20010053112A (ko) * 1998-06-25 2001-06-25 노팅턴 홀딩 비.브이. 신발용 증기투과성 방수 깔창
KR200271519Y1 (ko) * 2001-09-17 2002-04-10 손영석 디지털 전자식 헬멧
KR200310525Y1 (ko) * 2003-01-09 2003-04-21 강용호 향기나는 모자
KR200354685Y1 (ko) * 2004-04-08 2004-06-30 이종곤 향발산 캡슐 스티커
JP2005220477A (ja) * 2004-02-05 2005-08-18 Hiromasa Nagatsuka 頭部着用体および頭部着用体用芳香体
KR20070050184A (ko) * 2005-11-10 2007-05-15 문봉권 모자보관케이스
KR100825830B1 (ko) * 2007-09-06 2008-04-28 주식회사 네고팩 방향제 및 흡수제의 발산량 및 흡수량 조절용 층간박리필름 제조방법 및 발산량 및 흡수량 조절용 층간박리 필름
KR20170012808A (ko) * 2015-07-24 2017-02-03 김진호 향기포가 매립된 신발
US20210353969A1 (en) * 2020-05-15 2021-11-18 Barbara D. Leschinsky Wearable air sterilizer for everyday use during covid-19 and in a post-pandemic period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1710U (ko) * 1993-03-23 1994-10-19 백성학 모자용 패드
JPH108321A (ja) * 1996-06-20 1998-01-13 Buikutorian Pojii:Kk 芳香物質を内蔵した頭部保護ヘルメット
KR20010053112A (ko) * 1998-06-25 2001-06-25 노팅턴 홀딩 비.브이. 신발용 증기투과성 방수 깔창
KR200271519Y1 (ko) * 2001-09-17 2002-04-10 손영석 디지털 전자식 헬멧
KR200310525Y1 (ko) * 2003-01-09 2003-04-21 강용호 향기나는 모자
JP2005220477A (ja) * 2004-02-05 2005-08-18 Hiromasa Nagatsuka 頭部着用体および頭部着用体用芳香体
KR200354685Y1 (ko) * 2004-04-08 2004-06-30 이종곤 향발산 캡슐 스티커
KR20070050184A (ko) * 2005-11-10 2007-05-15 문봉권 모자보관케이스
KR100825830B1 (ko) * 2007-09-06 2008-04-28 주식회사 네고팩 방향제 및 흡수제의 발산량 및 흡수량 조절용 층간박리필름 제조방법 및 발산량 및 흡수량 조절용 층간박리 필름
KR20170012808A (ko) * 2015-07-24 2017-02-03 김진호 향기포가 매립된 신발
US20210353969A1 (en) * 2020-05-15 2021-11-18 Barbara D. Leschinsky Wearable air sterilizer for everyday use during covid-19 and in a post-pandemic peri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5666A (ko) 2023-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4167B2 (en) Facemask having an aromatic capsule
KR102441696B1 (ko) 두부 보호 착용구용 방향제 및 그의 제조방법
US9327045B2 (en) Air freshener with porous membrane with leak pad and adjustable opening
KR20210087898A (ko) 탈부착 기능을 구비한 마스크용 산소발생 패치
JP2011010902A (ja) マスク
US20100132092A1 (en) Water Absorbant Evaporative Cooling Hat
JP2007217846A (ja) ヘルメット
WO2005120264A1 (ja) フルフェイス型ヘルメット用ネックカバーおよびフルフェイス型ヘルメット
JP6918380B1 (ja) マスク用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が装着されたマスク
JP4660294B2 (ja) 香り放散貼付材
KR102286603B1 (ko) 부착형 코마개를 위한 시트 부재
JP2001178836A (ja) 防煙マスク
JP2022179266A (ja) 芳香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173205A (ja) 徐放器
KR20210047037A (ko) 미세먼지 유입 방지를 위한 안면마스크
KR101438903B1 (ko) 캡슐형 용재 수용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장식용구
JP3126791U (ja) 害虫忌避シール
CN106038244B (zh) 喷雾式清洁装置
KR200361626Y1 (ko) 통기공을 갖는 차양모자의 헤어밴드
KR20200000074A (ko) 일회용 손목 땀 흡수 밴드
JP6274735B2 (ja) 薬剤揮散装置
JP6188965B1 (ja) 痒み緩和シート
TW201907983A (zh) 一種可以傳遞聲音的透氣口罩
KR200318441Y1 (ko) 마스크
JP2022062763A (ja) フェイスシール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