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0887B1 - 전동릴과 스마트단말 연동 시스템 및 스마트 단말을 통한 전동릴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동릴과 스마트단말 연동 시스템 및 스마트 단말을 통한 전동릴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0887B1
KR102440887B1 KR1020200034063A KR20200034063A KR102440887B1 KR 102440887 B1 KR102440887 B1 KR 102440887B1 KR 1020200034063 A KR1020200034063 A KR 1020200034063A KR 20200034063 A KR20200034063 A KR 20200034063A KR 102440887 B1 KR102440887 B1 KR 102440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reel
smart terminal
control
electric
ti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4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7626A (ko
Inventor
박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낙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낙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낙스
Priority to KR1020200034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887B1/ko
Priority to JP2021022223A priority patent/JP2021145672A/ja
Publication of KR20210117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7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7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motor-driv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Landscapes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nwinding Webs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전동릴의 원격제어를 위한 스마트 단말의 전동릴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한다.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의 전동릴 제어 어플리케이션은 전동릴과 무선통신 연동되어, 전동릴에서 획득하는 입질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입질감지신호에 따라 전동릴제어신호를 상기 전동릴로 전송하는 통신모듈; 전동릴의 상태, 입질감지신호에 포함된 어종의 무게, 라인의 장력을 포함하는 입질세부정보에 따라 전동릴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제어모듈에서 생성된 전동릴 제어 신호에 의한 전동릴 제어 결과 및 전동릴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모듈;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동릴과 스마트단말 연동 시스템 및 스마트 단말을 통한 전동릴 제어 방법{ELECTRIC REEL, SMART DEVICE INTERLOCKING SYSTEM AND ELECTRIC REEL CONTROL METHOD THROUGH SMART DEVICE}
본 개시는 전동릴과 스마트 단말 연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동릴 모터의 회전, 정지기능, 속도, 타이머, 지깅(jigging) 기능, 수심표시 기능 등의 제어를 스마트 단말에서 수행하는 전동릴과 스마트 단말 연동 시스템 및 스마트 단말을 통한 전동릴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동릴은 베이트릴의 한 종류로 모터와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기를 공급받아 자동으로 줄감기를 하는 릴이다. 전동릴은 수심이 깊은 바닥층에 서식하는 어종을 잡을 때 주로 사용하고 어종의 무게와 릴에 걸리는 장력에 따라 자동으로 줄의 권취를 조정하여 낚시 성공률을 향상시키는 장치이다. 종래의 전동릴은 전동릴 모터의 회전, 정지기능, 속도, 타이머, 지깅(jigging) 기능, 수심표시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하지만, 종래 전동릴의 다양한 기능제어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반드시 전동릴을 통해 기능을 조정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예컨대, 전동릴과 사용자가 부득이 하게 이격 되어 있는 경우, 종래의 전동릴은 원격으로 제어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45787호(2012.05.09)
실시예를 통해, 모터의 회전, 정지, 속도 조절 및 타이머, 지깅기능, 수심 표시등 다양한 전동릴의 기능 조작을 전동릴 본체외 스마트 단말에서 조작함으로써, 사용자가 전동릴 앞에 없더라도, 전동릴의 상태를 확인하고, 전동릴을 제어하여 낚시에 성공하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른 전동릴의 원격제어를 위한 스마트 단말의 전동릴 제어 어플리케이션은 전동릴과 무선통신 연동되어, 전동릴에서 획득하는 입질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입질감지신호에 따라 전동릴제어신호를 전동릴로 전송하는 통신모듈; 전동릴의 상태, 입질감지신호에 포함된 어종의 무게, 라인의 장력을 포함하는 입질세부정보에 따라 전동릴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제어모듈에서 생성된 전동릴 제어 신호에 의한 전동릴 제어 결과 및 전동릴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모듈; 을 포함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전동릴과 스마트 단말 연동 시스템 및 스마트 단말을 통한 전동릴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을 통해 전동릴을 원격으로도 제어 가능하게 함으로써, 낚시 성공률을 향상시키고 전동릴을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전동릴과 스마트 단말 연동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전동릴의 원격제어를 위한 스마트 단말의 전동릴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처리 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3및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전동릴, 스마트단말 연동 시스템의 신호 흐름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전동릴과 스마트 단말 연동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전동릴과 스마트 단말 연동 시스템은 전동릴(200) 및 스마트 단말(1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전동릴(200)은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100)과 무선통신 연동되어,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 단말(100)을 통해 원격에서 전동릴(200)의 상태를 파악하고 전동릴의 세부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전동릴의 원격제어를 위한 스마트 단말의 데이터 처리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단말은 통신모듈(110), 제어모듈(130) 및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이라는 용어는 용어가 사용된 문맥에 따라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는 기계어, 펌웨어(firmware), 임베디드코드(embedded code), 및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하드웨어는 회로, 프로세서, 컴퓨터, 집적 회로, 집적 회로 코어, 센서, 멤스(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수동 디바이스,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통신모듈(110)은 전동릴과 무선통신 연동되어, 전동릴에서 획득하는 입질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입질 감지 신호에 따라 전동릴 제어 신호를 상기 전동릴로 전송한다. 또한 실시예에서 통신모듈(110)은 복수개의 전동릴이 스마트 단말 근방에 존재하는 경우, 스마트 단말과 연동하는 전동릴의 고유 번호를 최초 수신 후, 고유번호에 지정된 전동릴을 인증하고, 인증 완료된 전동릴과 스마트 단말이 연동된다.
제어모듈(130)은 전동릴의 상태, 입질 감지신호에 포함된 어종의 무게, 라인의 장력을 포함하는 입질세부정보에 따라 전동릴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한다. 또한, 제어모듈(130)은 전동릴에서 센싱 되는 입질 감지 신호에 따라 전동릴을 자동 제어하고, 제어 결과를 디스플레이 모듈로 전달한다.
디스플레이모듈(150)은 제어모듈(130)에서 생성된 전동릴 제어 신호에 의한 전동릴 제어 결과 및 전동릴 상태를 디스플레이 한다.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모듈(150)은스풀 설정, 사용설명, 프로그램 종료, 전동릴과 연결상태 표시, 스피드 레버 및 회전 상태, 시간, 수심, 스풀번호 및 라인설정, 순간동작, 지깅기능, 마리 수 카운트, 타이머 카운터 각각을 표시하는 아이콘을 포함한다.
도 3 및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전동릴과 스마트 단말 연동 시스템에서 스마트 단말에는 스풀설정, 사용설명, 프로그램 종료 등의 메뉴와 전동릴과 연결상태를 표시하는 아이콘, 스피드 레버, 회전상태, 현재시간, 수심, 스풀 번호 및 라인설정, 스피드 레버 조정 아이콘, 순간동작 스위치, 지깅 제어 아이콘 및 카운팅 한 마리 수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전동릴과 스마트 단말 연동 시스템에서 스마트 단말에는 타이머, 타이머 설정, 타이머 카운터, 채비 회수를 알리는 타이머 종료 기능을 출력하는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스마트 단말을 통한 전동릴 제어 방법에 대해서 차례로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을 통한 전동릴 제어 방법의 작용(기능)은 전동릴, 스마트단말 연동 시스템 상의 기능과 본질적으로 같은 것이므로 도 1 내지 도 4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전동릴, 스마트단말 연동 시스템의 신호 흐름도이다.
S10 단계에서는 전동릴(200)에서 스마트 단말(10)로 연동될 전동릴의 고유번호를 전송한다. S20 단계에서는 스마트 단말(100)에서 고유번호를 수신하여 등록하고, S30 단계에서는 고유번호에 해당하는 전동릴과 스마트 단말을 무선통신 연동한다.
S40 단계에서는 전동릴에서 입질을 감지하면, S50 단계에서는 전동릴(200)에서 스마트 단말(100)으로 입질 감지 정보를 전송한다. S60 단계에서는 스마트 단말(100)에서 전동릴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S70 단계에서는 스마트 단말(100)에서 전동릴(200)으로 전동릴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S80 단계에서 전동릴은 수신한 전동릴 제어신호에 따라 전동릴을 제어하고, S90 단계에서는 전동릴 제어 결과를 스마트 단말로 전송한다. S100 단계에서는 스마트 단말(100)에서 전동릴 제어정보와 전동릴 상태를 디스플레이 한다.
실시예를 통해, 모터의 회전, 정지, 속도 조절 및 타이머, 지깅기능, 수심 표시등 다양한 전동릴의 기능 조작을 전동릴 본체 외 스마트 단말에서 조작함으로써, 사용자가 전동릴 앞에 없더라도, 전동릴의 상태를 확인하고, 전동릴을 제어하여 낚시에 성공하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전동릴과 스마트 단말 연동 시스템 및 스마트 단말을 통한 전동릴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을 통해 전동릴을 원격으로도 제어 가능하게 함으로써, 낚시 성공률을 향상시키고 전동릴을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8)

  1. 전동릴의 원격제어를 위한 스마트 단말에 있어서,
    전동릴과 무선통신 연동되어, 전동릴에서 획득하는 입질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입질감지신호에 따라 전동릴 제어신호를 상기 전동릴로 전송하는 통신모듈;
    전동릴의 상태, 입질감지신호에 포함된 어종의 무게, 라인의 장력을 포함하는 입질세부정보에 따라 전동릴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상기 제어모듈에서 생성된 전동릴 제어 신호에 의한 전동릴 제어 결과 및 전동릴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모듈은
    복수개의 전동릴이 스마트 단말 근방에 존재하는 경우, 스마트 단말과 연동하는 전동릴의 고유 번호를 최초 수신 후, 고유번호에 지정된 전동릴을 인증하고, 인증 완료된 전동릴과 스마트 단말을 연동하고
    상기 제어모듈; 은
    전동릴에서 센싱 되는 입질 감지 신호에 따라 전동릴을 자동 제어하고, 상기 제어 결과를 디스플레이 모듈로 전달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제어모듈에서 생성된 스풀 설정, 사용설명, 프로그램 종료, 전동릴과 연결상태 표시, 스피드 레버 및 회전 상태, 시간, 수심, 스풀번호 및 라인설정, 순간동작, 지깅기능, 마리 수 카운트, 타이머 카운터를 포함하는 전동릴 제어 신호에 의한 전동릴 제어 결과 및 전동릴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고
    전동릴과 연결상태를 표시하는 아이콘, 스피드 레버, 회전상태, 현재시간, 수심, 스풀 번호 및 라인설정, 스피드 레버 조정 아이콘, 순간동작 스위치, 지깅 제어 아이콘 및 카운팅 한 마리 수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하고,
    타이머, 타이머 설정, 타이머 카운터, 채비 회수를 알리는 타이머 종료 기능을 출력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은
    모터의 회전, 정지, 속도 조절 및 타이머, 지깅, 수심 표시를 포함하는 전동릴의 기능 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스마트 단말을 통한 전동릴 제어 방법에 있어서,
    (A)스마트 단말은 전동릴과 무선통신 연동되어, 전동릴에서 획득하는 입질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입질 감지 신호에 따라 전동릴 제어 신호를 상기 전동릴로 전송하는 단계;
    (B) 스마트 단말은 전동릴의 상태, 입질 감지신호에 포함된 어종의 무게, 라인의 장력을 포함하는 입질세부정보에 따라 전동릴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
    (C) 스마트 단말은 전동릴 제어 신호에 의한 전동릴 제어 결과 및 전동릴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A)의 단계; 는
    복수개의 전동릴이 스마트 단말 근방에 존재하는 경우, 스마트 단말과 연동하는 전동릴의 고유 번호를 최초 수신 후, 고유번호에 지정된 전동릴을 인증하고, 인증 완료된 전동릴과 스마트 단말을 연동하고,
    모터의 회전, 정지, 속도 조절 및 타이머, 지깅기능, 수심 표시를 포함하는 전동릴의 기능 조작을 수행하고,
    상기 (B)의 단계; 는
    전동릴에서 센싱 되는 입질 감지 신호에 따라 전동릴을 자동 제어하고, 상기 제어 결과를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C)의 단계; 는
    자동 제어에 의해 생성된 스풀 설정, 사용설명, 프로그램 종료, 전동릴과 연결상태 표시, 스피드 레버 및 회전 상태, 시간, 수심, 스풀번호 및 라인설정, 순간동작, 지깅기능, 마리 수 카운트, 타이머 카운터를 포함하는 전동릴 제어 신호에 의한 전동릴 제어 결과 및 전동릴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고
    전동릴과 연결상태를 표시하는 아이콘, 스피드 레버, 회전상태, 현재시간, 수심, 스풀 번호 및 라인설정, 스피드 레버 조정 아이콘, 순간동작 스위치, 지깅 제어 아이콘 및 카운팅 한 마리 수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하고,
    타이머, 타이머 설정, 타이머 카운터, 채비 회수를 알리는 타이머 종료 기능을 출력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하는 스마트 단말의 전동릴 제어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00034063A 2020-03-19 2020-03-19 전동릴과 스마트단말 연동 시스템 및 스마트 단말을 통한 전동릴 제어 방법 KR102440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063A KR102440887B1 (ko) 2020-03-19 2020-03-19 전동릴과 스마트단말 연동 시스템 및 스마트 단말을 통한 전동릴 제어 방법
JP2021022223A JP2021145672A (ja) 2020-03-19 2021-02-16 電動リールとスマート端末連動システム、及びスマート端末を用いた電動リールの制御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063A KR102440887B1 (ko) 2020-03-19 2020-03-19 전동릴과 스마트단말 연동 시스템 및 스마트 단말을 통한 전동릴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7626A KR20210117626A (ko) 2021-09-29
KR102440887B1 true KR102440887B1 (ko) 2022-09-06

Family

ID=77849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4063A KR102440887B1 (ko) 2020-03-19 2020-03-19 전동릴과 스마트단말 연동 시스템 및 스마트 단말을 통한 전동릴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21145672A (ko)
KR (1) KR10244088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7137A (ja) 2007-03-28 2008-10-09 Takeshi Hayashi 自動釣りシステム、自動釣り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記録媒体
JP2010081905A (ja) * 2008-10-02 2010-04-15 Takeshi Hayashi 自動釣りシステム、およびその設定器
JP2016073270A (ja) * 2014-10-02 2016-05-12 株式会社ミヤマエ 魚釣用電動リールの遠隔操作システム
KR102137064B1 (ko) 2017-11-27 2020-07-23 주식회사 코커스 동작 인식 낚시 릴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8456A (ja) * 1991-09-11 1993-03-23 Furuno Electric Co Ltd 自動魚釣機
JPH10150890A (ja) * 1996-11-19 1998-06-09 Ryobi Ltd 魚釣用リール
JP3872734B2 (ja) * 2002-08-05 2007-01-24 株式会社ミヤマエ 電動リール
KR20120045787A (ko) 2010-11-01 2012-05-09 주식회사 피싱로드 낚시용 전동릴 제어장치
KR20120081698A (ko) * 2011-01-12 2012-07-20 (주)살구넷 원격낚시 시스템
US8770504B1 (en) * 2011-09-23 2014-07-08 Thomas Sandstrom Motor driven fishing reel
JP6188190B2 (ja) * 2013-02-22 2017-08-30 株式会社シマノ 釣り情報表示装置
JP2017163886A (ja) * 2016-03-15 2017-09-21 山田電器工業株式会社 釣り糸情報設定方法、および、釣り糸情報設定プログラム
JP2019004774A (ja) * 2017-06-23 2019-01-1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取得装置、制御システム、情報取得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0000135A (ja) * 2018-06-29 2020-01-09 バナッ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スプール及びライン交換装着型釣用電動リールの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7137A (ja) 2007-03-28 2008-10-09 Takeshi Hayashi 自動釣りシステム、自動釣り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記録媒体
JP2010081905A (ja) * 2008-10-02 2010-04-15 Takeshi Hayashi 自動釣りシステム、およびその設定器
JP2016073270A (ja) * 2014-10-02 2016-05-12 株式会社ミヤマエ 魚釣用電動リールの遠隔操作システム
KR102137064B1 (ko) 2017-11-27 2020-07-23 주식회사 코커스 동작 인식 낚시 릴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7626A (ko) 2021-09-29
JP2021145672A (ja) 202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2973B1 (ko) 가상현실 낚시 게임 시스템, 게임 제공 서버 및 낚시 게임 시스템의 가상현실 제공방법
EP2689650B1 (en) Trainable autonomous lawn mower
US20170135315A1 (en) Animal wearable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10130077B2 (en) Mobile telephone dog training tool and method
US20180000045A1 (en) Mobile Telephone Dog Training Tool and Method
KR102137064B1 (ko) 동작 인식 낚시 릴 및 그 동작 방법
CN115989804A (zh) 钓鱼用渔线轮、渔线轮制动调整系统、制动力设定装置及程序
TWI289431B (en) Fishing reel, fishing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fishing information display system
JP2007088900A (ja)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電子機器
KR20120081698A (ko) 원격낚시 시스템
KR102440887B1 (ko) 전동릴과 스마트단말 연동 시스템 및 스마트 단말을 통한 전동릴 제어 방법
KR102214408B1 (ko) 반려동물용 원격 통제장치
KR101906671B1 (ko) 어신감지기능을 갖는 전자케미 및 이를 이용한 어신감지시스템
US10575497B2 (en) Programmable training system for pets
CN108700886A (zh) 一种控制终端的控制方法及控制终端
KR102284381B1 (ko) 반려 동물 산책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EP1638389A1 (en) Remote control
KR101321787B1 (ko)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어군,어종 탐지시스템
JP6941516B2 (ja) 信号処理装置及びシステム
EP2917883A1 (en) Methods, arrangements and devices for animal management
US20110221597A1 (en) Animal Training Device Having a Programmable Stimulus Delivery Switch
CN109945408A (zh) 空调投影显示时间的方法、空调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724413B2 (ja) 自動扉開閉装置の調整装置
KR102647651B1 (ko) 물고기 낚시용 릴
JP6820365B2 (ja) 散水システムにおける簡略化されたインタフェースおよび動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