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8984B1 - 모터코어의 마그네트 자동조립장치 - Google Patents

모터코어의 마그네트 자동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8984B1
KR102438984B1 KR1020210192262A KR20210192262A KR102438984B1 KR 102438984 B1 KR102438984 B1 KR 102438984B1 KR 1020210192262 A KR1020210192262 A KR 1020210192262A KR 20210192262 A KR20210192262 A KR 20210192262A KR 102438984 B1 KR102438984 B1 KR 102438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motor core
vertical
coupling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2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옥
김원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이
주식회사 고아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이, 주식회사 고아정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이
Priority to KR1020210192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9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02K15/03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having permanent magn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코어(100)에 형성되는 다 수개의 마그네트홈(102)에 마그네트(M)를 빠짐없이 자동으로 결합하기 위한 장치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체프레임(4) 상부에는 제어부에 의한 모터의 구동제어로 회전하는 회전원판(6)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원판(6)의 테두리 안쪽에는 다 수개의 모터코어 거치부(10)를 일정 간격으로 결합하여 모터코어(100)가 안착되게 하며, 회전원판(6)의 회전으로 모터코어(100)가 안착된 모터코어 거치부(10)를 마그네트 공급부(40)와 검사부(60)를 차례로 거치도록 함으로써 안착되는 모터코어(100)의 마그네트홈(102)에 마그네트(M)을 자동으로 결합하면서도 결합된 마그네트(M)의 결합상태를 검사하여 적합 또는 불량 판단 후 배출되게 하되,
상기 모터코어 거치부(10)는 회전원판(6)에 동심배열되는 관통홀(6a) 각각에 결합판체(11)를 매개로 안착대(13)를 축회전 가능하게 구성하되, 안착대(13)의 상부 중심에는 중심정렬대(13a)를 구성하고 그 외측에는 하나 이상의 측부정렬대(13b)를 구성하여 모터코어(100)의 중심홀(101)과 정렬홈(103)이 결합되게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모터코어(100)가 안착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안착대(13)의 하부에는 연결축대(13c)를 통하여 동력리시버(14)를 안착대(13)와 동시 회전되도록 구성하며,
회전원판(6)의 외측부에는 회전원판(6)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어오는 모터코어 거치부(10)에 올려져 있는 모터코어(100)에 마그네트(M)를 자동결합하기 위한 마그네트 공급부(40)를 구축하되, 마그네트 공급부(40)는 마그네트(M)를 수납 및 진동으로 하나씩 차례로 연속공급하는 파츠피더(Parts Feeder)(41) 및 공급레일(42)을 구비하고 이에 연결되는 수직낙하대(43)를 통하여 모터코어(100)의 마그네트홈(102)에 마그네트(M)를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하되, n개의 마그네트홈(102)들이 특정 패턴으로 형성되는 그룹(ex, Gr 1 내지 Gr 8)을 빙 돌아가며 배열되는 점을 감안하여 n개의 수직낙하대(43)를 마그네트홈(102)의 위치에 맞추어 결합되게 하여 n개씩 마그네트(M)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수직낙하대(43)의 하부에는 가이드(G)의 안내를 받아 상하로 이동하는 상하이동체(46)를 구비하고 상하이동체(46)에는 구동모터(48)에 의해 회전하는 동력서플라이(47)를 구성하여, 동력서플라이(47)의 상하 이동으로 상기 동력리시버(14)와 결합 및 결합해제되게 함으로써 동력서플라이(47)가 상승시에는 동력리시버(14)와 결합되어 동력리시버(14)와 같이 회전하는 안착대(13)를 회전제어함으로 안착대(13) 상부에 안착된 모터코어(100)에 n개씩 마그네트(M) 삽입 완료되면 [360°/그룹(Gr)의 수]에 해당하는 각도(θ)로 회전시켜 마그네트홈(102) 전체 그룹(Gr)에 대하여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마그네트(M) 삽입 완료 후에는 동력서플라이(47)의 하강으로 동력리시버(14)와 결합해지되어 회전원판(6)의 회전에 의해 안착대(13)를 포함하는 모터코어 거치부(10)가 회전되어 검사부(60)로 이동된 후 배출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모터코어의 마그네트 자동조립장치{MAGNET AUTOMATIC COMBINE APPARATUS OF MOTOR-CORE}
본 발명은 모터코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터코어에 마그네트을 자동으로 조립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터코어는 일반적으로 박편부재(낱장)를 적층하여 제조되는 것으로서 발전기나 모터의 회전자 및 고정자로 사용된다.
모터코어의 일 예로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형의 가운데는 중심홀(101)이 형성되고, 외측으로는 마그네트홈(102)이 빙 돌아가며 비교적 많은 배열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그네트홈(103)에는 마그네트(M)가 삽입되는데, 마그네트(M)가 정위치에 삽입 및 설치되어야 모터가 성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마그네트 삽입 작업시 수작업 하면 시간이 많이 걸려 효율성이 낮고 비용이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마그네트를 자동으로 삽입하는 공정을 자동화하는 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나 아직까지는 정교하지 못하고 모터코어를 이동과 정지및 마그네트 삽입의 과정이 반복하는 동안에 오차로 인해 불량률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2189352호“모터 코어용 마그네트 자동 삽입 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모터코어에 마그네트를 자동으로 삽입하고자 함에 있어서 보다 모터코어의 마그네트홈에 마그네트를 자동으로 보다 정교하게 삽입하고 불량여부를 체크 한 후 배출되게 하는 모터코어의 마그네트 자동조립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터코어(100)에 형성되는 다 수개의 마그네트홈(102)에 마그네트(M)를 빠짐없이 자동으로 결합하기 위한 장치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체프레임(4) 상부에는 제어부에 의한 모터의 구동제어로 회전하는 회전원판(6)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원판(6)의 테두리 안쪽에는 다 수개의 모터코어 거치부(10)를 일정 간격으로 결합하여 모터코어(100)가 안착되게 하며, 회전원판(6)의 회전으로 모터코어(100)가 안착된 모터코어 거치부(10)를 마그네트 공급부(40)와 검사부(60)를 차례로 거치도록 함으로써 안착되는 모터코어(100)의 마그네트홈(102)에 마그네트(M)을 자동으로 결합하면서도 결합된 마그네트(M)의 결합상태를 검사하여 적합 또는 불량 판단 후 배출되게 하되,
상기 모터코어 거치부(10)는 회전원판(6)에 동심배열되는 관통홀(6a) 각각에 결합판체(11)를 매개로 안착대(13)를 축회전 가능하게 구성하되, 안착대(13)의 상부 중심에는 중심정렬대(13a)를 구성하고 그 외측에는 하나 이상의 측부정렬대(13b)를 구성하여 모터코어(100)의 중심홀(101)과 정렬홈(103)이 결합되게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모터코어(100)가 안착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안착대(13)의 하부에는 연결축대(13c)를 통하여 동력리시버(14)를 안착대(13)와 동시 회전되도록 구성하며,
회전원판(6)의 외측부에는 회전원판(6)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어오는 모터코어 거치부(10)에 올려져 있는 모터코어(100)에 마그네트(M)를 자동결합하기 위한 마그네트 공급부(40)를 구축하되, 마그네트 공급부(40)는 마그네트(M)를 수납 및 진동으로 하나씩 차례로 연속공급하는 파츠피더(Parts Feeder)(41) 및 공급레일(42)을 구비하고 이에 연결되는 수직낙하대(43)를 통하여 모터코어(100)의 마그네트홈(102)에 마그네트(M)를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하되, n개의 마그네트홈(102)들이 특정 패턴으로 형성되는 그룹(ex, Gr 1 내지 Gr 8)을 빙 돌아가며 배열되는 점을 감안하여 n개의 수직낙하대(43)를 마그네트홈(102)의 위치에 맞추어 결합되게 하여 n개씩 마그네트(M)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수직낙하대(43)의 하부에는 가이드(G)의 안내를 받아 상하로 이동하는 상하이동체(46)를 구비하고 상하이동체(46)에는 구동모터(48)에 의해 회전하는 동력서플라이(47)를 구성하여, 동력서플라이(47)의 상하 이동으로 상기 동력리시버(14)와 결합 및 결합해제되게 함으로써 동력서플라이(47)가 상승시에는 동력리시버(14)와 결합되어 동력리시버(14)와 같이 회전하는 안착대(13)를 회전제어함으로 안착대(13) 상부에 안착된 모터코어(100)에 n개씩 마그네트(M) 삽입 완료되면 [360°/그룹(Gr)의 수]에 해당하는 각도(θ)로 회전시켜 마그네트홈(102) 전체 그룹(Gr)에 대하여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마그네트(M) 삽입 완료 후에는 동력서플라이(47)의 하강으로 동력리시버(14)와 결합해지되어 회전원판(6)의 회전에 의해 안착대(13)를 포함하는 모터코어 거치부(10)가 회전되어 검사부(60)로 이동된 후 배출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모터코어의 마그네트홈에 마그네트를 자동으로 보다 정교하게 삽입하고 불량여부를 체크까지 한 후 배출되게 함으로써 정상과 불량에 대하여 각기 다른 장소로 배출을 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모터코어의 마그네트 자동조립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도 2a 내지 도 2b)는 모터코어 거치부의 구성도,
도 3은 1차 다짐부의 구성도,
도 4(도 4a 내지 도 4e)는 마그네트 공급부의 구성도,
도 5는 모터코어 거치부의 구성도,
도 6은 검사부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모터코어(100)는 박편부재(낱장)이 적층되고 그 가운데에 중심홀(101)이 형성되며, 그 외측으로 정렬홈(103)들이 배열형성된다. 그리고 테리두 안쪽으로는 마그네트홈(102)들이 빙둘러 형성된다.
본 발명의 모터코어의 마그네트 자동조립장치(2)(이하 간단히 ‘자동조립장치’라고도 함)는 모터코어(100)에 형성되는 다 수개의 마그네트홈(102)에 마그네트(M)를 빠짐없이 자동으로 결합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자동조립장치(2)는 본체프레임(4) 상부에는 제어부에 의한 모터의 구동제어로 회전하는 회전원판(6)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원판(6)의 테두리 안쪽에는 다 수개의 모터코어 거치부(10)를 일정 간격으로 결합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8개의 모터코어 거치부(10)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결합된다.
모터코어 거치부(10)는 모터코어(100)가 안착되게 하는 것으로서 모터코어(100)가 안착되면 회전원판(6)의 회전으로 마그네트 공급부(40) 및 검사부(60)를 차례로 거치도록 함으로써 안착되는 모터코어(100)의 마그네트홈(102)에 마그네트(M)을 자동으로 결합하면서도 결합된 마그네트(M)의 결합상태를 검사하여 적합 또는 불량 판단 후 배출되게 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서는 마그네트 공급부(40) 및 검사부(60) 외에도 마그네트 공급부(40)의 전방 부분에는 1차 다짐부(30)를 구성하고, 마그네트 공급부(40)의 후방 부분에는 2차 다짐부(50)를 구성한다. 따라서 모터코어(100)가 모터코어 거치부(10)에 안착되면 회전원판(6)의 회전으로 1차 다짐부(30)→마그네트 공급부(40)→2차 다짐부(50)→검사부(60)를 차례로 거치게 되며 지속적인 회전원판(6)의 회전으로 검사부(60)를 이탈하면 배출된다.
본 발명에서 모터코어(100)의 공급은 모터코어 거치부(10)가 1차 다짐부(30)로 진입하기 이전 위치에서 공급되며, 모터코어(100)의 공급을 비롯한 배출은 별도의 장비(로봇팔)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모터코어 거치부(10)와 마그네트 공급부(40) 간의 연계작동이 큰 비중을 차지함에 따라 우선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도 2a 내지 도 2c)를 참고하면, 모터코어 거치부(10)는 회전원판(6)에 동심배열되는 관통홀(6a) 각각에 결합판체(11)를 매개로 안착대(13)를 축회전 가능토록 결합하여 안착대(13)의 상부에 모터코어(100)가 올려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안착대(13)의 상부 중심에는 중심정렬대(13a)를 구성하고 그 외측에는 하나 이상의 측부정렬대(13b)를 구성하여 모터코어(100)의 중심홀(101)과 정렬홈(103)이 결합되게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안착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안착대(13)의 하부에는 하부로 연장되는 연결축대(13c)를 통하여 동력리시버(14)를 결합하되 안착대(13)의 회전에 맞추어 동시에 회전되게 한다. 도 4a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동력리시버(14)는 차후 마그네트 공급부(40) 위치에 도착하면 동력서플라이(47)의 상승으로 서로 맞춤결합 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안착대(13)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며, 마그네트 공급부(40) 이탈시에는 동력서플라이(47)의 하강으로 결합이 해지되어 원활하게 이탈된다. 동력리시버(14)의 하단과 동력서플라이(47)의 상단 중 어느 일측에는 결합홀(14a)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타측에는 결합돌기(47a)를 형성하면 서로 맞춤결합이 보다 원활하게 된다.
도 2b를 참고하면, 상기 결합판체(11)는 최하단의 베이스판(11a)를 회전원판(6)의 관통홀(6a)에 대응시켜 결합고정하고, 베이스판(11a)의 상부에는 베이스판(11a)에 대하여 좌우로 소정 길이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토록 좌우이동체(11b)를 결합하고 좌우이동체(11b)의 상부에는 좌우이동체(11b)에 대하여 전후로 소정 길이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토록 전후이동체(11c)를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전후이동체(11c)에 안착대(13)를 회전가능토록 결합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마그네트 공급부(40)의 동력서플라이(47)의 상승으로 동력리시버(14)에 결합시 안착대(13)의 미세한 전후좌우 이동이 허락되게 하여 결합이 보다 안정적이고 정밀한 결합이 구현된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고하면, 모터코어 거치부(10)의 원형 안착대(13)는 외주벽 일측에 결합도크(13d)를 구비한다. 결합도크(13d)는 실린더(Cy)의 구동제어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는 회전방지작동대(16)와 선택적으로 밀착결합 되거나 결합해지 된다. 따라서 실린더(Cy)의 작동에 의해 안착대(13)는 회전가능과 회전방지 상태를 선택적으로 제어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마그네트 공급부(40)를 제외한 부분에서는 회전방지작동대(16)가 전방으로 전진하여 안착대(13)의 결합도크(13d)와 맞춤 결합된 상태가 되어 안착대(13)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안착대(13)가 정위치에 고정되게 한다.
아울러 마그네트 공급부(40)에 도착하면 회전방지작동대(16)는 후방으로 후퇴하여 안착대(13)의 결합도크(13d)와 분리(결합해지)되어 안착대(13)가 회전가능 상태가 되어 동력서플라이(47)의 회전제어로 회전되고, 모터코어(100)에 마그네트(M) 삽입 완료 후에는 다시 회전방지작동대(16)가 다시 전방으로 전진하여 결합도크(13d)와 결합되어 안착대(13)의 회전방지 상태로 전환되어 회전원판(6)의 회전에 의해 안착대(13)가 검사부(60)로 이동된다.
상기 안착대(13)의 결합도크(13d)와 회전방지작동대(16)의 접하는 부분은 서로 삼각형상의 경사면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하면 서로 간의 결합시 맞춤결합되어 안착대(13)의 미세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정위치로 자리잡게 된다.
다음으로 도 4(도 4a 내지 도 4e)를 참고하여 마그네트 공급부(4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마그네트 공급부(40)는 회전원판(6)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어오는 모터코어 거치부(10)에 올려져 있는 모터코어(100)에 마그네트(M)를 자동결합하기 위한 구성을 가진다.
도 4d에 도시되어 있듯이, 마그네트 공급부(40)는 마그네트(M)를 수납 및 진동으로 하나씩 차례로 연속공급하는 파츠피더(Parts Feeder)(41) 및 공급레일(42)을 구비하고 이에 연결되는 수직낙하대(43)를 결합하여 모터코어(100)의 마그네트홈(102)에 마그네트(M)를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도 4e를 참고하면, 모터코어(100)는 마그네트홈(102)이 일정한 규칙(패턴)을 가지고 연속적으로 배열되게 형성되는 점을 이용하여 마그네트(M)의 자동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현한다.
즉 n개의 마그네트홈(102)이 특정 패턴으로 형성되는 그룹(ex, Gr 1 내지 Gr 8)을 빙 돌아가며 배열되는 점을 감안하여 n개의 수직낙하대(43)를 마그네트홈(102)의 위치에 맞추어 결합되게 하여 n개씩 마그네트(M)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모터코어(100)는 3개씩의 마그네트홈(102)이 삼각형 모양의 패턴으로 그룹(Gr)을 이루며, 이러한 그룹(Gr)이 빙돌아가며 8개가 그룹(Gr 1)∼(Gr 8)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모터코어(100)를 기준으로 볼 때, 한 그룹(Gr)에 속하는 마그네트홈(102)이 3개이므로 3개의 수직낙하대(43-1)(43-2)(43-3)를 진입된 모터코어(100)의 3개의 마그네트홈(102)에 맞추어지는 위치에 결합고정한다. 이때 모터코어(100)의 크기가 작으면 같은 그룹(Gr)에 속하는 3개의 마그네트홈(102)에 3개의 수직낙하대(43-1)(43-2)(43-3)를 모두 위치시킬 공간이 부족할 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 그룹(Gr)에 속하는 마그네트홈(102)에 분산하여 위치시킨다.
도 4e를 참고하면, 3개의 수직낙하대(43-1)(43-2)(43-3) 각각은 동일한 자리에서 반복적으로 3개의 마그네트(M1)(M2)(M3)를 투입하는 임무를 한다. 즉 수직낙하대(43)에 도착한 안착대(13)는 그 자리에서 8개의 그룹(Gr 1)∼(Gr 8)에 준하여 (360°/8=45°)의 계산에 의하여 45°씩 총 8번 회전되며 그때마다 3개의 수직낙하대(43-1)(43-2)(43-3) 각각은 반복적으로 3개의 마그네트(M1)(M2)(M3)를 투입하는 작동을 하며 그 결과 안착부에 결합되어 있는 모터코어(100)의 마그네트홈(102)에 마그네트(M)의 삽입이 모두 완료된다.
도 4c 및 도 4d를 함께 참고하면, 상기 수직낙하대(43)는 상단 입구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1 수직통로(43a)와 제1 수직통로(43a)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연결되는 제2 수평통로(43b) 및 제2 수평통로(43b)의 단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제3 최종수직로(43c)로 구성하여 파츠피더(41)로부터 공급되는 마그네트(M)가 모터코어(100)를 향하여 순차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 수평통로(43b)의 내측에는 수평푸시대(44a)를 실린더(Cy)의 제어로 수평 이동되게 하여 제1 수직통로(43a)를 통하여 낙하된 마그네트(M)를 밀어 제3 최종수직로(43c)로 이동되게 한다. 그리고 제3 최종수직로(43c)의 상부에는 수직푸시대(44b)를 실린더의(Cy)의 제어로 수직 이동되게 하여 제3 최종수직로(43c)로 이동된 마그네트(M)를 하부로 밀어 모터코어(100)의 마그네트홈(102)에 끼워지도록 한다.
도 4a를 참고하면, 수직낙하대(43)의 하부에는 가이드(G)의 안내를 받아 실린더(Cy)의 제어로 상하로 이동하는 상하이동체(46)를 구비하고 상하이동체(46)에는 모터(48)에 의해 회전하는 동력서플라이(47)를 구성한다.
동력서플라이(47)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하로 이동되어 동력리시버(14)와 결합 및 결합해제되게 함으로써 동력서플라이(47)가 상승시에는 동력리시버(14)와 결합되어 동력리시버(14)와 같이 회전하는 안착대(13)를 회전제어한다. 따라서 안착대(13) 상부에 안착된 모터코어(100)에 n개씩 마그네트(M) 삽입되면 회전시켜 마그네트홈(102) 전체에 대하여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마그네트(M) 삽입 완료 후에는 동력서플라이(47)의 하강으로 동력리시버(14)와 결합해지되어 회전원판(6)의 회전에 의해 안착대(13)를 포함하는 모터코어 거치부(10)가 원활하게 회전되어 검사부(60)로 이동된 후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검사부(60)는 모터코어(100)의 마그네트홈(102)에 마그네트(M)의 삽입 유무를 판단하여 배출되게 하는 구성이다. 도 6을 참고하면, 검사부(60)는 가이드(G)의 안내를 받아 상하로 이동하는 상하이동체(61)를 구비하고 상하이동체(61)에는 원형의 지지대(63)를 결합하며, 상기 지지대(63)에는 터치식 감지센서(65)를 모터코어(100)의 각 마그네트홈(102)에 대응하도록 결합하여 구성된다.
검사부(60)는 회전원판(6)의 회전으로 마그네트 공급부(40)에서 이동되어 오면 상하이동체(61)가 하강하여 터치식 감지센서(65)가 모터코어 거치부(10)에 안착된 모터코어(100)의 마그네트홈(102)에 마그네트(M)의 삽입유무(불량여부)를 판단하여 후방으로 이동되게 한다. 불량여부 판단 후 모터코어(100) 배출시 별도의 장비(로봇팔)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로봇팔은 정상과 불량에 대하여 각기 다른 장소로 배출을 하게 된다. 감지센서(65)는 지지대(63)에 결합시 상하로 완충될 수 있도록 하여 마그네트홈(102)에 삽입된 마그네트(M)의 상부면에 접촉시 완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마그네트 공급부(40)의 전방 부분에는 1차 다짐부(30)를 구성하여 안착대(13)에 공급된 모터코어(100)를 눌러줌으로써 상부로 떠 있을 수 있는 모터코어(100)가 안착대(13) 상에 밀착 및 바람직하게 정렬되도록 한다. 그리고 마그네트 공급부(40)의 후방 부분에는 2차 다짐부(50)를 구성하여 모터코어(100)의 마그네트홈(102)에 삽입된 마그네트(M)를 다시 눌러주어 보다 삽입이 정밀하게 완료되게 한다.
도 3을 참고하면, 1차 다짐부(30)는 가이드(G)의 안내를 받아 상하로 이동하는 상하이동체(31)에 누름대(33)를 결합하여 상하이동체(31)의 하부 이동에 따라 누름대(33)가 안착대(13) 상의 모터코어(100)를 눌러줌으로써 모터코어(100)가 안착대(13)에 밀착결합이 되면서 모터코어(100)의 정렬홈(103)이 안착대(13)의 측부정렬대(13b)에 정밀하게 결합이 된다. 누름대(33)는 상하이동체(31)에 결합시 완충스프링(35)을 결합하여 누름대(33)가 모터코어(100)를 누를 때 무리한 힘이 가지지지 않도록 충격을 흡수하여 모터코어(100)를 보호토록 한다.
상하이동체(31)의 하부에는 마찬가지로 가이드(G)의 안내를 받아 상하로 이동하는 하부이동체(37)에 하부받침대(39)를 결합하여 하부이동체(37)의 상부 이동에 따라 하부받침대(39)가 동력리시버(14)의 하단면을 받침되게 함으로써 상기 누름대와 연합하여 안착대(13) 상에 모터코어(100) 정렬작업이 안정적이고 원활토록 한다.
도 5를 참고하면, 2차 다짐부(50)는 상기 1차 다짐부(30)와 비슷한 구조로서 가이드(G)의 안내를 받아 상하로 이동하는 상하이동체(51)에 누름대(53)를 결합하여 상하이동체(51)의 하부 이동에 따라 누름대(53)가 안착대(13) 상의 모터코어(100)를 눌러줌으로써 모터코어(100)의 마그네트홈(102)에 삽입된 마그네트(M)를 다시 눌러주어 보다 삽입이 정밀하게 완료되게 한다. 누름대(53)는 상하이동체(51)에 결합시 완충스프링(55)을 결합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모터코어의 마그네트 자동조립장치(2)의 진행과정 즉 모터코어(100)가 모터코어 거치부(10)에 안착되는 시점부터 회전원판(6)의 회전으로 1차 다짐부(30)→마그네트 공급부(40)→2차 다짐부(50)→검사부(60)를 차례로 거치게 되며 지속적인 회전원판(6)의 회전으로 검사부(60)를 지난 후 모터코어(100)를 배출하는 모든 과정은 제어부의 제어로 연속적이고 일사분란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배출된 모터코어(100)는 마그네트홈(102)에 삽입된 마그네트(M)의 더욱 견고한 결합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후속공정(사출몰딩)을 거치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2)--모터코어의 마그네트 자동조립장치
(4)--본체프레임 (6)--회전원판
(6a)--관통홀
(10)--모터코어 거치부 (11)--결합판체
(11a)--베이스판 (11a)--좌우이동체
(11c)--전후이동체 (13)--안착대
(13a)--중심정렬대 (13b)--측부정렬대
(13c)--연결축대 (13d)--결합도크
(14)--동력리시버 (14a)--결합홀
(16)--회전방지작동대
(30)--1차 다짐부 (31)--상하이동체
(33)--누름대 (35)--완충스프링
(37)--하부이동체 (39)--하부받침대
(40)--마그네트 공급부 (41)--파츠피더
(42)--공급레일 (43)--수직낙하대
(43a)--제1 수직통로 (43b)--제2 수평통로
(43c)--제3 최종수직로 (44a)--수평푸시대
(44b)--수직푸시대
(46)--상하이동체 (47)--동력서플라이
(47a)--결합돌부 (48)--모터
(50)--2차 다짐부 (51)--상하이동체
(53)--누름대 (55)--완충스프링
(60)--검사부 (61)--상하이동체
(63)--지지대 (65)--감지센서
(100)--모터코어 (101)--중심홀
(102)--홈 (103)--정렬홈
(M)--마그네트 (G)-가이드
(Cy)--실린더

Claims (6)

  1. 모터코어(100)에 형성되는 다 수개의 마그네트홈(102)에 마그네트(M)를 빠짐없이 자동으로 결합하기 위한 장치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체프레임(4) 상부에는 제어부에 의한 모터의 구동제어로 회전하는 회전원판(6)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원판(6)의 테두리 안쪽에는 다 수개의 모터코어 거치부(10)를 일정 간격으로 결합하여 모터코어(100)가 안착되게 하며, 회전원판(6)의 회전으로 모터코어(100)가 거치된 모터코어 거치부(10)를 마그네트 공급부(40)와 검사부(60)를 차례로 거치도록 함으로써 안착되는 모터코어(100)의 마그네트홈(102)에 마그네트(M)을 자동으로 결합하면서도 결합된 마그네트(M)의 결합상태를 검사하여 적합 또는 불량 판단 후 배출되게 하되,
    상기 모터코어 거치부(10)는 회전원판(6)에 동심배열되는 관통홀(6a) 각각에 결합판체(11)를 매개로 안착대(13)를 축회전 가능하게 구성하되, 안착대(13)의 상부 중심에는 중심정렬대(13a)를 구성하고 그 외측에는 하나 이상의 측부정렬대(13b)를 구성하여 모터코어(100)의 중심홀(101)과 정렬홈(103)이 결합되게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모터코어(100)가 안착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안착대(13)의 하부에는 연결축대(13c)를 통하여 동력리시버(14)를 안착대(13)와 동시 회전되도록 구성하며,
    회전원판(6)의 외측부에는 회전원판(6)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어오는 모터코어 거치부(10)에 올려져 있는 모터코어(100)에 마그네트(M)를 자동결합하기 위한 마그네트 공급부(40)를 구축하되, 마그네트 공급부(40)는 마그네트(M)를 수납 및 진동으로 하나씩 차례로 연속공급하는 파츠피더(Parts Feeder)(41) 및 공급레일(42)을 구비하고 이에 연결되는 수직낙하대(43)를 통하여 모터코어(100)의 마그네트홈(102)에 마그네트(M)를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하되, n개의 마그네트홈(102)들이 특정 패턴으로 형성되는 그룹(ex, Gr 1 내지 Gr 8)을 빙 돌아가며 배열되는 점을 감안하여 n개의 수직낙하대(43)를 마그네트홈(102)의 위치에 맞추어 결합되게 하여 n개씩 마그네트(M)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수직낙하대(43)의 하부에는 가이드(G)의 안내를 받아 실린더(Cy)의 제어로 상하로 이동하는 상하이동체(46)를 구비하고 상하이동체(46)에는 모터(48)에 의해 회전하는 동력서플라이(47)를 구성하여, 동력서플라이(47)의 상하 이동으로 상기 동력리시버(14)와 결합 및 결합해제되게 함으로써 동력서플라이(47)가 상승시에는 동력리시버(14)와 결합되어 동력리시버(14)와 같이 회전하는 안착대(13)를 회전제어함으로 안착대(13) 상부에 안착된 모터코어(100)에 n개씩 마그네트(M) 삽입 완료되면 회전시켜 마그네트홈(102) 전체 그룹(Gr)에 대하여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마그네트(M) 삽입 완료 후에는 동력서플라이(47)의 하강으로 동력리시버(14)와 결합해지되어 회전원판(6)의 회전에 의해 안착대(13)를 포함하는 모터코어 거치부(10)가 회전되어 검사부(60)로 이동되며,
    상기 검사부(60)는 가이드(G)의 안내를 받아 상하로 이동하는 상하이동체(61)를 구비하고 상하이동체(61)에는 원형의 지지대(63)를 결합하며, 상기 지지대(63)에는 터치식 감지센서(65)를 모터코어(100)의 각 마그네트홈(102)에 대응하도록 결합하여, 회전원판(6)의 회전으로 마그네트 공급부(40)에서 이동되어 온 모터코어 거치부(10)에 안착된 모터코어(100)의 마그네트홈(102)에 마그네트(M)의 삽입 유무를 판단하여 이동된 후 배출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코어의 마그네트 자동조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모터코어 거치부(10)의 원형 안착대(13)는 외주벽 일측에 결합도크(13d)를 구비하며, 결합도크(13d)는 실린더(Cy)의 구동제어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는 회전방지작동대(16)와 선택적으로 밀착결합 되거나 결합해지 되게 하여 실린더(Cy)의 작동에 의해 안착대(13)를 회전가능과 회전방지 상태를 선택적으로 제어되게 하여,
    안착대(13)가 마그네트 공급부(40)에 도착하면 회전방지작동대(16)는 후방으로 후퇴하여 안착대(13)의 결합도크(13d)와 분리(결합해지)되어 안착대(13)가 회전가능 상태가 되어 동력서플라이(47)의 회전제어로 회전되고, 모터코어(100)에 마그네트(M) 삽입 완료 후에는 다시 회전방지작동대(16)가 다시 전방으로 전진하여 결합도크(13d)와 결합되어 안착대(13)의 회전방지 상태로 전환되어 회전원판(6)의 회전에 의해 안착대(13)가 검사부(60)로 이동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코어의 마그네트 자동조립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모터코어 거치부(10)의 결합판체(11)는 최하단의 베이스판(11a)를 회전원판(6)의 관통홀(6a)에 대응시켜 결합고정하고, 베이스판(11a)의 상부에는 베이스판(11a)에 대하여 좌우로 소정 길이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토록 좌우이동체(11b)를 결합하고 좌우이동체(11b)의 상부에는 좌우이동체(11b)에 대하여 전후로 소정 길이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토록 전후이동체(11c)를 결합하며,
    상기 전후이동체(11c)에 안착대(13)를 회전가능토록 결합하고 안착대(13)의 하부 연결축대(13c) 하단에는 동력리시버(14)를 결합함으로써
    동력서플라이(47)의 상승으로 동력리시버(14)에 결합시 안착대(13)의 미세한 전후좌우 이동이 허락되게 하여 결합이 보다 안정적이고 정밀한 결합이 구현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코어의 마그네트 자동조립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마그네트 공급부(40)의 수직낙하대(43)는 상단 입구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1 수직통로(43a)와 제1 수직통로(43a)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연결되는 제2 수평통로(43b) 및 제2 수평통로(43b)의 단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제3 최종수직로(43c)로 구성하여 마그네트(M)가 모터코어(100)를 향하여 순차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제2 수평통로(43b)의 내측에는 수평푸시대(44a)를 실린더(Cy)의 제어로 수평 이동되게 하여 제1 수직통로(43a)를 통하여 낙하된 마그네트(M)를 밀어 제3 최종수직로(43c)로 이동되게 하고,
    제3 최종수직로(43c)의 상부에는 수직푸시대(44b)를 실린더(Cy)의 제어로 수직 이동되게 하여 제3 최종수직로(43c)로 이동된 마그네트(M)를 하부로 밀어 모터코어(100)의 마그네트홈(102)에 끼워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코어의 마그네트 자동조립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마그네트 공급부(40)의 전방 부분에는 1차 다짐부(30)를 구성하여 안착대(13)에 공급된 모터코어(100)를 눌러줌으로써 상부로 떠 있을 수 있는 모터코어(100)가 안착대(13) 상에 밀착 및 정렬되도록 하고,
    마그네트 공급부(40)의 후방 부분에는 2차 다짐부(50)를 구성하여 모터코어의 마그네트홈(102)에 삽입된 마그네트(M)를 다시 눌러주어 보다 삽입이 정밀하게 완료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코어의 마그네트 자동조립장치.
KR1020210192262A 2021-12-30 2021-12-30 모터코어의 마그네트 자동조립장치 KR102438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262A KR102438984B1 (ko) 2021-12-30 2021-12-30 모터코어의 마그네트 자동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262A KR102438984B1 (ko) 2021-12-30 2021-12-30 모터코어의 마그네트 자동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8984B1 true KR102438984B1 (ko) 2022-08-31

Family

ID=83061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2262A KR102438984B1 (ko) 2021-12-30 2021-12-30 모터코어의 마그네트 자동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9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14172A (zh) * 2022-11-23 2022-12-23 杭州泰尚机械有限公司 磁瓦涂胶后插入机构及其控制方法
KR102645008B1 (ko) * 2023-07-07 2024-03-08 주식회사 인텍오토메이션 마그넷 삽입기
KR102645002B1 (ko) * 2023-07-07 2024-03-08 주식회사 인텍오토메이션 마그넷 삽입 자동화 라인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230B1 (ko) * 2014-01-29 2015-03-10 주식회사 신영테크 모터 고정자의 조립 방법 및 장치
KR101972348B1 (ko) * 2018-06-20 2019-04-25 주식회사 갑우 모터용 로터 코어의 마그넷 삽입장치 및 방법
KR20190069235A (ko) * 2017-12-11 2019-06-19 삼진정밀(주) 스타트 모터의 고정자 부품 조립장치
KR101975386B1 (ko) * 2018-01-08 2019-09-10 주식회사 한화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의 검사 방법
KR102189352B1 (ko) 2020-06-22 2020-12-09 (주)위즈코리아 모터 코어용 마그네트 자동 삽입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230B1 (ko) * 2014-01-29 2015-03-10 주식회사 신영테크 모터 고정자의 조립 방법 및 장치
KR20190069235A (ko) * 2017-12-11 2019-06-19 삼진정밀(주) 스타트 모터의 고정자 부품 조립장치
KR101975386B1 (ko) * 2018-01-08 2019-09-10 주식회사 한화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의 검사 방법
KR101972348B1 (ko) * 2018-06-20 2019-04-25 주식회사 갑우 모터용 로터 코어의 마그넷 삽입장치 및 방법
KR102189352B1 (ko) 2020-06-22 2020-12-09 (주)위즈코리아 모터 코어용 마그네트 자동 삽입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14172A (zh) * 2022-11-23 2022-12-23 杭州泰尚机械有限公司 磁瓦涂胶后插入机构及其控制方法
KR102645008B1 (ko) * 2023-07-07 2024-03-08 주식회사 인텍오토메이션 마그넷 삽입기
KR102645002B1 (ko) * 2023-07-07 2024-03-08 주식회사 인텍오토메이션 마그넷 삽입 자동화 라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8984B1 (ko) 모터코어의 마그네트 자동조립장치
CN106736539B (zh) 用于组装静铁芯、弹簧、动铁芯、骨架的全自动装配机
CN105530509B (zh) 四工位摄像头模组多点参数自动检测设备
CN109175663B (zh) 一种单向阀自动装配设备
CN102248398A (zh) 一种弹子锁自动装配设备
CN210614402U (zh) 多工位芯片测试分选机
CN205629940U (zh) 一种摄像机自动化装配及调焦生产线
CN202174401U (zh) 一种弹子锁装配设备上的弹簧封弹安装装置
CN105834736A (zh) 一种摄像机自动化装配及调焦生产线
CN113182856B (zh) 一种齿轮轴分体的电机转子的自动组装机
CN112059581A (zh) 一种球体阀芯组装姿态调整机构
CN113071933A (zh) 频响曲线自动测试机
CN108435595A (zh) 电机线圈自动检验装置
CN108199074B (zh) 一种电池自动膜切线
CN112207560A (zh) 一种管状锁自动组装机
JPH0650350B2 (ja) 自動組立装置
CN217277778U (zh) 适用于多侧面同时检查的外观检查机
US7081076B2 (en) Device for automatically mounting and dismantling tools on a robot
CN113635047A (zh) 一种键盘组装机
CN109163945A (zh) 一种吸烟机检测系统
CN211426686U (zh) 四站式耐压测试机
JPS5834730A (ja) 多軸部品はめあい装置
KR101936876B1 (ko) 모터 케이스 검사장치
JP3528464B2 (ja) 弁ばね供給装置
CN217071424U (zh) 全自动磁片插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