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386B1 -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의 검사 방법 - Google Patents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의 검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386B1
KR101975386B1 KR1020180002232A KR20180002232A KR101975386B1 KR 101975386 B1 KR101975386 B1 KR 101975386B1 KR 1020180002232 A KR1020180002232 A KR 1020180002232A KR 20180002232 A KR20180002232 A KR 20180002232A KR 101975386 B1 KR101975386 B1 KR 101975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inertial
product
displacement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정주
천성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to KR1020180002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3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21/00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or devic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Abstract

본 발명은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의 검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몸체 내에 관성력에 의해 이동되는 제1관성 이동체와 제2관성 이동체가 구비되고, 제1관성 이동체와 제2관성 이동체가 노출되는 관성 이동체 노출면이 구비된 제품에서 제1관성 이동체와 제2관성 이동체의 하중 및 이동 변위를 측정하는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이며, 제품의 관성 이동체 노출면이 상부 측을 향하도록 제품이 안착되어 위치되는 검사용 안착부, 제1관성 이동체와 제2관성 이동체의 하중 및 이동 변위를 측정할 수 있는 제1하중 변위 검사부를 포함하여 2개의 관성 이동체에 대한 하중 및 이동 변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어 검사 시간을 단축시키고, 검사 정확도와 검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의 검사 방법{INSPECTION APPARATUS FOR PRODUCT HAVING INERTIA OBJECT AND INSPECTION METHOD FOR PRODUCT HAVING INERTIA OBJEC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의 검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적어도 2개의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에서 2개의 관성 이동체에 대한 하중 및 이동 변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의 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행체, 자동차 등과 같이 비행 또는 주행 중 관성이 발생되는 물체에는 관성력에 의해 비행 방향 또는 주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관성 이동체가 구비된 제품을 부품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관성 이동체가 구비된 제품은 실제 조립되어 설치되기 전에 관성력에 의해 관성 이동체가 기설정된 변위만큼 이동하는지 즉, 관성 이동체의 정상 작동 여부를 하중 변위 검사 장치를 통해 검사하는 과정을 거치고 있다.
종래의 하중 변위 검사 장치는 하나의 관성 이동체가 구비된 제품에서 관상 이동체에 관성력에 대응되는 하중을 가해 하중에 따른 이동변위를 측정하고 있다.
즉, 종래의 하중 변위 검사 장치는 하나의 검사용 가압구를 구비하여 적어도 2개의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에서 2개의 관성 이동체에 대한 하중 및 이동 변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하중 변위 검사 장치는 검사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하중 변위 검사 장치는 단순히 로드셀에 검사 대상인 관성 이동체가 구비된 제품을 안착된 상태에서 검사용 가압구를 하강시켜 관성 이동체를 가압하고 있어 검사 대상인 관성 이동체가 구비된 제품에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어 정확한 검사가 어렵고, 검사 중 검사용 가압구가 손상되는 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있었다.
선행특허 : 한국 특허공개 제2008-0081041호 '접촉 하중 측정 장치 및 검사 장치'(2008.09.05.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2개의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에서 2개의 관성 이동체에 대한 하중 및 이동 변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의 검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어도 2개의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에서 2개의 관성 이동체에 대한 하중 및 이동 변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의 검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어도 2개의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복수의 제품을 회전시키면서 순차적으로 검사시켜 검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의 검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는 몸체 내에 관성력에 의해 이동되는 제1관성 이동체와 제2관성 이동체가 구비되고, 제1관성 이동체와 제2관성 이동체가 노출되는 관성 이동체 노출면이 구비된 제품에서 제1관성 이동체와 제2관성 이동체의 하중 및 이동 변위를 측정하는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이며, 제품의 관성 이동체 노출면이 상부 측을 향하도록 제품이 안착되어 위치되는 검사용 안착부, 제1관성 이동체와 제2관성 이동체의 하중 및 이동 변위를 측정할 수 있는 제1하중 변위 검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은 몸체 내에 관성력에 의해 이동되며 상기 관성 이동체 노출면에 노출되는 제3관성 이동체와 제4관성 이동체가 더 구비되고, 본 발명에 따른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는 상기 제3관성 이동체와 상기 제4관성 이동체의 하중 및 이동 변위를 측정할 수 있는 제2하중 변위 검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 이동체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하중 변위 검사부는 승하강되어 상기 제1관성 이동체를 가압하는 제1검사용 프로브핀부재, 승하강되어 상기 제2관성 이동체를 가압하는 제2검사용 프로브핀부재, 상기 제1검사용 프로브핀부재와 상기 제2검사용 프로브핀부재를 승하강시키는 제1프로브 승하강기기, 상기 제1검사용 프로브핀부재와 상기 제2검사용 프로브핀부재로 상기 제1관성 이동체와 상기 제2관성 이동체를 각각 가압하는 하중값을 감지하는 제1하중감지부, 상기 제1검사용 프로브핀부재와 상기 제2검사용 프로브핀부재로 상기 제1관성 이동체와 상기 제2관성 이동체를 각각 가압할 때 상기 제1관성 이동체와 상기 제2관성 이동체의 이동 변위를 감지하는 제1이동변위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하중 변위 검사부는 승하강되어 제3관성 이동체를 가압하는 제3검사용 프로브핀부재, 승하강되어 제4관성 이동체를 가압하는 제4검사용 프로브핀부재, 상기 제3검사용 프로브핀부재와 상기 제4검사용 프로브핀부재를 승하강시키는 제2프로브 승하강기기, 상기 제3검사용 프로브핀부재와 상기 제4검사용 프로브핀부재로 상기 제3관성 이동체와 상기 제4관성 이동체를 각각 가압하는 하중값을 감지하는 제2하중감지부 및 상기 제1검사용 프로브핀부재와 상기 제2검사용 프로브핀부재로 상기 제1관성 이동체와 상기 제2관성 이동체를 각각 가압할 때 상기 제1관성 이동체와 상기 제2관성 이동체의 이동 변위를 감지하는 제2이동변위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관성 이동체와 상기 제4관성 이동체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된 관성 이동체이고, 상기 제1관성 이동체와 상기 제3관성 이동체는 관성력에 의해서만 이동되는 구조를 가지는 관성 이동체이며, 상기 제1하중 변위 검사부는 상기 제1검사용 프로브핀부재로 제1관성 이동체를 기설정된 하중값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관성 이동체의 이동 변위를 측정하고, 상기 제2검사용 프로브핀부재로 상기 제2관성 이동체를 기설정된 이동 변위만큼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검사용 프로브핀부재로 가해지는 하중값을 측정하여 검사하며, 상기 제2하중 변위 검사부는 상기 제3검사용 프로브핀부재로 상기 제3관성 이동체를 기설정된 하중값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3관성 이동체의 이동 변위를 측정하고, 상기 제4검사용 프로브핀부재로 상기 제4관성 이동체를 기설정된 이동 변위만큼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검사용 프로브핀부재로 가해지는 하중값을 측정하여 검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는 상기 제1하중 변위 검사부의 검사 위치에서 제품을 가압하여 제품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품 고정 지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검사용 안착부는 상부면에 관성 이동체 노출면이 상부 측을 향한 상태에서 제품의 하단부 측이 결합되어 안착되어 위치되는 것으로 상부면에 제품의 하단부 측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안착용 삽입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품 고정 지그부는 상기 검사용 안착부의 일측에 세워지는 지그 지지부, 제품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상기 지그 지지부에 결합되어 위치되는 가압 고정구, 상기 제1하중 변위 검사부의 검사 위치에서 상기 가압 고정구를 피스톤 로드로 밀어 가압하는 제1공압 실린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는 상기 제1하중 변위 검사부의 검사 위치에서 제품을 가압하여 제품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품 고정 지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검사용 안착부는 상부면에 관성 이동체 노출면이 상부 측을 향한 상태에서 제품의 하단부 측이 결합되어 안착되어 위치되는 것으로 상부면에 제품의 하단부 측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안착용 삽입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하중 변위 검사부와 상기 제2하중 변위 검사부의 검사 위치에서 제품을 가압하여 제품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품 고정 지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품 고정 지그부는 상기 검사용 안착부의 일측에 세워지는 지그 지지부, 제품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상기 지그 지지부에 결합되어 위치되는 가압 고정구, 상기 제1하중 변위 검사부의 검사 위치에서 상기 가압 고정구를 피스톤 로드로 밀어 가압하는 제1공압 실린더부 및 상기 제2하중 변위 검사부의 검사 위치에서 상기 가압 고정구를 피스톤 로드로 밀어 가압하는 제2공압 실린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는 상기 검사용 안착부의 상부면에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 청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는 상기 검사용 안착부의 상부면에 제품이 정위치로 안착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정위치 확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위치 확인부는 상기 검사용 안착부에 안착된 제품의 위치가 정위치가 정위치이거나 정위치가 아닌 경우 알림하는 알림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는 베이스 지지체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회전부에 의해 회전되고, 검사용 안착부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로 위치되는 회전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는 상기 검사용 안착부의 상부면에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 청소; 및 상기 검사용 안착부의 상부면에 제품이 정위치로 안착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정위치 확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판부재는 기설정된 각도로 구분되어 회전되어 상기 검사용 안착부가 제품이 안착되는 제품안착 위치, 제품 정위치 확인 위치, 제1하중 변위 검사위치, 제2하중 변위 검사위치, 검사완료 제품 배출위치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에어 청소부는 상기 제품 안착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베이스 지지체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정위치 확인부는 상기 제품 정위치 확인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베이스 지지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1하중 변위 검사부는 상기 제1하중 변위 검사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로 설치되고, 상기 제2하중 변위 검사부는 상기 제2하중 변위 검사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는 상기 검사용 안착부의 상부면에 제품의 안착 유무를 확인하여 검사용 안착부에 제품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가 작동되어 상기 회전판부재가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안착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검사용 안착부는 상부면에 관성 이동체 노출면이 상부 측을 향한 상태에서 제품의 하단부 측이 결합되어 안착되어 위치되는 것으로 상부면에 제품의 하단부 측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안착용 삽입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품 고정 지그부는 상기 검사용 안착부의 일측에 세워지는 지그 지지부, 제품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상기 지그 지지부에 결합되어 위치되는 가압 고정구, 상기 제1하중 변위 검사위치에서 상기 가압 고정구를 피스톤 로드로 밀어 가압하는 제1공압 실린더부 및 상기 제2하중 변위 검사위치에서 상기 가압 고정구를 피스톤 로드로 밀어 가압하는 제2공압 실린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의 검사 방법은 몸체 내에 관성력에 의해 이동되는 제1관성 이동체와 제2관성 이동체가 구비되고, 제1관성 이동체와 제2관성 이동체가 노출되는 관성 이동체 노출면이 구비된 제품에서 제1관성 이동체와 제2관성 이동체의 하중 및 이동 변위를 측정하는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의 검사 방법이며, 상기 제품을 검사용 안착부에 안착시키는 제품 안착단계, 상기 제품 안착단계에서 제품이 정위치로 안착되었는지 확인하는 정위치 확인단계 및 상기 정위치 확인단계를 거친 상기 제품의 상기 제1관성 이동체와 상기 제2관성 이동체의 하중 변위 값을 측정하는 제1하중 변위 검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품은 몸체 내에 관성력에 의해 이동되는 제3관성 이동체와 제4관성 이동체가 더 구비되고, 본 발명에 따른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의 검사 방법은 상기 제1하중 변위 검사단계 후 상기 제3관성 이동체와 상기 제4관성 이동체의 하중 변위 값을 측정하는 제2하중 변위 검사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관성 이동체와 상기 제4관성 이동체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된 관성 이동체이고, 상기 제1관성 이동체와 상기 제3관성 이동체는 관성력에 의해서만 이동되는 구조를 가지는 관성 이동체이며, 상기 제1하중 변위 검사단계는 제1검사용 프로브핀부재로 상기 제1관성 이동체를 기설정된 하중값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관성 이동체의 이동 변위를 측정하고, 제2검사용 프로브핀부재로 상기 제2관성 이동체를 기설정된 이동 변위만큼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검사용 프로브핀부재로 가해지는 하중값을 측정하여 검사하며, 상기 제2하중 변위 검사단계는 제3검사용 프로브핀부재로 상기 제3관성 이동체를 기설정된 하중값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3관성 이동체의 이동 변위를 측정하고, 제4검사용 프로브핀부재로 상기 제4관성 이동체를 기설정된 이동 변위만큼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4검사용 프로브핀부재로 가해지는 하중값을 측정하여 검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의 검사 방법은 상기 제2하중 변위 검사단계 후 상기 검사용 안착부에서 제품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제품 배출단계, 상기 제품 배출 단계 후 상기 검사용 안착부의 상면에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검사용 안착부 상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안착부 청소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구분되어 회전되는 회전판부재 상에 원주 방향으로 복수의 검사용 안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판부재의 회전에 의해 각각 상기 제품 안착단계, 상기 정위치 확인단계, 상기 제1하중 변위 검사단계, 제2하중 변위 검사단계, 제품 배출단계, 안착부 청소단계가 순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에서 2개의 관성 이동체에 대한 하중 및 이동 변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어 검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에서 2개의 관성 이동체에 대한 하중 및 이동 변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 검사 정확도와 검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복수의 제품을 회전시키면서 순차적으로 검사시켜 검사 시간을 더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을 검사 시 정위치에서 고정시킴으로써 검사 정확도와 신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검사용 핀부재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로 검사되는 검사대상인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에서 정위치 확인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에서 제품 고정 지그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에서 제1하중 변위 검사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에서 제2하중 변위 검사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로 검사되는 검사대상인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에서 검사 대상이 되는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10)은 몸체 내에 관성력에 의해 이동되는 제1관성 이동체(11)와 제2관성 이동체(12)가 구비되고, 제1관성 이동체(11)와 제2관성 이동체(12)가 노출되는 관성 이동체 노출면이 구비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10)은 몸체 내에 관성력에 의해 이동되며 관성 이동체 노출면에 노출되는 제3관성 이동체(13)와 제4관성 이동체(14)가 더 구비되고 제3관성 이동체(13)와 제4관성 이동체(14)는 관성 이동체 노출면에 제1관성 이동체(11) 및 제2관성 이동체(12)와 이격되어 노출되어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제2관성 이동체(12)와 제4관성 이동체(14)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된 관성 이동체이고, 제1관성 이동체(11)와 제3관성 이동체(13)는 관성력에 의해서만 이동되는 구조를 가지는 관성 이동체인 것을 일 예로 한다.
더 상세하게 검사 대상이되는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10)은 콘형상의 몸체를 가지며, 콘형상 몸체의 상부 측에 함몰된 형태의 함몰부가 구비되고, 함몰부의 바닥면이 제1관성 이동체(11), 제2관성 이동체(12), 제3관성 이동체(13)가 노출되는 관성 이동체 노출면이 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의 일 실시예는 검사 대상인 제품(10)의 관성 이동체 노출면이 상부 측을 향하도록 검사 대상인 제품(10)이 안착되어 위치되는 검사용 안착부(100), 제1관성 이동체(11)와 제2관성 이동체(12)의 하중 및 이동 변위를 측정할 수 있는 제1하중 변위 검사부(200)를 포함한다.
검사용 안착부(100)는 상부면에 관성 이동체 노출면이 상부 측을 향한 상태에서 제품(10)의 하단부 측이 결합되어 안착되어 위치되는 것으로 상부면에 제품(10)의 하단부 측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안착용 삽입부(110)가 구비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안착용 삽입부(110)는 링형태의 안착홈으로 형성되어 하단부 측이 원통형상을 가지는 제품(10)을 삽입시켜 안착하는 것을 일 예로 하며, 이외에도 제품(1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검사 대상이 대는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10)은 안착용 삽입부(110)에 일단부 측 즉, 하단부 측이 삽입되면서 세워져 관성 이동체 노출면이 상부를 향해 위치되되 지면과 나란하게 수평으로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안착용 삽입부(110)는 제품(10)의 몸체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는 베이스 지지체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검사용 안착부(100)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로 위치되는 회전판부재(400), 회전판부재(40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미도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스텝모터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구분하여 회전판부재(400)를 회전시키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이외에도 회전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공지의 회전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제1하중 변위 검사부(200)는 제품(10)의 관성 이동체 노출면 상부 측에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도록 베이스 지지체의 상부면에 고정 설치된다.
제1하중 변위 검사부(200)는 베이스 지지체의 상부면에 고정설치되어 회전판부재(400)의 회전으로 복수의 검사용 안착부(100)에 안착된 복수의 제품(10)을 순차적으로 검사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는 제3관성 이동체(13)와 제4관성 이동체(14)의 하중 및 이동 변위를 측정할 수 있는 제2하중 변위 검사부(300)를 더 포함한다.
제2하중 변위 검사부(300)는 베이스 지지체의 상부면에서 제1하중 변위 검사부(200)의 일 측에 위치되게 고정되어 설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제2하중 변위 검사부(300)는 회전판부재(400)의 회전 방향에서 제1하중 변위 검사부(200)의 다음에 위치하도록 제1하중 변위 검사부(200)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즉, 제1하중 변위 검사부(200)로 제품(10)의 제1관성 이동체(11)와 제2관성 이동체(12)의 하중 변위 검사가 완료된 후 제품(10)은 회전판부재(400)의 회전으로 제2하중 변위 검사부(300)의 하부 측에 위치되어 제3관성 이동체(13)와 제4관성 이동체(14)의 하중 변위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는 검사용 안착부(100)의 상부면에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 청소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 청소부(500)는 베이스 지지체 상부면에 설치되고, 검사용 안착부(100)에 제품(10)이 안착되기 전에 검사용 안착부(100)의 상부면으로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검사용 안착부(100)의 상부면에 이물질 등이 남아 있어 검사용 안착부(100)에 제품(10)이 정위치로 안착되는 것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한다.
검사용 안착부(100)의 상부면 더 상세하게는 안착용 삽입부(110) 내에 칩 등의 이물질이 위치되는 경우 제품(10)이 정위치로 안착되는 것을 방해하게 되고, 제품(10)이 정위치로 안착되지 못하는 경우 하중 변위 검사 시 검사 정확도 및 검사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고, 제1하중 변위 검사부(200)의 제1검사용 프로브핀부재(210)와 제2검사용 프로브핀부재(220), 제2하중 변위 검사부(300)의 제3검사용 프로브핀부재(310)와 제4검사용 프로브핀부재(320)가 변형되거나 손상될 수 있다.
이에 에어 청소부(500)는 검사용 안착부(100)에 제품(10)이 안착되기 전에 검사용 안착부(100)의 상부면으로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검사용 안착부(100)의 상부면에 남아 있는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검사용 안착부(100)에 제품(10)을 정위치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는 검사용 안착부(100)의 상부면에 제품(10)이 정위치로 안착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정위치 확인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는 검사용 안착부(100)의 상부면에 제품(10)의 안착 유무를 확인하여 검사용 안착부(100)에 제품(10)이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부가 작동되어 회전판부재(4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안착 감지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착 감지부(700)는 검사용 안착부(100)에 구비되어 검사용 안착부(100)에 제품(10)이 안착 여부를 확인하는 제품 감지센서, 제품 감지센서와 연결되어 회전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인가하는 신호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 감지부(700)는 검사용 안착부(100)가 제품안착 위치에서 제품(10)이 안착되는 것을 감지하여 검사용 안착부(100)에 안착되고, 검사가 완료된 제품(10)이 검사완료 제품 배출 위치에서 제품(10)이 배출된 것을 각각 확인한 상태에서 회전판부재(400)를 기설정된 각도만큼만 회전되도록 한다.
회전판부재(400)는 기설정된 각도로 구분되어 회전되어 검사용 안착부(100)가 제품(10)이 안착되는 제품안착 위치, 제품 정위치 확인 위치, 제1하중 변위 검사위치, 제2하중 변위 검사위치, 검사완료 제품 배출위치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즉, 회전판부재(400)의 상부면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된 복수의 검사용 안착부(100)는 회전판부재(400)의 회전에 따라 제품 안착위치, 제품 정위치 확인 위치, 제1하중 변위 검사위치, 제2하중 변위 검사위치, 검사완료 제품 배출 위치로 순차적으로 위치된다.
이에 복수의 검사용 안착부(100)에 안착된 제품(10)도 역시 회전판부재(400)의 회전에 따라 제품 안착위치, 제품 정위치 확인 위치, 제1하중 변위 검사위치, 제2하중 변위 검사위치, 검사완료 제품 배출 위치로 순차적으로 위치되게 된다.
그리고, 에어 청소부(500)는 제품 안착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로 베이스 지지체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정위치 확인부(600)는 제품 정위치 확인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로 베이스 지지체에 설치되고, 제1하중 변위 검사부(200)는 제1하중 변위 검사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로 설치되고, 제2하중 변위 검사부(300)는 제2하중 변위 검사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로 설치된다.
즉, 에어 청소부(500), 정위치 확인부(600), 제1하중 변위 검사부(200), 제2하중 변위 검사부(300)는 회전판부재(400)의 회전 방향에서 회전판부재(400)의 외측 둘레로 이격되게 순차적으로 위치되도록 베이스 지지체의 상부면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회전판부재(40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에어 청소부(500), 정위치 확인부(600), 제1하중 변위 검사부(200), 제2하중 변위 검사부(300)는 회전판부재(400)의 외측 둘레로 시계방향으로 이격되어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더 상세하게 에어 청소부(500)는 제품 안착위치에 대응되게 베이스 지지체에 설치되어 제품 안착위치에 위치된 검사용 안착부(100)의 상부면에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검사용 안착부(100)의 상부면에 남아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이물질이 제거된 검사용 안착부(100)의 상부에 제품(10)이 정위치로 안착되어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정위치 확인부(600)는 제품 정위치 확인 위치에 대응되게 베이스 지지체에 설치되어 제품 안착위치에서 검사용 안착부(100)에 안착된 제품(10)이 정위치로 위치되었는지 확인한 후 하중 변위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하중 변위 검사부(200)는 제1하중 변위 검사 위치에 대응되게 베이스 지지체에 설치되어 정위치 확인부(600)에서 정위치로 안착된 것이 확인된 제품(10)의 제1관성 이동체(11)와 제2관성 이동체(12)에 대한 하중 변위 검사를 수행한다.
또한, 제2하중 변위 검사부(300)는 제2하중 변위 검사 위치에 대응되게 베이스 지지체에 설치되어 제1하중 변위 검사부(200)로 검사된 제품(10)의 제3관성 이동체(13)와 제4관성 이동체(14)에 대한 하중 변위 검사를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하중 변위 검사부(200)와 제2하중 변위 검사부(300)로 측정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부(미도시)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패널부는 제1하중 변위 검사부(200)에서 검사되는 제1관성 이동체(11)에 대한 하중값과 변위값 및 제2관성 이동체(12)에 대한 하중값과 변위값, 제2하중 변위 검사부(300)에서 검사되는 제3관성 이동체(13)에 대한 하중값과 변위값 및 제4관성 이동체(14)에 대한 하중값과 변위값을 각각 구분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는 제1하중 변위 검사부(200)의 검사 위치에서 제품(10)을 가압하여 제품(1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품 고정 지그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품 고정 지그부(800)는 제품(10)을 향해 전후 이동되는 가압 고정구(820)를 구비하여 가압 고정부로 제품(10)을 가압하여 제품(10)의 위치를 견고히 고정시키고, 가압 고정구(820)로 제품(10)의 가압 상태를 해제하여 검사가 완료된 제품(10)을 검사용 안착부(100)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더 상세하게 제품 고정 지그부(800)는 검사용 안착부(100)의 일측에 세워지는 지그 지지부(810), 제품(10)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지그 지지부(810)에 결합되어 위치되는 가압 고정구(820), 제1하중 변위 검사부(200)의 검사 위치 즉, 제1하중 변위 검사 위치에서 가압 고정구(820)를 피스톤 로드로 밀어 가압하는 제1공압 실린더부(8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품 고정 지그부(800)는 제2하중 변위 검사부(300)의 검사 위치 즉, 제2하중 변위 검사 위치에서 가압 고정구(820)를 피스톤 로드로 밀어 가압하는 제2공압 실린더부(8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공압 실린더부(830)와 제2공압 실린더부(840)는 검사용 안착부(100)에 안착된 제품(10)을 향해 전진되어 돌출되는 피스톤 로드로 각각 가압 고정구(820)를 밀어 가압 고정구(820)가 안착용 삽입부(110)에 하단부 측이 삽입된 제품(10)의 일측면에 밀착되면서 가압함으로써 제품(10)의 위치를 각각 고정한다. 그리고, 제1공압 실린더부(830)와 제2공압 실린더부(840)는 피스톤 로드를 후퇴시켜 가압 고정구(820)에 가해졌던 가압력을 해제할 수 있다.
지그 지지부(810)와 가압 고정구(820)는 회전판부재(400)의 상부에 구비된 검사용 안착부(100)의 일측에 각각 구비되어 하나의 검사용 안착부(100)에 안착되는 제품(10)을 각각 개별적으로 밀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공압 실린더부(830)와 제2공압 실린더부(840)는 실린더 지지체에 의해 회전판부재(400)의 상부 측에서 제1하중 변위 검사 위치 및 제2하중 변위 검사 위치에 각각 대응되게 위치되어 회전판부재(400)에 의해 제1하중 변위 검사 위치 및 제2하중 변위 검사 위치에 위치되는 2개의 가압 고정구(820)만 각각 작동시켜 제1하중 변위 검사 위치 및 제2하중 변위 검사 위치에 위치된 2개의 제품(10)에 대한 위치를 고정시킨다.
제품 고정 지그부(800)는 제1하중 변위 검사부(200)와 제2하중 변위 검사부(300)에 의해 제품(10)의 제1관성 이동체(11), 제2관성 이동체(12), 제3관성 이동체(13), 제4관성 이동체(14)의 하중 변위를 각각 검사할 때 제품(10)의 위치를 견고히 고정시켜 하중 변위 검사 시 검사 정확도 및 검사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제1하중 변위 검사부(200)의 제1검사용 프로브핀부재(210)와 제2검사용 프로브핀부재(220), 제2하중 변위 검사부(300)의 제3검사용 프로브핀부재(310)와 제4검사용 프로브핀부재(320)에서 변형이나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에서 정위치 확인부(6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고, 정위치 확인부(600)는 복수의 광센서(610)로 제품(10)이 검사용 안착부(100)에 안착되어 정위치로 세워져 위치된 것을 확인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정위치 확인부(600)는 이외에도 제품(1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공지의 다른 센서들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정위치 확인부(600)는 검사용 안착부(100)에 안착된 제품(10)의 위치가 정위치가 정위치이거나 정위치가 아닌 경우 알림하는 알림부가 구비될 수 있다.
알림부는 스피커 등으로 경고음을 발생시켜 알림할 수도 있고, 램프 등을 점등시켜 알림할 수 있다.
일 예로 알림부는 검사용 안착부(100)에 안착된 제품(10)의 위치가 정위치인 경우 초록색 램프를 점등시키고, 검사용 안착부(100)에 안착된 제품(10)의 위치가 정위치가 아닌 경우 적색 램프를 점등시켜 알림할 수 있다.
정위치 확인부(600)는 제품(10)의 위치가 정위치가 아닌 경우 제품(10)이 검사용 안착부(100)에서 분리되어 제거될 수 있도록 하고, 정위치가 아닌 위치로 안착된 제품(10)이 검사용 안착부(100)에서 분리되어 제거되기 전까지 회전부의 작동이 정지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고, 불량 위치로 안착된 제품(10)이 검사용 안착부(100)에서 분리되는 것이 확인되면 회전부가 다시 정상적으로 작동되어 회전판부재(400)를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불량 위치로 안착된 제품(10)이 검사용 안착부(100)에서 분리되어 제거되는 것은 안착 감지부(700)를 통해 확인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에서 제품 고정 지그부(8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로써 도 4를 참고하면 제1공압 실린더부(830)는 제1하중 변위 검사부(200)의 검사 위치에 고정되게 위치되어 회전판부재(400)의 회전에 의해 제1하중 변위 검사부(200)의 검사 위치로 위치되는 지그 지지체에 결합된 가압 고정구(820)를 피스톤 로드로 가압 고정구(820)가 제품(10)의 일측을 밀도록 작동된다.
지그 지지체의 가압 고정구(820)는 제1하중 변위 검사 위치에서 제1공압 실린더부(830)의 피스톤 로드에 의해 밀려 안착용 삽입부(110)에 하단부 측이 삽입된 제품(10)의 일측면을 가압하면서 제품(10)의 위치를 고정한다.
즉, 제1공압 실린더부(830)는 제1하중 변위 검사 위치에서 제1하중 변위 검사부(200)로 제1관성 이동체(11)와 제2관성 이동체(12)의 하중 변위 검사가 완료될 때까지 가압 고정구(820)가 제품(10)을 가압하여 제품(10)의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1하중 변위 검사부(200)로 제1관성 이동체(11)와 제2관성 이동체(12)의 하중 변위 검사가 완료되면 제1공압 실린더부(830)는 피스톤 로드를 후퇴시켜 가압 고정구(820)에 가해졌던 가압력을 해제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공압 실린더부(840)의 작동은 제1공압 실린더부(830)의 작동원리와 동일하고, 제2하중 변위 검사 위치에서 제2하중 변위 검사부(300)로 제3관성 이동체(13)와 제4관성 이동체(14)의 하중 변위 검사가 완료될 때까지 가압 고정구(820)가 제품(10)을 가압하여 제품(10)의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하며, 제3관성 이동체(13)와 제4관성 이동체(14)의 하중 변위 검사가 완료되면 제2공압 실린더부(840)는 피스톤 로드를 후퇴시켜 가압 고정구(820)에 가해졌던 가압력을 해제함을 밝혀둔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에서 제1하중 변위 검사부(2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2 및 도 5를 참고하면 제1하중 변위 검사부(200)는 승하강되어 제1관성 이동체(11)를 가압하는 제1검사용 프로브핀부재(210), 승하강되어 제2관성 이동체(12)를 가압하는 제2검사용 프로브핀부재(220), 제1검사용 프로브핀부재(210)와 제2검사용 프로브핀부재(220)를 승하강시키는 제1프로브 승하강기기(230), 제1검사용 프로브핀부재(210)와 제2검사용 프로브핀부재(220)로 제1관성 이동체(11)와 제2관성 이동체(12)를 각각 가압하는 하중값을 감지하는 제1하중감지부(240), 제1검사용 프로브핀부재(210)와 제2검사용 프로브핀부재(220)로 제1관성 이동체(11)와 제2관성 이동체(12)를 각각 가압할 때 제1관성 이동체(11)와 제2관성 이동체(12)의 이동 변위를 감지하는 제1이동변위 감지부(250)를 포함한다.
제1프로브 승하강기기(230)는 제1검사용 프로브핀부재(210)와 제2검사용 프로브핀부재(220)를 각각 승하강하는 두개의 유압 실린더 또는 공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이외에도 공지의 승하강 구조체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제1이동변위 감지부(250)는 제1검사용 프로브핀부재(210)와 제2검사용 프로브핀부재(220)가 제1관성 이동체(11)와 제2관성 이동체(12)를 가압한 시점에서 제1관성 이동체(11)와 제2관성 이동체(12)의 이동변위 또는 제1검사용 프로브핀부재(210)와 제2검사용 프로브핀부재(220)의 하강 이동 거리를 통해 제1관성 이동체(11)와 제2관성 이동체(12)의 이동 변위를 측정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제1하중 변위 검사부(200)는 제1검사용 프로브핀부재(210)로 제1관성 이동체(11)를 기설정된 하중값으로 가압하고 제1관성 이동체(11)의 이동 변위를 측정하고, 제2검사용 프로브핀부재(220)로 제2관성 이동체(12)를 기설정된 이동 변위만큼 이동시킨 상태에서 제2검사용 프로브핀부재(220)로 가해지는 하중값을 측정하여 검사한다.
이는 관성력에 의해서만 이동되는 제1관성 이동체(11)의 이동변위를 측정하고,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된 제2관성 이동체(12)를 기설정된 이동변위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하중값 즉, 관성력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제1하중 변위 검사부(200)는 제1프로브 승하강기기(230)로 1차적으로 제1검사용 프로브부재를 하강시켜 제1관성 이동체(11)의 이동 변위를 측정하고, 제1관성 이동체(11)의 이동 변위 측정이 완료되면 2차적으로 제2검사용 프로브부재를 하강시켜 제2검사용 프로브핀부재(220)로 가해지는 하중값을 측정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에서 제2하중 변위 검사부(3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도 2 및 도 6을 참고하면 제2하중 변위 검사부(300)는 승하강되어 제3관성 이동체(13)를 가압하는 제3검사용 프로브핀부재(310), 승하강되어 제4관성 이동체(14)를 가압하는 제4검사용 프로브핀부재(320), 제3검사용 프로브핀부재(310)와 제4검사용 프로브핀부재(320)를 승하강시키는 제2프로브 승하강기기(330), 제3검사용 프로브핀부재(310)와 제4검사용 프로브핀부재(320)로 제3관성 이동체(13)와 제4관성 이동체(14)를 각각 가압하는 하중값을 감지하는 제2하중감지부(340), 제1검사용 프로브핀부재(210)와 제2검사용 프로브핀부재(220)로 제1관성 이동체(11)와 제2관성 이동체(12)를 각각 가압할 때 제1관성 이동체(11)와 제2관성 이동체(12)의 이동 변위를 감지하는 제2이동변위 감지부(350)를 포함한다.
제2프로브 승하강기기(330)는 제3검사용 프로브핀부재(310)와 제4검사용 프로브핀부재(320)를 각각 승하강하는 두개의 유압 실린더 또는 공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이외에도 공지의 승하강 구조체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제2이동변위 감지부(350)는 제3검사용 프로브핀부재(310)와 제4검사용 프로브핀부재(320)가 제3관성 이동체(13)와 제4관성 이동체(14)를 가압한 시점에서 제3관성 이동체(13)와 제4관성 이동체(14)의 이동변위 또는 제3검사용 프로브핀부재(310)와 제4검사용 프로브핀부재(320)의 하강 이동 거리를 통해 제3관성 이동체(13)와 제4관성 이동체(14)의 이동 변위를 측정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제2하중 변위 검사부(300)는 제3검사용 프로브핀부재(310)로 제3관성 이동체(13)를 기설정된 하중값으로 가압하고 제3관성 이동체(13)의 이동 변위를 측정하고, 제4검사용 프로브핀부재(320)로 제4관성 이동체(14)를 기설정된 이동 변위만큼 이동시킨 상태에서 제2검사용 프로브핀부재(220)로 가해지는 하중값을 측정하여 검사한다.
이는 관성력에 의해서만 이동되는 제1관성 이동체(11)의 이동변위를 측정하고,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된 제2관성 이동체(12)를 기설정된 이동변위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하중값 즉, 관성력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제2하중 변위 검사부(300)는 제2프로브 승하강기기(330)로 1차적으로 제3검사용 프로브부재를 하강시켜 제3관성 이동체(13)의 이동 변위를 측정하고, 제3관성 이동체(13)의 이동 변위 측정이 완료되면 2차적으로 제4검사용 프로브부재를 하강시켜 제4검사용 프로브핀부재(320)로 가해지는 하중값을 측정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한편, 제1하중 변위 검사부(200)와 제2하중 변위 검사부(300)에서 제1관성 이동체(11)와 제3관성 이동체(13)를 가압하는 기설정된 하중값, 기설정된 하중값에 의한 제1관성 이동체(11)의 이동변위 측정값과 제3관성 이동체(13)의 이동변위 측정값 및 제1하중 변위 검사부(200)와 제2하중 변위 검사부(300)에서 제2관성 이동체(12)와 제4관성 이동체(14)를 이동시킨 기설정된 이동 변위값, 제2관성 이동체(12)와 제4관성 이동체(14)가 기설정된 이동 변위량으롤 이동될 때 측정되는 제2관성 이동체(12)의 하중값 및 제4관성 이동체(14)의 하중값은 각각 디스플레이 패널부를 통해 화면으로 출력될 수 있음을 다시 한번 밝혀둔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의 사용 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도 7을 참고하면 회전판부재(400) 상의 복수의 검사용 안착부(100) 상에는 각각 검사 대상인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10)이 안착되고, 복수의 검사용 안착부(100) 상에 안착된 복수의 제품(10)은 회전판부재(40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면서 정위치 확인부(600), 제1하중 변위 검사부(200), 제2하중 변위 검사부(300)를 거쳐 제1하중 변위 검사부(200)에 의해 제1관성 이동체(11)와 제2관성 이동체(12)의 하중 변위 검사 및 제2하중 변위 검사부(300)에 의해 제3관성 이동체(13)와 제4관성 이동체(14)의 하중 변화 검사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에어 청소부(500), 정위치 확인부(600), 제1하중 변위 검사부(200), 제2하중 변위 검사부(300)는 회전판부재(400)의 외측 둘레로 회전 중심에서 기설정된 각도 차이를 두고 원주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회전판부재(400)는 기설정된 각도로 순차적으로 회전되고 정지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복수의 검사용 안착부(100)가 각각 에어 청소부(500), 정위치 확인부(600), 제1하중 변위 검사부(200), 제2하중 변위 검사부(300)를 거쳐 검사완료 배출 위치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검사용 안착부(100)는 회전판부재(400)가 기설정된 각도로 회전되면서 제품안착 위치, 제품 정위치 확인 위치, 제1하중 변위 검사위치, 제2하중 변위 검사위치, 검사완료 제품 배출위치로 순차적으로 위치되고, 제품안착 위치에서 에어 청소부(500)로 상부 측이 청소된 상태에서 제품(10)이 상부로 안착되고, 검사 완료 제품 배출위치에서 검사 완료된 제품(10)이 분리되어 배출된다.
즉, 검사용 안착부(100)는 검사 완료 제품 배출위치에서 검사 완료된 제품(10)이 분리되어 배출되어 비워진 후 제품안착 위치에서 에어 청소부(500)로 상부 측이 청소된 다음 새로운 검사 대상 제품(10)이 올려져 안착되게 되고, 제품안착 위치에서 안착된 검사 대상 제품(10)은 회전판부재(400)가 기설정된 각도로 회전되면서 정위치 확인부(600), 제1하중 변위 검사부(200), 제2하중 변위 검사부(300)를 거쳐 검사완료 배출 위치로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품용 검사 장치는 복수의 검사용 안착부(100) 상에 복수의 제품(10)을 안착시키고 회전판부재(400)의 회전에 의해 상기한 검사 과정을 순환시키는 구조로 하중 변위 검사의 검사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의 검사 방법은 몸체 내에 관성력에 의해 이동되는 제1관성 이동체(11)와 제2관성 이동체(12)가 구비되고, 제1관성 이동체(11)와 제2관성 이동체(12)가 노출되는 관성 이동체 노출면이 구비된 제품(10)에서 제1관성 이동체(11)와 제2관성 이동체(12)의 하중 및 이동 변위를 측정하는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의 검사 방법이며,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10)을 검사용 안착부(100)에 안착시키는 제품 안착단계, 제품 안착단계에서 제품(10)이 정위치로 안착되었는지 확인하는 정위치 확인단계, 정위치 확인단계를 거친 제품(10)의 제1관성 이동체(11)와 제2관성 이동체(12)의 하중 변위 값을 측정하는 제1하중 변위 검사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10)은 몸체 내에 관성력에 의해 이동되는 제3관성 이동체(13)와 제4관성 이동체(14)가 더 구비되고, 제1하중 변위 검사단계 후 제3관성 이동체(13)와 제4관성 이동체(14)의 하중 변위 값을 측정하는 제2하중 변위 검사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관성 이동체(12)와 제4관성 이동체(14)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된 관성 이동체이고, 제1관성 이동체(11)와 제3관성 이동체(13)는 관성력에 의해서만 이동되는 구조를 가지는 관성 이동체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제1하중 변위 검사단계는 제1검사용 프로브핀부재(210)로 제1관성 이동체(11)를 기설정된 하중값으로 가압하고 제1관성 이동체(11)의 이동 변위를 측정하고, 제2검사용 프로브핀부재(220)로 제2관성 이동체(12)를 기설정된 이동 변위만큼 이동시킨 상태에서 제2검사용 프로브핀부재(220)로 가해지는 하중값을 측정하여 검사한다.
제2하중 변위 검사단계는 제3검사용 프로브핀부재(310)로 제3관성 이동체(13)를 기설정된 하중값으로 가압하고 제3관성 이동체(13)의 이동 변위를 측정하고, 제4검사용 프로브핀부재(320)로 제4관성 이동체(14)를 기설정된 이동 변위만큼 이동시킨 상태에서 제2검사용 프로브핀부재(220)로 가해지는 하중값을 측정하여 검사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의 검사 방법은 제2하중 변위 검사단계 후 검사용 안착부(100)에서 제품(10)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제품 배출단계, 제품 배출 단계 후 검사용 안착부(100)의 상면에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검사용 안착부(100) 상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안착부 청소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의 검사 방법은 기설정된 각도로 구분되어 회전되는 회전판부재(400) 상에 원주 방향으로 복수의 검사용 안착부(100)가 구비되고, 회전판부재(400)의 회전에 의해 각각 제품 안착단계, 정위치 확인단계, 제1하중 변위 검사단계, 제2하중 변위 검사단계, 제품 배출단계, 안착부 청소단계가 순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10)에서 2개의 관성 이동체에 대한 하중 및 이동 변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어 검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10)에서 2개의 관성 이동체에 대한 하중 및 이동 변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 검사 정확도와 검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복수의 제품(10)을 회전시키면서 순차적으로 검사시켜 검사 시간을 더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10)을 검사 시 정위치에서 고정시킴으로써 검사 정확도와 신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검사용 핀부재의 손상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 : 제품 11 : 제1관성 이동체
12 : 제2관성 이동체 13 : 제3관성 이동체
14 : 제4관성 이동체 100 : 검사용 안착부
110 : 안착용 삽입부 200 : 제1하중 변위 검사부
210 : 제1검사용 프로브핀부재 220 : 제2검사용 프로브핀부재
230 : 제1프로브 승하강기기 240 : 제1하중감지부
250 : 제1이동변위 감지부 300 : 제2하중 변위 검사부
310 : 제3검사용 프로브핀부재 320 : 제4검사용 프로브핀부재
330 : 제2프로브 승하강기기 340 : 제2하중감지부
350 : 제2이동변위 감지부 400 : 회전판부재
410 : 베이스 지지체 500 : 에어 청소부
600 : 정위치 확인부 610 : 광센서
700 : 안착 감지부 800 : 제품 고정 지그부
810 : 지그 지지부 820 : 가압 고정구
830 : 제1공압 실린더부 840 : 제2공압 실린더부

Claims (19)

  1. 몸체 내에 관성력에 의해 이동되는 제1관성 이동체와 제2관성 이동체가 구비되고, 제1관성 이동체와 제2관성 이동체가 노출되는 관성 이동체 노출면이 구비된 제품에서 제1관성 이동체와 제2관성 이동체의 하중 및 이동 변위를 측정하는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이며,
    상기 관성 이동체 노출면이 상부 측을 향하도록 제품이 안착되어 위치되는 검사용 안착부; 및
    상기 제1관성 이동체와 제2관성 이동체의 하중 및 이동 변위를 측정할 수 있는 제1하중 변위 검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은 몸체 내에 관성력에 의해 이동되며 상기 관성 이동체 노출면에 노출되는 제3관성 이동체와 제4관성 이동체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3관성 이동체와 상기 제4관성 이동체의 하중 및 이동 변위를 측정할 수 있는 제2하중 변위 검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하중 변위 검사부는,
    승하강되어 상기 제1관성 이동체를 가압하는 제1검사용 프로브핀부재;
    승하강되어 상기 제2관성 이동체를 가압하는 제2검사용 프로브핀부재;
    상기 제1검사용 프로브핀부재와 상기 제2검사용 프로브핀부재를 승하강시키는 제1프로브 승하강기기;
    상기 제1검사용 프로브핀부재와 상기 제2검사용 프로브핀부재로 상기 제1관성 이동체와 상기 제2관성 이동체를 각각 가압하는 하중값을 감지하는 제1하중감지부;
    상기 제1검사용 프로브핀부재와 상기 제2검사용 프로브핀부재로 상기 제1관성 이동체와 상기 제2관성 이동체를 각각 가압할 때 상기 제1관성 이동체와 상기 제2관성 이동체의 이동 변위를 감지하는 제1이동변위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하중 변위 검사부는,
    승하강되어 제3관성 이동체를 가압하는 제3검사용 프로브핀부재;
    승하강되어 제4관성 이동체를 가압하는 제4검사용 프로브핀부재;
    상기 제3검사용 프로브핀부재와 상기 제4검사용 프로브핀부재를 승하강시키는 제2프로브 승하강기기;
    상기 제3검사용 프로브핀부재와 상기 제4검사용 프로브핀부재로 상기 제3관성 이동체와 상기 제4관성 이동체를 각각 가압하는 하중값을 감지하는 제2하중감지부; 및
    상기 제1검사용 프로브핀부재와 상기 제2검사용 프로브핀부재로 상기 제1관성 이동체와 상기 제2관성 이동체를 각각 가압할 때 상기 제1관성 이동체와 상기 제2관성 이동체의 이동 변위를 감지하는 제2이동변위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관성 이동체와 상기 제4관성 이동체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된 관성 이동체이고, 상기 제1관성 이동체와 상기 제3관성 이동체는 관성력에 의해서만 이동되는 구조를 가지는 관성 이동체이며,
    상기 제1하중 변위 검사부는 상기 제1검사용 프로브핀부재로 제1관성 이동체를 기설정된 하중값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관성 이동체의 이동 변위를 측정하고, 상기 제2검사용 프로브핀부재로 상기 제2관성 이동체를 기설정된 이동 변위만큼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검사용 프로브핀부재로 가해지는 하중값을 측정하여 검사하며,
    상기 제2하중 변위 검사부는 상기 제3검사용 프로브핀부재로 상기 제3관성 이동체를 기설정된 하중값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3관성 이동체의 이동 변위를 측정하고, 상기 제4검사용 프로브핀부재로 상기 제4관성 이동체를 기설정된 이동 변위만큼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검사용 프로브핀부재로 가해지는 하중값을 측정하여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하중 변위 검사부의 검사 위치에서 제품을 가압하여 제품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품 고정 지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검사용 안착부는 상부면에 관성 이동체 노출면이 상부 측을 향한 상태에서 제품의 하단부 측이 결합되어 안착되어 위치되는 것으로 상부면에 제품의 하단부 측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안착용 삽입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품 고정 지그부는,
    상기 검사용 안착부의 일측에 세워지는 지그 지지부;
    제품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상기 지그 지지부에 결합되어 위치되는 가압 고정구;
    상기 제1하중 변위 검사부의 검사 위치에서 상기 가압 고정구를 피스톤 로드로 밀어 가압하는 제1공압 실린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
  7. 삭제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은 몸체 내에 관성력에 의해 이동되며 상기 관성 이동체 노출면에 노출되는 제3관성 이동체와 제4관성 이동체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3관성 이동체와 상기 제4관성 이동체의 하중 및 이동 변위를 측정할 수 있는 제2하중 변위 검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검사용 안착부는 상부면에 관성 이동체 노출면이 상부 측을 향한 상태에서 제품의 하단부 측이 결합되어 안착되어 위치되는 것으로 상부면에 제품의 하단부 측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안착용 삽입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품 고정 지그부는,
    상기 검사용 안착부의 일측에 세워지는 지그 지지부;
    제품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상기 지그 지지부에 결합되어 위치되는 가압 고정구;
    상기 제1하중 변위 검사부의 검사 위치에서 상기 가압 고정구를 피스톤 로드로 밀어 가압하는 제1공압 실린더부; 및
    상기 제2하중 변위 검사부의 검사 위치에서 상기 가압 고정구를 피스톤 로드로 밀어 가압하는 제2공압 실린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사용 안착부의 상부면에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 청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사용 안착부의 상부면에 제품이 정위치로 안착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정위치 확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위치 확인부는 상기 검사용 안착부에 안착된 제품의 위치가 정위치가 정위치이거나 정위치가 아닌 경우 알림하는 알림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
  11. 청구항 2에 있어서,
    베이스 지지체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회전부에 의해 회전되고, 검사용 안착부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로 위치되는 회전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검사용 안착부의 상부면에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 청소부; 및
    상기 검사용 안착부의 상부면에 제품이 정위치로 안착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정위치 확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판부재는 기설정된 각도로 구분되어 회전되어 상기 검사용 안착부가 제품이 안착되는 제품안착 위치, 제품 정위치 확인 위치, 제1하중 변위 검사위치, 제2하중 변위 검사위치, 검사완료 제품 배출위치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에어 청소부는 상기 제품 안착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베이스 지지체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정위치 확인부는 상기 제품 정위치 확인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베이스 지지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1하중 변위 검사부는 상기 제1하중 변위 검사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로 설치되고, 상기 제2하중 변위 검사부는 상기 제2하중 변위 검사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검사용 안착부의 상부면에 제품의 안착 유무를 확인하여 검사용 안착부에 제품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가 작동되어 상기 회전판부재가 기설정된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안착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검사용 안착부는 상부면에 관성 이동체 노출면이 상부 측을 향한 상태에서 제품의 하단부 측이 결합되어 안착되어 위치되는 것으로 상부면에 제품의 하단부 측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안착용 삽입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하중 변위 검사부와 상기 제2하중 변위 검사부의 검사 위치에서 제품을 가압하여 제품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품 고정 지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품 고정 지그부는,
    상기 검사용 안착부의 일측에 세워지는 지그 지지부;
    제품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상기 지그 지지부에 결합되어 위치되는 가압 고정구;
    상기 제1하중 변위 검사위치에서 상기 가압 고정구를 피스톤 로드로 밀어 가압하는 제1공압 실린더부; 및
    상기 제2하중 변위 검사위치에서 상기 가압 고정구를 피스톤 로드로 밀어 가압하는 제2공압 실린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
  15. 몸체 내에 관성력에 의해 이동되는 제1관성 이동체와 제2관성 이동체가 구비되고, 제1관성 이동체와 제2관성 이동체가 노출되는 관성 이동체 노출면이 구비된 제품에서 제1관성 이동체와 제2관성 이동체의 하중 및 이동 변위를 측정하는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의 검사 방법이며,
    상기 제품을 검사용 안착부에 안착시키는 제품 안착단계;
    상기 제품 안착단계에서 제품이 정위치로 안착되었는지 확인하는 정위치 확인단계; 및
    상기 정위치 확인단계를 거친 상기 제품의 상기 제1관성 이동체와 상기 제2관성 이동체의 하중 변위 값을 측정하는 제1하중 변위 검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의 검사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몸체 내에 관성력에 의해 이동되는 제3관성 이동체와 제4관성 이동체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하중 변위 검사단계 후 상기 제3관성 이동체와 상기 제4관성 이동체의 하중 변위 값을 측정하는 제2하중 변위 검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의 검사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2관성 이동체와 상기 제4관성 이동체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된 관성 이동체이고, 상기 제1관성 이동체와 상기 제3관성 이동체는 관성력에 의해서만 이동되는 구조를 가지는 관성 이동체이며,
    상기 제1하중 변위 검사단계는 제1검사용 프로브핀부재로 상기 제1관성 이동체를 기설정된 하중값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관성 이동체의 이동 변위를 측정하고, 제2검사용 프로브핀부재로 상기 제2관성 이동체를 기설정된 이동 변위만큼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검사용 프로브핀부재로 가해지는 하중값을 측정하여 검사하며,
    상기 제2하중 변위 검사단계는 제3검사용 프로브핀부재로 상기 제3관성 이동체를 기설정된 하중값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3관성 이동체의 이동 변위를 측정하고, 제4검사용 프로브핀부재로 상기 제4관성 이동체를 기설정된 이동 변위만큼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4검사용 프로브핀부재로 가해지는 하중값을 측정하여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의 검사 방법.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2하중 변위 검사단계 후 상기 검사용 안착부에서 제품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제품 배출단계, 상기 제품 배출 단계 후 상기 검사용 안착부의 상면에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검사용 안착부 상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안착부 청소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의 검사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기설정된 각도로 구분되어 회전되는 회전판부재 상에 원주 방향으로 복수의 검사용 안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판부재의 회전에 의해 각각 상기 제품 안착단계, 상기 정위치 확인단계, 상기 제1하중 변위 검사단계, 제2하중 변위 검사단계, 제품 배출단계, 안착부 청소단계가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의 검사 방법.
KR1020180002232A 2018-01-08 2018-01-08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의 검사 방법 KR101975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232A KR101975386B1 (ko) 2018-01-08 2018-01-08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의 검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232A KR101975386B1 (ko) 2018-01-08 2018-01-08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의 검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386B1 true KR101975386B1 (ko) 2019-09-10

Family

ID=67950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232A KR101975386B1 (ko) 2018-01-08 2018-01-08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의 검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3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8984B1 (ko) * 2021-12-30 2022-08-31 주식회사 카이 모터코어의 마그네트 자동조립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0976A (ja) * 1995-12-19 1997-06-30 Akashi:Kk 非接着性液体式試料密着型硬さ試験機
JP2004053556A (ja) * 2002-07-24 2004-02-19 Kayaba Ind Co Ltd 疲労試験機およびその可変ゲイン校正方法
KR20080081041A (ko) 2004-08-02 2008-09-05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접촉 하중 측정 장치 및 검사 장치
JP2010216965A (ja) * 2009-03-16 2010-09-30 Toyota Technical Development Corp 挙動測定装置及び挙動測定方法
KR20110030013A (ko) * 2009-09-17 2011-03-23 대원강업주식회사 밸브 스프링의 복합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0976A (ja) * 1995-12-19 1997-06-30 Akashi:Kk 非接着性液体式試料密着型硬さ試験機
JP2004053556A (ja) * 2002-07-24 2004-02-19 Kayaba Ind Co Ltd 疲労試験機およびその可変ゲイン校正方法
KR20080081041A (ko) 2004-08-02 2008-09-05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접촉 하중 측정 장치 및 검사 장치
JP2010216965A (ja) * 2009-03-16 2010-09-30 Toyota Technical Development Corp 挙動測定装置及び挙動測定方法
KR20110030013A (ko) * 2009-09-17 2011-03-23 대원강업주식회사 밸브 스프링의 복합 검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8984B1 (ko) * 2021-12-30 2022-08-31 주식회사 카이 모터코어의 마그네트 자동조립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9682B1 (ko) 타이어 균일성 측정장치
US355044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pecting tires
KR101478122B1 (ko) 상용차량용 휠 허브 측정검사장치
US3698233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cured tires
KR101910634B1 (ko) 클러치 허브의 자동 검사장치
US11885715B2 (en) Method for checking tyres configured for overturning tyres perpendicular to a tyre rotation axis
KR101975386B1 (ko)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용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성 이동체를 구비한 제품의 검사 방법
CN114440782B (zh) 一种轴承游隙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104864833B (zh) 浮动检测装置
US3656343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cured tires
US96713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pecting cluster gears
KR101559237B1 (ko) 타이어 시험기
KR101729420B1 (ko) 타이어용 반제품의 점착력 측정 장치
KR101165516B1 (ko) 소형압축스프링의 하중검사장치
US7810388B2 (en) Tire testing facility
CN109477772A (zh) 用于检查轮胎的方法和设备
WO2004044543A1 (en) Wheel balancing system with integrated wheel lift, loaded mode testing, and wheel imaging system
CN115112563B (zh) 刹车盘检测设备
CN214503155U (zh) 一种吊耳轴负载强度测试装置
CN113109142A (zh) 一种吊耳轴负载强度测试装置及方法
KR20230142170A (ko) 핀 홀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JPH0351738A (ja) エンジンバルブ検査装置
DE102005032735B3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Prüfen eines Reifens
JP3672641B2 (ja) 変位検出のための基準位置設定装置
KR102540554B1 (ko) 인덱스형 검사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