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7824B1 - 인쇄 액체 공급부 - Google Patents

인쇄 액체 공급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7824B1
KR102437824B1 KR1020207029732A KR20207029732A KR102437824B1 KR 102437824 B1 KR102437824 B1 KR 102437824B1 KR 1020207029732 A KR1020207029732 A KR 1020207029732A KR 20207029732 A KR20207029732 A KR 20207029732A KR 102437824 B1 KR102437824 B1 KR 102437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ace
liquid
interface structure
dimension
key 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9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0436A (ko
Inventor
저드슨 엠 라이서
부스케츠 미켈 볼에다
베른드 카를스보크
데이비드 올슨
마이클 이 피터슈미트
린 에이 콜리
폴 알랜 오스본
웨슬리 알 샬크
로널드 제이 엔더
폴 마크 헤인즈
로저 제이 코로지예
스티브 에이 오하라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ublication of KR20200130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0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7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7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41J2/17523Ink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6Electrical contacts to the cartridge
    • B41J2/1753Details of contacts on the cartridge, e.g. protection of cont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43Cartridge presence detection or type identification
    • B41J2/17546Cartridge presence detection or type identification electro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96Ink pumps, ink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인쇄 시스템에 연결되는 인쇄 액체 공급 장치 또는 인터페이스 구조체는 액체 채널, 액체 인터페이스 및 집적 회로 접촉 패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쇄 액체 공급부
인쇄 액체 공급부는 인쇄 액체를 갖는 저장소를 포함한다. 인쇄 액체는 잉크와 같은 인쇄제, 또는 2차원(2D) 또는 3차원(3D) 인쇄 프로세스를 돕기 위한 임의의 작용제일 수 있다. 사용시에, 인쇄 액체는 공급부 하류의 인쇄 액체 분배 메커니즘에 제공되어야 한다. 인쇄 액체 분배 메커니즘은 보다 큰 2D 또는 3D 인쇄 시스템의 일부일 수 있다. 인쇄 시스템은 상이한 액체 유형의 공급부가 인쇄 액체 분배 메커니즘에 연결되고 교체될 수 있게 하는 복수의 수용 스테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단색 시스템과 같은 다른 인쇄 시스템은 단일의 수용 스테이션만을 포함한다.
도 1은 액체 공급 장치의 일 예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예시적인 액체 공급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예시적인 인쇄 액체 공급 장치의 일부의 측면도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4는 액체 공급 장치의 유사한 예의 평면도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5는 액체 공급 장치 및 대응하는 수용 스테이션의 복수의 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액체 공급 장치 및 대응하는 수용 스테이션의 복수의 예의 다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액체 공급 장치가 설치된 수용 스테이션의 일 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액체 공급 장치의 일 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8의 예시적인 액체 공급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인터페이스 구조체의 정면 가압 영역 및 액체 인터페이스의 일 예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11은 유체적 연결 이전 또는 이후의, 인터페이스 구조체 및 수용 스테이션의 일 예에 대한 횡단면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유체적 연결 동안, 인터페이스 구조체 및 수용 스테이션의 예에 대한 단면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용기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인터페이스 구조체의 일 예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인터페이스 구조체의 일 예에 대한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도 14의 인터페이스 구조체의 예시적인 가이드 슬롯에 대한 상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이전 도면들 중 일부의 예시적인 인터페이스 구조체의 상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수용 스테이션 내로 가압된 액체 공급 장치의 일 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7a 및 도 17b는 인터페이스 구조체의 각각의 가이드 특징부의 예들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18은 수용 스테이션 및 인터페이스 구조체 각각의 예시적인 후크 및 예시적인 고정 특징부를 나타내는 일 예의 단면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9는 용기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인터페이스 구조체의 일 예의 다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0은 예시적인 수용 스테이션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1은 유체적으로 연결된 상태의 예시적인 인터페이스 구조체 및 수용 스테이션에 대한 단면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2는 예시적인 액체 공급 장치의 단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3은 예시적인 액체 채널 및 그것의 액체 유동 경로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24는 예시적인 인터페이스 구조체의 단면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5는 도 24의 예시적인 인터페이스 구조체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26은 예시적인 인터페이스 구조체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7은 예시적인 키 펜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8은 예시적인 액체 공급 장치에 대한 단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9 내지 도 32는 상이한 회전 배향에 있어서의 예시적인 키 펜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33은 베이스 벽에 있는 베이스 구멍의 일 예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34는 예시적인 키 펜 베이스 부분의 단면도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35는 예시적인 키 펜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36은 다른 예시적인 키 펜의 단면 정면도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37은 키 펜의 일 예의 측면도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37a는 다른 예시적인 키 펜의 측면도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38은 다른 예시적인 키 펜의 정면도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39는 다른 예시적인 키 펜의 측면도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40은 공급 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키트(100)를 포함하는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40a는 예시적인 비-충전 저장소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41은 예시적인 액체 공급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2는 예시적인 액체 공급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43은 다른 예시적인 액체 공급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4는 다른 예시적인 액체 공급 장치의 측면도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45는 또 다른 예시적인 액체 공급 장치의 측면도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46은 복수의 예시적인 액체 공급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7은 예시적인 수용 스테이션 및 액체 공급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8은 다른 예시적인 인터페이스 구조체의 정면도(좌측) 및 측면도(우측)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49는 다른 예시적인 액체 공급 장치의 정면도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50은 또 다른 예시적인 액체 공급 장치의 정면도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50a는 또 다른 예시적인 액체 공급 장치의 정면도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50b는 또 다른 예시적인 액체 공급 장치의 정면도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50c는 또 다른 예시적인 액체 공급 장치의 정면도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51은 인터페이스 구조체 및 키 펜 구조체의 예들의 단면 평면도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52는 또 다른 예시적인 액체 공급 장치의 정면도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53은 도 52의 예시적인 액체 공급 장치의 측면도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54는 또 다른 예시적인 액체 공급 장치의 측면도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55는 도 54의 예시적인 액체 공급 장치의 정면도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56은 부분적으로 분해된 상태의 또 다른 예시적인 액체 공급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7은 조립된 상태의 도 56의 예시적인 액체 공급 장치의 다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8은 또 다른 예시적인 액체 공급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9는 대응하는 수용 스테이션 내에 설치되고 있는 도 58의 예시적인 액체 공급 장치의 사시도를 또한 도시한다.
도 60은 또 다른 예시적인 액체 공급 장치의 정면도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61은 예시적인 인쇄 시스템 및 대응하는 공급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2는 다른 예시적인 인쇄 시스템 및 대응하는 공급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3은 공급 장치의 일 예의 측면도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64는 인터페이스 구조체의 일 예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65는 도 64의 예시적인 인터페이스 구조체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66은 예시적인 수용 스테이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7은 각각의 프린터 하우징 쉘이 없는 도 66의 예시적인 수용 스테이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8은 예시적인 키잉 특징부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69는 예시적인 키 펜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70은 인터페이스 구조체 및 고정 요소의 일 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1은 예시적인 인터페이스 구조체 및 다른 예시적인 고정 요소의 단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는 인쇄 액체 공급 장치, 인쇄 액체 공급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구조체, 및 인쇄 액체 공급 장치 및 인터페이스 구조체의 구성요소를 다루고 있다. 작동시에, 본 개시의 인터페이스 구조체는 교체가능한 인쇄 공급 장치의 일부일 수 있고, 공급 장치의 내용물을 프린터와 같은 호스트 장치와 유체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인터페이스 구조체는 비교적 광범위한 상이한 액체 체적, 공급 유형 및 프린터 플랫폼과 연관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프린터 플랫폼은, 그 중에서도, 상이한 매체 유형, 매체 형식, 인쇄 속도 및/또는 액체 유형과 함께 작동하는 측면에서 상이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언급된 액체는 인쇄 액체일 수 있다. 인쇄 액체는 잉크 및 3D 인쇄제 및 억제제를 포함하여, 인쇄를 위한 모든 유형의 작용제일 수 있다. 인쇄 액체는 일정량의 가스 및/또는 고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주로 인쇄 관련 양태를 다루지만, 본 개시에서 논의된 특징 및 효과는 다른 유형의 호스트 장치와, 연결을 위한 다른 유형의 액체 공급 장치에 대해 작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인쇄 액체 공급 장치는 비교적 고속 또는 대형 인쇄 시스템과 연관될 수 있다. 공급 장치의 액체 저장소 체적은 약 50 ㎖(밀리리터) 이상, 약 90 ㎖ 이상, 약 100 ㎖ 이상, 약 200 ㎖ 이상, 약 250 ㎖ 이상, 약 400 ㎖ 이상, 약 500 ㎖ 이상, 약 700 ㎖ 이상, 또는 약 1 L(리터) 이상일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공급 장치는 보다 큰 액체 체적, 예컨대 1 L 이상, 2 L 이상 또는 5 L 이상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공급 장치의 저장소 체적은 광범위한 체적 내에서 조정될 수 있다. 동일한 인터페이스 구조체 및 동일한 수용 스테이션은 광범위한 체적과 연관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공급부는 상이한 인쇄 시스템 플랫폼에 대해 유사한 수용 스테이션 구성요소를 사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다 소형 및 보다 대형 프린터 모두, 또는 2D 및 3D 프린터 모두에는 본 개시의 인터페이스 구조체와 접속하기 위해 유사한 수용 스테이션이 구비될 수 있다. 이것은 비교적 넓은 제품 범위에 걸쳐 고객 맞춤화(customization)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는 결국 비용 관리, 효율성 등을 허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예시적인 인터페이스 구조체 및 공급 장치는 내부 액체 체적에 관계없이, 수용 스테이션에 대한 공급 장치의 비교적 용이한 장착 및 분리를 촉진한다. 또 다른 예에서, 비교적 친환경적인 공급 장치가 제공된다.
본 개시에서, "약" 또는 "적어도 약"은 "정확하게" 뿐만 아니라, 약간의 적절한 마진(margin)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약 23 ㎜(밀리미터)를 언급하는 경우, 이것은 예를 들어 23 ㎜보다 0.5 ㎜ 크거나 작은 것과 같은 특정 마진을 포함할 수 있지만, 정확하게 23 ㎜도 포함하여야 한다.
본 개시에서, 특정 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면은 특징의 특정 조합을 도시하지만, 별도로 도시되지 않은 특징의 하위 조합도 이들 도면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특징, 마진, 범위, 대안, 상이한 특징, 및/또는 특정 특징의 생략 또는 추가의 특정 하위 조합이 유용하게 참조되는 경우, 도면은 참조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인쇄 액체 공급 장치(1)의 일 예의 측면도 및 정면도의 다이어그램을 각각 도시한다. 인쇄 액체 공급 장치(1)는 인쇄 액체를 유지하기 위한 용기(3)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용기(3)는 액체를 유지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절첩가능한 저장소(collapsible reservoir)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용기(3)는 저장소를 지지 및/또는 보호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저장소 주위에 박스 또는 트레이와 같은 지지 구조체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추가 저장소 또는 지지 구조체를 언급함이 없이, 용기는 적어도 저장소를 포함한다.
충전된 상태에서, 용기(3)는 직사각형 외벽 및 외벽을 연결하는 날카롭거나 둥근 에지를 갖는 실질적으로 입방체 외형을 가질 수 있다. 용기(3)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에서, 용기(3)는 액체의 인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절첩하도록 구성된 절첩가능한 백을 포함한다. 도시된 다이어그램에서, 용기(3)는 팽창된 상태, 예를 들어 충전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일 예에서, 용기(3)에는 발포체와 같은 별도의 액체 보유 재료가 없다. 용기(3)는 인쇄 액체가 액체 보유 용적부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공급 장치(1)는 예를 들어 용기(3)의 내부 액체 용적부와, 프린터와 같은 추가 호스트 장치 사이의 액체적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구조체(5)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구조체(5)는 용기(3)로부터 수용 스테이션으로 액체를 공급하는 적어도 액체 스루풋부(liquid throughput)(11)를 포함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부 예들에서, 액체는 특정 시기 동안에, 예를 들어 특정 압력 변화로 인해, 또는 단일 액체 스루풋 채널을 통해 또는 동일한 인터페이스 구조체(5)의 다수의 스루풋 채널을 통해, 용기 내의 액체를 혼합 또는 순환시키기 위해, 용기(3)로 다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에서, 2D 또는 3D 프린터와 같은 호스트 장치는 인터페이스 구조체(5)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스테이션(7)을 포함한다. 수용 스테이션(7)은 호스트 장치의 고정되거나 교환가능한 부분일 수 있다. 도 1의 다이어그램은 액체 바늘(9)을 포함하는 수용 스테이션(7)의 일부를 도시한다. 본 개시에서, 액체 바늘(9)은 공급 장치의 유체 인터페이스 내로 삽입하기 위한 임의의 유체 바늘 또는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 바늘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바늘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바늘 이외의 액체 인터페이스를 갖는 다른 유형의 수용 스테이션이 사용될 수 있다. 수용 스테이션의 다른 유형의 유체 인터페이스는 타워, 공급측 바늘을 수용하기 위한 격막(septum)을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스루풋부(11)는 프린터측 액체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예시적인 공급 장치(1)는 수용 스테이션(7)에 대해 설치 및 제거되어야 한다. 인터페이스 구조체(5)는 수용 스테이션(7)에 대해 장착 및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일 예에서, 인터페이스 구조체(5)는 수용 스테이션(7)에 대해 비교적 사용자 친화적인 삽입 및 방출을 위해 구성된다.
인터페이스 구조체(5)는 수용 스테이션과 상호 작용하는 복수의 인터페이스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이한 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특징부는 액체 인터페이스(15), 데이터 처리 특징부, 데이터 연결 특징부, 안내 및 정렬 특징부, 수용 스테이션 구성요소에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작동 특징부, 고정 특징부, 키 특징부(key featur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인터페이스 구조체(5)는, 적어도 일부가 용기(3)에 연결되고 그로부터 돌출되는 단일 성형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구조체(5)는 또한, 운송 전에 용기(3)를 액체로 충전한 후에, 운송 및 보관 동안 용기(3)를 밀봉하기 위해 용기(3)를 위한 별도의 캡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용기(3) 및 인터페이스 구조체(5)는 수직 기준 축(y, x, z)에 평행하게 각각 연장되는 각자의 제 1 치수(D1, d1), 제 2 치수(D2, d2) 및 제 3 치수(D3, d3)를 각각 갖는다. 본 개시에서, 용기 치수(D1, D2 , D3)는 (i) 용기(3)가 연장되는 각각의 기준 축(y, x, z)에 평행한 축과, (ii) 상기 축을 따른 용기 체적의 크기를 나타낸다. 본 개시에서, 인터페이스 치수(d1, d2, d3)는 (i) 각각의 기준 축(y, x, z)에 평행한 축과, (ii) 상기 축을 따른 인터페이스 구조체(5)의 인터페이스 프로파일의 크기를 나타내며, 여기서 인터페이스 프로파일은 수용 스테이션과 접속하는 인터페이스 구조체(5)의 부분이다. 인터페이스 구조체(5)의 인터페이스 프로파일 또는 제 1 치수(d1)는 수용 스테이션(7)과 접속하는 인터페이스 구조체(5)의 인터페이스 구성요소의 스팬(span)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구조체는, 예를 들어 용기(3)에 연결되고, 그리고/또는 용기(3)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 프로파일의 외부에 있는 인터페이스 치수(d1, d2, d3) 밖으로 돌출되는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치수(D1, d1), 제 2 치수(D2, d2) 및 제 3 치수(D3, d3) 각각은 용기(3) 또는 인터페이스 구조체(5)의 배향에 따라, 높이, 길이 및 폭 각각을 지칭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의 도시된 예에서, 제 1 치수(D1, d1)는 용기(3) 및 인터페이스 구조체(5) 각각의 높이를 나타내고, 제 2 치수(D2, d2)는 길이를 나타내며, 제 3 치수(D3, d3)는 폭을 나타낸다. 당업자가 이해하는 바와 같이, 상이한 경우 및 상황에서, 수용 스테이션(7) 및 공급 장치(1)는 상이한 구성 및 배향을 가질 수 있으며, 그것은 본 개시가 특정 특징부 및 그것의 상대적 위치, 치수 및 배향을 설명할 때 "치수" 또는 특정의 평행한 "방향" 또는 "축"을 언급하는 이유이다.
반면에, 명확화의 이유로, 본 개시는 때때로 "평면도", "측면도", "정면도", "배면", "하면", "정면", "상면", "측면", "폭 ", "높이", "길이", "측방향", "원위" 등과 같은 보다 방향-의존적인 언어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이것은 달리 설명되지 않는 한, 각각의 특징부를 특정 배향으로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명확화를 위한 의도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을 나타내기 위해, 절첩되는 백 유형 저장소를 갖는 특정 액체 공급 장치는 절첩되는 백 유형 저장소의 성질로 인해 임의의 방향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인터페이스 구조체는 용기로부터 임의의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대응적으로, 용기의 돌출 부분은 임의의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 구조체는 임의의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용기 하면"은 해당 용기가 본 개시의 일부 예시와 비교하여 거꾸로 배치되거나 장착되지만 이것이 공급 장치 또는 인터페이스 구조체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경우에 용기의 상면에 배향될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도면에 도시된 수평 방향에 대해 용기가 90° 회전되는 경우, 인터페이스 구조체 또는 용기의 정면은 설치된 상태에서 하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앞서 설명한 축, 방향 및 치수(d1, D1, d2, D2, d3, D3)와 유사한, 특정 형상, 상대 위치, 치수, 크기, 배향 등을 설명하기 위한 기준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가상 기준 평면, 가상 평면, 또는 평면을 언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구조체(5)는 용기(3)로부터 외향으로 제 1 치수(D1, d1)의 방향을 따라 돌출된다. 예시에서, 인터페이스 구조체(5)는 제 2 및 제 3 용기 치수(D2, D3)에 평행한 용기 측면(13)으로부터 돌출된다. 도시된 예에서, 인터페이스 구조체(5)는 하부 벽에 의해 한정된 용기(3)의 하면(13)으로부터 돌출된다.
다른 예에서, 인터페이스 구조체(5)는 용기(3)의 측면, 정면, 배면 또는 상면 중 하나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이한 예에서, 공급 장치(1)는 프린터 설치 또는 보관 상태에서 상이한 배향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인터페이스 구조체(5)는 하향, 상향, 측방 등의 임의의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제 1 치수(D1, d1)는 대응하는 방향일 수 있다.
도시된 인터페이스 구조체(5)는 제 1 치수(D1, d1)의 방향을 따라 용기(3)의 외벽(13)에 대해 외향으로 돌출되고, 그에 따라 공급 장치(1)의 총 제 1 치수(D1+d1)는 대략적으로 용기(3) 및 인터페이스 구조체(5)의 2개의 제 1 치수(D1, d1)의 합이 될 수 있다. 용기(3)의 제 1 치수(D1)는 해당 제 1 치수(D1)를 따른 대향 벽들 사이의 거리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 구조체(5)의 제 1 치수(d1)는 상기 제 1 치수(d1)를 따른 인터페이스 구조체(5)의 돌출 부분의 대향 양 측면 사이의 거리일 수 있다. 특정 예에서, 인터페이스 구조체(5)는 비교적 낮은 프로파일을 가지면, 비교적 낮은 프로파일 내에서 다수의 인터페이스 구성요소가 연장된다.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는 제 1 용기 치수(D1)의 절반보다 작거나, 제 1 용기 치수(D1)의 1/3, 1/4, 1/5 또는 1/6보다 작을 수 있다.
인터페이스 구조체(5)는 용기를 수용 스테이션에 유체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액체 스루풋부(11)를 포함한다. 액체 스루풋부(11)는 설치된 상태에서 용기(3)의 내부 용적부를 수용 스테이션(7)과 유체적으로 연결하는 액체 채널(17)을 더 포함한다. 액체 채널(17)은 도 1의 예에서 유체 바늘(9)에 의해 구현된, 수용 스테이션(7)의 대응 액체 입력 인터페이스와 유체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액체 인터페이스(15)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액체 인터페이스(15)는 유체 바늘(9)을 수용 및 밀봉하기 위한 시일을 포함한다. 액체 채널(17)은 적어도 하나의 중심축(C21 및/또는 C29)을 중심으로 그것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액체 채널 벽, 예를 들어 원통형 또는 다른 방식으로 둥근 채널 벽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액체 채널(17)은 바늘 수용 채널 부분(21) 및 저장소 연결 채널 부분(29)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그 사이에 만곡된 중간 액체 채널 부분(19)을 가질 수 있다.
바늘 수용 채널 부분(21)은 바늘 삽입 방향(NI), 및 바늘 삽입 방향(NI)과 반대인 메인 액체 유동 방향(DL)을 따라 연장된다. 바늘 수용 채널 부분(21), 인터페이스(15) 및 시일의 중심축(C21)은 바늘 삽입 방향(NI), 및 바늘 삽입 방향(NI)과 반대인 메인 액체 유동 방향(DL)을 따라 연장된다. 바늘 수용 채널 부분(21)의 중심축(C21)은 바늘(9)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바늘 삽입 방향(NI)을 따라 비교적 직선일 수 있다. 도면에서, 중심축(G21), 메인 액체 유동 방향(DL) 및 바늘 삽입 방향(NI)이 일렬로 연장되어 있다.
저장소 연결 액체 채널 부분(29)은 저장소 연결 액체 채널 부분(29)의 중심축(C29)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 또는 인터페이스 구조체(5)의 돌출 방향에 대략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바늘 수용 채널 부분(21) 및 저장소 연결 채널 부분(29)의 중심축(C21, C29)은 서로에 대해 소정 각도로, 예를 들어 대략 직각으로 연장된다.
액체 채널(17)은 바늘 수용 채널 부분(21)과 저장소 연결 채널 부분(29) 사이에 중간 채널 부분(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중간 채널 부분(19)은 바늘 수용 채널 부분(21)과 저장소 연결 채널 부분(29) 사이의 채널(17)을, 예를 들어 곡선 형태로 굴곡시켜서 액체 인터페이스(15)를 용기(3)의 내부 용적부에 연결시킬 수 있다. 중간 채널 부분(19)은 바늘 수용 액체 채널 부분(21)과 저장소 연결 액체 채널 부분(29) 사이의 만곡 및 오프셋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시일(20) 및 바늘 수용 채널 부분(21)을 포함하여, 액체 채널(17) 및 인터페이스(15)는 인터페이스 구조체(5)로부터의 도시된 메인 액체 유동 방향(DL) 및 인터페이스 구조체(5) 내로의 바늘 삽입 방향(NI)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바늘 수용 액체 채널 부분(17) 및 액체 인터페이스(15)의 메인 액체 유동 방향(DL)은 인터페이스 정면(54)으로부터 직선으로, 예를 들어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 및/또는 제 2 용기 치수(D2)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바늘 삽입 방향(NI)은 인터페이스 정면(54) 내로 직선으로, 예를 들어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 및/또는 제 2 용기 치수(D2)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공급 장치(1)의 분리된 저장(on-the-shelve) 상태에서, 메인 액체 유동 방향(DL) 및 바늘 삽입 방향(NI)은 바늘 수용 액체 채널 부분(21)의 중심축에 의해 한정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바늘 수용 액체 채널(21)의 내벽 및/또는 시일(20) 내부의 중앙 채널의 내벽에 의해 한정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시일(20)을 포함하는 액체 인터페이스(15) 및/또는 바늘 수용 액체 채널(21)의 명확하게 한정가능한 중심축(C21)이 있는 예에서, 해당 중심축(C21)은 메인 액체 유동 방향(DL) 및 바늘 삽입 방향(NI)을 한정할 수 있다. 메인 액체 유동 방향(DL)은 각각의 제 2 치수(D2, d2)를 따라 대응하는 유체 바늘(9)의 직선 진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시일(20) 및/또는 바늘 수용 액체 채널 부분(21)의 중심축 및/또는 내부 액체 채널 벽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이 비교적 직선일 수 있다.
메인 액체 유동 방향(DL)은 인쇄를 위해 액체가 용기(3)로부터 수용 스테이션으로 유동하는 코스를 나타낸다. 일 예에서, 액체는 적어도 대부분의 경우에 액체 인터페이스(15)로부터 수용 스테이션(7)으로 일 방향으로만 유동한다. 다른 예에서, 바늘(9)과 액체 채널(17)은, 예를 들어 인쇄 시스템 액체 회로의 압력 변동으로 인해, 또는 용기(3) 내의 액체의 혼합/재순환을 위해, 양방향 유동에 적합할 수 있다. 사실상, 일부 예에서, 용기 및/또는 인쇄 시스템 액체 채널 내의 액체를 혼합/재순환시키기 위해 단일 수용 스테이션의 2개의 대응하는 유체 바늘과 접속하도록 2개의 액체 인터페이스가 동일한 공급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가능성을 예시하기 위해, 도 2에는 액체 인터페이스(15) 옆에 추가의 점선 원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메인 액체 유동 방향(DL)은 액체 채널(17) 내의 유동이 특정 시기 동안, 동일한 액체 채널 또는 별도의 액체 채널에서 반대 방향일 수 있는 경우에도, 해당 액체를 사용하여 인쇄할 수 있도록 공급 장치(1)로부터 유동하는 액체를 지칭한다.
도시된 예에서, 용기(3)의 돌출 부분(23)은 액체 유동 방향(DL)에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메인 액체 유동 방향(DL)으로 액체 인터페이스(15)를 넘어선다. 대응적으로, 돌출 부분(23)은 제 2 용기 치수(D2)로 돌출되고, 이에 의해 제 2 용기 치수(D2)는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보다 클 수 있다. 돌출 부분(23)은 충전된 상태에서 액체가 액체 인터페이스(15) 위에 또는 옆에 그리고 인터페이스(15)를 넘어서 유지될 수 있도록 액체를 수용한다. 특정 예에서, 제 2 용기 치수(D2)의 1/3 초과 또는 절반 초과가 메인 액체 유동 방향(DL)으로 액체 인터페이스(15)를 넘어서 돌출될 수 있다. 이것은 수용 스테이션(7)과 인터페이스 구조체(5) 사이의 밀봉 및 작동적 연결이 확립되기 전에 용기 돌출 부분(23)이 먼저 수용 스테이션(7) 내로 헤드 삽입될 수 있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용기(3)의 돌출 부분(23)이 액체 인터페이스(15)를 넘어서는 정도(PP)는 용기(3)의 저장소 체적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동일한 수용 스테이션에 연결되고 상이한 체적을 갖는 복수의 공급 장치(1)에서, 제 1 및 제 3 치수(d1, D1, d3, D3)는 동일하지만, 제 2 용기 치수는 상이할 수 있다. 용기(3)의 비교적 큰 액체 체적 저장소는 보다 긴 돌출 부분(23)과 연관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 중 일부는 선택한 액체 체적 크기를 수용 스테이션(7)에 쉽게 연결하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메인 액체 유동 방향(DL)에 평행한 삽입 방향(I)으로, 용기(3)의 배면(25)에 대해 쉽게 가압함으로써, 공급 장치(1)는 수용 스테이션(7)과 유체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가압될 수 있다. 또한, 제조업체는 돌출 부분(23)을 스케일링함으로써 용기(3)의 내부 용적부를 조정할 수 있는 한편, 공급 장치(1)의 삽입 용이성은 동일하며, 이는 배면(25) 및 인터페이스 구조체(5)가 이들 상이한 용적부들 사이에 동일하게 위치되기 때문이다. 특정 예에서, 돌출 부분(23)은 공급 장치(1)의 배면이 수용 스테이션(7)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수용 스테이션(7) 내로 돌출되고, 이에 의해 그렇지 않으면 조작자가 부딪힐 수 있는 장애물을 방지한다. 도 1의 예에서, 용기(3)의 배면(25)은, 제 2 용기 치수(D2)를 따라 측정될 때, 인터페이스 구조체(5)의 배면(26)보다 더 멀리 작은 거리(Bb)만큼 연장된다. 예를 들어, 그러한 거리(Bb)는 약 0 내지 1, 또는 약 0 내지 1 ㎝일 수 있다.
돌출 부분(23)이 액체 인터페이스(15)를 넘어서 돌출되는 경우, 예를 들어 액체 체적이 100 ㎖ 초과인 경우, 인터페이스 구조체(5)는 예를 들어 용기의 액체 체적에 따라 5 ㎜ 또는 수 ㎝(㎝) 초과의 오프셋 거리만큼 제 2 용기 치수(D2)의 중간(M)으로부터 오프셋된 상태로 용기(3)에 유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원에서, 중간(M)은 제 1 및 제 3 용기 치수(D1, D3)와 평행하고 제 2 용기 치수(D2)의 중간에 있는 가상 기준 평면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제 2 용기 치수(D2)의 중간(M)은 용기(3)의 정면(31)과 배면(25) 사이의 중간에서 연장되고, 액체 채널(17)의 저장소 연결 부분(29)은 용기(3)의 배면(25)과 중간(M) 사이에서 중간(M) 뒤의 용기 저장소 용적부에 연결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구조체(5)의 액체 채널(17)의 저장소 연결 부분(29)은 용기(3)의 액체 출력부(30)에 연결되어 용기(3)로부터 인터페이스 구조체(5)를 통한 액체의 스루풋을 용이하게 한다. 대응적으로, 용기 액체 출력부(30)와 액체 채널(17)의 저장소 연결 부분(29) 사이의 유체적 연결이 용기(3)의 배면(25)과 중간 평면(M) 사이에 제공된다.
도 3은 용기(3)가 백-인-박스형(bag-in-box type) 구조체를 포함하는 인쇄 액체 공급 장치(1)의 일 예의 측면도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시된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비어 있고 절첩된 저장소(33)가 도시되어 있다. 저장소(33)는 저장소(33)에서 증기가 빠져나가고 공기가 진입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공기 및 수증기 배리어 벽을 갖는다. 도시된 상태에서, 대부분 또는 모든 액체는 비교적 랜덤 방식으로, 그에 따라 절첩된 저장소(33)로부터 인출되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저장소(33)는 실질적으로 완전히 가요성인 백이지만, 다른 예에서, 저장소는 약간의 강성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저장소(33)는 인터페이스 구조체(5)와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출력부(30) 근처에서 강성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용기(3)는, 예를 들어 저장소(33)를 지지 및 보호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저장소(33) 주위에 지지 구조체(35)를 더 포함한다. 지지 구조체(35)는 또한 수용 스테이션(7) 내로의 공급 장치(1)를 비교적 대략적으로 안내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지지 구조체(35)는 적재, 보관, 및 사용법, 브랜드 및 콘텐츠 정보의 제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충전된 상태에서, 저장소(33)는 지지 구조체(35)의 내부 체적의 대부분을 차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된 상태의 저장소(33)의 외부 체적은 지지 구조체(35)의 내부 체적의 60% 초과, 70% 초과, 80% 초과 또는 90% 초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전규정된 체적 용량을 갖는 동일한 저장소(33)가 상이한 체적의 상이한 지지 구조체(35)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소(33)는 지지 구조체(35)의 내부 체적에 따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충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소(33)는 최대 체적 용량의 90% 미만, 80% 미만, 70% 미만, 60% 미만, 50% 미만, 40% 미만 또는 심지어 더 낮은 백분율로 충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소(33)는 2 L의 최대 용량을 가질 수 있지만, 동일한 2 L의 저장소는 부분적으로만 충전되고, 2 L 미만, 예컨대 500 ㎖ 또는 1 L의 최대 용량을 갖는 지지 구조체(35) 내에 안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500 ㎖의 공급 장치(1) 또는 1 L의 공급 장치(1)가 각각 제공된다.
제 1 용기 치수(D1) 및 인터페이스 구조체 돌출 방향을 따른 예시적인 공급 장치(1)의 개략적인 평면도인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구조체(5) 및 그 인터페이스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외부 벽(25, 31, 51)에 의해 한정된 바와 같은, 용기(3)의 외부 체적에 의해 한정된 영역 또는 윤곽 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외부 벽(25, 31, 51)은 용기(3)의 도시된 충전된 상태에서 제 1 용기 치수(D1)에 대략 평행하게 연장된다. 도시된 예에서, 제 2 및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2, d3)는 대응하는 제 2 및 제 3 용기 치수(D2, D3)보다 작으며, 이에 의해 제 2 및 제 3 용기 치수(D2, D3)는 각각의 제 1 및 제 3 치수에 수직인 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 2 및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2, d3)와 중첩된다.
일 예에서, 지지 구조체(35)는 카톤(carton), 또는 예를 들어 다른 셀룰로오스계 재료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다른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지지 구조체 재료는 골판지 및/또는 섬유판을 포함한다. 지지 구조체(35)는, 예를 들어 저장소(33)에 대한 지지, 보호 및 적재 능력을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절첩가능한 저장소(33)에 비해 비교적 강성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 구조체(5)는 수용 스테이션(7)에 대한 비교적 정밀한 안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비교적 강성이며, 예를 들어 지지 구조체(35)보다 더 강성이다. 인터페이스 구조체(5)는 비교적 강성인 성형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저장소(33) 및 인터페이스 구조체(5)의 액체 유동 구성요소는 지지 구조체(35)에 비해 비교적 유체 불투과성, 즉 액체, 증기 및 공기 불투과성이다. 인터페이스 구조체(5)의 불투과성은 그것의 캡핑 기능(capping function)을 용이하게 한다. 공급 장치(1)는 인터페이스 구조체의 시일의 개방, 제거, 파열 등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인터페이스 구조체(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스테이션(7)에의 용기(3)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대응하는 수용 스테이션 표면을 따라 인터페이스 구조체(5)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직선형 가이드 표면(41, 43)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직선형 가이드 표면(41, 43)은 인터페이스 구조체(5) 및 용기(3)의 제 2 치수(D2, d2)의 방향으로 기다랗고, 그에 대략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직선형 가이드 표면(41, 43)은 외부 측면 또는 측벽(39)에 대향하는 측방향 가이드 표면(41)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측방향 가이드 표면은 제 1 및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1, d2)에 대략 평행하게 연장된다. 적어도 하나의 직선형 가이드 표면(41, 43)은 원위 측면(37)에 중간 가이드 표면(4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중간 가이드 표면은 인터페이스 구조체(5)가 돌출되는 용기(3)의 측면(13)과는 반대측에서, 그리고 측면(39) 사이에서 연장된다. 도시된 예에서, 원위 측면(37)은 인터페이스 구조체(5)의 하면을 한정한다. 중간 가이드 표면(43)은 제 2 및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2, d3)에 대략 평행할 수 있다.
측방향 및 중간 가이드 표면(41, 43)은 비교적 편평할 수 있다. 측방향 및 중간 가이드 표면(41, 43)은 인터페이스 구조체(5)의 적어도 일부를 따르는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의 방향을 따라 비교적 기다랄 수 있고,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에 대한 공급 장치의 이동을 제한하고 액체 인터페이스(15)를 위치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에 적어도 충분히 기다랄 수 있다. 인터페이스 구조체(5)의 가이드 표면(41, 43)은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를 따르는 방향으로의 슬라이딩과, 제 1 및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1, d3)를 따르는 각각의 방향에서의 액체 인터페이스(15)의 위치설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인터페이스 구조체(5)의 비교적 편평하고 평평하며 기다란 외부 표면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3)는 외부 측방향 가이드 표면(41) 사이에서 연장된다. 일 예에서,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는 인터페이스 구조체(5)의 정면으로부터 배면까지의 중간 가이드 표면(43)의 길이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측방향 가이드 표면(41)은, (i) 액체 인터페이스(15)를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 및 메인 액체 유동 방향(DL)을 따르는 방향으로 안내하고, (ii) 수용 스테이션(7)에서의 인터페이스 구조체(5)의 자유도를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3)에 평행한 대향 양 방향으로 제한함으로써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3)에 평행한 축을 따르는 액체 인터페이스(15)의 위치설정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중간 가이드 표면(43)은, (i) 액체 인터페이스(15)를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 및 메인 액체 유동 방향(DL)을 따르는 방향으로 안내하고, (ii) 수용 스테이션(7)에서의 인터페이스 구조체(5)의 자유도를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의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제한함으로써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에 평행한 축을 따르는 액체 인터페이스(15)의 위치설정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설치 동안에 인터페이스 구조체(5)가 하면(13)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되는 예에서, 중간 가이드 표면(43)은 수용 스테이션의 대응하는 수평 하부 가이드 표면 위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수용 스테이션(7)의 액체 입력 인터페이스에 대한 액체 인터페이스(15)의 수직 위치설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수평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중간 가이드 표면(43)은 바늘 수용 액체 채널 부분(21)의 중심축(CP21)으로부터 사전결정된 거리로 연장될 수 있다. 중간 가이드 표면(43)은 제 2 및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2, d3)를 따라 인터페이스 구조체(5)의 원위 측면(37)의 상당한 부분에 걸쳐있을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는 인터페이스 구조체(5)가 돌출되는 용기(3)의 측면(13)과 중간 가이드 표면(43)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상이한 체적의 인쇄 액체 공급 장치(101) 및 대응하는 수용 스테이션(107)의 세트의 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수용 스테이션(107) 중 하나에 설치된 이들 인쇄 공급 장치(101) 중 임의의 것을 도시한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단일의 유사한 예시적인 공급 장치(101)를 측면도 및 정면도로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개시된 특징, 기능 및 규정은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 예에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도 5 및 도 6의 4개의 공급 장치(101)의 체적은, 보다 작은 공급 장치(101)로부터 보다 큰 공급 장치(101)로, 즉 도 5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그리고 도 6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각각 100, 200, 500 및 1000 ㎖이다. 도시된 상이한 공급 장치(101)의 인터페이스 구조체(105)는, 키 펜 배향 및 집적 회로에 저장된 데이터와 같은 특정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대략 동일한 치수(d1, d2, d3) 및 일부의 동일한 인터페이스 구성요소를 갖는다. 상이한 체적의 공급 장치(101)는 상이한 용기 체적을 가지며, 제 1 및 제 3 용기 치수(D1 및 D3)는 대략 동일하지만, 제 2 용기 치수(D2)는 상이하다. 각각의 용기(103)는 상이한 액체 체적 용량 및 돌출 부분(123)의 상이한 돌출 길이(PP)와 연관된다. 도시된 예시적인 용기(103)는 접힌 카톤 등의 박스형 지지 구조체(135) 및 절첩가능한 내부 저장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지지 구조체(135)는 골판지 및/또는 섬유판을 포함한다. 지지 구조체(135)가 상이한 체적 및 제 2 용기 치수(D2)를 제공할 수 있지만, 지지 구조체 내부의 저장소는 동일한 최대 용량을 갖지만 상이한 충전량, 예를 들어 각각의 지지 구조체 체적에 대략 대응하는 충전량을 갖는 것과 같이, 동일한 디자인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자.
도 5 및 도 6에서, 각각의 인터페이스 구조체(105)는 용기(103)의 배면(125)으로부터 등거리에 있는, 예를 들어 배면(125)에 비교적 근접한 하면(113)으로부터 돌출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3) 및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제 2 치수(D2, d2)를 따르는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배면(126)과 용기(103)의 배면(125) 사이의 거리(제 1 및 제 3 치수(D1, d1, D3, d3)에 평행한 상기 배면(125, 126) 위의 가상 기준 평면 사이의 거리에 의해 규정됨)는 약 0 ㎜, 또는 예를 들어 1 ㎝ 미만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3) 및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배면(125, 126)은 서로에 대해 대략 동일 평면 상에 있을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용기(103)의 배면(125)은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배면(126)보다 더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거리는 0 ㎜보다 약간 크고, 예컨대 1 내지 5 ㎜일 수 있거나, 0 ㎜보다 상당히 크고, 예컨대 1 ㎝보다 클 수 있다(예를 들어, 도 44 및 도 45의 개략적인 예 참조). 다른 상이한 예에서,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배면(126)은 용기 배면(125)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배면(125, 126) 사이의 거리가 또 0 ㎜보다 크지만 이전에 설명된 것과 반대 방향일 수 있다.
도 5 및 도 6의 상이한 체적의 각 공급 장치(101)는 상이한 제 2 용기 치수(D2), 즉 제 2 용기 치수(D2)를 따르는 돌출 부분(123)의 상이한 길이(PP)를 갖는 상이한 용기(103)를 가지며, 돌출 부분(123)의 길이(PP)는 제 2 용기 치수(D2)가 메인 액체 유동 방향(DL)으로 액체 인터페이스(115)의 에지(116) 및/또는 인터페이스 정면(154)을 넘어서 돌출되는 정도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도 8).
도 5의 전방 공급 장치(101) 및 도 6의 대응하는 공급 장치와 같은 예를 들어 100 ㎖ 이하의 보다 작은 공급 용적부는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와 유사하거나 심지어 더 작은 길이의 제 2 용기 치수(D2)를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참조 번호(123b)로 지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에지(116)를 넘어서 돌출되는 돌출 부분(123)이 전혀 없거나 거의 없다. 따라서, 용기(103)의 돌출 길이(PP)는 0(제로)이거나 비교적 작을 수 있다. 도 5의 다른 공급 장치 및 도 6의 대응하는 공급 장치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100 ㎖ 초과의 보다 큰 용적부는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보다 큰 제 2 용기 치수(D2)를 가질 수 있다. 특정 예에서, 제 2 용기 치수는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의 2배 이상 또는 3배 이상일 수 있다. 이들 예에서, 돌출 부분(123)의 돌출 정도(PP)는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보다 크다. 이러한 상이한 용기 체적 및 돌출 정도(PP)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인터페이스 구조체(105) 및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용 스테이션(107)과 연관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저장소 백 용량이 상이한 체적 및 상이한 지지 구조체(135)에 사용되지만, 충전 정도가 상이할 수 있다.
공급 장치(101)의 실질적으로 수평 배향에서, 인터페이스 구조체(105)는 박스의 배면(125) 근처에서 박스의 하면(113)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고, 박스는 인터페이스 구조체(105)를 넘어서 정면을 향해, 액체 출력부의 액체 인터페이스(115) 위로 돌출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이한 예들에서, 돌출 정도(PP)는 용기(103)의 최대 액체 체적 용량을 결정한다.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3)는 측방향 측벽(139a)에 의해 규정된 외부 측방향 측면(139) 사이의 거리에 의해 규정될 수 있고, 제 3 용기 치수(D3)는 용기(103)의 대향 측방향 측면(151)의 외부 표면 사이의 거리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공급 장치(101)의 폭은 제 3 용기 치수(D3)에 의해 결정된다. 폭은 비교적 작아서, 공급 장치(101)의 비교적 얇은 종횡비를 제공하며, 이는 결국 비교적 큰 공급 체적 범위에 연결가능하면서 단일 프린터 내의 수용 스테이션 집합체의 작은 풋프린트(footprint)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3)는 제 3 용기 치수(D3)보다 약간 작다. 예를 들어,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3)는 제 3 용기 치수(D3)의 약 80% 내지 100%, 예를 들어 약 85% 내지 100%, 또는 예를 들어 약 90% 내지 100%이다.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3)는 약 30 내지 52 ㎜, 예를 들어 약 48 내지 50 ㎜일 수 있다. 대응적으로, 제 3 용기 치수(D3)는 더 클 수 있으며, 예컨대 30 내지 65 ㎜, 45 ㎜ 내지 63 ㎜, 또는 50 내지 63 ㎜일 수 있다. 제 3 용기 치수(D3)는 수용 스테이션(107)의 내부 폭 및/또는 인접한 수용 스테이션(107) 사이의 피치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 3 용기 치수(D3)는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3)보다 상당히 클 수 있다(예를 들어, 도 46 참조).
액체 인터페이스(115)를 넘어서 메인 액체 유동 방향(DL)으로 돌출되는 용기(103)의 하나의 예시적인 효과는 비교적 큰 체적을 포함하여, 비교적 광범위한 체적의 상이한 공급 장치(101)의 일관되고 비교적 사용자 친화적인 장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이러한 큰 체적의 공급부는 취급하거나 프린터에 설치하기에 비교적 번거로울 수 있다. 또한, 프린터 OEM은 때때로 상이한 플랫폼에 대한 상이한 액체 체적을 취급하기 위해 상이한 공급부 디자인을 갖지만, 본 예에서 공급 장치는 메인 액체 유동 방향(DL)으로 배면(125)에서의 비교적 간단한 가압에 의해 장착 및 분리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125)은 수용 스테이션의 수용 개구 에지와 대략 일직선으로 연장되어, 또한 공급 장치(101)를 장착 및 분리하기 위해 수용 스테이션 내로 배면(125)에 대해 쉽게 가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액체 인터페이스(115)는 여전히 배면에 비교적 근접하여 있어, 수용 스테이션의 액체 바늘에 대한 위치설정을 위한, 설치시의 사용자 제어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이한, 비교적 긴 돌출 정도(PP)는 강인성 및 설치 용이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한다. 사실상, 특정 예에서, 돌출 부분(123)은 수용 스테이션(107)에 대한 공급 장치(101)의 약간의 사전-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예의 공급 장치(101)는 용기(103)의 돌출 부분(123)을 수용 스테이션(107)에 배치할 때 수용 스테이션(107)에 대한 대략적인 제 1 정렬과, 다음에 수용 스테이션의 대응하는 가이드 및/또는 키 특징부와 결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구조체 가이드 및/또는 키 특징부를 사용하여, 액체 인터페이스를 추가로 정렬시키는 보다 정밀한 제 2 정렬을 허용한다. 그러한 단계식 정렬은, 그렇지 않으면 무겁고 큰 체적의 공급 장치의 반복적인 연결로 인해 쉽게 손상될 수 있는 유체 바늘과 같은 수용 스테이션 구성요소에 대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돌출 부분의 돌출 정도는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에 의해 표시된다. 이러한 예에서,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는 인터페이스 구조체(5)가 돌출되는 상기 용기 측면(113)과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외부 또는 원위 측면(137) 사이, 예를 들어 액체 인터페이스(115)의 대향 양측에 있는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근위 정면 에지와 원위 정면 에지(예를 들어 도 10에서 154b 및 154c로 표시됨) 사이에서 측정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외부 또는 원위 측면(137)은 제 2 및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2, d3)에 평행한 지지 벽(137a)에 의해 한정되며, 지지 벽(137a)은 또한 중간 가이드 슬롯(144)을 포함한다.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는 제 1 용기 치수(D1)보다 6배 이상 작을 수 있다. 도시된 배향에서, 이것은 용기(103)의 높이보다 6배 이상 작은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돌출 높이에 대응한다. 이것은 비교적 낮은 프로파일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와 조합된 비교적 큰 액체 체적의 용기(103)를 제공하여, 예를 들어 저장 보관 및 운송뿐만 아니라 공급 장치가 설치된 인쇄 시스템을 위한 추가 체적 효율을 촉진한다. 또한, 비교적 작은 낮은 프로파일 인터페이스 구조체(105)는 비교적 더 작은 액체 체적 및 비교적 더 작은 프린터에 보다 적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용기 치수(D1)는 6 ㎝ 이상이고,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돌출부의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는 20 ㎜ 이하이다. 예를 들어, 제 1 용기 치수(D1)는 9 ㎝ 이상이고,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는 15 ㎜ 이하이다. 예를 들어, 제 1 용기 치수(D1)는 약 9.5 ㎝ 이상이고,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는 약 13 ㎜ 이하이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프로파일 높이는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와, 인터페이스 구조체(105)가 용기(103)에 조립될 때 각각의 용기 측면(113)으로부터 돌출되는 거리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낮은 프로파일 높이는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비교적 작은 제 1 치수(d1), 및 용기(103)로부터의 비교적 작은 돌출부를 나타내는 인터페이스 구조체를 지칭할 수 있다. 프로파일 높이는 액체 채널(117)의 바늘 수용 부분(121)(예를 들어, 도 11 참조), 액체 인터페이스(105), 키 펜(165), 집적 회로(174) 및 정면 가압 영역(154a)의 에지(154b)를 포함하는 몇 개의 인터페이스 구성요소의 스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또한 간극(159) 및 정지 표면(16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각각의 키 펜(165)의 외부 측방향 측면에 있는 고정 특징부(157)는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프로파일 높이 또는 제 1 치수(d1) 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저장소 연결 액체 채널 부분(129)은 용기(103)에 조립될 때 프로파일 높이 밖으로 용기(103) 내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에 대한 부착, 수용 스테이션에 대한 지지, 또는 다른 목적을 위해, 프로파일 높이 밖으로 돌출되는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보다 많은 돌출 구성요소가 있을 수 있다.
일 예에서,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폭(d3)은 약 49 ㎜일 수 있고, 용기(103)의 폭(D3)은 약 58 ㎜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높이(d1)는 약 12 ㎜일 수 있고, 박스의 높이(D1)는 약 10 ㎝일 수 있다. 따라서, 공급 장치(101)의 제 1 치수(D1+d1)와 제 3 치수(D3)의 총 종횡비는 112:58일 수 있으며, 이는 약 2:1 또는 11:6으로 어림될 수 있다. 상기 높이 및 폭에 수직인 인터페이스 구조체의 길이(d2)는 약 43 ㎜일 수 있고, 박스의 길이(D2)는 상기 돌출 정도(PP)에 따라 동일하거나 더 클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개시의 예시적인 공급 장치(101)는 비교적 얇은 종횡비를 갖는다. 따라서, 일 예에서, 제 2 용기 치수(D2) 대 제 3 용기 치수(D3)의 종횡비는 1:2 이상, 1:3 이상 또는 1:4 이상이며, 즉 제 2 용기 치수(D2)는 제 3 용기 치수(D3)보다 2배, 3배 또는 4배 이상 크며, 제 2 용기 치수(D2)는 길이에 대응할 수 있고, 제 3 용기 치수(D3)는 폭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용기(103)의 제 1 치수(D1) 대 제 3 치수(D3)의 종횡비는 3:2 이상, 또는 5:3 이상, 또는 약 11:6 이상이다. 다른 예에서, 제 1 용기 치수(D1)와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의 합일 수 있는 공급 장치의 총 제 1 치수(또는 높이) 대 용기(103)의 제 3 치수(D3)(또는 공급 장치의 폭)의 종횡비는 약 2:1 이상이다. 유사한 얇은 종횡비를 갖는 일부의 보다 큰 체적의 공급 장치(101)에서, 용기(103)는 비교적 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에 의해 제 1 용기 치수(D1) 대 제 2 용기 치수(D2)의 종횡비는 1:1 이하, 또는 2:3 이하, 1:2 이하 또는 1:3 이하이며, 이에 의해 보다 작은 비율은 보다 큰 제 2 치수(D2)에 대한 보다 작은 제 1 치수(D1)를 지칭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구조체(105)는 용기(103)의 제 1 치수(D1)에 평행한 방향으로 측면(113)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으며, 도 4의 예와 유사하게, 인터페이스 치수(d2, d3)는 제 2 및 제 3 용기 치수(D2, D3)보다 작아서, 인터페이스 구조체(105)는 제 2 및 제 3 용기 치수(D2, D3)에 의해 형성된 윤곽 내에서 연장된다.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액체 출력부는 액체 채널(117)을 포함한다. 액체 채널은 액체 인터페이스(115)를 포함한다. 액체 인터페이스(115)는 메인 유동 방향을 따라 액체 채널(117)의 하류 단부에 제공된다. 도 9에서, 가상 기준 평면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용기(103) 및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중앙 평면(CP)이 도시되어 있다. 중앙 평면(CP)은 용기(103) 및/또는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제 3 치수(D3, d3)의 대략 중간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중앙 평면(CP)은 용기(103) 및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제 1 및 제 2 치수(D1, d1, D2, d2)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이에 의해 액체 인터페이스(115)는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3)를 따라 일 방향으로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중앙 평면(CP)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집적 회로 접촉 패드(175)는 액체 인터페이스(115)에 대해 중앙 평면(CP)의 반대측인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3)를 따라 다른 방향으로 중앙 평면(CP)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다른 예에서, 제 1 및 제 2 치수(D1, d1, D2, d2)에 평행하고 액체 인터페이스(115)와 접촉 패드 어레이(175) 사이에 있는 평면은 공급 장치의 중심을 정확히 통과할 필요는 없다는 점에 주목하자.
일 예에서, 제 1 리세스(171a)는 바늘 수용 액체 채널 부분(121) 옆에 측방향으로 제공되고 키 펜(165)을 수용하며, 제 2 리세스(171b)는 바늘 수용 액체 채널 부분(121)의 다른 측방향 측면에 제공되고 다른 키 펜(165) 및 집적 회로 접촉 패드(175)를 수용한다. 리세스(171a, 171b)는 액체 인터페이스(115) 및 인터페이스 구조체 정면(154)의 각 측방향 측면에 입구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정면(154)은 리세스(171a, 171b) 사이에서 연장되는 액체 채널 블록의 일부일 수 있으며, 이 액체 채널 블록을 통해 액체 채널(117)이 연장된다. 리세스(171a, 171b)는 인터페이스 구조체(105)가 그로부터 돌출되는 용기 측면(113)을 따르는 깊이를 갖는다. 키 펜(165)은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에 평행하게 돌출된다.
도 10, 도 11 및 도 12는 특정 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구조체의 인터페이스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도 10은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액체 인터페이스(115) 및 인터페이스 구조체 정면(154)의 정면 가압 영역(154b)의 개략적인 확대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각각, 인터페이스 구성요소의 분리 및 연결 단계에서, 인터페이스 구조체(105) 및 수용 스테이션(107)의 부분의 단면 평면도를 도시한다.
일 예에서, 액체 인터페이스(115)는 삽입시에 유체 바늘 주위에 채널(117)을 밀봉하기 위한 시일(120)을 포함한다. 시일(120)은 엘라스토머 재료일 수 있다. 시일(120)은 그 중심축 및 바늘 삽입 방향(NI)을 따르는 중앙 내부 채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중앙 내부 채널을 통해 바늘이 설치된 상태에서 돌출된다. 시일(120)은 액체 인터페이스(115) 및 바늘 수용 액체 채널 부분(121)의 내벽 내로 플러깅되어 액체 인터페이스(115) 및 채널 부분(121)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플러그일 수 있다. 시일(120)은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인터페이스 정면(154)의 원통형 또는 원형 끼워맞춤부에 안착될 수 있다. 시일(120)은 스웨이징(swaging)에 의해 액체 채널(117) 및 인터페이스 에지(116)에 대해 밀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조 동안에, 시일 플러그 또는 다른 시일(120)이 액체 채널(117) 내로 삽입된 후, 에지(116)의 돌출 리지(protruding ridge)(118)가 초음파 진동 공구에 의해 버섯형 프로파일 내로 가압된다. 다음에, 프로파일의 립의 내부 에지는 시일(120)을 보유하고, 또한 충분한 유밀성(fluid tightness)을 얻기 위해 시일(120)에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신에, 접착제 및/또는 용접이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에 적절한 시일 구조를 확립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시일(120)은 그 중심에, 예를 들어 중앙 내부 채널의 하류에, 바늘이 처음으로 삽입될 때 개방되도록 구성된 파괴가능한 멤브레인(breakable membrane)(122)을 포함할 수 있다. 바늘은 삽입시에 멤브레인(122)을 천공할 수 있다. 바늘 수용 액체 채널 부분(121), 시일(120), 멤브레인(122) 및 에지(116)는 예시의 목적으로 도 8에 메인 액체 유동 방향(DL)에 의해 표시될 수 있는 단일의 중심축 주위에 중심설정될 수 있다. 시일(120)의 깊이는 그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고, 시일(120)은 상기 중심축을 따라 삽입된 바늘에 대해 밀봉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경우에, 시일(120)은 사용시에 유체 바늘의 휴미더(humidor)(112)를 가압할 수 있다. 시일(120) 및 멤브레인(122)은 유체/증기 전달을 억제하여, 공급 장치(101)의 운송 또는 저장 수명(shelf life) 동안에 용기(103)를 밀봉할 뿐만 아니라, 바늘 삽입 동안에 바늘에 대해 밀봉한다. 천공가능한 멤브레인(122) 대신에, 시일(120)은 또한, 시일(120)에 접착, 용접, 부착 또는 일체로 성형되고 사용 전에 용기 및 액체 채널을 밀봉하기 위해 하류 단부에서 시일(120)의 내부 채널을 덮는, 예를 들어 파열, 제거 또는 천공을 위한 임의의 적합한 플러그, 라벨, 멤브레인 또는 필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운송 및 보관 동안에 액체 채널(117)을 밀봉하기 위해, 별도의 뚜껑 또는 플러그 또는 다른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액체 인터페이스(115)의 에지(116)는 시일(120) 주위로 연장된다. 시일(120)은 액체 인터페이스(115) 및 액체 채널(117)의 바늘 수용 채널 부분(121)에 삽입된다. 시일(120)은 상기 에지(116)에 대해 부분적으로 놓일 수 있다. 에지(116)는 원형이고, 유사하게 원형인 바늘 수용 채널 부분(121) 및 시일(120)의 중심축 주위로 연장될 수 있다. 에지(116)는 액체 인터페이스(115) 주위에서 그에 인접한 인터페이스 구조체의 정면(154)의 일부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에지(116)는 정면(154)의 나머지와 동일 평면 상에 있을 수 있는 한편, 다른 예에서, 에지(116)는 제조 이전 또는 이후에 돌출 리지(11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예에서, 리지(118)는 스웨이징 이전의 상태를 나타내며, 리지(118)는 시일(120)에 대해 그리고/또는 그 주위에 스웨이징되기에 충분히 돌출되고, 이에 의해 리지(118)는 이러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상기 스웨이징 이후에 비교적 편평해진다.
인터페이스 정면(154) 및/또는 에지(116)는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의 극단을 형성할 수 있다. 각각의 측방향 측면(139) 및/또는 원위 측면(137)을 한정하는 벽(139a, 137a)의 전방 에지는 인터페이스 정면(154)과 동일한 레벨에서 연장되어, 리세스(171a, 171b)에 대한 각각의 입구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원주방향 인터페이스 정면 에지를 형성할 수 있다. 부분적으로 인터페이스 에지(116) 주위에서 그리고/또는 그에 인접한 인터페이스 정면(154)은 사용시에 바늘의 보호 구조체(110)에 대해 가압할 수 있다. 상이한 예에서, 바늘의 보호 구조체는 셔터(shutter), 플레이트, 슬리브(sleeve), 슬레드(sle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예시적인 보호 구조체(110)는 기계적 손상에 대해 유체 바늘을 보호하기 위한 플레이트 또는 슬리브를 포함하고, 공급 장치(101)를 삽입할 때 보호 구조체에 대한 인터페이스 정면(154)의 가압력에 의해 바늘에 대해 후퇴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바늘을 보호하는 보호 구조체(110)는 휴미더(112)와 분리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보호 구조체(110)는 인터페이스 정면(154), 예를 들어 정면(154)의 가압 영역(154a)에 의해 이동될 수 있고, 휴미더(112)는 보호 구조체(110) 및/또는 액체 인터페이스(115)에 의해 개별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휴미더(112)는 액체 바늘을 습윤 상태로 유지하고 그리고/또는 누출을 회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수용 스테이션에서, 보호 구조체(110) 및 휴미더(112)는 단일의 연결된 구조체로서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수용 스테이션에서, 보호 구조체(110) 및 휴미더(112) 중 하나만 제공된다. 정면 가압 영역(154a)은 바늘(109)을 해제하기 위해, 보호 구조체(110)에 추가로 또는 그 대신에, 휴미더(112)에 대해 가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인터페이스 정면(154)은 리세스(171a, 171b) 사이에서 연장된다. 정면의 원위 에지(154c)는 인터페이스 정면(154)과 측방향 측면(139) 사이에 리세스(171a, 171b)의 입구를 한정하기 위해 측방향 측면을 향해 더 멀리 연장된다. 인터페이스 정면(154)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액체 인터페이스(115) 주위에서 그리고 그에 인접하게 연장된다. 인터페이스 정면(154)은 제 1 및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1, d3)에 평행한 메인 액체 유동 방향(DL)과 대략 직각인 직선형 표면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정면(154)은, 적어도 인터페이스 구조체(105)가 용기(103)에 조립될 때, 액체 인터페이스 에지(116)와 용기(103) 사이에 위치된 벽 부분에 의해 한정될 수 있는 가압 영역(154a)을 포함한다. 정면 가압 영역(154a)을 한정하는 벽 부분은 양측에 리세스(171a, 171b)를 갖는 지지 벽(137a)으로부터 돌출되는 액체 채널 벽(117b)과 일체로 성형되는 구조체의 일부일 수 있다(예를 들어, 도 26 참조). 가압 영역(154a)은 도시된 예에서는 용기 측면(113)에서 종단되는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정면(154)의 외부 에지(154b)를 포함하고 그에서 종단된다. 가압 영역(154a)은 삽입 동안에 그리고/또는 설치된 상태에서 보호 구조체(110)를 후방으로 강제하도록 구성된다. 가압 영역(154a)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액체 인터페이스 에지(116)와 용기(103)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액체 인터페이스 에지(116)와 가압 영역 에지(154b) 사이에 정면(154) 내로 만입부(indent), 채널 또는 리세스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가압 영역(154a)은 보호 구조체(110)에 접하는 가압 영역으로서 역할을 하기에 충분할 수 있는 에지(154b)로만 구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48 참조).
인터페이스 구조체(105)는 비교적 낮은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일 예에서,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를 따른 가압 영역(154a)의 높이(HC)는 액체 인터페이스 에지(116)와 용기(103) 또는 인터페이스 정면 에지(154b) 사이의 최단 거리를 나타내며, 액체 인터페이스 에지(116)의 내경(D116)보다 작거나, 출구 인터페이스(115) 내로 플러깅되었을 때 시일(120)의 외경보다 작으며, 예를 들어 높이(HC)는 상기 직경(D116) 중 하나의 절반보다 작다. 상기 내경 및 외경은 동일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이들 직경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가압 영역(154a)의 비교적 작은 높이와, 결국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비교적 낮은 프로파일 높이를 나타내는 기준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명확화를 위해, 액체 인터페이스 에지(116)는, (i) 액체 채널(117)의 바늘 수용 부분(121)의 플라스틱 벽과, (ii) 인터페이스 정면(154)의 표면 사이의 전이부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액체 인터페이스 에지(116)가 둥글 수 있기 때문에, 무엇이 정확하게 액체 인터페이스 에지(116)인지를 결정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러한 예에서, 인터페이스 정면(154) 근처이지만 액체 채널(117) 내에 있는 지점에서, 플러깅된 상태에서의 시일(120)의 플러깅된 부분의 외경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지(116, 154b) 사이의 가압 영역(154a)의 상기 높이(HC)는 약 6 ㎜ 이하, 약 5 ㎜ 이하, 약 4 ㎜ 이하, 또는 약 3 ㎜ 이하이다. 예를 들어, 상대적인 의미에서, 인터페이스 정면 가압 영역(154a)의 높이(HC)는 상기 액체 출구 인터페이스 에지(116)의 직경의 절반보다 작을 수 있다. 비교적 작은 인터페이스 정면 가압 영역(154a)은 비교적 낮은 프로파일의 인터페이스 구조체를 여전히 용이하게 하면서 바늘에 대해 보호 구조체를 이동시키기에 충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 영역(154a)은 편평한 정면 벽일 필요는 없지만, 대신에 바늘을 해제하기 위해 보호 구조체(110)를 가압하기에 충분한 에지(예를 들어, 정면 에지(154b)) 또는 둥근 형상만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의 예에서, 인터페이스 정면(154)은 액체 인터페이스(115) 내로의 바늘(109)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바늘(109)을 노출시키기 위해 바늘(109)에 대해 후방으로 보호 구조체(110)를 가압하기 시작한다. 예를 들어, 먼저 인터페이스 정면(154)의 가압 영역(154a)이 보호 구조체(110)를 가압하고, 다음에 보호 구조체(110) 자체 또는 정면(154) 또는 시일(120)이 휴미더(112)를 가압한다. 휴미더(112)는 도 12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인터페이스 구조체(105)는 도 11의 위치와 비교하여 액체 출력 방향(DL)으로 이동하였으며, 이에 의해 보호 구조체(110) 및 휴미더(112)가 가압 영역(154a)에 의해 바늘(109)에 대해 후방으로 이동되어 바늘(109)이 추출되었다. 도 12에서, 바늘(109)은 시일 멤브레인(122)을 천공하고, 액체 채널(117)과 바늘(109) 사이의 유체적 연결이 확립되었다.
일 예에서, 원위 측면(137)은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3)의 범위에 걸쳐있다.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지지 벽(137a)은 원위 측면(137)을 한정할 수 있다. 지지 벽(137a)은, 예를 들어 지지 벽(137a)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는 중간 가이드 표면(143, 143b, 147)을 통해, 수용 스테이션에서 공급 장치(101)를 부분적으로 안내 및 지지할 수 있다. 지지 벽(137a)의 일부는 집적 회로(174)를 지지할 수 있다. 집적 회로(174)를 안착시키기 위해 비교적 얕은 절결부가 지지 벽(137a)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얕은 절결부는 깊이가 2 ㎜ 미만 또는 1 ㎜ 미만일 수 있다. 지지 벽(137a)은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3)를 따라 가압 영역 정면 에지(154b)에 대향하는 원위 정면 에지(154c)를 가질 수 있으며,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는 이들 대향 정면 에지(154b, 154c) 사이에서 연장된다.
도 11의 도면은 액체 인터페이스(115)의 측방향 옆 및 각각의 리세스(171b)에서 집적 회로 접촉 패드(175)를 노출시킨다. 접촉 패드(175)는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3)에 평행한 선 상에, 그리고 제 2 및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2, d3)에 평행한 가상 기준 평면에 배열된다. 일 예에서, 접촉 패드(175)는 중앙 평면(CP)의 일측에 배열되는 한편, 액체 인터페이스(115) 또는 액체 인터페이스(115)의 중심축은 중앙 평면(CP)의 반대측에 배열된다. 연결 동안에,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스테이션(107)의 데이터 커넥터(173)는 집적 회로 접촉 패드(175)에 연결되도록 리세스(171b) 내로 통과한다.
도 13 및 도 14는 각각의 용기(103)로부터 돌출되는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일 예를 각각 사시도 및 정면도로 도시한다. 인터페이스 구조체(105)는 도 5 내지 도 12 중 하나에 도시된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와 동일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3 및 도 14의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중간 가이드의 상세도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6은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정면측 근처에 있는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측방향 가이드, 및 고정 특징부(157)의 상세도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예에서, 인터페이스 구조체(105)는 외부 측방향 측면(139)에 있는 측방향 가이드 특징부(138) 및 원위 측면(137)에 있는 중간 가이드 특징부(140)를 포함한다. 도 17은 측방향 및 중간 가이드 특징부(138, 140) 각각이 수용 스테이션(107)의 대응하는 측방향 및 중간 가이드 레일(138A, 140A)에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도 17은 또한 용기 지지 벽(113) 및 외부 측방향 벽(151)이 수용 스테이션(107)의 대응하는 벽으로부터 대략적인 안내를 어떻게 수신할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도 1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 특징부(138, 140)는 비교적 기다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의 1, 2, 3 또는 4 ㎝ 이상, 예컨대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 길이의 50% 이상 또는 75% 이상 또는 대부분 또는 전부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특징부(138, 140)는 유체 인터페이스를 정렬시키기 위해, 수용 스테이션에 대해 인터페이스 구조체(105)를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수용 스테이션은 대응하는 측방향 가이드 레일(138A) 및/또는 중간 가이드 레일(140A)을 포함할 수 있다(도 17, 도 20). 다른 예에서, 키 펜(165)은 가이드 특징부(138, 140) 중 적어도 하나 대신에 또는 이에 부가하여 안내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자.
도시된 예에서, 측방향 가이드 특징부(138)는 서로에 대해 각을 이루는 제 1 및 제 2 측방향 가이드 표면(141, 141b, 145)을 포함한다.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측방향 가이드 표면(141, 141b, 145)은 측면(139)에 측방향 가이드 슬롯(142)을 한정한다. 측방향 측벽(139a)은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3)에 평행한 방향으로 수용 스테이션의 액체 바늘에 대해 액체 인터페이스(115)를 위치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측방향 가이드 표면(141, 141b), 및/또는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에 평행한 방향으로 수용 스테이션의 바늘에 대해 액체 인터페이스(115)를 위치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측방향 가이드 표면(145)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급 장치(101)가 대략 수평으로 설치된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 1 측방향 가이드 표면(141, 141b)은 액체 입력부(115)의 수평 위치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제 2 측방향 가이드 표면(145)은 수직 위치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 1 측방향 가이드 표면(141, 141b)은 제 1 및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1, d2)에 대략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 1 측방향 가이드 표면(141, 141b)은 상기 제 1 및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1, d2)에 대략 평행한 평면에서 실질적으로 편평할 수 있으며, 대략 평행은 예를 들어 절대 평행으로부터 10° 이하의 편차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측방향 가이드 표면(141, 141b)은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를 따라 기다랗고, 즉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를 따라 비교적 길고,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를 따라 비교적 짧을 수 있다. 공급 장치(101)의 설치 동안에 인터페이스 구조체(105)가 하면(113)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되는 경우, 제 1 측방향 가이드 표면(141, 141b)은 수용 스테이션의 액체 입력부에 대한 액체 인터페이스(115)의 대략 수평 위치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단일 측방향 측벽(139)은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3)를 따라 복수의 레벨에 복수의 제 1 측방향 가이드 표면(141, 141b)을 가질 수 있다. 측방향 가이드 특징부(138)는 2개의 외부 제 1 측방향 가이드 표면(141)과, 외부 제 1 측방향 가이드 표면(141)에 대해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3)를 따라 내향 방향으로 오프셋된 내부 제 1 측방향 가이드 표면(141b)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제 1 측방향 가이드 표면(141b)은 2개의 외부 제 1 측방향 가이드 표면(141)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내부 및 외부 제 1 측방향 가이드 표면(141, 141b)은 적어도 대략적으로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에 걸쳐있을 수 있다. 특정 예에서, 외부 제 1 측방향 가이드 표면(141)이 없는 내부 제 1 측방향 가이드 표면(141b)만, 또는 하나의 내부 및 하나의 외부 제 1 측방향 가이드 표면(141, 141b)만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제 1 및/또는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1, d3)를 따라 액체 인터페이스(115)를 위치시키기에 충분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하나의 내부 또는 외부 제 1 측방향 가이드 표면(141, 141b)만이, 예를 들어 중간 가이드 특징부(140)와 함께, 안내 및 위치설정의 목적을 제공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측방향 및 중간 가이드 특징부(138, 140) 중 하나만이 제공된다.
도시된 배향에서, 지지 벽(137a)은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하면을 한정한다. 지지 벽(137a)은 예를 들어 액체 인터페이스(115)에 인접한 중간 가이드 특징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 가이드 특징부(140)는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를 따르는 방향으로의 이동의 자유를 제한하면서 액체 바늘에 대해 액체 인터페이스(115)를 위치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중간 가이드 표면(143, 143b), 및/또는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3)를 따르는 방향으로의 이동의 자유를 제한하면서 액체 바늘에 대해 액체 인터페이스를 위치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중간 가이드 표면(147)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1 중간 가이드 표면(143, 143b)은 제 2 및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2, d3)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2 중간 가이드 표면(147)은 제 1 및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1, d2)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 1 중간 가이드 표면(143, 143b)은 원위 측면(137)의 외부 표면에 대해 내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내부 중간 가이드 표면(143b)과, 원위 측면(137)의 외부 표면을 한정할 수 있는 2개의 외부 중간 가이드 표면(143)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 1 중간 가이드 표면(143, 143b)은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를 따라 다중 레벨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내부 제 1 중간 가이드 표면(143b)은 수용 스테이션의 상대 가이드를 수용하고 그 위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 내부 제 1 중간 가이드 표면(143b)은 상기 제 2 및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2, d3)에 대략 평행한 평면을 따라 편평할 수 있다. 내부 제 1 중간 가이드 표면(143b)은 비교적 좁고 기다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즉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를 따라 비교적 길고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3)를 따라 비교적 짧을 수 있다.
내부 제 1 중간 가이드 표면(143b)은 2개의 외부 제 1 중간 가이드 표면(143)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내부 제 1 중간 가이드 표면(143b)은 바늘(109)에 대한 인터페이스(115)의 위치설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액체 인터페이스(115)에 인접하게 연장될 수 있다. 내부 및 외부 제 1 중간 가이드 표면(143, 143b)은 함께, 적어도 대략적으로,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3)의 상당한 부분에 걸쳐있을 수 있다. 특정 예에서, 외부 제 1 중간 가이드 표면(143)이 없는 내부 제 1 중간 가이드 표면(143b)만, 또는 하나의 내부 및 하나의 외부 제 1 측방향 가이드 표면(143, 143b)만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를 따라 액체 인터페이스(115)를 위치시키기에 충분할 수 있다.
공급 장치(101)의 설치 동안에 인터페이스 구조체(105)가 하면(113)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되는 경우, 제 1 중간 가이드 표면(143, 143b)은 수용 스테이션의 액체 입력부에 대한 액체 인터페이스(115)의 수직 위치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제 1 측방향 가이드 표면(141, 141b)은 액체 인터페이스(115)의 수평 위치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측방향 측면(139)은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를 따르는 방향으로의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자유도를 제한하기 위해,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외부 측방향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하나의 제 2 측방향 가이드 표면(145), 예를 들어 각 측방향 측면에 한 쌍의 대향하는 제 2 측방향 가이드 표면(145)을 더 포함한다. 제 2 측방향 가이드 표면(145)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측방향 가이드 표면(141, 141b)에 인접하고 그와 소정 각도를 이루고 있을 수 있을 수 있다. 상기 각도는 대략 직각일 수 있지만, 예를 들어 리드인(lead in), 제조 공차 또는 다른 이유를 위해 정확하게 직각일 필요는 없으며, 이에 의해 제 1 및 제 2 측방향 가이드 표면(141, 145) 사이의 각도는 약 80° 내지 100°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2 측방향 가이드 표면(145)은 동일한 측방향 측면(139)의 대향하는 외부 제 1 측방향 가이드 표면(141) 사이에, 그리고 그를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2 측방향 가이드 표면(145)은 내부 제 1 측방향 가이드 표면(141b)을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제 2 측방향 가이드 표면(145)은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 및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3)에 대략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지만,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를 따르는 방향으로의 이동의 자유를 제한하는 상기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정확하게 평행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제 2 측방향 가이드 표면(145)은, 예를 들어 제 2 및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2, d3)에 대략 평행한 평면을 따라, 실질적으로 편평할 수 있으며, 여기서 대략 평행은 절대 평행으로부터 10°의 편차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측방향 가이드 표면(145)은 기다랄 수 있으며, 즉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를 따라 비교적 길고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3)를 따라 비교적 짧을 수 있다. 도 16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리드인 램프(lead-in ramp)(155)는 제 2 측방향 가이드 표면(145)의 정면 입구 근처에 제공될 수 있다.
한 쌍의 대향하는 제 2 측방향 가이드 표면(145)은, 예를 들어 한 쌍의 제 2 측방향 가이드 표면(145)과 내부 제 1 측방향 가이드 표면(141b)이 함께 측방향 가이드 슬롯(142)을 형성하도록, 내부 제 1 측방향 가이드 표면(141b)의 양측 상에 그 양측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슬롯은 내부 제 1 측방향 가이드 표면(141b)이 없는 측벽(139)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외부 제 1 측방향 가이드 표면(141)은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에 평행하게 슬롯(142)의 외측에서 연장될 수 있다. 대향 측방향 측면(139)에 있는 제 1 측방향 가이드 표면(141, 141b) 및 제 2 측방향 가이드 표면(145)은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를 따르는 방향으로의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안내 및 병진이동을 용이하게 하면서 다른 축을 따른 병진이동 및 다른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제 1 측방향 가이드 표면(141, 141b) 및/또는 제 2 측방향 가이드 표면(145)은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제 2 치수(d2)의 상당 부분, 예컨대 제 2 치수(d2)의 50% 이상, 75% 이상, 또는 대부분 또는 전부에 걸쳐있을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개구 또는 중단부, 예컨대 상기 리드인 램프(155) 또는 간극(159)이 가이드 표면(141, 145)에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을 통과시켜서, 인터페이스 구조체(105)가 가이드 레일에 의한 안내 없이 수용 스테이션(107) 내로 삽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측방향 측면(139)에 간극 슬롯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한 예에서, 만약 존재한다면, 안내는 지지 구조체(135)의 벽 및/또는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다른 측면 또는 에지, 및/또는 키 펜(165)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 그러한 간극 슬롯은 측방향 측면(139)의 대향 에지에 의해 또는 인터페이스 구조체(105)가 그로부터 돌출되는 용기 측면(113)과 각각의 측방향 에지 사이에 한정될 수 있다.
중간 가이드 특징부(140)에는,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3)를 따르는 방향으로의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이동의 자유를 제한하면서 수용 스테이션(107)에 대해 인터페이스 구조체(105)를 위치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중간 가이드 표면(147)이 제공될 수 있다. 제 2 중간 가이드 표면(147)은 제 1 중간 가이드 표면(143, 143b)에 대해 소정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각도는 대략 직각일 수 있으며, 여기서 일부 마진 또는 공차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도는 약 80° 내지 100°일 수 있다. 슬롯(144)을 형성하는 한 쌍의 대향하는 제 2 중간 가이드 표면(147)이 제공될 수 있다. 제 2 중간 가이드 표면(147)은,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1, d2)에 대략 평행한 평면을 따라, 실질적으로 편평할 수 있으며, 여기서 대략 평행은 정확한 평행으로부터 10° 이하의 편차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중간 가이드 표면(147)은 비교적 기다랗고 좁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즉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를 따라 비교적 길고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를 따라 비교적 짧을 수 있다.
한 쌍의 대향하는 제 2 중간 가이드 표면(147)은 내부 제 1 중간 가이드 표면(143b) 및 제 2 중간 가이드 표면이 함께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지지 벽(137a)에 중간 가이드 슬롯(144)을 형성하도록, 내부 제 1 중간 가이드 표면(143b)의 양측에서 그것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중간 가이드 슬롯(144)은 내부 제 1 중간 가이드 표면(143b)이 없이 더욱 내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외부 제 1 중간 가이드 표면(143)은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3)에 평행하게 슬롯(144)의 양측에서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예(도시되지 않음)에서, 중간 간극 슬롯이 원위 측면(137)에 제공되지만, 슬롯은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을 통과시켜서, 인터페이스 구조체(105)가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을 따른 안내를 회피하면서 수용 스테이션(107) 내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4와 비교하여, 간극 슬롯의 대향 에지는 제 2 중간 가이드 표면(147)에 대응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간극 슬롯의 대향 에지 사이의 거리는 대향하는 제 2 중간 가이드 표면(147) 사이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만약 존재한다면, 안내는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벽, 또는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다른 측면 또는 에지를 통해 얻어질 수 있다.
일 예에서, 중간 가이드 특징부(140) 또는 간극 슬롯은 제 1 및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1, d2)에 평행한 가상 기준 평면(P0)에 의해 교차되고, 이에 의해 평면(P0)은 액체 인터페이스(115)의 중심과 각각의 키 펜(165) 사이에서 연장되고, 직접 회로 접촉 패드(175)는 평면(P0)과는 반대측의 액체 인터페이스(115)의 다른 측방향 측면에서 연장된다.
도 14 및 도 15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액체 채널(117) 및/또는 인터페이스(115)에 보다 근접한, 한 쌍의 제 2 중간 가이드 표면(147) 중 하나의 제 2 중간 가이드 표면(147)은 상기 쌍 중 대향하는 제 2 중간 가이드 표면(147)보다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를 따라 더 짧을 수 있다. 바늘 수용 액체 채널 부분(121)에 보다 근접한 제 2 중간 가이드 표면(147)은 충분히 두꺼운 액체 채널 벽(117b)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더 좁을 수 있다(도 22). 따라서, 도시된 예에서, 중간 가이드 특징부(140)의 안내 및 액체 인터페이스 위치설정 기능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채널 벽을 위한 공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중간 가이드 슬롯(144)은 그 단면에, 제 1 및 제 2 중간 가이드 표면(143b, 147) 사이에, 그리고 가이드 표면(143b, 147)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액체 채널(117)에 인접하고 평행한 챔퍼(chamfer)(148)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중간 가이드 특징부(140)는 대략 수직인 가이드 표면(143b, 147)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한 쌍의 대향하는 대략 평행한 가이드 표면(147)이 내부 가이드 표면(143b)에 수직이며, 여기서 상기 챔퍼(148)는 평행한 가이드 표면(147) 중 하나와 내부 가이드 표면(143b) 사이에서 이들과 각도를 이루어, 액체 채널(117)에 인접하고 그를 따라 연장되는 제 3 가이드 표면을 한정한다.
전술한 가이드 특징부(138, 140) 및/또는 표면(141, 141b, 143, 143b, 145, 147)은 수용 스테이션의 각각의 직선형 대응 가이드에 대한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의 방향으로 기다랗고, 그리고/또는 편평하고 평평할 수 있다. 전술한 가이드 표면(141, 141b, 143, 143b, 145, 147)의 일부 또는 전부는, 액체 인터페이스(115)를 적어도 하나의 바늘(119)에 정렬시키고 유체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바늘 삽입 방향(NI)에 평행한 축을 따라 인터페이스 구조체(105)를 안내 및 병진이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면서 다른 축을 따른 병진이동 및 다른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제한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인터페이스 구조체는 도시된 측방향 및 중간 가이드 특징부(138, 140) 각각의 하나 또는 둘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설치시에, 주로 제 2 측방향 가이드 표면(145)은 제 1 치수(d1, D1)를 따른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정렬을 위해 사용되고, 주로 제 2 중간 가이드 표면(147)은 제 3 치수(d3, D3)를 따른 정렬을 위해 사용되며, 이에 의해 하위 예에서, 다른 것 중 적어도 하나, 즉 제 1 측방향 및 제 1 중간 가이드 표면(141, 141b, 143, 143b)은 설치시에 수용 스테이션 가이드 표면 또는 레일(138A, 140A)과 결합할 필요가 없거나, 인터페이스 구조체 디자인(105)으로부터 생략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측방향 및/또는 중간 가이드 특징부(138, 140)는 제 1 측방향 또는 중간 가이드 표면(141, 141b, 143, 143b)없이 하나 또는 2개의 각각의 제 2 측방향 또는 중간 가이드 표면(145, 147)만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특정 경우에 안내 및 위치설정에 충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각각의 가이드 특징부(138, 140) 및/또는 가이드 슬롯(142, 144)은 정확하게 편평하고 직선형 표면일 필요가 없는 에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에지는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를 따라 기다랄 수 있다.
일 예에서, 제 1 측방향 가이드 표면(141, 141b)은 제 2 중간 가이드 표면(147)에 대략 평행하다. 일 예에서, 제 1 측방향 가이드 표면(141, 141b) 및/또는 제 2 중간 가이드 표면(147)은 용기(3)의 외부 측방향 벽(151)에 대략 평행하다. 일 예에서, 제 1 중간 가이드 표면(143, 143b)은 제 2 측방향 가이드 표면(145)에 대략 평행하다. 일 예에서, 제 1 중간 가이드 표면(143, 143b) 및/또는 제 2 측방향 가이드 표면(145)은 인터페이스 구조체(105)가 그로부터 돌출되는 용기(103)의 측면(113), 및/또는 인터페이스 구조체(105)가 그로부터 돌출되는 측면(113)과는 반대측에 있는 용기(103)의 대향 측면(132)에 대략 평행하다. 이들 양태 중 일부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용기(103)의 제 1 대략적인 정렬에 이어서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보다 정밀한 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적절한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나 또는 각각의 가이드 특징부(138, 140)에는 리드인 특징부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 가이드 특징부(138)는 외부 가이드 레일에 대해 가이드 특징부(138)의 나머지를 리드인하기 위해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정면 레벨(이러한 도면에서 154로 표시됨) 근처에 측방향 리드인 특징부(153)를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양쪽 측방향 가이드 슬롯(142)의 전방에 리드인 램프(155)가 제공된다. 리드인 램프(155)는 인터페이스 구조체의 정면 레벨을 향해 후방으로부터 발산되는 대향하는 발산 측방향 가이드 표면에 의해 한정된다. 리드인 램프(155)는 측방향 가이드 특징부(138)의 후미 부분에 대해 구부러지거나 경사진 표면이다. 후미 부분은 램프(155)와 인접할 수 있는 제 2 측방향 가이드 표면(145)을 포함한다. 리드인 램프(155)는 제 1 측방향 가이드 표면(141, 141b)에 대해 소정 각도를 이루고, 예를 들어 제 1 측방향 가이드 표면(141, 141b)에 대해 대략 직각, 또는 예를 들어 약 80° 내지 100°일 수 있다. 일 예에서, 하나의 측방향 리드인 램프(155)만이 하나의 측방향 측면(139)에 제공된다.
비교적 미세한 정렬은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가이드 표면(141, 141b, 143, 143b, 145, 147)에 의해, 예를 들어 수용 스테이션의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 및/또는 표면의 도움으로 용이해질 수 있다. 단차식이지만 비교적 완만한 방식으로, 돌출 부분(123)이 먼저 수용 스테이션에 결합하여 비교적 대략적인 정렬을 제공할 수 있고, 다음에 리드인 특징부(153)가 결합할 수 있고, 그 후에 가이드 특징부(138, 140)가 보다 미세한 정렬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방향 리드인 및 가이드 특징부(153, 138)는 최초 미세 정렬을 제공할 수 있는 한편, 중간 가이드 특징부(140)는 다시 보다 미세한 정렬을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바늘 파손에 대한 위험이 비교적 낮은 바늘의 적절한 삽입이 확립될 수 있다. 중간 가이드 특징부(140)는 액체 인터페이스(115) 및 채널(117)에 인접하게 이들을 따라 연장되어 바늘의 비교적 정밀한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중간 가이드 특징부(140)는 최종적이고 가장 미세한 정렬을 제공하기 위해 다른 가이드 특징부(138)가 연결된 후에 가이드 레일에 연결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공급 장치(101)의 액체 체적 및 관련 중량은 비교적 높을 수 있으며, 이는 특히 비교적 제어되지 않는 가압 삽입의 경우에 유체 바늘이 파손될 위험을 증가시키지만, 이것이 본 개시의 일부 예의 공급 장치(101)가 수용 스테이션과의 비교적 정밀한 유체적 연결로 쉽게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해할 필요는 없다. 또 다른 예에서, 개시된 가이드 특징부(138, 140)의 전부가 아닌 일부가 제공되고, 유체적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약간의 사용자 제어가 요구된다.
도 17a는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가이드 특징부(138, 140)의 다이어그램을 개략적인 정면도로 도시하며, 여기서 가이드 특징부(138, 140)는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3)를 따르는 방향으로의 이동의 자유를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3)를 따르는 방향으로의 이동의 자유를 제한하기 위한 가이드 특징부는, (i) 내부 제 1 측방향 가이드 표면(141b)과, (ii) 외부 제 1 측방향 가이드 표면(141b)과, (iii) 제 2 중간 가이드 표면(147)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이들 표면(141, 141b, 147) 각각은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에서 비교적 기다랄 수 있고, 수용 스테이션의 가이드 표면과 결합하는 리지 또는 편평한 표면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3)를 따르는 하나의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 특징부와, 제 3 치수(d3)를 따르는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 특징부가 구별될 수 있으며, 이는 도 17a에서 실선 대 점선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일 예에서, 인터페이스 구조체(105)는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3)를 따르는 하나의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가이드 표면(예를 들어, 점선의 141, 141b, 147)과,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3)를 따르는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가이드 표면(예를 들어, 실선의 141, 141b, 147)을 포함한다.
도 17b는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가이드 특징부(138, 140)의 다이어그램을 개략적인 정면도로 도시하며, 여기서 가이드 특징부(138, 140)는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를 따르는 방향으로의 이동의 자유를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를 따르는 방향으로의 이동의 자유를 제한하기 위한 가이드 특징부는, (i) 제 2 측방향 가이드 표면(145)과, (ii) 제 1 내부 중간 가이드 표면(143b)과, (iii) 제 1 외부 중간 가이드 표면(1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이들 표면(145, 143b, 143) 각각은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에서 비교적 기다랄 수 있고, 수용 스테이션의 가이드 표면과 결합하는 리지 또는 편평한 표면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도 17b에서,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를 따르는 하나의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 특징부와,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를 따르는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 특징부가 구별될 수 있으며, 이는 실선 대 점선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일 예에서, 인터페이스 구조체(105)는 하나의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가이드 표면(예를 들어, 실선의 145, 143, 143b)과,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가이드 표면(예를 들어, 점선의 145)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인터페이스 구조체에는, 적어도 대응하는 측방향 가이드 레일과 접촉할 때,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측방향 가이드 표면(145)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8은 예시적인 인터페이스 구조체(105)가 수용 스테이션에 연결된 시스템의 단면 평면도를 도시한다. 예시적인 인터페이스 구조체(105)는 도 8 및 도 16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특징부(157)를 포함한다. 고정 특징부(157)는 수용 스테이션에 대한 공급 장치의 작동 설치와, 일부 경우에는 보유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들 도면에서, 고정 특징부(157)는 여기서는 측방향 측면(139)을 한정하는 측방향 벽을 통한 개구의 형태인 간극(159)을 포함하고, 이 간극(159) 내로, 수용 스테이션(107)의 대응하는 고정 요소가 돌출할 수 있으며, 여기서 고정 요소는 캐치(catch) 또는 디텐트(detent)이다. 예를 들어, 하나의 고정 특징부(157)가 하나의 측방향 측면(139)에 제공될 수 있거나, 2개의 고정 특징부(157)가 대향 측방향 측면(139)에 제공될 수 있다. 간극(159)은 키 펜(165) 옆의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정면측 근처에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돌출된 고정 요소는 캐치 후크(catch hook)(161)이다. 그러나, 응용에 따라, 공급 장치를 수용 스테이션에 고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후크 이외의 고정 요소가 사용될 수도 있다. 고정 요소는 도시된 후크(161)의 경우에서와 같은 차단 특징부, 청각적 또는 유형적(tangible) 피드백 특징부, 트리거 또는 스위치 특징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예에서, 고정 요소는 인터페이스 구조체를 수용 스테이션에 직접적으로 로킹시킬 수 있지만, 다른 예에서, 고정 요소는 스위치만을 트리거하거나 일부 피드백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고정 특징부(157)가 측방향 가이드 특징부(138)에 제공된다. 간극(159)은 측방향 측면(139), 예를 들어 슬롯(142)에 있고, 그리고/또는 내부 제 1 측방향 가이드 표면(141b)을 관통하는 절결부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간극(159)은 각각의 리세스(171a, 171b) 내로 개방되는 각각의 측벽의 관통 구멍이다. 다른 예에서, 관통 구멍 대신에, 간극(159)은 만입부일 수 있다. 각각의 측방향 측면(139)은 양 측면(139)에서 고정 요소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고정 특징부(157)를 포함할 수 있다. 간극(159)은 바이어싱된 고정 요소(161)가 간극(159) 내로 부분적으로 돌출할 수 있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고정 특징부(157)는 간극(159) 옆에 정지 표면(163)(이하, 정지부로도 지칭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지부(163)는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정면 에지 근처에 있는 간극(159)의 측면에 있는 간극(159)의 에지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정지부(163)는 도 16에서 154로 표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구조체의 정면 레벨 근처에, 예를 들어 키 펜(165)의 원위 부분 옆에 제공된다. 정지부(163)는 각각의 리세스의 입구에서,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정면의 에지뿐만 아니라 정지부를 한정하는 측방향 정면 벽 부분(141b)의 일부일 수 있다. 정지 표면(163)은 측방향 측면(139)의 각각의 벽 부분(141b)의 인접 표면에 대해 각을 이루어 연장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정지부(163)는 고정 요소에 대해 인터페이스 구조체(105)를 이동시키는 것에 대한 저항을 제공한다. 다른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정지부(163) 및/또는 측방향 정면 벽 부분(163a)은 핑거, 트리거 또는 스위치 등을 가압하여 특정 작동 모드로 전환하거나 특정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측방향 정면 측벽 부분(163a)은 정지부(163)와 정면 주위의 에지 사이에서 연장되어 이들을 한정할 수 있다. 측방향 정면 측벽 부분(163a)은 키 펜(165)의 원위 부분 옆으로 연장되어, 낙하에 의한 파손으로부터 키 펜(165)의 약간의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측방향 정면 측벽 부분(163a)은 리드인 램프(155)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도 18의 도시된 예에서, 고정 요소는 후크(161)이다. 후크(161)는 간극(159)을 통해 돌출하는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후크(161)의 이러한 위치는 수용 스테이션의 액추에이터를 가압하는 키 펜(165)에 의해 부여될 수 있으며, 이 액추에이터는 후크에 병진이동을 전달하도록 배열된 메커니즘(이하, 전달 메커니즘으로 지칭됨)을 통해 후크(161)를 트리거한다. 도시에서, 후크(161)와 정지부(163) 사이에 약간의 거리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조작자가 삽입을 완료하기 위해 공급 장치(101)를 수동으로 해제하기 직전에 공급 장치(101)가 수용 스테이션 내로 완전히 가압된 설치 순간을 나타낸다. 그러한 해제 후에, 바이어싱된 스프링의 가압력은 정지부(163)를 후크(161)에 대항하여 수용 스테이션으로부터 외향 방향으로 이동시킬 것이다. 따라서, 후크(161)는 해당 스프링의 반력(F)(도 21)에 반작용하여 공급 장치(101)의 제거 또는 방출을 차단하고, 이에 의해 공급 장치(101)가 유체적 연결 상태로 보유된다. 후크(161)의 후속적인 후퇴는 공급 장치(101)를 자동으로 방출시킬 것이다.
공급 장치(101)의 배면(125)에 대한 제 2 수동 가압은 액추에이터에 대해 키 펜(165)을 가압하고, 이 액추에이터는 다시 상기 전달 메커니즘을 트리거하여 정지부(163) 및 간극(159)에 대해 후크(161)를 해제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후크(161)가 간극(159) 밖으로 당겨진다. 이에 의해, 인터페이스 구조체(105)가 차단 해제되어, 바이어싱된 스프링이 확장되어 인터페이스 구조체(105)를 수용 스테이션(105) 밖으로 가압하게 한다.
정지 표면은 후크(161)의 일부가 결합하는 정지 부분이다. 정지부(163)의 그러한 결합 표면은 비교적 편평할 수 있고, 각각의 측방향 가이드 표면(141b)에 대해 소정 각도(α)로, 예를 들어 약 90° 이상, 또는 90° 약간 초과의 각도(α)로, 예컨대 약 91° 이상의 각도(α)로 연장될 수 있다. 90° 초과의 각도(α)는 후크(161)의 추가적인 보유를 허용하여, 정지부(163)에 대한 후크(161)의 미끄러짐을 억제할 수 있거나,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의도치 않은 방출을 회피하는 약간의 정도로 후크(161)의 의도치 않은 결합해제를 적어도 억제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공급 장치는 고정 특징부를 갖지 않을 수 있다. 일 예에서, 수용 스테이션은 공급 장치(101)를 장치의 배면에 대해 보유하는 후크, 그립(grip) 또는 아암 등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공급 장치(101)는 매달린 상태로 수용 스테이션에 설치되며(예를 들어, 도 43 참조), 이에 의해 유체적 연결은 공급 장치 자체의 중량에 의해, 또는 수동 보유에 의해, 또는 액체 인터페이스 사이의 프린터 펌프에 의해 생성된 부압(under-pressure)에 의해 충분히 고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공급 장치는 수용 스테이션의 가이드 레일 및 후크를 모두 통과시키기 위한 간극 또는 간극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공급 장치는 설명된 고정 특징부(157)와는 다른 유형의 고정 특징부를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유형의 고정 특징부는 공급 장치와 액체 입력부 사이의 유체적 연결을 적절하게 보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 장치(101)에는 유사한 고정 특징부(157)가 제공될 수 있지만, 상이한 위치,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원위 측면(137)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 장치에는, 수용 스테이션에 걸리거나 걸림해제되는 후크, 그립 또는 클릭 핑거(click finger)가 제공될 수 있거나, 수납 스테이션의 벽에 프레스-끼워맞춤(press-fit)되는 엘라스토머 쿠션(elastomeric cushion)과 같은 고마찰 표면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9는 용기(103)의 각각의 측면(113)으로부터 돌출되는 예시적인 인터페이스 구조체(105)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20은 예시적인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에 대한 예시적인 수용 스테이션(107)의 일부를 도시한다. 이러한 도면에서는 휴미더(112)가 생략되어 있다. 도 21은 인터페이스 구조체(105) 및 수용 스테이션(107)이 고정 및 유체적 연결 상태에 있는 예의 단면 평면도를 도시한다. 그 중에서도, 본 개시의 특정 예의 돌출 키 펜(165)과 관련된 특정 기능 및 특징은 이들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개시의 키 펜(165)은 예를 들어 종축(Ck)을 따라 약 10 ㎜ 이상, 약 12 ㎜ 이상, 약 15 ㎜ 이상, 약 20 ㎜ 이상 또는 약 23 ㎜ 이상만큼 돌출되는 대체로 종방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보다 넓은 제 1 정의에서, 키 펜은 액추에이터, 예를 들어 스위치 및/또는 전달장치(transmission)에 작용하도록 프린터 키 슬롯을 통과하기 때문에 "키잉(keying)" 기능을 갖는다. 다른 예에서, 키 펜은 또한 매칭 키 슬롯을 갖는 대응하는 수용 스테이션에 대한 연결을 허용하는 한편, 비매칭 키 슬롯을 갖는 수용 스테이션에 대한 연결이 차단될 수 있기 때문에, 액체 유형(예를 들어, 잉크 색상 또는 작용제) 식별 기능을 갖는다. 다른 예에서, 키 펜은 작동 기능을 반드시 가질 필요는 없이 식별 기능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 전체에 걸쳐 다양한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키 펜은 비교적 단순한 돌출 핀으로부터 보다 복잡한 단면을 갖는 형상까지 범위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인터페이스 구조체(105)는 한 쌍의 키 펜(165)을 포함한다. 키 펜(165)은 대향하는 외부 측방향 측면(139)에 의해 한정된 바와 같이,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 내에서 연장된다. 대응적으로, 키 펜(165)은 용기 치수(D2) 내에서 연장된다. 한 쌍의 키 펜(165)은 단일 키 펜과 비교하여 각각의 고정 요소를 작동시키기 위한 힘의 분산 및/또는 균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키 펜(165)에 의해 작동되는 대응하는 액추에이터는 균형 또는 분산 방식으로 작동력을 받을 수 있다. 대향하는 키 펜(165)은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와 액체 인터페이스(115)의 보다 양호한 안내 및/또는 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2개 초과의 키 펜이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나 초과의 키 펜이 액체 채널(117)의 양측에 있다. 인터페이스 구조체(105)는 또한 한 쌍의 고정 특징부(157)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고정 특징부는 각각의 키 펜(165) 옆의 각각의 측방향 측면(139)에 있다. 다른 예에서, 인터페이스 구조체(105)는 단일 키 펜(165)만, 또는 2개 초과의 키 펜(165)을 포함한다.
키 펜(165)은 베이스(169), 예를 들어 베이스 벽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베이스(169)는 벽, 푸트부(foot) 또는 칼럼(column)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169)는 키 펜(165)이 돌출되는 각각의 리세스(171a, 171b)의 깊은 단부에 있는 벽 또는 푸트부일 수 있다. 베이스(169)는 인터페이스 정면(154)에 대해 바늘 삽입 방향(NI)을 따라 후방 방향으로 오프셋될 수 있다.
키 펜(165)은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에 대략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키 펜(165)은 인터페이스 구조체(105)가 그로부터 돌출되는 용기(103)의 각각의 측면(113)에 대략 평행하게, 예를 들어 용기(103)의 하면 아래에서 연장될 수 있다. 용기 측면(113)은 비교적 평면형일 수 있고, 키 펜(165)은 해당 측면(113)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1에서, 적어도 하나의 키 펜(165)은 바늘 삽입 방향(NI), 메인 액체 유동 방향(DL),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 및/또는 제 2 용기 치수(D2)에 대략 평행한 종축(Ck)을 따라 돌출된다. 키 펜(165)의 종축(Ck)은 키 펜이 돌출되는 축을 나타낼 수 있다. 종축(Ck)은 키 펜(165)의 중심축일 수 있다. 키 펜(165)은 액체 채널(117) 및/또는 액체 인터페이스(115) 옆에 있어서, 그 대향 양측에서, 예를 들어 액체 채널(117)의 바늘 수용 부분(121)의 중심축 및/또는 시일(120)의 중심축에 대략 평행한 종방향을 대체로 따라 연장된다.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3)를 따라 제 1 키 펜(165)과 바늘 수용 액체 채널 부분(121) 사이의 거리는 대향하는 제 2 키 펜(165)과 바늘 수용 액체 채널 부분(121) 사이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거리는 바늘 삽입 방향(NI)을 나타내는 축과 키 펜(165)이 연장되는 종축(Ck) 사이의 거리로 규정될 수 있다. 집적 회로(174) 및/또는 그 접촉 패드(175)는 제 1 키 펜(165)과 바늘 수용 액체 채널 부분(121) 사이에서 연장된다. 상기 보다 큰 거리는 데이터 커넥터(173)가 제 1 키 펜(165)과 액체 채널 벽(117b) 및 정면 가압 영역(154a)의 성형 구조체 사이를 통과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키 펜(165)은 수용 스테이션(107)의 대응하는 키 슬롯(167)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도 20). 키 슬롯(167)은, 비매칭 인쇄 액체가 수용 스테이션(107)에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어 액체 바늘(109) 또는 해당 바늘(109) 하류의 추가 액체 채널을 비호환 액체 유형으로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대응하지 않는 키 펜(165)을 차단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0의 예에서, 키 슬롯(167)은 대응하는 형상의 단면 및 대응하는 배향을 갖는 키 펜(165)만을 수용하도록 의도된, 사전결정된 배향으로의 Y자 형상을 갖는다. 다른 키 슬롯(167)은 예를 들어 T자, V자, L자, I자, X자 형상, 또는 하나 또는 다수의 도트 형상, 또는 다른 기하학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정 예에서, 이들 키 슬롯의 목적이 키 펜을 구별하기 위한 것인 경우에도, 상이한 키 슬롯(167)에 연결될 수 있는 마스터 키 펜이 제공될 수 있다. 마스터 키 펜은 서비스 유체 공급부를 위해, 또는 단순히 색상 식별 키 펜에 대한 대안적인 해결책으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또한 "키 펜"의 규정 내에 있다.
키 펜(165)은 연관된 키 슬롯 구성요소의 대응하는 액추에이터에 대해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용 스테이션의 적합한 액추에이터는 전기 스위치 및/또는 기계적 전달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1의 예에서, 액추에이터는 스프링-부하식 로드(spring-loaded rod)(179)를 포함하는 전달 메커니즘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펜(165)의 원위 작동 표면 영역(168)은 수용 스테이션(107) 내로의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삽입시에 로드(179) 상에 작동하도록 키 슬롯(167)을 통과한다. 로드(179)는 여기서는 슬리브형 하우징에 의해 구현된 키 슬롯 하우징 구성요소(170) 내부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조작자의 가압에 의해, 수용 스테이션(107) 내로의 공급 장치(101)의 삽입시에, 하우징 구성요소(170)는 인터페이스 구조체의 정면에 있는 리세스 입구를 통해 베이스를 향해 리세스(171a, 171b) 내로 삽입된다. 이에 의해, 키 펜(165)이 하우징 구성요소(170) 내로 삽입되고, 로드(179)를 가압한다. 도시된 예에서, 메인 액체 유동 방향(DL)을 따르는 로드(179)의 대응하는 이동은 적합한 전달 메커니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후크(161)로 전달되고, 이에 의해 후크(161)의 단부가 간극(159) 내로 삽입된다. 후크(161)가 간극 내로 삽입되고 공급 장치가 조작자에 의해 해제되면, 후크(161)는 정지부(163)와 결합하여 공급 장치(101)를 수용 스테이션(107)에 보유한다. 후크(161)는 로드(179)의 스프링 힘(F)에 대항하여 안착된 상태로 인터페이스 구조체(105)를 보유할 수 있다. 안착된 상태에서, 바늘(109)은 액체 채널(117) 및 시일(120) 내부로 돌출되어, 볼 밸브(120A)를 개방하고 공급 장치(101)와 수용 스테이션(107) 사이에 액체 유동을 확립한다. 또한, 데이터 커넥터(173)가 집적 회로 접촉 패드 어레이(175)에 연결되고, 이에 의해 데이터 통신이 확립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구조체(105)는 양쪽 측방향 측면(139)에 간극(159) 및 정지부(163)를 각각 갖는 고정 특징부(157)를 포함할 수 있다. 대응적으로, 2개의 대향 후크(161)가 한 쌍의 로드(179)를 통해 트리거될 수 있다.
조작자의 후속적인 가압은 다시 로드(179)를 이동시키고, 로드(179)는 다시 그 작동을 후크(161)로 전달한다. 이에 의해, 후크(161)가 간극(159) 및 정지부(163)로부터 해제되어, 공급 장치(101)의 방출을 트리거한다. 방출시에, 로드(179)는 스프링의 감압에 의해 로드 하우징 구성요소(170) 내부에서 키 펜(165)을 후방으로 가압하고, 이에 의해 유체 바늘(109)이 액체 인터페이스(115)를 빠져나가고 데이터 연결이 끊어진다.
도시된 예에서, 인터페이스 구조체(105)는 액체 채널(117)의 바늘 수용 부분(121) 옆에 측방향으로 둘 모두가 있고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를 따르는 깊이를 갖는 2개의 리세스(171a, 171b)를 포함한다. 리세스(171a, 171b)는, 예를 들어 각각의 키 슬롯 하우징 구성요소(170) 내로의 키 펜(165)의 침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키 펜(165)을 둘러쌀 수 있다.
리세스(171a, 171b)는 리세스 벽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리세스(171a, 171b)는 바늘 수용 액체 채널 부분(121) 옆으로 연장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리세스(171a, 171b)는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각각의 측방향 측면(139)의 내벽 표면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리세스(171a, 171b)는 일 측면에서, 인터페이스 구조체(105)가 그로부터 돌출되는 용기(103)의 측면(113)에 의해, 그리고 대향 측면 상에서, 원위 측면(137)의 내벽 표면에 의해 추가로 한정될 수 있다.
액체 인터페이스(115) 및 바늘 수용 채널 부분(121)은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중앙 평면(CP)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오프셋될 수 있으며(예를 들어, 또한 도 24 및 도 25 참조), 이에 의해 보다 작고 보다 큰 리세스(171a, 171b)가 액체 인터페이스(115) 및 바늘 수용 채널 부분(121)의 양측에 제공된다. 하나의 키 펜은 다른 키 펜보다 액체 채널로부터 더 먼 거리로 연장될 수 있으며, 집적 회로는 상기 하나의 키 펜과 액체 채널 사이에서 연장된다. 일 예에서, 보다 큰 리세스(171b)는 액체 인터페이스(115)에 대해 중앙 평면(CP)의 다른 측에서 연장되는 집적 회로 접촉 패드(175)를 수용한다. 리세스(171b)는 패드(175)가 그것의 일부인 전체 집적 회로(174)를 수용할 수 있다. 집적 회로(174)는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다른 맞춤형 집적 회로일 수 있다. 집적 회로 접촉 패드(175)는 제 2 및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2, d3)에 평행한 평면에 있어서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3)에 평행한 축을 따라,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원위 측면(137)의 내벽 부분 위에서 연장될 수 있다. 원위 측면(137)은 집적 회로(174)를 위한 지지 벽 부분을 포함한다. 집적 회로 접촉 패드(175)는 액체 채널(117)과 각자의 키 펜(165)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공급 장치(101)의 설치 동안에, 집적 회로 접촉 패드(175)를 위한 데이터 커넥터(173)는 바늘 수용 채널 부분(121)과, 각자의 리세스(171b)에 의해 수용된 각각의 키 펜(165) 사이에서 각자의 보다 큰 리세스(171b) 내로 통과할 수 있다.
키 펜(165)은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 예를 들어 그 종축(Ck)을 따르는 방향으로, 리세스(171a, 171b)의 베이스(169)로부터 돌출되는 기다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에서, 베이스(169)로부터의 돌출 정도(KL)는, (i) 액체 바늘의 원하는 삽입 길이와, (ii) 데이터 커넥터(173)의 삽입 길이와, (iii) 액추에이터를 충분히 트리거링하기 위한 액추에이터 가압 길이에 기초할 수 있다. 일 예에서, 키 펜(165)은 액체 출력부 에지(116)를 초과하지 않고,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를 따라 각각의 리세스(171a, 171b) 내부로 돌출되고, 이에 의해 키 펜(165)의 작동 표면 영역(168)이 액체 출력부 에지(116)와 대략 수평으로 될 수 있다. 일 예에서, 각각의 돌출 키 펜(165)은 액체 채널(117)에 인접한 벽(117b)과 측방향 측면(139)을 한정하는 벽 사이의 각각의 리세스(171a, 171b)에 수용된다.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를 따르는 인터페이스 정면(154)과 베이스(169) 사이의 리세스(171a, 171b)의 깊이는 해당 베이스(169)와 키 펜(165)의 원위 작동 표면 영역(168) 사이에서 측정된 키 펜(165)의 길이와 대략 동일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리세스(171a, 171b)를 따라 연장되는 벽의 일부는, 예를 들어 낙하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돌출 키 펜(165)을 기계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키 펜(165)은 베이스(169)와 작동 표면 영역(168) 사이의 길이(KL)가 약 10 ㎜ 이상, 약 12 ㎜ 이상, 약 15 ㎜ 이상, 약 20 ㎜ 이상, 또는 약 23 ㎜ 이상일 수 있다. 대응적으로, 키 펜(165)의 베이스(169)는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를 따라 측정될 때, 적어도 상기 길이(KL)로 액체 인터페이스(115)의 외부 에지(116)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키 펜(165)의 작동 표면 영역(168)은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를 따라 측정될 때, 대략 액체 인터페이스 에지(116)까지 연장되지만, 액체 인터페이스 에지(116)를 넘어서 연장되지 않거나, 예를 들어 1, 2, 3 또는 5 ㎜ 이하로 에지(116)에 못 미치거나 에지(116)를 넘어서 연장된다. 다른 예에서, 키 펜의 원위 작동 표면 영역(168)은 메인 액체 유동 방향(DL) 또는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를 따라 측정될 때, 액체 인터페이스(115)의 외부 에지(116)로부터 3 ㎜ 이상 또는 5 ㎜ 이상 돌출되지 않는 한편, 또 다른 예에서, 키 펜은 액체 인터페이스(115)를 넘어서 5, 10 또는 15 ㎜ 이상 연장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37a 참조).
일 예에서, 리세스(171a, 171b)는 측방향 측면(139)과, 지지 벽(137a)과, 액체 채널(117)을 한정하거나 액체 채널(117)에 평행하고 인접하는 벽(117b)과, 지지 벽(137a)과 반대측의 각각의 용기 측면(113)에 의해 한정된다. 측방향 측면(139) 및 지지 벽(137a)은 보호를 위해 키 펜(165)을 따라, 예를 들어 적어도 원위 작동 표면 영역(168)까지, 또는 적어도 원위 작동 표면 영역(168) 뒤로 약 5 ㎜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이한 예시적인 공급 장치(101)에서, 용기(103)는 키 펜(165)의 길이(KL)를 따라 걸쳐있고, 원위 작동 표면 영역(168)을 넘어서고, 액체 인터페이스 에지(116) 및 키 펜(165)을 넘어서며,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액체 유동 방향(DL)으로 인터페이스 구조체(105)를 넘어서 돌출 길이(PP)에 걸쳐 돌출된다.
도 22는 인터페이스 구조체(105) 및 용기(103)의 일 예의 단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제 도 22를 참조하여 논의될 일부 세부사항에 대하여, 도 5, 도 6, 도 8, 도 9 및 도 41이 또한 참고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저장소(133), 지지 구조체(135) 및 인터페이스 구조체(105)는 각각의 개별 제작 후에 함께 조립되는 개별적으로 제조된 구성요소이다. 예시적인 공급 장치(101)는 비교적 환경 친화적인 재료 및 구조의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동시에, 공급 장치(101) 및 수용 스테이션은 복수의 상이한 인쇄 플랫폼에서 구현될 수 있다. 공급 장치(101)는, 예를 들어 푸시-푸시 모션에 의해, 수용 스테이션에 비교적 사용자 친화적인 장착 및 분리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지지 구조체(135)는 카톤 또는 다른 셀룰로오스계 재료, 예를 들어 약 2 ㎜ 이하 또는 1 ㎜ 이하 두께의 주름을 갖는 f-플루트 판지(f-flute cardboard)로 제조된다.
지지 구조체(135)는 저장소 백을 지지 및 보호할 뿐만 아니라 외부에 설명, 사용지침, 광고, 도안, 로고 등을 제공하기 위해 대체로 박스형의 접힌 카톤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구조체(135)는, 예컨대 충격에 의해 및/또는 운송 동안에, 저장소(133)의 누출에 대한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지지 구조체(135)는 카톤 벽에 의해 한정된 대체로 직사각형인 6개의 측면을 포함하는 대체로 입방체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적어도 인터페이스 구조체(105)가 그로부터 돌출되는 측면(113)은 액체가 저장소(133)로부터 지지 구조체(135) 및 인터페이스 구조체(105)를 통해 유동할 수 있게 하는 개구(113A)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113A)는 언급된 제 1 측면(113)과 대략 직각인 제 2 측면(125)에 인접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예 중 일부에서, 개구(113A)가 배면 벽 근처의 하면 벽에 제공되어, 인터페이스 구조체가 배면 근처의 용기 하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게 하고, 이에 의해 용기 체적은 메인 액체 유동 방향(DL)을 따라 액체 유출의 메인 방향으로 액체 인터페이스를 넘어서 돌출될 수 있다. 지지 구조체(135)는 상기 제 2 측면(125), 예를 들어 배면측 상에 또는 그를 따라, 공급 장치(101)를 각각 장착 및/또는 분리하기 위해 해당 측면(125)을 가압하도록 조작자에게 표시하는 가압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저장소(133)는 가요성 필름 벽의 백을 포함하며, 벽은 가스, 증기 및/또는 액체와 같은 유체의 전달을 억제하는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다층 박막 플라스틱의 라미네이트(laminate)가 사용될 수 있다. 박막 재료는 플라스틱 재료의 사용을 감소시키고, 결과적으로 잠재적인 환경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불투과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중 층에 금속 박막이 포함될 수 있다. 가요성 필름 저장소 벽은 PE, PET, EVOH, 나일론(Nylon), 마일라(Mylar) 또는 다른 재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이한 예에서, 본 개시의 저장소(133)는 적어도 50 ㎖, 90 ㎖, 100 ㎖, 200 ㎖, 250 ㎖, 400 ㎖, 500 ㎖, 700 ㎖, 1 L, 2 L, 3 L, 5 L 또는 그 초과의 인쇄 액체를 유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이한 체적의 용기(103) 중에서, 동일한 최대 액체 체적 용량을 갖는 동일한 저장소(133)가 공급 장치(101)의 상이한 액체 체적 및/또는 상이한 지지 구조체(135)에 사용될 수 있다.
저장소(133)는 저장소(133) 내의 액체가 수용 스테이션으로 유동할 수 있게 하는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에 대한 유체적 연결을 위해, 가요성 백의 나머지보다 더 강성인 비교적 강성의 상호연결 요소(13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2의 도시된 예에서, 상호연결 요소(134)는 저장소(133)로부터 액체를 유출시키는 중앙 출력 채널을 포함하는 저장소의 목부(neck)일 수 있으며, 목부는 개구(113A)의 에지에서 각각의 지지 구조체 벽에 대한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중앙 출력 채널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와, 액체를 액체 채널(117)로 보내기 위한 중앙 채널을 포함한다. 상호연결 요소(134)는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저장소 연결 액체 채널 부분(129), 예를 들어 지지 구조체(135) 내로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를 넘어서, 즉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프로파일 높이를 넘어서 연장되는 저장소 연결 부분(129)의 돌출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상호연결 요소(134)는 저장소(133), 지지 구조체(135) 및 저장소 연결 액체 채널 부분(129)의 상호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이한 플랜지가 상이한 구성요소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호연결 요소(134)의 제 1 플랜지는 저장소(133)에 연결될 수 있고, 제 2 플랜지는 지지 구조체(135)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저장소는 유밀 방식으로 하나의 필름 층이 플랜지의 일 측면 위에 부착되고 다른 필름 층이 플랜지의 다른 측면 위에 부착되는 필름 라미네이트를 포함한다. 필름 층은 플랜지에 용접될 수 있다. 기계적 연결 구조체(106)가 제공되어, 예를 들어 상호연결 요소(134)의 플랜지와 기계적 연결 구조체(106)의 쐐기형 아암 사이에서, 저장소 연결 액체 채널 부분(129)에 저장소(133) 및 지지 구조체(135)를 클램핑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기계적 연결 구조체(106)의 아암은 관형의 저장소 연결 액체 채널 부분(129) 주위로 연장되고, 상호연결 요소(134)의 플랜지와 그 쐐기부 사이에서 저장소 및 지지 구조체 벽을 클램핑할 수 있다.
저장소 백은, 예를 들어 도 41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액체 인터페이스 에지(116)를 넘어서 지지 구조체(135)의 돌출 부분(123)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소(133)의 작동 상태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전된 상태에서, 제 2 용기 치수(D2)를 따르는 저장소 길이의 60%, 70%, 80% 또는 90% 초과가 상호연결 요소(134)로부터 멀리 돌출된다. 그러한 목적을 위해, 상호연결 요소(134)는 저장소에서 비대칭 위치에, 예를 들어 비충전되고 편평한 저장소 백의 에지 또는 코너 근처에 제공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구조체(105)는 비교적 강성의 성형 플라스틱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구조체의 벽은 가스, 증기 및/또는 액체와 같은 유체의 전달을 억제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별도의 저장소 및 인터페이스 구조체가 함께 비교적 유밀한 액체 공급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169), 배면(126) 및 측벽(139, 137)과 같은 대부분의 인터페이스 구조체(105)는 비-유리 섬유 재활용 PET와 같은 재활용 섬유 충전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비-유리 충전물은 액체 채널(117) 내의 시일(120)의 보다 양호한 보유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키 펜(165) 및 예시적인 별도의 기계적 연결 구조체(106)(도 40)는 유리 섬유 충전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구조체 및 저장소의 재료는 유체에 대해 비교적 불투과성일 수 있지만, 실제로, 일부 유체는 다양한 이유로 시간 경과에 따라 저장소 및 인터페이스 구조체의 벽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대응적으로, 특정의 제한된 저장 수명이 공급 장치(101)와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료의 선택은 특정의 최소 저장 수명을 유지하면서 저장소 필름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에 기초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사용시에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와 저장소(133) 사이에 조립된, 저장소(133)와 별개인 상호연결 요소(134)는 상이한 재료를 갖는 인터페이스 구조체(105) 및 저장소(133)에 대한 상호연결 요소(134)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예를 들어 용접 및 접착 모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인터페이스 구조체(105) 및 저장소(133)보다 더 유체 투과성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액체 스루풋부(111) 및 그것의 메인 액체 유동 경로(LFP)가 도 22에 도시되어 있다. 액체 유동 경로(LFP)의 메인 유동 방향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용기 및 인터페이스 구조체(205) 밖으로지만, 특정 예에서, 액체 유동 경로(LFP)와 연관된 양방향 유동 경로가 있을 수 있거나, 반대 유동이 있을 수 있으며, 이때는 2개의 액체 채널(117)이 있다. 메인 액체 유동 경로(LFP)를 따르는 메인 유동 방향의 상류에서,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에는, 액체 수용 액체 채널 부분(129)의 일부로서, 저장소(133)로부터 액체를 수용하기 위해, 예를 들어 저장소(133)의 상호연결 요소(134)와 정렬된 액체 채널 입력부(124)가 제공될 수 있다. 해당 입력부(124)의 하류에서, 공급 장치(101)의 액체 채널은 저장소 연결 채널 부분(129)의 나머지와, 이어서 중간 채널 부분(119), 바늘 수용 채널 부분(121) 및 액체 인터페이스(115)를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중간 액체 채널 부분(119)은, (i) 제 1 및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1, d2)에 평행한 평면에서 저장소 연결 부분(129)과 바늘 수용 부분(121) 사이의 각도(β), 및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3)를 따르는 저장소 연결 부분(129)과 바늘 수용 부분(121) 사이의 측방향 오프셋을 가능하게 한다.
바늘 수용 채널 부분(121)은 액체 인터페이스(115)를 통해 삽입될 때 수용 스테이션의 직선형 유체 바늘(109)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바늘 수용 부분(121)은 저장소 연결 부분(129)과 소정 각도를 이루어서, 액체가 먼저 저장소(133)로부터 인터페이스 구조체(105)로 유동한 후에 액체 채널(117)의 액체 입력부(124)를 향하는 곡선을 따라 유동할 수 있게 한다. 저장소 연결 채널 부분(129) 및 바늘 수용 채널 부분(121)의 중심축들 사이의 각도(β)는 도 2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3)를 따르는 방향에서 바라볼 때, 대략 직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향으로 돌출된 인터페이스 구조체(105)를 갖는 대략 수평으로 설치된 공급 장치에서, 저장소 연결 부분(129)은 대략 수직 중심축을 가질 수 있고, 바늘 수용 부분(121)은 대략 수평 중심축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각도(β)는, 바늘 수용 액체 채널 부분(121)에 대한 저장소 연결 부분의 잠재적으로 상이하게 경사진 중심축(129a, 129b)을 나타내는 점선(129a, 129b)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45° 내지 135°로 상이할 수 있다. 저장소 연결 액체 채널 부분(129)은 저장소(133)에 연결되도록 인터페이스 구조체(105)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바늘 수용 부분(121)은 도 22 및 도 2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3)의 방향을 따라 저장소 연결 부분(129)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예를 들어, 바늘 수용 채널 부분(121) 및 저장소 연결 채널 부분(129)의 중심축은 각각 상이한 기준 평면(C121, CP)에서 연장될 수 있으며, 이들 평면(C121, CP) 각각은, (i) 제 1 및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1, d2)에 평행하고, (ii)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어 있다. 채널 부분(121, 129)의 측방향 오프셋 거리는, 예를 들어 평면(C121, CP) 사이에서 측정될 때, 대략적으로 저장소 연결 채널 부분(129)과 바늘 수용 채널 부분(121)의 채널 반경의 합일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저장소 연결 채널 부분(129)의 중심축은 대략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중앙 평면(CP)에서 연장되고, 바늘 수용 채널 부분(121)은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중앙 평면(CP)에 대해 평행하고 오프셋되어 있다.
중앙 평면(CP)에 대해 바늘 수용 채널 부분(121)을 편심시키는 것은 바늘 수용 채널 부분(117) 옆에 보다 큰 리세스(171b)를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집적 회로 접촉 패드(175) 및 각각의 키 펜(165)의 수용과, 데이터 커넥터(173) 및 키 슬롯 하우징 구성요소(170)의 대응하는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집적 회로 접촉 패드(175) 및 액체 인터페이스(115)는 중앙 평면(CP)의 측방향으로 상이한 측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상이한 인터페이스 구성요소의 치수, 위치 및 배향의 설명된 양태는 예를 들어 비교적 작은 제 1 및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1, d3)를 갖는 비교적 작은 폭 및 낮은 높이 프로파일 인터페이스 구조체(105)를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이는 결국 비교적 광범위한 상이한 용기 액체 체적 및 상이한 인쇄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돌출 부분의 제 1 치수(d1) 대 제 3 치수(d3)(예를 들어, 높이 대 폭) 종횡비는 각각 2:3 미만, 또는 3:5 미만, 또는 2:5 미만, 또는 3:10 미만, 예를 들어 약 1.3:4.8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돌출 부분의 제 1 치수(d1):제 2 치수(D2)(예를 들어, 높이:길이) 종횡비는 각각 2:3 미만, 또는 3:5 미만, 또는 2:5 미만, 또는 3:10 미만, 예를 들어 약 1.3:4.3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제 1 치수(d1)는 약 10 내지 15 ㎜이다.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돌출 부분의 비교적 작은 제 1 치수(d1)는 500 ㎖ 초과와 같은 비교적 큰 체적의 용기(103)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약 100 ㎖ 이하와 같은 비교적 작은 체적의 용기 모두에 인터페이스 구조체(105)를 장착 연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저장소 체적은 50 ㎖, 90 ㎖, 100 ㎖, 200 ㎖, 250 ㎖, 400 ㎖, 500 ㎖, 700 ㎖, 1 L, 2 L, 3 L, 5 L 이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작은 인터페이스 치수(d1)는 공급 장치(101)의 비교적 효율적인 적재 및 운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용기(103) 대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돌출 부분의 제 1 치수의 비율(D1:d1)은 5:1 초과, 6:1 초과 또는 7:1 초과일 수 있다.
도 24 및 도 25는 각각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예를 단면 평면도 및 정면도로 도시한다. 도 24는 가상 기준 평면(P1, P2, P3, P4)을 도시하며, 각각의 평면(P1, P2, P3, P4)은 제 1 및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1, d3)에 평행하고, 정면(154)으로부터 배면(126) 또는 인터페이스 구조체(105)까지 제 2 치수(D2)를 따라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어 있다. 이들 가상 평면(P1, P2, P3, P4) 중 하나 이상은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상이한 인터페이스 구성요소의 상대적인 위치 및 형상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24의 도시된 예에서, 제 1 평면(P1)은 인터페이스 정면(154) 및 키 펜(165) 중 적어도 하나와 접선방향으로 접촉하거나 교차한다. 일 예에서, 인터페이스 정면(154)은 제 1 평면(P1)에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대략 직선형 표면을 포함하고, 제 1 평면(P1)은 인터페이스 정면(154)과 접촉한다. 다른 예에서, 제 1 평면(P1)은 키 펜(165)의 원위 작동 표면 영역(168) 근처에서 또는 그를 통해 키 펜(165)과 교차하거나 접촉한다. 다른 예에서, 키 펜은 인터페이스 정면(154)을 넘어서 돌출하는 연장된 펜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 1 평면(P1)은 연장된 펜 부분과 교차한다. 또 다른 예에서, 키 펜은 인터페이스 정면(154)에 못 미쳐서 멈추고, 이에 의해 제 1 평면(P1)은 키 펜과 접촉하거나 교차하지 않는다. 도시된 예에서, 제 1 평면(P1)은 집적 회로 접촉 패드(175)와 접촉하거나 교차하지 않지만, 다른 예에서, 접촉 패드(175)는 다소 이동될 수 있고, 제 1 평면(P1)은 접촉 패드(175)와 접촉하거나 교차할 수 있다.
제 2 평면(P2)은 제 1 평면(P1)과 평행하고, 바늘 삽입 방향(NI)을 따라 정면(154)으로부터 이격되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제 2 평면(P2)은 인터페이스 정면(154) 및/또는 키 펜 작동 표면 영역(168)으로부터 소정 거리에 제공된다. 제 2 평면(P2)은,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3)를 따라 도면에서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적어도, 측방향 측벽(139) 중 하나, 지지 벽(137a), 리세스(171b) 중 하나, 키 펜(165) 중 하나, 집적 회로 접촉 패드(175)의 어레이, 바늘 수용 액체 채널 부분(121)(예를 들어, 시일(120)을 포함함), 리세스(171a) 중 다른 하나, 키 펜(165) 중 다른 하나, 및 측방향 측벽(139) 중 다른 하나와 교차한다. 일 예에서, 측방향 측벽(139)은 측방향 가이드 특징부(138)를 포함하고, 제 2 평면(P2)은 이들 측방향 가이드 특징부(138)와 교차한다. 다른 예에서, 지지 벽(137a)은 중간 가이드 특징부(140)(도 24에서는 보이지 않음)를 포함하고, 제 2 평면(P2)은 중간 가이드 특징부(140)와 교차한다. 중간 가이드 특징부(140)는 제 1 리세스(171a) 아래에, 그리고 제 2 리세스(171b)와 반대측의 액체 스루풋부(117) 옆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특징부의 대부분 또는 전부는 단일의 성형된 모놀리식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일체로 성형된 부분일 수 있는 한편, 예를 들어 키 펜(165) 및 시일(120)은 별도의 플러그인 구성요소(plug-in component)를 형성할 수 있지만, 키 펜(165)은 나머지부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집적 회로 접촉 패드(175)는 제 2 리세스(171b)에 있어서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지지 벽(137a)의 내부 표면에 개별적으로 접착되고 특정 인쇄 관련 기능을 저장 및 제어하는 집적 회로의 개별 요소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사용시에, 접촉 패드 접촉 표면은 용기(103)와 대면하고, 접촉 패드(175)는 액체 채널(117)과 키 펜(165) 중 하나 사이에서 지지 벽(137a)의 내측 상의 각각의 리세스(171b)에 배치된다. 집적 회로(174)는, 예를 들어 회로의 캐리어 보드를 지지 벽(137a)에 접착함으로써, 일체로 성형된 모놀리식 구조체에 개별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제 3 평면(P3)은, 제 2 평면(P2)에 평행하게 제공되고, 바늘 삽입 방향(NI)을 따라 제 2 평면으로부터 오프셋되고, 제 2 평면(P2)보다 인터페이스 정면(154)으로부터 더 멀리 이격되어 있으며,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3)를 따라 도면에서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적어도, 간극(159), 리세스(171b) 중 하나, 키 펜(165) 중 하나, 액체 채널(117)(예를 들어, 바늘 수용 채널 부분(121)), 리세스(171a) 중 다른 하나, 키 펜(165) 중 다른 하나 및 다른 간극(159)과 교차한다. 제 3 평면(P3)은 지지 벽(137a) 및 측방향 측벽(139)의 일부와 교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평면(P3)은 집적 회로 접촉 패드(175)로부터 소정 거리에 제공된다. 제 3 평면(P3)은 시일(120)로부터 소정 거리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측방향 측벽(139)은 측방향 가이드 표면(141, 145)을 포함하고, 제 3 평면(P3)은 이들 측방향 가이드 표면(141, 145)과 교차하며, 측방향 가이드 표면은 본 개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측방향 가이드 표면(141, 145)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지지 벽(137)은 중간 가이드 특징(140)(도 24에서는 보이지 않음)을 포함하고, 제 3 평면(P3)은 중간 가이드 특징부(140)와 교차한다. 중간 가이드 특징부(140)는 액체 스루풋부(117) 옆에 그리고 제 1 리세스(171a) 아래에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2개의 간극(159) 중 하나만 제공되거나 어느 것도 제공되지 않는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평면(CP)은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3)의 중간을 통해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와 교차할 수 있고, 제 1 및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1, d2)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중앙 평면(CP)은 또한 제 3 용기 치수(D3)의 중간을 통해 용기(103)와 교차할 수 있다. 중앙 평면(CP)은 인터페이스 정면(154) 및 액체 인터페이스(115)와 교차할 수 있다. 집적 회로 접촉 패드(175)는 중앙 평면(CP)의 일 측부에 제공될 수 있고, 바늘 수용 액체 채널 부분(117) 및 액체 인터페이스(115)는 중앙 평면(CP)의 타 측부에 제공된다. 중앙 평면(CP)의 대향 양측에는 키 펜(165)이 제공될 수 있다. 집적 회로 접촉 패드(175)를 수용하는 제 2 리세스(171b)는 제 1 리세스(171a)보다 크다. 중앙 평면(CP)은 제 2 리세스(171b)의 일부와 교차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 2 리세스(171b)의 대부분이 제 1 리세스(171a)에 대해 중앙 평면(CP)의 타 측부에서 연장된다.
제 4 가상 평면(P4)은 제 3 평면(P3)에 평행하게 제공되고 바늘 삽입 방향(NI)을 따라 정면(154)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다. 제 4 평면(P4)은,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3)를 따라, 측방향 측벽(139), 지지 벽(137a) 및 액체 채널(117)의 저장소 연결 부분(129)과 교차한다. 다른 예에서, 제 4 평면(P4)은 또한 액체 채널(117)의 중간 부분(119)과 교차한다. 액체 채널(117)의 저장소 연결 부분(129)은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에 평행한 제 2 중심축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통형인 벽(예를 들어, 도 26 참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중심축은 도 24에서 중앙 평면(CP)과 제 4 평면(P4)의 교차선으로 표시된다. 제 4 평면(P4)은 베이스 벽(169)을 따라, 예를 들어 베이스 벽(169)으로부터 약 0 내지 5 ㎜ 또는 0 내지 3 ㎜에 있는 베이스 벽(169) 근처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 4 평면(P4)은 접촉 패드(175), 시일(120) 및 간극(159)으로부터 소정 거리에 제공될 수 있다.
도 24는 또한 제 2 및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2, d3)를 따른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대체로 직사각형 윤곽을 도시한다. 대체로 직사각형 윤곽은 원위 측면(137)의 전방 에지, 배면(126) 및 2개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면(139)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원위 측면(137)의 전방 에지 및/또는 배면(126)은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3)에 대략 평행한 대략 직선형 외부 에지 또는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측방향 측면(139)은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에 대략 평행한 대략 직선형 에지 또는 표면, 예컨대 제 1 측방향 가이드 표면(141)을 포함할 수 있다. 직사각형 윤곽의 크기는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3)를 따라 약 5 ㎝ 이하 및/또는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를 따라 약 6 ㎝ 이하, 예를 들어 각각 48 ㎜ 및 43 ㎜일 수 있다.
도 25는 제 2 및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2, d3)에 각각 평행한 가상 기준 평면(P5, P6, P7, P8, P9)에 의해 교차되고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돌출 방향, 즉 각 평면이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원위 측면(137)에 더 근접하는 방향으로 제 1 치수(d1)를 따라 서로에 대해 오프셋된 도 24의 예시적인 인터페이스 구조체(105)를 도시한다. 원위 측면(137)을 향하는 방향으로, 평면은 각각 제 5 평면(P5), 제 6 평면(P6), 제 7 평면(P7), 제 8 평면(P8) 및 제 9 평면(P9)을 포함한다.
제 5 평면(P5)은 인터페이스 정면(154)의 에지(154b)와, 예를 들어 액체 채널(117)의 돌출된 저장소 연결 부분(129)과 교차한다. 예를 들어, 제 5 평면(P5)은 또한 측방향 측벽(139), 리세스(171a, 171b), 키 펜(165)의 베이스(169) 중 적어도 하나와 교차할 수 있다. 제 5 평면(P5)은 제 1 측방향 가이드 표면(141, 141b), 예를 들어 외부 제 1 측방향 가이드 표면(141)과 교차할 수 있다. 제 5 평면(P5)은 키 펜(165)으로부터의 소정 거리에서, 예를 들어 적어도 키 펜(165)의 작동 표면 영역(168)으로부터의 소정 거리 및/또는 액체 인터페이스(115)의 에지(116)로부터의 소정 거리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 6 평면(P6)은 측방향 측벽(139), 리세스(171a) 중 하나, 키 펜 베이스(169), 키 펜(165) 중 하나, 액체 인터페이스(115) 및/또는 바늘 수용 액체 채널 부분(121)의 중심축으로부터 소정 거리에 있는 바늘 수용 액체 채널 부분(121), 그 중심축 위의 시일(120), 제 2 리세스(171b), 다른 키 펜 베이스(169), 다른 키 펜(165) 및 다른 측방향 측벽(139)과 교차한다. 상기 중심축은 시일(120)의 중간에서 도면 내로 직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제 6 평면(P6)은 키 펜(165)의 중간을 통해 키 펜(165)의 길이를 따라, 키 펜(165)의 베이스(169)와 직각으로 연장되는 중심축(Ck)을 통해 키 펜(165)과 교차한다. 제 6 평면(P6)은 제 1 측방향 가이드 표면(141, 141b), 예를 들어 내부 제 1 측방향 가이드 표면(141b), 및/또는 간극(159) 및/또는 정지부(163)와 교차할 수 있다.
제 6 평면(P6)으로부터 소정 거리에 있는 제 7 평면(P7)은 측방향 측벽(139), 리세스(171a) 중 하나, 키 펜 베이스(169), 키 펜(165) 중 하나, 액체 인터페이스(115) 및 액체 채널(117)의 바늘 수용 부분(121)의 중심축, 제 2 리세스(171b), 다른 키 펜 베이스(169), 다른 키 펜(165) 및 다른 측방향 측벽(139)과 교차한다. 제 7 평면(P7)은 제 1 측방향 가이드 표면(141, 141b), 예를 들어 내부 제 1 측방향 가이드 표면(141b), 및/또는 간극(159) 및/또는 후크 정지부(163)와 교차할 수 있다. 제 7 평면(P7)은 키 펜(165)의 중심축으로부터의 소정 거리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 5, 제 6 및 제 7 평면(P5, P6, P7)은 집적 회로 접촉 패드(175)로부터의 소정 거리에서 연장된다.
다른 예에서, 키 펜(165)은 키 펜(165)이 현재 도 25의 도면에서 위치된 방법과 비교하여, 도 25의 도면에서 하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키 펜(165)의 중심축(Ck)은 (i) 액체 인터페이스 및 바늘 수용 채널 부분의 중심축과 교차하는 평면과 동일한 평면, 또는 (ii) 이 평면의 다른 측에 있는 평면에 의해 교차될 것이다. 첫 번째 예에서, 키 펜 및 액체 인터페이스의 중심축은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를 따라 동일한 레벨에 있을 것이다.
제 7 평면(P7)으로부터 소정 거리에 있는 제 8 평면(P8)은 집적 회로 접촉 패드 어레이(175) 및/또는 집적 회로(174)의 나머지와 교차한다. 제 8 평면(P8)은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외부 원위 측면(137)을 한정하는 지지 벽(137a)에 인접하여 그리고/또는 그와 바로 접촉하여 연장될 수 있다. 지지 벽(137a)은 집적 회로(174)를 지지한다. 집적 회로 접촉 패드(175)는 적어도 대략적으로, 상기 제 8 평면(P8)에서 및/또는 그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접촉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접촉 표면은 평면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접촉 표면의 평면은 대략적으로 상기 제 8 평면(P8)에서 연장될 수 있지만, 이들 표면은 실제로는 정확히 평면이 아니고, 그에 따라 제 8 평면(P8)으로부터 접촉 표면의 일부의 약간의 편차가 고려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일 예에서, 집적 회로 접촉 패드(175)는 내부 지지 벽(137a)의 비교적 얕은 절결부에 제공되는 회로의 일부이며, 이에 의해 제 8 평면(P8)은 또한 접촉 패드(175)의 측방향 측면에서 지지 벽(137)과 교차하거나 접촉할 수 있다. 제 8 평면(P8)은 키 펜(165)으로부터의 소정 거리에서 연장될 수 있다. 액체 인터페이스 에지(116)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제 8 평면(P8)은 액체 인터페이스 에지(116)와 대략 접선방향으로 접촉하거나 교차할 수 있거나, 또는 해당 에지(116)로부터 약간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제 8 평면(P8)은 측방향 측면(138)과 교차한다. 제 8 평면(P8)은 중간 가이드 슬롯(144)을 따라 연장되고 그를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벽 또는 리브(144b), 즉 각각의 리세스(171a) 내로 돌출되는 벽 또는 리브(144b)와 교차할 수 있다.
제 9 평면(P9)은 제 8 평면(P8)으로부터의 작은 거리에서 연장되고, 접촉 패드(175)로부터의 소정 거리에서 지지 벽(137a)과 교차하며, 이에 의해 벽(137a)은 집적 회로 접촉 패드(175) 및/또는 집적 회로(174)를 지지하고 원위 측면(137)을 한정한다. 제 9 평면(P9)은 여기서는 가이드 슬롯(144)에 의해 구현되는 중간 가이드 특징부(140)와 교차할 수 있다. 제 9 평면(P9)은 키 펜(165), 액체 인터페이스 에지(116) 및 바늘 수용 액체 채널 부분(121)으로부터의 소정 거리에서 연장된다. 제 9 평면(P9)은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원위 측면(137)의 외부 표면에 인접하여 연장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구조체(105)는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제 2 및 제 3 치수(d2, d3)에 평행한 일련의 가상 평면(P5 내지 P9)에 의해 규정될 수 있으며, 가상 평면(P5 내지 P9)은, (i) 액체 인터페이스(115), 및 액체 인터페이스(115)의 양측에 있는 리세스(171a, 171b) 및 각각의 키 펜(165)과 교차하는 중간 평면(P6 또는 P7)과, (ii) 중간 평면(P6)에 평행하고 그로부터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돌출 방향으로 오프셋된 제 1 오프셋 평면(P8, P9)으로서, 제1 오프셋 평면(P8, P9)은 집적 회로 및/또는 집적 회로 접촉 패드 어레이(175)를 지지하는 지지 벽(137a)과 교차하고, 상기 접촉 패드 어레이는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3) 및 해당 평면(P8, P9)에 평행한 선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제 1 오프셋 평면(P8, P9)과, (iii) 중간 평면(P8 또는 P7)에 평행하고 그로부터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오프셋된 제 2 오프셋 평면(P5)으로서, 제 2 오프셋 평면(P5)은 액체 인터페이스(115)로부터의 소정 거리에서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인터페이스 정면 에지(154b)와 교차하고, 액체 공급 용기(103)에 연결되는 저장소 연결 액체 채널 부분(129)과 교차하는, 상기 제 2 오프셋 평면(P5)을 포함한다. 제 1 오프셋 평면(P8, P9) 및 제 2 오프셋 평면(P5)은 (i) 중간 평면(P8 또는 P7)의 대향 양측에서, (ii) 키 펜(165)으로부터의 소정 거리에서, 그리고 (iii) 바늘 수용 채널 부분(121)의 내벽으로부터의 소정 거리에서 연장된다. 바늘 수용 채널 부분(121)의 내벽은 오프셋 평면(P5, P9) 사이에서 연장된다. 도시된 예에서, 오프셋 평면(P5, P9)은 또한, 일 예에서 시일(120)이 삽입되는 인터페이스 정면(154)의 에지에 의해 한정되는 액체 인터페이스 에지(116)로부터의 소정 거리에서 연장된다. 인터페이스 구조체(105)가 용기(103)에 부착될 때, 이들 평면(P5, P6 또는 P7, P8)은 인터페이스 구조체(105)가 그로부터 돌출되는 용기 측면(113)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구조체(105)는 비교적 낮은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고, 이에 의해 대향하는 오프셋 평면(P5, P9) 사이의 거리는 약 20 ㎜ 미만, 약 15 ㎜ 미만, 약 13 ㎜ 미만, 또는 약 12 ㎜ 미만일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돌출 부분의 높이에 대응할 수 있는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의 크기에 대략 대응한다. 다른 예에서, 중간 평면(P6 또는 P7)은 간극(159) 및/또는 정지부(163) 및/또는 측방향 가이드 특징부(138)와 교차한다. 오프셋 평면(P5, P9)은 간극(159)으로부터 소정 거리에 제공될 수 있다.
도 26은 별도의 인터페이스 구조체(105)를 도시한다. 인터페이스 구조체(105)는 단일의 비교적 강성인 성형 플라스틱 베이스 구조체(105-1)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예를 들어 키 펜(165) 및 시일(120)은 예컨대 대응하는 상보적인 구멍 및 채널 내로 각각 플러깅되는 별도 구성요소일 수 있다. 저장소(133)에 연결하기 위한 채널 커넥터 구성요소(181)와 같은 추가의 별도 구성요소가 단일의 비교적 강성인 성형 플라스틱 구조체에 조립될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측방향 측면(139)은 지지 벽(137a)으로부터 제 1 치수(d1)의 방향으로 돌출된다. 지지 벽(137a)의 외부 측면은 본 개시의 다른 곳에서 원위 측면(137)으로 지칭된다. 설명된 돌출 구성요소는 외부 측면(137)과 반대측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지지 벽(137a) 및 그 외부 측면(137)은 대체로 제 2 및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2, d3)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액체 채널(117)은 지지 벽(137a)으로부터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를 따라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의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 구조체의 일부일 수 있으며, 이 구조체는 관형 액체 채널 벽(117b)과, 정면 가압 영역(154a) 및 액체 인터페이스(115)를 한정하는 블록을 포함한다. 액체 채널(117)의 상기 구조체는 리세스(171, 171b) 사이에서 연장된다. 리세스(171a, 171b) 및/또는 키 펜(165)의 베이스(169a, 169b)는 또한 벽(137a)으로부터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의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각각의 리세스(171a, 171b)는 상기 액체 채널 구조체, 측방향 측벽(139) 및 베이스(169a, 169b) 사이에서 연장된다. 배면 벽(154d)과 같은 다른 벽은 또한 지지 벽(137a)으로부터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의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저장소 연결 채널 부분(129)은 저장소(133)에 연결하거나 밀봉하기 위한 채널 커넥터 구성요소(181)를 포함한다. 저장소 연결 채널 부분(129)은 제 1 치수(d1)에 평행한 방향으로, 예를 들어 메인 액체 유동 방향(DL) 또는 바늘 삽입 방향(NI)과 직각으로 돌출되어, 액체 저장소(133)에 연결된다. 저장소 연결 채널 부분(129)은, 예를 들어 지지 구조체(135) 내부의 저장소(133)에 대한 연결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 상류 단부에 커넥터 구성요소(181)를 가지며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의 부분적으로 내측으로 그리고 부분적으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액체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된 저장소 연결 채널 부분(129)은 각각의 지지 구조체 측면(113)의 개구(113A)(도 22)를 통과하도록,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의 범위를 넘어서 특정 정도(OUT)만큼 돌출된다.
다른 예(도시되지 않음)에서, 저장소 연결 액체 채널 부분(129)은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높이를 넘어서 돌출되지 않고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 내에서 완전히 연장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저장소측 상호연결 요소(134)는 지지 구조체 개구(113A)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터페이스 구조체(105) 내로 또는 인터페이스 구조체(105)까지 연장되어, 유체 채널(117)에 유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 구성요소(181) 및/또는 액체 상호연결 요소(134)는 도 22 및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목부, 나사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구성요소(181) 및/또는 액체 상호연결 요소(134)는 각각 저장소 연결 액체 채널 부분(129) 및 저장소(133)의 목부에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 구성요소(181), 액체 상호연결 요소(134) 및 저장소 목부의 내경은 대응할 수 있다. 액체 상호연결 요소(134) 및/또는 저장소 목부의 내경은 제 3 용기 치수(D3)를 따른 저장소(133)의 총 폭보다 작다. 예를 들어, 내경은 저장소(133)의 폭의 절반 미만일 수 있다. 일부 예(예컨대, 도 46, 도 47)에서, 저장소(133)의 목부는 저장소(133)의 치수에 비하여 비교적 작을 수 있다.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는 원위 측면(137)의 외부 에지와 정면 에지(154b) 사이의 거리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또한, 측방향 측면(139)의 대향 에지는 대략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를 한정할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성형 구조체는 지지 벽(137)의 반대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리세스(171a, 171b)는 지지 벽(137a)의 반대측으로 개방되고, 이에 의해 조립된 상태에서, 각각의 용기 측면(113)은 해당 개구를 폐쇄하여 지지 벽(137a)의 반대측의 리세스 벽을 형성한다.
측방향 측벽(139) 및 지지 벽(137a)은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정면(154)에 있는 에지에서 종단된다. 에지는 리세스(171a, 171b)의 입구에서 연장되고, 이에 의해 근위 및 원위 정면 에지(154b, 154c)가 액체 인터페이스(115)에 인접하게 제공될 수 있다.
리세스(171a, 171b) 각각에는 각각의 키 펜(165)의 베이스(169a)일 수도 있는 베이스(169a, 169b)가 제공된다. 베이스(169a, 169b)는 액체 채널 벽(117b)과 측방향 측벽(139) 사이에서 연장되는 리세스(171a, 171b)의 내벽을 형성한다. 베이스(169a, 169b)는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3)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베이스(169a, 169b)는 제 1 및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1, d3)에 평행한 벽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베이스(169a, 169b)는 인터페이스 정면(154)에 대해 후방(메인 유동 방향(DL)과 반대) 방향으로 오프셋되며, 오프셋 거리는 키 펜(165)의 길이와 대략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베이스(169a, 169b)는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더 후방으로 오프셋될 수 있고, 이에 상응하여 키 펜의 길이는 키 펜의 작동 단부 영역(168)이 액체 인터페이스 에지(116)와 대략적으로 정렬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베이스(169a, 169b)는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를 따라 내향 방향으로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배면 벽(154d)으로부터 오프셋된 내벽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키 펜(165)의 클릭 핑거를 위해, 배면 벽(154d)과 베이스(169a, 169b) 사이에 공간(154d)이 제공될 수 있다.
도 27은 대응하는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베이스 벽(169a)에 부착가능한 키 펜(165)의 일 예를 도시한다. 키 펜(165)은 키 펜 베이스(169b)로부터 키 펜 작동 표면 영역(168)까지 연장되는, 약 10 ㎜ 이상, 약 12 ㎜ 이상, 약 15 ㎜ 이상, 약 20 ㎜ 이상 또는 약 23 ㎜의 종방향 돌출 키 펜 부분(165b)을 포함한다. 사용시에, 종방향 돌출 키 펜 부분(165b)은 키 펜 베이스(169b)로부터 키 펜(165)의 펜 축(Ck)을 따라 돌출될 수 있으며, 펜 축(Ck)은 메인 액체 유동 방향(DL)에 평행할 수 있는 삽입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시된 예에서, 펜 축(Ck)은 키 펜 베이스(169b)와 직각으로, 그리고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키 펜(165)이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에 설치될 때, 키 펜 베이스(169b)는 리세스(171a, 171b)의 베이스(169a, 169b)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키 펜의 "베이스"를 지칭하는 경우, 키 펜의 베이스는 적어도 키 펜이 각각의 베이스 벽에 조립된 상태에서, 키 펜에 인접하고 키 펜이 그로부터 돌출되는 임의의 베이스 벽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그러한 베이스는 하나의 예에서 키 펜의 일체로 성형된 부분(169b), 또는 다른 예에서 키 펜과 개별적으로 성형된 부분일 수 있다. 키 펜의 분해된 상태에서, 베이스는 키 펜의 나머지가 예를 들어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표면 영역(168)을 향해 그로부터 돌출되는, 분해된 키 펜의 베이스 부분(183)을 지칭할 수 있다. 키 펜이 리세스(171a, 171b)의 베이스 벽(169)과 일체로 성형되거나, 키 펜이 그러한 베이스 벽(169)에 사전 조립된 예에서, 키 펜에 인접하고 키 펜이 그로부터 돌출되는 임의의 베이스 벽 부분(169, 169a, 169b)이 키 펜의 베이스를 한정할 수 있다.
설치시에(예를 들어, 도 21 참조), 종방향 돌출 키 펜 부분(165b)은 10 ㎜, 12 ㎜, 15 ㎜ 또는 20 ㎜ 이상의 펜 삽입 거리에 걸쳐 키 슬롯 하우징 구성요소(170) 내측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 펜 삽입 길이는 액추에이터를 활성화하기에 충분해야 한다. 예를 들어, 펜 삽입 길이는 전달 메커니즘(예를 들어, 로드(179))과 결합하기 위한 제 1 거리, 예를 들어 1.5 ㎜와, 작동, 예를 들어 스위치 또는 후크(161)에 대한 작동을 위해 전달 메커니즘을 추가로 가압하기 위한 제 2 거리를 포함한다. 제 2 거리는 8.5 ㎜ 이상, 10.5 ㎜ 이상, 13.5 ㎜ 이상, 18.5 ㎜ 이상 등일 수 있다. 베이스(169, 169a, 169b)와 원위 작동 표면 영역(168) 사이의 키 펜(165)의 총 길이는 적어도 해당 펜 삽입 거리의 스팬이어야 한다.
도 28은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에 삽입된 키 펜(165)의 일 예를 도시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키 펜 베이스(169b)는 사용시에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에 삽입되어 종방향 키 펜 부분(165b)의 베이스(169a, 169b)를 공동-한정하는 베이스 부분(183)에 의해 한정된다. 베이스 부분(183)은 키 펜 베이스(169b)로부터 후방으로 종축(Ck)을 따라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이거나 상이한 형상일 수 있다. 펜 축(Ck)은 원통형 베이스 부분(183)의 중심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베이스 부분(183) 및 종방향 키 펜 부분(165b)은 일체로 성형된 단일 피스를 형성한다. 베이스 부분(183)은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대응하는 펜 베이스 구멍(185)에 삽입된다. 펜 베이스 구멍(185)은 각각의 리세스(171)의 베이스 벽(169a)에 제공된다. 베이스 벽(169a)은 바늘 삽입 방향을 따라 액체 인터페이스(115)에 대해 오프셋된 액체 스루풋부(111) 옆으로 연장된다. 도시된 예에서, 키 펜 베이스(169b)는 둘러싸는 베이스 벽(169a)의 표면과 대략적으로 수평으로 되고, 키 펜 베이스(169b) 및 베이스 벽(169a)은 함께 각각의 리세스(171a, 171b)의 베이스를 형성한다. 종방향 키 펜 부분(165b)은 메인 액체 유동 방향(DL)으로 대략 액체 인터페이스(115)의 레벨까지, 예를 들어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를 따라 액체 인터페이스 에지(116)로부터 약 5 ㎜ 미만, 또는 액체 인터페이스 에지(116)와 대략 수평까지 돌출된다. 종방향 키 펜 부분(165b)은 베이스(169a)로부터 약 15 ㎜ 이상, 약 20 ㎜ 이상, 또는 약 23 ㎜의 길이(KL)(예를 들어, 도 21 참조)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구조체(105)는 리세스 베이스(169a)에 있어서 액체 채널(117)의 양측에, 대응하는 한 쌍의 키 펜(165)을 위한 한 쌍의 펜 베이스 구멍(185)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베이스 부분(183)은 공급 장치(101)의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펜 베이스 구멍(185)에의 키 펜(165)의 정확한 위치설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텀(datum)(187)을 포함한다. 키 펜 데이텀(187)은 베이스 벽(169a)에 대한 키 펜(165)의 회전 배향을 결정 및 고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결국, 베이스(169a)는 펜 베이스 구멍(185)에 적어도 하나의 카운터 데이텀(counter datum)(189)을 포함할 수 있다. 키 펜(165)의 데이텀(187) 및/또는 키 펜 구멍(185)의 카운터 데이텀(189)의 수는 사전결정된 회전 배향의 최대 수를 결정할 수 있다.
키 펜(165)의 상이한 사전결정된 회전 배향의 예가 도 29 내지 도 32에 도시되어 있다.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에서의 키 펜(165)의 각각의 사전결정된 회전 배향은 대응하는 수용 스테이션(107)의 대응하는 형상의 키 슬롯(167)과 연관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회전 배향은 용기(103) 내의 특정 색상 또는 유형의 인쇄 액체와 연관될 수 있다. 복수의 데이텀(187)은 제 1 및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1, d3)에 평행한 평면에서 베이스 부분(183) 주위의 키 펜(165)의 베이스(169b)에 직접 제공될 수 있다. 결국, 펜 베이스 구멍(185)은 적어도 하나의 키 펜 데이텀(187)을 적어도 하나의 카운터 데이텀(189)에 정렬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카운터 데이텀(189)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베이스 부분(183) 및 베이스 벽(169a) 모두는 복수의 매칭 데이텀(187, 189)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키 펜(165) 상의 데이텀(187)의 수는 키 펜(165)의 사전결정된 수의 회전 배향을 여전히 가능하게 하면서, 베이스 벽(169a) 상의 카운터 데이텀(189)의 수와 상이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베이스 벽(169a)은 하나의 데이텀(189)만을 포함하고, 대응하는 키 펜(165)은 복수의 데이텀(187)을 포함하거나, 그 반대로, 키 펜(165)은 하나의 데이텀(187)만을 포함하고, 베이스 벽(169a)은 복수의 데이텀(189)을 포함한다. 복수의 데이텀(187) 및/또는 카운터 데이텀(189)을 사용하는 예에서, 이들 데이텀(187, 189)은 규칙적인 위치에, 예를 들어 원 주위의 서로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데이텀(187) 및 카운터 데이텀(189)은 치형부에 의해 구현되고, 이에 의해 각각의 키 펜 데이텀 치형부는 인접한 카운터 데이텀 치형부들 사이의 대응하는 형상의 공간과 연관된다. 대응적으로, 도 29 내지 도 32는 키 펜(165) 주위에 복수의 데이텀(187)을 갖는 예시적인 키 펜(165)의 배향을 도시하며, 여기서 데이텀(187)은 치형부 형태이고, 한편 도 33은 여기서는 또한 2개의 키 펜 데이텀 치형부(187) 사이에 결합하는 치형부의 형상인 단일의 카운터 데이텀(189)만을 갖는 베이스(169a)의 펜 구멍(185)을 도시한다. 키 펜 데이텀 치형부(187)의 원위 단부는 또한 카운터 데이텀 치형부가 없는 펜 구멍(185)의 내부 에지(185a)와 결합할 것이다. 이것은 키 펜(165)의 회전 배향이 상이한 수의 데이텀(187, 189)에 의해 선택 및 고정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동일한 원리에 따르면, 키 펜 베이스 부분(183)에는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데이텀(187)만이 제공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펜 구멍(185)에는 복수의 카운터 데이텀(189)이 제공될 수 있다. 키 펜(165)은 펜 구멍(185)의 2개의 카운터 데이텀(189) 사이에 데이텀 치형부(187)를 정렬시킴으로써 사전결정된 회전 배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데이텀(187) 및/또는 카운터 데이텀(189)은 시각적 마크, 다른 마크, 코너, 리브, 절단부, 절결부, 파상부(undulation) 또는 다른 적합한 특징부에 의해 한정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다시 대향하는 데이텀 및 카운터 데이텀이 상이한 적합한 수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베이스 부분(183)의 외부 에지 및/또는 펜 구멍(185)의 내부 에지는 종방향 펜 축(Ck) 주위에 3개, 4개, 6개, 12개 또는 임의의 수의 면을 갖는 다면체의 윤곽을 가져서, 유사하게 베이스 벽(169a)에 대한 키 펜(165)의 사전결정된 수의 상이한 회전 배향을 허용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개시에서, 다면체의 외부면 및 코너는 각각 데이텀(187, 189)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키 펜(165) 및/또는 베이스 벽(169a)은 적어도 12개의 데이텀을 포함하며, 이는 베이스 벽(169a)에 대해 적어도 12개의 상이한 회전 배향으로 동일한 키 펜(165)을 부착하고, 차례로 12개의 상이한 액체 유형을 갖는 동일한 인터페이스 구조체 특징부를 연관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다른 예에서, 6개, 3개, 16개, 24개 또는 상이한 수의 데이텀(187) 및/또는 카운터 데이텀(189)이 예를 들어 상이한 수의 액체 유형과 연관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베이스 부분(183)은 키 펜 베이스(169b)를 한정하는 플랜지 또는 디스크(186)를 포함하고, 이 디스크(186)로부터 원통형 베이스 부분(183)의 나머지가 바늘 삽입 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고, 종방향 키 펜 부분(165b)은 조립된 상태에서 메인 액체 유동 방향(DL)을 따라 디스크(186)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다. 일 예에서, 펜 축(Ck)은 대략적으로 디스크(186)의 중앙과 교차한다. 디스크(186)는 리세스 베이스(169a)의 키 펜 베이스 구멍(185)에 끼워맞춰지도록 구성된다. 디스크 에지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디스크 에지 주위에 그리고 서로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규칙적으로 위치된 데이텀 치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립된 상태에서, 키 펜 베이스(169b)에 대해 디스크(186)의 반대측에 있는 디스크(186)의 배면 및 데이텀 치형부는 리세스 베이스(169a)를 한정하는 벽에 있는 디스크 지지 표면(184)에 대해 지지될 수 있다(도 21 및 도 24에 가장 잘 도시됨). 지지 표면(184)은 펜 베이스(169b)(예를 들어, 디스크(186))의 위치설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리세스 베이스(169a)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예를 들어 키 펜(165)이 로드(179)와 같은 대향 액추에이터에 대해 가압할 때, 지지 표면(184) 상의 키 펜(165)의 내향 가압력에 대해 대항한다.
다른 예에서, 베이스 부분(183)은 키 펜(165)을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에 플러깅 및 스냅 결합하기 위해 그 후방 단부(188)에 적어도 하나의 스냅 핑거(snap finger)(191)를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베이스 부분(183)의 후방 단부(188)는 아마도 도 27 및 도 28에서 가장 잘 보이는 2개의 대향 스냅 핑거(191)를 포함한다. 스냅 핑거(191)는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추가 지지 벽 표면(191c)에 접하는 맞댐 에지(butting edge)(191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맞댐 에지(191b)는 베이스(169a)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지지 벽(191c)이 베이스(169a)와 배면 벽(154d) 사이에서 연장된다. 따라서, 키 펜(165)의 디스크(186) 및 스냅 핑거(191)와,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지지 표면(184, 191c)은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에 대해 키 펜(165)을 펜 축(Ck)을 따라 양 방향으로 보유하거나 클램핑할 수 있다. 결국, 돌출된 데이텀이 키 펜의 회전 배향을 고정시킬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키 펜(165)은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벽에 상이한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거나,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벽과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베이스 부분(183)은 키 펜을 베이스(169b)에 나사 체결하기 위한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종방향 돌출 키 펜 부분(165b)은 키잉 기능, 안내 기능 및 작동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작동 기능과 관련하여, 키 펜(165)은 수용 스테이션에 제공된 기계적 액추에이터 및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액추에이터에 대해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종방향 돌출 키 펜 부분은 단지 상기 기능들 중 2개, 예를 들어 키잉 기능이 아닌 안내 및 작동 기능만, 또는 작동 기능이 아닌 키잉 및 안내 기능만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키 펜은 키잉 기능과 같은 다른 기능을 실행하지 않고 안내 또는 작동만 한다. 또 다른 예에서, 키 펜은 수용 스테이션의 액체 바늘에 대한 액체 인터페이스(115)의 비교적 정밀한 안내를 위해 사용되며, 이에 의해 전술한 가이드 표면(141, 141b, 145, 143, 143b, 147)의 일부 또는 전부가 변경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 펜(165)은 특정 색상 또는 유형의 인쇄 액체의 공급 장치와 연관되고, 대응하는 수용 키 슬롯(167)(예를 들어, 도 20, 도 21 참조)을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제 1 예에서, 키 펜(165)은 프린터의 제 1 수용 스테이션의 키 슬롯(167)을 통과하도록 형상화되고, 색상 또는 액체-유형 혼합을 회피하기 위해 동일한 프린터의 다른 수용 스테이션의 비매칭 키 슬롯(167)에 의해 차단되어야 한다. 제 2 예에서, 단일 형상의 키 펜(165)은 동일한 프린터의 각각 상이한 수용 스테이션의, 상이한 액체와 연관된 상이한 키 슬롯(167)을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키 펜(165)은 안내 및/또는 작동 기능만을 가지며, 색상/유형 키잉 기능을 반드시 가질 필요는 없다. 제 1 예는 식별 키 펜으로 지칭될 수 있고, 제 2 예는 작동 키 펜 또는 마스터 키 펜으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키 펜은 서비스 유체를 단일 인쇄 시스템의 상이한 수용 스테이션에 연결하는데 사용되거나, 단순히 대안적인 공급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작동 키 펜은 색상의 식별에 대한 필요 없이, 액추에이터만을 작동시킬 목적을 위해, 단일 수용 스테이션만을 갖는 흑백 인쇄 시스템용 공급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상이한 유형의 키 펜이 상이한 기능에 대해 적용될 수 있다.
이전에 언급된 제 1 예에 따르면, 각각의 공급 장치를 위한 유사한 인터페이스 구조체(105) 및 용기(103) 구조를 포함하는 공급 장치(101)의 세트가 제공될 수 있으며, 여기서 용기(103) 중 하나는 용기(103) 중 다른 하나와 상이한 액체 유형을 수용하고, 대응하는 인터페이스 구조체(105)는, 특정 액체 유형과 대응하지 않는 수용 스테이션에 대한 설치를 억제하기 위해, 예를 들어 각각의 펜 축(Ck) 주위에 상이한 회전 배향으로 있는 키 펜(165)과 같은 상이한 키 펜 구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이한 공급 장치(101)는 상이한 액체 및 상이한 대응 키 펜 단면 및/또는 상이한 키 펜 배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9 내지 도 32는 키 펜 베이스(169b) 바로 위를 펜의 종축(Ck)을 따라 바라볼 때 키 펜 형상의 예를 도시하며, 여기서 종방향 키 펜 부분(165b)을 따르는 단면 키 형상은 동일하지만 회전 배향이 상이하다. 인터페이스 구조체 내에 설치될 때, 단면의 평면은 제 1 및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1, d3)에 평행할 수 있다. 키 펜 쌍이 각각의 대응하는 인터페이스 구조체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 쌍의 키 펜은 서로에 대해 동일한 회전 배향 또는 상이한 배향을 가질 수 있고, 대응하는 수용 스테이션의 키 슬롯은 대응하는 구성을 갖는다. 도 29 내지 도 32의 상이한 배향은 상이한 액체 유형 및 대응하는 키 슬롯(167)의 매칭되는 회전 배향과 연관될 수 있다.
이들 도면의 예에서, 각각의 키 펜 단면은 예를 들어 매칭되는 Y자형 키 슬롯(167)을 통과하기 위해 Y자의 형태이다. 다른 예시적인 단면 키 형상은 T, V, L, I, X 또는 하나의 도트 또는 일련의 도트 또는 다른 기하학적 형상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V자 형상은 L자 형상을 포함하고, X자 형상은 +자 형상을 포함하며, 이는 예를 들어 키 펜(165)이 회전될 수 있기 때문이다. 키 형상은 대응하는 Y, V, L, I, T, X자형의 키 슬롯 형상과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 키 펜 부분(165b)의 단면은 Y, V, L, I, T, X 등에 대응할 수 있지만, 작동 표면 영역(168) 사이에 노치를 갖는 불연속적인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 키 펜 부분(165b)의 단면은, 예를 들어 각각의 키 슬롯(167)에 대응하는, Y, V, L, I, T 또는 X자형 윤곽을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인 방식으로 대체로 따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불연속적인 실시예는 그 사이에 공간을 갖는 개별 원위 작동 표면 영역(168)을 가질 수 있다. 또한, Y자형 키 펜(165)이 Y자형 키 슬롯(167)과 연관될 수 있지만, 일부 경우에, 또는 V자(예를 들어, L자), I자 또는 도트 형상의 키 펜(165)이 키 슬롯(167) 뒤의 로드(179) 및/또는 스위치와 같은 각각의 액추에이터에 대해 여전히 작동하면서, Y자형의 키 슬롯(167)을 통과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도 27의 종방향 키 펜 부분(165b)은 펜 축(Ck)을 따라 그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3개의 종방향 날개(165d) 또는 플랜지를 갖는다. 각각의 날개(165d)는 Y자의 레그(leg)를 한정한다. 날개(165d)는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의 방향으로 펜 축(Ck)을 따라 연장된다. 날개(165d)는 서로로부터 멀어지면서 펜 축(Ck)으로부터 멀리 연장되고, 이에 의해 Y자형 단면을 제공한다. 3개의 날개(165d)의 교차부(Ck), 즉 Y자의 중앙에서 교차부(Ck)는 대략 펜 축(Ck)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날개(165d)의 교차부(Ck)는 키 펜 베이스(169b)의 중심으로부터 오프셋되고, 그리고/또는 펜 축(Ck)으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유사하게, V자형 단면을 갖는 키 펜은 키 펜 베이스(169b) 또는 키 펜 구멍(185)의 중심에 또는 그 근처에, 또는 중심으로부터 멀리 교차부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키 펜(165)은 로드(179) 또는 스위치와 같은 수용 스테이션의 상대 액추에이터에 대해 작동하기 위한 작동 표면 영역(168)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 매칭되는 키 펜(165)만이 액추에이터에 대해 작동할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대 액추에이터가 키 슬롯(167) 뒤에 제공될 수 있다. 작동 표면 영역(168)은 종방향 키 펜 부분(165b)의 원위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도 19, 도 21 및 도 35에서 명확하게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특정 예에서, 날개(165d)의 작동 표면 영역(168)의 외측 단부는 작동 표면(168)을 한정하며, 이는 이들 표면(168)이 수용 스테이션(107) 내로의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삽입시에 액추에이터 로드의 에지와 결합하기 때문이다.
도 35에서, 작동 표면(168)은 키 슬롯(167)과 로드(179)의 에지(또한 점선으로 표시됨)가 중첩되는 위치에서 점선의 원으로 개략적으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중공 로드(179)가 V자형 또는 Y자형 키 펜(165)에 의해 작동될 때, 로드(179)와 결합하는, 중앙 또는 종방향 펜 축(Ck)으로부터의 소정 거리에 있는 각각 V자 또는 Y자의 레그의 외측 단부 근처에, 서로로부터 소정 거리에 있는 각각 2개 또는 3개의 개별 작동 표면 영역(168)이 있다. 하나의 작동 표면 영역(168)은 액추에이터에 작용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중앙 작동 표면 영역(168c)이 있을 수 있다. 수용 스테이션은 중앙 작동 표면 영역(168c)에 의해 작동가능한 로드 부분, 스위치 또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그러한 중앙 작동 표면 영역(168c)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마스터 키 펜을 위한 것일 수 있다. 임의의 상기 작동 표면 영역(168)을 갖는 적합한 구성의 임의의 키 펜(165)은 수용 스테이션에 대한 공급 장치(101)의 장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36은 종축(Ck)에 수직인 키 펜(265)의 단면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최소한으로, 키 펜(265)은 로드(179)를 가압하기 위해 그 원위 단부에 작동 표면 영역(168a)을 갖는 단일의 원통형 또는 비임형 돌출 종방향 핀(165e)을 포함할 수 있다. 핀(165e) 및 그 작동 표면 영역(168a)은 대응하는 Y자형 또는 V자형 키 슬롯(167)을 통과하고 로드(179)의 원형 가압 에지와 같은 각각의 액추에이터와 결합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이하게 배향된 키 슬롯(167)에 대하여, 핀(165e)은 이러한 상이하게 배향된 키 슬롯(167)을 통과하기 위해 베이스(169b)에 대해 상이하게 위치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사전결정된 위치에 있는 단일의 원통형 핀(165e)을 포함하거나 그로 구성되는 키 펜(165)은 액추에이터를 트리거하고 수용 스테이션에 대한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에 충분한 액체-유형 식별 키 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6에 또한 도시된 다른 예에서, 점선 원(165f)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키 슬롯을 통과하고 액추에이터(179)와 결합하는 추가 핀(165f)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원통형, 핀형 또는 비임형 종방향 키 펜(165e, 165f)은 펜 축(Ck)을 따라 베이스(169b)로부터 돌출되어, 키 슬롯(167)을 통과하고 각각의 작동 표면 영역(168a, 168b)에 의해 로드(179) 또는 스위치와 같은 각각의 액추에이터에 작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돌출 키 펜 부분은 그 길이의 상당한 부분에 걸쳐 Y자형 또는 V자형일 수 있고, 이어서 상이한 작동 표면 영역(168a, 168b)을 향해 발산할 수 있거나, 단일의 작동 표면 영역(168a)을 향해 수렴할 수 있다. 또, 마스터 또는 중앙 돌출 펜(165g)이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내부 베이스 또는 로드(179)에 도달하도록 연장된 길이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7은 키 슬롯을 통과하고 액추에이터에 작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는 각각의 돌출 핀(165e, 165f)을 갖는 그러한 개별 작동 표면 영역(168a, 168b) 중 하나 이상을 가지는 그러한 키 펜(265)의 예시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특정 예에서, 종방향 키 펜 부분(165e, 165f)은 베이스 벽(168a, 168b)으로부터 돌출된 플라스틱 또는 금속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69)와 작동 표면 영역(168a, 168b) 사이의 핀(165e, 165f)의 길이는 앞서 언급된 도 27 내지 도 32의 돌출 키 펜 부분(165b)과 대략 동일할 수 있다.
도 37a, 도 35 및 도 36을 참조하면, "마스터" 키 펜(265)은 상이한 유형 또는 색상의 액체와 연관된 상이한 형상 또는 배향의 키 슬롯(167), 예를 들어 그러한 키 슬롯(167)의 중앙을 통과하도록 위치된 작동 표면 영역(168c)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핀(165g)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적어도 하나의 핀(165g)은 상이한 액체 유형 및/또는 색상과 연관된 다수의 수용 스테이션의 다수의 상이한 형상 또는 배향의 Y자형 또는 V자형 키 슬롯(167)을 통과하도록, 사전결정된 위치에, 예를 들어 그 베이스 또는 키 슬롯(167)에 대한 중앙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핀(165g)은 메인 액체 유동 방향(DL)에 대략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핀(165g)은 Y자형 키 슬롯(167)의 3개의 레그가 교차하는 Y자형 키 슬롯(167)의 중앙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공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이한 배향의 Y자형 키 슬롯(167)의 중앙을 통과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도 3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 키 펜(265B)은 대응하는 리세스(271)의 윤곽에 의해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정면(254) 및/또는 액체 인터페이스 에지(예를 들어, 다른 도면에서의 에지(116))보다 더 멀리 연장된다. 예를 들어, 마스터 키 펜(265B)은,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3)를 따라 바라볼 때, 인터페이스 정면(254) 또는 액체 인터페이스 에지(116)를 넘어서 5 ㎜ 이상, 10 ㎜ 이상, 15 ㎜ 이상 또는 20 ㎜ 이상 돌출된다. 따라서, 키 펜(265B)은, 예를 들어 그 베이스(269)와 작동 표면 영역(168c) 사이에서 측정될 때, 약 30 ㎜ 이상, 약 35 ㎜ 이상, 약 40 ㎜ 이상 또는 약 45 ㎜ 이상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수용 스테이션 내로의 인터페이스 구조체의 삽입시에, 연장된 마스터 키 펜(265B)은 키 펜(265B)의 원위 작동 표면 영역(168c)이 로드(279)의 내벽(279A)과 결합할 때까지 중공 로드(279) 내부로 돌출되고, 이에 의해 마스터 키 펜(265B)은 예를 들어 후크(161)를 트리거하기 위해, 내벽(279A)에 대해 가압함으로써 로드를 내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정면(254) 또는 액체 인터페이스 에지를 넘어서는 추가 길이는 로드(279)의 전방 에지와 마스터 키 펜(265B)이 작용하는 상기 내벽(279A) 사이의 거리에 걸쳐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마스터 키 펜은 핀과 상이하게 형상화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다른 유형의 액추에이터와 결합할 수 있다. 특정 수용 스테이션을 구별하지 않는 마스터 키 펜을 갖는 것은 서비스 액체를 갖는 서비스 공급부와 같은 색상 또는 유형 독립적인 액체 공급 장치에 유용하거나, 비용 절감 또는 다른 이유로 유용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마스터 키 펜은 수용 스테이션 세트에서의 수용 스테이션을 구별하지 않지만, 수용 스테이션의 상이한 세트를 구별한다. 또 다른 예에서, 키 펜(265, 265B)은 현재 연장된 핀(165g)과 유사한 연장된 핀을 포함할 수 있지만, 마스터 키 펜으로 기능하지 않는다. 연장된 색상 또는 액체 유형 식별 키 펜(265, 265B)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마스터 키 펜(265B)과 같은, 핀형이 아닌 보다 긴 키 펜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로드(179)의 내벽(179A)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액추에이터 구성요소와 결합하기 위해, 유사하게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도 38은 또 키 펜(265C)의 단면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단면은 V자형이다. 키 펜(265C)은 도 35에 나타낸 Y자형 키 슬롯(167)의 일부와 매칭되고 상기 Y자형 키 슬롯(167)을 통과하고 예를 들어 2개의 대응하는 외부 작동 표면 영역(168d)에 의해 로드(179)를 작동시키기에 적합한 2개의 날개(165d)를 갖는 종방향 키 펜 부분(165g)을 포함한다. V자형 키 펜(265C)은 Y자형 키 펜(165)에 비하여 그 종축을 따라 비교적 더 편평할 수 있다. 따라서, 여전히 그 기능을 수행하면서, 키 펜 형상이 "감소"될 수 있다. Y자형 또는 V자형 키 슬롯이 사용되는 예에서, 또한 I자형 키 펜 단면이 활용될 수 있거나, V자 또는 Y자의 일부와 매칭되고 로드(179)의 에지와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트형 단면 또는 임의의 다른 단면이 활용될 수 있다.
도 39는 그 베이스(369)로부터 돌출되는, 리세스(371) 내의 키 펜(365)의 다른 개략적인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키 펜(365)은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 또는 메인 액체 유동 방향(DL)에 정확하게 평행하게 연장되지 않는다. 키 펜(365)은 종축(Ck)을 따라 연장되지만,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에 정확하게 평행하지는 않다. 종축(Ck)은 메인 액체 유동 방향 또는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에 대해 경사져 있다. 여기서, 키 펜(365)의 종축(Ck)은 대략 메인 액체 유동 방향(DL)으로 연장되지만, 상기 메인 액체 유동 방향(DL)과 소정 각도로 경사져 있으면서, 여전히 키 슬롯을 통한 삽입을 허용하고 수용 스테이션의 대향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킨다. 키 펜(365)의 베이스(369)와 작동 표면 영역(368) 사이의 종방향 거리는 약 10 ㎜ 이상, 약 12 ㎜ 이상, 약 15 ㎜ 이상, 약 20 ㎜ 이상 또는 약 23 ㎜ 이상일 수 있다. 메인 액체 유동 방향에 대한 키 펜(165)의 경사각 및 특정 마진이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허용된다는 점이 또 주목된다.
도 29 내지 도 39는 본 개시의 임의의 인터페이스 구조체에 사용될 수 있고 수용 스테이션에 제공된 특정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는데 적합할 수 있는 키 펜의 상이한 예를 도시한다. 이들 예에서는 단일 키 펜이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출력부의 측방향 양측에 키 펜이 쌍으로 제공될 수 있다. 결국, 대응하는 액추에이터는, 이들 키 펜에 의해 작동될 때, (i) 공급 장치를 수용 스테이션에 보유하기 위한 특정 보유 메커니즘, 및/또는 (ii) 펌프 스위치, 및/또는 (iii) 데이터 통신, 및/또는(iv) 다른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트리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임의의 예시적인 키 펜은 펜 축(Ck)을 따라 키 펜 베이스와 작동 표면 영역 사이의 길이가 약 10 ㎜ 이상, 약 12 ㎜ 이상, 약 15 ㎜ 이상, 약 20 ㎜ 이상 또는 약 23 ㎜ 이상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작동 표면 영역은 인터페이스 구조체의 정면 또는 액체 출력부 에지와 대략 수평일 수 있다. 즉, 예시적인 연장된(예를 들어, 마스터) 키 펜 버전(예를 들어, 도 37a)은 약 30 ㎜ 이상, 약 35 ㎜ 이상, 약 40 ㎜ 이상 또는 약 45 ㎜ 이상일 수 있다.
도 40은 본 개시의 다른 예에 따른 공급 장치(101)를 구성하기 위한 구성요소의 키트(100)를 도시한다. 키트(100)는 액체를 유지하기 위한 용기(103)를 포함한다. 키트(100)는 인터페이스 구조체(105)를 포함한다. 키트(100)는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액체 채널을 위한 액체 인터페이스 구성요소(114)를 포함한다. 키트(100)는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에 부착하기 위한 키 펜(165)을 포함한다. 키트(100)는 접촉 패드 어레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에 부착하기 위한 집적 회로(174)를 포함한다. 키트(100)는 액체가 용기(103)와 액체 채널(117) 사이에서 유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저장소 수용 액체 채널 부분(129)의 액체 입력부(124)를 용기(103)와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액체 상호연결 요소(134)를 포함한다. 키트(100)는 인터페이스 구조체(105)를 용기(103)와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기계적 연결 구조체(1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계적 연결 구조체(106)는 또한 적어도 조립된 상태에서, 지지 구조체(135)의 각각의 측면(125)을 따라 강화 부재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각각의 측면(125)은 용기(103)의 배면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용기(103)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절첩가능한 저장소(133) 및 지지 구조체(135)를 포함한다. 용기(103)는 라벨(135a)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라벨 상의 정보는 공급 장치(101)의 설치 방향 및/또는 공급 장치(101)를 수용 스테이션 내로 가압하는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러한 목적을 위해, 라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 구조체(135)의 배면(125)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 구조체(135)는 저장소(133)를 유지하는 접힌 카톤 박스형 구조체일 수 있다. 지지 구조체(135)는 지지 구조체(135)의 정면(131) 근처에서 연장되는 돌출 부분(123), 및 정면(131)과 반대측의 배면(125)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액체 채널의 저장소 연결 채널 부분(129) 및 입력부(124)가 지지 구조체(135)를 통과하여 저장소(133)에 연결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지지 구조체(135)의 배면(125) 근처에서 지지 구조체(135)의 하면(113)에 개구(113A)(이 도면에서는 보이지 않음)가 제공된다. 조립된 상태에서, 저장소 연결 채널 부분(129)은 하면 개구(113A)를 통해 지지 구조체(135) 내로 연장될 수 있는 한편,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나머지는 본 개시에서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에 의해 한정된 범위에 걸쳐 하면(113)으로부터 멀리 하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키트(100)는 저장소(133)의 하면(113) 및 배면(125) 근처에서 저장소(133)와 저장소 연결 채널 부분(129) 사이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액체 상호연결 요소(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상호연결 요소(134)는 저장소(133)의 목부에 부착되거나 상호연결 스파우트(interconnect spout)를 포함하거나, 저장소(133)와 일체형일 수 있다.
지지 구조체(135)는 개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배면측 플랩은 저장소(133)가 지지 구조체(135) 내에 배치될 수 있게 하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인터페이스 구조체(105) 및/또는 저장소(133)는 배면(125) 및 하면 개구(113A) 근처에서 배면 및 하면 개구(113A)를 따라 연장되는 기계적 연결 구조체(106)의 도움으로 지지 구조체(135)에 연결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구조체(105) 및/또는 저장소(133)는 부분적으로 하면 개구(113A)를 통해 연장된다. 기계적 연결 구조체(106)는 조립시에 지지 구조체(135)에 클램핑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립된 상태에서, 기계적 연결 구조체(106)는, 예를 들어 삽입 및 방출시에 배면 벽(125)을 가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공급 장치(101)의 배면(125)을 강화할 수 있다. 조립된 상태에서, 기계적 연결 구조체(106)는 적어도 제 3 용기 치수(D3)를 따라 바라볼 때 중앙 평면(CP)(예를 들어, 도 9 참조)에서의 단면을 보는 경우 실질적으로 L자형일 수 있다.
기계적 연결 구조체(106)는 대체로, 저장소(133)와 지지 구조체(135) 사이에서, 제 1 벽(113) 및 배면 벽(125)을 따라, 지지 구조체(135)의 내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구(113A)를 따라,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호연결 요소(134) 주위, 예를 들어 상호연결 요소(134)의 플랜지들 사이에서 연장된다. 기계적 연결 구조체(106)는, 예를 들어 기계적 연결 구조체(106)와 상호연결 요소(134)의 플랜지 사이에 지지 구조체(135) 및 저장소(133)의 각각의 벽을 쐐기 결합함으로써 저장소 및 지지 구조체 벽들을 클램핑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쐐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0의 예시적인 키트의 액체 인터페이스 구성요소(114)는 액체 인터페이스(115)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액체 채널(117)의 하류 단부에 배치되는 시일(120), 예를 들어 밀봉 플러그, 및 볼 밸브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본 개시는 인쇄 액체 저장소(133) 및 지지 구조체(135)를 포함하는 용기와 같이, 인터페이스 구조체(105)를 갖지 않는 공급 장치(101)의 구성요소의 중간 서브조립체를 제공한다. 용기(103)를 조립하기 위한 구성요소 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저장소(133)는 도 40의 지지 구조체(135)에 배치되고, 이에 의해 접혀지고 장착된 상태에서, 지지 구조체(135)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저장소(133) 주위로 연장되는 박스 또는 큐비클(cubicle)형의 구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장착된 저장소와 지지 구조체가 용기(103)를 한정한다. 용기(103)는 제 1, 제 2 및 제 3 용기 치수(D1, D2, D3)를 갖는다. 지지 구조체(135)는 저장소(133)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지지하며 용기(103)에 강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저장소(133)는 인쇄 액체를 유지하기 위한 백을 포함하고, 이 백은 인쇄 액체가 저장소(133)로부터 인출되는 동안에 절첩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이며, 백의 적어도 하나의 벽은 유체 교환을 억제하도록 구성된다. 저장소(133)는 상호연결 요소(134, 434)를 포함하거나, 예를 들어 저장소 목부를 통해 상호연결 요소(134, 434)에 부착된다. 목부는 백으로부터 인쇄 액체를 출력하기 위해 백 내로의 개구를 포함한다. 상기 목부의 최대 내경은 제 3 및/또는 제 2 용기 치수(D3, D2)의 절반 미만일 수 있다. 충전된 상태에서, 지지 구조체(135) 내에 장착될 때, 목부에서 시작하여, 백 길이의 약 2/3, 3/4 또는 4/5 이상이 목부로부터 멀리 제 2 용기 치수(D2)를 따라 돌출되며, 보다 작은 체적(423A)이 목부의 반대측(425), 예를 들어 배면측에서 연장될 수 있다. 장착되고 접힌 상태에서, 지지 구조체(135)는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용기 치수(D1, D2, D3)를 규정하는 대략 수직 벽을 포함하고, 제 1 및 제 2 치수(D1, D2)는 제 3 치수(d3)보다 크며, 제 2 및 제 3 치수(D2, D3)를 규정하는 제 1 벽(113)은 지지 구조체(135) 내에 위치될 때 상기 저장소(133)의 목부에 인접한 개구(113A)(예를 들어, 도 22 참조)를 포함하여, 다른 유체 구조를 목부에 연결할 수 있게 한다. 그러한 다른 유체 구조체는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일 수 있다. 지지 구조체(135)의 장착되고 접힌 상태에서, 제 1 벽(113)의 개구(113A)는 제 1 벽(113)에 인접한 다른 벽(125)에 인접하게 제공되고, 다른 벽(125)은 제 1 및 제 3 치수(D1, D3)에 평행하다.
일 양태에서, 본 개시는 공급 장치(101)를 얻도록 상이한 구성요소를 조립하는 방법과 관련되며, 여기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이전 사용 후에 수집된다. 적어도 하나의 수집된 구성요소는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있고 그리고/또는 본 개시에 설명된 임의의 상이한 예시적인 공급 특징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 장치(101)의 소진 후에, 인터페이스 구조체(105)는 용기(103)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수집 후에,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의 단일 성형된 베이스 구조체(105-1)와 키 펜(165)이 분리될 수 있다. 다음에, (i) 새롭게 제조된 키 펜(165) 또는 (ii) 이전에 사용 및 수집된 키 펜(165) 중 하나가 원하는 수용 스테이션 및 액체 유형에 대응하는 배향으로 베이스 구조체(105-1)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초 사용 전의 원래 조립체와 유사하게, 새로운 또는 재사용된 키 펜(165)은 베이스 구조체(105-1)의 키 슬롯(167)에 끼워맞춰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텀(187) 및/또는 카운터 데이텀(189)은 정확한 회전 위치설정을 용이하게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음에, 인터페이스 구조체(105)는 충전된 신규 저장소(133) 또는 재충전된 재사용 저장소(133)에 연결될 수 있다. 저장소(133) 및/또는 지지 구조체(135)는 충전 전에 새롭게 제조된 후에, 회수된 베이스 구조체(105-1)에 연결될 수 있거나, 저장소(133) 및/또는 지지 구조체(135)의 적어도 일부는 베이스 구조체(105-1)에 연결되기 전에 재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재활용된 베이스 구조체(105-1)는 동일한 베이스 구조체(105-1)의 최초 사용과 비교하여, 상이한 액체 유형, 상이한 프린터 플랫폼, 상이한 액체 체적 등에 대해 용도 변경될 수 있다. 원래의 집적 회로(174)도 또한 상기 원하는 액체 유형, 스테이션 및/또는 플랫폼과 매칭되도록 새로운 집적 회로(174)로 교환, 개장 또는 교체될 수 있다.
도 40a는 비충전 저장소(133A)의 일 예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비충전 저장소(133A)는 비충전된 빈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편평할 수 있는 가요성 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빈 상태의 백은 대체로 비충전 백의 짧은 외부 에지에서 연결되거나 접혀진 2개의 대향 필름으로 한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에지는 2개의 연결된 대향 필름 사이의 접힌 에지일 수 있거나, 2개의 개별 대향 필름이 용접될 수 있다. 편평한 비충전 백은 길이(LA) 및 폭(WA)을 가질 수 있다. 저장소(133A)의 충전된 상태, 즉 적어도 부분적으로 확장된 상태에서, 길이(LA) 및 폭(WA)은 구별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앞서 언급된 용기 치수(D1, D2, D3) 중 임의의 것에 대응하지도 않고 그를 따라 연장되지도 않을 수 있다.
저장소(133A)는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구조체 또는 캡의 액체 채널의 저장소 연결 부분에 연결하기 위한 상호연결 요소(134A)를 포함한다. 상호연결 요소(134A)는 저장소(133A)의 목부일 수 있다. 상호연결 요소(134A)는 내부 액체 채널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외부 플랜지를 가져서, 지지 구조체, 기계적 연결 구조체(106) 및 인터페이스 구조체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호연결 요소(134A)는 비충전되고 편평한 상태의 저장소(133A)의 중심으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상호연결 요소(134A)는 비충전되고 비교적 편평한 상태의 저장소(133A)의 길이(LA)의 중간으로부터 그리고/또는 폭(WA)의 중간으로부터, 예를 들어 편평한 비충전 저장소(133A)의 코너에 비교적 인접하게 오프셋될 수 있다. 상호연결 요소(134A)는 대향 필름 중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1은 공급 장치(401)를 도시하며, 여기서 용기(403)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절첩가능한 저장소(433)를 포함하고, 해당 저장소(433)의 돌출 부분(423)은 메인 액체 유동 방향(DL)으로 인터페이스 구조체(405)의 액체 인터페이스 에지를 넘어서 돌출된다. 도시된 예에서, 트레이 또는 박스와 같은 별도의 지지 구조체가 제공되지 않는다. 도 41의 장치(401)는 추가 조립을 위한 중간 제품이거나, 수용 스테이션과의 직접 연결을 위한 완제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 장치(401)가 완제품인 경우, 특정 보강 부재가 저장소(433)를 따라, 또는 저장소와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용기(403)는 인터페이스 구조체(405)에 연결하기 위한 유체 상호연결 요소(434)를 포함한다. 여기서, 인터페이스 구조체(405)는 저장소 하면 벽으로부터 직접적으로가 아니라, 액체 상호연결 요소(434)에 연결되고 그로부터 돌출된다. 높이 및 높이 방향 모두를 결정하는 인터페이스 구조체(405)의 제 1 치수(d1)의 크기는, (i) 돌출 부분(423)의 가장 깊은 하면(413), 또는 액체 상호연결 요소(434)의 원위 단부와, (ii) 제 1 치수(d1, D1)의 방향을 따르는 인터페이스 구조체(405)의 원위 측면(437) 사이에서 측정될 수 있다. 다른 규정에서,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는 인터페이스 구조체(405)의 외부 원위 측면(437)과 액체 인터페이스 바로 위의 정면 상부 에지(454b) 사이의 거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구조체(405)가 용기(403)의 하면(413)으로부터 직접 돌출되지 않는 경우에도, 인터페이스 구조체(405)의 높이는 원위 측면(437)과 정면 에지(454b) 사이의 높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이 높이 내에는, 인터페이스 구성요소, 예컨대 바늘 수용 액체 채널 부분과, 집적 회로 접촉 패드, 키 펜, 가이드 특징부 등과 같은 다른 인터페이스 구성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또, 도 26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구조체(405)는 용기로부터 액체를 수용하도록 개방된 액체 입력부를 갖는 중간 채널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중간 부분 및 입력부는 인터페이스 구조체(405)의 프로파일 높이를 넘어서 액체 상호연결 요소(434) 또는 용기(403) 내로 부분적으로 돌출된다.
도 42 내지 도 47은 상이한 작동 배향으로 본 개시의 공급 장치의 예를 도시하고, 이에 의해 각각의 예에 대해 인터페이스 구조체는 용기에 대해 상이하게 위치된다. 예를 들어, 도 42 및 도 43에서, 인터페이스 구조체는 용기의 측방향 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도 44에서, 인터페이스 구조체는 용기의 제 1 측면에 인접하고 제 1 측면과 직각인 대향 양 측면으로부터의 소정 거리에서, 상기 제 1 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도 45에서, 인터페이스 구조체는 배면으로부터의 소정 거리에서, 용기의 정면 근처의 용기의 벽으로부터 돌출되며, 이에 의해 액체 인터페이스가 정면에서 연장된다. 도 46 및 도 47에서, 인터페이스 구조체는 용기의 상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상이한 배향 및 구성은 본 개시의 특정 예시적인 절첩가능한 액체 백 저장소의 출력부가 중력의 영향이 거의 없이 임의의 방향으로 배향 및 위치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해질 수 있다.
도 42의 예시적인 공급 장치(501A)에서, 인터페이스 구조체(505A)는 설치시에 용기(503A)의 측방향 측면(513A)으로부터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로 돌출된다. 여기서, 제 1 용기 치수(D1) 및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는 수평으로 연장되지만, 공급 장치는 도시된 배향과 비교하여 경사질 수 있다. 바늘 삽입 방향은 대응하는 제 2 치수(D2, d2)를 따라 페이지(page) 내로 제 1 치수(D1, d1)와 직각으로, 대략 수평으로 연장된다. 도 42의 공급 장치(501A)는 상기 제 2 치수(D2, d2)를 따라 페이지의 면 밖으로 액체 인터페이스(515A)를 넘어서 돌출되는 용기(503A)의 돌출 부분(523A)을 포함할 수 있다. 대응적으로, 다른 예에서는 용기 및 인터페이스 구조체의 "폭"으로 각각 지칭된 제 3 치수(D3, d3)는 이러한 도면의 예시적인 배향의 공급 장치에서 수직으로 연장된다.
도 43의 예시적인 공급 장치(501B)에서, 인터페이스 구조체(505B)는 도면에서 대략 수평인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에 평행한 측방향 측면(513B)으로부터 돌출되며, 여기서 다시 "대략"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정확히 수평에 대해 경사진 상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본 예에서, 액체 인터페이스 근처의 각각의 액체 채널 부분의 바늘 삽입 방향 및 메인 액체 유동 방향은 대략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용기(503B)의 돌출 부분(523B)은 용기의 제 1 치수(D1)와 대략 직각인 제 2 치수(D2)를 따라 메인 액체 유동 방향(DL)으로 인터페이스 구조체(505B)의 액체 인터페이스(515B)를 넘어서, 그리고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의 몇 배일 수 있는 돌출 거리(PR)에 걸쳐 돌출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시나리오에서, 도 43의 공급 장치(501B)는 도시된 배향으로 호스트 프린터의 수용 스테이션 상에, 예를 들어 프린터의 측면에서 상향 방향으로 돌출되는 유체 바늘 상에 매달릴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공급 장치의 키 펜은 수용 스테이션의 액추에이터에 대해 작동하도록 하향으로 돌출된다. 공급부측 및 프린터측 키 및 보유 메커니즘은, 존재하는 경우, 수직 설치 위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4는 연장된 용기 체적(523C2, 523C3)을 갖는 다른 예시적인 공급 장치(501C)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인터페이스 구조체(505C)는 용기(503C)의 정면(531C) 및 배면(525C) 모두로부터 각각 소정 거리(PP, PP2)에서, 용기(503C)의 하면(513C)에 대해 외향으로 돌출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구조체(505C)는 용기(503C)의 정면(531C)과 배면(525C) 사이의 용기(503C)의 하면(513C)의 중간 근처에서 용기(503C)의 하면(513C)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용기(503C)는 메인 액체 유동 방향(DL)을 따라 액체 인터페이스(515C)를 넘어서, 돌출 범위(PP)에 걸쳐 돌출되는 제 1 돌출 부분(523C)을 포함한다. 본 예에서, 용기(503C)는 제 1 돌출 부분(523C)과 반대측에 있고 메인 액체 유동 방향(DL)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2 돌출 부분(523C2)을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제 2 돌출 부분(523C2)은 인터페이스 구조체(505C)의 배면(526C)을 넘어서, 제 2 돌출 범위(PP2)에 걸쳐 연장된다. 또한, 제 2 돌출 부분(523C2)은 도시에서 하향으로 돌출되지만 또한 상향 또는 임의의 다른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는 추가 체적 연장부(523C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 2 돌출 부분(523C2)은 용기(503C)에 체적을 추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공급 장치(501C)의 설치된 상태에서, 제 2 돌출 부분(523C2)은 프린터 수용 스테이션의 윤곽 밖으로 돌출될 수 있다. 사실상, 상이한 유형의 체적 돌출부/연장부(523C2, 523C3)가, 예를 들어 용기의 체적 또는 형상을 연장시키기 위해, 임의의 방향으로 본 개시의 임의의 용기에 추가될 수 있다. 도 44의 예에서, 이들 체적 연장부는 용기와 일체형이다. 다른 예에서, 체적은 용기에 대한 별도의 유체적 연결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액체 채널(517C1, 517C2)의 2개의 상이한 구성이 도 44에 도시되어 있다. 양 구성 모두가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액체 채널(517C1) 중 제 1 채널(517C1)은 바늘 수용 부분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저장소 연결 부분을 포함하며, 액체 채널(517C1)은 적어도 도시된 배향으로 인터페이스 구조체(505C)의 상면에서 연결된다. 다른 예시적인 액체 채널 구성(517C2)은 적어도 도시된 배향으로 체적 연장부(523C3)에 연결하기 위해 인터페이스 구조체(505C)의 배면(526C) 근처에 저장소 연결 부분을 가질 수 있으며, 저장소 연결 부분은 바늘 수용 부분과 소정 각도를 이룰 필요는 없다. 저장소의 목부 및/또는 상호연결 요소는 인터페이스 구조체(505C)의 배면(526C) 근처에서 액체 채널(517C2)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인터페이스 구조체(505C)의 다른 측면에서 각각의 액체 채널에 연결될 수 있는 상이하게 구성된 체적 연장부(523C3)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용기(503C)는 제 2 용기 치수(D2)를 따르는 단일의 연장된 입방체 형상을 가지며, 제 2 인터페이스 구조체 치수(d2)의 후방 및 전방을 넘어서 각각 돌출되는 제 1 및 제 2 돌출 부분(523C, 523C2)을 갖지만, 상기 추가의 체적 연장부(523C3)를 갖지는 않는다. 다른 예에서, 인터페이스 구조체(505C)는, 예를 들어 설치된 상태에서 수용 스테이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는 충전된 제 2 돌출 부분(523C2)의 중량을 기계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그러한 제 2 돌출 부분(523C2) 아래에서 후방 방향으로 돌출되는 특정의 연장된 비교적 강성의 지지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5는 다른 예시적인 공급 장치(501D)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하며, 여기서 액체 인터페이스(515D)는 용기(503D)의 하면(513D) 아래에서, 대략적으로 용기(503D)의 정면(531D) 근처에 또는 그와 수평으로 제공된다. 공급 장치(501D)는 인터페이스 구조체(505D)의 배면(526D)을 넘어서 용기(503D)의 배면(525D)을 향해, 메인 액체 유동 방향(DL)에 대해 반대 방향인 제 2 치수(D2)에 평행한 방향으로 제 2 돌출 범위(PP2)에 걸쳐 돌출되는 제 2 돌출 부분(523D2)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도 44와 유사하지만, 액체 인터페이스(515D)를 넘어서 돌출되는 제 1 돌출 부분(523C)이 없다는 차이점이 있다. 도 44와 유사하게, 도 45의 제 2 돌출 부분(523D2)은 다른 방향으로 추가 연장부(523C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급 장치(501D)는 예를 들어 보다 얕은 깊이의 수용 스테이션을 가능하게 하거나, 본 개시의 예와 비교하여 대안적인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도 44 또는 도 45의 공급 장치(501D)는 대략적인 수직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 2 돌출 부분(523D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각각의 수용 스테이션 또는 프린터 외부로 그리고 그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된다.
도 46 및 도 47은 다른 예시적인 공급 장치(501E)를 도시하며, 여기서 각각의 장치(501E)에 대해, 인터페이스 구조체(505E)는 설치된 배향에서 상면(531E)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된다. 일 예에서, 수용 스테이션(507E)은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스테이션(507E)을 인터페이스 구조체(505E)를 향해 수동으로 이동시키고, 수용 스테이션(507E)을 인터페이스 구조체(505E) 위로 슬라이딩시켜서 유체적 연결을 확립함으로써 인터페이스 구조체(505E)에 연결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용기(503E)는 약 500 ㎖ 초과, 약 1 L초과, 또는 약 3 L 초과인 체적을 가질 수 있다. 용기(503E)가 그러한 큰 체적을 갖는 경우에, 충전된 상태에서의 공급 장치(501E)의 중량 및/또는 비교적 큰 체적으로 인해, 본 개시의 다른 예에서와 같이 공급 장치가 수용 스테이션을 향해 이동되기보다는 수용 스테이션(507E)이 공급 장치(501E)를 향해 이동되어야 하는 시스템을 선택할 이유가 있을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용기(503E)의 제 3 치수(D3)는 인터페이스 구조체(505E)의 제 3 치수(d3)보다 상당히 크다. 특정 예에서, 용기(503E)의 제 3 치수(D3)는 인터페이스 구조체(505E)의 제 3 치수(d3)의 2배 이상, 또는 인터페이스 구조체(505E)의 제 3 치수(d3)의 3배 이상이다.
도 42 내지 도 47의 도면에서, 공급 장치의 특정 구성요소가 도 8 및 도 9의 공급 장치와 같은 이전 도면의 앞서 개시된 공급 장치에 대하여 직선 축 및 직각을 따라 이동 및/또는 회전되었지만, 도 42 내지 도 47과 일치하는 다른 유사한 예에서, 각각의 공급 장치 구성요소는 비-직각으로 경사질 수 있고, 또한 각각의 치수(D1, d1, D2, d2, D3, d3)도 대응하는 비-직각으로 경사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도 8 및 도 9의 공급 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 도면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 장치는 경사진 상태로 수용 스테이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메인 액체 유동 방향(DL)이 수평 또는 수직에 대해 경사지고, 그리고/또는 그 주위로 회전되며, 각각의 치수(D1, d1, D2, d2, D3, d3)가 그에 상응하여 경사진다. 아무튼, 본 개시 전체에 걸쳐 배면, 정면, 상면, 측방향 측면, 측면, 하면, 높이, 폭 또는 길이, 또는 주변의 3차원 공간에 대한 치수, 배향 또는 방향과 관련된 다른 양태를 언급할 때, 이것은 기능적으로 결정된 특정 예에서가 아니면, 공급 장치의 구성요소의 배향을 고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또 이해되어야 한다. 오히려, 배향과 관련된 특정 양태는 예시 및 명확화의 목적으로 설명된다.
도 48은 예를 들어 설명된 예시적인 로우 프로파일 인터페이스 구조체와 유사한 치수(d1, d2, d3)를 갖는 공급 용기에 대한 인터페이스 구조체(605A)의 다른 예의 개략적인 정면도(좌측) 및 측면도(우측)를 도시한다. 도 48의 인터페이스 구조체(605A)는 양쪽 측방향 측면에 리세스(671A)(그 중 하나가 집적 회로(674)를 수용함)를 갖는 액체 인터페이스(615A)와, 인터페이스 정면 에지(654Ab)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정면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정면 가압 에지(654Ab)는 인터페이스 정면 가압 영역 및 정면 에지 모두로서 기능하여 바늘의 보호 구조체에 대해 가압하기에 충분하다. 리세스(671A)는 측방향 측면(639A)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측방향 가이드 특징부(638A), 예를 들어 각각의 가이드 슬롯(642A)을 또한 한정할 수 있는 측방향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정면 에지(654Ab)는, 예를 들어 유체 바늘을 해제하도록 보호 구조체를 가압하기 위해, 원위 측면(637A)과 반대측에서 액체 인터페이스(615A)에 인접하여 연장된다. 인터페이스 정면 에지(654Ab)는 용기에 조립될 때 인터페이스 구조체(605A)가 그로부터 돌출되는 용기 측면에 인접하여 연장된다. 액체 인터페이스(615A)의 원위 측면(637A)을 한정하는 벽의 내부 상에서 액체 출력 인터페이스(615A)의 측방향 옆에 집적 회로 접촉 패드(675A)가 제공된다.
인터페이스 구조체(605A)는 도 17에서의 각각 다른 예시적인 가이드 특징부(138 및 140)와 연관된 가이드 레일과 같은 수용 스테이션의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과 결합하도록 측방향 및 중간 가이드 특징부(638A, 640A)를 포함한다. 도 48의 본 예에서, 측방향 종방향 가이드 특징부(638A)는 인터페이스 구조체(605A)의 측방향 측면(639A)에,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구조체(605A)의 제 2 치수(d2)를 따라 연장되는 대향 에지(645A)의 형태로 제공되며, 이에 의해 대향 에지(645A)는 각각의 가이드 레일과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 슬롯(642A)은 대향 에지(645A)에 의해 형성된다. 측방향 종방향 가이드 특징부(638A)는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를 따르는 방향으로의 이동의 자유도를 제한하면서,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를 따르는 방향으로의 인터페이스 구조체(605A)의 안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중간 종방향 가이드 특징부(640A)는 인터페이스 구조체(605A)의 원위 측면(637A)에,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구조체(605A)의 제 2 치수(d2)를 따라 연장되는 대향 에지(647A)의 형태로 제공되며, 이에 의해 대향 에지(647A)는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과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중간 종방향 가이드 특징부(640A)는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3)를 따르는 방향으로의 이동의 자유도를 제한하면서,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인터페이스 구조체(605A)의 안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중간 가이드 슬롯(644A)은 대향 에지(647A)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에지(645A, 647A)는 도 14,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앞서 언급된 제 2 측방향 가이드 표면(145) 및 제 2 중간 가이드 표면(147)과 유사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관통 슬롯(642A)은 후크를 위한 간극(도 18에 도시됨)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측방향 정면 벽 부분(663AA)의 일부일 수 있는 정지 표면(663A)이 슬롯(642A)의 정면에 제공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중간 슬롯(644A) 및 측방향 슬롯(642A) 중 하나는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을 통과시키기 위한 간극 슬롯이다.
도 49는 인터페이스 구조체(605B)가 개별적으로 제조된 인터페이스 구성요소를 갖는 공급 장치(601B)의 일 예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49는 또한 감소된 가이드 특징부(641B, 643B)를 갖는 예시적인 인터페이스 구조체(605B)를 도시한다. 인터페이스 구조체(605B)는 액체 채널 인터페이스(615B)와, 인터페이스(615B)에 인접한 인터페이스 정면 영역(654Ba) 및 에지(654Bb)와, 각각의 키 펜을 포함하는 키 구성요소(665B)와, 접촉 패드를 포함하는 집적 회로 구성요소(675B)를 포함한다. 예시의 목적으로, 구성요소는 인터페이스 구조체(605B)를 형성하도록 함께 조립되어야 하는 별도의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별도의 블록으로 도시되어 있다. 구성요소는 개별적으로 성형 및/또는 압출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구조체(605B)는 측방향 측면(639B)에 있는 직선형의 편평한 측방향 가이드 표면(641B)과, 인터페이스 구조체(605B)의 원위 측면(637B)에 있는 직선형의 편평한 원위 가이드 표면(643B)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측방향 가이드 표면(641B)은 제 1 및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1, d2)에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고, 중간 가이드 표면(643B)은 제 2 및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2, d3)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일 예에서, 가이드 표면(641B, 643B)은 도 17의 가이드 레일의 내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가이드 표면(641B, 643B)은 제 2 치수(D2, d2)와 평행한 방향으로의 수용 스테이션에서의 인터페이스 구조체(605B)의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하면서, 예를 들어 수용 스테이션의 대응하는 대향 측방향 가이드 레일 또는 표면 사이에서의 제 3 치수(D3, d3)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이동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지만, 인터페이스 구조체의 가이드 표면은 예를 들어 도 49의 도면에서의 상향으로 제 1 치수(D1, d1)를 따라 약간의 이동 자유도를 여전히 허용한다.
도 50은 공급 장치(601C)의 다른 예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다른 예와 유사하게, 공급 장치(601C)의 인터페이스 구조체(605C)는 액체 인터페이스(615C)와, 인터페이스 정면 영역(654Ca) 및 에지(654Ca)와, 원위 측면(637C) 근처의 집적 회로 접촉 패드(675C)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인터페이스 구조체(605C)의 원위 측면(637C) 근처에 중간 가이드 특징부(638C)가 제공된다. 중간 가이드 특징부(638C)는 수용 스테이션의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과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인터페이스 구조체(605C)에서는 측방향 가이드 특징부가 생략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사용자는 가이드 표면이 없거나 거의 없는 유체 바늘에 대해 액체 인터페이스(615C)를 수동으로 위치시킬 필요가 있을 수 있거나, 중간 가이드 특징부(638C)가 있는 예에서, 해당 중간 가이드 특징부(638C)는 위치설정을 위한 약간의 가이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용기(603C)의 측방향 측벽(651C)의 반대측에는 수용 스테이션에 대한 대략적인 안내부를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리세스(671C)가 용기 하면(613C)을 따라, 그리고 액체 채널의 바늘 수용 액체 채널 부분을 따라 연장된다. 집적 회로 및/또는 집적 회로 접촉 패드(675C)는 리세스(671C)에서 연장되고, 접촉 표면은 용기(603C)를 향해 노출된다. 리세스는 바늘 수용 액체 채널 부분과 반대측의 측방향 측면으로 개방된다.
도 50a는 공급 장치(601D) 및 그 인터페이스 구조체(605D)의 다른 예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하고, 이에 의해 각각의 리세스(671D)는 인터페이스 구조체(605D)의 측방향 측면(639D)으로 개방된다. 리세스(671D)는 베이스 벽(669D), 액체 채널(617D)의 바늘 수용 부분의 벽, 각각의 용기 측면(613D), 및 인터페이스 구조체(605D)의 원위 측면(637D)의 내벽(637D1)에 의해 한정된다. 키 펜(665D)은 각각의 베이스 벽(669D)으로부터 액체 채널 옆에서 그에 대략 평행하게 연장된다. 가이드 슬롯과 같은 중간 가이드 특징부(640D)는 액체 채널의 바늘 수용 부분에 인접하게 그를 따라 제공될 수 있으며, 액체 채널의 출력 인터페이스(615D)가 도시되어 있다. 중간 가이드 특징부(640D)는 수용 스테이션의 상대 가이드 표면에 대한, 제 3 인터페이스 치수에 평행한 대향 양 방향으로의 이동의 자유를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구조체(605D)의 원위 측면(637D)의 단부 에지는, (i) 예를 들어 수용 스테이션의 측방향 가이드 표면과 결합하기 위한 제 1 측방향 가이드 표면(641D), 및/또는 (ii) 수용 스테이션의 측방향 가이드 레일과 결합하기 위한 제 2 측방향 가이드 표면(645D)을 한정할 수 있으며, 제 1 측방향 가이드 표면(641D) 및 제 2 측방향 가이드 표면(645D)은 제 2 인터페이스 치수를 따라 연장된다.
다른 예에서, 인터페이스 구조체(605D)가 그로부터 돌출되는 용기(603D)의 측면(613D)과 원위 측면(637D) 사이의, 측방향 측면(639D)의 개구는 수용 스테이션의 측방향 가이드 레일에 의해 안내되기보다는 수용 스테이션의 측방향 가이드 레일을 통과시키기 위한 간극 슬롯(642D)을 한정할 수 있다. 유사하게는, 원위 측면(637D)에는 중간 가이드 슬롯(640D) 대신에 중간 가이드 간극 슬롯이 제공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약간의 안내가 키 펜(665D)을 통해 얻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안내 특징부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지만, 수용 스테이션 내로 통과하기 위해서는 특정 안내 레일이 통과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도 50b는 공급 장치(601E) 및 그 인터페이스 구조체(605E)의 다른 예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인터페이스 구조체(605E)는 액체 출력 채널의 바늘 수용 부분에 평행하게 그리고 그 옆에서 연장되는 키 펜(665E)을 포함하며, 액체 출력 채널의 액체 인터페이스(615E)만이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키 펜(665E)은 키 펜(665E)을 각각의 베이스 벽(669E)에 연결하기 위해 키 펜(665E)의 베이스에 베이스 부분(683E)을 포함한다. 본 예에서, 키 펜(665E)의 베이스 벽(669E)은 인터페이스 구조체(605E)가 그로부터 돌출되는 용기(603D)의 측면(613E)에서 연장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구조체(605E)는 인터페이스 구조체(605E)가 그로부터 돌출되는 용기 측면(613E)에 근접한 근위 측면(637E1)에, 예를 들어 용기 측면(613E)에 대략 평행한 지지 벽(637Ea1)을 가질 수 있다. 키 펜 베이스 부분(683E)은 근위 측면(637E1)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키 펜(665E)은 바늘 수용 액체 채널 부분의 메인 액체 유동 방향(DL) 및 바늘 삽입 방향(NI)에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종방향 키 펜 부분과 베이스 부분(683E) 사이에서 만곡될 수 있다. 근위 지지 벽(637Ea1)은 측방향 측면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벽(637Ea1)의 단부 에지는 측방향 가이드 특징부(638E), 예를 들어 제 1 측방향 가이드 표면(641E)을 형성하여, 수용 스테이션(609E)의 가이드 표면에 대한, 제 3 인터페이스 치수의 방향으로의 이동의 자유도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구조체(605E)는 수용 스테이션의 돌출 가이드 레일과 결합하지 않는다. 인터페이스 구조체(605E)는 원위 측면(637E)을 한정하는 지지 벽(637Ea)을 따라 집적 회로 및/또는 집적 회로 접촉 패드(675E)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원위 측면(637E) 및 집적 회로 접촉 패드가 연장되는 벽은 제 3 및 제 2 인터페이스 치수에 평행할 수 있다. 리세스(671E)는 원위 측면(637E) 및 접촉 패드(675E)의 해당 벽, 액체 출력 채널의 바늘 수용 부분, 및 인터페이스 구조체(605E)의 근위 측면(637E1)에 의해 한정된다. 키 펜(665E) 중 하나는 리세스(671E)를 따라 또는 부분적으로 리세스(671E)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도 50a 및 도 50b에서, 키 펜(665E)은, (i) 수용 스테이션들을 식별하는 것과, (ii) 수용 스테이션들을 식별하지 않는 것 중 하나를 위해 사전결정된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후자는 마스터 키 펜일 수 있다. 키 펜(665D, 665E)의 원위 작동 표면 영역은 다른 예시적인 키 펜 구조체와 함께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대략 정면(654D, 654E)까지 연장되거나, 정면(654D, 654E)을 넘어서 인터페이스 구조체(605D, 605E) 밖으로 더 멀리 연장될 수 있다.
도 50c는 다른 예시적인 공급 장치(601F) 및 인터페이스 구조체(605F)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여기서, 인터페이스 구조체(605F)는 수용 스테이션의 대응하는 측방향 가이드 레일을 통과시키기 위한 측방향 간극 슬롯(642F)과 함께, 측방향 측면(639F)에 적어도 하나의 제 1 측방향 가이드 표면(641F)을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2개의 대향하는 제 1 측방향 가이드 표면(641F)이 측방향 간극 슬롯(642F)의 대향 양측에 제공된다. 양쪽 측방향 측면(639F)에는 제 1 측방향 가이드 표면(641F) 및 간극 슬롯(642F)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예를 들어 한쪽 또는 양쪽 측방향 측면(639F)에서 측방향 간극 슬롯(642F)을 브리징하는 정지 표면(663F)과 같은 고정 특징부가 인터페이스 구조체(605F)의 정면 근처에 제공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구조체(605F)는 수용 스테이션의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을 통과시키기 위한 중간 간극 슬롯(644F)과 함께, 원위 측면(637F)에 적어도 하나의 제 1 중간 가이드 표면(643F)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2개의 대향하는 제 1 중간 가이드 표면(643F)이 중간 간극 슬롯(644F)의 대향 양측에 제공된다. 간극 슬롯(642F, 644F)은 가이드 레일에 의해 안내되지 않고 수용 스테이션의 가이드 레일을 따른 인터페이스 구조체(605F)의 통과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 1 가이드 표면(641F, 643F) 및/또는 용기(603F) 및/또는 키 펜(665F)의 외벽은 액체 인터페이스(615F)를 수용 스테이션의 액체 입력부에 유체적으로 연결하기에 충분한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8, 도 49, 도 50, 도 50a, 도 50b 및 도 50c의 예시적인 인터페이스 구조체는 본 개시에 설명된 다른 예시적인 인터페이스 구조체와 유사한 방식으로 용기로부터 돌출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기의 제 1 측면과 대략 직각을 이루는 용기의 제 2 측면 근처에서, 그리고 제 2 측면과 반대측에 제 2 측면으로부터 소정 거리에 있는 용기의 대향 제 3 측면으로부터의 소정 거리에서, 용기의 제 1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이에 의해 용기는 제 3 측면을 향한 돌출 방향으로 액체 인터페이스 에지를 넘어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저장소에 연결하기 위해,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구조체로부터 돌출되는 액체 채널 저장소 연결 부분이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예와 유사하게, 인터페이스 구성요소는 서로에 대해 그리고/또는 중앙 평면(CP)에 대해 유사한 위치를 가질 수 있다.
도 51은 도 50의 도면과 유사하게 고정된 키를 포함하지 않는 인터페이스 구조체(605G)의 일 예의 단면 평면도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인터페이스 구조체(605G)는 액체 채널 인터페이스(615G)를 포함하는 액체 채널(617G)과, 용기에 연결하기 위한 추가 저장소 연결 부분(629G)을 포함한다. 별도의 키 펜 구조체(665G)가 제공되며, 키 펜 구조체(665G)는 조작자가 인터페이스 구조체(605G)를 수용 스테이션의 액체 바늘 및 데이터 연결부에 연결할 수 있게 하면서, 별도의 키 펜 구조체(665G)에 의해 수용 스테이션 내의 특정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거나 로킹해제할 수 있게 한다. 본 예에서, 키 펜 구조체(665G)는 본 개시 전체에 걸쳐 도시된 예시적인 키 펜 쌍 중 임의의 것과 유사할 수 있는 한 쌍의 키 펜을 포함한다. 한 쌍의 키 펜은 키 펜 구조체(665G)의 수동 작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단일 키 펜 구조체(665G)를 통해, 예를 들어 그립 부분(669G)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52 및 도 53은 이전 예와 상이한 예시적인 고정 특징부(757A) 및 이전 예와 상이한 예시적인 인터페이스 구조체(705A)를 갖는 예시적인 공급 장치(701A)의 개략적인 정면도 및 측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단일 구조체(705A2)는 인터페이스 구조체(705A) 및 용기 지지 부분(713A)을 포함한다. 단일 구조체(705A2)는 용기(703A)의 나머지에 대한 추후 조립을 위해 개별적으로 제조된, 예를 들어 성형된 구조체일 수 있다. 본 예에서, 지지 부분(713A)은 용기(703A)의 돌출 부분(723A)에 대한 약간의 지지를 제공하고, 지지 부분(713A) 및 돌출 부분(723A)은 모두 인터페이스 구조체(705A)의 액체 인터페이스(715A)를 넘어서 돌출된다. 인터페이스 구조체 부분(705A)은 지지 부분(713A)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인터페이스 구조체 부분(705A)은 제 1, 제 2 및 제 3 치수 내에서 액체 채널 인터페이스(715A)와, 집적 회로 접촉 패드와, 가이드 특징부, 키 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수용 스테이션과 접속하는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구조체(705A)의 프로파일 높이를 결정하는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는 지지 부분(713A)의 하면과 인터페이스 구조체(705A)의 하면 사이에서 연장된다.
공급 장치(701A)는 적어도 어느 정도 공급 장치(701A)를 수용 스테이션의 벽(707A)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특징부(757A)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고정 특징부(757A)는 공급 장치를 수용 스테이션에 마찰 끼워맞춤하는, 예를 들어 엘라스토머 재료의 패드 또는 요소를 포함한다. 공급 장치(701A)는 수용 스테이션의 벽들 사이에서 가압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엘라스토머 재료는, 안착된 상태에서 공급 장치(701A)를 보유하기 위해, 대향하는 수용 스테이션 벽(707A) 사이의 약간의 클램핑력과 조합하여 충분한 마찰을 제공한다. 다른 고정 특징부는 예를 들어 수용 스테이션의 에지에 래치 결합, 후크 결합 또는 클립 결합하기 위한 래치(latch), 후크(hook) 또는 클립(clip)을 포함될 수 있다. 이들 다른 고정 특징부는 구조체(705A2) 또는 인터페이스 구조체(705A)와 같은 임의의 공급 장치 구성요소에 제공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측방향 측면(139)에 간극(159) 및 정지부(163)를 포함하는, 본 개시의 다른 부분에서 언급된 예시적인 고정 특징부(157)는 생략되고 이들 다른 고정 특징부 또는 마찰 끼워맞춤 요소로 대체될 수 있는 한편, 액체 인터페이스(715A), 집적 회로 접촉 패드, 키 펜, 가이드 특징부 등 중 하나 이상과 같은 특정의 다른 인터페이스 구성요소가 인터페이스 구조체(705A)에 포함될 수 있다.
도 54 및 도 55는 다른 예시적인 공급 장치(701B)의 개략적인 측면도 및 배면도를 각각 도시하며, 여기서 지지 구조체(735B)의 일부가 인터페이스 구조체(705B) 위로 연장되어 있다. 지지 구조체(735B)의 배면 벽(725B) 및/또는 측벽(751B)은 인터페이스 구조체(705B)를 따라 인터페이스 구조체(705B)의 돌출 거리에 걸쳐, 즉 제 1 용기 및 인터페이스 치수(D1, d1)를 따라 연장된다. 측방향 가이드 특징부는 인터페이스 구조체(705B) 옆에 있는 지지 구조체(735B)의 측벽(751B)에 제공될 수 있다(도시되지 않음). 인터페이스 구조체(705B)는 지지 구조체(735B)에 어느 정도 내장될 수 있다.
도 56 및 도 57은 각각 부분적으로 분해된 상태 및 조립된 상태에서,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공급 장치(701C)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예에서, 지지 구조체(735C)는 대체로 슬리브형이어서, 백 저장소(733C)가 슬리브형의 지지 구조체(735C) 내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지지 구조체(735C)는 슬리브형의 몸체 부분(751C)과, 슬리브형 몸체 부분(751C)의 각각의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배면 및 정면 벽(725C, 731C)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 부분(751C)은 인터페이스 구조체(705C)가 그를 통해 돌출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개구는 배면(725C) 근처에 제공될 수 있고, 돌출 부분(723C)은 몸체 부분(751C)의 길이의 대부분에 걸쳐 정면(731C)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지지 구조체(735C)는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한다. 배면(725C) 및 몸체 부분(751C)은 사전 부착되거나 단일의 일체형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인터페이스 구조체(705C)는 배면(725C) 및/또는 몸체 부분(751C)에 부착되거나 그것의 일체형 부분일 수 있다. 메인 액체 유동 방향(DL)은 인터페이스 구조체(705C) 위로 그리고 그것을 넘어서 돌출되는 돌출 부분(723C)을 따라 액체 인터페이스 밖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58 및 도 59는 본 개시의 상이한 양태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공급 장치(701D)의 일부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양 도면 모두에서, 백 저장소가 생략되어 있고, 도 59에서 공급 장치(701D)는 수용 스테이션(707D) 내로 삽입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지지 구조체(735D)는 백을 지지하기 위한 트레이, 예를 들어 카톤 트레이일 수 있다. 액체 인터페이스 에지(716D)를 넘어서는 지지 구조체(735C)의 돌출 거리(PP)가 도 58에 표시되어 있고, 도 58은 용기가 어떻게 액체 인터페이스 에지(716D)를 넘어서 메인 액체 유동 방향(DL)에 평행하게 돌출되는지를 도시한다. 인터페이스 구조체(705D)는 지지 구조체(735D)의 각각의 측면(713D), 본 예에서는 상부면으로부터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의 범위에 걸쳐 돌출된다. 인터페이스 구조체(705D)는 인터페이스 구조체(705D)의 측방향 및 원위 측면에 원통형의 기다란 측방향 안내 특징부(738D)를 포함하고, 측방향 안내 특징부(738D)는 수용 스테이션의 액체 입력부에 대해 액체 출력 인터페이스(715D)를 위치시키기 위해, 제 1 및 제 3 인터페이스 치수의 방향으로의 자유도를 제한하면서, 메인 액체 유동 방향(DL)을 따라 수용 스테이션(707D)의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738D1)에 대해 인터페이스 구조체(705D)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 60은 복수의 유체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공급 장치(801) 및 인터페이스 구조체(805)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용기(803)는 지지 구조체(835) 및 저장소(83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구조체(805)는 키 펜(865), 집적 회로 접촉 패드(875), 가이드 특징부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예에서, 도 60의 인터페이스 구조체(805)는 저장소(833)를 단일 수용 스테이션의 2개의 유체 바늘과 연결하기 위해 2개의 액체 채널(817A, 817B)을 포함한다. 액체 채널(817A, 817B)은 액체 입력부 및 액체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거나, 액체 채널 및 인터페이스(817A, 817B, 815A, 815B) 모두는 양방향형일 수 있다. 액체 채널(817A, 817B)은 예를 들어 바늘을 밀봉하는 시일을 포함하는, 수용 스테이션의 각각의 액체 인터페이스에 연결하기 위한 각각의 인터페이스(815A, 815B)를 포함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공급 장치(801)는 저장소(833)에서의 액체의 혼합 또는 순환을 용이하게 한다. 저장소(833)에서의 액체의 혼합, 이동 또는 재순환은, 예를 들어 캐리어 액체 내의 입자의 침전을 방지하기 위해, 안료 잉크 또는 다른 액체에 유리할 수 있다.
액체 채널 구성요소(815A, 815B, 817A, 817B) 이외의 상이한 인터페이스 구성요소는 본 개시의 다른 예에서와 유사한 기능, 위치 및 배향을 갖는다. 복수의 액체 인터페이스(815A, 815B) 및 채널(817A, 817B)은 서로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거나, 아마도 그 사이에 다른 인터페이스 구성요소를 갖고서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815A, 815B) 및/또는 채널(817A, 817B)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측방향 측면(839)에 보다 근접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집적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키 펜과 같은 특성 인터페이스 구성요소가 상이한 인터페이스(815A, 815B) 및/또는 채널(817A, 817B)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도 61은 복수의 수용 스테이션(907)을 갖는 2D 또는 3D 프린터(904)를 도시한다. 각각의 수용 스테이션(907)은 본 개시의 공급 장치(901)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각각의 수용 스테이션(907)은 복수의 상이한 액체 유형 중 하나, 예를 들어 청록색, 자홍색, 노란색 또는 흑색 중 임의의 색상일 수 있는 특정 색상의 인쇄 액체를 인쇄하기 위해 상이한 프린트헤드에 유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공급 장치(901)는 프린터(904)에 매달리도록 되어 있다. 일 예에서, 프린터(904)는 공급 장치(901)에 의해 재충전되도록 각각의 수용 스테이션(907)과 프린트헤드 사이에 유체적으로 연결된 내부 프린터 액체 저장소를 포함한다. 일 예에서, 공급 장치(901)는 내부 프린터 저장소를 재충전하기 위해, 프린터의 내부 펌프의 도움으로 비교적 높은 유속으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고갈될 수 있다. 그러한 예에서, 프린터 저장소(901)는 충분히 고갈될 때까지 프린터(904)에 일시적으로만 연결되고, 그 후에 제거될 수 있다. 즉, 공급 장치(901)는 모든 인쇄 작동 동안에 수용 스테이션(907)에 안착된 상태로 유지되지 않는다. 오히려, 인쇄 자체 동안에, 내부 프린터 저장소만이 고갈되는 한편, 공급 장치(901)는 반드시 연결될 필요는 없다. 2D 인쇄 분야에서, 이러한 유형의 인쇄 시스템은 연속 잉크 공급 시스템으로 지칭될 수 있다. 유사한 원리가 3D 프린터 또는 다른 액체 분배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상이한 예에서, 공급 장치(901)의 용기(903)는 액체 체적의 250 ㎖ 이상, 400 ㎖ 이상, 500 ㎖ 이상, 750 ㎖ 이상, 1 L 이상 또는 약 2 L 이상의 최대 액체 체적 용량을 가질 수 있다.
도 61의 좌측에서, 액체 공급 장치(901)는 수용 스테이션(907)에 매달리도록 되어 있다. 수용 스테이션(907)은 프린터(904)의 측면에 제공되고, 이에 의해 측면은 프린터(904)의 정면, 배면 또는 측방향 측면일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공급 장치(901)는 정면 패널에 인접한 프린터(904)의 측면에 매달리도록 되어 있다. 대응적으로, 프린터(904)의 정상 기립 위치에서, 수용 스테이션(907)의 유체 바늘은 수직으로 상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수용 스테이션(907)의 가이드 레일은 바늘 옆에 그에 평행하게 제공될 수 있다. 설치 배향에서, 인터페이스 구조체(905)의 바늘 수용 액체 채널 부분은 바늘에 정렬되게 되며, 이에 의해 평행한 기다란 가이드 특징부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인터페이스 구조체를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구조체(905)가 대응하지 않는 수용 스테이션(907)에 대한 연결을 차단하면서, 유체적 및 전기적 연결 상태로 수용 스테이션(907) 내로 대략 수직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해, 평행한 키 펜이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인쇄 공급 장치(901)는 매달린 상태로 프린터(904)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설치 및 매달린 상태에서, 용기(903)의 돌출 부분(923)은 액체 인터페이스의 옆 및 아래에 그리고 프린터 옆에 매달린다. 다른 예에서, 용기(903)의 돌출 부분(923)은 설치 및 매달린 상태에서 각각의 프린터 측면에 대해 부분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시스템(도 62)에서, 프린터(904), 수용 스테이션(907) 및 인터페이스 구조체(905)는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지만, 공급 장치(901B)는 설치된 상태에서 프린터(904)의 측면을 따라 상향으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용기(903B)의 돌출 부분(923B2)은 도 45와 유사하게, 인터페이스 구조체(905)의 배면을 넘어 바늘 삽입 방향(NI)의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용기(903B)는 설치된 상태에서 수용 스테이션(907)에 대해 수직 상향으로 연장되고, 예를 들어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프린터(904)의 각각의 측면을 따라 연장된다.
도 63은 도 43 및 도 61과 유사하게,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고 비교적 신속한 고갈에 적합한 인쇄 액체 공급 장치(901)를 도시한다. 용기(903)는, 예를 들어 임의의 앞서 나타낸 체적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절첩가능한 저장소(933)를 포함한다. 용기(903)는 저장소(933)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 구조체(9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용기(903)는 저장소(933) 내부에 비교적 강성 구조체(993)를 더 포함하여, 상기 신속한 고갈을 용이하게 하면서, 가요성 저장소 벽이 바람직하지 않은 방식으로 절첩되는 것을 방지하고, 예를 들어 저장소 출력부로부터 격리된 액체 포켓의 형성을 억제하여 액체 고립(stranding)을 억제할 수 있다. 강성 구조체(993)는 저장소(933) 내부에서 용기(903)의 제 2 치수(D2)를 따라 연장되는 스트로(straw) 또는 다른 기다란 구조체일 수 있다. 강성 구조체(993)는 대향하는 저장소 필름 부분이 서로에 대해 절첩되어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구조체(905)의 액체 채널(917)을 향한 액체 유동 경로를 제공한다. 다른 예에서, 강성 구조체(993)는 스트로를 포함한다. 스트로는 스트로의 길이를 따라 천공부(995)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강성 벽을 가질 수 있다. 강성 구조체(993)는 유체 상호연결 요소(934) 및/또는 저장소(933)의 목부에 연결될 수 있다.
도 64 및 도 65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인터페이스 구조체(905), 예를 들어 로우 프로파일 인터페이스 구조체(905)의 정면도 및 평면도를 도시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구조체(905)는 도 24, 도 25 및 도 26의 인터페이스 구조체(105)와 같은 본 개시의 다른 인터페이스 구조체와 유사한 양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이전 도면과 비교하여, 인터페이스 구조체(905)는 저장소 연결 액체 채널 부분(929)이 하향으로 향하고 지지 벽(937a)이 상면에서 연장되도록 회전되어 있다. 이전 인터페이스 구조체와 유사한 양태는 가이드 특징부, 고정 특징부, 리세스, 액체 채널 및 인터페이스 구성요소, 외부 또는 내부 치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4 및 도 65의 인터페이스 구조체(905)의 이들 및 다른 양태뿐만 아니라, 이들 양태에 대한 대안에 대하여, 본 개시의 이전 기재가 참조된다. 일 예에서, 도 64 및 도 65의 인터페이스 구조체(905)는 본 개시의 이전 예시적인 인터페이스 구조체와 비교하여 적합화된 키 펜(965)을 포함하며, 키 펜(965)은 도 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또는 매달린 공급 설치를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되지만, 개시된 예시적인 인터페이스 구조체(905) 및 키 펜(965)은 임의의 배향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 펜(965)의 삽입될 돌출 부분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구조체(905)가 그로부터 돌출되는 용기 측면과 키 펜 사이에 공간을 남기도록 비교적 편평하다.
앞서 언급한 예시적인 키 펜(165)과 유사하게, 도 64 및 도 65의 키 펜(965)은 베이스 벽(969a)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개지고 베이스 벽(969a, 969b)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베이스 부분(98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베이스 부분(983)은 또한 베이스 벽(969a)에 대해 키 펜(965)의 회전 배향을 설정하기 위한 데이텀을 포함할 수 있다. 동일한 디자인의 키 펜(965)이 상이한 액체 유형을 지니는 상이한 용기(903)와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이한 회전 배향이 상이한 액체 유형에 대한 상이한 수용 스테이션(907)에 연결되도록 적용될 수 있다. 키 펜(965)은 베이스 벽(969a, 969b)에 대략 수직으로 그리고 바늘 삽입 방향(NI) 및/또는 바늘 수용 액체 채널 부분(921)의 중심축에 대략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는 종방향 키 펜 축(Ck)을 따라, 베이스 부분(983)으로부터 돌출되는 종방향 돌출 키 펜 부분(965b)을 포함할 수 있다. 종방향 돌출 키 펜 부분(965b)은 베이스 벽(969a, 969b)으로부터 키 펜(965)의 작동 표면 영역 또는 영역들(968)까지 연장될 수 있다.
종방향 돌출 부분(965b)은 종방향 돌출 부분(965b)이 연장되는 종축(Ck)에 수직인 V자형 또는 L자형 단면을 가져서, 대응하는 V자형 또는 L자형 키 슬롯을 통과한다. 본 개시에서, L자형은 V자형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되고, 그래서 여기서부터는 V자형상만을 언급할 것이다. 종방향 돌출 키 펜 부분(965b)은 불연속적 또는 연속적 방식으로 V자형 윤곽을 갖거나 따를 수 있다. 종방향 돌출 부분(965b)은 상호 연결되고 V자형상을 함께 형성하고 종방향 펜 축(Ck)을 따라 연장되는 2개의 날개(965d)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날개(965d)는 서로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연장된다.
도시에서, 베이스 부분(983)은 베이스 구멍(985)에 삽입된다. 베이스 부분(983)의 원주방향 에지(985a, 985b)는 동일한 참조 번호(985a, 985b)로 표시된 베이스 구멍(985)의 각각의 원주방향 에지를 따라 및/또는 그에 대해 베이스 구멍(985)에서 연장된다. 원주방향 에지(985a, 985b)는 적어도 대체적으로 원을 따를 수 있는 한편, 예를 들어 치형부는 데이텀으로서 제공될 수 있지만,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원주방향 에지(985a, 985b) 주위에 다른 유형의 데이텀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키 펜(965)의 종방향 돌출 부분(965b)은 베이스 부분(983)의 한쪽 원주방향 에지(985a) 근처에서 그리고 베이스 부분(983)의 반대쪽 원주방향 에지(985b)로부터 더 멀리에서, 베이스 부분(983)의 베이스 벽(969b)으로부터 돌출된다. 예를 들어, 키 펜(965)의 종방향 돌출 부분(965b)은 베이스 부분(983)의 중심(Cck)에 대해 편심되어 있을 수 있으며, 중심(Cck)은 원주방향 에지(985a, 985b)의 대략 중심 또는 중앙에서 연장될 수 있다. 키 펜(965)은 인터페이스 구조체(905)의 원위 측면(937)에 있는 인터페이스 구조체(905)의 지지 벽(937a)에 비교적 근접한 베이스 벽(969a, 969b)의 위치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종방향 돌출 키 부분(965b)은 베이스 키 섹션(965b2) 및 삽입 키 섹션(965b1)을 포함하며, 삽입 키 섹션(965b1)만이 키 슬롯 내로 삽입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베이스 키 섹션(965b2)은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이한 예에서, 돌출 키 부분(965b)의 적어도 삽입 키 섹션(965b1), 및 그 원위 작동 표면 영역(968)은 베이스 부분(983)의 중심(Cck) 및/또는 베이스 섹션(965b2)의 중심에 대해 오프셋되고, 도 6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903)로부터 떨어진 지지 벽(937a)을 향해 해당 중심(Cck)으로부터 오프셋된다.
일 예에서, 돌출 키 펜 부분(965b)의 삽입 섹션(965b1)의 이러한 오프셋 위치는 돌출 키 펜 부분(965b)의 삽입 섹션(965b1)과, 인터페이스 구조체(905)가 그로부터 돌출되는 용기 측면 사이에 여분의 공간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결국 프린터(904)의 측면에서의 비교적 편평한 수용 스테이션(907)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린터 하우징으로부터의 로드 하우징 구성요소(예를 들어, 도 20, 도 21의 참조 번호(170)와 유사함)의 돌출 레벨이 감소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비교적 편평한 수용 스테이션 및 프린터 하우징이 제공될 수 있다.
설치시에, 삽입 키 섹션(965b1)은 키 슬롯을 통해, 예를 들어 로드 하우징 구성요소 내로 삽입되는 한편, 베이스 키 섹션(965b2)은 키 슬롯 내로 삽입되지 않는다. 삽입 키 섹션(965b1)이 대응하는 키 슬롯 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베이스 키 섹션(965b2)은 베이스(969a, 969b)와 키 슬롯 사이의 거리에 걸쳐있을 수 있다. 베이스 키 섹션(965b2)은 강화 목적을 위해 삽입 키 섹션(965b1)보다 더 두껍고 그리고/또는 더 넓을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베이스 키 섹션(965b2)은 삽입 키 섹션(965b1)과 유사하게 형상화되고, 삽입 키 섹션(965b1)의 대응하는 날개보다 두껍고 일부 예에서 키 슬롯을 통해 삽입될 수 없는, V자형상을 따르는 날개를 포함한다. 베이스 키 섹션(965b2)이 키 슬롯 내로 삽입되지 않기 때문에, 특정 예에서, 베이스 키 섹션(965b2)의 단면은 또한 강화 목적을 위해, 삼각형, 직사각형 또는 원형일 수 있다. 베이스 키 섹션(965b2)은 동일한 베이스 인터페이스 구조체에 대한 도 28의 키 펜(165)과 같은 다른 예시적인 키 펜과 유사한 돌출 키 펜 길이(KL)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면서, 돌출 키 펜 부분(965b)을 파손에 대해 강화할 수 있다. 본 예에서 돌출 키 펜 섹션(965b1)에 의해 한정된 돌출 키 펜 부분(965b)의 삽입 길이는 베이스 부분(983)과 삽입 키 섹션(965b1) 사이에 베이스 섹션(965b2)을 제공함으로써 이전 예에 비해 더 짧을 수 있지만, 동일한 일체로 성형된 베이스 인터페이스 구조체가 사용될 수 있다.
상이한 예에서, 키 펜(965)의 삽입 키 섹션(965b1)은 베이스 섹션(965b2)과 원위 작동 표면 영역(968) 사이의 길이가 10 ㎜ 이상, 또는 12 ㎜ 이상, 예를 들어 약 13.3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시에,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를 따라 베이스(669a, 669b)와 원위 작동 표면 영역(968) 사이에서 측정된, 베이스 및 삽입 키 섹션(965b1, 965b2) 모두에 걸친 총 돌출 키 펜 길이(KL)는 10 ㎜ 이상, 12 ㎜ 이상, 14 ㎜ 이상, 15 ㎜ 이상, 20 ㎜ 이상 또는 약 23 ㎜ 이상일 수 있다. 키 펜(965)은, 앞서 설명된 예와 유사하게, 예를 들어 액체 인터페이스(915)의 레벨로부터 3 또는 5 ㎜의 마진 이내에서, 액체 인터페이스(915)의 레벨(L)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구조체(905)의 정면 에지(154)를 따라 키 펜의 원위 작동 표면 영역(968) 및 액체 인터페이스(915)의 레벨(L)이 도 65에 표시되어 있다. 특정 예에서, 키 펜 작동 표면 영역(968)은 해당 레벨(L)로부터 작은 거리로, 예를 들어 상기 3 또는 5 ㎜ 이내에서 연장되는 한편, 각각의 전달장치 또는 스위치를 여전히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일 예에서, 동일한 일체로 성형된 인터페이스 구조체는 도 27의 키 펜(165) 또는 도 64 또는 65의 키 펜(965)과 같은, 상이한 프린터 및/또는 수용 스테이션을 위한 상이한 키 펜을 수용하는데 사용되며, 이에 의해 각각의 키 펜(165, 965)은 유사한 베이스 부분(983)과, 상기 베이스 부분(983)과 작동 표면 영역(968) 사이에 유사한 돌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64 및 도 65의 예에서, 베이스 키 섹션(965b2)을 사용함으로써, 전체 키 펜 길이 및 돌출 키 펜 부분 길이는 도 27과 같은 이전 도면의 예시적인 키 펜(165)과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키 펜(965)은 인터페이스 구조체(905)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 키 펜 부분(965b)은 삽입 키 섹션(965b1)만큼 길 수 있고, 이에 의해 베이스 벽(969a, 969b)은 대략적으로 도시된 예의 베이스 키 섹션(965b2)이 종단되는 곳에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구조체(905)가 그로부터 돌출되는 용기 측면과 돌출 키 펜 섹션(965b1) 사이의 거리(Dk)는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를 따라 측정될 때, 3 ㎜ 이상 또는 4 ㎜ 이상 또는 5 ㎜ 이상일 수 있다. 도 64에서, 해당 공간 또는 거리(Dk)는 정면 가압 영역 에지(954b)와 교차하는 가상 기준 평면(P14)과 돌출 키 펜 섹션(965b1)의 가장 가까운 에지 또는 측면과 접촉하는 다른 가상 기준 평면(P12) 사이의 거리에 의해 도시되고, 평면(P12, P14)은 제 2 및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2, d3)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일 예에서, 이것은, 예를 들어 각각의 프린터 측면으로부터 너무 많이 돌출하지 않고, 키 슬롯 하우징 구성요소가 키 펜을 따라 통과하기에 충분한 공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25와 유사하게, 도 64는 제 2 및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2, d3)에 평행하고 서로에 대해 오프셋된 일련의 가상 기준 평면(P10, P11, P12, P13 및 P14)을 도시한다. 도 25에 대한 도 64의 예의 하나의 차이점은 삽입 키 섹션(965b1)과 제 5 평면(P14) 사이에 비교적 큰 공간을 갖는 비교적 편평한 키 펜(965)이다.
도 64에서, 제 1 평면(P10)은 인터페이스 구조체(905)의 원위 측면(937)에 인접하여 연장되고, 예를 들어, 해당 평면(P10)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집적 회로(974) 및/또는 그것의 접촉 패드(975)와 교차한다. 제 2 평면(P11)은 바늘이 삽입 동안에 밀봉 격막을 파괴하는 지점에서, 액체 인터페이스(915)의 중심, 예를 들어 시일(920)의 중심과 교차할 수 있다. 제 2 평면(P11)은 또한 키 펜(965), 예를 들어 돌출 키 펜 섹션(965b1)과 교차한다. 제 2 평면(P11)은 각각의 측방향 측면(939), 예를 들어 측방향 가이드 특징부, 및 예를 들어 측방향 측면(939)의 고정 특징부와 추가로 교차할 수 있다. 제 3 평면(P12)은 조립된 상태에서 인터페이스 구조체(905)가 그로부터 돌출되는 용기 측면에 근접한 돌출 키 펜 섹션(965b1)의 에지 근처에서 키 펜(965)과 교차하거나 접촉할 수 있다. 제 3 평면(P12)은 액체 인터페이스(915)와, 예를 들어 중심으로부터의 소정 거리에서 교차한다. 제 3 평면(P12)은 측방향 측면(939) 및/또는 측방향 가이드 특징부와, 예를 들어 측방향 측면(939)의 고정 특징부와 추가로 교차할 수 있다. 제 4 평면(P13)은 정면 가압 영역(954a)과 교차할 수 있고, 제 5 평면(P14)은 정면 가압 영역 에지(954b)와 교차할 수 있으며, 이들 중 하나 또는 모두는 바늘을 해제하기 위해 보호 구성요소를 가압하기 위한 것이다.
도 66 및 도 67은, 도 61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904)에 공급 장치(901)를 매달기 위한 예시적인 수용 스테이션(907)을 도시한다. 도 66에서 보이는 프린터 하우징 쉘(904b)은 하부에 있는 수용 스테이션 구성요소를 도시하기 위해 도 67에서 제거되어 있다.
수용 스테이션(907)은 프린터의 측면에 제공된다. 수용 스테이션(907)은 키 펜(965), 예를 들어 도 64 및 도 65의 삽입 키 섹션(965b1)을 수용하기 위한 키 슬롯(967)을 갖는 키 슬롯 하우징 구성요소(970)를 포함한다. 키 슬롯 하우징 구성요소(970)는 하나 이상의 전달 구성요소, 로드 및/또는 스위치와 같은 적합한 액추에이터를 수용할 수 있다. 바늘(909) 및/또는 데이터 커넥터를 덮을 수 있는 보호 구조체(910)가 제공될 수 있다. 추가 휴미더(912) 또는 슬리브는 바늘(909)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을 수 있다. 보호 구조체(910) 및/또는 휴미더(912)는 정면 가압 영역(954a)에 의한 공급 장치(901)의 설치시에 하향으로 강제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수용 스테이션(907)은 키 펜(965)의 가압력을 전달 또는 스위치 메커니즘으로 전달하기 위한 적절한 전달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드(979)가 하우징 구성요소(970)에 제공될 수 있다. 로드(979)는 키 펜(965)의 가압력에 의해 병진이동될 것이다. 각각의 로드(979)는 별도의 스위치(979b)를 활성화시킬 수 있거나, 양쪽 로드(979) 모두가 단일 스위치를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적합한 돌출부 또는 전달 메커니즘이 스위치 또는 각 스위치에 작용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스위치는 공급 장치가 신속하게 고갈될 필요가 있고 필요한 고갈 압력 및 속도를 제공하기 위해 펌프가 제공되는 예시적인 시스템에 유용할 수 있다. 이들 또는 다른 시스템에서, 공급부는 상기 급속 고갈 동안에만 연결되고, 그 후에 프린터로부터 제거된다. 공급 장치가 프린터에 매달리기 때문에, 상기 짧은 연결 및 고갈 기간 동안에 프린터에 공급부를 보유하기 위해 별도의 고정 또는 래치 메커니즘이 제공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비교적 고속 펌핑 동안에 사람에 의해 공급 장치가 제거될 위험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제거시에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적시에 펌프를 차단하기 위해 그러한 펌프에 연결된 사전조치 스위치(proactive switch)를 가짐으로써, 바늘을 통한 공기 흡입과 같은 인쇄 구성요소 결함에 대한 안전 조치를 제공한다. 특정 예에서, 그 자체로 공급 장치의 연결 및 분리를 검출할 수도 있지만 충분히 신속한 안전 메커니즘으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지 않을 수 있는 데이터 커넥터에 부가하여, 그러한 안전 스위치를 갖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도 68 및 도 69는 예를 들어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를 따른 시야 방향에서의 키 펜 및 키 펜 수용 구성요소에 대한 정면도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68은 하우징 구성요소의 키 슬롯(967)에 의해 중첩되는 로드(979)의 에지를 도시한다. V자형의 돌출 키 펜 부분(965b) 및 작동 표면 영역(968)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들은 로드(979)의 에지에 대해 작동하기 위해, 예를 들어 공급 고갈을 위한 펌프를 켜기 위해 키 슬롯(967)을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도 69는 동일한 키 슬롯(967)을 통과할 수 있고 동일한 로드(979)에 대해 작동할 수 있는, 도 68과 비교하여 유사한 키 펜(965)을 도시하지만, 도 35 내지 도 37의 "핀"과 유사하게, 서로 평행하고 나란히 있으며 그 사이에 노치(965b3)를 갖는 2개의 개별 돌출 키 펜 부분(965b) 및 개별 원위 작동 표면 영역(968)이 제공된다. 개별 돌출 키 펜 부분(965b)은 키 펜(965)의 베이스 부분(683)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2개의 삽입 키 섹션(965b1)은 베이스(969a, 969b)로부터 소정 거리에 있는 공통 베이스 섹션(965b2)으로부터 노치를 사이에 두고 연장될 수 있다.
도 70은 공급 장치(901)의 고정 특징부(957)와 상호 작용하는 수용 스테이션의 고정 요소(961)의 개략적인 예를 도시한다. 인터페이스 구조체(905)의 고정 특징부(957)는 인터페이스 구조체(905)의 정면(954) 근처에서 인터페이스 구조체(905)의 측방향 측면(939)에 제공된다. 도 70은 스위치 구조체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하지만, 다른 예에서, 고정 요소(961)는 고정 특징부(957)의 간극(959) 또는 정지부(963)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 및/또는 후퇴하는 핑거, 디텐트, 돌출 특징부, 범프(bump) 또는 다른 적합한 특징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고정 요소(961)는 인터페이스 구조체(905)의 정지 표면(963) 또는 대응하는 측방향 정면 벽 부분(963a)을 결합 및/또는 결합해제할 때 약간의 저항 또는 유형적 또는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요소(961)는 보다 큰 스위치 및/또는 센서의 일부일 수 있다. 그러한 스위치 또는 센서를 활성화시킴으로써, 펌프, 피드백 또는 프린터의 다른 메커니즘을 트리거할 수 있으며, 도 67의 앞서 언급된 스위치(979b)에 부가하여 또는 그 대신에, 그러한 스위치 또는 센서가 있을 수 있다. 고정 요소(961)는 측방향 정면 측벽 부분(963a)이 설치시에 고정 요소(961)와 접촉하거나 고정 요소(961)를 가압하면 감지할 수 있고, 다음에 고정 요소(961)가 간극(959) 내로 돌출되도록 정지부(963)가 고정 요소(961)를 통과할 때 다시 감지한다. 고정 요소(961)의 돌출 부분의 이동은 스위치 또는 감지 신호를 트리거할 수 있다. 방출시에, 돌출된 고정 요소(961)는 먼저 정지 표면(963)에 부딪힐 수 있으며, 이는 다시 신호를 트리거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고정 요소(961)는 먼저 측방향 정면 벽 부분(163a)에 대해 후퇴된 후에, 인터페이스 구조체(905)의 완전한 방출시에 다시 해제된다.
도 7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예시적인 고정 요소는 램프 또는 범프와 같은 디텐트(961A)를 포함한다. 디텐트(961A)는 인터페이스 구조체(905)의 고정 특징부(957)와 상호 작용하도록, 예를 들어 각각의 측방향 가이드 레일(938) 상의 범프로서, 수용 스테이션(907A)에 제공된다. 인터페이스 구조체(905)의 측방향 벽 부분(963a)은, 측방향 측면(939)에 있어서 정지 표면(963)과 정면 에지(954) 사이에서, 디텐트(961A)를 통과하도록 가압될 필요가 있다. 설치된 상태에서, 디텐트(961A)는 간극(959) 내로 돌출된다. 설치된 상태에서, 디텐트(961A)는, 예를 들어 로드(979) 및/또는 보호 구조체(910)의 스프링 편향에 대해, 공급 장치(901)를 어느 정도 보유할 수 있다. 삽입 및 방출시에, 측방향 벽 부분(963a)은 그러한 범프 또는 램프를 통과하도록 가압되어 청각적 및/또는 유형적 피드백을 트리거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본 개시의 용기는 액체 저장소 및 저장소의 내부에 연결된 벤트(vent) 및/또는 가압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용기는 비교적 강성 또는 경질 쉘의 액체 저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2차 유체 인터페이스가 도 60과 유사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2차 유체 인터페이스는 용기의 내부 가압 메커니즘에 연결될 수 있다. 가압 메커니즘은 저장소 내부의 가압을 허용하기 위해, 백, 팽창가능한 챔버, 가요성 필름, 풍선 또는 송풍 연결부(air blowing connec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용기는 비교적 작은 체적의 공급 장치를 위한 것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 구조체는 비교적 강성 용기의 각각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본 개시가 액체 채널 및 액체 인터페이스를 다루고 있지만, 액체 채널 및 액체 인터페이스는 임의의 유체, 예를 들어 가스를 포함하는 액체를 이송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본 개시의 다른 예에서, 집적 회로 및 각각의 접촉 패드가 논의된다. 그러한 집적 회로는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 및 특정 프로세서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집적 회로는 마이크로컨트롤러, 예를 들어 보안 마이크로컨트롤러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저장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는 액체의 특성, 액체 잔류량을 나타내는 데이터, 제품 ID, 디지털 서명, 인증된 데이터 통신에 대한 세션 키(session key)를 계산하기 위한 베이스 키, 색상 변환 데이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저장 장치 및 프로세서 로직에 부가하여, 집적 회로에는 전용 시도 응답 로직이 제공될 수 있다. 공급 장치는 집적 회로가 응답해야 하는 특정 시도를 발함으로써 프린터 컨트롤러에 의해 인증될 수 있다. 집적 회로는 프린터 컨트롤러에 의한 검증을 위해 메시지 인증 코드, 세션 키, 세션 키 식별자 및 디지털 서명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리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정 예에서, 공급 장치가 연결되는 프린터에 대한 보증, 작동 조건 및/또는 서비스 조건은 프린터 컨트롤러에 의한 집적 회로의 긍정적인 인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긍정적인 인증이 확립될 수 없는 경우, 이것은 알려지지 않거나 승인되지 않은 공급부의 사용을 가리킬 수 있으며, 이는 결국 프린터에 대한 손상 위험을 증대시키거나 인쇄 출력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집적 회로가 긍정적으로 인증될 수 없는 경우, 프린터 컨트롤러는, 예를 들어 프린터 작동 조건이 감소되지만 보다 안전한 안전 또는 기본 인쇄 모드로 전환하는 것, 및/또는 보증 및/또는 서비스 조건을 변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구성요소의 정면, 배면, 상면, 하면, 측면, 측방향 측면, 높이, 폭 및 길이를 언급하는 경우, 이것은 원칙적으로 단지 예시를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이는 공급 장치의 구성요소가 3차원 공간에서 임의의 적합한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절첩가능한 액체 저장소는 임의의 배향에서 비워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액체 인터페이스 및 메인 액체 유동 방향은 그에 상응하여 상향, 하향, 측방 등과 같이 임의의 방향으로 지향될 수 있으며, 저장소는 그에 상응하여 임의의 방향으로 매달리거나, 돌출되거나, 세워지거나 경사지거나 가리킬 수 있다. 본 개시의 공급 장치 및 인터페이스 구조체는 임의의 배향으로의 상이한 유형의 수용 스테이션 또는 프린터에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용기 및 인터페이스 구조체가 개별적으로 제조된 구성요소이고, 그리고/또는 그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용기가 카톤 및 백을 포함하고 인터페이스 구조체가 성형된 조립체를 포함하는 몇몇 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예에서, 용기 및 인터페이스 구조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함께 제조(예를 들어, 성형)될 수 있거나, 용기의 특정 구성요소는 인터페이스 구조체의 특정 구성요소와 함께 성형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구조체의 제 1, 제 2 및 제 3 치수는 인터페이스 구조체가 연장되는 x 축, y 축 및 z 축 범위를 지칭한다. 설명 및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예에서, 인터페이스 구조체의 일부는 저장소 연결 액체 채널 부분 또는 특정 돌출 지지 플랜지와 같은 제 1, 제 2 및 제 3 인터페이스 치수 밖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인터페이스 치수(d1, d2, d3)는 수용 스테이션과 접속하는 인터페이스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그 내에서 연장되는 인터페이스 구조체의 돌출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적 회로를 지지하는 원위 측면 및 정면 가압 영역 에지는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 내에서 연장되고, 그리고/또는 제 1 인터페이스 치수(d1)를 한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구조체의 외부 측방향 측면은 제 3 인터페이스 치수를 한정할 수 있고, 이러한 측방 측면의 부존재시에는, 적어도 대향하는 키 펜이 제 3 인터페이스 치수(d3) 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구조체의 배면 및 정면 액체 인터페이스 에지는 제 2 인터페이스 치수(d2)를 한정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축 및 방향이 참조된다. 축은 3차원 공간에서 특정하게 배향된 가상 기준선을 지칭한다. 방향은 일반적인 코스 또는 방향을 지칭한다.
일 예에서, 액체는 주로 용기 저장소로부터 수용 스테이션으로 유동하는 것이고, 따라서 본 개시에서, 각각의 유동 방향 및 부분은 메인 액체 유동 방향을 따라 "상류" 및 "하류"로서 지칭될 수 있다. 그러나, 용기와 액체 인터페이스 사이의 채널에 양방향 유동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소정 기간 동안, 액체가 수용 스테이션으로부터 용기를 향해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주어진 시점에서 반대 유동 방향을 갖는 2개의 액체 채널이 있을 수 있다. 하류 및 상류의 정의는 용기와 수용 스테이션 사이에서의 인쇄를 위한 메인 유동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주어진 시점에서 용기 내의 잉크를 재순환시키기 위한 반대 유동 방향을 각각 갖는 2개의 유체 바늘이 있는 예에서, 2개의 유사한 액체 채널 및 인터페이스가 공급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또, 각각의 액체 채널은 채널 내부에서 그리고 인터페이스를 통해 임의의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메인 유동 방향은 인쇄를 위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해 수용 스테이션을 향해 유동할 필요가 있는 액체의 대체적인 양수의 델타(positive delta)에 의해 결정된다.
수용 스테이션이 공급 장치에서 액체를 재순환 또는 혼합하기 위해 단일 공급 장치에 연결되는 2개의 돌출 바늘을 갖는 경우, 주어진 시점에서, 수용 스테이션의 하나의 바늘은 입력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고, 다른 바늘은 출력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대응적으로, 인터페이스 구조체는 2개의 액체 인터페이스 및 2개의 액체 채널을 포함할 수 있고, 하나의 액체 인터페이스가 입력부로서의 역할을 하고, 다른 하나가 출력부로서의 역할을 하지만, 각각의 바늘 및 인터페이스를 통한 양방향 유동이 있을 수 있다. 임의의 제 2 바늘 및 대응하는 제 2 액체 인터페이스는 본 개시 전체에 걸쳐 다루어진 바와 같이 제 1 바늘 및 액체 인터페이스와 유사한 디자인 및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 1 및 제 2 바늘/인터페이스는 수용 스테이션에 대한 공급 장치의 삽입 및 제거를 용이하게 하도록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정면 또는 정면 가압 영역과 같은 다른 인터페이스 구성요소는 2개의 액체 채널 및 인터페이스가 사용되는 경우에 유사하게 복제되거나 확대될 수 있다.
2차 액체 바늘과 유사하게, 본 개시 내에 포함된 다른 예에서, 공급 장치와 가스를 연통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저장소와 지지 구조체 사이의 공간에 가스를 연통시키거나, 메인 액체 저장소 내부의 2차 가스 저장소와 가스를 연통시키기 위해, 추가 유체 바늘이 있을 수 있다. 그러한 추가 유체 또는 가스 인터페이스는 가압, 서비스 또는 다른 기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들 예에서, 가스 인터페이스는 개시된 인터페이스 구성요소 옆에 또는 그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메인 액체 유동 방향이 연장되는 축은 바늘 수용 액체 채널 부분 및/또는 내부 시일 채널의 내벽에 의해, 예를 들어 이들 액체 채널 구성요소의 중심축에 의해 결정된다. 액체가 정확히 직선형으로 유동하지 않을 수도 있고, 내부 액체 안내 채널 벽이 완벽하게 원형 또는 직선형 형상을 가져서는 안 되며, 이에 의해 특정 경우에는 정확한 액체 유동 축을 결정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당업자는 액체 유동 방향이, 예를 들어 바늘 축을 따라 삽입된 바늘을 통해, 공급 장치로부터 프린터 수용 스테이션으로의 대체적인 유동 방향을 반영하도록 의도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바늘 삽입 방향은 바늘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바늘 수용 액체 채널 부분 및/또는 내부 시일 채널의 내벽에 의해, 예를 들어 이들 액체 채널 구성요소의 중심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메인 액체 유동 방향은 바늘 삽입 방향과 평행하고 반대이다.
본 개시에서, 특정 특징부는 유사한 명칭 또는 목적을 갖는 상이한 양태 또는 특징부를 식별하기 위해 "제 1", "제 2", "제 3" 등으로 식별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는 평면, 가이드 특징부, 리세스, 키 및 다른 특징부 세트를 다루며, 이들 세트 내의 개별 특징부는 그러한 "제 1", "제 2" 등으로 식별된다. 이러한 유형의 식별이 의미하는 유사한 양태 또는 목적을 갖는 특징부들을 구별하는 것으로 간주되지만, 청구범위 및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문맥에 따라 동일한 특징부에 대해 상이한 번호 매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문맥에 따라, 상세한 설명에서 제 6 또는 제 7 평면인 것이 종속 청구항 또는 상세한 설명의 다른 위치에서 제 1 또는 제 2 또는 중간 또는 오프셋 평면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나타난 길이보다 짧거나 긴 키 펜 길이, 예를 들어 10 ㎜보다 짧거나 23 ㎜보다 긴 길이가 작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색상 식별 키 펜 또는 비식별 마스터 키 펜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이들 둥 어느 하나는 액체 인터페이스 에지를 넘어서 돌출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메인 액체 유동 방향으로 액체 인터페이스 에지를 넘어서 5 ㎜보다 멀리 또는 10 ㎜보다 멀리 돌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공급부는 비교적 사용자 친화적인 방식으로, 비교적 무거운 중량을 갖는 완전히 충전된 상태로 삽입될 수 있고, 그 후에 비교적 가벼운 중량을 갖는 실질적으로 소진된 상태로 분리될 수 있다. 설치 동안에, 키 펜은 삽입과 방출 사이의 중량 차이를 수용하도록 보정될 수 있는 수용 스테이션 전달 메커니즘에 대해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교적 가벼운 가압은 충전된 비교적 무거운 중량의 공급 장치를 삽입하기에 충분할 수 있는 한편, 소진 후에, 비어있는 비교적 가벼운 중량의 공급 장치는 수용 스테이션에 대해 발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구조체는 수용 액체 바늘에 대한 충전된 비교적 무거운 중량의 공급 장치의 안내 및 비교적 정밀한 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조작자에게는 비교적 적은 양의 노력 및 경험이 요구된다.
본 개시에서 다루는 특정 양태는 환경에 대한 잠재적인 영향을 감소시키는 재료 및 구성요소의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다루는 특정 양태는 공급 장치 및 관련 프린터의 공간 및 풋프린트 효율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공급 장치는 비교적 얇은 종횡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구조체는 제 1 치수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이, 비교적 낮은 돌출 프로파일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다루는 다른 양태는 공급 장치 구성요소의 향상된 모듈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구조체는 상이한 프린터 플랫폼에 대한 광범위한 상이한 공급 체적에 사용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단일 용기 또는 저장소는 부분 충전을 통해 다수 체적의 공급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된 저장중 공급 장치는 1 L 이상의 용량을 갖는 저장소 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동일한 저장 백은 예를 들어 500 ㎖ 또는 700 ㎖ 또는 1 L의 인쇄 액체를 수용하는 상이한 공급 장치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구조체는 비교적 매우 다양한 인쇄 시스템 플랫폼에 연결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출원일 이전에, 동등한 종류의 인쇄 시스템 플랫폼이 광범위한 상이한 공급 플랫폼, 예를 들어 상이한 디자인의 3개 또는 4개 초과의 상이한 공급 플랫폼과 연관되었던 반면, 이제는 동일한 종류의 인쇄 시스템 플랫폼이 단일 인터페이스 구조체 및 공급 장치 플랫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공급 장치, 인터페이스 구조체 및 구성요소는 인쇄 이외의 분야, 예를 들어 임의의 유형의 액체 분배 시스템 및/또는 액체 순환 회로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액체 공급부는 인쇄 액체 이외의 액체, 예를 들어 시간 경과에 따라 특정 특성을 보유하기 위해, 불투과성 저장소에 포함되어야 하는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분야의 응용 영역은 예를 들어 의료, 제약 또는 법의학 응용, 또는 식품 또는 음료 응용을 포함할 수 있다. 해당 목적을 위해,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인쇄 액체가 언급되는 경우, 이는 임의의 유체 또는 액체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인쇄 시스템 또는 인쇄 플랫폼은 임의의 유체 또는 액체 취급 플랫폼으로 대체될 수 있다.
본 설명의 도입 부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도면에 도시되고 상기에서 설명된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지만 제한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 예시되지 않은 다른 예는 상이한 개시 및 비개시 특징의 유도 또는 조합을 통해 도출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하기의 청구범위에 규정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는 인쇄 시스템에 연결되는 인쇄 액체 공급 장치를 포함하며, 인쇄 액체 공급 장치는, (i) 서로에 대해 수직인 제 1, 제 2 및 제 3 치수를 갖는, 인쇄 액체를 유지하기 위한 용기와, (ii) 용기를 수용 스테이션에 유체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구조체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구조체는 상기 용기의 제 1, 제 2 및 제 3 치수에 각각 평행한 제 1, 제 2 및 제 3 치수를 갖는다. 일 예에서, 인터페이스 구조체는 인터페이스 구조체의 제 1 치수에 걸쳐 용기에 대해 외향으로 돌출된다. 인터페이스 구조체의 제 1 치수는 용기의 제 1 치수의 절반보다 작을 수 있다. 인터페이스 구조체는, (i) 수용 스테이션의 액체 바늘에 유체적으로 연결되고, 시일을 갖는 액체 인터페이스와, (ii) 용기와 액체 인터페이스를 유체적으로 연결하는 액체 채널을 포함하며, 액체 채널 및 액체 인터페이스는 액체 인터페이스의 제 2 치수에 대략 평행한 바늘 삽입 방향을 한정한다. 예를 들어, 용기는 용기의 제 2 치수를 따라 바늘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액체 인터페이스를 넘어서 돌출되는 돌출 부분을 포함한다. 인쇄 액체 공급 장치는 집적 회로 접촉 패드 어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접촉 패드의 접촉 표면은 인터페이스 구조체의 제 2 및 제 3 치수에 평행한 제 2 가상 기준 평면에서 인터페이스 구조체의 제 3 치수에 평행한 선을 따라 연장되고, 접촉 패드의 접촉 표면은 용기와 대면하여 있어서, 데이터 커넥터가 접촉 표면과 용기 사이를 통과할 수 있게 하며, 제 2 가상 기준 평면은 제 2 및 제 3 인터페이스 치수와 평행한 제 1 가상 기준 평면으로부터의 소정 거리에서 연장되며, 제 1 가상 기준 평면은 상기 액체 채널 및 액체 인터페이스와 교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는, 별도의 액체 저장소에 연결가능하거나 연결되어 액체 저장소를 수용 스테이션에 유체적으로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구조체를 제공하며, 인터페이스 구조체는, (i) 수용 스테이션의 적어도 하나의 액체 바늘에 유체적으로 연결되고 인터페이스 에지 및 시일을 포함하는 액체 인터페이스와, (ii) 액체 인터페이스를 저장소에 유체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액체 채널로서, 액체 채널 및 액체 인터페이스는 바늘 삽입 방향을 한정하는, 상기 액체 채널과, (iii) 베이스로부터 돌출되고, 각각의 바늘 수용 액체 채널 부분 옆에서, 그리고 바늘 수용 액체 채널 부분의 대향 양측에서 그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돌출되는 키 펜과, (iv) 액체 채널과 상기 키 펜 중 제 1 키 펜 사이에 배치된 집적 회로를 지지하는 지지 벽으로서, 지지 벽 및 집적 회로는 액체 채널 및 키 펜과 교차하는 제 1 가상 기준 평면으로부터 소정 거리에서 제 1 가상 기준 평면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집적 회로 접촉 패드의 접촉 표면이 제 1 가상 기준 평면에 대면하는, 상기 지지 벽과, (v) 지지 벽에 대해 액체 인터페이스의 반대측에서 액체 인터페이스에 인접하여 있는 정면 가압 영역을 포함하며, 집적 회로 접촉 패드는 외부 데이터 커넥터가 각각의 바늘 수용 액체 채널 부분과 제 1 키 펜 사이를 통과할 수 있게 하도록 위치되고, 이에 의해 제 1 키 펜은 반대측 키 펜보다 상기 바늘 수용 액체 채널 부분으로부터 더 먼 거리에서 연장된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는 액체 공급 장치 또는 인터페이스 구조체를 제공하는 중간 제품에 관한 것일 수 있다.

Claims (62)

  1. 인쇄 시스템에 연결되는 인쇄 액체 공급 장치에 있어서,
    서로에 대해 수직인 제 1, 제 2 및 제 3 치수를 갖는, 인쇄 액체를 유지하기 위한 용기와,
    상기 용기를 수용 스테이션에 유체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체는, 상기 용기의 제 1, 제 2 및 제 3 치수에 각각 평행한 제 1, 제 2 및 제 3 치수를 갖고,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체의 제 1 치수에 걸쳐 상기 용기에 대해 외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체의 제 1 치수는 상기 용기의 제 1 치수의 절반보다 작으며,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체는,
    상기 수용 스테이션의 액체 바늘에 유체적으로 연결되고, 시일을 갖는 액체 인터페이스와,
    상기 용기와 상기 액체 인터페이스를 유체적으로 연결하는 액체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액체 채널 및 액체 인터페이스는 상기 액체 인터페이스의 제 2 치수에 평행한 바늘 삽입 방향을 한정하며,
    상기 인쇄 액체 공급 장치는 집적 회로 접촉 패드 어레이를 더 포함하며, 접촉 패드의 접촉 표면은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체의 제 2 및 제 3 치수에 평행한 제 2 가상 기준 평면에서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체의 제 3 치수에 평행한 선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접촉 패드의 접촉 표면은 상기 용기와 대면하여 있어서, 데이터 커넥터가 상기 접촉 표면과 상기 용기 사이를 통과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제 2 가상 기준 평면은 상기 제 2 및 제 3 인터페이스 치수와 평행한 제 1 가상 기준 평면으로부터의 소정 거리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 1 가상 기준 평면은 상기 액체 채널 및 액체 인터페이스와 교차하는
    인쇄 액체 공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체의 제 2 치수에 걸쳐있고, 상기 액체 인터페이스를 넘어서 돌출되는
    인쇄 액체 공급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키 펜이 상기 액체 채널의 바늘 수용 부분 옆에서 연장되고, 그에 따라 상기 키 펜이 연장되는 종축은 상기 액체 채널의 바늘 수용 부분의 중심축과 평행하고, 상기 액체 채널의 바늘 수용 부분의 중심축을 따라 바늘이 상기 액체 채널 내로 삽입되는
    인쇄 액체 공급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키 펜은 상기 제 1 가상 기준 평면에 의해 교차되는
    인쇄 액체 공급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채널의 각 측방향 측면에 하나가 있는 한 쌍의 키 펜을 포함하는
    인쇄 액체 공급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인터페이스와 상기 용기 사이의 정면 가압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정면 가압 영역은, 벽 부분 및 에지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정면 가압 영역은 상기 제 1 및 제 2 가상 기준 평면에 평행하고, 상기 제 2 가상 기준 평면에 대해 상기 액체 인터페이스의 반대측에서 연장되는 제 3 가상 기준 평면에 의해 교차되는
    인쇄 액체 공급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체는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체를 상기 수용 스테이션의 가이드 표면을 따라 안내하기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체의 제 2 치수를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에 대해 비교적 직각을 이루는 비교적 편평하고 기다란 가이드 표면을 포함하는
    인쇄 액체 공급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체는 상기 용기로부터 멀리 향하여 있는 원위 측면을 한정하는 지지 벽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벽은 상기 제 2 가상 기준 평면에 인접하고 상기 제 2 가상 기준 평면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지지 벽은 유체적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가이드 레일이 상기 원위 측면 내로 연장될 수 있게 하도록, 상기 액체 인터페이스 및 액체 채널에 인접한 슬롯을 포함하는
    인쇄 액체 공급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비교적 얇은 종횡비를 가지며, 상기 용기의 제 2 치수는 상기 용기의 제 3 치수보다 3배 이상 큰
    인쇄 액체 공급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체의 제 3 치수는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체의 제 1 치수의 2배보다 큰
    인쇄 액체 공급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체는 외부 측방향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 특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특징부는,
    간극으로서, 상기 간극은 고정 요소가 상기 간극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할 수 있게 하는, 상기 간극과,
    상기 간극의 에지에 있는 정지 표면을 포함하는
    인쇄 액체 공급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향 측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특징부는 상기 제 1 가상 기준 평면에 의해 교차되는
    인쇄 액체 공급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스테이션과 접속하는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체의 인터페이스 구성요소는 모두 상기 용기의 제 1 치수를 따른 시야 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용기의 제 2 및 제 3 치수에 의해 한정된 윤곽 내에서 연장되고, 상기 인터페이스 구성요소는 상기 액체 인터페이스, 상기 액체 채널의 바늘 수용 부분, 상기 액체 인터페이스에 인접한 정면 가압 영역, 키 펜, 및 집적 회로 접촉 패드를 포함하는
    인쇄 액체 공급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제 4 가상 기준 평면이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체 및 용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제 3 치수의 중심을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체의 제 1 및 제 2 치수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바늘 수용 액체 채널 부분 및 액체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 4 가상 기준 평면의 일측에 위치되고, 집적 회로 접촉 패드가 상기 제 4 가상 기준 평면의 다른 측에 제공되는
    인쇄 액체 공급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한 쌍의 키 펜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키 펜 중 제 1 키 펜은 상기 제 4 가상 기준 평면의 동일 측에서 상기 제 4 가상 기준 평면으로부터 먼쪽인 상기 바늘 수용 액체 채널 부분 옆쪽에서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키 펜 중 제 2 키 펜은 상기 제 4 가상 기준 평면의 동일 측에서 상기 제 4 가상 기준 평면으로부터 더 먼쪽인 집적 회로 옆쪽에서 연장되며,
    상기 바늘 수용 액체 채널 부분과 상기 제 1 키 펜 사이의 거리는 상기 바늘 수용 액체 채널 부분 및 상기 제 2 키 펜 사이의 거리보다 작고,
    상기 바늘 수용 액체 채널 부분 및 상기 키 펜은 상기 제 1 가상 기준 평면에 의해 교차되는
    인쇄 액체 공급 장치.
  16. 별도의 액체 저장소에 연결가능하거나 연결되어 상기 액체 저장소를 수용 스테이션에 유체적으로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수용 스테이션의 적어도 하나의 액체 바늘에 유체적으로 연결되고 인터페이스 에지 및 시일을 포함하는 액체 인터페이스와,
    상기 액체 인터페이스를 상기 저장소에 유체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액체 채널로서, 상기 액체 채널 및 액체 인터페이스는 바늘 삽입 방향을 한정하는, 상기 액체 채널과,
    베이스로부터 돌출되고, 각각의 바늘 수용 액체 채널 부분 옆에서, 그리고 상기 바늘 수용 액체 채널 부분의 대향 양측에서 그에 대해 평행하게 돌출되는 키 펜과,
    상기 액체 채널과 상기 키 펜 중 제 1 키 펜 사이에 배치된 집적 회로를 지지하는 지지 벽으로서, 상기 지지 벽 및 집적 회로는 상기 액체 채널 및 키 펜과 교차하는 제 1 가상 기준 평면으로부터 소정 거리에서 상기 제 1 가상 기준 평면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집적 회로 접촉 패드의 접촉 표면이 상기 제 1 가상 기준 평면에 대면하는, 상기 지지 벽과,
    상기 지지 벽에 대해 상기 액체 인터페이스의 반대측에서 상기 액체 인터페이스에 인접하여 있는 정면 가압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집적 회로 접촉 패드는 외부 데이터 커넥터가 각각의 바늘 수용 액체 채널 부분과 상기 제 1 키 펜 사이를 통과할 수 있게 하도록 위치되고, 이에 의해 상기 제 1 키 펜은 반대측 키 펜보다 상기 바늘 수용 액체 채널 부분으로부터 더 먼 거리에서 연장되는
    인터페이스 구조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 가압 영역은 정면 에지에서 종단되고, 상기 액체 인터페이스 에지와 상기 정면 에지 사이의 최단 거리는 상기 액체 인터페이스 에지의 내경보다 작으며, 상기 시일은 상기 액체 인터페이스 에지에 안착되고, 상기 바늘 수용 액체 채널 부분의 중심축을 따라 상기 액체 채널의 바늘 수용 부분 내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되는
    인터페이스 구조체.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체는 비교적 낮은 프로파일 높이를 가지며,
    상기 프로파일 높이는,
    (i) 상기 지지 벽의 외부 에지와 상기 정면 가압 영역의 정면 에지 사이의 거리에 의해 한정되고,
    (ii) 15 ㎜보다 작으며,
    상기 액체 채널의 액체 저장소 연결 부분은 상기 인터페이스 구조체로부터 상기 프로파일 높이 밖으로 돌출되는
    인터페이스 구조체.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키 펜이 그로부터 연장되는 베이스 벽에 베이스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키 펜은 베이스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분은 상기 베이스 구멍에의 상기 키 펜의 베이스 부분의 삽입을 위해 상기 베이스 구멍에 끼워맞춰지고,
    상기 베이스 부분의 원주방향 에지는 상기 베이스 구멍의 원주방향 에지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키 펜은 상기 베이스 부분의 중심으로부터 오프셋된 상기 베이스 부분으로부터 돌출되고, 그에 따라 상기 베이스 부분의 원주방향 에지의 일측에 인접하게, 그리고 상기 베이스 부분의 원주방향 에지의 반대측으로부터 더 멀리에서 돌출되고,
    인접한 원주 에지는 상기 지지 벽에 인접하는
    인터페이스 구조체.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용기의 제 2 치수를 따라 상기 바늘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액체 인터페이스를 넘어서 돌출되는 돌출 부분을 포함하는
    인쇄 액체 공급 장치.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61. 삭제
  62. 삭제
KR1020207029732A 2018-07-13 2018-07-13 인쇄 액체 공급부 KR1024378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8/041926 WO2020013832A1 (en) 2018-07-13 2018-07-13 Print liquid supp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0436A KR20200130436A (ko) 2020-11-18
KR102437824B1 true KR102437824B1 (ko) 2022-08-29

Family

ID=63077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9732A KR102437824B1 (ko) 2018-07-13 2018-07-13 인쇄 액체 공급부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3) US11179941B2 (ko)
EP (1) EP3612395B1 (ko)
JP (2) JP7065201B2 (ko)
KR (1) KR102437824B1 (ko)
CN (2) CN111655497A (ko)
AR (1) AR115771A1 (ko)
AU (1) AU2018431744B2 (ko)
BR (1) BR112020021117B1 (ko)
CA (1) CA3095104C (ko)
CL (1) CL2020002652A1 (ko)
DK (1) DK3612395T3 (ko)
ES (1) ES2849570T3 (ko)
IL (1) IL277437B (ko)
MX (1) MX2020010777A (ko)
PL (1) PL3612395T3 (ko)
PT (1) PT3612395T (ko)
RU (1) RU2763390C1 (ko)
SG (1) SG11202009026UA (ko)
TW (1) TWI735885B (ko)
WO (1) WO20200138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37728T3 (es) 2018-07-13 2023-03-30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Suministro de líquido de impresión
BR112020021117B1 (pt) 2018-07-13 2022-04-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parelho de fornecimento de líquido de impressão e estrutura de interface
RU2750861C1 (ru) 2018-07-13 2021-07-05 Хьюлетт-Паккард Дивелопмент Компани, Л.П. Устройство подачи печатной жидкости
CN111655498A (zh) 2018-07-13 2020-09-11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打印液体供应
EP4328038A1 (en) * 2022-08-23 2024-02-28 Bobst Mex Sa Ink cartride receiving modu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7710A (ja) 2001-02-09 2002-10-23 Canon Inc 液体収納容器、該液体収納容器を用いた液体供給システム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該記録装置への液体収納容器の装着方法、ならびに液体の撹拌方法
US20170021634A1 (en) 2014-03-14 2017-01-26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supply device
JP2018065374A (ja) 2016-08-12 2018-04-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

Family Cites Families (1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9840A (en) 1969-08-25 1971-08-17 Hedwin Corp Device for positioning film bag liners in outer containers
JPS5217239U (ko) 1975-07-25 1977-02-07
JPS5217239A (en) 1975-07-31 1977-02-09 Toshiba Corp Drier
JPS60228160A (ja) 1984-04-26 1985-11-13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記録液容器
EP0604940B1 (en) 1992-12-28 1997-05-14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head cartridge and ink tank therefor
US5825387A (en) 1995-04-27 1998-10-20 Hewlett-Packard Company Ink supply for an ink-jet printer
US5971529A (en) 1994-10-31 1999-10-26 Hewlett-Packard Company Automatic ink interconnect between print cartridge and carriage
US6033064A (en) 1994-10-31 2000-03-07 Hewlett-Packard Company Inkjet printer with off-axis ink supply
US5699091A (en) 1994-12-22 1997-12-16 Hewlett-Packard Company Replaceable part with integral memory for usage, calibration and other data
US6142617A (en) * 1995-04-27 2000-11-07 Hewlett-Packard Company Ink container configured for use with compact supply station
JPH08230210A (ja) 1994-12-27 1996-09-10 Brother Ind Ltd インク噴射装置
US6183077B1 (en) 1995-04-27 2001-02-06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keying ink supply containers
US6322207B1 (en) 1995-04-27 2001-11-27 Hewlett-Packard Company Replaceable pump module for receiving replaceable ink supplies to provide ink to an ink jet printing system
US6130695A (en) 1995-04-27 2000-10-10 Hewlett-Packard Company Ink delivery system adapter
DE69617610T2 (de) 1995-12-04 2002-05-08 Hewlett Packard Co Kodierungsvorrichtung für Tintenzufuhrbehälter
US5847734A (en) 1995-12-04 1998-12-08 Pawlowski, Jr.; Norman E. Air purge system for an ink-jet printer
JP3245082B2 (ja) 1996-02-23 2002-01-07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該容器の製造方法、該容器を用いるインクジェット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6074042A (en) 1997-06-04 2000-06-13 Hewlett-Packard Company Ink container having a guide feature for insuring reliable fluid, air and electrical connections to a printing system
JP3295339B2 (ja) 1996-08-30 2002-06-24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ホルダー、インクジェットカートリッジおよびキャップ
US7188918B2 (en) * 1997-01-21 2007-03-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k delivery system adapter
CN1088012C (zh) 1997-01-30 2002-07-24 惠普公司 其构形适合于小型供墨台用的油墨容器
DE69812950T2 (de) 1997-06-04 2003-12-11 Hewlett Packard Co Adapter für tintenzuführsystem
CA2310181C (en) 1999-05-31 2004-06-22 Canon Kabushiki Kaisha Ink tank, ink-jet cartridge, ink-supplying apparatus, ink-jet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ink
US6161920A (en) 2000-01-05 2000-12-19 Hewlett-Packard Company Techniques for adapting a small form factor ink-jet cartridge for use in a carriage sized for a large form factor cartridge
JP2001199455A (ja) 2000-01-19 2001-07-24 Riso Kagaku Corp 液体収容容器
DE60140335D1 (de) * 2000-01-21 2009-12-17 Seiko Epson Corp Tintenpatrone für aufzeichnungsgerät und tintenstrahlaufzeichnungsgerät
TW541247B (en) 2000-01-31 2003-07-11 Hewlett Packard Co Latch and handle arrangement for a replaceable ink container
JP2002030770A (ja) 2000-05-10 2002-01-31 Nkk Steel Sheet & Strip Corp 屋根板、ハゼ葺き屋根、太陽電池モジュール板を取りつけたハゼ葺き屋根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板の取りつけ、取り外し方法
ATE339315T1 (de) 2000-07-10 2006-10-15 Canon Kk Flüssigkeitsstrahlaufzeichnungskopfkartusche
US6644796B2 (en) 2000-12-22 2003-11-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luid interconnect in a replaceable ink reservoir for pigmented ink
JP3770315B2 (ja) * 2000-12-25 2006-04-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
CA2371040A1 (en) 2001-02-09 2002-08-09 Nobuyuki Hatasa Liquid container and recording apparatus
DE10116429B4 (de) 2001-04-02 2005-03-24 J. S. Staedtler Gmbh & Co. Kg Vorrichtung zum Befüllen eines Tintentanks
JP3815254B2 (ja) 2001-05-18 2006-08-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2002307704A (ja) 2001-04-13 2002-10-23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US6471333B1 (en) 2001-04-30 2002-10-29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keying ink supply containers
US6536888B2 (en) 2001-08-16 2003-03-25 Eastman Kodak Company Ink cartridge with internal ink bag and method of filling
US6416166B1 (en) 2001-08-16 2002-07-09 Eastman Kodak Company Ink cartridge with alignment features and method of inserting cartridge into a printer receptacle
US6749292B2 (en) 2001-10-18 2004-06-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placeable ink container for an inkjet printing system
US6962408B2 (en) 2002-01-30 2005-11-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fluid container
US7147310B2 (en) 2002-01-30 2006-12-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fluid container
JP3666491B2 (ja) 2002-03-29 2005-06-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記録装置
US6886929B2 (en) 2002-10-25 2005-05-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echniques for improving pressure sensor shock robustness in fluid containment devices
US6959985B2 (en) 2003-07-31 2005-11-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fluid container
US7004564B2 (en) 2003-07-31 2006-02-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fluid container
EP1815994B1 (en) * 2003-08-08 2013-04-24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container
AR049674A1 (es) 2003-08-08 2006-08-30 Seiko Epson Corp Recipiente contenedor de liquido a suministrar a un aparato de consumo de dicho liquido
US7806523B2 (en) 2003-08-08 2010-10-05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ejecting apparatus and liquid container holder thereof
DE602004020714D1 (de) 2003-08-08 2009-06-04 Seiko Epson Corp Flüssigkeitsausstossvorrichtung und Flüssigkeitsbehälterträger
JP4482897B2 (ja) 2003-08-29 2010-06-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
JP4058434B2 (ja) 2003-12-26 2008-03-12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収納容器、該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プリンタシステム
US7165833B2 (en) 2004-01-08 2007-01-23 Eastman Kodak Company Ink container installation and alignment feature
JP4706247B2 (ja) 2004-06-30 2011-06-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容器
US20060017788A1 (en) * 2004-07-20 2006-01-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luid delivery component
CN2741774Y (zh) 2004-08-10 2005-11-23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恒压墨盒
US7278720B2 (en) 2005-01-24 2007-10-09 Hewlett-Packard Develpoment Company, L.P. Ink cartridge with multiple chambers aligned along an axial length
WO2006093472A1 (en) 2005-03-03 2006-09-08 Inke Pte Ltd Ink reservoir
RU2496649C2 (ru) 2005-08-17 2013-10-27 Сейко Эпсон Корпорейшн Контейнер для жидкости
JP2007050666A (ja) 2005-08-19 2007-03-01 Fujifilm Corp インクジェット記録システム、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DE602006002216D1 (de) 2005-09-29 2008-09-25 Brother Ind Ltd Tintenpatrone, Satz von Tintenpatronen und Tintenstrahlaufzeichnungssystem
JP2007152681A (ja) 2005-12-02 2007-06-21 Canon Inc インクタンク誤装着防止処理
JP4882733B2 (ja) 2006-03-30 2012-02-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
ATE492401T1 (de) 2006-09-27 2011-01-15 Ninestar Man Co Ltd Tintenkassettehalterung für druckgeräthaltevorrichtung
JP4321617B2 (ja) * 2007-03-29 2009-08-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機能液供給装置および液滴吐出装置、並びに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US7874660B2 (en) 2007-10-10 2011-01-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losure and connector for a supply container
DE102007048819A1 (de) 2007-10-10 2009-04-16 Pelikan Hardcopy Production Ag Tintenpatrone
EP2105307B1 (en) 2008-03-25 2011-11-16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jetting system, liquid container, holder, and liquid jetting apparatus having holder
US8636345B2 (en) 2008-05-19 2014-01-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upply tube connectors for connection with an ink container
JP5099510B2 (ja) 2008-05-23 2012-12-19 株式会社セイコーアイ・インフォテック インク袋アダプタ、アダプタ付きインク袋、及び印刷装置
JP2010052259A (ja) 2008-08-28 2010-03-11 Brother Ind Ltd 液滴噴射装置
JP5356760B2 (ja) 2008-09-19 2013-12-04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の着脱機構
WO2010044788A1 (en) 2008-10-15 2010-04-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luid ejection cartridge
JP5493904B2 (ja) 2009-03-12 2014-05-14 株式会社リコー 液体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CN102427948B (zh) 2009-05-18 2014-09-17 惠普开发有限公司 可更换打印组件
US8764173B2 (en) 2009-09-15 2014-07-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bination ink status and key arrangement for ink supply
AU2010352856B2 (en) 2010-05-10 2014-05-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iquid supply
US8474955B2 (en) 2010-05-17 2013-07-02 Zamtec Ltd Multi-channel valve apparatus for printhead
JP2012000862A (ja) 2010-06-17 2012-01-05 Brother Industries Ltd 液体抽出ユニット
JP5447215B2 (ja) 2010-06-17 2014-03-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カートリッジ付勢ユニット
JP5482489B2 (ja) 2010-06-17 2014-05-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供給装置
EP2397334B1 (en) 2010-06-17 2013-01-09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
JP5438622B2 (ja) 2010-07-30 2014-03-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液体供給装置及び液体吐出装置並びに圧力制御方法
PL3530470T3 (pl) 2010-10-22 2020-10-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Wkład z płynem
CN104118216B (zh) 2010-10-22 2016-08-24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流体盒
US8727516B2 (en) 2010-10-22 2014-05-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luid cartridge
US20130208601A1 (en) 2010-11-08 2013-08-15 Tao Cui Measurement requesting and reporting
JP5162651B2 (ja) 2010-12-20 2013-03-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液体供給装置
JP5762028B2 (ja) * 2011-02-03 2015-08-12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US8591014B2 (en) 2011-02-12 2013-11-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luidic interface
JP5115634B2 (ja) 2011-03-22 2013-01-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保持部材
CN103171293B (zh) 2011-12-22 2015-07-22 兄弟工业株式会社 打印流体盒、打印设备和打印流体盒的使用
CN103171290B (zh) 2011-12-22 2015-07-08 兄弟工业株式会社 打印流体盒、打印设备和打印流体盒的使用
JP5866269B2 (ja) 2012-06-29 2016-02-1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式画像形成装置及びインクコンテナ
CN203093328U (zh) 2013-02-06 2013-07-31 珠海纳思达企业管理有限公司 墨盒
JP6163890B2 (ja) 2013-06-06 2017-07-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供給装置、液体収容体
JP6237026B2 (ja) 2013-09-17 2017-11-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
DE112014004288T5 (de) 2013-09-18 2016-06-09 Canon Kabushiki Kaisha Tintenkartusche und Tintenstrahldrucker
WO2015041365A1 (ja) 2013-09-18 2015-03-26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2015058672A (ja) * 2013-09-20 2015-03-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カートリッジ、画像記録装置
US9067424B1 (en) 2014-01-09 2015-06-30 Riso Kagaku Corporation Ink cartridge and mount/demount mechanism for the same
EP3096955B1 (en) 2014-01-21 2020-07-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placeable liquid supply having cut outs and latch
US9522776B2 (en) 2014-03-14 2016-12-20 Seiko Epson Corporation Fluid container
JP6331623B2 (ja) 2014-04-11 2018-05-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容器
JP6402507B2 (ja) * 2014-06-25 2018-10-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流体噴射装置
CN104085198B (zh) 2014-07-02 2016-06-15 北京赛腾标识系统股份公司 用于喷印设备的流体盒固定架及供墨组件
JP6366097B2 (ja) 2014-08-22 2018-08-01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512774B2 (ja) 2014-08-25 2019-05-15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の保持部材、プリントヘッドおよびプリンタ
JP2016074124A (ja) 2014-10-06 2016-05-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液体供給装置
JP6447299B2 (ja) * 2015-03-27 2019-01-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カートリッジ
JP6511909B2 (ja) * 2015-03-30 2019-05-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および液体噴射装置
US9835486B2 (en) 2015-07-07 2017-12-05 Hand Held Products, Inc. Mobile dimensioner apparatus for use in commerce
JP6665452B2 (ja) 2015-09-07 2020-03-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カートリッジ及び液体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JP6604103B2 (ja) * 2015-09-11 2019-11-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システム
JP2017056706A (ja) 2015-09-18 2017-03-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端子接続部及びカートリッジ
JPWO2017115582A1 (ja) 2015-12-28 2018-10-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供給ユニット
JP6651846B2 (ja) * 2015-12-28 2020-02-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供給ユニット、液体噴射システム
EP3347204B1 (en) 2016-01-27 2020-08-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luid supply assembly and method of attaching a printhead assembly
JP6819077B2 (ja) * 2016-05-27 2021-01-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
CA3030544A1 (en) 2016-07-27 2018-02-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orizontal interface for fluid supply cartridge having digital fluid level sensor
US10232627B2 (en) 2016-08-12 2019-03-19 Seiko Epson Corporation Container, liquid ejecting apparatus, liquid container
JP6844178B2 (ja) 2016-09-30 2021-03-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および、接続体
JP6878812B2 (ja) 2016-09-30 2021-06-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カートリッジ及び液体消費装置
EP3300904B1 (en) 2016-09-30 2021-09-01 Seiko Epson Corporation Cartridge and connector
JP2018103504A (ja) * 2016-12-27 2018-07-05 株式会社Okiデータ・インフォテック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922219B2 (ja) 2016-12-28 2021-08-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流体カートリッジ及びシステム
JP6897098B2 (ja) 2016-12-28 2021-06-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流体カートリッジ、印刷流体カートリッジセット、及びシステム
JP7059622B2 (ja) 2017-12-25 2022-04-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用の梱包部材
RU2750861C1 (ru) 2018-07-13 2021-07-05 Хьюлетт-Паккард Дивелопмент Компани, Л.П. Устройство подачи печатной жидкости
BR112020021117B1 (pt) 2018-07-13 2022-04-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parelho de fornecimento de líquido de impressão e estrutura de interface
ES2937728T3 (es) 2018-07-13 2023-03-30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Suministro de líquido de impresió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7710A (ja) 2001-02-09 2002-10-23 Canon Inc 液体収納容器、該液体収納容器を用いた液体供給システム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該記録装置への液体収納容器の装着方法、ならびに液体の撹拌方法
US20170021634A1 (en) 2014-03-14 2017-01-26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supply device
JP2018065374A (ja) 2016-08-12 2018-04-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20010777A (es) 2020-12-10
IL277437A (en) 2020-11-30
AR115771A1 (es) 2021-02-24
BR112020021117A2 (pt) 2021-02-17
PL3612395T3 (pl) 2021-05-31
RU2763390C1 (ru) 2021-12-28
BR112020021117B1 (pt) 2022-04-19
US20220040989A1 (en) 2022-02-10
TW202005816A (zh) 2020-02-01
JP7065201B2 (ja) 2022-05-11
CN111942027A (zh) 2020-11-17
SG11202009026UA (en) 2020-10-29
US11179941B2 (en) 2021-11-23
CA3095104C (en) 2023-02-14
US20230249467A1 (en) 2023-08-10
US20200276824A1 (en) 2020-09-03
WO2020013832A1 (en) 2020-01-16
EP3612395A1 (en) 2020-02-26
JP2021517527A (ja) 2021-07-26
DK3612395T3 (da) 2021-02-01
JP2022071215A (ja) 2022-05-13
ES2849570T3 (es) 2021-08-19
PT3612395T (pt) 2021-02-04
CN111655497A (zh) 2020-09-11
US11667124B2 (en) 2023-06-06
IL277437B (en) 2021-09-30
CA3095104A1 (en) 2020-01-16
CN111942027B (zh) 2021-10-15
EP3612395B1 (en) 2020-12-30
AU2018431744A1 (en) 2020-10-15
KR20200130436A (ko) 2020-11-18
AU2018431744B2 (en) 2021-12-23
CL2020002652A1 (es) 2020-12-11
TWI735885B (zh) 202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7824B1 (ko) 인쇄 액체 공급부
KR102447095B1 (ko) 인쇄 액체 공급부
KR102437831B1 (ko) 인쇄 액체 공급부
KR102447086B1 (ko) 인쇄 액체 공급부
KR102447092B1 (ko) 인쇄 액체 공급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