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5746B1 -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 Google Patents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35746B1 KR102435746B1 KR1020200121736A KR20200121736A KR102435746B1 KR 102435746 B1 KR102435746 B1 KR 102435746B1 KR 1020200121736 A KR1020200121736 A KR 1020200121736A KR 20200121736 A KR20200121736 A KR 20200121736A KR 102435746 B1 KR102435746 B1 KR 1024357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 decut
- lens barrel
- lenses
- image sens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
- H04N5/217—
-
- H04N5/2254—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배럴; 및 상기 렌즈배럴에 물체측에서 이미지측으로 순차적으로 적층 구비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적어도 하나는 테두리에 직선부를 구비하는 디컷렌즈이고, 상기 디컷렌즈의 상기 직선부는 상기 복수의 렌즈를 통과한 광이 결상되는 이미지센서와 상대 배치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PDA 등과 같은 개인 휴대 단말기에는 카메라 모듈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원통형의 배럴 내부에 복수 개의 렌즈가 광축을 따라 적층 결합되고, 하우징 내부에 렌즈 배럴과 렌즈 하부에 광학 필터 및 이미지센서가 결합된다.
한편, 종래의 카메라 모듈은 형광등 불빛이나 어두운 암실에서 일정한 각도로 강한 빛을 입사시키면 특정한 각도의 빛이 렌즈 배럴에 수용되는 렌즈 리브면에서 내면 반사를 일으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빛은 결상과 관련이 없는 빛으로 화면에 플레어나 고스트 현상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렌즈 리브면에서의 내면 반사를 통해 이미지센서의 결상면에 입사되는 빛을 차단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휴대 단말의 사이즈가 작아지고 박형화되면서 카메라 모듈의 성능 향상과는 별개로 사이즈의 축소도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플레어나 고스트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체 사이즈의 축소가 가능하고 플레어나 고스트 현상도 저감시킬 수 있는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렌즈배럴; 및 상기 렌즈배럴에 물체측에서 이미지측으로 순차적으로 적층 구비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적어도 하나는 테두리에 직선부를 구비하는 디컷렌즈이고, 상기 디컷렌즈의 상기 직선부는 상기 복수의 렌즈를 통과한 광이 결상되는 이미지센서와 상대 배치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렌즈배럴; 및 상기 렌즈배럴에 물체측에서 이미지측으로 순차적으로 적층 구비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배럴은 이미지측 방향의 단부의 외부면에 편평한 절개면 형상의 디컷부와 상기 디컷부 이외의 라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배럴의 상기 디컷부는 상기 복수의 렌즈를 통과한 광이 결상되는 이미지센서와 상대 배치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렌즈배럴; 및 상기 렌즈배럴에 물체측에서 이미지측으로 순차적으로 적층 구비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배럴은 이미지측의 단부에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관통홈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홈은 상기 복수의 렌즈를 통과한 광이 결상되는 이미지센서와 상대 배치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은 베젤 영역에 구비되는 렌즈 모듈을 갖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렌즈 모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전자장치의 전면 카메라로 상기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 상부의 베젤 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렌즈 모듈의 상기 직선부 또는 상기 디컷부는 상기 전자장치의 짧은 변과 나란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형 변화를 최소화하면서도 간단한 부품의 배치 최적화를 통해 플레어나 고스트 현상을 저감시킨 렌즈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렌즈배럴, 렌즈, 스페이서 등) 및 이미지센서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배럴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배럴과 이미지센서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배럴 형상의 다양한 변형예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배럴과 이미지센서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배럴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배럴과 이미지센서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배럴의 사시도이고,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렌즈배럴, 렌즈, 스페이서 등) 및 이미지센서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배럴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배럴과 이미지센서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배럴 형상의 다양한 변형예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배럴과 이미지센서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배럴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배럴과 이미지센서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배럴의 사시도이고,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이 개시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적어도, 렌즈배럴(110), 하우징(180), 광학필터(170, 가령, 적외선 필터(IR 필터) 등), 이미지센서(150) 및 회로기판(190)를 포함한다.
렌즈배럴(110)의 내부에는 복수의 렌즈가 물체측에서 이미지측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비되며, 렌즈배럴(110)은 하우징(180)의 내부에 배치된다. 복수의 렌즈는 압입 또는 접착제에 의한 본딩에 의해 렌즈배럴(110)에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이미지측 방향으로 마지막 렌즈를 지지하는 압입링에 의해 복수의 렌즈가 고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렌즈배럴(110), 렌즈배럴(110)에 구비되는 복수의 렌즈, 복수의 스페이서 등을 포함한 것이 렌즈 모듈에 해당할 수 있다.
그리고, 렌즈배럴(110)의 하부에는 하우징(180)에 고정되는 광학필터(170)가 구비되고, 하우징(180)의 하부에는 이미지센서(150)가 상면에 부착된 회로기판(190)이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렌즈배럴(110)의 상부로 입사된 광이 렌즈들을 거쳐 광학필터(170)를 지나 이미지센서(190)에 수광되면서 촬상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렌즈배럴(110)은 공간 활용을 최대화하기 위해 하부, 즉, 렌즈배럴(110)의 이미지측(이미지센서(150) 방향) 방향 단부에 외부면의 일부가 편평하게 절개된 'D' 형상의 디컷(D-cut, 111)과 디컷부(111) 이외의 부분을 형성하는 라운딩부(115)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렌즈 중 디컷렌즈(L5, L6)가 렌즈배럴(110)의 이미지측으로 치우쳐서 배치될 것이므로 디컷렌즈(L6)는 이미지센서(150)와 가장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디컷부(111)을 구비함으로써 렌즈배럴(110)의 불필요한 공간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결국 카메라 모듈(100)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렌즈배럴(110)의 디컷부(111)은 광축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양쪽에 적어도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더하여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에 구비되는 렌즈배럴(110)은 이미지측 방향 단부에 디컷을 구비하며, 렌즈배럴(110)의 내부에 끼워지는 렌즈들 중 일부는 디컷렌즈일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렌즈가 복수개 구비되면 모두 적용이 가능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렌즈가 6매 구비되는 구조를 일 예시로 하여 설명한다(이하에서는 물체측에서 이미지측 방향으로 순서대로 '제1 렌즈', 제2 렌즈' ... 등으로 지칭한다. 스페이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지칭한다).
본 실시예는 렌즈배럴(110)에 렌즈가 6매 구비되는 구조일 수 있으며, 물체측의 4개 렌즈(L1~L4)는 원형렌즈이고, 이미지측의 2개 렌즈(L5~L6)는 테두리에 직선부(L5-3, L6-3)를 구비하는 디컷렌즈일 수 있다. 그리고, 인접하는 렌즈들의 사이에는 스페이서(S1~S5)가 구비될 수 있고, 이미지측으로 마지막 3개의 렌즈들(L4~L6)의 사이에는 디컷이 형성된 스페이서(S4, S5)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측으로 가장 마지막에 위치하는 렌즈(L6)의 유효면(렌즈 중심부로 광학 성능을 발휘하는 부분)의 외경(D)은 그 상부에 끼워지는 스페이서(S5)의 내경(d)보다 클 수 있다(여기서, 렌즈(L6)의 유효면의 외경(D)과 스페이서(S5)의 내경은 원형일 수 있다).
렌즈의 광학성능 극대화를 위해 이미지측으로 마지막 렌즈의 직경은 최대한 크게 가져가고, 다만, 렌즈의 테두리에 디컷이 구비된다는 점을 감안하여 렌즈의 유효면 중 가장 외곽에 위치하여 디컷과 가까운 부분은 플레어나 고스트 발생의 저감을 위해 스페이서(S5)에 의해 미리 광이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렌즈배럴(110)에 디컷부(111)가 구비되고, 테두리에 직선부(L5-3, L6-3)를 구비하는 디컷렌즈인 제5 및 제6 렌즈(L5, L6)에서 디컷된 부분이 디컷부(111)와 소정 위에 상대 배치되게(나란하게 정렬) 렌즈배럴(110)에 결합되며, 이에 따라 렌즈배럴(110)의 일방향 직경이 더욱 작아질 수 있다. 여기서, 디컷렌즈(L5, L6)에 구비되는 직선부 (L5-3, L6-3)는 렌즈배럴(110)에 구비되는 디컷부(111)의 개수 및 위치에 상응하도록 적어도 한쌍이 광축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렌즈배럴(110)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나아가 카메라 모듈(100)의 소형화도 가능하다.
카메라 모듈(100)에 장착되는 이미지센서(150)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되고(이하, 직사각형을 이루는 긴 변을 장변(LL), 짧은 변을 단변(LS)으로 지칭함), 이에 따라 렌즈배럴(110)과 이미지센서(150)는 광축 방향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 배치(정렬)될 수 있다. 즉, 이미지센서(150)는 렌즈배럴(110)의 디컷부(111) 또는 렌즈배럴(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디컷렌즈(L5, L6)의 직선부(L5-3, L6-3)와 상대 배치되게 방향성을 갖고 정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미지센서(150)는 하우징(180)에 단변(LS)이 렌즈배럴(110)의 디컷부(111)과 나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디컷렌즈(L5, L6)의 직선부(L5-3, L6-3)는 렌즈배럴(110)의 디컷부(111)과 나란하게 장착되므로, 이미지센서(150)는 하우징(180)에 단변(LS)이 디컷렌즈(L5, L6)의 직선부(L5-3, L6-3)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렌즈배럴(110)과 이미지센서(150)는 광축 방향으로 상호 겹치게 배치되며, 배치의 효율화를 위해 이미지센서(150)의 단변(LS)이 렌즈배럴(110)의 디컷부(111)와 상대 배치(정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미지센서(150)의 단변(LS)은 제5 및 제6 렌즈(L5, L6)에서 디컷된 직선부(L5-3, L6-3)와도 정렬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센서(150)의 장변(LL)은 렌즈배럴(110)을 가로질러 제6 렌즈(L6)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경우에는 이미지측 방향으로 마지막 렌즈(도면에서 L6)는 광축 방향으로 이미지센서(150)와 겹치는 부분(L6-1)과 겹치지 않는 부분(L6-2)으로 나뉠 수 있다. 그리고, 겹치지 않는 부분(L6-2)에서는 이미지센서(150)와 렌즈배럴(110)의 내면 간에 일정 간격이 형성되므로 입사되는 광이 렌즈배럴(110)의 내면에 반사 등이 되더라도 최종적으로 이미지센서(150)에 결상되지 않을 수 있어 고스트나 플레어의 발생이 많지 않을 수 있다.
이와 달리, 마지막 렌즈(도면에서 L6)가 광축 방향으로 이미지센서(150)와 겹치는 부분(L6-1)에서는 이미지센서(150)와 렌즈배럴(110)의 내면 간에 간격이 없으므로 입사되는 광이 렌즈배럴(110)의 내면에 반사 등이 된다면 직접적으로 이미지센서(150)에 결상될 것이고, 이에 따라 고스트나 플레어의 발생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컷부(111)를 갖는 렌즈배럴(110)은 디컷부(111)가 형성된 부분을 중심으로 입사된 광의 반사 등을 저감하도록 이미지측 방향 단부에 관통홈(113)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대적으로 이미지센서(150)와 렌즈배럴(110)의 내면 간에 간격이 없는 렌즈배럴(110)의 디컷부(111)의 형성부분에 관통홈(113)이 구비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관통홈(113)은, 광축(OA)과 디컷렌즈(L6)의 직선부(L6-3) 또는 이미지센서(150)의 단변(LS)의 양쪽 끝을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연장선이 형성하는 가상 공간(VS1)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도 6 참고).
이에 따라 입사된 광이 렌즈배럴(110)의 관통홈(113)을 통하여 외부로 나갈 수 있고, 이에 따라 이미지센서(150)에 결상되지 않으므로 플레어나 고스트 현상을 저감할 수 있다.
여기서 관통홈(113)은 광축 방향으로 이미지측으로 가장 치우친 디컷렌즈(L6)와 이미지센서(15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렌즈배럴(110)에 구비되는 관통홈(113)은 각각 양쪽에 1개씩의 사각형 또는 정사각형(도 7의 (a)), 각각 양쪽에 복수개의 사각형 또는 정사각형(도 7의 (b)) 또는 둥근형(도 7의 (c))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도면의 첨부는 생략하지만 다각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배럴과 이미지센서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배럴의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배럴(110-2)은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7의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배럴(110)과 동일하고 관통홈의 구비 형상에만 차이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센서(150)는 광축 방향으로 렌즈배럴(110-2)의 디컷(111-2)이 형성된 부분을 모두 덮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마지막 렌즈(도면에서 L6)가 광축 방향으로 이미지센서(150)와 겹치는 부분(L6-1)에서는 이미지센서(150)와 렌즈배럴(110-2)의 내면 간에 간격이 없으므로 입사되는 광이 렌즈배럴(110-2)의 내면에 반사 등이 된다면 직접적으로 이미지센서(150)에 결상될 것이고, 이에 따라 고스트나 플레어의 발생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다.
그런데, 이미지센서(150)는 입사되는 광이 최대한 넓은 면적에서 결상되도록 광축 방향으로 렌즈배럴(110-2)의 디컷(111-2)이 형성된 부분을 모두 덮도록 구비되므로, 렌즈배럴(110-2)에서 디컷(111-2)이 형성된 부분과 인접하는 둥근 부분(115-2)도 일부 덮도록 배치된다.
그러므로, 정확하게 마지막 렌즈(도면에서 L6)가 광축 방향으로 이미지센서(150)와 겹치는 부분(L6-1)은 렌즈배럴(110-2)의 디컷(111-2)이 형성된 부분과 이에 인접하는 둥근 부분(115-2)이 된다. 이에 따라, 렌즈배럴(110-2)에서 디컷(111-2)이 형성된 부분 이외에 둥근 부분(115-2)의 내면에서도 입사되는 광의 반사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다른 실시예의 렌즈배럴(110-2)은 디컷(111-2)이 형성된 부분을 넘어 둥근 부분(115-2)에도 관통홈(113-2)을 구비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는, 관통홈(113-2)은 원주 방향으로 디컷(111-2)이 형성된 전체 부분과 양쪽의 둥근 부분(115-2)의 일부까지 형성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관통홈(113-2)은, 광축(OA)과 디컷렌즈(L6)의 직선부(L6-3) 또는 이미지센서(150)의 단변(LS)의 양쪽 끝을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연장선이 형성하는 가상 공간(VS2)의 내부와 외부에 모두 걸쳐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관통홈(113-2)은 렌즈배럴(110-2)이 광축 방향으로 이미지센서(150)와 겹치는 경계와 대략 일치하거나, 경계를 넘어 외측까지 연장되거나, 경계를 넘지 않게 내측까지만 연장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사된 광이 렌즈배럴(110-2)의 관통홈(113-2)을 통하여 더욱 정확하게 외부로 나갈 수 있고, 이에 따라 이미지센서(150)에 결상되지 않으므로 플레어나 고스트 현상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배럴과 이미지센서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배럴의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배럴(110-3)은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7의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배럴(110)과 동일하고 관통홈의 구비 형상에만 차이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센서(150)는 광축 방향으로 렌즈배럴(110-3)의 디컷(111-3)이 형성된 부분을 모두 덮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마지막 렌즈(도면에서 L6)가 광축 방향으로 이미지센서(150)와 겹치는 부분(L6-1)에서는 이미지센서(150)와 렌즈배럴(110-3)의 내면 간에 간격이 없으므로 입사되는 광이 렌즈배럴(110-3)의 내면에 반사 등이 된다면 직접적으로 이미지센서(150)에 결상될 것이고, 이에 따라 고스트나 플레어의 발생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다.
그런데, 이미지센서(150)는 입사되는 광이 최대한 넓은 면적에서 결상되도록 광축 방향으로 렌즈배럴(110-3)의 디컷(111-3)이 형성된 부분을 모두 덮도록 구비되므로, 렌즈배럴(110-3)에서 디컷(111-3)이 형성된 부분과 인접하는 둥근 부분(115-3)도 일부 덮도록 배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관통홈(113-3)은, 광축(OA)과 디컷렌즈(L6)의 직선부(L6-3) 또는 이미지센서(150)의 단변(LS)의 양쪽 끝을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연장선이 형성하는 가상 공간(VS3)의 내부와 외부에 모두 걸쳐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정확하게 마지막 렌즈(도면에서 L6)가 광축 방향으로 이미지센서(150)와 겹치는 부분(L6-1)은 렌즈배럴(110-3)의 디컷(111-3)이 형성된 부분과 이에 인접하는 둥근 부분(115-3)이 된다. 이에 따라, 렌즈배럴(110-3)에서 디컷(111-3)이 형성된 부분 이외에 둥근 부분(115-3)의 내면에서도 입사되는 광의 반사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다른 실시예의 렌즈배럴(110-3)은 디컷(111-3)이 형성된 부분을 넘어 둥근 부분(115-3)에도 관통홈(113-3)을 구비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는, 관통홈(113-3)은 원주 방향으로 디컷(111-3)이 형성된 부분의 일부와 둥근 부분(115-3)의 일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관통홈(113-3)은 디컷(111-3)이 형성된 부분의 일부에서 렌즈배럴(110-3)이 광축 방향으로 이미지센서(150)와 겹치는 경계와 대략 일치하거나, 경계를 넘어 외측까지 연장되거나, 경계를 넘지 않게 내측까지만 연장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사된 광이 렌즈배럴(110-3)의 관통홈(113-3)을 통하여 더욱 정확하게 외부로 나갈 수 있고, 이에 따라 이미지센서(150)에 결상되지 않으므로 플레어나 고스트 현상을 저감할 수 있다. 나아가, 디컷(111-3) 부분 전체에 관통홈(113-3)이 형성되지는 않으므로 렌즈배럴(110-3)의 강성도 보완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사시도이다.
도 12a는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 100-2, 100-3)이 휴대 단말의 전면카메라로 사용되는 경우이다. 카메라 모듈(100, 100-2, 100-3)은 휴대 단말(1)의 공간 활용을 위해 다양한 배치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이미지센서(150)의 단변(LS)이 휴대 단말의 짧은 변과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한다면 렌즈배럴(110, 110-2, 110-3)의 디컷(111, 111-2, 111-3)에 의해 카메라 모듈(100, 100-2, 100-3)의 폭(광축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구조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1)의 디스플레이(10) 둘레에 좁은 공간으로 제공되는 베젤(20)(가령, 전면 카메라가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의 상부)에 카메라 모듈(100, 100-2, 100-3)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으므로 휴대 단말(1)의 공간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2b는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 100-2, 100-3)이 휴대 단말의 후면카메라로 사용되는 경우이다. 이 경우 휴대 단말(1)의 공간 활용을 위해 다양한 배치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카메라모듈
110: 렌즈배럴
150: 이미지센서
170: 광학필터
180: 하우징
190: 회로기판
110: 렌즈배럴
150: 이미지센서
170: 광학필터
180: 하우징
190: 회로기판
Claims (19)
- 렌즈배럴; 및 상기 렌즈배럴에 물체측에서 이미지측으로 순차적으로 적층 구비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적어도 하나는 테두리에 직선부를 구비하는 디컷렌즈이고,
상기 디컷렌즈의 상기 직선부는 상기 복수의 렌즈를 통과한 광이 결상되는 이미지센서의 단변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렌즈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상기 디컷렌즈는 상기 이미지센서와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렌즈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컷렌즈는 광축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양쪽에 상기 직선부를 구비하는 렌즈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배럴은 이미지측의 단부에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관통홈을 구비하는 렌즈 모듈.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센서는 장변과 단변을 갖는 사각 형상이고, 상기 단변이 상기 디컷렌즈의 상기 직선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렌즈 모듈.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홈은, 광축과 상기 디컷렌즈의 상기 직선부 또는 상기 이미지센서의 상기 단변의 양쪽 끝을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연장선이 형성하는 가상 공간의 내부와 외부에 모두 걸쳐서 구비되는 렌즈 모듈.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홈은, 광축과 상기 디컷렌즈의 상기 직선부 또는 상기 이미지센서의 상기 단변의 양쪽 끝을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연장선이 형성하는 가상 공간의 내부에 구비되는 렌즈 모듈.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홈은 각진형상 또는 둥근형상으로 구비되는 렌즈 모듈.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홈은 광축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적어도 한쌍으로 구비되는 렌즈 모듈.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홈은 광축 방향으로 상기 디컷렌즈와 상기 이미지센서의 사이에 구비되는 렌즈 모듈.
- 렌즈배럴; 및 상기 렌즈배럴에 물체측에서 이미지측으로 순차적으로 적층 구비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배럴은 이미지측 방향의 단부의 외부면에 편평한 절개면 형상의 디컷부와 상기 디컷부 이외의 라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배럴의 상기 디컷부는 상기 복수의 렌즈를 통과한 광이 결상되는 이미지센서의 단변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렌즈 모듈.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이미지측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는 테두리에 직선부를 구비하는 디컷렌즈인 렌즈 모듈.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컷부와 상기 직선부는 나란하게 배치되는 렌즈 모듈.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배럴은 이미지측의 단부에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관통홈을 구비하는 렌즈 모듈.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홈은 상기 렌즈배럴의 상기 디컷부에 구비되는 렌즈 모듈.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홈은 상기 렌즈배럴의 상기 디컷부와 상기 라운딩부에 모두 걸쳐서 구비되는 렌즈 모듈.
- 렌즈배럴; 및 상기 렌즈배럴에 물체측에서 이미지측으로 순차적으로 적층 구비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배럴은 이미지측의 단부에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관통홈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홈은 상기 복수의 렌즈를 통과한 광이 결상되는 이미지센서의 장축 방향으로 상기 렌즈배럴을 관통하는, 렌즈 모듈.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홈은, 상기 렌즈배럴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적어도 2개가 구비되는 렌즈 모듈.
- 베젤 영역에 구비되는 제1항 또는 제 11항의 렌즈 모듈을 갖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렌즈 모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전자장치의 전면 카메라로 상기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 상부의 베젤 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렌즈 모듈의 직선부 또는 디컷부는 상기 전자장치의 짧은 변과 나란하게 장착되는 휴대 단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03530A KR102620528B1 (ko) | 2017-12-05 | 2022-08-18 |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5683 | 2017-12-05 | ||
KR20170165683 | 2017-12-05 | ||
KR1020180026906A KR102166125B1 (ko) | 2017-12-05 | 2018-03-07 |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26906A Division KR102166125B1 (ko) | 2017-12-05 | 2018-03-07 |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03530A Division KR102620528B1 (ko) | 2017-12-05 | 2022-08-18 |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12776A KR20200112776A (ko) | 2020-10-05 |
KR102435746B1 true KR102435746B1 (ko) | 2022-08-26 |
Family
ID=6684746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26906A KR102166125B1 (ko) | 2017-12-05 | 2018-03-07 |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
KR1020200121736A KR102435746B1 (ko) | 2017-12-05 | 2020-09-21 |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
KR1020220103530A KR102620528B1 (ko) | 2017-12-05 | 2022-08-18 |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26906A KR102166125B1 (ko) | 2017-12-05 | 2018-03-07 |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03530A KR102620528B1 (ko) | 2017-12-05 | 2022-08-18 |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1330159B2 (ko) |
KR (3) | KR102166125B1 (ko) |
CN (3) | CN109870867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6125B1 (ko) * | 2017-12-05 | 2020-10-15 | 삼성전기주식회사 |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
CN112243077A (zh) * | 2019-07-19 | 2021-01-19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镜头、摄像头模组和电子设备 |
CN110737077A (zh) * | 2019-11-29 | 2020-01-31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光学镜头和电子装置 |
CN114076999B (zh) * | 2020-08-21 | 2023-08-11 |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 潜望式摄像模组 |
JPWO2022131257A1 (ko) * | 2020-12-15 | 2022-06-23 | ||
KR102651831B1 (ko) | 2021-04-05 | 2024-03-29 | 삼성전기주식회사 | 렌즈 조립체 |
US20220326480A1 (en) * | 2021-04-06 | 2022-10-13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Optical imaging system |
TWI793851B (zh) | 2021-07-16 | 2023-02-21 |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 具有雙通光區域的電子裝置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837942A (zh) * | 2005-03-23 | 2006-09-27 | 三菱电机株式会社 | 摄像装置 |
JP2010134409A (ja) * | 2008-11-06 | 2010-06-17 | Sharp Corp |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並びにカメラモジュールのレンズ位置決め方法 |
US20100328789A1 (en) * | 2009-06-25 | 2010-12-30 |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 Lens module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49994A (ja) | 2004-03-03 | 2005-09-15 | Seiko Precision Inc | レンズモジュール |
JP2006126769A (ja) * | 2004-09-29 | 2006-05-18 | Fuji Photo Film Co Ltd | カメラ |
JP2006284788A (ja) | 2005-03-31 | 2006-10-19 | Fuji Photo Film Co Ltd | 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小型撮像モジュール |
KR100808017B1 (ko) | 2006-08-29 | 2008-02-28 | 삼성전기주식회사 | 카메라모듈 |
TWI312440B (en) * | 2006-09-01 | 2009-07-21 | Altus Technology Inc | Lens module |
US8203647B2 (en) * | 2010-02-11 | 2012-06-19 | Himax Semiconductor, Inc. | Image sensor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JPWO2016067731A1 (ja) * | 2014-10-27 | 2017-07-27 | シャープ株式会社 | カメラモジュール |
TWM502181U (zh) * | 2014-11-19 | 2015-06-01 | Largan Precision Co Ltd | 成像鏡頭模組以及可攜式電子裝置 |
KR20160075085A (ko) * | 2014-12-19 | 2016-06-29 | 삼성전기주식회사 |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JP6645689B2 (ja) * | 2015-09-09 | 2020-02-14 | キヤノン株式会社 | 光学機器 |
KR102570101B1 (ko) * | 2015-12-04 | 2023-08-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TWI636313B (zh) | 2016-05-10 | 2018-09-21 | 台灣東電化股份有限公司 | 鏡頭系統 |
KR102166125B1 (ko) * | 2017-12-05 | 2020-10-15 | 삼성전기주식회사 |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
-
2018
- 2018-03-07 KR KR1020180026906A patent/KR102166125B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8-11-19 CN CN201811372795.3A patent/CN109870867B/zh active Active
- 2018-11-19 CN CN202111027207.4A patent/CN113703255B/zh active Active
- 2018-11-19 CN CN201821901138.9U patent/CN209167769U/zh active Active
-
2020
- 2020-09-21 KR KR1020200121736A patent/KR10243574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09-23 US US17/029,266 patent/US11330159B2/en active Active
-
2022
- 2022-08-18 KR KR1020220103530A patent/KR10262052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837942A (zh) * | 2005-03-23 | 2006-09-27 | 三菱电机株式会社 | 摄像装置 |
JP2010134409A (ja) * | 2008-11-06 | 2010-06-17 | Sharp Corp |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並びにカメラモジュールのレンズ位置決め方法 |
US20100328789A1 (en) * | 2009-06-25 | 2010-12-30 |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 Lens modu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1330159B2 (en) | 2022-05-10 |
CN113703255A (zh) | 2021-11-26 |
KR102620528B1 (ko) | 2024-01-04 |
CN109870867B (zh) | 2021-09-21 |
KR20200112776A (ko) | 2020-10-05 |
CN209167769U (zh) | 2019-07-26 |
KR102166125B1 (ko) | 2020-10-15 |
CN113703255B (zh) | 2023-05-02 |
KR20190066522A (ko) | 2019-06-13 |
CN109870867A (zh) | 2019-06-11 |
US20210006696A1 (en) | 2021-01-07 |
KR20220122570A (ko) | 2022-09-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35746B1 (ko) |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 |
US10834300B2 (en) | Mobile device and lens module | |
KR102261024B1 (ko) | 컴팩트 폴디드 카메라 구조 | |
CN209590376U (zh) | 镜头组件以及相机模块 | |
US20160161699A1 (en) | Lens module | |
JP2017090875A (ja) | レンズモジュール | |
CN111474665A (zh) | 光学镜头、应用该光学镜头的镜头模组及电子装置 | |
JP2020021062A (ja) | レンズモジュール | |
JP6435301B2 (ja) | レンズモジュール | |
US11693205B2 (en) | Plastic lens barrel,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 |
TWI794641B (zh) | 相機模組 | |
US11994736B2 (en) | Imaging lens assembly, image captur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 |
JP6456333B2 (ja) | レンズモジュール | |
KR102527704B1 (ko) | 렌즈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US10386614B2 (en) | Optical apparatus | |
US9843706B2 (en) | Optical apparatus | |
CN102073113A (zh) | 镜头模组 | |
KR102620517B1 (ko) | 카메라 모듈 | |
US20180017755A1 (en) | Lens Module | |
US20180017756A1 (en) | Lens Module | |
JP2022132239A (ja) | 撮像レンズ用鏡筒および撮像レンズ | |
US20240310607A1 (en) | Imaging lens assembly,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 |
KR20210072983A (ko) | 렌즈조립체 및 이것이 포함된 촬상 광학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