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517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517B1
KR102620517B1 KR1020160158216A KR20160158216A KR102620517B1 KR 102620517 B1 KR102620517 B1 KR 102620517B1 KR 1020160158216 A KR1020160158216 A KR 1020160158216A KR 20160158216 A KR20160158216 A KR 20160158216A KR 102620517 B1 KR102620517 B1 KR 102620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barrel
image sensor
camera module
paragraph
len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9070A (ko
Inventor
곽재환
정종엽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8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517B1/ko
Publication of KR20180059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을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며, 이미지 센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 배럴의 하단부에는 반사 광이 발생하지 않도록 도피부가 형성되고, 상기 도피부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모서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통신단말기에 카메라 모듈이 기본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에는 복수의 렌즈가 구비되며, 복수의 렌즈를 통과한 광은 이미지 센서에 집광되어 이미지를 형성하게 된다.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카메라 모듈의 내부로 입사되는 광은 복수의 렌즈를 통과하면서 굴절되는데, 이때 굴절된 광이 카메라 모듈의 렌즈 배럴의 내부면에서 반사될 수가 있으며, 이러한 반사 광이 이미지 센서에 입사될 경우에는 플레어(Flare)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플레어 현상이 발생할 경우에는 촬영된 영상이 부옇게 되거나 둥근 흰 반점이 나타나는 등 촬영된 영상의 품질이 저하된다.
특히, 최근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각 부품의 사이즈가 줄어들고 있고,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내부에서 의도하지 않은 반사 광이 발생하는 빈도가 늘어나고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렌즈를 통과한 광이 렌즈 배럴의 내부면에 반사되어 플레어 현상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을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며, 이미지 센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 배럴의 하단부에는 반사 광이 발생하지 않도록 도피부가 형성되고, 상기 도피부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모서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를 통과한 광이 렌즈 배럴의 내부면에 반사되어 플레어 현상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며, 렌즈 배럴의 내부에서 의도하지 않은 반사 광이 이미지 센서에 입사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3은 렌즈 배럴의 내부에서 의도하지 않은 반사 광에 의해 플레어 현상이 발생되는 위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렌즈 배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렌즈 배럴과 이미지 센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배럴(10), 하우징(20) 및 이미지 센서 모듈(30)을 포함한다.
렌즈 배럴(10)은 하우징(20)에 수용된다.
일 예로, 하우징(2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형상이며, 하우징(20)의 내부 공간에 렌즈 배럴(10)이 수용된다.
하우징(20)의 하부에는 이미지 센서 모듈(30)이 배치된다.
이미지 센서 모듈(30)은 렌즈 배럴(10)을 통해 입사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일 예로, 이미지 센서 모듈(30)은 인쇄회로기판(33), 인쇄회로기판(33)에 연결되는 이미지 센서(31)를 포함할 수 있고, 적외선 필터(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필터(35)는 렌즈 배럴(10)을 통해 입사된 광 중에서 적외선 영역의 광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미지 센서(31)는 렌즈 배럴(10)을 통해 입사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일 예로 이미지 센서(31)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일 수 있다.
이미지 센서(31)에 의해 변환된 전기 신호는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영상으로 출력된다.
이미지 센서(31)는 인쇄회로기판(33)에 고정되며, 와이어 본딩에 의하여 인쇄회로기판(3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렌즈 배럴(10)은 피사체를 촬상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L)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렌즈(L)는 광축을 따라 렌즈 배럴(10)의 내부에 배치된다.
렌즈(L)가 복수 개 배치될 경우, 복수의 렌즈(L)는 각각 그 직경이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렌즈 배럴(10)은 다양한 직경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렌즈(L)를 수용하도록 그 내부면이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렌즈 배럴(10)은 다양한 크기의 내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피사체에 가까운 쪽으로부터 순서대로 5매의 렌즈가 도시되나, 렌즈의 개수에 본 발명의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구현하고자하는 해상도에 따라 5매 미만의 렌즈로 구성되거나 그 이상의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L)는 렌즈 배럴(10)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렌즈(L) 사이에는 렌즈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고, 불필요한 광을 차단하도록 스페이서가 배치된다.
스페이서에는 불필요한 광을 차단할 수 있도록 차광 물질이 코팅되거나 차광 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는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 등의 비철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며, 렌즈 배럴의 내부에서 의도하지 않은 반사 광이 이미지 센서에 입사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렌즈 배럴의 내부에서 의도하지 않은 반사 광에 의해 플레어 현상이 발생되는 위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렌즈 배럴(10)의 내부로 입사되는 광은 복수의 렌즈(L)를 통과하면서 굴절되는데, 이때 굴절된 광이 렌즈 배럴(10)의 내부면에서 반사될 수가 있으며, 이러한 반사 광이 이미지 센서(31)에 입사될 경우에는 플레어(Flare)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플레어 현상이 발생할 경우에는 촬영된 영상이 부옇게 되거나 둥근 흰 반점이 나타나는 등 촬영된 영상의 품질이 저하된다.
특히, 최근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렌즈(L)와 렌즈 배럴(10)의 사이즈가 줄어들고 있고, 이에 따라 렌즈 배럴(10)의 내부에서 의도하지 않은 반사 광이 발생하는 빈도가 늘어나고 있는 문제가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렌즈 배럴(10)의 내부에서 의도하지 않은 반사 광이 발생할 경우, 플레어 현상이 발생되는 위치는 이미지 센서(31)의 모서리부인 B 영역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B 영역은, 이미지 센서(31)의 유효 촬상 영역(31a)의 모서리부에 해당한다.
통상적으로 이미지 센서(31) 및 이미지 센서(31)의 유효 촬상 영역(31a)은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렌즈(L)는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렌즈(L)가 장착되는 렌즈 배럴(10)의 내부는 원통 형상을 갖는다.
이때, 이미지 센서(31)의 모서리부에 대응되는 위치(B 영역)에서 내면 반사에 의한 반사 광이 발생하게 되면, 이러한 반사 광이 이미지 센서(31)에 입사되어 플레어 현상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배럴(10)의 내부면 중 이미지 센서(31)의 모서리부에 대응되는 위치(B 영역)에서 반사 광이 발생되지 않도록 도피부(11)를 구비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렌즈 배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렌즈 배럴과 이미지 센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렌즈 배럴(10)의 하단부에는 반사 광이 발생하지 않도록 도피부(11)가 형성된다. 일 예로, 도피부(11)는 홈 또는 홀의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렌즈 배럴(10)의 하단부에는 볼록한 부분과 오목한 부분이 반복 형성될 수 있고, 오목한 부분이 도피부(11)일 수 있다.
렌즈 배럴(10)의 하단부란 렌즈 배럴(10)에 수용된 복수의 렌즈(L) 중에서 이미지 센서(31)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 렌즈와 이미지 센서(31)의 사이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도피부(11)는 렌즈 배럴(10)에 수용된 복수의 렌즈(L) 중에서 이미지 센서(31)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 렌즈에 인접한 렌즈 배럴(10)의 내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는 렌즈 배럴(10)의 내경이 이미지 센서(31)의 대각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일 예로, 렌즈 배럴(10)의 내경은 이미지 센서(31)의 유효 촬상 영역(31a)의 대각 길이보다 작고, 이미지 센서(31)의 유효 촬상 영역(31a)의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보다는 길 수 있다.
여기서, 도피부(11)는 이미지 센서(31)의 모서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일 예로, 도피부(11)는 이미지 센서(31)의 유효 촬상 영역(31a)의 모서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배럴(10)의 하단부 중 도피부(11)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광을 흡수하는 코팅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렌즈 배럴(10)의 내경은 이미지 센서(31)의 유효 촬상 영역(31a)의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므로, 도피부(11)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서 반사 광이 발생하더라도 이미지 센서(31)의 유효 촬상 영역(31a)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설사, 도피부(11)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서 발생된 반사 광이 이미지 센서(31)의 유효 촬상 영역(31a)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하더라도, 렌즈 배럴(10)의 하단부 중 도피부(11)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는 광을 흡수하는 코팅재가 구비되므로, 결국 렌즈 배럴(10)의 하단부에서 의도하지 않은 내면 반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내면 반사로 인한 플레어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를 통과한 광이 렌즈 배럴(10)의 내부면에 반사되어 플레어 현상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렌즈 배럴
11: 도피부
20: 하우징
30: 이미지 센서 모듈
31: 이미지 센서
31a: 유효 촬상 영역
L: 복수의 렌즈

Claims (10)

  1. 복수의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을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며, 이미지 센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상기 이미지 센서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 렌즈와 상기 이미지 센서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렌즈 배럴의 하단부에는 반사 광이 발생하지 않도록 도피부가 형성되고, 상기 도피부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모서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피부는 홈 또는 홀의 형상인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피부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유효 촬상 영역의 모서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의 내경은 상기 이미지 센서의 대각 길이보다 작은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의 내경은 상기 이미지 센서의 유효 촬상 영역의 대각 길이보다 작은 카메라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의 내경은 상기 이미지 센서의 유효 촬상 영역의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보다 긴 카메라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의 내부면에는 광을 흡수하는 코팅재가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재는 상기 렌즈 배럴의 내부면 중 상기 도피부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피부는 상기 렌즈배럴의 하단부에서 상기 이미지센서와 광축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0. 복수의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을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며, 이미지 센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렌즈 중에서 상기 이미지 센서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 렌즈와 상기 이미지 센서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렌즈 배럴의 하단부에는 볼록한 부분과 오목한 부분이 반복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오목한 부분은 상기 이미지 센서의 모서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KR1020160158216A 2016-11-25 2016-11-25 카메라 모듈 KR102620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216A KR102620517B1 (ko) 2016-11-25 2016-11-25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216A KR102620517B1 (ko) 2016-11-25 2016-11-25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070A KR20180059070A (ko) 2018-06-04
KR102620517B1 true KR102620517B1 (ko) 2024-01-03

Family

ID=62628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216A KR102620517B1 (ko) 2016-11-25 2016-11-25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5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758B1 (ko) * 2020-09-16 2022-10-3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450594B1 (ko) * 2020-10-27 2022-10-07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25826A (ja) * 2011-11-17 2015-02-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レンズ鏡筒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25826A (ja) * 2011-11-17 2015-02-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レンズ鏡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070A (ko) 2018-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1948B2 (en) Camera module facilitating heat dissipation
JP2020035327A (ja) アンダーディスプレイ型指紋認証用センサモジュールおよびアンダーディスプレイ型指紋認証装置
JP4705084B2 (ja) 電子装置
US20140368723A1 (en) Lens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US9392197B2 (en) Camera module
US11281075B2 (en) Camera module including liquid lens
US20190011667A1 (en) Imaging lens element,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KR20190066522A (ko)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KR101504030B1 (ko)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620517B1 (ko) 카메라 모듈
KR101963279B1 (ko)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50124197A (ko) 카메라 모듈
US8243185B2 (en) Lens, lens module and camera module
KR20140023551A (ko) 카메라 모듈
KR20110049242A (ko) 렌즈 모듈
KR20110045791A (ko) 카메라모듈
KR101046745B1 (ko) 카메라 모듈
CN110166593B (zh) 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KR101901709B1 (ko) 카메라모듈
KR100771282B1 (ko) 모바일용 카메라 모듈
US7342220B2 (en) Lens assembly having focal length adjustable by a spacer for obtaining an image of an object
KR101912285B1 (ko) 홍채인식 겸용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KR102362730B1 (ko) 액체 렌즈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20130069055A (ko) 카메라 모듈
KR20110013680A (ko) 렌즈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