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0758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0758B1
KR102460758B1 KR1020200119074A KR20200119074A KR102460758B1 KR 102460758 B1 KR102460758 B1 KR 102460758B1 KR 1020200119074 A KR1020200119074 A KR 1020200119074A KR 20200119074 A KR20200119074 A KR 20200119074A KR 102460758 B1 KR102460758 B1 KR 102460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barrel
lenses
camera module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6628A (ko
Inventor
김진세
양소미
강영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9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0758B1/ko
Priority to US17/226,395 priority patent/US20220082903A1/en
Priority to TW112128938A priority patent/TW202349100A/zh
Priority to TW110114685A priority patent/TWI813982B/zh
Priority to CN202110884473.2A priority patent/CN114265171A/zh
Priority to CN202121798044.5U priority patent/CN215449729U/zh
Publication of KR20220036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6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more than six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4
    • H04N5/2257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내부에 수용된 렌즈를 물체 측에서 지지하는 제1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렌즈 배럴; 및 내부에 수용된 렌즈를 상 측에서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제2렌즈 배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렌즈 배럴 및 상기 제2렌즈 배럴은 돌기 및 홈에 의해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렌즈 배럴로부터 렌즈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은 복수의 렌즈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렌즈 배럴을 포함한다. 렌즈 배럴은 크기가 작은 렌즈부터 렌즈 배럴의 내부공간에 순차적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렌즈 배럴의 내부공간은 일 측으로부터 타 측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크기가 제일 작은 제1렌즈부터 크기가 제일 큰 렌즈까지 순차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렌즈 배럴의 타 측은 제일 큰 렌즈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넓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렌즈들의 이탈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렌즈들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렌즈 배럴의 타 측에 압입링을 끼우거나 접착제를 도포하여 최외각 렌즈를 고정한다. 그러나 렌즈 배럴에 배치되는 렌즈의 매수가 점차 늘어남에 따라 압입링 및 접착제를 통한 렌즈의 고정이 어려워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렌즈의 이탈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렌즈 배럴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내부에 수용된 렌즈를 물체 측에서 지지하는 제1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렌즈 배럴; 및 내부에 수용된 렌즈를 상 측에서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제2렌즈 배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렌즈 배럴 및 상기 제2렌즈 배럴은 돌기 및 홈에 의해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렌즈가 렌즈 배럴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리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3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리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리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리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리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결합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카메라 모듈은 휴대용 전자제품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휴대용 전화기, 노트북 등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용범위가 전술된 전자제품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정면 및 배면에 카메라 모듈의 설치가 가능한 전자장치에 모두 장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제1렌즈 배럴(100), 제2렌즈 배럴(20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카메라 모듈(10)의 구성이 제1렌즈 배럴(100), 제2렌즈 배럴(200)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은 렌즈 배럴(100, 200)을 광축 또는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이미지 센서(900), 이미지 센서(900)가 실장되는 기판(91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 배럴(100)은 대체로 절두형 원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렌즈 배럴(100)의 형상이 절도형 원뿔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배럴(100)은 하나 이상의 렌즈를 수용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제1렌즈 배럴(100)은 일단과 타단의 크기가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배럴(100)의 일단(물체 방향)의 외경(BED1)은 제1렌즈 배럴(100)의 타단(상 측: 이미지 센서 방향)의 외경(BXD1)보다 작을 수 있다. 아울러, 제1렌즈 배럴(100)의 일단의 외경(BED1)은 제1렌즈 배럴(100)의 타단의 내경(BXTD1)보다 작을 수 있다.
제1렌즈 배럴(100)은 카메라 모듈(10)의 광학계를 구성하는 렌즈 군 중 하나 이상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배럴(100)은 제1렌즈 군(300)을 수용할 수 있다. 제1렌즈 군(300)은 다른 렌즈 군보다 물체 측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300)은 물체 측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제1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 군(300)은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300)은 5매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1렌즈 군(300)을 구성하는 렌즈의 매수가 5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300)은 6매 이상의 렌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렌즈 배럴(100)은 복수의 렌즈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배럴(100)의 내부공간(102)은 광축(C)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 배럴(100)은 내부공간(102)에 수용된 렌즈들의 위치를 정렬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배럴(100)의 내부공간(102)에는 수용된 렌즈들을 각각 정렬시키기 위한 단차(130)가 형성될 수 있다. 단차(130)는 제1렌즈 배럴(100)에 수용되는 렌즈 크기 및 렌즈 수에 맞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배럴(100)에 수용되는 제1렌즈 군(300)이 6매 렌즈로 구성되면, 내부공간(102)에 6개의 단차(13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내부공간(102)에 형성되는 단차(130)의 수가 제1렌즈 배럴(100)에 수용되는 렌즈의 매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내부공간(102)의 단차(130)는 제1렌즈 배럴(100)에 수용되는 렌즈와 간격 유지 부재의 수만큼 형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렌즈 배럴(100)에 5매의 렌즈와 2개의 간격 유지 부재가 수용되면, 내부공간(102)에 7개의 단차(130)가 형성될 수 있다.
단차(130)는 제1렌즈 배럴(100)의 일 측에서 타 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차(130)는 제1렌즈 배럴(100)의 일 측(물체 측)으로부터 타 측(상 측: 이미지 센서 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 배럴(100)은 렌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배럴(100)은 내부에 수용된 렌즈가 제1렌즈 배럴(100)의 일 측(물체 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지지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부(110)는 제1렌즈 군(300)의 최전방에 위치한 렌즈(310)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지지부(110)는 렌즈(310)의 플랜지부와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된 단턱, 돌기 형태일 수 있다. 제1지지부(110)는 제1렌즈 배럴(100)의 선단(물체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렌즈 배럴(100)에 수용되는 모든 렌즈들은 제1지지부(110)의 뒤쪽(상 측 방향)에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지지부(110)는 전술된 최전방 렌즈(31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지지부(110)는 제1렌즈(310)의 플랜지부와 접촉하여 제1렌즈(3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지지부(110)는 전술된 최전방 렌즈(310)의 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지지부(110)는 최전방 렌즈(310)의 가장자리와 맞닿도록 형성되어 제1렌즈(310)의 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다.
제1지지부(110)는 빛의 입사를 가능케 하기 위한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제1지지부(110)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의 크기(BD1)는 제1렌즈 군(300)의 최전방 렌즈(물체 측에 가장 가까운 렌즈)의 유효지름(ED1)과 대체로 동일할 수 있다. 제1지지부(110)는 카메라 모듈(10)의 넓은 화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지지부(110)의 일 면(112)은 빛의 입사가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 배럴(100)은 제2렌즈 배럴(200)과 결합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배럴(100)의 타단에는 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홈(120)은 제1렌즈 배럴(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120)은 광축(C)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광축(C)을 중심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홈(120)은 소정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120)의 폭(W1) 및 깊이(DP1)는 홈(120)에 끼워지는 돌기(220)의 두께(W2) 및 높이(DP2)와 대체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렌즈 배럴(200)은 대체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2렌즈 배럴(200)의 형상이 원통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배럴(200)은 하나 이상의 렌즈를 수용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제2렌즈 배럴(200)은 일단과 타단의 크기가 대체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배럴(200)의 일단(물체 방향)의 외경(BED2)은 제2렌즈 배럴(200)의 타단(상 측: 이미지 센서 방향)의 외경(BXD2)과 대체로 동일할 수 있다. 제2렌즈 배럴(200)은 제1렌즈 배럴(100)보다 큰 렌즈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배럴(200)의 최대 내경 또는 일단의 내경(BETD2)은 제1렌즈 배럴(100)의 타단의 내경(BXTD1)보다 클 수 있다.
제2렌즈 배럴(200)은 카메라 모듈(10)의 광학계를 구성하는 렌즈 군 중 나머지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배럴(200)은 제2렌즈 군(400)을 수용할 수 있다. 제2렌즈 군(400)은 제1렌즈 군(300)보다 상 측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군(400)은 상 측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렌즈 군(400)은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군(400)은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2렌즈 군(400)을 구성하는 렌즈의 매수가 1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군(400)은 2매 이상의 렌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2렌즈 군(400)은 대체로 제1렌즈 군(300)보다 큰 렌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군(400)을 구성하는 렌즈의 최대지름은 제1렌즈 군(300)을 구성하는 렌즈의 최대지름보다 클 수 있다.
제2렌즈 배럴(200)은 렌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배럴(200)은 내부에 수용된 렌즈가 제2렌즈 배럴(200)의 일 측(상 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지지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지지부(210)는 제2렌즈 배럴(200)의 내부공간(202)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부(210)는 제2렌즈 배럴(100)의 후단(상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2렌즈 배럴(200)에 수용되는 모든 렌즈들은 제2지지부(210)의 앞쪽(물체 측 방향)에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지지부(210)는 제2렌즈 군(400)의 최후방 렌즈(410)와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지지부(210)는 최후방 렌즈(410)의 플랜지부와 접촉하여 해당 렌즈(410)가 상 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해당 렌즈(410)의 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다. 제2지지부(210)는 플레어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지지부(210)의 내주면은 광축(C)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최후방 렌즈(410)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플레어 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제2렌즈 배럴(200)은 제1렌즈 배럴(100)과 결합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배럴(200)의 일단에는 돌기(220)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220)는 제2렌즈 배럴(2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220)는 광축(C)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광축(C)을 중심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돌기(220)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220)의 두께(W2) 및 높이(DP2)는 홈(120)의 폭(W1) 및 깊이(DP1)와 대체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 배럴(100)과 제2렌즈 배럴(200)은 홈(120)에 끼워지는 돌기(220)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렌즈 배럴(100)과 제2렌즈 배럴(200)은 외부 충격에 의해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제1렌즈 배럴(100)과 제2렌즈 배럴(200)의 더욱 견고한 결합을 위해 홈(120) 또는 돌기(220)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10)은 외부 충격에 의한 렌즈들의 이탈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은 제1렌즈 배럴(100)의 제1지지부(110)와 제2렌즈 배럴(200)의 제2지지부(210)를 통해 하나 이상의 렌즈가 물체 측 또는 상 측으로 이탈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10)은 제1렌즈 배럴(100)과 제2렌즈 배럴(200) 간의 강한 결속을 통해 내부에 수용된 렌즈들의 들뜸, 흔들림, 덜컹거림 등의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렌즈 배럴(100, 200)에 수용된 광학계를 통한 촬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를 설명한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2)은 제1렌즈 배럴(100), 제2렌즈 배럴(200), 간격 유지 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카메라 모듈(12)의 구성이 제1렌즈 배럴(100), 제2렌즈 배럴(200), 간격 유지 부재(500)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2)은 렌즈 배럴(100, 200)을 광축 또는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이미지 센서(900), 이미지 센서(900)가 실장되는 기판(91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 배럴(100)은 대체로 절두형 원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렌즈 배럴(100)의 형상이 절도형 원뿔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배럴(100)은 하나 이상의 렌즈를 수용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제1렌즈 배럴(100)은 일단과 타단의 크기가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배럴(100)의 일단(물체 방향)의 외경(BED1)은 제1렌즈 배럴(100)의 타단(상 측: 이미지 센서 방향)의 외경(BXD1)보다 작을 수 있다. 아울러, 제1렌즈 배럴(100)의 일단의 외경(BED1)은 제1렌즈 배럴(100)의 타단의 내경(BXTD1)보다 작을 수 있다.
제1렌즈 배럴(100)은 카메라 모듈(12)의 광학계를 구성하는 렌즈 군 중 하나 이상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배럴(100)은 제1렌즈 군(300)을 수용할 수 있다. 제1렌즈 군(300)은 다른 렌즈 군보다 물체 측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300)은 물체 측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제1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 군(300)은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300)은 5매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1렌즈 군(300)을 구성하는 렌즈의 매수가 5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300)은 6매 이상의 렌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렌즈 배럴(100)은 복수의 렌즈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배럴(100)의 내부공간(102)은 광축(C)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 배럴(100)은 내부공간(102)에 수용된 렌즈들의 위치를 정렬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배럴(100)의 내부공간(102)에는 수용된 렌즈들을 각각 정렬시키기 위한 단차(130)가 형성될 수 있다. 단차(130)는 제1렌즈 배럴(100)에 수용되는 렌즈 크기 및 렌즈 수에 맞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배럴(100)에 수용되는 제1렌즈 군(300)이 6매 렌즈로 구성되면, 내부공간(102)에 6개의 단차(13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내부공간(102)에 형성되는 단차(130)의 수가 제1렌즈 배럴(100)에 수용되는 렌즈의 매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내부공간(102)의 단차(130)는 제1렌즈 배럴(100)에 수용되는 렌즈와 간격 유지 부재의 수만큼 형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렌즈 배럴(100)에 5매의 렌즈와 2개의 간격 유지 부재가 수용되면, 내부공간(102)에 7개의 단차(130)가 형성될 수 있다.
단차(130)는 제1렌즈 배럴(100)의 일 측에서 타 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차(130)는 제1렌즈 배럴(100)의 일 측(물체 측)으로부터 타 측(상 측: 이미지 센서 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 배럴(100)은 렌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배럴(100)은 내부에 수용된 렌즈가 제1렌즈 배럴(100)의 일 측(물체 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지지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부(110)는 제1렌즈 군(300)의 최전방에 위치한 렌즈(310)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지지부(110)는 렌즈(310)의 플랜지부와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된 단턱, 돌기 형태일 수 있다. 제1지지부(110)는 제1렌즈 배럴(100)의 선단(물체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렌즈 배럴(100)에 수용되는 모든 렌즈들은 제1지지부(110)의 뒤쪽(상 측 방향)에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지지부(110)는 전술된 최전방 렌즈(31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지지부(110)는 제1렌즈(310)의 플랜지부와 접촉하여 제1렌즈(3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지지부(110)는 전술된 최전방 렌즈(310)의 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지지부(110)는 최전방 렌즈(310)의 가장자리와 맞닿도록 형성되어 제1렌즈(310)의 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다.
제1지지부(110)는 빛의 입사를 가능케 하기 위한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제1지지부(110)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의 크기(BD1)는 제1렌즈 군(300)의 최전방 렌즈(물체 측에 가장 가까운 렌즈)의 유효지름(ED1)과 대체로 동일할 수 있다. 제1지지부(110)는 카메라 모듈(12)의 넓은 화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지지부(110)의 일 면(112)은 빛의 입사가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 배럴(100)은 제2렌즈 배럴(200)과 결합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배럴(100)의 타단에는 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홈(120)은 제1렌즈 배럴(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120)은 광축(C)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광축(C)을 중심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홈(120)은 소정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120)의 폭(W1) 및 깊이(DP1)는 홈(120)에 끼워지는 돌기(220)의 두께(W2) 및 높이(DP2)와 대체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렌즈 배럴(200)은 대체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2렌즈 배럴(200)의 형상이 원통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배럴(200)은 하나 이상의 렌즈를 수용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제2렌즈 배럴(200)은 일단과 타단의 크기가 대체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배럴(200)의 일단(물체 방향)의 외경(BED2)은 제2렌즈 배럴(200)의 타단(상 측: 이미지 센서 방향)의 외경(BXD2)과 대체로 동일할 수 있다. 제2렌즈 배럴(200)은 제1렌즈 배럴(100)보다 큰 렌즈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배럴(200)의 최대 내경 또는 일단의 내경(BETD2)은 제1렌즈 배럴(100)의 타단의 내경(BXTD1)보다 클 수 있다.
제2렌즈 배럴(200)은 카메라 모듈(12)의 광학계를 구성하는 렌즈 군 중 나머지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배럴(200)은 제2렌즈 군(400)을 수용할 수 있다. 제2렌즈 군(400)은 제1렌즈 군(300)보다 상 측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군(400)은 상 측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렌즈 군(400)은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군(400)은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2렌즈 군(400)을 구성하는 렌즈의 매수가 1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군(400)은 2매 이상의 렌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2렌즈 군(400)은 대체로 제1렌즈 군(300)보다 큰 렌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군(400)을 구성하는 렌즈의 최대지름은 제1렌즈 군(300)을 구성하는 렌즈의 최대지름보다 클 수 있다.
제2렌즈 배럴(200)은 렌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배럴(200)은 내부에 수용된 렌즈가 제2렌즈 배럴(200)의 일 측(상 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지지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지지부(210)는 제2렌즈 배럴(200)의 내부공간(202)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부(210)는 제2렌즈 배럴(100)의 후단(상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2렌즈 배럴(200)에 수용되는 모든 렌즈들은 제2지지부(210)의 앞쪽(물체 측 방향)에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지지부(210)는 제2렌즈 군(400)의 최후방 렌즈(410)와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지지부(210)는 최후방 렌즈(410)의 플랜지부와 접촉하여 해당 렌즈(410)가 상 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해당 렌즈(410)의 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다. 제2지지부(210)는 플레어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지지부(210)의 내주면은 광축(C)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최후방 렌즈(410)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플레어 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제2렌즈 배럴(200)은 제1렌즈 배럴(100)과 결합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배럴(200)의 일단에는 돌기(220)가 형성될 수 있다. ㄷ돌기(220)는 제2렌즈 배럴(2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220)는 광축(C)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광축(C)을 중심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돌기(220)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220)의 두께(W2) 및 높이(DP2)는 홈(120)의 폭(W1) 및 깊이(DP1)와 대체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간격 유지 부재(500)는 제1렌즈 배럴(100)과 제2렌즈 배럴(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격 유지 부재(500)는 제1렌즈 배럴(100)의 최후방에 배치되는 렌즈(360)와 제2렌즈 배럴(200)의 최전방에 배치되는 렌즈(4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간격 유지 부재(500)는 렌즈와 렌즈 사이의 간격을 광학설계에 따른 크기로 유지시키는 구실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360)와 렌즈(410) 간의 간격은 간격 유지 부재(500)의 두께 변경을 통해 조정될 수 있다. 간격 유지 부재(500)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격 유지 부재(500)의 최대 지름은 제2렌즈 배럴(200)의 최전방에 배치되는 렌즈(410)의 최대 지름보다 클 수 있다. 그러나 간격 유지 부재(500)의 최대 지름이 렌즈(410)의 최대 지름보다 반드시 큰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간격 유지 부재(500)의 최대 지름이 렌즈(410)의 최대 지름보다 작을 수도 있다.
간격 유지 부재(500)는 플레어 현상을 경감시키는 구실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격 유지 부재(500)의 내주면(510)은 광축(C)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렌즈(360)와 렌즈(410) 사이에서 야기될 수 있는 플레어 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간격 유지 부재(500)는 렌즈(360)와 렌즈(410)의 광축을 정렬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격 유지 부재(500) 및 렌즈(360, 410)는 돌기, 홈, 또는 기타 결합구조를 통해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결합 접촉을 통해 상대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다.
제1렌즈 배럴(100)과 제2렌즈 배럴(200)은 홈(120)에 끼워지는 돌기(220)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렌즈 배럴(100)과 제2렌즈 배럴(200)은 외부 충격에 의해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제1렌즈 배럴(100)과 제2렌즈 배럴(200)의 더욱 견고한 결합을 위해 홈(120) 또는 돌기(220)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12)은 외부 충격에 의한 렌즈들의 이탈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은 제1렌즈 배럴(100)의 제1지지부(110)와 제2렌즈 배럴(200)의 제2지지부(210)를 통해 하나 이상의 렌즈가 물체 측 또는 상 측으로 이탈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12)은 제1렌즈 배럴(100)과 제2렌즈 배럴(200) 간의 강한 결속을 통해 내부에 수용된 렌즈들의 들뜸, 흔들림, 덜컹거림 등의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2)은 렌즈 배럴(100, 200)에 수용된 광학계를 통한 촬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2)은 간격 유지 부재(500)를 통해 렌즈들 간의 밀착 접촉 및 렌즈들 간의 광축 정렬이 가능하므로 카메라 모듈(12)의 조립과정에서 야기될 수 있는 불량율을 낮출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4)은 제1렌즈 배럴(100), 제2렌즈 배럴(20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카메라 모듈(14)의 구성이 제1렌즈 배럴(100), 제2렌즈 배럴(200)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4)은 렌즈 배럴(100, 200)을 광축 또는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이미지 센서(900), 이미지 센서(900)가 실장되는 기판(91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14)은 전술된 실시 예에 따른 간격 유지 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 배럴(100)은 대체로 절두형 원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렌즈 배럴(100)의 형상이 절도형 원뿔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배럴(100)은 하나 이상의 렌즈를 수용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제1렌즈 배럴(100)은 일단과 타단의 크기가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배럴(100)의 일단(물체 방향)의 외경(BED1)은 제1렌즈 배럴(100)의 타단(상 측: 이미지 센서 방향)의 외경(BXD1)보다 작을 수 있다. 아울러, 제1렌즈 배럴(100)의 일단의 외경(BED1)은 제1렌즈 배럴(100)의 타단의 내경(BXTD1)보다 작을 수 있다.
제1렌즈 배럴(100)은 카메라 모듈(14)의 광학계를 구성하는 렌즈 군 중 하나 이상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배럴(100)은 제1렌즈 군(300)을 수용할 수 있다. 제1렌즈 군(300)은 다른 렌즈 군보다 물체 측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300)은 물체 측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제1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 군(300)은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300)은 5매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1렌즈 군(300)을 구성하는 렌즈의 매수가 5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300)은 6매 이상의 렌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렌즈 배럴(100)은 복수의 렌즈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배럴(100)의 내부공간(102)은 광축(C)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 배럴(100)은 내부공간(102)에 수용된 렌즈들의 위치를 정렬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배럴(100)의 내부공간(102)에는 수용된 렌즈들을 각각 정렬시키기 위한 단차(130)가 형성될 수 있다. 단차(130)는 제1렌즈 배럴(100)에 수용되는 렌즈 크기 및 렌즈 수에 맞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배럴(100)에 수용되는 제1렌즈 군(300)이 6매 렌즈로 구성되면, 내부공간(102)에 6개의 단차(13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내부공간(102)에 형성되는 단차(130)의 수가 제1렌즈 배럴(100)에 수용되는 렌즈의 매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내부공간(102)의 단차(130)는 제1렌즈 배럴(100)에 수용되는 렌즈와 간격 유지 부재의 수만큼 형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렌즈 배럴(100)에 5매의 렌즈와 2개의 간격 유지 부재가 수용되면, 내부공간(102)에 7개의 단차(130)가 형성될 수 있다.
단차(130)는 제1렌즈 배럴(100)의 일 측에서 타 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차(130)는 제1렌즈 배럴(100)의 일 측(물체 측)으로부터 타 측(상 측: 이미지 센서 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 배럴(100)은 렌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배럴(100)은 내부에 수용된 렌즈가 제1렌즈 배럴(100)의 일 측(물체 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지지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부(110)는 제1렌즈 군(300)의 최전방에 위치한 렌즈(310)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지지부(110)는 렌즈(310)의 플랜지부와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된 단턱, 돌기 형태일 수 있다. 제1지지부(110)는 제1렌즈 배럴(100)의 선단(물체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렌즈 배럴(100)에 수용되는 모든 렌즈들은 제1지지부(110)의 뒤쪽(상 측 방향)에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지지부(110)는 전술된 최전방 렌즈(31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지지부(110)는 제1렌즈(310)의 플랜지부와 접촉하여 제1렌즈(3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지지부(110)는 전술된 최전방 렌즈(310)의 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지지부(110)는 최전방 렌즈(310)의 가장자리와 맞닿도록 형성되어 제1렌즈(310)의 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다.
제1지지부(110)는 빛의 입사를 가능케 하기 위한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제1지지부(110)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의 크기(BD1)는 제1렌즈 군(300)의 최전방 렌즈(물체 측에 가장 가까운 렌즈)의 유효지름(ED1)과 대체로 동일할 수 있다. 제1지지부(110)는 카메라 모듈(14)의 넓은 화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지지부(110)의 일 면(112)은 빛의 입사가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 배럴(100)은 제2렌즈 배럴(200)과 결합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배럴(100)의 타단에는 나사산(122)이 형성된 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홈(120)은 제1렌즈 배럴(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렌즈 배럴(200)은 대체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2렌즈 배럴(200)의 형상이 원통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배럴(200)은 하나 이상의 렌즈를 수용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제2렌즈 배럴(200)은 일단과 타단의 크기가 대체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배럴(200)의 일단(물체 방향)의 외경(BED2)은 제2렌즈 배럴(200)의 타단(상 측: 이미지 센서 방향)의 외경(BXD2)과 대체로 동일할 수 있다. 제2렌즈 배럴(200)은 제1렌즈 배럴(100)보다 큰 렌즈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배럴(200)의 최대 내경 또는 일단의 내경(BETD2)은 제1렌즈 배럴(100)의 타단의 내경(BXTD1)보다 클 수 있다.
제2렌즈 배럴(200)은 카메라 모듈(14)의 광학계를 구성하는 렌즈 군 중 나머지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배럴(200)은 제2렌즈 군(400)을 수용할 수 있다. 제2렌즈 군(400)은 제1렌즈 군(300)보다 상 측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군(400)은 상 측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렌즈 군(400)은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군(400)은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2렌즈 군(400)을 구성하는 렌즈의 매수가 1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군(400)은 2매 이상의 렌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2렌즈 군(400)은 대체로 제1렌즈 군(300)보다 큰 렌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군(400)을 구성하는 렌즈의 최대지름은 제1렌즈 군(300)을 구성하는 렌즈의 최대지름보다 클 수 있다.
제2렌즈 배럴(200)은 렌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배럴(200)은 내부에 수용된 렌즈가 제2렌즈 배럴(200)의 일 측(상 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지지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지지부(210)는 제2렌즈 배럴(200)의 내부공간(202)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부(210)는 제2렌즈 배럴(100)의 후단(상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2렌즈 배럴(200)에 수용되는 모든 렌즈들은 제2지지부(210)의 앞쪽(물체 측 방향)에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지지부(210)는 제2렌즈 군(400)의 최후방 렌즈(410)와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지지부(210)는 최후방 렌즈(410)의 플랜지부와 접촉하여 해당 렌즈(410)가 상 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해당 렌즈(410)의 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다. 제2지지부(210)는 플레어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지지부(210)의 내주면은 광축(C)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최후방 렌즈(410)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플레어 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제2렌즈 배럴(200)은 제1렌즈 배럴(100)과 결합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배럴(200)의 일단에는 나사산(222)이 형성된 돌기(220)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220)는 제2렌즈 배럴(2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 배럴(100)과 제2렌즈 배럴(200)은 홈(120)과 돌기(220) 간의 나사체결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렌즈 배럴(100)과 제2렌즈 배럴(200)은 외부 충격에 의해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14)은 외부 충격에 의한 렌즈들의 이탈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은 제1렌즈 배럴(100)의 제1지지부(110)와 제2렌즈 배럴(200)의 제2지지부(210)를 통해 하나 이상의 렌즈가 물체 측 또는 상 측으로 이탈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14)은 제1렌즈 배럴(100)과 제2렌즈 배럴(200) 간의 강한 결속을 통해 내부에 수용된 렌즈들의 들뜸, 흔들림, 덜컹거림 등의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4)은 렌즈 배럴(100, 200)에 수용된 광학계를 통한 촬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6)은 제1렌즈 배럴(100), 제2렌즈 배럴(200), 간격 유지 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카메라 모듈(16)의 구성이 제1렌즈 배럴(100), 제2렌즈 배럴(200), 간격 유지 부재(500)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6)은 렌즈 배럴(100, 200)을 광축 또는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이미지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 배럴(100)은 대체로 절두형 원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렌즈 배럴(100)의 형상이 절도형 원뿔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배럴(100)은 하나 이상의 렌즈를 수용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제1렌즈 배럴(100)은 일단과 타단의 크기가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배럴(100)의 일단(물체 방향)의 외경(BED1)은 제1렌즈 배럴(100)의 타단(상 측: 이미지 센서 방향)의 외경(BXD1)보다 작을 수 있다. 아울러, 제1렌즈 배럴(100)의 일단의 외경(BED1)은 제1렌즈 배럴(100)의 타단의 내경(BXTD1)보다 작을 수 있다.
제1렌즈 배럴(100)은 카메라 모듈(16)의 광학계를 구성하는 렌즈 군 중 하나 이상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배럴(100)은 제1렌즈 군(300)을 수용할 수 있다. 제1렌즈 군(300)은 다른 렌즈 군보다 물체 측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300)은 물체 측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제1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 군(300)은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300)은 5매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1렌즈 군(300)을 구성하는 렌즈의 매수가 5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300)은 6매 이상의 렌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렌즈 배럴(100)은 복수의 렌즈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배럴(100)의 내부공간(102)은 광축(C)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 배럴(100)은 내부공간(102)에 수용된 렌즈들의 위치를 정렬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배럴(100)의 내부공간(102)에는 수용된 렌즈들을 각각 정렬시키기 위한 단차(130)가 형성될 수 있다. 단차(130)는 제1렌즈 배럴(100)에 수용되는 렌즈 크기 및 렌즈 수에 맞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배럴(100)에 수용되는 제1렌즈 군(300)이 6매 렌즈로 구성되면, 내부공간(102)에 6개의 단차(13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내부공간(102)에 형성되는 단차(130)의 수가 제1렌즈 배럴(100)에 수용되는 렌즈의 매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내부공간(102)의 단차(130)는 제1렌즈 배럴(100)에 수용되는 렌즈와 간격 유지 부재의 수만큼 형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렌즈 배럴(100)에 5매의 렌즈와 2개의 간격 유지 부재가 수용되면, 내부공간(102)에 7개의 단차(130)가 형성될 수 있다.
단차(130)는 제1렌즈 배럴(100)의 일 측에서 타 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차(130)는 제1렌즈 배럴(100)의 일 측(물체 측)으로부터 타 측(상 측: 이미지 센서 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 배럴(100)은 렌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배럴(100)은 내부에 수용된 렌즈가 제1렌즈 배럴(100)의 일 측(물체 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지지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부(110)는 제1렌즈 군(300)의 최전방에 위치한 렌즈(310)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지지부(110)는 렌즈(310)의 플랜지부와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된 단턱, 돌기 형태일 수 있다. 제1지지부(110)는 제1렌즈 배럴(100)의 선단(물체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렌즈 배럴(100)에 수용되는 모든 렌즈들은 제1지지부(110)의 뒤쪽(상 측 방향)에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지지부(110)는 전술된 최전방 렌즈(31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지지부(110)는 제1렌즈(310)의 플랜지부와 접촉하여 제1렌즈(3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지지부(110)는 전술된 최전방 렌즈(310)의 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지지부(110)는 최전방 렌즈(310)의 가장자리와 맞닿도록 형성되어 제1렌즈(310)의 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다.
제1지지부(110)는 빛의 입사를 가능케 하기 위한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제1지지부(110)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의 크기(BD1)는 제1렌즈 군(300)의 최전방 렌즈(물체 측에 가장 가까운 렌즈)의 유효지름(ED1)과 대체로 동일할 수 있다. 제1지지부(110)는 카메라 모듈(16)의 넓은 화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지지부(110)의 일 면(112)은 빛의 입사가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 배럴(100)은 제2렌즈 배럴(200)과 결합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배럴(100)의 타단에는 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홈(120)은 제1렌즈 배럴(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120)은 광축(C)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광축(C)을 중심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홈(120)은 소정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120)의 폭(W1) 및 깊이(DP1)는 홈(120)에 끼워지는 돌기(220)의 두께(W2) 및 높이(DP2)와 대체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 배럴(100)은 제2렌즈 배럴(200)과의 견고한 결합을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배럴(100)의 외주면에는 홈(120)과 연결되는 구멍(240)이 형성될 수 있다. 구멍(240)은 상당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멍(240)은 접착제(800)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구멍(240)은 홈(120)에 접착제(800)를 충전하기 위한 통로로 이용될 수 있다. 구멍(240)을 통해 유입된 접착제(8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120)과 돌리(2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채워질 수 있다.
제2렌즈 배럴(200)은 대체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2렌즈 배럴(200)의 형상이 원통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배럴(200)은 하나 이상의 렌즈를 수용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제2렌즈 배럴(200)은 일단과 타단의 크기가 대체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배럴(200)의 일단(물체 방향)의 외경(BED2)은 제2렌즈 배럴(200)의 타단(상 측: 이미지 센서 방향)의 외경(BXD2)과 대체로 동일할 수 있다. 제2렌즈 배럴(200)은 제1렌즈 배럴(100)보다 큰 렌즈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배럴(200)의 최대 내경 또는 일단의 내경(BETD2)은 제1렌즈 배럴(100)의 타단의 내경(BXTD1)보다 클 수 있다.
제2렌즈 배럴(200)은 카메라 모듈(16)의 광학계를 구성하는 렌즈 군 중 나머지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배럴(200)은 제2렌즈 군(400)을 수용할 수 있다. 제2렌즈 군(400)은 제1렌즈 군(300)보다 상 측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군(400)은 상 측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렌즈 군(400)은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군(400)은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2렌즈 군(400)을 구성하는 렌즈의 매수가 1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군(400)은 2매 이상의 렌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2렌즈 군(400)은 대체로 제1렌즈 군(300)보다 큰 렌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군(400)을 구성하는 렌즈의 최대지름은 제1렌즈 군(300)을 구성하는 렌즈의 최대지름보다 클 수 있다.
제2렌즈 배럴(200)은 렌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배럴(200)은 내부에 수용된 렌즈가 제2렌즈 배럴(200)의 일 측(상 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지지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지지부(210)는 제2렌즈 배럴(200)의 내부공간(202)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부(210)는 제2렌즈 배럴(100)의 후단(상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2렌즈 배럴(200)에 수용되는 모든 렌즈들은 제2지지부(210)의 앞쪽(물체 측 방향)에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지지부(210)는 제2렌즈 군(400)의 최후방 렌즈(410)와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지지부(210)는 최후방 렌즈(410)의 플랜지부와 접촉하여 해당 렌즈(410)가 상 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해당 렌즈(410)의 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다. 제2지지부(210)는 플레어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지지부(210)의 내주면은 광축(C)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최후방 렌즈(410)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플레어 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제2렌즈 배럴(200)은 제1렌즈 배럴(100)과 결합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배럴(200)의 일단에는 돌기(220)가 형성될 수 있다. ㄷ돌기(220)는 제2렌즈 배럴(2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220)는 광축(C)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광축(C)을 중심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돌기(220)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220)의 두께(W2) 및 높이(DP2)는 홈(120)의 폭(W1) 및 깊이(DP1)와 대체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간격 유지 부재(500)는 제1렌즈 배럴(100)과 제2렌즈 배럴(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격 유지 부재(500)는 제1렌즈 배럴(100)의 최후방에 배치되는 렌즈(360)와 제2렌즈 배럴(200)의 최전방에 배치되는 렌즈(4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간격 유지 부재(500)는 렌즈와 렌즈 사이의 간격을 광학설계에 따른 크기로 유지시키는 구실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360)와 렌즈(410) 간의 간격은 간격 유지 부재(500)의 두께 변경을 통해 조정될 수 있다. 간격 유지 부재(500)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격 유지 부재(500)의 최대 지름은 제2렌즈 배럴(200)의 최전방에 배치되는 렌즈(410)의 최대 지름보다 클 수 있다. 그러나 간격 유지 부재(500)의 최대 지름이 렌즈(410)의 최대 지름보다 반드시 큰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간격 유지 부재(500)의 최대 지름이 렌즈(410)의 최대 지름보다 작을 수도 있다.
간격 유지 부재(500)는 플레어 현상을 경감시키는 구실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격 유지 부재(500)의 내주면(510)은 광축(C)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렌즈(360)와 렌즈(410) 사이에서 야기될 수 있는 플레어 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간격 유지 부재(500)는 렌즈(360)와 렌즈(410)의 광축을 정렬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격 유지 부재(500) 및 렌즈(360, 410)는 돌기, 홈, 또는 기타 결합구조를 통해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결합 접촉을 통해 상대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다.
제1렌즈 배럴(100)과 제2렌즈 배럴(200)은 홈(120)에 끼워지는 돌기(220)에 의해 예비적으로 결합한 후 구멍(240)을 통해 주입되는 접착제에 의해 항구적으로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렌즈 배럴(100)과 제2렌즈 배럴(200)의 결합위치는 홈(120)과 돌기(220)에 의해 일시적으로 결합한 상태에서 조정될 수 있다. 이후, 제1렌즈 배럴(100)과 제2렌즈 배럴(200) 간의 결합위치가 오차수준으로 정렬되면, 구멍(240)을 통해 주입되는 접착제를 통해 제1렌즈 배럴(100)과 제2렌즈 배럴(200)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16)은 외부 충격에 의한 렌즈들의 이탈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은 제1렌즈 배럴(100)의 제1지지부(110)와 제2렌즈 배럴(200)의 제2지지부(210)를 통해 하나 이상의 렌즈가 물체 측 또는 상 측으로 이탈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16)은 제1렌즈 배럴(100)과 제2렌즈 배럴(200) 간의 강한 결속을 통해 내부에 수용된 렌즈들의 들뜸, 흔들림, 덜컹거림 등의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6)은 렌즈 배럴(100, 200)에 수용된 광학계를 통한 촬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6)은 렌즈 배럴(100, 200)의 조립이후에도 렌즈 배럴(100, 200) 간의 위치정렬이 가능하므로 고해상도의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8)은 제1렌즈 배럴(100), 제2렌즈 배럴(200), 간격 유지 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카메라 모듈(18)의 구성이 제1렌즈 배럴(100), 제2렌즈 배럴(200), 간격 유지 부재(500)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8)은 렌즈 배럴(100, 200)을 광축 또는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이미지 센서(900), 이미지 센서(900)가 실장되는 기판(91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 배럴(100)은 대체로 절두형 원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렌즈 배럴(100)의 형상이 절도형 원뿔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배럴(100)은 하나 이상의 렌즈를 수용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제1렌즈 배럴(100)은 일단과 타단의 크기가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배럴(100)의 일단(물체 방향)의 외경(BED1)은 제1렌즈 배럴(100)의 타단(상 측: 이미지 센서 방향)의 외경(BXD1)보다 작을 수 있다. 아울러, 제1렌즈 배럴(100)의 일단의 외경(BED1)은 제1렌즈 배럴(100)의 타단의 내경(BXTD1)보다 작을 수 있다.
제1렌즈 배럴(100)은 카메라 모듈(18)의 광학계를 구성하는 렌즈 군 중 하나 이상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배럴(100)은 제1렌즈 군(300)을 수용할 수 있다. 제1렌즈 군(300)은 다른 렌즈 군보다 물체 측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300)은 물체 측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제1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 군(300)은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300)은 5매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1렌즈 군(300)을 구성하는 렌즈의 매수가 5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300)은 6매 이상의 렌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렌즈 배럴(100)은 복수의 렌즈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배럴(100)의 내부공간(102)은 광축(C)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 배럴(100)은 내부공간(102)에 수용된 렌즈들의 위치를 정렬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배럴(100)의 내부공간(102)에는 수용된 렌즈들을 각각 정렬시키기 위한 단차(130)가 형성될 수 있다. 단차(130)는 제1렌즈 배럴(100)에 수용되는 렌즈 크기 및 렌즈 수에 맞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배럴(100)에 수용되는 제1렌즈 군(300)이 6매 렌즈로 구성되면, 내부공간(102)에 6개의 단차(13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내부공간(102)에 형성되는 단차(130)의 수가 제1렌즈 배럴(100)에 수용되는 렌즈의 매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내부공간(102)의 단차(130)는 제1렌즈 배럴(100)에 수용되는 렌즈와 간격 유지 부재의 수만큼 형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렌즈 배럴(100)에 5매의 렌즈와 2개의 간격 유지 부재가 수용되면, 내부공간(102)에 7개의 단차(130)가 형성될 수 있다.
단차(130)는 제1렌즈 배럴(100)의 일 측에서 타 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차(130)는 제1렌즈 배럴(100)의 일 측(물체 측)으로부터 타 측(상 측: 이미지 센서 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 배럴(100)은 렌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배럴(100)은 내부에 수용된 렌즈가 제1렌즈 배럴(100)의 일 측(물체 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지지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부(110)는 제1렌즈 군(300)의 최전방에 위치한 렌즈(310)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지지부(110)는 렌즈(310)의 플랜지부와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된 단턱, 돌기 형태일 수 있다. 제1지지부(110)는 제1렌즈 배럴(100)의 선단(물체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렌즈 배럴(100)에 수용되는 모든 렌즈들은 제1지지부(110)의 뒤쪽(상 측 방향)에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지지부(110)는 전술된 최전방 렌즈(31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지지부(110)는 제1렌즈(310)의 플랜지부와 접촉하여 제1렌즈(3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지지부(110)는 전술된 최전방 렌즈(310)의 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지지부(110)는 최전방 렌즈(310)의 가장자리와 맞닿도록 형성되어 제1렌즈(310)의 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다.
제1지지부(110)는 빛의 입사를 가능케 하기 위한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제1지지부(110)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의 크기(BD1)는 제1렌즈 군(300)의 최전방 렌즈(310)의 유효지름(ED1)과 대체로 동일할 수 있다. 제1지지부(110)는 카메라 모듈(18)의 넓은 화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지지부(110)의 일 면(112)은 빛의 입사가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렌즈 배럴(200)은 대체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2렌즈 배럴(200)의 형상이 원통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배럴(200)은 하나 이상의 렌즈를 수용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제2렌즈 배럴(200)은 일단과 타단의 크기가 대체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배럴(200)의 일단(물체 방향)의 외경(BED2)은 제2렌즈 배럴(200)의 타단(상 측: 이미지 센서 방향)의 외경(BXD2)과 대체로 동일할 수 있다. 제2렌즈 배럴(200)은 제1렌즈 배럴(100)보다 큰 렌즈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배럴(200)의 일단의 내경(BETD2)은 제1렌즈 배럴(100)의 타단의 내경(BXTD1)보다 클 수 있다.
제2렌즈 배럴(200)은 카메라 모듈(18)의 광학계를 구성하는 렌즈 군 중 나머지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배럴(200)은 제2렌즈 군(400)을 수용할 수 있다. 제2렌즈 군(400)은 제1렌즈 군(300)보다 상 측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군(400)은 상 측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렌즈 군(400)은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군(400)은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2렌즈 군(400)을 구성하는 렌즈의 매수가 1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군(400)은 2매 이상의 렌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2렌즈 군(400)은 대체로 제1렌즈 군(300)보다 큰 렌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군(400)을 구성하는 렌즈의 최대지름은 제1렌즈 군(300)을 구성하는 렌즈의 최대지름보다 클 수 있다.
제2렌즈 배럴(200)은 렌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배럴(200)은 내부에 수용된 렌즈가 제2렌즈 배럴(200)의 일 측(상 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지지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지지부(210)는 제2렌즈 배럴(200)의 내부공간(202)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부(210)는 제2렌즈 배럴(200)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부(210)는 제2렌즈 배럴(100)의 후단(상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2렌즈 배럴(200)에 수용되는 모든 렌즈들은 제2지지부(210)의 전방(물체 측 방향)에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지지부(210)는 제2렌즈 군(400)의 최후방 렌즈(410)와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지지부(210)는 최후방 렌즈(410)의 플랜지부와 접촉하여 해당 렌즈(410)가 상 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해당 렌즈(410)의 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다. 제2지지부(210)는 플레어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지지부(210)의 내주면은 광축(C)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최후방 렌즈(410)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플레어 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제2렌즈 배럴(200)은 제1렌즈 배럴(100)과 결합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배럴(200)의 일측에는 제1렌즈 배럴(100)의 후단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250)와 제1렌즈 배럴(100)의 후단과 맞닿는 단턱(260)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250)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부(250)의 내경(BESD2)은 제1렌즈 배럴(100)의 최대 지름 또는 제1렌즈 배럴(100)의 타단의 외경(BXD1) 보다 클 수 있다. 제1렌즈 배럴(100) 또는 제2렌즈 배럴(200)에는 접착제가 주입 및 충전될 수 있는 홈 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배럴(100)의 외주면과 제2렌즈 배럴(200)의 수용부(250) 사이에는 접착제(800)가 주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간격 유지 부재(500)는 제1렌즈 배럴(100)과 제2렌즈 배럴(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격 유지 부재(500)는 제1렌즈 배럴(100)의 최후방에 배치되는 렌즈(360)와 제2렌즈 배럴(200)의 최전방에 배치되는 렌즈(4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간격 유지 부재(500)는 렌즈와 렌즈 사이의 간격을 광학설계에 따른 크기로 유지시키는 구실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360)와 렌즈(410) 간의 간격은 간격 유지 부재(500)의 두께 변경을 통해 조정될 수 있다. 간격 유지 부재(500)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격 유지 부재(500)의 최대 지름은 제2렌즈 배럴(200)의 최전방에 배치되는 렌즈(410)의 최대 지름보다 클 수 있다. 그러나 간격 유지 부재(500)의 최대 지름이 렌즈(410)의 최대 지름보다 반드시 큰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간격 유지 부재(500)의 최대 지름이 렌즈(410)의 최대 지름보다 작을 수도 있다.
간격 유지 부재(500)는 플레어 현상을 경감시키는 구실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격 유지 부재(500)의 내주면(510)은 광축(C)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렌즈(360)와 렌즈(410) 사이에서 야기될 수 있는 플레어 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간격 유지 부재(500)는 렌즈(360)와 렌즈(410)의 광축을 정렬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격 유지 부재(500) 및 렌즈(360, 410)는 돌기, 홈, 또는 기타 결합구조를 통해 상호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결합 접촉을 통해 상대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18)은 외부 충격에 의한 렌즈들의 이탈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은 제1렌즈 배럴(100)의 제1지지부(110)와 제2렌즈 배럴(200)의 제2지지부(210)를 통해 하나 이상의 렌즈가 물체 측 또는 상 측으로 이탈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18)은 제1렌즈 배럴(100)과 제2렌즈 배럴(200) 간의 견고한 결속을 통해 내부에 수용된 렌즈들의 들뜸, 흔들림, 덜컹거림 등의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8)은 렌즈 배럴(100, 200)에 수용된 광학계를 통한 촬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된 실시형태에 기재된 다양한 특징사항은 그와 반대되는 설명이 명시적으로 기재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 결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10 카메라 모듈
100 제1렌즈 배럴
110 제1지지부
120 홈
130 단차
200 제2렌즈 배럴
210 제2지지부
220 돌기
300 제1렌즈 군
400 제2렌즈 군
500 간격 유지 부재
510 경사면

Claims (17)

  1. 내부에 수용된 렌즈를 물체 측에서 지지하는 제1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렌즈 배럴;
    내부에 수용된 렌즈를 상 측에서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제2렌즈 배럴; 및
    상기 제1렌즈 배럴에 수용된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 배럴에 수용된 제2렌즈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렌즈 및 상기 제2렌즈에 각각 접촉되는 간격 유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렌즈 배럴 및 상기 제2렌즈 배럴은 돌기 및 홈에 의해 결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홈의 깊이 및 폭은 상기 홈에 삽입되는 상기 돌기의 높이 및 폭보다 길게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 배럴에 배치되는 제1렌즈 군; 및
    상기 제2렌즈 배럴에 배치되는 제2렌즈 군;
    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 군은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 군을 구성하는 렌즈의 최대 지름은 상기 제2렌즈 군을 구성하는 렌즈의 최대 지름보다 작은 카메라 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 배럴의 제1수용 공간에는 상기 제1렌즈 군의 렌즈를 지지하기 위한 단차가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 부재의 최대 지름은 상기 제2렌즈의 최대 지름보다 큰 카메라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및 홈 사이에는 접착제가 충전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및 홈에는 나사 체결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0. 내부에 수용된 렌즈를 물체 측에서 지지하는 제1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렌즈 배럴;
    내부에 수용된 렌즈를 상 측에서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제2렌즈 배럴; 및
    상기 제1렌즈 배럴에 수용된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 배럴에 수용된 제2렌즈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렌즈 및 상기 제2렌즈에 각각 접촉되는 간격 유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렌즈 배럴은 상기 제2렌즈 배럴의 내부에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렌즈 배럴의 최대 지름은 상기 제2렌즈 배럴의 최대 지름보다 작으며,
    상기 제1 렌즈 배럴의 외주면과 상기 제2 렌즈 배럴의 내주면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 배럴에 배치되는 제1렌즈 군; 및
    상기 제2렌즈 배럴에 배치되는 제2렌즈 군;
    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 군을 구성하는 렌즈의 최대 지름은 상기 제2렌즈 군을 구성하는 렌즈의 최대 지름보다 작은 카메라 모듈.
  13. 삭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 부재의 내주면은 경사를 갖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모듈.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제2렌즈 배럴의 내주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 배럴의 외주면과 상기 제2렌즈 배럴의 내주면 사이에는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7. 삭제
KR1020200119074A 2020-09-16 2020-09-16 카메라 모듈 KR102460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074A KR102460758B1 (ko) 2020-09-16 2020-09-16 카메라 모듈
US17/226,395 US20220082903A1 (en) 2020-09-16 2021-04-09 Camera module
TW112128938A TW202349100A (zh) 2020-09-16 2021-04-23 相機模組及電子裝置
TW110114685A TWI813982B (zh) 2020-09-16 2021-04-23 相機模組及電子裝置
CN202110884473.2A CN114265171A (zh) 2020-09-16 2021-08-03 相机模块及包括相机模块的电子设备
CN202121798044.5U CN215449729U (zh) 2020-09-16 2021-08-03 相机模块及包括相机模块的电子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074A KR102460758B1 (ko) 2020-09-16 2020-09-16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628A KR20220036628A (ko) 2022-03-23
KR102460758B1 true KR102460758B1 (ko) 2022-10-31

Family

ID=79691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074A KR102460758B1 (ko) 2020-09-16 2020-09-16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082903A1 (ko)
KR (1) KR102460758B1 (ko)
CN (2) CN114265171A (ko)
TW (2) TWI8139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758B1 (ko) * 2020-09-16 2022-10-3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475B1 (ko) * 2007-05-14 2008-07-0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패키지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68848C (zh) * 2004-11-16 2008-02-13 亚洲光学股份有限公司 光学镜头及其组装方法
US7311453B2 (en) * 2005-12-19 2007-12-25 Largan Precision Co., Ltd. Lens tube and mounting base thereof
CN101025444A (zh) * 2006-02-17 2007-08-2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数码相机模组及便携式电子装置
KR20160034766A (ko) * 2014-09-22 2016-03-30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모듈
KR20160068508A (ko) * 2014-12-05 2016-06-15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모듈
KR102620517B1 (ko) * 2016-11-25 2024-01-0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2020511698A (ja) * 2017-03-24 2020-04-16 ▲寧▼波舜宇光▲電▼信息有限公司 スプリットレンズと撮像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CN108627939A (zh) * 2017-03-24 2018-10-09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分体式镜头和摄像模组以及电子设备
JP6454754B2 (ja) * 2017-05-12 2019-01-16 マクセル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
JP7108641B2 (ja) * 2017-06-16 2022-07-28 ▲寧▼波舜宇光▲電▼信息有限公司 マルチグループレンズと撮像モジュール及びその電子機器
CN208638454U (zh) * 2018-08-08 2019-03-22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镜头模组
WO2021000128A1 (zh) * 2019-06-29 2021-01-07 瑞声光学解决方案私人有限公司 镜头模组
JP2021157150A (ja) * 2020-03-30 2021-10-07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
KR102460758B1 (ko) * 2020-09-16 2022-10-3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475B1 (ko) * 2007-05-14 2008-07-0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패키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349100A (zh) 2023-12-16
TW202212955A (zh) 2022-04-01
US20220082903A1 (en) 2022-03-17
TWI813982B (zh) 2023-09-01
CN114265171A (zh) 2022-04-01
CN215449729U (zh) 2022-01-07
KR20220036628A (ko) 202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71842A1 (en) Integrated image sensor and lens assembly
US9904031B2 (en) Lens module
US8253839B2 (en) Lens assembly and camera module having same
US20090015945A1 (en) Lens unit provided with an engaging structure and a lens module incorporating the same
US20200285029A1 (en) Imaging lens and camera module
US11700440B2 (en) Integrated sensor and lens assembly with post-tuning optical alignment
US9128265B2 (en) Lens assembly and optical system including the same
US7880984B2 (en) Lens module
KR102460758B1 (ko) 카메라 모듈
US8248717B2 (en) Camera module
US7636208B2 (en) Lens module
US8248719B2 (en) Camera module
US7417805B2 (en) Camera device
US20100290137A1 (en) Lens module
CN1387065A (zh) 具有使光学器件轴向定位的弹性部件的透镜系统
US8248718B2 (en) Lens module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JP2016051076A (ja)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US20110075277A1 (en) Camera module
US8351140B2 (en) Lens barrel and lens module
US8254043B2 (en) Barrel and lens module with same
US7573657B2 (en) Lens module
US8235608B2 (en) Camera module
KR101453006B1 (ko) 카메라 모듈
US20220128888A1 (en) Camera module
TWI391775B (zh) 鏡頭模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