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5706B1 - 부정출입방지 게이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부정출입 감지방법 - Google Patents

부정출입방지 게이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부정출입 감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5706B1
KR102435706B1 KR1020210181994A KR20210181994A KR102435706B1 KR 102435706 B1 KR102435706 B1 KR 102435706B1 KR 1020210181994 A KR1020210181994 A KR 1020210181994A KR 20210181994 A KR20210181994 A KR 20210181994A KR 102435706 B1 KR102435706 B1 KR 102435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cupant
unit
opening
gat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1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기
Original Assignee
김병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기 filed Critical 김병기
Priority to KR1020210181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57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부정출입방지 게이트 시스템는, 건물의 출입구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출입통로가 확보되도록 하며,상기 출입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부(14)가 구비된 게이트(10); 상기 게이트(10)의 길이방향 양단 부위에 각각 설치되며, 보안을 위한 출입자를 인식하여 상기 개폐부(14)를 개폐되도록 하는 출입자 인식부(20); 상기 게이트(10)에 설치되며 상기 출입자 인식부(20)에 의한 인식여부에 따라 상기 개폐부(14)의 개폐를 구동시키는 개폐부 구동부(30); 상기 게이트(10)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되며 상기 출입통로를 통해 출입하는 출입자를 감지하는 출입자 감지센서(40); 상기 게이트(10)에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 구동부(30)의 개폐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 상기 제어부(50)에 구비되며 상기 출입자 인식부(20)에 의한 출입자 인식 후 상기 출입자 감지센서(40)에 의한 감지여부신호를 전달하는 릴레이부(60); 상기 출입자 인식부(20)에 의한 출입자 정보와 상기 릴레이부(60)에 의해 전달된 상기 출입자 감지센서(40)에 의한 감지여부신호 정보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70); 상기 데이터 전송부(70)에 의해 전송된 출입자 정보와 상기 출입자 감지센서(40)의 감지여부신호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부정출입방지 게이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부정출입 감지방법{Gate System for Preventing from Anti-passing and Anti-passing Detecting Method using it}
본 발명은 출입을 위한 출입자 인식부를 거친 후에 출입자가 출입을 하지 않는 부정출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부정출입방지 게이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부정출입 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출입통제를 하기 위한 게이트는, 출입 카드, 지문 인식 등의 출입자 인식을 위한 출입자 인식부가 설치되어 출입자 인식 후에 출입자의 입출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출입통제를 하기 위한 게이트는, 주로 보안이 주목적으로, 출입자의 인식여부에 따라 출입을 잠금장치 등을 통하여 허가 또는 불가되도록 함으로써 출입을 통제하도록 한다.
또한, 출입통제를 하기 위한 게이트는, 보안목적 이외에 출퇴근 기록 등 다양한 목적으로도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출입자 인식 후에 출입하지 않는 등의 부정출입을 이용하여 출퇴근 기록을 조작하는 악용사례도 있다.
부정출입의 일예로는, 입구쪽 출입자 인식부에 인식한 후에 진입하지 않고 소정시간이 지난 후에 입구쪽에서 출구쪽 출입자 인식부에 인식하는 것이 있다. 이렇게 되면 해당 출입자는 입구쪽 출입자 인식부에 인식후 진입한 상태에서 소정시간이 지난 후에 출구쪽 출입자 인식부에 인식후 진출한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이러한 부정출입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부정출입이 되는 것을 감지하도록 하는 방법이나, 부정출입이 감지되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CCD 카메라를 이용하는 부정출입 감지방법은 부정출입을 확인하는데 많은 시간을 요하므로 실효성이 적으며,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방법은 부정출입이 감지되는 시점에는 경각심을 일으킴으로써 유용할 수 있으나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정출입의 확인이 용이하고, 부정출입 확인대조 작업이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부정출입방지 게이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부정출입 감지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정출입방지 게이트 시스템은, 건물의 출입구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출입통로가 확보되도록 하며,상기 출입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부(14)가 구비된 게이트(10); 상기 게이트(10)의 길이방향 양단 부위에 각각 설치되며, 보안을 위한 출입자를 인식하여 상기 개폐부(14)를 개폐되도록 하는 출입자 인식부(20); 상기 게이트(10)에 설치되며 상기 출입자 인식부(20)에 의한 인식여부에 따라 상기 개폐부(14)의 개폐를 구동시키는 개폐부 구동부(30); 상기 게이트(10)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되며 상기 출입통로를 통해 출입하는 출입자를 감지하는 출입자 감지센서(40); 상기 게이트(10)에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 구동부(30)의 개폐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 상기 제어부(50)에 구비되며 상기 출입자 인식부(20)에 의한 출입자 인식 후 상기 출입자 감지센서(40)에 의한 감지여부신호를 전달하는 릴레이부(60); 상기 출입자 인식부(20)에 의한 출입자 정보와 상기 릴레이부(60)에 의해 전달된 상기 출입자 감지센서(40)에 의한 감지여부신호 정보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70); 상기 데이터 전송부(70)에 의해 전송된 출입자 정보와 상기 출입자 감지센서(40)의 감지여부신호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서버(80)에 저장되는 정보에는, 상기 릴레이부(60)에 의해 전달된 상기 출입자 감지센서(40)에 의한 감지여부신호 정보에 해당되는 시간정보와, 상기 출입자 인식부(20)에 의해 출입자 인식에 상응하는 출입자의 출입방향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정출입 방지방법은, 건물의 출입구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출입통로가 확보된 게이트(10)의 길이방향 양단 부위에 각각 설치되며, 보안을 위한 출입자를 인식하는 출입자 인식부(20)에 의해 출입자가 인식되면 상기 출입자 인식부(20)에 의한 인식여부에 따라 상기 출입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부(14)가 개폐되는 출입통로 개폐단계(S10); 상기 출입통로의 개폐 후 상기 게이트(10)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되는 출입자 감지센서(40)에 의해 상기 출입통로를 통해 출입하는 출입자를 감지하는 출입자 감지단계(S20); 상기 출입자 감지센서(40)에 의한 출입자 감지시 릴레이부(60)에 의해 상기 출입자 감지센서(40)에 의한 감지여부신호를 전달하는 감지여부신호 전달단계(S30); 상기 출입자 인식부(20)에 의한 출입자 정보와 상기 릴레이부(60)에 의해 전달된 상기 출입자 감지센서(40)에 의한 감지여부신호 정보를 데이터 전송부(70)에 의해 서버(80)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단계(S40); 상기 서버(80)로 전송된 출입자 정보와 상기 출입자 감지센서(40)의 감지여부신호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데이터 전송단계(S40)시 및 상기 데이터 저장단계(S50)시, 상기 서버(80)에 저장되는 정보에는, 상기 릴레이부(60)에 의해 전달된 상기 출입자 감지센서(40)에 의한 감지여부신호 정보에 해당되는 시간정보와, 상기 출입자 인식부(20)에 의해 출입자 인식에 상응하는 출입자의 출입방향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부정출입방지 게이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부정출입 감지방법은, 부정출입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정출입이 발생된 시간 및 부정출입자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일일이 확인대조 작업을 수행하는 종래의 방법과는 달리, 부정출입 확인대조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확인대조 작업을 위한 인력감소를 가져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부정출입방지 게이트 시스템의 게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부정출입방지 게이트 시스템의 게이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부정출입방지 게이트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부정출입방지 게이트 시스템을 이용한 부정출입 방지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부정출입방지 게이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부정출입 감지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부정출입방지 게이트 시스템의 게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부정출입방지 게이트 시스템의 게이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부정출입방지 게이트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부정출입방지 게이트 시스템은,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10), 출입자 인식부(20), 개폐부(14), 출입자 감지센서(40), 제어부(50), 릴레이부(60), 데이터 전송부(70) 및 서버(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게이트(10)는, 공지된 것으로, 출입자가 출입하는 출입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부(14)의 구동방식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랩의 좌우 회동 또는 좌우 이동에 의해 개폐하는 플랩게이트, 개폐판의 회동에 의해 개폐되는 스윙게이트 등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상기 게이트(10)가 플랩의 좌우 회동에 의해 개폐하는 플랩게이트를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게이트(10)는,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되며, 출입통로가 확보되도록 좌우 양측에 이격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진 본체(11)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건물은 비구매상품의 반출을 제한하기 위한 쇼핑센터나 마트, 여권소지자의 통행제한을 위한 공항, 보안을 요하는 공공기관, 티켓소지자의 출입제한을 위한 지하철 역사 등을 일컫는다.
상기 본체(11)는 출입통로의 개수에 따라 달라지나, 통상 출입통로의 개수가 N 개이면 상기 본체(11)의 개수는 N+1 개로 된다. 즉, 최외곽에 위치한 본체(11)를 제외한 중간에 위치한 본체(11)는 좌우 2개의 출입통로에 공통으로 사용한다.
상기 본체(11)의 상부 일측과 타측에는 통행자의 진입방향을 표시하는 진입방향 표시부(12)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1)의 일측단부의 정면과 타측단부의 후면에는 통행자의 진입금지를 표시하는 진입금지 표시부(1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에는 출입통로를 개폐하며, 플랩으로 이루어지는 개폐부(14)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11)에는 상기 플랩이 고정되며 출입통로가 개폐되도록 회동되어 상기 플랩(flap)이 회동되도록 하는 회동축(15)이 구비된다.
상기 회동축(15)은, 상기 좌우 한쌍의 본체(11)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본체(11)가 서로 마주보는 측면 중간부위에 직립설치되며,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진다.
최외곽에 위치한 본체(11)에는 출입통로와 인접한 일측, 즉, 내측에 회동축(15)이 설치되고, 중간에 위치한 본체(11)에는 좌우 출입통로와 인접한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회동축(15)이 설치된다.
상기 출입자 인식부(20)는, 상기 게이트(10)의 길이방향 양단 부위에 각각 설치되며, 보안을 위한 출입자를 인식하여 상기 개폐부(14)를 개폐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게이트(10)의 본체(11)에는 상기 회동축(15)을 회동시켜 개폐부(14)를 구동시키기 위한 개폐부 구동부(30)가 구비된다. 상기 개폐부 구동부(30)는 통상 모터를 이용한다.
상기 개폐부 구동부(30)는, 상기 게이트(10)의 본체(11)에 설치되며, 상기 출입자 인식부(20)에 의한 인식여부에 따라 상기 개폐부(14)의 개폐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출입자 감지센서(40)는, 상기 게이트(10)의 본체(11)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되며 상기 출입통로를 통해 출입하는 출입자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50)(도 3 및 도 4 참조)는, 상기 게이트(10)의 본체(11)에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 구동부(30)의 개폐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릴레이부(60)(도 3 및 도 4 참조)는, 상기 제어부(50)에 구비되며 상기 출입자 인식부(20)에 의한 출입자 인식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출입자 감지센서(40)에 의한 감지여부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일정시간은, 상기 출입자 인식부(20)에 의한 출입자 인식 후 출입자가 출입통로를 통과하는데 걸리는 시간으로 임의로 정하여 세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입자 인식부(20)에 의한 출입자 인식 후, 출입자의 출입통로 통과 여부에 관계없이, 다른 출입자가 출입을 위하여 상기 출입자 인식부(20)에 출입자 인식을 하기 전까지의 시간으로 세팅할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 전송부(70)(도 3 및 도 4 참조)는, 상기 출입자 인식부(20)에 의한 출입자 정보와 상기 릴레이부(60)에 의해 전달된 상기 출입자 감지센서(40)에 의한 감지여부신호 정보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서버(80)(도 3 참조)는, 상기 데이터 전송부(70)에 의해 전송된 출입자 정보와 상기 출입자 감지센서(40)의 감지여부신호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출입자 인식부(20)에 의해 출입자의 출입이 인식되고, 인식 후 상기 출입자 감지센서(40)에 의해 출입자가 감지되지 않으면, 릴레이부(60)의 신호에 의해 상기 출입자 감지센서(40)에 의한 감지여부신호 정보를 서버(80)에 전송하여 저장함으로써 부정출입을 인식하도록 하여 부정출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서버(80)는 게이트(10)가 복수개인 경우에, 각각의 게이트(10)에서 발생되는 부정출입에 대한 정보를 저장되도록 하여 각각의 게이트(10)의 부정출입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서버(80)에 저장되는 정보에는, 상기 릴레이부(60)에 의해 전달된 상기 출입자 감지센서(40)에 의한 감지여부신호 정보에 해당되는 시간정보와, 상기 출입자 인식부(20)에 의해 출입자 인식에 상응하는 출입자의 출입방향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보안이 요구되는 출입구에는 게이트와 함께 폐쇄회로(CCD) 등을 설치하여 출입자에 대한 영상을 녹화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 서버(80)에 저장되는 정보에, 상기 릴레이부(60)에 의해 전달된 상기 출입자 감지센서(40)에 의한 감지여부신호 정보에 해당되는 시간정보와, 상기 출입자 인식부(20)에 의해 출입자 인식에 상응하는 출입자의 출입방향정보가 포함되게 되면, 출입자의 부정출입에 대한 시간과 출입자의 출입방향을 이용하여, 출입자의 부정출입이 행해진 시간에 해당하는 녹화영상을 대조할 수 있어 부정출입에 대한 확인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부정출입에 대한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시간의 부정출입에 대한 영상확인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영상확인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게이트(10)가 복수개인 경우에, 상기 서버(80)는 각각의 게이트(10)에서 발생되는 부정출입에 대한 게이트 정보도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게이트(10)에 구비되며, 상기 출입자 인식부(20)에 의한 출입자 미인식시 상기 출입자 감지센서(40)에 의해 통행자의 출입이 감지되면 통행자에게 출입자 미인식 안내방송을 출력되도록 하는 음성출력부(미도시됨)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출입자 미인식 안내방송은, 예를 들어, 출입카드 태그, 지문인식, 안면인식 등 여러 가지 형태의 음성출력형태로 될 수 있다. 또한, 출입자 미인식시 상기 출입감지센서(70)에 의해 통행자의 출입이 반복되어 감지되는 경우에는 관리자에게 문의하라는 음성출력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출력부는, 출입자 인식이 완료되고 상기 출입자 감지센서(40)에 의해 통행자의 출입이 감지되면 통행자에게 출입자 통행 안내방송을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출입자 인식부(20)에 의해 출입자의 출입이 인식되고, 인식 후 상기 출입자 감지센서(40)에 의해 일정시간동안 출입자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릴레이부(60)의 신호에 의해 상기 출입자 감지센서(40)에 의한 감지여부신호 정보를 서버(80)에 전송하여 저장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음성출력부는, 부정출입방송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서버(80)는, 상기 출입자 감지센서(40)에 의해 출입자의 통행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관리자에게 부정출입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가 휴대하는 휴대폰과 같은 단말기(90)(도 4 참조)로 통신을 통해 전송하여 알리도록 하여 부정출입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부정출입방지 게이트 시스템를 이용한 부정출입 방지를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이 방법으로 수행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부정출입방지 게이트 시스템을 이용한 부정출입 방지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의 부정출입 방지방법은, 출입통로 개폐단계(S10), 출입자 감지단계(S20), 감지여부신호 전달단계(S30), 데이터 전송단계(S40) 및 데이터 저장단계(S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출입통로 개폐단계(S10)는, 건물의 출입구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출입통로가 확보된 게이트(10)의 길이방향 양단 부위에 각각 설치되며, 보안을 위한 출입자를 인식하는 출입자 인식부(20)에 의해 출입자가 인식되면, 상기 출입자 인식부(20)에 의한 인식여부에 따라 상기 출입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부(14)가 개폐되도록 한다.
상기 출입자 감지단계(S20)는, 상기 출입통로의 개폐 후 상기 게이트(10)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되는 출입자 감지센서(40)에 의해 상기 출입통로를 통해 출입하는 출입자를 감지하도록 한다.
상기 감지여부신호 전달단계(S30)는, 상기 출입자 감지센서(40)에 의한 출입자 감지시 릴레이부(60)에 의해 상기 출입자 감지센서(40)에 의한 감지여부신호를 전달하도록 한다.
상기 데이터 전송단계(S40)는, 상기 출입자 인식부(20)에 의한 출입자 정보와 상기 릴레이부(60)에 의해 전달된 상기 출입자 감지센서(40)에 의한 감지여부신호 정보를 데이터 전송부(70)에 의해 서버(80)로 전송하도록 한다.
상기 데이터 저장단계(S50)는, 상기 서버(80)로 전송된 출입자 정보와 상기 출입자 감지센서(40)의 감지여부신호 정보를 저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부정출입 방지방법은, 상기 출입자 인식부(20)에 의해 출입자의 출입이 인식되고, 인식 후 상기 출입자 감지센서(40)에 의해 출입자가 감지되지 않으면, 릴레이부(60)의 신호에 의해 상기 출입자 감지센서(40)에 의한 감지여부신호 정보를 서버(80)에 전송하여 저장함으로써 부정출입을 인식하도록 하여 부정출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데이터 전송단계(S40)시 및 상기 데이터 저장단계(S50)시, 상기 서버(80)에 저장되는 정보에는, 상기 릴레이부(60)에 의해 전달된 상기 출입자 감지센서(40)에 의한 감지여부신호 정보에 해당되는 시간정보와, 상기 출입자 인식부(20)에 의해 출입자 인식에 상응하는 출입자의 출입방향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서버(80)에 저장되는 정보에, 상기 릴레이부(60)에 의해 전달된 상기 출입자 감지센서(40)에 의한 감지여부신호 정보에 해당되는 시간정보와, 상기 출입자 인식부(20)에 의해 출입자 인식에 상응하는 출입자의 출입방향정보가 포함되게 되면, 출입자의 부정출입에 대한 시간과 출입자의 출입방향을 이용하여, 해당 시간의 부정출입에 대한 영상확인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영상확인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전송단계(S40)시 및 상기 데이터 저장단계(S50)시, 상기 서버(80)에 저장되는 정보에는, 상기 릴레이부(60)에 의해 전달된 상기 출입자 감지센서(40)에 의한 감지여부신호 정보에 해당되는 시간정보와, 상기 출입자 인식부(20)에 의해 출입자 인식에 상응하는 출입자의 출입방향정보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감지여부신호 전달단계(S30)시, 음성출력부에 의해 부정출입방송을 출력하는 부정출입 음성출력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 : 게이트 11 : 본체
12 : 진입방향 표시부 13 : 진입금지 표시부
14 : 개폐부 15 : 회동축
20 : 출입자 인식부 30 : 개폐부 구동부
40 : 출입자 감지센서 50 : 제어부
60 : 릴레이부 70 : 데이터 전송부
80 : 서버 90 : 단말기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건물의 출입구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출입통로가 확보된 게이트(10)의 길이방향 양단 부위에 각각 설치되며, 보안을 위한 출입자를 인식하는 출입자 인식부(20)에 의해 출입자가 인식되면 상기 출입자 인식부(20)에 의한 인식여부에 따라 상기 출입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부(14)가 개폐되는 출입통로 개폐단계(S10);
    상기 출입통로의 개폐 후 상기 게이트(10)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되는 출입자 감지센서(40)에 의해 상기 출입통로를 통해 출입하는 출입자를 감지하는 출입자 감지단계(S20);
    상기 출입자 감지센서(40)에 의한 출입자 감지시 릴레이부(60)에 의해 상기 출입자 감지센서(40)에 의한 감지여부신호를 전달하는 감지여부신호 전달단계(S30);
    상기 출입자 인식부(20)에 의한 출입자 정보와 상기 릴레이부(60)에 의해 전달된 상기 출입자 감지센서(40)에 의한 감지여부신호 정보를 데이터 전송부(70)에 의해 서버(80)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단계(S40);
    상기 서버(80)로 전송된 출입자 정보와 상기 출입자 감지센서(40)의 감지여부신호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단계(S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데이터 전송단계(S40)시 및 상기 데이터 저장단계(S50)시, 상기 서버(80)에 저장되는 정보에는, 상기 릴레이부(60)에 의해 전달된 상기 출입자 감지센서(40)에 의한 감지여부신호 정보에 해당되는 시간정보와, 상기 출입자 인식부(20)에 의해 출입자 인식에 상응하는 출입자의 출입방향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출입자 인식부(20)에 의한 출입자 미인식시 상기 출입자 감지센서(40)에 의해 통행자의 출입이 감지되면 통행자에게 출입자 미인식 안내방송을 출력되도록 하며, 출입자 인식이 완료되고 상기 출입자 감지센서(40)에 의해 통행자의 출입이 감지되면 통행자에게 출입자 통행 안내방송을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출입자 인식부(20)에 의해 출입자의 출입이 인식되고, 인식 후 상기 출입자 감지센서(40)에 의해 일정시간동안 출입자가 감지되지 않으면, 부정출입방송을 출력하도록 하는 음성출력단계;와,
    상기 데이터 전송단계(S40)시 및 상기 데이터 저장단계(S50)시, 상기 서버(80)에 저장되는 출입자의 부정출입에 대한 시간정보와 출입자의 출입방향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시간의 부정출입에 대한 영상을 확인하는 영상확인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출입 방지방법.
  4. 삭제
KR1020210181994A 2021-12-17 2021-12-17 부정출입방지 게이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부정출입 감지방법 KR102435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994A KR102435706B1 (ko) 2021-12-17 2021-12-17 부정출입방지 게이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부정출입 감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994A KR102435706B1 (ko) 2021-12-17 2021-12-17 부정출입방지 게이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부정출입 감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5706B1 true KR102435706B1 (ko) 2022-08-23

Family

ID=83092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1994A KR102435706B1 (ko) 2021-12-17 2021-12-17 부정출입방지 게이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부정출입 감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570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9059A (ja) * 2007-10-18 2009-05-07 Nec Biglobe Ltd ゲートシステム、及びゲート制御方法
JP2012022591A (ja) * 2010-07-16 2012-02-02 Nippon Signal Co Ltd:The 自動改札システム及び自動改札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9059A (ja) * 2007-10-18 2009-05-07 Nec Biglobe Ltd ゲートシステム、及びゲート制御方法
JP2012022591A (ja) * 2010-07-16 2012-02-02 Nippon Signal Co Ltd:The 自動改札システム及び自動改札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4631B2 (en) Automated security gate attendant
US9679425B2 (en)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access to a restricted area
US20070268145A1 (en) Automated tailgating detection via fusion of video and access control
JP2001504560A (ja) 通行誘導門
JP4986233B2 (ja) 不審者入館防止システム
KR102435706B1 (ko) 부정출입방지 게이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부정출입 감지방법
KR20100082580A (ko) 지문 인식형 보안 출입 게이트 및 이를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
TW201931316A (zh) 停車場管理系統與車輛進出管制方法
JP4811419B2 (ja) ゲート装置
JP2004075361A (ja) エレベーターの乗場呼び自動登録装置
JP3690361B2 (ja) 部外者監視システム
TWM560674U (zh) 停車場管理系統
KR101691944B1 (ko) 다목적 경고방송 시스템
TWM560675U (zh) 停車場資訊顯示裝置與停車場管理系統
GB2459327A (en) Anti-tailgating system for a restricted access entrance
JP2004265007A (ja) 集合住宅用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4521918B2 (ja) 入場管理システム
JP2004265232A (ja) 通行制御装置
KR100392116B1 (ko) 무인출입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5336137B2 (ja) 入室管理装置
JPH09305815A (ja) 入退出管理装置及び入退出管理システム
JP2008134895A (ja) 入退場管理ゲート
KR102441266B1 (ko) 양방향 통행 게이트
JP3772165B2 (ja) 自動改札装置
CN218585384U (zh) 门禁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