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242B1 - 표면 보호 필름 - Google Patents

표면 보호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242B1
KR102434242B1 KR1020177019595A KR20177019595A KR102434242B1 KR 102434242 B1 KR102434242 B1 KR 102434242B1 KR 1020177019595 A KR1020177019595 A KR 1020177019595A KR 20177019595 A KR20177019595 A KR 20177019595A KR 102434242 B1 KR102434242 B1 KR 102434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density polyethylene
adhesive layer
inch
gr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9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7130A (ko
Inventor
리키 샌토소
샤일레쉬 추니랄 파텔
칼 더글라스 레이
반킴 부펜드라 데사이
Original Assignee
트레데가르 서피스 프로텍션,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레데가르 서피스 프로텍션, 엘엘씨 filed Critical 트레데가르 서피스 프로텍션,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70097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7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7Block-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3/00Adhesives based on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53/02Vinyl 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09J153/025Vinyl 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modifi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10/02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02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 C08F297/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anionic type
    • C08F297/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anionic type polymerising vinyl 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04Reduction, e.g. hydroge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08L53/025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modifi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5/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9J1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9J125/08Copolymers of styrene
    • C09J125/10Copolymers of styrene with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2HDP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6LDPE (radical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as a masking tape for pain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4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4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2423/045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ethene in the release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5/00Presence of styrenic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53/00Presence of block co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1Polyolefin, e.g.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1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coating composi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 측면은 제1 외측 필름 표면을 한정하는 이형 층 및 제1 외측 필름 표면 반대편의 제2 외측 필름 표면을 한정하는 접착 층을 포함하는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접착 층은 약 30 중량% 내지 40 중량% 범위의 스티렌 함량을 갖는 수소화된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접착 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접착 층은 LDPE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면 보호 필름 {SURFACE PROTECTION FILM}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 출원은 2014년 12월 19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094,463호를 우선권 주장하며, 이 가출원의 완전한 개시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는 표면 보호 필름, 및 더욱 특히, 필름이 적용되었던 기재로부터의 필름의 개선된 이형과 표면 보호 필름이 사용 동안에 롤로부터 제거될 때 감소된 권출 장력을 갖는 표면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차폐 필름이라고도 알려진, 표면 보호 필름은 이들이 접착되는 기재의 손상, 오염, 긁힘, 마모, 또는 다른 훼손을 방지하는 물리적 장벽을 제공하는 데 전형적으로 사용된다. 표면 보호 필름을 사용하여 기재의 사용에 이전에 제조, 선적, 또는 저장 동안 이러한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및 다른 디스플레이를 위한 광학 소자로서 사용되는 기재는 기재의 표면에 접착되고 그 다음에 기재를 손상시키거나 또는 기재의 표면에 잔류물, 얼룩 또는 다른 결점을 남기지 않고 기재의 표면으로부터 후속적으로 제거되는 표면 보호 필름을 필요로 한다.
보호될 기재에 표면 보호 필름을 적용하는 것은 표면 보호 필름의 롤로부터 표면 보호 필름의 단일 층을 푸는 것에 의해 보통 수행된다. 필름이 롤에서 벗겨지므로, 롤 상의 나선형 방향의 표면 보호 필름은 필름이 필름의 롤로부터 제거될 때 이형 층으로부터 분리되는 접착 층을 가질 수 있다. 분리는 필름이 권출되는 동안에 더 높은 권출 장력 또는 박리력을 초래할 수 있다. 권출 장력 또는 박리력이 높을수록 권출 동안의 필름에서의 파손 및/또는 변형, 필름의 변환시 더 낮은 효율, (예를 들어, 기재에의 필름의 적층 동안 최종 사용자의 기재에 대한 손상을 포함하여) 최종 사용자의 기재에 필름을 적층하는데 더 큰 어려움 등을 비롯한 문제를 필름의 최종 사용자에게 줄 수 있다. 그래서, 필름 파손, 변환 동안의 효율, 손상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기재에 필름을 적층하는 용이함 등에서의 개선이 있을 수 있도록 개선된 권출 장력 또는 박리력을 갖는 표면 보호 필름을 최종 사용자에게 제공할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예시적 측면은 제1 외측 필름 표면을 한정하는 이형 층 및 제1 외측 필름 표면 반대편의 제2 외측 필름 표면을 한정하는 접착 층을 포함하는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접착 층은 약 30 중량% 내지 40 중량% 범위의 스티렌 함량을 갖는 수소화된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접착 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접착 층은 LDPE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필름의 롤을 권출하기 위한 일례 공정 및 공정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측정이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이한 일부분 또는 지점에서 실시될 수 있도록 그러한 일부분 또는 지점에 표시된 도 1의 공정 및 공정 구성을 사용하여 권출될 수 있는 롤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3은 표면 보호 필름 권출 장력 시험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80%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20% LDPE를 포함하는 샘플의 잔류물 시험의 이미지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80%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20% LDPE를 포함하는 샘플의 잔류물 시험의 향상된 이미지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은 100%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샘플의 잔류물 시험의 이미지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은 100%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샘플의 잔류물 시험의 향상된 이미지 결과를 나타낸다.
본 출원은 표면 보호 필름이 사용 동안에 롤로부터 제거될 때 잔류물을 감소시키고 권출 소음 저감을 제공하기 위해 기재로부터 필름의 개선된 이형이 제공된 개선된 표면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표면 보호 필름의 접착 층은 증가된 용융 유량 (MFR)을 갖는 개선된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접착 층은 이형 층 및 폴리올레핀 중합체를 포함하는 임의적인 코어 층과 조합된다. 표면 보호 필름은 표면 보호 필름의 롤로부터 표면 보호 필름을 푸는 것에 의해 기재 표면에 적용될 수 있다. 표면 보호 필름은 기재 표면 상에 최소 잔류물을 남기면서 기재 표면으로부터 후속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표면 보호 필름은 상이한 표면에 대해 원하는 정도의 접착을 제공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표면 보호 필름은 접착 층, 임의적인 코어 층 및 이형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 층은 기재 표면과 접촉하여 배치된 층이다. 접착 층의 조성은 보호될 기재에 대한 필름의 접착력뿐만 아니라, 롤에 감긴 경우 필름의 그 자체에 대한 부착 및, 이에 따라, 롤로부터의 표면 보호 필름의 단일 층의 권출 장력 (또는 권출 동안의 박리력)에 영향을 미친다.
접착 층
접착은 극성 결합, 이온 결합 및, 일부 경우에는, 수소 결합, 및/또는 반 데르 발스(Van der Waals) 2차 결합을 통해 매우 매끈한 표면과 또 다른 매끈한 표면 사이에 존재하는 천연 블로킹 접착을 통해 긴밀한 접촉을 통한 보호될 기재의 표면에의 부착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의도하는 접착제-없는 접착은 이형가능한 접착이며, 여기서 접착은 필름 또는 필름이 적용되는 기재가 변형되거나 또는 손상되지 않도록 가역적이다. 접착은 감압 접착제, 열 결합 또는 가교 기능성의 접착제로서 공지된 물질을 포함하지 않는데, 감압 접착제, 열 결합 또는 가교 기능성의 접착제에 의한 기재 표면과 필름 사이의 접착력이, 이러한 필름을 제거하는데 필요한 박리 강도가 이러한 필름 자체의 인장 강도를 초과할 시점까지 높아져서 이러한 필름을 기재로부터 박리하기 전에 인열 또는 파괴시키기 때문이다.
본 표면 보호 필름의 접착 층의 두께는 약 1 내지 약 20 마이크로미터, 예컨대 약 3 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15 마이크로미터, 예컨대 6, 7, 8, 9, 10, 11, 12, 13, 14, 또는 15 마이크로미터이다.
수소화된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 접착 층은 수소화된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져 표면 보호 필름이 사용 동안에 롤로부터 제거될 때 원하는 권출 소음 저감과 표면 보호 필름이 적용되었고 이어서 기재로부터 후속적으로 제거된 후 기재 상의 잔류물의 감소를 달성한다.
수소화된 블록 공중합체는 수소화 이전에 폴리스티렌 블록 - 폴리디엔 블록 중합체 구조를 갖는다. 수소화된 블록 공중합체는, 수소화 전에, 선형 또는 라디칼일 수 있다. 적합한 폴리디엔은 폴리부타디엔 (1,3-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및 그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폴리스티렌 블록 - 폴리디엔 블록 구조의 수소화는 달리 "SEBS"로 지칭되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이소프렌)-스티렌 중합체성 구조를 생성한다. 추가 설명을 위해 US7439301 (예를 들어, 칼럼 4, 라인 8 - 칼럼 8, 라인 4 참조), US7348376 (예를 들어, 칼럼 3, 라인 9 - 칼럼 6, 라인 19 참조), US20130225020 (예를 들어, 단락 [0030] - [0051] 참조), WO 2014/087814, 및 WO 30 2014/087815를 참조하고, 이들 모두 및 이들의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스티렌 함량 - 수소화된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스티렌 함량은 공중합체의 중량 기준으로 40 중량% 미만, 예컨대 약 30 중량% 내지 약 40 중량%, 예컨대 34 중량%이다. 폴리스티렌 블록 - 폴리디엔 블록 중합체의 수소화 이후에, 폴리스티렌 블록 중 0 내지 10 퍼센트의 스티렌 이중 결합이 수소화되었다.
용융 유량 (MFR) - 수소화된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MFR은 수소화된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점도와 역으로 상관관계가 있다. 고 용융 유량은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가 저 점도를 갖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임을 의미한다. 청구범위를 비롯한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용융 유동"은 230℃에서, 2.16 ㎏ 질량하에 ASTM D-1238에 따라 결정된 용융 유동 값을 의미할 것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수소화된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는 12 이상의 용융 지수를 갖는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수소화된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는 20 이상의 용융 지수를 갖는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수소화된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는 40 이상의 용융 지수를 갖는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수소화된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는 약 20 내지 약 100의 용융 지수를 갖는다. 추가 설명을 위해 (참조로 포함된) US7439301, US7348376, US20130225020, WO 2014/087814, 및 WO 2014/087815를 참조한다.
적합한 수소화된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는 약 34 중량%의 스티렌 함량 및 48의 MFR을 갖는, 크라톤 퍼포먼스 폴리머스 인크.(Kraton Performance Polymers Inc.)에 의해 제조된 크라톤(Kraton) MD 6951을 포함한다.
접착 층은 1종 이상의 다른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LPDE)을 포함할 수 있다. 1종 이상의 다른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수소화된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와 블렌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층은 수소화된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다른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예컨대 LPDE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 층은 10 중량% 내지 100 중량% 수소화된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0 중량% 내지 50 중량% LPDE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접착 층은 약 60% 중량 수소화된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약 40 중량% LDPE, 또는 약 80 중량% 수소화된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20 중량% LPDE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서, 접착 층은, 예를 들어 약 80:20 및 약 60:40의 중량비를 비롯한, 약 100:0 내지 51:49의 중량비 범위로 수소화된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LDPE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양태에서, 접착 층은 10 중량% 내지 90 중량% 수소화된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접착 층은 70 중량% 내지 90 중량% 수소화된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접착 층은 10 중량% 내지 30 중량% LDPE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접착 층은 수소화된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로만 본질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적 실시양태에서, 접착 층은 15 중량% 내지 90 중량%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10 중량% 내지 50 중량% LDPE, 및 임의로는, 10 중량% 내지 35 중량% HDPE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 층은 약 0 Ra 내지 60 Ra, 예컨대 약 0 Ra 내지 약 4 Ra, 예컨대 약 4 Ra 내지 약 30 Ra의 작동 범위 내의 평활도의 측정치를 갖는 외부 표면 (기재 표면과 접촉하게 되는 표면)을 포함한다. 표면 보호 필름이 적용된 기재에 대한 조도의 범위는 보통 0 Ra 내지 150 Ra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본원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평활도 및 조도는 조면계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이러한 표면의 중심선까지의 표면의 마이크로피크와 마이크로밸리의 산술 평균 높이 (Ra)로서 정의될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정의된 평활도 및 조도는 마이크로인치 (10-6 인치)의 단위로 전형적으로 표현된다. 표면 텍스쳐 (상대적 평활도 및 조도)의 모든 시험은 ANSI/ASME 시험 방법 B46.1-1985에 따라 수행되었다.
부가적인 성분은 존재할 수 있지만, 표면 보호 필름이 사용 동안에 롤로부터 제거될 때 원하는 권출 소음 저감과 표면 보호 필름이 적용되었고 이어서 기재로부터 후속적으로 제거된 후 기재 상의 잔류물의 감소의 기본적이고 신규한 특징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쳐서는 안 된다.
코어 층
표면 보호 필름은 임의적인 코어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코어 층은, 존재하는 경우, 접착 층과 이형 층 사이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코어 층은, 존재하는 경우, 1종 이상의 폴리올레핀, 예컨대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 충격 공중합체,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플라스토머, 폴리 (에틸렌-코-비닐 아세테이트), 폴리 (에틸렌-코-아크릴산), 폴리 (에틸렌-코-메틸 아크릴레이트), 환형 올레핀 중합체,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 (에틸렌코-n-부틸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적합한 폴리올레핀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 충격 공중합체 및 그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한 적합한 폴리올레핀 혼합물은 60:40 내지 40:60의 범위의 중량비로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갖는다.
본 표면 보호 필름의 코어 층의 두께는, 존재하는 경우, 10 내지 50 마이크로미터, 예컨대 12 내지 40 마이크로미터, 예컨대 20 내지 40 마이크로미터, 예컨대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및 40 마이크로미터이다.
이형 층
표면 보호 필름은 이형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형 층은 접착 층 또는, 존재하는 경우, 코어 층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형 층은 1종 이상의 폴리올레핀, 예컨대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 충격 공중합체,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플라스토머, 폴리 (에틸렌-코-비닐 아세테이트), 폴리 (에틸렌-코-아크릴산), 폴리 (에틸렌-코메틸 아크릴레이트), 환형 올레핀 중합체,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 (에틸렌-코-n-부틸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적합한 폴리올레핀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 충격 공중합체 및 그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한 적합한 폴리올레핀 혼합물은 60:40 내지 40:60의 중량비로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갖는다. 본 표면 보호 필름의 이형 층의 두께는 약 1 내지 약 20 마이크로미터, 예컨대 약 1 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10 마이크로미터, 예컨대 2, 3, 4, 5, 6, 7, 8, 9 또는 10 마이크로미터이다.
이형 층의 비교적 거친 표면은 일반적으로는 12 Ra 내지 600 Ra,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Ra 내지 300 Ra의 조도의 측정치를 갖는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필름"은 캐스트 압출 또는 블로운 공정에 의해 제조된 얇은 시트 또는 웹을 의미한다. 본 개시내용의 필름은 중합체로 제조된 것이다. 중합체는 롤러 사이에서 더 가공되고 냉각되어 웹을 형성할 수 있다. 다층 필름은 상이한 층들을 공압출 공정으로 동시에 압출시키거나 또는 각 필름 층을 개별적으로 형성하고 이어서 개별 필름을 함께 결합 또는 적층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차폐 필름의 복수의 층은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공압출 공정을 이용하여 공압출된다. 공압출의 사용은, 각각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별개의 층들로 이루어진 다층 차폐 필름의 비교적 간단하고 용이한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기재
본 발명의 필름을 임의의 기재에 적용할 수 있지만, 전형적인 기재는, 단지 예를 들면, 폴리카르보네이트, 아크릴릭,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PET, PETG, 유리, 세라믹 및 금속을 포함한다. 이러한 기재에 전형적인 표면 평활도는 0 내지 150 Ra의 범위이다.
기재에의 적용
기재에 다층 차폐 필름을 적용하고 적용된 차폐 필름을 기재의 매끈한 표면에 대하여 가압하기 위해 임의의 다양한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다층 필름 및 기재가 통과하는 닙 롤 또는 유사한 시스템을 사용하여 다층 필름을 롤로부터 벗기고 기재에 직접 적용할 것이다. 필름을 롤에서 빼낼 경우, 롤 상의 나선형 방향의 표면 보호 필름은 필름이 필름의 롤로부터 제거될 때 이형 층으로부터 권출된 접착 층을 갖는다. 권출은 필름 파손을 일으킬 수 있는 권출 장력 또는 박리력, 필름이 기재에 적용되는 추가 공정 동안의 더 낮은 효율, 기재에의 적층 동안의 더 많은 어려움 (예를 들어, 기재에 대한 손상) 등을 초래한다.
실시예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른 예시적 보호 필름에 대한 구성성분 양을 기재한 것이다. 비교 실시예 1 및 2 및 실시예 1 및 2의 총 필름 두께는 약 50 마이크로미터 (47 gsm)이다. 이형 층의 두께는 약 7.5 마이크로미터 (총 필름 두께의 15%)이다. 접착 층의 두께는 약 10 마이크로미터 (총 필름 두께의 20%)이다. 코어 층의 두께는 약 32.5 마이크로미터 (총 필름 두께의 65%)이다. 시험한 실시예는 접착 층에서의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상대 퍼센트 면에서 상이하다. 각 변동에 있어서, 주요 실시예와 "비교 실시예" 간의 차는 접착 층에서 사용된 수소화된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의 스티렌 함량이 상이하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비교 실시예 1-2의 접착 층에서의 수소화된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G1657의 스티렌 함량은 12.3%-14.3%, 예컨대 약 13%이고 실시예 1-2의 접착 층에서의 수소화된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MD6951의 스티렌 함량은 약 34%로 더 높다.
표 1 - 비교 권출 시험을 위한 필름
Figure 112017067421046-pct00001
시험 - 권출 장력 또는 박리력
비교 실시예 1-2 및 실시예 1-2의 필름에 대한 권출 장력 또는 박리력은 각각의 필름을 롤, 즉 롤(1-4) 상에 감음으로써 시험되었다. 비교 실시예 1-2 및 실시예 1-2를 위한 롤(1-4) 각각은 1200 미터의 길이 및 9 인치의 폭을 가졌다. 도 1은 권출 장력 또는 박리력을 시험하기 위한 일례 공정 및 공정 설정(100) 또는 아키텍처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 보호 필름(102)의 감긴 롤(104)은 라이더 롤(106)과 접촉하게 배치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권출 방향으로 로드 셀 롤(108)에 공급되었다. 권출하기 이전에, 롤(1-4) 각각은 표시기를 사용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 부분(112), 중심 부분(114), 및 코어 부분(116)을 비롯한 롤의 상이한 위치 또는 지점에 표시되었다. 외측 부분(112)은 (권출 장치(100)에 매단 후에) 시험하는 롤(104)의 외측 직경으로부터 1/16 인치에 위치하고, 중심 부분(114)은 (권출 장치에 매단 후에) 시험하는 롤의 반경의 이분의 일에 위치하고 코어 부분은 필름의 롤의 중심에서 종이 또는 판지 코어(118)로부터 ¼ 인치에 위치하였다. 롤(1-4)은 권출 롤(104)로부터 60 ft/min의 속도로 권출되었다. 롤(104)이 권출될 때, 장력 판독치는 로드 셀 롤(108)에서 장력계 게이지 (FMS 장력계)로 보고되거나 또는 기록되었고 여기서 장력계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104) 상의 상이한 위치 또는 지점(112, 114, 116)에서 각각의 표시기에 부착된 것이다.
도 3의 그래프는 비교 실시예 1-2 및 실시예 1-2에 대한 권출 장력 또는 박리력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표시기에서, MD-6951을 포함한 접착 층을 포함하는 실시예 1-2의 롤(2 및 4)은 각각의 표시기에서 G1657을 포함한 접착 층을 포함하는 비교 실시예 1-2의 롤(1 및 3)보다 낮은 lb-f 단위 (여기서 1 lb-f는 4.448 뉴턴과 같음)의 권출 장력 또는 박리력을 가졌다. 도 3은 MD6951 및 그의 블렌드가 접착제 층으로서 사용된 경우 필름을 기재에 적용하는 것과 같은 추가 공정 동안에 롤이 권출될 수 있는 용이함을 개선시킬 수 있고, 이는 최종 사용자에 의해 필름을 변환시키는 용이함 (즉, 덜 필름 파손, 변환 동안의 더 높은 효율, 손상 없이 기재로의 필름의 더 용이한 적층 등이 있을 수 있음)으로 궁극적으로 바뀐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접착 시험 결과는 표 2에 나타냈다. 접착은 10 파운드 실리콘 고무 롤러로 3M™ QDEF (퀀텀 도트 인핸스먼트 필름), ex 3M으로서 입수가능한 상업적 랜덤 텍스쳐화 광학 기재에 적층되고, 필름의 접착면이 광학 기재와 접촉하여 라미네이트를 형성한 것인 본 출원의 필름에 기초하였다. 라미네이트는 텍스쳐 애널라이저(Texture Analyzer) TAXT+에서 시험하기 전에 실온에서 1 hr 동안 그리고 60℃에서 5분 동안 각각 방치해 두었다. 이어서 1인치 폭 스트립의 라미네이트를 절단하였다. 1인치 스트립의 라미네이트를 ASTM 표준 D3330-90의 수정된 버전에 따라 수행된 180° 박리 또는 접착 시험에서 사용하였다. 인스트론(Instron)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광학 기재로부터 1인치-폭의 스트립의 필름의 4-6 인치를 박리하는데 필요한 힘을 측정하였다. 시험 속도 또는 당김 방향은 5 ㎜/sec로서 선택되었다.
표 2 - 노화 접착 결과
Figure 112017067421046-pct00002
폴리카르보네이트 기재 상의 부가적인 접착 시험
부가적인 기재 접착 시험은 10 lb 실리콘 고무 롤러로 폴리카르보네이트 기재 상에 1인치 스트립의 필름을 적층시킴으로써 이루어졌다. 라미네이트를 주위 조건 ("RT"), 60℃, 및 90℃에서 5분 동안 조건화하였다. 박리 시험을 완료하기 전에 라미네이트를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방치해 두었다. 박리 시험은 텍스쳐 애널라이저 기기 모델 TAXT+에서 12 인치/분의 속도 및 180 도 구성으로 수행되었다. 결과는 표 3에 나타냈다.
표 3 접착 시험 결과
Figure 112017067421046-pct00003
자가-접착 시험
특정 필름의 예측되는 권출 거동은 자가-접착 시험을 통해 평가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자가-접착은 필름의 접착 층의 자유 표면과 동일한 필름의 이형 층의 자유 표면 사이의 접착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특성 실시양태에 따른 필름의 자가-접착은 필름 라미네이트의 2개 시트를 카르버 프레스(Carver Press)에서 2000 psi하에 1시간 동안 가압함으로써 시험되었다. 하나의 라미네이트 시트의 접착제 층이 다른 라미네이트 시트의 이형 또는 스킨 층과 접촉하도록 필름 라미네이트를 배치하였다. 이어서 박리 시험은 텍스쳐 애널라이저 기기 모델 TAXT+에서 12 인치/분의 속도 및 180 도 구성으로 수행되었다.
표 3의 실시예 7, 9, 및 10을 카르버 프레스에 배치하였다. 결과는 표 4에 나타냈다.
표 4 자가-접착 시험 결과
Figure 112017067421046-pct00004
시험 - 잔류물
표 3의 실시예 10을 깨끗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PMMA) 기재 (이를 60℃로 가온시킴)에 적층시킨 후 암시야 검출 및 이미지 분석을 사용하여 잔류물에 대해 시험하였다. 실시예 10 물질 및 100% MD6951로부터 형성된 접착 층을 갖는 비교 물질의 9개 샘플을 각각의 세 접착 조건에서 시험하였다: (a)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접착, (b) 60℃에서 18시간 동안 접착, 및 (c) 90℃에서 5분 동안 접착. 도 4는 접착 조건 (a), (b), 및 (c)에 대하여 실시예 10에 대한 잔류물 시험으로부터 얻은 암시야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4의 이미지로부터 유도된 개선된 이미지를 나타낸다. 유사한 이미지를 사용하여 각 조건에서 물질에 대한 잔류물 백분율을 결정하였다. 결과는 표 5에서 표로 작성하였다. 평균적으로,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시험한 실시예 10 샘플은 1.8% 잔류물만 남겼고, 60℃에서 18시간 동안 시험한 샘플은 0.8% 잔류물만 가졌고, 90℃에서 5분 동안 시험한 샘플은 1.8% 잔류물만 가졌다.
표 5 잔류물 시험 결과
Figure 112017067421046-pct00005
도 6은 동일한 세 조건에서 100% MD6951의 접착 층을 갖는 비교 물질의 잔류물 시험으로부터 얻은 암시야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6의 이미지로부터 유도된 개선된 이미지를 나타낸다. 유사한 이미지를 사용하여 각 조건에서 물질에 대한 잔류물 백분율을 결정하였다. 결과는 표 6에서 표로 작성하였다. 평균적으로,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시험한 비교 샘플은 1.7% 잔류물을 가졌고, 60℃에서 18시간 동안 시험한 샘플은 1.5% 잔류물을 가졌고, 90℃에서 5분 동안 시험한 샘플은 1.7% 잔류물을 가졌다.
표 6 잔류물 시험 결과
Figure 112017067421046-pct00006
도 4 및 5의 잔류물 이미지는 실시예 10에 대해 60℃에서 18시간 동안 생성된 잔류물 평균이 100% MD6951을 포함하는 샘플에 대해 60℃에서 18시간 동안 생성된 잔류물 평균에 비해 감소한다는 것을 입증한다 (도 6 및 7).
본원에 개시된 치수 및 값은 인용된 정확한 수치로 엄격히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대신,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이러한 각 치수는 인용된 값 및 그 값 주위의 기능적으로 동등한 범위 둘 다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40 ㎜"로 개시된 치수는 "약 "40 ㎜"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임의의 상호 참조되거나 또는 관련된 특허 또는 출원을 포함한, 본원에 인용된 모든 문서는 명백히 배제되거나 또는 달리 제한되지 않는 한 그의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임의의 문서의 인용은, 본원에 개시되거나 또는 청구된 임의의 발명에 대해서 이것이 선행 기술이라거나 또는 임의의 다른 참조 문헌 또는 참조 문헌들과의 임의의 조합으로 또는 단독으로, 이것이 임의의 그러한 발명을 교시하거나, 제안하거나 또는 개시함을 인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 문서 내 용어의 임의의 의미 또는 정의가 참조로 포함된 문서 내 동일한 용어의 임의의 의미 또는 정의와 충돌할 경우에, 이 문서에서 그 용어에 부여된 의미 또는 정의가 우선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가 예시되고 기재되었지만,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다양한 다른 변화 및 변경이 발명의 취지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는 이러한 모든 변화 및 변경을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6)

  1. 제1 외측 필름 표면을 한정하는 이형 층; 및
    제1 외측 필름 표면 반대편의 제2 외측 필름 표면을 한정하는 접착 층
    을 포함하는 필름이며, 상기 접착 층은 30 중량% 내지 40 중량% 범위의 스티렌 함량을 갖는 수소화된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여기서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는 접착 층의 15 중량% 내지 80 중량%의 범위이고, 접착 층은 10 중량% 내지 50 중량%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10 중량% 내지 35 중량%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가 접착 층의 25 중량% 내지 50 중량%의 범위이고, 접착 층이 25 중량% 내지 40 중량%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25 중량% 내지 35 중량%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가 접착 층의 33 중량%이고, 접착 층이 32 중량%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35 중량%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이형 층이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 충격 공중합체,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세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이형 층이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것인 필름.
  6. 제5항에 있어서, 이형 층이 40-60 중량%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40-60 중량%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것인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매끈한 폴리카르보네이트 표면에의 적용 후에 23℃에서 100 그램/인치 미만의 180도 박리 강도를 나타내는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매끈한 폴리카르보네이트 표면에의 적용 후에 23℃에서 25 그램/인치 미만의 180도 박리 강도를 나타내는 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매끈한 폴리카르보네이트 표면에의 적용 후에 60℃에서 200 그램/인치 미만의 180도 박리 강도를 나타내는 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매끈한 폴리카르보네이트 표면에의 적용 후에 60℃에서 50 그램/인치 미만의 180도 박리 강도를 나타내는 필름.
  11. 제1항에 있어서, 매끈한 폴리카르보네이트 표면에의 적용 후에 90℃에서 140 그램/인치 미만의 180도 박리 강도를 나타내는 필름.
  12. 제1항에 있어서, 매끈한 폴리카르보네이트 표면에의 적용 후에 90℃에서 60 그램/인치 미만의 180도 박리 강도를 나타내는 필름.
  13. 제1항에 있어서, 매끈한 폴리카르보네이트 표면에의 적용 후에 60℃에서 적어도 5 그램/인치 그러나 50 그램/인치 미만인 180도 박리 강도를 나타내는 필름.
  14. 제1항에 있어서, 매끈한 폴리카르보네이트 표면에의 적용 후에 90℃에서 적어도 20 그램/인치 그러나 60 그램/인치 미만인 180도 박리 강도를 나타내는 필름.
  15. 제1항에 있어서, 180도 박리력의 적용에 의해 매끈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표면으로부터 필름을 제거하면 2% 미만의 잔류물이 측정되고, 이때 상기 필름은 제거 이전에 적어도 18시간 동안 표면에 적용되었던 것인 필름.
  16. 제1항에 있어서, 필름의 제2 부분이 필름의 제1 부분에 대하여 2000 psi의 압력하에 1시간 동안 가압된 후에, 상기 필름의 제1 부분의 제1 외측 필름 표면과 상기 필름의 제2 부분의 제2 외측 필름 표면 사이에서 40 그램/인치 미만의 180도 박리 강도를 나타내는 필름.
  17. 제1항에 있어서, 필름의 제2 부분이 필름의 제1 부분에 대하여 2000 psi의 압력하에 1시간 동안 가압된 후에, 상기 필름의 제1 부분의 제1 외측 필름 표면과 상기 필름의 제2 부분의 제2 외측 필름 표면 사이에서 10 그램/인치 미만의 180도 박리 강도를 나타내는 필름.
  18. 제1항에 있어서, 접착 층과 이형 층 중간에 코어 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필름.
  19. 제18항에 있어서, 코어 층이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블렌드로 이루어진 세트 중 하나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것인 필름.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KR1020177019595A 2014-12-19 2015-12-18 표면 보호 필름 KR1024342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94463P 2014-12-19 2014-12-19
US62/094,463 2014-12-19
PCT/US2015/066561 WO2016100763A1 (en) 2014-12-19 2015-12-18 Surface protection fil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7130A KR20170097130A (ko) 2017-08-25
KR102434242B1 true KR102434242B1 (ko) 2022-08-18

Family

ID=56127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9595A KR102434242B1 (ko) 2014-12-19 2015-12-18 표면 보호 필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150896B2 (ko)
EP (1) EP3234054B1 (ko)
JP (1) JP6492179B2 (ko)
KR (1) KR102434242B1 (ko)
CN (1) CN107207925B (ko)
BR (1) BR112017013035A8 (ko)
DK (1) DK3234054T3 (ko)
IL (1) IL252768B (ko)
SG (1) SG11201704669UA (ko)
WO (1) WO20161007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82762B2 (ja) * 2018-03-12 2022-06-09 東レフィルム加工株式会社 糊引き用基材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塗装鋼板用表面保護フィルム
KR102627147B1 (ko) * 2018-09-07 2024-01-19 도레이 필름 카코우 가부시키가이샤 이형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점착 시트 적층체
JP6655238B1 (ja) * 2018-09-07 2020-02-26 東レフィルム加工株式会社 離型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粘着シート積層体
KR20210104786A (ko) * 2018-12-18 2021-08-25 트레데가르 서피스 프로텍션, 엘엘씨 민감성 기판을 보호하기 위한 마스킹 필름
US20210009870A1 (en) * 2019-07-09 2021-01-14 Tredegar Surface Protection, Llc Surface protection film
CN110481128A (zh) * 2019-08-12 2019-11-22 上海沥高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双面离型功能的真空袋薄膜及其制备方法
WO2021167947A1 (en) * 2020-02-19 2021-08-26 Tredegar Surface Protection, Llc Masking film with improved adhesion stability
EP4169994A1 (en) 2021-10-25 2023-04-26 Nitto Belgium NV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surface protection sheets comprising the same
CN114474924A (zh) * 2021-12-20 2022-05-13 深圳市瑞昌星科技有限公司 一种耐高温的高分子覆型离型膜及其制作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68069A1 (ja) * 2013-04-11 2014-10-16 東洋紡株式会社 自己粘着性表面保護フィルム
US20140335334A1 (en) 2013-05-08 2014-11-13 Alpha Optical Co., Ltd Protective film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5300A (en) * 1988-04-13 1990-06-19 Dennison Manufacturing Company Heat transferable laminate
US5000992A (en) * 1989-06-01 1991-03-19 The Dow Chemical Company Coextruded multilayer foamed film for plastic container closures and process for manufacture
GB9021090D0 (en) 1990-09-27 1990-11-07 Bp Chem Int Ltd Adhesive and its uses
JP2713519B2 (ja) * 1991-01-31 1998-02-1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JPH09143439A (ja) 1995-11-24 1997-06-03 Kuraray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US20040253464A1 (en) 2002-07-30 2004-12-16 Thorsten Krawinkel Surface protection film for painted surfaces with an adhesive based on hydrogenated block copolymers
DE10235021A1 (de) * 2002-07-31 2004-02-19 Nordenia Deutschland Gronau Gmbh Selbstklebende Oberflächenschutzfolie, insbesondere zur Abdeckung von lackierten Blechen und Hochglanzblechen aus Aluminium oder Edelstahl
US8182926B2 (en) 2003-06-24 2012-05-22 Tredegar Film Products Corporation Protective films for textured substrates
BRPI0508388A (pt) 2004-03-03 2007-08-07 Kraton Polymers Res Bv fibra bicomponente, artigo, e, processo para produzir a fibra bicomponente
US7348376B2 (en) 2004-04-13 2008-03-25 Kraton Polymers U.S. Llc Adhesive composition
JP2007161882A (ja) * 2005-12-14 2007-06-28 Sekisui Chem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JP5068089B2 (ja) 2007-03-02 2012-11-07 日東電工株式会社 剥離ライナー付き粘着シートおよび剥離ライナー
SG174337A1 (en) 2009-03-13 2011-11-28 Denki Kagaku Kogyo Kk Cover film
KR101689056B1 (ko) 2011-04-18 2016-12-22 덴카 주식회사 커버 필름
JP2013035983A (ja) 2011-08-10 2013-02-21 Nitto Denko Corp 粘着シート
US20130225020A1 (en) * 2012-02-24 2013-08-29 Kraton Polymers Us Llc High flow, hydrogenated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and applications
CN110157350A (zh) 2012-04-10 2019-08-23 东洋纺株式会社 自粘合性表面保护薄膜
US9138979B2 (en) 2012-05-02 2015-09-22 Tredegar Film Products Corporation Low peel force surface protection film and method of using same
JP5992312B2 (ja) 2012-12-07 2016-09-14 クレイトン・ポリマーズ・ユー・エス・エル・エル・シー 塗装面の保護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の調製方法
JP6026255B2 (ja) 2012-12-07 2016-11-16 クレイトン・ポリマーズ・ユー・エス・エル・エル・シー 塗装面の保護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の調製方法
CN105579539B (zh) 2013-04-29 2019-06-28 阿尔戈技术有限公司 具有严格的剥离控制的多层组件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68069A1 (ja) * 2013-04-11 2014-10-16 東洋紡株式会社 自己粘着性表面保護フィルム
US20140335334A1 (en) 2013-05-08 2014-11-13 Alpha Optical Co., Ltd Protective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77151A1 (en) 2016-06-23
DK3234054T3 (en) 2023-01-09
EP3234054B1 (en) 2022-11-02
IL252768A0 (en) 2017-08-31
WO2016100763A1 (en) 2016-06-23
JP2018500426A (ja) 2018-01-11
BR112017013035A2 (pt) 2018-01-09
SG11201704669UA (en) 2017-07-28
EP3234054A1 (en) 2017-10-25
CN107207925A (zh) 2017-09-26
BR112017013035A8 (pt) 2023-01-24
JP6492179B2 (ja) 2019-03-27
US10150896B2 (en) 2018-12-11
EP3234054A4 (en) 2018-08-08
KR20170097130A (ko) 2017-08-25
CN107207925B (zh) 2019-07-05
IL252768B (en) 2021-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4242B1 (ko) 표면 보호 필름
JP5682011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6278473B2 (ja) 低剥離力表面保護膜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5932463B2 (ja) 粘着テープ
JP5565230B2 (ja) 光学フィルムロール及び光学フィルムロールの製造方法
JP2010174239A (ja) 濡れ性が向上したマスキングフィルム
WO2011129167A1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0247513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7016059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TWI797180B (zh) 積層薄膜
TW201202042A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KR101382269B1 (ko) 광학용 필름의 타발 공정에 사용되는 복합 시트
KR20120113774A (ko) 표면 보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표면 보호 필름용 기재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H0263830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H11207882A (ja) ブロッキング防止性に優れた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5997961B2 (ja) 二軸延伸自己粘着性プロテクトフィルム
KR20220033499A (ko) 표면 보호 필름
JP2020026531A (ja) 積層フィルム
JP4857636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用積層フイ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WO2019131865A1 (ja) セパレーター、及びセパレーター付き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US11732161B2 (en) Masking film for protecting sensitive substrates
TW201109408A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TWI604026B (zh) 低剝離力表面保護膜及其使用方法
JP2012018338A (ja) ロール状に巻かれたプリズム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327121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