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3410B1 - 분리식 카메라렌즈와 촬영모듈 및 전자설비 - Google Patents

분리식 카메라렌즈와 촬영모듈 및 전자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3410B1
KR102433410B1 KR1020197028374A KR20197028374A KR102433410B1 KR 102433410 B1 KR102433410 B1 KR 102433410B1 KR 1020197028374 A KR1020197028374 A KR 1020197028374A KR 20197028374 A KR20197028374 A KR 20197028374A KR 102433410 B1 KR102433410 B1 KR 102433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camera lens
fixing part
tube
lens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8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1042A (ko
Inventor
밍쥬 왕
셔우지에 왕
난 궈
량 딩
페이판 천
춘메이 리우
치민 메이
Original Assignee
닝보 써니 오포테크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720299172.2U external-priority patent/CN207249220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10182535.9A external-priority patent/CN108627939A/zh
Application filed by 닝보 써니 오포테크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닝보 써니 오포테크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90131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03B17/14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interchangea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preventing ghost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03Light absorbing el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02Still-picture cameras
    • G03B19/04Roll-film cameras
    • G03B19/07Roll-film cameras having more than one objective
    • H04N5/2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식 카메라렌즈와 촬영모듈 및 전자설비에 관한 것으로, 분리식 카메라렌즈는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 하나의 제1 렌즈세트(11)를 포함하는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 하나의 제2 렌즈세트(21)를 포함하는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과 적어도 하나의 빛차단소자(32)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빛차단소자(32)는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과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의 사이에 예정된 광 채널을 형성해 분리식 카메라렌즈의 구조에 협조할 수 있도록 안정적으로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의 저단에 위치한 렌즈(113)와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의 꼭대기에 위치한 렌즈(211)의 사이에 설치한다.

Description

분리식 카메라렌즈와 촬영모듈 및 전자설비
본 발명은 분리식 카메라렌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마트 설비에 응용되는 촬영모듈의 분리식 카메라렌즈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렌즈의 장점과 단점은 촬영 성능 강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핵심이다. 품질이 우수한 카메라렌즈를 제조하는 것은 촬영업계가 품질이 우수한 제품을 생산하는 데 대해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진 촬영 분야에서, 카메라렌즈에 대한 다양한 측면의 연구개발은 하나의 제조업체가 고품질 성능에 대한 추구를 더 잘 구현할 수 있다. 스마트 모바일 장치가 유행됨에 따라, 광학 카메라렌즈를 설계, 연구 개발하는 과정에서, 스마트 모바일 장치에 관해 더 많은 도전에 부딪치게 되는 동시에, 더 광범위한 시장을 만나게 되었다.
스마트 모바일 장치, 특히, 휴대폰, 태블릿 PC, 휴대형 컴퓨터, 스마트 서비스 단말기, 심지어, 휴대형 식별 장치 등은 모두 광범위한 시장을 보유하고 있는 제품이다. 촬영모듈은 이미 직접 설비 중에 조립되어 중요한 센서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많은 설비는 촬영모듈에 대한 요구가 전문 촬영 설비에 대한 요구보다 낮지 않다. 촬영모듈 중의 카메라렌즈에 대한 요구 또한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물론, 촬영모듈의 카메라렌즈로부터 시작해 개선을 도모하는 것은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또한, 촬영모듈 해상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아주 핵심적인 부품이 바로 카메라렌즈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카메라렌즈는 다수의 렌즈를 차례대로 렌즈튜브 중에 설치 고정시킨다. 이어서, 몇 개의 렌즈튜브를 함께 조립하고, 복수개 렌즈튜브 중 복수개 렌즈 사이의 광학 전송 관계를 통해 완벽한 광학 시스템을 구성한다. 하지만, 조립 과정 중에서의 공차는 카메라렌즈와 칩이 원심, 경사 현상이 발생되도록 하고, 나아가, 해상력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카메라렌즈는 가공될 때에도 공차가 존재하는 데, 각 렌즈가 우수하게 카메라렌즈 중에 조립 완료된 후에도, 렌즈튜브 사이에는 여전히 공차가 존재한다. 조립 완료된 렌즈튜브는 교정하기가 아주 어려우며, 더 나아가, 카메라렌즈와 렌즈튜브를 낭비해 생산효율에 대해서도 아주 큰 영향을 미친다.
성능이 훌륭한 광학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해, 생산과정에서 더 직면하게 되는 문제는 바로 렌즈 스페이서링의 설계와 가공이다. 스페이서링은 전체 광학 성능의 초점 거리, 절편, 감별율에 대해 모두 영향을 미쳐 모듈의 해상력에도 영향을 미친다. 종래기술에 따른 카메라렌즈 중 스페이서링의 설계는 앞, 뒤 렌즈의 직경과 광선 투과 구경의 크기에도 영향을 미친다. 종래기술에 따른 공법에서는 스페이서링을 설계, 모방해야 할 뿐만 아니라, 스페이서링의 정확한 가공에 대한 요구도 아주 높다. 광학 간격, 유효 광선 투과 구경과 광축의 일치성을 보증해야 카메라렌즈의 품질을 보증할 수 있다. 카메라렌즈 내에 하나의 차양성이 비교적 우수한 환경을 형성해 외부 광선이 옆면으로부터 카메라렌즈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해 외부 미광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피하는 데, 이 또한, 카메라렌즈의 광학 시스템 이미징 품질을 보증하는 하나의 중요 측면으로 작용한다.
또한, 고화소의 촬영모듈에 있어서, 카메라렌즈 중 렌즈의 수량이 지속적으로 많아지어 카메라렌즈 높이가 높아지고, 촬영모듈의 발전은 경령화와 초박화로 발전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므로, 촬영모듈 기술이 빠른 발전을 이루고 있는 오늘날에 있어서, 촬영모듈 중의 각 부품의 개선은 촬영모듈에 대해 모두 아주 중요하는 데, 예를 들어, 스페이서링은 종래기술에 따른 광학 카메라렌즈 중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며, 카메라렌즈의 일정한 공간 체적을 차지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스페이서링은 비교적 유연해 통상적으로 인접한 2개 렌즈 사이에 클램핑되는 방식으로 설치고정되며, 자체는 직접 고정되기 어렵거나 또는 렌즈튜브와 고정되기 어렵다.
어떻게 촬영모듈 카메라렌즈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양품율과 생산효율을 만족시키며, 원가를 낮추는 것은 촬영모듈 생산에서 해결하려는 중요한 기술 문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여기에서,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는 카메라렌즈 그룹의 조합 형식이고, 그는 하나의 빛차단소자를 인접한 2개 그룹 카메라렌즈 사이에 설치해 그룹 사이 인접 위치의 외부 광선을 차단함으로써 예정된 광로를 형성하는 분리식 카메라렌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여기에서, 빛차단소자가 분리식 카메라렌즈의 구조 설계에 호응해 종래방식 중 스페이서링이 분리식 카메라렌즈 구조에 대한 부적응을 피면하는 분리식 카메라렌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여기에서, 빛차단소자가 그룹 렌즈의 표면에 부착되고, 다중 그룹 카메라렌즈의 높이를 줄이는 동시에, 의존면이 비교적 작아 발생되는 종래 스페이서링의 변형과 불안정을 피면하는 분리식 카메라렌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2세트 카메라렌즈 그룹의 조합 형식을 이용하고, 하나의 빛차단소자를 렌즈 사이에 적용해 격리 역할을 하며, 카메라렌즈 성능을 향상하는 동시에, 설계 원가와 난이도를 낮추어 생산 원가를 보증하는 분리식 카메라렌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해당 카메라렌즈 그룹의 구조 간소화를 통해 액티브 얼라인먼트(Active Alignment)에 호응함으로써, 해당 분리식 카메라렌즈를 촬영모듈에 응용할 때 보다 높은 성능을 갖추도록 하는 분리식 카메라렌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해당 빛차단소자가 렌즈 사이에서의 설계와 설치를 간소화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해당 분리식 카메라렌즈가 우수한 완정성과 일치성을 구비해 광축 교정에 이롭도록 하는 분리식 카메라렌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2세트의 카메라렌즈 그룹이 모두 하나의 고정부를 구비해 다른 연결방식에 적용하고, 더 나아가, 안정적으로 믿음직스럽게 2세트의 카메라렌즈 그룹을 완정하게 조합하도록 하는 분리식 카메라렌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렌즈와 빛차단소자가 해당 카메라렌즈 그룹에 설치될 때, 해당 렌즈가 렌즈튜브에 대한 공차를 보증하고, 생산효율을 제공해 낭비를 피면하는 분리식 카메라렌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2세트의 카메라렌즈 그룹이 설치될 때, 해당 고정부를 이용해 조립할 때의 공차를 이용함으로써, 조립 완성 후 해당 분리식 카메라렌즈 전체의 일치성을 보증하도록 하는 분리식 카메라렌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해당 고정부가 모두 믿음직하게 2세트의 카메라렌즈 그룹을 연결해 렌즈튜브 사이의 공차를 보증하고 생산효율을 대폭 향상시키는 분리식 카메라렌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해당 고정부가 다양한 연결방식에 적용되고, 다양한 카메라렌즈의 상황에 호응하며, 해당 고정부의 연결방식이 선택가능성을 갖도록 하는 분리식 카메라렌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해당 빛차단소자는 광학 간격, 유효 광선 투과 구경과 광축의 일치성을 보증하는 것을 통해 해당 카메라렌즈 그룹의 품질을 확보하는 분리식 카메라렌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해당 빛차단소자의 설계가 원활도가 높아 합리성과 해당 카메라렌즈 그룹의 수요를 보증하고, 더 나아가, 촬영모듈의 품질을 보증하도록 하는 분리식 카메라렌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다양한 렌즈가 광학 성능에 대한 수요를 조준해, 해당 빛차단소자와 해당 고정부의 호응이 2세트의 카메라렌즈 그룹 사이의 광학 관계가 안정적이고 믿음직하도록 하는 분리식 카메라렌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해당 빛차단소자에 의해 렌즈 사이가 치밀하고 질서정연해 지고, 전체 분리식 카메라렌즈의 완성도를 향상시키는 분리식 카메라렌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해당 빛차단소자는 일부 또는 전부가 차양 페인트를 사용하고, 렌즈를 해당 카메라렌즈 그룹에 설치하는 난이도를 간소화하는 분리식 카메라렌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해당 빛차단소자가 선택적으로 스페이서링과 차양 자재를 사용하고, 다양한 상기 카메라렌즈 그룹의 설계 수요를 위해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분리식 카메라렌즈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명 목적에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여기에서,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와 하나의 제1 렌즈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는 상기 렌즈튜브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카메라렌즈 그룹; 여기에서,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와 제2 렌즈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는 상기 제2 렌즈튜브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카메라렌즈 그룹; 적어도 하나의 빛차단소자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빛차단소자는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과 제2 카메라렌즈 그룹의 사이에 예정된 광 채널을 형성하고, 안정적으로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과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의 사이에 설치되도록, 제1 카메라렌즈 그룹의 저단에 위치한 상기 렌즈와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의 꼭대기에 위치한 상기 렌즈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카메라렌즈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 근거해,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 중 하나의 상기 빛차단소자는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의 꼭대기단에 위치한 상기 렌즈의 꼭대기면에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 근거해,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 중 하나의 상기 빛차단소자는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이 저단에 위치한 상기 렌즈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 근거해,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 중 3개의 상기 빛차단소자는 각각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이 저단에 위치한 3개 상기 렌즈 바닥면에 설치되며, 2개의 상기 빛차단소자는 각각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이 꼭대기단에 위치한 2개의 상기 렌즈 바닥면에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 근거해,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 중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과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의 인접한 상기 렌즈 사이에 하나의 상기 빛차단소자를 설치한다.
일부 실시예에 근거해,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 중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과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의 인접한 상기 렌즈 사이는 하나의 상기 빛차단소자가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 근거해,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 중 상기 빛차단소자는 인접한 2개의 상기 렌즈 중에서 상방에 위치한 상기 렌즈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 근거해,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 중 상기 빛차단소자는 인접한 2개의 상기 렌즈 중 하방에 위치한 상기 렌즈의 꼭대기면에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 근거해,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는 적어도 하나의 격리부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격리부품은 2개의 상기 렌즈 사이에 설치되어 광학 설계 중에서 상기 렌즈에 대한 요구를 보증한다.
일부 실시예에 근거해,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의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과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은 액티브 얼라인먼트의 방식으로 조립한다.
일부 실시예에 근거해, 상기 제1 렌즈튜브는 하나의 제1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렌즈튜브는 하나의 제2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는 서로 연결고정되어 상기 제1 렌즈튜브와 상기 제2 렌즈튜브가 일체형 카메라렌즈로 조립된다.
일부 실시예에 근거해, 상기 제1 렌즈튜브의 하부 구경이 상기 제2 렌즈튜브의 상부 구경보다 작으며, 상기 제1 렌즈튜브의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렌즈튜브의 상기 제2 고정부는 안정적으로 서로 감합되게 연결한다.
일부 실시예에 근거해,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1 렌즈튜브의 저단부이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2 렌즈튜브의 꼭대기단부이며,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매개체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렌즈튜브와 상기 제2 렌즈튜브를 연결한다.
일부 실시예에 근거해,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1 렌즈튜브 직경이 커지는 상기 저단부이며, 상기 제1 고정부 바닥측은 상기 제2 고정부 꼭대기측과 접착해 고정한다.
일부 실시예에 근거해, 상기 제1 고정부 외측은 상기 제2 고정부 꼭대기측과 접착해 고정한다.
일부 실시예에 근거해, 상기 제2 렌즈튜브는 하나의 고정홈을 더 포함하고, 그는 상기 제2 렌즈튜브의 꼭대기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렌즈튜브의 상기 제1 고정부와 서로 대응되고, 상기 고정홈은 연결 매개체가 충전되어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를 연결한다.
일부 실시예에 근거해, 여기에서, 하나의 제1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는 돌기형으로 상기 제1 렌즈튜브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렌즈튜브의 꼭대기단부는 하나의 제2 고정부를 형성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는 서로 연결고정되고, 상기 제1 렌즈튜브의 저단부는 연장되어 상기 제2 렌즈튜브의 상기 제2 고정부에 인입됨으로써, 상기 제1 렌즈튜브와 상기 제2 렌즈튜브가 일체형 카메라렌즈로 조립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 근거해, 상기 제1 고정부의 바닥측은 상기 제2 고정부의 꼭대기측에 접착된다.
일부 실시예에 근거해, 상기 제2 고정부는 꼭대기에 하나의 고정홈을 형성해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매개체를 수용하는 데 사용해 상기 제2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를 서로 접착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 근거해,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의 상기 빛차단소자는 하나의 도포층이다.
일부 실시예에 근거해,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의 상기 빛차단소자는 하나의 블랙검층(black gum layer)이다.
일부 실시예에 근거해,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의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은 3개의 상기 렌즈를 포함하는 데,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은 3개의 상기 렌즈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근거해,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 중 상기 빛차단소자는 도포, 스프레이 코팅, 실크 스크린 프린팅 중 어느 한 방식을 통해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근거해,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 저단의 상기 렌즈는 적어도 하나의 접착 매개체를 통해 상기 제1 렌즈튜브의 내표면에 접착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를 포함하는 하나의 촬영모듈과 상기 촬영모듈을 포함하는 하나의 전자설비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식 카메라렌즈의 단면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식 카메라렌즈의 단면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3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식 카메라렌즈의 단면 예시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제4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식 카메라렌즈의 단면 예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제4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식 카메라렌즈의 변형 실시방식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5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식 카메라렌즈의 단면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5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식 카메라렌즈의 분해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를 갖춘 하나의 촬영모듈의 단면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를 갖춘 또 다른 하나의 촬영모듈의 단면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촬영모듈을 갖춘 전자설비의 구조 예시도이다.
이하 설명은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이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공개하는 데 사용한다. 이하 설명 중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실례로만 사용되며,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은 기타 자명한 변형을 생각해 낼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 확정한 본 발명의 기본 원리는 기타 실시방안, 변형방안, 개선방안, 동일방안 및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기타 기술방안에 응용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은, 본 발명을 공개하는 과정에서 용어 "세로", "가로", "위", "아래", "앞", "뒤", "왼쪽", "오른쪽", "수직", "수평", "꼭대기", "바닥", "안", "밖" 등이 가리키는 방향 또는 위치관계는 도면이 가리킨 방향 또는 위치관계에 근거하며, 그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과 설명 간소화에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 뿐이지, 장비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된 방향을 가지고 특정된 방향에 의해 구성, 조작되어야 한다는 것을 가리키거나 암시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용어는 본 발명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용어 "하나"는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또는 복수개"로 이해해야 하며, 즉, 하나의 실시예에서 하나의 원소의 수량은 하나일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해당 원소의 수량은 복수개일 수 있으며, 용어 "하나"는 수량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카메라, 특히, 촬영모듈에 응용되는 카메라는 오래동안 상대적으로 안정된 단일형 구조방식으로 구성되었는 데, 복수개의 렌즈를 하나의 렌즈튜브로 조립해 구성하고, 렌즈 수량이 비교적 적어 예컨대 2, 3개일 때 이러한 구조의 조립 오차가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비교적 작으며, 카메라렌즈와 촬영모듈에 대해 고화소, 고이미징 품질 요구를 제출함에 따라, 렌즈 수량이 많아지고 누적 오차가 지속적으로 커져, 종래기술에 따른 카메라렌즈 구조는 카메라렌즈와 촬영모듈에 대한 요구에 심각히 부적절하다. 본 발명은 하나의 분리식 카메라렌즈를 제공하는 데, 복수개의 카메라렌즈 그룹을 조립해 하나의 일체형 카메라렌즈를 형성함으로써, 각 카메라렌즈 그룹 중의 렌즈 수량이 비교적 적어지고, 각 카메라렌즈 그룹의 조립 오차가 비교적 작아지지만, 각 상기 카메라렌즈 그룹으로 구성된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의 렌즈 총 수량이 비교적 많으므로, 비교적 높은 화소를 제공할 수 있고, 누적 오차가 비교적 작다. 또한, 각 상기 그룹 단일체가 조립되어 상기 다중 그룹 카메라렌즈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액티브 얼라인먼트(Active Alignment,AA)방식으로 조립해 각 상기 카메라렌즈 그룹 사이의 상대적 오차를 줄임으로써, 상기 다중 그룹 카메라렌즈가 비교적 우수한 광학 일치성을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분리식 카메라렌즈를 제공하는 데, 복수개의 카메라렌즈 그룹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각 카메라렌즈 그룹은 복수개의 렌즈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카메라렌즈 그룹을 통해 조합에 의해 다중 렌즈인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를 형성한다. 각 상기 카메라렌즈 그룹은 조립과정에서 상기 카메라렌즈 그룹의 상대적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의 전체 조립 공차를 줄여 고화소 카메라의 형성에 더 적절하도록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 상기 다중 그룹 카메라렌즈의 인접한 상기 카메라렌즈 그룹 사이에 고리형의 하나의 빛차단소자를 설치해 인접한 카메라렌즈 그룹 사이의 광선을 차단하고 인접한 상기 카메라렌즈 그룹 사이에 예정된 광 채널을 형성한다. 상기 빛차단소자는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 구조에 호응해 설계하고,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의 복수개의 상기 카메라렌즈 그룹의 조립방식에 적응시킴으로써, 종래기술에 따른 스페이서링을 응용할 때 발생하는 설치의 불편, 불안정과 변형 가능성 등 문제를 피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상기 빛차단소자는 상방에 위치한 상기 카메라렌즈 그룹의, 저단에 위치한 렌즈 부위에 설치될 수 있고, 하방에 위치한 상기 카메라렌즈 그룹의 꼭대기단의 렌즈 부위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더 나아가, 상기 빛차단소자는 도포, 스프레이 코팅, 실크 스크린 프린팅 등 방식으로 부착하는 것처럼 블랙검을 도포하듯이 상기 렌즈에 부착될 수 있는 데, 즉, 상방에 위치한 상기 카메라렌즈 그룹의, 저단에 위치한 상기 렌즈의 바닥면에 부착하고/하거나 하방에 위치한 상기 카메라렌즈 그룹의 꼭대기단의 렌즈의 꼭대기면에 부착함으로써, 인접한 상기 카메라렌즈 그룹 사이의 미광과 산광을 차단하고, 예정된 광 채널을 형성한다. 상기 빛차단소자는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의 구조에 호응해 서로 독립된 상기 카메라렌즈 그룹을 조립함으로써, 전체 카메라의 측면이 미광과 산광으로부터 방해받는 것을 피면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에서는 2개의 상기 카메라렌즈 그룹으로 구성된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 예를 들어,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과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을 실례로 들어 설명한다. 물론,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는 3개 또는 3개이상과 같이 더 많은 상기 카메라렌즈 그룹을 포함할 수 있는 데, 본 발명은 이 측면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하나의 분리식 카메라렌즈를 제공하는 데, 그는 하나의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 하나의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과 적어도 하나의 빛차단소자(3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은 하나의 제1 렌즈세트(11)와 하나의 제1 렌즈튜브(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은 하나의 제2 렌즈세트(21)와 하나의 제2 렌즈튜브(22)를 더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1 렌즈세트(11)는 상기 제1 렌즈튜브(12) 중에 설치되고, 여기에서, 상기 제2 렌즈세트(21)는 상기 제2 렌즈튜브(22) 중에 설치된다. 무엇보다도, 상기 빛차단소자(30)는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과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 사이의 연결 위치의 외부 광선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과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 광선이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 내부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과 제2그룹 사이에 예정된 광 채널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은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에 조립되어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과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은 조립되어 계단식 카메라의 형태를 형성한다. 물론,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과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은 후속 단계에 더 조립되어 촬영모듈을 형성한다.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 중에서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의 상기 제1 렌즈세트(11)는 하나의 제1 렌즈(111), 하나의 제2 렌즈(112)와 하나의 제3 렌즈(11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의 상기 제2 렌즈세트(21)는 하나의 제4 렌즈(211), 하나의 제5 렌즈(212)와 하나의 제6 렌즈(213)를 더 포함한다. 무엇보다도, 본 바람직한 실시예 중에서, 상기 제1 렌즈세트(11)와 제2 렌즈세트(21) 중에 포함된 렌즈의 수량은 본 발명의 표적을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촬영모듈이 카메라렌즈에 대한 요구에 근거해 렌즈의 수량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렌즈의 결과를 설명하는 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해, 특별히 렌즈별로 표시하였다. 상기 제1 렌즈(111), 상기 제2 렌즈(112)와 상기 제3 렌즈(113)는 상기 제1 렌즈튜브(12) 중에 설치되고, 상기 제4 렌즈(211), 상기 제5 렌즈(212)와 상기 제6 렌즈(213)는 상기 제2 렌즈튜브(22) 중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가 2개의 상기 카메라렌즈 그룹을 포함하는 것을 실례로 들었으며, 기타 변형 실시방식에서는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 또한 더 많은 상기 카메라렌즈 그룹을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인접한 2개 상기 카메라렌즈 그룹 사이는 상기 빛차단소자를 설치해 측면 광선이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에 투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근거해, 상기 빛차단소자(32)는 인접한 상기 카메라렌즈 그룹 중에서 하방에 위치한 상기 카메라렌즈 그룹의, 꼭대기단에 위치한 렌즈의 꼭대기면에 설치된다. 더 상세하게, 상기 빛차단소자(32)는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의 상기 제4 렌즈(211)의 꼭대기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4 렌즈(211)의 가장자리 영역을 차단하고, 상기 제4 렌즈(211)의 중심 영역에 예정된 광 채널을 형성해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의 광선이 예정 광 채널를 통해 통과하도록 한다. 무엇보다도, 상기 빛차단소자(32)가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과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의 사이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과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이 연결되는 위치 부위의 광선이 상기 분리식카메라 내부의 광 채널에 침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빛차단소자(32)는 하나의 부착층, 예를 들어, 도포, 스프레이 코팅, 실크 스크린 프린팅 등 방식으로 설치된 부착층일 수 있거나 또는 접착 방식으로 설치된 부착층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빛차단소자(32)는 고리형의 블랙검층과 같은 하나의 블랙검층일 수 있다.
무엇보다도,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의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과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의 사이는 스페이서링과 같은 하나의 광로소자를 설치해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과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의 사이에 예정된 광선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미광과 산광을 방지한다. 다시 말해, 제3 렌즈(113)와 같은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 저단의 렌즈와,상기 제4 렌즈(211)와 같은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의 꼭대기단의 렌즈 사이는 적어도 하나의 광로소자를 설치하지만, 통상적인 스페이서링 설치방식은 인접한 2개 렌즈 사이에 클램핑되고, 재질면에서 경량화와 초박형을 구현하였으므로, 상기 광로소자가 종래기술에 따른 스페이서링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의 저단이 적절한 설치위치를 제공할 수 없고, 상기 스페이서링이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적절한 설치 위치를 제공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이 실시예에서, 상기 스페이서링은 상기 제4 렌즈(211)의 꼭대기 표면에 설치할 수 밖에 없으며, 상기 스페이서링은 하방이 상기 제4 렌즈(211)에 의해 지지되나 상방이 고정될 수 없어, 종래기술에 따른 스페이서링이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의 구조에 적응할 수 없다. 본 발명에 대해, 상기 빛차단소자(32)는 상기 제3 렌즈(113)와 같이 상기 위 그룹 카메라(10)의 저단의 상기 렌즈에 부착되어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제4 렌즈(211)와 같이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의, 꼭대기단에 위치한 상기 렌즈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과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의 사이에 예정된 광로를 형성하고, 종래기술에 따른 스페이서링처럼 클램핑될 필요가 없다.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의 가장 바닥측의 렌즈는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즉, 상기 제3 렌즈(113)에서, 억지끼움을 통해 상기 제1 렌즈튜브(12)와 서로 조립하는 외에도, 레이저 용접, 초음파 용접 등 방식을 통해 상기 제1 렌즈튜브(12)와 서로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그는 측면 접착제 도포 방식을 통해 고정을 강화한다. 더 상세하게, 상기 제1 렌즈튜브(12) 저단부 내측은 적어도 하나의 보강 고정홈을 구비해 접착 매개체(41)를 수용하는 데 사용함으로써, 저단에 위치한 상기 제3 렌즈(113)를 보강 고정한다. 상기 접착 매개체(41)는 UV접착제, 열경화 접착제, UV열경화 접착제 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 고정홈은 대칭되게 상기 제1 렌즈튜브(12) 내측면과 상기 제3 렌즈(113)의 사이에 분포해 대응되는 상기 제3 렌즈(113)에게 균일하게 받는 힘을 제공하고, 접착 매개체(41)가 환경의 영향을 받아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접착 매개체(41)이 열팽창될 때 받는 힘이 균일하지 않는 때와 같은 상기 제3 렌즈(113)의 작용력 불균일을 방지한다.
상기 보강 고정홈은 수요에 따라, 쐐기형, 삼각형, 사다리꼴, 장방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설계할 수 있다. 상기 보강 고정홈은 분리식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할 수 있고, 연통홈일 수도 있는 데, 다시 말해, 하나의 일체형의 고리형 홈을 형성하고, 고리형 홈의 단면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 고정홈의 깊이는 대응되는 상기 제3 렌즈(113)의 가장자리의 두께보다 얇아 상기 보강 고정홈과 상기 제3 렌즈(113)의 꼭대기면 가장자리 중간에 간격이 존재하지 않도록 해 접착제가 간격을 투과해 내부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접착 매개체(41)는 상기 제3 렌즈(113)의 꼭대기면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와 도면에서, 상기 보강 고정홈은 사다리꼴 구조이고, 4개의 상기 보강 고정홈은 대칭되게 분포된다. 물론, 본 발명의 기타 실시방식에서, 상기 보강 고정홈과 대응되는 상기 접착 매개체(41)는 3개, 5개 및 5개 이상 등과 같은 기타 형태와 기타 수량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 측면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카메라렌즈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격리부품(31)을 더 포함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격리부품(31)은 바람직하게, 스페이서링이다. 무엇보다도, 상기 스페이서링(31)은 고리형의 광선 불투과성(light-tight) 재질을 사용한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격리부품(31)과 상기 빛차단소자(32)는 하나의 격리유닛을 구성하고, 별도로 인접 렌즈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에게 예정된 광 채널을 형성한다.
상기 빛차단소자(32)는 상기 렌즈의 표면에 도포되고, 광선 불투과성 자재로서, 광선이 상기 빛차단소자(32)로 커버된 상기 렌즈의 표면을 투과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시 말해, 상기 빛차단소자(32)는 별도로 상기 렌즈의 격리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렌즈 사이의 광학 간격, 유효 광선 투과 구경과 광축의 일치성을 보증한다.
더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렌즈(111)와 상기 제2 렌즈(112)의 사이는 상기 격리부품(31)이 설치되고, 상기 제2 렌즈(112)와 상기 제3 렌즈(113)의 사이는 상기 격리부품(31)이 설치되며, 상기 제3 렌즈(113)와 상기 제4 렌즈(211)의 사이는 상기 빛차단소자(32)가 설치되고, 상기 제4 렌즈(211)와 상기 제5 렌즈(212)의 사이는 상기 격리부품(31)이 설치되고, 상기 제5 렌즈(212)와 상기 제6 렌즈(213)의 사이는 상기 격리부품(31)이 설치된다. 상기 렌즈의 광학 설계에 근거해, 상기 렌즈 사이의 거리에 대해 다양한 요구를 제출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렌즈(111)와 상기 제2 렌즈(112)의 사이는 상기 스페이서링(31)을 통해 거리를 두며, 효과적으로 상기 제1 렌즈(111)와 상기 제2 렌즈(112)를 고정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의 상기 제5 렌즈(212)와 상기 제6 렌즈(213)의 사이에 대해, 상기 스페이서링(31)을 통해 사이의 간격을 보증한다. 설치 시의 식별에 편리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빛차단소자(32)는 상기 제4 렌즈(21)의 상표면에 부착된다. 물론, 각 상기 빛차단소자(32)의 도포 면적과 두께는 각각 설계 요구에 근거해 가공한다. 종래기술에 대비해, 상기 카메라렌즈 그룹의 설치는 수많은 부속품의 조립을 줄이고 설치의 안정성을 증강시켰다. 따라서,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렌즈(111), 상기 스페이서링(31), 상기 제2 렌즈(112)와 상기 제3 렌즈(113)가 차례대로 상기 제1 렌즈튜브(12)에 설치된다.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4 렌즈(211), 상기 제5 렌즈(212), 상기 스페이서링(31)과 상기 제6 렌즈(213)를 차례대로 상기 제2 렌즈튜브(22)에 설치하기만 하면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렌즈(113)와 상기 제4 렌즈(211)의 스페이서링에 대한 설치와 같이, 종래기술 중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링에 대한 설치를 줄인다. 이로부터 알 수 있다 시피, 상기 빛차단소자(32)는 상기 렌즈 표면에 부착될 때, 상기 빛차단소자(32)를 사용해 뚜렷하게 상기 카메라렌즈 그룹의 설치 난이도를 낮추고, 상기 렌즈 사이의 간격 거리를 줄이며, 상기 카메라렌즈 그룹의 높이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설치할 때의 부속품 감소는 공차 보증과 설치 정밀도 향상에 이롭다. 특히,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과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을 조립할 때, 상기 제3 렌즈(113)와 상기 제4 렌즈(211)의 사이는 상기 스페이서링(31)을 감안할 필요가 없이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과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의 설치 난이도가 낮아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4 렌즈(211)가 도포하는 상기 빛차단소자(32)는 광학 설계가 요구하는 조건을 보증하고,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의 양산 효율에 대해 아주 강유력하게 촉진 역할을 한다.
물론,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에서, 상기 빛차단소자(32)는 상기 제3 렌즈(113)의 바닥 표면에 설치될 수 있어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과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의 사이에 예정된 광로를 형성한다. 또한, 기타 렌즈 사이의 상기 격리부품(31)은 상기 빛차단소자(32)로 대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의 상기 렌즈튜브는 하나의 고정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렌즈튜브(12)는 하나의 제1 고정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렌즈튜브(22)는 하나의 제2 고정부(2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정부(120)와 상기 제2 고정부(220)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렌즈튜브(12)와 상기 제2 렌즈튜브(22)가 일체형 카메라렌즈로 조립된다. 상기 제1 고정부(120)는 상기 제1 렌즈튜브(12)의 저단부로 실시되고, 상기 제2 고정부(220)는 상기 제2 렌즈튜브(22)의 꼭대기단부로 실시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고정부(120)가 상기 제1 렌즈튜브(12)의 직경이 커지는 저단부로 실시된다. 바람직하게, 액티브 얼라인먼트(AA, Active Alignment)기술에서, 상기 제1 렌즈튜브(12)와 상기 제2 렌즈튜브(22) 중의 상기 렌즈는 광축 일치성을 보증해 광학 설계를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고정부는 하나의 내부 고정면(121)과 하나의 외부 고정면(12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220)는 하나의 외부 고정면(222)을 더 포함하는 데, 여기에서, 상기 외부 고정면(122)은 상기 제1 렌즈튜브(12)의 아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데, 즉, 상기 외부 고정면(122)은 상기 제1 렌즈튜브(12)의 바닥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2 고정부(220)의 상기 외부 고정면(222)은 상기 제2 렌즈튜브(22)의 위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데, 즉, 상기 외부 고정면(222)은 상기 제2 렌즈튜브(22)의 꼭대기면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고정부(120)의 외부 고정면(122)과 상기 제2 고정부(220)의 외부 고정면(222)은 연결 매개체(42)를 통해 연결되며, 더 나아가,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과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을 연결고정한다. 상기 제1 내부 고정면(121)은 상기 제3 렌즈(113)를 상기 제1 렌즈튜브(12)에 고정한다. 바람직하게, 본 바람직한 실시예는 UV열경화 접착제의 연결 매개체(42)로 실시되어, 상기 제1 고정부(120)와 상기 제2 고정부(220)를 연결한다. 상기 제1 고정부(120)의 외부 고정면(122)과 상기 제2 고정부(220)의 외부 고정면(222)은 서로 대응되게 상기 제1 렌즈튜브(12)와 상기 제2 렌즈튜브(22)에 설치되는 데, 이와 같이, 직접 대응되게 상기 제1 고정부(120)의 외부 고정면(122)과 상기 제2 고정부(220)의 외부 고정면(222)을 조립하고, 상기 제1 렌즈튜브(12)와 상기 제2 렌즈튜브(22)는 정확하게 정확한 위치에 조립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제2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제1 바람직한 실시예가 사용하는 렌즈와 유사한 렌즈를 설치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A)의 상기 제1 렌즈세트(11A)는 하나의 제1 렌즈(111A), 하나의 제2 렌즈(112A)와 하나의 제3 렌즈(113A)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A)의 상기 제2 렌즈세트(21A)는 하나의 제4 렌즈(211A), 하나의 제5 렌즈(212A)와 하나의 제6 렌즈(213A)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렌즈(111A), 상기 제2 렌즈(112A)와 상기 제3 렌즈(113A)는 상기 제1 렌즈튜브(12A) 중에 설치되고, 상기 제4 렌즈(211A), 상기 제5 렌즈(212A)와 상기 제6 렌즈(213A)는 상기 제2 렌즈튜브(22A) 중에 설치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격리부품은 바람직하게, 4개의 스페이서링(31A)이다. 상기 빛차단소자(32A)는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A)의 상기 제4 렌즈(211A)의 꼭대기 표면에 설치된다. 다시 말해, 이 실시예에서, 4개의 상기 스페이서링(31A)과 하나의 상기 빛차단소자(32A)는 상기 격리유닛(30A)을 구성하고, 공동으로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에게 예정된 광 채널을 형성한다. 무엇보다도, 상기 스페이서링(31A)은 고리형의 광선 불투과성 재질을 사용한다. 다시 말해, 상기 빛차단소자(30A)는 별도로 상기 렌즈의 간격에 구비되어 상기 렌즈 사이의 광학 간격, 유효 광선 투과 구경과 광축의 일치성을 보증한다. 상기 격리유닛(30A)의 상기 스페이서링(31A)는 별도로 상기 제1 렌즈(111A)와 상기 제2 렌즈(112A)의 사이, 상기 제2 렌즈(112A)와 상기 제3 렌즈(113A)의 사이, 상기 제4 렌즈(211A)와 상기 제5 렌즈(212A)의 사이, 상기 제5 렌즈(212A)와 상기 제6 렌즈(213A)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빛차단소자(32A)는 상기 제3 렌즈(113A)와 상기 제4 렌즈(211A)의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렌즈의 광학 설계에 근거해, 상기 렌즈 사이의 거리에 대해 다양한 요구를 제출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렌즈(111A)와 상기 제2 렌즈(112A)의 사이는 상기 스페이서링(31A)을 통해 거리를 두고, 효과적으로 상기 제1 렌즈(111A)와 상기 제2 렌즈(112A)를 고정한다. 마찬가지로, 기타 상기 렌즈 사이의 거리 또한 상기 스페이서링(31A) 또는 상기 빛차단소자(32A)를 통해 간격의 유효성을 보증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A)과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A)의 조립관계는 상기 제1 렌즈튜브(12A)의 상기 제1 외부 고정면(122A)과 상기 제2 렌즈튜브(22A)의 상기 제2 고정부(222A)를 이용하였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외부 고정면(122A)은 상기 제1 렌즈튜브(12A)의 저부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외부 고정면(222A)은 상기 제2 렌즈튜브(11A)의 꼭대기면에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고정부(120A)의 외부 고정면(122A)과 상기 제2 고정부(220A)의 외부 고정면(222A)은 연결 매개체(42A)를 통해 연결되고, 더 나아가,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A)과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A)를 연결고정하는 데, 즉,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A)의 상기 제1 렌즈튜브(12A)의 저단 외측면과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A)의 상기 제2 렌즈튜브(22A)의 꼭대기면은 상기 연결 매개체(42A)를 통해 고정한다. 상기 제1 내부 고정면(121A)은 상기 제3 렌즈(113A)를 상기 제1 렌즈튜브(12A)에 고정한다. 바람직하게, 본 바람직한 실시예는 UV 열경화 접착제를 이용해 상기 제1 고정부(120A)와 상기 제2 고정부(220A)를 연결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렌즈튜브(11A)의 가장자리는 상기 제2 렌즈튜브(22A)보다 약간 작아, 상기 제1 렌즈튜브(12A)의 상기 제1 외부 고정면(122A)과 상기 제2 렌즈튜브(22A)의 상기 제2 고정부(222A)를 안정적으로 연결한다.
무엇보다도, 인접한 2개 상기 렌즈 사이는 상기 빛차단소자(32C)를 설치할 때, 상방에 위치한 상기 렌즈의 바닥면을 설치할 수 있고, 하방에 위치한 상기 렌즈의 꼭대기면도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서 도시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렌즈(111C)와 상기 제2 렌즈(112C) 사이의 상기 빛차단소자(32C)는 상기 제1 렌즈(111C)의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렌즈(112C)의 꼭대기면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2 렌즈(112C)와 상기 제3 렌즈(113C) 사이의 상기 빛차단소자는 상기 제2 렌즈(112C)의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3 렌즈(113C)의 꼭대기면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4 렌즈(211C)와 상기 제5 렌즈(212C) 사이의 상기 빛차단소자(32C)는 상기 제4 렌즈(211C)의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5 렌즈(212C)의 꼭대기면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5 렌즈(212C)와 상기 제6 렌즈(213C) 사이의 상기 빛차단소자(32C)는 상기 제5 렌즈(212C)의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6 렌즈(213C)의 꼭대기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4a에서는 상기 빛차단소자(32C)가 별도로 상기 제1 렌즈(111C)의 바닥면, 상기 제2 렌즈(112C)의 바닥면, 상기 제3 렌즈(113C)의 바닥면, 상기 제4 렌즈(211C)의 바닥면과 상기 제5 렌즈(212C)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는 데, 본 발명은 치 측면에서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다양한 위치의 각종 가능한 조합일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바람직한 실시예는 제1 바람직한 실시예와 유사한 렌즈 조합을 이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B)의 상기 제1 렌즈세트(11B)는 하나의 제1 렌즈(111B), 하나의 제2 렌즈(112B)와 하나의 제3 렌즈(113B)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B)의 상기 제2 렌즈세트(21B)는 하나의 제4 렌즈(211B), 하나의 제5 렌즈(212B)와 하나의 재6렌즈(213B)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렌즈(111B), 상기 제2 렌즈(112B)와 상기 제3 렌즈(113B)는 상기 제1 렌즈튜브(12B)중에 설치되고, 상기 제4 렌즈(211B), 상기 제5 렌즈(212B)와 상기 제6 렌즈(213B)는 상기 제2 렌즈튜브(22B) 중에 설치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격리유닛(30B)은 바람직하게, 4개의 스페이서링(31B)과 하나의 빛차단소자(32B)로 구성된다. 무엇보다도, 상기 스페이서링(31B)은 고리형 불투과성 자재를 사용한다. 상기 빛차단소자(32B)는 상기 렌즈의 표면에 도포되는 광선 불투과성 자재를 사용해 광선이 상기 빛차단소자(32B)로 커버된 상기 렌즈의 표면을 투과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시 말해, 상기 격리유닛(30B)은 별도로 상기 렌즈의 간격에 구비되어 상기 렌즈 사이의 광학 간격, 유효 광선 투과 구경과 광축의 일치성을 보증한다. 상기 제1 렌즈(111B)와 상기 제2 렌즈(112B)의 사이에 상기 스페이서링(31B)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렌즈(112B)와 상기 제3 렌즈(113)의 사이에 상기 스페이서링(31B)이 설치되며, 상기 제3 렌즈(113)와 상기 제4 렌즈(211B)의 사이에 상기 빛차단소자(32B)가 설치되고, 상기 제4 렌즈(211B)와 상기 제5 렌즈(212B)의 사이에 상기 스페이서링(31B)이 설치되며, 상기 제5 렌즈(212B)와 상기 제6 렌즈(213B)의 사이에 상기 스페이서링(31B)이 설치된다. 상기 렌즈의 광학 설계에 근거해, 상기 렌즈 사이의 거리에 대해 다양한 요구를 제출한다.
무엇보다도, 상기 빛차단소자(32B)는 상기 제4 렌즈(211B)의 상표면에 도포된다. 물론, 상기 빛차단소자(32B)의 도포 면적과 두께는 별도로 설계 요구에 근거해 가공한다. 종래기술에 대비해, 2개의 상기 카메라렌즈 그룹의 설치는 중간 부속품의 조립을 줄였다. 따라서,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B)을 설치할 때, 상기 제1 렌즈(111B), 상기 스페이서링(31B), 상기 제2 렌즈(112B), 상기 스페이서링(31B)과 상기 제3 렌즈(113B)가 차례대로 상기 제1 렌즈튜브(12B)에 설치된다.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B)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4 렌즈(211B), 상기 스페이서링(31B), 상기 제5 렌즈(212B), 상기 스페이서링(31B)과 상기 제6 렌즈(213B)가 차례대로 상기 제2 렌즈튜브(22B)에 설치된다. 종래기술 중의 스페이서링에 대한 설치를 줄였다. 이로부터 알 수 있다 시피, 상기 빛차단소자(32B)를 사용하면, 상기 카메라렌즈 그룹의 설치 난이도를 뚜렷하게 낮출 수 있다. 다양한 광학 설계의 수요에 근거해, 상기 빛차단소자(32B)를 상기 렌즈의 상표면 또는 하표면에 구비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B)과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B)을 조립할 때, 상기 제3 렌즈(113B)와 상기 제4 렌즈(211B)의 사이는 기타 요소를 감안할 필요가 없고,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B)과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B)의 설치 난이도를 낮추었다. 또한, 상기 제4 렌즈(211B)가 도포한 고리형 상기 빛차단소자(32B)는 광학 설계가 요구하는 조건을 보증할 수 있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의 상기 렌즈튜브 사이의 연결고정방식은 하나의 선택가능한 기술방안을 이용하였다. 상기 외부 고정면(122B)은 상기 제1 렌즈튜브(12B)의 저단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고정부(220B)의 상기 외부 고정면(222B)은 상기 제2 렌즈튜브(22B)의 꼭대기 내측에 위치한다. 상기 제2 렌즈튜브(22B) 내측은 하나의 고정홈(223B)을 더 구비하는 데, 그는 상기 제2 렌즈튜브(22B)의 꼭대기부에 위치해 고리형을 이룰 수 있고,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B)을 따라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B)을 향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내경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렌즈튜브(12B)의 상기 제1 외부 고정면(122B)과 서로 대응되어 상기 고정홈(223B)에 연결 매개체(42B)가 충전되도록 함으로써, 충분히 상기 제1 렌즈튜브(12B)의 상기 제1 외부 고정면(122B)과 접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고정부(120B)의 외부 고정면(122B)과 상기 제2 고정부(220B)의 외부 고정면(222B)은 연결 매개체(42B)를 통해 연결되고, 더 나아가,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B)과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B)를 연결고정한다. 또한, 상기 고정홈(223B)은 연결 접착제가 과량으로 상기 제2 렌즈튜브(22B)의 내부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홈(223B)을 이용해, 상기 제1 외부 고정면(122B)은 조립할 때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1그룹(10B)과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B)을 조립하는 정확성을 보증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렌즈튜브(12B) 저단은 비교적 작은 직경을 구비하는 데, 그는 상기 제2 렌즈튜브(22B)의 꼭대기와 서로 감합되게 설치되고, 액티브 얼라인먼트 공법을 실시한 후, 접착제로 고정함으로써, 측면의 광선이 일체형 카메라렌즈에 침투되는 것을 방지한다.
무엇보다도, 상기 빛차단소자(32B)의 위치가 종래기술에 따른 스페이서링이 설치될 때, 상기 스페이서링의 직경이 통상적으로 상기 제2 렌즈튜브(22B)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스페이서링이 통상적으로 인접한 렌즈의 클램핑 역할을 통해 고정됨으로써, 클램핑이 가능한 인접한 2개의 렌즈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4 렌즈(211B)와 상기 제2 렌즈튜브(22B)의 상기 제2 고정부(220B)의 상기 외부 고정면(222B)의 내측을 통해 클램핑해 고정해야 하는데, 렌즈 사이의 클램핑에 대비해, 상기 외부 고정면(222B)이 제공할 수 있는 클램핑, 의존 영역이 비교적 작으므로, 스페이서링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없고, 스페이서링이 쉽게 변형되므로,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B)이 거꾸로 조립될 때, 상기 스페이서링은 쉽게 변형된다. 세척과 같은 외부 작용을 받을 때, 쉽게 이탈하며, 본 발명에서, 상기 빛차단소자(32B)는 상기 제4 렌즈(222B)의 상표면에 부착되므로, 상기 외부 고정면(222B)에게 설치 의존면을 제공할 필요가 없어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의 구조에 더 적절하다.
바람직하게, 액티브 얼라인먼트 기술을 통해, 상기 제1 렌즈튜브(12B)와 상기 제2 렌즈튜브(22B) 중의 상기 렌즈는 광축 일치성을 보증해 광학 설계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B)과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B)을 조립하는 경우에는, 직접 대응되게 상기 제1 고정부(120B)의 외부 고정면(122B)과 상기 제2 고정부(220B)의 외부 고정면(222B)을 조립하고, 상기 제1 렌즈튜브(12B)와 상기 제2 렌즈튜브(22B)는 정확한 위치에 정확하게 조립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홈(223B) 내 접착제 도포를 통해 고정한다.
도 4A는 본 발명이 제4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는 2개 카메라렌즈 그룹의 형식을 이용하고,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C)의 상기 제1 렌즈세트(11C)는 하나의 제1 렌즈(111C), 하나의 제2 렌즈(112C)와 하나의 제3 렌즈(113C)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C)의 상기 제2 렌즈세트(21C)는 하나의 제4 렌즈(211C), 하나의 제5 렌즈(212C)와 하나의 제6 렌즈(213C)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렌즈(111C), 상기 제2 렌즈(112C)와 상기 제3 렌즈(113C)는 상기 제1 렌즈튜브(12C) 중에 설치되고, 상기 제4 렌즈(211C), 상기 제5 렌즈(212C)와 상기 제6 렌즈(213C)는 상기 제2 렌즈튜브(22C) 중에 설치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격리유닛(30C)은 바람직하게, 5개의 빛차단소자(32C)이다. 무엇보다도, 상기 빛차단소자(32C)는 상기 렌즈의 하표면에 도포되며, 광선 불투과성 재질을 사용해 광선이 상기 빛차단소자(32C)로 커버된 상기 렌즈의 표면을 투과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시 말해, 상기 빛차단소자(30C)은 별도로 상기 렌즈의 간격에 구비되어 상기 렌즈사이의 광학 간격, 유효 광선 투과 구경과 광축의 일치성을 보증한다. 상기 제1 렌즈(111C)와 상기 제2 렌즈(112C)의 사이는 상기 빛차단소자(32C)가 사용되고, 상기 제2 렌즈(112C)와 상기 제3 렌즈(113C)의 사이는 상기 빛차단소자(32C)가 사용되며, 상기 제3 렌즈(113C)와 상기 제4 렌즈(211C)의 사이는 상기 빛차단소자(32C)가 사용되고, 상기 제4 렌즈(211C)와 상기 제5 렌즈(212C)의 사이는 상기 빛차단소자(32C)가 사용되며, 상기 제5 렌즈(212C)와 상기 제6 렌즈(213C) 사이는 상기 빛차단소자(32C)가 사용된다. 이와 같이, 상기 렌즈를 상기 렌즈튜브까지 설치할 때, 상기 빛차단소자(32C)의 위치에 근거해 직접 설치방향을 판단한다. 또한, 상기 빛차단소자(32C)는 상기 렌즈의 광학 설계에 근거해, 상기 렌즈 사이의 광선 투과 구경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킨다.
물론, 상기 빛차단소자(32C)의 도포 면적과 두께는 별도로 설계 요구에 근거해 가공한다. 종래기술에 대비해, 2개의 상기 카메라렌즈 그룹을 설치해 미들부품의 조립을 줄인다. 따라서,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C)을 설치하는 경우, 상기 제1 렌즈(111C), 상기 제2 렌즈(112C)와 상기 제3 렌즈(113C)를 차례대로 상기 제1 렌즈튜브(12C)에 설치해야 한다.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C)을 설치하는 경우, 상기 제4 렌즈(211C), 상기 제5 렌즈(212C)와 상기 제6 렌즈(213C)는 차례대로 상기 제2 렌즈튜브(22C)에 설치해야 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스페이서링의 설치를 줄였다. 이로부터 알 수 있다 시피, 상기 빛차단소자(32C)를 사용하면 뚜렷하게 상기 카메라렌즈 그룹의 설치 난이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상기 빛차단소자(32C)는 상기 카메라의 하표면에 도포되는 것이 상기 렌즈의 상표면에 도포되는 것보다 페인트 사용량이 약간 적지만 효과는 같다. 다양한 광학 설계의 수요에 근거해, 상기 빛차단소자(32C)를 상기 렌즈의 상표면 또는 하표면에 구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C)과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C)을 조립할 때, 상기 렌즈 사이는 기타 요소를 감안할 필요가 없으며,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C)와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C)의 설치 난이도가 낮아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3 렌즈(113C)가 도포하는 상기 빛차단소자(32C)는 광학 설계가 요구하는 조건을 보증하고, 생산의 난이도와 원가 면에서 모두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C)과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C)의 조립 관계는 상기 제1 렌즈튜브(12C)의 상기 외부 고정면(122C)과 상기 제2 렌즈튜브(22C)의 상기 외부 고정면(222C)을 이용하였다. 무엇보다도, 상기 외부 고정면(122C)은 상기 제1 렌즈튜브(12C)의 측면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외부 고정면(222C)에 대응되게 상기 제1 렌즈튜브(12C)에서 돌출된 상기 제1 고정부(120C)의 바닥측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고정부(120C)는 상기 제1 렌즈튜브(12C)의 저단부가 아니며, 상기 제1 렌즈튜브(12C)에서 돌출된 측면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 고정면(122C)은 상기 제1 렌즈튜브(12C)의 주체에서 돌출된 제1 고정부(120C)에 구비되고, 상기 외부 고정면(222C)은 상기 제2 렌즈튜브(11C)의 꼭대기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렌즈튜브(12C)가 상기 제2 외부 고정면(222C)에서 지지해 준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고정부(120C)의 외부 고정면(122C)과 상기 제2 고정부(220C)의 외부 고정면(222C)은 연결 매개체(42)를 통해 연결되며, 더 나아가,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C)과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C)을 연결 고정한다. 상기 제1 내부 고정면(121C)은 상기 제3 렌즈(113C)를 상기 제1 렌즈튜브(12C)에 고정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렌즈튜브(11C)의 가장자리는 상기 제2 렌즈튜브(22C)보다 약간 작아 상기 제1 렌즈튜브(12C)의 상기 제1 외부 고정면(122C)과 상기 제2 렌즈튜브(22C)의 상기 제2 고정부(222C)가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상기 제1 렌즈튜브(12C)의 상기 제1 외부 고정면(122C)을 이용하면, 제1 바람직한 실시예보다 전체적인 측면에서 상기 제1 렌즈튜브(12C)의 폭을 줄인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동일 효과 실시방식을 도시하였다. 이 방식에서, 상기 빛차단소자(32C)는 상기 제3 렌즈(113C)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예를 들어, 상기 제1 렌즈(111C)와 상기 제2 렌즈(112C)의 사이, 상기 제2 렌즈(112C)와 상기 제3 렌즈(113C)의 사이, 상기 제4 렌즈(211C)와 상기 제5 렌즈(212C)의 사이 및 상기 제5 렌즈(212C)와 상기 제6 렌즈(213C)의 사이와 같은 기타 위치는 상기 격리부품(31C)를 설치한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제5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2개의 상기 상기 카메라렌즈 그룹의 방식을 이용하는 데, 여기에서,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D)의 상기 제1 렌즈세트(11D)는 하나의 제1 렌즈(111D), 하나의 제2 렌즈(112D)와 하나의 제3 렌즈(113D)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D)의 상기 제2 렌즈세트(21D)는 하나의 제4 렌즈(211D), 하나의 제5 렌즈(212D)와 하나의 제6 렌즈(213D)를 더 포함한다. 무엇보다도,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렌즈세트(11D)와 제2 렌즈세트(21D) 중에 포함된 렌즈의 수량은 본 발명의 표적을 한정하지 않으며, 다양한 촬영모듈이 카메라렌즈에 대한 요구에 근거해 렌즈의 수량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렌즈의 결과를 설명하는 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해, 특별히 렌즈별로 표시하였다. 상기 제1 렌즈(111D), 상기 제2 렌즈(112D)와 상기 제3 렌즈(113D)는 상기 제1 렌즈튜브(12D) 중에 설치되고, 상기 제4 렌즈(211D), 상기 제5 렌즈(212D)와 상기 제6 렌즈(213D)는 상기 제2 렌즈튜브(22D) 중에 설치된다.
더 상세하게, 상기 빛차단소자(30D)는 적어도 하나의 격리부품을 더 포함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격리부품은 바람직하게, 4개의 스페이서링(31D)과 하나의 빛차단소자(32D)이다. 무엇보다도, 상기 스페이서링(31D)은 고리형의 광선 불투과성 재질을 사용한다. 고리형의 상기 빛차단소자(32D)는 상기 렌즈의 표면에 도포되는 광선 불투과성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광선이 상기 빛차단소자(32D)로 커버된 상기 렌즈의 표면을 투과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시 말해, 상기 빛차단소자(30D)는 별도로 상기 렌즈의 간격에 구비되어 상기 렌즈 사이의 광학 간격, 유효 광선 투과 구경과 광축의 일치성을 보증한다. 상기 제1 렌즈(111D)와 상기 제2 렌즈(112D)의 사이는 상기 스페이서링(31D)이 설치되고, 상기 제2 렌즈(112D)와 상기 제3 렌즈(11D3)의 사이는 상기 스페이서링(31D)이 설치되며, 상기 제3 렌즈(113D)와 상기 제4 렌즈(211D)의 사이는 상기 빛차단소자(32D)가 사용되고, 상기 제4 렌즈(211D)와 상기 제5 렌즈(212D)의 사이는 상기 스페이서링(31D)이 설치되고, 상기 제5 렌즈(212D)와 상기 제6 렌즈(213D)의 사이는 상기 스페이서링(31D)이 설치된다. 상기 렌즈의 광학 설계에 근거해, 상기 렌즈 사이의 거리에 대해 다양한 요구를 제출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렌즈(111D)와 상기 제2 렌즈(112D)의 사이는 상기 스페이서링(31D)을 통해 거리를 두고, 효고적으로 상기 제1 렌즈(111D)와 상기 제2 렌즈(112D)를 고정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D)의 상기 제2 렌즈(112D)와 상기 제3 렌즈(113D)의 사이,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D)의 상기 제4 렌즈(211D)와 상기 제5 렌즈(212D)의 사이, 상기 제5 렌즈(212D)와 상기 제6 렌즈(213D)의 사이는 상기 스페이서링(31D)를 통해 사이의 간격을 보증한다. 설치 시의 식별에 편리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빛차단소자(32D)는 상기 제4 렌즈(211D)의 상표면에 도포된다. 물론, 각 상기 빛차단소자(32D)의 도포 면적과 두께는 각각 설계 요구에 근거해 가공한다. 종래기술에 대비해, 상기 카메라렌즈 그룹의 설치는 부속품의 조립을 줄였다. 따라서,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D)을 설치할 때, 상기 제1 렌즈(111D), 상기 스페이서링(31D), 상기 제2 렌즈(112D), 상기 스페이서링(31D)과 상기 제3 렌즈(113D)가 차례대로 상기 제1 렌즈튜브(12D)에 설치된다.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D)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4 렌즈(211D), 상기 스페이서링(31D), 상기 제5 렌즈(212D), 상기 스페이서링(31D)과 상기 제6 렌즈(213D)를 차례대로 상기 제2 렌즈튜브(22D)에 설치하기만 하면 된다. 종래기술 중 스페이서링의 설치를 줄였다. 무엇보다도, 상기 빛차단소자(32D)는 상기 카메라렌즈 그룹의 설치 난이도를 뚜렷하게 낮출 수 있다. 설치할 때 부속품을 줄여 공차 보증과 설치 정밀도 향상에 이롭다. 특히,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D)과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D)을 조립할 때, 상기 제3 렌즈(113D)와 상기 제4 렌즈(211D)의 사이는 기타 부속품을 감안할 필요가 없으며,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D)과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D)의 설치 난이도가 낮아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4 렌즈(211D)가 도포하는 상기 빛차단소자(32D)는 광학 설계가 요구하는 조건을 보증하고,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의 양산 효율에 대해 아주 강유력하게 촉진 역할을 한다.
더 상세하게, 본 발명이 제공하는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의 상기 렌즈튜브는 하나의 고정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렌즈튜브(12D)는 하나의 제1 고정부(120D)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렌즈튜브(22D)는 하나의 제2 고정부(220D)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정부(120)와 상기 제2 고정부(220)는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렌즈튜브(12D)와 상기 제2 렌즈튜브(22D)는 일체형 카메라렌즈로 조립된다. 바람직하게, 액티브 얼라인먼트 기술을 통해, 상기 제1 렌즈튜브(12D)와 상기 제2 렌즈튜브(22D) 중의 상기 렌즈는 광축 일치성을 보증해 광학 설계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고정부는 하나의 내부 고정면(121D)과 하나의 외부 고정면(122D)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220D)는 하나의 외부 고정면(222D)과 하나의 고정홈(223D)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내부 고정면(121D)은 상기 제3 렌즈(113D)를 상기 제1 렌즈튜브(12D)에 고정한다. 무엇보다도, 상기 제1 고정부(120D)는 상기 제1 렌즈튜브(12D)의 측부로 연장되고, 그 바닥측은 상기 고정홈(223D) 중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2 외부 고정면(222D)에 대응되고 상기 고정홈(223D)과 대응되는 돌기를 형성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D)과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D)의 조립관계는 상기 제1 렌즈튜브(12D)의 상기 제1 외부 고정면(122D)과 상기 제2 렌즈튜브(22D)의 상기 제2 외부 고정면(222D)을 이용하였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외부 고정면(122D)은 상기 제1 렌즈튜브(12D)의 측면의 상기 제1 고정부(120D)의 저단돌기의 바닥측면에 연장되고, 상기 고정홈(223D)은 상기 제2 렌즈튜브(22D)의 꼭대기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렌즈튜브(12D)가 상기 제2 외부 고정면(222D)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제1 고정부(120D)의 제1 외부 고정면(122D)과 상기 제2 고정부(220D)의 제2 외부 고정면(222D)은 연결 매개체(42D)를 통해 연결되고, 나아가,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D)과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D)을 연결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122D)는 연결 접착제를 이용해 마주보는 상기 고정홈(223D) 내에 고정되고, 이와 같이, 직접 대응되게 상기 제1 고정부(120D)의 외부 고정면(122D)과 상기 제2 고정부(220D)의 고정홈(223D)을 조립하며, 상기 제1 렌즈튜브(12D)와 상기 제2 렌즈튜브(22D)는 정확하게 정확한 위치에 조립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바람직한 실시예는 UV 열경화 접착제를 사용해 상기 제1 고정부(120D)와 상기 제2 고정부(220D)를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제1 고정부(120D)의 외부 고정면(122D)과 상기 제2 고정부(220D)의 고정홈(223D)은 연결 매개체(42D)를 통해 연결되고, 나아가,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D)과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D)을 연결고정한다. 상기 제1 내부 고정면(121D)은 상기 제3 렌즈(113D)를 상기 제1 렌즈튜브(12D)에 고정한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렌즈튜브(11D)의 가장자리는 상기 제2 렌즈튜브(22D)보다 약간 작아 상기 제1 렌즈튜브(12D)의 상기 제1 외부 고정면(122D)과 상기 제2 렌즈튜브(22D)의 상기 제2 고정부(222D)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제1 렌즈튜브(12D)의 상기 제1 외부 고정면(122D)을 사용하면, 제1바람직한 실시예보다 전체적인 측면에서 상기 제1 렌즈튜브(12D)의 폭을 줄였다. 또한, 상기 고정홈(223D)은 연결 접착제가 과량으로 상기 제1 렌즈튜브(12D)와 상기 제2 렌즈튜브(22D)의 내부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홈(223D)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제1 외부 고정면(122D)이 조립될 때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1그룹(10D)과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D)의 조립 정확성을 보증한다.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립할 때, 먼저, 상기 제1 렌즈(111D), 상기 스페이서링(31D), 상기 제2 렌즈(112D), 상기 스페이서링(31D)과 상기 제3 렌즈(113D)를 차례대로 상기 제1 렌즈튜브(12D)에 설치한다.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D)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4 렌즈(211D), 상기 스페이서링(31D), 상기 제5 렌즈(212D), 상기 스페이서링(31D)과 상기 제6 렌즈(213D)를 차례대로 상기 제2 렌즈튜브(22D)에 설치하기만 하면 된다.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D)과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D)을 설치하는 경우, 상기 상기 제1 고정부(122D)는 연결 접착제를 이용해 마주보는 상기 고정홈(223D) 내에 고정하고, 직접 대응되게 상기 제1 고정부(120D)의 외부 고정면(122D)와 상기 제2 고정부(220D)의 고정홈(223D)을 조립하며, 상기 제1 렌즈튜브(12D)와 상기 제2 렌즈튜브(22D)는 정확하게 정확한 위치에 조립될 수 있다. 액티브 얼라인먼트를 통해,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10D)과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20D)이 조립 완료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촬영모듈의 섹션도이다. 상기 촬영모듈은 하나의자동 초점 조준 촬영모듈이며, 하나의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1), 하나의 드라이버(2), 하나의 회로기판(3), 하나의 베이스(4)와 하나의 감광소자(5)를 포함한다.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1)는 상기 드라이버(2)에 설치되어 자동 초점 조준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버(2)와 상기 감광소자(5)는 도통가능하게 상기 회로기판(3)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4)는 상기 드라이버(2)를 지지하면서 상기 감광소자(5)를 수용하는 데 사용한다.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1)를 통과한 광선은 상기 감광소자(5)에 도달해 광전기 전환을 거쳐 이미징에 사용된다. 대응되게,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1)와 상기 감광소자(5)의 사이는 적외선 차단 광필터 시트, 청색유리 광필터 시트와 같은 하나의 광필터 시트(6)를 설치해 광선 여과 역할을 하도록 한다.
조립과정에서,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1)의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 외에도, 상기 촬영모듈의 기타 구성도 조립한 다음, 이어서, 액티브 얼라인먼트 공법을 거쳐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의 설치 위치를 확정해 고정함으로써, 일체형 촬영모듈을 얻는다. 더 상세하게, 상기 감광소자(5)를 도통가능하게 상기 회로기판(3)에 연결하고, 상기 베이스(4)는 실장 또는 일체형으로 상기 회로기판(3)에 성형되며, 상기 드라이버(2)는 상기 베이스(4)에 설치되어 도통가능하게 상기 회로기판(3)에 연결한다.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1)의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을 상기 드라이버(2)에 설치하고, 다시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과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을 초벌 조립한 다음, 이어서 액티브 얼라인먼트 공법을 실시함으로써, 이미징 품질을 분석해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의 편향, 경사 등 오차를 확정하고, 전체 촬영모듈이 적절한 이미징 품질을 얻을 때 까지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의 위치를 조정하며,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과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을 연결고정한다.
상기 액티브 얼라인먼트 공법에서,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과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의 접착제 도포로 상기 연결 매개체를 형성함으로써 초벌 조립을 완성하며,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의 위치를 확정한 후, 상기 연결 매개체를 완전히 경화해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과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의 연결고정을 완성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의 위치를 확정한 후, 다시 접착제를 도포해 상기 연결 매개체를 형성하고 완전히 경화함으로써,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과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이 일체형 카메라렌즈를 형성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촬영모듈의 섹션도이다. 상기 촬영모듈은 하나의 프라임 촬영모듈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그는 하나의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1), 하나의 회로기판(3), 하나의 렌즈지지대(7)와 하나의 감광소자(5)를 포함한다.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1)는 상기 렌즈지지대(6)에 설치된다. 상기 감광소자(5)는 도통가능하게 상기 회로기판(3)에 연결되고, 상기 렌즈지지대(6)는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1)를 지지해 상기 감광소자(5)를 수용하는 데 사용한다.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1)를 통과하는 광선은 상기 감광소자(5)에 도달해 광전기 전환을 거쳐 이미징에 사용된다. 대응되게,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1)와 상기 감광소자(5)의 사이는 적외선 차단 광필터 시트, 청색유리 광필터 시트와 같은 하나의 광필터 시트(6)를 설치해 광선 여과 역할을 하도록 한다. 유사하게,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1)의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은 액티브 얼라인먼트 공법으로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과의 조립을 완성해 일체형 카메라렌즈를 형성함으로써, 촬영모듈을 얻는다.
도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촬영모듈(100)은 하나의 전자설비(200)에 응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전자설비(20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웨어러블 기기, 컴퓨터 설비, 텔레비전, 교통수단, 사진기, 모니터링 장치 등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전자설비(200)는 하나의 전자설비 주체(201)를 포함할 수 있는 데, 상기 촬영모듈(100)는 상기 전자설비 주체(201)에 설치되고, 그 제어 메인보드까지 연결하며, 상기 전자설비 주체(201)와 호응해 영상의 수집과 재현을 완성한다.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은, 상기 설명과 도면에서 제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실례로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며, 한정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미 완벽하고 효과적으로 구현되었다. 본 발명의 기능과 구조 원리는 이미 실시예 중에서 제시, 설명되었으며, 상기 원리를 이탈하지 않는 전제 하에, 본 발명의 실시방식은 그 어떠한 변형 또는 수정도 가능하다.

Claims (28)

  1. 적어도 하나의 제1 렌즈와 하나의 제1 렌즈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렌즈는 상기 렌즈튜브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카메라렌즈 그룹;
    적어도 하나의 제2 렌즈와 제2 렌즈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렌즈는 상기 제2 렌즈튜브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카메라렌즈 그룹; 및
    적어도 하나의 빛차단소자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빛차단소자는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과 제2 카메라렌즈 그룹의 사이에 예정된 광 채널을 형성하고, 안정적으로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과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의 사이에 설치되도록, 제1 카메라렌즈 그룹의 저단에 위치한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의 꼭대기에 위치한 상기 제2 렌즈의 사이에 설치되고,
    여기에서, 상기 제1 렌즈튜브 저단부 내측은 적어도 하나의 보강 고정홈을 구비해 접착 매개체를 수용하는 데 사용하고,
    여기에서, 상기 보강 고정홈의 깊이는 대응되는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의 저단에 위치한 제1 렌즈의 가장자리의 두께보다 얇아 상기 보강 고정홈의 바닥면이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의 저단에 위치한 제1 렌즈의 꼭대기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카메라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빛차단소자는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의 꼭대기단에 위치한 상기 제2 렌즈의 꼭대기면에 설치되거나, 또는 하나의 상기 빛차단소자는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이 저단에 위치한 상기 제1 렌즈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카메라렌즈.
  3. 제1항에 있어서,
    3개의 상기 빛차단소자는 각각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의 저단에 위치한 3개 상기 제1 렌즈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2개의 상기 빛차단소자는 각각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의 꼭대기단에 위치한 2개의 상기 제2 렌즈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카메라렌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과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의 인접한 상기 제1 렌즈, 상기 제2 렌즈 사이에 하나의 상기 빛차단소자가 설치되고, 여기에서 상기 빛차단소자는 인접한 2개의 상기 제1, 제2 렌즈 중에서 상방에 위치한 상기 제1 렌즈의 바닥면에 설치되거나 또는 인접한 2개의 상기 렌즈 중 하방에 위치한 상기 제2 렌즈의 꼭대기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카메라렌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과 상기 제2 카메라렌즈 그룹은 액티브 얼라인먼트(Active Alignment)의 방식으로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카메라렌즈.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튜브는 하나의 제1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렌즈튜브는 하나의 제2 고정부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는 서로 연결 고정되어 상기 제1 렌즈튜브와 상기 제2 렌즈튜브가 일체형 카메라렌즈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카메라렌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튜브의 하부 구경이 상기 제2 렌즈튜브의 상부 구경보다 작으며, 상기 제1 렌즈튜브의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렌즈튜브의 상기 제2 고정부는 안정적으로 서로 감합되게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카메라렌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1 렌즈튜브의 저단부이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2 렌즈튜브의 꼭대기부이며,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매개체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렌즈튜브와 상기 제2 렌즈튜브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카메라렌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1 렌즈튜브 직경이 커지는 상기 저단부이며, 상기 제1 고정부 바닥측은 상기 제2 고정부 꼭대기측과 접착해 고정하거나 또는 상기 제1 고정부 외측은 상기 제2 고정부 꼭대기측과 접착해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카메라렌즈.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튜브는 하나의 고정홈을 더 포함하고, 그는 상기 제2 렌즈튜브의 꼭대기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렌즈튜브의 상기 제1 고정부와 서로 대응되고, 상기 고정홈은 연결 매개체가 충전되어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카메라렌즈.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제1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는 돌기형으로 상기 제1 렌즈튜브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렌즈튜브의 꼭대기단부는 하나의 제2 고정부를 형성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는 서로 연결 고정되고, 상기 제1 렌즈튜브의 저단부는 연장되어 상기 제2 렌즈튜브의 상기 제2 고정부에 인입됨으로써, 상기 제1 렌즈튜브와 상기 제2 렌즈튜브가 일체형 카메라렌즈로 조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카메라렌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꼭대기에 하나의 고정홈을 형성해 적어도 하나의 연결 매개체를 수용하는 데 사용해 상기 제2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를 서로 접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카메라렌즈.
  13.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빛차단소자는 도포, 스프레이 코팅, 실크 스크린 프린팅 중 어느 한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카메라렌즈.
  14.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렌즈 그룹 저단의 상기 제1 렌즈는 적어도 하나의 접착 매개체를 통해 상기 제1 렌즈튜브의 내표면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카메라렌즈.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 바닥측은 상기 제2 고정부 꼭대기측에 접착해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카메라렌즈.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빛차단소자는 블랙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카메라렌즈.
  1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분리식 카메라렌즈와 적어도 하나의 감광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식 카메라렌즈를 거친 광선은 상기 감광소자에 도달해 광전기 전환을 거쳐 이미징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모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모듈은 자동 초점 조준 촬영모듈 또는 프라임 촬영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모듈.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KR1020197028374A 2017-03-24 2018-03-22 분리식 카메라렌즈와 촬영모듈 및 전자설비 KR1024334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20299172.2U CN207249220U (zh) 2017-03-24 2017-03-24 分体式镜头和摄像模组以及电子设备
CN201710182535.9 2017-03-24
CN201710182535.9A CN108627939A (zh) 2017-03-24 2017-03-24 分体式镜头和摄像模组以及电子设备
CN201720299172.2 2017-03-24
PCT/CN2018/079953 WO2018171656A1 (zh) 2017-03-24 2018-03-22 分体式镜头和摄像模组以及电子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042A KR20190131042A (ko) 2019-11-25
KR102433410B1 true KR102433410B1 (ko) 2022-08-17

Family

ID=63584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8374A KR102433410B1 (ko) 2017-03-24 2018-03-22 분리식 카메라렌즈와 촬영모듈 및 전자설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659263B2 (ko)
EP (1) EP3605177A4 (ko)
JP (2) JP2020511698A (ko)
KR (1) KR102433410B1 (ko)
WO (1) WO20181716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3410B1 (ko) 2017-03-24 2022-08-17 닝보 써니 오포테크 코., 엘티디. 분리식 카메라렌즈와 촬영모듈 및 전자설비
US10969560B2 (en) * 2017-05-04 2021-04-06 Lightpath Technologies, Inc. Integrated optical assembly and manufacturing the same
WO2020073735A1 (zh) * 2018-10-09 2020-04-16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一体式镜筒、光学镜头、摄像模组及组装方法
WO2020259279A1 (zh) * 2019-06-28 2020-12-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用于摄像头模组的光阑罩、摄像头组件及电子设备
WO2021000130A1 (zh) * 2019-06-29 2021-01-07 瑞声光学解决方案私人有限公司 镜头模组
US20220299728A1 (en) * 2019-08-14 2022-09-22 Ningbo Sunny Opotech Co., Ltd Under-screen camera assembly, camera module, optical len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12444935A (zh) * 2019-08-16 2021-03-05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屏下摄像组件、摄像模组和光学镜头及其制作方法
CN112731610B (zh) * 2019-10-12 2023-08-22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光学镜头及其组装方法和摄像模组
EP3892189B1 (en) * 2020-04-06 2023-06-07 Withings Wristwatch for measuring spo2
JP7382271B2 (ja) * 2020-04-10 2023-11-16 京セラ株式会社 撮像装置
KR102460758B1 (ko) * 2020-09-16 2022-10-3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948Y1 (ko) * 2006-06-14 2006-09-14 서울전자통신(주) 카메라모듈
US20140118852A1 (en) * 2012-10-30 2014-05-01 Nidec Sankyo Corporation Lens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2014232147A (ja) * 2013-05-28 2014-12-1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撮像レンズ、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9109A (ja) 1996-04-16 1997-10-28 Asahi Optical Co Ltd 光学部品用接着剤
JPH11341365A (ja) 1998-05-22 1999-12-10 Sony Corp 撮像素子のパッケージ構造及びそのパッケージ構造を用いた撮像素子のレンズ鏡筒への取り付け構造
JP2007010866A (ja) 2005-06-29 2007-01-18 Nikon Corp 調芯機構
JP2008003603A (ja) 2006-06-20 2008-01-10 Samsung Electro Mech Co Ltd レンズの調心装置及び調心方法
CN200993689Y (zh) 2006-12-22 2007-12-19 大立光电股份有限公司 摄影模组
JP4577584B2 (ja) 2008-01-23 2010-11-10 ソニー株式会社 レンズ鏡筒及び撮像ユニット
JP2010191345A (ja) 2009-02-20 2010-09-02 Hitachi Maxell Ltd レンズユニット、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レンズユニットの製造方法
CN102023361A (zh) 2009-09-10 2011-04-2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定焦镜头模组
KR101364893B1 (ko) * 2009-11-04 2014-02-19 코니카 미놀타 어드밴스드 레이어즈 인코포레이티드 촬상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조정 지그
TWI543993B (zh) * 2010-03-25 2016-08-01 富士軟片股份有限公司 黑色硬化型組成物、用於固態攝像元件的遮光彩色濾光片及其製造方法、固態攝像元件、晶圓級透鏡及攝影模組
WO2011122357A1 (ja) 2010-03-29 2011-10-06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撮像光学系及び光学調整方法
JP2013174670A (ja) 2012-02-23 2013-09-05 Olympus Corp レンズユニット
KR20140076761A (ko) * 2012-12-13 2014-06-23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모듈
JP2014164239A (ja) 2013-02-27 2014-09-08 Konica Minolta Inc レンズ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JP2016106239A (ja) 2013-03-27 2016-06-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撮像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WO2014175058A1 (ja) * 2013-04-22 2014-10-3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撮像レンズ、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
KR101504030B1 (ko) 2013-06-18 2015-03-18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JP6295613B2 (ja) 2013-11-11 2018-03-2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JP2015118111A (ja) 2013-12-16 2015-06-2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レンズ枠、レンズ組立体、およびレンズ組立体の製造方法
KR101983169B1 (ko) 2014-04-18 2019-05-28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모듈, 렌즈 모듈의 제조 방법 및 렌즈 모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1823195B1 (ko) 2014-12-23 2018-01-29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CN105487191B (zh) * 2015-12-29 2019-10-18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摄像模组镜头和摄像模组及其组装方法
TWM520143U (zh) 2015-12-17 2016-04-1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成像鏡頭模組及電子裝置
CN105549173A (zh) 2016-01-28 2016-05-04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光学镜头和摄像模组及其组装方法
TWM523103U (zh) 2016-02-03 2016-06-0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攝影鏡頭模組及電子裝置
CN205594216U (zh) 2016-03-03 2016-09-21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摄像模组及其镜头
CN207263999U (zh) 2017-03-24 2018-04-20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分体式镜头和摄像模组
KR102433410B1 (ko) 2017-03-24 2022-08-17 닝보 써니 오포테크 코., 엘티디. 분리식 카메라렌즈와 촬영모듈 및 전자설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948Y1 (ko) * 2006-06-14 2006-09-14 서울전자통신(주) 카메라모듈
US20140118852A1 (en) * 2012-10-30 2014-05-01 Nidec Sankyo Corporation Lens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2014232147A (ja) * 2013-05-28 2014-12-1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撮像レンズ、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05177A4 (en) 2020-05-27
JP7340644B2 (ja) 2023-09-07
KR20190131042A (ko) 2019-11-25
EP3605177A1 (en) 2020-02-05
JP2020511698A (ja) 2020-04-16
JP2022091868A (ja) 2022-06-21
US11659263B2 (en) 2023-05-23
WO2018171656A1 (zh) 2018-09-27
US20230247274A1 (en) 2023-08-03
US20220224808A1 (en) 2022-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3410B1 (ko) 분리식 카메라렌즈와 촬영모듈 및 전자설비
KR102292096B1 (ko) 광학 렌즈 헤드, 촬상 모듈 및 이들의 조립 방법
CN207249220U (zh) 分体式镜头和摄像模组以及电子设备
CN108693629B (zh) 含有塑胶透镜的成像透镜组、成像镜头模块及电子装置
TWI614536B (zh) 塑膠光學透鏡組、成像鏡頭模組及電子裝置
CN211826845U (zh) 成像镜头、相机模块及电子装置
CN211318864U (zh) 成像镜头、相机模块及电子装置
US20050271375A1 (en) Imaging apparatus
JP6688428B1 (ja) レンズモジュール
JP2020507804A (ja) レンズ群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6931374B2 (ja) レンズモジュール
CN108627939A (zh) 分体式镜头和摄像模组以及电子设备
TWI702419B (zh) 成像鏡頭模組與電子裝置
CN111045175B (zh) 使用金属固定环的成像镜头、相机模块及电子装置
CN211603670U (zh) 成像镜头与电子装置
US10054756B2 (en) Lens module
CN209765129U (zh) 摄像模组及其镜头结构
US20180017754A1 (en) Lens Module
JP6961049B2 (ja) レンズモジュール
KR102406761B1 (ko) 분리형 렌즈 및 카메라 모듈
CN109143530B (zh) 镜头及包含该镜头的摄像模组
CN111751951A (zh) 镜头结构及其组装方法以及摄像模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