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1574B1 - 식품가공기 - Google Patents
식품가공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31574B1 KR102431574B1 KR1020210053842A KR20210053842A KR102431574B1 KR 102431574 B1 KR102431574 B1 KR 102431574B1 KR 1020210053842 A KR1020210053842 A KR 1020210053842A KR 20210053842 A KR20210053842 A KR 20210053842A KR 102431574 B1 KR102431574 B1 KR 1024315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 cutter
- driving device
- processing assembly
- holder shaf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5—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08—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 B02C18/1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with drive arranged below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가공기를 제공한다. 식품가공기는, 베이스; 베이스에 설치된 제1 수용구조; 제1 수용구조내에 설치될 수 있고, 제1 홀더 샤프트 및 제1 홀더 샤프트에 설치된 제1 커터 및 제2 커터를 포함하는 제1 처리 어셈블리; 및 제1 수용구조내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홀더 샤프트 및 제2 홀더 샤프트에 설치된 제3 커터를 포함하는 제2 처리 어셈블리; 를 포함하고, 제1 처리 어셈블리와 제2 처리 어셈블리는 제1 수용구조내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식품가공기는 야채 분쇄 모드와 육류 수산물 분쇄 모드를 구비하고, 식품가공기가 야채 분쇄 모드일 경우, 제1 처리 어셈블리가 제1 수용구조내에 설치되고, 식품가공기가 육류 수산물 분쇄 모드일 경우, 제2 처리 어셈블리가 제1 수용구조내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기술에 있어서 상업용 식품가공기와 민찌기가 기능이 단일하여 사용자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리기구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식품가공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장에 판매되고 있는 식품가공기는 일반적으로 상업용 식품가공기와 민찌기이다.
하지만 상업용 식품가공기와 민찌기는 모터 회전속도가 높고, 식재료가 야채이든 육류 수산물이든 모두 퓌레로 분쇄하며, 즉 상업용 식품가공기와 민찌기는 작업 모드가 한가지 뿐이다. 이로써 상업용 식품가공기와 민찌기로 야채를 분쇄할 경우, 야채 섬유를 파괴할 뿐만 아니라, 야채의 영양가를 낮추고, 사용자의 식감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상업용 식품가공기와 민찌기는 기능이 단일하여 사용자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없다.
본 발명은 기존기술에 있어서 상업용 식품가공기와 민찌기가 기능이 단일하여 사용자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식품가공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 베이스에 설치된 제1 수용구조; 제1 수용구조내에 설치될 수 있고, 제1 홀더 샤프트 및 제1 홀더 샤프트의 연장방향에 따라 간격을 두고 제1 홀더 샤프트에 설치된 제1 커터와 제2 커터를 포함하는 제1 처리 어셈블리; 및 제1 수용구조내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홀더 샤프트 및 제2 홀더 샤프트에 설치된 제3 커터를 포함하는 제2 처리 어셈블리; 를 포함하고, 제1 처리 어셈블리와 제2 처리 어셈블리는 제1 수용구조내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야채 분쇄 모드와 육류 수산물 분쇄 모드를 구비하는데, 야채 분쇄 모드일 경우, 제1 처리 어셈블리가 제1 수용구조내에 설치되고, 육류 수산물 분쇄 모드일 경우, 제2 처리 어셈블리가 제1 수용구조내에 설치되는 식품가공기를 제공한다.
진일보로, 식품가공기는 베이스에 설치된 구동장치를 더 포함하고, 제2 처리 어셈블리는, 제2 홀더 샤프트와 제3 커터가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2 수용구조를 더 포함하고, 구동장치의 구동축은 제1 수용구조와 제2 수용구조를 통과한 후 제2 홀더 샤프트에 연결되어 제2 홀더 샤프트를 구동시킴으로써 제3 커터를 회전시키도록 한다.
진일보로, 제3 커터는, 제1 칼날; 제2 칼날; 및 제2 홀더 샤프트에 투설되고, 일측이 제1 칼날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2 칼날에 연결된 연결 프레임; 을 포함하고, 제1 칼날과 제2 칼날은 제2 홀더 샤프트의 연장방향에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진일보로, 제3 커터는, 제1 칼날의 외부에 투설된 제1 보호 커버; 및 제2 칼날의 외부에 투설된 제2 보호 커버를 더 포함한다.
진일보로, 제1 수용구조는 배출구를 구비하고, 제1 처리 어셈블리는 베이스와 탈착가능하게 연결한 배출물 받는 용기를 더 포함하고, 배출물 받는 용기와 베이스가 결합 상태일 경우, 배출물 받는 용기의 용기 개구부와 배출구가 연통되고, 베이스의 배출물 받는 용기를 향한 표면이 배출물 받는 용기의 외면과 맞춰진다.
진일보로, 식품가공기는, 구동장치와 제1 자성 근접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제1 자성 근접 스위치는 구동장치와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제1 회로에 연결되어 제1 회로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고, 구동장치는 베이스에 설치되어 있으며, 구동장치는 구동단이 제1 홀더 샤프트에 연결되어 제1 홀더 샤프트를 구동시킴으로써 제1 커터와 제2 커터를 회전시키도록 하고, 제1 처리 어셈블리는 제1 자기 전도 구조를 더 포함하고, 베이스와 배출물 받는 용기중의 하나에 제1 자기 전도 구조가 설치되어 있으며, 베이스와 배출물 받는 용기중의 다른 하나에 제1 자성 근접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고, 제1 자성 근접 스위치에 의해 제1 자기 전도 구조가 감지되었을 경우, 제1 자성 근접 스위치는 제1 회로를 온 상태로 제어한다.
진일보로, 식품가공기는, 구동장치와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제2 회로에 연결되어 제2 회로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는 제2 자성 근접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제2 처리 어셈블리는 제2 자기 전도 구조를 더 포함하고, 베이스와 제2 수용구조중의 하나에 제2 자기 전도 구조가 설치되어 있으며, 베이스와 제2 수용구조중의 다른 하나에는 제2 자성 근접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고, 제2 자성 근접 스위치에 의해 제2 자기 전도 구조가 감지되었을 경우, 제2 자성 근접 스위치는 제2 회로를 온 상태로 제어한다.
진일보로, 식품가공기는, 검출 어셈블리와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고, 제어모듈은 구동장치에 연결되며, 검출 어셈블리는, 베이스에 설치되어 있고 제어모듈에 연결된 검출구조; 및 제2 수용구조의 외면에 설치되어 있는 검출대상; 을 포함하고, 검출구조에 의해 검출대상이 검출된 경우, 검출구조는 제어모듈로 신호를 송신하고, 제어모듈은 신호를 수신한 후 구동장치가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진일보로, 식품가공기는, 클램핑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제1 처리 어셈블리는, 진입구를 구비하고 클램핑 어셈블리에 의하여 베이스와 클램핑되는 제1 두껑; 및 식재료를 진입구내로 푸시하기 위한 푸셔구조; 를 더 포함하고, 제2 처리 어셈블리는 클램핑 어셈블리에 의하여 베이스와 클램핑되는 제2 두껑을 더 포함한다.
진일보로, 식품가공기는, 구동장치에 연결된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고, 식품가공기가 야채 분쇄 모드일 경우, 제어모듈은 제1 소정 회전속도로 회전하도록 구동장치를 제어하고, 식품가공기가 육류 수산물 분쇄 모드일 경우, 제어모듈은 제1 소정 회전속도보다 큰 제2 소정 회전속도로 회전하도록 구동장치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기술방안에 따르면, 식품가공기는 베이스, 제1 수용구조, 제1 처리 어셈블리 및 제2 처리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제1 처리 어셈블리와 제2 처리 어셈블리는 제1 수용구조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1 처리 어셈블리는 제1 홀더 샤프트 및 제1 홀더 샤프트에 설치된 제1 커터와 제2 커터를 포함하고, 제1 커터와 제2 커터는 제1 홀더 샤프트의 연장방향에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이로써, 사용자가 식품가공기를 사용하는 과정에 있어서, 사용자가 야채를 분쇄해야 할 경우, 제1 처리 어셈블리가 제1 수용구조내에 설치되도록 제1 처리 어셈블리를 조작하고, 식품가공기는 야채 분쇄 모드로 되며, 제1 커터에 의해 우선 야채를 큰 야채 덩어리로 절삭하고, 야채 덩어리는 원심력 작용하에 제2 커터에 모이게 되며, 제2 커터에 의해 큰 야채 덩어리를 필요한 크기(작은)의 야채 덩어리로 절삭하고, 필요한 크기의 야채 덩어리는 제1 수용구조내에 하락된후 배출되어, 식재료가 지나치게 분쇄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식감을 향상시킨다. 사용자가 육류 수산물을 분쇄해야 할 경우, 제2 처리 어셈블리가 제1 수용구조내에 설치되도록 제2 처리 어셈블리를 조작하고, 식품가공기는 육류 수산물 분쇄 모드로 되며, 제3 커터에 의해 육류 수산물을 퓌레로 분쇄하여 소와 같은 음식물을 만든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식품가공기에 따르면, 적어도 두가지 작동 모드를 구비하고, 서로 다른 식재료에 대하여 사용자는 서로 다른 작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어, 기존기술에 있어서 상업용 식품가공기와 민찌기가 기능이 단일하여 사용자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고, 사용자의 사용 체험 만족도를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일부를 구성하는 도면은 본 발명을 더욱 잘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 및 그 설명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가공기의 실시예1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식품가공기의 야채 분쇄 모드일 경우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식품가공기의 제2 처리 어셈블리의 분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가공기의 실시예1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식품가공기의 야채 분쇄 모드일 경우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식품가공기의 제2 처리 어셈블리의 분해도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상황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 및 실시예중의 특징을 서로 조합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를 기반으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출원에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와 같은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반대되는 설명이 없는 한, 사용된 "상, 하"등 방위 명사는 통상 도면에 나타낸 방향을 말하는 것이거나 또는 연직, 수직 또는 중력 방향에 대해 말한 것이고, 동일하게 이해 및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좌, 우"는 통상 도면에 나타낸 좌, 우를, "내, 외"는 각 부재 자체의 윤곽의 내, 외를 말하는 것이며, 이러한 방위 명사는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실시예1
기존기술에 있어서 상업용 식품가공기와 민찌기가 기능이 단일하여 사용자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은 식품가공기를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품가공기는 베이스(10), 제1 수용구조(20), 제1 처리 어셈블리 및 제2 처리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제1 수용구조(20)는 베이스(10)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처리 어셈블리는 제1 수용구조(20)내에 설치될 수 있고, 제1 처리 어셈블리는 제1 홀더 샤프트(31) 및 제1 홀더 샤프트(31)에 설치된 제1 커터(32)와 제2 커터(33)를 포함하며, 제1 커터(32)와 제2 커터(33)는 제1 홀더 샤프트(31)의 연장방향에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제2 처리 어셈블리는 제1 수용구조(20)내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처리 어셈블리는 제2 홀더 샤프트(110) 및 제2 홀더 샤프트(110)에 설치된 제3 커터(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처리 어셈블리와 제2 처리 어셈블리는 제1 수용구조(20)내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고, 식품가공기는 야채 분쇄 모드와 육류 수산물 분쇄 모드를 구비하며, 식품가공기가 야채 분쇄 모드일 경우, 제1 처리 어셈블리가 제1 수용구조(20)내에 설치되고, 식품가공기가 육류 수산물 분쇄 모드일 경우, 제2 처리 어셈블리가 제1 수용구조(20)내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기술방안에 따르면, 사용자가 식품가공기를 사용하는 과정에 있어서, 사용자가 야채를 분쇄해야 할 경우, 제1 처리 어셈블리가 제1 수용구조(20)내에 설치되도록 제1 처리 어셈블리를 조작하고, 식품가공기는 야채 분쇄 모드로 되며, 제1 커터(32)에 의해 우선 야채를 큰 야채 덩어리로 절삭하고, 야채 덩어리는 원심력 작용하에 제2 커터(33)에 모이게 되며, 제2 커터(33)에 의해 큰 야채 덩어리를 필요한 크기(작은)의 야채 덩어리로 절삭하고, 필요한 크기의 야채 덩어리는 제1 수용구조(20)내에 하락된후 배출되어, 식재료가 지나치게 분쇄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식감을 향상시킨다. 사용자가 육류 수산물을 분쇄해야 할 경우, 제2 처리 어셈블리가 제1 수용구조(20)내에 설치되도록 제2 처리 어셈블리를 조작하고, 식품가공기는 육류 수산물 분쇄 모드로 되며, 제3 커터(120)에 의해 육류 수산물을 퓌레로 분쇄하여 소와 같은 음식물을 만든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식품가공기에 따르면, 적어도 두가지 작동 모드를 구비하고, 서로 다른 식재료에 대하여 사용자는 서로 다른 작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어, 기존기술에 있어서 상업용 식품가공기와 민찌기가 기능이 단일하여 사용자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고, 사용자의 사용 체험 만족도를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서로 다른 처리 어셈블리를 제1 수용구조(20)내에 설치함으로써, 식품가공기가 서로 다른 식재료에 대하여 분쇄하는 것을 실현하고, 하나의 기기에 의한 다용도 기능을 실현하여 식품가공기가 차지하는 전체 공간을 줄인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커터(32)는 제2 커터(33)의 위 쪽에 위치하고, 제1 커터(32)는 제3 칼날(321)을 포함하며, 제2 커터(33)는 커터헤드(331) 및 커터헤드(331)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제4 칼날(332)을 포함한다. 이렇게 상기와 같이 설치함으로써, 제1 커터(32)와 제2 커터(33)의 구조가 더욱 간단해지고, 쉽게 가공 및 실현할 수 있으며, 식품가공기의 가공 원가를 낮춘다.
바람직하게는, 제3 칼날(321)의 커터헤드(331)를 향한 제1 표면과 커터헤드(331)의 제3 칼날(321)을 향한 제2 표면 사이는 소정의 거리(A)를 가진다. 여기서, 소정의 거리(A)는 10mm 이상 및 30mm 이하이다. 이렇게 소정의 거리(A)를 상기와 같이 설치함으로써, 제1 홀더 샤프트(31)가 너무 길어서 제1 커터(32)가 편향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제1 처리 어셈블리의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한편, 제1 커터(32)와 제2 커터(33) 사이에 충분한 거리를 가지도록 확보하여, 제1 커터(32)에 의해 절삭된 식재료가 크기가 큰 식재료 덩어리이고 제2 커터(33)에 의해 절삭된 식재료 덩어리가 필요한 크기로 작어져서, 제1 수용구조(20)로부터 배출된 식재료의 과립이 선명하고, 식재료 자체의 섬유를 파괴하지 않으며, 식재료의 영양 손실을 방지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품가공기는 구동장치(40)를 더 포함하고, 구동장치(40)는 베이스(10)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2 처리 어셈블리는 제2 수용구조(13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2 홀더 샤프트(110)와 제3 커터(120)는 제2 수용구조(130)내에 설치되어 있고, 구동장치(40)의 구동축은 제1 수용구조(20)와 제2 수용구조(130)를 통과한 후 제2 홀더 샤프트(110)에 연결되어 제2 홀더 샤프트(110)를 구동시킴으로써 제3 커터(120)를 회전시키도록 한다. 이렇게 구동장치(40)가 제2 홀더 샤프트(110)의 하단을 구동시켜 제2 홀더 샤프트(110)를 통하여 제3 커터(120)를 회전시키도록 함으로써 식재료를 분쇄하고, 제3 커터(120)의 회전이 더욱 쉽게 이루어 진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커터(120)는 제1 칼날(121), 제2 칼날(122) 및 연결 프레임(123)을 포함한다. 연결 프레임(123)은 제2 홀더 샤프트(110)에 투설되고, 연결 프레임(123)의 일측은 제1 칼날(121)에 연결되고, 연결 프레임(123)의 타측은 제2 칼날(122)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1 칼날(121)과 제2 칼날(122)은 제2 홀더 샤프트(110)의 연장방향에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이로써, 제2 홀더 샤프트(110)의 회전 과정에 있어서, 제1 칼날(121)과 제2 칼날(122)은 제2 홀더 샤프트(110)와 동기하여 회전하기 때문에 식재료를 충분히 절삭 분쇄하여 식재료가 퓌레로 분쇄된다. 이와 함께, 상기와 같이 설치함으로써 제3 커터(120)의 구조가 더욱 간단해지고, 쉽게 가공 및 실현할 수 있으며, 식품가공기의 가공 원가를 낮춘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커터(120)는 제1 보호 커버(124)와 제2 보호 커버(125)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보호 커버(124)는 제1 칼날(121)의 외부에 투설된다. 제2 보호 커버(125)는 제2 칼날(122)의 외부에 투설된다. 이로써, 제1 보호 커버(124)와 제2 보호 커버(125)가 각각 제1 칼날(121)과 제2 칼날(122)을 보호하여 제1 칼날(121)과 제2 칼날(122)이 의도치 않게 사용자를 베거나 긁는 것을 피할 수 있고, 제2 처리 어셈블리의 사용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수용구조(20)는 배출구(21)를 구비하고, 제1 처리 어셈블리는 배출물 받는 용기(5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배출물 받는 용기(50)는 베이스(10)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고, 배출물 받는 용기(50)와 베이스(10)가 결합 상태에 처한 경우, 배출물 받는 용기(50)의 용기 개구부(51)는 배출구(21)에 연통되고, 베이스(10)의 배출물 받는 용기(50)를 향한 표면이 배출물 받는 용기(50)의 외면과 맞춰진다. 커터헤드(331)에 투입구(333)를 구비하고, 제1 커터(32)와 제2 커터(33)에 의해 식재료를 분쇄한 후, 필요한 크기에 달한 식재료 덩어리는 투입구(333)를 통하여 제1 수용구조(20)내로 하락되고, 차례로 배출구(21), 용기 개구부(51)를 통과하여 배출물 받는 용기(50)내에 배출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식재료 덩어리를 보존하도록 한다. 이와 함께, 상기와 같이 설치함으로써, 배출물 받는 용기(50)와 베이스(10)의 탈착이 더욱 용이하고 간단해지며, 탈착 난이도를 낮추고, 사용자가 더욱 쉽게 배출물 받는 용기(50)를 청소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품가공기는 구동장치(40)와 제1 자성 근접 스위치(210)를 더 포함하고, 제1 자성 근접 스위치(210)는 구동장치(40)와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제1 회로에 연결되어 제1 회로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한다. 구동장치(40)는 베이스(10)에 설치되고, 구동장치(40)는 구동단이 제1 홀더 샤프트(31)에 연결되어 제1 홀더 샤프트(31)를 구동시킴으로써 제1 커터(32)와 제2 커터(33)를 회전시키도록 하고, 제1 처리 어셈블리는 제1 자기 전도 구조(100)를 더 포함한다. 베이스(10)와 배출물 받는 용기(50)중의 하나에 제1 자기 전도 구조(100)가 설치되고, 베이스(10)와 배출물 받는 용기(50)중의 다른 하나에 제1 자성 근접 스위치(210)가 설치된다. 여기서, 제1 자성 근접 스위치(210)에 의해 제1 자기 전도 구조(100)가 감지되었을 경우, 제1 자성 근접 스위치(210)는 제1 회로를 온 상태로 제어한다. 이로써, 배출물 받는 용기(50)와 베이스(10)가 결합 상태에 처한 경우에만 구동장치(40)가 작동되어 제1 커터(32)와 제2 커터(33)가 분쇄할 필요가 없는 상황에서 회전하여 사용자에게 상처를 입히는 것을 피할 수 있고, 식품가공기의 사용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베이스(10)에 제1 자성 근접 스위치(210)가 설치되고, 배출물 받는 용기(50)에 제1 자기 전도 구조(100)가 설치된다. 야채를 분쇄해야 할 경우, 사용자는 제1 처리 어셈블리를 제1 수용구조(20)내에 장착하고, 배출물 받는 용기(50)와 베이스(10)를 장착한다. 배출물 받는 용기(50)와 베이스(10)가 결합 상태에 처한 경우, 제1 자성 근접 스위치(210)에 의해 제1 자기 전도 구조(100)가 감지되고, 구동장치(40)가 전원에 연결되어, 구동장치(40)의 구동축이 제1 커터(32)와 제2 커터(33)를 회전시켜 야채를 분쇄한다. 베이스(10)와 배출물 받는 용기(50)가 결합 상태로부터 이탈되면, 구동장치(40)와 전원과의 연결이 차단되고, 제1 커터(32)와 제2 커터(33)로 하여금 작동을 멈추도록 구동장치(40)는 회전을 멈춘다.
다만, 제1 자성 근접 스위치(210)와 제1 자기 전도 구조(100)의 설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기타 실시형태에 있어서, 베이스에 제1 자기 전도 구조가 설치되고, 배출물 받는 용기에 제1 자성 근접 스위치가 설치된다. 야채를 분쇄해야 할 경우, 사용자는 제1 처리 어셈블리를 제1 수용구조내에 장착하고, 배출물 받는 용기와 베이스를 장착한다. 배출물 받는 용기와 베이스가 결합 상태에 처한 경우, 제1 자성 근접 스위치에 의해 제1 자기 전도 구조가 감지되고, 구동장치가 전원에 연결되어, 구동장치의 구동축이 제1 커터와 제2 커터를 회전시켜 야채를 분쇄한다. 베이스와 배출물 받는 용기가 결합 상태로부터 이탈되면, 구동장치와 전원과의 연결이 차단되고, 제1 커터와 제2 커터로 하여금 작동을 멈추도록 구동장치는 회전을 멈춘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품가공기는 제2 자성 근접 스위치(220)를 더 포함하고, 제2 자성 근접 스위치(220)는 구동장치(40)와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제2 회로에 연결되어 제2 회로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고, 제2 처리 어셈블리는 제2 자기 전도 구조(140)를 더 포함한다. 베이스(10)와 제2 수용구조(130)중의 하나에 제2 자기 전도 구조(140)가 설치되고, 베이스(10)와 제2 수용구조(130)중의 다른 하나에 제2 자성 근접 스위치(220)가 설치된다. 여기서, 제2 자성 근접 스위치(220)에 의해 제2 자기 전도 구조(140)가 감지되면, 제2 자성 근접 스위치(220)는 제2 회로를 온 상태로 제어한다. 이로써, 제2 수용구조(130)와 제1 수용구조(20)가 결합 상태에 처한 경우에만 구동장치(40)가 작동되어 제3 커터(120)가 분쇄할 필요가 없는 상황에서 회전하여 사용자에게 상처를 입히는 것을 피할 수 있고, 식품가공기의 사용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베이스(10)에 제2 자성 근접 스위치(220)가 설치되고, 제2 수용구조(130)에 제2 자기 전도 구조(140)가 설치된다. 육류 수산물을 분쇄해야 할 경우, 사용자는 제2 처리 어셈블리를 제1 수용구조(20)내에 장착하고, 제2 수용구조(130)와 제1 수용구조(20)를 장착한다. 제2 수용구조(130)와 제1 수용구조(20)가 결합 상태에 처한 경우, 제2 자성 근접 스위치(220)에 의해 제2 자기 전도 구조(140)가 감지되면, 구동장치(40)는 전원과 연결되어, 구동장치(40)의 구동축이 제3 커터(120)를 회전시켜 육류 수산물을 분쇄한다. 제2 수용구조(130)와 제1 수용구조(20)가 결합 상태로부터 이탈되면, 구동장치(40)와 전원과의 연결이 차단되고, 제3 커터(120)로 하여금 작동을 멈추도록 구동장치(40)는 회전을 멈춘다.
다만, 제2 자성 근접 스위치(220)와 제2 자기 전도 구조(140)의 설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기타 실시형태에 있어서, 베이스에 제2 자기 전도 구조가 설치되고, 제2 수용구조에 제2 자성 근접 스위치가 설치된다. 육류 수산물을 분쇄해야 할 경우, 사용자는 제2 처리 어셈블리를 제1 수용구조내에 장착하고, 제2 수용구조와 제1 수용구조를 장착한다. 제2 수용구조와 제1 수용구조가 결합 상태에 처한 경우, 제2 자성 근접 스위치에 의해 제2 자기 전도 구조가 감지되면, 구동장치는 전원과 연결되어, 구동장치의 구동축이 제3 커터를 회전시켜 육류 수산물을 분쇄한다. 제2 수용구조와 제1 수용구조가 결합 상태로부터 이탈되면, 구동장치와 전원과의 연결이 차단되고, 제3 커터로 하여금 작동을 멈추도록 구동장치는 회전을 멈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자기 전도 구조(140)는 제2 수용구조(130)의 외면에 설치되고, 제1 수용구조(20)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어 제2 자성 근접 스위치(220)와 제2 자기 전도 구조(140) 사이의 감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품가공기는 클램핑 어셈블리(80)를 더 포함하고, 제1 처리 어셈블리는 제1 두껑(60)과 푸셔구조(7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두껑(60)은 진입구(61)를 구비하고, 제1 두껑(60)은 클램핑 어셈블리(80)에 의하여 베이스(10)와 클램핑된다. 푸셔구조(70)는 식재료를 진입구(61)내로 푸시한다. 제2 처리 어셈블리는 제2 두껑(150)을 더 포함하고, 제2 두껑(150)은 클램핑 어셈블리(80)에 의하여 베이스(10)와 클램핑된다. 이로써, 사용자가 제1 처리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식재료를 분쇄하는 과정에 있어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끊임없이 제1 수용구조(20)내로 식재료를 추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처리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식재료를 분쇄하는 과정에 있어서, 제2 두껑(150)과 베이스(10)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사용자는 제2 수용구조(130)내로 식재료를 추가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의 다양한 사용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품가공기가 야채 분쇄 모드일 경우, 제1 두껑(60)은 클램핑 어셈블리(80)에 의하여 베이스(10)에 체결되어 분쇄실을 형성하고, 식재료는 푸셔구조(70)의 푸시하에 진입구(61)를 통하여 제1 수용구조(20)내로 진입된다. 식품가공기가 육류 수산물 분쇄 모드일 경우, 제2 두껑(150)은 클램핑 어셈블리(80)에 의하여 베이스(10)에 체결되어 제2 두껑(150)과 제2 수용구조(130) 사이에 분쇄실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설치함으로써, 제1 두껑(60) 또는 제2 두껑(150)과 베이스(10)의 탈착이 더욱 쉽고 간단해지며, 탈착 난이도를 낮춘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0)에 스위치 노브(9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스위치 노브(90)를 회전시키면 식품가공기의 작동 상태(인칭, 턴 오프, 분쇄)를 제어할 수 있어, 식품가공기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이 더욱 용이하고 간단해지며 조작 난이도를 낮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식품가공기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모듈은 구동장치(40)에 연결된다. 식품가공기가 야채 분쇄 모드일 경우, 제어모듈은 제1 소정 회전속도로 회전하도록 구동장치(40)를 제어하고, 식품가공기가 육류 수산물 분쇄 모드일 경우, 제어모듈는 제2 소정 회전속도로 회전하도록 구동장치(40)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1 소정 회전속도는 제2 소정 회전속도보다 작다. 이로써, 식품가공기가 서로 다른 작동 모드에 처할 때, 구동장치(40)의 회전속도가 다르므로, 서로 다른 모드에서의 분쇄 효율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사용 체험 만족도를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장치(40)는 모터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소정 회전속도는 10000rpm 이상 및 15000rpm 이하이다. 이로써, 모터축이 상술한 회전속도에서 제1 홀더 샤프트(31)를 회전시켜, 제1 커터(32)와 제2 커터(33)가 식재료 자체의 섬유를 파괴하는 것을 방지하고, 식재료의 영양가를 유지하며, 사용자의 식감을 향상시킨다.
도 1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두껑(150)에 윈도우(151)가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는 윈도우(151)를 통하여 식품가공기의 분쇄 상황을 관찰할 수 있어, 식품가공기를 조작하는데 편리하고, 사용자의 사용 체험 만족도를 향상시킨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0)는 제1 장착부(11)를 구비하고, 배출물 받는 용기(50)는 제2 장착부를 구비하며, 제1 장착부(11)와 제2 장착부가 연결되어 베이스(10)와 배출물 받는 용기(50)의 결합을 실현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배출물 받는 용기(50)를 조작하여 제1 장착부(11)와 제2 장착부를 연결시키면, 베이스(10)와 배출물 받는 용기(50)는 결합 상태에 처하게 되어, 베이스(10)와 배출물 받는 용기(50)의 탈착이 더욱 용이하고 간단해지며, 탈착 난이도를 낮춘다. 그리고, 베이스(10)와 배출물 받는 용기(50)가 결합 상태에 처한 경우, 상기와 같은 설치로 인해 베이스(10)와 배출물 받는 용기(50)의 연결이 더욱 안정적이고, 쌍방이 이탈하여 구동장치(40)의 정상적인 작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장착부(11)는 오목부이고, 제2 장착부는 돌기이며, 돌기가 오목부에 삽입되어 오목부에 의하여 위치 제한된다. 이렇게 설치함으로써, 제1 장착부(11)와 제2 장착부의 구조가 더욱 간단해지고, 쉽게 가공 및 실현할 수 있으며, 식품가공기의 가공 원가를 낮춘다.
실시예2
실시예2중의 식품가공기는 구조에서 실시예1과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식품가공기는 검출 어셈블리와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고, 제어모듈은 구동장치에 연결되며, 검출 어셈블리는 검출구조와 검출대상을 포함한다. 여기서, 검출구조는 베이스에 설치되고 제어모듈에 연결된다. 검출대상은 제2 수용구조의 외면에 설치되고, 검출구조에 의해 검출대상이 검출되면 검출구조는 제어모듈로 신호를 송신하고, 제어모듈은 신호를 수신한 후 구동장치가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이로써, 검출구조에 의해 검출대상이 검출된 경우에만 구동장치가 작동되므로, 제3 커터가 분쇄할 필요가 없는 상황에서 회전하여 사용자에게 상처를 입히는 것을 피할 수 있고, 식품가공기의 사용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제2 수용구조와 제1 수용구조가 결합 상태에 처한 경우, 검출구조에 의해 검출대상이 검출되면, 검출구조는 제어모듈로 신호를 송신하고, 제어모듈은 신호를 수신한 후 구동장치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며, 구동장치의 구동축이 제3 커터를 회전시켜 식재료를 분쇄한다. 제2 수용구조와 제1 수용구조가 결합 상태로부터 이탈되면, 검출구조에 의해 검출대상이 검출되지 않으므로, 제3 커터로 하여금 작동을 멈추도록 구동장치는 회전을 멈춘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하기와 같은 기술효과를 실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용자가 식품가공기를 사용하는 과정에 있어서, 사용자가 야채를 분쇄해야 할 경우, 제1 처리 어셈블리가 제1 수용구조내에 설치되도록 제1 처리 어셈블리를 조작하고, 식품가공기는 야채 분쇄 모드로 되며, 제1 커터에 의해 우선 야채를 큰 야채 덩어리로 절삭하고, 야채 덩어리는 원심력 작용하에 제2 커터에 모이게 되며, 제2 커터에 의해 큰 야채 덩어리를 필요한 크기(작은)의 야채 덩어리로 절삭하고, 필요한 크기의 야채 덩어리는 제1 수용구조내에 하락된 후 배출되어, 식재료가 지나치게 분쇄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식감을 향상시킨다. 사용자가 육류 수산물을 분쇄해야 할 경우, 제2 처리 어셈블리가 제1 수용구조내에 설치되도록 제2 처리 어셈블리를 조작하고, 식품가공기는 육류 수산물 분쇄 모드로 되며, 제3 커터에 의해 육류 수산물을 퓌레로 분쇄하여 소와 같은 음식물을 만든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식품가공기에 따르면, 적어도 두가지 작동 모드를 구비하고, 서로 다른 식재료에 대하여 사용자는 서로 다른 작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어, 기존기술에 있어서 상업용 식품가공기와 민찌기가 기능이 단일하여 사용자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고, 사용자의 사용 체험 만족도를 향상시킨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부가 아니라 일부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반하여, 당업자가 창조성이 있는 작업을 진행하지 않고 획득한 기타 실시예는 모두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다만, 여기에 사용된 용어는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출원의 예시적 실시형태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여기에 사용된 단수는 특별한 설명이 없는 상황에서 복수를 포함하고,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포함" 및/또는 "포괄"을 사용하였을 경우, 특징, 단계, 공정, 소자, 어셈블리 및/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함을 말한다.
본 출원의 명세서와 특허청구범위 및 도면중의 "제1", "제2" 등 용어는 특정된 순서 또는 선후 순서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유사한 대상을 구분하기 위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여기서 설명한 본 출원의 실시형태를 도면 또는 설명과 다른 순서로도 실시할 수 있도록 이렇게 사용된 수치는 상황에 따라 서로 교환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당업자에게 있어서, 본 발명은 각종 변경, 변화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 및 원칙내에서 진행한 모든 수정, 등가대체, 개선 등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10: 베이스, 11: 제1 장착부, 20: 제1 수용구조, 21: 배출구, 31: 제1 홀더 샤프트, 32: 제1 커터, 321: 제3 칼날, 33: 제2 커터, 331: 커터헤드, 332: 제4 칼날, 333: 투입구, 40: 구동장치, 50: 배출물 받는 용기, 51: 용기 개구부, 60: 제1 두껑, 61: 진입구, 70: 푸셔구조, 80: 클램핑 어셈블리, 90: 스위치 노브, 100: 제1 자기 전도 구조, 110: 제2 홀더 샤프트, 120: 제3 커터, 121: 제1 칼날, 122: 제2 칼날, 123: 연결 프레임, 124: 제1 보호 커버, 125: 제2 보호 커버, 130: 제2 수용구조, 140: 제2 자기 전도 구조, 150: 제2 두껑, 151: 윈도우, 210: 제1 자성 근접 스위치, 220: 제2 자성 근접 스위치.
Claims (10)
-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된 제1 수용구조(20);
상기 제1 수용구조(20)내에 설치될 수 있고, 제1 홀더 샤프트(31) 및 상기 제1 홀더 샤프트(31)의 연장방향에 따라 간격을 두고 상기 제1 홀더 샤프트(31)에 설치된 제1 커터(32)와 제2 커터(33)를 포함하는 제1 처리 어셈블리; 및
상기 제1 수용구조(20)내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홀더 샤프트(110) 및 상기 제2 홀더 샤프트(110)에 설치된 제3 커터(120)를 포함하는 제2 처리 어셈블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처리 어셈블리와 상기 제2 처리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수용구조(20)내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야채 분쇄 모드와 육류 수산물 분쇄 모드를 구비하는데, 상기 야채 분쇄 모드일 경우, 상기 제1 처리 어셈블리가 상기 제1 수용구조(20)내에 설치되고, 상기 육류 수산물 분쇄 모드일 경우, 상기 제2 처리 어셈블리가 상기 제1 수용구조(20)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수용구조(20)는 배출구(21)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처리 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10)와 탈착가능하게 연결한 배출물 받는 용기(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물 받는 용기(50)와 상기 베이스(10)가 결합 상태일 경우, 상기 배출물 받는 용기(50)의 용기 개구부(51)와 상기 배출구(21)가 연통되고, 상기 베이스(10)의 상기 배출물 받는 용기(50)를 향한 표면이 상기 배출물 받는 용기(50)의 외면과 맞춰지며,
구동장치(40)와 제1 자성 근접 스위치(2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성 근접 스위치(210)는 상기 구동장치(40)와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제1 회로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회로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구동장치(40)는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장치(40)는 구동단이 상기 제1 홀더 샤프트(31)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홀더 샤프트(31)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커터(32)와 상기 제2 커터(33)를 회전시키도록 하고,
상기 제1 처리 어셈블리는 제1 자기 전도 구조 (1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10)와 상기 배출물 받는 용기(50)중의 하나에 상기 제1 자기 전도 구조 (10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10)와 상기 배출물 받는 용기(50)중의 다른 하나에 상기 제1 자성 근접 스위치(21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자성 근접 스위치(210)에 의해 상기 제1 자기 전도 구조(100)가 감지되었을 경우, 상기 제1 자성 근접 스위치(210)는 상기 제1 회로를 온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공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된 구동장치(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처리 어셈블리는, 상기 제2 홀더 샤프트(110)와 상기 제3 커터(120)가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2 수용구조(1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40)의 구동축이 상기 제1 수용구조(20)와 상기 제2 수용구조(130)를 통과한 후 상기 제2 홀더 샤프트(110)에 연결되어 상기 제2 홀더 샤프트(110)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제3 커터(120)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공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커터(120)는,
제1 칼날(121);
제2 칼날(122); 및
상기 제2 홀더 샤프트(110)에 투설되고, 일측은 상기 제1 칼날(121)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 칼날(122)에 연결된 연결 프레임(123);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칼날(121)과 상기 제2 칼날(122)은 상기 제2 홀더 샤프트(110)의 연장방향에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공기.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커터(120)는,
상기 제1 칼날(121)의 외부에 투설된 제1 보호 커버(124); 및
상기 제2 칼날(122)의 외부에 투설된 제2 보호 커버(125);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공기.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40)와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제2 회로에 연결되어 상기 제2 회로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는 제2 자성 근접 스위치(2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처리 어셈블리는 제2 자기 전도 구조 (1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10)와 상기 제2 수용구조(130)중의 하나에 상기 제2 자기 전도 구조 (14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10)와 상기 제2 수용구조(130)중의 다른 하나에 상기 제2 자성 근접 스위치(22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자성 근접 스위치(220)에 의해 상기 제2 자기 전도 구조(140)가 감지되었을 경우, 상기 제2 자성 근접 스위치(220)는 상기 제2 회로를 온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공기. - 제2 항에 있어서,
검출 어셈블리와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구동장치(40)에 연결되며,
상기 검출 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10)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어모듈에 연결된 검출구조; 및
상기 제2 수용구조(130)의 외면에 설치되어 있는 검출대상; 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구조에 의해 상기 검출대상이 검출된 경우, 상기 검출구조는 상기 제어모듈로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구동장치(40)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공기. - 제1 항에 있어서,
클램핑 어셈블리(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처리 어셈블리는,
진입구(61)를 구비하고, 상기 클램핑 어셈블리(80)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10)와 클램핑되는 제1 두껑(60); 및
식재료를 상기 진입구(61)내로 푸시하기 위한 푸셔구조(7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처리 어셈블리는,
상기 클램핑 어셈블리(80)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10)와 클램핑되는 제2 두껑(1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공기. -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40)에 연결된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야채 분쇄 모드일 경우, 상기 제어모듈은 제1 소정 회전속도로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장치(40)를 제어하고, 상기 육류 수산물 분쇄 모드일 경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 소정 회전속도보다 큰 제2 소정 회전속도로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장치(4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가공기.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2010561775.1 | 2020-06-18 | ||
CN202010561775.1A CN111603075A (zh) | 2020-06-18 | 2020-06-18 | 料理机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57309A KR20210157309A (ko) | 2021-12-28 |
KR102431574B1 true KR102431574B1 (ko) | 2022-08-11 |
Family
ID=72200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53842A KR102431574B1 (ko) | 2020-06-18 | 2021-04-26 | 식품가공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7181338B2 (ko) |
KR (1) | KR102431574B1 (ko) |
CN (1) | CN111603075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354313B (zh) * | 2021-12-29 | 2023-12-26 | 云南华测检测认证有限公司 | 一种内置预处理结构的食品检测装置 |
CN117388032B (zh) * | 2023-12-11 | 2024-02-27 | 内蒙古科牛优选食品有限公司 | 一种用于牛肉食品安全检测装置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5658Y1 (ko) * | 2001-06-08 | 2001-10-22 | 유인조 | 믹서기의 칼날 보호커버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70039U (ko) * | 1978-11-10 | 1980-05-14 | ||
JPS55136421U (ko) * | 1979-03-19 | 1980-09-29 | ||
JPS5924281Y2 (ja) * | 1979-07-09 | 1984-07-18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調理器のカッタ−装置 |
JPS583137U (ja) * | 1981-06-30 | 1983-01-10 | 東芝テック株式会社 | 調理器 |
JPS62186825A (ja) * | 1986-02-12 | 1987-08-15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調理器 |
JPH07188Y2 (ja) * | 1989-11-16 | 1995-01-11 | 中部工機株式会社 | 野菜切截機 |
JPH0744281Y2 (ja) * | 1993-01-16 | 1995-10-11 | セオク セオル ヨング | 多用途粉砕機 |
KR950003972Y1 (ko) * | 1993-06-07 | 1995-05-18 | 최걸성 | 진공청소기의 커버개폐장치 |
KR970001097B1 (ko) * | 1994-03-14 | 1997-01-28 | 우광일 | 녹즙기의 안전장치 |
KR970002193Y1 (ko) * | 1994-08-22 | 1997-03-20 |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 자동차용 오물수거함 |
KR100205842B1 (ko) * | 1997-05-21 | 1999-07-01 | 서상기 | 진동 및 소음 감소용 질량체를 구비하는 믹서기 |
KR200203484Y1 (ko) * | 1998-08-21 | 2000-12-01 | 고귀선 | 후드형 믹서기 |
KR100449277B1 (ko) * | 2002-10-31 | 2004-09-18 | 백찬욱 | 과즙 추출기 |
JP3130025U (ja) | 2006-12-27 | 2007-03-08 | 律展企業股▲ふん▼有限公司 | 多機能フードプロセッサー |
US20130233952A1 (en) | 2012-03-08 | 2013-09-12 | Hamilton Beach Brands, Inc. | Kitchen Appliance for Processing Foodstuff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
KR101496295B1 (ko) * | 2012-09-28 | 2015-03-02 | 최길윤 | 착즙기 |
KR101418975B1 (ko) * | 2012-12-14 | 2014-07-16 | 김선우 | 안전구조를 갖는 핸드 블랜더 |
-
2020
- 2020-06-18 CN CN202010561775.1A patent/CN111603075A/zh active Pending
-
2021
- 2021-04-26 KR KR1020210053842A patent/KR10243157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04-27 JP JP2021074526A patent/JP7181338B2/ja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5658Y1 (ko) * | 2001-06-08 | 2001-10-22 | 유인조 | 믹서기의 칼날 보호커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7181338B2 (ja) | 2022-11-30 |
KR20210157309A (ko) | 2021-12-28 |
CN111603075A (zh) | 2020-09-01 |
JP2021194529A (ja) | 2021-12-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31574B1 (ko) | 식품가공기 | |
US5852968A (en) | Food processors | |
EP0100755A3 (en) | Multi-purpose apparatus for mincing, slicing, dicing or chopping vegetables and food products | |
KR101759754B1 (ko) | 가압 스크류 및 사전 절단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전기 주방 기구 | |
CN106859397B (zh) | 一种多功能的食品加工机 | |
CN212394696U (zh) | 料理机 | |
CN212394663U (zh) | 料理杯及料理机 | |
CN216149962U (zh) | 一种餐厨垃圾粉碎装置及应用其的餐厨垃圾处理设备 | |
CN212237563U (zh) | 一种切碎机 | |
CN213046621U (zh) | 料理机 | |
EP1517105B1 (en) | Ice-crusher | |
CN108871909A (zh) | 一种食品取样均质装置 | |
KR20160023426A (ko) | 전기믹서기의 구동축 및 분쇄커터의 체결 구조 | |
KR0134155Y1 (ko) | 채썰기겸용 분쇄기 | |
US20220184836A1 (en) | Food Slicer and Shredder | |
CN215533769U (zh) | 一种带安全防护机构的料理机 | |
JPS5929253B2 (ja) | 電動調理器 | |
CN219898407U (zh) | 换挡节能自动搓碎纸机 | |
JPS6320130B2 (ko) | ||
KR20190041171A (ko) | 마늘절단기 | |
CN213757898U (zh) | 料理杯及料理机 | |
CN2495126Y (zh) | 薯类、青饲料多功能粉碎机 | |
CN115430505A (zh) | 一种研磨组件及厨余垃圾处理器 | |
KR20160118016A (ko) | 채소류 절단장치 | |
CN114098467A (zh) | 料理杯及料理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