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5842B1 - 진동 및 소음 감소용 질량체를 구비하는 믹서기 - Google Patents

진동 및 소음 감소용 질량체를 구비하는 믹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5842B1
KR100205842B1 KR1019970019697A KR19970019697A KR100205842B1 KR 100205842 B1 KR100205842 B1 KR 100205842B1 KR 1019970019697 A KR1019970019697 A KR 1019970019697A KR 19970019697 A KR19970019697 A KR 19970019697A KR 100205842 B1 KR100205842 B1 KR 100205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blade
semi
annular support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9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4074A (ko
Inventor
김영철
이동환
최상규
이안성
Original Assignee
서상기
재단법인한국기계연구원
김종부
엔유씨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상기, 재단법인한국기계연구원, 김종부, 엔유씨전자 filed Critical 서상기
Priority to KR1019970019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5842B1/ko
Publication of KR19980084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4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5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5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A47J43/0761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5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회전 칼날의 구조적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커플 언밸런스를 보상할 수 있는 질량체를 구비한 믹서기가 개시되었다. 상기 믹서기는 모터, 믹서실 내에 배치되며 상기 모터가 구동함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는 칼날 지지대, 상기 칼날 지지대의 상면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제1회전 칼날, 상기 칼날 지지대의 하부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제2회전 칼날, 상기 제1회전 칼날의 상부에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회전 칼날들의 회전시 발생하는 커플 언밸런스를 보상하는 제1반고리형 질량체, 및 상기 제2회전 칼날의 저면에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회전 칼날들의 회전시 발생하는 커플 언밸런스를 보상하는 제2반고리형 질량체를 구비한다. 상기 질량체를 구비한 믹서기는 회전 칼날의 회전시 진동 및 소음을 감소된다. 상기 회전 칼날들이 저진동으로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모터에 걸리는 부하가 감소되고, 믹서기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Description

진동 및 소음 감소용 질량체를 구비하는 믹서기(MIXER HAVING A MASS FOR REDUCING A VIBRATION AND A NOISE)
본 발명은 믹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믹서기의 작동시 회전 칼날의 구조적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커플 언밸런스(couple unbalance)를 보상함으로써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키는 질량체를 구비한 믹서기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믹서기는 모터에 의해 고속 회전하는 회전 칼날을 이용하여 믹서실 내에 수납된 야채나 과일 등을 즙 상태로 분쇄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믹서기는 현재 조리 기구로서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종래 믹서기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 믹서기(100)은 믹서실(110) 및 모터실(120)을 구비한다. 상기 모터실(120) 내에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30)이 내장되어 있다. 상기 모터(130)은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모터축(132)를 구비한다.
믹서실(110) 내에 배치되는 회전축(150)은 커플링 장치(140)에 의해 상기 모터축(132)와 연결되므로써 상기 모터(130)의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150)의 소정 지점에는 칼날 지지대(160)의 외삽되어 상기 회전축(150)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며, 상기 회전축(150)의 하부에는 회전축(15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베어링(152)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150)이 관통하는 상기 믹서실(110)의 바닥벽에는, 상기 믹서실(110)에 담긴 조리물의 외부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체(112)가 삽입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칼날 지지대(160)의 상면에는 식품을 분쇄하기 위한 제1회전 칼날(170)이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그 하면에는 제2회전 칼날(180)이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회전 칼날들(170,180)은 종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서로에 대해 대향되게 횡방향으로 연장한다.
도 2에는 상기 제1회전 칼날(170)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2회전 칼날(18)의 구조 및 형상은 상기 제1회전 칼날(170)의 구조 및 형상과 동일하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회전 칼날(170)은 상기 칼날 지지대(160)의 상면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제1환형 지지부(174) 및 상기 제1환형 지지부(174)에 일체로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절삭부(176)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환형 지지부(174)에는 90도 간격으로 규칙적으로 이격되어 있는 4개의 리벳 구멍(17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환형 지지부(174)는 상기 리벳 구멍(172)를 통해 상기 칼날 지지대(160)에 고정적으로 리벳-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 믹서기(100)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먼저, 사용자가 선택 스위치(도시 안됨)을 누르면, 모터(130)이 작동하여 회전력을 발생하게 된다. 상기 모터(130)의 회전력은 모터축(132) 및 커플링 장치(140)을 통해 믹서실(110) 내에 배치된 회전축(150)에 전달되며, 이에 따라 상기 회전축(150)이 회전하게 딘다.
상기 회전축(15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축(150)에 외삽되어 있는 칼날 지지대(160)도 회전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칼날 지지대(16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제1 및 제2회전 칼날(170,180)이 회전하여 상기 믹서실(110) 내에 수납되어 있는 식품을 분쇄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 믹서기(100)는 상기 제1 및 제2회전 칼날(170,180)의 회전 중심과 질량 중심이 불평형(unbalance)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 칼날(170,180)이 회전 할 때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특히, 상기 회전 칼날들(170,180)은 종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시 소위 "커플 언밸런스(couple unbalance)"현상을 발생하게 되고, 따라서, 소음 및 진동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모터(130)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믹서기의 회전 칼날의 구조적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커플 언밸런스를 보상하므로써 저진동 저소음을 작동될 뿐만 아니라, 모터에 걸리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믹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일반적인 종래 믹서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회전 칼날의 평면도이다.
제3도는 고속 회전시 종래 믹서기용 회전 칼날에 나타나는 응력 분포도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플 언밸런스 보상용 질량체의 평면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플 언밸런스 보상용 질량체가 회전 칼날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플 언밸런스 보상용 질량체가 회전 칼날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플 언밸런스 보상용 질량체가 회전 칼날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9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커플 언밸런스 보상용 질량체가 회전 칼날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믹서기 210 : 믹서실
220 : 모터실 230 : 모터
240 : 커플링 장치 250 : 회전축
260 : 칼날 지지대 270 : 제1회전 칼날
280 : 제2회전 칼날 290 : 제1질량체
295 : 제2질량체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 모터축을 갖는 모터; 요리물을 수납하는 믹서실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모터축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가 구동함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외삽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는 칼날 지지대; 상기 칼날 지지대의 상면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제1환형 지지부 및 상기 제1환형지지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절삭부로 구성되는 제1회전 칼날; 상기 칼날 지지대의 하부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제2환형 지지부 및 상기 제2환형 지지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절삭부에 대향되게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절삭부로 구성되는 제2회전 칼날; 상기 제1회전 칼날에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회전 칼날들이 회전시 발생하는 커플 언밸런스를 보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반고리형 질량체; 및 상기 제2회전 칼날에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회전 칼날들의 회전시 발생하는 커플 언밸런스를 보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반고리형 질량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선택 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모터가 작동하여 회전력을 발생하게 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력은 믹서실 내에 배치된 상기 회전축에 전달되며, 이에 따라 상기 회전축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칼날 지지대도 회전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칼날 지지대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제1 및 제2회전 칼날이 회전하여 상기 믹서실 내에 수납되어 있는 식품을 분쇄하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회전 칼날이 회전 할 때, 상기 제1 및 제2질량체들은 상기 회전 칼날들의 구조적 불균형성으로 인한 커플 언밸런스 현상을 보상해 주며, 따라서, 상기 회전 칼날들이 저소음 및 저진동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서기(200)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믹서기(200)은 커플 언밸런스 보상용 질량체를 제외하면 그 구조가 도 1에 도시된 믹서기(100)의 구조와 동일하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믹서기(200)은 믹서실(210) 및 모터실(220)을 구비한다. 상기 모터실(220) 내에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30)이 내장되어 있다. 상기 모터(230)은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모터축(232)를 구비한다.
믹서실(210) 내에 배치되는 회전축(250)은 커플링 장치(240)에 의해 상기 모터축(232)와 연결되므로써 상기 모터(230)의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250)의 소정 지점에는 상기 회전축(250)의 회전시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칼날 지지대(260)이 외삽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250)의 하부에는 회전축(15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베어링(252)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250)이 관통하는 상기 믹서실(210)의 바닥벽에는, 상기 믹서실(210)에 담긴 조리물의 외부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체(212)가 삽입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칼날 지지대(260)의 상면에는 식품을 분쇄하기 위한 제1회전 칼날(270)이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그 하면에는 동일한 용도의 제2회전 칼날(280)이 고정적으로결합되어 있다. 상기 회전 칼날들(270,280)은 종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서로에 대해 대향되게 횡방향으로 연장한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1회전 칼날(270)은 상기 칼날 지지대(260)의 상면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제1환형 지지부(274) 및 상기 제1환형 지지부(274)에 일체로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절삭부(276)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환형 지지부(274)에는 90도 간격으로 규칙적으로 이격되어 있는 4개의 리벳 구멍(27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환형 지지부(274)는 상기 리벳 구멍(272)를 통해 상기 칼날 지지대(260)에 고정적으로 리벳-결합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2회전 칼날(280)은 제1회전 칼날(27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제2환형 지지부 및 제2절삭부를 구비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회전 칼날(270)의 상면에는 커플 언밸런스를 보상하기 위한 제1질량체(290)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회전 칼날(280)의 저면에는 커플 언밸런스를 보상하기 위한 제2질량체(295)가 결합되어 있다.
도 5에는 상기 제1질량체(290)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2질량체(295)의 구조 및 형상은 상기 제1질량체(295)의 구조 및 형상과 동일하므로 상기 제2질량체(295)의 구조 및 형상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질량체(290)은 그 외경과 내경이 상기 제1환형 지지부(274)의 외경 및 내경에 상응하는 반고리(semi-annular)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1질량체(290)의 형상을 상기 제1환형 지지부(274)의 구조에 상응하는 반고리 형상으로 만드는 이유는, 다수 회의 실험을 통한 결과 이러한 반고리형 구조가 커플 언밸런스를 보상하는 데에 가장 적합한 구조로서 판명되었기 때문이며, 또한 회전 칼날의 외관을 양호하게 만들어 주기 때문이다.
상기 질량체들(290,295)의 칫수는 한쪽 회전 칼날의 언밸런스 양을 파악한 후 커플 언밸런스 양을 파악하여 이를 보상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상기 회전 칼날의 언밸런스 양을 파악하는 방법으로는, 소정의 속도로 회전하는 회전 칼날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한 응력분포를 컴퓨터를 사용하여 유한요소 해석법으로 계산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즉, 회전 칼날에 작용하는 각 방향의 원심 응력 성분을 합하므로써 원심력과 같은 크기의 반력을 계산하고, 이에 따라 언밸런스의 정확한 벡터량을 계산하는 것이다.
또한,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질량체들은 상기 회전 칼날의 환형 지지부에 결합되되, 상기 환형 지지부의 중심 수직축(S)로부터 우측으로 소정의 각도(θ) 만큼 옵셋된 위치에 결합된다. 이는 회전 칼날의 절삭부가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는 구조이기 때문에, 이러한 구조적 형상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응력 불균형 현상을 효과적으로 보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출원의 발명자가 실험한 결과에 따르면, 상기 각도(θ)는 약 3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도 4는 본 출원의 발명자가 실험한 결과를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1200rpm으로 회전하는 회전 칼날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한 응력분포도가 예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A"구역에서 가장 큰 응력이 작용하였으며, "E"구역에서 가장 작은 응력이 작용하였다. 도 4에 예시된 구역들(A-E)에 작용하는 응력의 크기를 부등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A>B>C>D>E.
본 출원의 발명자가 실험한 회전 칼날에서는, 원심력 Fx=-161257kgm/sec2, Fy=8094.32kgm/sec2로 나타났으며, 언밸런스양(Us)은 0.10224659gmm로 나타났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질량체(290,295)가 제1 및 제2회전 칼날(270,28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앞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질량체(290,295)는, 평면도로 볼때, 상기 제1 및 제2환형 지지부의 중심 수직축으로부터 우측으로 약 3도정도 옵셋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회전 칼날들에 작용하는 커플 언밸런스 및 반고리형 질량체의 질량을 결정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커플 언밸런스(Uc)=Us×d=mbrc(d+tb),
질량체의 질량(mb)=
Figure kpo00002
언밸런스 위치(rc)=
Figure kpo00003
(여기서, Us=언밸런스 양, d=칼날 지지대의 폭, tb=반고리형 질량체의 두께, ρs=질량체의 물성 밀도, R=질량체 외경의 반지름, r=질량체 내경의 반지름)
본 출원의 발명자가 실험한 결과에 따르면, 상기 반고리형 질량체의 두께(tb)는 3.762㎜로 계산되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제1 내지 제4질량체(290,295,290',295')가 제1 및 제2회전 칼날(270,280)에 각각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제1질량체(290)은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제1회전 칼날(270)의 상면에 장착되며, 제2질량체(295)도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제2회전 칼날(280)의 하면에 장착된다. 제3질량체(290')는 상기 제1질량체(290)에 대응되게 상기 제1회전 칼날(270)의 저면에 장착되며, 제4질량체(295')는 상기 제2질량체(295)에 대응되게 상기 제2회전 칼날(280)의 상면에 장착된다. 상기 제3 및 제4질량체(290',295')들이 상기 칼날 지지대(260)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칼날 지지대(260)의 상면 및 하면에는 상기 질량체들의 형상에 상응하는 제1 및 제2홈(262,264)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회전 칼날들에 작용하는 커플 언밸런스 및 상기 반고리형 질량체들(290,295,290',295')의 질량을 결정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커플 언밸런스(Uc)=Us×d=2mbrcd-mprc(d-tb-t),
제1 및 제2질량체의 질량(mb)=
Figure kpo00004
제3 및 제4질량체의 질량(mp)=
Figure kpo00005
언밸런스 위치(rc)=
Figure kpo00006
(여기서, Us=언밸런스 양, d=칼날 지지대의 폭, tb=반고리형 질량체의 두께, ρs=제1 및 제2질량체의 물성 밀도, ρp=제3 및 제4질량체의 물성 밀도, R=질량체 외경의 반지름, r=질량체 내경의 반지름, t=회전 칼날의 두께)
본 출원의 발명자가 실험한 결과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반고리형 질량체의 두께(tb)는 2.545㎜로 계산되었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질량체(290',295')가 제1 및 제2회전 칼날(270,280)에 각각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상기 제1 및 제2회전 칼날(270,280)의 상면 및 하면에 장착된 질량체들을 제거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제2실시예와 동일한 형태이다. 이러한 구조는 칼날 지지대(260)의 상부 및 하부로 질량체가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외관이 양호해 진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믹서기(200)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먼저, 사용자가 선택 스위치(도시 안됨)을 누르면, 모터(230)이 작동하여 회전력을 발생하게 된다. 상기 모터(230)의 회전력은 모터축(232) 및 커플링 장치(240)을 통해 믹서실(210) 내에 배치된 회전축(250)에 전달되며, 이에 따라 상기 회전축(25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25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축(250)에 외삽되어 있는 칼날 지지대(260)도 회전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칼날 지지대(26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제1 및 제2회전 칼날(270,280)이 회전하여 상기 믹서실(20) 내에 수납되어 있는 식품을 분쇄하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회전 칼날(270,280)이 회전 할 때, 상기 회전 칼날들(270,280)의 상면 및 저면에 장착되어 있는 제1 및 제2질량체(290,295)들은 상기 회전 칼날들(270,280)의 구조적 불균형성으로 인한 커플 언밸런스 현상을 보상해 주며, 따라서, 상기 회전 칼날들(270,280)이 저소음 및 저진동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음의 도표는 본 발명에 따른 질량체를 믹서기에 적용했을 경우와 그렇지 않았을 경우를 본 출원의 발명자가 실험한 결과이다.
Figure kpo00007
상기 표 1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질량체가 적용된 믹서기는 진폭의 크기가 50% 이하 수준으로 현저히 줄어들었으며, 회전 속도가 상승되었고, 진동 가속도의 값이 종래의 50% 수준으로 감소되므로써 소음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져다주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및 소음 감소용 질량체를 구비한 믹서기는 회전 칼날의 구조적 불균형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커플 언밸런스를 보상하므로써 회전 칼날의 회전시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회전 칼날들이 저진동으로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모터에 걸리는 부하가 감소되고, 따라서, 믹서기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된 명세서와 첨부된 도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실시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명확히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모터축을 갖는 모터; 요리물을 수납하는 믹서실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모터축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가 구동함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외삽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는 칼날 지지대; 상기 칼날 지지대의 상면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제1환형 지지부 및 상기 제1환형 지지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절삭부로 구성되는 제1회전 칼날; 상기 칼날 지지대의 하부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제2환형 지지부 및 상기 제2환형 지지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절삭부에 대향되게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절삭부로 구성되는 제2회전 칼날; 상기 제1회전 칼날의 제1환형 지지부에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회전 칼날들의 회전시 발생하는 커플 언밸런스를 보상하며, 상기 제1환형 지지부의 내경 및 외경에 상응하는 내경 및 외경을 갖고, 평면도로 볼 때 제1환형 지지부의 중심수직축으로부터 약 3도 정도 옵셋된 위치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반고리형 질량체; 및 상기 제2회전 칼날의 제2환형 지지부에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회전 칼날들의 회전시 발생하는 커플 언밸런스를 보상하며, 상기 제2환형 지지부의 내경 및 외경에 상응하는 내경 및 외경을 갖고, 평면도로 볼 때 상기 제2환형 지지부의 중심 수직축으로부터 약 3도 정도 옵셋된 위치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반고리형 질량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고리형 질량체의 칫수는 한쪽 회전 칼날의 언밸런스양을 파악한 후 커플 언밸런스 양을 파악하여 이를 보상할 수 있도록 만들어지며, 상기 커플 언밸런스 양 및 상기 반고리형 질량체의 질량은 다음의 식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커플 언밸런스(Uc)=Us×d=mbrc(d+tb),
    질량체의 질량(mb)=
    Figure kpo00008
    (여기서, Us=언밸런스 양, d=칼날 지지대의 폭, rc=언밸런스 위치=
    Figure kpo00009
    , tb=반고리형 질량체의 두께, ρs=질량체의 물성 밀도, R=질량체 외경의 반지름, r=질량체 내경의 반지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고리형 질량체는 상기 제1환형 지지부의 중심 수직축으로부터 우측으로 약 3정도로 옵셋되어 상기 제1환형 지지부의 상면에 장착되는 제1상부 질량체 및 상기 제1상부 질량체에 대응되게 상기 제1환형 지지부의 저면에 장착되는 제1하부 질량체를 포함하여, 상기 제2반고리형 질량체는 상기 제2환형 지지부의 중심 수직축으로부터 좌측으로 약 3도 정도 옵셋되어 상기 제2환형 지지부의 상면에 장착되는 제2상부 질량체 및 상기 제2상부 질량체에 대응되게 상기 제2환형 지지부의 저면에 장착되는 제2하부 질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 지지대의 상면 및 하면에는 상기 반고리형 질량체들의 형상에 상응하는 제1 및 제2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홈에는 상기 제1하부 질량체가 수납되며, 상기 제2홈에는 상기 제2상부 질량체가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5. 제4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반고리형 질량체의 칫수는 한쪽 회전 칼날의 언밸런스 양을 파악한 후 커플 언밸런스 양을 파악하여 이를 보상할 수 있도록 만들어지며, 상기 커플 언밸런스 양 및 상기 반고리형 질량체의 질량은 다음의 식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믹서기.
    커플 언밸런스(Uc)=Us×d=2mbrcd-mprc(d-tb-t),
    제1상부 및 제2하부 반고리형 질량체의 질량(mb)=
    Figure kpo00010
    제1하부 및 제2상부 질량체의 질량(mp)=
    Figure kpo00011
    (여기서, Us=언밸런스 양, d=칼날 지지대의 폭, rc=언밸런스 위치=
    Figure kpo00012
    , tb=언밸런스 위치= 반고리형 질량체의 두께, ρs=제1상부 및 제2하부 질량체의 물성 밀도, ρp=제1하부 및 제2상부 질량체의 물성 밀도, R=질량체 외경의 반지름, r=질량체 내경의 반지름, t=회전 칼날의 두께).
KR1019970019697A 1997-05-21 1997-05-21 진동 및 소음 감소용 질량체를 구비하는 믹서기 KR100205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9697A KR100205842B1 (ko) 1997-05-21 1997-05-21 진동 및 소음 감소용 질량체를 구비하는 믹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9697A KR100205842B1 (ko) 1997-05-21 1997-05-21 진동 및 소음 감소용 질량체를 구비하는 믹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4074A KR19980084074A (ko) 1998-12-05
KR100205842B1 true KR100205842B1 (ko) 1999-07-01

Family

ID=19506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9697A KR100205842B1 (ko) 1997-05-21 1997-05-21 진동 및 소음 감소용 질량체를 구비하는 믹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58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951B1 (ko) * 2002-03-30 2004-05-03 주식회사 뉴파워 믹서 겸용 분쇄기의 연동축 방수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03075A (zh) * 2020-06-18 2020-09-01 廊坊开发区利仁电器有限公司 料理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951B1 (ko) * 2002-03-30 2004-05-03 주식회사 뉴파워 믹서 겸용 분쇄기의 연동축 방수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4074A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8403B1 (en) Bell-shaped shield for use on a household appliance, particularly a hand blender or a hand mixer
KR100443582B1 (ko) 회전작업조립체의지지수단을포함하는다용도분쇄-혼합기와같은가전조리기구
EP0132035A2 (en) A blending and emulsifying apparatus
ATE133841T1 (de) Vielzweckküchenmaschine zum bearbeiten von nahrungsmitteln
KR100205842B1 (ko) 진동 및 소음 감소용 질량체를 구비하는 믹서기
AU614244B2 (en) Anti-vibration leg unit
KR100195001B1 (ko) 믹서기용 회전칼날의 커플 언밸런스를 보상하기 위한 방법
US2945970A (en) Vibrators, more particularly an immersion vibrator
CN208909926U (zh) 一种运行稳定的食品加工机
CN204995290U (zh) 驱动电机和食物料理机
PT834276E (pt) Aparelho electrodomestico de preparacao culinaria do genero robot domestico multi-usos
US3344293A (en) Electro-mechanical gyrator
CA2161691A1 (en) Working Chamber for an Electrically Operated Domestic Kitchen Appliance
KR102419122B1 (ko) 임펠러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음료 보관 장치
JPH0473021A (ja) 回転調理器
CN208447350U (zh) 料理机
CN212117954U (zh) 一种具有方形平衡轴结构的破壁机
CN209285193U (zh) 一种运行平稳的食品加工机
KR100428951B1 (ko) 믹서 겸용 분쇄기의 연동축 방수부재
Ranze et al. Oscillating torques when using frequency-controlled motors in the cement industry
RU2213515C2 (ru) Электропривод для бытовых приборов
JP2865338B2 (ja) ミキサー
SU1263341A1 (ru) Конусна инерционна дробилка
JPH0480686B2 (ko)
SU1734998A1 (ru) Нагруз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 испытани шпинделей деревообрабатывающих станк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0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