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972Y1 - 진공청소기의 커버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커버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972Y1
KR950003972Y1 KR2019930009838U KR930009838U KR950003972Y1 KR 950003972 Y1 KR950003972 Y1 KR 950003972Y1 KR 2019930009838 U KR2019930009838 U KR 2019930009838U KR 930009838 U KR930009838 U KR 930009838U KR 950003972 Y1 KR950003972 Y1 KR 9500039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cover
hole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98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0417U (ko
Inventor
최걸성
Original Assignee
최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걸성 filed Critical 최걸성
Priority to KR20199300098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3972Y1/ko
Publication of KR9500004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4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9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9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5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vertical type, e.g. tank or bucket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81Means for removing bags in suction cleaners, e.g. ejecting means; Means for exchanging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커버개폐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이 결착된 진공청소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몸체 3 : 커버체
4 : 집진포 6 : 개폐구
7 : 하부격판 8 : 상부격판
21,21',74,83 : 사각장공 22,22' : 괘지부
61,61' : 걸림턱 62,62' : 테이퍼면
63 : 누름판 64 : 스프링지지돌기
65 : 장공 66 : 스프링
73,73' : 장입부 75 : 요홈부
76 : 스프링지지홈 77 : 돌기부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의 커버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먼지흡입장치가 설치된 커버체와 흡입구에 집진포가 부착되어 그 내부로 내장된 몸체를 완전히 이격분리되게 하여 몸체내에 내장된 집진포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한 진공청소기의 커버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진공청소기는 대부분 하부몸체에 결합된 상부커버체의 일측으로는 먼지 흡입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커버체의 중간부를 나누어 힌지부를 구성하며 그 타측에는 후크형 개폐구가 설치되어 힌지부를 축으로 전방쪽 상부만 개폐되게 구성된 것이 주종을 이룬다.
이러한 것은 일측에 설치된 후크형 개폐구를 상부로 가압하여 들어올려 주게되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부일측에 설치된 커버가 개방되게 되고 이때 몸체내부에 끼워져 흡입구를 통해 먼지가 집진된 집진포를 제거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통상적으로 청소기용 집진포는 일회용으로써 종이재로 되어있고 커버가 위로 젖혀져 개폐된 개폐구는 상부커버체의 반쪽만 개폐되기 때문에 비좁아 집진포 제거작업이 용이하지 못하며 또 집진포가 쉽게 찧어져 버려 몸체내부로 먼지가 쏟아져 집진포 제거작업을 번거롭게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그러한 구조의 종래 진공청소기의 개폐장치는 스프링이 끼워지거나 자체에 탄성리브가 형성된 후크형 개폐구를 몸체의 상부일측에 형성된 걸림리브에 걸어주는 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스프링이 외부로 노출되어 쉽게 탈리되게 되어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또 탄성리브는 잦은 사용에 의해 탄성력을 잃거나 마모, 마찰에 의해 파손되어 버릴우려가 있어 결국 두가지 유형의 개폐장치 모두가 청소기의 사용수명을 단축시켜 버린다는 크나큰 문제가 있어 개선해야될 과제를 대두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 진공청소기의 커버개폐장치에서 비롯되는 제반폐문제점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고 치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은 첫째목적을 몸체의 상부에 끼워지는 흡입장치가 설치된 커버체를 몸체와 완전히 분리하여 흡입구를 통해 집진된 집진포를 상하지 않고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구조의 진공청소기의 커버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둘째목적은 개폐구를 누름형으로 구성내장하여 양단하부에 형성된 걸림부가 몸체에 상부양측에 형성된 사각공에서 이탈되는 방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마모, 파손되거나 스프링이 탈리될 염려가 없어 결국 진공청소기의 사용수명을 길게 연장할 수 있는 구조의 진공청소기의 커버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명백하질 것이다.
즉, 본 고안의 첨부된 도면 제1도 내지 제3도에서 보여 주는 바와같이 몸체(2)의 내부 일측에는 집진포(4)가 설치되고 그와 결합되는 상부커버체(3)의 내부에는 흡입장치(5)가 설치되어 상기 몸체(2)와 커버체(3)가 개폐구(6)의 작동에 의해 상호 개폐되는 진공청소기(1)에 있어서, 상기 몸체(2)이 상부면 양측 중간부에는 내부에 괘지부(22)(22')가 형성된 사각장공(21)(21')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커버체(3)의 저면에는 상부격판(8)과 하부격판(7)의 사이에 개폐구(6)가 끼워진채로 통상의 방법에 의해 결합되어지되, 상기 하부격판(7)은 내부에 함입부(71)를 갖는 격판몸체(72)의 상부면 양측에 장입부(73)(73')가 형성되고 그 장입부(73)(73')가 끝나는 양단에는 사각장공(74)과 요홈부(75)가 각각 형성되면 내부면 일측에 스프링지지홈(76)과 요홈부(75)가 형성된 일측장입부(73)의 상부면 중앙부에는 돌부(77)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개폐구(6)는 양측하부로 그 저면에서부터 테이퍼면(62)(62')을 갖는 연장된 걸림턱(61)(61')이 각각 형성되고 일측 상부로 누름판(63)이 연장형성되며 그 타측 후방하부에는 스프링지지돌기(64)가 일체로 되어 탄지스프링(66)이 끼워지고 일측에 장공(65)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격판(8)은 상부면 중앙부에 돌출된 함입부(81)가 형성되고 그 외주로 돌출테(82)와 일측 중간부에 사각장공(83)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미설명 부호로써 23,23'는 구동바퀴, 24는 먼지흡입구, 25는 집진필터, 26은 흡입관 착탈구, 31은 전원코드, 32는 돌손잡이, 78,84는 나사공을 각각 나타낸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 및 제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그 조립되는 순서를 살펴보면 개폐구(6)의 일측후방에 형성된 스프링지지돌기(64)에 스프링(66)이 끼워진채로 상기 개폐구(6)를 상기 하부격판(7)의 상부면 양측중간부에 형성된 사각장공(74)과 요홈부(75)을 향하여 끼워주게 되면 상기 개폐구(6)의 양측하부에 각각 연장형성된 걸림턱(61)(61')이 상기 하부격판(7)에 형성된 사각장공(74)과 요홈부(75)에 끼워지면서 하부격판(7)의 돌기부(77)에는 개폐구(6)의 장공(65)이 끼워지고 상기 하부격판(7)의 일측내면에 형성된 스프링지지홈(76)에는 개폐구(6)의 일측후방에 끼워진 스프링(66)이 끼워져 탄지되면서 개폐구(6)가 상기 장입부(73)(73')에 완전히 장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개폐구(6)의 일측상부에 연장형성된 누름판(63)이 상기한 상부격판(8)의 일측에 형성된 사각장공(83)에 끼워진채로 상기 상부격판(8)과 하부격판(7)에 다수개 형성된 나사공(78)(84)을 맞추어 상기 하부격판(7)의 저면에서 부터 나사를 관통하여 커버체(3)에 고정하게 주게된다.
이러한 상태로 커버체(3)를 몸체(2)의 상부면에 끼워주게 되면 되는데 이때 몸체(2)의 상부면 양측에 형성된 사각공(21)(21')에는 상부격판(8)과 하부격판(7)에 의해 커버체(3)의 내면에 결합된 개폐구(6)의 걸림턱(61)(61')이 끼워지면서 상기 걸림턱(61)(61')의 저면에서부터 일측으로 경사각을 갖는 테이퍼면(62)(62')이 상기 몸체 사각공(21)(21')의 일측면에서 맞닿은 체로 커버체(3)가 상부에서 내려오는 힘에 의해 상기 사각공(21)(21')의 일측면에 가압되게 되면서 일측으로 밀려가게 된다. 이때 개폐구(6)에 결합된 스프링(66)은 스프링홈(76)내에서 수축되게 되고 상기 개폐구(6)의 일측에 형성된 장공(65)은 상기 하부격판(7)의 일측상부면에 형성된 돌부(77)에 안내되어 이동된다.
이때 개폐구(6)의 걸림턱(61)(61')이 몸체(2)의 사각공(21)(21')내에 완전히 삽입되게 되면 스프링(66)의 완충작용에 의해 개폐구(6)가 원위치 되면서 상기 개폐구(6)에 형성된 걸림턱(61)(61')이 몸체(2)의 사각공(21)(21')내부에 형성된 괘지부(22)(22')에 괘지되어 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로 청소를 하고 난뒤 집진된 먼지를 제거할 때에는 개폐구(6)의 일측상부로 연장되어 청소기의 전면에 노출되어 있는 누름판(63)에 약간의 힘을 가해 그 내부로 밀어 주게되면 내부에 끼워진 스프링(66)이 수축되면서 개폐구(6)의 걸림턱(61)(61')이 몸체(2)의 괘지부(21)(21')와 이격되게 되고 그러한 상태를 유지한채로 커버채(3)를 상부로 들어올려 개방하고 난뒤 내부에 설치된 집진포(4)를 이탈시켜 제거하면 된다.
이와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커버체가 몸체와 완전히 분리되게 되어 집진포 제거작업이 매우 용이해지고 또한 개폐구가 내장되어 있는 누름판을 누르는 보턴형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사용이 간편하며 파손이나 마손의 염려가 없고 또한 종래와 같이 탄성리브의 반복사용에 인한 탄력성을 잃을 염려가 없어 결국 청소기의 사용수명을 길게 연장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임이 명백하다.

Claims (1)

  1. 몸체(2)와 커버체(3)가 개폐구(6)의 작동에 의해 상호 개폐되는 진공청소기(1)에 있어서, 상기 몸체(2)의 상부면 양측 중간부에는 내부에 괘지부(22)(22')가 형성된 사각장공(21)(21')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커버체(3)의 저면에는 상부격판(8)과 하부격판(7)의 사이에 개폐구(6)가 끼워진채로 통상의 방법에 의해 결합되어지되, 상기 하부격판(7)은 내부에 함입부(71)를 갖는 격판몸체(72)의 상부면 양측에 장입부(73)(73')가 형성되고 그 장입부(73)(73')가 끝나는 양단에는 사각장공(74)과 요홈부(75)가 각각 형성되며 내부면일측에 스프링지지홈(76)과 상기 요홈부(75)가 형성된 일측장입부(73)의 상부면 중앙부에는 돌부(77)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개폐구(6)는 양측하부로 그 저면에서 부터 테이퍼면(62)(62')을 갖는 연장된 걸림턱(61)(61')이 각각 형성되고 일측 상부로 누름판(63)이 연장형성되며 그 타측 후방하부에는 스프링지지돌기(64)가 일체로 되어 탄지스프링(66)이 끼워지고 일측에 장공(65)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격판(8)은 상부면 중앙부에 돌출된 함입부(81)가 형성되고 그 외주로 돌출테(82)와 일측 중간부에 사각장공(83)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커버개폐장치.
KR2019930009838U 1993-06-07 1993-06-07 진공청소기의 커버개폐장치 KR9500039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9838U KR950003972Y1 (ko) 1993-06-07 1993-06-07 진공청소기의 커버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9838U KR950003972Y1 (ko) 1993-06-07 1993-06-07 진공청소기의 커버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417U KR950000417U (ko) 1995-01-03
KR950003972Y1 true KR950003972Y1 (ko) 1995-05-18

Family

ID=19356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9838U KR950003972Y1 (ko) 1993-06-07 1993-06-07 진공청소기의 커버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397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1295A (ko) * 2002-12-12 2004-06-18 최상진 연속가동 후드믹서
KR102438929B1 (ko) * 2016-06-13 2022-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듈러 조리기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N111603075A (zh) * 2020-06-18 2020-09-01 廊坊开发区利仁电器有限公司 料理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417U (ko) 1995-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45654A (en) Hand-held vacuum cleaner
KR100445803B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배기구조
KR100203437B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 장착구조
KR950003972Y1 (ko) 진공청소기의 커버개폐장치
WO2020164285A1 (zh) 一种吸尘器
KR200171466Y1 (ko) 진공청소기의 면걸레 착탈장치
KR900009827Y1 (ko) 전기소제기의 필터 고정장치
KR20050066907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통 착탈장치
KR101449582B1 (ko) 진공청소기
JPH0323155Y2 (ko)
KR100414657B1 (ko) 전기청소기
JPS6345237Y2 (ko)
CN221012323U (zh) 一种膏霜盒
CN214804392U (zh) 一种马桶清洁工具
CN214760889U (zh) 一种手持吸尘器的尘杯锁扣
KR0176045B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 착탈장치
JPH0337571Y2 (ko)
CN206822246U (zh) 吹风机
JPS646766Y2 (ko)
JPH0335254Y2 (ko)
KR100281291B1 (ko) 면걸레진공청소기흡입구의걸레판착탈장치
KR200144879Y1 (ko) 진공청소기의 커버 개폐장치
KR20030035629A (ko) 무선 진공청소기용 집진필터의 착탈구조
JPS6324847Y2 (ko)
KR200264359Y1 (ko) 무선 진공청소기용 집진필터의 착탈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