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193Y1 - 자동차용 오물수거함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오물수거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193Y1
KR970002193Y1 KR2019940021103U KR19940021103U KR970002193Y1 KR 970002193 Y1 KR970002193 Y1 KR 970002193Y1 KR 2019940021103 U KR2019940021103 U KR 2019940021103U KR 19940021103 U KR19940021103 U KR 19940021103U KR 970002193 Y1 KR970002193 Y1 KR 9700021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trash
garbage
vehicle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11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7591U (ko
Inventor
심상구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211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2193Y1/ko
Publication of KR9600075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5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1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1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refuse, e.g. ash-trays
    • B60N3/083Ash-trays
    • B60N3/086Ash-trays with refuse evacua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Refuse-Collection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오물수거함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오물수거함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오물수거함의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뒷좌석 11 : 셀프선반
12 : 뚜껑 13 : 오물주입구
15 : 트렁크 16 : 덕트
17 : 쓰레기통 20 : 오물유출구
21 : 오물진입구 22 : 환형돌기
23 : 환형요홈
본 고안은 자동차용 오물수거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뒷좌석 후방에 제공되는 셀프선반상에 오물주입구를 설치하고 트렁크의 내부로 통하는 덕트의 종단에 쓰레기통을 착탈식으로 설치하여 차내에서 버린 오물, 쓰레기 등이 덕트를 통해서 트렁크내의 쓰레기통에 저장되도록 하기 위한 자동차용 오물수거함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내에서 발생된 쓰레기의 처리는 보통 차량의 콘솔박스 근처에 마련된 쓰레기수거함에 의존하거나 재털이를 이용하고 있지만, 그 내용적이 작아 그다지 많은 양의 쓰레기는 담아두지 못하여 장거리 주행중 쓰레기가 적채된 이 경우에는 시트의 전방하측에 마련되는 발판부분이나 뒷좌석 후방에 마련된 셀프선반에 쌓아놓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차내의 쓰레기(예를 들어, 아이스크림 껍질, 1회용 도시락그릇, 담배꽁초, 빈캔옹기 등)로부터 발생되는 악취가 차내의 공기를 오염시켜 쾌적한 승차를 방해할 뿐만 아니라 차내를 더럽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차내에서 발생되는 쓰레기를 기존에 비해 많은 양을 수납할 수 있으면서 실내로부터 결리되는 상태로 저장할 수 있는 자동차용 오물수거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르면 자동차의 뒷좌석 후방측에 위치한 셀프선반상에 뚜껑에 의해 개폐가능한 오물주입구를 내어 이 오물주입구로 부터 트렁크 내부로 연통하는 덕트를 후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덕트와 연통하는 쓰레기통의 오물진입구와 상기 덕트의 오물유출구가 탈·착이 자유롭도록 구성한 자동차용 오물수거함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오물수거함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오물수거함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로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뒷좌석(10)의 리어시트배(10a)의 상단부와 거의 일치하는 높이를 가지는 수평한 셀프선반(11)의 소정 위치에 예컨대 장방형의 오물주입구(13)를 형성하는바, 그 오물주입구(13)는 힌지(12a)에 의해 개폐가 자유롭도록 설치된 뚜껑(12)에 의해 열리거나 닫혀지게 되며, 그 뚜껑(12)은 자동차의 후방측을 향해 열리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오물주입구(13)와 연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덕트(16)를 다소 하방측으로 기울여서 트렁크(15)의 내부로 연통하도록 하는 한편, 그 연통된 트렁크(15)의 내부에 장입방형의 쓰레기통(17)의 오물진입구(21)와 상기 덕트(16)의 오물유출구(20)가 이루는 접촉면상에 상호 끼워질 수 있는 환형돌기(22)와 환형오물(23)을 형성하여 착탈이 자유롭도록 구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쓰레기통(17)에는 전면에 탈·착시 간편하도록 손잡이(17b)를 마련하고, 포화상태인 오물을 쓰레기통(17)에 마련된 오물진입구(21)를 통해 외부로 쏟아버릴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덕트(16) 및 쓰레기통(17)은 다소 진동이 심한 차량에 의해 영향을 적게 받아 큰 소음이 발생하지 못하도록 합성수지류의 재질을 사용 사출성형한다.
또, 도면중 참조부호 12b는 상기 뚜껑(12)의 상면에 형성된 손잡이를 나타낸다.
이어,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오물수거함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차내의 셀프선반(11)에 마련된 뚜껑(12)을 열고 오물주입구(13)를 통해 쓰레기를 주입시키게 되면, 주입된 쓰레기는 자중에 의해 덕트(16)내에서 낙하되어 다소 기울어진 모양을 하는 덕트(16)의 바닥면상에서 미끄러지면서 쓰레기통(17)의 오물진입구(21)를 통해 최종적으로 쓰레기통(17)에 수납된다.
이어, 상기 뚜껑(12)을 닫게 되면, 쓰레기의 부패 등에 의해 발생되는 악취는 실내로 유입되는 일이 방지되게 된다.
한편, 상기한 과정에 의해 누적된 쓰레기가 과포화 상태일 때 상기 쓰레기통(17)내의 쓰레기를 또다른 장소에 내버릴 경우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렁크(15)를 개방한 상태에서 쓰레기통(17)을 약간 비틀어서 전방측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서로 맞물린 환형돌기(22)와 환형요홈(23)이 이탈되면서 덕트(16)의 하단에 달려 있던 쓰레기통(17)이 분리되어 다른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쓰레기통(17)에 마련된 오물진입구(21)를 통해 내부에 담겨진 쓰레기를 버린 다음 그 쓰레기통(17)의 오물진입구(21)와 덕트(16)의 하단부에 일치시키게 되면 쓰레기의 처리가 완료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차내에서 발생되는 쓰레기를 차내와 격리된 쓰레기통을 이용하여 수납시킴으로 악취제거에 효과적이며, 발생되는 쓰레기의 양이 다소 많다고 하더라도 쓰레기 적재량이 크게 되어 있으므로 기존보다 많은 량의 쓰레기를 적재할 수 있어 장거리 여행에 매우 적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뒷좌석(10)의 후방측에 위치한 셀프선반(11)상에 뚜껑(12)에 의해 개폐가능한 오물주입구(13)를 형성하고, 그 오물주입구(13)로 부터 트렁크(15)의 내부로 연통하는 덕트(16)를 후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하며, 상기 덕트(16)와 연통하는 쓰레기통(17)의 오물진입구(21)와 상기 덕트(16)의 오물유출구(20)는 환형돌기(22)와 환형요홈(23)에 의해 탈·착이 자유롭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오물수거함.
KR2019940021103U 1994-08-22 1994-08-22 자동차용 오물수거함 KR9700021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1103U KR970002193Y1 (ko) 1994-08-22 1994-08-22 자동차용 오물수거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1103U KR970002193Y1 (ko) 1994-08-22 1994-08-22 자동차용 오물수거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591U KR960007591U (ko) 1996-03-13
KR970002193Y1 true KR970002193Y1 (ko) 1997-03-20

Family

ID=19391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1103U KR970002193Y1 (ko) 1994-08-22 1994-08-22 자동차용 오물수거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1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606B1 (ko) * 2009-03-30 2011-03-09 장순기 차량용 휴지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869B1 (ko) * 2016-06-20 2016-11-23 오영동 차량용 오물 처리장치
CN111603075A (zh) * 2020-06-18 2020-09-01 廊坊开发区利仁电器有限公司 料理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606B1 (ko) * 2009-03-30 2011-03-09 장순기 차량용 휴지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591U (ko) 1996-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96691C (en) Apparatus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on
US5458350A (en) Recycle collector dolly
US6199714B1 (en) Waste receptacle with swept debris pick up and features to maximize convenient use of receptacle liners
US7036675B2 (en) Trash receptacle and attachment
US5076458A (en) Recyclable trash collection station for household usage
US5181619A (en) Apparatus and system for storing and collecting separated solid waste
US4940159A (en) Compartmented refuse container
SE9302292D0 (sv) Foervaringsenhet
KR970002193Y1 (ko) 자동차용 오물수거함
WO2004009474A1 (en) Waste recycling bin
US4023873A (en) Combination arm rest
JP3256847B2 (ja) 屑入れ
JPS6224596Y2 (ko)
KR200372863Y1 (ko) 차량용 휴지통
KR940002741Y1 (ko) 분리수거용 쓰레기통
KR19980047999U (ko) 차량용 쓰레기통
JPH0728730U (ja) 車のドアに取り付けたゴミ入れ
JP2002087169A (ja) 自動車用収納ボックス構造
JPS62120249A (ja) ノズルキヤツプ付きダクトシユ−ト吸込収納装置
KR950012264B1 (ko) 승용차용 휴지통
JP3026063B2 (ja) 分別ゴミ容器
JP3007532U (ja) 車載用ゴミ箱
KR200341815Y1 (ko) 차량용 휴지통
JPH0617634Y2 (ja) 車両用収納箱
KR200350056Y1 (ko) 공중 쓰레기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