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7848B1 - 이동형 ess를 이용한 충전 종별 요금제 자동 과금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형 ess를 이용한 충전 종별 요금제 자동 과금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7848B1
KR102427848B1 KR1020220020287A KR20220020287A KR102427848B1 KR 102427848 B1 KR102427848 B1 KR 102427848B1 KR 1020220020287 A KR1020220020287 A KR 1020220020287A KR 20220020287 A KR20220020287 A KR 20220020287A KR 102427848 B1 KR102427848 B1 KR 102427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tomer
charging
power
ess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0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은
문희준
Original Assignee
이온어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온어스(주) filed Critical 이온어스(주)
Priority to KR1020220020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78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이동형 ESS(Energy Storage System)를 이용하여 충전 종별 요금제를 통한 자동 과금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형 ESS에 장착된 EMS(Energy Management System)로부터 제1 고객번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고객번호를 통해 제1 고객이 확인되면, 상기 EMS로부터 GPS 신호를 통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이동형 ESS의 현재 위치인 제1 지점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고객번호를 통해 상기 제1 고객이 위치하는 지역이 제1 지역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지점의 위치가 상기 제1 지역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지점의 위치가 상기 제1 지역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지역의 전력 요금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동형 ESS에 전원이 연결되어 상기 이동형 ESS에 전력이 충전되면, 상기 EMS로부터 충전 용량 및 충전 시간을 포함하는 충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충전 정보 및 상기 제1 지역의 전력 요금제를 기반으로, 상기 충전 용량에 대한 충전 요금을 책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고객에게 상기 충전 요금을 지급하고, 제1 고객 단말로 상기 충전 요금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형 ESS를 이용한 충전 종별 요금제 자동 과금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이동형 ESS를 이용한 충전 종별 요금제 자동 과금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CESSING AUTOMATIC BILLING OF CHARGE TYPE PLAN USING MOBILE ESS}
아래 실시예들은 이동형 ESS(Energy Storage System)를 이용하여 충전 종별 요금제를 통한 자동 과금을 처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국가 전력 시장의 관리를 위하여, 이동형 ESS의 전력 공급 서비스를 위한 충전 및 방전 시 전력 종별이 일치되도록 관리가 필요하다. 즉, 전력 종별에 대한 정확한 정보 파악이 가능하도록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분산 신재생 에너지 전원 및 한전 전원으로부터 이동형 ESS가 충·방전될 때, 시간 장소, 충·방전용량, 데이터 저장 및 인증 등을 수행할 시스템이 필요하다.
또한, 발전원별 비중 분석을 통해 충전 전력에 포함되는 탄소량의 파악이 필요하다.
따라서, 전력의 종별 일치를 기본으로 할 수 있도록 충·방전 전력의 시간, 장소, 용량을 기록하며, 해당 데이터를 토대로 이동형 ESS에 대한 요금제의 확인을 도출하는 시스템과 발전원별 비중 분석을 통해 충전 전력에 포함되는 탄소량을 산출하는 시스템에 대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23370호 한국등록특허 제10-2193383호 한국등록특허 제10-2297931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48897호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형 ESS의 현재 위치가 제1 고객이 위치하는 지역인 제1 지역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충전 정보 및 제1 지역의 전력 요금제를 기반으로, 충전 용량에 대한 충전 요금을 책정하여, 책정된 충전 요금을 제1 고객에게 지급하고, 이동형 ESS의 현재 위치가 제2 고객이 위치하는 지역인 제2 지역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방전 정보 및 제2 지역의 전력 요금제를 기반으로, 방전 용량에 대한 방전 요금을 책정하여, 책정된 방전 요금을 제2 고객에게 부과하는, 이동형 ESS를 이용한 충전 종별 요금제 자동 과금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형 ESS의 현재 위치가 제1 고객이 위치하는 지역인 제1 지역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지역의 전체 발전원에서 제1 발전원이 차지하는 비중인 제1 비율과 제2 발전원이 차지하는 비중인 제2 비율을 확인하고, 충전 용량과 제1 비율을 곱한 값으로, 충전 용량에서 제1 발전원을 통해 생산된 전력의 용량인 제1 용량을 산출하고, 충전 용량과 제2 비율을 곱한 값으로, 충전 용량에서 제2 발전원을 통해 생산된 전력의 용량인 제2 용량을 산출하고, 제1 용량 및 제1 탄소량을 곱한 값과 제2 용량 및 제2 탄소량을 곱한 값을 합산하여, 충전 용량에 대한 탄소량을 산출하는, 발전원 비중 분석을 통한 탄소량 산출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이동형 ESS(Energy Storage System)를 이용하여 충전 종별 요금제를 통한 자동 과금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형 ESS에 장착된 EMS(Energy Management System)로부터 제1 고객번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고객번호를 통해 제1 고객이 확인되면, 상기 EMS로부터 GPS 신호를 통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이동형 ESS의 현재 위치인 제1 지점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고객번호를 통해 상기 제1 고객이 위치하는 지역이 제1 지역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지점의 위치가 상기 제1 지역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지점의 위치가 상기 제1 지역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지역의 전력 요금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동형 ESS에 전원이 연결되어 상기 이동형 ESS에 전력이 충전되면, 상기 EMS로부터 충전 용량 및 충전 시간을 포함하는 충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충전 정보 및 상기 제1 지역의 전력 요금제를 기반으로, 상기 충전 용량에 대한 충전 요금을 책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고객에게 상기 충전 요금을 지급하고, 제1 고객 단말로 상기 충전 요금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형 ESS를 이용한 충전 종별 요금제 자동 과금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이동형 ESS를 이용한 충전 종별 요금제 자동 과금 처리 방법은, 상기 EMS로부터 제2 고객번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고객번호를 통해 제2 고객이 확인되면, 상기 EMS로부터 GPS 신호를 통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이동형 ESS의 현재 위치인 제2 지점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고객번호를 통해 상기 제2 고객이 위치하는 지역이 제2 지역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지점의 위치가 상기 제2 지역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지점의 위치가 상기 제2 지역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지역의 전력 요금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동형 ESS에 상기 제2 고객의 기기가 연결되어 상기 이동형 ESS에 충전되어 있는 전력이 상기 제2 고객의 기기로 방전되면, 상기 EMS로부터 방전 용량 및 방전 시간을 포함하는 방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전 정보 및 상기 제2 지역의 전력 요금제를 기반으로, 상기 방전 용량에 대한 방전 요금을 책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고객에게 상기 방전 요금을 부과하고, 제2 고객 단말로 상기 방전 요금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역의 전력 요금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지점의 위치가 상기 제1 지역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지역의 발전원별 비중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지역의 발전원별 비중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지역의 전체 발전원에서 제1 발전원이 차지하는 비중인 제1 비율과 제2 발전원이 차지하는 비중인 제2 비율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 용량에 대한 충전 요금을 책정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 용량과 상기 제1 비율을 곱한 값으로, 상기 충전 용량에서 상기 제1 발전원을 통해 생산된 전력의 용량인 제1 용량을 산출하고, 상기 충전 용량과 상기 제2 비율을 곱한 값으로, 상기 충전 용량에서 상기 제2 발전원을 통해 생산된 전력의 용량인 제2 용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발전원을 통해 전력이 생산될 때 용량 당 배출되는 탄소량이 제1 탄소량으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2 발전원을 통해 전력이 생산될 때 용량 당 배출되는 탄소량이 제2 탄소량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용량 및 상기 제1 탄소량을 곱한 값과 상기 제2 용량 및 상기 제2 탄소량을 곱한 값을 합산하여, 상기 충전 용량에 대한 탄소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형 ESS의 현재 위치가 제1 고객이 위치하는 지역인 제1 지역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충전 정보 및 제1 지역의 전력 요금제를 기반으로, 충전 용량에 대한 충전 요금을 책정하여, 책정된 충전 요금을 제1 고객에게 지급하고, 이동형 ESS의 현재 위치가 제2 고객이 위치하는 지역인 제2 지역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방전 정보 및 제2 지역의 전력 요금제를 기반으로, 방전 용량에 대한 방전 요금을 책정하여, 책정된 방전 요금을 제2 고객에게 부과함으로써, 전력의 종별 일치를 기본으로 할 수 있도록 충·방전 전력의 시간, 장소, 용량을 기록하며, 해당 데이터를 토대로 이동형 ESS에 대한 요금제의 확인을 도출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형 ESS의 현재 위치가 제1 고객이 위치하는 지역인 제1 지역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지역의 전체 발전원에서 제1 발전원이 차지하는 비중인 제1 비율과 제2 발전원이 차지하는 비중인 제2 비율을 확인하고, 충전 용량과 제1 비율을 곱한 값으로, 충전 용량에서 제1 발전원을 통해 생산된 전력의 용량인 제1 용량을 산출하고, 충전 용량과 제2 비율을 곱한 값으로, 충전 용량에서 제2 발전원을 통해 생산된 전력의 용량인 제2 용량을 산출하고, 제1 용량 및 제1 탄소량을 곱한 값과 제2 용량 및 제2 탄소량을 곱한 값을 합산하여, 충전 용량에 대한 탄소량을 산출함으로써, 발전원별 비중 분석을 통해 충전 전력에 포함되는 탄소량을 산출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 종별 요금제를 통한 자동 과금을 처리하는 시스템의 개념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ESS에 충전된 충전 용량에 대한 충전 요금을 책정하여 충전 요금을 지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ESS로부터 방전된 방전 용량에 대한 방전 요금을 책정하여 방전 요금을 부과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원 비중 분석을 통해 충전 용량에 대한 탄소량을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ESS의 충전량에 따라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한 이동형 ESS(100) 및 전력 관리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형 ESS(100)는 이동이 가능한 ESS(Energy Storage System)의 형태로 구현되어, 외부 전원과 연결된 경우,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충전하여 저장할 수 있고, 외부 기기와 연결된 경우, 충전된 전력을 외부 기기로 방전하여 외부 기기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동형 ESS(100)는 EMS(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EMS(110)는 이동형 ESS(100)에 장착될 수 있다.
EMS(110)는 이동형 ESS(100)의 동작 제어가 가능한 EMS(Energy Management System)의 형태로 구현되어,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EMS(110)는 전력 관리 장치(200)와 무선을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전력 관리 장치(20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보유한 자체 서버일수도 있고, 클라우드 서버일 수도 있고, 분산된 노드(node)들의 p2p(peer-to-peer) 집합일 수도 있다. 전력 관리 장치(200)는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력 관리 장치(200)는 EMS(110)와 무선을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 종별 요금제를 통한 자동 과금을 처리하는 시스템의 개념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형 ESS(100)는 GPS 및 EMS를 장착하여 이동이 가능한 차량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전력 관리 장치(200)는 클라우드 서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동형 ESS(100) 및 전력 관리 장치(200)를 포함하는 시스템은 이동성이 부여된 ESS의 운용을 위해, 충·방전시 국가 전력시장의 전기요금 준수 및 체계 확립을 위한 시스템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의 종별 일치를 기본으로 할 수 있도록 충·방전 전력의 시간, 장소, 용량을 기록하며, 해당 데이터를 토대로 이동형 ESS(100)에 대한 요금제의 확인을 도출하는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의 구현을 위하여 이동형 ESS(100)에는 GPS를 장착하여 충전 장소 확인을 수행하며, 충전 지역의 한국전력공사 고객번호 식별을 통하여 장소 데이터의 확인을 통한 전력종별, 시간별 전력 요금제를 확인하며, 확인된 충전 전력 요금제를 기본으로 하여 이동형 ESS(100)에 대한 방전 요금을 책정할 수 있다.
시스템의 운영은 기본적으로 이동형 ESS(100)에 장착된 EMS(110)을 통하여 수행되며, 충·방전 전력의 시간, 장소, 용량 및 인증관계의 기록은 전력 관리 장치(200)로 보내지며, 요금제의 결정을 위한 한전 KDN(DSO)의 요금책정 데이터 및 발전원별 비중 분석을 위한 전력거래소(KRX)의 데이터 또한 전력 관리 장치(200)로 올려져, 최종 이동형 ESS(100)에 대한 사용 요금을 책정하고 그 요금을 사용자에게 부과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형 ESS(100)의 운용 시 수요자에게 과금을 하기 위해서는 최초 이동형 ESS(100)에 충전될 전원의 판별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GPS 장착을 통한 충전 지역 확인 외 EMS(110) 상에서 충전 시 한국전력공사 고객번호 입력 등의 행위를 거쳐 충전 지역의 계시별 전력 요금을 확인하는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력 관리 장치(200)는 EMS(110)로 수집된 충전 전원 요금 및 전력량 정보를 기본으로 하여, 수요자에게 방전시 DSO의 종별 및 계시별 요금제를 비교하여 책정된 요금을 수요자에게 부과할 수 있다.
즉, 전력 관리 장치(200)는 이동형 ESS(100)가 공급자측으로 이동하여, 이동형 ESS(100)에 탑재된 EMS(110)를 통해, 충전단의 인증 정보가 획득되면, 획득된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충전 요금을 책정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단의 인증 정보는 GPS, 충전 장소 고객번호 식별, 충전 용량 집적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요금 책정과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전력 관리 장치(200)는 이동형 ESS(100)가 수요자측으로 이동하여, 이동형 ESS(100)에 탑재된 EMS(110)를 통해, 방전단의 인증 정보가 획득되면, 획득된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방전 요금을 책정할 수 있다. 여기서, 방전단의 인증 정보는 GPS, 방전 장소 고객번호 식별, 방전 용량 집적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방전 요금 책정과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전력 관리 장치(200)는 충전 및 방전 시 인증 정보를 획득하여 데이터의 판별, 수집, 전송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국가전력망 관리기관에서 운영하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충전 전력의 발전원별(원자력, 화력, 가스, 신재생 등) 비중 분석을 통해 충전 전력에 포함된 탄소량을 측정하여 정량화 할 수 있다. 탄소량 측정과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ESS에 충전된 충전 용량에 대한 충전 요금을 책정하여 충전 요금을 지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S301 단계에서, 전력 관리 장치(200)는 이동형 ESS(100)에 장착된 EMS(110)로부터 제1 고객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고객번호는 전력 공급자로 등록되어 있는 제1 고객을 식별하기 위한 번호이다.
구체적으로, EMS(110)에 제1 고객번호가 수기로 입력되면, 전력 관리 장치(200)는 EMS(110)로부터 제1 고객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EMS(110)에서 QR 코드의 스캔을 통해 제1 고객의 ID를 확인하면, 전력 관리 장치(200)는 EMS(110)로부터 제1 고객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S302 단계에서,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1 고객번호를 통해 제1 고객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력 관리 장치(20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전력 공급자로 등록되어 고객들에 대한 고객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1 고객번호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1 고객 정보를 조회하여, 제1 고객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고객 정보에는 제1 고객번호, 제1 고객이 위치하는 지역, 제1 고객의 충전 이력, 연락처, 계좌, 결제 수단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S303 단계에서,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1 고객번호를 통해 제1 고객이 확인되면, EMS(110)로부터 GPS 신호를 통한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EMS(110)에는 GPS가 장착되어 있으며, EMS(110)에 장착된 GPS가 GPS 신호를 통해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면, 전력 관리 장치(200)는 EMS(110)로부터 GPS 신호를 통한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304 단계에서, 전력 관리 장치(200)는 획득된 위치 정보를 통해 이동형 ESS(100)의 현재 위치인 제1 지점을 확인할 수 있다.
S305 단계에서,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1 고객번호를 통해 제1 고객이 확인되면, 제1 고객번호를 통해 제1 고객이 위치하는 지역을 제1 지역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1 고객번호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1 고객 정보를 조회하여, 제1 고객 정보를 기반으로 제1 고객이 위치하는 지역을 제1 지역으로 확인할 수 있다.
S306 단계에서,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1 지점과 제1 지역이 각각 확인되면, 제1 지점의 위치가 제1 지역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306 단계에서 제1 지점의 위치가 제1 지역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S301 단계로 되돌아가,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1 고객번호가 오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EMS(110)로부터 제1 고객번호를 다시 획득할 수 있다.
S306 단계에서 제1 지점의 위치가 제1 지역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S307 단계에서,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1 지역의 전력 요금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역의 전력 요금제에 대한 정보는 제1 지역에서 전력이 충전될 때 고객에게 지급되는 요금제와 제1 지역에서 전력이 방전될 때 고객에게 부과되는 요금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장치(20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역별 전력 요금제 정보를 조회하여, 제1 지역의 전력 요금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외부 서버로 제1 지역의 전력 요금제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여, 외부 서버로부터 제1 지역의 전력 요금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308 단계에서, 전력 관리 장치(200)는 이동형 ESS(100)에 전원이 연결되어 이동형 ESS(100)에 전력이 충전되면, EMS(110)로부터 충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 정보는 충전 용량 및 충전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형 ESS(100)에 전원이 연결되어 이동형 ESS(100)에 전력이 충전되다가, 이동형 ESS(100)에 연결된 전원이 연결 해제되어 이동형 ESS(100)에 전력이 더 이상 충전되지 않으면, EMS(110)는 이동형 ESS(100)의 충전을 완료한 것으로 판단하여 충전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전력 관리 장치(200)는 EMS(110)로부터 충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309 단계에서, 전력 관리 장치(200)는 충전 정보 및 제1 지역의 전력 요금제를 기반으로, 충전 용량에 대한 충전 요금을 책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관리 장치(200)는 충전 정보를 기반으로, 충전 용량이 100kW인 것을 확인하고, 제1 지역의 전력 요금제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지역에서 충전 시에 1kW 당 지급되는 금액이 50원인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충전 용량에 대한 충전 요금을 5,000원으로 책정할 수 있다.
S310 단계에서,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1 고객에게 충전 요금을 지급하고, 제1 고객 단말로 충전 요금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1 고객 정보를 통해 제1 고객의 계좌를 확인하여, 충전 용량을 통해 책정된 충전 요금이 제1 고객의 계좌로 입금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1 고객 정보를 통해 제1 고객의 연락처를 확인하여, 충전 용량을 통해 책정된 충전 요금이 지급될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제1 고객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ESS로부터 방전된 방전 용량에 대한 방전 요금을 책정하여 방전 요금을 부과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S401 단계에서, 전력 관리 장치(200)는 이동형 ESS(100)에 장착된 EMS(110)로부터 제2 고객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고객번호는 전력 수요자로 등록되어 있는 제2 고객을 식별하기 위한 번호이다.
구체적으로, EMS(110)에 제2 고객번호가 수기로 입력되면, 전력 관리 장치(200)는 EMS(110)로부터 제2 고객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EMS(110)에서 QR 코드의 스캔을 통해 제2 고객의 ID를 확인하면, 전력 관리 장치(200)는 EMS(110)로부터 제2 고객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S402 단계에서,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2 고객번호를 통해 제2 고객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력 관리 장치(20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전력 수요자로 등록되어 고객들에 대한 고객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2 고객번호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2 고객 정보를 조회하여, 제2 고객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고객 정보에는 제2 고객번호, 제2 고객이 위치하는 지역, 제2 고객의 방전 이력, 연락처, 계좌, 결제 수단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S403 단계에서,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2 고객번호를 통해 제2 고객이 확인되면, EMS(110)로부터 GPS 신호를 통한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404 단계에서, 전력 관리 장치(200)는 획득된 위치 정보를 통해 이동형 ESS(100)의 현재 위치인 제2 지점을 확인할 수 있다.
S405 단계에서,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2 고객번호를 통해 제2 고객이 확인되면, 제2 고객번호를 통해 제2 고객이 위치하는 지역을 제2 지역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2 고객번호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2 고객 정보를 조회하여, 제2 고객 정보를 기반으로 제2 고객이 위치하는 지역을 제2 지역으로 확인할 수 있다.
S406 단계에서,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2 지점과 제2 지역이 각각 확인되면, 제2 지점의 위치가 제2 지역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406 단계에서 제2 지점의 위치가 제2 지역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S401 단계로 되돌아가,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2 고객번호가 오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EMS(110)로부터 제2 고객번호를 다시 획득할 수 있다.
S406 단계에서 제2 지점의 위치가 제2 지역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S407 단계에서,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2 지역의 전력 요금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지역의 전력 요금제에 대한 정보는 제2 지역에서 전력이 충전될 때 고객에게 지급되는 요금제와 제2 지역에서 전력이 방전될 때 고객에게 부과되는 요금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장치(20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역별 전력 요금제 정보를 조회하여, 제2 지역의 전력 요금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외부 서버로 제2 지역의 전력 요금제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여, 외부 서버로부터 제2 지역의 전력 요금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408 단계에서, 전력 관리 장치(200)는 이동형 ESS(100)에 제2 고객의 기기가 연결되어 이동형 ESS(100)에 충전되어 있는 전력이 제2 고객의 기기로 방전되면, EMS(110)로부터 방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방전 정보는 방전 용량 및 방전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형 ESS(100)에 제2 고객의 기기가 연결되어 이동형 ESS(100)에 충전되어 있는 전력이 제2 고객의 기기로 방전되다가, 이동형 ESS(100)에 연결된 제2 고객의 기기가 연결 해제되어 이동형 ESS(100)에 충전되어 있는 전력이 더 이상 방전되지 않으면, EMS(110)는 이동형 ESS(100)의 방전을 완료한 것으로 판단하여 방전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전력 관리 장치(200)는 EMS(110)로부터 방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409 단계에서, 전력 관리 장치(200)는 방전 정보 및 제2 지역의 전력 요금제를 기반으로, 방전 용량에 대한 방전 요금을 책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관리 장치(200)는 방전 정보를 기반으로, 방전 용량이 100kW인 것을 확인하고, 제2 지역의 전력 요금제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제2 지역에서 방전 시에 1kW 당 부과되는 금액이 60원인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방전 용량에 대한 방전 요금을 6,000원으로 책정할 수 있다.
S410 단계에서,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2 고객에게 방전 요금을 부과하고, 제2 고객 단말로 방전 요금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2 고객 정보를 통해 제2 고객의 결제 수단을 확인하여, 방전 용량을 통해 책정된 방전 요금이 제2 고객의 결제 수단을 통해 결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2 고객 정보를 통해 제2 고객의 연락처를 확인하여, 방전 용량을 통해 책정된 방전 요금이 부과될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제2 고객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원 비중 분석을 통해 충전 용량에 대한 탄소량을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S501 단계에서,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1 지점의 위치가 제1 지역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지역의 발전원별 비중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역의 발전원별 비중에 대한 정보는 제1 지역에서 전력이 생산될 때 발전원 별로 생산되는 전력량과 생산 전력량의 비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역의 발전원별 비중에 대한 정보는 원자력 50%, 화력 30%, 신재생 30%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전력 관리 장치(20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역별 발전원별 비중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여, 제1 지역의 발전원별 비중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외부 서버로 제1 지역의 발전원별 비중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여, 외부 서버로부터 제1 지역의 발전원별 비중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502 단계에서,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1 지역의 발전원별 비중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제1 지역의 전체 발전원에서 제1 발전원이 차지하는 비중인 제1 비율을 확인할 수 있다.
S503 단계에서,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1 지역의 발전원별 비중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제1 지역의 전체 발전원에서 제2 발전원이 차지하는 비중인 제2 비율을 확인할 수 있다.
S504 단계에서,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1 비율 및 제2 비율이 각각 확인된 이후, EMS(110)로부터 충전 정보를 수신하면, 충전 정보를 통해 충전 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S505 단계에서, 전력 관리 장치(200)는 충전 용량과 제1 비율을 곱한 값으로, 제1 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용량은 충전 용량에서 제1 발전원을 통해 생산된 전력의 용량으로, 이동형 ESS(100)에 충전된 전력 중 제1 발전원을 통해 생산된 전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나타내는 추정치를 의미할 수 있다.
S506 단계에서, 전력 관리 장치(200)는 충전 용량과 제2 비율을 곱한 값으로, 제2 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용량은 충전 용량에서 제2 발전원을 통해 생산된 전력의 용량으로, 이동형 ESS(100)에 충전된 전력 중 제2 발전원을 통해 생산된 전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나타내는 추정치를 의미할 수 있다.
S507 단계에서,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1 발전원을 통해 전력이 생산될 때 용량 당 배출되는 탄소량이 제1 탄소량으로 설정되어 있고, 제2 발전원을 통해 전력이 생산될 때 용량 당 배출되는 탄소량이 제2 탄소량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1 용량 및 제1 탄소량을 곱한 값과 제2 용량 및 제2 탄소량을 곱한 값을 합산하여, 충전 용량에 대한 탄소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탄소량이 1kW 당 1g으로 설정되어 있고, 제2 탄소량이 1kW 당 2g으로 설정되어 있고, 제1 용량이 60kW로 산출되고 제2 용량이 40kW로 산출된 경우,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1 용량 및 제1 탄소량을 곱한 값으로 60g을 산출하고, 제2 용량 및 제2 탄소량을 곱한 값으로 80g을 산출한 후, 60g과 80g을 합산하여 충전 용량에 대한 탄소량을 140g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장치(200)는 충전 용량에 대한 탄소량의 크기가 작을수록, 충전 요금에 대해 할인 혜택을 제공할 수 있고, 충전 용량에 대한 탄소량의 크기가 클수록, 충전 요금에 대해 추가 요금을 부과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ESS의 충전량에 따라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S601 단계에서, 전력 관리 장치(200)는 EMS(110)로부터 이동형 ESS(100)의 충전 상태(SOC : State of Charge)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602 단계에서, 전력 관리 장치(200)는 이동형 ESS(100)의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이동형 ESS(100)의 충전량을 확인할 수 있다.
S603 단계에서, 전력 관리 장치(200)는 이동형 ESS(100)의 충전량이 제1 설정값 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설정값은 이동형 ESS(100)의 비상용 저장량을 통해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비상 시 사용되기 위해 최소 저장되어야만 하는 비상용 저장량이 10Wh인 경우, 제1 설정값은 10Wh로 설정될 수 있다.
S603 단계에서 이동형 ESS(100)의 충전량이 제1 설정값 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S605 단계에서, 전력 관리 장치(200)는 이동형 ESS(100)를 방전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전력 관리 장치(200)는 EMS(110)로 방전 모드 설정 명령을 전송하여, 이동형 ESS(100)가 방전 모드로 설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603 단계에서 이동형 ESS(100)의 충전량이 제1 설정값 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S604 단계에서, 전력 관리 장치(200)는 이동형 ESS(100)의 충전량이 제2 설정값 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설정값은 이동형 ESS(100)의 건강 상태(SOH : State of Health)를 통해 설정되고, 제1 설정값 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설정값이 10Wh이고, 이동형 ESS(100)의 수명에 영향을 주기 시작하는 값이 5Wh인 경우, 제2 설정값은 5Wh로 설정될 수 있다.
S604 단계에서 이동형 ESS(100)의 충전량이 제2 설정값 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S606 단계에서, 전력 관리 장치(200)는 이동형 ESS(100)를 대기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전력 관리 장치(200)는 EMS(110)로 대기 모드 설정 명령을 전송하여, 이동형 ESS(100)가 대기 모드로 설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604 단계에서 이동형 ESS(100)의 충전량이 제2 설정값 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S607 단계에서, 전력 관리 장치(200)는 이동형 ESS(100)를 충전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전력 관리 장치(200)는 EMS(110)로 충전 모드 설정 명령을 전송하여, 이동형 ESS(100)가 충전 모드로 설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608 단계에서, 전력 관리 장치(200)는 이동형 ESS(100)가 방전 모드로 설정된 경우, 이동형 ESS(100)를 통한 방전 가능 알림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자 단말은 이동형 ESS(100)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사용하는 단말로, 전력 관리 장치(200)와 유무선을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전력 관리 장치(200)는 이동형 ESS(100)의 충전량이 제1 설정값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이동형 ESS(100)를 방전 모드로 설정한 후, 이동형 ESS(100)를 통한 방전이 가능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S609 단계에서, 전력 관리 장치(200)는 이동형 ESS(100)가 대기 모드로 설정된 경우, 이동형 ESS(100)에 대한 충전 필요 알림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전력 관리 장치(200)는 이동형 ESS(100)의 충전량이 제1 설정값 보다 작지만 제2 설정값 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면, 이동형 ESS(100)를 대기 모드로 설정한 후, 이동형 ESS(100)에 대한 충전이 필요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S610 단계에서, 전력 관리 장치(200)는 이동형 ESS(100)가 충전 모드로 설정된 경우, 이동형 ESS(100)를 통한 방전 불가능 알림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전력 관리 장치(200)는 이동형 ESS(100)의 충전량이 제2 설정값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이동형 ESS(100)를 충전 모드로 설정한 후, 이동형 ESS(100)를 통한 방전이 불가능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1 고객 단말로부터 전력 요금제를 조회하기 위한 웹 사이트의 접속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전력 관리 장치(200)는 웹 사이트에 대한 접속 요청에 따라, 웹 사이트에 접속되도록 처리하여, 웹 사이트의 홈 페이지를 제1 고객 단말로 제공하고, 홈 페이지가 제1 고객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1 고객 단말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1 고객 계정을 확인하여, 제1 고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1 고객 단말에 로그인 되어 있는 제1 고객 계정을 확인하고, 제1 고객 계정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고객 정보를 조회하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1 고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고객 정보는 제1 고객에 대한 고객 정보로, 제1 고객의 프로파일 정보, 콘텐츠 재생 내역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1 고객 단말로부터 제1 콘텐츠에 대한 재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콘텐츠는 제1 지역의 전력 요금제에 대한 설명을 주제로 하여 제작된 콘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1 고객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홈 페이지 상에서 복수의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인 제1 콘텐츠의 대표 이미지가 클릭되면, 제1 고객 단말로부터 제1 콘텐츠에 대한 재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1 콘텐츠를 확인하여, 제1 콘텐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1 콘텐츠에 대한 재생 요청을 통해 제1 콘텐츠를 확인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콘텐츠 정보를 조회하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1 콘텐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콘텐츠 정보는 제1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정보로, 제1 콘텐츠의 속성 정보, 고객 이용 내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1 콘텐츠 정보를 통해 제1 콘텐츠의 고객 재생 내역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콘텐츠 정보는 제1 콘텐츠를 재생한 고객의 재생 내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콘텐츠의 고객 재생 내역은 어느 고객이 제1 콘텐츠를 얼마나 오래 재생하였는지에 대한 내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객 단말의 화면에서 제1 콘텐츠가 재생된 경우, 제1 콘텐츠의 재생이 시작된 시점부터 제1 콘텐츠의 재생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제1 콘텐츠의 재생 시간으로 측정되어, 제1 고객 및 제1 콘텐츠의 재생 시간이 제1 콘텐츠의 고객 재생 내역에 추가될 수 있다.
이후,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1 콘텐츠의 고객 재생 내역을 기초로, 고객 별로 집중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콘텐츠의 고객 재생 내역에 제1 고객, 제2 고객 및 제3 고객이 제1 콘텐츠를 재생하여 시청한 고객으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1 고객의 집중 시간, 제2 고객의 집중 시간 및 제3 고객의 집중 시간을 각각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집중 시간은 제1 콘텐츠가 재생되는 동안 디스플레이를 주시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고객 별로 설정될 수 있다.
이후, 전력 관리 장치(200)는 고객 별로 확인된 집중 시간의 평균값을 통해, 제1 콘텐츠의 평균 집중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객이 제1 콘텐츠를 집중하여 시청한 시간이 30분, 제2 고객이 제1 콘텐츠를 집중하여 시청한 시간이 45분, 제3 고객이 제1 콘텐츠를 집중하여 시청한 시간이 60분인 경우,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1 콘텐츠의 평균 집중 시간을 45분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후,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1 콘텐츠의 평균 집중 시간의 길이에 따라, 기준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1 콘텐츠의 평균 집중 시간이 30분인 경우, 기준 시간을 5분으로 설정하고, 제1 콘텐츠의 평균 집중 시간이 60분인 경우, 기준 시간을 10분으로 설정할 수 있다. 기준 시간을 설정하는 기준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후,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1 콘텐츠의 평균 집중 시간에서 기준 시간을 차감한 값으로, 고객 허용 범위의 최소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1 콘텐츠의 평균 집중 시간이 30분이고, 기준 시간이 5분인 경우, 고객 허용 범위의 최소 시간을 25분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후,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1 콘텐츠의 평균 집중 시간에 기준 시간을 가산한 값으로, 고객 허용 범위의 최대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1 콘텐츠의 평균 집중 시간이 30분이고, 기준 시간이 5분인 경우, 고객 허용 범위의 최대 시간을 35분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후, 전력 관리 장치(200)는 고객 허용 범위의 최소 시간 및 고객 허용 범위의 최대 시간을 기초로, 고객 허용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1 콘텐츠의 평균 집중 시간이 30분인 경우, 고객 허용 범위를 25분 내지 35분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1 고객 계정을 확인하여 제1 고객 정보를 획득하고, 제1 콘텐츠를 확인하여 제1 콘텐츠 정보를 획득한 후, 제1 고객 정보 및 제1 콘텐츠 정보를 기초로, 제1 콘텐츠에 대한 제1 고객의 집중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고객의 집중 시간은 제1 고객이 제1 콘텐츠를 집중하여 시청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이후,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1 고객의 집중 시간이 고객 허용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고객 허용 범위는 상술한 바와 같이, 평균 집중 시간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1 고객의 정독 시간이 고객 허용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1 콘텐츠를 제1 고객 단말로 제공하고, 제1 고객 단말의 화면에서 제1 콘텐츠가 재생되어 표시되도록, 제1 고객 단말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1 고객 단말로부터 제1 콘텐츠에 대한 재생 요청이 수신된 경우, 제1 콘텐츠에 대한 제1 고객의 집중 시간을 예측한 결과, 제1 고객의 집중 시간이 고객 허용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콘텐츠가 제1 고객에게 적합한 콘텐츠로 판단하여, 제1 콘텐츠를 제1 고객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제1 고객의 집중 시간이 고객 허용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고 고객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1 고객의 집중 시간이 고객 허용 범위의 최소 시간 보다 짧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고객의 집중 시간이 고객 허용 범위의 최소 시간 보다 짧은 것으로 확인되면,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2 콘텐츠에 대한 추천 정보를 제1 고객 단말로 제공하고, 제1 고객 단말의 화면에 제2 콘텐츠에 대한 추천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1 고객 단말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콘텐츠는 제1 콘텐츠와 주제가 동일하면서 제1 콘텐츠 보다 짧은 시간으로 제작된 콘텐츠이다.
예를 들어, 제1 콘텐츠는 제1 지역의 전력 요금제를 설명하는 60분 길이의 콘텐츠이고, 제2 콘텐츠는 제1 지역의 전력 요금제를 설명하는 50분 길이의 콘텐츠인 경우,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1 고객의 집중 시간이 고객 허용 범위의 최소 시간 보다 짧은 것으로 확인되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콘텐츠 정보를 조회하여, 제1 콘텐츠 보다 짧은 시간으로 제작된 제2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제2 콘텐츠에 대한 추천 정보를 제1 고객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1 고객 단말로부터 제1 콘텐츠에 대한 재생 요청이 수신된 경우, 제1 콘텐츠에 대한 제1 고객의 집중 시간을 예측한 결과, 제1 고객의 집중 시간이 고객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콘텐츠가 제1 고객에게 적합하지 않은 콘텐츠로 판단하고, 제1 고객의 집중 시간이 고객 허용 범위의 최소 시간 보다 짧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콘텐츠 보다 짧은 시간으로 제작된 제2 콘텐츠가 제1 고객에게 적합한 콘텐츠로 판단하여, 제2 콘텐츠에 대한 추천 정보를 제1 고객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1 콘텐츠 및 제2 콘텐츠에 대한 추천 정보를 함께 제1 고객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1 고객의 집중 시간이 고객 허용 범위의 최소 시간 보다 긴 것으로 확인되면, 제1 고객의 집중 시간이 고객 허용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확인되어, 제1 고객의 집중 시간이 고객 허용 범위의 최대 시간 보다 긴 것으로 확인될 수 있으며, 제1 고객의 집중 시간이 고객 허용 범위의 최대 시간 보다 긴 것으로 확인되면,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3 콘텐츠에 대한 추천 정보를 제1 고객 단말로 제공하고, 제1 고객 단말의 화면에 제3 콘텐츠에 대한 추천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1 고객 단말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콘텐츠는 제1 콘텐츠와 주제가 동일하면서 제1 콘텐츠 보다 긴 시간으로 제작된 콘텐츠이다.
예를 들어, 제1 콘텐츠는 제1 지역의 전력 요금제를 설명하는 60분 길이의 콘텐츠이고, 제3 콘텐츠는 제1 지역의 전력 요금제를 설명하는 70분 길이의 콘텐츠인 경우,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1 고객의 집중 시간이 고객 허용 범위의 최대 시간 보다 긴 것으로 확인되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콘텐츠 정보를 조회하여, 제1 콘텐츠 보다 긴 시간으로 제작된 제3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제3 콘텐츠에 대한 추천 정보를 제1 고객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1 고객 단말로부터 제1 콘텐츠에 대한 재생 요청이 수신된 경우, 제1 콘텐츠에 대한 제1 고객의 집중 시간을 예측한 결과, 제1 고객의 집중 시간이 고객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콘텐츠가 제1 고객에게 적합하지 않은 콘텐츠로 판단하고, 제1 고객의 집중 시간이 고객 허용 범위의 최대 시간 보다 긴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콘텐츠 보다 긴 시간으로 제작된 제3 콘텐츠가 제1 고객에게 적합한 콘텐츠로 판단하여, 제3 콘텐츠에 대한 추천 정보를 제1 고객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전력 관리 장치(200)는 제1 콘텐츠 및 제3 콘텐츠에 대한 추천 정보를 함께 제1 고객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 관리 장치(200)는 프로세서(210) 및 메모리(22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10)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포함하거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전력 관리 장치(200)를 이용하는 자 또는 단체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전술된 방법들 일부 또는 전부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전술된 방법들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후술되는 방법들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전력 관리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220)에 저장될 수 있다. 전력 관리 장치(200)는 입출력 장치(도면 미 표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유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

  1. 전력 관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이동형 ESS(Energy Storage System)를 이용하여 충전 종별 요금제를 통한 자동 과금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동형 ESS에 장착된 EMS(Energy Management System)로부터 제1 고객번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고객번호를 통해 제1 고객이 확인되면, 상기 EMS로부터 GPS 신호를 통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이동형 ESS의 현재 위치인 제1 지점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고객번호를 통해 상기 제1 고객이 위치하는 지역이 제1 지역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지점의 위치가 상기 제1 지역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지점의 위치가 상기 제1 지역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지역의 전력 요금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동형 ESS에 전원이 연결되어 상기 이동형 ESS에 전력이 충전되면, 상기 EMS로부터 충전 용량 및 충전 시간을 포함하는 충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충전 정보 및 상기 제1 지역의 전력 요금제를 기반으로, 상기 충전 용량에 대한 충전 요금을 책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고객에게 상기 충전 요금을 지급하고, 제1 고객 단말로 상기 충전 요금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역의 전력 요금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지점의 위치가 상기 제1 지역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지역의 발전원별 비중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지역의 발전원별 비중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지역의 전체 발전원에서 제1 발전원이 차지하는 비중인 제1 비율과 제2 발전원이 차지하는 비중인 제2 비율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 용량에 대한 충전 요금을 책정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 용량과 상기 제1 비율을 곱한 값으로, 상기 충전 용량에서 상기 제1 발전원을 통해 생산된 전력의 용량인 제1 용량을 산출하고, 상기 충전 용량과 상기 제2 비율을 곱한 값으로, 상기 충전 용량에서 상기 제2 발전원을 통해 생산된 전력의 용량인 제2 용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발전원을 통해 전력이 생산될 때 용량 당 배출되는 탄소량이 제1 탄소량으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2 발전원을 통해 전력이 생산될 때 용량 당 배출되는 탄소량이 제2 탄소량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용량 및 상기 제1 탄소량을 곱한 값과 상기 제2 용량 및 상기 제2 탄소량을 곱한 값을 합산하여, 상기 충전 용량에 대한 탄소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형 ESS를 이용한 충전 종별 요금제 자동 과금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MS로부터 제2 고객번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고객번호를 통해 제2 고객이 확인되면, 상기 EMS로부터 GPS 신호를 통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이동형 ESS의 현재 위치인 제2 지점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고객번호를 통해 상기 제2 고객이 위치하는 지역이 제2 지역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지점의 위치가 상기 제2 지역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2 지점의 위치가 상기 제2 지역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2 지역의 전력 요금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동형 ESS에 상기 제2 고객의 기기가 연결되어 상기 이동형 ESS에 충전되어 있는 전력이 상기 제2 고객의 기기로 방전되면, 상기 EMS로부터 방전 용량 및 방전 시간을 포함하는 방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전 정보 및 상기 제2 지역의 전력 요금제를 기반으로, 상기 방전 용량에 대한 방전 요금을 책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고객에게 상기 방전 요금을 부과하고, 제2 고객 단말로 상기 방전 요금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형 ESS를 이용한 충전 종별 요금제 자동 과금 처리 방법.
  3. 삭제
KR1020220020287A 2022-02-16 2022-02-16 이동형 ess를 이용한 충전 종별 요금제 자동 과금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27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287A KR102427848B1 (ko) 2022-02-16 2022-02-16 이동형 ess를 이용한 충전 종별 요금제 자동 과금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287A KR102427848B1 (ko) 2022-02-16 2022-02-16 이동형 ess를 이용한 충전 종별 요금제 자동 과금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7848B1 true KR102427848B1 (ko) 2022-08-01

Family

ID=82844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0287A KR102427848B1 (ko) 2022-02-16 2022-02-16 이동형 ess를 이용한 충전 종별 요금제 자동 과금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784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7035A (ko) * 2014-11-12 2016-05-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충전 전력량 및 요금을 표시할 수 있는 전기차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48897A (ko) 2017-10-31 2019-05-09 한국전기연구원 모자분리 검침방식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및 과금 방법
KR102123370B1 (ko) 2018-09-05 2020-06-16 주식회사 경신 이동형 충전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193383B1 (ko) 2019-01-30 2020-12-22 주식회사 매니지온 전기운송장치를 위한 이동형 충전기
KR102297931B1 (ko) 2017-10-31 2021-09-06 한국전기연구원 전기자동차 충전 과금을 위한 전력량계 식별 방법
KR102349816B1 (ko) * 2021-06-21 2022-01-12 이온어스(주) 온라인을 통한 방문형 전기차 충전 구독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7035A (ko) * 2014-11-12 2016-05-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충전 전력량 및 요금을 표시할 수 있는 전기차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48897A (ko) 2017-10-31 2019-05-09 한국전기연구원 모자분리 검침방식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및 과금 방법
KR102297931B1 (ko) 2017-10-31 2021-09-06 한국전기연구원 전기자동차 충전 과금을 위한 전력량계 식별 방법
KR102123370B1 (ko) 2018-09-05 2020-06-16 주식회사 경신 이동형 충전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193383B1 (ko) 2019-01-30 2020-12-22 주식회사 매니지온 전기운송장치를 위한 이동형 충전기
KR102349816B1 (ko) * 2021-06-21 2022-01-12 이온어스(주) 온라인을 통한 방문형 전기차 충전 구독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5401B2 (en) Management of electric power demand i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s
JP6068590B2 (ja) サブアグリゲータシステム
JP4584056B2 (ja) 電力需給予測・制御システム
JP6629827B2 (ja) 電力需要管理システム、電力需要管理サーバ及び家電機器
JP5834227B2 (ja) 蓄電池制御方法および蓄電池制御システム
CN109878371B (zh) 信息处理装置和信息处理方法
JP6133447B2 (ja) 電力融通管理システムおよび電力融通管理方法
JP6252914B2 (ja) 電力管理方法、電力管理システム、及び、給電装置
US10498140B2 (en) Power management method, power management system, and power supply apparatus
KR20200049559A (ko) 플랫폼을 가지는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WO2015145923A1 (ja) 電力供給システム、制御装置、電力受給装置、端末装置、電力制御方法及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JP6616915B1 (ja) 車両充電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2427848B1 (ko) 이동형 ess를 이용한 충전 종별 요금제 자동 과금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6233759B2 (ja) 充電システム
WO2023189724A1 (en) Battery management program and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KR102493198B1 (ko) 전력수요 관리 기능을 갖는 서버, 가전기기, 및 그것의 전력 사용 관리 방법
KR102452000B1 (ko) 드라이브 스루 매장의 v1g 서비스 시스템, 관리 서버 및 방법
KR102165745B1 (ko) 수요 관리 기반의 분산자원 통합 운영 시스템
WO2015145926A1 (ja) 電力供給システム、制御装置、電力受給装置、端末装置、電力制御方法及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JP2001352676A (ja) 省エネルギ提案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004189B1 (ko) 전기 장치의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을 기반으로 전기 장치나 그 사용 용도를 식별하여 전기 장치 또는 그 사용 용도에 대하여 전기 서비스 제공 여부를 결정하거나 장치별 또는 용도별 과금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측정지원장치, 단말 및 서버
KR20170142521A (ko) 임대 관리 시스템에서 유틸리티 사용량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JP7162819B2 (ja) 電力制御装置、電力制御システム及び電力制御方法
US20230351529A1 (en) Virtual Grid System and Method
JPWO2017150140A1 (ja) 端末装置、制御装置、サーバ、評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