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9559A - 플랫폼을 가지는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플랫폼을 가지는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9559A
KR20200049559A KR1020190131206A KR20190131206A KR20200049559A KR 20200049559 A KR20200049559 A KR 20200049559A KR 1020190131206 A KR1020190131206 A KR 1020190131206A KR 20190131206 A KR20190131206 A KR 20190131206A KR 20200049559 A KR20200049559 A KR 20200049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information
user
electric vehicle
smart gate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8114B1 (ko
Inventor
황승환
Original Assignee
젤릭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젤릭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젤릭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49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0Energy trading, including energy flowing from end-user application to gr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랫폼을 가지는 스마트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전기차를 충전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 사용되는 중앙 서버은 스마트 게이트웨이 및 충전 매체 중 적어도 하나와의 통신 연결 통로인 통신부, 상기 충전 매체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 정보를 상기 충전 매체로부터 수신하는 사용자 정보부, 및 충전 요청에 대한 제 1 충전 정보를 상기 충전 매체로부터 수신하는 충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충전 승인이 이루어지고, 상기 승인에 따라 전기차의 충전이 시작된다.

Description

플랫폼을 가지는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CHARGING ELECTRIC CAR USING GATEWAY HAVING PLATFORM}
본 발명은 플랫폼을 가지는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등에서 전기차 충전시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수단이 없었다.
KR 10-2019-0103613 A
본 발명은 플랫폼을 가지는 스마트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전기차를 충전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 사용되는 중앙 서버는 스마트 게이트웨이 및 충전 매체 중 적어도 하나와의 통신 연결 통로인 통신부; 상기 충전 매체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 정보를 상기 충전 매체로부터 수신하는 사용자 정보부; 및 충전 요청에 대한 제 1 충전 정보를 상기 충전 매체로부터 수신하는 충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충전 승인이 이루어지고, 상기 승인에 따라 전기차의 충전이 시작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마트 게이트웨이는 중앙 서버, 충전 매체 및 사용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와의 통신 연결 통로인 통신부; 및 상기 중앙 서버 또는 상기 충전 매체로부터 충전 정보를 획득하는 충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충전 정보는 충전 위치, 충전 완료 시간 및 충전량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 사용되는 충전 매체는 중앙 서버 및 스마트 게이트웨이 중 적어도 하나와의 통신 연결 통로인 통신부; 충전 카드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사용자 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정보 획득부; 및 충전 위치, 충전 완료 시간 및 충전량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는 충전 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 및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하는 충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방법은 전기차 충전을 위하여 획득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충전 승인하는 단계; 및 상기 승인에 따라 상기 전기차가 충전된 경우 상기 충전에 해당하는 과금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중앙 서버는 상기 전기차의 충전 위치, 충전 완료 시간 및 충전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충전 매체로부터 수신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방법은 플랫폼을 이용하여 충전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단계; 충전 매체 또는 중앙 서버로부터 전기차의 충전에 대한 충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충전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된 충전 정보는 상기 전기차의 충전 위치, 충전 완료 시간 및 충전량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방법은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사용자 정보는 중앙 서버 또는 스마트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전기차의 충전에 대한 충전 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 또는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충전 정보는 상기 전기차의 충전 위치, 충전 완료 시간 및 충전량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은 충전 매체, 중앙 서버 및 플랫폼을 가지는 스마트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충전시키고 충전을 관리할 수 있다.
특히, 충전에 따른 과금을 관리비에 부가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상당히 증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웨이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에 포함된 다양한 서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털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주택에서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에너지 자원을 계측하는 설비 미터와 연동된 스마트 게이트웨이를 통해 3rd 파티 사업자의 서비스 실현을 위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며, 이를 통해 에너지 자원을 이용한 다양한 부가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즉, 스마트 게이트웨이가 플랫폼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다양한 3rd 파티 사업자가 에너지 자원을 이용한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신청하고, 그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이 스마트 게이트웨이에 설치됨에 따라 각 가정, 매장, 빌딩 등에 대한 에너지 자원 관련한 다양한 부가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웨이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에 포함된 다양한 서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100)은 스마트 게이트웨이(110), 컨트롤 박스(120), 관리 서버(130) 및 서비스 기술자 디바이스(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마트 게이트웨이(110)는 다양한 종류의 에너지 자원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플랫폼 기능을 한다. 스마트 게이트웨이(110)는 다양한 통신 인터페이스(미도시)를 구비하며, 이를 통해 다양한 장치들과 연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게이트웨이(110)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에너지 자원의 사용량을 검침하는 설비 미터와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통신 인터페이스는 RS-485, DC-PLS, Wireless Mbus, CAN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설비 미터는 예를 들어, 전기 미터, 열량 미터, 수도 미터, 온수 미터 및 가스 미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게이트웨이(110)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컨트롤 박스(120)와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통신 인터페이스는 RJ45일 수 있다.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겠지만, 컨트롤 박스(120)는 복수일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게이트웨이(110)는 제3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홈 디스플레이(미도시)와 연동되어 사용자에게 각 에너지 자원에 대한 검침 정보 및 디바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출력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3 통신 인터페이스는 RJ45일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게이트웨이(110)는 제4 통신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HTTPS)를 이용하여 관리 서버(130)와 연동될 수도 있다.
도 2에는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의 내부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게이트웨이(110)는 플랫폼(210) 및 어플리케이션 계층(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마트 게이트웨이(110)는 플랫폼(210)이 탑재된다. 스마트 게이트웨이(110)가 특정 공간(예를 들어, 댁내, 사업장내, 빌딩내 등)에 설치되는 시점에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에 탑재된 플랫폼(210)이 구동될 수 있다. 구동된 플랫폼(210)은 관리 서버(130)와 통신을 통해 해당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의 펌웨어 관련 정보 및 당해 플랫폼(210)에 기본으로 탑재되는 기본 어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 서버(130)는 해당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의 펌웨어 관련 정보 및 기본 어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수신한 후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에 탑재된 펌웨어 버전, 기본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및 버전 등을 확인하여 펌웨어 및 기본 어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130)는 플랫폼(210)에 의해 제공되는 기본 어플리케이션 관련 정보에 따라 미설치된 기본 어플리케이션 중 일부를 추가 설치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본 어플리케이션은 설비 미터 관리,검침 정보 수집, 외부 디스플레이 관리, 기술자 지원, GWA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 AMS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 CLS 에이전트 어플리케이션 등일 수 있다. 이러한 기본 어플리케이션은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일 예일 뿐이며, 스마트 게이트웨이(110) 제조 시점에 각 설비 미터, 컨트롤 박스, 홈 디스플레이 및 외부 서버(130)와 연동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유형의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의 최초 설치에 상응하여 구동된 플랫폼(210)에 의해 펌웨어 및 기본 어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플랫폼(210)은 관리 서버(130)와 연동되어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에 따른 3rd 파티 어플리케이션을 플랫폼(210)상에 동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 유형에 따라 플랫폼(210)상에 설치되는 3rd 파티 어플리케이션들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rd 파티 어플리케이션은 유틸리티 어플리케이션 또는/및 3rd 파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등일 수 있다. 유틸리티 어플리케이션은 각 유틸리티 사업자(예를 들어, 지역 가스 사업자, 지역 난방 공사, 가스 공사, 수자원 공사, 한국 전력 공사 등)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각 유틸리티 사업자는 각 유틸리티 사업자가 제공한 유틸리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에너지 자원 사용에 따른 검침 정보, 각 설비 미터 상태 정보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각 유틸리티 사업자는 각 유틸리티 사업자가 제공한 유틸리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유틸리티 사업자 요청에 따른 필요한 정보들을 제공받을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3rd 파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각 3rd 파티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러한 3rd 파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각 3rd 파티 서비스를 위한 요청 정보를 각 3rd 파티 서비스 사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3rd 파티 서비스 사업자는 CLS 관리 사업자, 에너지 절약 사업자, DR 사업자, 전력 거래소, 에너지 기반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HEMS(스마트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 BEMS(스마트 건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 FEMS(스마트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제1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며, 제2 사용자는 제2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제1 사용자의 댁내에 설치된 제1 스마트 게이트웨이의 플랫폼상에는 제1 3rd 파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사용자의 댁내에 설치된 제2 스마트 게이트웨이의 플랫폼상에는 제2 3rd 파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3rd 파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는 제1 3rd 파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과 추가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3rd 파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와 제2 3rd 파티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재한 것일 뿐, 각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에 따라 설치되는 3rd 파티 어플리케이션 종류와 개수 등이 상이해질 수 있다.
다시 정리하면, 다양한 장치들과 연동되어 에너지 자원 관련한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해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상에 동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제거가 가능하도록 플랫폼(210)이 탑재될 수 있다. 스마트 게이트웨이(110)가 설치되는 시점에 구동된 플랫폼(210)에 의해 에너지 관련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들이 동적으로 설치 및 제거될 수 있다.
스마트 게이트웨이(110)는 각 에너지 자원의 사용에 대한 계량/계측 및 제어가 가능하며, 각 에너지 자원의 사용에 대한 계량/검침 정보를 기반으로 다양한 에너지 자원 관련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게이트웨이(110)는 각 에너지 자원의 사용에 대한 계량/계측, 제어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실시간 데이터 가공이 가능한 에지 컴퓨팅 기능이 가능한 플랫폼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웨이(110)는 하드웨어나 운영체제에 종속되지 않고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각 스마트 게이트웨이(110)는 당해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에 탑재된 앱 또는 서비스(에너지 관련 부가 서비스)의 네트워크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물론, 각 스마트 게이트웨이(110)는 탑재된 앱 또는 서비스에 대한 네트워크 사용량을 모니터링한 후 각각의 앱 또는 서비스에 상응하여 설정된 기본 네트워크 사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이를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예를 들어,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에 탑재된 앱 또는 서비스에서 설정된(계약된) 기본 네트워크 사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은 해당하는 3rd 파티 사업자에게 추가 요금 부과에 따른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3rd 파티 사업자가 추과 요금 부과를 거부하는 경우, 스마트 게이트웨이(110)는 해당 앱 또는 서비스에 대한 네트워크 사용을 일시적으로 제한할 수도 있다.
컨트롤 박스(120)는 적어도 하나의 로컬 제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컨트롤 박스(120)는 설비 미터를 제외한 복수의 로컬 제어 장치를 에너지 관련 정책에 따라 선택적 에너지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 박스(120)는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와 연동되어, 스마트 게이트웨이(110)로부터 실시간 검침 정보를 획득한 후 이를 기반으로 선택적으로 단계별 에너지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컨트롤 박스(120)는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와 실시간 연동되어 실시간 검침 정보를 통해 각 단계별 에너지 제어를 위한 에너지 관련 정책에 기반하여 복수의 로컬 제어 장치에 대한 선택적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컨트롤 박스(120)가 제어하는 로컬 제어 장치가 반드시 에너지 관련 장치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댁내 어플라이언스(appliance)에 대한 선택적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 박스(120)는 연동된 복수의 로컬 제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전원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컨트롤 박스(120)가 복수의 로컬 제어 장치에 대한 전원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가정하여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전원 제어 이외에도 다양한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여기서, 로컬 제어 장치는 홈 가전, 센서, 냉난방기기, 태양광 발전 장치,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전기차 등일 수 있다.
또한, 컨트롤 박스(120)는 스마트 게이트웨이(110) 또는 관리 서버(130)에 의해 제공되는 에너지 관련 정책을 저장할 수 있으며, 해당 에너지 관련 정책에 따라 복수의 로컬 제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컨트롤 박스(120)는 복수일 수 있다. 로컬 제어 장치의 유형에 따라 제어가 달라지므로, 컨트롤 박스 또한 로컬 제어 장치의 유형에 따라 각각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컨트롤 박스는 스마트 가전과 같은 댁내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컨트롤 박스는 태양광 발전 장치,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전기차 등과 같이 에너지 생산/저장 및 외부 로컬 제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컨트롤 박스는 스마트 게이트웨이와 연동되되, 실시간 검침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컨트롤 박스에 의해 제어되는 복수의 로컬 제어 장치에 대한 선택적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컨트롤 박스에 의해 제어되는 로컬 제어 장치가 전기차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컨트롤 박스는 저장된 에너지 관련 정책에 기초하여 스마트 게이트웨이를 통한 각 에너지 자원의 사용량에 대한 실시간 검침 정보에 기초하여 심야 시간에는 심야 전기를 이용하여 전기차와 에너지 저장 장치에 대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며, 낮 시간에는 충전된 에너지 저장 장치를 이용하여 전기차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컨트롤 박스(120)를 통해 에너지 생성 장치, 에너지 저장 장치 등이 제어되는 것을 가정하여 도시하고 있으나, 다른 예를 들어, 에너지 생성 장치(발전 장치)나 에너지 저장 장치는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다시 정리하면,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컨트롤 박스는 댁내의 제어 가능한 장치를 스마트 게이트웨이와 연결을 시키는 디바이스로 스마트 게이트웨이에서 제공되는 에너지 및 기타 정보를 바탕으로 컨트롤 박스에 연결된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홈 디스플레이(150)는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와 연동되어 에너지 자원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홈 디스플레이(150)는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의 제어에 따라 각 에너지 자원의 사용량에 대한 실시간 검침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홈 디스플레이(150)는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의 제어에 따라 댁내 에너지 관리를 위한 다양한 시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디스플레이(150)는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의 제어에 따라 검침 정보, 디바이스 상태 정보, CLS 제어, 로그 정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와 연동되어 사용자에게 에너지 관련 다양한 부가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관리/제어하며, 개인 자산 및 에너지 관리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지원/관리하기 위한 장치이다.
관리 서버(130)는 사용자의 스마트 게이트웨이 설치 요청이 접수되는 경우, 서비스 기술자 디바이스(140)로 스마트 게이트웨이 설치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기술자가 서비스 기술자 디바이스(140)를 통해 스마트 게이트웨이 설치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설치 대상 장소에 방문하여 각 설비 미터와 연동되도록 스마트 게이트웨이(110)를 설치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기술자는 서비스 기술자 디바이스(140)를 통해 스마트 게이트웨이(110) 설치 관련 정보를 관리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기술자는 서비스 기술자 디바이스(140)를 통해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에 탑재된 플랫폼(210)을 구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 기술자는 서비스 기술자 디바이스(140)를 통해 관리 서버(130)와 연동되어 해당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의 설정값의 설정 및 열람 등을 수행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이러한 서비스 기술자 디바이스(140)는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와 TCP 기반 소켓 또는 HTTPS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서비스 기술자 디바이스(140)를 통해 서비스 기술자 정보(예를 들어, ID, 사번 등)를 제공받아 서비스 기술자(서비스 기술자)를 인증한 후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130)는 각각 특정 공간(장소)에 설치된 스마트 게이트웨이(110)로부터 디바이스 설치/제거 정보, 모니터링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130)는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의 설정 변경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130)에 저장된 에너지 관련 정책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에너지 관련 정책에 상응하도록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의 설정을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관리 서버(130)는 각 유틸리티 사업자가 제공하는 유틸리티 어플리케이션, 3rd 파티 사업자가 제공하는 3rd 파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일부를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에 동적으로 설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 유형에 따라 각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에 설치되는 유틸리티 어플리케이션이나 3rd 파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에 따른 유틸리티 어플리케이션, 3rd 파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선별하여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에 동적으로 설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130)는 사용자의 서비스 변경에 상응하여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에 설치된 유틸리티 어플리케이션, 3rd 파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일부를 동적으로 제거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관리 서버(130)가 하나의 구성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각각의 기능에 따라 관리 서버(130)는 복수의 개별적 구성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복수의 개별적 서버(130a 내지 130f)들은 상호 연동되어 동작하며, 스마트 게이트웨이(110)를 통한 동적 어플리케이션 설치 및 제거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에 동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및 삭제되는 것만을 가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각 사용자는 소지한 사용자 디바이스(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 노트북 등)를 통해 관리 서버(130)에 접속하여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30)는 푸시부(410), 서비스 기술자 지원 관리부(415), 보안 관리부(420), 디바이스 관리부(425), 업데이트 관리부(430), 메모리(435) 및 프로세서(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푸시부(410)는 웨이크-업(wake-up) 패킷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푸시부(410)는 웨이크업 패킷을 스마트 게이트웨이(110)로 전달하여 연결되지 않은 스마트 게이트웨이와 관리 서버간의 통신 연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 기술자 지원 관리부(415)는 서비스 기술자를 인증하고, 미터 펌웨어 업데이트를 지원하기 위한 수단이다.
보안 관리부(420)는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에서 실시간 수집되는 검침 정보를 민감한 개인 정보, 검침 정보의 송수신시 익명화하여 보안을 지원하기 위한 수단이다.
보안 관리부(420)는 키 및 인증(key/certification) 관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 관리부(425)는 스마트 게이트웨이(110)를 모니터링하고, 해당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의 구성(configuration)을 관리한다. 또한, 디바이스 관리부(425)는 스마트 게이트웨이의 로그를 관리하며, 스마트 게이트웨이/디바이스의 설치와 제거를 관리할 수도 있다.
업데이트 관리부(430)는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에 탑재된 플랫폼의 업데이트 및 각 설비 미터 펌웨어 업데이트를 관리한다.
메모리(4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30)를 운용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 코드(명령어)들을 저장하기 위한 수단이다.
프로세서(4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30)의 내부 구성들(예를 들어, 푸시부(410), 서비스 기술자 지원 관리부(415), 보안 관리부(420), 디바이스 관리부(425), 업데이트 관리부(430), 메모리(435) 등)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털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포털 서버(500)는 관리 서버(130)의 일 구성일 수도 있으며, 도 5와 같이 개별적 구성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포털 서버(500)는 유틸리티 사업자 또는 3rd 파티 사업자를 등록받고, 그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설치/제거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수단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털 서버(500)는 에너지 공급자 등록부(510), 서비스 등록부(515), 어플리케이션 관리부(520), 디바이스 상태 관리부(525), 설정값 관리부(530), 메모리(535) 및 프로세서(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에너지 공급자 등록부(510)는 에너지 공급자를 등록받기 위한 수단이다.
서비스 등록부(515)는 3rd 파티 사업자 및 해당 3rd 파티 사업자의 서비스를 등록받기 위한 수단이다.
어플리케이션 관리부(520)는 사용자에 의해 3rd 파티 서비스가 신청되면, 해당 신청된 3rd 파티 서비스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제거를 관리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관리부(520)는 사용자에 의해 신청된 3rd 파티 서비스에 따라 설치되어야 할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하여 이를 관리 서버(130) 또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관리 서버(130) 또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미도시)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신청된 3rd 파티 서비스에 상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스마트 게이트웨이(110)상에 설치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디바이스 상태 관리부(525)는 디바이스의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수단이다.
설정값 관리부(530)는 유틸리티 사업자 서버와 연동되어 각 설비 미터의 설정값 변경 요청을 제공받아 이를 관리할 수 있다. 유틸리티 사업자 서버에 의해 각 설비 미터의 설정값 변경이 요청되는 경우, 설정값 관리부(530)는 관리 서버(130)와 연동되어 각 스마트 게이트웨이(110)를 제어하여 연동된 설비 미터들의 설정값 변경을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5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털 서버(500)를 운용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 코드(명령어)들을 저장하기 위한 수단이다.
프로세서(5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털 서버(500)의 내부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에너지 공급자 등록부(510), 서비스 등록부(515), 어플리케이션 관리부(520), 디바이스 상태 관리부(525), 설정값 관리부(530), 메모리(535))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외에도, 포털 서버(500)는 유틸리티 사업자 서버와 연동되어 미터 펌웨어 업데이트, 미터 정보 업로드, 미터 정보 관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포털 서버(500)는 설치 대행 업체 서버(미도시)로부터 특정 유틸리티 사업자 선택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웨이 또는 설비 미터 설치 요청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포털 서버(500)는 관리 서버(130)와 연동되어 특정 유틸리티 사업자에 상응하여 스마트 게이트웨이 또는 설비 미터의 설치 또는/및 제거를 서비스 기술자 디바이스(140)로 전송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다. 다시 정리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은 스마트 게이트웨이가 플랫폼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다양한 3rd 파티 사업자가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을 통해 3rd 파티 서비스를 신청하고, 그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각 설비 미터와 직접 연동되는 스마트 게이트웨이에 동적/선택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에너지 자원의 사용에 따른 검침 정보를 이용한 다양한 3rd 파티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은 서로 다른 종류의 에너지 자원의 사용에 따른 검침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한 후 연계 처리하여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스마트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전기차를 충전하는 시스템을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플랫폼이 구현된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전기차 충전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해당 가정, 빌딩 등에 설치될 수도 있고, 아파트 등의 관리실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전기차 충전은 충전 기기를 이용하거나 충전 플러그를 이용하는 모든 방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충전 매체로 통칭하겠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주택에서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A 지역(예를 들어, A 아파트)과 관련된 제 1 스마트 게이트웨이(600), 제 1 충전 매체(602), 제 1 중앙 서버(604, 예를 들어 A 아파트 관리 서버) 및 제 1 사용자 단말기(606, A 아파트 거주자의 단말기), B 지역(예를 들어, B 아파트)과 관련된 제 2 스마트 게이트웨이(610), 제 2 충전 매체(612), 제 2 중앙 서버(614, 예를 들어 B 아파트 관리 서버) 및 제 2 사용자 단말기(616, B 아파트 거주자의 단말기) 및 사업자 서버(6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각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A 지역의 구성요소들과 B 지역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은 동일하므로, A 지역의 구성요소들만 설명하겠다. 다만, A 지역의 구성요소들과 B 지역의 구성요소들은 전기차 충전을 위하여 상호 연동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겠다.
제 1 스마트 게이트웨이(600)는 플랫폼 기능을 하며, 위의 실시예들에서의 구성요소들뿐만 아니라 전기차 충전 관리를 위한 충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충전부는 제 1 스마트 게이트웨이(600)와 관리 서버가 연동함에 의해 제 1 스마트 게이트웨이(600)에 설치되고, 업데이트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스마트 게이트웨이(600)는 제 1 사용자가 제 1 충전 매체(602)를 통하여 전기차를 충전시킬 때 제 1 충전 매체(602)로부터 충전 정보(예를 들어, 충전 위치 등)를 제공받고, 상기 충전 정보를 제 1 중앙 서버(604)에 전송하며, 제 1 중앙 서버(604)로부터 과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과금은 충전시마다 생성되지 않고, 아파트 관리비로 청구될 수 있다.
물론, 제 1 충전 매체(602)로부터의 충전 정보가 제 1 중앙 서버(604)를 통하여 제 1 스마트 게이트웨이(600)로 제공될 수도 있다.
제 1 충전 매체(602)는 예를 들어 아파트 주차장의 전기 충전소에 설치되는 장치로, 사용자가 전기차 충전 요청시 사용자 정보를 독출하고 충전에 따른 충전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독출된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충전 정보를 제 1 스마트 게이트웨이(600) 또는 제 1 중앙 서버(604)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충전 매체(602)는 사용자 이름, 사용자 동호수 및 차량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는 사용자 정보 및 전기차가 어떤 충전 매체에 연결되었는지(충전 위치), 충전 완료까지 남은 시간(충전 시간), 충전량 및 충전 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는 충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충전 매체(60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ID 태그를 인식할 수 있는 RFID 인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RFID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RFID 카드를 제 1 충전 매체(602)에 터치하거나 근접시키면, 제 1 충전 매체(602)는 상기 RFID 카드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물론, RFID 카드가 아닌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출입 카드가 사용자 정보를 인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출입 카드는 예를 들어 아파트의 출입이 가능한 카드일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태그 또는 카드 인식 외에 사용자가 직접 제 1 충전 매체(602)에 자신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상기 정보가 제 1 스마트 게이트웨이(600) 또는 제 1 중앙 서버(604)로 제공될 수 있다.
제 1 중앙 서버(604)는 예를 들어 아파트 관리 서버일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및 과금을 관리할 수 있다. 물론, 제 1 중앙 서버(604)는 사용자 정보도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충전 및 과금은 별개의 서버로 관리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중앙 서버(604)는 제 2 중앙 서버(614)와 통신 연결되고,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중앙 서버(604)는 예를 들어 아파트 내 충전소에 과부하가 걸리거나 예상되는 등의 경우에 상기 충전소의 충전 온/오프 또는 충전량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 1 중앙 서버(604)는 충전소 또는 관련된 제 1 충전 매체(60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 단말기(606)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TV로, 전기차 충전시 남은 충전 시간, 충전량, 충전 완료 여부 및 과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 1 스마트 게이트웨이(600) 또는 제 1 중앙 서버(604)를 통하여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기차를 충전시키는 동안 충전소에서 떨어져 있더라도 충전 완료 시점 및 충전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서 편리하게 충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전기차 앞에 대기하고 있지 않고 집안에 있어도 충전 상황을 모두 파악하여 적절히 대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완료 시간이 아이콘 형태로 하여 제 1 사용자 단말기(606)의 상단에 배터리 충전 아이콘과 유사한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된 정보는 제 1 사용자 단말기(606)의 메인 화면 또는 대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콘에 충전 완료 시간 등의 충전과 관련된 정보뿐만 아니라 사업자가 제공하는 정보도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사업자 서버(62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스마트 게이트웨이(600 또는 610) 및 중앙 서버(604 또는 614)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며, 충전과 관련된 정보(충전 시간, 충전 위치, 나이, 사용자 이름, 충전량 등)를 스마트 게이트웨이(600 또는 610) 또는 중앙 서버(604 또는 614)로부터 제공받으며,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형 광고 또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고, 즉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스마트 게이트웨이(600 또는 610)에 설치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플랫폼을 이용하여 전기차 충전부(어플리케이션)가 설치된 스마트 게이트웨이(600 또는 610) 및 중앙 서버(604 또는 614)를 이용하여 전기차 충전과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예를 들어 아파트 관리 사무소에 전기차 충전 신청을 하여 충전 카드, 예를 들어 RFID 태그를 수령할 수 있다(S800 및 S802). 물론, 상기 충전 카드로 아파트 출입이 가능한 아파트 출입 카드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출입 카드는 RFID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충전 카드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 즉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이어서, 상기 사용자가 전기차를 충전할 때, 우선 상기 충전 카드를 충전 매체에 터치하거나 근접시킬 수 있다(S804). 여기서, 상기 충전 매체는 하나 이상의 전기차 충전소와 매칭될 수 있다.
계속하여, 상기 충전 매체는 상기 충전 카드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 이름, 동호수, 차량 번호 등)를 독출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에 해당하는 중앙 서버로 상기 독출된 사용자 정보 및 충전 정보(예를 들어, 충전 위치, 충전 시간 등)를 전송할 수 있다(S806).
상기 충전 매체는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충전 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로 직접 전송할 수도 있고, 상기 사용자 정보에 해당하는 스마트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상기 중앙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충전 매체는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충전 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충전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충전 정보를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로 전송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도 상기 사용자가 전기차를 충전한다는 사실을 인지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정보, 예를 들어 동호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와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가 아파트 주민인 경우 충전을 승인할 수 있다(S808). 이러한 승인은 관리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빠른 충전을 위하여 상기 중앙 서버가 미리 저장된 정보와 상기 사용자 정보를 비교함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가 아파트 주민이 아닌 다른 아파트의 주민이라고 상기 사용자 정보를 통하여 파악한 경우,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다른 아파트에 해당하는 중앙 서버로 충전과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고 충전을 승인할 수도 있다.
계속하여, 상기 충전 승인이 완료되면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충전 매체로 승인이 완료되었다는 승인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충전 승인에 따라 상기 전기차가 충전하기 위해 주차된 위치의 충전소로 전기가 흘러서 상기 전기차가 충전된다(S810). 이 때, 충전되는 동안 상기 전기차가 충전되는 충전소의 위치(충전 위치), 충전 완료까지 남은 시간(충전 완료 시간) 등과 같은 충전 정보가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로 전송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사용자는 집에서도 충전 위치 및 충전 완료 시간을 파악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충전 정보는 단계 S806에서 전송되고 본 단계에서는 전송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충전 정보가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뿐만 아니라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 또는 상기 중앙 서버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충전소로의 전기가 차단되며(S812), 상기 충전 매체는 상기 충전이 완료되었다는 충전 완료 정보를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 및 상기 중앙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계속하여, 상기 중앙 서버는 충전량에 따른 과금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과금을 상기 사용자의 관리비에 부가할 수 있다(S814). 물론,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생성된 과금을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로 전송할 수도 있고, 상기 관리비에 부가하지 않고 바로 청구할 수도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 및 상기 중앙 서버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전기차를 충전시킬 수 있다.
위에서는, 상기 전기차의 충전에 따른 과금을 후불로 청구하는 방식이었으나, 상기 충전 카드에 충전 금액이 충전되어 있고 상기 충전에 따라 상기 충전 금액이 감소할 수도 있다. 다만, 편리한 측면에서는 충전에 따른 과금을 후불로 청구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B 아파트 거주자인 사용자가 A 아파트에서 충전하고자 할 때 충전 매체에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거나 충전 카드를 터치하여 충전을 요청할 수 있다(S900).
상기 A 아파트의 중앙 서버와 상기 B 아파트의 중앙 서버가 연동되어 있고 충전 카드의 공유가 가능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사용자는 상기 충전 카드를 상기 충전 매체에 터치하거나 근접시켜 충전을 요청할 수 있다(제 1 상황).
상기 A 아파트의 중앙 서버와 상기 B 아파트의 중앙 서버가 연동되어 있으나 충전 카드의 공유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는 자신의 정보를 상기 충전 매체에 입력시킬 수 있다(제 2 상황).
상기 A 아파트의 중앙 서버와 상기 B 아파트의 중앙 서버가 연동되어 있지 않고 충전 카드의 공유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는 자신의 정보를 상기 충전 매체에 입력시킬 수 있다(제 3 상황).
이어서, 상기 충전 매체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 또는 상기 충전 카드를 통하여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고(S902),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충전 정보를 상기 A 아파트의 중앙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계속하여,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충전 정보를 상기 B 아파트의 중앙 서버로 전송하고, 충전을 승인하며, 상기 충전 승인에 따라 전기차에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S904).
이어서, 상기 A 아파트의 중앙 서버는 충전량에 따라 과금을 생성할 수 있다(S906).
계속하여, 상기 A 아파트의 중앙 서버는 상기 생성된 과금을 포함하는 충전 정보를 상기 B 아파트의 중앙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908). 이 경우, 상기 B 아파트의 중앙 서버는 상기 과금을 관리비에 부가하고, 상기 과금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A 아파트의 중앙 서버에 연결된 계좌로 입금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가 다른 아파트에서 충전함에 따라 상기 A 아파트와 상기 B 아파트가 모두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상기 제 1 상황 및 상기 제 2 상황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다만, 상기 제 3 상황의 경우 상기 사용자의 거주지 등을 파악할 수 없으므로, 현장에서 즉시 충전에 따른 비용을 결제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현금 결제나 카드 결제로 과금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충전 매체는 카드 결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연계된 다른 아파트에서 거주민이 충전할 경우에도 상기 충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과금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A 전기차에 충전된 충전량이 남아 있는 제 1 사용자 또는 충전량이 남아 있는 전기차로부터 충전받고자 하는 제 2 사용자가 에너지 거래를 요청할 수 있다(S1000).
이어서, 중앙 서버의 승인에 따라 A 전기차의 전기가 B 전기차로 공급되어 상기 B 전기차가 충전될 수 있다(S1002 및 S1004). 예를 들어, 상기 A 전기차 및 상기 B 전기차가 충전소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A 전기차로부터 상기 B 전기차로 전기가 이동할 수 있다.
계속하여,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충전에 따른 과금을 상기 제 2 사용자에게 관리비로 부가하고, 상기 과금에 해당하는 금액을 상기 제 1 사용자의 계좌로 입금할 수 있다(S1006).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과금에 해당하는 금액이 상기 제 1 사용자의 계좌로 입금되지 않고 상기 제 1 사용자의 관리비에서 상기 금액이 차감되어 청구될 수도 있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에너지 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위에서는, 전기차의 전기가 다른 전기차로 공급되는 경우만 언급하였으나, 상기 전기차의 전기가 세대로 공급될 수도 있다.
위의 실시예들에서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전기 가격이 시간대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전기 가격이 싼 시간대에는 발전소에서 공급되는 전기로 전기차를 충전시키고, 전기 가격이 비싼 시간대에는 다른 전기차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로 전기차를 충전시킬 수도 있다.
또한, 공용부의 경우 전기 요금이 일반용 고압 요금, 주택용 고압 요금으로 나뉘어지고 전기차 충전용 및 향후 계시별 요금제(ToU) 등으로 다양하여지므로, 원하는 충전량을 고려하여 시간대별, 잔량별로 미리 원하는 시간을 정하여 전기차를 충전시킬 수도 있다. 즉, 미리 상기 중앙 서버에 예약하여 상기 전기차를 충전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 상기 중앙 서버 및 상기 충전 매체의 구성요소들을 살펴보겠다.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는 제어부, 통신부, 사용자 정보부, 충전부, 과금부, 저장부 및 정보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위의 실시예들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는 플랫폼을 가지며, 상기 플랫폼을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에 충전 프로그램을 설치, 업데이트 및 삭제시킬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중앙 서버, 통신 매체 및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신 연결 통로이다.
상기 사용자 정보부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 충전부는 충전 동작을 관리한다. 예를 들어, 상기 충전부는 상기 충전 매체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정보 및 충전 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중앙 서버가 충전을 승인한 경우 충전 승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으며, 충전 위치 및 충전 완료 시간에 대한 정보를 충전 매체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충전부는 상기 충전 위치 및 상기 충전 완료 시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과금부는 과금과 관련된 동작을 관리한다. 예를 들어, 상기 과금부는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과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과금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프로그램, 사용자 정보, 충전 정보 및 각종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충전 정보 및 상기 과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상기 중앙 서버는 제어부, 통신부, 사용자 정보부, 충전부, 과금부 및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 충전 매체 및 다른 중앙 서버와의 연결 통로이다.
상기 사용자 정보부는 관리하는 구역의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상기 충전부는 상기 충전 매체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 정보 및 제 1 충전 정보(충전 위치 등)를 상기 충전 매체로부터 제공받고, 충전을 승인하며, 상기 충전 매체로부터 제 2 충전 정보(충전량 등)를 상기 충전 매체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부는 상기 제 1 충전 정보 또는 상기 제 2 충전 정보를 다른 구역의 중앙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과금부는 상기 제 2 충전 정보에 포함된 충전량에 해당하는 금액, 또는 기설정된 금액을 과금으로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과금을 관리비에 부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금부는 상기 과금을 다른 구역의 중앙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다른 서버의 중앙 서버가 설정된 계좌로 돈을 송금한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과금부는 전기차의 전기가 다른 전기차 또는 세대로 공급된 경우, 충전받은 전기차 또는 세대에 과금하고, 상기 과금에 해당하는 금액을 상기 전기차의 사용자 계좌로 송금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사용자 정보, 충전 정보, 과금 정보, 통신 매체에 대한 정보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앙 서버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상기 충전 매체는 제어부, 통신부, 사용자 정보 획득부 및 충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중앙 서버 또는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와의 통신 연결 통로이다.
상기 사용자 정보 획득부는 충전 카드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거나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사용자 정보는 상기 중앙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충전부는 충전 위치, 충전 시간 및 충전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충전 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 또는 상기 중앙 서버 및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 매체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600: 제 1 스마트 게이트웨이 602 : 제 1 충전 매체
604 : 제 1 중앙 서버 606 : 제 1 사용자 단말기
610 : 제 2 스마트 게이트웨이 612 : 제 2 충전 매체
614 : 제 2 중앙 서버 616 : 제 2 사용자 단말기
620 : 사업자 서버

Claims (20)

  1.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 사용되는 중앙 서버에 있어서,
    스마트 게이트웨이 및 충전 매체 중 적어도 하나와의 통신 연결 통로인 통신부;
    상기 충전 매체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 정보를 상기 충전 매체로부터 수신하는 사용자 정보부; 및
    충전 요청에 대한 제 1 충전 정보를 상기 충전 매체로부터 수신하는 충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충전 승인이 이루어지고, 상기 승인에 따라 전기차의 충전이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과금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충전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충전 요청에 대한 제 1 충전 정보를 상기 충전 매체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와 기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자신이 관리하는 구역의 사용자인 경우 충전을 승인하며, 상기 승인에 대한 정보인 승인 정보를 상기 충전 매체로 전송하고,
    상기 충전부는 충전 시간 또는 충전량을 가지는 제 2 충전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충전 매체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과금부는 상기 수신된 제 2 충전 정보에 따라 과금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과금을 사용자의 관리비에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상기 제 1 충전 정보 또는 상기 제 2 충전 정보를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과금부는 상기 생성된 과금에 대한 정보는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는 전기차 충전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설치 및 업데이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플랫폼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 매체는 충전 카드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서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상기 제 1 충전 정보, 상기 제 2 충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업자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사업자 서버는 상기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거나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에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의 사용자가 다른 구역의 중앙 서버가 관리하는 사용자인 경우 상기 사용자 정보, 상기 제 2 충전 정보 및 상기 생성된 과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다른 구역의 중앙 서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서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부는 제 1 전기차의 전기가 제 2 전기차 또는 특정 세대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제공된 전기의 양에 해당하는 금액을 과금으로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과금을 상기 제 2 전기차의 세대 또는 상기 특정 세대의 관리비로 부가하며, 상기 과금에 해당하는 금액을 상기 제 1 전기차의 사용자의 계좌로 입금하거나 상기 제 1 전기차의 사용자의 관리비에서 상기 금액이 차감되어 청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서버.
  7. 제1항에 있어서,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충전소에 과부하나 에러가 발생된 경우 상기 충전소를 통하여 전기가 제공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서버.
  8.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마트 게이트웨이에 있어서,
    중앙 서버, 충전 매체 및 사용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와의 통신 연결 통로인 통신부; 및
    상기 중앙 서버 또는 상기 충전 매체로부터 충전 정보를 획득하는 충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충전 정보는 충전 위치, 충전 완료 시간 및 충전량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게이트웨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는 플랫폼을 탑재하되,
    상기 플랫폼을 통하여 충전 프로그램이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에 설치되고, 상기 플랫폼에 기반하여 상기 충전 프로그램의 설치, 업데이트 또는 삭제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게이트웨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전기차의 충전에 따른 충전 정보를 상기 충전 매체 또는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충전부는 상기 충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게이트웨이.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전기차의 충전에 따른 과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게이트웨이.
  12.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 사용되는 충전 매체에 있어서,
    중앙 서버 및 스마트 게이트웨이 중 적어도 하나와의 통신 연결 통로인 통신부;
    충전 카드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사용자 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정보 획득부; 및
    충전 위치, 충전 완료 시간 및 충전량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는 충전 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 및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하는 충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매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카드는 RFID 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 획득부는 RFID 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매체.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카드는 아파트의 출입이 가능한 아파트 출입 카드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매체.
  15. 전기차 충전을 위하여 획득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충전 승인하는 단계; 및
    상기 승인에 따라 상기 전기차가 충전된 경우 상기 충전에 해당하는 과금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중앙 서버는 상기 전기차의 충전 위치, 충전 완료 시간 및 충전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충전 매체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과금을 관리비로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방법.
  17. 플랫폼을 이용하여 충전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단계;
    충전 매체 또는 중앙 서버로부터 전기차의 충전에 대한 충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충전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수신된 충전 정보는 상기 전기차의 충전 위치, 충전 완료 시간 및 충전량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이 설치된 스마트 게이트웨이는 상기 충전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방법.
  19.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사용자 정보는 중앙 서버 또는 스마트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전기차의 충전에 대한 충전 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 또는 상기 스마트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충전 정보는 상기 전기차의 충전 위치, 충전 완료 시간 및 충전량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충전 매체는 충전 카드를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충전 카드는 RFID 기능 또는 출입 카드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방법.




KR1020190131206A 2018-10-31 2019-10-22 플랫폼을 가지는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KR1024681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773 2018-10-31
KR20180131773 2018-10-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559A true KR20200049559A (ko) 2020-05-08
KR102468114B1 KR102468114B1 (ko) 2022-11-18

Family

ID=70677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206A KR102468114B1 (ko) 2018-10-31 2019-10-22 플랫폼을 가지는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811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26953A (zh) * 2021-04-16 2021-06-08 无锡市政公用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市政公用新能源充电运营平台
KR102522105B1 (ko) 2023-03-22 2023-04-17 한국분동 주식회사 승강기 하중 검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527116B1 (ko) * 2022-10-04 2023-04-28 (주)세상을바꾸는사람들 가변형 전력제어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과금 시스템 및 수익형 과금 방법
KR102584748B1 (ko) * 2023-05-03 2023-10-05 주식회사 바이온에버 전기차 충전기를 통합 관리하는 통합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계층적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61482A1 (en) * 2008-12-22 2010-06-24 Nathan Bowman Littrell System and method for roaming billing for electric vehicles
JP2012205461A (ja) * 2011-03-28 2012-10-22 Toyota Industries Corp 充電システム
KR20120133481A (ko) * 2011-05-31 2012-12-1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및 그 통신 방법
KR20130006949A (ko) * 2011-06-27 2013-01-18 주식회사 피엠그로우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
KR20180104788A (ko) * 2017-03-13 2018-09-27 (주)유씨티 전기차 충전시스템
KR20190103613A (ko) 2018-02-28 2019-09-05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전기차의 충전 중지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61482A1 (en) * 2008-12-22 2010-06-24 Nathan Bowman Littrell System and method for roaming billing for electric vehicles
JP2012205461A (ja) * 2011-03-28 2012-10-22 Toyota Industries Corp 充電システム
KR20120133481A (ko) * 2011-05-31 2012-12-1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및 그 통신 방법
KR20130006949A (ko) * 2011-06-27 2013-01-18 주식회사 피엠그로우 전기자동차 충전 방법
KR20180104788A (ko) * 2017-03-13 2018-09-27 (주)유씨티 전기차 충전시스템
KR20190103613A (ko) 2018-02-28 2019-09-05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전기차의 충전 중지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26953A (zh) * 2021-04-16 2021-06-08 无锡市政公用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市政公用新能源充电运营平台
KR102527116B1 (ko) * 2022-10-04 2023-04-28 (주)세상을바꾸는사람들 가변형 전력제어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과금 시스템 및 수익형 과금 방법
KR102522105B1 (ko) 2023-03-22 2023-04-17 한국분동 주식회사 승강기 하중 검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584748B1 (ko) * 2023-05-03 2023-10-05 주식회사 바이온에버 전기차 충전기를 통합 관리하는 통합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계층적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8114B1 (ko) 2022-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8114B1 (ko) 플랫폼을 가지는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TWI524806B (zh) 用以致能使用不同通訊協定之裝置間之通訊的系統、方法及/或設備
EP2562729A2 (en) System and method for use when charging an electrically powered vehicle
KR20180116873A (ko) 스마트 홈 제어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홈 서비스 방법, 시스템 및 서비스 서버
KR102174594B1 (ko)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
JP2016201070A (ja) 駐車場利用管理システム
KR20220037571A (ko) 재생 에너지 공급 플랫폼을 이용하는 재생에너지 거래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KR102256169B1 (ko)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의 과금 방법 및 그 장치
KR20200130103A (ko) 통합 스마트 계량 시스템 및 취합 서버
KR102417321B1 (ko)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의 광고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0812653B1 (ko) 검침데이터를 이용한 부동산 세입자 전력요금 관리시스템
KR20170117794A (ko) 국제 표준 프로토콜에 기반한 가정용 통합검침장치 및 그 방법
KR20220165671A (ko) 공동주택 전기차 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09727340A (zh) 门禁系统运营方法、装置及系统
KR20200049558A (ko) 플랫폼이 구현된 스마트 게이트웨이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 거래 방법
JP3922936B2 (ja) 電気機器の状態情報収集システム
KR102473985B1 (ko) Usim을 이용한 계량기 자동검침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용자 관리방법 및 그 장치
CN105787731B (zh) 智能小区管理系统
TW202005466A (zh) 用以致能使用不同通訊協定之裝置間之通訊的系統、方法及/或設備
KR20200002145A (ko) 원격 검침 시스템
KR20200049560A (ko) 에너지 사용 분석을 통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에너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614504B1 (ko) 전기차 충전 관제 시스템 및 방법
CN114092177A (zh) 公寓管理平台、公寓管理方法、公寓管理系统和存储介质
KR102557344B1 (ko) Usim 상의 애플릿을 이용한 계량기 자동검침시스템의 데이터 처리방법 및 그 장치
Zeng et al. AMI and DR, the Enabling Technologies for Information Processing in the Smart Gr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