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4189B1 - 전기 장치의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을 기반으로 전기 장치나 그 사용 용도를 식별하여 전기 장치 또는 그 사용 용도에 대하여 전기 서비스 제공 여부를 결정하거나 장치별 또는 용도별 과금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측정지원장치, 단말 및 서버 - Google Patents

전기 장치의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을 기반으로 전기 장치나 그 사용 용도를 식별하여 전기 장치 또는 그 사용 용도에 대하여 전기 서비스 제공 여부를 결정하거나 장치별 또는 용도별 과금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측정지원장치, 단말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4189B1
KR102004189B1 KR1020180021909A KR20180021909A KR102004189B1 KR 102004189 B1 KR102004189 B1 KR 102004189B1 KR 1020180021909 A KR1020180021909 A KR 1020180021909A KR 20180021909 A KR20180021909 A KR 20180021909A KR 102004189 B1 KR102004189 B1 KR 102004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vending machine
information
power
electr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1771A (ko
Inventor
안현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타코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타코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타코프
Priority to KR1020180021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189B1/ko
Publication of KR20180021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56Special tariff me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전기 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을 계량하는 통합 계량기에 연결된 제1 콘센트 내지 제n 콘센트 중 제k 콘센트를 특수 용도로 사용한다고 할 때, 상기 제k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 장치의 전력 소비 패턴을 기반으로 전기 장치 또는 그 사용 용도에 대한 전기 서비스 제공 여부를 결정하고 과금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제k 콘센트에 탑재된 단말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장치가 상기 제k 콘센트에 연결되면, 상기 전기 장치의 전력 소비 패턴에 대응되는 상기 전기 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거나 획득하도록 지원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k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 장치의 식별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k 콘센트를 통해 공급되는 전기에 대하여 과금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단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전기 장치의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을 기반으로 전기 장치나 그 사용 용도를 식별하여 전기 장치 또는 그 사용 용도에 대하여 전기 서비스 제공 여부를 결정하거나 장치별 또는 용도별 과금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측정지원장치, 단말 및 서버{METHOD FOR DISTINGUISHING ELECTRIC DEVICE OR PURPOSE OF USE BASED ON TIME SEQUENTIAL POWER CONSUMPTION PATTERN OF THE ELECTRIC DEVICE AND THEREBY DETERMINING WHETHER TO PROVIDE ELECTRIC SERVICE TO THE ELECTRIC DEVICE OR FOR THE USAGE, OR CHARGING FEES BY ELECTRIC DEVICE OR USE, MESUREMENT SUPPORTING APPARATUS, TERMINAL AND SERV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 장치의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을 기반으로 전기 장치나 그 사용 용도를 식별하여 전기 장치 또는 그 사용 용도에 대하여 전기 서비스 제공 여부를 결정하거나 장치별 또는 용도별 과금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단말 및 서버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전기 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을 계량하는 통합 계량기에 연결된 제1 콘센트 내지 제n 콘센트 중 제k 콘센트를 특수 용도로 사용한다고 할 때, 상기 전기 장치가 상기 제k 콘센트에 연결되면, 상기 전기 장치의 전력 소비 패턴에 대응되는 상기 전기 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거나 획득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제k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 장치의 식별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k 콘센트를 통해 공급되는 전기에 대하여 과금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방법, 단말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실외나 야외에서 전기를 사용하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전기 자동차가 도입되기 시작하면서 전기 자동차 충전을 위해 실외로 전기를 공급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야외 캠핑이 각광을 받으면서 야외에서 캠핑용 전기제품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수단에 대한 니즈(needs)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발명자는 한국특허출원 제2014-0129254호 “전기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을 통해 야외에서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결제를 하여 전력을 사용할 수 있는 전기 자판기와, 이러한 전기 자판기를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는 관리 시스템을 발명한 바 있다.
한편, 집합 건물에는 개별 단위 입주 공간에 공급되는 전력을 계량하기 위한 계량기가 개별 단위 입주 공간마다 설치되어 있고 건물의 지하실과 같은 공용 공간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계량하기 위한 공용 계량기가 별도로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이들 계량기는 전기를 생산하여 판매하는 한국전력공사나 한국전력공사로부터 전기를 매입하여 판매하는 전기사업자에 의해 관리된다.
하지만, 건물에 공급되는 전기는 실내 또는 실외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도 외에 전기 자동차 충전과 같은 특수 용도로 활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구체적으로, 현재 공급되는 전기는 계량기를 통해 전력량이 계량되므로 특수 용도로 사용되는 전력 사용량을 파악할 수 없어 특수 용도의 사용에 대해 분리 과금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이 경우, 일반 전기와 별도로 배전을 하여 특수 용도를 위한 콘센트와 계량기를 설치할 수도 있으나, 공사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발명자는 한국특허출원 제2015-0128638호 “공적 용도로 사용된 전력량과 사적 용도로 사용된 전력량을 구분하기 위한 방법, 단말 및 서버”를 통해 일반 전기를 공급하는 콘센트에 소정의 단말을 탑재하여 특수 용도로 사용하고 이를 통해 특수 용도의 사용을 식별하여 특수 용도의 사용에 대해 전기 요금을 분리 과금할 수 있는 기술을 발명한 바 있다.
그런데, 상술한 두 가지 기술을 이용하여 전기 자판기나 콘센트를 통해 전기 장치에 전기를 공급하는 경우라도, 전기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전기 공급의 허가 여부나 과금 정책을 달리할 필요성이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의 경우 산업 정책상 상대적으로 낮은 전기료를 부과할 필요가 있고, 전열기는 화재 위험이 있으므로 옥외에서 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발명자는 전기 자판기나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 장치의 전력 소비 패턴을 기반으로 전기 장치별로 특수 용도의 전기 사용에 대해서 차등적으로 과금을 수행하거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는 기술을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 자판기나 콘센트에 연결되어 전기 공급을 받는 전기 장치의 전력 소비 패턴을 기반으로 전기 장치별로 특수 용도의 전기 사용에 대해서 차등적으로 과금을 수행하거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합 계량기에 연결된 제1 콘센트 내지 제n 콘센트 중 제k 콘센트를 특수 용도로 사용한다고 할 때, 상기 제k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 장치의 전력 소비 패턴을 기반으로 상기 제k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 장치를 식별함으로써 전기 장치별로 상기 제k 콘센트를 통한 특수 목적의 전기 사용에 대해서 차등적으로 과금을 수행하거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 자판기에 연결된 전기 장치의 전력 소비 패턴을 기반으로 전기 장치를 식별함으로써, 전기 장치별로 전기 자판기를 통한 특수 목적의 전기 사용에 대해서 차등적으로 과금을 수행하거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전기 장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기 장치의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을 기반으로 빅 데이터를 참조로 하여 특정 전기 장치를 식별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전기 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을 계량하는 통합 계량기에 연결된 제1 콘센트 내지 제n 콘센트 중 제k 콘센트를 특수 용도로 사용한다고 할 때, 상기 제k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 장치의 전력 소비 패턴을 기반으로 전기 장치 또는 그 사용 용도에 대한 전기 서비스 제공 여부를 결정하고 과금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제k 콘센트에 탑재된 단말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장치가 상기 제k 콘센트에 연결되면, 상기 전기 장치의 전력 소비 패턴에 대응되는 상기 전기 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거나 획득하도록 지원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k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 장치의 식별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k 콘센트를 통해 공급되는 전기에 대하여 과금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단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전기 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을 계량하는 통합 계량기에 연결된 제1 콘센트 내지 제n 콘센트 중 제k 콘센트를 특수 용도로 사용한다고 할 때, 상기 제k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 장치의 전력 소비 패턴을 기반으로 전기 장치 또는 그 사용 용도에 대한 전기 서비스 제공 여부를 결정하고 과금을 수행하기 위한 서버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사용자 식별 정보가 획득되어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고, 상기 제k 콘센트에 연결된 상기 전기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의 전력 소비 패턴에 대응되는 상기 제k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 장치의 식별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k 콘센트를 통해 공급되는 전기에 대하여 과금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와 상기 과금 정보를 대응하여 기록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를 포함하는 서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전기 장치의 전력 소비 패턴을 기반으로 전기 장치 또는 그 사용 용도에 대한 전기 서비스 제공 여부를 결정하고 과금을 수행하기 위한 전기 자판기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장치가 상기 전기 자판기에 연결되면, 상기 전기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 및 상기 전기 자판기에 연결된 상기 전기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의 전력 소비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장치가 식별되면, 상기 전기 자판기를 통해 공급되는 전기에 대하여 과금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기 자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전기 장치의 전력 소비 패턴을 기반으로 전기 장치 또는 그 사용 용도에 대한 전기 서비스 제공 여부를 결정하고 과금을 수행하기 위한 서버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사용자 식별 정보가 획득되어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고, 전기 자판기에 연결된 상기 전기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의 전력 소비 패턴에 대응되는 상기 전기 장치의 식별되어 상기 전기 자판기를 통해 공급되는 전기에 대하여 과금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와 상기 과금 정보를 대응하여 기록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를 포함하는 서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전기 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을 계량하는 통합 계량기에 연결된 제1 콘센트 내지 제n 콘센트 중 제k 콘센트를 특수 용도로 사용한다고 할 때, 상기 제k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 장치의 전력 소비 패턴을 기반으로 전기 장치 또는 그 사용 용도에 대한 전기 서비스 제공 여부를 결정하고 과금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전기 장치가 상기 제k 콘센트에 연결되면, 단말이, 상기 전기 장치의 전력 소비 패턴에 대응되는 상기 전기 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거나 획득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말이, 상기 제k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 장치의 식별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k 콘센트를 통해 공급되는 전기에 대하여 과금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전기 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을 계량하기 위한 통합 계량기에 연결된 제1 콘센트 내지 제n 콘센트 중 제k 콘센트를 특수 용도로 사용한다고 할 때, 상기 제k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 장치의 전력 소비 패턴을 기반으로 전기 장치 또는 그 사용 용도에 대한 전기 서비스 제공 여부를 결정하고 과금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식별 정보가 획득되어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고, 상기 제k 콘센트에 연결된 상기 전기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의 전력 소비 패턴에 대응되는 상기 제k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 장치의 식별 정보를 참조하여 서버가,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와 상기 제k 콘센트를 통해 공급되는 전기에 대한 과금 정보를 대응하여 기록하는 단계, 및 (b) 상기 서버가, 상기 기록된 과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 장치에 공급되는 전기에 대해 과금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전기 장치의 전력 소비 패턴을 기반으로 전기 장치 또는 그 사용 용도에 대한 전기 서비스 제공 여부를 결정하고 과금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전기 장치가 전기 자판기에 연결되면, 상기 전기 자판기가, 상기 전기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및 (b) 상기 전기 자판기에 연결된 상기 전기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의 전력 소비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장치가 식별되면, 상기 전기 자판기가, 상기 전기 자판기를 통해 공급되는 전기에 대하여 과금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전기 장치의 전력 소비 패턴을 기반으로 전기 장치 또는 그 사용 용도에 대한 전기 서비스 제공 여부를 결정하고 과금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식별 정보가 획득되어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고, 전기 자판기에 연결된 상기 전기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의 전력 소비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자판기에 연결된 전기 장치가 식별되면, 서버가,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와 상기 전기 자판기를 통해 공급되는 전기에 대한 과금 정보를 대응하여 기록하는 단계, 및 (b) 상기 서버가, 상기 기록된 과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 장치에 공급되는 전기에 대해 과금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전기 장치의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을 기반으로 전기 장치 또는 그 사용 용도를 식별하는 측정지원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특정 전기 장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기 장치의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 정보를 획득하고, 빅 데이터를 참조로 하여 상기 획득된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특정 전기 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거나 획득하도록 지원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측정지원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전기 장치의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을 기반으로 전기 장치 또는 그 사용 용도를 식별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측정지원장치가, 특정 전기 장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기 장치의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측정지원장치가, 빅 데이터를 참조로 하여 상기 획득된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특정 전기 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거나 획득하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기 자판기나 콘센트에 연결되어 전기 공급을 받는 전기 장치의 전력 소비 패턴을 기반으로 전기 장치별로 특수 용도의 전기 사용에 대해서 차등적으로 과금을 수행하거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합 계량기에 연결된 제1 콘센트 내지 제n 콘센트 중 제k 콘센트를 특수 용도로 사용한다고 할 때, 상기 제k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 장치의 전력 소비 패턴을 기반으로 상기 제k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 장치를 식별함으로써 전기 장치별로 상기 제k 콘센트를 통한 특수 목적의 전기 사용에 대해서 차등적으로 과금을 수행하거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 자판기에 연결된 전기 장치의 전력 소비 패턴을 기반으로 전기 장치를 식별함으로써, 전기 장치별로 전기 자판기를 통한 특수 목적의 전기 사용에 대해서 차등적으로 과금을 수행하거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전기 장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기 장치의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을 기반으로 빅 데이터를 참조로 하여 특정 전기 장치를 식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다양한 전기 장치의 소비 전력이 나타내는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특수 용도의 사용 전력량 정보를 기록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전력이 공급되는 시간 정보, 전력이 공급되는 지역 정보 및 공급되는 전력의 용도 정보에 따른 전력량 가중치의 예를 나타낸 표이다.
도 7은 단말별로 개별 사용자가 사용한 전력량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판기의 외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지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일반 용도의 전기 사용은, 본래의 목적에 따라 전기를 사용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가정용 전기의 경우 가정 내에서 각종 전기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반해, 특수 용도의 전기 사용은 가정용 전기를 이용하여 전기차를 충전하는 것과 같이 본래의 목적과 다른 목적으로 전기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시스템(1000-1)은, 제1 콘센트 내지 제n 콘센트(50-1, 50-2, …, 50-n), 제1 콘센트 내지 제n 콘센트(50-1, 50-2, …, 50-n) 각각에 연결된 단말(100-1), 서버(300-1)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제k 콘센트(50-k)에 대응되는 단말(100-1)을 중심으로 설명하나 다른 콘센트에 대응되는 단말(100-1)에 대해서도 동일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콘센트 내지 제n 콘센트(50-1, 50-2, …, 50-n) 중 특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콘센트를 제k 콘센트(50-k)라고 가정할 때, 제k 콘센트(50-k)에 대응되는 단말(100-1)은 제k 콘센트(50-k)에 연결된 전기 장치(10)의 전력 소비 패턴에 대응되는 전기 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거나 획득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제k 콘센트(50-k)에 대응되는 단말(100-1)은 제k 콘센트(50-k)에 연결된 전기 장치(10)의 전력 소비 패턴에 기초하여 판단된 전기 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거나 획득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k 콘센트(50-k)에 대응되는 단말(100-1)은 제k 콘센트(50-k)에 연결된 전기 장치(10)의 전력 소비 패턴에 기초하여 제k 콘센트(50-k)에 연결된 전기 장치(10)가 전기 자동차임을 식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콘센트(50-2)에 대응되는 단말(100-1)은 제2 콘센트(50-2)에 연결된 전기 장치(10')의 전력 소비 패턴에 기초하여 제2 콘센트(50-2)에 연결된 전기 장치(10')가 전열기구임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 장치(10)의 식별 정보는 전기 장치(10)의 종류(가령, 해당 전기 장치가 전기 자동차류인지 전열기구류인지 등과 관련된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전력 소비 패턴은 소비 전력이 나타내는 패턴 특성일 수 있다. 상기 전력 소비 패턴은, 순간 소비 전력량, 소비 전력량의 크기 지속 패턴, 소비 전력의 Power factor 및 소비 전력의 crest factor, 소정의 기간 동안의 전력의 최대값, 상기 소정의 기간 동안의 전력의 최소값, 상기 소정의 기간 동안의 전력의 평균값, 소정 시간의 Power factor의 최대값, 상기 소정 시간의 Power factor의 최소값, 상기 소정 시간의 Power factor의 평균값 중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전력 소비 패턴은 전기 장치에 따라서 달라지므로 전력 소비 패턴을 참조로 하여 전기 장치(10, 10')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장치(10, 10')의 소정의 기간 동안의 전력의 최대값, 상기 소정의 기간 동안의 전력의 최소값, 상기 소정의 기간 동안의 전력의 평균값, 소정 시간의 Power factor의 최대값, 상기 소정 시간의 Power factor의 최소값, 상기 소정 시간의 Power factor의 평균값을 획득하고, 이들 값의 패턴을 통해 전기 장치(10, 10')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전기 장치(10, 10')의 식별은 소정 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초 동안 전기 장치(10)가 식별될 수 있다. 또한, 소정 시간 주기로 식별 동작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제k 콘센트(50-k)에 대응되는 단말(100-1)은 상기 제k 콘센트(50-k)에 연결된 전기 장치(10)의 식별 정보를 참조로 하여, (i) 상기 전기 장치(10)가 사용이 허용된 전기 장치이면, 상기 제k 콘센트(50-k)를 통해 공급되는 전기에 대하여 과금을 수행하도록 지원하고, 전기 공급이 계속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다. 반면, (ii) 상기 전기 장치(10)가 사용이 금지된 전기 장치이면, 상기 전기 장치(10)에 대한 전력 공급을 차단하거나 차단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제2 콘센트(20-k)에 대응되는 단말(100-1)도 이와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도 1은 제2 콘센트(20-k)에 연결된 전기 장치(10')가 사용이 금지된 전열 기구인 경우, 전기 장치(10')에 대한 전력 공급이 차단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제k 콘센트(50-k)에 대응되는 단말(100-1)은 제k 콘센트(50-k)에 연결된 전기 장치(10)의 사용자 식별 정보가 획득되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거나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100-1)은 제k 콘센트(50-k)에 연결된 전기 장치(10)가 사용이 허용된 전기 장치이고 상기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전기 장치 식별 정보 및 상기 과금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대응하여 기록하거나 서버(300-1)로 전송하여 대응하여 기록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k 콘센트(50-k)를 통해 공급되는 전기에 대한 과금 정보는, 상기 제k 콘센트(50-k)를 통해 전력을 공급 받은 전기 장치(10)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제k 콘센트(50-k)를 통해 전기 장치(10)에 공급된 전력량 정보를 참조로 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처럼 전기 장치(10)의 전기 사용에 대한 과금 정보는 전기 장치(10)에 대한 식별 정보를 참조로 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장치(10)가 전기 자동차로 식별된 경우, 전기 자동차에 대해 책정된 전기 요금에 따라 과금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전기 장치(10)가 스마트 폰으로 식별된 경우, 스마트 폰에 대해 책정된 전기 요금에 따라 과금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력 공급 시스템(1000-1)은 통합 계량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합 계량기(미도시)는 제1 콘센트 내지 제n 콘센트(50-1, 50-2, …, 50-n)를 통해 전기 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을 계량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통합 계량기는 제1 콘센트 내지 제n 콘센트(50-1, 50-2, …, 50-n)에 연결된 부하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의 총량을 계량한다. 통합 계량기에 의해 계량된 전력량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서버(300-1)에 전송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과 위 설명에서는 모든 콘센트(50-1, 50-2, …, 50-k, …, 50-n)에 단말(100-1)이 연결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일부 콘센트에만 단말이 연결되어 상기와 같이 동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이 경우, 특수 용도와 일반 용도를 구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콘센트에는 특수 용도의 사용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별도의 표시(가령, “전기 자동차 충전 가능”과 같은 표시)가 있을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콘센트에 연결되어 전기 공급을 받는 전기 장치(10, 10')의 종류를 식별함으로써 전기 장치(10, 10')의 전기 사용에 대해서 적절하게 과금을 수행하거나 사용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단말(100-1)과 서버(300-1)의 구성 및 동작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단말(100-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1)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110), 프로세서(120),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30) 및 통신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는 구성이다. 특히, 통신부(140)는, 전기 장치(100-1)가 제k 콘센트(50-k)에 연결되면, 전기 장치의 전력 소비 패턴에 대응되는 전기 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거나 획득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40)는 서버(300-1)에 전기 장치의 전력 소비 패턴을 전송하고 서버(300-1)로부터 복수의 전기 장치의 소비 전력 특성에 대한 빅 데이터에 기초하여 판단된 전기 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력 소비 패턴은 소비 전력이 나타내는 패턴 특성으로서, 순간 소비 전력량, 소비 전력량의 크기 지속 패턴, 소비 전력의 Power factor 및 소비 전력의 crest factor 소정의 기간 동안의 전력의 최대값, 상기 소정의 기간 동안의 전력의 최소값, 상기 소정의 기간 동안의 전력의 평균값, 소정 시간의 Power factor의 최대값, 상기 소정 시간의 Power factor의 최소값, 상기 소정 시간의 Power factor의 평균값 중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전력 소비 패턴은 전기 장치에 따라서 달라지므로 소비 전력 특성을 참조로 하여 전기 장치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복수의 전기 장치의 소비 전력에 대한 빅 데이터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제k 콘센트(50-k)에 연결된 전기 장치가 식별될 수 있다. 빅데이터 분석은 프로세서(120)가 직접 수행할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나 서버(300-1)가 수행하여 결과를 전달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k 콘센트(50-k)에 연결된 전기 장치의 식별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전기 장치가 사용이 허용된 전기 장치이면, 상기 제k 콘센트(50-k)를 통해 공급되는 전기에 대하여 과금을 수행하도록 지원하고 전기 공급이 계속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기 장치가 사용이 허용된 전기 장치이고, 사용자의 전기 판매 요청에 대한 결제가 정상적으로 처리되거나 상기 사용자의 전기 판매 요청에 대한 결제를 보증할 수 있는 정보가 감지되면,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k 콘센트(50-k)를 통해 전기가 계속 공급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k 콘센트(50-k)에 연결된 전기 장치가 전기 자동차로 사용이 허용된 전기 장치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k 콘센트(50-k)를 통해 공급되는 전기에 대하여 과금을 수행하도록 후술할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110)를 통해 과금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전기 판매 요청에 대한 결제가 정상적으로 처리되거나 상기 사용자의 전기 판매 요청에 대한 결제를 보증할 수 있는 정보가 감지되면, 프로세서(120)는, 전기 자동차에 전기가 계속 공급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반면, 제k 콘센트(50-k)에 연결된 전기 장치가 사용이 금지된 전기 장치이면, 프로세서(120)는, 상기 전기 장치에 대한 전력 공급을 차단하거나 차단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k 콘센트(50-k)에 연결된 전기 장치가 전열기구로서 공원에서의 사용이 금지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상기 전기 장치에 대한 전력 공급을 차단하거나 차단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전기 장치에 대한 전력 공급을 차단하기 위해 단말(100-1)은 차단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110)는 제k 콘센트(50-k)를 통해 전력을 공급 받기 위한 전기 장치(10)의 사용자 식별 정보가 획득되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거나 다른 장치로 하여금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식별 정보는 마그네틱 카드, IC 카드, RFID 칩 및 사용자 키패드 입력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IC 카드, 마그네틱 카드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신용카드, 후불카드, 선불카드 등이 될 수 있다. IC 카드나 RFID 칩은 단말(100-1)에 근접하여 인증 및 결제를 수행할 수 있고 마그네틱 카드는 단말(100-1)의 카드 리더부에 카드의 마그네틱 부분을 긁어 인증 및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키패드의 키를 누르거나 터치하여 사용자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00-1)은, 디스플레이부(111), 복수의 키로 구성된 키패드(113), 제1 카드 리더부(114), 제2 카드 리더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키패드(113) 상의 키를 조작하여 사용자 식별 정보, 즉, ID를 단말(100-1)에 입력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카드 리더부(114)에 카드를 긁거나 제2 카드 리더부(117)에 RFID 칩이나 카드를 태그하여 사용자 식별 정보를 단말(100-1)에 입력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11)는 인증된 사용자 정보와 전력이 공급되는 상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는 경우 현재 공급된 전력량과 전기 자동차의 충전 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물리적인 키를 포함하는 키패드(113)를 도시하였으나, 디스플레이부(111)가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경우, 물리적인 키패드(113)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110),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30), 통신부(140) 및 다른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프로세서(120)는 단말(100-1)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110),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30), 통신부(140) 및 다른 구성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120)는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캐쉬 메모리(Cache Memory), 데이터 버스(Data Bus)등의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영체제,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전기 장치의 소비 전력이 나타내는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냉장고의 모터가 구동되는 경우, 전등의 전원이 온(on) 되는 경우, 레이저 프린터가 출력을 하는 경우, 커피 포트가 작동되는 경우 등에 전력 소비 패턴이 모두 다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력 소비 패턴을 검출하여 전기 장치(10)의 동작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30)는, 전기 장치가 사용이 허용된 전기 장치이고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사용자 식별 정보와 전술한 과금 정보를 대응하여 기록하거나 기록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30)는 사용자 식별 정보, 전기 장치 식별 정보 및 전술한 과금 정보를 대응하여 기록하거나 서버(300-1)로 하여금 기록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한편, 제k 콘센트(50-k)를 통해 공급되는 전기에 대한 과금 정보는, 제k 콘센트(50-k)를 통해 전력을 공급 받은 전기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제k 콘센트(50-k)를 통해 상기 전기 장치에 공급된 전력량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참조로 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전기 장치에 특수 용도의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 전기 장치에 따라서 과금 체계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의 경우 산업 정책상 필요에 따라 특정한 요금체계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장치의 전기 사용에 대한 과금 정보는 전기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참조로 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전기 장치의 사용 금지 여부는, 전기 장치에 전력이 공급되는 시간 정보 및 전력이 공급되는 지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참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야간 시간에는 옥외 콘센트를 통해 스마트 폰 충전을 못하도록 규제하는 경우, 야간 시간 정보를 고려하여 스마트 폰의 사용 금지가 판단될 수 있다.
한편,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30)는, 통합 계량기에 대한 식별 정보를 참조로 하여 통합 계량기를 통해 계량된 총 사용 전력량 정보에서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제1 콘센트 내지 상기 제n 콘센트(50-1, 50-2, …, 50-n)를 통해 특수 용도로 사용된 개별 사용 전력량을 합산한 정보를 차감한 공용 사용 전력량 정보를 기록하거나 기록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100-1)은, 단말(100-1)에 연결된 통합 계량기의 식별 정보를 서버(300-1)로 전송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통합 계량기에 연결된 제1 콘센트 내지 제n 콘센트(50-1, 50-2, …, 50-n)를 통해 소비된 전체 전력량에서 특수 용도로 사용된 전력량을 제외한 소비 전력량을 산출할 수 있어 일반 사용 전력량과 특수 용도로 사용된 전력량에 대해서 구분하여 과금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단말(100-1)은 단말(100-1)의 식별 정보를 서버(300-1)로 더 전송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30)는, 서버(300-1)가, 통합 계량기에 대한 식별 정보 및 단말(100-1)의 식별 정보를 참조로 하여 제k 콘센트(50-k)를 통해 전기 장치(10)에 공급된 특수 용도의 개별 사용 전력량 정보,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제k 콘센트(50-k)를 통해 특수 용도로 사용된 개별 사용 전력량을 합산한 정보 및 통합 계량기를 통해 계량된 총 사용 전력량 정보에서 상기 개별 사용 전력량을 합산한 정보를 차감한 전력량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기록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특히, 단말별로 개별 사용 전력량을 합산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특수 용도의 사용 전력량 정보를 기록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 제1 콘센트 내지 제n 콘센트(50-1, 50-2, …, 50-n) 중 특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콘센트가 제k 콘센트(50-k)와 제m 콘센트(50-m)라고 가정할 때, 제k 콘센트(50-k)와 제m 콘센트(50-m)를 통해 두 대의 전기 자동차(11, 12)를 각각 충전하는 상황이 도시되고 있다. 전기 자동차(11, 12)의 충전이 이루어지는 동안이나 충전이 완료된 직후 또는 기설정된 시점에서 제k 콘센트(50-k)와 제m 콘센트(50-m)에서 공급된 전력량 A 와 B가 서버(300-1)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시점은 소정 주기로 정해지는 시간 정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매월 특정일 특정시에 한달 동안 특정 콘센트를 통해 공급된 전력량에 관한 데이터가 서버(300-1)로 제공될 수 있다. 서버(300-1)는, 통합 계량기(200)를 통해 계량된 소정 시간 동안의 총 사용 전력량 정보(X)를 획득할 수 있고, 제k 콘센트(50-k) 및 제m 콘센트(50-m)를 통해 전기 자동차(11, 12)에 공급된 개별 사용 전력량의 합산 정보 정보들(A+B)을 총 사용 전력량 정보(X)에서 차감하여 특수 용도로 사용된 사용 전력량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통합 계량기(200)를 통해 계량된 총 사용 전력량에서 순수하게 일반 용도로 사용된 전력량과 특수 용도로 사용된 전력량을 구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의 예에서는 전기가 공급되는 전기 장치가 전기 자동차인 경우가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서 전력이 공급되는 전기 장치는, 캠핑용 전자 제품, 휴대용 전자 제품, 전기 자전거 및 전기 스쿠터 등 다양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과금 정보는, 전기 장치에 전력이 공급되는 시간 정보 및 전력이 공급되는 지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참조로 하여 결정될 수 있다. 우선, 전력이 공급되는 시간에 따라 전기 비용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야간의 전기 비용은 주간보다 저렴할 수 있다. 또한, 전력이 공급되는 지역에 따라 전기 비용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울과 같은 대도시의 전기 비용은 지방에 비해 높을 수 있다. 또한, 공급되는 전력의 용도에 따라 전기 비용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농업용 전기 사용에 비해 전기 자동차 충전에 따른 전기 비용이 비쌀 수 있다.
도 6은, 전력이 공급되는 시간 정보, 전력이 공급되는 지역 정보 및 공급되는 전력의 용도 정보에 따른 전력량 가중치의 예를 나타낸 표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주간 1(오전 6시~오전 11시)에는 가중치가 100% 이며, 주간 2(오전 11시~오후 4시)에는 여름철의 경우 전기 사용이 가장 많을 때이므로 가중치가 200%가 되어 주간 1에 비해 두 배의 전기 요금이 부과됨을 나타낸다. 야간 1(오후 4시~오후 11시)의 경우는 주간 1에 비해 40%가 저렴하고 야간 2(오후 11시~오전 6시)의 경우 주간 1에 비해 50%가 저렴함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서울을 기준으로 하여, 경기, 인천은 전기료가 20% 저렴하고, 부산은 20%, 제주는 30% 비싸게 책정될 수 있다. 도 6의 (c)를 참조하면, 전기차 충전을 기준으로 하여 캠핑용 전기 장치의 경우 20%가 비싸고 농업용 경운기의 경우 전기 사용은 50% 저렴함을 알 수 있다.
도 7은 단말별로 개별 사용자가 사용한 전력량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데이터베이스는 계량기 ID를 통해 통합 계량기를 식별하고 단말(100-1)에서 소비되는 전력량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도 7의 (a)에서 통합 계량기 1(#1)은 총 사용 전력량이 3000kWh이고, 특수 용도 전력량이 단말 A(#A)에서 100kWh, 단말 B(#B)에서 120kWh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일반 용도 전력량은 총 사용 전력량 3000kWh에서 특수 용도 전력량인 220kWh(100kWh + 120kWh)를 차감한 값임을 알 수 있다.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는 각 단말에 대해서 사용자 ID와 해당 사용자의 사용 전력량, 사용 시간대, 사용 지역 및 용도 등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개별 사용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단말 A(#A)에 연결된 콘센트를 통해 ID “Kim”을 가진 사용자는 야간 1 시간대에 서울 지역에서 전기 자동차 충전에 10kWh의 전력을 사용하였고, 주간 1 시간대에 경기 지역에서 전기 자동차 충전에 7kWh의 전력을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ID “Kang”을 가진 사용자는 야간 2 시간대에 서울 지역에서 캠핑용 전기 장치 충전에 2kWh의 전력을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각각의 경우 도 6에 도시된 가중치를 적용하면 전기 비용 계산시 도 7의 (b)의 비고란과 같이 6kWh(=10kWh * 0.6), 5.6kWh(7kWh * 0.8), 1.2kWh(2kWh * 0.5 * 1.2)의 전력을 사용한 것으로 계산될 수 있다.
한편, 전기 장치에 전력 공급이 완료되면,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30)는, IC 카드, 마그네틱 카드, RFID 칩, 또는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의 계정에서 상기 사용자에 대한 과금 정보를 차감하거나 차감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처럼 비용을 선불하여 마그네틱 카드, RFID 칩 또는 사용자 계정에 포인트, 금액, 또는 사용 가능한 전력량이 충전되어 있는 경우, 여기서 공급된 전력량에 따른 전기 비용을 차감할 수 있다.
한편, 전기 장치가 상기 제k 콘센트(50-k)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으로 충전되는 경우, 계량되는 전력량이 소정의 기준값 이하로 감소되면, 프로세서(120)는, 전기 장치에 대한 충전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전기 장치에 대한 전력 공급을 차단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와 같이 충전회로를 가지고 있는 전기 장치의 경우 배터리가 과충전됨으로 인해 수명 단축 내지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막기 위해 배터리가 완충되는 경우 전력을 차단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배터리가 완충되어, 충전회로의 스위치가 차단됨으로써 콘센트를 통해 전기 자동차로 흐르는 전력량이 기준값 이하로 떨어지게 되는 경우, 전기 장치에 대한 충전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전기 장치에 대한 전력 공급을 차단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1)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1)는, 프로세서(310), 데이터베이스 관리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320) 및 다른 구성 요소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프로세서(310)는 서버(300-1)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 관리부(320) 및 다른 구성요소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310)는,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캐쉬 메모리(Cache Memory), 데이터 버스(Data Bus)등의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영체제,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관리부(320)는, 사용자 식별 정보가 획득되어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고, 제k 콘센트(50-k)에 연결된 상기 전기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의 전력 소비 패턴에 대응되는 상기 제k 콘센트(50-k)에 연결된 전기 장치의 식별 정보를 참조한 결과 상기 전기 장치가 사용이 허용된 전기 장치여서 상기 제k 콘센트(50-k)를 통해 공급되는 전기에 대하여 과금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와 상기 과금 정보를 대응하여 기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시스템(1000-2)은, 적어도 한 대의 전기 자판기(100-2, 100-2'), 서버(300-2), 사용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전기 자판기(100-2, 100-2')에 연결된 전기 장치가 사용이 허용되는 경우(13)와 금지되는 경우(14)를 구분하여 설명한다.
전기 자판기(100-2, 100-2')는, 실내 또는 야외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전기 장치(13, 14)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성이다. 도 9에 도시된 예에서, 전기 자판기(100-2)에 연결된 상기 전기 장치(13)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의 전력 소비 패턴에 기초하여 전기 장치(13)가 식별된 결과 상기 전기 장치(13)가 사용이 허용된 전기 장치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전기 자판기(100-2)는 상기 전기 자판기(100-2)를 통해 공급되는 전기에 대하여 과금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력 소비 패턴은 소비 전력이 나타내는 패턴 특성일 수 있다. 상기 전력 소비 패턴은, 순간 소비 전력량, 소비 전력량의 크기 지속 패턴, 소비 전력의 Power factor 및 소비 전력의 crest factor, 소정의 기간 동안의 전력의 최대값, 상기 소정의 기간 동안의 전력의 최소값, 상기 소정의 기간 동안의 전력의 평균값, 소정 시간의 Power factor의 최대값, 상기 소정 시간의 Power factor의 최소값, 상기 소정 시간의 Power factor의 평균값 중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전력 소비 패턴은 전기 장치에 따라서 달라지므로 전력 소비 패턴을 참조로 하여 전기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장치(13, 14)의 소정의 기간 동안의 전력의 최대값, 상기 소정의 기간 동안의 전력의 최소값, 상기 소정의 기간 동안의 전력의 평균값, 소정 시간의 Power factor의 최대값, 상기 소정 시간의 Power factor의 최소값, 상기 소정 시간의 Power factor의 평균값을 획득하고, 이들 값의 패턴을 통해 전기 장치(13, 14)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전기 장치(13, 14)의 식별은 소정 시간 동안 소정 시간 주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초 주기로 수초 동안 전기 장치(13, 14) 식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기 자판기(100-2)는 사용자의 전기 판매 요청에 대한 결제가 정상적으로 처리되거나 사용자의 전기 판매 요청에 대한 결제를 보증할 수 있는 정보가 감지되면, 서버(300-2)로부터 전기 판매 승인 정보를 수신하고, 콘센트를 통해 사용자의 전기 장치(13)에 전력을 계속하여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0-2)에 전기 판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 판매 정보는, 당해 전기 판매와 관련된 일체의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판매된 전력량, 판매된 전력량에 따른 과금 내역, 결제자 정보, 전기 판매 시간, 전기를 판매한 전기 자판기(100-2)의 고유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장치(13)에 전력이 공급되는 중에 전기 판매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전기 판매 정보는 전기 자판기(100-2)의 이용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자판기(100-2)는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서버(300-2)로 전송하거나 사용자 단말(400)로 전기 자판기(100-2)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그러나,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전기 장치(14)가 사용이 금지된 전기 장치이면, 전기 자판기(100-2')는 전기 장치(14)에 대한 전력 공급을 차단하거나 차단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300-2)는 사용자의 전기 판매 요청에 대해서 전기 판매 금지 정보를 전송하고, 전기 자판기(100-2')가 전력 공급을 차단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전기 자판기(100-2, 100-2')에 연결되어 전기 공급을 받는 전기 장치(13, 14)의 종류를 식별함으로써 전기 장치(13, 14)의 전기 사용에 대해서 적절하게 과금을 수행하거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달리 말해, 본 발명은 전기 자판기(100-2, 100-2')에 의해 전기 장치(13, 14)에 공급되는 전력 소비 패턴을 참조로 하여 전기 장치(13, 14)를 식별함으로써, 전기 장치별로 전기 자판기(100-2, 100-2')를 통한 특수 목적의 전기 사용에 대해서 차등적으로 과금을 수행하거나 사용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 단말(400)은, 서버(300-2)나 전기 자판기(100-2, 100-2')에 전력 판매를 요청할 수 있는 구성이다. 사용자 단말(400)은 전기 판매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400)은 고유 식별 정보를 전기 자판기(100-2, 100-2')에 전송할 수 있고, 전기 자판기(100-2, 100-2')로부터 전기 자판기(100-2, 100-2')의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400)을 사용하지 않고 전기 자판기(100-2, 100-2')를 통해 직접 전기 판매 요청을 할 수도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자판기(100-2')에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 사용자의 전기 판매 요청이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전기 자판기(100-2, 100-2')를 통한 전기 구매의 경우 소액 결제의 경우가 많으므로, 사용자 단말(400)의 사용자의 이동 통신 서비스 요금이나 가정 전기료와 통합되어 한꺼번에 과금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편의성을 도모하고, 과금에 소요되는 경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미리 충전된 금액을 통해 결제를 하고자 하는 경우, 서버(300-2)는 전기 판매 요청 정보가 획득되면 사용자 단말(400) 또는 사용자의 고유 식별 정보로 사용자의 계정을 참조하여 잔액이나 계정의 현황을 조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계정을 참조하여 잔액 정보를 조회하고, 잔액이 당해 전기 판매 요청 정보 상의 전기 구매 소요 금액보다 적은 경우, 사용자 단말(400) 또는 전기 자판기(100-2)에 금액 충전이 필요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금액 충전이 완료되면, 서버(300-2)는 사용자의 계정의 구매 잔액 정보를 변동시키고, (전기 장치의 사용이 허용되는 경우) 과금을 수행하거나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로부터 선결제가 되었거나, 계정에 충분한 금액이 있는 경우에는 결제를 정상적으로 수행하거나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전기 자판기(100-2)를 중심으로 설명을 하나, 전술한 전기 자판기(100-2', 도 9 참조)의 경우도 전기 자판기(100-2)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짐을 밝혀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판기(100-2) 및 서버(300-2)의 구성 및 동작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판기(100-2)는, 통신부(180), 전력 공급부(150), 프로세서(160),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70)를 포함한다.
통신부(180)는, 전기 자판기(100-2)에 연결된 전기 장치의 전력 소비 패턴에 대응되는 전기 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거나 획득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80)는 서버(300-2)에 전기 장치의 전력 소비 패턴을 전송하고 서버(300-2)로부터 복수의 전기 장치의 전력 소비 패턴에 대한 빅 데이터에 기초하여 판단된 전기 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만, 빅 데이터의 분석은 서버(300-2)가 아닌 다른 별도의 장치가 수행하거나 전기 자판기(100-2)가 직접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180)는 전기 자판기(100-2)에 연결된 전기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의 전력 소비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장치가 식별된 결과 상기 전기 장치가 사용이 허용된 전기 장치로 결정되고, 사용자의 전기 판매 요청에 대한 결제가 정상적으로 처리되거나 상기 사용자의 전기 판매 요청에 대한 결제를 보증할 수 있는 정보가 감지되면, 서버(300-2)로부터 전기 판매 승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기 구매에 대해 후불 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전기 판매 요청에 대한 결제를 보증할 수 있는 정보가 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전기 판매 요청에 대한 결제를 보증할 수 있는 정보로서 후불 결제에 사용될 수 있는 사용자 식별 정보가 감지되면, 전기 판매 승인 정보가 수신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80)는, 서버(300-2)에 전기 판매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통신부(180)는, 기설정된 시간 주기로 전기 자판기(100-2)의 동작 상태 정보를 서버(300-2)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기 판매 요청에 대한 결제가 정상적으로 처리되거나 상기 사용자의 전기 판매 요청에 대한 결제를 보증할 수 있는 정보가 감지되면, 전기 판매 대금은 상기 사용자의 가정 전기료에 합산될 수 있다.
전력 공급부(150)는, 전기 장치가 전기 자판기(100-2)에 연결되면, 전기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성이다. 전기 자판기(100-2)의 콘센트에는 디폴트로 전류가 흐르며 전기 장치가 연결되면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전기 자판기(100-2)에 연결된 전기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의 전력 소비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장치가 식별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전기 자판기(100-2)에 연결된 전기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의 전력 소비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장치가 식별된 결과 (i) 상기 전기 장치가 사용이 허용된 전기 장치이면, 전기 자판기(100-2)를 통해 공급되는 전기에 대하여 과금을 수행하도록 지원하고 전기 공급이 계속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기 장치가 사용이 허용된 전기 장치이고, 사용자의 전기 판매 요청에 대한 결제가 정상적으로 처리되거나 상기 사용자의 전기 판매 요청에 대한 결제를 보증할 수 있는 정보가 감지되면, 프로세서(160)는, 전기 자판기(100-2)를 통해 전기가 계속 공급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자판기(100-2)에 연결된 전기 장치가 전기 자동차로 사용이 허용된 전기 장치인 경우, 프로세서(160)는 상기 전기 자판기(100-2)를 통해 공급되는 전기에 대하여 과금을 수행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전기 판매 요청에 대한 결제가 정상적으로 처리되거나 상기 사용자의 전기 판매 요청에 대한 결제를 보증할 수 있는 정보가 감지되면, 프로세서(160)는, 전기 자동차에 전기가 계속 공급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반면, 전기 자판기(100-2)에 연결된 전기 장치가 사용이 금지된 전기 장치이면, 프로세서(160)는, 상기 전기 장치에 대한 전력 공급을 차단하거나 차단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자판기(100-2)에 연결된 전기 장치가 전열기구로 공원의 전기 자판기(100-2)를 통한 사용이 금지되는 경우, 프로세서(160)는, 상기 전기 장치에 대한 전력 공급을 차단하거나 차단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전기 장치에 대한 전력 공급을 차단하기 위해 전기 자판기(100-2)는 차단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통신부(180), 전력 공급부(150),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7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프로세서(160)는 전기 자판기(100-2)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통신부(180), 전력 공급부(150),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70) 및 다른 구성요소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160)는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캐쉬 메모리(Cache Memory), 데이터 버스(Data Bus)등의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영체제,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70)는, 전기 장치가 사용이 허용된 전기 장치이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미도시)에 의한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사용자 식별 정보와 전술한 과금 정보를 대응하여 기록하거나 기록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30)는 사용자 식별 정보, 전기 장치 식별 정보 및 전술한 과금 정보를 대응하여 기록하거나 서버(300-1)로 하여금 대응하여 기록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한편, 전기 자판기(100-2)를 통해 공급되는 전기에 대한 과금 정보는, 전기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전기 장치에 공급된 전력량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참조로 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 장치에 특수 용도의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 전기 장치에 따라서 과금 체계가 상이할 수 있으므로, 전기 장치의 전기 사용에 대한 과금 정보는 이처럼 전기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참조로 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전기 장치의 사용 금지 여부는, 전기 장치에 전력이 공급되는 시간 정보 및 전력이 공급되는 지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참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야간 시간에는 옥외 콘센트를 통해 스마트 폰 충전을 못하도록 규제하는 경우, 야간 시간 정보를 고려하여 스마트 폰의 사용 금지가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금 정보는, 상기 전기 장치에 전력이 공급되는 시간 정보 및 전력이 공급되는 지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참조로 하여 결정될 수 있다. 우선, 전력이 공급되는 시간에 따라 전기 비용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야간의 전기 비용은 주간보다 저렴할 수 있다. 또한, 전력이 공급되는 지역에 따라 전기 비용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울과 같은 대도시의 전기 비용은 지방에 비해 높을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 자판기(100-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사용자의 전기 판매 요청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 입력을 통해 전기 판매 요청 정보를 획득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터치 스크린 상에 사용자 입력을 위한 G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상기 전기 장치에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가 획득되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거나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70)는, 상기 전기 장치에 전력 공급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와, 상기 과금 정보를 대응하여 기록하거나 서버(300-2)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와 상기 과금 정보를 대응하여 기록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60)는, 전기 판매 조건이 성취가 되면 전력을 차단하거나 차단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전술한 통신부(180)는 전기 판매 승인 정보와 함께 전기 판매 조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기 판매 조건 정보는 전기 판매량 및 전기 판매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기 판매 조건이 성취가 되면, 프로세서(160)는, 콘센트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거나 차단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즉, 공급된 전력량이 설정된 전기 판매량에 도달하거나 전기 공급 시간이 설정된 전기 판매 시간에 도달하면, 공급되는 전기를 차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기 자판기(100-2)의 외관 구성을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판기의 외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판기(100-2)는, 전기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161), 전기 자판기(100-2)에서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각종 정보나 전기 자판기(100-2)의 상태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31), 사용자가 전기 자판기(100-2)의 고유 식별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전기 자판기 인식 표시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콘센트(161)는 기타 무선 충전 등을 위한 유닛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계정 정보나 전기 판매 요청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부(163)와, 카드를 태그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카드 리더부(1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콘센트(161) 각각은 전력이 인입되는 전력 인입단(미도시), 전기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수단이 연결되는 전기 공급 소켓단(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 자판기 인식 표시부(162)에 표시되는 정보는 QR 코드, 바코드 또는 기타 스마트폰 등이 인식할 수 있는 이미지로서 전기 자판기(100-2)에 대한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전기 자판기 관리 시리얼 번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QR 코드 등을 읽고 읽은 QR 코드 정보를 서버(300-2)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전기 자판기(100-2)가 무선 인식 장치(RFID 등)과 같은 외부에서 읽을 수 있는 패시브 또는 액티브 방식의 무선 정보 발신 수단을 포함하고 있을 경우, 사용자 단말(400)은 이러한 무선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정보를 서버(300-2)에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서버(300-2)의 구성과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버(300-2)는, 통신부(330), 프로세서(340), 데이터베이스 관리부(350)를 포함한다.
통신부(330)는, 전기 자판기(100-2)에 연결된 전기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의 전력 소비 패턴에 대응되는 전기 장치의 식별 정보를 참조한 결과 상기 전기 장치가 사용이 허용된 경우, 사용자의 전기 판매 요청 정보가 획득되어 전기 판매 요청에 대한 결제가 정상적으로 처리되거나 사용자의 전기 판매 요청에 대한 결제를 보증할 수 있는 정보가 감지되면, 사용자가 전기를 구매할 수 있는 특정 전기 자판기로 전기 판매 승인 정보를 전송하고, 전기 판매 승인에 따라 특정 전기 자판기를 통해 전기 장치에 전기가 공급되면, 특정 전기 자판기로부터 전기 판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330)는 특정 전기 자판기로부터 사용자의 전기 판매 요청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데, 전기 판매 요청 정보는, 특정 전기 자판기에 대한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300-2)은, 어느 전기 자판기를 통해 전기 판매 요청이 입력되었는지 식별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통신부(330)는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사용자의 전기 판매 요청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고, 이 경우, 전기 판매 요청 정보는 사용자 단말(400)에 대한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전송되는 전기 판매 요청 정보가 특정 전기 자판기에 대한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400)은 특정 전기 자판기에 대한 고유 식별 정보를 다양한 방법으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400)을 통해 특정 전기 자판기 앞에서, 특정 전기 자판기의 전기 자판기 인식 표시부(도 10의 162 참조)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를 서버(300-2)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기 자판기 인식 표시부(162)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에는 QR 코드나, 바코드나 기타 스마트폰 등이 인식할 수 있는 이미지로서 특정 전기 자판기에 대한 고유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고, 전기 자판기 관리 시리얼 번호 정보 등이 예가 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QR 코드 등을 읽고 읽은 QR 코드 정보를 서버(300-2)에 전송할 수 있다. 전기 자판기(100-2)가 무선 인식 장치(RFID 등)과 같은 외부에서 읽을 수 있는 패시브 또는 액티브 방식의 무선 정보 발신 수단을 포함하고 있을 경우, 사용자 단말(400)은 이러한 무선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정보를 서버(300-2)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전송되는 정보에는 사용자 단말(400)의 고유 식별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00)의 전화 번호 또는 사용자 단말(400)의 Mac Address)가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특정 전기 자판기는 사용자 단말(400)의 고유 식별 정보를 입수하고, 자신의 유무선 통신 수단으로 통하여 자신의 전기 자판기 고유 식별 정보와 함께 사용자 단말(400) 고유 식별 정보(예, 사용자 단말(400)의 전화 번호 또는 사용자 단말(400)의 Mac Address)를 서버(300-2)에 전송할 수도 있다. 서버(300-2)는 사용자 단말(400)의 고유 식별 정보와 전기 자판기(100-2)의 고유 식별 정보를 고려하여, 전기 구매자가 어떤 전기 자판기에서 전기를 구매하려고 하는 지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도 12를 참조하여 서버(300-2)의 구성을 계속 설명하면, 프로세서(340)는, 특정 전기 자판기를 통한 전기 공급량을 수집하여 분석하고, 통신부(330)가 상기 분석 결과를 특정 전기 자판기, 관리자 단말, 사용자 단말(400) 및 웹사이트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제공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40)은 전기 자판기(100-2) 단위 또는 전기 자판기 설치 지역 단위로 전기 사용량을 감시, 수집,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2)는 전기 자판기(100-2) 단위 또는 전기 자판기 설치 지역 단위로 전기 사용량에 대한 매출을 수집, 분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40)는 통신부(330), 데이터베이스 관리부(350) 및 다른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프로세서(340)는 서버(300-2)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통신부(330), 데이터베이스 관리부(350) 및 다른 구성요소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340)는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캐쉬 메모리(Cache Memory), 데이터 버스(Data Bus)등의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영체제,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 관리부(350)는, 특정 전기 자판기의 운영 정보를 갱신하는 구성이다. 즉, 수신된 전기 판매 정보에 따라 전기 판매 정보를 전송한 특정 전기 자판기의 운영과 관련된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특히, 데이터베이스 관리부(350)는, 사용자 식별 정보가 획득되어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고, 전기 자판기(100-2)에 연결된 전기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의 전력 소비 패턴에 대응되는 전기 장치의 식별 정보를 참조한 결과 전기 장치가 사용이 허용된 전기 장치여서 전기 자판기(100-2)를 통해 공급되는 전기에 대하여 과금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와 상기 과금 정보를 대응하여 기록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통신부(330)가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사용자 단말(40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데이터베이스 관리부(350)는, 사용자 단말(400)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소정의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는 전기 자판기 정보를 획득하여 통신부(330)가 상기 획득된 전기 자판기 정보를 사용자 단말(400)에 전송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의 위치 정보 수신은, 전기 자판기(100-2)에 대한 검색 요청 정보와 함께 수신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베이스 관리부(350)는, 사용자 단말(400)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전기 자판기(100-2) 검색을 수행하고, 사용자 단말(400)에 전기 자판기 검색 결과 정보를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400)의 위치 정보는 사용자 단말(400)의 GPS 정보, 사용자 단말(400)의 통신망 사의 셀(cell) 정보, 사용자 단말(400)의 IP 정보 등을 통해서 파악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 단말(400)의 사용자 입력 정보(예를 들어, 텍스트 입력이나 지도 상의 터치 입력)를 통해서 파악할 수도 있다.
상기 전기 자판기 정보는 전기 자판기(100-2)의 위치 정보 및 전기 자판기(100-2)의 이용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자판기의 위치 정보는 사용자 단말(400)의 화면 상에 표시된 지도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전기 자판기(100-2)의 위치 정보를 지도 상에 표시하는 경우, 지도 상에 전기 자판기(100-2)의 위치 정보까지의 경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자판기(100-2)의 이용 상태 정보는, 현재 미사용되는 전기 자판기(100-2)의 경우 해당 전기 자판기(100-2)를 이용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현재 사용 중인 전기 자판기(100-2)의 경우 예상 대기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전기 자판기가 시간제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사용 시간의 종료 시점을 사용자 단말(400)에 전송해 줄 수 있고, 복수의 전기 자판기가 정액제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전력의 전송 속도를 계산하여 어느 전기 자판기가 가장 빠르게 이용 가능한 지를 계산하여 계산 결과를 사용자 단말(400)에 전송해 줄 수 있다. 즉, 예상 대기 시간 정보는 전기 자판기(100-2)가 시간제로 사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사용 만료 시간 정보를, 정액제로 사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지불 요금의 소진 시간 정보를, 종량제로 사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공급 전기량의 예상 종료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다수의 사용자가 전기 자판기(100-2)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특정 전기 자판기 설치 지역에서 어느 전기 자판기(100-2)가 이용 가능한 지에 대한 정보를 전기 자판기 배치 정보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330)는, 사용자 단말(400)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소정의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는 전기 자판기(100-2)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획득된 복수 개의 전기 자판기 정보를 사용자 단말(400)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단말(400)에서 상기 획득된 복수 개의 전기 자판기 중 어느 하나의 전기 자판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400)의 화면에는 지도 상에 복수 개의 전기 자판기가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전기 자판기에 대한 전기 판매 요청 정보가 생성되어 서버(300-2)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400)은, 차량에 탑재된 내비게이션 장치, 모바일 장치 및 웨어러블 장치 중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전기 판매 정보는, 상기 전기 공급이 개시되고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또는 상기 전기 공급이 완료된 때에 수신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선결제 상황에서 전기 자판기(100-2)에서 고장이 나거나 오류를 일으키거나 기타의 이유로 전기 장치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했을 때, 환불 등의 정산 처리를 수월하게 할 수 있고, 특정 시점에서 특정 전기 자판기 설치 지역에서의 전력 과부하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통신부(330)는, 기설정된 시간 주기로 복수의 전기 자판기의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특정 전기 자판기로부터 고장 또는 과부하가 보고된 경우, 데이터베이스 관리부(350)는, 상기 고장 또는 과부하가 발생한 특정 전기 자판기의 운영 정보를 갱신하고 관리자 단말(미도시)에 알림 정보를 전송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30)는, 특정 전기 자판기로부터 고장 또는 과부하가 보고된 경우, 상기 고장 또는 과부하가 발생한 전기 자판기를 통한 전기 공급을 중단시키기 위한 전기 공급 중단 신호를 상기 특정 전기 자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종량제 요금 선택 시 결제 금액의 소진, 시간제 선택 시의 시간 경과 등과 같이 전기 자판기(100-2)로부터 전기 장치로의 전기 전송이 중단될 필요성이 있는 경우, 통신부(330)는, 전기 공급을 중단시키기 위한 전기 공급 중단 신호를 상기 특정 전기 자판기에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이와 달리, 전기 자판기(100-2)가 자체적으로 상기의 조건을 판단하여 전기 공급을 중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전술한 서버(300-2)은 클라우드에 존재하면서 다양한 국내외의 전기 자판기(100-2) 및 사용자 단말(400)과 정보를 주고 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서버(300-2)는 사용자 단말(400)에 전기 구매 상품 예시 정보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전기 구매 상품 예시 정보에 대한 전기 구매 상품 선택 정보를 전송 받은 다음, 사용자 단말(400)에서 선택된 전기 구매 상품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추천 요금 정책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추천 요금 정책 정보에 대한 승인 정보를 전송 받는 방식으로 정보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서버(300-2)의 통신부(330)는, 사용자 단말(400)에 복수 개의 전기 구매 상품을 예시적으로 전송하고, 이들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전기 구매 상품으로 전기 판매 처리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서버(300-2)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전기 구매 상품은 사용자의 구입 승인이 획득되었다고 처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전력 구매는 예약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전기 구매자가 특정 전기 자판기 설치 지역에서 특정 날짜의 특정 시간대에서 얼마의 전기를 사용할 것인지 등의 예약을 지원할 수 있다. 서버(300-2)는, 전기 자판기 예약 정보(지역, 날짜 및 시간대, 전기 자판기 개수, 예상 전력 구매량, 전기 자판기 위치, 전기 자판기 지정 정보 중 어느 2 이상)를 획득하고, 상기 전력 구매자가 예약된 날짜에 예약된 지역에 소재한 전기 자판기에 도달하는 경우(사용자 단말(400)을 통한 예약 실행 정보가 서버(300-2)로 전송되거나, 사용자 단말(400)에 대한 고유 식별 정보가 전기 자판기(100-2)를 통해서 서버(300-2)로 전송되는 경우 등)에 타 사용자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전력 공급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예약 구매는 사용자의 캠핑 장소가 특정한 위치의 전기 자판기(100-2)에서 가까운 곳에 있거나, 상당히 오랜 시간 동안(예를 들면 6시간, 또는 3일 등, 이러한 오랜 시간은 요트에 있는 충전 장치에 충전하는 등과 같이 충전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특정 전기 자판기를 독점적으로 사용할 필요성이 높은 경우에는 더욱 유용할 수 있다. 특정 위치에 있는 전기 자판기(100-2)에 대하여 특정 날짜에 특정 시간대의 예약이 있는 경우, 결제까지 마친 경우에는, 타인의 그 시간대의 전기 자판기 사용은 배제되도록 처리될 수 있다. 배제 처리는 검색에서 사용 불가로 나타나거나, 타인의 전기 자판기 사용이 강제로 중단 되는 등과 같은 것이 예시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단말(100-1)과 전기 자판기(100-2)를 별도의 장치인 것으로 설명했으나, 상기 장치들은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구현된 장치는 전술한 단말(100-1)과 전기 자판기(100-2)의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치의 외관은 도 3과 도 11 중 어느 것으로나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서버(300-1, 300-2)도 마찬가지이다. 즉, 전술한 서버(300-1, 300-2)는 하나의 서버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 전기 장치를 식별하는 방법은 전기 장치의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에 기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기 장치의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을 기반으로 전기 장치를 식별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지원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지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참고로, 도 13에서는 측정지원장치에 대한 참조번호를 별도로 500으로 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 등에서 도시된 참조번호 100-1, 도 9에서 도시된 참조번호 100-2 등이 측정지원장치가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측정지원장치(500)는 적어도 하나의 댁내(또는 회사에)에 설치되어 전력을 소비하는 전기 장치들의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을 파악하여 특정 전기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측정지원장치(500)는 도 1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510), 통신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측정지원장치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특히 프로세서(510)는 후술할 통신부(520) 및 다른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프로세서(510)는 측정지원장치(50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통신부(520) 및 다른 구성요소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510)는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캐쉬 메모리(Cache Memory), 데이터 버스(Data Bus)등의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영체제,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부(520)는 특정 전기 장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기 장치의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통신부(520)는 동시에 상이한 전력을 소비하는 복수의 전기 장치들의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력은 복수의 전기 장치들의 소비 전력을 합한 값이 될 수 있다.
통신부(520)는 빅 데이터를 참조로 하여 상기 획득된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특정 전기 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거나 획득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은, 순간 소비 전력량, 소비 전력량의 크기 지속 패턴, 소비 전력의 Power factor, 소비 전력의 crest factor, 소정의 시간 동안의 전력의 최대값, 상기 소정의 시간 동안의 전력의 최소값, 상기 소정의 시간 동안의 전력의 평균값, 상기 소정 시간 동안의 Power factor의 최대값, 상기 소정 시간 동안의 Power factor의 최소값, 상기 소정 시간 동안의 Power factor의 평균값 중 적어도 일부의 시계열적 특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시계열적”으로 상기 값들을 구한다는 것은, 임의의 시간 단위마다 상기 값들을 구하고 상기 구하여진 값들을 해당 시각과 매핑하여 관리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복수의 전기 장치가 합하여진 상태로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이 나오므로, 복수의 전기 장치 각각을 식별하기 위해서는 시계열적으로 많은 시간 단위를 걸쳐서 상기 값들을 확보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520)는, 소정의 시간 단위로 상기 특정 전기 장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기 장치의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시간은 0.01초 내지 1000초 범위 중의 어느 값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이 범위를 벗어나는 시간에 대해서도 본 발명이 그 적용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시계열적으로 값들을 획득하는 시간 간격이 반드시 일정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또한, 다른 예로서, 통신부(520)는, 상기 특정 전기 장치가 콘센트에 연결되고 나면, 상기 특정 전기 장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기 장치의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즉, 이 경우에는, 콘센트에 새롭게 연결된 특정 전기 장치를 식별하기 위하여 상기 특정 전기 장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기 장치의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획득된 특정 전기 장치의 식별 정보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전기 장치의 식별 정보는 전기 장치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10', 11, 12, 13, 14 : 전기 장치
50-1, 50-2, …, 50-k, …, 50-m, …, 50-n : 콘센트
100-1 : 단말
100-2, 100-2' : 전기 자판기
200 : 통합 계량기
300-1, 300-2 : 서버
400 : 사용자 단말
500 : 측정지원장치
110 :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
120 : 프로세서
130 :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140 : 통신부
150 : 전력 공급부
160 : 프로세서
170 :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180 : 통신부
310 : 프로세서
320 :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330 : 통신부
340 : 프로세서
350 :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510 : 프로세서
520 : 통신부

Claims (3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전기 장치의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을 기반으로 전기 장치 또는 그 사용 용도에 대한 전기 서비스 제공 여부를 결정하고 과금을 수행하기 위한 전기 자판기로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다수의 상기 전기 자판기 중 특정 전기 자판기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전기 자판기에 연결된 상기 전기 장치의 상기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 - 상기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은 상기 전기 장치가 상기 특정 전기 자판기에 연결된 직후부터 수 초 동안 상기 특정 전기 자판기를 통해 상기 전기 장치로 공급되는 전기의 순간 소비 전력량, 소비 전력량의 크기 지속 패턴, 소비 전력의 Power factor 및 소비 전력의 crest factor, 상기 수 초 동안의 전력의 최대값, 상기 수 초 동안의 전력의 최소값, 상기 수 초 동안의 전력의 평균값, 상기 수 초 동안의 Power factor의 최대값, 상기 수 초 동안의 Power factor의 최소값, 상기 수초 동안의 Power factor의 평균값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함 - 에 대응되는 상기 전기 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을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서버로 하여금 상기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에 대응되는 상기 전기 장치를 식별하도록 하고, 상기 식별된 상기 전기 장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전기 자판기로 전송하도록 지원하며, 타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전기 장치가 상기 특정 전기 자판기에 연결되면, 상기 전기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
    상기 특정 전기 자판기에 연결된 상기 전기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의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장치가 식별되면, 상기 특정 전기 자판기에 연결된 상기 전기 장치의 식별 정보를 참조로 하여 과금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사용 가능한 상기 전기 자판기에 대한 정보인 전기 자판기 정보 - 상기 전기 자판기 정보는 상기 전기 자판기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전기 자판기의 이용 상태 정보를 포함함 - 를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특정 전기 자판기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특정 전기 자판기에 대한 전기 판매 요청을 하도록 하거나, 상기 특정 전기 자판기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특정 전기 자판기에 대한 전기 판매 요청을 한 상태에서,
    상기 통신부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특정 전기 자판기에 연결된 상기 전기 장치의 식별 정보를 분석하여, (i) 상기 전기 장치의 식별 정보가 사용이 허가된 전기 장치이면, (i-1)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특정 전기 자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전기 판매 요청에 대응한 결제를 요청하며,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결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결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서버로 하여금 상기 전기 판매 요청에 대응한 결제를 수행하도록 하여 결제가 정상적으로 처리될 경우 상기 특정 전기 자판기로 전기 판매 승인 정보를 전송하도록 지원하거나, (i-2)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버로 상기 전기 판매 요청에 대응한 결제를 수행하도록 지원하여 상기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상기 전기 판매 요청에 대응한 결제를 수행하도록 하여 결제가 정상적으로 처리될 경우 상기 특정 전기 자판기로 전기 판매 승인 정보를 전송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전기 판매 승인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전력 공급부로 하여금 상기 전기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지원하며, (ii) 상기 전기 장치의 식별 정보가 사용이 금지된 전기 장치이면, 상기 전력 공급부로 하여금 상기 전기 장치에 대한 전력 공급을 차단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판기.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자판기를 통해 공급되는 전기에 대한 과금 정보는, 상기 전기 자판기를 통해 전력을 공급 받은 상기 특정 전기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전기 자판기를 통해 상기 특정 전기 장치에 공급된 전력량 정보를 참조로 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판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정보는,
    상기 특정 전기 장치에 전력이 공급되는 시간 정보 및 전력이 공급되는 지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참조로 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판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전기 장치에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가 획득되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거나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 및
    상기 특정 전기 장치가 사용이 허용된 전기 장치이고 상기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와 상기 과금 정보를 대응하여 기록하거나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와 상기 과금 정보를 대응하여 기록하도록 지원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판기.
  14. 삭제
  15. 전기 장치들의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을 기반으로 전기 장치 또는 그 사용 용도에 대한 전기 서비스 제공 여부를 결정하고 과금을 수행하기 위한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사용 가능한 전기 자판기에 대한 정보인 전기 자판기 정보 - 상기 전기 자판기 정보는 상기 전기 자판기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전기 자판기의 이용 상태 정보를 포함함 - 를 제공하여 주며,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특정 전기 자판기에 대한 전기 판매 요청이 획득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전기 자판기에 연결된 상기 전기 장치의 상기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 - 상기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은 상기 전기 장치가 상기 특정 전기 자판기에 연결된 직후부터 수 초 동안 상기 특정 전기 자판기를 통해 상기 전기 장치로 공급되는 전기의 순간 소비 전력량, 소비 전력량의 크기 지속 패턴, 소비 전력의 Power factor 및 소비 전력의 crest factor, 상기 수 초 동안의 전력의 최대값, 상기 수 초 동안의 전력의 최소값, 상기 수 초 동안의 전력의 평균값, 상기 수 초 동안의 Power factor의 최대값, 상기 수 초 동안의 Power factor의 최소값, 상기 수초 동안의 Power factor의 평균값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함 - 에 대응되는 상기 전기 장치의 식별 정보가 사용이 허가된 전기 장치여서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특정 전기 자판기로부터 상기 전기 판매 요청에 대응한 결제가 요청되면, 상기 전기 판매 요청에 대응한 결제를 수행하여 결제가 정상적으로 처리될 경우 상기 특정 전기 자판기로 전기 판매 승인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특정 전기 자판기로 하여금 상기 전기 판매 승인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전기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서; 및
    사용자 식별 정보가 획득되어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고, 전기 자판기에 연결된 특정 전기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전기의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에 대응되는 상기 특정 전기 장치의 식별 정보를 참조로 하여 상기 전기 자판기를 통해 상기 특정 전기 장치로 공급되는 전기에 대하여 과금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와 상기 과금 정보를 대응하여 기록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를 포함하는 서버.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전기 자판기에서 전기 장치의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을 기반으로 전기 장치 또는 그 사용 용도에 대한 전기 서비스 제공 여부를 결정하고 과금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특정 전기 장치가 전기 자판기에 연결되면, 상기 전기 자판기가, 상기 특정 전기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및
    (b) 상기 전기 자판기가, 상기 전기 자판기에 연결된 상기 특정 전기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전기의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 - 상기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은 상기 특정 전기 장치가 상기 전기 자판기에 연결된 직후부터 수 초 동안 상기 전기 자판기를 통해 상기 특정 전기 장치로 공급되는 전기의 순간 소비 전력량, 소비 전력량의 크기 지속 패턴, 소비 전력의 Power factor 및 소비 전력의 crest factor, 상기 수 초 동안의 전력의 최대값, 상기 수 초 동안의 전력의 최소값, 상기 수 초 동안의 전력의 평균값, 상기 수 초 동안의 Power factor의 최대값, 상기 수 초 동안의 Power factor의 최소값, 상기 수초 동안의 Power factor의 평균값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함 - 을 획득하고, 복수의 전기 장치의 소비 전력에 대한 빅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특정 전기 장치의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에 대응되는 상기 특정 전기 장치의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상기 특정 전기 장치의 식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특정 전기 장치가 사용이 허용된 전기 장치이면 책정된 전기 요금에 따라 상기 특정 전기 장치로 공급되는 전기에 대한 과금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특정 전기 장치가 사용이 금지된 전기 장치이면 상기 특정 전기 장치로 공급되는 전기를 차단하거나 차단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전기 자판기는,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사용 가능한 상기 전기 자판기에 대한 정보인 전기 자판기 정보 - 상기 전기 자판기 정보는 상기 전기 자판기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전기 자판기의 이용 상태 정보를 포함함 - 를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전기 자판기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전기 자판기에 대한 전기 판매 요청을 하도록 하거나, 상기 전기 자판기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전기 자판기에 대한 전기 판매 요청을 한 상태에서, 상기 전기 자판기에 연결된 상기 특정 전기 장치의 식별 정보를 분석하여, (i) 상기 특정 전기 장치의 식별 정보가 사용이 허가된 전기 장치이면, (i-1)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전기 자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전기 판매 요청에 대응한 결제를 요청하며,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결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결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서버로 하여금 상기 전기 판매 요청에 대응한 결제를 수행하도록 하여 결제가 정상적으로 처리될 경우 상기 전기 자판기로 전기 판매 승인 정보를 전송하도록 지원하거나, (i-2)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버로 상기 전기 판매 요청에 대응한 결제를 수행하도록 지원하여 상기 서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상기 전기 판매 요청에 대응한 결제를 수행하도록 하여 결제가 정상적으로 처리될 경우 상기 전기 자판기로 전기 판매 승인 정보를 전송하도록 지원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전기 판매 승인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전기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지원하며, (ii) 상기 특정 전기 장치의 식별 정보가 사용이 금지된 전기 장치이면, 상기 특정 전기 장치에 대한 전력 공급을 차단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삭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자판기를 통해 공급되는 전기에 대한 과금 정보는, 상기 전기 자판기를 통해 전력을 공급 받은 상기 전기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전기 자판기를 통해 상기 특정 전기 장치에 공급된 전력량 정보를 참조로 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전기 장치들의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을 기반으로 전기 장치 또는 그 사용 용도에 대한 전기 서비스 제공 여부를 결정하고 과금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식별 정보가 획득되어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고, 전기 자판기에 연결된 특정 전기 장치에 의해 소비되는 전기의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 - 상기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은 상기 특정 전기 장치가 상기 전기 자판기에 연결된 직후부터 수 초 동안 상기 전기 자판기를 통해 상기 특정 전기 장치로 공급되는 전기의 순간 소비 전력량, 소비 전력량의 크기 지속 패턴, 소비 전력의 Power factor 및 소비 전력의 crest factor, 상기 수 초 동안의 전력의 최대값, 상기 수 초 동안의 전력의 최소값, 상기 수 초 동안의 전력의 평균값, 상기 수 초 동안의 Power factor의 최대값, 상기 수 초 동안의 Power factor의 최소값, 상기 수초 동안의 Power factor의 평균값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함 - 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 자판기에 연결된 상기 특정 전기 장치가 식별되면, 서버가,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와 상기 전기 자판기를 통해 상기 특정 전기 장치로 공급되는 전기에 대한 과금 정보를 대응하여 기록하는 단계; 및
    (b) 상기 서버가, 상기 기록된 과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전기 장치에 공급되는 전기에 대해 과금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사용 가능한 상기 전기 자판기에 대한 정보인 전기 자판기 정보 - 상기 전기 자판기 정보는 상기 전기 자판기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전기 자판기의 이용 상태 정보를 포함함 - 를 제공하여 주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전기 자판기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전기 자판기에 대한 전기 판매 요청이 획득된 상태에서, 상기 전기 자판기에 연결된 상기 특정 전기 장치의 식별 정보가 사용이 허가된 전기 장치여서 상기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전기 자판기로부터 상기 전기 판매 요청에 대응한 결제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전기 판매 요청에 대응한 결제를 수행하도록 하여 결제가 정상적으로 처리될 경우 상기 전기 자판기로 전기 판매 승인 정보를 전송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상기 전기 자판기로 하여금 상기 전기 판매 승인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전기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KR1020180021909A 2018-02-23 2018-02-23 전기 장치의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을 기반으로 전기 장치나 그 사용 용도를 식별하여 전기 장치 또는 그 사용 용도에 대하여 전기 서비스 제공 여부를 결정하거나 장치별 또는 용도별 과금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측정지원장치, 단말 및 서버 KR102004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909A KR102004189B1 (ko) 2018-02-23 2018-02-23 전기 장치의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을 기반으로 전기 장치나 그 사용 용도를 식별하여 전기 장치 또는 그 사용 용도에 대하여 전기 서비스 제공 여부를 결정하거나 장치별 또는 용도별 과금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측정지원장치, 단말 및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909A KR102004189B1 (ko) 2018-02-23 2018-02-23 전기 장치의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을 기반으로 전기 장치나 그 사용 용도를 식별하여 전기 장치 또는 그 사용 용도에 대하여 전기 서비스 제공 여부를 결정하거나 장치별 또는 용도별 과금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측정지원장치, 단말 및 서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5874A Division KR20170061005A (ko) 2015-11-25 2015-11-25 전기 장치의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을 기반으로 전기 장치나 그 사용 용도를 식별하여 전기 장치 또는 그 사용 용도에 대하여 전기 서비스 제공 여부를 결정하거나 장치별 또는 용도별 과금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측정지원장치, 단말 및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771A KR20180021771A (ko) 2018-03-05
KR102004189B1 true KR102004189B1 (ko) 2019-07-26

Family

ID=61726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909A KR102004189B1 (ko) 2018-02-23 2018-02-23 전기 장치의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을 기반으로 전기 장치나 그 사용 용도를 식별하여 전기 장치 또는 그 사용 용도에 대하여 전기 서비스 제공 여부를 결정하거나 장치별 또는 용도별 과금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측정지원장치, 단말 및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418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257B1 (ko) * 2010-12-30 2012-07-09 한국과학기술원 무선 전력 공급 장치 및 방법, 전기 바이크의 무선 충전 장치
JP2012191815A (ja) * 2011-03-14 2012-10-04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公衆電源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265B1 (ko) * 2009-11-25 2016-02-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가전기기별 사용 전력 과금 시스템 및 방법
KR101233717B1 (ko) * 2010-12-08 2013-02-18 이점식 스마트 커넥터를 이용한 충전 및 과금시스템
KR20140132523A (ko) * 2013-05-08 2014-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 부하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20150054123A (ko) * 2013-11-11 2015-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외부 기기 감지 방법
KR101769467B1 (ko) * 2014-05-12 2017-08-30 주식회사 파워큐브코리아 전기자동차 충전 및 과금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257B1 (ko) * 2010-12-30 2012-07-09 한국과학기술원 무선 전력 공급 장치 및 방법, 전기 바이크의 무선 충전 장치
JP2012191815A (ja) * 2011-03-14 2012-10-04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公衆電源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771A (ko) 2018-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306033A1 (en) Electrical power metering and billing network
CN105741433A (zh) 一种智能电费管理系统
KR20120113139A (ko)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무인 전기 판매 시스템 및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무인 전기 판매 방법
EP2452324A1 (en) A power metering system and a method of displaying reading derived from the same
JP2008021284A (ja) 遠隔検針データ基盤電力使用料金コンサルティングシステム及び方法
US11486730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upply of electric energy through certified measures
KR20200049559A (ko) 플랫폼을 가지는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JP2015035848A (ja) 電力供給システム、放電装置
US20050288960A1 (en) Resource management system
KR102004189B1 (ko) 전기 장치의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을 기반으로 전기 장치나 그 사용 용도를 식별하여 전기 장치 또는 그 사용 용도에 대하여 전기 서비스 제공 여부를 결정하거나 장치별 또는 용도별 과금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측정지원장치, 단말 및 서버
JP2022127463A (ja)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90031049A (ko) 원격검침데이터 기반 최적 전력요율제 산출 방법
KR102279634B1 (ko) 셀프 세탁소를 이용한 세탁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기록매체
KR20180105407A (ko) 통합전력관리시스템
KR102493198B1 (ko) 전력수요 관리 기능을 갖는 서버, 가전기기, 및 그것의 전력 사용 관리 방법
KR20180010850A (ko) 신재생에너지 공유 시스템
KR20190014025A (ko) 전기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KR102305522B1 (ko) 전기차 충전기 렌탈 서비스 시스템
US9443267B1 (en) Self organizing electric grid with mobile payment system
KR20170061005A (ko) 전기 장치의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을 기반으로 전기 장치나 그 사용 용도를 식별하여 전기 장치 또는 그 사용 용도에 대하여 전기 서비스 제공 여부를 결정하거나 장치별 또는 용도별 과금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측정지원장치, 단말 및 서버
CN107144730B (zh) 一种用电设备耗电预测系统
KR102417321B1 (ko) 스마트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의 광고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090057221A (ko) 유틸리티 판매 시스템 및 방법
JP2022128781A (ja)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721670B1 (ko) 공적 용도로 사용된 전력량과 사적 용도로 사용된 전력량을 구분하기 위한 방법, 단말 및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