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522B1 - 전기차 충전기 렌탈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차 충전기 렌탈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5522B1
KR102305522B1 KR1020210075152A KR20210075152A KR102305522B1 KR 102305522 B1 KR102305522 B1 KR 102305522B1 KR 1020210075152 A KR1020210075152 A KR 1020210075152A KR 20210075152 A KR20210075152 A KR 20210075152A KR 102305522 B1 KR102305522 B1 KR 102305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vehicle
power consumption
vehicle charger
module
purcha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정훈
Original Assignee
송정훈
주식회사 미래비즈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정훈, 주식회사 미래비즈코리아 filed Critical 송정훈
Priority to KR1020210075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55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06Q50/30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70/00Problem solutions or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L2270/30Preventing theft during charging
    • B60L2270/38Preventing theft during charging of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ransport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 관리서버가 제조사 서버들로부터 등록된 제품에 관련된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구매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구매자가 쉽고 간편하게 제품을 비교 및 분석할 수 있으며, 통합 관리서버가 구매자가 전기차 충전기를 렌탈한 이후에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A/S, 이전 설치 등의 서비스 관련 상담을 진행함으로써 구매자가 어플리케션을 통해 서비스와 관련된 상담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사의 경우, 별도의 상담인력이 필요없기 때문에 제품의 생산, 설치 및 수리 작업에 집중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전력 사용량 측정방식 및 서버에 의해 전력 사용량을 취득하는 통합 취득 프로세스를 통해 전기차 충전기의 전력 사용량을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일부 전력 사용량 측정방식 또는 서버에 사용량이 집중됨에 따라 데이터가 과부하되어 전력 사용량의 측정값에 오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구매자가 아닌 타인이 전기차 충전기를 사용한다고 판단되었을 때, 해당 전기차 충전기의 사용을 중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출근 또는 여행 등으로 자리를 비웠을 때, 타인이 전기차 충전기를 남용하여 비용이 추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기 렌탈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차 충전기 렌탈 서비스 시스템{Rental service system for electric vehicle chargers}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기 렌탈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전기차 충전기 제조사 서버들로부터 등록된 제품정보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매자에게 제공하여 구매자가 쉽고 간편하게 제품을 비교 및 분석할 수 있으며, 구매자가 전기차 충전기 렌탈이 완료되면, 차후 비용 정산 및 A/S 등의 서비스를 진행함으로써 구매자 및 제조사가 간편하게 렌탈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기 렌탈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정수기, 청정기 등의 가정 기기뿐만 아니라 차량 등 다양한 종류에 제품들의 렌탈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다.
이러한 렌탈 서비스는 제품 구매 비용의 부담을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제품의 경우, 해당 제품의 관리를 렌탈 판매자가 진행해주기 때문에 편리하다는 장점을 갖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렌탈 서비스의 경우에는 구매자가 직접 검색을 통해 원하는 제품의 렌탈 서비스를 제공하는 판매자를 찾아야 하기 때문에 원하는 성능의 제품을 놓치거나, 인접한 위치의 매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멀리 있는 위치의 매장에서 구매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등록특허 제10-2221159호(발명의 명칭 : 물품 렌탈 시스템)(이하 ‘종래기술’이라 함)가 개발되었다.
종래기술(100)은 공급자 단말기(101)와, 구매자 단말기(102), 플랫폼 서버(103), 제조사 서버(104)로 이루어진다.
공급자 단말기(101)는 물품 공급자의 단말기이며, 물품의 렌탈 조건을 플랫폼 서버(103)에 입력한다.
구매자 단말기(102)는 물품 구매자의 단말기이며, 플랫폼 서버(103)로부터 물품 공급자의 물품 렌탈 조건 정보 등을 입력받는다.
플랫폼 서버(103)는 공급자 단말기(101)와 구매자 단말기(102)를 연결하며, 공급자 단말기(101)로부터 입력되는 물품의 렌탈조건 등이 저장되며, 공급자 단말기(101)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구매자 단말기(102)로 전달한다.
이때 플랫폼 서버(103)는 제조사 서버(104)로부터 입력된 제품 정보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구매자가 원하는 조건의 제품들의 렌탈 정보를 구매자 단말기(102)로 출력한다.
또한 구매자 단말기(102)는 특정 제품을 선택하였을 때, GPS를 통해 인접한 위치의 공급자 단말기(101)들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음으로써 구매자와 인접한 공급자들의 위치를 확인하여 해당 공급자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100)은 공급자가 구매자 단말기(102)를 통해 플랫폼 서버(103)에서 특정 제품을 선택하였을 때, 해당 제품과 관련된 렌탈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접한 위치의 공급자들만을 선택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100)은 주변에 위치한 렌탈 사업자들을 소개하여 구매자에게 해당 사업자의 물품을 구매하도록 유도하되, 구매자가 물품의 렌탈을 완료한 이후 전력비용 정산과 A/S 등과 관련된 서비스가 별도로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렌탈 사업자가 직접 구매자에게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게 되어 구매자들로부터의 서비스 또는 문의가 집중될 경우, 사업자가 한정된 인력으로 인하여 서비스 제공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통합 관리서버가 제조사 서버들로부터 등록된 제품에 관련된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구매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구매자가 쉽고 간편하게 제품을 비교 및 분석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기 렌탈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통합 관리서버가 구매자가 전기차 충전기를 렌탈한 이후에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A/S, 이전 설치 등의 서비스 관련 상담을 진행함으로써 구매자가 어플리케션을 통해 서비스와 관련된 상담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사의 경우, 별도의 상담인력이 필요 없기 때문에 제품의 생산, 설치 및 수리 작업에 집중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기 렌탈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복수개의 전력 사용량 측정방식 및 서버에 의해 전력 사용량을 취득하는 통합 취득 프로세스를 통해 전기차 충전기의 전력 사용량을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일부 전력 사용량 측정방식 또는 서버에 사용량이 집중됨에 따라 데이터가 과부하되어 전력 사용량의 측정값에 오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기 렌탈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구매자가 아닌 타인이 전기차 충전기를 사용한다고 판단되었을 때, 해당 전기차 충전기의 사용을 중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출근 또는 여행 등으로 자리를 비웠을 때, 타인이 전기차 충전기를 남용하여 비용이 추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기 렌탈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구매자에게 전기차 충전기의 렌탈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기차 충전기 렌탈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 충전기 렌탈 서비스 시스템은 렌탈대상인 전기차 충전기의 제조사의 서버인 제조사 서버; 상기 제조사 서버로부터 렌탈대상의 관련정보인 제품정보를 전송받아 등록을 요청받으면, 전송받은 제품정보를 저장하는 통합 관리서버; 상기 통합 관리서버에 등록된 제품정보들을 수신 받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구매자 단말기; 세 개의 측정방식들을 통해 렌탈된 전기차 충전기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는 전력사용량 취득부와, 상기 전력사용량 취득부로부터 측정된 전력 사용량을 상기 통합 관리서버로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하는 통합 취득 프로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 관리서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특정 전기차 충전기의 렌탈을 요청받을 때, 렌탈 계약을 수행하는 렌탈서비스부; 상기 렌탈 서비스부에 의해 렌탈 계약된 전기차 충전기의 전력 사용량을 수집한 후, 수집된 전력 사용량에 따른 사용요금을 산출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으로 사용요금을 전송하는 정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산부는 상기 통합 취득 프로세스로부터 측정된 전력 사용량을 수신 받는 전력사용량 수신모듈; 상기 전력사용량 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된 전력 사용량에 따른 사용요금을 정산하는 정산모듈; 상기 통합 취득 프로세스의 세 개의 측정방식들로부터 측정된 세 개의 전력 사용량들의 평균값을 산출한 후, 상기 평균값과 상기 통합 취득 프로세스로부터 측정된 세 개의 전력 사용량들과의 차이값들을 각각 산출하여 기 설정된 오차 임계값과 비교하고, 산출된 차이값이 상기 기 설정된 오차 임계값 이상인 측정방식을 불량 측정방식으로 판단하는 제1 판단모듈; 상기 불량 측정방식의 사용을 제한하는 제1 처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차 충전기는 충전 시작 시, 해당 전기차량의 배터리 잔량 및 접속시간을 포함하는 충전개시정보를 생성하되, 충전 종료 시, 해당 전기차량의 배터리 잔량 및 접속분리시간을 포함하는 충전종료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충전개시정보 또는 충전종료정보를 상기 통합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전기차 충전기로부터 전송받은 충전개시정보 및 충전종료정보가 저장되며, 차종별 각 전기차의 단위시간당 전력소모량이 기 설정되어 저장되는 메모리; 도용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용방지부는 상기 전기차 충전기로부터 충전개시정보를 전송받을 때 실행되며, 상기 메모리를 탐색하여 해당 전기차 충전기의 이전 충전종료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충전종료정보에 포함된 충전종료시간으로부터 현재까지의 시간인 경과시간(S)을 산출하는 경과시간 산출모듈; 기 설정된 해당 전기차의 단위시간당 전력소모량과, 상기 경과시간 산출모듈에 의해 산출된 경과시간(S)을 활용하여, 해당 경과시간(S) 동안 전기차의 주행이 연속으로 이루어졌다고 가정할 때의 전력소모량인 예상 전력소모량(P)을 산출하는 예상전력소모량 산출모듈; 상기 전기차 충전기로부터 전송받은 충전개시정보의 배터리 잔량인 이전 배터리 잔량(W1)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이전 충전종료정보의 배터리 잔량인 현재 배터리 잔량(W2)을 검출하며, 검출된 현재 배터리 잔량(W1)과 이전 배터리 잔량(W2)의 차이값인 전력소모량(W3, W3 =│W2-W1│)을 산출하는 전력소모량 산출모듈; 상기 전력소모량 산출모듈에 의해 산출된 전력소모량(W3)과, 상기 예상 전력소모량 산출모듈에 의해 산출된 예상 전력소모량(P)을 비교하며, 만약 전력소모량(W3)이 예상 전력소모량(P) 이상(W3≥P)이면, 현재 구매자가 아닌 외부인이 상기 전기차 충전기를 도용하고 있는 돌발 상황이라고 판단하는 제2 판단모듈; 상기 제2 판단모듈에서 돌발 상황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될 때 실행되며, 상기 전기차 충전기로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차단요청데이터를 전송하는 제2 처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차 충전기는 상기 통합 관리서버로부터 차단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충전을 종료시키는 것이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처리모듈은 상기 제2 판단모듈에서 돌발 상황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될 때,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현재 충전기를 사용 중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요청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통합 관리서버로부터 확인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무단사용 알람을 외부로 표출함과 동시에 사용자로부터 현재 충전기를 사용 중인지 여부를 입력받기 위한 GUI를 제공하며, 상기 GUI를 통해 1)구매자로부터 현재 사용자가 본인이라고 선택되면, 상기 통합 관리서버로 차단해제를 요청하고, 2)구매자로부터 현재 사용자가 본인이 아니라고 선택되면, 상기 통합 관리서버로 차단지속을 요청하고, 상기 통합 관리서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차단해제를 요청받으면, 상기 전기차 충전기로 차단해제를 요청하되,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차단지속을 요청받으면,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통합 관리서버는 기 설정된 주기(T) 마다 실행되는 에러보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러보정부는 기 설정된 주기(T) 동안, 상기 도용방지부의 상기 제2 처리모듈에서 생성된 차단요청데이터와, 차단요청 이후,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송받은 차단해제 또는 차단지속 데이터들을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모듈; 상기 데이터 수집모듈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상기 주기(T) 동안 상기 제2 처리모듈에서 차단요청데이터를 생성한 회수(N1) 대비 상기 주기(T) 동안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차단해제를 요청받은 회수(N2)의 비율인 오인식 비율(N, N=N2/N1)을 산출하는 오인식 비율 산출모듈; 상기 오인식 비율 산출모듈에 의해 산출된 오인식 비율(N)을, 단위시간당 전력소모량의 최적화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는 오인식 비율의 최대값으로 정의되는 기 설정된 설정값(TH, Threshold)과 비교하는 비교모듈; 상기 비교모듈에서 1)오인식 비율(N)이 설정값(TH) 미만이면, 해당 전기차 충전기의 단위시간당 전력소모량의 최적화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하며, 2)오인식 비율(N)이 설정값(TH) 이상이면, 해당 전기차 충전기의 단위시간당 전력소모량의 최적화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최적화대상 판별모듈; 상기 최적화대상 판별모듈에서 최적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 실행되며, 현재 설정되어 있는 단위시간당 전력소모량에, 기 설정된 상수인 ‘β’를 합산하여 단위시간당 전력소모량을 최적화하는 최적화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통합 관리서버가 제조사 서버들로부터 등록된 제품에 관련된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구매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구매자가 쉽고 간편하게 제품을 비교 및 분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통합 관리서버가 구매자가 전기차 충전기를 렌탈한 이후에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A/S, 이전 설치 등의 서비스 관련 상담을 진행함으로써 구매자가 어플리케션을 통해 서비스와 관련된 상담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사의 경우, 별도의 상담인력이 필요없기 때문에 제품의 생산, 설치 및 수리 작업에 집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전력 사용량 측정방식 및 서버에 의해 전력 사용량을 취득하는 통합 취득 프로세스를 통해 전기차 충전기의 전력 사용량을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일부 전력 사용량 측정방식 또는 서버에 사용량이 집중됨에 따라 데이터가 과부하되어 전력 사용량의 측정값에 오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구매자가 아닌 타인이 전기차 충전기를 사용한다고 판단되었을 때, 해당 전기차 충전기의 사용을 중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출근 또는 여행 등으로 자리를 비웠을 때, 타인이 전기차 충전기를 남용하여 비용이 추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기차 충전기 렌탈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통합 관리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정산부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3의 도용방지부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2의 에러보정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기차 충전기 렌탈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전기차 충전기의 렌탈 대행 시스템(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매자 단말기(2)와, 제조사 서버(3), 통합 관리서버(4), 전기차 충전기(5)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매자 단말기(2) 및 제조사 서버(3)가 단일로 구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구매자 단말기(2) 및 제조사 서버(3)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구매자 단말기(2)는 구매자가 소유하며, 통신망을 통해 통합 관리서버(4)로 접속이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이며, 상세하게로는 데스크톱 PC와 노트북, 스마트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구매자 단말기(2)에는 어플리케이션(21)이 설치된다.
어플리케이션(21)은 구매자 단말기(2)에 설치되어 통합 관리서버(4)와 연동하여 구매자에게 전기차 충전기 렌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응용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이다.
또한 어플리케이션(21)은 통합 관리서버(4)로부터 리스트정보 및 각 제품의 제품정보를 전송받으며, 최초 실행 시, 전송받은 리스트정보를 구매자 단말기(2)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한다.
즉 구매자는 구매자 단말기(2)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21)을 통해 통합 관리서버(4)에 등록된 전기차 충전기들의 정보(이하 ‘제품정보’라고 함)를 열람 및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21)은 구매자로부터 전시되는 리스트목록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으면, 선택된 제품에 관련된 상세한 정보를 구매자 단말기(2)에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구매자는 어플리케이션(21)을 통해 등록된 제품들과, 각 제품의 상세한 정보를 열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21)은 구매자로부터 특정 제품의 렌탈을 요청받으면, 통합관리서버(4)로 해당 제품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렌탈 요청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렌탈 요청데이터는 제품 식별정보 및 설치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통합 관리서버(4)는 어플리케이션(21)으로부터 렌탈 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해당 제품의 제조사에서 제시하는 계약기준에 따라 해당 구매자와 렌탈 계약을 수행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21)은 렌탈 계약을 완료한 구매자가 차후 전기차 충전을 수행하면, 통합 관리서버(4)로부터 해당 구매자의 전기충전에 따른 전력사용량 및 사용요금 정보를 전송받아, 이를 구매자 단말기(2)에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구매자는 자신이 사용한 충전량 및 요금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21)은 렌탈 계약을 완료한 구매자의 전기차 충전기가 타인에 의해 사용될 때, 통합 관리서버(4)로부터 전송받은 경고정보에 따라 무단사용 알람을 구매자 단말기(2)를 통해 외부로 표출함으로써 구매자는 구매자 단말기(2)를 통해 표출되는 무단사용 알람을 통해 전기차 충전기의 무단사용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제조사 서버(3)는 전기차 충전기를 제조하는 제조사의 서버이며, 통합 관리서버(4)로 렌탈 대상인 전기차 충전기의 등록을 요청한다. 이때 제조사 서버(3)는 등록 요청 시, 해당 전기차 충전기에 관련된 상세한 정보인 제품정보를 통합 관리서버(4)로 전송한다. 이때 통합 관리서버(4)는 제조사 서버(3)로부터 등록을 요청받으면, 해당 전기차 충전기를 렌탈 대상으로 결정한 후, 전송받은 제품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또한 제조사 서버(3)는 통합 관리서버(4)로부터 판매된 제품의 설치 또는 A/S를 요청받을 때, 작업자에게 위치 및 작업 내용을 전달하여 작업자가 판매된 제품의 설치작업 또는 A/S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판매라고 함은 구매자가 통합 관리서버(4)와 연동하여 해당 전기차 충전기의 렌탈 계약을 완료하였음을 의미한다.
통합 관리서버(4)는 제조사 서버(3)로부터 렌탈 대상(전기차 충전기)에 대한 제품정보를 전송받아 등록을 요청받으면, 전송받은 제품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해당 제품을 렌탈 대상으로 등록(결정)한다.
또한 통합 관리서버(4)는 기 등록된 제품정보들의 리스트를 생성하며, 생성된 리스트정보 및 각 제품의 제품정보들을 접속된 어플리케이션(21)으로 전송하고, 어플리케이션(21)은 통합 관리서버(4)로부터 전송받은 리스트정보를 구매자 단말기(2)에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구매자가 어플리케이션(21)을 통해 기 등록된 제품들의 리스트 및 각 제품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열람하여 자신이 원하는 조건의 제품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통합 관리서버(4)는 어플리케이션(21)으로부터 제품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렌탈 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해당 제품의 제조사에서 제시하는 계약정보에 따라 해당 구매자와 렌탈 계약을 수행한다.
또한 통합 관리서버(4)는 구매자와의 렌탈 계약이 완료되면, 해당 제품의 식별정보 및 설치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설치요청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제조사 서버(3)는 통합 관리서버(4)로부터 설치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설치요청데이터를 참조하여 작업자의 현장 출동 및 제품 설치 등의 후속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전기차 충전기(5)는 구매자가 통합 관리서버(4)를 통해 렌탈 계약한 제품이다.
또한 전기차 충전기(5)는 인증된 사용자(구매자)에게만 접근을 허용하기 위한 인증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인증수단으로는 비밀번호, 생체인증, 인증카드 등과 같이 공지된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전기차 충전기(5)는 인증수단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에게만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해당 전기차 충전기를 렌탈한 구매자에게만 사용이 허용되도록 하여 타인이 임의로 충전기를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기차 충전기(5)는 전기차량 충전 시작 시, 해당 전기차량의 배터리 잔량, 접속시간 등의 충전개시정보를 생성한 후, 수집된 충전개시정보를 통합 관리서버(4)로 전송한다.
또한 전기차 충전기(5)는 전기차량 충전 종료 시, 해당 전기차량의 배터리 잔량, 접속분리시간 등의 충전종료정보를 생성한 후, 수집된 충전종료정보를 통합 관리서버(4)로 전송한다.
이때 통합 관리서버(3)는 전기차 충전기(5)로부터 전송받은 충전개시정보 및 충전종료정보를 분석 및 가공하여, 해당 전기차량의 로그내역을 모니터링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인의 무단사용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또한 전기차 충전기(5)는 통합 관리서버(4)에 의해 해당 사용자가 구매자가 아닌 타인이라고 판단되어 토합 관리서버(4)로부터 차단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전원을 차단시켜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도 3은 도 2의 통합 관리서버의 블록도이다.
통합 관리서버(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1)와, 송수신부(42), 메모리(43), 등록부(44), 구매자 관리부(45), 어플리케이션 관리부(46), 렌탈서비스부(47), 정산부(48), 도용방지부(49), 에러보정부(50)로 이루어진다.
제어부(41)는 통합 관리서버(4)의 O.S(Operating System)이며, 제어대상(42), (43), (44), (45), (46), (47), (48), (49), (50)들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1)는 송수신부(42)를 통해 제조사 서버(3)로부터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등록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제품정보를 등록부(44)로 입력한다.
또한 제어부(41)는 송수신부(42)를 통해 전기차 충전기(5)로부터 충전개시정보 및 충전종료정보를 전송받으면, 이를 메모리(43)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41)는 기 설정된 주기(T) 마다 에러보정부(50)를 실행시키고, 에러보정부(50)에 의해 최적화된 전기차 충전기의 단위시간당 전력소모량을 메모리(43)에 저장한다.
송수신부(42)는 구매자 단말기(2), 제조사 서버(3) 및 전기차 충전기(5)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메모리(43)에는 제조사 서버(3)의 요청에 따라 렌탈 대상으로 등록된 제품들에 대한 리스트정보와, 각 제품의 제품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43)에는 어플리케이션(21)에 가입된 구매자의 정보(개인정보, 회원가입정보 등)가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43)에는 렌탈 계약이 완료된 구매자, 상품(전기차 충전기) 및 계약내용 등이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43)에는 전기차 충전기(5)로부터 전송받은 각 전기차 충전기의 충전개시정보 및 충전종료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43)에는 차종별 각 전기차의 단위시간당 전력소모량이 기 설정되어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43)에는 기 설정된 정산 알고리즘이 저장된다.
이때 정산 알고리즘은 입력된 전력 사용량에 따른 비용(이하 ‘사용요금’이라고 함)을 산출하기 위한 알고리즘이고, 사용요금은 전력 사용량과 비례하여 비용이 증가하되, 전력 사용량에 따라서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할인 또는 부가 비용이 적용될 수 있다.
등록부(44)는 제조사 서버(3)로부터 등록요청데이터를 전송받을 때 실행되며, 등록요청데이터에 포함된 제품정보를 메모리(43)에 저장하여 해당 제품을 렌탈 대상으로 설정한다.
이때 제품정보에는 식별정보, 제품관련 상세내용, 가격, 이미지, 성능 등을 포함한다.
또한 등록부(44)는 메모리(43)에 저장된 제품정보들을 활용 및 가공하여, 기 등록된 제품들에 대한 리스트인 리스트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제어부(41)는 어플리케이션(21)이 접속되면, 접속된 어플리케이션(21)으로 리스트정보 및 제품정보들이 전송되도록 송수신부(42)를 제어한다.
구매자 관리부(45)는 구매자가 어플리케이션(21) 회원 가입 시, 회원 가입된 구매자의 정보(개인정보, 로그인정보 등)를 메모리(43)에 저장한다.
또한 구매자 관리부(45)는 후술되는 렌탈서비스부(47)에 의해 구매자가 특정 제품의 렌탈을 계약 완료하면, 해당 전기차 충전기의 식별번호와 구매자 정보, 인증정보 등을 매칭시켜 메모리(43)에 저장한다. 이때 인증정보라고 함은 구매자를 인증하기 위해 획득/설정된 정보를 의미하고, 예를 들어, 인증정보는 비밀번호, 생체정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구매자 관리부(45)는 기 설정된 주기 마다 렌탈 계약을 완료한 구매자의 납부금의 납부 여부를 체크하며, 만약 납부금을 연체한 구매자가 검출되면, 해당 구매자의 어플리케이션(21)을 이용하여 납부금이 연체되었음을 통지한다. 이때 납부금은 렌탈요금과, 사용요금(전기 사용량에 따른 요금)으로 이루어진다.
어플리케이션 관리부(46)는 어플리케이션(21)의 업데이트, GUI 갱신 등을 관리한다.
렌탈서비스부(47)는 어플리케이션(21)으로부터 렌탈 요청데이터를 전송받을 때 실행되며, 전송받은 렌탈 요청데이터에 포함된 제품 식별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제품의 제조사에서 제시하는 계약기준에 따라 해당 구매자와 렌탈 계약을 수행한다.
이때 구매자와 제품의 렌탈 계약을 수행하는 과정 및 방법은 렌탈 시스템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렌탈서비스부(47)는 구매자와 렌탈 계약이 완료되면, 해당 제품의 식별정보 및 설치장소 정보를 포함하는 설치요청데이터를 제조사 서버(3)로 전송하고, 제조사 서버(3)는 통합 관리서버(4)로부터 설치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설치요청데이터를 참조하여 작업자의 현장 출동 및 제품 설치 등의 후속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정산부(48)는 구매자가 전기차 충전기(5)를 통해 사용한 전력량을 토대로 사용요금을 계산하며, 계산된 사용요금을 어플리케이션(21)으로 전송한다.
이때 정산부(48)는 기 설정된 납부일 마다 계산되는 정기 사용요금과, 구매자가 어플리케이션(21)을 통해 중간 사용요금을 요청하였을 때 계산되는 수동 사용요금이 있다.
정기 사용요금은 매달 정해진 날짜에 해당 기간 동안 구매자가 사용한 전력 사용량에 대한 비용이다.
수동 사용요금은 구매자가 어플리케이션(21)을 통해 중간정산금액의 조회를 요청하였을 때, 구매자가 선택한 기간 동안 사용된 전력 사용량에 대한 비용이다.
이때 정기 사용요금과 수동 사용요금은 구매자 단말기(2)에 문자 또는 어플리케이션(21)을 통해 구매자에게 전달된다.
도용방지부(49)는 전기차 충전기(5)로부터 충전개시정보를 전송받으면, 해당 충전을 수행하는 사용자가 구매자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며, 만약 해당 사용자가 구매자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해당 전기차 충전기(5)로 전원을 OFF시키기 위한 차단요청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전기차 충전기(5)의 도용을 방지하고, 이러한 도용방지부(49)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되는 도 5에서 진행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3의 정산부의 블록도이다.
정산부(48)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사용량 수신모듈(481)과, 정산모듈(482)과, 제1 판단모듈(483), 제1 처리모듈(484), 출력모듈(485)로 이루어진다.
전력사용량 수신모듈(481)은 SCADA 통신방식(921) 및 CDMA FEP 서버 통신방식(922)으로부터 수신 받은 전력사용량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전력사용량 정보는 통합 취득 프로세스(900)에 의해 취득된다.
통합 취득 프로세스(900)는 전력 사용량을 취득하는 전력사용량 취득부(910)와, 전력사용량 취득부(910)로부터 취득된 전력 사용량을 수집하여 정산부(48)로 전달하는 전달부(920)로 이루어진다.
전력사용량 취득부(910)는 서로 다른 전력사용량 측정방식들을 포함하며, SOMAS(Substation Operating Results Management System, 변전소 운전 실적 관리 시스템) 측정방식(911)과 AMR(Auto Meter Reading, 원격검침시스템) 측정방식(912), TCP 계량서버 측정방식(913)을 포함한다.
SOMAS는 변전소 운전 실적 관리 시스템이며, 전국의 변전소별 주 변압기, 송전 선로, 배전 선로 등에 대한 부하 현황과 차단기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전국에 산재되어있는 변전소와 관련된 선로의 부하 정보와 운전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AMR은 각 구역으로부터의 원격 검침데이터를 CDMA, SCADA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TCP 계량서버는 전송제어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를 이용하여 계량데이터를 전송받는 계량서버이다.
이러한 전력사용량 취득부(910)는 각각의 방식으로 전력 사용량을 취득하며, 취득된 전력 사용량은 전달부(920)로 전달된다.
이때 전력사용량 취득부(910)는 SOMAS 측정방식(911)과 AMR 측정방식(912), TCP 계량서버 측정방식(913)을 통해 전력 사용량이 취득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전력 사용량의 취득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전달부(920)는 전력사용량 취득부(910)로부터 전달된 전력 사용량을 전력사용량 수신모듈(481)로 전송하며,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감시 제어 및 데이터 취득) 통신방식(921)과, CDMA(Code-Division Multiple Access, 코드분할다중접속) FEP(Front End Processor, 전단 처리기) 서버 통신방식(922)을 포함한다.
SCADA는 전력계통 원방감시 제어시스템이며, 전력계통운용 자동화 및 변전소 무인운전을 위하여 전력관리체 단위로 구축하며, 변전소에 있는 각종 전력설비에 대한 정보를 감시 및 계측하여, 원격감시, 원격제어 및 원격측정 등을 시행한다.
CDMA는 이동 통신에서 코드를 이용한 다중접속 기술 중 하나이며,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다중의 사용자가 동시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또한 FEP 서버는 복수개의 통신처리모듈을 탑재할 수 있는 확장성을 가지며, TCP/IP, SLIP, PPP, Async Protocol 등을 지원하며 각종 통신망(예컨대, IMT-2000, PCS, Cellular, PST(D)N, CATV, TRS, 저궤도 위성 통신망, CDMA)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교환이 가능하며, 통신장비와 회선의 장애로 인한 문제점을 최소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FEP 서버는 포트별 상태감시로 문제의 원인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판단하며, 검침 실행 후 모뎀의 초기화를 자동으로 실행시켜 모뎀의 행 업(Hang up)상태를 미연에 방지하고, 검침 데이터를 취득하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모뎀 또는 회선의 잡음이나 통신왜곡으로 데이터가 손상되는 경우 즉시 관리자에게 경보 메시지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CDMA의 FEP 서버 통신방식(922)은 위에서 설명한 CDMA 방식의 통신망을 이용한 FEP 서버의 통신방식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통합 취득 프로세스(900)는 SOMAS 측정방식(911)과 AMR 측정방식(912), TCP 계량서버 측정방식(913)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측정방식으로 전력사용량들을 산출함과 동시에 SCADA 통신방식(921) 및 CDMA FEP 서버 통신방식(922)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통신방식으로 수집된 전력사용량을 전송한다.
이러한 통합 취득 프로세스(900)는 복수개의 방식으로 전력사용량을 취득하는 전력사용량 취득부(910)를 통해 취득된 전력사용량 정보가 전달부(920)에 의해 정산부(48)로 전달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전력사용량 취득부(910)로부터 출력된 전력 사용량들을 비교 및 분석하도록 구성되어 취득된 전력 사용량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개의 방식을 통해 전력 사용량의 취득 및 전달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정 서버에 데이터의 수집 또는 전송이 집중되어 서버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정산모듈(482)은 통합 취득 프로세스(900)에 의해 전력사용량 수신모듈(481)에 수신된 전력 사용량에 따른 비용인 사용요금을 산출한다. 이때 정산모듈(482)은 메모리(43)에 저장된 정산 알고리즘에 따라 구매자의 비용을 정산된다.
제1 판단모듈(483)은 통합 취득 프로세스(900)의 SOMAS 측정방식(911)과, AMR 측정방식(912), TCP 계량서버 측정방식(913)으로부터 출력된 세 개의 전력 사용량들의 평균값을 산출한 후, 평균값과 각 측정방식으로부터 산출된 세 개의 전력 사용량들과의 차이값들을 각각 산출하여 기 설정된 오차 임계값과 비교하고, 산출된 차이값이 기 설정된 오차 임계값 이상인 측정방식을 불량 측정방식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1 판단모듈(483)은 기 설정된 전력 사용량의 오차 임계값이 150kW이며, SOMAS 측정방식(911)과 AMR 측정방식(912)을 통해 수신 받은 전력 사용량이 1,000kW이며, TCP 계량서버 측정방식(913)으로부터 수신 받은 전력 사용량이 1,300kW라고 할 때, 전력 사용량의 평균값이 1,100kW이기 때문에 평균값과 200kW의 차이가 나는 TCP 계량서버 측정방식(913)의 경우, 측정된 전력 사용량과 평균값의 차이값이 오차 임계값 이상이기 때문에 TCP 계량서버 측정방식(913)을 불량 측정방식으로 판단한다.
제1 처리모듈(484)은 제1 판단모듈(493)로부터 불량 측정방식으로 판단된 측정방식을 통한 데이터 전송을 일정 기간 동안 중단하여 잘못된 전력 사용량이 측정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출력모듈(485)은 정산모듈(482)에 의해 산출된 사용요금 정보를 해당 어플리케이션(21)으로 전송한다.
도 5는 도 3의 도용방지부의 블록도이다.
도용방지부(49)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과시간 산출모듈(491)과, 예상전력소모량 산출모듈(492), 전력소모량 산출모듈(493), 제2 판단모듈(494), 제2 처리모듈(495)로 이루어진다.
경과시간 산출모듈(491)은 전기차 충전기(5)로부터 충전개시정보를 전송받을 때 실행되며, 메모리(43)를 탐색하여 해당 전기차 충전기의 최근 충전종료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충전종료정보에 포함된 충전종료시간으로부터 현재까지의 시간인 경과시간(S)을 산출한다.
즉, 경과시간(S)은 이전에 충전이 종료된 시점으로부터 현재 충전이 시작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의미한다.
예상전력소모량 산출모듈(492)은 기 설정된 해당 전기차의 단위시간당 전력소모량과, 경과시간 산출모듈(491)에 의해 산출된 경과시간(S)을 활용하여, 해당 경과시간(S) 동안 전기차의 주행이 연속으로 이루어졌다고 가정할 때의 전력소모량인 예상 전력소모량(P)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경과시간(S)이 3시간이고, 전기차의 단위시간당 전력소모량이 100Wh라고 할 때, 본 발명의 예상전력소모량 산출모듈(492)은 경과시간(S)에 단위시간당 전력소모량을 곱하여, 예상 전력소모량(P) 300Wh를 산출한다.
이러한 예상 전력소모량(P)은 최근 충전이 종료된 시점으로부터 전기차가 경과시간(S)동안 연속으로 주행하였을 때의 전력소모량이기 때문에 배터리의 방전 등의 추가 전력소모가 이루어지는 경우를 제외하였을 때, 실제 전력소모량보다 큰 값을 갖게 된다.
즉, 예상 전력소모량(P)은 경과시간(S) 동안 전기차가 사용할 수 있는 전력소모량의 최대값을 의미하게 된다.
전력소모량 산출모듈(493)은 전기차 충전기(5)로부터 전송받은 충전개시정보의 배터리 잔량(현재 배터리 잔량)(W1)과, 메모리(43)에 저장된 이전 충전종료정보의 배터리 잔량(이전 충전이 완료된 이후의 배터리 잔량)(W2)을 검출하며, 검출된 현재 배터리 잔량(W1)과 이전 배터리 잔량(W2)의 차이값인 전력소모량(W3, W3 = │W2-W1│)을 산출한다.
제2 판단모듈(494)은 전력소모량 산출모듈(493)에 의해 산출된 전력소모량(W3)과, 예상 전력소모량 산출모듈(492)에 의해 산출된 예상 전력소모량(P)을 비교한다.
또한 제2 판단모듈(494)은 만약 전력소모량(W3)이 예상 전력소모량(P) 이상(W3≥P)이면, 현재 구매자가 아닌 외부인이 전기차 충전기(5)를 도용하고 있는 돌발 상황이라고 판단한다. 이때 제어부(41)는 제2 판단모듈(494)에서 돌발 상황 판단 시, 제2 처리모듈(495)을 실행시킨다.
예를 들어, 제2 판단모듈(494)은 예상 전력소모량(P)이 100Wh이며, 전력소모량(W3)이 200Wh라고 할 때, 전기차가 경과시간(S)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전력소모량인 예상 전력소모량(P)이 100Wh임에도 불구하고, 전력소모량(B)이 경과시간(S)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전력소모량보다 큰 200Wh이기 때문에 기존에 충전되었던 전기차가 아닌 다른 전기차가 해당 전기차 충전기(5)를 통해 충전을 진행한다고 판단한다.
제2 처리모듈(495)은 제2 판단모듈(494)에서 돌발 상황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될 때 실행되며, 해당 전기차 충전기(5)로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차단요청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전기차 충전기(5)는 통합 관리서버(4)의 제2 처리모듈(495)로부터 차단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충전을 종료한다.
즉 제2 처리모듈(495)은 제2 판단모듈(494)에서 돌발 상황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될 때, 기존에 사용하던 인증수단이 도용되었다고 판단하여, 충전이 종료되도록 한다.
또한 제2 처리모듈(495)은 전기차 충전기(5)의 충전이 중단되면, 어플리케이션(21)으로 현재 충전기를 사용 중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요청데이터를 전송하고, 어플리케이션(21)은 통합 관리서버(4)로부터 확인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무단사용 알람을 외부로 표출함과 동시에 사용자로부터 현재 충전기를 사용 중인지 여부를 입력받기 위한 GUI를 제공한다.
이때 어플리케이션(21)은 GUI를 통해 1)구매자로부터 현재 사용자가 본인이라고 선택되면, 통합 관리서버(4)로 차단해제를 요청하고, 2)구매자로부터 현재 사용자가 본인이 아니라고 선택되면, 통합 관리서버(4)로 차단지속을 요청한다. 한편, 통합 관리서버(4)는 어플리케이션(21)으로부터 차단해제를 요청받으면, 전기차 충전기(5)로 차단해제를 요청하되, 어플리케이션(21)으로부터 차단지속을 요청받으면,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도 6은 도 2의 에러보정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의 에러보정부(50)는 제어부(41)의 제어에 따라 기 설정된 주기(T) 마다 실행된다.
또한 에러보정부(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수집모듈(501)과, 오인식 비율 산출모듈(502), 비교모듈(503), 최적화대상 판별모듈(504), 단위시간당 전력소모량 최적화모듈(505)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전기디바이스는 동일 제조사 및 제품이라고 하더라도, 내부 부속장비의 고장, 발열, 노화, 마모, 부식 등의 다양한 원인이 발생될 때, 저항 증가로 인한 전력소모량이 증가하는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에러보정부(50)는 이러한 전기디바이스의 특성을 감안하여, 도용방지부(49)의 무단도용 판단에 에러가 발생할 때, 단위시간당 전력소모량을 최적화시킴으로써 차후, 동일한 원인으로 인한 오인식을 절감시킬 수 있다.
데이터 수집모듈(501)은 기 설정된 주기(T) 동안, 전술하였던 도 5의 도용방지부(49)의 제2 처리모듈(495)에서 생성된 차단요청데이터와, 차단요청 이후, 어플리케이션(21)으로부터 전송받은 차단해제 또는 차단지속 데이터들을 수집한다.
오인식 비율 산출모듈(502)은 데이터 수집모듈(501)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 설정된 주기(T) 동안 제2 처리모듈(495)에서 차단요청데이터를 생성한 회수(N1) 대비 기 설정된 주기(T) 동안 어플리케이션(21)으로부터 차단해제를 요청받은 회수(N2)의 비율인 오인식 비율(N, N=N2/N1)을 산출한다.
즉 오인식은 통합 관리서버(4)에서는 무단도용이라고 판단하였으나, 구매자는 해당 사용자가 본인임에 따라 무단도용이 아니라고 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비교모듈(503)은 오인식 비율 산출모듈(502)에 의해 산출된 오인식 비율(N)을 기 설정된 설정값(TH, Threshold)과 비교한다.
이때 설정값(TH)은 단위시간당 전력소모량의 최적화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는 오인식 비율의 최대값으로 정의된다.
최적화대상 판별모듈(504)은 1)비교모듈(503)에서 오인식 비율(N)이 설정값(TH) 미만이면, 해당 전기차 충전기의 단위시간당 전력소모량의 최적화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하며, 2)비교모듈(503)에서 오인식 비율(N)이 설정값(TH) 이상이면, 해당 전기차 충전기의 단위시간당 전력소모량의 최적화가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이때 제어부(41)는 최적화대상 판별모듈(504)에서 최적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최적화모듈(505)을 실행시킨다.
최적화모듈(505)은 최적화대상 판별모듈(504)에서 최적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 실행된다.
또한 최적화모듈(505)은 현재 설정되어 있는 단위시간당 전력소모량에, 기 설정된 상수인 ‘β’를 합산하여 단위시간당 전력소모량을 최적화한다.
이때 상수 ‘β’는 크기가 과도하게 크면, 무단도용 판단의 정밀도가 떨어지게 되고, 크기가 과도하게 작으면, 최적화로 인한 단위시간당 전력소모량의 변동이 너무 작아 최적화 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전기차 충전기 렌탈 서비스 시스템(1)은 구매자가 어플리케이션(21)을 통해 제품의 구매부터 상담 및 A/S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매자가 원할 때 전력 사용량에 따른 사용요금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기차 충전기 렌탈 서비스 시스템(1)은 구매자의 전기차 충전기(5)가 도용되었다고 판단될 경우, 해당 전기차 충전기(5)의 사용이 중단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타인의 전기차 충전기(5) 도용에 의하여 불이익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 : 전기차 충전기 렌탈 서비스 시스템 2 : 구매자 단말기
21 : 어플리케이션 3 : 제조사 서버
4 : 통합 관리서버 41 : 제어부
42 : 송수신부 43 : 메모리
44 : 등록부 45 : 구매자 관리부
46 : 어플리케이션 관리부 47 : 렌탈서비스부
48 : 정산부 49 : 도용방지부
50 : 에러보정부 5 : 전기차 충전기
900 : 통합 취득 프로세스 910: 전력사용량 취득부
920 : 전달부

Claims (4)

  1. 구매자에게 전기차 충전기의 렌탈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기차 충전기 렌탈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 충전기 렌탈 서비스 시스템은
    렌탈대상인 전기차 충전기의 제조사의 서버인 제조사 서버;
    상기 제조사 서버로부터 렌탈대상의 관련정보인 제품정보를 전송받아 등록을 요청받으면, 전송받은 제품정보를 저장하는 통합 관리서버;
    상기 통합 관리서버에 등록된 제품정보들을 수신 받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구매자 단말기;
    세 개의 측정방식들을 통해 렌탈된 전기차 충전기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는 전력사용량 취득부와, 상기 전력사용량 취득부로부터 측정된 전력 사용량을 상기 통합 관리서버로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하는 통합 취득 프로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 관리서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특정 전기차 충전기의 렌탈을 요청받을 때, 렌탈 계약을 수행하는 렌탈서비스부;
    상기 렌탈 서비스부에 의해 렌탈 계약된 전기차 충전기의 전력 사용량을 수집한 후, 수집된 전력 사용량에 따른 사용요금을 산출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으로 사용요금을 전송하는 정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산부는
    상기 통합 취득 프로세스로부터 측정된 전력 사용량을 수신 받는 전력사용량 수신모듈;
    상기 전력사용량 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된 전력 사용량에 따른 사용요금을 정산하는 정산모듈;
    상기 통합 취득 프로세스의 세 개의 측정방식들로부터 측정된 세 개의 전력 사용량들의 평균값을 산출한 후, 상기 평균값과 상기 통합 취득 프로세스로부터 측정된 세 개의 전력 사용량들과의 차이값들을 각각 산출하여 기 설정된 오차 임계값과 비교하고, 산출된 차이값이 상기 기 설정된 오차 임계값 이상인 측정방식을 불량 측정방식으로 판단하는 제1 판단모듈;
    상기 불량 측정방식의 사용을 제한하는 제1 처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차 충전기는
    충전 시작 시, 해당 전기차량의 배터리 잔량 및 접속시간을 포함하는 충전개시정보를 생성하되, 충전 종료 시, 해당 전기차량의 배터리 잔량 및 접속분리시간을 포함하는 충전종료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충전개시정보 또는 충전종료정보를 상기 통합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통합관리서버는
    상기 전기차 충전기로부터 전송받은 충전개시정보 및 충전종료정보가 저장되며, 차종별 각 전기차의 단위시간당 전력소모량이 기 설정되어 저장되는 메모리;
    도용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용방지부는
    상기 전기차 충전기로부터 충전개시정보를 전송받을 때 실행되며, 상기 메모리를 탐색하여 해당 전기차 충전기의 이전 충전종료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충전종료정보에 포함된 충전종료시간으로부터 현재까지의 시간인 경과시간(S)을 산출하는 경과시간 산출모듈;
    기 설정된 해당 전기차의 단위시간당 전력소모량과, 상기 경과시간 산출모듈에 의해 산출된 경과시간(S)을 활용하여, 해당 경과시간(S) 동안 전기차의 주행이 연속으로 이루어졌다고 가정할 때의 전력소모량인 예상 전력소모량(P)을 산출하는 예상전력소모량 산출모듈;
    상기 전기차 충전기로부터 전송받은 충전개시정보의 배터리 잔량인 이전 배터리 잔량(W1)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이전 충전종료정보의 배터리 잔량인 현재 배터리 잔량(W2)을 검출하며, 검출된 현재 배터리 잔량(W1)과 이전 배터리 잔량(W2)의 차이값인 전력소모량(W3, W3 =│W2-W1│)을 산출하는 전력소모량 산출모듈;
    상기 전력소모량 산출모듈에 의해 산출된 전력소모량(W3)과, 상기 예상 전력소모량 산출모듈에 의해 산출된 예상 전력소모량(P)을 비교하며, 만약 전력소모량(W3)이 예상 전력소모량(P) 이상(W3≥P)이면, 현재 구매자가 아닌 외부인이 상기 전기차 충전기를 도용하고 있는 돌발 상황이라고 판단하는 제2 판단모듈;
    상기 제2 판단모듈에서 돌발 상황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될 때 실행되며, 상기 전기차 충전기로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차단요청데이터를 전송하는 제2 처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차 충전기는 상기 통합 관리서버로부터 차단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충전을 종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기 렌탈 서비스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처리모듈은
    상기 제2 판단모듈에서 돌발 상황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될 때,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현재 충전기를 사용 중인지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요청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통합 관리서버로부터 확인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무단사용 알람을 외부로 표출함과 동시에 사용자로부터 현재 충전기를 사용 중인지 여부를 입력받기 위한 GUI를 제공하며, 상기 GUI를 통해 1)구매자로부터 현재 사용자가 본인이라고 선택되면, 상기 통합 관리서버로 차단해제를 요청하고, 2)구매자로부터 현재 사용자가 본인이 아니라고 선택되면, 상기 통합 관리서버로 차단지속을 요청하고,
    상기 통합 관리서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차단해제를 요청받으면, 상기 전기차 충전기로 차단해제를 요청하되,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차단지속을 요청받으면,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통합 관리서버는 기 설정된 주기(T) 마다 실행되는 에러보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러보정부는
    기 설정된 주기(T) 동안, 상기 도용방지부의 상기 제2 처리모듈에서 생성된 차단요청데이터와, 차단요청 이후,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송받은 차단해제 또는 차단지속 데이터들을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모듈;
    상기 데이터 수집모듈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상기 주기(T) 동안 상기 제2 처리모듈에서 차단요청데이터를 생성한 회수(N1) 대비 상기 주기(T) 동안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차단해제를 요청받은 회수(N2)의 비율인 오인식 비율(N, N=N2/N1)을 산출하는 오인식 비율 산출모듈;
    상기 오인식 비율 산출모듈에 의해 산출된 오인식 비율(N)을, 단위시간당 전력소모량의 최적화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는 오인식 비율의 최대값으로 정의되는 기 설정된 설정값(TH, Threshold)과 비교하는 비교모듈;
    상기 비교모듈에서 1)오인식 비율(N)이 설정값(TH) 미만이면, 해당 전기차 충전기의 단위시간당 전력소모량의 최적화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하며, 2)오인식 비율(N)이 설정값(TH) 이상이면, 해당 전기차 충전기의 단위시간당 전력소모량의 최적화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최적화대상 판별모듈;
    상기 최적화대상 판별모듈에서 최적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 실행되며, 현재 설정되어 있는 단위시간당 전력소모량에, 기 설정된 상수인 ‘β’를 합산하여 단위시간당 전력소모량을 최적화하는 최적화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기 렌탈 서비스 시스템.
KR1020210075152A 2021-06-10 2021-06-10 전기차 충전기 렌탈 서비스 시스템 KR102305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152A KR102305522B1 (ko) 2021-06-10 2021-06-10 전기차 충전기 렌탈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152A KR102305522B1 (ko) 2021-06-10 2021-06-10 전기차 충전기 렌탈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5522B1 true KR102305522B1 (ko) 2021-09-27

Family

ID=77925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152A KR102305522B1 (ko) 2021-06-10 2021-06-10 전기차 충전기 렌탈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55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2409A (ko) 2021-12-01 2023-06-08 전명희 전력거래 중개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력거래 중개서비스 제공방법
CN117541161A (zh) * 2023-10-30 2024-02-09 国网冀北电力有限公司物资分公司 一种电力物资管理平台及方法
CN117541161B (zh) * 2023-10-30 2024-05-31 国网冀北电力有限公司物资分公司 一种电力物资管理平台及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8835A (ko) * 2017-11-22 2019-05-30 주식회사 아이오티봇 IoT 기반 전기자동차 충전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플랫폼
KR20190134881A (ko) * 2018-05-03 2019-12-05 (주)대륜엔지니어링 IoT망을 활용한 원격제어기능을 갖는 전기차 충전시스템
KR20200038713A (ko) * 2018-10-04 2020-04-14 지플라이 주식회사 단말기를 이용한 렌탈 계약 방법 및 시스템
KR102221159B1 (ko) * 2019-01-18 2021-02-26 지플라이 주식회사 물품 렌탈 시스템
KR20210059093A (ko) * 2019-11-14 2021-05-25 대영채비(주)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8835A (ko) * 2017-11-22 2019-05-30 주식회사 아이오티봇 IoT 기반 전기자동차 충전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플랫폼
KR20190134881A (ko) * 2018-05-03 2019-12-05 (주)대륜엔지니어링 IoT망을 활용한 원격제어기능을 갖는 전기차 충전시스템
KR20200038713A (ko) * 2018-10-04 2020-04-14 지플라이 주식회사 단말기를 이용한 렌탈 계약 방법 및 시스템
KR102221159B1 (ko) * 2019-01-18 2021-02-26 지플라이 주식회사 물품 렌탈 시스템
KR20210059093A (ko) * 2019-11-14 2021-05-25 대영채비(주) 전기차 충전 서비스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2409A (ko) 2021-12-01 2023-06-08 전명희 전력거래 중개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력거래 중개서비스 제공방법
CN117541161A (zh) * 2023-10-30 2024-02-09 国网冀北电力有限公司物资分公司 一种电力物资管理平台及方法
CN117541161B (zh) * 2023-10-30 2024-05-31 国网冀北电力有限公司物资分公司 一种电力物资管理平台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3139A (ko)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무인 전기 판매 시스템 및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무인 전기 판매 방법
CA2785705C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host definable pricing
JP6174116B2 (ja) 商品の供給のための装置
JP5489302B2 (ja) 電動車両用給電システム
US20060130033A1 (en) Method for providing a software module to an automotive vehicle control unit, and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US20090079388A1 (en) Automated recharging system
KR101656500B1 (ko) 오프라인 거래가 가능한 전자화폐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EP2772006B1 (en) Charging an energy storage unit
KR20150087878A (ko) 역경매 방식을 이용한 차량 대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007765A (ko) 충전서비스모드에 따라 차별화된 충전비용을 정산하는 충전방법과 급속충전시스템
US20160084672A1 (en) Electricity meter
KR102305522B1 (ko) 전기차 충전기 렌탈 서비스 시스템
CN105825374A (zh) 一种公共场合使用的付费服务运营管理系统装置和方法
CN111598260B (zh) 用于电气维修的方法、系统及计算机存储介质
KR20030089154A (ko) Dvd 대여/판매방법
CN109948813B (zh) 一种基于区块链的维修设备共享的方法、装置及服务器
JP2022127463A (ja)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EP3960531A1 (en) A system for processing a charging fee of an electric vehicle with a mobile device and a method for utilizing a charging data with the same
US20220242267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management methods and systems for community users
US20210291697A1 (en) Power trading system for electrically driven vehicle and charging and discharging apparatus
KR20190014025A (ko) 전기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JP2013037429A (ja) 電気自動車用充電システム
KR102004189B1 (ko) 전기 장치의 시계열적 전력 소비 패턴을 기반으로 전기 장치나 그 사용 용도를 식별하여 전기 장치 또는 그 사용 용도에 대하여 전기 서비스 제공 여부를 결정하거나 장치별 또는 용도별 과금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측정지원장치, 단말 및 서버
KR102652701B1 (ko) 집합건물에서의 전기차량의 충전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N113034132B (zh) 一种用于无源电子负载的分期付款监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