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4534B1 - 서포터 - Google Patents
서포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24534B1 KR102424534B1 KR1020167036426A KR20167036426A KR102424534B1 KR 102424534 B1 KR102424534 B1 KR 102424534B1 KR 1020167036426 A KR1020167036426 A KR 1020167036426A KR 20167036426 A KR20167036426 A KR 20167036426A KR 102424534 B1 KR102424534 B1 KR 1024245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nd
- back contact
- supporter
- auxiliary
- auxiliary ban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8—Braces for providing support to the lower back, e.g. lumbo sacral suppor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3—Corsets or bandages for abdomen, teat or breast support, with or without p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Bipolar Transistors (AREA)
Abstract
서포터의 착용자에 대하여, 광폭의 등접촉부의 상변 및 하변에서의 착용자의 등부로부터 서포터의 떠오름을 방지하여, 착용자의 허리부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는 서포터를 제공한다. 서포터(100)는, 착용자의 등부에 맞닿는 등접촉부(11) 및 등접촉부(11)의 양측으로부터 좌우로 돌출된 돌출부(12)를 구비한 밴드형의 본체부(10)와, 등접촉부(11)의 상변(11a) 근방에서 교차하도록 고정된 좌우 한 쌍의 보조 밴드부(31, 32)와, 보조 밴드부(31, 32)에 형성한 환형의 링부(41, 42)에 느슨하게 삽입된 좌우 한 쌍의 조절 밴드부(51, 52)와, 등접촉부(11)의 하변(11b) 근방에 고정된 밴드형의 지지 밴드부(7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착용자의 일상 동작을 지원할 수 있는 서포터(supporter)에 관한 것이며, 특히, 착용자의 골반을 포위하여 착용자의 허리부 전체를 지지할 수 있는 서포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허리부와 골반을 서포트하는 벨트는, 허리부, 및 골반부를 덮는 폭을 가진 본체 벨트에 있어서, 상기 본체 벨트의 좌우 양 단부에는 착탈용(着脫用)의 면 파스너(hook-and-loop fastener)가 설치되어 있고 착용자의 복부 측에서 체결을 조정하여 감아 장착 가능하게 되고, 상기 본체 벨트의 내면측에 체결력을 각각 각각 조정할 수 있는 허리부용 벨트, 및 골반용 벨트를 병렬하여 형성함으로써, 상기 본체 벨트에 형성된 허리부용 벨트, 및 골반용 벨트에 의해 허리부와 골반을 동시에 서포트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종래의 요통대(腰痛帶)는, 유연한 기포(基布)에 수경화성(水硬化性) 수지를 함침(含浸)한 성형재를 허리부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경화시킨 고정판을, 벨트에 의해 복대(腹帶; abdominal bandage)와 결합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또한, 종래의 서포터는, 등접촉부(back-contact section)를 구비하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양단의 표지면(表地面; front face) 에 형성되는 루프(loop)와, 일단(一端)이 등접촉부의 좌측변의 상단(上端)에 고정되고, 타단이 등접촉부의 우측변의 하단(下端)에 고정되는 제1 보조 밴드부와, 제1 보조 밴드부와 쌍을 이루는 제2 보조 밴드부와, 제1 보조 밴드부의 일단 및 타단 사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링부와, 제1 링부와 쌍을 이루는 제2 링부와, 일단이 본체부의 우측단 측의 루프에 고정되고, 타단이 본체부의 우측단 측의 루프에 걸어장착 가능한 제1 조절 밴드부와, 제1 조절 밴드부와 쌍을 이루는 제2 조절 밴드부를 구비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3 참조).
종래의 허리부와 골반을 서포트하는 벨트(요통대)는, 배면부(고정판) 상에서 허리부용 벨트(상측의 벨트)와 골반용 벨트(하측의 벨트)가 병렬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허리부용 벨트(상측의 벨트)가 배면부(고정판)의 중심의 약간 상측을 압압(押壓)하고, 골반용 벨트(하측의 벨트)가 배면부(고정판)의 중심의 약간 하측을 압압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착용자의 등부(背部; back portion)는 만곡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허리부와 골반을 서포트하는 벨트(요통대)와 같이, 허리부용 벨트(상측의 벨트) 및 골반용 벨트(하측의 벨트)가 배면부(고정판)의 중심 치우침의 상하를 균등하게 압압하는 것으로서는, 배면부(고정판)의 상변 측에 있어서 착용자의 등부로부터 배면부(고정판)의 떠오름(floating)이 생겨, 착용자의 허리부를 충분히 지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서포터는, 착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등접촉부의 상하의 폭을 넓게 한 경우에, 제1 보조 밴드부 및 제2 보조 밴드부의 폭을 넓게 하지 않는 한, 등접촉부에 대한 제1 보조 밴드부 및 제2 보조 밴드부의 중첩 면적이 좁아져, 제1 보조 밴드부 및 제2 보조 밴드부에 의한 등접촉부를 압압하는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서포터는, 착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등접촉부의 상하의 폭을 넓게 한 경우에, 제1 보조 밴드부 및 제2 보조 밴드부의 일단을 등접촉부의 상단에 고정하고, 제1 보조 밴드부 및 제2 보조 밴드부의 타단을 등접촉부의 하단에 고정시킴으로써는, 등접촉부의 상단 및 하단 사이의 간격이 넓기 때문에, 제1 보조 밴드부 및 제2 보조 밴드부에 의한 압압력(押壓力)이 등접촉부의 중앙에 충분히 주어지지 않아, 착용자의 허리부에 대한 등접촉부의 지지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서포터는, 착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등접촉부의 상하의 폭을 넓게 한 경우에, 제1 보조 밴드부와 제2 보조 밴드부와의 교차하는 위치가, 등접촉부의 상변 측으로부터 이동하여 등접촉부의 중심 측에 가까와져, 등접촉부의 상변 측에 있어서 착용자의 등부로부터 등접촉부의 떠오름이 생길 가능성이 있어, 착용자의 허리부를 충분히 지지할 수 없는 새로운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폭이 넓은 등접촉부라도 상변에서의 착용자의 등부로부터 서포터의 떠오름을 방지하여, 착용자의 허리부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는 서포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서포터에 있어서는, 착용자의 등부에 맞닿게 하는 등접촉부와, 등접촉부에 접하여 길이 방향으로 신축성(伸縮性)을 가지는 신축부가 형성되고, 등접촉부의 양측에 형성된 돌출부와, 길이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는 2개의 밴드형체(band shape body)로 이루어지고, 2개의 밴드형체가 등접촉부 상에서 교차하도록 양단이 고정되고, 상기 밴드형체에 환형(環形)의 링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한 한 쌍의 보조 밴드부와, 보조 밴드부의 신축성보다 낮은 신축성을 가지는 2개의 밴드형체로 이루어지고, 각각 보조 밴드부에 형성한 환형의 링부에 느슨하게 삽입하고, 일단을 좌우의 돌출부의 신축부 이외에 고정시키고, 타단에 면 파스너의 훅(hook)을 형성한 한 쌍의 조절 밴드부와, 길이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는 밴드형체로 이루어지고, 등접촉부에 고정되고, 양 단부에 면 파스너의 훅을 형성한 밴드형의 지지 밴드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한 서포터에 있어서는, 폭이 넓은 등접촉부라도 상변 및 하변에서의 착용자의 등부로부터 서포터의 떠오름을 방지하는 동시에, 등접촉부의 상변 및 하변에서의 각각의 밴드부로부터의 압압력에 경중(輕重)을 부여(applying)하여 요통의 타입에 따른 최적의 서포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의 (a)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의 표지면(front face)을 나타낸 도면이며, (b)는 도 1의 (a)에 나타낸 서포터의 안감면(back face)을 나타낸 도면이며, (c)는 도 1의 (a)에 나타낸 서포터의 상측면도이며, (d)는 도 1의 (a)에 나타낸 서포터의 하측면도이다.
도 2의 (a)는 도 1의 (a)에 나타낸 서포터의 제1 조절 밴드부 및 제2 조절 밴드부 및 지지 밴드부의 걸어장착을 해제하여 제1 조절 밴드부를 제1 링부로부터 벗기는 동시에 지지 밴드부를 제1 가이드부로부터 벗긴 상태의 표지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b)는 도 1의 (b)에 나타낸 서포터의 등접촉부에 수납 가능한 압압부(押壓部)의 정면도 및 배면도이며, (c)는 도 2의 (b)에 나타낸 압압부의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이며, (d)는 도 1에 나타낸 서포터의 비신축부(非伸縮部)에 사용하는 더블 라셀 편지(double raschel nitted fabric)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도 1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b)는 도 1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며, (c)는 도 1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우측면도이며, (d)는 도 1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좌측면도이다.
도 4의 (a)는 도 3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방법의 계속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b)는 도 3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방법의 계속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며, (c)는 도 3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방법의 계속을 설명하기 위한 우측면도이며, (d)는 도 3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방법의 계속을 설명하기 위한 좌측면도이다.
도 5의 (a)는 도 4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방법의 계속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b)는 도 4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방법의 계속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며, (c)는 도 4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방법의 계속을 설명하기 위한 우측면도이며, (d)는 도 4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방법의 계속을 설명하기 위한 좌측면도이다.
도 6의 (a)는 도 1에 나타낸 서포터의 제1 링부 및 제2 링부를 나타낸 정면도 및 배면도이며, (b)는 도 6의 (a)에 나타낸 제1 링부 및 제2 링부의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이며, (c)는 도 6의 (a)에 나타낸 제1 링부 및 제2 링부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며, (d)는 도 5의 (c)에 나타낸 제1 링부 근방의 부분 확대도이며, (e)는 도 6의 (d)에 나타낸 부분 확대도에서의 중앙 횡단면도이다.
도 7의 (a)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다른 서포터의 표지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b)는 도 7의 (a)에 나타낸 등접촉부에 대한 압압력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의 (a)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또 다른 서포터의 표지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b)는 도 8의 (a)에 나타낸 서포터의 안감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의 (a)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의 표지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b)는 도 9의 (a)에 나타낸 서포터의 안감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의 (a)는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의 표지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b)는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다른 서포터의 표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a)는 도 1의 (a)에 나타낸 서포터의 제1 조절 밴드부 및 제2 조절 밴드부 및 지지 밴드부의 걸어장착을 해제하여 제1 조절 밴드부를 제1 링부로부터 벗기는 동시에 지지 밴드부를 제1 가이드부로부터 벗긴 상태의 표지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b)는 도 1의 (b)에 나타낸 서포터의 등접촉부에 수납 가능한 압압부(押壓部)의 정면도 및 배면도이며, (c)는 도 2의 (b)에 나타낸 압압부의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이며, (d)는 도 1에 나타낸 서포터의 비신축부(非伸縮部)에 사용하는 더블 라셀 편지(double raschel nitted fabric)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도 1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b)는 도 1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며, (c)는 도 1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우측면도이며, (d)는 도 1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좌측면도이다.
도 4의 (a)는 도 3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방법의 계속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b)는 도 3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방법의 계속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며, (c)는 도 3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방법의 계속을 설명하기 위한 우측면도이며, (d)는 도 3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방법의 계속을 설명하기 위한 좌측면도이다.
도 5의 (a)는 도 4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방법의 계속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b)는 도 4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방법의 계속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며, (c)는 도 4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방법의 계속을 설명하기 위한 우측면도이며, (d)는 도 4에 나타낸 서포터의 착용 방법의 계속을 설명하기 위한 좌측면도이다.
도 6의 (a)는 도 1에 나타낸 서포터의 제1 링부 및 제2 링부를 나타낸 정면도 및 배면도이며, (b)는 도 6의 (a)에 나타낸 제1 링부 및 제2 링부의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이며, (c)는 도 6의 (a)에 나타낸 제1 링부 및 제2 링부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며, (d)는 도 5의 (c)에 나타낸 제1 링부 근방의 부분 확대도이며, (e)는 도 6의 (d)에 나타낸 부분 확대도에서의 중앙 횡단면도이다.
도 7의 (a)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다른 서포터의 표지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b)는 도 7의 (a)에 나타낸 등접촉부에 대한 압압력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의 (a)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또 다른 서포터의 표지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b)는 도 8의 (a)에 나타낸 서포터의 안감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의 (a)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의 표지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b)는 도 9의 (a)에 나타낸 서포터의 안감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의 (a)는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의 표지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b)는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다른 서포터의 표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
서포터(100)는, 허리용(특히, 골반용)의 서포터[코르셋(corset)]으로서 사용되는 것이며,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별하면, 본체부(10)와, 좌우 한 쌍의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와, 좌우 한 쌍의 제1 링부(41) 및 제2 링부(42)와, 좌우 한 쌍의 제1 조절 밴드부(51) 및 제2 조절 밴드부(52)와, 지지 밴드부(70)를 구비한다.
본체부(10)는, 밴드형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밴드형체의 대략 중앙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고, 착용자의 등부에 맞닿게 하는 등접촉부(11)와, 등접촉부(11)의 양측의 양단 부분에 형성되고, 본체부(10)의 양단 부분의 상변(12a) 및 하변(12b)을 대략 평행으로 하고, 등접촉부(11)의 하변(11b)의 수평 부분과 상변(12a) 및 하변(12b)이 이루는 각[예각(銳角) 측]을 θ1(예를 들면, θ1= 12°∼14°)로 하여 상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2)를 구비한다. 또한, 본체부(10)는, 등접촉부(11)의 상변(11a)의 중점(中点)과 하변(11b)의 중점을 연결하는 선분을 대칭축으로 하여 선대칭의 평면 형상이며, 착용자의 허리부에 안감면[도 1의 (b) 참조]을 맞닿아 주회(周回)된다.
그리고, 등접촉부(11)와 돌출부(12)는, 폴리에스테르사를 사용하여 니들 직기(needle loom)에 의해 제직(製織)되는 그로그랭 테이프(grosgrain tape)(13)에 의해 본체부(10)의 표지면 및 안감면으로부터 협지하여 그로그랭 테이프(13)의 에지 단부(端部)를 봉제(縫製)함으로써 연결된다.
또한, 본체부(10)의 표지면 및 안감면으로부터 협지한 그로그랭 테이프(13)에 대한 내층은, 등접촉부(11)의 소재와 돌출부(12)의 소재를 중첩시키지 않고 평탄하게 함으로써, 서포터(100)의 박지화(薄地化)를 도모하여 상쾌한 장착감을 실현하는 동시에, 서포터(100) 상에 중첩을 행해도 아우터 웨어에 쉽게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특히, 등접촉부(11) 및 돌출부(12)의 소재끼리를 물떼새 봉제(지그재그 봉제)에 의해 봉제함으로써, 서포터(100)의 얇음(thinness)을 유지하면서, 서포터(100)의 격한 사용에도 견딜 수 있는 내구성(耐久性)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는, 등접촉부(11), 돌출부(12) 및 그로그랭 테이프(13)의 에지[절단눈(cut-off edge)]을 바인더 테이프(14)에 의해 끼워넣어 봉제하고(바인더) 있지만, 에지 봉제(edge sewing)나 바이어스 보더링 봉제(bias bordering sewing) 등에 의해, 등접촉부(11), 돌출부(12) 및 그로그랭 테이프(13)의 절단눈에서의 풀림 방지나 장식(裝飾)을 행해도 된다. 특히, 돌출부(12)의 절단눈의 바인더는, 물떼새 봉제(지그재그 봉제)에 의해 바인더 테이프(14)를 봉제함으로써, 인접하는 솔기(seam)가 밀집하지 않기 때문에, 돌출부(12)의 길이 방향 L의 신축성을 억제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등접촉부(11)는, 상변(11a)과 돌출부(12)의 상변(12a)을 대략 S자형으로 연속시키도록, 상변(11a)의 양단에 있는 코너부를 만곡시킨 대략 등각(等脚) 사다리꼴의 평면 형상이며, 평행이 아닌 대변(對變; opposite side)[좌측변(11c), 우측변(11d)]과 등접촉부(11)의 하변(11b)의 수평 부분이 이루는 각(예각 측)(θ2)이, 90°―θ1(예를 들면, θ1= 12°∼14°의 경우에는, θ2= 76°∼78°)이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등접촉부(11)는, 광폭(廣幅)(예를 들면, 19cm∼25cm)인 것에 의해, 착용자의 골반의 크기에 대응하여 골반을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등접촉부(11)는, 하변(11b)과 돌출부(12)의 하변(12b)을 대략 S자형으로 연속시키도록, 하변(11b)의 양단에 있는 코너부를 만곡시켜, 돌출부(12)에 대하여 광폭의 평면 형상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등접촉부(11)는, 안감면에 개구부(11e)를 가지는 백형체(bag shape body)이며, 강성(剛性)이 높고 신축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질(硬質)의 판형체로 이루어지는 압압부(60)를 깔창(sock liner)으로 하여 상기 백형체의 내부에 삽입 및 인출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지만, 등접촉부(11)가 신축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이면, 압압부(60)를 삽입할 필요는 없고, 백형체일 필요도 없다.
그리고, 등접촉부(11)를 백형체로 하고, 압압부(60)의 삽입 및 인출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압압부(60)의 유무나 압압부(60)의 재질의 변경 등에 의해, 등접촉부(11)의 경도(硬度)의 조정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등접촉부(11)로부터 압압부(60)를 분리해 냄으로써, 서포터(100)를 세탁할 수 있어, 위생적이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등접촉부(11)를 백형체로 하는 것은, 착용자의 요구에 따른 부속품을 수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포켓 히터(pocket heater)를 수납하여 서포터(100)의 보온력을 높이는 등, 서포터(100)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등접촉부(11)는, 나일론사를 사용하여 더블 라셀 경편기(經編機; warp knitting machine)에 의해 편물되는 메쉬 소재[라셀 메쉬(Raschel mesh)(11f)]를 표지(表地)에 사용함으로써, 백형체의 내부에 머무는 섬유칩 등의 이물질을 편물 스티치(編目; knitted stitch)로부터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위생적인 동시에, 등접촉부(11)에서의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등접촉부(11)는, 라셀 메쉬(11f)의 마무리에 수지가공을 행하고, 경편지(經編地)의 경도를 올려 착용자의 등부에 대한 서포터(100)의 지지력을 강화시키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등접촉부(11)는, 폴리우레탄사 및 내열성이 있는 폴리에스테르사를 사용하여 크로세(crochet) 경편기로 편물되는 크로세 스티치(crochet stitch) 소재[크로세 편지(11g)]를 안감에 사용함으로써, 감촉이 부드럽고, 착용자의 등부에 대한 촉감이 양호하고, 2개의 크로세 편지(11g)를 개구부(11e)에 의해 중첩시킴으로써, 백형체의 내부에 수납한 회로 등의 부속품이 개구부(11e)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등접촉부(11)는, 안감으로서 수지가공을 행하지 않은 경편지를 사용함으로써, 편지(knitted fabric)를 재단해도 편사(編絲)가 절단눈으로부터 풀리지(loose) 않아, 자유로운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는 동시에, 백형체에 부속품을 삽입 가능한 원하는 신축성을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경편기는, 침을 다양하게 사용하여 특별한 패턴으로 한 편지(라셀 편지)를 형성하는 라셀 경편기와, 패턴을 상정(想定)하지 않고 고생산으로 특화한 편지[트리코트 편지(tricot knitted fabric)]를 형성하는 트리코트 경편기로 대별된다. 또한, 라셀 경편기는, 더블 라셀 경편기, 라세리나(Rasserina) 경편기, 레이스(lace) 경편기 또는 크로세 경편기(크로세 편기) 등으로 세분화된다.
또한, 경편(warp knitting)은, 세로 방향[편물 방향(knitting direction)] 편물 스티치(knitted stitch)를 만들어가, 1개씩 평행하게 배열된 수많은 경사(warp threads)[정경사(整經絲)]를 사용하고, 이것을 각각 결합시켜 편지를 만든다.
결합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대표적인 것으로서, 서로 인접하는 경사를 서로 얽히게 하면서 전체로서 편지를 만드는 방법이나, 경사의 각각 1개씩으로, 독립된 많은 쇄편(鎖編)을 만들고, 이에 대하여 별도로 준비한 다른 1조(組)의 경사를 삽입하여, 쇄편의 수개씩을 취하여 모으면서 가로 방향으로 연락(連絡)시켜, 전체로서 편지를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경편은, 잘 풀리지 않고, 가로 방향(편물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신장이 적은 데다가, 고생산성이며, 편폭이 큰 등의 특징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압압부(60)는, 용융점이 105℃∼120℃의 폴리에틸렌 소재보다 내열성이 우수한, 용융점이 150℃∼160℃의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제의 수지 패널을 사용함으로써, 등접촉부(11)에 회로를 수납하는 경우에, 회로의 발열에 의한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압압부(60)는,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접촉부(11)의 평면 형상에 따른 대략 등각 사다리꼴의 평면 형상이며, 4개의 코너부를 둥글게 하고, 상저(上底)(61) 및 하저(下底)(62)의 중앙에 오목부(63)를 형성한 형상인 것에 의해, 상저(61)의 중점과 하저(62)의 중점을 연결하는 선분을 기준으로 하여 압압부(60)가 쉽게 비틀려(twisted), 비틀림에 대하여 반발력이 생겨, 착용자의 동작에 대하여 축족(軸足; axopodium)을 보조하여, 착용자의 보행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압압부(60)에 오목부(63)를 형성하지 않는 수지 패널이면, 상저(61)의 중점과 하저(62)의 중점을 연결하는 선분을 기준으로 하여 압압부(60)가 만곡된 경우에, 상저(61) 중 중앙이 가장 높게 돌출함으로써, 압압부(60)의 돌출 부분이 착용자의 등부에 닿아 통증이 생기게 되므로, 상저(61)의 중앙에 오목부(63)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돌출부(12)는, 등접촉부(11)의 양측에 형성되는 신축성을 가지는 영역[이하, 신축부(12d)라고 함]과, 신축부(12d)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신축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영역[이하, 비신축부(12e)라고 함]으로 이루어진다.
돌출부(12)의 신축부(12d)는, 니들 직기에 의해 제직되고, 폴리우레탄사 및 폴리에스테르사에 더하여, 생지(生地; fabric)의 접힘을 방지하기 위해 나일론제의 모노필라멘트[단섬유(單纖維)]사를 짜넣은(woven) 파워 네트 생지(power net fabric)(12c)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 L의 신축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폭 방향 S의 신축성을 억제한 직지(織地)이다. 그리고, 돌출부(12)의 신축부(12d)는, 후술하는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의 신축성보다 높은 신축성을 가진다.
그리고, 통상의 모노필라멘트사[예를 들면, 1개당 600 데니어(denier)]를 돌출부(12)에 사용한 경우에는, 1개의 모노필라멘트사가 굵고, 와이어와 같은 날실이므로, 모노필라멘트사의 선단이 커트 사이드(cut side)로부터 튀어나와, 착용자를 찌를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돌출부(12)의 신축부(12d)는, 로우 카운트(low count)(낮은 번째)의 모노필라멘트사(예를 들면, 1개당 50 데니어)의 집합사(예를 들면, 10개)를 사용하여, 원하는 경도 및 통기성을 유지한 채, 모노필라멘트사의 선단이 커트 사이드로부터 튀어나오는 것을 억제하고, 모노필라멘트사가 만일 튀어나와도, 1개의 모노필라멘트사의 굵기가 가늘기 때문에, 모노필라멘트사의 선단이 착용자를 찌르지 않아, 착용자의 피부에 대한 자극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돌출부(12)의 신축부(12d)는, 돌출부(12)의 마무리에 수지 농도가 높은 수지가공을 행하고, 직지의 경도를 더 올려 착용자의 앞복부 및 측복부(側腹部)에 대한 서포터(100)의 지지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직지 자체가 메쉬 구조를 위해 통기성이 양호하다.
본체부(10)의 양단[좌측단(10a), 우측단(10b)]의 표지면 및 본체부(10)의 좌측단(10a) 또는 우측단(10b)의 안감면에는, 면 파스너(루프, 훅)가 형성되고, 본체부(10)의 상이한 면을 걸어장착시킨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본체부(10)는, 도 1의 (a)에 나타낸 서포터(100)의 표지면에서의 양단[좌측단(10a), 우측단(10b)] 측에 면 파스너의 루프(21)가 형성되고, 도 1의 (b)에 나타낸 안감면에서의 우측단(10b) 측에 면 파스너의 훅(22a)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관한 돌출부(12)의 비신축부(12e)의 기재(基材)는, 더블 라셀 편기에 의해 제편(製編)되고, 도 2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루프 구조를 가지는 표편면(表編面)(15a)과, 메쉬 구조를 가지는 이편면(裏編面)(15b)과, 더블 라셀 구조를 가지는 연결부(15c)로 구성한 더블 라셀 편지(15)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 L 및 폭 방향 S의 신축성을 억제한 편지이다. 즉, 본 실시형태에 관한 비신축부(12e)[더블 라셀 편지(15)]는, 루프 구조[표편면(15a)]를 가지므로, 도 1의 (a)에 나타낸 서포터(100)의 표지면에서의 양단[좌측단(10a), 우측단(10b)] 측에 형성되는 면 파스너의 루프(21)에 대응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비신축부(12e)[더블 라셀 편지(15)]는, 더블 라셀 메쉬 구조[이편면(15b) 및 연결부(15c)]를 가지므로, 등접촉부(11)[라셀 메쉬(11f), 크로세 편지(11g)] 및 신축부(12d)[파워 네트 생지(12c)]와 비교하여 통기성이 가장 우수하고, 서포터(100)의 착용 상태에서 본체부(10)의 양단의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것에 의해, 서포터(100)의 통기성을 확보하여 착용감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100)는, 파워 네트 생지(12c)와 더블 라셀 편지(15)를 일부 중첩시켜 경계 부분을 봉합(縫合)시키고, 파워 네트 생지(12c) 및 면 파스너의 루프(21)[더블 라셀 편지(15)]의 에지(절단눈)가 바인더 테이프(14)에 의해 끼워넣어져 봉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100)는, 바인더 테이프(14)의 일단을 본체부(10)의 우측단(10b)에 형성하고, 본체부(10)를 주회(周回)한 바인더 테이프(14)의 타단을 본체부(10)의 안감면 측에 형성하고, 면 파스너의 훅(22a) 및 돌출부(12)의 비신축부(12e)[더블 라셀 편지(15)] 사이에서 바인더 테이프(14)의 타단을 끼워넣고, 돌출부(12)의 비신축부(12e)[더블 라셀 편지(15)]에 대한 훅(22a)의 봉제와 동시에 바인더 테이프(14)의 타단을 봉제한다. 이 구성에 의해, 서포터(100)의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는 동시에, 바인더 테이프(14)의 타단이 서포터(10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억제하여, 서포터(100)의 미관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좌우 한 쌍의 보조 밴드부는, 길이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는 2개의 밴드형체[제1 보조 밴드부(31)와 제2 보조 밴드부(32)]로 이루어지고, 등접촉부(11)의 상변(11a) 근방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밴드형체가 교차하도록 고정된다.
제1 보조 밴드부(31)는, 제1 보조 밴드부(31)의 길이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는 밴드형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밴드형체의 일단(31a)이 본체부(10)의 표지면에서의 등접촉부(11)의 상변(11a)의 일단 및/또는 등접촉부(11)의 측변의 한쪽[예를 들면, 좌측변(11c)]의 상단에 고정되고, 본체부(10)의 평면에서 볼 때[도 1의 (a) 참조]에서의 등접촉부(11)의 외측(우측)으로 되접고(folded back), 상기 밴드형체의 타단(31b)이 본체부(10)의 표지면에서의 돌출부(12)의 신축부(12d)에서의 등접촉부(11)에 접하는 측변의 다른 쪽[예를 들면, 우측변(11d)] 근방의 대략 중앙에 고정된다. 그리고, 제1 보조 밴드부(31)의 타단(31b)은, 제1 보조 밴드부(31)와 제2 보조 밴드부(32)가 등접촉부(11)의 상변(11a) 근방에 있어서 교차한다면, 측변의 다른 쪽[예를 들면, 우측변(11d)] 근방의 대략 중앙에 고정될 필요는 없고, 측변의 다른 쪽[예를 들면, 우측변(11d)] 근방의 하단에 접하여 고정되어도 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보조 밴드부(31)의 일단(31a)은,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접촉부(11)의 상변(11a)의 일단[좌측변(11c)의 상단]에 있어서, 일부가 등접촉부(11)[라셀 메쉬(11f)] 및 그로그랭 테이프(13) 사이에서 끼워넣어져 봉제되고, 나머지의 부분이 등접촉부(11)[라셀 메쉬(11f)]와 함께 바인더 테이프(14)에 의해 끼워넣어져 봉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보조 밴드부(31)의 타단(31b)은, 도 1의 (a) 및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접촉부(11)의 측변의 다른 쪽[우측변(11d)] 근방의 대략 중앙에 있어서, 돌출부(12)[파워 네트 생지(12c)] 및 그로그랭 테이프(13) 사이에서 끼워넣어져 봉제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보조 밴드부(31)의 일단(31a)은,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표지면에서의 등접촉부(11)의 상변(11a)의 일단 및 등접촉부(11)의 측변의 한쪽[예를 들면, 좌측변(11c)]의 상단에 걸쳐 고정되어 있지만, 본체부(10)의 표지면에서의 등접촉부(11)의 상변(11a)에만 고정되어도 되고, 등접촉부(11)의 측변의 한쪽[예를 들면, 좌측변(11c)]에만 고정되어도 된다.
제2 보조 밴드부(32)는, 제2 보조 밴드부(32)의 길이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는 밴드형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밴드형체의 일단(32a)이 본체부(10)의 표지면에서의 등접촉부(11)의 상변(11a)의 타단 및/또는 등접촉부(11)의 측변의 다른 쪽[예를 들면, 우측변(11d)]의 상단에 고정되고, 본체부(10)의 평면에서 볼 때[도 1의 (a) 참조]에서의 등접촉부(11)의 외측(좌측)에서 되접고, 상기 밴드형체의 타단(32b)이 본체부(10)의 표지면에서의 돌출부(12)의 신축부(12d)에서의 등접촉부(11)에 접하는 측변의 한쪽[예를 들면, 좌측변(11c)] 근방의 대략 중앙에 고정되어, 제1 보조 밴드부(31)와 쌍을 이룬다. 그리고, 제2 보조 밴드부(32)의 타단(32b)은, 제1 보조 밴드부(31)와 제2 보조 밴드부(32)가 등접촉부(11)의 상변(11a) 근방에 있어서 교차하면, 측변의 한쪽[예를 들면, 좌측변(11c)] 근방의 대략 중앙에 고정될 필요는 없고, 측변의 한쪽[예를 들면, 좌측변(11c)] 근방의 하단에 접하여 고정되어도 된다.
그리고,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의 교차 부분으로서, 제2 보조 밴드부(32)가 제1 보조 밴드부(31) 상을 걸치는(straddle) 구성을, 도 1의 (a), 도 1의 (c) 및 도 1의 (d), 도 2의 (a), 도 3의 (b), 도 3의 (c) 및 도 3의 (d), 도 4의 (b), 도 4의 (c) 및 도 4의 (d), 및 도 5의 (b), 도 5의 (c) 및 도 5의 (d)에 도시하고 있지만, 제1 보조 밴드부(31)가 제2 보조 밴드부(32) 상을 걸치는 구성이라도 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2 보조 밴드부(32)의 일단(32a)은,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접촉부(11)의 상변(11a)의 타단[우측변(11d)의 상단]에 있어서, 일부가 등접촉부(11)[라셀 메쉬(11f)] 및 그로그랭 테이프(13) 사이에서 끼워넣어져 봉제되고, 나머지의 부분이 등접촉부(11)[라셀 메쉬(11f)]와 함께 바인더 테이프(14)에 의해 끼워넣어져 봉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2 보조 밴드부(32)의 타단(32b)은, 도 1의 (a) 및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접촉부(11)의 측변의 한쪽[좌측변(11c)] 근방의 대략 중앙에 있어서, 돌출부(12)[파워 네트 생지(12c)] 및 그로그랭 테이프(13) 사이에서 끼워넣어져 봉제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2 보조 밴드부(32)의 일단(32a)은,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표지면에서의 등접촉부(11)의 상변(11a)의 타단 및 등접촉부(11)의 측변의 다른 쪽[예를 들면, 우측변(11d)]의 상단에 걸쳐 고정되어 있지만, 본체부(10)의 표지면에서의 등접촉부(11)의 상변(11a)에만 고정되어도 되고, 등접촉부(11)의 측변의 다른 쪽[예를 들면, 우측변(11d)]에만 고정되어도 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는, 폴리우레탄사 및 폴리에스테르사를 사용하여 니들 직기에 의해 제직되는 직제 고무를 기재로 하고, 탄성 섬유의 소재로서 폴리우레탄을 사용함으로써, 내구성(내열성)이 우수한 동시에, 탄성 섬유의 소재로서 생고무를 사용하는 경우에 생기는 알레르기 반응(과민성 반응)을 억제하므로, 착용자의 피부에 좋다.
제1 링부(41)는, 환형이며, 제1 보조 밴드부(31)의 일단(31a) 및 타단(32b) 사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링부(41)는, 도 6의 (a) 내지 도 6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1 조절 밴드부(51)의 폭 및 두께에 대응하여 병설되는 2개의 관통공[제1 긴 구멍(41a), 제2 긴 구멍(41b)]을 가진다.
그리고,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1 조절 밴드부(51)의 폭 및 두께에 대응한 관통공이란, 제1 링부(41)의 슬라이딩에 영향이 없고, 관통공[제1 긴 구멍(41a), 제2 긴 구멍(41b)] 내에서, 밴드부[제1 보조 밴드부(31), 제1 조절 밴드부(51)] 자신이 비틀림 없는(not twisted) 구멍의 크기인 것을 의미한다.
제2 링부(42)는, 환형이며, 제2 보조 밴드부(32)의 일단(32a) 및 타단(32b) 사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고, 제1 링부(41)와 쌍을 이룬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2 링부(42)는, 도 6의 (a) 내지 도 6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보조 밴드부(32) 및 제2 조절 밴드부(52)의 폭 및 두께에 대응하여 병설되는 2개의 관통공[제1 긴 구멍(42a), 제2 긴 구멍(42b)]을 가진다.
그리고, 제2 보조 밴드부(32) 및 제2 조절 밴드부(52)의 폭 및 두께에 대응한 관통공이란, 제2 링부(42)의 슬라이딩에 영향이 없고, 관통공[제1 긴 구멍(42a), 제2 긴 구멍(42b)] 내에서, 밴드부[제2 보조 밴드부(32)], 제2 조절 밴드부(52)] 자신이 비틀림 없는 구멍의 크기인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링부(41) 및 제2 링부(42)는, 금형 성형기에 의해 성형되는 플랫 캔(flat can)이며, 소재로서 폴리아세탈을 사용함으로써, 고경도(高硬度), 유연성 및 내열성을 겸비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링부(41) 및 제2 링부(42)는, 2개의 관통공[제1 긴 구멍(42a), 제2 긴 구멍(42b)]을 가지는 구성이지만, 1개의 관통공을 가지고, 제1 보조 밴드부(31)[제2 보조 밴드부(32)] 및 제1 조절 밴드부(51)[제2 조절 밴드부(52)]를 상기 1개의 관통공에 삽입하는 구성이라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좌우 한 쌍의 조절 밴드부는, 길이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는 2개의 밴드형체[제1 조절 밴드부(51)와 제2 조절 밴드부(52)]로 이루어진다.
제1 조절 밴드부(51)는, 제1 링부(41)에 느슨하게 삽입되어, 제1 보조 밴드부(31)의 신축성보다 낮은 신축성의 밴드형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밴드형체의 일단(51a)이 본체부(10)의 표지면에서의 본체부(10)의 우측단(10b) 측의 돌출부(12)의 비신축부(12e)에 고정되고, 본체부(10)의 평면에서 볼 때[도 1의 (a) 참조]에서의 제1 보조 밴드부(31)의 되접는 부분(folded back)[굴곡부(31c)]에 서로 대향하여 제1 링부(41)에 삽통(揷通)되어 되접히고, 상기 밴드형체의 타단(51b)이 본체부(10)의 표지면에서의 상기 본체부(10)의 우측단(10b) 측의 돌출부(12)의 신축부(12d) 이외에 걸어장착 가능하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조절 밴드부(51)의 일단(51a)은, 제1 조절 밴드부(51)의 타단(51b)의 걸어장착을 해제한 평치(平置; horizontally mounted) 상태[도 2의 (a) 참조]에 있어서, 본체부(10)의 표지면에서의 본체부(10)의 우측단(10b) 측의 돌출부(12)의 비신축부(12e)의 대략 중앙을 지점(支点)으로 하여,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의 교차 부분에 타단(51b) 측을 향해 경사지게 고정된다.
또한, 제1 조절 밴드부(51)의 일단(51a)의 고정 위치 및 타단(51b) 측의 걸어장착 위치는, 서포터(100)의 평치 상태[도 1의 (a) 참조]에서의, 자연 길이의 제1 보조 밴드부(31)에 속박되는 제1 링부(41)의 가동역(可動域) 중, 상기 제1 보조 밴드부(31)의 일단(31a) 및 타단(31b)으로부터 가장 이격된 위치[굴곡부(31c)]에 대하여, 본체부(10)의 우측단(10b) 측이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조절 밴드부(51)는, 폴리프로필렌사 및 폴리에스테르사를 사용하여 니들 직기에 의해 제직되는 PP 테이프를 기재로 하고, 돌출부(12)의 폭 방향 S의 대략 중앙에서의 돌출부(12)의 신축부(12d)[파워 네트 생지(12c)] 및 비신축부(12e)[더블 라셀 편지(15)] 사이에서 제1 조절 밴드부(51)(기재)의 일단(51a)을 끼워넣고, 돌출부(12)의 신축부(12d)[파워 네트 생지(12c)]와 비신축부(12e)[더블 라셀 편지(15)]와의 봉제와 동시에 일단(51a)이 봉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조절 밴드부(51)는, 제1 조절 밴드부(51)(기재)의 타단(51b)에서의, 본체부(10)의 우측단(10b) 측의 면 파스너의 루프(21)에 대향하는 면에, 본체부(10)의 우측단(10b) 측의 면 파스너의 루프(21)에 걸어장착하는 면 파스너의 훅(22b)[도 2의 (a) 참조]을 봉제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조절 밴드부(51)는, 타단(51b)으로 되는 기재의 단부를 되접고[접는 구조(folded structure)], 면 파스너의 훅(22b)을 되접는 부분(접는 구조)에 중첩시켜 봉제함으로써, 타단(51b)의 두께가 두껍게 되어, 제1 링부(41)로부터의 제1 조절 밴드부(51)의 탈락을 방지하는 동시에, 착용자가 타단(51b)을 파지하기 쉬워, 사용하기 쉬운 서포터(100)를 얻을 수 있다.
제2 조절 밴드부(52)는, 제2 링부(42)에 느슨하게 삽입되어, 제2 보조 밴드부(32)의 신축성보다 낮은 신축성의 밴드형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밴드형체의 일단(52a)이 본체부(10)의 표지면에서의 본체부(10)의 좌측단(10a) 측의 돌출부(12)의 비신축부(12e)에 고정되고, 본체부(10)의 평면에서 볼 때[도 1의 (a) 참조]에서의 제2 보조 밴드부(32)의 되접는 부분[굴곡부(32c)]에 서로 대향하여 제2 링부(42)에 삽통하여 되접고, 상기 밴드형체의 타단(52b)이 본체부(10)의 표지면에서의 상기 본체부(10)의 좌측단(10a) 측의 돌출부(12)의 신축부(12d) 이외에 걸어장착 가능하며, 제1 조절 밴드부(51)와 쌍을 이룬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2 조절 밴드부(52)의 일단(52a)은, 제2 조절 밴드부(52)의 타단(52b)의 걸어장착을 해제한 평치 상태[도 2의 (a) 참조]에 있어서, 본체부(10)의 표지면에서의 본체부(10)의 좌측단(10a) 측의 돌출부(12)의 비신축부(12e)의 대략 중앙을 지점으로 하여,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의 교차 부분에 타단(52b) 측을 향해 경사지게 고정된다.
또한, 제2 조절 밴드부(52)의 일단(52a)의 고정 위치 및 타단(52b) 측의 걸어장착 위치는, 서포터(100)의 평치 상태[도 1의 (a) 참조]에서의, 자연 길이의 제2 보조 밴드부(32)에 속박되는 제2 링부(42)의 가동역 중, 상기 제2 보조 밴드부(32)의 일단(32a) 및 타단(32b)으로부터 가장 이격된 위치[굴곡부(32c)]에 대하여, 본체부(10)의 좌측단(10a) 측이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2 조절 밴드부(52)는, 폴리프로필렌사 및 폴리에스테르사를 사용하여 니들 직기에 의해 제직되는 PP 테이프를 기재로 하고, 돌출부(12)의 폭 방향 S의 대략 중앙에서의 돌출부(12)의 신축부(12d)[파워 네트 생지(12c)] 및 비신축부(12e)[더블 라셀 편지(15)] 사이에서 제2 조절 밴드부(52)(기재)의 일단(52a)을 끼워넣고, 돌출부(12)의 신축부(12d)[파워 네트 생지(12c)]와 비신축부(12e)[더블 라셀 편지(15)]와의 봉제와 동시에 일단(52a)이 봉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2 조절 밴드부(52)는, 제2 조절 밴드부(52)(기재)의 타단(52b)에서의, 본체부(10)의 좌측단(10a) 측의 면 파스너의 루프(21)에 대향하는 면에, 본체부(10)의 좌측단(10a) 측의 면 파스너의 루프(21)에 걸어장착하는 면 파스너의 훅(22c)[도 2의 (a) 참조]을 봉제에 의해 형성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2 조절 밴드부(52)는, 타단(52b)으로 되는 기재의 단부를 되접고(접는 구조), 면 파스너의 훅(22c)을 되접는 부분(접는 구조)에 중첩시켜 봉제함으로써, 타단(52b)의 두께가 두껍게 되어, 제2 링부(42)로부터의 제2 조절 밴드부(52)의 탈락을 방지하는 동시에, 착용자가 타단(52b)을 파지하기 쉬워, 사용하기 쉬운 서포터(100)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100)는, 제1 보조 밴드부(31)의 자연 길이가, 등접촉부(11)의 상변(11a)의 일단[좌측변(11c)의 상단] 및 등접촉부(11)의 측변의 다른 쪽[우측변(11d)]의 대략 중앙 사이의 간격보다 길고, 제2 보조 밴드부(32)의 자연 길이가, 등접촉부(11)의 상변(11a)의 타단[우측변(11d)의 상단] 및 등접촉부(11)의 측변의 한쪽[좌측변(11c)]의 대략 중앙 사이의 간격보다 길다.
그러므로, 제1 보조 밴드부(31)는, 제1 조절 밴드부(51)[제1 링부(41)]로부터의 인장(引張) 하중을 받고 있지 않는 상태(이완 상태)에 있어서도, 만곡 부분[제1 링부(41)]에 걸어맞추어지는 굴곡부(31c)가 생기고 있고, 서포터(100)를 착용하여 제1 조절 밴드부(51)를 전방으로 압출(押出)하는 경우에, 제1 보조 밴드부(31)의 신장(伸長) 방향이 특정되고, 제1 보조 밴드부(31)의 신장 초기(extension starting)의 저항이 작아, 원활하게 압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보조 밴드부(32)는, 이완 상태에 있어서도, 만곡 부분[제2 링부(42)]에 걸어맞추어지는 굴곡부(32c)가 생기고 있고, 서포터(100)를 착용하여 제2 조절 밴드부(52)를 전방으로 압출하는 경우에, 제2 보조 밴드부(32)의 신장 방향이 특정되고, 제2 보조 밴드부(32)의 신장 초기의 저항이 작아, 원활하게 압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지지 밴드부(70)는, 길이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는 밴드형체로 이루어지고,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의 교차 부분으로부터 등접촉부(11)의 하변(11b)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등접촉부(11)의 하변(11b) 근방에 고정되고, 면 파스너의 훅(22d)이 양 단부에 형성된다.
즉, 지지 밴드부(70)는, 등접촉부(11) 상에서는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의 교차 부분과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100)는, 등접촉부(11)의 양 측변[좌측변(11c), 우측변(11d)]의 하단 근방에 형성되고, 지지 밴드부(70)를 삽통시키는 환형의 제1 가이드부(71)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지지 밴드부(70)는,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와 마찬가지로, 폴리우레탄사 및 폴리에스테르사를 사용하여 니들 직기에 의해 제직되는 직제 고무를 기재로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지지 밴드부(70)는, 지지 밴드부(70)(기재)의 양단[좌측단(70a), 우측단(70b)]에서의, 본체부(10)의 면 파스너의 루프(21)에 대향하는 면에, 본체부(10)의 면 파스너의 루프(21)에 걸어장착하는 면 파스너의 훅(22d)[도 2의 (a) 참조]을 봉제에 의해 형성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가이드부(71)는, 그로그랭 테이프를 사용하고 있고, 1개의 그로그랭 테이프를 절반으로 굴곡시키고, 굴곡된 그로그랭 테이프의 양단을 등접촉부(11), 돌출부(12) 및 그로그랭 테이프(13)의 에지와 함께 바인더 테이프(14)에 의해 끼워넣어져 봉제되어 있다. 또한, 제1 가이드부(71)는, 그로그랭 테이프(13)를 따르게 하여, 그로그랭 테이프의 굴곡 부분을 본체부(10)[그로그랭 테이프(13), 라셀 메쉬(11f), 크로세 편지(11g), 파워 네트 생지(12c)]에 봉제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지지 밴드부(70)는, 1개의 밴드형체를 기재로 하고, 상기 밴드형체의 중앙부를 등접촉부(11)의 하변(11b)의 중앙 근방에 봉제[솔기(70c)]하여 등접촉부(11)에 고정되고, 훅(22d)이 양단[좌측단(70a), 우측단(70b)]에 형성되는 구성이지만, 동일한 길이 및 폭 및 신장률인 2개의 밴드형체를 기재로 하고, 각각의 밴드형체의 일단을 등접촉부(11)의 하변(11b)의 중앙 근방에 각각 봉제하여 등접촉부(11)에 고정되고, 훅(22d)이 타단에 각각 형성되는 구성이라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지지 밴드부(70)는, 도 6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링부(41) 및 제2 링부(42)에 대하여 돌출부(12)의 하변(12b) 측에 형성된다.
이로써, 서포터(100)를 착용한 경우에, 제1 링부(41) 및 제2 링부(42)는, 지지 밴드부(70)에 간섭하지 않으므로, 착용자의 동작에 따른 제1 링부(41) 및 제2 링부(42)의 동작을 저해하지 않는다. 즉,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100)는, 제1 링부(41) 및 제2 링부(42)의 슬라이딩에 의해, 제1 보조 밴드부(31)[제2 보조 밴드부(32)]에서의 굴곡부(31c)[굴곡부(32c)] 및 일단(31a)[일단(32a)] 사이의 길이(신축(伸縮)과 굴곡부(31c)[굴곡부(32c)] 및 타단(31b)[타단(32b)] 사이의 길이(신축)를 착용자의 동작에 맞추어 조정할 수 있어, 제1 보조 밴드부(31)[제2 보조 밴드부(32)]의 주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밴드부(70)는, 제1 링부(41) 및 제2 링부(42)에 간섭하지 않으므로, 서포터(100)를 착용할 때, 지지 밴드부(70)를 본체부(10)에 걸어장착한 후에 제1 조절 밴드부(51) 및 제2 조절 밴드부(52)를 본체부(10)에 걸어장착하는 경우에, 제1 조절 밴드부(51) 및 제2 조절 밴드부(52)를 전방으로 압출하는 동작에 따른 제1 링부(41) 및 제2 링부(42)의 동작을 저해하지 않아, 제1 링부(41) 및 제2 링부(42)를 원활하게 슬라이딩시키는 것이 가능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지지 밴드부(70)는, 본체부(10)의 평면에서 볼 때[도 1의 (a) 참조]에 있어서,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의 타단(31b, 32b)의 일부에만 중첩되는 것에 의해, 제1 링부(41) 및 제2 링부(42)에 간섭하지 않고, 서포터(100)를 착용한 경우에,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의 타단(31b, 32b)을 압압하고, 타단(31b, 32b) 근방에서의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의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지지 밴드부(70)는, 본체부(10)의 평면에서 볼 때[도 1의 (a) 참조]에 있어서, 제1 조절 밴드부(51) 및 제2 조절 밴드부(52)의 일단(51a, 52a)의 일부에만 중첩되는 것에 의해, 제1 링부(41) 및 제2 링부(42)에 간섭하지 않고, 서포터(100)를 착용한 경우에, 제1 조절 밴드부(51) 및 제2 조절 밴드부(52)의 일단(51a, 52a)을 압압하여, 일단(51a, 52a) 근방에서의 제1 조절 밴드부(51) 및 제2 조절 밴드부(52)의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서포터(100)가,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 제1 링부(41) 및 제2 링부(42), 제1 조절 밴드부(51) 및 제2 조절 밴드부(52), 및 지지 밴드부(70)를 구비하는 것에 의한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서포터(100)의 착용 수순과 함께,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착용자는, 등접촉부(11)의 내부에 개구부(11e)를 통하여 압압부(60)를 삽입하고, 제1 조절 밴드부(51)의 훅(22b)과 본체부(10)[돌출부(12)]의 우측단(10b) 측의 루프(21)와의 걸어장착을 해제하고, 제2 조절 밴드부(52)의 훅(22c)과 본체부(10)[돌출부(12)]의 좌측단(10a) 측의 루프(21)와의 걸어장착을 해제하는 동시에, 지지 밴드부(70)의 양단[좌측단(70a), 우측단(70b)] 측의 훅(22d)과 본체부(10)[돌출부(12)]의 양단[좌측단(10a), 우측단(10b)] 측의 루프(21)와의 걸어장착을 해제한 상태로 한다.
그리고, 착용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등접촉부(11)를 착용자의 등부(골반)에 지지시킨 데 더하여, 돌출부(12)의 신축부(12d)를 길이 방향 L의 신장의 한계까지 신장시킨 상태에 있어서, 본체부(10)를 좌측단(10a) 측으로부터 착용자의 허리부에 권취시킨 후에, 우측단(10b) 측으로부터 착용자의 허리부에 권취시켜, 본체부(10)[돌출부(12)]의 우측단(10b) 측의 훅(22a)을 본체부(10)[돌출부(12)]의 좌측단(10a) 측의 루프(21)에 걸어장착시킨다.
이 경우에,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는, 제1 조절 밴드부(51)[제1 링부(41)] 및 제2 조절 밴드부(52)[제2 링부(42)]로부터의 인장 하중을 받고 있지 않으므로, 이완 상태(자연 길이)이며, 등접촉부(11)를 압압하고 있지 않다.
그리고, 착용자는, 제1 조절 밴드부(51)의 타단(51b) 및 제2 조절 밴드부(52)의 타단(52b)을 한 손으로 각각 파지하여 제1 조절 밴드부(51) 및 제2 조절 밴드부(52)를 전방으로 압출한다.
이 경우에, 제1 링부(41)는, 제1 조절 밴드부(51)의 타단(51b)의 동작에 추종하여 제1 조절 밴드부(51) 상을 슬라이딩하고, 제1 보조 밴드부(31)가 신축성을 가지므로, 전방으로 이동하고, 제1 보조 밴드부(31)는, 제1 링부(41)의 동작에 추종하여 신장된다.
마찬가지로, 제2 링부(42)는, 제2 조절 밴드부(52)의 타단(52b)의 동작에 추종하여 제2 조절 밴드부(52) 상을 슬라이딩하고, 제2 보조 밴드부(32)가 신축성을 가지므로, 전방으로 이동하고, 제2 보조 밴드부(32)는, 제2 링부(42)의 동작에 추종하여 신장된다.
또한, 돌출부(12)의 신축부(12d)에는, 제1 보조 밴드부(31), 제1 링부(41) 및 제1 조절 밴드부(51), 및 제2 보조 밴드부(32), 제2 링부(42) 및 제2 조절 밴드부(52)에 의해, 등접촉부(11)[그로그랭 테이프(13)] 및 면 파스너[루프(21)]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방향으로 힘이 기능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100)에서는,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의 신축성보다 높은 신축성을 가지는 신축부(12d)를 길이 방향 L의 신장의 한계까지 신장시킨 상태에 있어서, 본체부(10)의 우측단(10b) 측의 훅(22a)을 본체부(10)의 좌측단(10a) 측의 루프(21)에 걸어장착시키고 있으므로, 신장되어 버린 신축부(12d)가 수축되기 시작하기 전에,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가 신장하기 시작하게 되어, 신축부(12d)의 신장분만큼 등접촉부(11) 및 루프(21) 사이의 간격을 좁힐 수가 있어 신축부(12d)에서의 주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보조 밴드부(31)는, 굴곡부(31c) 및 타단(31b) 사이의 밴드형체의 신장이 한계값에 도달하면, 제1 링부(41)를 위쪽으로 이동시켜, 굴곡부(31c) 및 일단(31a) 사이의 밴드형체를 타단(31b) 측으로 송출하고, 일단(31a) 측의 밴드형체와 타단(31b) 측의 밴드형체가 서로 보완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2 보조 밴드부(32)는, 굴곡부(32c) 및 타단(32b) 사이의 밴드형체의 신장이 한계값에 도달하면, 제2 링부(42)를 위쪽으로 이동시켜, 굴곡부(32c) 및 일단(32a) 사이의 밴드형체를 타단(32b) 측으로 송출하고, 일단(32a) 측의 밴드형체와 타단(32b) 측의 밴드형체가 서로 보완하게 된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착용자는, 허리부에 대한 원하는 체결감이 얻어진 단계에서, 제1 조절 밴드부(51)의 훅(22b)을 본체부(10)[돌출부(12)]의 우측단(10b) 측의 루프(21)에 걸어장착시키고, 제2 조절 밴드부(52)의 훅(22c)을 본체부(10)[돌출부(12)]의 좌측단(10a) 측의 루프(21)에 걸어장착시킨다.
이 경우에,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는, 제1 조절 밴드부(51)[제1 링부(41)] 및 제2 조절 밴드부(52)[제2 링부(42)]로부터의 인장 하중을 받고 있으므로, 긴장(緊張) 상태이며, 일단(31a, 32a), 타단(31b, 32b) 및 굴곡부(31c, 32c)의 3점 지지에 의한 등접촉부(11)의 상변(11a) 근방에서 교차함으로써,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 전체에서 등접촉부(11)의 상변(11a) 근방을 압압한다.
마지막으로 착용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밴드부(70)의 좌측단(70a) 및 우측단(70b)을 한 손으로 각각 파지하여 지지 밴드부(70)를 전방으로 압출(壓出)하여, 허리부에 대한 원하는 체결감이 얻어진 단계에서, 지지 밴드부(70)의 우측단(70b) 측의 훅(22d)을 본체부(10)[돌출부(12)]의 우측단(10b) 측의 루프(21)에 걸어장착시키고, 지지 밴드부(70)의 좌측단(70a) 측의 훅(22c)을 본체부(10)[돌출부(12)]의 좌측단(10a) 측의 루프(21)에 걸어장착시킨다.
이 경우에, 지지 밴드부(70)는, 긴장 상태이며, 등접촉부(11)의 하변(11b) 근방을 압압한다.
그리고, 전술한 서포터(100)의 착용 수순은, 제1 조절 밴드부(51) 및 제2 조절 밴드부(52)를 본체부(10)[돌출부(12)]에 걸어장착한 후에 지지 밴드부(70)를 본체부(10)[돌출부(12)]에 걸어장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지지 밴드부(70)를 본체부(10)[돌출부(12)]에 걸어장착한 후에 제1 조절 밴드부(51) 및 제2 조절 밴드부(52)를 본체부(10)[돌출부(12)]에 걸어장착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100)는, 종래의 서포터의 등접촉부의 폭과 비교하여 등접촉부(11)의 폭을 넓게 한 것에 따른, 등접촉부(11)에 대한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에 의한 압압력의 비율의 감소를, 지지 밴드부(70)에 의해 보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100)는, 등접촉부(11)에 대한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의 교차 부분 및 지지 밴드부(70)의 압압력에 의해, 등접촉부(11)의 상변(11a) 및 하변(11b)에서의 착용자의 등부로부터의 서포터(100)의 떠오름을 방지하여, 착용자의 허리부 전체를 지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100)는,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의 교차 부분에 의한 등접촉부(11)의 상변(11a) 근방의 가장 강한 압압력 FA와, 제1 보조 밴드부(31)의 타단(31b) 및 제2 보조 밴드부(32)의 타단(32b)으로부터의 인장 하중에 의한 등접촉부(11)의 중앙의 약한 압압력 FB와, 지지 밴드부(70)에 의한 등접촉부(11)의 하변(11b) 근방의 강한 압압력 FC를 등접촉부(11)에게 줄 수가 있다(FA>FC>FB). 이로써,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100)는, 등접촉부(11)의 상변(11a) 근방 및 하변(11b) 근방에서의 착용자의 등부로부터의 떠오름을 방지하고, 착용자의 허리부의 만곡면에 대응하여, 착용자의 허리부 전체를 적절한 압압력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100)는,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의 교차 부분을 등접촉부(11)의 상변(11a) 근방에 형성함으로써,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의 교차 부분이 착용자의 제1 요추(腰椎) 및 제2 요추 근방에 위치하므로, 착용자의 제1 요추 및 제2 요추 근방을 지지하여, 추간판(椎間板) 탈출증 등의 요통을 완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100)는,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접촉부(11)의 상변(11a) 근방[영역(A)], 중앙[영역(B)] 및 하변(11b) 근방[영역(C)]에 대하여 상이한 압압력(FA>FC>FB)을 줄 수 있는 것이면,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밴드부(70)가,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의 타단(31b, 32b), 및 제1 조절 밴드부(51) 및 제2 조절 밴드부(52)의 일단(51a, 52a)에 중첩되지 않는 구성이라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100)는, 도 1의 (a) 및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12)가 등접촉부(11)의 양측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12)가 등접촉부(11)의 양측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된 서포터(100)라도 되고, 돌출부(12)가 등접촉부(11)의 양측으로부터 대략 수평으로 돌출된 서포터(100)라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
도 9의 (a)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의 표지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의 (b)는 도 9의 (a)에 나타낸 서포터의 안감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있어서, 도 1과 같은 부호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는, 등접촉부(11)의 상변(11a) 근방에 있어서 2개의 밴드형체가 교차하도록 일단(31a, 32a) 및 타단(31b, 32b)이 고정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는, 등접촉부(11)의 하변(11b) 근방에 있어서 2개의 밴드형체가 교차하도록 일단(31a, 32a) 및 타단(31b, 32b)이 고정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지지 밴드부(70)는,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의 교차 부분으로부터 등접촉부(11)의 상변(11a)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등접촉부(11)의 상변(11a) 근방에 고정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지지 밴드부(70)는, 등접촉부(11) 상에서는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의 교차 부분과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지지 밴드부(70)는, 도 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링부(41) 및 제2 링부(42)에 대하여 돌출부(12)의 상변(12a) 측에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가이드부(71)는, 등접촉부(11)의 양 측변[좌측변(11c), 우측변(11d)]의 상단 근방에 형성되어, 지지 밴드부(70)를 삽통시킨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보조 밴드부(31)는, 일단(31a)이 본체부(10)의 표지면에서의 등접촉부(11)의 하변(11b)의 일단 및/또는 등접촉부(11)의 측변의 한쪽[예를 들면, 좌측변(11c)]의 하단에 고정되고, 본체부(10)의 평면에서 볼 때(도 9의 (a) 참조]에서의 등접촉부(11)의 외측(우측)으로 되접고, 상기 밴드형체의 타단(31b)이 본체부(10)의 표지면에서의 돌출부(12)의 신축부(12d)에서의 등접촉부(11)에 접하는 측변의 다른 쪽[예를 들면, 우측변(11d)] 근방의 대략 중앙에 고정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2 보조 밴드부(32)는, 일단(32a)이 본체부(10)의 표지면에서의 등접촉부(11)의 하변(11b)의 타단 및/또는 등접촉부(11)의 측변의 다른 쪽[예를 들면, 우측변(11d)]의 하단에 고정되고, 본체부(10)의 평면에서 볼 때[도 9의 (a) 참조]에서의 등접촉부(11)의 외측(좌측)으로 되접고, 상기 밴드형체의 타단(32b)이 본체부(10)의 표지면에서의 돌출부(12)의 신축부(12d)에서의 등접촉부(11)에 접하는 측변의 한쪽[예를 들면, 좌측변(11c)] 근방의 대략 중앙에 고정된다.
그리고, 제1 보조 밴드부(31)의 양단[일단(31a), 타단(31b)] 및 제2 보조 밴드부(32)의 양단[일단(32a), 타단(32b)]은, 제1 보조 밴드부(31)와 제2 보조 밴드부(32)가 등접촉부(11)의 하변(11b) 근방에서 교차하는 것이면, 도 9의 (a)에 나타낸 고정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100)는,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의 교차 부분에 의한 등접촉부(11)의 하변(11b) 근방[영역(C), 도 7의 (b) 참조]의 가장 강한 압압력 FC와, 제1 보조 밴드부(31)의 타단(31b) 및 제2 보조 밴드부(32)의 타단(32b)으로부터의 인장 하중에 의한 등접촉부(11)의 중앙[영역(B), 도 7의 (b) 참조]의 약한 압압력 FB와, 지지 밴드부(70)에 의한 등접촉부(11)의 상변(11a) 근방[영역(A), 도 7의 (b) 참조]의 강한 압압력 FA를 등접촉부(11)에 줄 수가 있다(FC>FA>FB). 이로써,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100)는, 등접촉부(11)의 상변(11a) 근방 및 하변(11b) 근방에서의 착용자의 등부로부터의 떠오름을 방지하고, 착용자의 허리부의 만곡면에 대응하여, 착용자의 허리부 전체를 적절한 압압력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100)는,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의 교차 부분을 등접촉부(11)의 하변(11b) 근방에 형성함으로써,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의 교차 부분이 착용자의 선장관절(仙腸關節) 근방에 위치하므로, 선장관절의 동작을 제한하여, 선장관절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100)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12)가 등접촉부(11)의 양측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돌출부(12)가 등접촉부(11)의 양측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된 서포터(100)라도 되고, 돌출부(12)가 등접촉부(11)의 양측으로부터 대략 수평으로 돌출된 서포터(100)라도 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
도 10의 (a)는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의 표지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의 (b)는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다른 서포터의 표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있어서, 도 1과 같은 부호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100)는, 도 1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의 돌출부(12)의 신축부(12d)에 각각 형성되고, 제1 조절 밴드부(51) 및 제2 조절 밴드부(52)를 각각 삽통시키는 환형의 제2 가이드부(53)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2 가이드부(53)는, 제1 가이드부(71)와 마찬가지의 그로그랭 테이프나 폴리에스테르사를 사용하여 편물되는 니트 테이프 등의 테이프를 사용하고 있고, 서포터(100)의 표지면에서의 신축부(12d)[파워 네트 생지(12c)] 상에 상단 및 하단을 봉제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서포터(100)는, 제2 가이드부(53)를 구비함으로써, 제1 조절 밴드부(51) 및 제2 조절 밴드부(52)를 각각 위치결정하고, 불필요한 방향으로의 견인을 억제하여, 제1 보조 밴드부(31) 및 제2 보조 밴드부(32)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1 조절 밴드부(51)[제2 조절 밴드부(52)]는, 타단(51b)[타단(52b)]의 폭을, 제2 가이드부(53)의 상하의 봉제 부분 사이의 폭보다 넓게 함으로써, 제2 가이드부(53)로부터의 제1 조절 밴드부(51)[제2 조절 밴드부(52)]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2 가이드부(53)는, 도 1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조절 밴드부(51)[제2 조절 밴드부(52)]만을 횡단하는 길이의 테이프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 길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축부(12d)를 횡단하는 길이의 테이프를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테이프의 양단을 신축부(12d)의 에지와 함께 바인더 테이프(14)에 의해 끼워넣어져 봉제되고, 제1 조절 밴드부(51)[제2 조절 밴드부(52)]의 측변 근방에서 신축부(12d)에 테이프를 봉제한다.
10: 본체부
10a: 좌측단
10b: 우측단
11: 등접촉부
11a: 상변
11b: 하변
11c: 좌측변
11d: 우측변
11e: 개구부
11f: 라셀 메쉬
11g: 크로세 편지
12: 돌출부
12a: 상변
12b: 하변
12c: 파워 네트 생지
12d: 신축부
12e: 비신축부
13: 그로그랭 테이프
14: 바인더 테이프
15: 더블 라셀 편지
15a: 표편면
15b: 이편면
15c: 연결부
21: 루프
22a, 22b, 22c, 22d: 훅
31: 제1 보조 밴드부
31a: 일단
31b: 타단
31c: 굴곡부
32: 제2 보조 밴드부
32a: 일단
32b: 타단
32c: 굴곡부
41: 제1 링부
41a: 제1 긴 구멍
41b: 제2 긴 구멍
42: 제2 링부
42a: 제1 긴 구멍
42b: 제2 긴 구멍
51: 제1 조절 밴드부
51a: 일단
51b: 타단
52: 제2 조절 밴드부
52a: 일단
52b: 타단
53: 제2 가이드부
60: 압압부
61: 상저
62: 하저
63: 오목부
70: 지지 밴드부
70a: 좌측단
70b: 우측단
70c: 솔기
71: 제1 가이드부
100: 서포터
10a: 좌측단
10b: 우측단
11: 등접촉부
11a: 상변
11b: 하변
11c: 좌측변
11d: 우측변
11e: 개구부
11f: 라셀 메쉬
11g: 크로세 편지
12: 돌출부
12a: 상변
12b: 하변
12c: 파워 네트 생지
12d: 신축부
12e: 비신축부
13: 그로그랭 테이프
14: 바인더 테이프
15: 더블 라셀 편지
15a: 표편면
15b: 이편면
15c: 연결부
21: 루프
22a, 22b, 22c, 22d: 훅
31: 제1 보조 밴드부
31a: 일단
31b: 타단
31c: 굴곡부
32: 제2 보조 밴드부
32a: 일단
32b: 타단
32c: 굴곡부
41: 제1 링부
41a: 제1 긴 구멍
41b: 제2 긴 구멍
42: 제2 링부
42a: 제1 긴 구멍
42b: 제2 긴 구멍
51: 제1 조절 밴드부
51a: 일단
51b: 타단
52: 제2 조절 밴드부
52a: 일단
52b: 타단
53: 제2 가이드부
60: 압압부
61: 상저
62: 하저
63: 오목부
70: 지지 밴드부
70a: 좌측단
70b: 우측단
70c: 솔기
71: 제1 가이드부
100: 서포터
Claims (5)
- 밴드형체(band shape body)의 서포터(supporter)에 있어서,
착용자의 등부(back portion)에 맞닿게 하는 등접촉부(back-contact section);
상기 등접촉부에 접하여 길이 방향으로 신축성(伸縮性)을 가지는 신축부가 형성되고, 상기 등접촉부의 양측에 형성된 돌출부;
길이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는 2개의 밴드형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2개의 밴드형체가 상기 등접촉부 상에서 교차하도록 양단이 고정되고, 상기 밴드형체에 환형(環形)의 링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한 한 쌍의 보조 밴드부;
상기 보조 밴드부의 신축성보다 낮은 신축성을 가지는 2개의 밴드형체로 이루어지고, 각각 상기 보조 밴드부에 형성한 환형의 링부에 느슨하게 삽입하고, 일단(一端)을 좌우의 상기 돌출부의 신축부 이외에 고정시키고, 타단에 면 파스너(hook-and-loop fastener)의 훅(hook)을 형성한 한 쌍의 조절 밴드부; 및
길이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는 밴드형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등접촉부에 고정되고, 양 단부에 면 파스너의 훅을 형성한 밴드형의 지지 밴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보조 밴드부가, 상기 등접촉부의 상변 근방에서 교차하도록 양단(兩端)이 고정되고,
상기 지지 밴드부가, 상기 등접촉부의 하변 근방에서 고정되고, 상기 등접촉부의 양 측변의 하단 및 상기 돌출부의 하변 근방에 위치하는,
서포터. - 밴드형체(band shape body)의 서포터(supporter)에 있어서,
착용자의 등부(back portion)에 맞닿게 하는 등접촉부(back-contact section);
상기 등접촉부에 접하여 길이 방향으로 신축성(伸縮性)을 가지는 신축부가 형성되고, 상기 등접촉부의 양측에 형성된 돌출부;
길이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는 2개의 밴드형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2개의 밴드형체가 상기 등접촉부 상에서 교차하도록 양단이 고정되고, 상기 밴드형체에 환형(環形)의 링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한 한 쌍의 보조 밴드부;
상기 보조 밴드부의 신축성보다 낮은 신축성을 가지는 2개의 밴드형체로 이루어지고, 각각 상기 보조 밴드부에 형성한 환형의 링부에 느슨하게 삽입하고, 일단(一端)을 좌우의 상기 돌출부의 신축부 이외에 고정시키고, 타단에 면 파스너(hook-and-loop fastener)의 훅(hook)을 형성한 한 쌍의 조절 밴드부; 및
길이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는 밴드형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등접촉부에 고정되고, 양 단부에 면 파스너의 훅을 형성한 밴드형의 지지 밴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보조 밴드부가, 상기 등접촉부의 하변 근방에서 교차하도록 양단(兩端)이 고정되고,
상기 지지 밴드부가, 상기 등접촉부의 상변 근방에서 고정되고, 상기 등접촉부의 양 측변의 상단 및 상기 돌출부의 상변 근방에 위치하는,
서포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접촉부의 양 측변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 밴드부를 삽통(揷通)시키는환형의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서포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양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조절 밴드부 및 상기 지지 밴드부의 면 파스너의 훅이 걸어장착되는 더블 라셀 편지(double raschel nitted fabric)의 면 파스너의 루프를 구비하는, 서포터.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4-136072 | 2014-07-01 | ||
JP2014136072 | 2014-07-01 | ||
PCT/JP2015/069012 WO2016002843A1 (ja) | 2014-07-01 | 2015-07-01 | サポータ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28898A KR20170028898A (ko) | 2017-03-14 |
KR102424534B1 true KR102424534B1 (ko) | 2022-07-22 |
Family
ID=55019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36426A KR102424534B1 (ko) | 2014-07-01 | 2015-07-01 | 서포터 |
Country Status (11)
Country | Link |
---|---|
US (1) | US10888448B2 (ko) |
EP (1) | EP3165200B1 (ko) |
JP (1) | JP6544774B2 (ko) |
KR (1) | KR102424534B1 (ko) |
CN (1) | CN106659578B (ko) |
AU (1) | AU2015285187B2 (ko) |
CA (1) | CA2954038C (ko) |
ES (1) | ES2725466T3 (ko) |
SG (1) | SG11201610619UA (ko) |
TW (1) | TWI677328B (ko) |
WO (1) | WO201600284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A2973584A1 (en) * | 2015-01-12 | 2016-07-21 | Vmh Bracing Llc | Lumbar support device |
US11135082B2 (en) | 2015-01-12 | 2021-10-05 | Amazing Brace, Llc | Methods and devices for reducing pregnancy-related and post-natal lower back pain |
JP1541684S (ko) * | 2015-06-26 | 2016-01-18 | ||
JP6899261B2 (ja) * | 2017-05-29 | 2021-07-07 | 美津濃株式会社 | 腰ベルト及びこれを含む下衣 |
JP6660509B1 (ja) * | 2019-07-11 | 2020-03-11 | 株式会社カドリールニシダ | 腹帯 |
USD937427S1 (en) * | 2019-07-17 | 2021-11-30 | Xiaojing Li | Back support belt |
USD947389S1 (en) * | 2019-10-29 | 2022-03-29 | The New Genius (Sz) Technology Co., Limited | Belt |
USD937428S1 (en) * | 2019-12-12 | 2021-11-30 | Hoi Ming Michael HO | Multi-functional back relief belt |
USD973212S1 (en) * | 2021-03-09 | 2022-12-20 | Keaworld Pte Ltd. | Pelvis belt |
US11350681B1 (en) * | 2021-04-23 | 2022-06-07 | Phoenix Apparel LLC | Tights presenting an adjustable compression effect for cinching around the waist and providing support |
JP7509435B2 (ja) | 2021-12-17 | 2024-07-02 | モリト株式会社 | 腰部又は骨盤用ベルト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9266Y1 (ko) | 2001-05-04 | 2001-11-16 | 아쿠아몰드(주) | 허리보호대 |
JP2013138823A (ja) * | 2011-12-09 | 2013-07-18 | Kowa Co | サポーター |
Family Cites Families (3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604076A (en) * | 1925-04-09 | 1926-10-19 | Josephine M Risselt | Abdominal support |
US2104699A (en) * | 1936-08-03 | 1938-01-04 | Avery Jenkins N | Surgical appliance |
US2117309A (en) * | 1936-10-20 | 1938-05-17 | Lewis A Fritsch | Belt support |
US2476029A (en) * | 1946-09-28 | 1949-07-12 | S H Camp & Company | Adjustment strap for surgical garments and the like |
US3096760A (en) * | 1960-10-31 | 1963-07-09 | H G Entpr | Sacroiliac support |
JPS527115Y2 (ko) * | 1973-08-30 | 1977-02-15 | ||
US3927665A (en) * | 1974-06-21 | 1975-12-23 | Jerome R Wax | Lumbo-sacral support |
US4135503A (en) * | 1977-01-05 | 1979-01-23 | Romano Nicholas A | Orthopedic device |
US4833730A (en) * | 1987-11-19 | 1989-05-30 | Nelson Ronald E | Back brace |
US5176131A (en) * | 1990-04-30 | 1993-01-05 | Ergodyne Corporation | Back support |
US5188586A (en) * | 1991-10-04 | 1993-02-23 | The Smith Truss Company | Back support belt |
US5195948A (en) * | 1992-03-05 | 1993-03-23 | Hill Dennis M | Adjustable back support device |
JP3370709B2 (ja) | 1992-11-04 | 2003-01-27 | アルケア株式会社 | 腰痛帯 |
US5591122A (en) * | 1994-07-11 | 1997-01-07 | Yewer, Jr.; Edward H. | Convertible support belt |
US5820575A (en) * | 1995-06-07 | 1998-10-13 | Rooster Products International Inc. | Abdominal support belt |
US5833638A (en) * | 1996-06-10 | 1998-11-10 | Nelson; Ronald E. | Back brace |
US5722940A (en) * | 1996-07-16 | 1998-03-03 | Medical Specialties, Inc. | Industrial back support |
US5776087A (en) * | 1996-08-07 | 1998-07-07 | Tamarack International, Inc. | Back brace |
JP3793778B2 (ja) * | 1997-10-03 | 2006-07-05 | ダイヤ工業株式会社 | 腰椎帯 |
JP3094642U (ja) * | 2002-12-13 | 2003-07-04 | 株式会社新和 | 腰バンド |
FR2851459B1 (fr) * | 2003-02-21 | 2005-04-22 | Philippe Nicolas | Disposition de contention elastique permettant d'assurer un mouvement d'adduction des cuisses d'un etre humain |
WO2005051110A1 (ja) * | 2003-11-28 | 2005-06-09 | Wacoal Corp. | 股つき矯正衣類 |
JP3105014U (ja) * | 2004-04-09 | 2004-10-21 | 株式会社京都繊維工業 | コルセット |
JP2006334255A (ja) * | 2005-06-06 | 2006-12-14 | Shunji Ninomiya | 身着具 |
KR101006758B1 (ko) * | 2008-06-20 | 2011-01-10 | 유실근 | 복합식 척추보호대 |
JP3146163U (ja) | 2008-08-26 | 2008-11-06 | 株式会社デサント | 腰部と骨盤をサポートするベルト |
CN201691121U (zh) * | 2010-02-01 | 2011-01-05 | 王冰 | 一种护腰带 |
FR2970865B1 (fr) * | 2011-01-31 | 2013-02-08 | Gibaud | Ceinture de soutien lombaire |
DE102011000953B4 (de) * | 2011-02-25 | 2012-09-13 | Bauerfeind Ag | Rücken- oder Beckenbandage |
CN202235803U (zh) * | 2011-08-02 | 2012-05-30 | 启东凤兵服装有限公司 | 一种美背支撑衣 |
CN202873853U (zh) * | 2012-10-19 | 2013-04-17 | 吴盈庆 | 可调式的腰部护具 |
-
2015
- 2015-07-01 EP EP15814697.7A patent/EP3165200B1/en active Active
- 2015-07-01 TW TW104121447A patent/TWI677328B/zh active
- 2015-07-01 ES ES15814697T patent/ES2725466T3/es active Active
- 2015-07-01 JP JP2016531420A patent/JP6544774B2/ja active Active
- 2015-07-01 US US15/322,927 patent/US10888448B2/en active Active
- 2015-07-01 SG SG11201610619UA patent/SG11201610619UA/en unknown
- 2015-07-01 AU AU2015285187A patent/AU2015285187B2/en active Active
- 2015-07-01 KR KR1020167036426A patent/KR10242453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07-01 WO PCT/JP2015/069012 patent/WO201600284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07-01 CN CN201580036180.1A patent/CN106659578B/zh active Active
- 2015-07-01 CA CA2954038A patent/CA2954038C/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9266Y1 (ko) | 2001-05-04 | 2001-11-16 | 아쿠아몰드(주) | 허리보호대 |
JP2013138823A (ja) * | 2011-12-09 | 2013-07-18 | Kowa Co | サポーター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JP3146163 U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AU2015285187A1 (en) | 2017-01-12 |
ES2725466T3 (es) | 2019-09-24 |
CN106659578B (zh) | 2019-06-28 |
EP3165200A4 (en) | 2018-03-14 |
CA2954038C (en) | 2023-08-15 |
EP3165200B1 (en) | 2019-03-20 |
US20170135842A1 (en) | 2017-05-18 |
KR20170028898A (ko) | 2017-03-14 |
TWI677328B (zh) | 2019-11-21 |
AU2015285187B2 (en) | 2019-03-28 |
EP3165200A1 (en) | 2017-05-10 |
WO2016002843A1 (ja) | 2016-01-07 |
JPWO2016002843A1 (ja) | 2017-04-27 |
SG11201610619UA (en) | 2017-01-27 |
JP6544774B2 (ja) | 2019-07-17 |
TW201611792A (en) | 2016-04-01 |
CN106659578A (zh) | 2017-05-10 |
CA2954038A1 (en) | 2016-01-07 |
US10888448B2 (en) | 2021-01-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24534B1 (ko) | 서포터 | |
US10335306B2 (en) | Supporter | |
EP2596711B1 (en) | Supporter | |
US11160945B2 (en) | Headgear for respiratory interfaces | |
JP2007054126A (ja) | 膝関節用サポータ | |
JP5259781B2 (ja) | 経編生地の製造方法及び経編生地 | |
JP6018673B2 (ja) | サポーター | |
JP2004100117A (ja) | 経編地 | |
JP7433613B2 (ja) | サポーター及び芯部 | |
JP2013169331A (ja) | 頸部コルセット用カバ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