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4251B1 - 연속 나사 체결기에 사용하는 나사로프 - Google Patents

연속 나사 체결기에 사용하는 나사로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4251B1
KR102424251B1 KR1020170172842A KR20170172842A KR102424251B1 KR 102424251 B1 KR102424251 B1 KR 102424251B1 KR 1020170172842 A KR1020170172842 A KR 1020170172842A KR 20170172842 A KR20170172842 A KR 20170172842A KR 102424251 B1 KR102424251 B1 KR 102424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rope
guide
continuous
shaped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3461A (ko
Inventor
쿠니히로 아라이
토미아키 오치아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로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로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로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80073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3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4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4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 B25B23/04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feeding screws or nuts
    • B25B23/045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feeding screws or nuts using disposable strips or discs carrying the screw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특정한 연속 나사 체결기를 사용하는 경우, 그 체결기에 다수의 나사를 장착한 나사로프를 사용할 때, 나사 머리부의 직경의 크기에 의한, 나사의 연결 피치의 제한을 완화하고, 나사 머리부의 외형이나 두께 등에 관계없이, 대응하는 나사 머리부의 형상의 제약을 완화하여, 그에 의해, 대응하는 나사의 종류를 확대함과 아울러, 예를 들면 피체결부재의 선단 구멍 위치를 겨냥하여 박아 넣도록 한 것도 가능하게 한 연속 나사 체결기에 사용하는 나사로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수단] 본 발명의 나사로프(6)는,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는 띠 모양 부재(7)와 이 띠 모양 부재(7)의 배면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갖고 설치하는 철편(8)에 의해 각 나사(S)의 나사부(S1)의 일정 부위를 소정의 평행 간격을 갖고서, 또한, 소정의 경사 각도(θ)를 갖고서 경사 배치로 유지함과 아울러, 띠 모양 부재(7)의 정면측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9)을 연속 형성하고, 띠 모양 부재(7)의 정면측에 있어서, 가이드 홈(9)의 상측 위치에 다수의 상측 오목부(10a)를 산재 상태로, 또한,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하고, 가이드 홈(9)의 하측 위치에 다수의 하측 오목부(10b)를 산재 상태로,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연속 나사 체결기에 사용하는 나사로프{SCREW ROPE FOR USE IN SUCCESSIVE SCREW CLAMPING MACHINE}
본 발명은, 연속 나사 체결기에 사용하는 나사로프(등록상표 「VISROPE」)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연속 나사 체결기를 사용하는 경우, 그 체결기에 다수의 나사를 장착한 나사로프를 사용할 때, 나사 머리부의 직경 크기에 의한, 나사의 연결 피치(coupling pitch)의 제한을 완화하고, 나사 머리부의 외형이나 두께 등에 관계없이, 대응하는 나사 머리부의 형상의 제약을 완화하며, 그에 의해, 대응하는 나사의 종류를 확대함과 아울러, 예를 들면 피체결부재(被締結部材)의 선단 구멍(tip hole) 위치를 겨냥하여 박아 넣도록 한 것도 가능하게 한 연속 나사 체결기에 사용하는 나사로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목판, 금속판 또는 석고판 등의 판재를 상면(床面) 또는 벽면에 고정하기 위해, 나사를 연속적으로 체결하는 연속 나사 체결기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그립 핸들을 형성한 체결기 본체에 구동기(driver)를 내장함과 아울러, 그 구동기에 나사 체결용의 비트를 착탈(着脫)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체결기 본체의 전부(前部)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해지도록 나사 급송 기구 본체를 설치하며, 그 나사 급송 기구 본체 내에 상기 비트를 회전 가능하게 삽통(揷通)시키고, 또한 그 체결기 본체에 그 비트에 의한 나사의 체결 깊이를 조절하는 체결 깊이 조절 기구를 구성하며, 상기 나사 급송 기구 본체에, 다수의 나사를 띠 모양 부재에 병렬 상태에 설치한 나사로프의 각(各) 나사를, 상기 비트에 의한 체결 동작에 수반하는 나사 급송 기구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의 슬라이드에 연동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비트에 의한 체결 작용 위치로 송출하는 나사 급송 기구를 구성하고, 또한, 상기 나사 급송 기구 본체에, 당접면(abutment surface)을 돌설(突設)하여 이루어지는 선단 블록을 그 나사 급송 기구 본체에 대해 전후 방향의 소망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연속 나사 체결기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연속 나사 체결기에 있어서의 나사로프(101)의 경우, 도 17,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수의 나사(S)를, 띠 모양 부재(102)와 철편(綴片)(103)에 의해 이 띠 모양 부재(102)의 측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또한, 상기 띠 모양 부재(102)에 대해 직교하는 배치로 병렬 상태로 유지하는 간략한 구조에 의해 구성한 것이며, 또한, 상기 특허문헌 1의 연속 나사 체결기에 있어서의 나사 급송 기구는, 상기 나사로프(101)에 의해 보유하고 있는 각 나사(S)를, 상기 비트에 의한 체결 동작에 수반하는 상기 나사 급송 기구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의 슬라이드에 연동하여 순차적으로 평행 이동시키면서 상기 체결 작용 위치로 송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 1 이외에도, 종래 실용화되어 있는 각종 연속 나사 체결기에 있어서의 나사로프의 구성, 나사 급송 기구의 구성은 상술한 경우와 동일한 것이 대부분이다.
종래에 있어서는, 특정한 연속 나사 체결기를 사용하는 경우, 그 체결기에 다수의 나사를 장착한 나사로프를 사용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나사 머리부의 직경에 맞춰 나사의 연결 피치를 설정할 필요가 있고, 만일 나사의 연결 피치가 고정이 되면,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나사의 종류가 한정되어 버리는 것, 또한, 만일 나사 머리부로 각 나사를 가이드 하게 되면, 나사 머리부의 형상의 제약이 있어 나사의 종류가 더 한정되어 버리는 것, 또한, 원래가 체결하려고 하는 특정 구멍이 없는 부재를 체결하는 용도로는, 종래와 같은 구성의 나사로프라도 사용할 수 있지만, 종래와 같은 구성의 나사로프로는, 예를 들면 피체결부재의 선단 구멍 위치를 겨냥하여 박아 넣도록 한 것은 어렵다는 것이 실정이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개 평 9-136269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창작된 것으로, 특정한 연속 나사 체결기를 사용하는 경우, 그 체결기에 다수의 나사를 장착한 나사로프를 사용할 때, 나사 머리부의 직경 크기에 의한, 나사의 연결 피치의 제한을 완화하고, 나사 머리부의 외형이나 두께 등에 관계없이, 대응하는 나사 머리부의 형상의 제약이 발생하는 일없이, 그에 의해, 대응하는 나사의 종류를 확대함과 아울러, 예를 들면 피체결부재의 선단 구멍 위치를 겨냥하여 박아 넣도록 한 것도 가능하게 한 연속 나사 체결기에 사용하는 구성으로 한 나사로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 나사 체결기에 사용하는 나사로프는, 나사 체결용 비트를 돌설(突設) 배치하여 이 비트를 스위치 조작과 클러치로 회전 구동하는 그립 유닛과, 상기 그립 유닛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그립 유닛을 하강, 상승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비트의 선단을 체결(clamping) 작용 위치에 임하게 함과 아울러, 체결 작용 위치의 측방(側方)에 설치한 피더 블록, 및 이 피더 블록에 대향(對向) 배치한 가이드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피더 블록, 및 가이드 커버 사이에 있어서 나사로프에 의해 지지된 복수의 나사를 상기 체결 작용 위치로 유도하여 하방의 체결 대상 개소(箇所)에 연속적으로 체결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 커버의 상기 나사로프를 유도하는 측의 벽면에는, 상기 나사로프의 급송처(feeding destination)측을 향해 하강하는 경사(傾斜)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나사로프의 유도용의 가이드 돌기부를 구비하는 나사 체결기 본체 유닛을 가지는 연속 나사 체결기에 사용하는 나사로프로서, 상기 나사로프는,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는 띠 모양 부재와 이 띠 모양 부재의 배면측(背面側)에 소정의 간격을 갖고 설치하는 철편에 의해 각 나사의 나사부의 일정 부위를 소정의 평행 간격을 갖고서, 또한, 상기 나사 체결기 본체 유닛의 가이드 돌기부의 경사 각도에 대응하는 소정의 경사 각도를 갖고서 경사 배치로 유지함과 아울러, 상기 띠 모양 부재의 정면측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을 연속 형성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 커버의 가이드 돌기부와 상기 나사로프의 가이드 홈의 계합(係合, engagement)에 의해 상기 나사로프를 경사 상태로, 또한, 각 나사를 수직 상태로 하면서 상기 비트의 체결 작용 위치측에 이를수록 각 나사의 나사 머리의 높이 위치를 저하시키는 태양(態樣)으로 상기 체결 작용 위치로 차례로 유도하고, 각 나사의 체결 동작 종료 후, 체결 작용 위치의 측방으로 나사의 이탈 부위가 차례로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 또는 2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특정의 연속 나사 체결기용 나사로프로서 기능하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각 나사의 머리부 직경의 대소나 형상의 제약 등이 감소하여, 사용하는 나사의 종류 선택의 자유도를 확대하는 것이 가능한 연속 나사 체결기에 사용하는 나사로프를 실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또는 2 기재의 발명과 동일한 효과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 홈 이외의 위치에 상기 띠 모양 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해 다수의 오목부를 산재 상태(scattered state)로, 또한,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하고 있으므로, 나사로프의 코일상(狀)으로의 권회(winding)시에 있어서의 상기 가이드 홈의 굽힘 밸런스(bending balance)가 양호해지고, 이 결과, 유지되는 다수의 나사를 전체적으로 양호한 상태로 괴상(massive shape)으로 해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연속 나사 체결기에 사용하는 나사로프를 실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또는 2 기재의 발명과 동일한 효과를 가짐과 아울러, 가이드 홈의 양측에 상측 오목부, 하측 오목부의 쌍방을 설치한 것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청구항 3 기재와 동일한 효과, 즉, 나사로프의 코일상으로의 권회시에 있어서의 상기 가이드 홈 상측, 하측의 굽힘 밸런스가 양호해지고, 이 결과, 유지되는 다수의 나사를 전체적으로 양호한 상태로 괴상으로 해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연속 나사 체결기에 사용하는 나사로프를 실현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사로프가 이용되는 연속 나사 체결기의 정면측으로부터 본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나사로프가 이용되는 연속 나사 체결기의 측면측으로부터 본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3]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나사로프가 이용되는 연속 나사 체결기의 상면측으로부터 본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4]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A부의 개략 확대도이다.
[도 5]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화살표 C측으로부터 본 나사 체결기 본체 유닛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 도 6은 도 2에 나타내는 B부의 개략 확대도이다.
[도 7]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나사로프가 이용되는 나사 체결기 본체 유닛을 구성하는 가이드 커버의 개략 확대 정면도이다.
[도 8]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나사로프가 이용되는 나사 체결기 본체 유닛을 구성하는 가이드 커버의 개략 확대 배면도이다.
[도 9]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나사로프가 이용되는 나사 체결기 본체 유닛을 구성하는 가이드 커버의 개략 확대 측면도이다.
[도 10] 도 10은 나사를 보유한 본 실시예에 따른 나사로프의 일부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1] 도 11은 나사를 보유한 본 실시예에 따른 나사로프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해당 나사로프에 머리부 지름이 큰 나사를 이용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2] 도 12는 나사를 보유한 본 실시예에 따른 나사로프의 상면측으로부터 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 도 13은 나사를 보유한 본 실시예에 따른 나사로프의 하면측으로부터 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 도 14는 다수의 나사를 보유한 본 실시예에 따른 나사로프를 코일상으로 권회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5]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나사로프가 이용되는 연속 나사 체결기에 있어서의 나사 체결기 본체 유닛에 의한 나사로프의 체결 작용 위치로의 급송 상태 및 배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6] 도 1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연속 나사 체결기에 있어서의 나사 체결기 본체 유닛에 의한 나사로프의 체결 작용 위치로의 급송 상태 및 배출 상태와 함께 해당 연속 나사 체결기를 갖고서 피체결부재의 선단 구멍 위치를 겨냥하여 박아 넣는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도 17] 도 17은 나사를 보유한 종래의 나사로프의 일부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8] 도 18은 나사를 보유한 종래의 나사로프의 일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연속 나사 체결기를 사용하는 경우, 그 체결기에 다수의 나사를 장착한 나사로프를 사용할 때, 나사 머리부의 직경의 크기에 의한, 나사의 연결 피치의 제한을 완화하고, 나사 머리부의 외형이나 두께 등에 관계없이, 대응하는 나사 머리부의 형상의 제약을 완화하며, 그에 의해, 대응하는 나사의 종류를 확대함과 아울러, 예를 들면 피체결부재의 선단 구멍 위치를 겨냥하여 박아 넣도록 한 것도 가능하게 한 연속 나사 체결기에 사용하는 나사로프를 실현하여 제공한다고 하는 목적을, 나사 체결용 비트를 돌설 배치하여 이 비트를 스위치 조작과 클러치로 회전 구동하는 그립 유닛과, 상기 그립 유닛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그립 유닛을 하강, 상승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비트의 선단을 체결 작용 위치에 임하게 함과 아울러, 체결 작용 위치의 측방에 설치한 피더 블록, 및 이 피더 블록에 대향(對向) 배치한 가이드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피더 블록, 및 가이드 커버 사이에 있어서 나사로프에 의해 지지된 복수의 나사를 상기 체결 작용 위치로 유도하여 하방의 체결 대상 개소에 연속적으로 체결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 커버의 상기 나사로프를 유도하는 측의 벽면에는, 상기 나사로프의 급송처측을 향해 하강하는 경사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나사로프의 유도용의 가이드 돌기부를 구비하는 나사 체결기 본체 유닛을 가지는 연속 나사 체결기에 사용하는 나사로프로서, 상기 나사로프는,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는 띠 모양 부재와 이 띠 모양 부재의 배면측에 소정의 간격을 갖고 설치하는 철편에 의해 각 나사의 나사부의 일정 부위를 소정의 평행 간격을 갖고서, 또한, 상기 가이드 돌기부의 경사 각도에 대응하는 소정의 경사 각도를 갖고서 경사 배치로 유지함과 아울러, 상기 띠 모양 부재의 정면측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을 연속 형성하여 구성되며, 상기 나사로프에 있어서의 띠 모양 부재의 정면측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 이외의 위치에 상기 띠 모양 부재의 길이 방향에 대해 다수의 오목부를 산재 상태로, 또한,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하고 있는 구성에 의해 실현했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 나사 체결기에 사용하는 나사로프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나사로프(6)는, 이하에 설명하는 연속 나사 체결기(1)에 사용하는 나사로프(6)로서, 이 연속 나사 체결기(1)는, 본원 출원인이 앞서 출원한 일본 특원 2016-090793호의 연속 나사 체결기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다. 이하, 이 연속 나사 체결기(1)에 관해 개설(槪說)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후술하는 나사로프(6)가 이용되는 연속 나사 체결기(1)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연속 나사 체결기(1)의 조작자가 한 손으로 잡고, 하방으로 밀어 내림(押下)과 아울러 하방으로 돌출시킨 비트(22)를 회전 구동하여 나사(S)를 목적 개소에 체결 조작하기 위한 그립 유닛(2)과, 상기 그립 유닛(2)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비트(22)에 의한 회전력을 이용하여 나사(S)를 목적 개소에 체결하는 나사 체결기 본체 유닛(3)과, 상기 나사 체결기 본체 유닛(3)의 후부(後部)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고, 이 나사 체결기 본체 유닛(3)에 대해 상세(詳細)는 후술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나사로프(6)에 의해 보유된 다수의 나사(S)를 차례로 공급하는 매거진 유닛(4)과, 상기 그립 유닛(2)의 상부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그립 유닛(2)에 대해 삽탈(揷脫) 가능하게, 또한, 높이 조정 가능하게 구성하며, 연속 나사 체결기(1)의 조작자가 양 손으로(또는 한 손으로) 잡고 조작하는 핸들 유닛(5)을 가지고 있다.
상기 연속 나사 체결기(1)에 있어서는, 상기 핸들 유닛(5)을 필수 구성으로 하는 것은 아니다. 해당 핸들 유닛(5)은 상기 그립 유닛(2)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속 나사 체결기(1)의 사용에 있어서는, 해당 핸들 유닛(5)을 장착하여 사용할지, 또는, 핸들 유닛(5)을 장착하지 않고 사용할지는 자유이다.
상기 비트(22)는, 일반 공구인 드라이버에 상당하는 부재이며, 단면(斷面) 형상이 육각 형상인 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비트(22)의 양단에는, 나사의 머리부, 예를 들면 +홈 등의 계합 홈(engagement groove)에 계합하는 계합 볼록부를 형성하고, 이 계합 볼록부(凸部)의 근방에, 치합용 홈(meshing groove)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그립 유닛(2)은, 조작자가 한 손을 삽입하는 잡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표리(表裏) 2매(枚) 구조의 핸들 커버(11)와, 이 핸들 커버(11)의 상부를 덮는 엔드 커버(12)와, 핸들 커버(11)의 하부에 배치하는 통(筒) 형상의 하우징(13)과, 이 하우징(13)의 하부에 차례로 추가 설치하는 하부 제1 커버(14a), 하부 제2 커버(14b)와, 상기 하부 제2 커버(14b)의 하부에 추가로 더 설치하는 블록 헤드(15)를 가지고 있다.
상기 엔드 커버(12)의 하면측에는, 상기 비트(22)를 회전 구동하는 도시하지 않은 회전 구동원의 회전 개시 또는 회전 정지를 행하기 위한 트리거 스위치(16)를 배치함과 아울러, 그 옆 위치에는 상기 회전 구동원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기 위한 디렉션 레버(17)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트리거 스위치(16), 디렉션 레버(17)는,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우발적인 정회전, 역회전 전환 방지를 도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엔드 커버(12)의 전부측(前部側)에는, 상기 핸들 유닛(5)의 하단측을 삽입하는 핸들 유닛 삽입구(18)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핸들 커버(11)의 전부(前部)에는 상기 핸들 유닛(5)을 그립 유닛(2) 자체에 고정 또는 고정 해제를 행하는 핸들 유닛 로크 레버(19)를 배치하고 있다.
상기 그립 유닛(2)에 있어서의 엔드 커버(12)의 후부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연속 나사 체결기(1)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 공급용의 전원 코드(도시하지 않음)를 보유하기 위한 코드 유지부(20)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블록 헤드(15)는, 상기 그립 유닛(2)과, 상기 나사 체결기 본체 유닛(3) 사이에 개재시키는 평행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 폴(21a, 21b)의 외주(外周)에 대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끼워서 장착한 좌우 한 쌍의 가이드 폴 삽입통(15a, 15b)을 평행 배치로 구비함과 아울러, 한 쌍의 가이드 폴 삽입통(15a, 15b)의 하부 위치의 중간부에는 비트(22)가 삽통되는 비트 삽입통(15c)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립 유닛(2)에 의해 상단부를 고정한 비트(22)가, 비트 삽입통(15c)을 관통하는 상태로 하방으로 돌출되게 하고, 이 비트(22)의 하단측을 상기 나사 체결기 본체 유닛(3)의 내부에 임하게 하고 있다.
상기 나사 체결기 본체 유닛(3)은, 외관 형태를 규정하는 상자 형상의 피더 블록(32)을 주요한 구성 부품으로 하며, 상기 그립 유닛(2)으로부터 돌출되어 비트 삽입통(15c)을 관통한 비트(22)의 선단부를 상기 피더 블록(32) 내의 체결 작용 위치에 임하게 하고 있다.
상기 피더 블록(32)의 상면부에는, 상기 그립 유닛(2)에 있어서의 블록 헤드(15)의 한 쌍의 가이드 폴 삽입통(15a, 15b)에 삽입되어, 블록 헤드(15), 즉, 상기 그립 유닛(2)의 하강, 상승 동작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 폴(21a, 21b)의 하단부가 장착되는 한 쌍의 가이드 폴 수용부(32a, 32b)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그립 유닛(2)과, 상기 나사 체결기 본체 유닛(3) 사이에는, 상기 블록 헤드(15)에 상단부를 연결하고, 하단측을 상기 나사 체결기 본체 유닛(3) 내에 임하게 한 도시하지 않은 피드 레버 조작체(feed lever manipulator)를 배치하며, 상기 나사 체결기 본체 유닛(3)에 설치한 나사 급송 기구부(31)를 구성하는 도시하지 않은 피드 레버에 계합시켜, 상기 그립 유닛(2)의 하강, 상승 동작과 후술하는 나사 급송 기구부(31)의 동작을 연동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나사 체결기 본체 유닛(3)은, 이 나사 체결기 본체 유닛(3)에 있어서의 체결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나사 체결기 본체 유닛(3)의 측부(側部)로부터 공급되는 후술하는 구성의 나사로프(6)의 띠 모양 부재(7)에 설치한 각 나사(S)를, 상기 체결 작용 위치로 급송하는 나사 급송 기구부(31)를 조립하고 있다.
상기 나사 급송 기구부(31)는, 상기 피더 블록(32)과, 이 피더 블록(32)의 전면(前面) 우측에 그 피더 블록(32)에 대해 전후 방향(피더 블록(32)의 깊이 방향)으로 상기 피더 블록(32)에 대한 위치를 조정 다이얼(34)에 의해 미세 조정 가능하게 설치하는 가이드 커버(33)를 구비하며, 상기 피더 블록(32)과 가이드 커버(33)의 배면측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 후술하는 나사로프(6)와 함께 나사(S)를 통과시켜 나사(S)의 나사 머리를 체결 작용 위치로 유도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나사 급송 기구부(31)는, 상세 구조는 생략하지만 상기 피드 레버, 도 1에 나타내는 그립 핑거(35), 도시하지 않은 링크 기구 등을 포함하고, 상기 그립 유닛(2)의 하강, 상승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피드 레버 조작체, 피드 레버, 그립 핑거(35) 등을 동작시키며, 후술하는 나사로프(6)에 의해 보유되고 있는 나사(S)의 체결 작용 위치로의 유도, 체결 작용 위치에서의 나사(S)의 유지, 체결 종료 후의 후술하는 구성의 나사로프(6)의 빈 부위(empty portion)의 측방으로의 배출을 행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나사 체결기 본체 유닛(3)의 하부에는, 스크류 가이드(44)를 포함하는 스크류 가이드 위치 조정 기구부(41)를 배치하고 있다.
즉, 상기 나사 체결기 본체 유닛(3)의 하부에는, 체결되는 나사(S)를 통과시킴과 아울러, 그 하단면을 상기 나사(S)의 체결 대상 개소의 면 상(上)에 당접시 키는 스크류 가이드(44)를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 가이드(44)에 하단부를 연결하여 수직 상방으로 입설(立設)한 어드저스터 플레이트(42)를 피더 블록(32) 내에 임하게 하고, 상기 피더 블록(32)에 설치한 어드저스트 레버(43)의 조작에 의해 어드저스터 플레이트(42)를 피더 블록(32)에 대해 위치 조정 가능하게, 또한, 연결 및 연결해제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스크류 가이드(44)의 상기 나사 체결기 본체 유닛(3)에 대한 위치(나사 체결기 본체 유닛(3)으로부터의 돌출 위치)를 조정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다음으로, 후술하는 구성의 나사로프(6)에 의해 유지된 다수의 나사(S)를 차례로 상기 나사 체결기 본체 유닛(3)의 피더 블록(32), 가이드 커버(33) 사이에 공급하는 상기 매거진 유닛(4)에 관해 개설한다.
상기 매거진 유닛(4)은, 도 1 내지 도 3,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나사 체결기 본체 유닛(3)의 배면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다수의 나사(S)를 설치한 후술하는 나사로프(6)를 원형 코일상으로 권회한 상태로 내부에 수납하는 바닥이 있는 원통상(有底圓筒狀)의 매거진 본체(51)와, 이 매거진 본체(51)의 개구부를 덮는 개폐 가능한 뚜껑체(52)와, 상기 매거진 본체(51)의 외주의 일부에 설치한 장착부(53)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부(53)를 상기 나사 체결기 본체 유닛(3)의 배면측에 착탈 가능한 상태로 장착함으로써, 상기 매거진 본체(51), 뚜껑체(52)를 상기 나사 체결기 본체 유닛(3)과 일체화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매거진 유닛(4)의 매거진 본체(51)에는, 후술하는 나사로프(6)용의 조출구(54), 매거진 사이드 커버(55)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매거진 사이드 커버(55)를 설치하지 않은 구성으로 해도 실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나사(S)를 보유하는 나사로프(6)의 구체적 구성에 관해,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나사로프(6)는,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는 사각형의 띠 모양 부재(7)와, 이 띠 모양 부재(7)의 배면측에 소정의 간격을 갖고 설치하는 철편(8)에 의해 각 나사(S)의 나사부(S1)의 일정 부위를 소정의 평행 간격을 갖고서, 또한, 소정의 경사 각도(θ)를 갖고서 경사 배치로 유지하고 있다.
상기 나사로프(6)는, 상기 띠 모양 부재(7)의 정면측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폭의 가이드 홈(9)을 연속 형성하고, 또한, 상기 가이드 홈(9)의 상측 위치에 다수의 상측 오목부(10a)를 산재 상태로,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하며, 상기 가이드 홈(9)의 하측 위치에 다수의 하측 오목부(10b)를 산재 상태로,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측 오목부(10a), 하측 오목부(10b)는, 이들을 설치하는 위치를 도시 예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나사로프(6)에 있어서의 띠 모양 부재(7)의 정면측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9) 이외의 어느 한 위치에 상기 띠 모양 부재(7)의 길이 방향에 대해 다수의 오목부를 산재 상태로, 또한,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해서 구성해도 된다.
즉, 상기 띠 모양 부재(7)는, 그 단면(斷面)(또는 단면(端面)) 형상을 개략 오목한 모양으로 형성하고 있다.
상술한 상측 오목부(10a), 하측 오목부(10b)는, 상기 나사로프(6)의 굽힘 밸런스와 나사로프(6)의 코일 형상을 조정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으로, 상기 나사로프(6)에 대해 어느 한쪽만 설치해도 되고, 양쪽을 설치해도 되지만, 상측 오목부(10a), 하측 오목부(10b)의 쌍방을 설치한 경우인 쪽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양호한 굽힘성(bendability)을 얻는 것이 판명되었다.
다음으로, 상기 나사 체결기 본체 유닛(3)에 있어서의 나사 급송 기구부(31)를 구성하는 피더 블록(32), 가이드 커버(33)에 관해서,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더 상술한다.
상기 가이드 커버(33)는, 그 정면 상부에, 원형단캠(36)을 구비하며, 이 원형단캠(36)에 조정 다이얼(34)을 장착하여, 조정 다이얼(34)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상기 피더 블록(32)에 대한 전후 방향(피더 블록(32)의 두께 방향)의 위치를 미세 조정하고, 이에 의해, 피더 블록(32), 가이드 커버(33) 사이의 나사로프(6)의 통과 영역의 간격 치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커버(33)의 상기 나사로프(6)를 유도하는 측의 벽면에는, 상기 나사로프(6)의 급송처측을 향하여 하강하는 경사 형상(경사 각도(θ))으로 형성되고, 상기 띠 모양 부재(7)의 가이드 홈(9)에 계합해서 상기 나사로프(6)를 경사 상태로 유도하는 가이드 돌기부(37)와, 이 가이드 돌기부(37)의 상하 양측으로 동일하게 경사 각도(θ)를 갖고서 형성한 한 쌍의 가이드 커버 오목부(38a, 38b)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돌기부(37)를 상기 띠 모양 부재(7)의 가이드 홈(9)에 계합시킴과 아울러 상기 띠 모양 부재(7)의 가이드 홈(9)의 양측에 있어서의 정면측의 한 쌍의 돌출 영역을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커버 오목부(38a, 38b) 내에 각각 몰입(沒入)시킨 상태로 상기 나사(S)를 보유하는 나사로프(6)를 경사 상태로 유도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나사 체결기 본체 유닛(3)은, 또한 상기 피더 블록(32)의 정면측에서 상기 체결 작용 위치보다 앞쪽측에 제1 공나사로프 가이드편(61), 제2 공나사로프 가이드편(62)을 설치하여,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결 동작이 종료하여 나사(S)가 이탈한 후의 나사로프(6)의 부위(빈 부위)를 제1 공나사로프 가이드편(61), 제2 공나사로프 가이드편(62)에 의해 나사 체결기 본체 유닛(3)의 측방으로 배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나사로프(6) 및 이 나사로프(6)를 사용하는 연속 나사 체결기(1)의 작용 효과에 대해, 상기 나사로프(6) 자체의 작용 효과와, 이 나사로프(6)를 사용한 경우의 연속 나사 체결기(1)에 의한 각 나사(S)의 체결 작용 위치로의 유도, 및 나사로프(6)의 배출 동작을 주로 하여, 또한, 도 14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구성의 본 실시예에 따른 나사로프(6)에 의하면, 각 나사(S)를 소정의 평행 간격을 갖고서, 또한, 소정의 경사 각도(θ)를 갖고서 경사 배치로 유지함으로써, 각 나사(S)로서 머리부 직경이 큰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이웃하는 나사(S)의 머리부끼리가 간섭(접촉)하는 일이 없어지며, 이에 의해, 각 나사(S)의 머리부 직경이 예를 들면 연결 피치 이상인 경우에도, 나사로프(6)에 있어서의 각 나사(S)의 연결 피치를 불변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져, 사용하는 나사(S)의 종류 선택의 자유도를 확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예를 들면 머리부 지름이 큰 나사를 사용하는 경우,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나사 머리를 각각 오버랩되도록 한 형태로 이웃하는 나사의 머리부끼리가 간섭(접촉)하는 일없이 원활하게 사용 가능해진다.
또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수의 나사(S)를 연속적으로 보유한 본 실시예에 따른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나사로프(6)를 코일상으로 권회한 경우, 상기 나사로프(6)로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은 가이드 홈(9)의 양측에 상측 오목부(10a), 하측 오목부(10b)의 쌍방을 설치한 것을 사용함으로써, 나사로프(6)의 코일상으로의 권회시에 있어서의 상기 가이드 홈(9)의 상측, 하측의 굽힘 밸런스가 양호해지고, 이 결과, 상기 나사로프(6)에 의해 보유되는 다수의 나사(S)를 전체적으로 양호한 상태로 괴상(massive shape)으로 하여 상기 매거진 본체(51) 내에 적절히 수납해서, 조출구(54)로부터 원활히 조출되는 것이 가능한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상기 나사로프(6)의 가이드 홈(9)의 하측 위치에 하측 오목부(10b)를 산재 상태로 연속적으로 설치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공로프(empty rope)의 굽힘을 컨트롤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상기 나사로프(6)에 있어서 가이드 홈(9)의 하측에만 혹은 상측에만 하측 오목부(10b) 또는 상측 오목부(10a)를 설치한 구조의 것을 사용한 경우, 상기 가이드 홈(9)의 상측, 하측의 굽힘 밸런스가 양호해지지 않아, 다수의 나사(S)가 전체적으로 그 외관 형태가 ハ자 모양, 혹은 뒤집힌 ハ자 모양을 나타내는 괴상으로 되어, 상기 매거진 본체(51) 내에 적절히 수납할 수 없는 것이었다.
이와 같이, 상기 나사로프(6)로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은 가이드 홈(9)의 양측에, 상측 오목부(10a), 하측 오목부(10b)의 쌍방을 설치한 것을 사용하는 것은, 상기 나사로프(6) 자체를 코일상으로 권회한 상태에서의 다수의 나사(S) 전체의 외관 형태의 형상 컨트롤의 용이화(容易化)에 기여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나사로프(6)를 사용하는 연속 나사 체결기(1)에 의하면, 상기 구성의 나사로프(6)가 사용된 때만,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커버(33)의 가이드 돌기부(37)와 상기 나사로프(6)의 가이드 홈(9)의 계합에 의해 상기 나사로프(6)를 경사 상태로, 또한, 각 나사(S)를 수직 상태로 하면서 상기 비트(22)의 체결 작용 위치측에 이를수록 각 나사(S)의 나사 머리의 높이 위치를 저하시키는 태양으로 상기 체결 작용 위치로 차례로 유도하고, 각 나사(S)의 체결 동작 완료 후, 체결 작용 위치의 측방에 나사(S)의 이탈 부위를 상기 제1 공나사로프 가이드편(61), 상기 제2 공나사로프 가이드편(62)에 의해 가이드하면서 차례로 체결 목적 개소의 상면에 접촉시키는 일 없이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게다가 또한, 이상 설명한 본 실시예에 따른 나사로프(6)를 사용하는 연속 나사 체결기(1)에 의하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피체결부재의 선단 구멍 위치를 겨냥하여 박아 넣도록 한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나사로프(6) 및 이 나사로프(6)를 사용하는 연속 나사 체결기(1)에 의하면, 연속 나사 체결기(1)와 나사로프(6)의 조합의 일원화를 도모하여, 어느 연속 나사 체결기(1)에 대해 이 연속 나사 체결기(1)에만 사용할 수 있는 나사로프(6), 및 해당 나사로프(6)를 사용한 경우에만 연속 나사 체결 작업이 실행 가능한 연속 나사 체결기(1)를 실현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트럭 적재함의 상면(床面) 등, 빌딩, 가옥 등의 건조물의 바닥 등을 구성하는 구조재에의 나사 체결 작업, 선박의 바닥 등의 구조재에의 나사 체결 작업 등에 사용하는 연속 나사 체결기 및 이 연속 나사 체결기용의 나사로프로서 적합하게 적용 가능하다.
1 연속 나사 체결기(successive screw clamping machine)
2 그립 유닛(grip unit)
3 나사 체결기 본체 유닛(screw clamping machine body unit)
4 매거진 유닛(magazine unit)
5 핸들 유닛(handle unit)
6 나사로프(screw rope)
7 띠 모양 부재(belt-shaped member)
8 철편(綴片, binding strip)
9 가이드 홈(groove)
10a 상측 오목부(upper recessed part)
10b 하측 오목부(lower recessed part)
11 핸들 커버(handle cover)
12 엔드 커버(end cover)
13 하우징(housing)
14a 하부 제1 커버(first lower cover)
14b 하부 제2 커버(second lower cover)
15 블록 헤드(block head)
15a 가이드 폴 삽입통(guide pole insertion cylinder)
15b 가이드 폴 삽입통(guide pole insertion cylinder)
15c 비트 삽입통(bit insertion cylinder)
16 트리거 스위치(trigger switch)
17 디렉션 레버(direction lever)
18 핸들 유닛 삽입구(handle unit insertion port)
19 핸들 유닛 로크 레버(handle unit lock lever)
20 코드 유지부(code holding part)
21a 가이드 폴(guide pole)
21b 가이드 폴(guide pole)
22 비트(bit)
31 나사 급송 기구부(screw feeding mechanism part)
32 피더 블록(feeder block)
32a 가이드 폴 수용부(guide pole receiving part)
32b 가이드 폴 수용부(guide pole receiving part)
33 가이드 커버(guide cover)
34 조정 다이얼(adjustment dial)
35 그립 핑거(grip finger)
36 원형단캠(circular stepped cam)
37 가이드 돌기부(guide projection part)
38a 가이드 커버 오목부(guide cover recessed part)
38b 가이드 커버 오목부(guide cover recessed part)
41 스크류 가이드 위치 조정 기구부(screw guide position adjustment mechanism part)
42 어드저스터 플레이트(adjuster plate)
43 어드저스트 레버(adjust lever)
44 스크류 가이드(screw guide)
51 매거진 본체(magazine body)
52 뚜껑체(lid element)
53 장착부(mounting part)
54 조출구(draw-out part)
55 매거진 사이드 커버(magazine side cover)
61 제1 공나사로프 가이드편(first empty screw rope guide strip)
62 제2 공나사로프 가이드편(second empty screw rope guide strip)
S 나사(screw)
S1 나사부(threaded part)

Claims (4)

  1. 나사 체결용 비트를 돌설(突設) 배치하여 이 비트를 스위치 조작과 클러치로 회전 구동하는 그립 유닛과, 상기 비트의 선단을 체결(clamping) 작용 위치에 임하게 함과 아울러 체결 작용 위치의 측방(側方)에 설치한 피더 블록 및 이 피더 블록에 대향(對向) 배치한 가이드 커버를 구비하고, 나사로프를 피체결부재에 대하여 경사 상태로 유도하도록 구성한 가이드 돌기부를 구비하는 나사 체결기 본체 유닛과, 나사로프에 의해 보유된 다수의 나사를 차례로 공급하는 매거진 유닛을 가지는 연속 나사 체결기에 사용하는 나사로프로서,
    상기 나사로프는, 길이방향으로 연속하는 띠 모양 부재와 이 띠 모양 부재의 배면측(背面側)에 소정의 간격을 갖고 설치하는 철편(綴片)에 의해, 각 나사의 나사부의 일정 부위를, 소정의 평행 간격을 갖고서, 또한, 상기 나사로프를 피체결부재에 대하여 경사 상태로 유도하도록 구성한 가이드 돌기부에서의 해당 경사 각도에 대응하는 경사 각도를 갖고서 나사로프의 급송처측을 향해 하강하여 경사 배치로 유지함과 아울러, 상기 띠 모양 부재의 정면측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을 연속 형성하여 구성되며,
    상기 나사로프가 사용된 때, 상기 가이드 커버의 가이드 돌기부와 상기 나사로프의 가이드 홈의 계합(係合)에 의해 상기 나사로프를 피체결부재에 대하여 경사 상태로, 또한, 각 나사를 피체결부재에 대하여 수직 상태로 하면서 상기 비트의 체결 작용 위치측에 이를수록 각 나사의 나사 머리의 높이 위치를 저하시키는 태양(態樣)으로 상기 체결 작용 위치로 차례로 유도하고, 각 나사의 체결 동작 종료 후, 체결 작용 위치의 측방에 나사의 이탈 부위가 차례로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나사 체결기에 사용하는 나사로프.
  2. 나사 체결용 비트를 돌설(突設) 배치하여 이 비트를 스위치 조작과 클러치로 회전 구동하는 그립 유닛과, 상기 그립 유닛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그립 유닛을 하강, 상승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비트의 선단을 체결(clamping) 작용 위치에 임하게 함과 아울러, 체결 작용 위치의 측방(側方)에 설치한 피더 블록 및 이 피더 블록에 대향(對向) 배치한 가이드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피더 블록 및 가이드 커버 사이에서 나사로프에 의해 지지된 복수의 나사를 상기 체결 작용 위치로 유도하여 하방의 체결 대상 개소(箇所)에 연속적으로 체결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 커버의 상기 나사로프를 유도하는 측의 벽면에는, 상기 나사로프의 급송처(feeding destination)측을 향해 하강해서 나사로프를 피체결부재에 대하여 경사(傾斜) 상태로 유도하도록 구성한 가이드 돌기부를 구비하는 나사 체결기 본체 유닛과, 나사로프에 의해 보유된 다수의 나사를 차례로 공급하는 매거진 유닛을 가지는 연속 나사 체결기에 사용하는 나사로프로서,
    상기 나사로프는, 길이방향으로 연속하는 띠 모양 부재와 이 띠 모양 부재의 배면측(背面側)에 소정의 간격을 갖고 설치하는 철편에 의해, 각 나사의 나사부의 일정 부위를, 소정의 평행 간격을 갖고서, 또한, 상기 나사로프를 피체결부재에 대하여 경사 상태로 유도하도록 구성한 가이드 돌기부에서의 해당 경사 각도에 대응하는 경사 각도를 갖고서 나사로프의 급송처측을 향해 하강하여 경사 배치로 유지함과 아울러, 상기 띠 모양 부재의 정면측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을 연속 형성하여 구성되며,
    상기 나사로프가 사용된 때, 상기 가이드 커버의 가이드 돌기부와 상기 나사로프의 가이드 홈의 계합(係合, engagement)에 의해 상기 나사로프를 피체결부재에 대하여 경사 상태로, 또한, 각 나사를 피체결부재에 대하여 수직 상태로 하면서 상기 비트의 체결 작용 위치측에 이를수록 각 나사의 나사 머리의 높이 위치를 저하시키는 태양(態樣)으로 상기 체결 작용 위치로 차례로 유도하고, 각 나사의 체결 동작 종료 후, 체결 작용 위치의 측방으로 나사의 이탈 부위가 차례로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나사 체결기에 사용하는 나사로프.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나사로프에서의 띠 모양 부재의 정면측에서, 상기 가이드 홈 이외의 위치에 상기 띠 모양 부재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다수의 오목부를 산재 상태로, 또한,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나사 체결기에 사용하는 나사로프.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나사로프에서의 띠 모양 부재의 정면측에서, 상기 가이드 홈의 상측 위치이고, 또한, 그 배면측의 이웃하는 상기 철편 사이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및 상기 가이드 홈의 하측 위치이고, 또한, 그 배면측의 철편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양쪽에, 각각 상기 띠 모양 부재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다수의 오목부를 산재 상태로, 또한,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나사 체결기에 사용하는 나사로프.
KR1020170172842A 2016-12-22 2017-12-15 연속 나사 체결기에 사용하는 나사로프 KR1024242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49783 2016-12-22
JP2016249783A JP6770425B2 (ja) 2016-12-22 2016-12-22 連続ビス締付機に用いるビスロー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461A KR20180073461A (ko) 2018-07-02
KR102424251B1 true KR102424251B1 (ko) 2022-07-22

Family

ID=60473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842A KR102424251B1 (ko) 2016-12-22 2017-12-15 연속 나사 체결기에 사용하는 나사로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737372B2 (ko)
EP (1) EP3338953B1 (ko)
JP (1) JP6770425B2 (ko)
KR (1) KR102424251B1 (ko)
AU (1) AU2017265066B2 (ko)
CA (1) CA2986162A1 (ko)
TW (1) TWI7625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43320A (zh) * 2019-10-11 2021-04-13 河南许继仪表有限公司 一种自动锁螺丝机及其螺钉接头组件
CN115533798A (zh) * 2022-08-25 2022-12-30 张家港史帝曼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便于调节的开口扳手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6741A (ja) 2006-08-03 2008-02-21 Makita Corp 連続ねじ締付け機のねじ送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54246A (en) * 1968-06-07 1971-01-12 Donald B Halstead Tool for driving fasteners
JPS5912413Y2 (ja) * 1980-01-08 1984-04-14 マックス株式会社 連結釘
JPH01130983U (ko) * 1988-03-02 1989-09-06
US6055891A (en) * 1993-02-17 2000-05-02 Habermehl; G. Lyle Exit locating screwdriver
JP3159016B2 (ja) 1995-11-13 2001-04-23 株式会社ムロコーポレーション 連続ビス締付機
US6109144A (en) * 1996-07-05 2000-08-29 Muro Corporation Successive screw feeder driver
JPH10337674A (ja) * 1997-06-05 1998-12-22 Nippon Power Fuasuningu Kk 可搬式の動力付き締結工具
JP3939089B2 (ja) * 2000-11-09 2007-06-27 日本パワーファスニング株式会社 連結ファスナー及びこれに使用する連結具
JP4442080B2 (ja) * 2001-09-28 2010-03-31 マックス株式会社 連結ファスナー
US7703649B2 (en) * 2004-05-04 2010-04-27 Illinois Tool Works, Inc. Collations for fasteners of various lengths
JP2010059980A (ja) * 2008-09-01 2010-03-18 Pias Hanbai Kk 連続ねじ締め機に使用するねじ連結体
GB0915371D0 (en) * 2009-09-04 2009-10-07 Black & Decker Inc Fastener assembly
US8544369B2 (en) * 2010-06-30 2013-10-01 Simpson Strong-Tie Company, Inc. Autofeed screwdriving tool
DE102011075094A1 (de) * 2011-05-02 2012-11-08 Hilti Aktiengesellschaft Eintreibvorrichtung
DE102011077433A1 (de) * 2011-06-10 2012-12-13 Hilti Aktiengesellschaft Eintreibelement, Transporteinrichtung und Eintreibvorrichtung
DE102014005105A1 (de) * 2014-04-08 2015-10-08 Adunox Gmbh Magazinband und Magazinzuführung für ein solches Magazinband
JP2016090793A (ja) 2014-11-04 2016-05-2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6741A (ja) 2006-08-03 2008-02-21 Makita Corp 連続ねじ締付け機のねじ送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38953B1 (en) 2020-08-05
US10737372B2 (en) 2020-08-11
EP3338953A1 (en) 2018-06-27
US20180178358A1 (en) 2018-06-28
JP2018105342A (ja) 2018-07-05
CA2986162A1 (en) 2018-06-22
TW201827169A (zh) 2018-08-01
AU2017265066B2 (en) 2023-03-30
TWI762530B (zh) 2022-05-01
AU2017265066A1 (en) 2018-07-12
JP6770425B2 (ja) 2020-10-14
KR20180073461A (ko) 2018-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4574B2 (en) Continuous screw tightening machine with washer stacking supply mechanism
US4380312A (en) Stapling tool
JP4891061B2 (ja) ねじ締め機のねじ送り装置
KR102424251B1 (ko) 연속 나사 체결기에 사용하는 나사로프
US7415910B2 (en) Continuous screw tightening machine
US5303620A (en) Screw gun
JP2006334775A (ja) ファスナ供給装置
KR102433979B1 (ko) 연속 나사 패스너
NZ524870A (en) Magazine rail system for fastener-driving tool
US20210220982A1 (en) Hammer drill and set tool device
JP6591218B2 (ja) ワッシャー積層供給機構付き連続ビス締め付け機
KR20140141809A (ko) 스크류 체결장치 및 체결방법
JPH0546851Y2 (ko)
EP3684554B1 (en) Powered fastener driving tool
KR20140014887A (ko) 셀가이드 고정 장치
JP2005199426A (ja) ファスニングマシンのファスナーマガジン
KR20160116153A (ko) 전동공구
JPH0711233U (ja) 連結ネジ用ネジ締め機のネジ詰まり防止装置
JP2010017825A (ja) ねじ締め機
KR20130000384U (ko) 셀가이드 취부용 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