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2304B1 - 기능성 h빔 고정 클램프 - Google Patents

기능성 h빔 고정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2304B1
KR102422304B1 KR1020220018445A KR20220018445A KR102422304B1 KR 102422304 B1 KR102422304 B1 KR 102422304B1 KR 1020220018445 A KR1020220018445 A KR 1020220018445A KR 20220018445 A KR20220018445 A KR 20220018445A KR 102422304 B1 KR102422304 B1 KR 102422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fixing clamp
horizontal
fitting
vertical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8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희진
Original Assignee
(주)하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나 filed Critical (주)하나
Priority to KR1020220018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23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F16B2/24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of metal
    • F16B2/248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of metal of wire
    • E04B1/4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이 발명은 기능성 H빔 고정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발명은 수평으로 설치되어지는 H빔의 플랜지 상부면에 상기 H빔과 직교하게 구비되어지는 사각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H빔 고정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한개의 철선(Wire)이 절곡되어 일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사각부재가 상부에서 감싸여지도록 하부가 개방된 형태의 감쌈부가 구비되고, 상기 감쌈부는 좌측 및 우측 수직부재와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직부재를 상부에서 연결하는 상부 수평부재으로 구비되어지고, 상기 상기 감쌈부의 좌측 및 우측 수직부재 하단에 상기 H빔의 플랜지가 끼워지도록 일측이 개방된 끼움부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H빔과 상기 H빔 상부에 설치되어지는 사각부재를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탄성력에 의하여 고정 클램프의 분리 또는 해체가 용이하여 계속적인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H빔 고정 클램프{Functional H- beam Fixing Clamp}
이 발명은 기능성 H빔 고정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H빔(H)의 플랜지 외측면에 상기 H빔(H)과 직교하게 구비되어지는 사각부재(M)를 고정 또는 결합함에 있어, 상기 사각부재의 고정 또는 결합을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하기 위한 기능성 H빔 고정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H형강은 H빔으로 불리우기도 하며, 건설현장에서는 H빔에 각형강관, 즉 각관을 결합하여 구조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H빔과 각관은 철선(와이어)이나 케이블을 이용해 고정 또는 결합되고 있었으나, 이는 작업자의 작업이 간단치가 않고, 경우에 따라 결합기구를 사용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결합의 긴결상태도 취약하여 하중이 발생하거나 설치되는 사각부재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사각부재가 쉽게 이동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H빔과 상기 H빔 상부에 설치되어지는 사각부재의 고정 또는 결합이 견고하게 형성되어 우수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H빔과 사각부재의 고정 또는 결합을 형성할 수 있어 시공성이 우수한 기능성 H빔 고정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H빔 고정 클램프는, 수평으로 설치되어지는 H빔의 플랜지 상부면에 상기 H빔과 직교하게 구비되어지는 사각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H빔 고정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한개의 철선(Wire ; W)이 절곡되어 일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사각부재가 상부에서 감싸여지도록 하부가 개방된 형태의 감쌈부가 구비되고, 상기 감쌈부는 좌측 및 우측 수직부재와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직부재를 상부에서 연결하는 상부 수평부재으로 구비되어지고, 상기 상기 감쌈부의 좌측 및 우측 수직부재 하단에 상기 H빔의 플랜지가 끼워지도록 일측이 개방된 끼움부가 각각 구비된다.
또한, 상기 H빔의 플랜지 상부면에는 상기 사각부재의 하부면이 맞대어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감쌈부는 상기 사각부재의 상부에서 하향으로 감싸여지면서 억지 끼워지도록
Figure 112022015826213-pat00001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좌측 수직부재, 상부 수평부재 및 우측 수직부재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감쌈부의 좌측 및 우측 수직부재의 높이 및 상기 상부 수평부재의 폭은 상기 사각부재의 높이 및 폭과 동일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끼움부는 상기 H빔의 일측 플랜지에 횡방향으로 억지 끼워지도록
Figure 112022015826213-pat00002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끼움부는 상기 감쌈부의 좌측 및 우측 수직부재의 하단이 각각 외측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단 수평부가 구비되고, 상기 상단 수평부가 일정한 깊이로 다시 내측 후방으로 절곡되어 하단 수평부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끼움부의 하단 수평부의 단부는 각각 다시 수평방향 외측 전방으로 절곡되어 수평 보강부가 일체로 각각 구비된다.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클립방식으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H빔과, H빔 상부에 설치되어지는 사각부재를 고정 또는 결합함으로써 시공성을 개선할 수 있다.
특히, 이 발명의 H빔 고정 클램프는 한 개의 철선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탄성력에 의해 H빔과 사각부재에 결합되었을 때 유격의 발생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결속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재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a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H빔 고정 클램프의 사용상태를 내려다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b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H빔 고정 클램프의 사용상태를 올려다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H빔 고정 클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b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H빔 고정 클램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a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H빔 고정 클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b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H빔 고정 클램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사항을 바탕으로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1a, 도1b, 도2a, 도 2b을 참고하여,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H빔 고정 클램프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앞서, 이 발명은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H빔과 상기 H빔 상부에 설치되어지는 사각부재의 고정 또는 결합을 위한 고정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상기 H빔은 일반적으로 H형강이라고도 하며, 이 발명에서는 바닥에 일정 간격으로 수평하게 설치되어지는 멍에 또는 거더로 사용되는 것이어서 H빔이라 하며, KSD 3502 또는 KSD 3503의 H형강이 사용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각부재(M)는 장선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단면이 직사각형 및 정사각형의 각형강관(각관 또는 각파이프)을 말하며, KSD 3568의 각형강관이 사용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사각형의 각목이 사용되어질 수도 있다. 즉, 이 발명의 기능성 H빔 고정 클램프(A)는, 수평으로 설치되어지는 H빔(H)의 플랜지 상부면에 상기 H빔(H)과 직교하게 구비되어지는 사각부재(M)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클램프는 한개의 철선(Wire ; W)이 절곡되어 일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사각부재(M)가 상부에서 감싸여지도록 하부가 개방된 형태의 감쌈부(10)가 구비되고, 상기 감쌈부(10)는 좌측 및 우측 수직부재(110)(110')와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직부재(110)(110')를 상부에서 연결하는 상부 수평부재(120)로 구비되어지며, 상기 상기 감쌈부(10)의 좌측 및 우측 수직부재(110)(110') 하단에 상기 H빔(H)의 플랜지가 끼워지도록 일측이 개방된 끼움부(20)(20')가 각각 구비되어지고, 상기 감쌈부(10)의 좌측 및 우측 수직부재(110)(110')의 높이 및 상기 상부 수평부재(120)의 폭은 상기 사각부재(M)의 높이 및 폭과 동일하게 구비되어지며, 상기 끼움부(20)(20')는 상기 H빔(H)의 상부 일측 플랜지에 횡방향으로 억지 끼워지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
Figure 112022046521062-pat00013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끼움부(20)(20')는 상기 감쌈부(10)의 좌측 및 우측 수직부재(110)(110')의 하단이 각각 외측 전방으로 절곡되어 일정 길이의 상단 수평부(210)(210')가 구비되고, 상기 상단 수평부(210)(210')가 일정한 깊이로 다시 내측 후방으로 절곡되어 하단 수평부(220)(220')가 구비되며, 상기 끼움부(20)(20')의 상단 수평부(210)(210') 및 하단 수평부(220)(220')는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구비되어진다. 이때 상기 H빔(H)의 플랜지 상부면에는 상기 사각부재(M)의 하부면이 맞대어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감쌈부(10)는 상기 사각부재(M)의 상부에서 하향으로 감싸여지면서 억지 끼워지도록
Figure 112022046521062-pat00014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좌측 수직부재(110), 상부 수평부재(120) 및 우측 수직부재(110')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끼움부(20)(20')는 상기 H빔(H)의 일측 플랜지에 횡방향으로 억지 끼워지도록
Figure 112022046521062-pat00015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끼움부(20)(20')는 상기 감쌈부(10)의 좌측 및 우측 수직부재(110)(110')의 하단이 각각 외측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단 수평부(210)(210')가 구비되고, 상기 상단 수평부(210)(210')가 일정한 깊이로 다시 내측 후방으로 절곡되어 하단 수평부(220)(220')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H빔 고정 클램프는, 도 2a와 도 2b에 나타난 것과 같이 좌측 및 우측 수직부재(110)(110')사이의 폭이 하부방향을 향해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구비되어짐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사각부재(M)가 H빔과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감쌈부(10)의 좌측 및 우측 수직부재(110)(110')의 높이 및 상기 상부 수평부재(120)의 폭은 상기 사각부재(M)의 높이 및 폭과 동일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즉, 감쌈부(10)는 일정한 폭을 가지도록 제작되어 한 개의 철선을 절곡성형하는 제조과정이 단순화되어 제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상기 끼움부(20)(20')의 길이는 상기 H빔(H)의 일측 플랜지의 내측 길이만큼의 길이로 구비되어 H빔(H)의 플랜지로부터 이탈되는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부(20)(20')의 하단 수평부(220)(220')는 상기 상단 수평부(210)(210')보다 길게 연장 구비되어, 상기 하단 수평부(220)(220')의 단부에 하향으로 경사진 하향 경사부(225)(225')가 구비되어진다. 이는 상기 끼움부(20)(20')가 상기 H빔(H)의 일측 플랜지에 쉽게 끼워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자의 끼움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끼움부(20)(20')는 상기 감쌈부(10)의 좌측 및 우측 수직부재(110)(110')의 하단이 각각 외측 전방으로 절곡되어 일정 길이의 상단 수평부(210)(210')가 구비되고, 상기 상단 수평부(210)(210')가 일정한 깊이로 다시 내측 후방으로 절곡되어 하단 수평부(220)(220')가 구비되며, 상기 끼움부(20)(20')의 상단 수평부(210)(210') 및 하단 수평부(220)(220')는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일정 길이로 형성된 끼움부(20)(20')의 높이는 외측에서 내측 후방을 향할수록 작아지게 구비되어진다. 즉, 끼움부(20)(20')의 폭이 내측을 향할수록 줄어들어, 다양한 두께의 H빔 플랜지에 끼워질 수 있다.
이상에서 기술한 것과 같이, 이 발명의 기능성 H빔은 다양한 플랜지 두께의 H빔과 상기 H빔 상부에 설치되어지는 사각부재의 고정 또는 결합을 견고하게 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H빔 고정 클램프(A)는 한개의 철선(Wire ; W)이 절곡되어 일체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철선의 탄성력에 의하여 H빔(H)과 상기 H빔 상부에 설치되어지는 사각부재(M)를 고정하기 위한 작업자의 끼움이 용이하고, 한번 끼워져 고정된 다음에는 변형이 없을뿐만 아니라 유격이 없어 안정되게 고정되어지고, 또한 고정 클램프(A)의 탄성력에 의하여 고정 클램프의 분리 또는 해체도 용이하여 계속적인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 1b 그리고 도 3a 와 도 3b를 참조하여 H빔의 플랜지에 연결 시 수평을 보강하고, 강성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한위한 H빔 고정 클램프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성 H빔 고정 클램프(A)는 도 3a와 도 3b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끼움부(20)(20')의 하단 수평부(220)(220')의 단부는 각각 다시 수평방향 외측 전방으로 절곡되어 수평 보강부(230)(230')가 일체로 각각 구비된다. 또한, 상기 수평 보강부(230)(230')는 상기 하단 수평부(220)(220')의 외측에 상기 하단 수평부(220)(220')와 평행하게 횡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단 수평부(220)(220')와 일체로 형성된 수평 보강부(230)(230')로 인하여 상기 다른 실시예의 끼움부(20)(20')는 상부의 상단 수평부(210)(210')와 하부의 하단 수평부(220)(220') 및 수평 보강부(230)(230')에 의하여 형성되어짐으로써 상기 일 실시예의 상기 상단 수평부(210)(210')와 상기 하단 수평부(220)(220')에 의하0여 형성된 끼움부(20)(20')에 비하여 상기 사각부재를 고정하는 클립의 강성이 보강되어 상기 H빔(H)과 사각부재(M)가 안정되게 고정되어진다. 특히, 상기 H빔(H)의 플랜지 하면에 상기 하단 수평부(220)(220')와 수평 보강부(230)(230')가 수평으로 나란하게 위치되어 상기 고정 클립이 상기 H빔(H)의 플랜지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나아가,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클램프는 상기 끼움부(20)(20')의 하단 수평부(220)(220')와 수평 보강부(230)(230')에 의하여 형성되어지는 절곡 단부에도 ⊂자형 하향경사부(225)(225')가 하향으로 구비될 수도 있는바, 이 또한, 상기 끼움부(20)(20')가 상기 H빔(H)의 일측 플랜지에 쉽게 끼워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자의 끼움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이 발명에 따른 기능성 H빔 고정 클램프는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이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이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H빔 고정 클램프 H : H빔
M : 사각부재 W : 철선
10 : 감쌈부 20 , 20': 끼움부
110 , 110' : 좌측 및 우측 수직부재 120 : 상부 수평부재
210 , 210' : 상단 수평부 220 , 220': 하단 수평부

Claims (5)

  1. 수평으로 설치되어지는 H빔(H)의 플랜지 상부면에 상기 H빔(H)과 직교하게 구비되어지는 사각부재(M)를 고정하기 위한 H빔 고정 클램프(A)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한개의 철선(Wire ; W)이 절곡되어 일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사각부재(M)가 상부에서 감싸여지도록 하부가 개방된 형태의 감쌈부(10)가 구비되고, 상기 감쌈부(10)는 좌측 및 우측 수직부재(110)(110')와 상기 좌측 및 우측 수직부재(110)(110')를 상부에서 연결하는 상부 수평부재(120)로 구비되어지며, 상기 상기 감쌈부(10)의 좌측 및 우측 수직부재(110)(110') 하단에 상기 H빔(H)의 플랜지가 끼워지도록 일측이 개방된 끼움부(20)(20')가 각각 구비되어지고, 상기 감쌈부(10)의 좌측 및 우측 수직부재(110)(110')의 높이 및 상기 상부 수평부재(120)의 폭은 상기 사각부재(M)의 높이 및 폭과 동일하게 구비되어지며, 상기 끼움부(20)(20')는 상기 H빔(H)의 상부 일측 플랜지에 횡방향으로 억지 끼워지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
    Figure 112022046521062-pat00016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끼움부(20)(20')는 상기 감쌈부(10)의 좌측 및 우측 수직부재(110)(110')의 하단이 각각 외측 전방으로 절곡되어 일정 길이의 상단 수평부(210)(210')가 구비되고, 상기 상단 수평부(210)(210')가 일정한 깊이로 다시 내측 후방으로 절곡되어 하단 수평부(220)(220')가 구비되며, 상기 끼움부(20)(20')의 상단 수평부(210)(210') 및 하단 수평부(220)(220')는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일정 길이로 형성된 끼움부(20)(20')의 높이는 외측에서 내측 후방을 향할수록 작아지게 구비되고, 상기 끼움부(20)(20')의 하단 수평부(220)(220')는 상기 상단 수평부(210)(210')보다 길게 연장 구비되어, 상기 하단 수평부(220)(220')의 단부에 하향으로 경사진 하향 경사부(225)(225')가 구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H빔 고정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빔(H)의 플랜지 상부면에는 상기 사각부재(M)의 하부면이 맞대어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감쌈부(10)는 상기 사각부재(M)의 상부에서 하향으로 감싸여지면서 억지 끼워지도록
    Figure 112022015826213-pat00005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좌측 수직부재(110), 상부 수평부재(120) 및 우측 수직부재(110')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H빔 고정 클램프.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20)(20')의 하단 수평부(220)(220')의 단부는 각각 다시 수평방향 외측 전방으로 절곡되어 수평 보강부(230)(230')가 일체로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H빔 고정 클램프.
KR1020220018445A 2022-02-11 2022-02-11 기능성 h빔 고정 클램프 KR102422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445A KR102422304B1 (ko) 2022-02-11 2022-02-11 기능성 h빔 고정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445A KR102422304B1 (ko) 2022-02-11 2022-02-11 기능성 h빔 고정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2304B1 true KR102422304B1 (ko) 2022-07-19

Family

ID=82607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8445A KR102422304B1 (ko) 2022-02-11 2022-02-11 기능성 h빔 고정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230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3309A (ja) * 1997-08-26 1999-03-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固定金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3309A (ja) * 1997-08-26 1999-03-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固定金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96023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柱梁の接合構造、この接合構造を含んだ柱梁架構構造、およ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柱梁の接合方法
US20200248454A1 (en) V-shaped tie reinforcement integrated with one-touch type fixing means
KR102422304B1 (ko) 기능성 h빔 고정 클램프
CN109208817A (zh) 一种在预制剪力墙模板中固定线盒的方法
KR101880492B1 (ko) 단부 h형강이 구성된 합성 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구조
JP2017203371A (ja) 柱梁架構
KR200441762Y1 (ko)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연결장치
JP2009293289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梁
KR102293304B1 (ko) 앵커볼트 고정구
KR101830335B1 (ko)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용 보조띠철근
JP3899112B1 (ja) 金網フェンスの構造
JP2007162268A (ja) 盛土補強部材の連結構造
JP5399845B2 (ja) 法枠用アンカー
KR101809190B1 (ko) 견고성과 조립성이 향상된 렁
KR101035640B1 (ko) 관체의 교차부위 고정장치
JP4510215B2 (ja) 鋼製大引きの連結構造
KR102277223B1 (ko) 강판-콘크리트 복합보 구조
KR20100043989A (ko) 철근 겹침 이음을 위한 철근 위치 고정용 결속선
KR102089575B1 (ko)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
KR101827857B1 (ko) 누름고정부를 구비한 데크플레이트 및 그 시공방법
JP6866282B2 (ja) 接合構造及び接合方法
JP2019073940A (ja) 押さえ具
JP6855660B2 (ja) せん断補強鉄筋
KR101959043B1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비탈형 데크
JP7040727B2 (ja) 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