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3989A - 철근 겹침 이음을 위한 철근 위치 고정용 결속선 - Google Patents

철근 겹침 이음을 위한 철근 위치 고정용 결속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3989A
KR20100043989A KR1020080103269A KR20080103269A KR20100043989A KR 20100043989 A KR20100043989 A KR 20100043989A KR 1020080103269 A KR1020080103269 A KR 1020080103269A KR 20080103269 A KR20080103269 A KR 20080103269A KR 20100043989 A KR20100043989 A KR 20100043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reinforcing bars
reinforcing bar
fixing part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3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9041B1 (ko
Inventor
천성철
이성호
오보환
Original Assignee
(주)대우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우건설 filed Critical (주)대우건설
Priority to KR1020080103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9041B1/ko
Publication of KR20100043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3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9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9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6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different directions
    • E04C5/167Connection by means of clips or other resilien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3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parallel relations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 겹침 이음을 위한 철근 위치 고정용 결속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부 이음 철근과 하부 이음 철근을 결속하는 결속선에 있어서, 상기 결속선은 상기 상부 이음 철근과 하부 이음 철근이 내측에 압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나의 강선이 다단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결속 클립과; 상기 상부 이음 철근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결속 클립의 하부 끝단에서 그 일단이 연결되어 원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받침 클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기둥, 벽체 등의 수직 부재에서 철근 겹침 이음시 상부 이음 철근을 하부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를 띄워 고정시킴과 동시에 상부 이음 철근과 하부 이음 철근을 간단히 결속시킴으로써 시공성을 향상시켜 시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수직 부재에서 A급 이음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철근 소요량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어 공사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철근, 겹침 이음, 결속선, 결속 클립, 받침 클립

Description

철근 겹침 이음을 위한 철근 위치 고정용 결속선{BINDING WIRE FOR FIXING POSITION OF STEEL ROD}
본 발명은 철근 겹침 이음을 위한 철근 위치 고정용 결속선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기둥, 벽체 등의 수직 부재에서 철근 겹침 이음시 상부 이음 철근을 하부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를 띄워 고정시키도록 하는 철근 겹침 이음을 위한 철근 위치 고정용 결속선에 관한 것이다.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되는 철근은 통상적으로 제작상의 문제와 운반상의 문제로 인해 일정길이의 규격품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제한된 길이로 공급되는 철근을 각종 대형구조물에 사용할 경우 다수의 철근을 수직 또는 수평 연결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각각의 철근을 견고하게 연결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소개되고 있다.
철근의 이음방법중 겹침 이음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급 이음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B급 이음으로 나뉜다.
A급 이음은 정착길이의 1.0배이고, 배치된 철근량이 이음부 전체 구간에서 해석결과 요구되는 소요철근량의 2배 이상이고 소요 겹침이음길이내 겹침 이음된 철근량이 전체 철근량의 1/2 이하인 경우에만 적용된다.
B급 이음은 정착길이의 1.3배이고, A급 이음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된다.(도 1과 같이 이음하는 경우 기본 이음길이 산정에 사용되는 철근 순간격이 도 2의 이음에 비해 2배 이상 커지므로 기본이음길이를 최대 40%까지 줄일 수 있다.)
한편, 기둥, 벽체와 같은 수직 부재에서는 A급 이음을 하기 위해서는 총 철근의 50%는 하부 바닥면에서 겹침 이음되지 않고, 상부에서 연결되어야 하는 데, 결속선을 이용하여 겹침 이음하는 경우 작업이 번거로워 시공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철근 이음길이에 대한 관리가 어렵고 견고한 결속력을 확보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직 부재에서 시공상의 어려움 때문에 이음 길이가 30%에서 최대 100% 더 소요되더라도 B급 이음을 사용하기 때문에 철근의 소요량이 증대되고 길이가 조금 짧아서 버리는 철근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둥, 벽체 등의 수직 부재에서 철근 겹침 이음시 상부 이음 철근을 하부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를 띄워 고정시킴과 동시에 상부 이음 철근과 하부 이음 철근을 간단히 결속시킴으로써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수직 부재에서 A급 이음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철근 소요량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는 철근 겹침 이음을 위한 철근 위치 고정용 결속 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상부 이음 철근과 하부 이음 철근을 결속하는 결속선에 있어서, 상기 결속선은 상기 상부 이음 철근과 하부 이음 철근이 내측에 압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나의 강선이 다단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결속 클립과; 상기 상부 이음 철근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결속 클립의 하부 끝단에서 그 일단이 연결되어 원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받침 클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그 평면 형상이 "C"자 형태로 형성되는 제 1고정부와; 그 측면 형상이 "U"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 1고정부의 일단에서 그 일단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제 1고정부에서 상방향으로 수직 연장되는 제 1탄성부와; 상기 제 1고정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탄성부의 타단에서 그 일단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제 1탄성부에서 측방향으로 수평 연장되는 제 2고정부와; 상기 제 1탄성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2고정부의 타단에서 그 일단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제 2고정부에서 상방향으로 수직 연장되는 제 2탄성부와; 상기 제 1고정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2탄성부의 타단에서 그 일단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제 2탄성부에서 측방향으로 수평 연장되는 제 3고정부와; 상기 제 1탄성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3고정부의 타단에서 그 일단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제 3고정부에서 하방향으로 수직 연장되는 제 3탄성부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제 1탄성부 내지 제 3탄성부는 상기 상부 이음 철근과 하부 이음 철근이 탄성에 의해 내측에 압입되어 고정되도록 그 평면이 상기 제 1고정부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다.
여기에서 또, 상기 받침 클립은 상기 하부 이음 철근과 간섭이 없으면서 상기 상부 이음 철근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하향 경사를 주며 상기 상부 이음 철근의 지름보다 더 적게 형성한다.
여기에서 또, 상기 결속 클립의 제 3탄성부의 타단은 상기 제 2고정부에 용접 고정되고, 상기 받침 클립의 타단은 상기 제 1고정부에 용접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철근 겹침 이음을 위한 철근 위치 고정용 결속선에 따르면, 기둥, 벽체 등의 수직 부재에서 철근 겹침 이음시 상부 이음 철근을 하부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를 띄워 고정시킴과 동시에 상부 이음 철근과 하부 이음 철근을 간단히 결속시킴으로써 시공성을 향상시켜 시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수직 부재에서 A급 이음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철근 소요량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어 공사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겹침 이음을 위한 철근 위치 고정용 결속선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겹침 이음을 위한 철근 위치 고정용 결속선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배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저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겹침 이음을 위한 철근 위치 고정용 결속선을 이용하여 상부 이음 철근과 하부 이음 철근을 결속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겹침 이음을 위한 철근 위치 고정용 결속선을 이용하여 상부 이음 철근과 하부 이음 철근을 결속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겹침 이음을 위한 철근 위치 고정용 결속선(100)은 결속 클립(110)과, 받침 클립(120)으로 구성된다.
먼저, 결속 클립(110)은 그 평면 형상이 "C"자 형태로 형성되는 제 1고정부(111)와, 그 측면 형상이 "U"자 형태로 형성되어 제 1고정부(111)의 일단에서 그 일단이 일체로 형성되되, 제 1고정부(111)에서 상방향으로 수직 연장되는 제 1탄성부(112)와, 제 1고정부(111)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1탄성부(112)의 타단에서 그 일단이 일체로 형성되되, 제 1탄성부(112)에서 측방향으로 수평 연장되는 제 2고정부(113)와, 제 1탄성부(112)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2고정부(113)의 타단에서 그 일단이 일체로 형성되되, 제 2고정부(113)에서 상방향으로 수직 연 장되는 제 2탄성부(114)와, 제 1고정부(111)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2탄성부(114)의 타단에서 그 일단이 일체로 형성되되, 제 2탄성부(114)에서 측방향으로 수평 연장되는 제 3고정부(115)와, 제 1탄성부(112)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3고정부(115)의 타단에서 그 일단이 일체로 형성되되, 제 3고정부(115)에서 하방향으로 수직 연장되는 제 3탄성부(116)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결속 클립(110)의 제 1탄성부(112)과, 제 2탄성부(114) 및 제 3탄성부(116)는 상부 이음 철근(1)과 하부 이음 철근(3)이 탄성에 의해 내측에 압입되어 고정되도록 그 평면이 제 1고정부(111)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다.
여기에서 또한, 결속 클립(110)의 제 3탄성부(116)의 타단은 제 2고정부(113)에 용접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선택에 따라서는 용접을 안한 상태로 유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받침 클립(120)은 상부 이음 철근(1)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결속 클립(110)의 제 1고정부(111) 타단에서 그 일단이 연결되어 원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데, 하부 이음 철근(3)과 간섭이 없으면서 상부 이음 철근(1)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하향 경사(θ)를 주며 상부 이음 철근(3)의 지름(D1)보다 그 지름(R1)이 더 작게 형성한다.
여기에서, 받침 클립(120)의 타단은 제 1고정부(111)에 용접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선택에 따라서는 용접을 안한 상태로 유지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겹침 이음을 위한 철근 위치 고정용 결속선을 이용한 결속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둥, 벽체 등의 수직 부재를 시공하기 위하여 하부 이음 철근(3)을 배치한다.
그런 다음, 하부 이음 철근(3)의 측면에 상부 이음 철근(1)의 50%를 하부 바닥면에서 겹침 이음, 즉 A급 이음을 적용한다. 이때, 상부 이음 철근(1)과 하부 이음 철근(3)은 통상의 결속선에 의한 방식으로 결속한다.
그리고, 나머지 상부 이음 철근(1)의 50%를 하부 이음 철근(3)의 측면에 하부 바닥면에서 설계 높이까지 이격시킨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겹침 이음을 위한 철근 위치 고정용 결속선(100)을 이용하여 겹침 이음한다.
이때, 결속 클립(110)에 상부 이음 철근(1)과 하부 이음 철근(3)을 압입하는 데, 상부 이음 철근(1)과 하부 이음 철근(3)을 면접시켜 수평하게 유지시킨 상태에서 결속 클립(110)의 측면에서 제 1탄성부(112)와, 제 2탄성부(114) 및 제 3탄성부(116)의 형상을 가변시키면서 압입하여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부 이음 철근(1)의 저면이 받침 클립(120)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상부 이음 철근(1)의 위치를 조정한다.
그러면, 상부 이음 철근(1)과 하부 이음 철근(3)이 결속 클립(110)에 의해 압입 고정되고, 받침 클립(120)에 의해 상부 이음 철근(1)의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방법으로 모든 상부 이음 철근(1)에 A급 이음을 적용하여 하부 이음 철근(3)과 겹침 이음한다.
따라서, 철근 겹침 이음시 상부 이음 철근을 하부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를 띄워 고정시킴과 동시에 상부 이음 철근과 하부 이음 철근을 간단히 결속시킬 수 있고, A급 이음의 적용이 어려운 장소에도 A급 이음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철근의 겹침 이음중 A급 이음과 B급 이음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겹침 이음을 위한 철근 위치 고정용 결속선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배면도,
도 5는 도 3의 평면도,
도 6은 도 3의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겹침 이음을 위한 철근 위치 고정용 결속선을 이용하여 상부 이음 철근과 하부 이음 철근을 결속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겹침 이음을 위한 철근 위치 고정용 결속선을 이용하여 상부 이음 철근과 하부 이음 철근을 결속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 이음 철근 3 : 하부 이음 철근
110 : 결속 클립 120 : 받침 클립

Claims (5)

  1. 상부 이음 철근과 하부 이음 철근을 결속하는 결속선에 있어서,
    상기 결속선은,
    상기 상부 이음 철근과 하부 이음 철근이 내측에 압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나의 강선이 다단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결속 클립과;
    상기 상부 이음 철근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결속 클립의 하부 끝단에서 그 일단이 연결되어 원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받침 클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겹침 이음을 위한 철근 위치 고정용 결속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 클립은,
    그 평면 형상이 "C" 형태로 형성되는 제 1고정부와;
    그 측면 형상이 "U"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 1고정부의 일단에서 그 일단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제 1고정부에서 상방향으로 수직 연장되는 제 1탄성부와;
    상기 제 1고정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탄성부의 타단에서 그 일단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제 1탄성부에서 측방향으로 수평 연장되는 제 2고정부와;
    상기 제 1탄성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2고정부의 타단에서 그 일단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제 2고정부에서 상방향으로 수직 연장되는 제 2탄성부와;
    상기 제 1고정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2탄성부의 타단에서 그 일단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제 2탄성부에서 측방향으로 수평 연장되는 제 3고정부와;
    상기 제 1탄성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3고정부의 타단에서 그 일단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제 3고정부에서 하방향으로 수직 연장되는 제 3탄성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겹침 이음을 위한 철근 위치 고정용 결속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탄성부 내지 제 3탄성부는,
    상기 상부 이음 철근과 하부 이음 철근이 탄성에 의해 내측에 압입되어 고정되도록 그 평면이 상기 제 1고정부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겹침 이음을 위한 철근 위치 고정용 결속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클립은,
    상기 하부 이음 철근과 간섭이 없으면서 상기 상부 이음 철근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하향 경사를 주며 상기 상부 이음 철근의 지름보다 더 적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겹침 이음을 위한 철근 위치 고정용 결속선.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 클립의 제 3탄성부의 타단은 상기 제 2고정부에 용접 고정되고, 상기 받침 클립의 타단은 상기 제 1탄성부에 용접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겹침 이음을 위한 철근 위치 고정용 결속선.
KR1020080103269A 2008-10-21 2008-10-21 철근 겹침 이음을 위한 철근 위치 고정용 결속선 KR101039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269A KR101039041B1 (ko) 2008-10-21 2008-10-21 철근 겹침 이음을 위한 철근 위치 고정용 결속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269A KR101039041B1 (ko) 2008-10-21 2008-10-21 철근 겹침 이음을 위한 철근 위치 고정용 결속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989A true KR20100043989A (ko) 2010-04-29
KR101039041B1 KR101039041B1 (ko) 2011-06-03

Family

ID=42218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3269A KR101039041B1 (ko) 2008-10-21 2008-10-21 철근 겹침 이음을 위한 철근 위치 고정용 결속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90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56597A (zh) * 2018-05-31 2018-11-23 新疆国统管道股份有限公司 Pccp钢丝接头及其绑扎方法
CN110130502A (zh) * 2019-06-03 2019-08-16 湖北思泽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钢筋混凝土装配式建筑的整体连接体系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4959A (ja) 1997-10-20 1999-05-11 Union Machinery Co Ltd 鉄筋結束具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56597A (zh) * 2018-05-31 2018-11-23 新疆国统管道股份有限公司 Pccp钢丝接头及其绑扎方法
CN108856597B (zh) * 2018-05-31 2023-11-03 新疆国统管道股份有限公司 Pccp钢丝接头及其绑扎方法
CN110130502A (zh) * 2019-06-03 2019-08-16 湖北思泽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钢筋混凝土装配式建筑的整体连接体系
CN110130502B (zh) * 2019-06-03 2020-09-11 湖北思泽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钢筋混凝土装配式建筑的整体连接体系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9041B1 (ko) 201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15349B (zh) 稳定器支承结构
TWI681101B (zh) 一體設有快捷式固定裝置的v形繫筋
KR101627834B1 (ko) 띠철근 고정구, 원터치 체결 띠철근 및 띠철근 고정구에 의해 띠철근이 결합된 철근콘크리트 부재
KR101039041B1 (ko) 철근 겹침 이음을 위한 철근 위치 고정용 결속선
KR20170121955A (ko) 봉 형태 부재 연결장치
KR101642110B1 (ko) 탈형 데크 플레이트
US10975572B2 (en) V-shaped tie hoop assembly
US20150240493A1 (en) Shear reinforcement for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KR101865139B1 (ko) 콘크리트 말뚝 기초 비닐하우스
JP2011069078A (ja) 土留め壁用篭枠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KR20170036949A (ko) 기둥부재와 보부재의 접합구조
KR101455502B1 (ko) 조립식 스탠드바 격자지보
KR200405937Y1 (ko) 라멘식 철골구조용 보의 내력 강화구조
JP2016065402A (ja) 既設構造物と取替用部材との接合方法及び構造
KR102402442B1 (ko) 신축 기둥 및 단면확대 보강 기둥의 보조띠철근 배근을 위한 철근 선조립 연속 v-타이 시공 기술
KR101362978B1 (ko) 텐던 정착부의 콘크리트 인장파열방지를 위한 보강구조
KR200159413Y1 (ko) 매립철근 간격유지구
CN103074956B (zh) 钢板-砂浆组合结构
KR200270125Y1 (ko) 철근 받침대
JP2013007200A (ja) パイプサポート支持金具
KR20120038131A (ko) 철근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전단 보강 구조
KR101791978B1 (ko) 이중 아치 구조에 의해 지지되는 보도교
KR20220064505A (ko) 트러스거더 고정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트러스거더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JP5355041B2 (ja) 梁端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造鉄骨梁
CN204001434U (zh) 一种通用钢筋间隔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