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125Y1 - 철근 받침대 - Google Patents

철근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125Y1
KR200270125Y1 KR2020010039237U KR20010039237U KR200270125Y1 KR 200270125 Y1 KR200270125 Y1 KR 200270125Y1 KR 2020010039237 U KR2020010039237 U KR 2020010039237U KR 20010039237 U KR20010039237 U KR 20010039237U KR 200270125 Y1 KR200270125 Y1 KR 2002701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bar
support
support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92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유섭
Original Assignee
송유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유섭 filed Critical 송유섭
Priority to KR20200100392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1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1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125Y1/ko

Links

Landscapes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다란 받침철봉에, 철봉을 구부려 형성시킨 다수개의 기둥을 부착하여서 된 철근받침대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철근받침대는 시공중 배근된 철근 위로 하중이 큰 수레 등이 이동할 때에 철근받침대인 기다란 받침철봉이 휘일 염려가 있으며, 특히 이러한 철근 받침대를 상근 받침대로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는 그 휘임의 정도가 큰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기둥부재에 하근받침부를 설치하여 상근을 받쳐주기 위한 기다란 철근받침대가 하근 받침으로도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용도의 다양화를 기하게 함과 동시에, 시공중, 배근된 철근 위로 하중이 큰 수레 등이 이동하더라도 받침철봉이 휘일 염려가 적게 한 것임.

Description

철근 받침대 {Support for steel reinforcing}
본 고안은 기다란 받침철봉에, 철봉을 구부려 형성시킨 다수개의 기둥을 부착하여서 된 철근받침대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기다란 받침철봉으로 된 철근받침대는 시공중 배근된 철근 위로 하중이 큰 수레 등이 이동할 때에 철근받침대인 기다란 받침철봉이 휘일 염려가 있으며, 특히 이러한 철근 받침대를 상근 받침대로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는 그 휘임의 정도가 큰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철근받침대는 그 재질이 철이어서 콘크리트를 강화하는 면이 있으므로 필요 이상의 다수의 철근받침대를 설치하더라도 건축물의 강도를 저하시키는 일은 없지만, 이러한 철근 받침대를 다수 사용하는 경우, 건축물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측면보다는 건축비를 상승시키는 마이너스적 측면이 더욱 커서 경제적이지 못한 결점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그와 같이 기다란 철근받침대를 상근 받침대 따로 하근받침대 따로 사용하여 건축자재비용을 상승시킬 뿐 아니라 그 설치비용을 증가시키는 결점이 있어 건축비의 상승에 중요한 작용을 하였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기둥부재에 하근받침부를 설치하여 상근을 받쳐주기 위한 기다란 철근받침대가 하근 받침으로도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용도의 다양화를 기하게 함과 동시에, 시공중, 배근된 철근 위로 하중이 큰 수레 등이 이동하더라도 받침철봉이 휘일 염려를 감소시킬 수 있게 하였는 바,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기둥에 하근받침의 다양한 설치구조를 설명하는 본 고안에 따른 철근 받침대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받침철봉
2. 기둥
3. 하근받침
본 고안은, 기다란 받침철봉(1)에, 철봉을 구부려 형성시킨 다수개의 기둥(2)을 부착하여서 된 철근받침대에 있어서, 기둥(2)에 하근받침(3)을 형성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둥(2)에 하근받침(3)을 형성시킴에 있어서는, 기둥(2)에 하근받침(3)을 용접하여 설치하거나 기둥(2)의 한 쪽을 연장하여 상향절곡시키어 형성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첨부된 도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근받침(3)을 기둥(2)의 하단이 끼워지는 관체(31)와 관체(31)의 상부에 형성된 받침(32)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4는 철재로된 기둥(2)의 하단을 씌워주는 합성수지제 골무로써 기둥(2)의 녹물이 천정에 비치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아니하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기둥(2)에 하근받침(3)을 설치하였으므로 기다란 철봉으로 된 상근받침대를 하근받침대로 겸용할 수 있게 하여 건축자재의 절감효과를향상시킬 수 있게 하며, 나아가 본 고안은 기둥(2)의 하단에 끼우는 골무(4)를 개량하여 하근받침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하근받침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인력을 절감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기다란 받침철봉(1)에, 철봉을 구부려 형성시킨 다수개의 기둥(2)을 부착하여서 된 철근받침대에 있어서, 기둥(2)에 하근받침(3)을 형성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받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하근받침(3)은 기둥(2)의 한 쪽 하단을 연장하여 상향절곡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받침대.
  3. 제 1 항에 있어서, 하근받침(3)은 기둥(2)의 하단이 끼워지는 관체(31)와 관체(31)의 상부에 형성된 받침(32)으로 형성시켜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받침대.
KR2020010039237U 2001-12-19 2001-12-19 철근 받침대 KR2002701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237U KR200270125Y1 (ko) 2001-12-19 2001-12-19 철근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237U KR200270125Y1 (ko) 2001-12-19 2001-12-19 철근 받침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1506A Division KR100453800B1 (ko) 2002-10-09 2002-10-09 철근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125Y1 true KR200270125Y1 (ko) 2002-03-29

Family

ID=73114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237U KR200270125Y1 (ko) 2001-12-19 2001-12-19 철근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12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2479B1 (ko) 비닐하우스용 보강 구조물
KR200270125Y1 (ko) 철근 받침대
KR100453800B1 (ko) 철근 받침대
KR101642110B1 (ko) 탈형 데크 플레이트
CN210918296U (zh) 一种方钢管套筒固定装置
JP2016196802A (ja) スペーサ及び鉄筋組み上げ方法
JP2017066804A (ja) 型枠支持材、型枠保持具及び型枠ユニット並びに該型枠ユニットの構築方法
KR20080001375U (ko) 무량판 슬래브의 이방향 전단 보강 구조물
KR102054628B1 (ko) 말뚝 상단 합성효과에 의한 강성 보강 및 선단 확장형 말뚝
KR20100004374U (ko) 트러스형 합벽 지지대
KR101039041B1 (ko) 철근 겹침 이음을 위한 철근 위치 고정용 결속선
KR102003110B1 (ko) 돔 건축물의 철골구조
CN201217891Y (zh) 大跨度空心楼板中固定薄壁管的锚固卡
KR200282252Y1 (ko) 철근 받침대
JP5756930B1 (ja) スペーサ、スペーサ製造方法及びスラブ鉄筋組上げ方法
KR200305351Y1 (ko) 상,하부근 겸용 바 스페이서
CN211597384U (zh) 钢筋马凳
KR200370186Y1 (ko) 긴막대형 철근받침
JP2002356995A (ja) 鉄筋挿入工法
KR100644029B1 (ko) 수직 전단보강근의 기능을 가진 철근 받침대
KR100556517B1 (ko) 건축물 발코니 측벽 개량구조
JP2016125220A (ja) 建築基礎
KR20240069089A (ko) 슬래브의 상부철근 고임대
KR200276601Y1 (ko) 철근 받침대
KR200223662Y1 (ko) 철근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05

Year of fee payment: 4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