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601Y1 - 철근 받침대 - Google Patents

철근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601Y1
KR200276601Y1 KR2020020005515U KR20020005515U KR200276601Y1 KR 200276601 Y1 KR200276601 Y1 KR 200276601Y1 KR 2020020005515 U KR2020020005515 U KR 2020020005515U KR 20020005515 U KR20020005515 U KR 20020005515U KR 200276601 Y1 KR200276601 Y1 KR 2002766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eg
lower back
reinforcing ba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55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유섭
Original Assignee
송유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유섭 filed Critical 송유섭
Priority to KR20200200055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6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6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601Y1/ko

Links

Landscapes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다란 철봉에 다수개의 기둥을 설치하여서된 철근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인의 실용신안등록 출원 20-2001-39237호를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철근 받침대는 받침(32)이 관체(31)의 일측에 용접 결합됨으로 그 결합부위의 내구성이 매우 취약하여 많은 하중이 전가되는 경우 받침(32)과 관체(31)의 결합부위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고안은 거푸집의 상면에 배근되는 다수의 철근이 얹혀지는 받침봉(1)과, 상기 받침봉(1)에 받침봉을 거푸집 상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이격시키는 다수개의 다리(2)가 설치되고, 상기 다리가 두 개의 가지다리(21)(22)로 구성되며, 각 가지다리(21)(22)의 단부에 마감구(5)가 설치되고, 마감구(5)에 하근 받침대(3)가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마감구(5)가 가지다리(22)의 측면과 접하는 본체(50)와,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벽체(51)와, 가지다리(22)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공(53)과, 상기 본체(50)의 일측에 형성되는 하근받침대(3)와, 하근 받침대(3)의 저부에 형성되는 지지벽체(54)로 구성함으로써, 하근을 받쳐주는 하근받침대와 다리와의 결합내구성을 향상시켜 많은 하중에 의해 하근받침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하중에 받침봉 양단이 들려 올려지더라도 하근받침대가 다리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콘크리트의 내부에서 합성수지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시켜 콘크리트의 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임.

Description

철근 받침대 {Support for steel reinforcing}
본 고안은 기다란 철봉에 다수개의 기둥을 설치하여서된 철근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인의 실용신안등록 출원 20-2001-39237호를 개량하여 하근을 받쳐주는 하근받침대와 다리와의 결합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하중에 의해 받침철봉 양단이 들려 올려지더라도 하근받침대가 다리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철근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기다란 길이재인 받침봉으로 구성되는 철근받침대는 시공중 배근된 철근 위로 하중이 큰 수레 등이 이동할 때에 받침봉이 휘일 염려가 있으며, 특히 이러한 철근 받침대를 상근 받침대로만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는 그 휘임의 정도가 큰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철근받침대는 그 재질이 철이어서 콘크리트를 강화하는 면이 있으므로 필요 이상의 다수의 철근받침대를 설치하더라도 건축물의 강도를 저하시키는 일은 없지만, 이러한 철근 받침대를 다수 사용하는 경우, 건축물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측면보다는 건축비를 상승시키는 마이너스적 측면이 더욱 커서 경제적이지 못한 결점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그와 같이 기다란 철근받침대를 상근 받침대 따로 하근받침대 따로 사용하여 건축자재비용을 상승시킬 뿐 아니라 그 설치비용을 증가시키는 결점이 있어 건축비의 상승에 중요한 작용을 하였던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첨부된 도면 도 1 에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다란 받침봉(1)에 철봉을 구부려 형성시킨 다수개의 다리(2)을 부착하여서 된 철근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다리(2)에 하근 받침대(3)를 형성시키되, 상기 하근 받침대(3)는 다리(2)의 하단이 끼워지는 관체(31)와 관체(31)의 상부에 형성된 받침(32)으로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을 선출원한 바 있다.(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1-39237호)
그러나 이와 같은 선 출원 고안은 하나의 철근 받침대가 상근과 하근 모두를 받쳐줄 수 있어 건축자재비용과 그 설치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하근받침대(3)에 하근이 얹혀지고, 받침봉(1)에 상근이 얹혀진 상태에서 배근된 철근 상으로 큰 하중이 전가되는 경우 받침봉(1)의 양측 단부가 휘어지면서 들려 올려지게 된다.
이때 하근받침대(3)는 하근에 의해 눌려진 상태임으로 결국에는 관체(31)가 다리(2)로부터 이탈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또한 받침(32)이 관체(31)의 일측에 용접 결합됨으로 그 결합부위의 내구성이 매우 취약하여 많은 하중이 전가되는 경우 받침(32)과 관체(31)의 결합부위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인의 또 다른 실용신안 선 출원(20-2001-37837호) 건으로 받침봉을 지지하는 다리를 두터운 판체로 형성시키고, 판체 다리에 하근받침대를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이 있으나, 이는 기둥을 구성하는 두 개의 가지다리 모두가 합성수지재의 두터운 판체로 형성되므로 기둥의 제조에 많은 합성수지원료가 소모되는 문제점과,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그 내부에 삽입되는 합성수지 제품은 이 물질로 간주되며 이러한 합성수지가 점하는 공간은 빈 공간으로 간주되는 바, 콘크리트 내부에 삽입되는 합성수지 물질을 최소화시킬 필요가 있음을 알게되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하근을 받쳐주는 하근받침대와 다리와의 결합내구성을 향상시켜 많은 하중에 의해 하근받침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하중에 받침봉 양단이 들려 올려지더라도 하근받침대가 다리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철근 받침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의 내부에서 합성수지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시켜 콘크리트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철근 받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고안은 거푸집의 상면에 배근되는 다수의 철근이 얹혀지는 받침봉과, 상기 받침봉에 받침봉을 거푸집 상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이격시키는 다수개의 다리가 설치되고, 상기 다리가 두 개의 가지다리로 구성되며, 각 가지다리의 단부에 마감구가 설치되고, 마감구에 하근 받침대가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마감구가 가지다리의 측면과 접하는 본체와,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벽체와, 가지다리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공과,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하근받침대와, 하근 받침대의 저부에 형성되는 지지벽체로 구성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에 있어서의 철근 받침대를 발췌 도시한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철근 받침대를 발췌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요부인 가지다리를 도시한 정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철근 받침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받침봉 2. 다리
3. 하근받침대 5. 마감구
6. 레벨봉 50. 본체
51. 벽체 53. 결합공
55. 스톱퍼 57,59. 하중받침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철근 받침대를 발췌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의 요부인 가지다리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철근 받침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거푸집의 상면에 배근되는 다수의 철근이 얹혀지는 받침봉(1)과, 상기 받침봉(1)에 받침봉을 거푸집 상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이격시키는 다수개의 다리(2)가 설치되고, 상기 다리가 두 개의 가지다리(21)(22)로 구성되며, 각 가지다리(21)(22)의 단부에 마감구가 설치되고, 마감구에 하근 받침대(3)가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마감구(5)가 가지다리(22)의 측면과 접하는 본체(50)와,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벽체(51)와, 본체와 벽체의 사이에 형성되는 보강벽체(52)와, 보강벽체(52)에 형성되어 가지다리(22)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공(53)과, 상기 본체(50)의 일측에 형성되는 하근받침대(3)와, 하근 받침대(3)의 저부에 형성되는 지지벽체(54)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공(53)의 상부에 가지다리(22)의 굴곡부(23) 상부와 접촉하여 가지다리(22)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톱퍼(55)를 형성시키고, 굴곡부(23)의 저부에 받침봉(1)으로부터 전가되는 하중을 마감구(5)에 전달하는 하중받침(57)을 형성시켜 구성된다.
상기 스톱퍼(55)의 일측은 벽체(51)로부터 이격시켜 벽체(51)와 스톱퍼(55)의 일단사이로 가지다리(22)가 삽입되는 공간을 갖도록한다.
그리고 본체(50)의 저부에도 다리(2)의 단부가 재치되는 하중받침(59)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체(50)의 상부에 레벨봉(6)이 설치되는 설치공(56)을 형성시켜 시공시 별도의 레벨봉을 준비하는 번거로움을 해소시킬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두 개의 가지다리(21)(22) 중에서 일측의 가지다리(21)에는 종래와 동일한 마감구(58)를 설치시키고, 또 다른 일측의 가지다리(22)에는 본 고안에 따른 마감구(5)를 설치시킨다.
일 측의 가지다리(22)와 본 고안에 따른 마감구(5)와의 결합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지다리(22)의 단부를 스톱퍼(55)와 벽체(51)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내부로 삽입시켜 가지다리(22)를 결합공(53)에 삽입 결합시키고 가지다리(22)의 단부가 본체(50)에 형성된 하중받침(59)상에 재치되게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마감구(5)를 회전시키게 되면 가지다리(22)의 굴곡부(23)가 스톱퍼(55)와 하중받침(57)의 사이로 삽입되면서 가지다리(22)와 마감구(5)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하근받침대(3)에 하근이 얹혀지고, 받침봉(1)에 상근이 얹혀진 상태에서 배근된 철근 상으로 큰 하중이 전가되어 받침봉(1)의 양측 단부가 휘어지면서 들려 올려지더라도 가지다리(22)의 굴곡부(23)가 스톱퍼(55)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가지다리(22)가 마감구(5)로부터 분리 이탈되지않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하근을 받쳐주는 하근받침대와 다리와의 결합내구성을 향상시켜 많은 하중에 의해 하근받침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하중에 받침봉 양단이 들려 올려지더라도 하근받침대가 다리로부터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콘크리트의 내부에서 합성수지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시켜 콘크리트의 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거푸집의 상면에 배근되는 다수의 철근이 얹혀지는 받침봉(1)과, 상기 받침봉(1)에 받침봉을 거푸집 상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이격시키는 다수개의 다리(2)가 설치되고, 상기 다리가 두 개의 가지다리(21)(22)로 구성되며, 각 가지다리(21)(22)의 단부에 마감구(5)가 설치되고, 마감구(5)에 하근 받침대(3)가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마감구(5)가 가지다리(22)의 측면과 접하는 본체(50)와,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벽체(51)와, 가지다리(22)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공(53)과, 상기 본체(50)의 일측에 형성되는 하근받침대(3)와, 하근 받침대(3)의 저부에 형성되는 지지벽체(5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받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53)의 상부에 가지다리(22)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톱퍼(55)를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받침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중받침(57)이 가지다리(22)의 굴곡부(23)의 저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받침대.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본체(50)의 상부에 레벨봉(6)이 설치되는 설치공(56)을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받침대.
KR2020020005515U 2002-02-25 2002-02-25 철근 받침대 KR2002766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515U KR200276601Y1 (ko) 2002-02-25 2002-02-25 철근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515U KR200276601Y1 (ko) 2002-02-25 2002-02-25 철근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601Y1 true KR200276601Y1 (ko) 2002-05-25

Family

ID=73118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515U KR200276601Y1 (ko) 2002-02-25 2002-02-25 철근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60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PN990040U1 (it) Cassero perfezionato per la costruzione di pavimenti, solai o simili
KR200276601Y1 (ko) 철근 받침대
KR200201589Y1 (ko) 슬래브용 스프링 서포터
KR200282252Y1 (ko) 철근 받침대
KR200354531Y1 (ko) 강관써포트용 받침판
KR102618685B1 (ko) 동바리용 엔형유격제
KR200223744Y1 (ko) 건설용 철근의 이격구
KR200422683Y1 (ko) 건축용 거푸집
KR200268362Y1 (ko) 콘크리트 타설용 기초구조재
CN212507060U (zh) 一种装配式钢结构厂房专用预制防撞柱脚
KR100453800B1 (ko) 철근 받침대
KR200367616Y1 (ko) 거푸집 지지용 수직조절대
JP7307595B2 (ja) 仕上げ材用のアンカー金物
KR200187275Y1 (ko) 금속 기와장의 구조
JP5756930B1 (ja) スペーサ、スペーサ製造方法及びスラブ鉄筋組上げ方法
CN212428177U (zh) 一种墙体加固用钢管桩
KR200242901Y1 (ko) 데크플레이트용 철근 스페이서
KR0114047Y1 (ko) 콘크리트 타설용 압송관 받침대
KR200182723Y1 (ko) 철근 지지대
KR100453799B1 (ko) 철근 받침대
KR200260265Y1 (ko) 콘크리트 타설용 기초구조재
JP3005389U (ja) アンカーボルト
CN207959718U (zh) 一种钢筋砼预制构件
JPH0727909Y2 (ja) 洗い場付浴槽
KR200370186Y1 (ko) 긴막대형 철근받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