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575B1 -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575B1
KR102089575B1 KR1020190090958A KR20190090958A KR102089575B1 KR 102089575 B1 KR102089575 B1 KR 102089575B1 KR 1020190090958 A KR1020190090958 A KR 1020190090958A KR 20190090958 A KR20190090958 A KR 20190090958A KR 102089575 B1 KR102089575 B1 KR 102089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structure
fitting
fixing device
inclined portion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0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상규
Original Assignee
조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상규 filed Critical 조상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38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for plane ceilings of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강철 플레이트 및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 시 슬래브 구조체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1)는 연장부(2); 연장부(2)의 일 측에 형성되는 결합부(4); 및 연장부(2)의 타 측에 형성되는 장착부(6);를 포함하고, 장착부(6)는 연장부(2)의 타 측으로부터 연장부(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만곡하여 연장하는 제1 경사부(16); 및 제1 경사부(16)로부터 일정 각도로 만곡 형성되는 제1 끼움부(26);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SLAB STRUCTURE HOLDING DEVICE}
본 발명은 슬래브 구조체 내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강철 플레이트 및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 시 슬래브 구조체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아파트, 빌딩 등 건축물이나 교량의 골조를 형성할 때에 철근 콘크리트 구조가 사용된다. 콘크리트의 우수한 압축 강도에도 불구하고 인장 강도 및 굽힘 강도가 적어 콘크리트에 의한 슬래브 형성만으로는 강도가 약하여 슬래브 내부에 철근을 배근함으로써, 인장 및 굽힘 강도를 증가시키고 콘크리트의 균열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층 사이를 이루는 슬래브는 상층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동시에 하층의 천정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층에서 생성되는 진동과 소음은 슬래브를 통해 하층으로 전달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구 형상 등의 중공형 스페이서를 슬래브 시공 시 슬래브 구조체 내에 매설하기도 한다.
스페이서는 상층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이 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스페이서의 부피만큼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양을 줄이는 이점이 있다. 다만, 일반적으로 스페이서는 플라스틱 재질로 그 무게가 콘크리트보다 가벼워 콘크리트 타설 시 슬래브 내에서 부상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스페이서가 매설되는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 시, 스페이서 부상에 의하여 슬래브 내 스페이서와 철근의 위치 변동을 방지할 수 있는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등록특허공보 제10-0778072호 (등록일자: 2007.11.14)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강철 플레이트 및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슬래브 구조체를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래브 구조체에 콘크리트 타설 시 슬래브 구조체 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의 부상을 방지하는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방식을 사용하면서도 견고하고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는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일 측에 형성되는 결합부; 및 상기 연장부의 타 측에 형성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연장부의 타 측으로부터 상기 연장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만곡하여 연장하는 제1 경사부; 및 상기 제1 경사부로부터 일정 각도로 만곡 형성되는 제1 끼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끼움부는 상기 연장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경사부는 상기 연장부로부터 둔각을 형성하며 연장하고, 상기 제1 경사부 및 제1 끼움부 사이는 예각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끼움부에는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돌기 또는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복수의 그루브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일 측에 형성되는 결합부; 및 상기 연장부의 타 측에 형성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연장부의 타 측으로부터 상기 연장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만곡하여 연장하는 제1 경사부; 상기 연장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경사부와 대칭하도록 상기 연장부로부터 만곡하여 연장하는 제2 경사부; 상기 제1 경사부로부터 일정 각도로 만곡 형성되는 제1 끼움부; 및 상기 연장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끼움부와 대칭되도록 상기 제2 경사부로부터 만곡 형성되는 제2 끼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경사부는 상기 연장부와 둔각을 형성하며 연장하고, 상기 제1 경사부 및 제1 끼움부 사이는 예각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경사부는 상기 제1 연장부와 둔각을 형성하며 연장하고, 상기 제2 경사부 및 제2 끼움부 사이는 예각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끼움부 및 제2 끼움부에는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돌기 또는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복수의 그루브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일 측에 형성되는 결합부; 및 상기 연장부의 타 측에 형성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연장부의 타 측으로부터 상기 연장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만곡하여 연장하는 제1 경사부; 상기 연장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경사부와 대칭하도록 상기 연장부로부터 만곡하여 연장하는 제2 경사부; 상기 제1 경사부로부터 일정 각도로 만곡 형성되는 제1 끼움부; 상기 연장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끼움부와 대칭되도록 상기 제2 경사부로부터 만곡 형성되는 제2 끼움부; 상기 제1 끼움부로부터 일정 각도로 만곡하여 제1 경사부를 향해 연장하는 제1 안정화부; 및 상기 제2 끼움부로부터 일정 각도 만곡하여 제2 경사부를 향해 연장하는 제2 안정화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경사부, 제2 경사부, 제1 끼움부 및 제2 끼움부는 제1 평면 상에서 연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안정화부 및 제2 안정화부는 상기 제1 평면과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2 평면 상에서 연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강철 플레이트 및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슬래브 구조체를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슬래브 구조체에 콘크리트 타설 시 슬래브 구조체 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방식을 사용하면서도 견고하고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는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3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도 3a의 저면도를 도시하고,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5b는 도 5a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5c는 도 5a의 저면도를 도시하고,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6c는 도 6b의 클립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6d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7 내지 도 12는 슬래브 구조체의 시공순서를 도시하고,
도 13은 도 12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 12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의 장착과정을 설명하고,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의 장착과정을 설명하며,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의 장착과정을 도시한다.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일 측에 형성되는 결합부; 및 상기 연장부의 타 측에 형성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연장부의 타 측으로부터 상기 연장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만곡하여 연장하는 제1 경사부; 및 상기 제1 경사부로부터 일정 각도로 만곡 형성되는 제1 끼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슬래브 구조체를 고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1)는 연장부(2), 결합부(4) 및 장착부를 포함한다.
연장부(2)는 슬래브 구조체 내에 배치되고, 슬래브 구조체의 두께에 적합하도록 그 길이가 조절되어 형성된다. 도면에는 연장부(2)의 형상이 원통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그 형상이 원통형으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기둥 등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기둥, 타원의 단면을 갖는 타원기둥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연장부(2)의 일 측에는 결합부(4)가 형성되고, 연장부(2)의 타 측에는 장착부(6)가 형성된다.
결합부(4)는 슬래브 구조체의 상부근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결합부(4)가 형성된 측의 연장부(2)의 단부는 만곡하여 연장부(2)에 다시 부착된다. 즉, 결합부(4)가 형성된 측의 연장부(2)에는 고리(12)가 형성된다. 결합부(4)는 고리(12)에 삽입되는 굽힘가능한 선재일 수 있다. 결합부(4)는 하나의 가닥의 선재일 수 있고, 둘 이상 가닥의 선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결합부(4)는 상부근에 감거나 묶을 수 있게 상부근에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가요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결합부(4)의 재질은 연성이 큰 금속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는 아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고, 각 실시예에 의한 장착부의 도면부호는 구별을 위하여, 각각, 6, 60, 600으로 지시하기로 한다. 또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6)를 포함하는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는 도면에서 1로,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60)를 포함하는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는 도면에서 10으로, 제3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600)를 포함하는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는 도면에서 100으로 지시하였다.
도 1a 및 1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부(6)는 제1 경사부(16) 및 제1 끼움부(26)를 포함한다.
제1 경사부(16)는 연장부(2)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한다. 제1 경사부(16)는 연장부(2)에서 일정 각도로 만곡하여 연장할 수 있다. 연장부(2)와 제1 경사부(16)는 같은 평면에 놓이도록 형성되나, 같은 평면 상에서 제1 경사부(16)는 연장부(2)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형성하며 연장한다.
제1 끼움부(26)는 제1 경사부(16)로부터 연장한다. 제1 끼움부(26)는 제1 경사부(16)로부터 일정 각도로 굽힘 되어 연장한다. 연장부(2)와 제1 경사부(16)의 사잇각은 둔각이고,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160°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제1 끼움부(26)는 연장부(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제1 끼움부(26)는 제1 경사부(16)와 예각을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이다. 아래에서 설명할 바와 같이,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제1 경사부(16) 및 제1 끼움부(26)는 강철 플레이트(D)의 돌출부(VP, HP)와 결합 시, 장착을 용이하게 하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60)는 제1 경사부(62), 제1 끼움부(64), 제2 경사부(66) 및 제2 끼움부(68)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1 경사부(62) 및 제1 끼움부(64)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의 제1 경사부(16) 및 제1 끼움부(26)에 대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고, 아래에서는 차이점에 대해서 기술하기로 한다.
제2 경사부(66)는 제1 경사부(62)와 마찬가지로 연장부(2)로부터 연장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경사부(66)는 연장부(2)에 대하여 일정 각도를 이루면서 연장할 수 있다. 즉, 연장부(2)가 두 가닥으로 분기되어 제1 경사부(62) 및 제2 경사부(66)를 구성할 수 있다.
제2 경사부(66)는 연장부(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제1 경사부(62)와 대칭되도록 연장한다. 예를 들어, 제2 경사부(66)는, 제1 경사부(62)와 연장부(10)가 이루는 각과 방향은 상이하나 동일한 각도를 형성하며 연장한다. 제1 경사부(62)의 연장방향과 대칭되는 방향으로, 즉, 서로가 마주볼 수 있도록 연장하여 구성된다. 제1 경사부(62) 및 제2 경사부(66)의 사잇각은 예각을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략 20°일 수 있다.
제2 끼움부(68)는 제2 경사부(66)로부터 연장한다. 제2 끼움부(68)는 제2 경사부(66)로부터 일정 각도 만곡하여 연장한다. 제2 끼움부(68)는 제1 끼움부(64)와 마주보도록 구성된다. 즉, 연장부(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제1 끼움부(64) 및 제2 끼움부(68)는 대칭하도록 구성된다.
제1 경사부(62) 및 제1 끼움부(64) 간의 각도는 예각일 수 있고, 제2 경사부(66) 및 제2 끼움부(68) 간의 각도는 예각일 수 있다. 제1 경사부(62) 및 제1 끼움부(64) 간의 각도 또는 제2 경사부(66) 및 제2 끼움부(68) 간의 각도가 작을수록 강철 플레이트(D)의 수평돌출부(HP)에 장착되는 것이 용이하나 서로 간의 각 각도가 너무 작은 경우에는 수평돌출부(HP)에 장착이 어렵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평돌출부(HP)에의 장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1 경사부(62) 및 제1 끼움부(64) 간의 각도 또는 제2 경사부(66) 및 제2 끼움부(68) 간의 각도는 대략 5° 내지 40°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이다.
또한, 제1 경사부(62)와 제1 끼움부(64)가 이루는 평면은 제2 경사부(66)와 제2 끼움부(68)가 이루는 평면과 같은 평면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평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b에서 제1 끼움부(64)는 지면에서 들어가는 방향으로, 제2 끼움부(68)는 지면에서 나오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3a 및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부(600)는 제1 경사부(602), 제1 끼움부(604), 제2 경사부(606), 제2 끼움부(608), 제1 안정화부(610) 및 제2 안정화부(6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사부(602), 제1 끼움부(604), 제2 경사부(606) 및 제2 끼움부(608)에 대하여는 제2 실시예에서의 설명이 그대로 적용되므로 이와 중복되는 설명은 여기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안정화부(610) 및 제2 안정화부(612)는 제1 끼움부(604) 및 제2 끼움부(608) 각각으로부터 연장하고, 제1 끼움부(604) 및 제2 끼움부(608)로부터 일정 각도로 만곡하여 연장한다. 제1 안정화부(610)는 제1 끼움부(604)로부터 연장하여 형성되는 부분이고, 제2 안정화부(612)는 제2 끼움부(608)로부터 연장하여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제1 안정화부(610) 및 제2 안정화부(612)의 연장방향은, 각각, 제1 끼움부(604) 및 제2 끼움부(608)와 동일한 평면 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a 내지 5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제1 안정화부(610) 및 제2 안정화부(612)의 연장방향은, 각각, 제1 끼움부(604) 및 제2 끼움부(608)와 다른 평면상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도 5a를 재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안정화부(610)는 종이에서 나오는 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안정화부(612)는 종이에서 들어가는 방향으로 연장한다. 또는, 제1 안정화부(610)는 종이에서 들어가는 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안정화부(612)는 종이에서 나오는 방향으로 연장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경우, 강철 플레이트(D)의 돌출부(HP, VP)로의 장착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제1 안정화부(610) 및 제2 안정화부(612)는, 각각, 제1 경사부(602) 및 제2 경사부(606)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1 안정화부(610)는 제1 경사부(602)에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제1 경사부(602)와 일정 간극을 형성하며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안정화부(612)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제2 안정화부(612)는 제2 경사부(606)에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제2 경사부(606)와 일정 간극을 형성하며 접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본 구현예에 따르면, 제1 경사부(602), 제1 끼움부(604) 및 제1 안정화부(610)는 대략 삼각형의 관통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동일하게, 제2 경사부(606), 제2 끼움부(608) 및 제2 안정화부(612)는 대략 삼각형의 관통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고정장치(1, 10, 1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연장부(2), 결합부(4) 및 장착부(6, 60, 600)가 일체로 형성되고 각 부분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하는 경우, 제조가 용이하고 간편하며 제조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고정장치가 일체로 형성되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연장부(2)는 제1 경사부(62, 602) 및 제2 경사부(66, 606)의 두 구성요소가 만남으로써 형성되는데, 상기 두 구성요소(2a, 2b)가 만나 연장부(2)가 일체를 형성하는 경우, 두 구성요소(2a, 2b)는 용접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6b 및 6c를 참조하면,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두 구성요소(2a, 2b)는 클립(8)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클립(8)은 연장부(2)의 두 구성요소(2a, 2b)의 외주를 감싸는 둘레부(18) 및 둘레부(18)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접합부(28)를 포함한다, 접합부(28)를 가압하여 서로 부착시킴으로써 클립(8)을 고정할 수 있다. 클립(8)은 장착이 용이하고 간편한 이점이 있다.
클립(8)은 제1 경사부(62) 및 제2 경사부(66)가 만나는 지점과 인접하게 하나가 장착될 수 있다. 또는,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8)은 복수 개 포함되어, 제1 경사부(62) 및 제2 경사부(66)가 만나는 지점과 인접한 부분 그리고 결합부(4)와 인접한 지점에 각각 둘 이상이 장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제1 끼움부(26, 64), 제2 끼움부(68), 제1 안정화부(610) 및 제2 안정화부(612)는 표면조도가 다른 부분들보다 더 높도록, 즉, 더 거칠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끼움부(26)는 표면조도가 높도록 표면 처리가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제1 끼움부(26)는 샌드 페이퍼 등을 이용하여 표면 거칠기가 높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제1 끼움부(26)의 표면에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제1 끼움부(26)의 표면에는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그루브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제1 끼움부(26)는, 아래 설명할 바와 같이, 돌출부(VP, HP)를 포함하는 강철 플레이트(D)에 접촉하여 고정되는 부분이므로 강철 플레이트(D)와의 밀착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위와 같이 설명한 방식으로 표면 거칠기가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끼움부(64) 및 제2 끼움부(68)도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표면 거칠기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안정화부(610) 및 제2 안정화부(612)도 마찬가지로 위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표면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의 장착방법 내지 작동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1, 10, 100)는, 특히, 강철 플레이트(D) 및 스페이서(S)를 포함하는 슬래브 구조체에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강철 플레이트(D)는 돌출부(VP, HP)가 형성되도록 절곡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은 강철 플레이트(D)는 교량의 상판 또는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의 천정 및 바닥의 생성 등을 목적으로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 시 사용되는 것으로, 종래의 거푸집 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종래 거푸집은 전체 시공 과정 중에서 기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종래의 거푸집이 설치에서 해체까지 공정이 복잡하고 설치에 인력소요가 많고 다량의 폐자재가 발생하는 반면, 위와 같은 강철 플레이트(D)는 콘크리트 자체 중량 및 시공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콘크리트 타설 후에도 해체되지 않고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철 플레이트(D)는 강철 판형부재를 절곡하여 돌출부(VP, HP)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길이방향의 휨강성을 강화한 가설 부재이다. 돌출부(VP, HP)는 수직하게 돌출하는 수직돌출부(VP) 및 수직돌출부(VP)로부터 양 측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는 수평돌출부(HP)를 포함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강철 플레이트(D)에는 하부근(20)이 설치된다. 강철 플레이트(D)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하부 주근(22)이 배근되고, 하부 주근(22)은 강철 플레이트(D)의 돌출부(VP, HP) 사이에 배치된다. 하부 주근(22)과 수직하게 하부 배력근(24)을 배근한다. 따라서, 하부 주근(22)과 하부 배력근(24)은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하부 배력근(24)은 강철 플레이트(D)의 수평돌출부(HP)와 접하도록 배치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근(20)이 설치된 뒤에는 하부근(20) 상에 중공형의 스페이서 복합체(30)를 배치한다. 스페이서 복합체(30)는 중공의 스페이서(32) 및 복수의 스페이서(32)를 장착하는 지지체(34)를 포함한다. 스페이서(32)는 플라스틱 재질의 내부가 빈 중공체로서, 이를 콘크리트 슬래브 속에 매설 시 스페이서(32)의 부피만큼 콘크리트 투입량이 감소되고, 진동 및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스페이서(32)는 지지체(34)에 의해 복수의 스페이서(32)가 하나의 스페이서 복합체(30)를 구성한다. 이로 인해 스페이서(32)의 운반이 편리하고, 시공상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스페이서 복합체(30)가 설치된 뒤, 스페이서 복합체(30) 상에는 상부근(40)이 배근된다. 상부근(40)은 상부 주근(42) 및 상부 배력근(44)을 포함한다. 상부 주근(42) 및 상부 배력근(44)은, 하부근(20)과 마찬가지로,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부근(40)이 설치된 뒤,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1, 10, 100)가 슬래브 구조체 내로 삽입된다. 도 12은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의 장착이 완료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13은 도 10을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을 도시한다. 그 다음,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 슬래브 구조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시공이 완료된다.
이하에서는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1, 10, 100)가 장착되는 과정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서술하기로 한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슬래브 구조체를 향해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1)를 삽입한다. 제1 끼움부(26)가 수평돌출부(HP)의 하측 부분에 이를 때까지 슬래브 구조체를 향해, 즉, 하방으로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1)를 삽입한 뒤,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1)가 수평돌출부(HP)에 다다르면 상방으로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1)를 당긴다. 이와 같이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1)를 당기면, 수평돌출부(HP)에 고정장치(1)가 걸리게 된다. 결합부(4)를 상부근(40)에 묶으면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1)의 고정이 완료된다.
도 16 및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유사하게,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10)를 강철 플레이트(D)의 돌출부(VP, HP)를 향해 삽입한다.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10)를 삽입하면, 제1 끼움부(64) 및 제2 끼움부(68)가 수평돌출부(HP)에 닿게 되고, 이보다 더 하방으로 힘을 가해 이동시키면 제1 경사부(62) 및 제1 끼움부(64) 그리고 제2 경사부(66) 및 제2 끼움부(68)가 외측으로 벌어지고, 수평돌출부(HP)를 지나면 양 측으로 벌어졌던 제1 경사부(62) 및 제1 끼움부(64) 그리고 제2 경사부(66) 및 제2 끼움부(68)가 탄성에 의해 다시 내 측으로 서로를 향해 오므라든다. 이렇게 되면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10)를 위로 당겨도 수평돌출부(HP)로부터 탈착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8 및 19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100)를 슬래브 구조체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제1 끼움부(604) 및 제2 끼움부(608)가 수평돌출부(HP)에 접촉하면서 양 측으로 벌어지게 되고, 하방력을 더 가하게 되면 수평돌출부(HP)를 지나 수직돌출부(VP) 측으로 안착하게 되며 고정이 완료된다.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100)는 제1 안정화부(610) 및 제2 안정화부(612)가 수평돌출부(HP)의 하측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장치(1, 10, 100)을 슬래브 구조체 내로 삽입하여 당김으로써 강철 플레이트(D)에 바로 장착이 되므로 장착의 편의성이 높다. 즉, 본 발명은 간단한 방식으로 쉽게 장착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 및 신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10, 100: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
2: 연장부 4: 결합부
6: 장착부 8: 클립
12: 고리 16: 제1 경사부
18: 둘레부 20: 하부근
22: 하부 주근 24: 하부 배력근
26: 제1 끼움부 28: 접합부
30: 스페이서 복합체 32: 스페이서
34: 스페이서 지지체
40: 상부근 42: 상부 주근
44: 상부 배력근 60: 장착부
62: 제1 경사부 64: 제1 끼움부
66: 제2 경사부 68: 제2 끼움부
600: 장착부 602: 제1 경사부
604: 제1 끼움부 606: 제2 경사부
608: 제2 끼움부 610: 제1 안정화부
612: 제2 안정화부 D: 강철 플레이트
VP: 수직돌출부 HP: 수평돌출부

Claims (9)

  1.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일 측에 형성되는 결합부; 및
    상기 연장부의 타 측에 형성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연장부의 타 측으로부터 상기 연장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만곡하여 연장하는 제1 경사부;
    상기 연장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경사부와 대칭하도록 상기 연장부로부터 만곡하여 연장하는 제2 경사부;
    상기 제1 경사부로부터 일정 각도로 만곡 형성되는 제1 끼움부;
    상기 연장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끼움부와 대칭되도록 상기 제2 경사부로부터 만곡 형성되는 제2 끼움부;
    상기 제1 끼움부로부터 일정 각도로 만곡하여 연장하는 제1 안정화부; 및
    상기 제2 끼움부로부터 일정 각도 만곡하여 연장하는 제2 안정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사부, 제2 경사부, 제1 끼움부 및 제2 끼움부는 제1 평면 상에서 연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안정화부 및 제2 안정화부는 상기 제1 평면과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2 평면 상에서 연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안정화부는 제2 평면 상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2 안정화부는 제2 평면 상에서 제1 방향과는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부는 상기 연장부로부터 둔각을 형성하며 연장하고, 상기 제1 경사부 및 제1 끼움부 사이는 예각을 형성하는 것인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2 경사부는 상기 연장부로부터 둔각을 형성하며 연장하고, 상기 제2 경사부 및 제2 끼움부 사이는 예각을 형성하는 것인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정화부 및 제2 안정화부에는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복수의 그루브가 형성되는 것인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 결합부 및 장착부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에 장착되는 클립을 더 포함하는 것인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연장부의 둘레를 감싸는 둘레부; 및
    상기 둘레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고 가압에 의해 서로 부착되는 접합부;
    를 포함하는 것인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
  7. 청구항 5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제1 경사부 및 제2 경사부가 만나는 지점에 배치되는 것인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
  8. 청구항 5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제1 경사부 및 제2 경사부가 만나는 지점에 장착되는 제1 클립; 및
    상기 제1 클립보다 상측으로 결합부 하측에 장착되는 제2 클립;
    을 포함하는 것인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
  9. 삭제
KR1020190090958A 2019-06-12 2019-07-26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 KR1020895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69216 2019-06-12
KR1020190069216 2019-06-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575B1 true KR102089575B1 (ko) 2020-03-17

Family

ID=7000390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958A KR102089575B1 (ko) 2019-06-12 2019-07-26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
KR1020190092548A KR102089574B1 (ko) 2019-06-12 2019-07-30 슬래브 구조체의 시공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548A KR102089574B1 (ko) 2019-06-12 2019-07-30 슬래브 구조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08957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843Y1 (ko) * 2004-11-23 2005-03-11 (주)대하강업 스페이서
KR100778072B1 (ko) 2007-06-28 2007-11-23 조상규 건물의 슬라브 속에 매설되는 콘크리트 사용량 감소를 위한스페이서
KR100779900B1 (ko) * 2006-12-06 2007-11-28 노영곤 데크플레이트용 중공부재를 이용한 중공식 슬래브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485078Y1 (ko) * 2014-06-05 2017-11-27 이재혁 거푸집 지지용 와이어 앙카
KR20190037615A (ko) * 2017-09-29 2019-04-08 김영학 연성와이어 결박형 철근고정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593B1 (ko) * 2009-07-24 2010-01-13 (주)에스큐브 T형 데크플레이트에의 고정 설치를 위한 경량성형재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경량 슬래브 구조체
KR20110052013A (ko) * 2009-11-12 2011-05-18 조상규 슬래브 속에 매설되는 항아리형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101171974B1 (ko) 2012-02-15 2012-08-07 주식회사 덕신하우징 데크플레이트와 기둥 접합부의 설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843Y1 (ko) * 2004-11-23 2005-03-11 (주)대하강업 스페이서
KR100779900B1 (ko) * 2006-12-06 2007-11-28 노영곤 데크플레이트용 중공부재를 이용한 중공식 슬래브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778072B1 (ko) 2007-06-28 2007-11-23 조상규 건물의 슬라브 속에 매설되는 콘크리트 사용량 감소를 위한스페이서
KR200485078Y1 (ko) * 2014-06-05 2017-11-27 이재혁 거푸집 지지용 와이어 앙카
KR20190037615A (ko) * 2017-09-29 2019-04-08 김영학 연성와이어 결박형 철근고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574B1 (ko) 2020-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8437B1 (ko) 콘크리트 부재의 보강 구조 및 보강 공법
KR101557226B1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강콘크리트 합성보
JP6227452B2 (ja) 壁柱構造
KR101006969B1 (ko) 프리스트레싱된 철골부재를 이용하여 코어벽체 매립부를 구성하는 아웃리거 시스템
KR101854136B1 (ko) 압축 및 인장 보강 트러스 거더 일체형 데크
KR102089575B1 (ko) 슬래브 구조체 고정장치
JP6535704B2 (ja) 柱梁架構
KR100689963B1 (ko) 스페이서
JP6491034B2 (ja) コンクリート床版
KR101483362B1 (ko) 외부 돌출 결합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KR101482977B1 (ko)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JP6508866B2 (ja) 柱梁架構
KR102131491B1 (ko) 유공보용 강성보강 장치
KR20140048487A (ko) 포스트텐션 강재 정착구 및 이를 채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KR101736594B1 (ko) 기둥부재와 보부재의 접합구조
JP3882349B2 (ja) コンクリート部材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工法
KR101186825B1 (ko) 철근콘크리트 유공보 보강장치
KR102060342B1 (ko)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에 적용되는 채움 지지 보강 트러스 거더
JP6050094B2 (ja) 柱・梁接合部の補強工法
JP2006328798A (ja) 複合構造架構
JPS6241869A (ja) 既存構造物の補強方法
JPH1143994A (ja) Rc造の扁平梁
KR101782584B1 (ko) 단위 비대칭 데크 플레이트
KR20150033221A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KR20130095713A (ko) 등분포 인발력이 작용하는 방향변환블록의 덕트 모양 설치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