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5713A - 등분포 인발력이 작용하는 방향변환블록의 덕트 모양 설치 공법 - Google Patents

등분포 인발력이 작용하는 방향변환블록의 덕트 모양 설치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5713A
KR20130095713A KR1020130094476A KR20130094476A KR20130095713A KR 20130095713 A KR20130095713 A KR 20130095713A KR 1020130094476 A KR1020130094476 A KR 1020130094476A KR 20130094476 A KR20130094476 A KR 20130094476A KR 20130095713 A KR20130095713 A KR 20130095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force
block
direction change
direction chan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4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8837B1 (ko
Inventor
연정흠
Original Assignee
연정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정흠 filed Critical 연정흠
Priority to KR20130094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8837B1/ko
Publication of KR20130095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5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4Towers; Anchors ; Connection of cables to bridge parts; Saddle 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4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box-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01D11/04Cable-stayed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외부긴장력이 도입되는 PS 콘크리트 박스형 거더의 방향변환블록 또는 사장교 주탑의 새들의 덕트는 원의 호 형태로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긴장력 또는 케이블의 장력은 덕트의 곡률마찰에 의해 손실이 발생하며, 또한 접선각도의 변화 때문에 덕트에 작용하는 연직방향 인발력의 분포는 덕트의 종방향으로 일정하지 않게 된다. 이 발명에서는 곡률마찰에 의한 긴장력 또는 케이블 장력의 변화와 접선각도에 따른 연직방향 힘의 크기변화가 서로 상쇄되도록 방향변환블록 덕트의 곡률반경을 설정한다. 본 발명의 방향변환블록 덕트에 작용하는 등분포 인발력의 크기는 원형 덕트의 최대 단위길이 인발력과 같게 된다. 등분포 인발력의 작용으로 방향변환블록의 길이와 높이를 줄일 수 있으며, 감소하는 단면의 크기는 각도변화가 클수록 효율적이다. 또한 인출부의 접선각도가 증가할수록 삽입부의 접선각도의 증가보다 효율적이다.

Description

등분포 인발력이 작용하는 방향변환블록의 덕트 모양 설치 공법 {Duct Configuring Method of Deviation Saddle Acting Constant Pull-Out Force}
본 발명은 PS(prestressed) 콘크리트 박스(box)형 거더(girder)에서 긴장재가 박스형 단면의 복부나 플랜 외부에 배치되는 외부긴장(external prestressing) 공법의 긴장재 방향을 변환하기 위한 방향변환블록(deviation saddle)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방향변환블록 파손의 원인이 되는 긴장재의 방향변환에 의해 발생하는 인발력(pull-out force)이 교축 또는 종방향(50)으로 일정하게 분포하도록 긴장재가 통과하는 방향전환블록 내 덕트(duct)의 배치 형태에 관한 것이다.
방향변환블록은 외부 긴장 PS(prestressed) 콘크리트 교량 또는 사장교의 주탑 및 케이블의 고정장치(비특허문헌 1) 등에서 강선의 방향변환에 의한 방향변환력을 지지하는 부재요소이다.
외부 긴장 박스형 거더는 일반적으로 [도 1]과 같이 콘크리트 박스(11) 내부에 블록(13)과 리브(rib)(14)형 또는 격막(diaphragm)(15) 등의 방향변환블록(deviation saddle)을 설치하여 콘크리트 단면 외부에 배치된 긴장재(12)의 방향을 변환한다. [비특허문헌 1]에 의하면 리브(14) 또는 격막(15)에 의한 방향변환은 블록(13)보다 안정적이나 이들에 의한 자중의 증가와 박스형 단면의 제작이 어렵기 때문에 지점부를 제외한 구간에서는 일반적으로 블록형 방향변환블록이 적용된다. 방향변환블록은 외부 긴장공법의 가장 핵심이 되는 요소로 외부 긴장재의 방향변환으로 발생하는 방향변환력(25)은 외부하중과 반대방향으로 외부하중에 의한 콘크리트 단면의 응력을 감소시키도록 설계된다.
방향변환블록(13)에는 [도 2]와 같이 설계에 요구되는 반경(21)의 원의 호(arc)를 따라 미리 구부린 강관(steel tube)(22)을 콘크리트 타설 전에 매설하여 외부긴장재가 통과하게 될 덕트(20)를 제작한다. [비특허문헌 2]에서는 방향변환력(25)에 의한 방향변환블록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긴장재의 크기에 따라 덕트제작에 필요한 원의 최소 반경을 2.5~5.0m로 제한하고 있다. 도로교설계기준(비특허문헌 3)에서는 인발력을 지지하는 정착철근(28)의 응력을 항복응력의 50%로 제한하고 있으며, 정착철근의 간격은 40mm와 굵은골재 크기에 13mm를 더한 값 이상으로 제한하고 있다. 또한 전단마찰과 휨작용에 대한 추가 철근(29)을 배근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비특허문헌 1에서는 인방력에 의한 정착철근의 파손이 가장 치명적인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방향변환블록과 관련된 특허출원으로는 [특허문헌 2와 3]이 있으나, [특허문헌 2]는 사장교의 주탑에서 케이블의 지수성 향상을 위한 충전제를 구비한 새들에 관한 것이며, [특허문헌 2] 또한 사장교 주탑의 새들에서 케이블의 위치 유지에 관한 것이다. 방향변환블록의 덕트형태는 원형으로 제작되며, 덕트형태에 관한 특허는 전무한 상태이다.
[문헌1] 국내출원 10-2013-0043284 2013.04.19 [문헌2] 국내출원 10-2010-0026158 2010.03.24 [문헌3] 국내출원 10-2012-7025168 2010.03.26
[문헌1] Beaupre, R. J., Powel, L. C., Breen, J. E., and Kreger, M. E., "Deviator Behavior and Design for Externally Post-tensioned Bridge," External Prestressing in Bridges, Naaman, A. and Breen, J. Edited, Americal Concrete Institute, SP-120, 1990, pp. 257~288. [문헌2] VSL International LTD, External Post-Tensioning, VSL Report Series 1, Switzerland, Bernstrassed, 1992, pp. 9~11. [문헌3] 국토해양부, 도로교설계기준, 2011, pp.4-229~230.
[도 3]은 임의의 곡률반경(30)과 접선각도(31)에서 긴장재가 미소각도로 방향을 변환하는 경우 [특허문헌 1]에서 유도된 긴장재의 방향변환에 의해 덕트에 발생하는 법선력(normal force)(32)과 마찰력(33)의 방향변환력에 의해 콘크리트 블록에 발생되는 인발력(34)과 수평력(35)의 계산공식이다. [비특허문헌 2]에 의하면 방향변환블록은 일반적으로 길이가 짧기 때문에 파상마찰계수(Κ)에 의한 손실은 고려되지 않으며, 곡률마찰계수(μ)만 고려된다. [도 2]와 같이 곡률반경(21)이 일정한 기존의 원형 덕트에 의한 연직방향 단위길이 인발력(34)은 [수학식 1]로부터 계산될 수 있으며, 접선각도에 대한 단위길이 인발력의 비는 [도 4]와 같다.
[도 4]에 의하면 원형의 덕트에 작용하는 연직방향 단위길이 인발력(34)은 접선각도(θ)와 곡률마찰계수(μ)에 따라 변하는 값을 보인다. 마찰계수가 0.05로 작으면 접선각도 +1.4도에서 인발력비는 1.01 그리고 큰 마찰계수 0.30에 대해서는 접선각도 +7.6도에서 1.02가 최대값이다. 원형 덕트의 반경(21)은 근사적으로 접선각도 0도에서 최대값을 가정하여 단위길이 허용 인발력 qa보다 작도록 [수학식 2]의 반경(21)으로 설계된다.
인출부와 삽입부의 접선각도가 15도보다 작으면 단위길이 인발력(34)의 차이는 10% 이내로 원의 반경(21) 및 원형 덕트의 설계가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인출부와 삽입부의 접선각도 변화가 크거나 특히 삽입부의 접선각도(27)가 작고 인출부의 접선각도(26)가 크면 종방향으로 인발력(34)의 불균형 분포로 필요 이상의 방향변환블록(13) 크기와 정착철근(28)이 사용되어야 한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본 발명에서는 원형 덕트가 적용된 기존의 방향변환블록(13)의 불균형 인발력 분포(도 4)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등분포 인발력이 발생하도록 덕트의 모양을 설계하고, 최적화된 방향변환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것이다.
[도 2]의 일정한 곡률반경(21)이 적용되는 원형 덕트 대신에 [도 3]의 덕트 곡률반경(30)에 [수학식 3]을 적용하면 단위길이 인발력(34)은 접선각도(31)에 관계없이 원형 덕트의 최대 단위길이 인발력 [수학식 1]의 qo로 일정한 값을 유지할 수 있다. [수학식 3]의 곡률반경(30)이 적용되면 [도 5]와 같이 긴장재의 인출부를 원점으로하는 덕트의 수평좌표 x(50)와 연직좌표 y(51)는 [도 3]의 곡선길이 방향(s)과 접선각도(θ)에 대해 [수학식 4]로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 4]의 FX와 FY 함수는 [수학식 5]와 같으며, [수학식 5]는 [수학식 4]의 적분을 풀어서 유도되었다.
긴장재 또는 케이블의 방향변환 각도가 상대적으로 크면 기존 원의 호 모양으로 제작되는 방형변환블록의 덕트에는 상당히 큰 인발력의 불균형 분포로 인해 방향변환블록의 과대설계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원형 덕트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등분포 인발력의 분포가 되도록 덕트의 모양을 제작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긴장재의 방향변환에 의한 인발력이 등분포하도록 덕트가 설계된 본 발명의 방향변환블록(52)의 효과는 [도 5]에서 기존 원형 덕트의 방향변환블록(40) 비교하였다. [도 5]에는 곡률마찰계수 0.25가 적용되었으며, 등분포된 인발력으로 인해 인출부 접선각도(26) 45도와 삽입부 접선각도(27) 0도에서 종방향 길이(53)는 26.5% 감소하였고, 덕트의 높이차는 이보다 큰 40%가 감소하였다. 인출부 접선각도(26) 0도와 삽입부 접선각도(27) 45도에 대해서 종방향 길이와 높이차 감소는 각각 10%와 17%로 인출부 접선각도(26)가 삽입부 접선각도(27)보다 큰 경우보다 방향변환블록 크기의 감소효과가 작았다.
[도 6]은 삽입부 접선각도(27)가 0도로 고정된 상태에서 인출부 접선각도(26)의 변화 그리고 인출부 접선각도(26)가 0도로 고정된 상태에서 삽입부 접선각도(27)의 변화에 대한 방향변환블록의 종방향 길이(53)와 덕트의 높이차(54)의 감소효과이다. [도 6]에 의하면 인출부와 삽입부의 접선각도가 증가할수록 단면의 감소효과가 증가하며, 삽입부의 접선각도(27)보다 인출부의 접선각도(26)에 보다 민감하다. 또한 덕트의 종방향 길이(53)보다 덕트의 높이차에 대한 감소효과가 켰다.
위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기존의 원형 덕트가 사용된 방향변환블록(40)에서는 [도 5]와 같이 인발력(25)의 작용점이 방향변환블록의 중심과 일치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방향변환블록(52)에서 인발력(25)의 작용점은 방향변환블록의 중심과 일치하기 때문에 거더에 작용하는 인발력의 작용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설계에 반영할 수 있다.
2. 본 발명의 방향변환블록(52)에서 종방향 길이(53)와 덕트의 높이차(54)가 기존의 방향변환블록(40)보다 작기 때문에 방향변환블록의 중량(self weight)을 줄일 수 있다.
3. 긴장재 또는 케이블의 각도 변화가 클수록 방향변환블록의 크기 감소효과는 증가하며, 특히 인출부의 접선각도(26)가 클수록 본 발명의 덕트 모양이 원형 덕트보다 효과적이다.
[도 1]은 외부 긴장재(12)가 배치된 PS 콘크리트 박스형 거더(11)의 방향변환블록의 형태(13, 14, 15)를 보여주는 투시도이다.
[도 2]는 박스형 단면의 복부(web)와 플랜지(flange)의 접합부에 설치되고 원형의 덕트가 적용된 기존 방향변환블록의 상세도이다.
[도 3]은 긴장력의 방향변환에 의한 마찰손실과 콘크리트 단면의 단위길이 단면력의 평형조건과 이들의 계산식으로 [특허문헌 1]에서 유도되었다.
[도 4]는 기존 원형 덕트의 접선각도에 따른 연직방향 단위길이 인발력(34)의 허용 인발력에 대한 비율로 인출부 접선각도(26)와 삽입부 접선각도(27)의 크기에 따른 인발력의 분포도이다.
[도 5]는 방향변환블록에 적용된 기존의 원형 덕트와 본 발명의 덕트 형태 및 단위길이 인발력의 비율을 비교이다. (곡률마찰계수 0.25 적용)
[도 6]은 본 발명의 덕트 형태가 적용되는 경우에 인출부 접선각도(26)와 삽입부 접선각도(27)의 증가에 따른 방향변환블록의 길이 및 높이에 대한 감소효과이다.
본 발명에 의한 외부긴장력이 도입되는 콘크리트 PS 상자형 거더의 방향변환블록 제작은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1. 인출부의 접선각도(26)과 삽입부의 접선각도(27)에 따라 [수학식 4]와 [수학식 5]로 방향변환블록의 종방향 길이(53)과 덕트 높이차(54)를 결정하고, 정착철근과 추가 철근의 배근 및 피복두께를 고려하여 방향변환블록의 크기를 설계한다.
2. [수학식 4]와 [수학식 5]의 좌표로 강관(22)을 구부리고, 이 강관을 철근 배근과 함께 거푸집에 삽입한다.
3.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본 발명의 덕트(20)를 만든다.
4. 방향변환블록의 양생이 끝나면 필요한 시기에 긴장재 또는 케이블을 덕트의 삽입부에 삽입하고, 인출부에서 긴장재를 당겨서 방향변환블록에 방향변환력 또는 인발력을 도입한다.
11. PS 콘크리트 박스형 거더(prestressed concrete box girder)
12. 외부 긴장재(external tendon)
13. 블록형 방향변환블록(deviation saddle)
14. 리브(rib)형 방향변환블록
15. 격벽(diaphragm)형 방향변환블록
20. 덕트(duct)
21. 기존 덕트의 곡률반경(radius)
22. 강관(steel tube)
23. 인출부 긴장력
24. 삽입부 긴장력
25. 방향변환력(deviation force) 또는 인발력(pull-out force)
26. 인출부 접선각도
27. 삽입부 접선각도
28. 인발력에 대한 정착철근
29. 전단마찰과 휨에 대한 추가철근
30. 곡률반경(curvature radius)
31. 접선각도(tangent angle)
32. 단위길위 법선력(unit length normal force)
33. 단위길이 마찰력(unit length friction force)
34. 연직방향 단위길이 인발력(unit length pull-out force)
35. 단위길이 수평력(unit length horizontal force)
32. 임의 위치의 접선각도
40. 기존의 원형 덕트가 적용된 방향변환블록
41. 기존 방향변환블록(40)의 원형 덕트 종방향 길이
42. 기존 방향변환블록(40)의 원형 덕트 연직 높이차
43. 기존 방향변환블록(40)의 원형 덕트
44. 기존 방향변환블록(40)의 원형 덕트에 작용하는 인발력비 분포
50. 종방향(교축방향) 좌표축
51. 연직방향 좌표축
52. 본 발명의 등분포 인발력(56)이 작용하는 방향변환블록
53. 본 발명이 적용된 방향변환블록(52)의 덕트 종방향 길이
54. 본 발명이 적용된 방향변환블록(52)의 덕트 연직 높이차
55. 본 발명이 적용된 방향변환블록(52)의 곡선 덕트
56. 본 발명이 적용된 방향변환블록(52)의 덕트에 작용하는 등분포 인발력

Claims (1)

  1. 외부긴장력이 도입되는 PS 콘크리트 박스형 거더의 방향변환블록 또는 사장교 주탑 등과 같이 케이블의 방향을 변환하는 새들(saddle)부에서 긴장재 또는 케이블이 통과하는 덕트(duct)의 제작에서
    인출부 접선각도(26)와 삽입부 접선각도(27)에 따라 [수학식 4]와 [수학식 5]를 적용하여 방향변환블록의 크기를 설계하고,
    덕트를 만들기 위한 강관(20) 등의 쉬스(sheath)를 [수학식 4]와 [수학식 5]의 좌표를 적용하여 구부린 후 방향변환블록의 거푸집에 철근 배근과 함께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덕트를 제작하는 공법
KR20130094476A 2013-08-09 2013-08-09 등분포 인발력이 작용하는 방향변환블록의 덕트 모양 설치 공법 KR101508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4476A KR101508837B1 (ko) 2013-08-09 2013-08-09 등분포 인발력이 작용하는 방향변환블록의 덕트 모양 설치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4476A KR101508837B1 (ko) 2013-08-09 2013-08-09 등분포 인발력이 작용하는 방향변환블록의 덕트 모양 설치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5713A true KR20130095713A (ko) 2013-08-28
KR101508837B1 KR101508837B1 (ko) 2015-04-06

Family

ID=49218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4476A KR101508837B1 (ko) 2013-08-09 2013-08-09 등분포 인발력이 작용하는 방향변환블록의 덕트 모양 설치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88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8560A (ko) 2015-07-14 2017-01-2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타원형 덕트가 형성되는 방향변환블록 및 그 제작 방법
CN108589537A (zh) * 2018-04-13 2018-09-28 江苏法尔胜缆索有限公司 填充型环氧涂层钢绞线单根穿索式体外预应力束施工工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9069B2 (ja) 2001-05-09 2006-10-04 東京製綱株式会社 橋梁類の塔頂サドル構造および橋梁類の塔頂サドル施工法
JP4663563B2 (ja) 2006-03-22 2011-04-06 独立行政法人鉄道建設・運輸施設整備支援機構 橋梁用サドル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8560A (ko) 2015-07-14 2017-01-2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타원형 덕트가 형성되는 방향변환블록 및 그 제작 방법
CN108589537A (zh) * 2018-04-13 2018-09-28 江苏法尔胜缆索有限公司 填充型环氧涂层钢绞线单根穿索式体外预应力束施工工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8837B1 (ko) 201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3240B1 (ko) 프리캐스트 거더를 이용한 라멘교 타입 교량의 부모멘트구간의 슬래브에 압축응력을 도입하는 시공법
KR101012402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MX350131B (es) Fibra de acero para reforzar concreto o mortero que tiene un extremo de anclaje con por lo menos tres secciones rectas.
KR20160150155A (ko) 고강도 경량콘크리트의 분할타설에 의한 fcm 교량시공방법
JP2011089275A (ja) 既設鉄筋コンクリート橋脚耐震補強工法
KR101097273B1 (ko) 아치보강재를 이용한 하로교 및 그 시공방법
KR20130095713A (ko) 등분포 인발력이 작용하는 방향변환블록의 덕트 모양 설치 공법
KR101358878B1 (ko) 거더의 상부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거더
JP2009041271A (ja) 橋梁の施工方法
KR101344219B1 (ko) 횡방향 긴장력이 도입되어 종방향 압축강도가 증진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그 제작방법
KR101727387B1 (ko) 타원형 덕트가 형성되는 방향변환블록 및 그 제작 방법
KR101374701B1 (ko) 바이프레스 압축재용 정착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빔 제작방법
KR101339367B1 (ko) 프리플렉스 강합성 거더의 제작방법 및 보수/보강 방법
KR100904881B1 (ko) 언더텐션을 이용한 장스팬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38820B1 (ko) 변단면 u형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 거더 및 이를 포함하는 교량 건설 공법
US20150176276A1 (en) Post-tension concrete leave out splicing system and method
KR101389821B1 (ko) 매립형 추가 긴장부가 부설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이의 제작 및 보수공법
KR20150053525A (ko) 사장교용 강합성 데크세그먼트 및 그 시공 방법
Mazzacane et al. The Passerelle des Anges Footbridge
KR101543256B1 (ko) 강연선 직선 배치를 통한 고효율 psc 거더
KR101192224B1 (ko) 피에스씨 긴장재를 직선으로 다단 배치시킨 피에스씨 거더 제작방법
CN205741921U (zh) 一种后张法预应力施工用波纹管
KR20150033221A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Hewson Design of prestressed concrete bridges
KR20140105914A (ko) 절곡부재를 거푸집으로 겸용하는 합성거더 및 이의 제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