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1974B1 - 데크플레이트와 기둥 접합부의 설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데크플레이트와 기둥 접합부의 설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1974B1
KR101171974B1 KR1020120015391A KR20120015391A KR101171974B1 KR 101171974 B1 KR101171974 B1 KR 101171974B1 KR 1020120015391 A KR1020120015391 A KR 1020120015391A KR 20120015391 A KR20120015391 A KR 20120015391A KR 101171974 B1 KR101171974 B1 KR 101171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ss
deck plate
plate
column
upper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5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환
신효근
김성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덕신하우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덕신하우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덕신하우징
Priority to KR1020120015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19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6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 E04B1/165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with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cast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27Three-dimensional reinforcements composed of a prefabricated reinforcing mat combined with reinforcing elements protruding out of the plane of the m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근(D11)과 하부근(D12) 그리고 래티스근(D13)으로 구성되되 병렬로 다수개가 평행하게 설치되는 트러스부(D10) 및, 플레이트(D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크플레이트(D)와 기둥접합부의 설치구조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기둥(C); 상기 기둥(C)에 상호 직교하여 설치되는 트러스방향철골보(B1)와 트러스직교철골보(B2); 상기 기둥(C)의 모서리에 대응하여 설치되도록 모서리의 트러스부(D10)와 플레이트(D20)가 절단되어 플레이트(D20)의 일단과 측단이 각각 트러스방향철골보(B1)의 상부 플렌지 및 트러스직교철골보(B2)의 상부 플렌지 위에 거치되는 데크플레이트(D); 및, 상기 트러스부(D10)의 설치방향과 직교하여 설치되되 일단이 상기 트러스방향철골보(B1)의 상부 플렌지 위에 거치되는 하중전달재(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중전달재(100)가 절단된 상기 모서리의 트러스부(D10)로 전달된 상부하중의 전달방향이 직각으로 바뀌어 상기 트러스방향철골보(B1)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와 기둥 접합부의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더불어, 상기 데크플레이트와 기둥 접합부의 설치구조를 시공하기 위한 방법에서,
(1) 상기 기둥(C)의 모서리에 대응하여 설치되도록 상기 데크플레이트(D20)의 모서리의 트러스부(D10)와 플레이트(D20)를 절단하는 데크플레이트 절단단계; (2) 상기 데크플레이트(D20)를 양중하여 상기 플레이트(D20)의 일단과 측단을 각각 트러스방향철골보(B1)의 상부 플렌지 및 트러스직교철골보(B2)의 상부 플렌지 위에 거치하는 데크플레이트 거치단계; 및, (3) 상기 트러스부(D10)의 설치방향과 직교하여 설치하되 일단이 상기 트러스방향철골보(B1)의 상부 플렌지 위에 거치되도록 하중전달재(100)를 설치하는 하중전달재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와 기둥 접합부의 설치구조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데크플레이트와 기둥 접합부의 설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Deck Plate - Column Conne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데크플레이트와 기둥 접합부의 설치구조에서,
데크플레이트 하부로 노출되는 기둥보강앵글을 대체하여 슬래브콘크리트에 매립되는 하중전달재를 설치하므로 데크플레이트에 작용하는 하중의 균등분배를 실현하는 데크플레이트와 기둥 접합부의 설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데크플레이트와 기둥 접합부의 설치구조를 촬영한 사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종래의 데크플레이트와 기둥 접합부의 설치구조의 분해사시도이다.
종래의 데크플레이트(D)와 기둥(C) 접합부의 설치구조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C) 외곽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데크플레이트(D)의 모서리를 절단하고 데크플레이트(D)를 트러스방향철골보(B1)와 트러스직교철골보(B2)에 거치한 후, 절단된 데크플레이트(D)의 단부 보강용으로 플레이트(D20) 하부에 사선으로 양단이 트러스방향철골보(B1)와 트러스직교철골보(B2)에 위치되도록 기둥보강앵글(RA)을 접합하여 설치한다. 물론 데크플레이트(D)와 기둥보강앵글(RA)의 설치순서는 현장사정에 따라 바뀔 수 있다.
상기 종래의 방법은 하중의 전달과정은 고려하지 않고 작업자가 임의로 현장사정에 따라 상기 기둥보강앵글(RA)을 설치하게 되므로 기능공의 숙련도에 따라 품질이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설치된 상기 기둥보강앵글(RA)이 플레이트(D20) 하부로 노출되어 미관상 좋지 않고 후속하는 배관 및 배선공사 그리고 천정마감공사 등을 방해하는 요소로 지적되어 왔다.
따라서 기능공의 숙련도에 따라 품질이 좌우되지 않고, 기둥보강앵글(RA)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 절단된 데크플레이트의 단부를 보강할 수 있는 데크플레이트와 기둥 접합부의 설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시되는 것이다. 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하중전달재가 데크플레이트 하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관이 좋고 후속공사에 방해되지 않는 데크플레이트와 기둥 접합부의 설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데크플레이트의 트러스부에 작용하는 상부하중이 정확히 분배되어 철골보에 전달되는 데크플레이트와 기둥 접합부의 설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슬래브콘크리트 타설후 하중전달재가 트러스부와 같이 슬래브콘크리트와 일체가 되므로 강성이 우수한 데크플레이트와 기둥 접합부의 설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부근(D11)과 하부근(D12) 그리고 래티스근(D13)으로 구성되되 병렬로 다수개가 평행하게 설치되는 트러스부(D10) 및, 플레이트(D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크플레이트(D)와 기둥접합부의 설치구조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기둥(C); 상기 기둥(C)에 상호 직교하여 설치되는 트러스방향철골보(B1)와 트러스직교철골보(B2); 상기 기둥(C)의 모서리에 대응하여 설치되도록 모서리의 트러스부(D10)와 플레이트(D20)가 절단되어 플레이트(D20)의 일단과 측단이 각각 트러스방향철골보(B1)의 상부 플렌지 및 트러스직교철골보(B2)의 상부 플렌지 위에 거치되는 데크플레이트(D); 및, 상기 트러스부(D10)의 설치방향과 직교하여 설치되되 일단이 상기 트러스방향철골보(B1)의 상부 플렌지 위에 거치되는 하중전달재(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중전달재(100)가 절단된 상기 모서리의 트러스부(D10)로 전달된 상부하중의 전달방향이 직각으로 바뀌어 상기 트러스방향철골보(B1)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와 기둥 접합부의 설치구조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더불어, 상기 데크플레이트와 기둥 접합부의 설치구조를 시공하기 위한 방법에서,
(1) 상기 기둥(C)의 모서리에 대응하여 설치되도록 상기 데크플레이트(D20)의 모서리의 트러스부(D10)와 플레이트(D20)를 절단하는 데크플레이트 절단단계; (2) 상기 데크플레이트(D20)를 양중하여 상기 플레이트(D20)의 일단과 측단을 각각 트러스방향철골보(B1)의 상부 플렌지 및 트러스직교철골보(B2)의 상부 플렌지 위에 거치하는 데크플레이트 거치단계; 및, (3) 상기 트러스부(D10)의 설치방향과 직교하여 설치하되 일단이 상기 트러스방향철골보(B1)의 상부 플렌지 위에 거치되도록 하중전달재(100)를 설치하는 하중전달재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와 기둥 접합부의 설치구조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첫째, 하중전달재가 데크플레이트 하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관이 좋고 후속공사에 방해되지 않는 데크플레이트와 기둥 접합부의 설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둘째, 데크플레이트의 트러스부에 작용하는 상부하중이 정확히 분배되어 철골보에 전달되는 데크플레이트와 기둥 접합부의 설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셋째, 슬래브콘크리트 타설후 하중전달재가 트러스부와 같이 슬래브콘크리트와 일체가 되므로 강성이 우수한 데크플레이트와 기둥 접합부의 설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데크플레이트와 기둥 접합부의 설치구조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데크플레이트와 기둥 접합부의 설치구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데크플레이트와 기둥 접합부의 설치구조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1. 데크플레이트와 기둥 접합부의 설치구조
도 4는 본 발명의 데크플레이트와 기둥 접합부의 설치구조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데크플레이트와 기둥 접합부의 설치구조는 상부근(D11)과 하부근(D12) 그리고 래티스근(D13)으로 구성되되 병렬로 다수개가 평행하게 설치되는 트러스부(D10) 및, 플레이트(D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크플레이트(D)의 설치구조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기둥(C); 상기 기둥(C)에 상호 직교하여 설치되는 트러스방향철골보(B1)와 트러스직교철골보(B2); 상기 기둥(C)의 모서리에 대응하여 설치되도록 모서리의 트러스부(D10)와 플레이트(D20)가 절단되어 플레이트(D20)의 일단과 측단이 각각 트러스방향철골보(B1)의 상부 플렌지 및 트러스직교철골보(B2)의 상부 플렌지 위에 거치되는 데크플레이트(D); 및, 상기 트러스부(D10)의 설치방향과 직교하여 설치되되 일단이 상기 트러스방향철골보(B1)의 상부 플렌지 위에 거치되는 하중전달재(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중전달재(100)가 절단된 상기 모서리의 트러스부(D10)로 전달된 상부하중의 전달방향이 직각으로 바뀌어 상기 트러스방향철골보(B1)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둥(C)은 RC 및 SRC 등 통상적인 기둥구조를 말하며, 최근 많이 사용되는 합성보에 연결되는 기둥구조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트러스방향철골보(B1)와 트러스직교철골보(B2)는 상기 기둥(C)에 상호 직교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통상적인 플렌지와 웨브를 가진 H형강 또는 I형강 그리고 T형강이나 역T형강 등이 사용되며, 합성보가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 데크플레이트(D)는 상부근(D11)과 하부근(D12) 그리고 래티스근(D13)으로 구성되되 병렬로 다수개가 평행하게 설치되는 트러스부(D10) 및, 플레이트(D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상적인 것으로, 상기 기둥(C)의 모서리에 대응하여 설치되도록 모서리의 트러스부(D10)와 플레이트(D20)가 절단되어 플레이트(D20)의 일단과 측단이 각각 트러스방향철골보(B1)의 상부 플렌지 및 트러스직교철골보(B2)의 상부 플렌지 위에 거치된다.
상기 하중전달재(100)는 상기 트러스부(D10)의 설치방향과 직교하여 설치되되 일단이 상기 트러스방향철골보(B1)의 상부 플렌지 위에 거치되는 것으로, 주로 L형 앵글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중전달재(100)는 상부근(D11)과 하부근(D12) 사이에 설치되되, 하부가 상기 하부근(D12)에 접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실시예로써 바람직하다.
상기 하중전달재(100)의 개수 및 길이는 하중전달의 흐름을 고려하여 자유로이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하중전달재(100)가 걸치게 되는 트러스부(D10)의 개수도 자유로이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데크플레이트(D)는 상기 기둥(C)의 모서리에 대응하여 설치되도록 모서리의 트러스부(D10)가 절단되게 되는 데, 이때 절단된 트러스부(D10)는 전달되는 하중을 트러스직교철골보(B2)나 기둥(C)에 전달하지 못한다. 본 발명은 이 점을 개선한 것으로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상기 하중전달재(100)가 절단된 상기 모서리의 트러스부(D10)로 전달된 상부하중의 전달방향이 직각으로 바뀌어 상기 트러스방향철골보(B1)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중전달재(100)와 상기 트러스방향철골보(B1)의 상부 플렌지 사이에는 상기 하중전달재(100)의 높이를 조절하는 받침대(12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2. 데크플레이트와 기둥 접합부의 설치구조의 시공방법
본 발명의 데크플레이트와 기둥 접합부의 설치구조의 시공방법은 상기 데크플레이트와 기둥 접합부의 설치구조를 시공하기 위한 방법에서,
(1) 상기 기둥(C)의 모서리에 대응하여 설치되도록 상기 데크플레이트(D20)의 모서리의 트러스부(D10)와 플레이트(D20)를 절단하는 데크플레이트 절단단계; (2) 상기 데크플레이트(D20)를 양중하여 상기 플레이트(D20)의 일단과 측단을 각각 트러스방향철골보(B1)의 상부 플렌지 및 트러스직교철골보(B2)의 상부 플렌지 위에 거치하는 데크플레이트 거치단계; 및, (3) 상기 트러스부(D10)의 설치방향과 직교하여 설치하되 일단이 상기 트러스방향철골보(B1)의 상부 플렌지 위에 거치되도록 하중전달재(100)를 설치하는 하중전달재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데크플레이트와 기둥 접합부의 설치구조에서 받침대(120)가 설치된 경우에는 그 시공방법은 (1) 상기 기둥(C)의 모서리에 대응하여 설치되도록 상기 데크플레이트(D20)의 모서리의 트러스부(D10)와 플레이트(D20)를 절단하는 데크플레이트 절단단계; (2) 상기 데크플레이트(D20)를 양중하여 상기 플레이트(D20)의 일단과 측단을 각각 트러스방향철골보(B1)의 상부 플렌지 및 트러스직교철골보(B2)의 상부 플렌지 위에 거치하는 데크플레이트 거치단계; (3) 상기 트러스부(D10)의 설치방향과 직교하여 설치하되 일단이 상기 트러스방향철골보(B1)의 상부 플렌지 위에 놓이도록 하중전달재(100)를 설치하는 하중전달재 설치단계; 및, (4) 상기 하중전달재(100)와 상기 트러스방향철골보(B1)의 상부 플렌지 사이의 간격에 맞추어 절단한 상기 받침대(120)를 설치하는 받침대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결론으로, 본 발명은 하중전달재가 데크플레이트 하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관이 좋고 후속공사에 방해되지 않고, 데크플레이트의 트러스부에 작용하는 상부하중이 정확히 분배되어 철골보에 전달되며, 슬래브콘크리트 타설후 하중전달재가 트러스부와 같이 슬래브콘크리트와 일체가 되므로 강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D: 데크플레이트
D10: 트러스부
D11: 상부근
D12: 하부근
D13: 래티스근
D20: 플레이트
RA: 기둥보강앵글
C: 기둥
B1: 트러스방향철골보
B2: 트러스직교철골보
100: 하중전달재
120: 받침대

Claims (5)

  1. 상부근(D11)과 하부근(D12) 그리고 래티스근(D13)으로 구성되되 병렬로 다수개가 평행하게 설치되는 트러스부(D10) 및, 플레이트(D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크플레이트(D)와 기둥접합부의 설치구조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기둥(C);
    상기 기둥(C)에 상호 직교하여 설치되는 트러스방향철골보(B1)와 트러스직교철골보(B2);
    상기 기둥(C)의 모서리에 대응하여 설치되도록 모서리의 트러스부(D10)와 플레이트(D20)가 절단되어 플레이트(D20)의 일단과 측단이 각각 트러스방향철골보(B1)의 상부 플렌지 및 트러스직교철골보(B2)의 상부 플렌지 위에 거치되는 데크플레이트(D); 및,
    상기 트러스부(D10)의 설치방향과 직교하여 설치되되 일단이 상기 트러스방향철골보(B1)의 상부 플렌지 위에 거치되는 하중전달재(1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중전달재(100)가 절단된 상기 모서리의 트러스부(D10)로 전달된 상부하중의 전달방향이 직각으로 바뀌어 상기 트러스방향철골보(B1)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와 기둥 접합부의 설치구조.
  2. 제1항에서,
    상기 하중전달재(100)는 상부근(D11)과 하부근(D12) 사이에 설치되되,
    하부가 상기 하부근(D12)에 접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와 기둥 접합부의 설치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하중전달재(100)와 상기 트러스방향철골보(B1)의 상부 플렌지 사이에는 상기 하중전달재(100)의 높이를 조절하는 받침대(12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와 기둥 접합부의 설치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의 데크플레이트와 기둥 접합부의 설치구조를 시공하기 위한 방법에서,
    (1) 상기 기둥(C)의 모서리에 대응하여 설치되도록 상기 데크플레이트(D20)의 모서리의 트러스부(D10)와 플레이트(D20)를 절단하는 데크플레이트 절단단계;
    (2) 상기 데크플레이트(D20)를 양중하여 상기 플레이트(D20)의 일단과 측단을 각각 트러스방향철골보(B1)의 상부 플렌지 및 트러스직교철골보(B2)의 상부 플렌지 위에 거치하는 데크플레이트 거치단계; 및,
    (3) 상기 트러스부(D10)의 설치방향과 직교하여 설치하되 일단이 상기 트러스방향철골보(B1)의 상부 플렌지 위에 거치되도록 하중전달재(100)를 설치하는 하중전달재 설치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와 기둥 접합부의 설치구조의 시공방법.
  5. 제3항의 데크플레이트와 기둥 접합부의 설치구조를 시공하기 위한 방법에서,
    (1) 상기 기둥(C)의 모서리에 대응하여 설치되도록 상기 데크플레이트(D20)의 모서리의 트러스부(D10)와 플레이트(D20)를 절단하는 데크플레이트 절단단계;
    (2) 상기 데크플레이트(D20)를 양중하여 상기 플레이트(D20)의 일단과 측단을 각각 트러스방향철골보(B1)의 상부 플렌지 및 트러스직교철골보(B2)의 상부 플렌지 위에 거치하는 데크플레이트 거치단계;
    (3) 상기 트러스부(D10)의 설치방향과 직교하여 설치하되 일단이 상기 트러스방향철골보(B1)의 상부 플렌지 위에 놓이도록 하중전달재(100)를 설치하는 하중전달재 설치단계; 및,
    (4) 상기 하중전달재(100)와 상기 트러스방향철골보(B1)의 상부 플렌지 사이의 간격에 맞추어 절단한 상기 받침대(120)를 설치하는 받침대 설치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와 기둥 접합부의 설치구조의 시공방법.
KR1020120015391A 2012-02-15 2012-02-15 데크플레이트와 기둥 접합부의 설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71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391A KR101171974B1 (ko) 2012-02-15 2012-02-15 데크플레이트와 기둥 접합부의 설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391A KR101171974B1 (ko) 2012-02-15 2012-02-15 데크플레이트와 기둥 접합부의 설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1974B1 true KR101171974B1 (ko) 2012-08-07

Family

ID=46887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5391A KR101171974B1 (ko) 2012-02-15 2012-02-15 데크플레이트와 기둥 접합부의 설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19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574B1 (ko) 2019-06-12 2020-03-17 조상규 슬래브 구조체의 시공방법
KR20230012230A (ko) 2021-07-15 2023-01-26 주식회사 플러스데크 데크플레이트 설치용 리프트카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설치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7219U (ko) 1980-02-29 1981-09-28
JP2004169283A (ja) 2002-11-18 2004-06-17 Jfe Metal Products & Engineering Inc 床スラブ構造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7219U (ko) 1980-02-29 1981-09-28
JP2004169283A (ja) 2002-11-18 2004-06-17 Jfe Metal Products & Engineering Inc 床スラブ構造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574B1 (ko) 2019-06-12 2020-03-17 조상규 슬래브 구조체의 시공방법
KR20230012230A (ko) 2021-07-15 2023-01-26 주식회사 플러스데크 데크플레이트 설치용 리프트카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5042B2 (en) Steel frame structure using U-shaped composite beam
US9506266B2 (en) Concrete deck with lateral force resisting system
KR101208207B1 (ko) 유자형 합성보를 이용한 층고절감형 철골골조
KR101544803B1 (ko) 절곡강판 합성보의 기둥 접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432260B1 (ko) 강재노출형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
RU2548627C2 (ru) Стальная каркас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u-образной составной балки
KR20080020067A (ko) 층고 절감을 위한 철골 합성보 구조
JP2010203139A (ja) 合成梁、建築物、及び合成梁の施工方法
JP6212606B1 (ja) コンクリートの目地付き止水構造体の施工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止水板固定具
KR101191502B1 (ko) 트러스근 일체형 비대칭 에이치형강 합성보 및 엔드빔을 이용한 구조 시스템
KR101171974B1 (ko) 데크플레이트와 기둥 접합부의 설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35881B1 (ko) 건축물용 와플형 무량판 슬래브 및 상기 와플형 무량판 슬래브를 이용한 건축물의 무량판 접합구조
CN110359558B (zh) 一种基于内插板、夹板连接梁柱节点的装配式建筑体系
KR101483911B1 (ko) 채널 매립형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탈형 데크
KR101483362B1 (ko) 외부 돌출 결합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KR101161364B1 (ko) 개량형 합성보
KR101826094B1 (ko) 트랜스퍼 매트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트랜스퍼 매트
CN109629732B (zh) 一种管线分离的现浇混凝土隐形梁楼板及施工方法
KR101482977B1 (ko)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GB2495319A (en) Beam and slab floor construction
KR101407816B1 (ko) 트러스근 일체형 비대칭 에이치형강 합성보를 이용한 구조 시스템
JP5963215B2 (ja) 移設型建築物の、厨房床の排水設備
JP7032051B2 (ja) 床構造施工方法および床構造再利用方法
JP6684099B2 (ja) 既設鋼桁橋梁の連結工法
JP4135918B2 (ja) 床下連絡用基礎梁欠損部の補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