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1469B1 - 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1469B1
KR102421469B1 KR1020220043776A KR20220043776A KR102421469B1 KR 102421469 B1 KR102421469 B1 KR 102421469B1 KR 1020220043776 A KR1020220043776 A KR 1020220043776A KR 20220043776 A KR20220043776 A KR 20220043776A KR 102421469 B1 KR102421469 B1 KR 102421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entration
opn
sum
lpc
hr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3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구
김기태
Original Assignee
(주)이노베이션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노베이션바이오 filed Critical (주)이노베이션바이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469B1/ko
Priority to PCT/KR2022/01199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05888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62Detecto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1N30/72Mass spectr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82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vitamins or their recep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92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ipids, e.g. cholesterol, lipoproteins, or their recep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46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G01N2333/47Assays involving proteins of known structure or function as defined in the subgroups
    • G01N2333/4701Details
    • G01N2333/4716Complement proteins, e.g. anaphylatoxin, C3a, C5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52Assays involving cytok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ndocri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Onc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혈액 내 보체 C7((Complement Component 7, C7), 도데카노일-L-카르니틴(Dodecanoyl-L-carnitine, DC), 리조포스파티딜콜린(Lysophosphatidylcholine, LPC), HRG(Histidine-Rich Glycoprotein) 및 오스테오폰틴(Osteopontin)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마커 수준을 측정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암 진단 또는 예후 예측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암 진단 또는 예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폐암 및 간암 환자의 혈액 내 보체 C7(Complement Component 7, C7), 도데카노일-L-카르니틴(Dodecanoyl-L-carnitine, DC), 리조포스파티딜콜린(Lysophosphatidylcholine, LPC), HRG(Histidine-Rich Glycoprotein) 및 오스테오폰틴(Osteopontin, OPN)의 수준이 정상인과 다른 패턴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들 마커를 조합하는 경우, 폐암 또는 간암을 포함한 다양한 암 진단능이 보다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본 발명의 마커는 암 진단 및 예후 판단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Biomarker for diagnosis of cancer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혈액 내 보체 C7(Complement Component 7, C7), 도데카노일-L-카르니틴(Dodecanoyl-L-carnitine, DC), 리조포스파티딜콜린(Lysophosphatidylcholine, LPC), HRG(Histidine-Rich Glycoprotein) 및 오스테오폰틴(Osteopontin)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마커 수준을 측정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암 진단 또는 예후 예측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암 진단 또는 예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암은 세포가 무한히 증식해 정상적인 세포의 기능을 방해하는 질병으로, 간암, 폐암, 위암, 유방암, 대장암 및 난소암 등이 대표적이나, 실질적으로는 어느 조직(tissue)에서나 발생할 수 있다.
초창기 암 진단은 암 세포의 성장에 따른 생체 조직의 외적 변화에 근거하였으나, 근래에 들어 혈액, 당쇄(glyco chain), 디엔에이(DNA) 등 생물의 조직 또는 세포에 존재하는 미량의 생체 분자 검출을 이용한 진단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암 진단 방법은 생체 조직 검사를 통해 얻어진 조직 샘플을 이용하거나, 영상을 이용한 진단이다.
그 중 생체 조직 검사는 환자에게 큰 고통을 야기하며, 고비용이 들 뿐만 아니라, 진단까지 긴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환자가 실제 암에 걸린 경우, 생체 조직 검사 과정 중 암의 전이가 유발될 수 있는 위험이 있으며, 생체 조직 검사를 통해 조직 샘플을 얻을 수 없는 부위의 경우, 외과적인 수술을 통해 의심되는 조직의 적출이 이루어지기 전에는 질병의 진단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특히, 간암(Hepatic cancer) 또는 간세포암(Hepatocellular carcinoma)은 성인 간암에서 가장 흔한 유형으로, 암으로 인한 사망원인 중 세 번째를 차지한다 (Stefaniuk P, et al., World J Gastroenterol., 16:418-424, 2010). 간암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하는 종양표지자는 알파-페토프로테인(alpha-Fetoprotein; AFP)으로, AFP는 성인에게서는 극히 낮은 농도(정상의 경우 7-10 ng/mL 이하)로만 존재하므로, 혈액 내부의 AFP 수준의 증가는 심각한 종양세포의 증가를 의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AFP가 20 ng/mL 이상으로 증가되어 있으면 간암으로 진단하나, AFP를 이용하는 진단은 민감도가 40% 정도로 낮은 단점이 있다. 즉, AFP 음성 간암이 전체 간암의 40% 이상 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게 간암 진단율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추가적 마커가 필요한 실정이다.
그 외 진단 기준으로 확립되어 있지는 않으나 간암 진단에 도움이 되는 혈청 마커로는 DCP(Descarboxyprothrombin), PIVKA-II(Prothrombin Induced by Vitamin K Absence II), 글리코실화 AFP 대 총 AFP(L3 fraction) 분포, AFU(alpha fucosidase), 글리피칸 3(glypican 3), HSP-70 등이 있다. 그러나 각각은 예후 인자로서 의미를 가지는 것이 대부분이고,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 정확도가 낮아 아직 선별 검사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간암의 정확한 진단이 가능한 다양한 마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1549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72027호).
또한, 폐암은 전세계적으로 높은 치사율을 보이는 암 중 하나로, 현재 폐암의 경우 이미징 방법 (X-ray, CT, MRI 등)에 의존도가 높은 편이다. 하지만, 폐암환자의 절반 이상은 발견 당시 이미 수술이 불가능하며 수술이 가능하다고 판단되어 수술을 시행하여도 그중 많은 수에서는 완전절제가 불가능한 상태이다. 그러므로 폐암의 완치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폐암의 조기 진단 및 치료가 가장 중요하나, 폐암은 진단에 유용한 표지(marker)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세부적인 진단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생물학적 시료에 존재하는 암 특이적인 마커 및 이들 마커를 이용한 높은 정확도와 정밀도로 암을 진단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암을 보다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마커를 선별하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간암 환자의 혈액 내 보체 C7(Complement Component 7, C7), 도데카노일-L-카르니틴(Dodecanoyl-L-carnitine, DC), 리조포스파티딜콜린(Lysophosphatidylcholine, LPC), HRG(Histidine-Rich Glycoprotein) 및 오스테오폰틴(Osteopontin, OPN)의 수준이 정상인과 다른 패턴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들 마커를 조합하는 경우, 폐암 및 간암을 포함한 다양한 암 진단능이 보다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혈액, 혈장 또는 혈청 내 보체 C7(Complement Component 7, C7), 도데카노일-L-카르니틴(Dodecanoyl-L-carnitine, DC), 리조포스파티딜콜린(Lysophosphatidylcholine, LPC), HRG(Histidine-Rich Glycoprotein) 및 오스테오폰틴(Osteopontin, OPN)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마커의 수준을 측정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암 진단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암 진단용 키트 및 암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혈액, 혈장 또는 혈청 내 보체 C7(Complement Component 7, C7), 도데카노일-L-카르니틴(Dodecanoyl-L-carnitine, DC), 리조포스파티딜콜린(Lysophosphatidylcholine, LPC), HRG(Histidine-Rich Glycoprotein) 및 오스테오폰틴(Osteopontin, OPN)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마커의 수준을 측정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암 예후 예측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암 예후 진단용 키트 및 암 예후 예측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보체 C7(Complement Component 7, C7), 도데카노일-L-카르니틴(Dodecanoyl-L-carnitine, DC), 리조포스파티딜콜린(Lysophosphatidylcholine, LPC), HRG(Histidine-Rich Glycoprotein) 및 오스테오폰틴(Osteopontin, OPN)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바이오마커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오마커는 혈액에서 추출한 것이고,
상기 바이오마커가
(1) OPN, DC, HRG 및 LPC인 경우, OPN 농도 : (DC 농도,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OPN/(DC + HRG + LPC))로,
(2) OPN, HRG 및 LPC인 경우, OPN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OPN/(HRG + LPC))로,
(3) C7 및 OPN인 경우, C7 농도와 OPN 농도의 합(C7 + OPN)으로,
(4) C7, OPN 및 DC인 경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의 비율((C7 + OPN)/DC)로,
(5) C7, OPN 및 LPC인 경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LPC 농도의 비율((C7 + OPN)/LPC)로,
(6) C7, OPN 및 HRG인 경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의 비율((C7 + OPN)/ HRG)로,
(7) C7, OPN, DC 및 LPC인 경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LPC))로,
(8) C7, OPN, DC 및 HRG인 경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HRG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HRG))로,
(9) C7, OPN, DC, HRG 및 LPC인 경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HRG + LPC))로,
(10) C7, OPN, HRG 및 LPC인 경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HRG + LPC))로,
(11) DC 및 LPC인 경우, DC 농도와 LPC 농도의 합의 비율(DC + LPC)로, 또는
(12) DC 및 HRG인 경우, DC 농도와 HRG 농도의 합의 비율(DC + HRG)로 암을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혈액은 전혈, 혈장 또는 혈청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암은 폐암, 췌장암, 담도암, 대장암, 유방암, 위암, 뇌종양, 신장암, 간암 또는 자궁경부암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조포스파티딜콜린(LPC)은 리조포스파티딜콜린 16:0(Lysophosphatidylcholine 16:0, LPC16) 또는 리조포스파티딜콜린 18:0(Lysophosphatidylcholine 18:0, LPC18)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암이 폐암인 경우,
(1) 상기 OPN 농도 : (DC 농도,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OPN/(DC + HRG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0.4 ~ 0.8 이며, 혈액 내 OPN 농도 : (DC 농도,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2) 상기 OPN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OPN/(HRG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0.5 ~ 1.0 이며, 혈액 내 OPN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3) 상기 C7 농도와 OPN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에 대한 컷오프 값은 280 ~ 300 이며, 혈액 내 C7 농도와 OPN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4)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의 비율((C7 + OPN)/DC)에 대한 컷오프 값은 11 ~ 13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5)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LPC 농도의 비율((C7 + OPN)/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5 ~ 8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LPC 농도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6)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의 비율((C7 + OPN)/ HRG)에 대한 컷오프 값은 3 ~ 5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7)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3 ~ 5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8)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HRG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HRG))에 대한 컷오프 값은 2 ~ 3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HRG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9)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HRG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1.5 ~ 3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10)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HRG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2 ~ 2.4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11) 상기 DC 농도와 LPC 농도의 합의 비율(DC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70 ~ 80 이며, 혈액 내 DC 농도와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하이면 폐암인 것으로, 또는
(12) 상기 DC 농도와 HRG 농도의 합의 비율(DC + HRG)에 대한 컷오프 값은 140 ~ 155 이며, 혈액 내 DC 농도와 HRG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하이면 폐암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암이 간암인 경우,
(1) 상기 OPN 농도 : (DC 농도,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OPN/(DC + HRG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0.4 ~ 0.8 이며, 혈액 내 OPN 농도 : (DC 농도,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2) 상기 OPN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OPN/(HRG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0.5 ~ 1 이며, 혈액 내 OPN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3) 상기 C7 농도와 OPN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에 대한 컷오프 값은 275 ~ 300 이며, 혈액 내 C7 농도와 OPN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4)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의 비율((C7 + OPN)/DC)에 대한 컷오프 값은 11 ~ 14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5)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LPC 농도의 비율((C7 + OPN)/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4.5 ~ 6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LPC 농도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6)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의 비율((C7 + OPN)/ HRG)에 대한 컷오프 값은 2.4 ~ 3.5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7)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3.1 ~ 4.1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8)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HRG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HRG))에 대한 컷오프 값은 2 ~ 3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HRG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9)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HRG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1.3 ~ 2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10)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HRG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1.5 ~ 2.5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11) 상기 DC 농도와 LPC 농도의 합의 비율(DC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67 ~ 75 이며, 혈액 내 DC 농도와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하이면 간암인 것으로, 또는
(12) 상기 DC 농도와 HRG 농도의 합의 비율(DC + HRG)에 대한 컷오프 값은 122 ~ 137 이며, 혈액 내 DC 농도와 HRG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하이면 간암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의 혈액 내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암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7, HRG 또는 OPN 마커의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단백질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로, 각 마커의 단백질 또는 또는 펩타이드 단편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상호작용 단백질, 리간드, 나노입자(nanoparticles) 또는 압타머(aptame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DC 마커 또는 LPC 마커의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질량 분석용 제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의 혈액 내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암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키트, 단백질 칩 키트, 래피드(rapid) 키트 또는 MRM(Multiple reaction monitoring) 키트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환자의 혈액으로부터 보체 C7(Complement Component 7, C7), 도데카노일-L-카르니틴(Dodecanoyl-L-carnitine, DC), 리조포스파티딜콜린(Lysophosphatidylcholine, LPC), HRG(Histidine-Rich Glycoprotein) 및 오스테오폰틴(Osteopontin, OPN)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바이오마커의 수준을 정상 대조군 시료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의 바이오마커가
(1) OPN, DC, HRG 및 LPC인 경우, OPN 농도 : (DC 농도,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OPN/(DC + HRG + LPC))로,
(2) OPN, HRG 및 LPC인 경우, OPN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OPN/(HRG + LPC))로,
(3) C7 및 OPN인 경우, C7 농도와 OPN 농도의 합(C7 + OPN)으로,
(4) C7, OPN 및 DC인 경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의 비율((C7 + OPN)/DC)로,
(5) C7, OPN 및 LPC인 경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LPC 농도의 비율((C7 + OPN)/LPC)로,
(6) C7, OPN 및 HRG인 경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의 비율((C7 + OPN)/ HRG)로,
(7) C7, OPN, DC 및 LPC인 경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LPC))로,
(8) C7, OPN, DC 및 HRG인 경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HRG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HRG))로,
(9) C7, OPN, DC, HRG 및 LPC인 경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HRG + LPC))로,
(10) C7, OPN, HRG 및 LPC인 경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HRG + LPC))로,
(11) DC 및 LPC인 경우, DC 농도와 LPC 농도의 합의 비율(DC + LPC)로, 또는
(12) DC 및 HRG인 경우, DC 농도와 HRG 농도의 합의 비율(DC + HRG)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암은 폐암, 췌장암, 담도암, 대장암, 유방암, 위암, 뇌종양, 신장암, 간암 또는 자궁경부암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혈액은 전혈, 혈장 또는 혈청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조포스파티딜콜린(LPC)은 리조포스파티딜콜린 16:0(Lysophosphatidylcholine 16:0, LPC16) 또는 리조포스파티딜콜린 18:0(Lysophosphatidylcholine 18:0, LPC18)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암이 폐암인 경우,
(1) 상기 OPN 농도 : (DC 농도,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OPN/(DC + HRG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0.4 ~ 0.8 이며, 혈액 내 OPN 농도 : (DC 농도,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2) 상기 OPN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OPN/(HRG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0.5 ~ 1.0 이며, 혈액 내 OPN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3) 상기 C7 농도와 OPN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에 대한 컷오프 값은 280 ~ 300 이며, 혈액 내 C7 농도와 OPN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4)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의 비율((C7 + OPN)/DC)에 대한 컷오프 값은 11 ~ 13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5)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LPC 농도의 비율((C7 + OPN)/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5 ~ 8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LPC 농도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6)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의 비율((C7 + OPN)/ HRG)에 대한 컷오프 값은 3 ~ 5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7)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3 ~ 5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8)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HRG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HRG))에 대한 컷오프 값은 2 ~ 3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HRG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9)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HRG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1.5 ~ 3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10)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HRG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2 ~ 2.4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11) 상기 DC 농도와 LPC 농도의 합의 비율(DC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70 ~ 80 이며, 혈액 내 DC 농도와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하이면 폐암인 것으로, 또는
(12) 상기 DC 농도와 HRG 농도의 합의 비율(DC + HRG)에 대한 컷오프 값은 140 ~ 155 이며, 혈액 내 DC 농도와 HRG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하이면 폐암인 것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암이 간암인 경우,
(1) 상기 OPN 농도 : (DC 농도,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OPN/(DC + HRG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0.4 ~ 0.8 이며, 혈액 내 OPN 농도 : (DC 농도,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2) 상기 OPN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OPN/(HRG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0.5 ~ 1 이며, 혈액 내 OPN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3) 상기 C7 농도와 OPN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에 대한 컷오프 값은 275 ~ 300 이며, 혈액 내 C7 농도와 OPN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4)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의 비율((C7 + OPN)/DC)에 대한 컷오프 값은 11 ~ 14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5)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LPC 농도의 비율((C7 + OPN)/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4.5 ~ 6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LPC 농도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6)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의 비율((C7 + OPN)/ HRG)에 대한 컷오프 값은 2.4 ~ 3.5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7)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3.1 ~ 4.1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8)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HRG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HRG))에 대한 컷오프 값은 2 ~ 3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HRG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9)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HRG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1.3 ~ 2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10)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HRG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1.5 ~ 2.5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11) 상기 DC 농도와 LPC 농도의 합의 비율(DC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67 ~ 75 이며, 혈액 내 DC 농도와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하이면 간암인 것으로, 또는
(12) 상기 DC 농도와 HRG 농도의 합의 비율(DC + HRG)에 대한 컷오프 값은 122 ~ 137 이며, 혈액 내 DC 농도와 HRG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하이면 간암인 것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C7, HRG 또는 OPN 바이오마커의 수준 측정은, 단백질 칩 분석, 면역측정법, 리간드 바인딩 어세이, MALDI-TOF(Matrix Desorption/Ionization 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분석, SELDI-TOF(Sulface Enhanc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분석, 방사선 면역분석, 방사 면역 확산법, 오우크테로니 면역 확산법, 로케트 면역전기영동, 조직면역 염색, 보체 고정 분석법, 2차원 전기영동 분석, 액상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LC-MS), LC-MS/MS(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Mass Spectrometry), 웨스턴 블랏 및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DC 또는 LPC 바이오마커의 수준 측정은, 질량피크 면적으로 혈액, 혈장 또는 혈청 내 시료를 질량분석하여 얻을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액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LC-MS)를 통해 얻으며, 상기 질량분석기는 Triple TOF, Triple Quadrupole 및 정량성 측정이 가능한 MALDI TOF 중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보체 C7(Complement Component 7, C7), 도데카노일-L-카르니틴(Dodecanoyl-L-carnitine, DC), 리조포스파티딜콜린(Lysophosphatidylcholine, LPC), HRG(Histidine-Rich Glycoprotein) 및 오스테오폰틴(Osteopontin, OPN)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바이오마커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오마커는 혈액에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후 예측용 바이오마커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암 예후 예측용 바이오마커의 수준을 측정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암 예후 예측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암 예후 예측용 바이오마커의 수준을 측정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암 예후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암 예후 예측용 바이오마커의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 예후 예측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서는 폐암 및 간암 환자의 혈액 내 보체 C7(Complement Component 7, C7), 도데카노일-L-카르니틴(Dodecanoyl-L-carnitine, DC), 리조포스파티딜콜린(Lysophosphatidylcholine, LPC), HRG(Histidine-Rich Glycoprotein) 및 오스테오폰틴(Osteopontin, OPN)의 수준이 정상인과 다른 패턴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들 마커를 조합하는 경우, 폐암 또는 간암을 포함한 다양한 암 진단능이 보다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본 발명의 마커는 암 진단 및 예후 판단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폐암 환자군(LC)과 정상 대조군(Nor)으로부터 수득한 혈액 내 C7 농도를 확인한 데이터이다. 도면에서 수치는 평균(mean)± 표준 오차(standard error of the mean, SEM) 값으로 나타내었으며, N은 환자수를 의미한다. 또한 Specificity는 특이도, Sensitivity는 민감도를 의미한다.
도 2은 폐암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으로부터 수득한 혈액 내 DC 농도를 확인한 데이터이다.
도 3은 폐암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으로부터 수득한 혈액 내 HRG 농도를 확인한 데이터이다.
도 4는 폐암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으로부터 수득한 혈액 내 LPC 농도를 확인한 데이터이다.
도 5는 폐암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으로부터 수득한 혈액 내 OPN 농도, DC 농도, HRG 농도 및 LPC 농도를 OPN/(DC + HRG + LPC) 농도비로 나타낸 데이터이다.
도 6은 폐암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으로부터 수득한 혈액 내 OPN 농도, HRG 농도 및 LPC 농도를 OPN/(HRG + LPC) 농도비로 나타낸 데이터이다.
도 7은 폐암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으로부터 수득한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를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C7 + OPN)으로 나타낸 데이터이다.
도 8은 폐암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으로부터 수득한 혈액 내 C7 농도, OPN 농도 및 DC 농도를 (C7 + OPN)/DC 농도비로 나타낸 데이터이다.
도 9는 폐암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으로부터 수득한 혈액 내 C7 농도, OPN 농도 및 LPC 농도를 (C7 + OPN)/LPC 농도비로 나타낸 데이터이다.
도 10은 폐암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으로부터 수득한 혈액 내 C7 농도, OPN 농도 및 HRG 농도를 (C7 + OPN)/HRG 농도비로 나타낸 데이터이다.
도 11은 폐암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으로부터 수득한 혈액 내 C7 농도, OPN 농도, DC 농도 및 LPC 농도를 (C7 + OPN)/(DC + LPC) 농도비로 나타낸 데이터이다.
도 12는 폐암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으로부터 수득한 혈액 내 C7 농도, OPN 농도, DC 농도 및 HRG 농도를 (C7 + OPN)/(DC + HRG) 농도비로 나타낸 데이터이다.
도 13은 폐암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으로부터 수득한 혈액 내 C7 농도, OPN 농도, DC 농도, HRG 농도 및 LPC 농도를 (C7 + OPN)/(DC + HRG + LPC) 농도비로 나타낸 데이터이다.
도 14는 폐암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으로부터 수득한 혈액 내 C7 농도, OPN 농도, HRG 농도 및 LPC 농도를 (C7 + OPN)/(HRG + LPC) 농도비로 나타낸 데이터이다.
도 15는 폐암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으로부터 수득한 혈액 내 DC 농도 및 LPC 농도를 DC 농도 및 LPC 농도의 합(DC + LPC)으로 나타낸 데이터이다.
도 16은 폐암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으로부터 수득한 혈액 내 DC 농도 및 HRG 농도를 DC 농도 및 HRG 농도의 합(DC + HRG)으로 나타낸 데이터이다.
도 17은 간암 환자군(HC)과 정상 대조군(Nor)으로부터 수득한 혈액 내 C7 농도를 확인한 데이터이다.
도 18은 간암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으로부터 수득한 혈액 내 DC 농도를 확인한 데이터이다.
도 19는 간암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으로부터 수득한 혈액 내 HRG 농도를 확인한 데이터이다.
도 20은 간암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으로부터 수득한 혈액 내 OPN 농도를 확인한 데이터이다.
도 21은 간암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으로부터 수득한 혈액 내 LPC 농도를 확인한 데이터이다.
도 22는 간암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으로부터 수득한 혈액 내 OPN 농도, DC 농도, HRG 농도 및 LPC 농도를 OPN/(DC + HRG + LPC) 농도비로 나타낸 데이터이다.
도 23은 간암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으로부터 수득한 혈액 내 OPN 농도, HRG 농도 및 LPC 농도를 OPN/(HRG + LPC) 농도비로 나타낸 데이터이다.
도 24는 간암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으로부터 수득한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를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C7 + OPN)으로 나타낸 데이터이다.
도 25는 간암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으로부터 수득한 혈액 내 C7 농도, OPN 농도 및 DC 농도를 (C7 + OPN)/DC 농도비로 나타낸 데이터이다.
도 26은 간암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으로부터 수득한 혈액 내 C7 농도, OPN 농도 및 LPC 농도를 (C7 + OPN)/LPC 농도비로 나타낸 데이터이다.
도 27은 간암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으로부터 수득한 혈액 내 C7 농도, OPN 농도 및 HRG 농도를 (C7 + OPN)/HRG 농도비로 나타낸 데이터이다.
도 28은 간암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으로부터 수득한 혈액 내 C7 농도, OPN 농도, DC 농도 및 LPC 농도를 (C7 + OPN)/(DC + LPC) 농도비로 나타낸 데이터이다.
도 29는 간암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으로부터 수득한 혈액 내 C7 농도, OPN 농도, DC 농도 및 HRG 농도를 (C7 + OPN)/(DC + HRG) 농도비로 나타낸 데이터이다.
도 30은 간암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으로부터 수득한 혈액 내 C7 농도, OPN 농도, DC 농도, HRG 농도 및 LPC 농도를 (C7 + OPN)/(DC + HRG + LPC) 농도비로 나타낸 데이터이다.
도 31은 간암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으로부터 수득한 혈액 내 C7 농도, OPN 농도, HRG 농도 및 LPC 농도를 (C7 + OPN)/(HRG + LPC) 농도비로 나타낸 데이터이다.
도 32는 간암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으로부터 수득한 혈액 내 DC 농도 및 LPC 농도를 DC 농도 및 LPC 농도의 합(DC + LPC)으로 나타낸 데이터이다.
도 33은 간암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으로부터 수득한 혈액 내 DC 농도 및 HRG 농도를 DC 농도 및 HRG 농도의 합(DC + HRG)으로 나타낸 데이터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본 발명은 일관점에서, 보체 C7(Complement Component 7, C7), 도데카노일-L-카르니틴(Dodecanoyl-L-carnitine, DC), 리조포스파티딜콜린(Lysophosphatidylcholine, LPC), HRG(Histidine-Rich Glycoprotein) 및 오스테오폰틴(Osteopontin, OPN)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바이오마커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오마커는 혈액에서 추출한 것이고,
상기 바이오마커가
(1) OPN, DC, HRG 및 LPC인 경우, OPN 농도 : (DC 농도,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OPN/(DC + HRG + LPC))로,
(2) OPN, HRG 및 LPC인 경우, OPN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OPN/(HRG + LPC))로,
(3) C7 및 OPN인 경우, C7 농도와 OPN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로,
(4) C7, OPN 및 DC인 경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의 비율((C7 + OPN)/DC)로,
(5) C7, OPN 및 LPC인 경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LPC 농도의 비율((C7 + OPN)/LPC)로,
(6) C7, OPN 및 HRG인 경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의 비율((C7 + OPN)/ HRG)로,
(7) C7, OPN, DC 및 LPC인 경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LPC))로,
(8) C7, OPN, DC 및 HRG인 경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HRG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HRG))로,
(9) C7, OPN, DC, HRG 및 LPC인 경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HRG + LPC))로,
(10) C7, OPN, HRG 및 LPC인 경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HRG + LPC))로,
(11) DC 및 LPC인 경우, DC 농도와 LPC 농도의 합의 비율(DC + LPC)로, 또는
(12) DC 및 HRG인 경우, DC 농도와 HRG 농도의 합의 비율(DC + HRG)로 암을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혈액은 전혈, 혈장 또는 혈청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암은 폐암, 췌장암, 담도암, 대장암, 유방암, 위암, 뇌종양, 신장암, 간암 또는 자궁경부암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간암 또는 폐암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조포스파티딜콜린(LPC)은 리조포스파티딜콜린 16:0(Lysophosphatidylcholine 16:0, LPC16) 또는 리조포스파티딜콜린 18:0(Lysophosphatidylcholine 18:0, LPC18)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C7, DC, LPC, HRG 및 OPN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마커를 이용하여 암을 진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 ~ 5개의 마커를 조합하여, 더 바람직하게는 'OPN, DC, HRG 및 LPC 마커의 조합', 'OPN, HRG 및 LPC 마커의 조합', 'C7 및 OPN 마커의 조합', 'C7, OPN 및 DC 마커의 조합', 'C7, OPN 및 LPC 마커의 조합', 'C7, OPN 및 HRG 마커의 조합', 'C7, DC, OPN 및 LPC 마커의 조합', 'C7, DC, OPN 및 HRG 마커의 조합', 'C7, OPN, DC, HRG 및 LPC 마커의 조합', 'C7, OPN, HRG 및 LPC 마커의 조합', 'DC 및 LPC 마커의 조합', 또는 'DC 및 HRG 마커의 조합'을 이용하여 암을 진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구현예에서는, 정상인(Normal), 폐암(Lung cancer, LC) 환자, 간암(Hepatic cancer; HC) 환자의 혈액을 각각 수득하여, 혈액 내 C7, DC, LPC, HRG, 및 OPN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 내지 도 4(폐암) 및 도 17 내지 도 21(간암)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폐암 또는 간암 환자의 경우, 정상인과 혈액 내 마커의 농도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혈액 내 C7 바이오마커의 농도가 정상 대조군에 비해 높은 경우;
혈액 내 OPN 바이오마커의 농도가 정상 대조군에 비해 높은 경우;
혈액 내 DC 바이오마커의 농도가 정상 대조군에 낮은 경우;
혈액 내 LPC 바이오마커의 농도가 정상 대조군에 낮은 경우; 또는
혈액 내 HRG 마커의 농도가 정상 대조군에 비해 낮은 경우; 암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암이 폐암인 경우,
(1) 상기 OPN 농도 : (DC 농도,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OPN/(DC + HRG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0.4 ~ 0.8 이며, 혈액 내 OPN 농도 : (DC 농도,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2) 상기 OPN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OPN/(HRG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0.5 ~ 1.0 이며, 혈액 내 OPN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3) 상기 C7 농도와 OPN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에 대한 컷오프 값은 280 ~ 300 이며, 혈액 내 C7 농도와 OPN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4)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의 비율((C7 + OPN)/DC)에 대한 컷오프 값은 11 ~ 13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5)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LPC 농도의 비율((C7 + OPN)/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5 ~ 8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LPC 농도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6)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의 비율((C7 + OPN)/ HRG)에 대한 컷오프 값은 3 ~ 5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7)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3 ~ 5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8)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HRG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HRG))에 대한 컷오프 값은 2 ~ 3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HRG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9)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HRG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1.5 ~ 3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10)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HRG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2 ~ 2.4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11) 상기 DC 농도와 LPC 농도의 합의 비율(DC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70 ~ 80 이며, 혈액 내 DC 농도와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하이면 폐암인 것으로, 또는
(12) 상기 DC 농도와 HRG 농도의 합의 비율(DC + HRG)에 대한 컷오프 값은 140 ~ 155 이며, 혈액 내 DC 농도와 HRG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하이면 폐암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암이 간암인 경우,
(1) 상기 OPN 농도 : (DC 농도,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OPN/(DC + HRG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0.4 ~ 0.8 이며, 혈액 내 OPN 농도 : (DC 농도,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2) 상기 OPN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OPN/(HRG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0.5 ~ 1 이며, 혈액 내 OPN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3) 상기 C7 농도와 OPN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에 대한 컷오프 값은 275 ~ 300 이며, 혈액 내 C7 농도와 OPN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4)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의 비율((C7 + OPN)/DC)에 대한 컷오프 값은 11 ~ 14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5)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LPC 농도의 비율((C7 + OPN)/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4.5 ~ 6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LPC 농도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6)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의 비율((C7 + OPN)/ HRG)에 대한 컷오프 값은 2.4 ~ 3.5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7)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3.1 ~ 4.1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8)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HRG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HRG))에 대한 컷오프 값은 2 ~ 3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HRG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9)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HRG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1.3 ~ 2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10)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HRG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1.5 ~ 2.5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11) 상기 DC 농도와 LPC 농도의 합의 비율(DC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67 ~ 75 이며, 혈액 내 DC 농도와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하이면 간암인 것으로, 또는
(12) 상기 DC 농도와 HRG 농도의 합의 비율(DC + HRG)에 대한 컷오프 값은 122 ~ 137 이며, 혈액 내 DC 농도와 HRG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하이면 간암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암 진단용 조성물
본 발명은 다른 일관점에서, 본 발명의 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의 혈액 내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암 진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암 진단용 조성물은 상술한 <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을 준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C7, HRG 또는 OPN 마커의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단백질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일 수 있으며, 상기 DC 마커 또는 LPC 마커의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질량 분석용 제제일 수 있다.
상기 단백질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C7, HRG 또는 OPN 마커의 단백질 또는 또는 펩타이드 단편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상호작용 단백질, 리간드, 나노입자(nanoparticles) 또는 압타머(aptamer)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항체"는 항원과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항원-항체 반응을 일으키는 물질을 가리킨다. 본 발명의 목적상, 항체는 본 발명의 바이오마커에 대해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항체는 다클론 항체, 단클론 항체 및 재조합 항체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압타머(Aptamer)"란 단일, 이중 나선의 DNA, RNA 형태로 특정 타깃 단백질과의 3차원적 결합을 통해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억제하는 생고분자 물질로서, 다양한 표적분자에 결합하는 특징을 가진다. 전형적으로 압타머는 규정된 2차 및 3차 구조, 예컨대 스템-루프 구조로 접히는 15~50 염기 길이의작은 핵산일 수 있다. 압타머는 10-6, 10-8, 10-10, 또는 10-12 보다 적은 kd로 표적 고발현 단백질 또는 저발현 단백질과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질량 분석용 제제는 혈액, 혈장 또는 혈청 내 마커의 질량을 분석할 수 있는 제제로, 구체적으로, 액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LC-MS)를 수행할 수 있는 제제를 의미한다.
암 진단용 키트
본 발명은 또 다른 일관점에서, 본 발명의 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의 혈액 내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암 진단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암 진단용 조성물은 상술한 <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을 준용한다.
상기 키트는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 통상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키트는 예를 들면, 동결 건조 형태의 항체와 완충액, 안정화제, 불활성 단백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트는 검출 가능한 표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용어 "검출 가능한 표지"는 표지가 없는 동일한 종류의 분자들 중에서 표지를 포함하는 분자를 특이적으로 검출하도록 하는 원자 또는 분자를 의미한다. 상기 검출 가능한 표지는 상기 단백질 또는 그의 단편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상호작용 단백질, 리간드, 나노입자, 또는 압타머에 부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검출 가능한 표지는 방사종(radionuclide), 형광원(fluorophore), 효소(enzym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트는 당업계에 알려진 다양한 면역분석법 또는 면역염색법에 따라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면역분석법 또는 면역염색법은 방사능면역분석, 방사능면역침전, 면역침전, ELISA, 캡처-ELISA, 억제 또는 경쟁 분석, 샌드위치 분석, 유세포 분석, 면역형광염색 및 면역친화성 정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키트는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키트, 단백질 칩 키트, 래피드(rapid) 키트 또는 MRM(multiple reaction monitoring)인 것일 수 있다.
암 진단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본 발명은 또 다른 일관점에서, (a) 환자의 혈액으로부터 보체 C7(Complement Component 7, C7), 도데카노일-L-카르니틴(Dodecanoyl-L-carnitine, DC), 리조포스파티딜콜린(Lysophosphatidylcholine, LPC), HRG(Histidine-Rich Glycoprotein) 및 오스테오폰틴(Osteopontin, OPN)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바이오마커의 수준을 정상 대조군 시료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의 바이오마커가
(1) OPN, DC, HRG 및 LPC인 경우, OPN 농도 : (DC 농도,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OPN/(DC + HRG + LPC))로,
(2) OPN, HRG 및 LPC인 경우, OPN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OPN/(HRG + LPC))로,
(3) C7 및 OPN인 경우, C7 농도와 OPN 농도의 합(C7 + OPN)으로,
(4) C7, OPN 및 DC인 경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의 비율((C7 + OPN)/DC)로,
(5) C7, OPN 및 LPC인 경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LPC 농도의 비율((C7 + OPN)/LPC)로,
(6) C7, OPN 및 HRG인 경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의 비율((C7 + OPN)/ HRG)로,
(7) C7, OPN, DC 및 LPC인 경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LPC))로,
(8) C7, OPN, DC 및 HRG인 경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HRG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HRG))로,
(9) C7, OPN, DC, HRG 및 LPC인 경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HRG + LPC))로,
(10) C7, OPN, HRG 및 LPC인 경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HRG + LPC))로,
(11) DC 및 LPC인 경우, DC 농도와 LPC 농도의 합의 비율(DC + LPC)로, 또는
(12) DC 및 HRG인 경우, DC 농도와 HRG 농도의 합의 비율(DC + HRG)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암은 폐암, 췌장암, 담도암, 대장암, 유방암, 위암, 뇌종양, 신장암, 간암 또는 자궁경부암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간암 또는 폐암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조포스파티딜콜린(LPC)은 리조포스파티딜콜린 16:0(Lysophosphatidylcholine 16:0, LPC16) 또는 리조포스파티딜콜린 18:0(Lysophosphatidylcholine 18:0, LPC18)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암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암이 폐암인 경우,
(1) 상기 OPN 농도 : (DC 농도,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OPN/(DC + HRG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0.4 ~ 0.8 이며, 혈액 내 OPN 농도 : (DC 농도,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2) 상기 OPN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OPN/(HRG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0.5 ~ 1.0 이며, 혈액 내 OPN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3) 상기 C7 농도와 OPN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에 대한 컷오프 값은 280 ~ 300 이며, 혈액 내 C7 농도와 OPN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4)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의 비율((C7 + OPN)/DC)에 대한 컷오프 값은 11 ~ 13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5)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LPC 농도의 비율((C7 + OPN)/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5 ~ 8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LPC 농도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6)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의 비율((C7 + OPN)/ HRG)에 대한 컷오프 값은 3 ~ 5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7)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3 ~ 5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8)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HRG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HRG))에 대한 컷오프 값은 2 ~ 3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HRG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9)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HRG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1.5 ~ 3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10)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HRG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2 ~ 2.4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11) 상기 DC 농도와 LPC 농도의 합의 비율(DC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70 ~ 80 이며, 혈액 내 DC 농도와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하이면 폐암인 것으로,
(12) 상기 DC 농도와 HRG 농도의 합의 비율(DC + HRG)에 대한 컷오프 값은 140 ~ 155 이며, 혈액 내 DC 농도와 HRG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하이면 폐암인 것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이 간암인 경우,
(1) 상기 OPN 농도 : (DC 농도,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OPN/(DC + HRG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0.4 ~ 0.8 이며, 혈액 내 OPN 농도 : (DC 농도,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2) 상기 OPN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OPN/(HRG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0.5 ~ 1 이며, 혈액 내 OPN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3) 상기 C7 농도와 OPN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에 대한 컷오프 값은 275 ~ 300 이며, 혈액 내 C7 농도와 OPN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4)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의 비율((C7 + OPN)/DC)에 대한 컷오프 값은 11 ~ 14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5)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LPC 농도의 비율((C7 + OPN)/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4.5 ~ 6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LPC 농도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6)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의 비율((C7 + OPN)/ HRG)에 대한 컷오프 값은 2.4 ~ 3.5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7)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3.1 ~ 4.1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8)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HRG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HRG))에 대한 컷오프 값은 2 ~ 3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HRG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9)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HRG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1.3 ~ 2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10)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HRG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1.5 ~ 2.5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11) 상기 DC 농도와 LPC 농도의 합의 비율(DC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67 ~ 75 이며, 혈액 내 DC 농도와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하이면 간암인 것으로, 또는
(12) 상기 DC 농도와 HRG 농도의 합의 비율(DC + HRG)에 대한 컷오프 값은 122 ~ 137 이며, 혈액 내 DC 농도와 HRG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하이면 간암인 것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혈액 내 C7, HRG 또는 OPN 바이오마커의 수준 측정은, 단백질 칩 분석, 면역측정법, 리간드 바인딩 어세이, MALDI-TOF(Matrix Desorption/Ionization 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분석, SELDI-TOF(Sulface Enhanc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분석, 방사선 면역분석, 방사 면역 확산법, 오우크테로니 면역 확산법, 로케트 면역전기영동, 조직면역 염색, 보체 고정 분석법, 2차원 전기영동 분석, 액상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LC-MS), LC-MS/MS(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Mass Spectrometry), 웨스턴 블랏 및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혈액 내 DC 또는 LPC 바이오마커의 수준 측정은, 질량피크 면적으로 혈액, 혈장 또는 혈청 내 시료를 질량분석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액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LC-MS)를 통해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질량분석기는 Triple TOF, Triple Quadrupole 및 정량성 측정이 가능한 MALDI TOF 중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암 예후 예측용 바이오마커
본 발명은 또 다른 일관점에서, 보체 C7(Complement Component 7, C7), 도데카노일-L-카르니틴(Dodecanoyl-L-carnitine, DC), 리조포스파티딜콜린(Lysophosphatidylcholine, LPC), HRG(Histidine-Rich Glycoprotein) 및 오스테오폰틴(Osteopontin, OPN)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바이오마커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오마커는 혈액에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예후 예측용 바이오마커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혈액 내 C7 바이오마커의 농도가 정상 대조군에 비해 높은 경우;
혈액 내 OPN 바이오마커의 농도가 정상 대조군에 비해 높은 경우;
혈액 내 DC 바이오마커의 농도가 정상 대조군에 낮은 경우;
혈액 내 LPC 바이오마커의 농도가 정상 대조군에 낮은 경우; 또는
혈액 내 HRG 마커의 농도가 정상 대조군에 비해 낮은 경우; 암 예후가 좋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을 준용한다.
암 예후 예측용 조성물 및 키트
본 발명은 또 다른 일관점에서, 상기 암 예후 예측용 바이오마커 조성물의 혈액 내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암 예후 예측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일관점에서, 상기 암 예후 예측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암 예후 진단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암 예후 예측용 조성물 또는 키트의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암 진단용 조성물> 또는 <암 진단용 키트>를 준용한다.
암 예후 예측을 위한 정보 제공 방법
본 발명은 또 다른 일관점에서, (a) 환자의 혈액으로부터 보체 C7(Complement Component 7, C7), 도데카노일-L-카르니틴(Dodecanoyl-L-carnitine, DC), 리조포스파티딜콜린(Lysophosphatidylcholine, LPC), HRG(Histidine-Rich Glycoprotein) 및 오스테오폰틴(Osteopontin, OPN)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바이오마커의 수준을 정상 대조군 시료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 예후 예측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혈액 내 C7 바이오마커의 농도가 정상 대조군에 비해 높은 경우;
혈액 내 OPN 바이오마커의 농도가 정상 대조군에 비해 높은 경우;
혈액 내 DC 바이오마커의 농도가 정상 대조군에 낮은 경우;
혈액 내 LPC 바이오마커의 농도가 정상 대조군에 낮은 경우; 또는
혈액 내 HRG 마커의 농도가 정상 대조군에 비해 낮은 경우; 암 예후가 나쁜 것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암 진단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을 준용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폐암 환자 진단
1-1 : 시료 준비
본 발명의 마커가 폐암을 진단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총 189명의 환자를 선별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정상인(Normal) 89명 및 폐암(Lung cancer, LC) 환자 100명을 선별하여 혈액을 채취하였다.
1-2 : 혈액 내 마커 농도 측정
<C7(Complement Component C7) 농도 측정>
상기 혈액 샘플에서 혈장을 각각 추출한 후 C7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를 수행하여 C7 단백질 양을 측정하였다. C7 ELISA 키트는 YN1203 ELISA Kit(INNOBATION BIO, 한국)를 사용하였다.
분리된 혈장을 ELISA 키트 내 희석용액을 이용해 20만배 희석하였다. 다음으로 C7 표준곡선 제작을 위한 표준물질들을 제조사 매뉴얼을 따라 제작하였다. 준비된 샘플과 표준물질들을 C7 항체가 코팅된 플레이트에 넣어주고 밀봉하여 2시간동안 실온에서 배양하였다.
2시간의 배양 후 각 플레이트 웰(well)의 내용물을 제거하고 세척액을 이용해 3회의 세척을 진행하였으며, 세척 완료 후 플레이트에 검출항체를 넣어준 후 1시간동안 실온에서 배양하였다.
1시간의 배양 후 각 플레이트 웰의 내용물을 제거하고 세척액을 이용해 3회의 세척을 반복 진행하였으며, 세척 완료 후 플레이트에 기질을 넣어준 후 20분 동안 실온에서 배양하였다.
20분의 배양 후 각 플레이트 웰에 정지용액(stop solution)용액을 넣어준 후 약하게 두드려주며 섞어준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기(의료용면역흡광측정장치, K01050.01)를 450nm로 설정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흡광도는 표준물질로 제작된 표준곡선에 대입하여 알맞은 C7 단백질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DC(Dodecanoyl-L-carnitine) 농도 측정>
상기 혈액 샘플에서 혈장을 분리하고, DC(Sigma, 미국) 표준곡선에 필요한 농도 별 표준물질들을 제작하였다. 20 ㎕의 혈장 및 표준물질들에 400 ㎕의 지질 추출 버퍼(lipid extraction buffer; Abnova, 대만)를 넣고 볼텍싱(vortexing) 후, 원심분리를(10,000g, 5min, 4℃하였다. 원심 분리 후 상층액을 새로운 튜브에 모두 옮기고 농축기(Concentrator)를 이용해 12 ~ 16 시간 동안 건조시켜 주었다. 건조된 대사체 추출물에 50 ㎕의 0.1% 포름산이 포함된 100% 메탄올을 넣고 볼텍서(vortex)를 이용해 잘 녹인 후, LC-MS/MS(liquid chromatography - mass spectrometry/mass spectrometry)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사용된 LC는 Shimadzu LC 40 system이며, MS는 AB Sciex Triple Quad 5500+ system였다. MS에는 Turbo Spray ion source를 장착하였다. 분석 시료는 Shimadzu LC 40 system의 BEH C18 column(1.7um, 2.1*50mm; Waters) 내에서 분리되었다. 용매는 two-step linear gradient(solvent A, 0.1% FA in water; solvent B, 0.1% FA in 100% Acetonitrile; 5 ~ 55% solvent B 2.5 min, 55% solvent B 5.5 min, 55 ~ 95% solvent B 7.5 min, 95% solvent B 11 min, 95 ~ 5% solvent B 11.1 min 및 5% solvent B 14.5 min)를 사용하였다.
MRM(Multiple reaction monitoring) 모드를 이용하여 질량분석(mass spectrometry, MS/MS)을 수행하였다. DC에 해당하는 대사체가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통과해서 나오는 시간대와 동일한 시간대의 질량스펙트럼 중, 동일한 질량값을 갖는 질량피크의 면적을 계산하였다. DC 표준물질들의 질량피크를 이용해 표준곡선을 제작하고 각 시료들의 질량피크를 표준곡선에 대입하여 DC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LPC16 농도 측정>
상기 혈액 샘플에서 혈장을 분리하고, LPC (Avanti, 미국) 표준곡선에 필요한 농도 별 표준물질들을 제작하였다. 20 ㎕의 혈장 및 표준물질들에 400 ㎕의 지질 추출 버퍼(lipid extraction buffer; Abnova, 대만)를 넣고 볼텍싱(vortexing) 후, 원심분리를(10,000g, 5min, 4℃하였다.
원심 분리 후 상층액을 새로운 튜브에 모두 옮기고 농축기(Concentrator)를 이용해 12 ~ 16 시간 동안 건조시켜 주었다. 건조된 대사체 추출물에 50 ㎕의 0.1% 포름산이 포함된 100% 메탄올을 넣고 볼텍서(vortex)를 이용해 잘 녹인 후, LC-MS/MS(liquid chromatography - mass spectrometry/mass spectrometry)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사용된 LC는 Shimadzu LC 40 system이며, MS는 AB Sciex Triple Quad 5500+ system였다. MS에는 Turbo Spray ion source를 장착하였다. 분석 시료는 Shimadzu LC 40 system의 BEH C18 column(1.7um, 2.1*50mm; Waters) 내에서 분리되었다. 용매는two-step linear gradient(solvent A, 0.1% FA in water; solvent B, 0.1% FA in 100% Acetonitrile; 5 ~ 55% solvent B 2.5 min, 55% solvent B 5.5 min, 55 ~ 95% solvent B 7.5 min, 95% solvent B 11 min, 95 ~ 5% solvent B 11.1 min 및5% solvent B 14.5 min)를 사용하였다.
MRM(Multiple reaction monitoring) 모드를 이용하여 질량분석(mass spectrometry, MS/MS)을 수행하였다. LPC에 해당하는 대사체가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통과해서 나오는 시간대와 동일한 시간대의 질량스펙트럼 중, 동일한 질량값을 갖는 질량피크의 면적을 계산하였다. LPC 표준물질들의 질량피크를 이용해 표준곡선을 제작하고 각 시료들의 질량피크를 표준곡선에 대입하여LPC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HRG(Histidine-Rich Glycoprotein) 농도 측정>
상기 혈액 샘플에서 혈장을 각각 추출한 후 HRG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를 수행하여 HRG 단백질 양을 측정하였다. HRG ELISA 키트는 HRG ELISA Kit(My BioSource, 미국)를 사용하였다.
분리된 혈장을 ELISA 키트 내 희석용액을 이용해 100배 희석하였다. 다음으로 HRG 표준곡선 제작을 위한 표준물질들을 제조사 매뉴얼을 따라 제작하였다. 준비된 샘플과 표준물질들을 HRG 항체가 코팅된 플레이트에 넣어주고 밀봉하여 1시간동안 실온에서 배양하였다. 1시간의 배양 후 각 플레이트 웰의 내용물을 제거하고 세척액을 이용해 3회의 세척을 진행하였으며, 세척 완료 후 플레이트에 검출항체를 넣어준 후 1시간동안 실온에서 배양하였다. 1시간의 배양 후 각 플레이트 웰의 내용물을 제거하고 세척액을 이용해 3회의 세척을 반복 진행하였으며, 세척 완료 후 플레이트에 기질을 넣어준 후 30분 동안 실온에서 배양하였다.
30분의 배양 후 각 플레이트 웰에 정지용액(Stop solution)을 넣어준 후 약하게 두드려주며 섞어준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기(의료용면역흡광측정장치, K01050.01)를 450nm로 설정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흡광도는 표준물질로 제작된 표준곡선에 대입하여 알맞은 HRG 단백질 양으로 변환되었다.
<오스테오폰틴(Osteopontin) 농도 측정>
상기 혈액 샘플에서 혈장을 각각 추출한 후 오스테오폰틴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를 수행하여 오스테오폰틴 단백질 양을 측정하였다. 오스테오폰틴 ELISA 키트는 Osteopontin Human ELISA Kit (Invitrogen, 미국)를 사용하였다.
분리된 혈장을 ELISA 키트 내 희석용액을 이용해 20배 희석하였다. 사용 전 ELISA 키트를 세척액을 이용해 3회의 세척을 진행한 다음, 오스테오폰틴 표준곡선 제작을 위한 표준물질들을 제조사 매뉴얼을 따라 제작하였다. 준비된 샘플과 표준물질들을 오스테오폰틴 항체가 코팅된 플레이트에 넣어주고 밀봉하여 2시간동안 실온에서 60 rpm으로 배양하였다.
2시간의 배양 후 각 플레이트 웰의 내용물을 제거하고 세척액을 이용해 3회의 세척을 진행하였으며, 세척 완료 후 플레이트에 비오틴-컨쥬게이트(Biotin-Conjugate)를 넣어준 후 1시간동안 실온에서 배양하였다. 1시간의 배양 후 각 플레이트 웰의 내용물을 제거하고 세척액을 이용해 3회의 세척을 반복 진행하였으며, 세척 완료 후 플레이트에 스트렙트아비딘-HRP(Streptavidin-HRP)를 넣어준 후 1시간동안 실온에서 배양하였다. 1시간의 배양 후 각 플레이트 웰의 내용물을 제거하고 세척액을 이용해 3회의 세척을 반복 진행하였다. 세척 완료 후 플레이트에 100 ㎕의 기질을 넣어준 후 30분 동안 실온에서 배양하였다.
30분의 배양 후 각 플레이트 웰에 100 ㎕의 정지용액(Stop solution)을 넣어준 후 약하게 두드려주며 섞어준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기(의료용면역흡광측정장치, K01050.01)를 450nm로 설정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흡광도는 표준물질로 제작된 표준곡선에 대입하여 알맞은 오스테오폰틴 단백질 양으로 변환되었다.
그 결과,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폐암 환자는 정상인과 혈액 내 마커의 농도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정상인에 비해 C7의 농도는 높고, DC, LPC 또는 HRG의 농도는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5 종류의 마커를 이용하여 'OPN, DC, HRG 및 LPC 마커의 조합', 'OPN, HRG 및 LPC 마커의 조합', 'C7 및 OPN 마커의 조합', 'C7, OPN 및 DC 마커의 조합', 'C7, OPN 및 LPC 마커의 조합', 'C7, OPN 및 HRG 마커의 조합', 'C7, DC, OPN 및 LPC 마커의 조합', 'C7, DC, OPN 및 HRG 마커의 조합', 'C7, OPN, DC, HRG 및 LPC 마커의 조합', 'C7, OPN, HRG 및 LPC 마커의 조합', 'DC 및 LPC 마커의 조합', 또는 'DC 및 HRG 마커의 조합'을 이용하는 경우, 도 5 내지 도 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 대조군과 폐암 환자 사이에 농도비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마커 단독보다는 2 종류 이상의 마커를 조합하는 경우, 폐암 진단능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간암 환자 진단
2-1 : 시료 준비
본 발명의 마커가 간암을 진단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총 117명의 환자를 선별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정상인(Normal) 100명 및 간암(Hepatic cancer; HC) 환자 17명을 선별하여 혈액을 채취하였다.
2-2 : 혈액 내 마커 농도 측정
<C7(Complement Component C7) 농도 측정>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를 수행을 수행하여 C7 단백질 양을 측정하였다.
<DC(Dodecanoyl-L-carnitine) 농도 측정>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으며, DC에 해당하는 대사체가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통과해서 나오는 시간대와 동일한 시간대의 질량스펙트럼 중, 동일한 질량값을 갖는 질량피크의 면적을 계산하였다. DC 표준물질들의 질량피크를 이용해 표준곡선을 제작하고 각 시료들의 질량피크를 표준곡선에 대입하여 DC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LPC16 농도 측정>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으며, LPC에 해당하는 대사체가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통과해서 나오는 시간대와 동일한 시간대의 질량스펙트럼 중, 동일한 질량값을 갖는 질량피크의 면적을 계산하였다. LPC 표준물질들의 질량피크를 이용해 표준곡선을 제작하고 각 시료들의 질량피크를 표준곡선에 대입하여 LPC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HRG(Histidine-Rich Glycoprotein) 농도 측정>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를 수행하여 HRG 단백질 양을 측정하였다.
<오스테오폰틴(Osteopontin) 농도 측정>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를 수행하여 오스테오폰틴 단백질 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7 내지 도 2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간암 환자의 경우 정상인과 혈액 내 마커의 농도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정상인에 비해 C7 및 OPN의 농도는 높고, DC, LPC 또는 HRG의 농도는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5 종류의 마커를 이용하여 'OPN, DC, HRG 및 LPC 마커의 조합', 'OPN, HRG 및 LPC 마커의 조합', 'C7 및 OPN 마커의 조합', 'C7, OPN 및 DC 마커의 조합', 'C7, OPN 및 LPC 마커의 조합', 'C7, OPN 및 HRG 마커의 조합', 'C7, DC, OPN 및 LPC 마커의 조합', 'C7, DC, OPN 및 HRG 마커의 조합', 'C7, OPN, DC, HRG 및 LPC 마커의 조합', 'C7, OPN, HRG 및 LPC 마커의 조합', 'DC 및 LPC 마커의 조합', 또는 'DC 및 HRG 마커의 조합'을 이용하는 경우, 도 22 내지 도 3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 대조군 및 간암 환자 사이에 농도비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마커 단독보다는 2 종류 이상의 마커를 조합하는 경우, 간암 진단능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16)

  1. 보체 C7(Complement Component 7, C7), 도데카노일-L-카르니틴(Dodecanoyl-L-carnitine, DC), 리조포스파티딜콜린(Lysophosphatidylcholine, LPC), HRG(Histidine-Rich Glycoprotein) 및 오스테오폰틴(Osteopontin, OPN)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바이오마커를 포함하는, 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로서,
    상기 암은 폐암 또는 간암이며,
    상기 바이오마커는 혈액에서 추출한 것이고,
    상기 바이오마커가
    (1) OPN, DC, HRG 및 LPC인 경우, OPN 농도 : (DC 농도,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OPN/(DC + HRG + LPC))로,
    (2) OPN, HRG 및 LPC인 경우, OPN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OPN/(HRG + LPC))로,
    (3) C7 및 OPN인 경우, C7 농도와 OPN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로,
    (4) C7, OPN 및 DC인 경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의 비율((C7 + OPN)/DC)로,
    (5) C7, OPN 및 LPC인 경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LPC 농도의 비율((C7 + OPN)/LPC)로,
    (6) C7, OPN 및 HRG인 경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의 비율((C7 + OPN)/ HRG)로,
    (7) C7, OPN, DC 및 LPC인 경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LPC))로,
    (8) C7, OPN, DC 및 HRG인 경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HRG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HRG))로,
    (9) C7, OPN, DC, HRG 및 LPC인 경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HRG + LPC))로,
    (10) C7, OPN, HRG 및 LPC인 경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HRG + LPC))로,
    (11) DC 및 LPC인 경우, DC 농도와 LPC 농도의 합의 비율(DC + LPC)로, 또는
    (12) DC 및 HRG인 경우, DC 농도와 HRG 농도의 합의 비율(DC + HRG)로 암을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은 전혈, 혈장 또는 혈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조포스파티딜콜린(LPC)은 리조포스파티딜콜린 16:0(Lysophosphatidylcholine 16:0, LPC16) 또는 리조포스파티딜콜린 18:0(Lysophosphatidylcholine 18:0, LPC1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이 폐암인 경우,
    (1) 상기 OPN 농도 : (DC 농도,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OPN/(DC + HRG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0.4 ~ 0.8 이며, 혈액 내 OPN 농도 : (DC 농도,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2) 상기 OPN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OPN/(HRG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0.5 ~ 1.0 이며, 혈액 내 OPN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3) 상기 C7 농도와 OPN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에 대한 컷오프 값은 280 ~ 300 이며, 혈액 내 C7 농도와 OPN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4)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의 비율((C7 + OPN)/DC)에 대한 컷오프 값은 11 ~ 13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5)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LPC 농도의 비율((C7 + OPN)/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5 ~ 8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LPC 농도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6)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의 비율((C7 + OPN)/ HRG)에 대한 컷오프 값은 3 ~ 5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7)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3 ~ 5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8)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HRG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HRG))에 대한 컷오프 값은 2 ~ 3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HRG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9)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HRG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1.5 ~ 3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10)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HRG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2 ~ 2.4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11) 상기 DC 농도와 LPC 농도의 합의 비율(DC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70 ~ 80 이며, 혈액 내 DC 농도와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하이면 폐암인 것으로, 또는
    (12) 상기 DC 농도와 HRG 농도의 합의 비율(DC + HRG)에 대한 컷오프 값은 140 ~ 155 이며, 혈액 내 DC 농도와 HRG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하이면 폐암인 것으로 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이 간암인 경우,
    (1) 상기 OPN 농도 : (DC 농도,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OPN/(DC + HRG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0.4 ~ 0.8 이며, 혈액 내 OPN 농도 : (DC 농도,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2) 상기 OPN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OPN/(HRG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0.5 ~ 1 이며, 혈액 내 OPN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3) 상기 C7 농도와 OPN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에 대한 컷오프 값은 275 ~ 300 이며, 혈액 내 C7 농도와 OPN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4)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의 비율((C7 + OPN)/DC)에 대한 컷오프 값은 11 ~ 14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5)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LPC 농도의 비율((C7 + OPN)/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4.5 ~ 6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LPC 농도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6)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의 비율((C7 + OPN)/ HRG)에 대한 컷오프 값은 2.4 ~ 3.5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7)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3.1 ~ 4.1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8)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HRG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HRG))에 대한 컷오프 값은 2 ~ 3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HRG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9)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HRG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1.3 ~ 2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10)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HRG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1.5 ~ 2.5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또는
    (11) 상기 DC 농도와 LPC 농도의 합의 비율(DC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67 ~ 75 이며, 혈액 내 DC 농도와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하이면 간암인 것으로,
    (12) 상기 DC 농도와 HRG 농도의 합의 비율(DC + HRG)에 대한 컷오프 값은 122 ~ 137 이며, 혈액 내 DC 농도와 HRG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하이면 간암인 것으로 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7.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의 혈액 내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암 진단용 조성물.
  8.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의 혈액 내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암 진단용 키트.
  9. (a) 환자의 혈액으로부터 보체 C7(Complement Component 7, C7), 도데카노일-L-카르니틴(Dodecanoyl-L-carnitine, DC), 리조포스파티딜콜린(Lysophosphatidylcholine, LPC), HRG(Histidine-Rich Glycoprotein) 및 오스테오폰틴(Osteopontin, OPN)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바이오마커의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바이오마커의 수준을 정상 대조군 시료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암은 폐암 또는 간암이며,
    상기 (a) 단계의 바이오마커가
    (1) OPN, DC, HRG 및 LPC인 경우, OPN 농도 : (DC 농도,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OPN/(DC + HRG + LPC))로,
    (2) OPN, HRG 및 LPC인 경우, OPN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OPN/(HRG + LPC))로,
    (3) C7 및 OPN인 경우, C7 농도와 OPN 농도의 합(C7 + OPN)으로,
    (4) C7, OPN 및 DC인 경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의 비율((C7 + OPN)/DC)로,
    (5) C7, OPN 및 LPC인 경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LPC 농도의 비율((C7 + OPN)/LPC)로,
    (6) C7, OPN 및 HRG인 경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의 비율((C7 + OPN)/ HRG)로,
    (7) C7, OPN, DC 및 LPC인 경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LPC))로,
    (8) C7, OPN, DC 및 HRG인 경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HRG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HRG))로,
    (9) C7, OPN, DC, HRG 및 LPC인 경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HRG + LPC))로,
    (10) C7, OPN, HRG 및 LPC인 경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HRG + LPC))로,
    (11) DC 및 LPC인 경우, DC 농도와 LPC 농도의 합의 비율(DC + LPC)로, 또는
    (12) DC 및 HRG인 경우, DC 농도와 HRG 농도의 합의 비율(DC + HRG)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혈액은 전혈, 혈장 또는 혈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리조포스파티딜콜린(LPC)은 리조포스파티딜콜린 16:0(Lysophosphatidylcholine 16:0, LPC16) 또는 리조포스파티딜콜린 18:0(Lysophosphatidylcholine 18:0, LPC1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암이 폐암인 경우,
    (1) 상기 OPN 농도 : (DC 농도,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OPN/(DC + HRG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0.4 ~ 0.8 이며, 혈액 내 OPN 농도 : (DC 농도,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2) 상기 OPN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OPN/(HRG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0.5 ~ 1.0 이며, 혈액 내 OPN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3) 상기 C7 농도와 OPN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에 대한 컷오프 값은 280 ~ 300 이며, 혈액 내 C7 농도와 OPN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4)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의 비율((C7 + OPN)/DC)에 대한 컷오프 값은 11 ~ 13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5)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LPC 농도의 비율((C7 + OPN)/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5 ~ 8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LPC 농도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6)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의 비율((C7 + OPN)/ HRG)에 대한 컷오프 값은 3 ~ 5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7)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3 ~ 5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8)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HRG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HRG))에 대한 컷오프 값은 2 ~ 3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HRG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9)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HRG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1.5 ~ 3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10)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HRG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2 ~ 2.4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폐암인 것으로,
    (11) 상기 DC 농도와 LPC 농도의 합의 비율(DC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70 ~ 80 이며, 혈액 내 DC 농도와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하이면 폐암인 것으로, 또는
    (12) 상기 DC 농도와 HRG 농도의 합의 비율(DC + HRG)에 대한 컷오프 값은 140 ~ 155 이며, 혈액 내 DC 농도와 HRG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하이면 폐암인 것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암이 간암인 경우,
    (1) 상기 OPN 농도 : (DC 농도,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OPN/(DC + HRG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0.4 ~ 0.8 이며, 혈액 내 OPN 농도 : (DC 농도,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2) 상기 OPN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OPN/(HRG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0.5 ~ 1 이며, 혈액 내 OPN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3) 상기 C7 농도와 OPN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에 대한 컷오프 값은 275 ~ 300 이며, 혈액 내 C7 농도와 OPN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4)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의 비율((C7 + OPN)/DC)에 대한 컷오프 값은 11 ~ 14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5)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LPC 농도의 비율((C7 + OPN)/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4.5 ~ 6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LPC 농도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6)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의 비율((C7 + OPN)/ HRG)에 대한 컷오프 값은 2.4 ~ 3.5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7)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3.1 ~ 4.1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8)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HRG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HRG))에 대한 컷오프 값은 2 ~ 3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및 HRG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9)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DC + HRG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1.3 ~ 2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DC 농도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10) 상기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C7 + OPN)/(HRG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1.5 ~ 2.5 이며, 혈액 내 (C7 농도 및 OPN 농도의 합) : (HRG 농도 및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상이면 간암인 것으로,
    (11) 상기 DC 농도와 LPC 농도의 합의 비율(DC + LPC)에 대한 컷오프 값은 67 ~ 75 이며, 혈액 내 DC 농도와 LPC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하이면 간암인 것으로, 또는
    (12) 상기 DC 농도와 HRG 농도의 합의 비율(DC + HRG)에 대한 컷오프 값은 122 ~ 137 이며, 혈액 내 DC 농도와 HRG 농도의 합의 비율이 컷오프 값 이하이면 간암인 것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보체 C7, HRG 또는 OPN 바이오마커의 수준 측정은, 단백질 칩 분석, 면역측정법, 리간드 바인딩 어세이, MALDI-TOF(Matrix Desorption/Ionization 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분석, SELDI-TOF(Sulface Enhanc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분석, 방사선 면역분석, 방사 면역 확산법, 오우크테로니 면역 확산법, 로케트 면역전기영동, 조직면역 염색, 보체 고정 분석법, 2차원 전기영동 분석, 액상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LC-MS), LC-MS/MS(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Mass Spectrometry), 웨스턴 블랏 및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DC 바이오마커 또는 LPC 바이오마커의 수준 측정은, 액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LC-MS)를 통해 수득하는 것 특징으로 하는, 암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220043776A 2021-10-06 2022-04-08 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KR102421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11991 WO2023058884A1 (ko) 2021-10-06 2022-08-11 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381 2021-10-06
KR20210132381 2021-10-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1469B1 true KR102421469B1 (ko) 2022-07-18

Family

ID=8270089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3775A KR102421466B1 (ko) 2021-10-06 2022-04-08 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KR1020220043778A KR102421471B1 (ko) 2021-10-06 2022-04-08 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KR1020220043776A KR102421469B1 (ko) 2021-10-06 2022-04-08 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3775A KR102421466B1 (ko) 2021-10-06 2022-04-08 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KR1020220043778A KR102421471B1 (ko) 2021-10-06 2022-04-08 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3) KR102421466B1 (ko)
WO (3) WO202305888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8884A1 (ko) * 2021-10-06 2023-04-13 (주)이노베이션바이오 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4700A (ko) * 2022-10-19 2024-04-26 (주)이노베이션바이오 간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간암 진단에 대한 인공지능 기반 정보 제공 방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06142A (ja) * 2009-10-01 2013-02-21 フェノメノーム ディスカバリーズ インク 膵臓癌の血清ベースのバイオマーカー並びに疾患検出及び診断のためのその使用
KR20130040294A (ko) * 2011-10-14 2013-04-2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소세포폐암 진단용 조성물 및 소세포폐암 진단키트
JP2014028817A (ja) * 2006-05-31 2014-02-13 Lpath Inc リゾホスファチジン酸に反応する、免疫により誘導される物質(imune−derivedmoiety)
JP2015158512A (ja) * 2010-06-23 2015-09-03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ルーイビル リサーチ ファウンデーショ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癌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
KR20180012397A (ko) * 2016-07-27 2018-02-06 주식회사 이스트컨트롤 디지털 음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디지털 음원 재생 장치 및 방법
KR102156217B1 (ko) * 2019-03-05 2020-09-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장암 진단용 지질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KR20200116410A (ko) * 2019-04-01 2020-10-12 국립암센터 고형암 진단 장치와 고형암 진단 정보 제공 방법
JP2020530290A (ja) * 2017-08-07 2020-10-22 ザ ジョンズ ホプキンス ユニバーシティ がんを評価及び治療するための方法及び物質
KR20210103212A (ko) * 2020-02-13 2021-08-23 (주) 프로탄바이오 폐암 진단용 다중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KR20210105270A (ko) * 2020-02-18 2021-08-26 (주)이노베이션바이오 동반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동반진단용 키트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763899T3 (es) * 2009-07-08 2020-06-01 Worldwide Innovative Network Método para predecir la eficacia de fármacos en un paciente
KR101520615B1 (ko) 2013-03-20 2015-05-1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간암 진단용 바이오 마커
KR101788414B1 (ko) 2014-12-12 2017-10-1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간암 조기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그 용도
KR102116178B1 (ko) * 2017-05-10 2020-05-2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간암 고위험군의 간암 발병 모니터링 또는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그 용도
EP3698139A1 (en) * 2017-10-16 2020-08-26 Biopredictive Method of prognosis and follow up of primary liver cancer
KR102421466B1 (ko) * 2021-10-06 2022-07-18 (주)이노베이션바이오 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28817A (ja) * 2006-05-31 2014-02-13 Lpath Inc リゾホスファチジン酸に反応する、免疫により誘導される物質(imune−derivedmoiety)
JP2013506142A (ja) * 2009-10-01 2013-02-21 フェノメノーム ディスカバリーズ インク 膵臓癌の血清ベースのバイオマーカー並びに疾患検出及び診断のためのその使用
JP2015158512A (ja) * 2010-06-23 2015-09-03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ルーイビル リサーチ ファウンデーショ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癌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
KR20130040294A (ko) * 2011-10-14 2013-04-2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소세포폐암 진단용 조성물 및 소세포폐암 진단키트
KR20180012397A (ko) * 2016-07-27 2018-02-06 주식회사 이스트컨트롤 디지털 음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디지털 음원 재생 장치 및 방법
JP2020530290A (ja) * 2017-08-07 2020-10-22 ザ ジョンズ ホプキンス ユニバーシティ がんを評価及び治療するための方法及び物質
KR102156217B1 (ko) * 2019-03-05 2020-09-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장암 진단용 지질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KR20200116410A (ko) * 2019-04-01 2020-10-12 국립암센터 고형암 진단 장치와 고형암 진단 정보 제공 방법
KR20210103212A (ko) * 2020-02-13 2021-08-23 (주) 프로탄바이오 폐암 진단용 다중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KR20210105270A (ko) * 2020-02-18 2021-08-26 (주)이노베이션바이오 동반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동반진단용 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8884A1 (ko) * 2021-10-06 2023-04-13 (주)이노베이션바이오 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1466B1 (ko) 2022-07-18
WO2023058883A1 (ko) 2023-04-13
WO2023058884A1 (ko) 2023-04-13
WO2023058885A1 (ko) 2023-04-13
KR102421471B1 (ko) 202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6178B1 (ko) 간암 고위험군의 간암 발병 모니터링 또는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그 용도
KR102421469B1 (ko) 암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Zhang et al. Mass spectrometry‐based “omics” technologies in cancer diagnostics
KR101788414B1 (ko) 간암 조기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그 용도
Kim et al. Serum fibronectin distinguishes the early stages of hepatocellular carcinoma
JP5737761B2 (ja) 肝細胞癌マーカー
US8623667B2 (en) Method for diagnosing cancer using lectin
Nedelkov et al. Top-down mass spectrometric immunoassay for human insulin and its therapeutic analogs
Lee et al. Designation of fingerprint glycopeptides for targeted glycoproteomic analysis of serum haptoglobin: insights into gastric cancer biomarker discovery
US20160320398A1 (en) SRM/MRM Assay for Subtyping Lung Histology
Qin et al. The value of serum immunoglobulin G glycome in the preoperative discrimination of peritoneal metastasis from advanced gastric cancer
EP2463659A1 (en) Biomarkers for cancer diagnosis
Chutipongtanate et al. Plasma prefractionation methods for proteomic analysis and perspectives in clinical applications
US20160313343A1 (en) SRM Assay for PD-L1
EP2894477A1 (en) Method for determining breast cancer
KR101527283B1 (ko) 당단백질의 탈당화 검출을 통한 암 마커 스크리닝 방법 및 간세포암 마커
JP6336957B2 (ja) 乳癌の判定法
CA2862834A1 (en) Srm/mrm assay for the insulin receptor protein
Wang et al. Identification of IgM as a contaminant in lectin-FLISA assays for HCC detection
Mechref et al. Mass spectrometry based biomarkers for early detection of HCC using a glycoproteomic approach
Noda et al. Development of a sandwich ELISA for the 5.9‐kDa fibrinogen alpha C chain fragment detected by serum proteome analysis
Li et al. Simultaneous analysis of glycosylated and sialylated PSA reveals differential distribution of glycosylated PSA isoforms in prostate cancer tissues
Sogawa et al. Development of a sandwich ELISA for the thrombin light chain identified by serum proteome analysis
Sohn Development and Analytical Validation of Clinical Assay for AFP, AFP-L3 and PIVKA-II using Multiple Reaction Monitoring-Mass Spectrometry (MRM-MS)
KR101456683B1 (ko) 폐암 진단용 마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