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0784B1 -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 Google Patents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0784B1
KR102420784B1 KR1020200130406A KR20200130406A KR102420784B1 KR 102420784 B1 KR102420784 B1 KR 102420784B1 KR 1020200130406 A KR1020200130406 A KR 1020200130406A KR 20200130406 A KR20200130406 A KR 20200130406A KR 102420784 B1 KR102420784 B1 KR 102420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column
connectors
film
bridg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04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47015A (en
Inventor
정영배
우동균
양준혁
박선홍
방서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Priority to KR1020200130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0784B1/en
Publication of KR20220047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70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7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33Sockets for IC's or transistors
    • G01R1/0441Details
    • G01R1/0466Details concerning contact pieces or mechanical details, e.g. hinges or cams; Shiel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01Testing of printed circuits, backplanes, motherboards, hybrid circuits or carriers for multichip packages [MCP]
    • G01R31/2806Apparatus therefor, e.g. test stations, drivers, analysers, conveyors
    • G01R31/2808Holding, conveying or contacting devices, e.g. test adapters, edge connectors, extender boar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72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related to electrical or environmental aspects, e.g. temperature, humidity, vibration, nuclear radiation
    • G01R31/2879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related to electrical or environmental aspects, e.g. temperature, humidity, vibration, nuclear radiation related to electrical aspects, e.g. to voltage or current supply or stimuli or to electrical loa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4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using dedicated test connectors, test elements or test circuits on the IC under test

Abstract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상하 방향으로 도전하는 이방성 전기 접속용 커넥터는, 복수의 제1 패드를 유지하는 제1 필름, 상기 제1 필름의 하측에 위치하며 복수의 제2 패드를 유지하는 제2 필름, 상기 제1 필름과 상기 제2 필름 사이에 배치되고 횡방향에서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칼럼을 포함하고, 상기 칼럼의 일 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도전부가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칼럼 사이의 공간에는 외표면이 전도성 재질로 형성된 브릿지 부재가 배치된다.The connector for anisotropic electrical connection conduc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includes a first film holding a plurality of first pads, a second film positioned under the first film and holding a plurality of second pads, It includes at least two or more columns disposed between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t least one conductive part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at one end of the column, and the at least two or more columns are formed at one end of the column. A bridge member having an outer surfac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is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columns.

Description

전기 접속용 커넥터{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본 개시는 피검사 디바이스와 테스트 장비 사이에 배치되는 전기 접속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disposed between a device under test and test equipment.

제조된 반도체 디바이스와 같은 피검사 디바이스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검사 공정에서, 피검사 디바이스와 테스트(test) 장비의 사이에 전기 접속용 커넥터가 배치된다. 전기 접속용 커넥터는 피검사 디바이스와 테스트 장비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피검사 디바이스와 테스트 장비의 통전 여부를 기초로 피검사 디바이스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검사방법이 알려져 있다.In an inspection process for determining whether a device under test, such as a manufactured semiconductor device, is defective, a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is disposed between the device under test and test equipment. A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electrically connects a device to be tested and a test equipment, and an inspection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a device to be inspected is defective based on whether the device to be inspected and the test equipment is energized is known.

만약 전기 접속용 커넥터가 없이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가 테스트 장비의 단자에 직접 접촉하게 되면, 반복적인 검사 과정에서 테스트 장비의 단자가 마모 또는 파손되어 테스트 장비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소요가 발생할 수 있다. 전기 접속용 커넥터를 이용하여 테스트 장비 전체를 교체하는 소요의 발생을 막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와의 반복적인 접촉으로 전기 접속용 커넥터가 마모 또는 파손될 때, 해당하는 전기 접속용 커넥터만 교체할 수 있다.If the terminal of the device under test comes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terminal of the test equipment without the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the terminals of the test equipment may be worn out or damaged in the repeated inspection process, requiring replacement of the entire test equipment. By using the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he need to replace the entire test equipment. Specifically, when the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is worn or damaged due to repeated contact with the terminal of the device under test, only the corresponding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may be replaced.

전기 접속용 커넥터는,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 및 테스트 장비의 단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도전부 및 도전부가 배치되는 절연부를 포함한다. 피검사 디바이스와 테스트 장비의 통전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전기 접속용 커넥터는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와 반복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접속용 커넥터는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와 접촉한 상태로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될 수 있다.The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includes a conductive portio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between a terminal of a device under test and a terminal of a test equipment, and an insulating portion on which the conductive portion is disposed.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device under test and the test equipment are energized, the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may repeatedly contact the terminal of the device under test. In addition, the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may be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of the device under test.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안정적인 전기 연결을 갖는 전기 접속용 커넥터를 제공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 a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having a stable electrical connection.

전기 접속용 커넥터가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와 반복적으로 및/또는 일정 시간 이상 접촉할 경우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도전부는 절연부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도전부가 절연부로부터 이탈하게 될 경우 도전부를 통하여 연결되는 피검사 디바이스와 테스트 장비 사이의 전기적 신호가 끊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전기 접속용 커넥터를 통한 피검사 디바이스와 테스트 장비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불안정하거나 끊어질 수 있다.When the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contacts the terminal of the device under test repeatedly and/or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the conductive portion of the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may be separated from the insulating portion. When the conductive part is separated from the insulating part, an electrical signal between the device under test and the test equipment connected through the conductive part may be cut off. Accordingly,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device under test and the test equipment through the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may be unstable or broken.

전기 접속용 커텍터를 통한 전기적 연결이 불안정하거나 끊어질 경우 전기접속용 커넥터를 이용한 검사방법의 신뢰도가 낮아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If the electrical connection through the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is unstable or cut off, the reliability of the inspection method us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may be lowe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solve this problem.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전기 접속용 커넥터를 통한 피검사 디바이스와 테스트 장비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안정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solve this problem, and stably provide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 device under test and a test equipment through a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이방성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대표적 실시예에 따른 상하 방향으로 도전하는 이방성 전기 접속용 커넥터는, 전기 전도성의 복수의 제1 패드를 유지하는 제1 필름, 상기 제1 필름의 하측에 위치하며 전기 전도성의 복수의 제2 패드를 유지하는 제2 필름, 상기 제1 필름과 상기 제2 필름 사이에 배치되고 횡방향에서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칼럼을 포함하고, 상기 칼럼의 일 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도전부가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칼럼 사이에는 공간이 있고 상기 공간에는 적어도 외표면이 전도성 재질로 형성된 브릿지 부재가 배치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embodiments of a connector for anisotropic electrical connection. A connector for anisotropic electrical connection conduc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a representative embodiment is a first film for holding a plurality of electrically conductive first pads, a first film located under the first film and a plurality of electrically conductive second pads A second film to hold, disposed between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and comprising at least two or more colum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transverse direction, wherein at least one conductive portion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at one end of the column There is a space between the at least two or more columns, and a bridge member having at least an outer surfac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is disposed in the space.

상기 복수의 제1 패드는 상기 제1 필름에 형성된 복수의 제1 관통공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2 패드는 상기 제2 필름에 형성된 복수의 제2 관통공에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irst pads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formed in the first film, and the plurality of second pads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second through holes formed in the second film.

상기 제1 패드, 상기 도전부, 상기 브릿지 부재 및 상기 제2 패드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pad, the conductive part, the bridge member, and the second pa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칼럼은 절연부를 포함하고, 상기 칼럼의 다른 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도전부가 추가로 형성되며, 상기 칼럼의 일 단에 형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부와 상기 칼럼의 다른 단부에 형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부는 상기 절연부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칼럼의 일 단에 형성된 상기 도전부와 상기 칼럼의 다른 단부에 형성된 상기 도전부는 복수의 도전성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lumn includes an insulating portion, and at least one conductive portion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is further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olumn, the at least one conductive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column and the at least one conductive portion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olumn At least one conductive part may be separated by the insulating part, and the conductive part formed at one end of the column and the conductive part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olumn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s.

상기 복수의 도전성 입자는 상기 절연부에 의해 상기 칼럼에 유지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s may be maintained in the column by the insulating part.

상기 칼럼은 상하 방향에서 중간 부분의 횡방향 단면의 면적이 가장 작을 수 있다.The column may have the smallest area of the transverse cross-section of the middle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칼럼의 횡방향 단면은 타원형, 원형 및 다각형 중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transverse cross-section of the column may have one of the following shapes: elliptical, circular and polygonal.

상기 브릿지 부재는 구(球) 형상일 수 있다.The bridge member may have a spherical shape.

상기 제1 패드의 상측에는 복수의 가이드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A plurality of guide parts may be further inclu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pad.

상기 제2 필름의 하측에 위치하며 복수의 제3 패드를 유지하는 제3 필름, 상기 제2 필름과 상기 제3 필름 사이에 배치되고 횡방향에서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추가 칼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추가 칼럼의 일 단에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 도전부가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추가 칼럼 사이의 공간에는 적어도 외표면이 전도성 재질로 형성된 추가 브릿지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A third film positioned under the second film and holding a plurality of third pads, and at least two additional column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film and the third film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 At one end of the additional column is formed at least one additional conductive portion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pace between the at least two or more additional columns at least an additional bridge member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상기 제1 패드, 상기 도전부, 상기 브릿지 부재, 상기 제2 패드, 상기 추가 도전부, 상기 추가 브릿지 부재 및 상기 제3 패드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pad, the conductive part, the bridge member, the second pad, the additional conductive part, the additional bridge member, and the third pa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다른 대표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하 방향으로 도전하는 이방성 전기 접속용 커넥터는, 상기 이방성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상단과 상기 이방성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하단을 도전시키는 복수의 도전 채널; 및 상기 복수의 도전 채널이 상하로 관통하며 배치되고, 전기 절연성인 절연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도전 채널 각각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고 통전 가능하게 구성된 복수의 도전부; 및 상기 복수의 도전부 사이에 형성된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도전부와 접촉하고, 적어도 외표면이 전도성 재질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브릿지 부재를 포함한다.A connector for anisotropic electrical connection conducting in a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another representative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conductive channels for conducting an upper end of the connector for anisotropic electrical connection and a lower end of the connector for anisotropic electrical connection; and an insulator having the plurality of conductive channels penetrating vertically and being electrically insulating,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conductive channels includes: a plurality of conductive parts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configured to be energized; and at least one bridge member dispos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s, in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s, and having at least an outer surfac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상기 복수의 도전 채널은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conductive channel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lateral direction.

상기 복수의 도전부는 상기 도전 채널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s may be spaced apart from a central axis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conductive channel.

상기 복수의 도전부는 상기 브릿지 부재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s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ridge member.

상기 복수의 도전부는 4개 내지 6개의 도전부일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s may be 4 to 6 conductive parts.

상기 복수의 도전 채널에 대응하는 복수의 상기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accommodation spac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onductive channels may be formed.

상기 복수의 수용 공간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accommodation spaces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상기 도전부는 복수의 도전성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브릿지 부재의 부피는 상기 복수의 도전성 입자의 평균 부피보다 클 수 있다.The conductive part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s, and a volume of the bridge member may be greater than an average volume of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s.

상기 복수의 도전부는 상기 수용 공간의 외주면의 일부를 한정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s may define a portion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전기 접속용 커넥터를 통한 피검사 디바이스와 테스트 장비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다양한 경로로서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device under test and the test equipment through the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may be provided as various paths.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전기 접속용 커넥터를 통한 피검사 디바이스와 테스트 장비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to stably provide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device under test and the test equipment through the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상하 방향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칼럼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전 채널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X-X' 선을 따른 단면도의 일 예시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X-X' 선을 따른 단면도의 다른 예시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X-X' 선을 따른 단면도의 또 다른 예시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X-X' 선을 따른 단면도의 또 다른 예시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상하 방향 단면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상하 방향 단면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상하 방향 단면도이다.
1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column shown in FIG. 1 .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conductive channel shown in FIG. 1 .
FIG. 4 is an example of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X′ of the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shown in FIG. 1 .
FIG. 5 is another example of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X′ of the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shown in FIG. 1 .
FIG. 6 is another example of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X′ of the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shown in FIG. 1 .
FIG. 7 is another example of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X′ of the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shown in FIG. 1 .
8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9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0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cope of the right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below or specific descriptions of these embodiments.

본 개시에서 '실시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임의의 구분으로서, 실시예 각각이 서로 배타적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개시된 구성들은 다른 실시예에 적용 및 구현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변경되어 적용 및 구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disclosure, an 'embodiment' is an arbitrary division for easily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each of the embodiments is not necessarily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onfigurations disclosed in one embodiment may be applied and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and may be changed and applied and implement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All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disclosure,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disclosure belongs. All terms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are selected for the purpose of more clearly describing the present disclosure and not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As used in this disclosure, expressions such as "comprising", "including", "having", etc. are open-ended terms connoting the possibility of including other embodi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the phrase or sentence in which the expression is included. (open-ended terms).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해당 구성 "만으로 구성되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구성 외에 다른 구성을 포함할 가능성을 배제하는 폐쇄형 용어(closed-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Expressions such as “consisting only of” a corresponding component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should be understood as closed-ended terms that exclude the possibility of including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corresponding component.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Expressions in the singular described in this disclosure may include the meaning of the plural unless otherwise stated, and the same applies to expressions in the singular in the claims.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Expressions such as “first” and “second”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are used to distinguish a plurality of components from each other, and do not limit the order or importance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s.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상측", "상" 등의 방향지시어는 도 1을 참조하여, 브릿지 부재(400)를 기준으로 제1 필름(100)이 배치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하측", "하" 등의 방향지시어는 상측 방향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이는 어디까지나 본 개시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기준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상측 및 하측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Direction indicators such as "upper" and "upper"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refe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film 100 is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bridge member 400 with reference to FIG. 1, and "lower", " A direction indicator such as "down" means a direction opposite to the upward direction. This is a standard for explaining the present disclosure to the last so that it can be clearly understood,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may be defined differently depending on where the standard is placed.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below, overlapping description of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may be omitted. However, even if description regarding components is omitted, it is not intended that such components are not included in any embodiment.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의 상하 방향 단면도이다.1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1000 for electrical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는 상하 방향으로 도전하는 이방성일 수 있다.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는 복수의 제1 패드(110)를 유지하는 제1 필름(100)과, 제1 필름(100)의 하측에 위치하며 복수의 제2 패드(210)를 유지하는 제2 필름(200)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or 1000 for electrical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anisotropic that conducts in a vertical direction. The connector 1000 for electrical connection includes a first film 100 holding a plurality of first pads 110 , and a second film 100 positioned under the first film 100 and holding a plurality of second pads 210 . 2 may include a film 200 .

제1 필름(100)에는 복수의 제1 관통공(105)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관통공(105)은 제1 필름(100)의 제1 절연 부분(101)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관통공(105)은 제1 필름(100)의 상측으로부터 제1 필름(100)의 하측으로 연장하며 제1 절연 부분(101)을 관통할 수 있다. 제1 필름(100)의 상측으로부터 바라보았을 때 제1 관통공(105)은 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제1 관통공(105)은 서로 이격되어 제1 절연 부분(101)에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105 may be formed in the first film 100 .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105 may be formed in the first insulating portion 101 of the first film 100 . The first through hole 105 may extend from an upper side of the first film 100 to a lower side of the first film 100 and penetrate the first insulating portion 101 . When view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rst film 100 , the first through hole 105 may have a circular cross-section.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holes 105 may be formed in the first insulating portion 101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1 필름(100)은 제1 패드(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름(100)에는 복수의 제1 패드(110)가 유지될 수 있다. 제1 패드(110)는 제1 관통공(105)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패드(110)는 제1 관통공(105)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패드(110)는 전기 전도성일 수 있다. 제1 패드(110)는 도전성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드(110)는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드(110)에서 도전성 입자는 실리콘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제1 패드(110)를 통하여 제1 필름(100)의 상측과 제1 필름(100)의 하측이 도전될 수 있다.The first film 100 may include a first pad 110 . A plurality of first pads 110 may be maintained on the first film 100 . The first pad 110 may be formed in the first through hole 105 . The first pad 110 may have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105 . The first pad 110 may be electrically conductive. The first pad 110 may include conductive particles. The first pad 110 may include silicon. In the first pad 110 , the conductive particles may be maintained by silicon. An upper side of the first film 100 and a lower side of the first film 100 may be conductive through the first pad 110 .

피검사 디바이스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검사 공정에서, 제1 패드(110)는 피검사 디바이스와 접촉할 수 있다. 제1 패드(110)는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와 접촉할 수 있다. 제1 패드(110)는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와 접촉하여 피검사 디바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the inspection proces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evice under test is defective, the first pad 110 may contact the device under test. The first pad 110 may contact the terminal of the device under test. The first pad 110 may come into contact with a terminal of the device under test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evice under test.

제2 필름(200)에는 복수의 제2 관통공(205)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관통공(205)은 제2 필름(200)의 제2 절연 부분(201)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관통공(205)은 제2 필름(200)의 상측으로부터 제2 필름(200)의 하측으로 연장하며 제2 절연 부분(201)을 관통할 수 있다. 제2 필름(200)의 상측으로부터 바라보았을 때 제2 관통공(205)은 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제2 관통공(205)은 서로 이격되어 제2 절연 부분(201)에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second through holes 205 may be formed in the second film 200 . The plurality of second through holes 205 may be formed in the second insulating portion 201 of the second film 200 . The second through hole 205 may extend from an upper side of the second film 200 to a lower side of the second film 200 and penetrate the second insulating portion 201 . When view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film 200 , the second through hole 205 may have a circular cross-section. The plurality of second through-holes 205 may be formed in the second insulating portion 201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2 필름(200)은 제2 패드(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필름(200)에는 복수의 제2 패드(210)가 유지될 수 있다. 제2 패드(210)는 제2 관통공(205)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패드(210)는 제2 관통공(205)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패드(210)는 전기 전도성일 수 있다. 제2 패드(210)는 도전성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패드(210)는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패드(210)에서 도전성 입자는 실리콘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제2 패드(210)를 통하여 제2 필름(200)의 상측과 제2 필름(200)의 하측이 도전될 수 있다.The second film 200 may include a second pad 210 . A plurality of second pads 210 may be maintained on the second film 200 . The second pad 210 may be formed in the second through hole 205 . The second pad 210 may have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hrough hole 205 . The second pad 210 may be electrically conductive. The second pad 210 may include conductive particles. The second pad 210 may include silicon. In the second pad 210 , the conductive particles may be retained by silicon. An upper side of the second film 200 and a lower side of the second film 200 may be conductive through the second pad 210 .

일 예로, 피검사 디바이스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검사 공정에서, 제2 패드(210)는 테스트 장비와 접촉할 수 있다. 제2 패드(210)는 테스트 장비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inspection proces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evice under test is defective, the second pad 210 may contact the test equipment. The second pad 2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st equipment.

다른 예로, 후술할 도 9에 따른 실시예와 같이, 제2 패드(210)의 하단에 추가 칼럼(600)과 접촉될 수 있다. 제2 패드(210)는 추가 칼럼(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s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9 to be described later, the lower end of the second pad 210 may be in contact with the additional column 600 . The second pad 2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dditional column 600 .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칼럼(300)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둘 이상의 칼럼(300)은 제1 필름(100)과 제2 필름(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칼럼(300)은 제1 필름(100) 및 제2 필름(200)과 접촉할 수 있다. 칼럼(300)에는 도전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도전부(310)의 상부는 제1 패드(110)의 하부와 접촉할 수 있다. 도전부(310)의 하부는 제2 패드(210)의 상부와 접촉할 수 있다. 칼럼(300)은 도전성일 수 있다. 제1 패드(110), 도전부(310) 및 제2 패드(21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1000 may include at least two or more columns 300 . At least two or more columns 3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film 100 and the second film 200 . The column 300 may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film 100 and the second film 200 . A conductive part 310 may be formed in the column 300 . An upper portion of the conductive part 310 may contac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pad 110 . A lower portion of the conductive part 310 may contact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ad 210 . Column 300 may be conductive. The first pad 110 , the conductive part 310 , and the second pad 2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적어도 둘 이상의 칼럼(300)은 횡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적어도 둘 이상의 칼럼(30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둘 이상의 칼럼(300) 사이의 공간에는 브릿지 부재(400)가 배치될 수 있다. 브릿지 부재(400)는 원기둥, 다면체, 구 등의 여러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브릿지 부재(400)는 구(球) 형상을 가진다. 브릿지 부재(40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칼럼(30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칼럼(300)과 접촉할 수 있다. 브릿지 부재(400)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적어도 둘 이상의 칼럼(300)과 모두 접촉할 수 있다.At least two or more columns 30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 space may be formed between at least two or more columns 300 . The bridge member 400 may be disposed in a space between at least two or more columns 300 . The bridge member 400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cylinder, a polyhedron, and a sphere, bu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ridge member 400 has a spherical shape. The bridge member 400 may be disposed in a space between at least two or more columns 300 to be in contact with at least two or more columns 300 . The bridge member 400 may be in contact with at least two or more columns 300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브릿지 부재(400)의 적어도 외표면(410)은 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외표면을 포함한 브릿지 부재(400) 전체가 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브릿지 부재(400)의 외표면(410)만 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At least the outer surface 410 of the bridge member 400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That is, the entire bridge member 400 including the outer surface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or only the outer surface 410 of the bridge member 400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일 실시예에서, 브릿지 부재(400)의 외표면(410)을 제외한 브릿지 부재(400)의 내부(420)는 절연성 재질(예를 들어, 합성수지, 실리콘 등)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브릿지 부재(400)의 외표면(410)은 전도성 재질이 도금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도성 재질은 예를 들어 금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terior 420 of the bridge member 400 except for the outer surface 410 of the bridge member 400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eg, synthetic resin, silicone, etc.). Here, the outer surface 410 of the bridge member 400 may be formed by plating a conductive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may be, for example, gold.

브릿지 부재(400)의 외표면(410)이 전도성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브릿지 부재(400)를 통한 전기적 연결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패드(110), 도전부(310), 브릿지 부재(400) 및 제2 패드(21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s the outer surface 410 of the bridge member 400 i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electrical connection through the bridge member 400 may be provided. The first pad 110 , the conductive part 310 , the bridge member 400 , and the second pad 2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는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의 상단과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의 하단을 도전시키는 복수의 도전 채널(1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도전 채널(10)은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도전 채널(10)은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의 상측과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의 하측을 도전시키는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의 일 단위 구성일 수 있다.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도전 채널(1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알 수 있다.The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10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ductive channels 10 for conducting an upper end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1000 and a lower end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1000 . The plurality of conductive channels 1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conductive channel 10 may be a unit configuration of the connector 1000 for electrical connection that conducts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or 1000 for electrical connection and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or 1000 for electrical connection. Hereinafter, the conductive channel 10 may be known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칼럼(300)의 확대도이다.FIG.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column 300 shown in FIG. 1 .

칼럼(300)의 일 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도전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칼럼(300)의 다른 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도전부(310)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도전부(310)는 복수의 도전성 입자(31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도전성 입자(311)를 포함하는 도전부(310)는 전도성일 수 있다. 도전부(310) 칼럼(300)의 상측과 칼럼(300)의 하측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At least one conductive part 310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column 300 . At the other end of the column 300, at least one conductive part 310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additionally formed. The conductive part 3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s 311 . The conductive part 310 including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s 311 may be conductive. The conductive part 310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upper side of the column 300 and the lower side of the column 300 .

칼럼(300)은 절연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절연부(320)는 실리콘일 수 있다. 칼럼(300)의 일 단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도전부(310)와 칼럼(300)의 다른 단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도전부(310)는 절연부(320)의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일 단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도전부(310)와 다른 단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도전부(310) 사이에 절연부(320)가 위치할 수 있다.The column 300 may include an insulating part 320 . The insulating part 320 may be made of silicon. The at least one conductive part 310 formed at one end of the column 300 and the at least one conductive part 310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olumn 300 may be separated by the insulating part 320 . The insulating part 32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at least one conductive part 310 formed at one end and the at least one conductive part 310 formed at the other end.

도전부(310)의 복수의 도전성 입자(311)는 절연부(320)에 의해 칼럼(300)에 유지될 수 있다. 복수의 도전성 입자(311)는 절연부(320)의 소정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복수의 도전성 입자(311)는 절연부(320)의 단부에 유지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s 311 of the conductive part 310 may be maintained in the column 300 by the insulating part 320 .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s 311 may be maintain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of the insulating part 320 .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s 311 may be maintained at the end of the insulating part 320 .

칼럼(300)은 상하 방향에서 중간 부분의 횡방향 단면의 면적이 가장 작을 수 있다. 칼럼(300)의 상부에서 칼럼(300)의 중간 부분으로 갈수록 칼럼(300)의 횡방향 단면의 면적이 감소할 수 있다. 칼럼(300)의 횡방향 단면의 면적은 칼럼(300)의 상부에서 칼럼(300)의 중간 부분으로 갈수록 선형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칼럼(300)의 하부에서 칼럼(300)의 중간 부분으로 갈수록 칼럼(300)의 횡방향 단면의 면적이 감소할 수 있다. 칼럼(300)의 횡방향 단면의 면적은 칼럼(300)의 하부에서 칼럼(300)의 중간 부분으로 갈수록 선형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칼럼(300)은 칼럼(300)의 상하 방향에 대하여 중간 부분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일 수 있다.The column 300 may have the smallest area of the transverse cross-section of the middle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area of the transverse cross-section of the column 300 may decrease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column 300 toward the middle portion of the column 300 . The area of the transverse cross-section of the column 300 may decrease linearly from the top of the column 300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column 300 . The area of the transverse cross-section of the column 300 may decreas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column 300 toward the middle portion of the column 300 . The area of the transverse cross-section of the column 300 may decrease linearly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column 300 toward the middle portion of the column 300 . The columns 300 may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column 300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전 채널(10)의 확대도이다.FIG.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conductive channel 10 shown in FIG. 1 .

도전 채널(10)은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의 상측과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의 하측을 도전시키는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의 일 단위 구성일 수 있다. 도전 채널(10)은 절연체(20)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절연체(20)는 칼럼(300)의 절연부(320), 제1 필름(100)의 제1 절연 부분(101) 및 제2 필름(200)의 제2 절연 부분(201)을 포함할 수 있다. 도전 채널(10)의 외측에 절연체(20)가 배치될 수 있다. 절연체(20)는 도전 채널(10)의 외주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The conductive channel 10 may be a unit configuration of the connector 1000 for electrical connection that conducts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or 1000 for electrical connection and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or 1000 for electrical connection. The conductive channel 10 may be disposed to vertically penetrate the insulator 20 . The insulator 20 may include the insulating portion 320 of the column 300 , the first insulating portion 101 of the first film 100 , and the second insulating portion 201 of the second film 200 . . An insulator 2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conductive channel 10 . The insulator 20 may be dispos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ductive channel 10 .

도전 채널(10)은 제1 패드(1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 채널(10)은 제2 패드(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드(110) 및 제2 패드(210)의 구성 및 효과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conductive channel 10 may include a first pad 110 . The conductive channel 10 may include a second pad 210 . The configuration and effects of the first pad 110 and the second pad 210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FIG. 1 ,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전 채널(1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고 통전 가능하게 구성된 복수의 도전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 채널(10)에 포함되는 복수의 도전부(11)는 적어도 2개일 수 있다. 도전부(11)는 도 2에서 설명한 칼럼(300)의 일 단부에 형성된 도전부(310)와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도전 채널(10)에 포함되는 복수의 도전부(11)는 각각 서로 다른 칼럼(300)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 채널(10)에 포함되는 2개의 도전부(11)는 각각 서로 다른 2개의 칼럼(300)에 형성될 수 있다.The conductive channel 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ductive parts 11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onfigured to be energized.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s 11 included in the conductive channel 10 may be at least two. The conductive part 11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conductive part 310 formed at one end of the column 300 described in FIG. 2 .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s 11 included in the conductive channel 10 may be formed in different columns 300 , respectively.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 the two conductive parts 11 included in the conductive channel 10 may be formed in two different columns 300 , respectively.

도전 채널(10)에 포함되는 복수의 도전부(11)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전 채널(10)에 포함되는 복수의 도전부(11)는 수용 공간(12)을 형성할 수 있다. 도전 채널(10)에 포함되는 복수의 도전부(11)는 수용 공간(12)을 둘러쌀 수 있다. 수용 공간(12)은 복수의 도전부(1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수용 공간(12)은 복수의 도전부(11)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도전부(11)는 수용 공간(12)의 외주면의 일부를 한정할 수 있다. 수용 공간(12)의 외주면은 수용 공간(12)의 경계를 형성하는 임의의 면일 수 있다. 수용 공간(12)의 외주면의 일부는 복수의 도전부(11)에 의해 한정되고, 수용 공간(12)의 외주면의 나머지 부분은 개방된 부분일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s 11 included in the conductive channel 1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s 11 included in the conductive channel 10 may form an accommodation space 12 .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s 11 included in the conductive channel 10 may surround the accommodation space 12 . The accommodation space 12 may b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s 11 . The accommodation space 12 may be formed surrounded by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s 11 .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s 11 may define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2 .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space 12 may be any surface that forms a boundary of the accommodating space 12 .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2 may be defined by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ortions 11 , and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2 may be an open portion.

도전 채널(10)에 포함되는 복수의 도전부(11)는 도전 채널(10)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도전부(11)는 각각 도전 채널(10)의 중심축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s 11 included in the conductive channel 10 may be spaced apart from a central axi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onductive channel 10 .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s 1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same distance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conductive channel 10 .

도전 채널(10)에 포함되는 복수의 도전부(11)는 각각 서로 다른 칼럼(300)에 형성될 수 있다. 도전 채널(10)은 각각 서로 다른 칼럼(300)에 형성되어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의 도전부(11)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s 11 included in the conductive channel 10 may be formed in different columns 300 , respectively. The conductive channel 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ductive portions 11 formed in different columns 300 and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도전 채널(10)은 수용 공간(12) 내에 배치되는 브릿지 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릿지 부재(400)의 적어도 외표면(410)은 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브릿지 부재(400)의 부피는 도전부(11)에 포함되는 복수의 도전성 입자(도 2 참조)의 평균 부피보다 클 수 있다.The conductive channel 10 may include a bridge member 400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12 . At least the outer surface 410 of the bridge member 400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The volume of the bridge member 400 may be greater than the average volume of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s (refer to FIG. 2 ) included in the conductive part 11 .

브릿지 부재(400)는 복수의 도전부(11)와 접촉할 수 있다. 복수의 도전부(11)는 브릿지 부재(40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도전부(11)는 브릿지 부재(400)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bridge member 400 may contact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s 11 .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s 11 may be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ridge member 400 .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s 11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ridge member 400 .

도전 채널(10)에서 제1 패드(110), 도전부(11), 브릿지 부재(400) 및 제2 패드(21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 도 1 참조)는 브릿지 부재(400)를 통한 전기적 연결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를 통한 피검사 디바이스와 테스트 장비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다양한 경로로 제공될 수 있다.In the conductive channel 10 , the first pad 110 , the conductive part 11 , the bridge member 400 , and the second pad 2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1000 (refer to FIG. 1 ) may additionally provide an electrical connection through the bridge member 400 .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device under test and the test equipment through the connector 1000 for electrical connection may be provided through various paths.

예를 들어, 도전부(11)의 소정 부분이 손상되어 도전부(11)를 통한 전기적 연결이 끊어졌을 때, 브릿지 부재(400)를 통한 전기적 연결이 제공될 수 있다. 도전부(11)의 상부로부터 브릿지 부재(400)를 경유하여 도전부(11)의 하부로 연결되는 전기적 연결이 제공될 수 있다. 브릿지 부재(400)를 통한 전기적 연결이 제공됨에 따라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를 통한 피검사 디바이스와 테스트 장비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안정적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conductive part 11 is damaged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through the conductive part 11 is cut off, an electrical connection through the bridge member 400 may be provided. An electrical connection may be provid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conductive part 11 to the lower part of the conductive part 11 via the bridge member 400 . As the electrical connection through the bridge member 400 is provided,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device under test and the test equipment through the connector 1000 for electrical connection may be stable.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의 X-X' 선을 따른 단면도의 일 예시이다.FIG. 4 is an example of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X' of the connector 1000 for electrical connection shown in FIG. 1 .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의 칼럼(300)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칼럼(300)의 형상은 피검사용 디바이스의 단자에 대응되도록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column 300 of the connector 1000 for electrical connection may have various shapes. The shape of the column 300 may be variously changed to correspond to the terminal of the device to be inspected.

도전부(310)는 칼럼(300)의 일 단부 및 다른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칼럼(300)의 일 단부는 칼럼(300)의 단면에서 모서리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 중 하나일 수 있다. 칼럼(300)의 다른 단부는 칼럼(300)의 단면에서 모서리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 중 나머지일 수 있다. 칼럼(300)의 단면 형상에 따라 칼럼(300)의 일 단부 및 다른 단부의 배치는 변경될 수 있다. 칼럼(300)의 단면 형상에 따라 칼럼(300)의 다른 단부는 복수 개일 수 있다.The conductive part 310 may be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column 300 . One end of the column 300 may be one of the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corner portion in the cross-section of the column 300 . The other end of the column 300 may be the remainder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rner portion in the cross-section of the column 300 . The arrangement of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column 30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lumn 300 . Accor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lumn 300, the other end of the column 300 may be plural.

칼럼(300)의 일 단부에 형성된 도전부(310)와 칼럼(300)의 다른 단부에 형성된 도전부(310)는 서로 다른 도전 채널(10)에 포함될 수 있다. 칼럼(300)의 일 단부에 형성된 도전부(310)와 칼럼(300)의 다른 단부에 형성된 도전부(310)는 서로 다른 브릿지 부재(400)와 접촉할 수 있다.The conductive part 310 formed at one end of the column 300 and the conductive part 310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olumn 300 may be included in different conductive channels 10 . The conductive part 310 formed at one end of the column 300 and the conductive part 310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olumn 300 may contact different bridge members 400 .

이하에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칼럼(300)의 다양한 형상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의 구성을 상세히 알아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or 1000 for electrical connection according to various shapes of the column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럼(300)의 일 예시로서, 칼럼(300)의 횡방향 단면은 타원형일 수 있다. 칼럼(300)은 타원형의 단면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칼럼(300)의 타원형의 단면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럼(300)은 상하 방향에서 중간 부분의 횡방향 단면의 면적이 가장 작을 수 있다. 칼럼(300)의 횡방향 단면인 타원형의 면적은 상하 방향에서 중간 부분이 가장 작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as an example of the column 300 , the transverse cross-section of the column 300 may be elliptical. The column 30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n elliptical cross-section is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elliptical cross-section of the column 300 has a vertically stacked structure, as shown in FIG. 2 , the column 300 may have the smallest area of the transverse cross-section of the middle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area of the elliptical shape that is the transverse cross-section of the column 300 may be the smallest in the middle 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칼럼(300)이 타원형의 횡방향 단면을 가질 때, 칼럼(300)에는 2 개의 도전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도전부(310)는 절연부(320)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도전부(310)는 복수의 도전성 입자(311)를 포함할 수 있다. 칼럼(300)의 일 단부 및 다른 단부에 형성된 도전부(310)는 브릿지 부재(400)와 접촉할 수 있다. 칼럼(300)의 일 단부 및 다른 단부에 형성된 도전부(310)는 브릿지 부재(400)의 외표면(410)으로 형성된 전도성 재질과 접촉할 수 있다.When the column 300 has an elliptical transverse cross-section, two conductive portions 310 may be formed in the column 300 . The conductive part 310 may be separated by the insulating part 320 . The conductive part 3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s 311 . The conductive parts 310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column 300 may contact the bridge member 400 . The conductive parts 310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column 300 may contact the conductive material formed as the outer surface 410 of the bridge member 400 .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의 상측과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의 하측을 도전시키는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의 일 단위 구성인 도전 채널(10)은 4 개의 도전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 채널(10)은 4 개의 칼럼(300)에 각각 형성된 4 개의 도전부(11)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ductive channel 10, which is one unit configuration of the connector 1000 for electrical connection, which conducts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1000 and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or 1000 for electrical connection, may include four conductive parts 11 . can The conductive channel 10 may include four conductive portions 11 respectively formed in four columns 300 .

4 개의 도전부(11)에 의해 수용 공간(12)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 공간(12)은 4 개의 도전부(11)에 의해 둘러 싸일 수 있다. 4 개의 도전부(11)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 공간(12)은 복수일 수 있다.The accommodation space 12 may be formed by the four conductive parts 11 . The accommodation space 12 may be surrounded by four conductive parts 11 . The accommodation space 12 formed by the four conductive parts 11 may be plural.

복수의 도전 채널(10)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수용 공간(12)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 공간(12)의 개수는 도전 채널(10)의 개수와 대응될 수 있다. 복수의 수용 공간(12)은 서로 연통할 수 있다. 복수의 수용 공간(12) 사이의 공간은 폐쇄되지 않고 개방될 수 있다.A plurality of accommodation spaces 12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conductive channels 10 . The number of accommodation spaces 12 may correspond to the number of conductive channels 10 . The plurality of accommodation spaces 12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accommodating spaces 12 may be opened without being closed.

브릿지 부재(400)는 4 개의 도전부(11)에 의해 형성된 수용 공간(12)에 배치될 수 있다. 브릿지 부재(400)는 4 개의 도전부(11)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4 개의 도전부(11)는 브릿지 부재(400)와 접촉할 수 있다. 4 개의 도전부(11)는 브릿지 부재(400)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4 개의 도전부(11)는 브릿지 부재(400)의 둘레를 따라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The bridge member 400 may be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2 formed by the four conductive parts 11 . The bridge member 400 may be surrounded by four conductive parts 11 . The four conductive parts 11 may contact the bridge member 400 . The four conductive parts 11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ridge member 400 . The four conductive parts 1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ridge member 400 .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의 X-X' 선을 따른 단면도의 다른 예시이다.FIG. 5 is another example of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X' of the connector 1000 for electrical connection shown in FIG. 1 .

칼럼(300)의 다른 예시로서, 칼럼(300)의 횡방향 단면은 삼각형일 수 있다. 칼럼(300)은 삼각형의 단면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칼럼(300)이 삼각형의 단면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럼(300)은 상하 방향에서 중간 부분의 횡방향 단면의 면적이 가장 작을 수 있다. 칼럼(300)의 횡방향 단면인 삼각형의 면적은 상하 방향에서 중간 부분이 가장 작을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of the column 300 , the transverse cross-section of the column 300 may be triangular. The column 30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riangular cross-sections are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column 300 has a structure in which a triangular cross-section is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lumn 300 may have the smallest area of the transverse cross-section of the middle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2 . The area of a triangle, which is a transverse cross-section of the column 300 , may be smallest in the middle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칼럼(300)이 삼각형의 횡방향 단면을 가질 때, 칼럼(300)에는 3 개의 도전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칼럼(300)의 도전부(310)는 삼각형 단면의 각 모서리에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도전부(310)는 절연부(320)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도전부(310)는 브릿지 부재(400)와 접촉할 수 있다. 도전부(310)는 브릿지 부재(400)의 외표면(410)으로 형성된 전도성 재질과 접촉할 수 있다.When the column 300 has a triangular cross section, three conductive portions 310 may be formed in the column 300 . The conductive part 310 of the column 300 may be form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each corner of the triangular cross section. The conductive part 310 may be separated by the insulating part 320 . The conductive part 310 may contact the bridge member 400 . The conductive part 310 may be in contact with a conductive material formed on the outer surface 410 of the bridge member 400 .

삼각형 단면의 각 모서리에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된 도전부(310)는 각 모서리마다 서로 다른 도전 채널(10)에 포함될 수 있다. 칼럼(300)에 형성된 3 개의 도전부(310)는 3 개의 서로 다른 도전 채널(10)에 포함될 수 있다.The conductive part 310 form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each corner of the triangular cross section may be included in a different conductive channel 10 for each corner. The three conductive parts 310 formed in the column 300 may be included in three different conductive channels 10 .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의 상측과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의 하측을 도전시키는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의 일 단위 구성인 도전 채널(10)은 6 개의 도전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 채널(10)은 6 개의 칼럼(300)에 각각 형성된 6 개의 도전부(11)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ductive channel 10, which is a unit configuration of the connector 1000 for electrical connection, which conducts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1000 and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or 1000 for electrical connection, may include six conductive parts 11 . can The conductive channel 10 may include six conductive portions 11 respectively formed in six columns 300 .

6 개의 도전부(11)에 의해 수용 공간(12)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 공간(12)은 6 개의 도전부(11)에 의해 둘러 싸일 수 있다. 브릿지 부재(400)는 6 개의 도전부(11)에 의해 형성된 수용 공간(12)에 배치될 수 있다. 브릿지 부재(400)는 6 개의 도전부(11)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6 개의 도전부(11)는 브릿지 부재(400)와 접촉할 수 있다. 6 개의 도전부(11)는 브릿지 부재(400)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6 개의 도전부(11)는 브릿지 부재(400)의 둘레를 따라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The accommodation space 12 may be formed by the six conductive parts 11 . The accommodation space 12 may be surrounded by six conductive parts 11 . The bridge member 400 may be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2 formed by the six conductive parts 11 . The bridge member 400 may be surrounded by six conductive parts 11 . The six conductive parts 11 may contact the bridge member 400 . The six conductive parts 11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ridge member 400 . The six conductive parts 1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same distanc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ridge member 400 .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의 X-X' 선을 따른 단면도의 또 다른 예시이다.FIG. 6 is another example of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X' of the connector 1000 for electrical connection shown in FIG. 1 .

칼럼(300)의 다른 예시로서, 칼럼(300)의 횡방향 단면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일 수 있다. 칼럼(300)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단면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칼럼(300)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단면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럼(300)은 상하 방향에서 중간 부분의 횡방향 단면의 면적이 가장 작을 수 있다. 칼럼(300)의 횡방향 단면인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면적은 상하 방향에서 중간 부분이 가장 작을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of column 300 , the transverse cross-section of column 300 may be square or rectangular. The column 30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cross section of a square or a rectangle is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column 300 has a structure in which square or rectangular cross-sections are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lumn 300 may have the smallest area of the lateral cross-section of the middle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2 . The area of a square or rectangle that is a transverse cross-section of the column 300 may have the smallest middle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칼럼(300)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횡방향 단면을 가질 때, 칼럼(300)에는 4 개의 도전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칼럼(300)의 도전부(310)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단면의 각 모서리에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도전부(310)는 절연부(320)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도전부(310)는 브릿지 부재(400)와 접촉할 수 있다. 도전부(310)는 브릿지 부재(400)의 외표면(410)으로 형성된 전도성 재질과 접촉할 수 있다.When the column 300 has a square or rectangular cross-section, four conductive portions 310 may be formed in the column 300 . The conductive part 310 of the column 300 may be form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each corner of a square or rectangular cross-section. The conductive part 310 may be separated by the insulating part 320 . The conductive part 310 may contact the bridge member 400 . The conductive part 310 may be in contact with a conductive material formed on the outer surface 410 of the bridge member 400 .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단면의 각 모서리에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된 도전부(310)는 각 모서리마다 서로 다른 도전 채널(10)에 포함될 수 있다. 칼럼(300)에 형성된 4 개의 도전부(310)는 4 개의 서로 다른 도전 채널(10)에 포함될 수 있다.The conductive part 310 form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each corner of a square or rectangular cross-section may be included in a different conductive channel 10 for each corner. The four conductive parts 310 formed in the column 300 may be included in four different conductive channels 10 .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의 상측과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의 하측을 도전시키는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의 일 단위 구성인 도전 채널(10)은 4 개의 도전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 채널(10)은 4 개의 칼럼(300)에 각각 형성된 4 개의 도전부(11)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ductive channel 10, which is one unit configuration of the connector 1000 for electrical connection, which conducts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1000 and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or 1000 for electrical connection, may include four conductive parts 11 . can The conductive channel 10 may include four conductive portions 11 respectively formed in four columns 300 .

4 개의 도전부(11)에 의해 수용 공간(12)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 공간(12)은 4 개의 도전부(11)에 의해 둘러 싸일 수 있다. 브릿지 부재(400)는 4 개의 도전부(11)에 의해 형성된 수용 공간(12)에 배치될 수 있다. 브릿지 부재(400)는 4 개의 도전부(11)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4 개의 도전부(11)는 브릿지 부재(400)와 접촉할 수 있다. 4 개의 도전부(11)는 브릿지 부재(400)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4 개의 도전부(11)는 브릿지 부재(400)의 둘레를 따라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The accommodation space 12 may be formed by the four conductive parts 11 . The accommodation space 12 may be surrounded by four conductive parts 11 . The bridge member 400 may be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2 formed by the four conductive parts 11 . The bridge member 400 may be surrounded by four conductive parts 11 . The four conductive parts 11 may contact the bridge member 400 . The four conductive parts 11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ridge member 400 . The four conductive parts 1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ridge member 400 .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의 X-X' 선을 따른 단면도의 또 다른 예시이다.FIG. 7 is another example of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X' of the connector 1000 for electrical connection shown in FIG. 1 .

칼럼(300)의 다른 예시로서, 칼럼(300)의 횡방향 단면은 마름모일 수 있다. 칼럼(300)은 마름모의 단면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칼럼(300)이 마름모의 단면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럼(300)은 상하 방향에서 중간 부분의 횡방향 단면의 면적이 가장 작을 수 있다. 칼럼(300)의 횡방향 단면인 마름모의 면적은 상하 방향에서 중간 부분이 가장 작을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of the column 300 , the transverse cross-section of the column 300 may be a rhombus. The column 30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cross section of a rhombus is stacked in a vertical direction. When the column 3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ross-section of the rhombus is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lumn 300 may have the smallest area of the lateral cross-section of the middle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2 . The area of the rhombus, which is the transverse cross-section of the column 300 , may be the smallest in the middle 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칼럼(300)이 마름모의 횡방향 단면을 가질 때, 칼럼(300)에는 4 개의 도전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칼럼(300)의 도전부(310)는 마름모 단면의 각 모서리에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칼럼(300)의 도전부(310)의 단면적 크기는, 마름모의 단면의 각 모서리에 대응되는 부분의 단면적 크기에 비례할 수 있다. 도전부(310)는 절연부(320)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도전부(310)는 브릿지 부재(400)와 접촉할 수 있다. 도전부(310)는 브릿지 부재(400)의 외표면(410)으로 형성된 전도성 재질과 접촉할 수 있다.When the column 300 has a rhombic cross section, four conductive parts 310 may be formed in the column 300 . The conductive part 310 of the column 300 may be form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each corner of the rhombic cross-section. The size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ductive part 310 of the column 300 may be proportional to the size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a portion corresponding to each corner of the cross-section of the rhombus. The conductive part 310 may be separated by the insulating part 320 . The conductive part 310 may contact the bridge member 400 . The conductive part 310 may be in contact with a conductive material formed on the outer surface 410 of the bridge member 400 .

마름모의 단면의 각 모서리에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된 도전부(310)는 각 모서리마다 서로 다른 도전 채널(10)에 포함될 수 있다. 칼럼(300)에 형성된 4 개의 도전부(310)는 4 개의 서로 다른 도전 채널(10)에 포함될 수 있다.The conductive part 310 form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each corner of the cross section of the rhombus may be included in a different conductive channel 10 for each corner. The four conductive parts 310 formed in the column 300 may be included in four different conductive channels 10 .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의 상측과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의 하측을 도전시키는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의 일 단위 구성인 도전 채널(10)은 4 개의 도전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 채널(10)은 4 개의 칼럼(300)에 각각 형성된 4 개의 도전부(11)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ductive channel 10, which is one unit configuration of the connector 1000 for electrical connection, which conducts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1000 and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or 1000 for electrical connection, may include four conductive parts 11 . can The conductive channel 10 may include four conductive portions 11 respectively formed in four columns 300 .

4 개의 도전부(11)에 의해 수용 공간(12)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 공간(12)은 4 개의 도전부(11)에 의해 둘러 싸일 수 있다. 브릿지 부재(400)는 4 개의 도전부(11)에 의해 형성된 수용 공간(12)에 배치될 수 있다. 브릿지 부재(400)는 4 개의 도전부(11)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4 개의 도전부(11)는 브릿지 부재(400)와 접촉할 수 있다. 4 개의 도전부(11)는 브릿지 부재(400)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4 개의 도전부(11)는 브릿지 부재(400)의 둘레를 따라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The accommodation space 12 may be formed by the four conductive parts 11 . The accommodation space 12 may be surrounded by four conductive parts 11 . The bridge member 400 may be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2 formed by the four conductive parts 11 . The bridge member 400 may be surrounded by four conductive parts 11 . The four conductive parts 11 may contact the bridge member 400 . The four conductive parts 11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ridge member 400 . The four conductive parts 1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ridge member 400 .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의 상하 방향 단면도이다.8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1000 for electrical conn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는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는 제1 패드(110)의 상측에 형성된 가이드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or 1000 for electrical conn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include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or 1000 for electrical conne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connector 1000 for electrical conn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guide part 150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first pad 110 .

가이드부(150)에는 전도부(151)가 형성될 수 있다. 전도부(151)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도부(151)는 전도부(151)의 상측과 전도부(151)의 하측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전도부(151)의 상부는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와 접촉할 수 있다. 전도부(151)는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도부(151)의 하부는 제1 패드(110)와 접촉할 수 있다. 전도부(151)는 제1 패드(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 conductive part 151 may be formed in the guide part 150 . The conductive part 151 may be formed in an up-down direction. The conductive part 151 may electrically connect an upper side of the conductive part 151 and a lower side of the conductive part 151 . An upper portion of the conductive part 151 may be in contact with a terminal of the device under test. The conductive part 15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terminal of the device under test. A lower portion of the conductive part 151 may contact the first pad 110 . The conductive part 15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pad 110 .

복수의 전도부(151)에 의해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가 수용될 수 있는 단자 수용부(155)가 형성될 수 있다. 단자 수용부(155)는 복수의 전도부(151)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단자 수용부(155)는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가 제1 패드(110)와 접촉할 수 있도록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를 가이드할 수 있다.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는 단자 수용부(155)에 수용되어 복수의 전도부(151)와 접촉할 수 있다.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는 단자 수용부(155)에 수용되어 제1 패드(110)와 접촉할 수 있다. 피검사 디바이스의 단자, 복수의 전도부(151), 제1 패드(11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terminal accommodating part 155 in which the terminal of the device under test can be accommodated may be formed by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s 151 . The terminal accommodating part 155 may be surrounded by a plurality of conductive parts 151 . The terminal accommodating part 155 may guide the terminal of the device under test so that the terminal of the device under test may contact the first pad 110 . The terminal of the device to be tested may be accommodated in the terminal accommodating part 155 to be in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s 151 . The terminal of the device to be tested may be accommodated in the terminal accommodating part 155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pad 110 . The terminal of the device under test,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s 151 , and the first pad 1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의 상하 방향 단면도이다.9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1000 for electrical conn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or 1000 for electrical conn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include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or 1000 for electrical connec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는 제2 필름(200)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3 필름(5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필름(500)에는 복수의 제3 관통공(505)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3 관통공(505)은 제3 필름(500)의 제3 절연 부분(501)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관통공(505)은 제3 필름(500)의 상측으로부터 제3 필름(500)의 하측으로 연장하며 제3 절연 부분(501)을 관통할 수 있다. 제3 필름(500)의 상측으로부터 바라보았을 때 제3 관통공(505)은 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제3 관통공(505)은 서로 이격되어 제3 절연 부분(501)에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or 1000 for electrical conn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include a third film 500 positioned below the second film 200 . A plurality of third through holes 505 may be formed in the third film 500 . The plurality of third through holes 505 may be formed in the third insulating portion 501 of the third film 500 . The third through hole 505 may extend from an upper side of the third film 500 to a lower side of the third film 500 and penetrate the third insulating portion 501 . When view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third film 500 , the third through hole 505 may have a circular cross-section. The plurality of third through-holes 505 may be formed in the third insulating portion 501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3 필름(500)은 제3 패드(5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필름(500)에는 복수의 제3 패드(510)가 유지될 수 있다. 제3 패드(510)는 제3 관통공(505)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패드(510)는 제3 관통공(505)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패드(510)는 전기 전도성일 수 있다. 제3 패드(510)는 도전성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패드(510)는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패드(510)에서 도전성 입자는 실리콘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제3 패드(510)를 통하여 제3 필름(500)의 상측과 제3 필름(500)의 하측이 도전될 수 있다.The third film 500 may include a third pad 510 . A plurality of third pads 510 may be maintained on the third film 500 . The third pad 510 may be formed in the third through hole 505 . The third pad 510 may have a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third through hole 505 . The third pad 510 may be electrically conductive. The third pad 510 may include conductive particles. The third pad 510 may include silicon. In the third pad 510 , conductive particles may be retained by silicon. An upper side of the third film 500 and a lower side of the third film 500 may be conductive through the third pad 510 .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추가 칼럼(600)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둘 이상의 추가 칼럼(600)은 제2 필름(200)과 제3 필름(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추가 칼럼(600)은 제2 필름(200) 및 제3 필름(500)과 접촉할 수 있다. 추가 칼럼(600)에는 추가 전도부(610)가 형성될 수 있다. 추가 전도부(610)는 추가 칼럼(600)의 일 단부 및 다른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추가 전도부(610)의 상부는 제2 패드(210)의 하부와 접촉할 수 있다. 추가 전도부(610)의 하부는 제3 패드(510)의 상부와 접촉할 수 있다. 추가 칼럼(600)은 도전성일 수 있다. 제1 패드(110), 도전부(310), 제2 패드(210), 추가 전도부(610) 및 제3 패드(51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connector 1000 for electrical conn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include at least two or more additional columns 600 . At least two or more additional columns 6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film 200 and the third film 500 . An additional column 600 may contact the second film 200 and the third film 500 . An additional conductive portion 610 may be formed in the additional column 600 . The additional conductive portion 610 may be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additional column 600 . An upper portion of the additional conductive portion 610 may contac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pad 210 . A lower portion of the additional conductive portion 610 may contact an upper portion of the third pad 510 . The additional column 600 may be conductive. The first pad 110 , the conductive part 310 , the second pad 210 , the additional conductive part 610 , and the third pad 5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적어도 둘 이상의 추가 칼럼(600)은 횡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적어도 둘 이상의 추가 칼럼(60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공간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적어도 둘 이상의 추가 칼럼(60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둘 이상의 추가 칼럼(600) 사이의 공간에는 추가 브릿지 부재(700)가 배치될 수 있다. 추가 브릿지 부재(700)는 구 형상일 수 있다. 추가 브릿지 부재(70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추가 칼럼(60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추가 칼럼(600)과 접촉할 수 있다. 추가 브릿지 부재(700)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적어도 둘 이상의 추가 칼럼(600)과 모두 접촉할 수 있다.At least two or more additional columns 60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 space may be formed between at least two or more additional columns 600 . The space may be formed by at least two or more additional columns 600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 additional bridge member 700 may be disposed in a space between at least two or more additional columns 600 . The additional bridge member 700 may have a spherical shape. The additional bridge member 700 may be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at least two or more additional columns 600 to be in contact with the at least two or more additional columns 600 . The additional bridge member 700 may be in contact with at least two or more additional columns 600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추가 브릿지 부재(700)는 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 브릿지 부재(700)의 적어도 외표면(710)은 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 브릿지 부재(700)의 외표면(710)이 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때, 추가 브릿지 부재(700)의 외표면(710)을 제외한 추가 브릿지 부재(700)의 내부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 브릿지 부재(700)의 외표면(710)은 전도성 재질이 도금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도성 재질은 예를 들어 금일 수 있다.The additional bridge member 700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At least the outer surface 710 of the additional bridge member 700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When the outer surface 710 of the additional bridge member 700 i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the interior of the additional bridge member 700 except for the outer surface 710 of the additional bridge member 700 may be formed of a silicon material. . The outer surface 710 of the additional bridge member 700 may be formed by plating a conductive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may be, for example, gold.

추가 브릿지 부재(700)의 외표면(710)이 전도성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추가 브릿지 부재(700)를 통한 전기적 연결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패드(110), 도전부(310), 브릿지 부재(400), 제2 패드(210), 추가 전도부(610), 추가 브릿지 부재(700) 및 제3 패드(51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s the outer surface 710 of the additional bridge member 700 i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electrical connection through the additional bridge member 700 may be provided. The first pad 110 , the conductive part 310 , the bridge member 400 , the second pad 210 , the additional conductive part 610 , the additional bridge member 700 , and the third pad 5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have.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의 상하 방향 단면도이다.10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1000 for electrical conn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or 1000 for electrical conn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include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or 1000 for electrical connec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칼럼(300) 사이의 공간에는 적어도 외표면(410)이 전도성 재질로 형성된 브릿지 부재(400)가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브릿지 부재(400)는 예를 들어 2개일 수 있으나, 브릿지 부재(400)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A plurality of bridge members 400 having at least an outer surface 410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may be disposed in a space between at least two or more columns 300 in the connector 1000 for electrical conn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bridge members 400 may be, for example, two, but the number of the bridge members 400 is not limited thereto.

복수 개의 브릿지 부재(400)는 서로 접촉할 수 있다. 브릿지 부재(400)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적어도 둘 이상의 칼럼(300) 중 적어도 하나의 칼럼(300)과 접촉할 수 있다. 브릿지 부재(400)는 칼럼(300)에 형성된 도전부(310)와 접촉할 수 있다. 브릿지 부재(400)가 적어도 하나의 칼럼(300)과 접촉함에 따라 브릿지 부재(400)와 적어도 하나의 칼럼(300)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패드(110), 도전부(310), 복수 개의 브릿지 부재(400) 및 제2 패드(21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bridge members 400 may contact each other. The bridge member 400 may contact at least one column 300 among at least two or more columns 300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bridge member 400 may contact the conductive part 310 formed in the column 300 . As the bridge member 400 contacts the at least one column 300 , the bridge member 400 and the at least one column 3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he first pad 110 , the conductive part 310 , the plurality of bridge members 400 , and the second pad 2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실시예들은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를 통한 피검사 디바이스와 테스트 장비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다양한 경로로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의하면,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0)를 통한 피검사 디바이스와 테스트 장비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안정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Embodiments may provide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device under test and the test equipment through the connector 1000 for electrical connection as various paths. 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device under test and the test equipment through the connector 1000 for electrical connection may be stably provided.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Althoug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has been described by the examples shown in som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does not depart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at can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belong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within the scope may be made. Further, such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0: 전기 접속용 커넥터, 10: 도전 채널, 11: 도전부, 12: 수용 공간, 100: 제1 필름, 101: 제1 절연 부분, 105: 제1 관통공, 110: 제1 패드, 150: 가이드부, 151: 전도부, 155: 단자 수용부, 20: 절연체, 200: 제2 필름, 201: 제2 절연 부분, 205: 제2 관통공, 210: 제2 패드, 300: 칼럼, 310: 도전부, 311: 도전성 입자, 320: 절연부, 400: 브릿지 부재, 410: 브릿지 부재의 외표면, 420: 브릿지 부재의 내부, 500: 제3 필름, 505: 제3 관통공, 510: 제3 패드, 600: 추가 칼럼, 610: 추가 도전부, 700: 추가 브릿지 부재1000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10 conductive channel, 11: conductive part, 12 receiving space, 100 first film, 101 first insulating portion, 105 first through hole, 110 first pad, 150: Guide part 151: conductive part, 155: terminal receiving part, 20: insulator, 200: second film, 201: second insulating portion, 205: second through hole, 210: second pad, 300: column, 310: conductive Part, 311: conductive particles, 320: insulating part, 400: bridge member, 410: outer surface of the bridge member, 420: the inside of the bridge member, 500: third film, 505: third through hole, 510: third pad , 600: additional column, 610: additional conductive part, 700: additional bridge member

Claims (20)

상하 방향으로 도전하는 이방성 전기 접속용 커넥터이며,
전기 전도성의 복수의 제1 패드를 유지하는 제1 필름,
상기 제1 필름의 하측에 위치하며 전기 전도성의 복수의 제2 패드를 유지하는 제2 필름,
상기 제1 필름과 상기 제2 필름 사이에 배치되고 횡방향에서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칼럼을 포함하고,
상기 칼럼의 일 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도전부가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칼럼 사이에는 공간이 있고 상기 공간에는 적어도 외표면이 전도성 재질로 형성된 브릿지 부재가 배치되는,
이방성 전기 접속용 커넥터.
It is a connector for anisotropic electrical connection that conducts in the vertical direction,
a first film holding a plurality of first electrically conductive pads;
a second film positioned under the first film and holding a plurality of electrically conductive second pads;
at least two columns disposed between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one end of the column is formed at least one conductive portion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 is a space between the at least two or more columns, and a bridge member having at least an outer surfac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is disposed in the space,
Connectors for anisotropic electrical connec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패드는 상기 제1 필름에 형성된 복수의 제1 관통공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2 패드는 상기 제2 필름에 형성된 복수의 제2 관통공에 형성되는,
이방성 전기 접속용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first pads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formed in the first film,
The plurality of second pads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second through holes formed in the second film,
Connectors for anisotropic electrical connec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드, 상기 도전부, 상기 브릿지 부재 및 상기 제2 패드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방성 전기 접속용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ad, the conductive part, the bridge member, and the second pad are electrically connected,
Connectors for anisotropic electrical connec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은 절연부를 포함하고,
상기 칼럼의 다른 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도전부가 추가로 형성되며,
상기 칼럼의 일 단부에 형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부와 상기 칼럼의 다른 단부에 형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부는 상기 절연부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칼럼의 일 단부에 형성된 상기 도전부와 상기 칼럼의 다른 단부에 형성된 상기 도전부는 복수의 도전성 입자를 포함하는,
이방성 전기 접속용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
The column comprises an insulation,
At the other end of the column, at least one conductive part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urther formed,
The at least one conductive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column and the at least one conductive portion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olumn are separated by the insulating portion,
The conductive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column and the conductive portion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olumn include a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s,
Connectors for anisotropic electrical connection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전성 입자는 상기 절연부에 의해 상기 칼럼에 유지되는,
이방성 전기 접속용 커넥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s are held in the column by the insulating portion,
Connectors for anisotropic electrical connec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은 상하 방향에서 중간 부분의 횡방향 단면의 면적이 가장 작은,
이방성 전기 접속용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
The column has the smallest area of the transverse cross-section of the middle 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Connectors for anisotropic electrical connec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의 횡방향 단면은 타원형, 원형 및 다각형 중 하나의 형상을 갖는,
이방성 전기 접속용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verse cross-section of the column has a shape of one of elliptical, circular and polygonal;
Connectors for anisotropic electrical connec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부재는 구(球) 형상인,
이방성 전기 접속용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
The bridge member has a spherical shape,
Connectors for anisotropic electrical connec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드의 상측에 복수의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이방성 전기 접속용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guide parts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pad,
Connectors for anisotropic electrical connec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름의 하측에 위치하며 복수의 제3 패드를 유지하는 제3 필름,
상기 제2 필름과 상기 제3 필름 사이에 배치되고 횡방향에서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추가 칼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추가 칼럼의 일 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 도전부가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추가 칼럼 사이의 공간에는 적어도 외표면이 전도성 재질로 형성된 추가 브릿지 부재가 배치되는,
이방성 전기 접속용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
a third film positioned under the second film and holding a plurality of third pads;
Further comprising at least two or more additional column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film and the third film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one end of the additional column is formed at least one additional conductive portion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 additional bridge member having at least an outer surfac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is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at least two or more additional columns,
Connectors for anisotropic electrical connection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드, 상기 도전부, 상기 브릿지 부재, 상기 제2 패드, 상기 추가 도전부, 상기 추가 브릿지 부재 및 상기 제3 패드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방성 전기 접속용 커넥터.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pad, the conductive part, the bridge member, the second pad, the additional conductive part, the additional bridge member, and the third pad are electrically connected;
Connectors for anisotropic electrical connections.
상하 방향으로 도전하는 이방성 전기 접속용 커넥터이며,
상기 이방성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상단과 상기 이방성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하단을 도전시키는 복수의 도전 채널; 및
상기 복수의 도전 채널이 상하로 관통하며 배치되고, 전기 절연성인 절연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도전 채널 각각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고 통전 가능하게 구성된 복수의 도전부; 및
상기 복수의 도전부 사이에 형성된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도전부와 접촉하고, 적어도 외표면이 전도성 재질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브릿지 부재를 포함하는,
이방성 전기 접속용 커넥터.
It is a connector for anisotropic electrical connection that conducts in the vertical direction,
a plurality of conductive channels for conducting an upper end of the connector for anisotropic electrical connection and a lower end of the connector for anisotropic electrical connection; and
and an insulator in which the plurality of conductive channels penetrate vertically and are electrically insulating;
Each of the plurality of conductive channels,
a plurality of conductive part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onfigured to be energized; and
It is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s, and is in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s, comprising at least one bridge member having at least an outer surfac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Connectors for anisotropic electrical connection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전 채널은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이방성 전기 접속용 커넥터.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plurality of conductive channels are later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Connectors for anisotropic electrical connection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전부는 상기 도전 채널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으로부터 이격되는,
이방성 전기 접속용 커넥터.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s are spaced apart from a central axi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onductive channel,
Connectors for anisotropic electrical connection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전부는 상기 브릿지 부재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이방성 전기 접속용 커넥터.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s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ridge member,
Connectors for anisotropic electrical connection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전부는 4개 내지 6개의 도전부인,
이방성 전기 접속용 커넥터.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s are 4 to 6 conductive parts,
Connectors for anisotropic electrical connection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전 채널에 대응하는 복수의 상기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이방성 전기 접속용 커넥터.
13. The method of claim 12,
A plurality of the receiving spac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onductive channels are formed,
Connectors for anisotropic electrical connections.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용 공간은 서로 연통되는,
이방성 전기 접속용 커넥터.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plurality of accommodation spaces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Connectors for anisotropic electrical connection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는 복수의 도전성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브릿지 부재의 부피는 상기 복수의 도전성 입자의 평균 부피보다 큰,
이방성 전기 접속용 커넥터.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nductive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s,
The volume of the bridge member is greater than the average volume of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s,
Connectors for anisotropic electrical connection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전부는 상기 수용 공간의 외주면의 일부를 한정하는,
이방성 전기 접속용 커넥터.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plurality of conductive portions defining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Connectors for anisotropic electrical connections.
KR1020200130406A 2020-10-08 2020-10-08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KR1024207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406A KR102420784B1 (en) 2020-10-08 2020-10-08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406A KR102420784B1 (en) 2020-10-08 2020-10-08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7015A KR20220047015A (en) 2022-04-15
KR102420784B1 true KR102420784B1 (en) 2022-07-15

Family

ID=81211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0406A KR102420784B1 (en) 2020-10-08 2020-10-08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078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4139A (en) 2008-03-31 2009-10-22 Micronics Japan Co Ltd Test socket
KR101366171B1 (en) 2013-02-19 2014-02-24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Test socket with high density conduction section
KR101682230B1 (en) 2015-08-04 2016-12-02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Socket for electrical tes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7991A (en) * 2008-01-14 2009-07-17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Socket provided with pressure conductive rubber pin
KR100958134B1 (en) * 2008-03-31 2010-05-18 리노공업주식회사 test socket
KR100997576B1 (en) * 2008-08-12 2010-11-30 이용준 Semiconductor device test contactor
KR101624689B1 (en) * 2014-08-21 2016-05-26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Electrical connecting connector
KR101707853B1 (en) * 2015-07-17 2017-02-17 초이스테크닉스 주식회사 Micro contact array structure for semiconductor device test
KR101781161B1 (en) * 2015-11-19 2017-10-23 (주)티에스이 Test Socket
KR20170125147A (en) * 2016-05-03 2017-11-14 염승수 Surface mount type device test connector
KR20200077165A (en) * 2018-12-20 2020-06-30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Test socket
KR20200080922A (en) * 2018-12-27 2020-07-07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Contact pin for test socket and test socket comprising the same
KR20200111025A (en) * 2019-03-18 2020-09-28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Test socke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4139A (en) 2008-03-31 2009-10-22 Micronics Japan Co Ltd Test socket
KR101366171B1 (en) 2013-02-19 2014-02-24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Test socket with high density conduction section
KR101682230B1 (en) 2015-08-04 2016-12-02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Socket for electrical te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7015A (en) 2022-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6347B2 (en)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icrocircuit and wafer level IC testing
US20050208828A1 (en) Controlled-impedance coaxial cable interconnect system
KR101845652B1 (en) Hybrid probe card for component mounted wafer test
KR101358925B1 (en) Interposer and probe card having the same
KR20180094627A (en) Test pin and test apparatus having the same
US7119561B2 (en) Electrical connecting apparatus
JP2014219406A (en) Test socket providing mechanical stabilization for pogo pin connections
KR102420784B1 (en)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
US6642729B2 (en) Probe card for tester head
KR101403048B1 (en) Semiconductor device test socket having high frequency property
US6012929A (en) IC socket structure
KR101903024B1 (en) Silicon test socket for semiconductor packag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162980B2 (en) Coaxial via arrangement in probe card for automated test equipment
TW201825920A (en) Vertical ultra-low leakage current probe card for dc parameter test
JP5351171B2 (en) Circuit board assembly and erroneous insertion detection device
KR20170091984A (en) Apparatus for testing semiconductor package
KR100638330B1 (en) Adapter For Testing Conductor Arrangements
KR100992966B1 (en) Test socket
KR102047665B1 (en) Probe card and test device including the same
TWI794925B (en) Probe card
JPH11344521A (en) Stacked connector device, and inspection device of circuit substrate
US11333683B2 (en) Transposed via arrangement in probe card for automated test equipment
KR101280419B1 (en) probe card
KR101901893B1 (en) Vertical probe card for led package
CN113640558B (en) Replaceable probe set and probe c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