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0254B1 - 전자식계량기의 봉인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식계량기의 봉인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0254B1
KR102420254B1 KR1020200189932A KR20200189932A KR102420254B1 KR 102420254 B1 KR102420254 B1 KR 102420254B1 KR 1020200189932 A KR1020200189932 A KR 1020200189932A KR 20200189932 A KR20200189932 A KR 20200189932A KR 102420254 B1 KR102420254 B1 KR 102420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er
flag
communication
unit
t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9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7000A (ko
Inventor
우재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너테크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너테크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너테크글로벌
Priority to KR1020200189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0254B1/ko
Publication of KR20220097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7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24Arrangements for avoiding or indicating fraudulent u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8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signaling fau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1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using digital techniqu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30Smart metering, e.g.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rea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신부와 송신부가 구비되어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 또는 '원격검침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전자식계량기의 봉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래그(Flag)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수신부로 신호가 수신되면, 메모리부에 플래그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와 통신부가 통신되게 하고, 메모리부에 저장된 플래그가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와의 통신 차단용 플래그면, 통신부와 '원격검침시스템'만 통신되게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전자식계량기의 외부 시스템 통신 기능 중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와의 통신기능을 무단으로 사용하여 내부 기차 값 변경, 계량 값 변경, 누적 계량 값 지우기, 계기번호 쓰기, 호칭 값 쓰기 등 계량기 특성 값 변경을 위한 통신을 불가능하게 하면서 원격검침시스템에서 요구하는 계기번호 읽기, 누적 값 읽기, 순간 값 읽기 등의 통신만 가능하게 하여 검침의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게 하는 전자식계량기의 봉인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식계량기의 봉인시스템 및 그 방법{SEALING SYSTEM FOR ELECTRONIC METER AND SEA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식계량기의 봉인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것으로, 특히, 전자식계량기 생산 시 기차 조정을 완료한 후 전자식계량기의 메모리부에 플래그를 저장시켜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와의 통신을 차단하고 원격검침시스템과의 통신만 가능하게 하게 함으로써, 전자식계량기의 외부 시스템 통신 기능 중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와의 통신기능을 무단으로 사용하여 내부 기차 값 변경, 계량 값 변경, 누적 계량 값 지우기, 계기번호 쓰기, 호칭 값 쓰기 등 계량기 특성 값 변경을 위한 통신을 불가능하게 하면서 원격검침시스템에서 요구하는 계기번호 읽기, 누적 값 읽기, 순간 값 읽기 등의 통신만 가능하게 하여 검침의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게 하는 전자식계량기의 봉인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산업현장 등 전기, 가스, 수도 등의 수요가 발생하는 곳에서는 그 사용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의 계량기가 각각 부설된다.
이러한 각각의 계량기는 공급자와 사용자 모두 그 사용 상태 및 현재 사용량 등을 육안 식별이 가능하도록 수용가 인근에 설치되고, 그 사용량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내부에 쉽게 접근할 수 없도록 봉인공구를 통해 봉인이 이루어진다.
즉, 외부인이 봉인장치를 파손하지 않고서는 사용량을 물리적으로 조작할 수 없으며, 따라서 이 봉인장치가 훼손되어 있을 경우에는 외부인에 의한 내부 조작을 의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계량기의 봉인 시스템에 의하면, 공급자가 봉인장치의 훼손 상태를 육안 식별을 통해 확인하기 때문에 계기 등 내부 조작시 즉각적인 조치가 불가하며, 상당 기간동안 내부 조작을 방치하게 되어 그 사용량을 신뢰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하면, 종래에는 기계식 계량기는 검침원이 직접 수용가에 내방하여 육안으로 검침하였지만, 전자식계량기는 검침원이 직접 수용가에 내방하여 육안으로 검침하지 않아도 전자식계량기와의 통신을 통하여 검침기록을 자동분석할 수 있다.
아울러, 전자식계량기의 통신기능은, 전자식계량기 생산 시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와의 통신기능과 수용가에 설치된 전자식계량기의 검침기록을 자동검침하거나 수용가의 누전, 누수의 자동 탐지, 수용가의 전기, 수도, 가스 등의 사용 추이 자동분석을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과의 통신기능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자식계량기의 경우, 현장에 설치가 완료된 후에라도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와의 통신기능을 무단으로 사용하여 계량 값을 변경하거나 기차 값을 변경하는 등의 조작이 이루어진다면, 검침량이 조작된 상태로 원격검침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완벽한 통신 기능의 봉인 수단이 요구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과 요구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자식계량기 생산 시 기차 조정을 완료한 후 전자식계량기의 메모리부에 플래그를 저장시켜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와의 통신을 차단하고 원격검침시스템과의 통신만 가능하게 하게 함으로써, 전자식계량기의 외부 시스템 통신 기능 중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와의 통신기능을 무단으로 사용하여 내부 기차 값 변경, 계량 값 변경, 누적 계량 값 지우기, 계기번호 쓰기, 호칭 값 쓰기 등 계량기 특성 값 변경을 위한 통신을 불가능하게 하면서 원격검침시스템에서 요구하는 계기번호 읽기, 누적 값 읽기, 순간 값 읽기 등의 통신만 가능하게 하여 검침의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게 하는 전자식계량기의 봉인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수신부(102a)와 송신부(102b)가 구비되어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 또는 '원격검침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부(102)를 포함하는 전자식계량기의 봉인시스템에 있어서, 플래그(Flag)(104)가 저장되는 메모리부(106)와; 상기 수신부(102a)로 신호가 수신되면, 메모리부(106)에 플래그(104)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와 통신부(102)가 통신되게 하고, 메모리부(106)에 저장된 플래그(104)가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와의 통신 차단용 플래그(104)면, 통신부(102)와 '원격검침시스템'만 통신되게 통신부(102)를 제어하는 제어부(10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계량기의 봉인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8)는, 상기 메모리부(106)에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 승인용 플래그(104)가 검출되면, 통신부(102)와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목적은, 수신부(102a)와 송신부(102b)가 구비되어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 또는 '원격검침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부(102)를 포함하는 전자식계량기의 봉인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102a)로 신호가 수신되면(S1), 메모리부(106)에서 플래그(104)의 유무를 검출하는 플래그 검출단계(S2)와; 상기 메모리부(106)에 플래그(104)가 검출되지 않으면, 제어부(108)가 통신부(102)와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차조정 승인단계(S3)와; 상기 기차조정 승인단계(S3)에 의해 통신부(102)와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계량기의 기차 조정(S4)이 완료된 후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에서 기차조정완료 신호가 수신부(102a)로 전송되면(S5), 제어부(108)가 메모리부(106)에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 차단용 플래그(104)를 저장하게 하는 플래그 저장단계(S6)와; 상기 메모리부(106)에서 플래그(104)가 검출되거나, 검출된 플래그(104)가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와의 통신 차단용 플래그(104)면, 제어부(108)가 통신부(102)와 '원격검침시스템'만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원격검침 승인단계(S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계량기의 봉인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8)는, 상기 메모리부(106)에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 승인용 플래그(104)가 검출되면, 통신부(102)와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전자식계량기 생산 시 기차 조정을 완료한 후 전자식계량기의 메모리부에 플래그를 저장시킨 후, 외부에서 전자식계량기로 통신 요청 시 메모리부에서 검출된 플래그에 따라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와의 통신은 차단하고 '원격검침시스템'과의 통신만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따라서, 전자식계량기 생산 시 기차 조정이 완료된 후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에서 발신된 신호에 따라 메모리부에 플래그를 저장시키고,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와 '원격검침시스템'에서 통신 요청 시 플래그에 의해 '원격검침시스템'만 통신이 승인되고, 기차 조정을 위한 통신은 차단되게 하여 전자식계량기의 통신기능을 무단으로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내부 기차 값 변경, 계량 값 변경, 누적 계량 값 지우기, 계기번호 쓰기, 호칭 값 쓰기 등 계량기 특성 값 변경을 위한 통신을 불가능하게 하면서 원격검침시스템에서 요구하는 계기번호 읽기, 누적 값 읽기, 순간 값 읽기 등의 통신만 가능하게 하여 검침의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계량기의 봉인시스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계량기의 봉인방법을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챠트.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 1과 도 2를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계량기의 봉인시스템은 통신부(102)에 대한 통신기능을 제한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계량기(100)에는 외부 통신을 위한 수신부(102a)와 송신부(102b)가 구비된 통신부(102)가 마련되며, 이 통신부(102)를 통한 외부 통신의 승인과 차단을 제어하는 제어부(108)가 구비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는 전자식계량기(100) 생산 시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와의 통신을 통하여 검정기준에 부합되는 계량기의 품질을 맞는 내부 기차 값을 변경하고, 누적 계량 값을 지우기며, 계기번호 쓰기와 읽기, 호칭 값 쓰기와 읽기 등 계량기 특성 값 변경을 하게 되는 바, 이때, 계량기 기차 조정이 완료될 경우 특정 플래그(Flag)(104)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06)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8)는, 상기 통신부(102)의 수신부(102a)로 신호가 수신되면, 메모리부(106)에 플래그(104)가 저장되어 있는지 또는 메모리부(106)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지를 분석하여 메모리부(106)에 플래그(104)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와 통신부(102)가 통신되게 하고, 메모리부(106)에 저장된 플래그(104)가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와의 통신 차단용 플래그(104)면, 통신부(102)와 '원격검침시스템'만 통신되게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한 메모리부(106)에 저장되는 플래그(104)는 Digital Data이며, 플래그(104)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는 것은 'Null' 값일 수도 있으며, Digit '0'일 수도 있으며, 그 외에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설정된 문자, 숫자, 특수문자, 기호일 수도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한 플래그(104)는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 승인용 데이타로서, 제작자 또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설정된 문자, 숫자, 특수문자, 기호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플래그(104)가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와의 통신 차단용 플래그(104)" 또는 "'원격검침시스템'과의 통신 승인용 플래그(104)"라고 명명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메모리부(106)에 플래그(104)의 저장유무에 따라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와의 통신을 차단 또는 승인하거나 '원격검침시스템'과의 통신만을 승인하게 하는 제어흐름(control flow)을 가지게 하면 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플래그(104)가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와의 통신 차단용 플래그(104)"이거나 "'원격검침시스템'과의 통신만 승인하는 플래그(104)"이더라도 플래그(104)의 목적과 용도에 따라 제어흐름을 프로그램 로직(Program logic)으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은 메모리부(106)에 플래그(104)의 저장유무로도 통신부(102)를 제어할 수 있으며, 메모리부(106)에 저장된 플래그(104)가 어떠한 상태인가? 또는 어떤 데이타인가에 따라서도 통신부(102)를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계량기의 봉인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전자식계량기의 봉인방법을 통하여 제어 및 구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식계량기(100)의 수신부(102a)로 신호가 수신되면(S2), 제어부(108)는 메모리부(106)에 플래그(104)의 유무를 검출하는 플래그 검출단계(S2)를 실시한다.
상기 플래그 검출단계(S2)에 의해 메모리부(106)에서 플래그(104)가 검출되지 않으면, 즉, 메모리부(106)에 플래그(104)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제어부(108)는 통신부(102)와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제어하는 기차조정 승인단계(S3)를 실시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플래그 검출단계(S2)에 의해 메모리부(106)에서 플래그(104)가 검출되더라도, 이 플래그(104)가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와의 통신을 승인하는 플래그(104)인지 아니면 이 플래그(104)가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와의 통신을 차단하는 플래그(104)인지에 따라서 제어부(108)의 제어흐름을 프로그램으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메모리부(106)의 플래그(104) 유무에 따라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한 기차조정 승인단계(S3)에 의하여 전자식계량기(100)와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가 통신하면서 검정기준에 부합되는 계량기의 품질을 맞추기 위한 내부 기차 값 변경, 누적 계량 값 지우기, 계기번호 쓰기와 읽기, 호칭 값 쓰기와 읽기 등 계량기 특성 값 변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S4).
한편, 상기한 기차조정 승인단계(S3)에 의해 통신부(102)와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계량기의 기차 조정이 완료된 후에는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에서 기차조정완료 신호를 전자식계량기(100)의 수신부(102a)로 전송하고(S5), 이때, 제어부(108)는 메모리부(106)에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 차단용 플래그(104)를 저장하게 하는 플래그 저장단계(S6)를 실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08)가 메모리부(106)에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 차단용 플래그(104)를 저장할 수도 있으나, 반대로 '원격검침시스템'만의 통신 승인용 플래그(104)를 저장할 수도 있으며, 이는 프로그램의 로직을 조정하여 코딩함으로써 소망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채택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래그 검출단계(S2)에 의해 메모리부(106)에서 플래그(104)가 검출되면, 제어부(108)는 통신부(102)와 '원격검침시스템'만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원격검침 승인단계(S7)를 실시하며, 상기한 바와 같이 프로그램 로직에 따라 검출된 플래그(104)가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와의 통신 차단용 플래그(104)면, 제어부(108)가 통신부(102)와 '원격검침시스템'만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으며, 검출된 플래그(104)가 '원격검침시스템'만의 통신 승인용 플래그(104)일 경우라도, 제어부(108)가 통신부(102)와 '원격검침시스템'만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원격검침 승인단계(S7)가 실시된다.
따라서, 상기 '원격검침시스템'과 전자식계량기(100)가 통신부(102)를 통하여 통신하면서 원격에서 검침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S8).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계량기(100)가 수용가에 설치된 후에는 플래그 검출단계->원격검침승인단계를 통해 '원격검침시스템'이 전자식계량기(100)와 통신하게 됨으로써, 수용가가 사용한 계량 값의 자동 검침, 수용가내의 누전, 누수 자동 탐지, 수용가내의 전기, 수도, 가스 등의 사용 추이 자동분석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메모리부(106)에 플래그(104)가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검출된 플래그(104)가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와의 통신을 차단하는 플래그(104)'이거나 또는 검출된 플래그(104)가 '원격검침시스템'만 통신을 승인하는 플래그(104)일 경우에는 통신부(102)와 '원격검침시스템'만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메모리부(106)에 플래그(104)가 저장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검출된 플래그(104)가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와의 통신을 승인하는 플래그(104)일 경우에만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와 통신부(102)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므로 전자식계량기(100)가 수용가에 설치된 후에라도 외부에서 불순한 조작 및 접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전자식계량기(100) 생산 시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와의 통신이 종료된 후 메모리부(106)에 플래그(104)를 저장시켜 전자식계량기(100) 내부 하드웨어의 조건을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와의 통신 기능을 잠금시키도록 설정함으로써, 내부 기차 값 변경, 누적 계량 값 지우기, 계기번호 쓰기와 읽기, 호칭 값 쓰기와 읽기 등 계량기 특성 값 변경을 위한 통신은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100 : 전자식계량기
102 : 통신부
102a : 수신부 102b : 송신부
104 : 플래그(Flag) 106 : 메모리부
108 : 제어부

Claims (4)

  1. 수신부(102a)와 송신부(102b)가 구비되어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 또는 '원격검침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부(102)를 포함하는 전자식계량기의 봉인시스템에 있어서,
    플래그(Flag)(104)가 저장되는 메모리부(106)와;
    상기 수신부(102a)로 신호가 수신되면, 메모리부(106)에 플래그(104)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와 통신부(102)가 통신되게 하고, 메모리부(106)에 저장된 플래그(104)가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와의 통신 차단용 플래그(104)면, 통신부(102)와 '원격검침시스템'만 통신되게 통신부(102)를 제어하는 제어부(10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계량기의 봉인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8)는,
    상기 메모리부(106)에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 승인용 플래그(104)가 검출되면, 통신부(102)와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계량기의 봉인시스템.
  3. 수신부(102a)와 송신부(102b)가 구비되어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 또는 '원격검침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부(102)를 포함하는 전자식계량기의 봉인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102a)로 신호가 수신되면, 메모리부(106)에서 플래그(104)의 유무를 검출하는 플래그 검출단계와;
    상기 메모리부(106)에 플래그(104)가 검출되지 않으면, 제어부(108)가 통신부(102)와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차조정 승인단계와;
    상기 기차조정 승인단계에 의해 통신부(102)와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계량기의 기차 조정이 완료된 후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에서 기차조정완료 신호가 수신부(102a)로 전송되면, 제어부(108)가 메모리부(106)에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 차단용 플래그(104)를 저장하게 하는 플래그 저장단계와;
    상기 메모리부(106)에서 플래그(104)가 검출되거나, 검출된 플래그(104)가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와의 통신 차단용 플래그(104)면, 제어부(108)가 통신부(102)와 '원격검침시스템'만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원격검침 승인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계량기의 봉인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8)는,
    상기 메모리부(106)에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 승인용 플래그(104)가 검출되면, 통신부(102)와 '계량기 기차 조정 장치'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계량기의 봉인방법.
KR1020200189932A 2020-12-31 2020-12-31 전자식계량기의 봉인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20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932A KR102420254B1 (ko) 2020-12-31 2020-12-31 전자식계량기의 봉인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932A KR102420254B1 (ko) 2020-12-31 2020-12-31 전자식계량기의 봉인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7000A KR20220097000A (ko) 2022-07-07
KR102420254B1 true KR102420254B1 (ko) 2022-07-13

Family

ID=82397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932A KR102420254B1 (ko) 2020-12-31 2020-12-31 전자식계량기의 봉인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025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5865A (ja) 2000-12-25 2002-07-10 Tokyo Gas Co Ltd 流量計およびその電子的封印方法
JP2011027671A (ja) 2009-07-29 2011-02-10 Yazaki Corp 電子式ガスメータ、及びそのタイマ設定方法
KR101294319B1 (ko) 2012-08-16 2013-08-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원격 검침 시스템 및 이의 통신 방법
JP2014081265A (ja) 2012-10-16 2014-05-08 Yazaki Energy System Corp 電子式ガスメータ
JP2017101945A (ja) 2015-11-30 2017-06-08 中国電力株式会社 スマートメータ不正防止システム
US20180172741A1 (en) 2014-07-02 2018-06-21 Landis+Gyr, Inc. Electronic Meter Seal Arrangement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940A (ko) * 2000-08-11 2000-11-06 임형엽 계량기 검침 시스템
KR20050041791A (ko) * 2003-10-31 2005-05-04 한국전력공사 고조파 및 순간전압변동 분석기능을 갖는 전자식 전력량계측기
KR100978275B1 (ko) * 2008-11-10 2010-08-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식 전력량 계의 펌웨어(firmware) 업그레이드(upgrade) 장치 및 방법
KR101221105B1 (ko) * 2010-09-28 2013-01-29 피에스텍주식회사 계량기의 전자봉인 시스템
KR102420810B1 (ko) * 2018-12-21 2022-07-14 주식회사 인코어드 테크놀로지스 봉인 및 도전방지가 가능한 전력 계량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5865A (ja) 2000-12-25 2002-07-10 Tokyo Gas Co Ltd 流量計およびその電子的封印方法
JP2011027671A (ja) 2009-07-29 2011-02-10 Yazaki Corp 電子式ガスメータ、及びそのタイマ設定方法
KR101294319B1 (ko) 2012-08-16 2013-08-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원격 검침 시스템 및 이의 통신 방법
JP2014081265A (ja) 2012-10-16 2014-05-08 Yazaki Energy System Corp 電子式ガスメータ
US20180172741A1 (en) 2014-07-02 2018-06-21 Landis+Gyr, Inc. Electronic Meter Seal Arrangement and Method
JP2017101945A (ja) 2015-11-30 2017-06-08 中国電力株式会社 スマートメータ不正防止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7000A (ko)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3409A (en) Field measuring instrument and its abnormality managing method
KR102305545B1 (ko) 스마트 워터 미터링 데이터를 활용한 수용가의 옥내 누수 판단 시스템
US8255692B2 (en) Method of providing secure tamper-proof acquired data from process instruments
US10068217B1 (en) Status monitoring for boxed wireless device
KR102420254B1 (ko) 전자식계량기의 봉인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76568B1 (ko) 실시간 통신품질 감시기능을 갖는 원격검침시스템과 원격검침시스템의 실시간 통신품질 감시 방법
JP2009145934A (ja) フィールド機器
US1111417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counterfeit memory
JP4981383B2 (ja) 無線装置
KR20220078193A (ko) 전자식계량기의 봉인시스템
KR200171149Y1 (ko) 안전기능이 부가된 무선원격 검침장치
WO2011152040A1 (ja) ガス遮断装置
CN103413416A (zh) 一种智能抄表系统和方法
US20130174249A1 (en) Secure lock function for an endpoint
CN110119628A (zh) 用于电子耗量数据模块和耗量数据模块的安全操作的方法
KR100614204B1 (ko) 케이블의 위치탐지장치 및 위치검출방법
JP4660831B2 (ja) 流量計およびその電子的封印方法
US20220171413A1 (en) Methods for Safely Restoring Gas Flow to a Building from a Remote Location and Related Smart Meters
JP3440780B2 (ja) 電子ガスメータ
KR20150139690A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계량기 검침 시스템 및 방법
KR102298952B1 (ko) 액티브 리드센서를 이용한 무선원격 검침시스템 및 검침에러 제어방법
JP5205221B2 (ja) メモリ制御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計量器
KR101969493B1 (ko) 디지털 유량계의 무단변경 확인시스템 및 확인방법
JP4548961B2 (ja) 操作支援方法及び操作支援システム及び操作方法
JPH11120435A (ja) ガス供給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