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545B1 - 스마트 워터 미터링 데이터를 활용한 수용가의 옥내 누수 판단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워터 미터링 데이터를 활용한 수용가의 옥내 누수 판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5545B1
KR102305545B1 KR1020210006181A KR20210006181A KR102305545B1 KR 102305545 B1 KR102305545 B1 KR 102305545B1 KR 1020210006181 A KR1020210006181 A KR 1020210006181A KR 20210006181 A KR20210006181 A KR 20210006181A KR 102305545 B1 KR102305545 B1 KR 102305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k
time
graph
per uni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5545B9 (ko
Inventor
오영주
송은영
엄준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이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이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이코스
Priority to PCT/KR2021/01216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114471A1/ko
Priority to CN202180028021.2A priority patent/CN115380314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545B1/ko
Publication of KR10230554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545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스마트 워터 미터링 데이터를 활용한 수용가의 옥내 누수 판단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용가에 설치된 검침 단말기로부터 해당 수용가의 단위 시간당 수돗물 사용량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단위 시간당 수돗물 사용량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단위 시간당 수돗물 사용량 데이터를 기초로 시간 대비 단위 시간당 수돗물 사용량을 나타내는 꺾은선그래프를 생성하는 그래프생성부; 상기 꺾은선그래프에서 해당 수용가의 단위 시간당 수돗물 사용량이 기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전부 영(zero)보다 크면 해당 수용가에 누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누수여부판단부; 및 상기 꺾은선그래프에서 누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시간 동안의 그래프 하부 영역의 형상을 기초로 누수 유형 또는 부분을 판단하는 누수유형판단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워터 미터링 데이터를 활용한 수용가의 옥내 누수 판단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워터 미터링 데이터를 활용한 수용가의 옥내 누수 판단 시스템{SYSTEM FOR DETERMINING INDOOR WATER LEAKAGE USING SMART WATER METERING DATA}
본 발명은 스마트 워터 미터링 데이터를 활용한 수용가의 옥내 누수 판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수용가의 수돗물 검침은 종래 검침원이 직접 방문하여 수도 계량기를 확인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수돗물 사용량을 자동으로 측정하여 유선 또는 무선 송출하는 검침 단말기를 이용한 무인 원격 검침 방식의 스마트 워터 미터링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워터 미터링 시스템은 수용가의 수돗물 사용량을 거의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수돗물 사용량은 쉽게 데이터화 될 수 있고, 이는 단순히 수도요금을 계산하는데 머무르지 않고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 스마트 워터 미터링 데이터를 활용한 기술 중에는 수용가의 옥내 누수 여부를 판단하는 기술 등이 개발되기도 하였지만, 누수 유형 또는 부분까지 구체적으로 판단하는 기술이 개발되지 않아 여전히 직접 방문하여 이를 확인할 수 밖에 없었고, 이에 따른 인력, 장비, 시간, 비용 등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4986호(2012.12.24, 옥내 누수감지 정보를 제공하는 원격검침시스템과 옥내 누수판단 제어방법)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스마트 워터 미터링 데이터를 활용하여 수용가의 누수 여부뿐만 아니라 누수 유형 또는 부분까지 판단할 수 있는 옥내 누수 판단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용가에 설치된 검침 단말기로부터 해당 수용가의 단위 시간당 수돗물 사용량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단위 시간당 수돗물 사용량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단위 시간당 수돗물 사용량 데이터를 기초로 시간 대비 단위 시간당 수돗물 사용량을 나타내는 꺾은선그래프를 생성하는 그래프생성부; 상기 꺾은선그래프에서 해당 수용가의 단위 시간당 수돗물 사용량이 기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전부 영(zero)보다 크면 해당 수용가에 누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누수여부판단부; 및 상기 꺾은선그래프에서 누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시간 동안의 그래프 하부 영역의 형상을 기초로 누수 유형 또는 부분을 판단하는 누수유형판단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워터 미터링 데이터를 활용한 수용가의 옥내 누수 판단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누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수용가의 실제 누수 점검 결과가 저장되고, 상기 누수유형판단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점검 결과를 기초로 누수 유형 또는 부분별 그래프 하부 영역의 형상을 머신 러닝에 의해 학습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프 하부 영역은 기 설정된 제2 시간마다 단위 시간당 수돗물 사용량이 가장 낮은 점을 연결한 지표 선을 포함하고, 상기 누수유형판단부는 상기 지표 선을 기초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누수유형판단부는, 상기 지표 선의 높이가 누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시간 초기부터 기 설정된 오차 범위 내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면 변기 누수 또는 미세 누수로 판단하고, 상기 지표 선의 높이가 누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시간 초기부터 점차 증가하면 내부 배관 누수로 판단하고, 상기 지표 선의 높이가 누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시간 초기에 급격하게 증가한 후 완만하게 감소하면 외부 노출 배관 누수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수용가에 누수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누수 유형 또는 부분까지 판단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옥내 누수 판단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그래프생성부에서 생성한 꺾은선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9는 도 2 내지 도 5의 꺾은선그래프에서 그래프 하부 영역의 형상 판단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명백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볼 것이지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는 것으로 볼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된 경우, 해당 부분은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 "상"으로 기재된 경우, 해당 구성요소의 위 또는 아래를 의미하고,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해당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해당 구성요소가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용어는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옥내 누수 판단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옥내 누수 판단 시스템(10)은 스마트 워터 미터링 데이터를 활용하여 수용가(20)의 옥내 누수 상황을 판단하는 시스템으로서, 수신부(100), 데이터베이스(200), 그래프생성부(300), 누수여부판단부(400) 및 누수유형판단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워터 미터링 데이터는 스마트 워터 미터링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예를 들어 수용가(20)의 단위 시간당 수돗물 사용량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고, 스마트 워터 미터링 시스템은 수용가(20)의 수도 계량기(21)에서 단위 시간당 측정된 수돗물 사용량을 유선 또는 무선 송출하는 검침 단말기(2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100)는 수용가(20)에 설치된 검침 단말기(23)로부터 해당 수용가(20)의 단위 시간당 수돗물 사용량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침 단말기(23)는 1시간마다 1시간 동안 사용한 수돗물 사용량 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00)에는 수신부(100)에서 수신한 단위 시간당 수돗물 사용량 데이터가 수용가(20)별로 구분되어 시간 흐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그래프생성부(300)는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단위 시간당 수돗물 사용량 데이터를 기초로 시간 대비 단위 시간당 수돗물 사용량을 나타내는 꺾은선그래프를 수용가(20)별로 구분하여 생성할 수 있다. 즉, 꺾은선그래프는 수용가(20)마다 하나씩 생성될 수 있다.
누수여부판단부(400)는 그래프생성부(300)에서 생성한 꺾은선그래프를 분석하여 해당 수용가(20)에서의 누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누수여부판단부(400)는 꺾은선그래프에서 해당 수용가(20)의 단위 시간당 수돗물 사용량이 기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전부 영(zero)보다 크면 해당 수용가(20)에서 누수가 발생할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시간은 수용가(20)에서 수돗물을 사용하지 않는 시간(예를 들어, 수면 시간 등)이 포함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시간은 수용가(20)의 종류(예를 들어, 가정, 음식점, 상점 등), 수돗물 소비 패턴 등을 고려하여 수용가(20)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간은 72시간일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누수유형판단부(500)는 누수여부판단부(400)에서 누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것을 전제로 누수 유형 또는 부분을 판단하되, 꺾은선그래프에서 누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시간 동안의 그래프 하부 영역의 형상을 기초로 누수 유형 또는 부분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그래프 하부 영역이란 누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시간 동안 꺾은선그래프와 그래프 가로축(단위 시간당 수돗물 사용량이 0인 수평선) 사이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본 출원인은 꺾은선그래프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시간 동안 그래프 하부 영역의 형상이 누수 유형 또는 부분에 따라 유사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본 발명은 이를 이용한 기술이라고 볼 수 있다.
누수유형판단부(500)의 판단 기준이 되는 누수 유형 또는 부분별 그래프 하부 영역의 형상은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에 의해 학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200)에는 누수여부판단부(400)에서 누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수용가(20)에 대한 실제 누수 점검 결과, 예를 들어 누수 유형 또는 부분을 실제 점검한 결과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누수유형판단부(500)는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점검 결과를 기초로 누수 유형 또는 부분별 그래프 하부 영역의 형상을 머신 러닝에 의해 학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누수유형판단부(500)는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꺾은선그래프에서 실제 누수 유형 또는 부분별로 그래프 하부 영역의 형상에 있어서 공통된 특징을 추출하여 판단 기준이 되는 형상을 결정하되, 판단 결과와 실제 점검 결과가 상이하면 이를 이용하여 판단 기준 형상을 보정할 수도 있다.
한편, 누수유형판단부(500)는 머신 러닝 시 그래프 하부 영역의 형상을 추출 내지 분석하기 위하여 공지의 이미지 분석 기술, 그래프 분석 기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그래프생성부에서 생성한 꺾은선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꺾은선그래프(a)에서 가로축과 세로축은 각각 검침 시간과 단위 시간당 수돗물 사용량을 의미할 수 있다.
먼저, 각각의 꺾은선그래프(a)에서 단위 시간당 수돗물 사용량이 제1 시간, 예를 들어 72시간 동안 전부 영(zero)보다 큰 시간 대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누수여부판단부(400)에서는 누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데, 이는 해당 수용가(20)에 대한 실제 누수 점검 결과에 따르면 올바르게 판단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각각의 꺾은선그래프(a)에서 누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시간 동안의 그래프 하부 영역(S)의 형상이 누수 유형 또는 부분별로 상이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5는 해당 수용가(20)에 대한 실제 누수 점검 결과 각각 변기 누수, 미세 누수, 내부 배관 누수, 외부 노출 배관 누수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된 수용가(20)의 꺾은선그래프(a)를 나타낸 것인데, 각각의 꺾은선그래프(a)에서 그래프 하부 영역(S)의 형상이 서로 상이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변기 누수는 변기수조의 물이 양변기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마개가 제대로 막지 못해 발생하는 누수를 의미할 수 있고, 미세 누수는 배관 등이 파열되지는 않았지만 균열이 생겨 수돗물이 스며 나오는 정도의 누수를 의미할 수 있으며, 내부 배관 누수는 해당 배관이 건물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부 충격이 아닌 배관 노후로 인한 배관 파열 시 발생하는 누수를 의미할 수 있고, 외부 노출 배관 누수는 해당 배관이 건물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외부 충격으로 인한 배관 파열 시 발생하는 누수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누수유형판단부(500)에서는 예를 들어 꺾은선그래프(a)의 그래프 하부 영역(S)의 높이가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면 변기 누수 또는 미세 누수로 판단할 수 있고, 도 4에서와 같이 점차 증가하면 내부 배관 누수로 판단할 수 있으며, 도 5에서와 같이 급격하게 증가한 후 이보다 완만하게 감소하면 외부 노출 배관 누수로 판단할 수 있고, 그래프 하부 영역(S)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느냐에 따라 변기 누수와 미세 누수를 구분할 수 있는데, 복수의 수용가(20)에 대한 실제 누수 점검 결과에 따르면 이러한 판단은 올바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꺾은선그래프(b)는 시간 대비 누적된 수돗물 사용량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상술한 꺾은선그래프(a)와 마찬가지로 그래프생성부(300)에 의해 생성될 수 있고, 누수유형판단부(500)의 누수 유형 또는 부분의 판단 정확성을 향상시키는데 활용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도 2 내지 도 5의 꺾은선그래프에서 그래프 하부 영역의 형상 판단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누수유형판단부(500)는 그래프 하부 영역(S)의 형상에 있어서 공통된 특징을 추출하기 위하여 지표 선(L)을 정의하고 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지표 선(L)은 그래프 하부 영역(S) 내에 포함되거나 경계를 이룰 수도 있다.
지표 선(L)은 누수량을 나타낼 수 있는 선을 의미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제2 시간마다 단위 시간당 수돗물 사용량이 가장 낮은 점을 연결한 선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제2 시간은 제1 시간과 동일하게 72시간일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지표 선(L)을 참조하게 되면 시간 흐름에 따른 누수량의 변화 추이를 알 수 있다.
누수유형판단부(500)는 예를 들어 지표 선(L)의 높이가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누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시간 초기부터 기 설정된 오차 범위 내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면 변기 누수 또는 미세 누수로 판단할 수 있고, 도 8에서와 같이 누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시간 초기부터 점차 증가하면 내부 배관 누수로 판단할 수 있으며, 도 9에서와 같이 누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시간 초기에 급격하게 증가한 후 이보다 완만하게 감소하면 외부 노출 배관 누수로 판단할 수 있다. 도 9의 경우, 감소 속도는 증가 속도보다 작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실시 예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옥내 누수 판단 시스템 20: 수용가
21: 수도 계량기 23: 검침 단말기
100: 수신부 200: 데이터베이스
300: 그래프생성부 400: 누수여부판단부
500: 누수유형판단부

Claims (4)

  1. 수용가에 설치된 검침 단말기로부터 해당 수용가의 단위 시간당 수돗물 사용량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단위 시간당 수돗물 사용량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단위 시간당 수돗물 사용량 데이터를 기초로 시간 대비 단위 시간당 수돗물 사용량을 나타내는 꺾은선그래프를 생성하는 그래프생성부;
    상기 꺾은선그래프에서 해당 수용가의 단위 시간당 수돗물 사용량이 기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전부 영(zero)보다 크면 해당 수용가에 누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누수여부판단부; 및
    상기 꺾은선그래프에서 누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시간 동안의 그래프 하부 영역의 형상을 기초로 누수 유형 또는 부분을 판단하는 누수유형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누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수용가의 실제 누수 점검 결과가 저장되고,
    상기 누수유형판단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점검 결과를 기초로 누수 유형 또는 부분별 그래프 하부 영역의 형상을 머신 러닝에 의해 학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터 미터링 데이터를 활용한 수용가의 옥내 누수 판단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 하부 영역은 기 설정된 제2 시간마다 단위 시간당 수돗물 사용량이 가장 낮은 점을 연결한 지표 선을 포함하고,
    상기 누수유형판단부는 상기 지표 선을 기초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터 미터링 데이터를 활용한 수용가의 옥내 누수 판단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유형판단부는, 상기 지표 선의 높이가 누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시간 초기부터 기 설정된 오차 범위 내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면 변기 누수 또는 미세 누수로 판단하고, 상기 지표 선의 높이가 누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시간 초기부터 점차 증가하면 내부 배관 누수로 판단하고, 상기 지표 선의 높이가 누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시간 초기에 급격하게 증가한 후 완만하게 감소하면 외부 노출 배관 누수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워터 미터링 데이터를 활용한 수용가의 옥내 누수 판단 시스템.
KR1020210006181A 2020-11-25 2021-01-15 스마트 워터 미터링 데이터를 활용한 수용가의 옥내 누수 판단 시스템 KR102305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12163 WO2022114471A1 (ko) 2020-11-25 2021-09-07 스마트 워터 미터링 데이터를 활용한 수용가의 옥내 누수 판단 시스템
CN202180028021.2A CN115380314B (zh) 2020-11-25 2021-09-07 利用智能水表数据的用户室内漏水判断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434 2020-11-25
KR20200159434 2020-1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5545B1 true KR102305545B1 (ko) 2021-09-27
KR102305545B9 KR102305545B9 (ko) 2022-04-15

Family

ID=77925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181A KR102305545B1 (ko) 2020-11-25 2021-01-15 스마트 워터 미터링 데이터를 활용한 수용가의 옥내 누수 판단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305545B1 (ko)
CN (1) CN115380314B (ko)
WO (1) WO2022114471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0320A1 (ko) * 2021-11-02 2023-05-11 주식회사 토이코스 다차원 데이터를 이용한 옥내 누수 탐지 및 유형 구분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634639B1 (ko) * 2023-06-21 2024-02-07 (주)아이티브레인 클러스터링 기반의 누수 또는 누출 판단이 가능한 스마트 ami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되는 운영 서버
KR102634638B1 (ko) * 2023-06-21 2024-02-07 (주)아이티브레인 인공지능 기반의 누수 또는 누출 판단이 가능한 스마트 ami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되는 운영 서버
KR102634636B1 (ko) * 2023-08-11 2024-02-07 (주)아이티브레인 수질 센서를 탑재한 스마트 ami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되는운영 서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986B1 (ko) 2012-08-10 2012-12-24 주식회사 하이텍이피씨 옥내 누수감지 정보를 제공하는 원격검침시스템과 옥내 누수판단 제어방법
KR101812589B1 (ko) * 2017-03-02 2017-12-27 (주)이피에스이앤이 상수도 수용가의 검침데이터를 활용한 옥내누수 진단 방법 및 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0625B2 (ja) * 2004-05-20 2009-12-24 株式会社鷺宮製作所 漏水監視装置
KR100920502B1 (ko) * 2009-03-26 2009-10-08 (주) 그린텍아이엔씨 다중 상태의 통합 누수 산정 엔진을 적용한 누수 분석 방법및 시스템
KR101082817B1 (ko) * 2010-04-20 2011-11-18 (주)모리트 방향성 그래프를 이용한 상수도 운영관리 시스템
JP2011252867A (ja) * 2010-06-03 2011-12-15 H & M Associate Bill Co Ltd 漏水判断システムおよび漏水判断方法
CN103453323B (zh) * 2013-08-26 2015-06-17 朱振 管网漏水主动监测及定位系统及其方法
KR101648272B1 (ko) * 2014-12-24 2016-08-1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복합 이벤트 처리와 기계학습 기반의 가정별 물 수요량 예측 및 누수 탐지방법
CN205405824U (zh) * 2016-02-29 2016-07-27 浙江交通职业技术学院 基于无线网络的漏水检测报警系统
CN207881777U (zh) * 2018-02-24 2018-09-18 浙江恩沃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水表系统
CN208141514U (zh) * 2018-05-28 2018-11-23 合肥星联网水表铸造有限公司 智能无线分体式水表
CN109186888B (zh) * 2018-08-30 2021-03-16 深圳奇迹智慧网络有限公司 一种自来水管漏水监测的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211576487U (zh) * 2019-11-14 2020-09-25 上海宝冶冶金工程有限公司 漏水检测装置
CN111006137B (zh) * 2019-12-18 2021-12-17 北京无线电计量测试研究所 一种供水管线漏损监测与泄漏定位方法及系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986B1 (ko) 2012-08-10 2012-12-24 주식회사 하이텍이피씨 옥내 누수감지 정보를 제공하는 원격검침시스템과 옥내 누수판단 제어방법
KR101812589B1 (ko) * 2017-03-02 2017-12-27 (주)이피에스이앤이 상수도 수용가의 검침데이터를 활용한 옥내누수 진단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0320A1 (ko) * 2021-11-02 2023-05-11 주식회사 토이코스 다차원 데이터를 이용한 옥내 누수 탐지 및 유형 구분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634639B1 (ko) * 2023-06-21 2024-02-07 (주)아이티브레인 클러스터링 기반의 누수 또는 누출 판단이 가능한 스마트 ami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되는 운영 서버
KR102634638B1 (ko) * 2023-06-21 2024-02-07 (주)아이티브레인 인공지능 기반의 누수 또는 누출 판단이 가능한 스마트 ami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되는 운영 서버
KR102634636B1 (ko) * 2023-08-11 2024-02-07 (주)아이티브레인 수질 센서를 탑재한 스마트 ami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되는운영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380314B (zh) 2023-08-01
CN115380314A (zh) 2022-11-22
WO2022114471A1 (ko) 2022-06-02
KR102305545B9 (ko) 2022-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5545B1 (ko) 스마트 워터 미터링 데이터를 활용한 수용가의 옥내 누수 판단 시스템
US9441988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likely geographical locations of anomalies in a water utility network
Jung et al. Water distribution system burst detection using a nonlinear Kalman filter
Palau et al. Burst detection in water networks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US112806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del-based leak detection of a pipe network
Walski Model calibration data: the good, the bad, and the useless
Romano et al. Statistical process control based system for approximate location of pipe bursts and leaks in water distribution systems
CN110274669B (zh) 一种大口径电子水表在线检定方法
KR101812589B1 (ko) 상수도 수용가의 검침데이터를 활용한 옥내누수 진단 방법 및 그 시스템
Min et al. Detecting and localizing leakages in water distribution systems using a two-phase model
Sophocleous et al. Leak detection and localization based on search space reduction and hydraulic modelling
Arregui et al. Proposal of a systematic methodology to estimate apparent losses due to water meter inaccuracies
Jun et al. Comparison of AMI and SCADA systems for leak detection and localization in water distribution networks
JP3901159B2 (ja) ガス配管漏洩監視装置
CN108603669B (zh) 家用热水使用的检测与量化
EP0918230A1 (en) Method for finding errors of measurement in an energy distribution system
KR102493362B1 (ko) Ai를 이용한 상수도 실시간 사고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20254B1 (ko) 전자식계량기의 봉인시스템 및 그 방법
Lee et al. Detectability-Based Resilience of Water Distribution System Using Failure Finger Print:(178)
Valderrama et al. Experience in the Application of Methodology for Determination of Optimal Water Head Pressure in Water Distribution Networks
CN116929503A (zh) 一种天然气流量标准装置的计量性能实时核查方法
Meyer et al. Interpretation of Logging Results as a Water Network Problem-Solving Tool
KR20230121641A (ko) 누수 탐지 방법 및 장치
Johnson Estimating uncertainty of flow measurement for the in-situ calibration of large water meters
McMordie Stoughton et al. Water Meter Measurement and Verification Best Pract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