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9314B1 - 열가소성 수지 필름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9314B1
KR102419314B1 KR1020150126881A KR20150126881A KR102419314B1 KR 102419314 B1 KR102419314 B1 KR 102419314B1 KR 1020150126881 A KR1020150126881 A KR 1020150126881A KR 20150126881 A KR20150126881 A KR 20150126881A KR 102419314 B1 KR102419314 B1 KR 102419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film
monomer unit
thermoplastic resin
polar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6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1418A (ko
Inventor
사토시 아카이시
가츠미 아카다
다카유키 시라이시
임대균
김동휘
아야노 진노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579726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41931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31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1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Abstract

[과제] 내열성이 우수하여, 고온 환경에서 수축되기 어려우며, 또한 연신에 의해 파단되기 어려운, 편광자의 보호 필름에 적합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제공하는 것.
[해결수단]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 및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수지 (A)와,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고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지 않는 수지 (B)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서,
수지 (A)가, 수지 (A)를 구성하는 모든 단량체 단위 100 중량%에 대하여,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이 50 중량% 이상인 수지이고,
수지 (B)가, 수지 (B)를 구성하는 모든 단량체 단위 100 중량%에 대하여,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이 50 중량% 이상인 수지이며,
수지 (A) 내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WA)에 대한 수지 (B)의 중량(WB)의 비(WB/WA)가 1보다 큰 열가소성 수지 필름.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 필름{THERMOPLASTIC RESIN FILM}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관한 것이며, 그것을 연신하여 이루어지는 연신 필름 및 편광자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액정 표시 장치는 통상, 편광판을 갖추고 있고, 편광판으로서 통상,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되어 있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편광자를 보호하기 위한 편광자 보호 필름이 배치된 것이 이용되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예컨대, 자동차의 차 실내 등의 고온 환경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자주 있고, 편광자는 고온 환경에서 수축되기 쉬운 성질이 있기 때문에, 내열성이 우수하면서 또한 편광자의 수축을 억제하도록 고온 환경에서 수축되기 어려운 편광자 보호 필름이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그대로 또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연신하여 이루어지는 연신 필름이 이용된다. 특허문헌 1에는, (메트)아크릴산 단량체 단위, 비닐 방향족 단량체 단위 및 락톤환 단량체 단위를 갖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연신하여 이루어지는 연신 필름을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지만,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연신에 의해 파단되기 쉬운 경우가 있어, 연신시의 핸들링성에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7-63541호 공보
본 발명자들은, 내열성이 우수하여, 고온 환경에서 수축되기 어려우며, 또한 연신에 의해 파단되기 어려운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제공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다음을 포함한다.
[1]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 및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수지 (A)와,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고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지 않는 수지 (B)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서,
수지 (A)가, 수지 (A)를 구성하는 모든 단량체 단위 100 중량%에 대하여,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이 50 중량% 이상인 수지이고,
수지 (B)가, 수지 (B)를 구성하는 모든 단량체 단위 100 중량%에 대하여,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이 50 중량% 이상인 수지이며,
수지 (A) 내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WA)에 대한 수지 (B)의 중량(WB)의 비(WB/WA)가 1보다 큰 열가소성 수지 필름.
[2] 상기 수지 조성물은, 고무 탄성체 입자를 추가로 함유하는 [1]에 기재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
[3] 수지 (A)가 환상 산무수물 단량체 단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수지 조성물의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melt mass flow rate)가 1.2 g/10 min 이상인 [1] 또는 [2]에 기재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
[4] [1]∼[3]에 기재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연신하여 얻어지는 연신 필름.
[5] [1]∼[3]에 기재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 또는 [4]에 기재한 연신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편광자 보호 필름.
[6]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5]에 기재의 편광자 보호 필름이 배치된 편광판.
본 발명에 따르면, 내열성이 우수하여, 고온 환경에서 수축되기 어려우며 또 연신에 의해 파단되기 어려운 열가소성 수지 필름 및 그것을 연신하여 이루어지는 연신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 또는 연신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편광자 보호 필름을 제공하고, 또한 편광자의 한쪽의 면에 이 편광자 보호 필름이 배치된 편광판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 설명도이다.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이 수지 조성물은,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 및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수지 (A)와,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고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지 않는 수지 (B)를 함유하는 것이다.
〔수지 (A)〕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수지 (A)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 및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이다.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로부터 유도되는 단량체 단위이다.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로서는, 예컨대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n-프로필, 메타크릴산이소프로필, 메타크릴산n-부틸, 메타크릴산이소부틸, 메타크릴산tert-부틸, 메타크릴산2-에틸헥실,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등의 메타크릴산의 탄소수 1∼8의 알킬 또는 시클로알킬에스테르 단량체를 들 수 있다. 2종 이상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를 조합시켜 이용하여도 좋다. 그 중에서도, 메타크릴산의 탄소수 1∼7의 알킬에스테르 단량체가 바람직하고, 수지 (A)의 내열성이나 투명성의 점에서, 메타크릴산메틸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 (A) 내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수지 (A)를 구성하는 모든 단량체 단위 100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 중량%∼40 중량%이며, 수지 (A)의 투명성의 점에서, 5 중량%∼35 중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10 중량%∼30 중량%가 더욱 바람직하고, 15 중량%∼25 중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로부터 유도되는 단량체 단위이다. 본 명세서에서, 방향족 비닐 단량체는, 방향환에 무치환 비닐기 또는 치환 비닐기가 결합한 구조를 갖춘 단량체를 의미한다.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의 구체예로서는, 하기 식 (1)
Figure 112015087160473-pat00001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히드록실기, 알콕시기, 니트로기 또는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n은 1∼3의 정수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단량체 단위를 들 수 있다.
식 (1)에서의 할로겐 원자로서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및 브롬 원자를 들 수 있다. 탄소수 1∼12의 알킬기로서는, 예컨대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2-에틸헥실기 등의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들 수 있으며, 탄소수 1∼4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메틸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R1은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R2는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이고, n은 바람직하게는 1이다. R1 및 R2는 상호 동일하여도 좋고, 다르더라도 좋다.
방향족 비닐 단량체로서는, 예컨대 스티렌, 2-메틸스티렌, 3-메틸스티렌, 4-메틸스티렌, 2,4-디메틸스티렌, 2,5-디메틸스티렌, 2-메틸-4-클로로스티렌, 2,4,6-트리메틸스티렌, α-메틸스티렌, cis-β-메틸스티렌, trans-β-메틸스티렌, 4-메틸-α-메틸스티렌, 4-플루오로-α-메틸스티렌, 4-클로로-α-메틸스티렌, 4-브로모-α-메틸스티렌, 4-tert-부틸스티렌, 2-플루오로스티렌, 3-플루오로스티렌, 4-플루오로스티렌, 2,4-디플루오로스티렌, 2-클로로스티렌, 3-클로로스티렌, 4-클로로스티렌, 2,4-디클로로스티렌, 2,6-디클로로스티렌, 2-브로모스티렌, 3-브로모스티렌, 4-브로모스티렌, 2,4-디브로모스티렌, α-브로모스티렌, β-브로모스티렌, 2-히드록시스티렌 및 4-히드록시스티렌 등을 들 수 있고, 스티렌 및 α-메틸스티렌이 바람직하다. 2종 이상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를 조합시켜 이용하여도 좋다.
수지 (A) 내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수지 (A)를 구성하는 모든 단량체 단위 100 중량%에 대하여, 50 중량% 이상이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이러한 수지 (A)를 포함하기 때문에, 고온 환경에서의 치수 안정성의 점에서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 된다. 수지 (A) 내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투명성, 내열성 및 고온 환경에서의 치수 안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0 중량%∼80 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중량%∼75 중량%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중량%∼70 중량%이다.
수지 (A)는, 바람직하게는 환상 산무수물 단량체 단위를 포함한다. 환상 산무수물 단량체 단위는 환상 산무수물 단량체로부터 유도된다. 환상 산무수물 단량체 단위의 구체예로서는, 하기 식 (2)
Figure 112015087160473-pat00002
(식에서,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탄소수 1∼12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환상 산무수물 단량체 단위를 들 수 있다.
식 (2)에 서의 할로겐 원자 및 탄소수 1∼12의 알킬기로서는, 각각 식 (1)에서 상기한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R3 및 R4는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이다. R3 및 R4는 상호 동일하여도 좋고 다르더라도 좋다.
환상 산무수물 단량체로서는, 예컨대 무수말레산, 무수시트라콘산, 디메틸무수말레산, 디클로로무수말레산, 브로모무수말레산, 디브로모무수말레산, 페닐무수말레산 및 디페닐무수말레산을 들 수 있고, 무수말레산이 바람직하다. 2종 이상의 환상 산무수물 단량체를 조합시켜 이용하여도 좋다.
수지 (A) 내의 환상 산무수물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수지 (A)를 구성하는 모든 단량체 단위 100 중량%에 대하여, 수지 (A)의 투명성 및 내열성의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 중량%∼30 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중량%∼25 중량%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중량%∼20 중량%이다.
수지 (A)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한, 상술한 단량체 단위, 즉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 및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 그리고 환상 산무수물 단량체 단위 이외의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여도 좋다. 상술한 단량체 단위 이외의 단량체 단위는, 상술한 단량체 단위를 유도하는 단량체 중 적어도 1종의 단량체와 공중합할 수 있는 단량체로부터 유도되는 단량체 단위면 되며,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3종의 단량체 단위를 유도하는 단량체 전부와 공중합할 수 있는 단량체로부터 유도되는 단량체 단위이다. 상술한 단량체 단위 이외의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수지 (A)를 구성하는 모든 단량체 단위 100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이다.
수지 (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성형시 또는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연신시의 필름의 핸들링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90,000∼300,0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0∼250,0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000∼200,000이다.
수지 (A)는, 각각의 단량체를, 괴상중합법, 용액중합법, 유화중합법, 현탁중합법, 주형중합법 등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 중합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고, 단량체의 사용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수지 (A) 내의 각각의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을 조정할 수 있다.
〔수지 (B)〕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수지 (B)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고,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지 않는 수지이다.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를 유도하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로서는, 수지 (A)에서 상기한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메타크릴산메틸이 바람직하다. 2종 이상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여도 좋다.
수지 (A) 내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와, 수지 (B) 내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B) 내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수지 (B)를 구성하는 모든 단량체 단위 100 중량%에 대하여, 50 중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중량%이다.
수지 (B)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지 않는 수지, 즉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이 0(제로) 중량%인 수지이지만,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 및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가 아닌 다른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여도 좋다. 다른 단량체로서는, 예컨대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부틸, 아크릴산시클로헥실, 아크릴산페닐, 아크릴산벤질, 아크릴산2-에틸헥실,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등의 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스티렌, 비닐톨루엔, α-메틸스티렌, 클로로스티렌, 브로모스티렌 등의 무치환 또는 치환 스티렌 단량체;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
무수말레산 등의 환상 산무수물 단량체;
페닐말레이미드, 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등의 환상 이미드 단량체를 들 수 있고, 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가 바람직하다.
수지 (B)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성형시 또는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연신시의 필름의 핸들링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90,000∼300,0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0∼250,0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000∼200,000이다.
수지 (B)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및 필요에 따라서 다른 단량체를, 괴상중합법, 용액중합법, 유화중합법, 현탁중합법, 주형중합법 등의 공지된 방법으로 중합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필름〕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수지 (A)와 수지 (B)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수지 (A) 내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WA)에 대한 수지 (B)의 중량(WB)의 비(WB/WA)가 1보다 큰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WB/WA가 1보다 크기 때문에, 연신시의 파단이 발생하기 어려운, 핸들링성이 양호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 된다. 비(WB/WA)는 1.5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통상은 30 이하이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내에 있어서의 수지 (A) 및 수지 (B)의 함유량은, 수지 (A) 내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WA)에 따라서 상기 비(WB/WA)를 만족하도록 적절하게 선택되는데, 예컨대 수지 (A) 및 수지 (B)의 합계량 100 중량부에 대한 수지 (A)의 함유량은, 통상 10 중량부∼8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 중량부∼75 중량부이며, 수지 (B)의 함유량은, 통상 20 중량부∼9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5 중량부∼80 중량부이다.
수지 조성물은, 수지 (A) 및 수지 (B)에 더하여 고무 탄성체 입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고무 탄성체 입자로서는, 시판되는 고무 탄성체 입자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다우케미컬사에서 판매하고 있는 「파라로이드TM」 EXL 시리즈, 가부시키가이샤 카네카에서 판매하고 있는 「카네에이스(등록상표)」 시리즈, 미쓰비시 레이온 가부시키가이샤에서 판매하고 있는 「메타브렌」 C 시리즈, E 시리즈, W 시리즈, S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고무 탄성체 입자의 입자경은, 예컨대 50 nm∼0.8 ㎛, 바람직하게는 0.1 ㎛∼0.5 ㎛이다. 고무 탄성체 입자의 입자경이 50 nm 미만이면, 수지 조성물을 필름으로 가공할 때 등에, 그 유동성이 저하하기 쉽다. 입자경이 0.8 ㎛를 넘으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부 헤이즈가 높아지기 쉽다. 고무 탄성체 입자의 입자경은, 전자현미경의 관찰에 의해 수평균 분자량으로서 측정할 수 있다.
고무 탄성체 입자의 함유량은, 수지 (A) 및 수지 (B)의 합계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2 중량부∼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중량부∼35 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수지 (A) 내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WA)에 따라서, 수지 (A)와 수지 (B)를, WB/WA가 1보다 커지도록 배합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은 후, 예컨대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수지 조성물을 용융압출성형법에 의해 필름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수지 조성물을, 용액유연제막법이나 열프레스법 등에 의해 필름화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도 있다. 그 중에서도, 용융압출성형법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압출성형법에 의해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해서, 이하 설명을 더 한다. 수지 (A)와 수지 (B)를 WB/WA가 1보다 커지도록 배합하고, 필요에 따라서, 후술하는 다른 성분을 가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고, 이어서,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일축 혹은 이축의 압출기에 의해 용융 혼련하고, 그리고, T 다이로부터 연속적으로 용융 수지를 필름형으로 압출하고, 또한, 압출된 필름형의 용융 수지를, 한 쌍의 표면이 평활한 냉각 롤(제1 냉각 롤 및 제2 냉각 롤) 사이에 끼워넣고, 필요에 따라서 또 제3 냉각 롤에 감아, 성형·냉각함으로써, 미연신 상태로 장척형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수지 (A), 수지 (B) 및 다른 성분의 배합 방법은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방법에 의해 배합하면 되며, 수퍼 믹서나 벤버리 믹서를 이용하여도 좋고, 일축 혹은 이축의 압출기로 용융 혼련하여도 좋고, 이들을 조합시켜 배합하여도 좋다. 또한, 제1 냉각 롤, 제2 냉각 롤 및 제3 냉각 롤은, 금속 롤 또는 금속 탄성 롤로 구성하여도 좋고, 금속 롤과 금속 탄성 롤을 조합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수지 (A) 및 수지 (B)를 함유하고, 또한 고무 탄성체 입자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인 경우에는, 수지 (A), 수지 (B) 및 고무 탄성체 입자를 배합하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얻은 후, 상기와 같이 용융압출성형법에 의해 필름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용액유연성막법, 열프레스법 등에 의해 필름화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용융압출성형법이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수지 (A) 및 수지 (B)를 함유하고, 또한 고무 탄성체 입자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인 경우에, 용융압출성형법에 의해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해서, 이하 설명을 더 한다. 수지 (A)와 수지 (B)와 고무 탄성체 입자를 WB/WA가 1보다 커지도록 배합하고, 필요에 따라서, 후술하는 다른 성분을 가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고, 이어서,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일축 혹은 이축의 압출기에 의해 용융 혼련하고, 그리고, T 다이로부터 연속적으로 용융 수지를 필름형으로 압출하고, 또한 압출된 필름형의 용융 수지를, 한 쌍의 표면이 평활한 냉각 롤(제1 냉각 롤 및 제2 냉각 롤) 사이에 끼워넣고, 필요에 따라서 또 제3 냉각 롤에 감아, 성형·냉각함으로써, 미연신 상태에서 장척형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수지 (A), 수지 (B), 고무 탄성체 입자 및 다른 성분의 배합 방법은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방법에 의해 배합하면 되며, 수퍼 믹서나 벤버리 믹서를 이용하여도 좋고, 일축 혹은 이축의 압출기로 용융 혼련하여도 좋고, 이들을 조합시켜 배합하여도 좋다. 또한, 제1 냉각 롤, 제2 냉각 롤 및 제3 냉각 롤은, 금속 롤 또는 금속 탄성 롤로 구성하여도 좋고, 금속 롤과 금속 탄성 롤을 조합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수지 (A) 및 수지 (B) 이외의 다른 성분을 포함하여도 좋다. 다른 성분으로서는, 광확산제, 무광택제, 염료, 광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이형제, 난연제, 대전방지제 및 그 밖의 수지(수지 (A) 및 수지 (B) 이외의 수지)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파장 200∼320 nm에 흡수 극대를 갖는 자외선 흡수제(이하, 자외선 흡수제 X라고 함), 파장 320∼400 nm에 흡수 극대를 갖는 자외선 흡수제(이하, 자외선 흡수제 Y라고 함)를 포함한다.
자외선 흡수제 X로서는, 파장 200∼320 nm에 흡수 극대를 갖는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파장 200∼320 nm에 흡수 극대를 갖는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파장 200∼320 nm에 흡수 극대를 갖는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파장 200∼320 nm에 흡수 극대를 갖는 벤조에이트계 자외선 흡수제 및 파장 200∼320 nm에 흡수 극대를 갖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자외선 흡수제를 예로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 X로서는, 예컨대
2,4-디페닐-6-(2-히드록시-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디페닐-6-(2-히드록시-4-에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디페닐-(2-히드록시-4-프로폭시페닐)-1,3,5-트리아진, 2,4-디페닐-(2-히드록시-4-부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디페닐-6-(2-히드록시-4-부톡시페닐)-1,3,5-트리아진, 2,6-디페닐-4-(2-히드록시-4-헥실옥시페닐)-1,3,5-트리아진, 2,4-디페닐-6-(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1,3,5-트리아진, 2,4-디페닐-6-(2-히드록시-4-도데실옥시페닐)-1,3,5-트리아진, 2,4-디페닐-6-(2-히드록시-4-벤질옥시페닐)-1,3,5-트리아진, 2,4-비스(2,4-디메틸페닐)-6-(2-히드록시-4-N-옥틸옥시페닐)-1,3,5-트리아진,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2-(2-에틸헥사노일옥시)에톡시)페놀,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n-옥틸옥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도데실옥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옥타데실옥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2-(2-히드록시-3,5-디-tert-펜틸페닐)벤조트리아졸,
2,4-디-tert-부틸페닐 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2,6-디-tert-부틸페닐 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n-헥사데실 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n-옥타데실 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2-에틸헥실 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레이트 및 에틸 2-시아노-3-(3,4-메틸렌디옥시페닐)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 Y로서는, 파장 320∼400 nm에 흡수 극대를 갖는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파장 320∼400 nm에 흡수 극대를 갖는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및 파장 320∼400 nm에 흡수 극대를 갖는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를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 Y로서는, 예컨대
2,4,6-트리스(2-히드록시-4-헥실옥시-3-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er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tert-부틸-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ert-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3,4,5,6-테트라히드로프탈이미드메틸)-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2H-벤조트리아졸-2-일)페놀), 2-(2-히드록시-3-ter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및 2-(2-히드록시-3,5-디-tert-아밀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2종 이상의 자외선 흡수제 X를 조합시켜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의 자외선 흡수제 Y를 조합시켜 이용하여도 좋다. 유사 구조를 갖는 자외선 흡수제 X와 자외선 흡수제 Y를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좋고, 유사 구조를 갖지 않는 자외선 흡수제 X와 자외선 흡수제 Y를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필름 성형시의 증산물에 의한 성형기 주위의 오염이 적고 또한 자외선 흡수 능력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얻을 수 있다고 하는 점에서, 용융 압출 성형시에 증발 비산하기 쉬운 자외선 흡수제와 용융 압출 성형시에 증발 비산하기 어려운 자외선 흡수제를 조합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 X 및 Y는, 분자량이 각각 500∼1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550∼7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 X 및 Y의 분자량이 너무 작으면, 편광자 보호 필름의 성형 중에 증발 비산하기 쉽고, 분자량이 너무 크면, 열가소성 수지와의 상용성이 저하하기 쉽다.
자외선 흡수제 X 및 Y는, 흡수 극대 파장에서의 몰 흡광 계수가, 각각 10 L/mol·c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L/mol·c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 X 및 Y의 흡수 극대 파장에서의 몰 흡광 계수가, 각각 상기 소정의 범위임으로써, 편광자 보호 필름의 자외선 흡수능은 보다 우수하는 것으로 되고, 또한, 편광자 보호 필름에의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을 적게 할 수 있다.
시판되는 자외선 흡수제를 사용하여도 좋다. 시판되는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컨대 케미프로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Kemisorb 102」(2,4-비스(2,4-디메틸페닐)-6-(2-히드록시-4-N-옥틸옥시페닐)-1,3,5-트리아진), 가부시키가이샤 ADEKA 제조의 「아데카스타브 LAF70」(2,4,6-트리스(2-히드록시-4-헥실옥시-3-메틸페닐)-1,3,5-트리아진), 「아데카스타브 LA46」(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2-(2-에틸헥사노일옥시)에톡시)페놀) 및 BASF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치누빈 1577」(2,4-디페닐-6-(2-히드록시-4-헥실옥시페닐)-1,3,5-트리아진) 등을 들 수 있다.
시판되는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컨대 가부시키가이샤 ADEKA 제조의 「아데카스타브 LA31」(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2H-벤조트리아졸-2-일)페놀), 케미프로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Kemisorb 279」(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2H-벤조트리아졸-2-일)페놀) 및 스미카켐텍스 가부시키가이샤의 「스미소브 200」(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수지 (A)와 수지 (B)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는, 100℃ 이상이 바람직하고, 11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통상은 180℃ 이하이다. 유리 전이 온도는, JIS K7121:1987에 따라서, 시차 주사 열량 측정에 의해 가열 속도 10℃/분으로 구하는 보외(補外) 유리 전이 중간 온도를 의미한다.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가 100℃보다도 낮으면, 열가소성 필름을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이용한 경우에, 고온 환경에 있어서 편광자의 수축을 억제하기 어렵게 되어, 편광판이 변형되거나, 편광자 보호 필름이 편광자로부터 박리되기 쉽게 되는 경우가 있다.
수지 조성물의 230℃, 37.3 N에 있어서의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MFR)는, 0.8 g/10 min∼10 g/10 min인 것이 바람직하고, 0.9 g/10 min∼8 g/10 min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g/10 min∼6 g/10 min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MFR가 이 범위보다도 크면, 용융 압출 성형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제조할 때에, 용융된 수지 조성물의 토출량의 안정성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MFR가 이 범위보다도 작으면, 용융 압출 성형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제조할 때에, 용융된 수지 조성물이 T 다이 내에서 균일하게 퍼지지 않아,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두께 정밀도가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MFR는, 측정 온도 230℃, 하중 37.3 N의 조건으로 JIS K7210에 따라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수지 (A)로서, 환상 산무수물 단량체 단위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이용한 경우에, MFR가 1.2 g/10 min 이상인 것이, 용융 혼련시에 환상 산무수물 단량체 단위에 기인하는 기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1000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500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300 ㎛이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필름의 두께 40 ㎛로 환산한 파장 260 nm 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바람직하게는 2% 이하이며, 필름의 두께 40 ㎛로 환산한 파장 380 nm에서의 광선 투과율이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단층 구성의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한, 2층 이상의 다층 구성의 필름이라도 좋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다층 구성의 필름인 경우, 각 층은 동일한 조성의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다른 조성의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다른 조성의 수지 조성물이란, 함유하는 수지의 종류가 다른 것, 수지의 종류는 동일하지만 각 수지의 함유량이 다른 것, 수지의 종류나 함유량은 동일하지만 그 밖의 성분이 다른 것 등, 어느 경우나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연신 필름〕
본 발명의 연신 필름은, 상기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연신하여 이루어지는 필름이다. 본 발명의 연신 필름은,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마찬가지로, 내열성이 우수하여, 고온 환경에서 수축하기 어렵고, 나아가서는, 연신되어 있으므로 기계적 강도도 우수하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연신하는 방법으로서는, 일축 연신하는 방법 및 이축 연신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이축 연신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축 연신하는 방법으로서는, 축차 이축연신법 및 동시 이축연신법을 들 수 있다. 연신 방향으로서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기계 유동 방향을 들 수 있고, 기계 유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및 기계 유동 방향에 사교(斜交)하는 방향도 들 수 있다. 연신 배율은 1.1∼3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계 유동 방향을 세로 방향이라고, 이 세로 방향의 연신을 세로 연신이라고 정의하고, 기계 유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가로 방향, 이 가로 방향의 연신을 가로 연신이라고 정의한다. 또한, 기계 유동 방향이란, 용융 압출 성형에 의해 장척형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에, 수지 조성물이 용융 상태에서 필름으로 제막되면서 반송되는 방향을 말한다.
본 발명의 연신 필름은,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도 좋으며, 표면 처리로서는 하드코트 처리, 방현 처리 및 방오 처리를 들 수 있다.
〔편광자 보호 필름〕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 및 본 발명의 연신 필름은, 모두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적합하다. 편광자 보호 필름은, 편광자의 한쪽의 면에 배치하여 편광자를 보호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필름이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 및 본 발명의 연신 필름은, 편광자 보호 필름 이외에, 창문이나 카포트 지붕재 등의 건축용 채광 부재, 차창 등의 차량용 채광 부재, 온실 등의 농업용 채광 부재, 조명 부재, 전면 필터 등의 디스플레이 부재 등에 적층하여도 좋고, 또한 데코레이션 필름으로서, 가전의 케이스, 차량 내장 부재, 내장용 건축 재료, 벽지, 화장판, 현관 도어, 창틀, 받침목 등에 적층하여도 좋다.
〔편광판〕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이 배치된 편광판이다. 편광자 보호 필름과 편광자는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자로서는 공지된 편광자를 들 수 있다. 편광자의 두께는 통상 5 ㎛∼40 ㎛이다.
편광자의 한쪽의 면에 편광자 보호 필름을 배치하는 경우, 다른 쪽의 면에는 투명 수지 필름을 배치하여도 좋다. 투명 수지 필름과 편광자는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수지 필름으로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아크릴계 수지 필름, 아크릴계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와의 적층 필름 및 올레핀계 수지 필름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과 편광자는 접착제로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에 앞서서, 접합면 중 적어도 한쪽에는,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조사 처리, 전자선 조사 처리 또는 그 밖의 표면 활성화 처리를 실시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은,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고,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지 않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편광자 보호 필름과 비교하여, 접착제로 편광자와 접합했을 때에 접착 강도가 우수하다.
접착제는, 각각의 부재에 대하여 접착력을 발현하는 것에서 임의로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수계 접착제, 즉, 접착제 성분을 물에 용해 또는 접착제 성분을 물에 분산시킨 것이나,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하는 성분을 포함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를 예로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생산성의 관점에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수계 접착제로서는, 주성분으로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나 우레탄 수지를 이용한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수계 접착제의 주성분으로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서는, 부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이나 완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 외에, 카르복실기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아세트아세틸기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메틸올기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아미노기 변성 폴리비닐알코올과 같은 변성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제 성분으로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 그 접착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수용액으로서 조제되는 경우가 많다. 접착제 수용액에 있어서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농도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중량부∼5 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계 접착제에는,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글리옥살이나 수용성 에폭시 수지 등의 경화성 성분 또는 가교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성 에폭시 수지로서는, 예컨대, 디에틸렌트리아민이나 트리에틸렌테트라민과 같은 폴리알킬렌폴리아민과 아디프산과 같은 디카르복실산과의 반응으로 얻어지는 폴리아미드폴리아민에, 에피클로로히드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아미드폴리아민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아미드폴리아민에폭시 수지로서는, 시판 제품을 사용하여도 좋으며, 예컨대, 다오카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스미레즈레진 650」 및 「스미레즈레진 675」, 세이코 PMC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WS-525」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경화성 성분 또는 가교제의 첨가량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10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중량부∼50 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첨가량이 적으면, 접착성 향상 효과가 작아지고, 한편 그 첨가량이 많으면, 접착제층이 취약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수계 접착제의 주성분으로서 우레탄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는, 적당한 접착제조성물의 예로서, 폴리에스테르계 아이오노머형 우레탄 수지와 글리시딜옥시기를 갖는 화합물과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아이오노머형 우레탄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골격을 갖는 우레탄 수지이며, 그 안에 소량의 이온성 성분(친수 성분)이 도입된 것이다. 아이오노머형 우레탄 수지는,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고서 직접 수중에서 유화하여 에멀젼으로 되기 때문에, 수계의 접착제로서 바람직하다.
활성화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 그것을 구성하는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하는 성분(이하, 단순히 「경화성 성분」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으로서는, 에폭시 화합물, 옥세탄 화합물, 아크릴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 화합물이나 옥세탄 화합물과 같은 양이온 중합성의 화합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양이온 중합개시제가 배합된다. 또한, 아크릴계 화합물과 같은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라디칼 중합개시제가 배합된다. 그 중에서도, 에폭시 화합물을 경화성 성분의 하나로 하는 접착제가 바람직하고, 포화 탄소환에 직접 에폭시기가 결합하고 있는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을 경화성 성분의 하나로 하는 접착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그것에 옥세탄 화합물을 병용하여도 좋다.
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시판 제품을 사용하여도 좋으며, 예컨대, 미쓰비시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에피코트」 시리즈, DIC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에피클론」 시리즈, 신닛테츠스미킨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에포토트」 시리즈, 가부시키가이샤 ADEKA 제조의 「아데카레진」 시리즈, 나가세켐텍스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데나콜」시리즈, 다우케미컬사 제조의 「다우에폭시」 시리즈, 닛산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테픽」 등을 들 수 있다.
포화 탄소환에 직접 에폭시기가 결합하고 있는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시판 제품을 사용하여도 좋으며, 예컨대, 다이셀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세록사이드」 시리즈 및 「사이클로머」 시리즈, 다우케미컬사 제조의 「사이라큐어」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옥세탄 화합물로서는, 시판 제품을 사용하여도 좋으며, 예컨대, 도아고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아론옥세탄」 시리즈, 우베고산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ETERNACOLL」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 중합개시제로서는, 시판 제품을 사용하여도 좋으며, 예컨대, 닛폰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카야큐어」 시리즈, 다우케미컬사 제조의 「사이라큐어」 시리즈, 산아프로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광산발생제인 「CPI」 시리즈, 미도리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광산발생제인 「TAZ」, 「BBI」 및 「DTS」, 가부시키가이샤 ADEKA 제조의 「아데카옵토마」 시리즈, 로디아사 제조의 「RHODORSIL」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는 필요에 따라서 광증감제를 함유할 수 있다. 광증감제를 이용함으로써, 반응성이 향상되어, 경화물층의 기계 강도나 접착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광증감제로서는, 예컨대, 카르보닐 화합물, 유기 유황 화합물, 과황화물, 레독스계 화합물, 아조 및 디아조 화합물, 안트라센계 화합물, 할로겐 화합물, 광환원성 색소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에는, 그 접착성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첨가제로서는, 예컨대, 이온트랩제, 산화방지제, 연쇄이동제, 점착부여제, 열가소성 수지, 충전제, 유동조정제, 가소제, 소포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그 접착성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양이온 중합과는 별도의 반응 기구로 경화하는 경화성 성분을 배합할 수도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는, 동일한 조성이라도 다른 조성이라도 좋지만, 양자를 경화시키기 위한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는 동시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예컨대, X선, 자외선, 가시광선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이용의 용이성, 그리고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의 조제의 용이성, 안정성 및 경화 성능의 관점에서, 자외선이 바람직하다. 자외선의 광원으로서는, 예컨대, 저압수은등, 중압수은등, 고압수은등, 초고압수은등, 케미컬 램프, 블랙 라이트 램프, 마이크로웨이브 여기 수은등, 메탈 할라이드 램프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를 편광자 또는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에 도포하여 도포막을 형성하고, 형성된 도포막을 통해 편광자와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을 중합시켜, 활성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가 경화하여 편광자와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이 접착되어, 본 발명의 편광판을 얻을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접착제층의 두께는, 1∼50 ㎛가 바람직하고, 1∼10 ㎛가 보다 바람직하다. 접착제층의 두께는, 편광자 또는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에 형성되는 도포막의 두께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액정 셀에 접합하여,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액정 패널로 할 수 있다. 편광판과 액정 셀은, 점착제를 이용하여, 점착제층을 통해서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착제층은, 아크릴산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고, 관능기 함유 아크릴계 단량체가 공중합된 아크릴 수지를 점착제 성분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에 의해서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액정 셀에 점착제층을 통해 편광판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액정 패널은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자 보호 필름이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또는 본 발명의 연신 필름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내열성이 우수하여, 고온 환경 하에서도 편광자의 수축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압출 장치는 도 1에 도시하는 장치이며,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압출기: 스크류 직경 65 mm, 일축, 벤트가 달린 압출기〔도시바기카이(주) 제조〕.
T 다이: 폭 800 mm, 립 간격 1 mm의 멀티매니폴드형 다이〔히타치조센(주) 제조〕.
제1 냉각 롤: 금속 탄성 롤
제2 냉각 롤: 금속 롤
제3 냉각 롤: 금속 롤
금속 탄성 롤은,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지는 축 롤의 외주부를 덮도록 한쪽 면이 경면화된 두께 2 mm의 스테인리스강 제조의 박막을 경면 마무리면이 롤 외면이 되도록 배치하여, 축 롤과 금속성 박막과의 사이에 가열 매체유로 이루어지는 유체를 봉입한, 외경이 250 mm인 금속 탄성 롤이다. 금속 롤은, 표면을 경면 마무리한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지고, 외경 250 mm인 스파이럴 롤이다.
[열가소성 수지]
실시예 1∼실시예 6 및 비교예 1∼비교예 5에서 사용한 열가소성 수지를 이하에 기재한다. 각각의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Mw) 및 수평균 분자량(Mn)은,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 측정에 의해 구했다. 한편, 수지 A1, 수지 A2 및 수지 C의 중량 평균 분자량(Mw) 및 수평균 분자량(Mn)은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구했다. 수지 B1의 중량 평균 분자량(Mw) 및 수평균 분자량(Mn)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환산으로 구했다.
수지 A1: 메타크릴산메틸 단량체 단위, 스티렌 단량체 단위 및 무수말레산 단량체 단위로 이루어지는 수지이며, 메타크릴산메틸과 스티렌과 무수말레산을 공중합함으로써 조제한 것을 이용했다.
수지 A1을 구성하는 모든 단량체 단위의 합계 100 중량%에 대한, 메타크릴산메틸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20 중량%이며, 스티렌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65 중량%이고, 무수말레산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15 중량%였다.
또한, 수지 A1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50,000이고, 수평균 분자량(Mn)은 68,000이고, Mw/Mn은 2.2였다.
수지 A2: 메타크릴산메틸 단량체 단위, 스티렌 단량체 단위 및 무수말레산 단량체 단위로 이루어지는 수지이며, 메타크릴산메틸과 스티렌과 무수말레산을 공중합함으로써 조제한 것을 이용했다.
수지 A2를 구성하는 모든 단량체 단위의 합계 100 중량%에 대한, 메타크릴산메틸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26 중량%이며, 스티렌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57 중량%이고, 무수말레산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17 중량%였다.
수지 A2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50,000이고, 수평균 분자량(Mn)은 66,000이고, Mw/Mn은 2.3이었다.
수지 C: 메타크릴산메틸 단량체 단위, 스티렌 단량체 단위 및 무수말레산 단량체 단위로 이루어지는 수지이며, 메타크릴산메틸과 스티렌과 무수말레산을 공중합함으로써 조제한 것을 이용했다.
수지 C를 구성하는 모든 단량체 단위의 합계 100 중량%에 대한, 메타크릴산메틸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39 중량%이고, 스티렌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47 중량%이고, 무수말레산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14 중량%였다.
수지 C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220,000이고, 수평균 분자량(Mn)은 83,000이고, Mw/Mn은 2.6이었다.
수지 B1: 메타크릴산메틸 단량체 단위 및 아크릴산메틸 단량체 단위로 이루어지는 수지이며, 메타크릴산메틸과 아크릴산메틸을, 수지 B1을 구성하는 모든 단량체 단위의 합계 100 중량%에 대한, 메타크릴산메틸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이 97 중량%, 아크릴산메틸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이 3 중량%가 되도록 배합하고, 중합시킨 후, 흡수 극대를 300 nm 및 342 nm에 갖는 자외선 흡수제 「스미소브 200」(스미카켐텍스사 제조)를 농도 120 ppm가 되도록 배합하고,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2축 압출기로 용융 혼련하여 얻은 것을 이용한다.
수지 B1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60,000이고, 수평균 분자량(Mn)은 85,000이고, Mw/Mn은 1.9였다.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흡수제로서, 이하에 기재하는 X1, Y1, Y2를 이용하고, 자외선 흡수제 X1 : 자외선 흡수제 Y1 : 자외선 흡수제 Y2(중량비)가 0.7 : 0.6 : 1.2가 되도록 혼합하여 이용했다.
자외선 흡수제 X1: 케미프로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자외선 흡수제 「Kemisorb 102」(흡수 극대: 파장 280 nm, 몰 흡광 계수: 68.3 L/mol·cm, 중량 평균 분자량: 508.9,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흡수제 Y1: 가부시키가이샤 ADEKA 제조의 자외선 흡수제 「LAF70」(흡수 극대: 파장 356 nm, 몰 흡광 계수: 65.7 L/mol·cm, 중량 평균 분자량: 699.9,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흡수제 Y2: 가부시키가이샤 ADEKA사 제조의 자외선 흡수제 「아데카스타브 LA31」(흡수 극대: 파장 350 nm, 몰 흡광 계수: 18.0 L/mol·cm, 중량 평균 분자량: 658,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실시예 1∼6 및 비교예 1∼5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제작]
압출기, T 다이 및 제1∼제3 냉각 롤을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배치했다. 이어서, 수지 A1, 수지 A2 또는 수지 C, 수지 B1 및 자외선 흡수제를 표 1에 기재하는 비율로 혼합하여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로 용융 혼련하여, 각각을 설정 온도 260℃의 T 다이에 공급했다.
T 다이로부터 압출한 필름형의 용융 수지를, 대향 배치한 제1 냉각 롤과 제2 냉각 롤 사이에 끼워넣고, 제3 냉각 롤에 감아 성형·냉각하여, 두께 120 ㎛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얻었다.
한편, 제1 냉각 롤의 표면 온도는 80℃, 제2 냉각 롤의 표면 온도 80℃, 제3 냉각 롤의 표면 온도는 100℃였다. 이들 온도는 각 냉각 롤의 표면 온도를 실측한 값이다.
한편, 실시예 6에서의 수지 A2 및 수지 B1의 합계량 100 중량부에 대한 수지 A2, 수지 B1 및 자외선 흡수제의 사용량은, 각각 수지 A2의 사용량이 약 25 중량부, 수지 B1의 사용량이 약 75 중량부, 자외선 흡수제의 사용량이 약 2.5 중량부이다.
각각의 수지 조성물의 MFR(측정 온도 230℃, 하중 37.3 N)를, JIS K7210에 따라서 측정했다. 또한, 각각의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를 측정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2에 기재한다.
얻어진 각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내충격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하기의 방법에 의해서 샤르피 충격 강도를, 표면 경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하기의 방법에 의해서 연필 경도를, 각각 측정했다. 결과를 표 3에 기재한다.
<샤르피 충격 강도>
JIS K7111-1에 따라서, 얻어진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폭 10 mm로 잘라내어 측정했다.
<연필 경도>
JIS K5600에 따라서 측정했다.
[연신 필름의 제작]
얻어진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각각 이축 연신하여 연신 필름을 제작했다. 우선, 각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열풍순환식의 로(爐)의 전후에 구비된 2조의 닙 롤 쌍 사이를 통과시켜 세로 연신을 했다. 로는 1 m 간격의 4개의 존으로 나눠 온도 설정을 할 수 있는 로를 사용했다. 로의 입구 측의 제1 존을 실온으로, 그 다음 제2 존을,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작성에 이용한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Tg)와 동일한 온도로, 그 다음 제3 존과 출구 측의 제4 존을, Tg보다 10℃ 높은 온도로, 각각 설정했다. 입구 측의 닙 롤을 통과하는 필름의 속도를 2 mm/min으로 하고, 출구 측의 닙 롤을 통과하는 필름의 속도를 4.4 mm/min으로 함으로써, 세로 방향의 연신 배율이 2.2배인 장척의 세로 연신 필름을 제작했다.
이어서, 제작한 세로 연신 필름을 세로 방향의 길이가 1 m가 되도록 재단하여, 세로 방향의 길이가 1 m인 세로 연신 필름을 얻고, 이 세로 방향의 길이가 1 m인 세로 연신 필름을 텐터 가로 연신기에 도입하여 가로 연신을 했다. 가로 연신은 길이 4 m의 열풍순환식의 로 내에서 행하고, 로 내부 온도는 Tg보다 10℃ 높은 온도로 설정했다. 로 내부를 지나는 속도는 1 mm/min으로 하고, 연신 배율은 2배로 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세로 방향의 연신 배율이 2.2배, 가로 방향의 연신 배율이 2배인 이축 연신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이축 연신 필름의 두께는 40 ㎛였다.
<핸들링성>
연신 필름의 제작에 이용한 열가소성 필름의 연신시의 핸들링성을 이하의 방법에 의해 평가했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세로 연신하여 얻은 세로 연신 필름을 재단하여, 세로 방향의 길이가 1 m인 세로 연신 필름 10장을 얻었다. 얻어진 10장의 세로 연신 필름에 관해서, 각각 가로 연신을 하여, 10장의 2축 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 세로 연신과 가로 연신에 있어서, 연신에 의해 파단한 필름이 0장이었던 경우, 핸들링성이 양호하다고 판단하여, ○라고 평가하고, 1장 이상의 필름이 파단된 경우, 핸들링성이 불량이라고 판단하여, ×라고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3에 기재한다.
[편광자의 제작]
평균 중합도 약 2,400, 비누화도 99.9 몰% 이상이며 두께 75 ㎛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30℃의 순수에 침지한 후, 요오드/요오드화칼륨/물의 중량비가 0.02/2/100인 수용액에 30℃에서 침지했다. 그 후, 요오드화칼륨/붕산/물의 중량비가 12/5/100인 수용액에 56.5℃에서 추가로 침지했다. 침지 후의 필름을 8℃의 순수로 세정한 후, 65℃에서 건조하여, 폴리비닐알코올에 요오드가 흡착 배향된 편광자를 얻었다. 연신은, 주로 요오드 염색 및 붕산 처리의 공정에서 실시하고, 합계의 연신 배율은 5.3배, 얻어진 편광자의 두께는 27 ㎛였다.
[편광판의 제작]
얻어진 편광자의 양면에, 보호 필름으로서 이축 연신한 필름을, 각각 그 접합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한 후, 자외선 경화 접착제(도아고세이(주) 제조 "아로닉스")를 도공하여, 접합 롤에 의해 접합했다. 그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접착제를 경화시켜, 편광판을 얻었다. 한편, 자외선은, 260 nm∼320 nm의 파장 영역에서의 적산 광량이 200 mJ/㎠가 되도록 조사했다.
<고온 환경에서의 기계적 강도의 평가>
이축 연신 필름의 고온 환경에서의 기계적 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하기의 방법에 의해서 이축 연신 필름의 80℃에서의 고온 인장 탄성율을 측정했다. 값이 높을수록 편광자에 접합시켰을 때, 고온 환경에서 편광 필름의 수축을 억제하는 강도가 높아 양호하다.
이축 연신 필름을, 세로 연신 방향을 긴 변으로 하여, 세로 방향 120 mm, 가로 방향 25 mm의 장방형으로 잘라내고, 척 사이 거리를 90 mm로 하여 세로 방향으로 인장 속도 5 mm/min으로 80℃에서 인장력 시험을 했다. 인장 강도가 3 MPa에서 6 MPa로 되는 영역에서의 응력-왜곡 곡선 기울기로부터 고온 인장 탄성율을 산출했다. 산출한 결과를 표 3에 기재한다.
<광선 투과율 평가>
이축 연신 필름의 파장 260 nm에 있어서의 광선 투과율과 파장 380 nm에 있어서의 광선 투과율을, 히타치하이테크필딩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분광광도계 U-4100을 이용하여 측정했다. 결과를 표 3에 기재한다.
<편광판의 수축률의 평가>
편광판의, 편광 필름의 연신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MD로, 편광 필름의 연신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TD로 하여 제작한 편광판으로부터, MD 방향의 길이가 100 mm, TD 방향의 길이가 100 mm인 편광판을 잘라냈다. 잘라낸 편광판을 80℃로 설정된 오븐에 설치하여 250시간 유지했다. 편광판을 빼내어 MD 방향의 길이와 TD 방향의 길이를 각각 노기스로 측정하여, MD 방향, TD 방향 각각의 수축률을 하기 식에 따라서 산출했다. 결과를 표 4에 기재한다.
수축률(%)=100×{100-(80℃ 가열 후의 길이(mm))}/100
<편광판의 접착 강도의 평가>
편광판 내의 편광 필름과 보호 필름 사이의 박리 강도를 이하에 기재하는 방법에 의해 평가했다.
제작한 편광판을 300시간 방치한 후, 200 mm×25 mm 크기의 장방형으로 재단했다. 한쪽의 보호 필름의 표면에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설치하여, 점착제층을 유리판에 접착했다. 점착제층이 설치된 보호 필름과 편광 필름 사이에 커터의 날을 넣어, 길이 방향으로 끝에서 30 mm를 박리하고, 그 박리한 부분을 시험기의 그립부로 잡았다. 이 상태의 시험편을, 온도 23℃, 상대 습도 55%의 분위기 속에서, JIS K6854-2:1999 「접착제-박리 접착 강도 시험 방법-제2부: 180도 박리」에 준하여, 그립 이동 속도 300 mm/분으로 180도 박리 시험을 하여, 그립부 30 mm를 제외한 170 mm의 길이에 걸친 평균 박리력을 구했다. 결과를 표 5에 기재한다.
Figure 112015087160473-pat00003
Figure 112015087160473-pat00004
Figure 112015087160473-pat00005
Figure 112015087160473-pat00006
Figure 112015087160473-pat00007
〔열가소성 수지〕
실시예 7∼실시예 11 및 비교예 6∼비교예 8에서 사용한 열가소성 수지를 이하에 기재한다. 각각의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Mw) 및 수평균 분자량(Mn)은,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 측정에 의해 구했다. 한편, 수지 A3 및 수지 A4의 중량 평균 분자량(Mw) 및 수평균 분자량(Mn)은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구했다. 수지 B2의 중량 평균 분자량(Mw) 및 수평균 분자량(Mn)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환산으로 구했다.
수지 A1: 실시예 1∼실시예 3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한 수지 A1을 이용했다.
수지 A3: 메타크릴산메틸 단량체 단위, 스티렌 단량체 단위 및 무수말레산 단량체 단위로 이루어지는 수지이며, 메타크릴산메틸과 스티렌과 무수말레산을 공중합함으로써 조제한 것을 이용했다.
수지 A3을 구성하는 모든 단량체 단위의 합계 100 중량%에 대한, 메타크릴산메틸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21 중량%이고, 스티렌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57 중량%이고, 무수말레산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22 중량%이다.
수지 A3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93,000이고, 수평균 분자량(Mn)은 88,000이고, Mw/Mn은 2.2이다.
수지 A4: 메타크릴산메틸 단량체 단위, 스티렌 단량체 단위 및 무수말레산 단량체 단위로 이루어지는 수지이며, 메타크릴산메틸과 스티렌과 무수말레산을 공중합함으로써 조제한 것을 이용했다.
수지 A4를 구성하는 모든 단량체 단위의 합계 100 중량%에 대한, 메타크릴산메틸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21 중량%이고, 스티렌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57 중량%이고, 무수말레산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22 중량%이다.
수지 A4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27,000이고, 수평균 분자량(Mn)은 58,000이고, Mw/Mn은 2.19였다.
수지 B1: 실시예 1∼실시예 6, 비교예 3∼비교예 5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한 수지 B1을 이용했다.
수지 B2: 메타크릴산메틸 단량체 단위 및 아크릴산메틸 단량체 단위로 이루어지는 수지이며, 메타크릴산메틸과 아크릴산메틸을, 수지 B2를 구성하는 모든 단량체 단위의 합계 100 중량%에 대한, 메타크릴산메틸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이 99 중량%, 아크릴산메틸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이 1 중량%가 되도록 배합하여, 중합시킨 후, 또한 흡수 극대를 300 nm 및 342 nm에 갖는 자외선 흡수제 「스미소브 200」를 농도 100 ppm가 되도록 배합하고,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2축 압출기로 용융 혼련하여 얻은 것을 이용했다.
수지 B2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01,000이고, 수평균 분자량(Mn)은 58,000이고, Mw/Mn은 1.8였다.
〔고무 탄성체 입자〕
고무 탄성체 입자로서는, 이하의 고무 1 및 고무 2를 이용했다.
고무 1: 다우케미컬니혼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PARALOIDTM EXL-2678」(부타디엔계 고무 입자, 분말형)을 이용했다. 이 고무 1의 굴절율은 1.516이고, 입자경은 200 nm이다.
고무 2: 가부시키가이샤 카네카 제조의 카네에이스 M732(부타디엔계 고무, 분말형)을 이용했다. 이 고무 2의 굴절율은 1.515이고, 입자경은 130∼180 nm이다.
실시예 7∼11 및 비교예 6∼8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제작]
수지 A1, 수지 A2, 수지 A3, 수지 A4, 수지 B1, 수지 B2, 고무 1, 고무 2 및 자외선 흡수제를 표 6에 기재하는 비율로 혼합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한편, 자외선 흡수제는, Y2〔아데카스타브 LA31〕만을 이용했다.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실시예 1∼6 및 비교예 1∼5와 같은 식으로, 도 1에 도시하는 압출기, T 다이 및 제1∼제3 냉각 롤을 이용하여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얻었다. 이 때,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두께는 표 8에 기재하는 것과 같았다.
각각의 수지 조성물의 MFR, 유리 전이 온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7에, 얻어진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샤르피 충격 강도를 표 8에 기재한다. 또한, 얻어진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절곡성은, 필름의 샘플을 10 mm×50 mm로 잘라내어, 긴 변 방향을 반으로 접어 구부려, 필름이 파단되지 않은 경우를 「○」, 필름이 파단된 경우를 「×」로 하여 평가했다. 결과를 표 8에 기재한다.
<고온 환경에서의 기계적 강도의 평가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고온 환경에서의 기계적 강도를 평가하기 위한 제2 방법으로서, 하기의 방법에 의해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80℃에서의 고온 인장 탄성율을 측정했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압출 방향을 긴 변으로 하여, 세로 방향 100 mm, 가로 방향 25 mm의 장방형으로 잘라내고, 척 사이 거리를 50 mm로 하여 세로 방향으로 인장 속도 1 mm/min으로 80℃에서 인장력 시험을 했다. 인장 강도가 3 MPa에서 6 MPa로 되는 영역에서의 응력-왜곡 곡선 기울기로부터 고온 인장 탄성율을 산출했다. 산출한 결과를 표 8에 기재한다.
<광선 투과율 평가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광선 투과율을 평가하기 위한 제2 방법으로서, 파장 260 nm에 있어서의 광선 투과율과 파장 380 nm에 있어서의 광선 투과율을,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즈세이사쿠쇼 제조의 분광광도계 UV-2450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결과를 표 8에 기재한다.
[연신 필름의 제작]
실시예 7 및 8에서 얻어진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실시예 1∼6 및 비교예 1∼5와 같은 조건으로 각각 이축 연신하여 연신 필름을 제작했다. 얻어진 이축 연신 필름의 두께는 20 ㎛였다. 실시예 7 및 8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핸들링성은 모두 양호했다. 연신 전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같은 방법으로, 연신 후의 연신 필름의 고온 인장 탄성율을 측정한 결과, 실시예 7의 연신 필름은 2090 MPa, 실시예 8의 연신 필름은 1869 MPa였다.
[편광자 2의 제작]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의 두께를 60 ㎛로, 합계의 연신 배율을 5.6배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편광자 1과 같은 방법으로 편광자 2를 제작했다. 얻어진 편광자 2의 두께는 22 ㎛였다.
[편광판의 제작]
편광자 2의 한쪽 면에, 실시예 7∼11, 비교예 6∼8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각각 그 접합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한 후, 자외선 경화 접착제(도아고세이(주) 제조 "아로닉스")를 도공하고, 편광자 2의 또 한쪽의 면에, 시클로올레핀계 수지의 이축 연신 제품이며, 접합면에 미리 코로나 처리를 실시한 위상차 필름을, 에폭시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다른 자외선경화성 접착제를 도공하여, 열가소성 수지 필름/편광자/위상차 필름으로서 접합했다. 그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접착제를 경화시켜, 편광판을 얻었다. 한편, 자외선은, 260 nm∼320 nm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적산 광량이 200 mJ/㎠가 되도록 조사했다.
<편광판의 수축률의 평가 2>
얻어진 편광판의, 편광 필름의 연신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MD로 하고, 편광 필름의 연신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TD로 하여, 제작한 편광판으로부터, MD 방향의 길이가 100 mm, TD 방향의 길이가 100 mm인 편광판을 잘라냈다. 잘라낸 편광판을 80℃의 오븐 속에 투입하여, 250시간 유지했다.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제조의 이차원 치수 측정기 "NEXIV VMR-12072"를 이용하여, 오븐 투입 전후의 치수를 측정했다. 그리고, 이하의 식에 의해 구한 값을 수축률(%)로 했다. 측정 결과를 표 9에 기재한다.
Figure 112015087160473-pat00008
Figure 112015087160473-pat00009
이 표 6에서, 수지 A1, 수지 A2, 수지 A3, 수지 A4, 수지 B1, 수지 B2, 고무 1, 고무 2 및 자외선 흡수제(Y2)의 사용량은, 「중량부」로 나타내고 있고, 표 속에서는 단위를 「(부)」라고 나타냈다.
Figure 112015087160473-pat00010
Figure 112015087160473-pat00011
Figure 112015087160473-pat00012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내열성이 우수하여, 고온 환경에서 수축하기 어렵고, 또한 연신에 의해 파단되기 어렵기 때문에, 그것을 연신하여 이루어지는 연신 필름은 편광자의 보호 필름으로서 유용하다.
1: 압출기
2: 다이
3: 필름형의 용융 수지
4: 냉각 유닛
5: 제1 냉각 롤
6: 제2 냉각 롤
7: 제3 냉각 롤
A: 열가소성 수지 필름

Claims (6)

  1.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 및 환상 산무수물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수지 (A)와,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고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지 않는 수지 (B)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서,
    수지 (A)가, 수지 (A)를 구성하는 모든 단량체 단위 100 중량%에 대하여, 방향족 비닐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이 50 중량% 이상인 수지이고,
    수지 (B)가, 수지 (B)를 구성하는 모든 단량체 단위 100 중량%에 대하여,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이 50 중량% 이상인 수지이며,
    수지 (A) 내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WA)에 대한 수지 (B)의 중량(WB)의 비(WB/WA)가 1보다 큰 열가소성 수지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은, 고무 탄성체 입자를 추가로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의 멜트 매스 플로우 레이트(melt mass flow rate)가 1.2 g/10 min 이상인 열가소성 수지 필름.
  4. 제1항에 기재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연신하여 얻어지는 연신 필름.
  5. 제1항에 기재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 또는 제4항에 기재한 연신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편광자 보호 필름.
  6.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제5항에 기재한 편광자 보호 필름이 배치된 편광판.
KR1020150126881A 2014-09-12 2015-09-08 열가소성 수지 필름 KR1024193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86018 2014-09-12
JP2014186018 2014-09-12
JP2015165491A JP6601056B2 (ja) 2014-09-12 2015-08-25 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
JPJP-P-2015-165491 2015-08-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418A KR20160031418A (ko) 2016-03-22
KR102419314B1 true KR102419314B1 (ko) 2022-07-12

Family

ID=55797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881A KR102419314B1 (ko) 2014-09-12 2015-09-08 열가소성 수지 필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601056B2 (ko)
KR (1) KR102419314B1 (ko)
TW (1) TWI6984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59579B2 (ja) * 2016-03-04 2018-07-18 住友化学株式会社 樹脂フィルム
CN109477922B (zh) * 2016-07-06 2021-10-08 电化株式会社 偏振器保护膜用树脂组合物、偏振器保护膜
JP7403209B2 (ja) * 2016-07-28 2023-12-22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
JP6917684B2 (ja) * 2016-07-28 2021-08-11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
JP6957153B2 (ja) * 2016-12-28 2021-11-02 住友化学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6976785B2 (ja) * 2017-09-20 2021-12-08 デンカ株式会社 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7138508B2 (ja) * 2018-08-07 2022-09-16 株式会社カネカ アクリル系樹脂積層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含む積層体
JP2020023082A (ja) * 2018-08-07 2020-02-13 株式会社カネカ アクリル系樹脂積層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含む積層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0550A (ja) * 2005-10-07 2008-03-06 Asahi Kasei Chemicals Corp 光学補償フィルム
JP2009293021A (ja) 2008-05-09 2009-12-17 Sanyo Chem Ind Ltd 光学材料用透明樹脂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0573A (ja) * 2000-08-18 2002-02-26 Dainippon Ink & Chem Inc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4928187B2 (ja) 2005-08-04 2012-05-09 株式会社日本触媒 低複屈折共重合体
JP2007128025A (ja) * 2005-10-05 2007-05-24 Asahi Kasei Chemicals Corp 光学特性、生産性、耐久性に優れる偏光板
JP5074010B2 (ja) * 2005-11-28 2012-11-14 旭化成イー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優れた光学材料用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2008276207A (ja) * 2007-04-02 2008-11-13 Asahi Kasei Chemicals Corp 光学フィルム
US8895682B2 (en) * 2008-07-31 2014-11-25 Asahi Kasei Chemicals Corporation Thermoplastic acrylic resin, and molded product thereof
KR101091537B1 (ko) * 2009-01-06 2011-12-13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215806B1 (ko) * 2009-11-27 2012-12-26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용 조성물 및 광학 필름
JP5580643B2 (ja) * 2010-04-01 2014-08-27 株式会社日本触媒 負の固有複屈折を有する熱可塑性樹脂組成物、位相差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20150205012A1 (en) * 2012-07-30 2015-07-23 Denk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Copolymer for optical compensation fil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0550A (ja) * 2005-10-07 2008-03-06 Asahi Kasei Chemicals Corp 光学補償フィルム
JP2009293021A (ja) 2008-05-09 2009-12-17 Sanyo Chem Ind Ltd 光学材料用透明樹脂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01056B2 (ja) 2019-11-06
TW201615720A (zh) 2016-05-01
KR20160031418A (ko) 2016-03-22
JP2016060910A (ja) 2016-04-25
TWI698477B (zh) 2020-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9314B1 (ko) 열가소성 수지 필름
JP6935463B2 (ja) 偏光板用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
KR102150331B1 (ko) 편광자 보호 필름 및 편광판
JP6689339B2 (ja) (メタ)アクリル系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メタ)アクリル系樹脂フィルム
JP6550774B2 (ja) 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延伸フィルム、偏光子保護フィルムおよび偏光板
JP6226591B2 (ja) 光学材料用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345241B2 (ja) 偏光板
KR102317695B1 (ko) 수지 조성물
TWI760310B (zh) 曲面圖像顯示面板用偏光板
TWI709577B (zh) 樹脂膜、樹脂膜之製造方法、偏光片保護膜、偏光板,及熱可塑性樹脂組成物
WO2015119218A1 (ja) 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体
CN105419207B (zh) 热塑性树脂膜
JP7430745B2 (ja) 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957153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