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6934B1 - 매장 운영 정보를 이용한 매장 운영 지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매장 운영 정보를 이용한 매장 운영 지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6934B1
KR102416934B1 KR1020200129274A KR20200129274A KR102416934B1 KR 102416934 B1 KR102416934 B1 KR 102416934B1 KR 1020200129274 A KR1020200129274 A KR 1020200129274A KR 20200129274 A KR20200129274 A KR 20200129274A KR 102416934 B1 KR102416934 B1 KR 102416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tore
order
store oper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9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6170A (ko
Inventor
권성택
Original Assignee
티오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오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오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9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6934B1/ko
Publication of KR20220046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6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12Cash registers electronically operated
    • G07G1/14Systems including one or more distant stations co-operating with a central processing uni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매장 운영 정보를 이용한 매장 운영 지원 장치는 매장에 마련된 테이블에 배치되는 주문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여기에서, 매장 운영 정보를 이용한 매장 운영 지원 장치는, 상기 주문 단말로부터 매장의 운영 상태와 연관된 매장 운영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운영 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매장 운영 정보를 기초로 매장의 매출을 최대화하기 위한 매장 운영 지원 정보를 생성하는 매장 운영 지원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매장 운영 지원 정보를 매장 점주가 관리하는 점주 단말로 전송하는 매장 운영 지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매장 운영 정보를 이용한 매장 운영 지원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STORE OPERATION USING STORE OPERATION DATA}
본 발명은 매장 운영 정보를 이용한 매장 운영 지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집한 매장의 운영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매장 운영 지원 정보를 제공하여 매장 운영을 최적화하고 매출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이다.
상품의 판매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는 고객을 유치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영업 방법을 도입할 수 있다. 특히, 사업체 운영 경험이 부족한 점주는 매장 운영을 지원받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서 프랜차이즈 영업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프랜차이즈 영업 방식은 프랜차이즈 본사에서 프랜차이즈 상표를 홍보, 마케팅하고, 가맹점인 매장은 프랜차이즈 본사의 상표를 사용하며 프랜차이즈 본사에서 개발하고 광고하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프랜차이즈에서 제공하는 영업 방식을 의미할 수 있으며, 마케팅 능력 및 사업체 운영 경험이 부족한 점주라 하더라도, 프랜차이즈 본사로부터 이미 검증된 상품이나 서비스를 프랜차이즈 본사에서 제안하는 방식으로 운영하는 것을 통해 보다 안정적으로 사업체를 운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최근 프랜차이즈 업체가 범람하고 있는 상황이며, 프랜차이즈 본사에서 가맹점에게 제대로 된 운영 노하우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도 있어 프랜차이즈 가맹점의 사업 실패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을 고려해 보았을 때 프랜차이즈 가맹점 및 일반 매장 모두에 대해서 보다 적극적으로 운영 관리를 해주거나 운영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별도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2125526호는 가맹점 운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가맹점 운영 지원 서버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각 가맹점에 설치되는 가맹점 단말을 통해 메뉴의 전체 판매량, 각 메뉴의 만족도에 대한 고객의 평가 점수 등을 수집하여 각 가맹점의 전략 메뉴를 설정하고, 이를 상기 가맹점 단말로 전송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선행문헌을 포함하는 종래 기술은, 선호도가 높은 메뉴를 산출하고 메뉴의 판매량을 예상함으로써 점주의 매장을 운영을 지원할 수 있지만, 구체적인 매장의 내부 및 외부 환경까지 고려하고 있지는 않으므로, 매장을 더 세밀한 부분까지 관리하여 매출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여지가 남아있다고 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2,125,52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수집되는 매장 운영 정보에 기초하여 매장에서 판매되는 각 메뉴의 선호도 및 판매량 외에도 내부 운영 상태 및 외부 환경까지 고려된 매장 운영 지원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매장 운영 지원 정보 및 점주가 요청하는 특정 매장 운영 지원 정보를 점주에게 제공할 수 있는 매장 운영 정보를 이용한 매장 운영 지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매장 운영 정보를 이용한 매장 운영 지원 장치는 매장에 마련된 테이블에 배치되는 주문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여기에서, 매장 운영 정보를 이용한 매장 운영 지원 장치는, 상기 주문 단말로부터 매장의 운영 상태와 연관된 매장 운영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운영 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매장 운영 정보를 기초로 매장의 매출을 최대화하기 위한 매장 운영 지원 정보를 생성하는 매장 운영 지원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매장 운영 지원 정보를 매장 점주가 관리하는 점주 단말로 전송하는 매장 운영 지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매장 운영 정보 수집부는 복수의 주문 단말들과 네트워크를 통해 개별적으로 연결되며, 매장에 마련되는 POS 단말과 독립적으로 상기 복수의 주문 단말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매장 운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운영 정보 수집부는 상기 주문 단말이 아닌 상기 POS 단말을 통해서 주문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POS 단말로부터 주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매장 운영 정보는 주문 상품 정보, 주문 가격 정보, 주문 시간 정보, 주문 테이블 정보, 주문 상품에 대한 평점 정보, 근무자 정보, 상품 재고 정보, 원재료 재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매장 운영 지원 정보 생성부는 상기 매장 운영 정보 및 주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매장의 기간 별 매출 정보, 상품 별 주문량 정보, 테이블 별 주문량 정보 및 상품 구성 추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매장 운영 지원 정보 생성부는 상기 매장 운영 정보 및 외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매장에 대한 예상 주문 발생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예상 주문 발생량에 기초하여 예상 재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매장 운영 정보 및 외부 환경 정보와의 상관 관계 분석을 통해 상관 인자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상관 인자와 연관된 외부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외부 환경 정보 수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매장 운영 지원 정보 생성부는 상기 주문 상품 정보, 상기 주문 상품에 대한 평점 정보 및 상기 근무자 정보에 포함되는 시간대 별 근무자 정보에 기초하여 매장의 서비스 개선을 위한 근무자 평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매장 운영 지원부는 상기 점주 단말로부터 특정 매장 운영 지원 정보에 대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POS 단말에는 상기 POS 단말에 기 설치된 고유(original) POS 에이전트와 상기 매장 운영 지원 장치 간의 데이터를 연동하기 위한 가상(virtual) POS 에이전트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매장 운영 정보를 이용한 매장 운영 지원 방법은 매장에 마련된 테이블에 배치되는 주문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매장 운영 지원 장치에서 수행된다. 여기에서, 매장 운영 정보를 이용한 매장 운영 지원 방법은, 상기 주문 단말로부터 매장의 운영 상태와 연관된 매장 운영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매장 운영 정보를 기초로 매장의 매출을 최대화하기 위한 매장 운영 지원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매장 운영 지원 정보를 매장 점주가 관리하는 점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장 운영 정보를 이용한 매장 운영 지원 장치 및 방법은 매장에서 판매되는 각 메뉴의 선호도 및 판매량 외에도 내부 운영 상태 및 외부 환경까지 고려된 매장 운영 지원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매장의 매출이 최대화 되도록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장 운영 정보를 이용한 매장 운영 지원 장치 및 방법은 점주로부터 요청되는 특정한 매장 운영 지원 정보를 생성하여 점주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장 운영 정보를 이용한 매장 운영 지원 장치 및 방법은 각 매장에 배치되는 복수의 주문 단말 각각과 통신함으로써, 정보 처리로 인한 부하를 감소시키고, 수집되는 매장 운영 정보의 누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장 운영 정보를 이용한 매장 운영 지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2 및 도 3는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매장 운영 정보를 이용한 매장 운영 지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장 운영 정보를 이용한 매장 운영 지원 장치와 POS 단말의 데이터 연동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장 운영 정보를 이용한 매장 운영 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장 운영 정보를 이용한 매장 운영 지원 시스템(이하, 매장 운영 지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매장 운영 지원 시스템은 주문 단말(10), POS 단말(20) 및 매장 운영 정보를 이용한 매장 운영 지원 장치(100, 이하, 매장 운영 지원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주문 단말(10) 및 POS 단말(20) 각각은 매장 운영 지원 장치(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주문 단말(10)은 매장에 마련된 테이블에 배치되어 주문자가 조작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하며, 예를 들어, PC, 휴대폰,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주문 단말(10)은 주문자에 의해 입력되는 주문 요청 정보(예 : 상품 정보, 주문 수량 등)를 매장 운영 지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POS 단말(20)은 매장 마다 배치되는 컴퓨팅 장치로, 판매 정보, 주문 정보, 테이블 정보, 재고 현황 정보 또는 결제 정보를 수집, 처리 또는 관리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매장 운영 지원 시스템에서 POS 단말(20)을 통해 생성되는 정보는 매장 운영 지원 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매장 운영 지원 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주문 단말(10) 또는 POS 단말(2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들을 수집, 처리 또는 관리하는 서버를 의미하거나, 상기 서버와 대등한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아래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매장 운영 지원 장치(100)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 및 도 3는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매장 운영 지원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매장 운영 정보를 이용한 매장 운영 지원 장치(100)는 매장 운영 정보 수집부(110), 매장 운영 지원 정보 생성부(120) 및 매장 운영 지원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3을 참조하면 매장 운영 지원 장치(100)는 외부 환경 정보 수집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매장 운영 지원 장치(100)는 매장에 마련된 테이블에 배치되는 주문 단말(1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매장 운영 정보 수집부(110)를 통해 주문 단말(10)로부터 매장의 운영 상태와 연관된 매장 운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매장 운영 정보는 주문 상품 정보, 주문 가격 정보, 주문 시간 정보, 주문 테이블 정보, 주문 상품에 대한 평점 정보, 근무자 정보, 상품 재고 정보, 원재료 재고 정보 및 상품 별 준비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매장 운영 정보 수집부(110)가 수집하는 상기 매장 운영 정보는 주문 단말(10)로부터 수집되는 정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되는 POS 단말(20)로부터 수집되는 정보 및 점주가 관리하는 점주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문 상품 정보, 주문 가격 정보, 주문 시간 정보, 주문 테이블 정보 및 주문 상품에 대한 평점 정보는 주문 단말(10) 또는 POS 단말(20)로부터 수집될 수 있으며, 근무자 정보, 상품 재고 정보, 원재료 재고 정보, 상품 별 마진 정보 및 상품 별 준비 시간 정보 등은 점주 단말로부터 수집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주문 테이블 정보 및 근무자 정보는 매장의 내부 환경을 점검할 수 있는 지표로서 수집될 수 있으며, 점주는 이러한 내부 환경 점검 지표로 활용되는 매장 운영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매장 운영 지원 정보를 제공 받게 됨으로써 매장 내부 환경을 개선하고 매장의 매출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매장 운영 정보 수집부(110)는 복수의 주문 단말들(10-1, 10-2, ...10-n)과 네트워크를 통해 개별적으로 연결되며, 매장에 마련되는 POS 단말(20)과 독립적으로 복수의 주문 단말들(10-1, 10-2, ...10-n) 각각으로부터 상기 매장 운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매장 운영 정보 수집부(110)는 매장의 테이블 별로 배치될 수 있는 복수의 주문 단말들(10-1, 10-2, ...10-n)과 네트워크를 통해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매장 운영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매장 운영 지원 장치(100)가 받는 정보 처리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장 내 POS 단말(20)만을 이용하여 각 주문 단말(1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한번에 처리해야 하는 정보량이 많아질 수 있으며, 부하가 심한 경우 수집해야 할 정보가 누락될 우려가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운영 정보 수집부(110)는 주문 단말(10)이 아닌 상기 POS 단말(20)을 통해서 주문이 발생하는 경우, POS 단말(20)로부터 주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매장 운영 정보 수집부(110)는 매장의 테이블 별로 배치될 수 있는 복수의 주문 단말들(10-1, 10-2, ...10-n)과 네트워크를 통해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매장 운영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POS 단말(20)을 통해서 주문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직접 POS 단말(20)로부터 주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POS 단말(20)에는 기 설치된 고유(original) POS 에이전트와 상기 매장 운영 지원 장치 간의 데이터를 연동하기 위한 가상(virtual) POS 에이전트가 설치됨으로써, 운영 정보 수집부(110)가 POS 단말(20)로부터 정보 수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고유 POS 에이전트는 POS 단말(20)에 기설치된 소프트웨어로, 예를 들어 POS 단말(20)의 제작시(또는, 가맹점 내 최초 설치시) 설치되며, 판매 정보, 주문 정보, 테이블 정보, 재고 현황 정보 또는 결제 정보를 수집, 처리 또는 관리하는 등의 POS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 POS 에이전트는 상기 매장 운영 지원 장치(100)가 복수의 매장 각각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식별자를 생성할 수 있으며, 매장 운영 정보 수집부(110)는 상기 가상 POS 에이전트에 의해 생성된 식별자를 통해 POS 단말(20)로부터 발생하는 주문 정보를 매장 별로 구분하여 수집할 수 있다.
매장 운영 지원 정보 생성부(120)는 수집된 매장 운영 정보를 기초로 매장의 매출을 최대화하기 위한 매장 운영 지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매장 운영 지원 정보 생성부(120)는 상기 매장 운영 정보 및 주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매장의 기간 별 매출 정보, 상품 별 주문량 정보, 테이블 별 주문량 정보 및 상품 구성 추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매장 실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매장 실적 정보는 상기 매장 운영 지원 정보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으며, 매장의 상품 구성 및 판매량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매장의 기간 별 매출 정보는 매장의 시간 별, 일 별, 주 별, 월 별, 년도 별 및 분기 별 매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주문량 정보는 상기 나열된 기간 항목 마다 판매된 상품 각각에 대한 주문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이블 별 주문량 정보는 매장 내부에 배치되는 테이블 별 주문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수집되고 점주 단말 등을 통해 점주에게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테이블 별 주문량 정보에 기초하여 매장 내 테이블 구성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주는 매장 내 특정 위치에 배치되는 테이블에서의 상품 주문이 감소하는 경우, 테이블 배치를 재구성 하는 등의 방안을 고려하여 테이블 간 주문량을 평준화하거나 주문량이 기준량보다 미달인 테이블의 주문량을 기준량 이상으로 끌어올림으로써 전체 매장의 매출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품 구성 추천 정보는 상기 매장의 기간 별 매출 정보 및 상품 별 주문량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주문량이 기준량보다 감소한 상태를 유지하거나 급격하게 감소한 상품에 대한 정보 및 상품 가격 및 마진 정보에 기초하는 가격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주문량에 대한 기준량 및 상품 별 마진 정보는 점주 단말로부터 수집될 수 있다. 상기 상품 구성 추천 정보는 점주 단말 등을 통해 점주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점주가 매장의 상품 구성을 다양화 또는 단순화하는 방안을 고려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매장 운영 지원 정보 생성부(120)는 상기 매장 운영 정보 및 외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매장에 대한 예상 주문 발생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예상 주문 발생량에 기초하여 예상 재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매장 운영 지원 정보 생성부(120)가 예상 주문 발생량을 산출하기 위해 이용하는 외부 환경 정보는 외부 환경 정보 수집부(140)에 의해 수집될 수 있으며, 외부 환경 정보 수집부(140)는 상기 매장 운영 정보 및 외부 환경 정보와의 상관 관계 분석을 통해 상관 인자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상관 인자와 연관된 외부 환경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외부 환경 정보는 매장 내부 환경과는 별개로 매장의 매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외부 요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외부 환경 정보는 날씨 정보, 경기 정보 및 휴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날씨 정보의 경우에는 기온, 우천, 폭설 및 미세먼지 농도 여부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는 주문량을 산출하기 위해 수집될 수 있으며, 과거의 특정 일에 대한 날씨 정보와 비교됨으로써 상기 예상 주문 발생량이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기 정보의 경우에는 스포츠 경기 개최 시 평상 시와 달라질 수 있는 주문량을 산출하기 위해 수집될 수 있으며, 과거 스포츠 경기가 개최되었던 일자의 주문량 정보와 비교됨으로써 상기 예상 주문 발생량이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일 정보의 경우에는 고정 휴일인 토요일 및 일요일 외에 지정된 휴일 여부를 반영하기 위해 수집될 수 있으며, 과거 해당 휴일의 주문량 정보와 비교됨으로써 상기 예상 주문 발생량이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예상 재고 정보는 상기 매장 운영 지원 정보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으며, 매장에서 준비해야 하는 상품 재고량 및 원재료 재고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예상 주문 발생량은 상기 수집된 외부 환경 정보 및 상품 별 준비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매장 운영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매장 운영 지원 정보 생성부(120)는 기간 별 요구되는 상품 재고량 및 원재료 재고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간 별 요구되는 상품 재고량 및 원재료 재고량 정보는 일 별, 주 별, 월 별, 년도 별 및 분기 별로 요구되는 상품 재고량 및 원재료 재고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점주 단말의 요청에 의해 기간이 설정되는 경우, 해당 기간에 대해서 요구되는 상품 재고량 및 원재료 재고량 정보가 점주 단말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매장 운영 지원 정보 생성부(120)는 상기 주문 상품 정보, 상기 주문 상품에 대한 평점 정보 및 상기 근무자 정보에 포함되는 시간대 별 근무자 정보에 기초하여 매장의 서비스 개선을 위한 근무자 평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근무자 평가 정보는 상기 매장 운영 지원 정보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주문 상품 정보, 상기 주문 상품에 대한 평점 정보 및 상기 근무자 정보에 포함되는 시간대 별 근무자 정보는 매장의 각 테이블에 배치될 수 있는 주문 단말(10)로부터 수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매장 운영 정보 수집부(110)는 상기 나열된 정보들을 점주 단말로부터 수집할 수 도 있다. 상기 근무자 평가 정보는 매장의 내부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생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시간대 별 근무자 정보 및 주문량 정보를 서로 비교했을 때, 기준량 이상의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점주는 각 근무자의 조리법을 점검함으로써 시간대 별 근무자에 따른 주문량의 차이가 기준량 이하가 되도록 매장 내부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매장 운영 지원부(130)는 상기 생성된 매장 운영 지원 정보를 매장 점주가 관리하는 점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장 운영 지원부(130)는 상술한 매장 실적 정보, 예상 재고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매장 운영 지원 정보를 매장 점주가 관리하는 점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매장 운영 지원부(130)는 상기 점주 단말로부터 특정 매장 운영 지원 정보에 대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점주 단말로부터 해당 매장과 가장 근접해 있는 동일 업종 매장에 대한 기간 별 주문량이 요청되는 경우, 매장 운영 지원부(130)는 본 발명에 따른 매장 운영 지원 장치(100)를 이용하는 매장 중 가장 해당 매장과 가장 근접해 있는 매장에 대한 기간 별 주문량을 상기 점주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타 매장의 정보 제공은 정보 제공 동의가 확인된 상태의 매장에 대해서만 가능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정보 제공 동의가 확인된 매장 간에는 각 점주 단말을 통해 요청되는 정보가 공유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장 운영 정보를 이용한 매장 운영 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매장 운영 정보를 이용한 매장 운영 지원 방법은 상기 매장 운영 지원 장치(100)에서 수행되며, 매장에 배치되는 주문 단말(10), POS 단말(20) 및 점주가 관리하는 점주 단말과의 네트워크에 기초하여 제공될 수 있다.
먼저, 주문 단말(10)로부터 매장의 운영 상태와 연관된 매장 운영 정보가 수집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매장 운영 정보는 주문 단말(10) 외에 POS 단말(20) 또는 점주 단말로부터 수집될 수 도 있다(S501).
다음으로, 수집된 매장 운영 정보를 기초로 매장의 매출을 최대화하기 위한 매장 운영 지원 정보가 생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생성되는 매장 운영 지원 정보에는 매장의 기간 별 매출 정보, 상품 별 주문량 정보, 테이블 별 주문량 정보 및 상품 구성 추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매장 실적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상품 재고량 및 원재료 재고량 정보를 포함하는 예상 재고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S502).
다음으로, 생성된 매장 운영 지원 정보는 매장 점주가 관리하는 점주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점주 단말로 전송되는 매장 운영 지원 정보는 상기 점주 단말로부터 요청되는 특정 매장 운영 지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S503).
전술한 매장 운영 정보를 이용한 매장 운영 지원 방법은 도면에 제시된 순서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되었다. 간단히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 방법은 일련의 블록들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블록들의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몇몇 블록들은 다른 블록들과 본 명세서에서 도시되고 기술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또는 동시에 일어날 수도 있으며, 동일한 또는 유사한 결과를 달성하는 다양한 다른 분기, 흐름 경로, 및 블록의 순서들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방법의 구현을 위하여 도시된 모든 블록들이 요구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매장 운영 정보를 이용한 매장 운영 지원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주문 단말
20: POS 단말
100: 매장 운영 지원 장치
110: 매장 운영 정보 수집부
120: 매장 운영 지원 정보 생성부
130: 매장 운영 지원부
140: 외부 환경 정보 수집부

Claims (11)

  1. 매장에 마련된 테이블에 배치되는 주문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매장 운영 정보를 이용한 매장 운영 지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문 단말로부터 매장의 운영 상태와 연관된 매장 운영 정보를 수집하고, 복수의 주문 단말들과 네트워크를 통해 개별적으로 연결되며, 매장에 마련되는 POS 단말과 독립적으로 상기 복수의 주문 단말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매장 운영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주문 단말이 아닌 상기 POS 단말을 통해서 주문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POS 단말로부터 주문 정보를 수집하는 매장 운영 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매장 운영 정보를 기초로 매장의 매출을 최대화하기 위한 매장 운영 지원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매장 운영 정보 및 주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매장의 기간 별 매출 정보, 상품 별 주문량 정보, 테이블 별 주문량 정보 및 상품 구성 추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매장 실적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주문 상품 정보, 상기 주문 상품에 대한 평점 정보 및 상기 근무자 정보에 포함되는 시간대 별 근무자 정보에 기초하여 매장의 서비스 개선을 위한 근무자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매장 운영 지원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매장 운영 지원 정보를 매장 점주가 관리하는 점주 단말로 전송하는 매장 운영 지원부;를 포함하되,
    상기 매장 운영 정보는,
    주문 상품 정보, 주문 가격 정보, 주문 시간 정보, 주문 테이블 정보, 주문 상품에 대한 평점 정보, 근무자 정보, 상품 재고 정보, 원재료 재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매장 운영 지원 정보 생성부는,
    상기 매장 운영 정보 및 외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매장에 대한 예상 주문 발생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예상 주문 발생량에 기초하여 예상 재고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매장 운영 지원 장치는,
    상기 매장 운영 정보 및 외부 환경 정보와의 상관 관계 분석을 통해 상관 인자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상관 인자와 연관된 외부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외부 환경 정보 수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환경 정보는,
    기온, 우천, 폭설 및 미세먼지 농도 여부에 따른 예상 주문 발생량을 산출하기 위한 날씨 정보, 스포츠 경기 개최 여부에 따른 예상 주문 발생량을 산출하기 위한 경기 정보 및 고정 휴일 외 별도 지정된 휴일에 따른 예상 주문 발생량을 산출하기 위한 휴일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매장 운영 지원부는 점주 단말로부터 매장과 가장 근접해 있는 동일 업종 매장에 대한 기간 별 주문량이 요청되는 경우, 해당 매장과 가장 근접해 있는 타 매장에 대한 기간 별 주문량을 제공받은 후 해당 점주 단말로 제공하되, 타 매장 중 정보 제공 동의가 확인된 상태의 타 매장으로부터 제공받고,
    상기 상품 구성 추천 정보는 상기 매장의 기간 별 매출 정보 및 상품 별 주문량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되, 주문량이 기준량보다 감소한 상태를 유지하거나 기준량보다 감소한 상품에 대한 정보, 상품 가격 및 마진 정보에 기초하는 가격 설정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POS 단말에는 상기 POS 단말에 기 설치된 고유(original) POS 에이전트와 상기 매장 운영 지원 장치 간의 데이터를 연동하기 위한 가상(virtual) POS 에이전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 운영 정보를 이용한 매장 운영 지원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매장에 마련된 테이블에 배치되는 주문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매장 운영 지원 장치에서 수행되는 매장 운영 정보를 이용한 매장 운영 지원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문 단말로부터 매장의 운영 상태와 연관된 매장 운영 정보를 수집하고, 복수의 주문 단말들과 네트워크를 통해 개별적으로 연결되며, 매장에 마련되는 POS 단말과 독립적으로 상기 복수의 주문 단말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매장 운영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주문 단말이 아닌 상기 POS 단말을 통해서 주문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POS 단말로부터 주문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매장 운영 정보를 기초로 매장의 매출을 최대화하기 위한 매장 운영 지원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매장 운영 정보 및 주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매장의 기간 별 매출 정보, 상품 별 주문량 정보, 테이블 별 주문량 정보 및 상품 구성 추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매장 실적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주문 상품 정보, 상기 주문 상품에 대한 평점 정보 및 상기 근무자 정보에 포함되는 시간대 별 근무자 정보에 기초하여 매장의 서비스 개선을 위한 근무자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매장 운영 지원 정보를 매장 점주가 관리하는 점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매장 운영 정보는,
    주문 상품 정보, 주문 가격 정보, 주문 시간 정보, 주문 테이블 정보, 주문 상품에 대한 평점 정보, 근무자 정보, 상품 재고 정보, 원재료 재고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매장 운영 지원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매장 운영 정보 및 외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매장에 대한 예상 주문 발생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예상 주문 발생량에 기초하여 예상 재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매장 운영 지원 방법은,
    상기 매장 운영 정보 및 외부 환경 정보와의 상관 관계 분석을 통해 상관 인자를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상관 인자와 연관된 외부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환경 정보는,
    기온, 우천, 폭설 및 미세먼지 농도 여부에 따른 예상 주문 발생량을 산출하기 위한 날씨 정보, 스포츠 경기 개최 여부에 따른 예상 주문 발생량을 산출하기 위한 경기 정보 및 고정 휴일 외 별도 지정된 휴일에 따른 예상 주문 발생량을 산출하기 위한 휴일 정보를 포함하며,
    매장 운영 지원부는 점주 단말로부터 매장과 가장 근접해 있는 동일 업종 매장에 대한 기간 별 주문량이 요청되는 경우, 해당 매장과 가장 근접해 있는 타 매장에 대한 기간 별 주문량을 제공받은 후 해당 점주 단말로 제공하되, 타 매장 중 정보 제공 동의가 확인된 상태의 타 매장으로부터 제공받고,
    상기 상품 구성 추천 정보는 상기 매장의 기간 별 매출 정보 및 상품 별 주문량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되, 주문량이 기준량보다 감소한 상태를 유지하거나 기준량보다 감소한 상품에 대한 정보, 상품 가격 및 마진 정보에 기초하는 가격 설정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POS 단말에는 상기 POS 단말에 기 설치된 고유(original) POS 에이전트와 상기 매장 운영 지원 장치 간의 데이터를 연동하기 위한 가상(virtual) POS 에이전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 운영 정보를 이용한 매장 운영 지원 방법.
KR1020200129274A 2020-10-07 2020-10-07 매장 운영 정보를 이용한 매장 운영 지원 장치 및 방법 KR102416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274A KR102416934B1 (ko) 2020-10-07 2020-10-07 매장 운영 정보를 이용한 매장 운영 지원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274A KR102416934B1 (ko) 2020-10-07 2020-10-07 매장 운영 정보를 이용한 매장 운영 지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6170A KR20220046170A (ko) 2022-04-14
KR102416934B1 true KR102416934B1 (ko) 2022-07-05

Family

ID=81211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274A KR102416934B1 (ko) 2020-10-07 2020-10-07 매장 운영 정보를 이용한 매장 운영 지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69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8216A (ja) * 2005-07-07 2007-01-25 Nec Corp 適正在庫量算出システム及び適正在庫量算出方法
KR102080074B1 (ko) * 2019-03-22 2020-02-21 주식회사 크린에어텍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프랜차이즈 개방형 메뉴 주문 시스템 및 방법
KR102125526B1 (ko) * 2019-07-16 2020-06-22 (주)부엉이에프엔비 가맹점 운영 지원 서버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9540A (ko) * 2007-02-26 2008-10-07 (주)데일리시스템 식자재 유통 시스템 및 재고 관리 방법
KR20100081890A (ko) * 2009-01-07 2010-07-15 (주)엔조이소프트 피시방 직원 평가 시스템
KR20110129330A (ko) * 2010-05-25 2011-12-01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매장 주문 처리 시스템 및 pos 단말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KR20150102503A (ko) * 2014-02-28 2015-09-07 주식회사 에스비아이에스 매출 증진을 위한 날씨별 추천메뉴 제공시스템
KR20160122979A (ko) * 2015-04-15 2016-10-25 (주)에스테드아시아 가게 건강 기록(Smart Health Record)을 이용한 매장 관리 시스템
KR101921908B1 (ko) * 2016-11-10 2018-11-26 주식회사 에스피씨클라우드 맞춤 이벤트 생성을 통한 영업점 관리 서버
KR102223317B1 (ko) * 2018-12-14 2021-03-09 주식회사 나우버스킹 자동 예측 기반의 홍보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8216A (ja) * 2005-07-07 2007-01-25 Nec Corp 適正在庫量算出システム及び適正在庫量算出方法
KR102080074B1 (ko) * 2019-03-22 2020-02-21 주식회사 크린에어텍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프랜차이즈 개방형 메뉴 주문 시스템 및 방법
KR102125526B1 (ko) * 2019-07-16 2020-06-22 (주)부엉이에프엔비 가맹점 운영 지원 서버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6170A (ko) 2022-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1036477A (ja) 配送ネットワークを管理および最適化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079085B1 (ko) 거래처 통합관리 방법
KR102445639B1 (ko) 인바운드 스토우 모델을 이용한 아웃바운드 예측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445640B1 (ko) 아웃바운드 예측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7720724B2 (en) Inventory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product
KR20140124030A (ko) 중소시장 활성화를 위한 고객 맞춤형 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20230130595A (ko) 풀필먼트 센터 우선순위 값에 기초한 아웃바운드 예측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14819769A (zh) It服务任务的切片处理方法及系统
KR102576458B1 (ko) 요식업 빅데이터 기반 식/부자재 주문관리 시스템
KR102416934B1 (ko) 매장 운영 정보를 이용한 매장 운영 지원 장치 및 방법
JP2005322094A (ja) 営業支援方法および営業支援システム
US20160300173A1 (en) Oscillation detection and reduction in supply chain
JP7066921B1 (ja) 倉庫内商品販売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202312066A (zh) 用於延遲載入結帳選項的電子商務結帳之系統及方法
CN112990948A (zh) 服务评估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计算机程序产品
US20160210688A1 (en) Enterprise resource management
KR102208434B1 (ko) 거래 중개 시스템 및 거래 중개 방법
KR20220006330A (ko) 온라인으로 구매와 판매를 동시에 수행하는 휴대폰 배송 시스템
JP2002288322A (ja) 広告受注管理システム、広告受注管理装置および広告受注管理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CN111260444B (zh) 一种无货商品的下单方法、装置及计算机系统
CN111429081A (zh) 人力资源信息处理方法、装置及系统
JP4279342B1 (ja) 気づきプログラム及び気づきシステム
KR102556916B1 (ko) 전자상거래에 대한 통합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에 따른 방법
KR102543110B1 (ko) 가맹점 및 지점 기반의 축산물 구매 중개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축산물 구매 중개 방법
JP2002007816A (ja) 商品販売支援システムにおける与信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