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9085B1 - 거래처 통합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거래처 통합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9085B1
KR102079085B1 KR1020190145258A KR20190145258A KR102079085B1 KR 102079085 B1 KR102079085 B1 KR 102079085B1 KR 1020190145258 A KR1020190145258 A KR 1020190145258A KR 20190145258 A KR20190145258 A KR 20190145258A KR 102079085 B1 KR102079085 B1 KR 102079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duct
customer
discount
shopping m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용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에스스퀘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에스스퀘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에스스퀘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거래처 단말기가, 상품 등록하려는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을 선택하여, 판매하려는 상품 정보 및 상품 이미지 정보를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에 업로드하여 등록하는 상품 정보 등록 단계; 상기 거래처 단말기가, 상기 상품 정보 및 상기 상품 이미지 정보에 대한 할인 정보를 상기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에 등록하는 할인 정보 등록 단계; 상기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가, 상기 상품 정보 및 상기 상품 이미지 정보를 각 거래처에서 선택한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에 실시간 연동시켜 노출시키는 상품 정보 노출 단계; 상기 상품 정보 및 상기 상품 이미지 정보를 노출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접속자수에 따라 동일 상품을 판매하는 다른 거래처의 상기 상품 정보와 상기 할인 정보를 팝업 형태로 제공하여 거래처 간 판매 대결을 통한 할인 이벤트를 제공하는 할인 이벤트 제공 단계; 상기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가, 각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의 주문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주문 발생된 거래처 단말기에 주문 상품의 출고를 발주하며 주문 발생된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의 매출 정보를 갱신하는 주문 발주 단계; 상기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와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간에, 주문된 상품에 대한 배송 관리를 수행하는 배송 관리 단계; 상기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가, 각 거래처가 등록한 상품의 재고를 DB에 업데이트하여 관리하는 재고 관리 단계; 상기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가, 각 거래처의 매출 이력을 업데이트하며, 각 거래처의 매출 통계를 상기 거래처 단말기 및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 서버로 제공하는 정산 통계 단계; 및 상기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가, 고객으로부터 발생된 클레임을 관리하는 클레임 관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거래처 통합관리 방법{METHOD FOR MANAGING CUSTOMER COMBINE}
본 발명은 거래처 통합 관리 방법으로서,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에 상품을 판매 등록하는 거래처를 통합 관리하는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에서의 거래처 통합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쇼핑몰 안의 SCM 시스템(혹은 ADMIN)은 쇼핑몰 운영자의 기준에 맞추어 만들어지는데 시스템 안에는 상품 등록 및 상품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여 상품의 모든 정보가 기재된 상품DB를 포함한다. 판매되는 상품은 쇼핑몰 SCM에 등록되어 쇼핑몰에 노출되어 소비자에게 보여져서 판매된다. 상품등록은 쇼핑몰이나 상기 쇼핑몰에 상품을 공급하는 업체가 등록을 하게 되며, 이 관리자 시스템을 통해 고객의 기본적인 정보 그리고 배송사항, 결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쇼핑몰에 물건을 공급하여 판매하는 공급자 혹은 판매자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 다양한 판매 채널(혹은 쇼핑몰)이 생겨나고 그에 따라 유통을 활성화하기 위해 많은 다양한 판매채널과 거래를 하게 되는데 이때 공급자는 각 판매채널 별로 해당 쇼핑몰마다 다르게 구성된 시스템에 각각 접속하여 상품정보를 등록하고 마케팅 방법에 대한 것을 기입하며 각각 광고비를 정산하고 판매내용을 각기 다른 시스템에 접속하여 다운받는 등의 많은 불편을 감수해야만 했다.
또한, 상품이 품절되었거나 마케팅 방법의 변화를 주려고 하여도 현재 거래하고 있는 판매채널에 따라 각각 해당 시스템에 접속하여 판매방법을 변경해야 하는 등 상품의 정보와 그 내용을 수정하는데 많은 인력과 시간을 낭비하였다.
한국공개특허 10-2005-0099157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거래처들을 효율적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래처 통합관리 방법은, 거래처 단말기가, 상품 등록하려는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을 선택하여, 판매하려는 상품 정보 및 상품 이미지 정보를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에 업로드하여 등록하는 상품 정보 등록 단계; 상기 거래처 단말기가, 상기 상품 정보 및 상기 상품 이미지 정보에 대한 할인 정보를 상기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에 등록하는 할인 정보 등록 단계; 상기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가, 상기 상품 정보 및 상기 상품 이미지 정보를 각 거래처에서 선택한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에 실시간 연동시켜 노출시키는 상품 정보 노출 단계; 상기 상품 정보 및 상기 상품 이미지 정보를 노출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접속자수에 따라 동일 상품을 판매하는 다른 거래처의 상기 상품 정보와 상기 할인 정보를 팝업 형태로 제공하여 거래처 간 판매 대결을 통한 할인 이벤트를 제공하는 할인 이벤트 제공 단계; 상기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가, 각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의 주문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주문 발생된 거래처 단말기에 주문 상품의 출고를 발주하며 주문 발생된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의 매출 정보를 갱신하는 주문 발주 단계; 상기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와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간에, 주문된 상품에 대한 배송 관리를 수행하는 배송 관리 단계; 상기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가, 각 거래처가 등록한 상품의 재고를 DB에 업데이트하여 관리하는 재고 관리 단계; 상기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가, 각 거래처의 매출 이력을 업데이트하며, 각 거래처의 매출 통계를 상기 거래처 단말기 및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 서버로 제공하는 정산 통계 단계; 및 상기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가, 고객으로부터 발생된 클레임을 관리하는 클레임 관리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할인 정보 등록 단계는, 상기 거래처 단말기가,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상품 별 상품 식별 코드를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에 등록하는 상품 식별 코드 등록 단계; 및 상기 거래처 단말기가,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상품 정보에 대한 할인 이벤트로서 제공될 각 상품 정보 별 할인 쿠폰 정보, 할인 가격 정보, 사은품 정보 및 상품 묶음 할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에 등록하는 할인 이벤트 정보 등록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할인 이벤트 제공 단계는, 상기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가, 온라인 쇼핑몰의 각 페이지 별 접속자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접속자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접속자수 이상인 경우, 해당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제공되는 기준 상품에 대한 상품 식별 코드와 동일한 상품 식별 코드를 갖는 다른 거래처의 대결 상품 정보와 상기 할인 이벤트 정보를 로딩하는 대결 상품 할인 정보 로딩 단계; 상기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가, 상기 대결 상품 할인 정보 로딩 단계를 통해 로딩된 상기 대결 상품 정보에 포함된 상품 가격 정보와 상기 기준 상품의 상품 가격 정보를 비교하여 대결 상품의 가격이 기준 상품의 가격보다 높은 경우, 대결 상품의 상기 할인 이벤트 정보를 해당 온라인 쇼핑몰의 페이지 상에 팝업 형태로 표시하는 할인 이벤트 정보 표시 단계; 상기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가, 상기 할인 이벤트 정보 표시 단계를 통해 표시되는 할인 이벤트 정보를 미리 설정된 시간 또는 미리 설정된 표시 횟수만큼 표시하여 할인 이벤트 정보의 표시를 제한하는 할인 이벤트 정보 표시 제한 단계; 상기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가, 상기 할인 이벤트 정보 표시 단계를 통해 다른 거래처의 상기 할인 이벤트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상기 기준 상품을 판매하는 상기 거래처 단말기에 할인 이벤트 알림을 제공하는 할인 이벤트 알림 단계; 및 상기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가, 상기 거래처 단말기에 상기 할인 이벤트 알림을 전송한 후, 미리 설정된 대응 여부에 따라 대응하되 대응하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대결 상품의 상기 할인 이벤트 정보의 내용을 분석하여 할인 조건이 상향 조정된 새로운 할인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온라인 쇼핑몰 상에 팝업 형태로 표시하는 할인 이벤트 대응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결 상품 할인 정보 로딩 단계는, 상기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가, 거래처 별 판매 매출 실적을 분석하고, 미리 설정된 판매 매출 하위의 일정 범위에 포함된 거래처를 대상으로 할인 이벤트 정보를 로딩하여 할인 이벤트를 실행하는 거래처로서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단계는, 등록되는 상품 정보 및 상품 이미지 정보를 미리 설정된 탬플릿 페이지에 기록하여 거래처 상품 페이지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품 정보 노출 단계는, 상기 거래처 상품 페이지를 거래처에서 선택한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에 실시간 연동시켜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송 관리 단계는, 상기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가, 주문 상품의 출고 발주를 받은 거래처 단말기로부터 송장 번호가 포함된 배송 정보를 등록 받는 배송 정보 등록 단계; 상기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가, 거래처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배송 정보를 주문이 발생된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 서버로 중계하는 배송 정보 중계 단계; 상기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 서버가, 상기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배송 정보를 고객 단말기로 제공하는 배송 정보 제공 단계; 및 고객으로부터 주문 확정되는 경우, 상기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 서버가, 상기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에 주문 확정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주문 확정 정보 업데이트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레임 관리 단계는, 고객으로부터 발생된 클레임을 분석하여 클레임 대상을 파악하는 클레임 분석 단계; 파악된 클레임 대상이 거래처인 경우, 상품을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에 등록한 거래처단말기에 클레임 내용을 전송하여 클레임 대응 처리 내용을 거래처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파악된 클레임 대상이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인 경우, 상품을 판매한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 서버에 클레임 내용을 전달하여, 클레임 대응 처리 내용을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레임 분석 단계는, 고객으로부터 발생된 클레임을 분석하여 클레임 레벨을 파악하며, 클레임 레벨이 미리 설정된 위험 레벨의 클레임인 경우, 상품을 판매한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과 상품을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에 등록한 거래처 단말기에 모두 클레임 내용을 전달하며,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 서버와 거래처 단말기 모두에게 클레임 대응 처리 내용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의 다수의 거래처를 하나의 화면에서 통합으로 관리함으로써, 상품등록, 주문수집, 재고관리, 클레임관리, 배송관리, CS관리, 매출통계, 정산통계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래처 통합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래처 등록 및 상품 등록 프로세스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문 및 배송 처리 프로세스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래처 통합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할인 정보 등록 단계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할인 이벤트 제공 단계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송 관리 단계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레임 관리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래처 통합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요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래처 등록 및 상품 등록 프로세스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문 및 배송 처리 프로세스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상품"이라는 용어는 대가를 받고 제공하는 모든 형태의 상거래행위의 대상 물품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거래처 통합관리라 함은, 각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의 다수의 거래처를 하나의 화면에서 통합으로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관리의 주요 기능으로서, 상품등록, 주문수집, 재고관리, 클레임관리, 배송관리, CS관리, 매출통계, 정산통계 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거래처 통합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무선 통신망(100), 거래처 단말기(200),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 서버(300), 및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망(100)은, 거래처 단말기(200),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 서버(300), 및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400)간에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제공한다. 이러한 유무선 통신망(100)이 무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 이동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 및 홈 위치 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로 이루어진 무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유무선 통신망(100)이 유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 서버(300)는, 온라인 상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운영하는 서버와 홈쇼핑에서 운영하는 서버로서, 예컨대, 오픈마켓, 종합몰, 소셜커머스, 전문몰, 복지몰, 홈쇼핑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이라 함은 온라인 쇼핑몰과 홈쇼핑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거래처 단말기(200)는,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에 등록된 거래처에서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데스크탑 PC, 노트북, 스마트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거래처 단말기(200)는, 상품 등록하려는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을 선택하여, 판매하려는 상품 정보 및 상품 이미지 정보를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에 업로드하여 등록한다. 그리고 주문 발주가 있는 경우 송장 번호가 포함된 배송 정보를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에 등록한다.
참고로, 거래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거래처와 하위 거래처로 구분될 수 있다. 메인 거래처는 판매운영관리업체(밴더)와 사전 계약을 통한 거래처 계약이 이루어지며, 메인 거래처는 하위 거래처와 별도 거래계약을 진행(관리 계정 등록 및 코드부여)할 수 있다. 하위 거래처는 주 거래처 DB에 거래처 정보를 입력 > 거래처 승인 필요 > 메인 거래처DB는 MASTER DB와 DATA를 연동한다. 하위 거래처는 마스터 DB에 상품정보/상품이미지자료/기타 정보를 입력 업로드하게 된다.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는 복수개의 거래처를 통합 관리하는 서버로서,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는, 각 거래처별로 상품등록, 주문수집, 재고관리, 클레임관리, 배송관리, CS관리, 매출통계, 정산통계 등을 관리한다.
즉, 각 거래처에서 등록한 상품 정보 및 상품 이미지 정보를 거래처에서 선택한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에 실시간 연동시켜 노출시킨다. 또한 각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의 주문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주문 발생된 거래처 단말기(200)에 주문 상품의 출고를 발주하며 주문 발생된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의 매출 정보를 갱신한다. 또한 주문된 상품에 대한 배송 관리를 수행한다. 또한 고객으로부터 주문 확정되는 경우,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에 주문 확정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또한 각 거래처가 등록한 상품의 재고를 DB에 업데이트하여 관리한다. 또한 각 거래처의 매출 이력을 업데이트하며, 각 거래처의 매출 통계를 거래처 단말기(200) 및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 서버(300)로 제공한다. 또한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400)가, 고객으로부터 발생된 클레임을 관리한다.
상품 등록 절차를 도 2 및 도 3과 함께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메인 거래처 단말기(200)는, 판매운영관리업체(밴더)와 사전 계약을 통한 거래처 계약하고, 메인 거래처는 하위 거래처와 별도 거래계약을 진행(관리 계정 등록 및 코드부여)한다.
하위 거래처 단말기(200)는, 메인 거래처 DB에 거래처 정보를 입력 > 거래처 승인 필요 > 주 거래처DB는 MASTER DB와 DATA를 연동한다. 또한 마스터 DB에 상품정보/상품이미지자료/기타 정보를 입력 업로드한다.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400)에 구비된 마스터 DB는, 쇼핑몰 통합관리프로그램과 실시간 DATA를 연동한다. 이미지는 이미지 호스팅 서버를 통해 호출된다(소스코드만 입력).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400)에 구비된 응용 프로그램은, 해당 상품데이터(상품정보, 이미지정보, 주문정보, CS정보)를 API를 통한 제휴 쇼핑몰과 실시간 연동하고 상품판매관리를 진행한다.
제휴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의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 서버(300)는, 제휴 쇼핑몰은 해당 응용프로그램과 연동한 상품정보를 노출한다. 각 해당 쇼핑몰은 자동노출 및 MD의 승인 후 노출의 경우가 있다.
고객 단말기는,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을 통해 해당 상품을 주문한다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은 해당 주문DATA의 상품정보, 주문정보, 배송정보, 결제정보 등을 쇼핑몰 관리프로그램으로 전송한다.
한편, 주문 및 배송 처리 절차를 도 4 및 도 5와 함께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메인 거래처 단말기(200)는, DB SERVER에 매출자료를 전송한다. 하위 거래처의 배송정보를 MASTER DB 서버에 업로드(실시간 통신)한다. 그리고 주문 및 매출정보 업데이트 (구매확정) > 구매확정 매출은 익월 정산대상으로 분류한다.
하위 거래처 단말기(200)는, 계정을 통해 해당 주문(발주)확인하고, 발주 확인한 후 상품출고한다. 상품 출고 후 송장번호 주 거래처DB에 업로드한다.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400)에 구비된 마스터 DB는, 쇼핑몰 주문정보 DB 수집 저장되며, 수집된 배송정보를 응용프로그램으로 전송한다. 고객 구매확정 정보가 업데이트되며 메인 거래처 DB에 주문정보가 업데이트된다.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400)에 구비된 응용 프로그램은, 해당 쇼핑몰 주문정보 수집 전송하며, 주문 쇼핑몰로 해당 배송정보 전송하며, 고객 구매확정 정보 업데이트한다.
제휴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의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 서버(300)는, 쇼핑몰 주문 DB 업데이트하며, 해당 주문건의 배송정보 업데이트 및 고객에게 정보 전송(주문상태 업데이트)하며, 고객 구매확정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고객 단말기는, 고객 주문 결제 완료를 수행하며, 고객 상품수령 후 구매확정을 수행한다.
한편, 거래처 단말기(200)는 상품 정보 및 상품 이미지 정보에 대한 할인 정보를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400)에 등록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거래처 단말기(200)는, 해당 거래처에서 선택된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상품 별 상품 식별 코드를 등록할 수 있으며,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상품 정보에 대한 할인 이벤트로서 제공될 각 상품 정보 별 할인 쿠폰 정보, 할인 가격 정보, 사은품 정보 및 상품 묶음 할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할인 정보로서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400)는, 온라인 쇼핑몰의 각 페이지 별 접속자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접속자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접속자수 이상인 경우, 해당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제공되는 기준 상품에 대한 상품 식별 코드와 동일한 상품 식별 코드를 갖는 다른 거래처의 대결 상품 정보와 할인 이벤트 정보를 로딩할 수 있다.
또한,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400)는, 대결 상품 할인 정보 로딩 단계를 통해 로딩된 대결 상품 정보에 포함된 상품 가격 정보와 기준 상품의 상품 가격 정보를 비교하여 대결 상품의 가격이 기준 상품의 가격보다 높은 경우, 대결 상품의 할인 이벤트 정보를 해당 온라인 쇼핑몰의 페이지 상에 팝업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400)는, 할인 이벤트 정보 표시 단계를 통해 표시되는 할인 이벤트 정보를 미리 설정된 시간 또는 미리 설정된 표시 횟수만큼 표시하여 할인 이벤트 정보의 표시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400)는, 상기와 같이 할인 이벤트 정보 표시 과정에서 다른 거래처의 할인 이벤트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기준 상품을 판매하는 거래처 단말기(200)에 할인 이벤트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400)는, 거래처 단말기(200)에 할인 이벤트 알림을 전송한 후, 미리 설정된 대응 여부에 따라 대응하되 대응하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 대결 상품의 할인 이벤트 정보의 내용을 분석하여 할인 조건이 상향 조정된 새로운 할인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온라인 쇼핑몰 상에 팝업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400)는, 대결 상품 할인 정보 로딩 시, 거래처 별 판매 매출 실적을 분석하고, 미리 설정된 판매 매출 하위의 일정 범위에 포함된 거래처를 대상으로 할인 이벤트 정보를 로딩하여 할인 이벤트를 실행하는 거래처로서 선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래처 통합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할인 정보 등록 단계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할인 이벤트 제공 단계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송 관리 단계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레임 관리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거래처 통합관리 방법(S600)은, 도 6을 참조하면, 상품 정보 등록 단계(S610), 할인 정보 등록 단계(S620), 상품 정보 노출 단계(S630), 할인 이벤트 제공 단계(S640), 주문 발주 단계(S650), 배송 관리 단계(S660), 재고 관리 단계(S670), 정산 통계 단계(S680) 및 클레임 관리 단계(S690)를 포함한다.
상기 상품 정보 등록 단계(S610)에서는, 거래처 단말기(200)가, 상품 등록하려는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을 선택하여, 판매하려는 상품 정보 및 상품 이미지 정보를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400)에 업로드하여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400)에 다수개의 거래처가 등록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제1거래처는, A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과 C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에 상품을 등록하여 판매하고자 상품 정보를 등록할 수 있으며, 제2거래처는, B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과 C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에 상품을 등록하여 판매하고자 상품 정보를 등록할 수 있으며, 제3거래처는, A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과 D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에 상품을 등록하여 판매하고자 상품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상품 정보 등록 단계(S610)에서는, 등록되는 상품 정보 및 상품 이미지 정보를 미리 설정된 탬플릿 페이지에 기록하여 거래처 상품 페이지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즉, 미리 설정되어 있는 탬플릿 페이지에 자동으로 상품 정보 및 상품 이미지 정보가 기록되기 때문에, 거래처 단말기(200)는 상품 정보 및 상품 이미지 정보를 입력하기만 하면 될 뿐이지 일일이 상품 페이지를 생성할 필요가 없다.
상기 할인 정보 등록 단계(S620)에서는, 거래처 단말기(200)가, 상품 정보 및 상품 이미지 정보에 대한 할인 정보를 상기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에 등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할인 정보 등록 단계(S6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 식별 코드 등록 단계(S621)와 할인 이벤트 정보 등록 단계(S6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품 식별 코드 등록 단계(S621)에서는, 거래처 단말기(200)가,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상품 별 상품 식별 코드를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400)에 등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품 식별 코드 정보는 추후 대결 거래처의 판매 상품 정보를 불러오기 위한 데이터로서 활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할인 이벤트 정보 등록 단계(S622)에서는, 거래처 단말기(200)가, 해당 거래처가 선택한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상품 정보에 대한 할인 이벤트로서 제공될 각 상품 정보 별 할인 쿠폰 정보, 할인 가격 정보, 사은품 정보 및 상품 묶음 할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400)에 등록할 수 있다. 이러한 할인 정보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제공하는 상시 할인 정보가 아니라, 본 실시예에 따른 판매 대결 모드의 활성화 시 일시적으로 제공되는 정보로, 해당 판매 대결 시 각 상품에 대한 가능한 할인율이나, 해당 상품을 구매하기 위한 할인 조건, 묶음 상품에 대한 할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품 정보 노출 단계(S630)에서는, 복수개의 거래처를 통합 관리하는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400)가, 각 거래처에서 등록한 상품 정보 및 상품 이미지 정보를 거래처에서 선택한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에 실시간 연동시켜 노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거래처가 A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과 C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에 상품을 등록하여 판매하고자 상품 정보를 등록한 경우, A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과 C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에 자동으로 제1거래처의 등록 상품이 노출된다. 마찬가지로, 제2거래처가 B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과 C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에 상품을 등록하여 판매하고자 상품 정보를 등록한 경우, B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과 C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에 자동으로 제2거래처의 등록 상품이 노출된다. 마찬가지로, 제3거래처가 A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과 D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에 상품을 등록하여 판매하고자 상품 정보를 등록한 경우, A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과 D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에 자동으로 제3거래처의 등록 상품이 노출된다.
또한, 상품 정보 등록 단계(S610)에서, 등록되는 상품 정보 및 상품 이미지 정보를 미리 설정된 탬플릿 페이지에 기록하여 거래처 상품 페이지를 자동으로 생성되는 경우에, 상품 정보 노출 단계(S630)에서, 거래처 상품 페이지를 거래처에서 선택한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에 실시간 연동시켜 노출시키게 된다.
상기 할인 이벤트 제공 단계(S640)에서는, 상품 정보 및 상품 이미지 정보를 노출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접속자수에 따라 동일 상품을 판매하는 다른 거래처의 상품 정보와 할인 정보를 팝업 형태로 제공하여 거래처 간 판매 대결을 통한 할인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할인 이벤트 제공 단계(S6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결 상품 할인 정보 로딩 단계(S641), 할인 이벤트 정보 표시 단계(S642), 할인 이벤트 정보 표시 제한 단계(S643), 할인 이벤트 알림 단계(S644), 및 할인 이벤트 대응 단계(S6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결 상품 할인 정보 로딩 단계(S641)에서는,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400)가, 온라인 쇼핑몰의 각 페이지 별 접속자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접속자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접속자수 이상인 경우, 해당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제공되는 기준 상품에 대한 상품 식별 코드와 동일한 상품 식별 코드를 갖는 다른 거래처의 대결 상품 정보와 할인 이벤트 정보를 로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쇼핑몰 A에 접속자수가 30명이고, 기준 접속자수가 20명이라고 하면, 실제 접속자수가 기준 접속자수보다 많기 때문에, 현재 온라인 쇼핑몰 A에 등록된 상품들 중 동일한 상품을 판매하는 거래처의 상품 정보와 할인 이벤트를 DB로부터 불러올 수 있다.
또한, 대결 상품 할인 정보 로딩 단계(S641)에서는,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400)가, 거래처 별 판매 매출 실적을 분석하고, 미리 설정된 판매 매출 하위의 일정 범위에 포함된 거래처를 대상으로 할인 이벤트 정보를 로딩하여 할인 이벤트를 실행하는 거래처로서 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판매 실적이 저조한 거래처를 대상으로 일시적인 할인 이벤트를 소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매출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할인 이벤트 정보 표시 단계(S642)에서는,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400)가, 대결 상품 할인 정보 로딩 단계(S641)를 통해 로딩된 상품 정보(이하 대결 상품 정보라고 함)에 포함된 상품 가격 정보와 기준 상품(온라인 쇼핑몰에 제공되는 원래의 상품)의 상품 가격 정보를 비교하여 대결 상품의 가격이 기준 상품의 가격보다 높은 경우, 대결 상품의 할인 이벤트 정보를 해당 온라인 쇼핑몰의 페이지 상에 팝업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즉, 대결 상품 할인 정보 로딩 단계(S641)를 통해 로딩을 통해 1차 후보군 중에서 현재 온라인 쇼핑몰 A에서 판매되는 동일 상품과 판매 가격이 서로 같거나 보다 높은 가격의 상품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상품 정보 및 할인 이벤트 정보를 최종적으로 선정할 수 있다. 이러는 이유는, 특정 상품에 대한 경쟁 업체라고 할 수 있는 다른 거래처에서도 일시적 할인 조건을 자동으로 제시하여 판매할 수 기회를 제공해 주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할인 이벤트 정보 표시 단계(S642)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는 상품 정보와 할인 이벤트 정보가 융합된 정보로, 할인 이벤트 정보 표시 단계(S642)를 통해 상품 정보에서 필요한 상품 이미지, 할인된 가격, 할인 조건 등을 추출해 새로운 판매 팝업 페이지를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할인 이벤트 정보 표시 제한 단계(S643)에서는,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400)가, 할인 이벤트 정보 표시 단계(S642)를 통해 표시되는 할인 이벤트 정보를 미리 설정된 시간 또는 미리 설정된 표시 횟수만큼 표시하여 할인 이벤트 정보의 표시를 제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할인 이벤트 서비스(판매 대결 모드)를 유료화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이벤트의 횟수나 각 소비자에게 표시할 수 있는 이벤트 유지 시간에 대한 제한을 두어 본래의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판매하는 거래처에 대한 매출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하며, 보다 경쟁 판매에 대한 공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각 거래처 별로, 할인 이벤트 서비스(판매 대결 모드)를 각 온라인 쇼핑몰 별로 1일 10회로 발생되도록 제한하거나, 할인 이벤트 서비스(판매 대결 모드)의 실행 혹은 적용 시간이 5분 내지 10분 내외로 제한하여, 해당 시간 내에 소비자가 가격 비교를 통해 보다 경제적인 소비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할인 이벤트 알림 단계(S644)에서는,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400)가, 할인 이벤트 정보 표시 단계(S642)를 통해 다른 거래처의 할인 이벤트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즉 해당 거래처가 선택한 온라인 쇼핑몰에서 다른 거래처의 할인 이벤트 서비스(판매 대결 모드)가 발생되는 경우, 기준 상품을 판매하는 거래처 단말기(200)에 할인 이벤트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할인 이벤트 알림은 메일, 문자 등의 형태로 제공되거나, 로그 기록과 같은 형식의 리스트 파일로 생성하여 일 별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할인 이벤트 대응 단계(S645)에서는,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400)가, 거래처 단말기(200)에 할인 이벤트 알림을 전송한 후, 미리 설정된 대응 여부에 따라 대응하되 대응하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 대결 상품의 할인 이벤트 정보의 내용을 분석하여 할인 조건이 상향 조정된 새로운 할인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온라인 쇼핑몰 상에 팝업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래처 a가 선택한 온라인 쇼핑몰 A에서 다른 거래처 b가 할인 이벤트를 실행하고 있을 경우, 이에 대한 대응을 위하여 거래처 a가 거래처 b의 할인 정보를 분석해 가령 할인 적용 가격이 10만원으로 파악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할인률 5%를 적용한 가격으로 일시 대응 할인할 수 있도록 해당 대응 할인 정보를 구성하여 팝업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신의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온라인 쇼핑몰에 방문 중인 고객을 다른 고객에게 뺏기지 않고 자신이 등록한 상품의 판매 가능성을 높여줌으로써 다른 거래처의 할인 이벤트에 즉시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주문 발주 단계(S650)에서는,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400)가, 각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의 주문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주문 발생된 거래처 단말기(200)에 주문 상품의 출고를 발주하며 주문 발생된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의 매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다.
예를 들어, A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에 등록된 상품 중에서 제1거래처의 등록 상품이 고객에 의해 주문된 경우, 실시간 연동되는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400)가 이를 감지하고 제1거래처의 단말기에 주문 상품의 출고를 발주하고, 주문 발생된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의 매출 정보를 갱신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B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에 등록된 상품 중에서 제2거래처의 등록 상품이 고객에 의해 주문된 경우, 실시간 연동되는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400)가 이를 감지하고 제2거래처의 단말기에 주문 상품의 출고를 발주하고, 주문 발생된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의 매출 정보를 갱신하는 것이다.
상기 배송 관리 단계(S660)에서는,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400)와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간에, 주문된 상품에 대한 배송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배송 관리 단계(S660)에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400)가 주문 상품의 출고 발주를 받은 거래처 단말기(200)로부터 송장 번호가 포함된 배송 정보를 등록 받는 배송 정보 등록 단계(S661)과,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400)가 거래처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받은 배송 정보를 주문이 발생된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 서버(300)로 중계하는 배송 정보 중계 단계(S662)과,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 서버(300)가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400)로부터 제공받은 배송 정보를 고객 단말기로 제공하는 배송 정보 제공 단계(S663)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고객으로부터 주문 확정되는 경우,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 서버(300)가,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400)에 주문 확정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주문 확정 정보 업데이트 단계(S664)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각 거래처에서 배송 완료된 상품에 대한 주문 확정 정보가 실시간으로 조회 및 관리될 수 있다.
상기 정산 통계 단계(S680)에서는,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400)가, 각 거래처의 매출 이력을 업데이트하며, 각 거래처의 매출 통계를 거래처 단말기(200) 및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 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각 거래처에서 매출 실적의 통계를 실시간으로 조회 및 관리될 수 있다.
상기 클레임 관리 단계(S690)에서는,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400)가, 고객으로부터 발생된 클레임을 관리할 수 있다.
그런데 클레임은, 거래처나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에 발생될 수 있는데, 클레임을 받을 대상을 파악하여 이를 제대로 전달해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클레임 관리 단계(S690)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객으로부터 발생된 클레임을 분석하여 클레임 대상을 파악하는 클레임 분석 단계(S691)와, 파악된 클레임 대상이 거래처인 경우, 상품을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에 등록한 거래처단말기에 클레임 내용을 전송하여 클레임 대응 처리 내용을 거래처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거래처 대응 단계(S693)과, 파악된 클레임 대상이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인 경우, 상품을 판매한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 서버(300)에 클레임 내용을 전달하여, 클레임 대응 처리 내용을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 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 대응 단계(S694)을 가진다.
여기서 클레임 분석은, 고객으로부터 제기되는 클레임 문구를 파싱(pharsing) 분석하여 클레임 대상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송 지연 등의 클레임은 거래처 대상의 클레임이며, 상담사 불친절 클레임은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 대상의 클레임이 해당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클레임이 심각한 경우 이를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과 거래처 모두가 동시에 대처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배송 상품이 손상된 채로 배송된 경우, 라인 쇼핑몰과 거래처 모두가 동시에 대처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클레임 분석 단계(S691)은, 고객으로부터 발생된 클레임을 분석하여 클레임 레벨을 파악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클레임 문구에서 '손상', '지연'이라는 문구가 모두 검출되면 위험 레벨의 클레임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클레임 레벨이 미리 설정된 위험 레벨의 클레임인 경우, 상품을 판매한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과 상품을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에 등록한 거래처 단말기(200)에 모두 클레임 내용을 전달하며,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 서버(300)와 거래처 단말기(200) 모두에게 클레임 대응 처리 내용을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한다(S692).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 유무선 통신망
200: 거래처 단말기
300: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 서버
400: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
S600: 거래처 통합관리 방법
S610: 상품 정보 등록 단계
S620: 할인 정보 등록 단계
S621: 상품 식별 코드 등록 단계
S622: 할인 이벤트 정보 등록 단계
S630: 상품 정보 노출 단계
S640: 할인 이벤트 제공 단계
S641: 대결 상품 할인 정보 로딩 단계
S642: 할인 이벤트 정보 표시 단계;
S643: 할인 이벤트 정보 표시 제한 단계
S644: 할인 이벤트 알림 단계
S645: 할인 이벤트 대응 단계
S650: 주문 발주 단계
S660: 배송 관리 단계
S670: 재고 관리 단계
S680: 정산 통계 단계
S690: 클레임 관리 단계

Claims (3)

  1. 거래처 단말기가, 상품 등록하려는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을 선택하여, 판매하려는 상품 정보 및 상품 이미지 정보를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에 업로드하여 등록하는 상품 정보 등록 단계;
    상기 거래처 단말기가, 상기 상품 정보 및 상기 상품 이미지 정보에 대한 할인 정보를 상기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에 등록하는 할인 정보 등록 단계;
    상기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가, 상기 상품 정보 및 상기 상품 이미지 정보를 각 거래처에서 선택한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에 실시간 연동시켜 노출시키는 상품 정보 노출 단계;
    상기 상품 정보 및 상기 상품 이미지 정보를 노출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접속자수에 따라 동일 상품을 판매하는 다른 거래처의 상기 상품 정보와 상기 할인 정보를 팝업 형태로 제공하여 거래처 간 판매 대결을 통한 할인 이벤트를 제공하는 할인 이벤트 제공 단계;
    상기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가, 각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의 주문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주문 발생된 거래처 단말기에 주문 상품의 출고를 발주하며 주문 발생된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의 매출 정보를 갱신하는 주문 발주 단계;
    상기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와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간에, 주문된 상품에 대한 배송 관리를 수행하는 배송 관리 단계;
    상기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가, 각 거래처가 등록한 상품의 재고를 DB에 업데이트하여 관리하는 재고 관리 단계;
    상기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가, 각 거래처의 매출 이력을 업데이트하며, 각 거래처의 매출 통계를 상기 거래처 단말기 및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 서버로 제공하는 정산 통계 단계; 및
    상기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가, 고객으로부터 발생된 클레임을 관리하는 클레임 관리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할인 정보 등록 단계는,
    상기 거래처 단말기가,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상품 별 상품 식별 코드를 상기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에 등록하는 상품 식별 코드 등록 단계; 및
    상기 거래처 단말기가,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상품 정보에 대한 할인 이벤트로서 제공될 각 상품 정보 별 할인 쿠폰 정보, 할인 가격 정보, 사은품 정보 및 상품 묶음 할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에 등록하는 할인 이벤트 정보 등록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할인 이벤트 제공 단계는,
    상기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가, 온라인 쇼핑몰의 각 페이지 별 접속자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접속자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접속자수 이상인 경우, 해당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제공되는 기준 상품에 대한 상품 식별 코드와 동일한 상품 식별 코드를 갖는 다른 거래처의 대결 상품 정보와 상기 할인 이벤트 정보를 로딩하는 대결 상품 할인 정보 로딩 단계;
    상기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가, 상기 대결 상품 할인 정보 로딩 단계를 통해 로딩된 상기 대결 상품 정보에 포함된 상품 가격 정보와 상기 기준 상품의 상품 가격 정보를 비교하여 대결 상품의 가격이 기준 상품의 가격보다 높은 경우, 대결 상품의 상기 할인 이벤트 정보를 해당 온라인 쇼핑몰의 페이지 상에 팝업 형태로 표시하는 할인 이벤트 정보 표시 단계;
    상기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가, 상기 할인 이벤트 정보 표시 단계를 통해 표시되는 할인 이벤트 정보를 미리 설정된 시간 또는 미리 설정된 표시 횟수만큼 표시하여 할인 이벤트 정보의 표시를 제한하는 할인 이벤트 정보 표시 제한 단계;
    상기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가, 상기 할인 이벤트 정보 표시 단계를 통해 다른 거래처의 상기 할인 이벤트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상기 기준 상품을 판매하는 상기 거래처 단말기에 할인 이벤트 알림을 제공하는 할인 이벤트 알림 단계; 및
    상기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가, 상기 거래처 단말기에 상기 할인 이벤트 알림을 전송한 후, 미리 설정된 대응 여부에 따라 대응하되 대응하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대결 상품의 상기 할인 이벤트 정보의 내용을 분석하여 할인 조건이 상향 조정된 새로운 할인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온라인 쇼핑몰 상에 팝업 형태로 표시하는 할인 이벤트 대응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대결 상품 할인 정보 로딩 단계는,
    상기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가, 거래처 별 판매 매출 실적을 분석하고, 미리 설정된 판매 매출 하위의 일정 범위에 포함된 거래처를 대상으로 할인 이벤트 정보를 로딩하여 할인 이벤트를 실행하는 거래처로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래처 통합관리 방법.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 등록 단계는,
    등록되는 상품 정보 및 상품 이미지 정보를 미리 설정된 탬플릿 페이지에 기록하여 거래처 상품 페이지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상기 상품 정보 노출 단계는,
    상기 거래처 상품 페이지를 거래처에서 선택한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에 실시간 연동시켜 노출시키고,
    상기 배송 관리 단계는,
    상기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가, 주문 상품의 출고 발주를 받은 거래처 단말기로부터 송장 번호가 포함된 배송 정보를 등록 받는 배송 정보 등록 단계;
    상기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가, 거래처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배송 정보를 주문이 발생된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 서버로 중계하는 배송 정보 중계 단계;
    상기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 서버가, 상기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배송 정보를 고객 단말기로 제공하는 배송 정보 제공 단계; 및
    고객으로부터 주문 확정되는 경우, 상기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 서버가, 상기 거래처 통합 관리 서버에 주문 확정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주문 확정 정보 업데이트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클레임 관리 단계는,
    고객으로부터 발생된 클레임을 분석하여 클레임 대상을 파악하는 클레임 분석 단계;
    파악된 클레임 대상이 거래처인 경우, 상품을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에 등록한 거래처단말기에 클레임 내용을 전송하여 클레임 대응 처리 내용을 거래처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파악된 클레임 대상이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인 경우, 상품을 판매한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 서버에 클레임 내용을 전달하여, 클레임 대응 처리 내용을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클레임 분석 단계는,
    고객으로부터 발생된 클레임을 분석하여 클레임 레벨을 파악하며,
    클레임 레벨이 미리 설정된 위험 레벨의 클레임인 경우, 상품을 판매한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과 상품을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에 등록한 거래처 단말기에 모두 클레임 내용을 전달하며, 온라인 쇼핑몰 및 홈쇼핑 서버와 거래처 단말기 모두에게 클레임 대응 처리 내용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래처 통합관리 방법.
KR1020190145258A 2019-01-22 2019-11-13 거래처 통합관리 방법 KR1020790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08132 2019-01-22
KR1020190008132 2019-01-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9085B1 true KR102079085B1 (ko) 2020-02-19

Family

ID=69670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258A KR102079085B1 (ko) 2019-01-22 2019-11-13 거래처 통합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08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383B1 (ko) * 2020-06-01 2021-03-03 주식회사 골든브릿지 온라인을 통한 식자재 수발주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220048968A (ko) * 2020-10-08 2022-04-20 쿠팡 주식회사 가상 번들의 동적 밸런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536063B1 (ko) 2023-01-19 2023-05-30 주식회사 이루다컴 인공지능 기반 기업용 매출 및 매입 정산 솔루션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71415B1 (ko) * 2022-12-22 2023-08-29 주식회사 니즈커머스 온라인 직거래 마케팅시스템의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9157A (ko) 2004-04-09 2005-10-13 엔에이치엔(주) 온라인 쇼핑몰 중개 방법 및 온라인 쇼핑몰 중개 시스템
KR20090093303A (ko) * 2008-02-29 2009-09-02 주식회사 휴이넘 쇼핑몰 상품 거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291629B1 (ko) * 2012-09-27 2013-08-01 유철구 생산자와 판매자가 인터넷 쇼핑몰에 제공하는 상품을 통합관리하는 쇼핑몰 관리 통합 솔루션
KR20190073039A (ko) * 2017-12-18 2019-06-26 주식회사 글로벌아트 다수의 쇼핑몰의 통합관리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9157A (ko) 2004-04-09 2005-10-13 엔에이치엔(주) 온라인 쇼핑몰 중개 방법 및 온라인 쇼핑몰 중개 시스템
KR20090093303A (ko) * 2008-02-29 2009-09-02 주식회사 휴이넘 쇼핑몰 상품 거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291629B1 (ko) * 2012-09-27 2013-08-01 유철구 생산자와 판매자가 인터넷 쇼핑몰에 제공하는 상품을 통합관리하는 쇼핑몰 관리 통합 솔루션
KR20190073039A (ko) * 2017-12-18 2019-06-26 주식회사 글로벌아트 다수의 쇼핑몰의 통합관리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383B1 (ko) * 2020-06-01 2021-03-03 주식회사 골든브릿지 온라인을 통한 식자재 수발주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220048968A (ko) * 2020-10-08 2022-04-20 쿠팡 주식회사 가상 번들의 동적 밸런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451184B1 (ko) 2020-10-08 2022-10-07 쿠팡 주식회사 가상 번들의 동적 밸런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571415B1 (ko) * 2022-12-22 2023-08-29 주식회사 니즈커머스 온라인 직거래 마케팅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536063B1 (ko) 2023-01-19 2023-05-30 주식회사 이루다컴 인공지능 기반 기업용 매출 및 매입 정산 솔루션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9085B1 (ko) 거래처 통합관리 방법
US7158943B2 (en) Marketing communication and transaction/distribution services platform for building and managing personalized customer relationships
KR20180136398A (ko) 전자상거래 업무 통합 자동화 시스템
US20070143186A1 (en) Systems,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optimizing allocation of an advertising budget that maximizes sales and/or profits and enabling advertisers to buy media online
US20140180805A1 (en) Arranging Advertisement Content In Digital Receipts
US7835951B1 (en) Distribution channel management for wireless devices and services
KR101978496B1 (ko) 오프라인 거래정보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100841149B1 (ko) 전자상거래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JP202000412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2340946B1 (ko) 렌털 상품을 제공하는 판매자의 쇼핑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02106B1 (ko)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US20150058143A1 (en) Loa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enrolling a customer in an installment plan
US202203664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utomated market analysis testing
KR20230009336A (ko) 리뷰 컨텐츠의 구매 기여도에 기초한 리워드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시스템
JP202000438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07041663A (ja) 広告配信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2169477B1 (ko) 해외직구 대행 플랫폼 운영 방법
JP2003242397A (ja) 評価情報管理システム、評価情報管理装置、商品情報提供サーバ、ユーザ端末装置、並びに評価情報に応じて報償を支払うための方法
KR20210044974A (ko) 종합유통물류 통합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구동방법
AU2005100915A4 (en) Method and system for buying and selling distressed advertising
KR101876808B1 (ko) 인터넷 쇼핑몰 관리 방법
JP2002007745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上で動作する情報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90117187A (ko) 가맹점에 구비된 광고출력 매체를 통한 광고 출력 방법 및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2326749B1 (ko) 식품 공유중개 플랫폼 서버
KR20180113797A (ko) 재고 및 반품이 최소화되는 온라인 오디션 쇼핑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