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5931B1 - 스마트 홈 관리, 공동현관문과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및 주차장 관리를 연계시킨 아파트 통합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홈 관리, 공동현관문과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및 주차장 관리를 연계시킨 아파트 통합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5931B1
KR102415931B1 KR1020200183695A KR20200183695A KR102415931B1 KR 102415931 B1 KR102415931 B1 KR 102415931B1 KR 1020200183695 A KR1020200183695 A KR 1020200183695A KR 20200183695 A KR20200183695 A KR 20200183695A KR 102415931 B1 KR102415931 B1 KR 102415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lot
door
elevator
household
ent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3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2179A (ko
Inventor
홍승우
Original Assignee
모빌토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빌토크(주) filed Critical 모빌토크(주)
Priority to KR1020200183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5931B1/ko
Publication of KR20220092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2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ultimedia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홈 관리, 공동현관문과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및 주차장 관리를 연계시킨 아파트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이용자가 공동현관문과 엘리베이터 도어를 원패스 방식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 주차장 관리비를 실제 주차장 사용시간을 기반으로 하여 차등적으로 부과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아파트 단지를 관리하는 서버(10)와, 상기 서버(10)와 연결되는 스마트폰(20)과, 각 세대에 구비되는 월패드(50)를 포함하는 아파트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공동현관문 및 엘리베이터 관리부(60)와, 주차장 관리부(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동현관문 및 엘리베이터 관리부(60)는, 공동현관문, 지하주차장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도어가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연동하여 개폐되도록 하여, 이용자가 공동현관문, 지하주차장 출입문과 엘리베이터 도어를 원패스 방식으로 통과하도록 하고, 상기 주차장 관리부(70)는, 각 세대의 등록차량 및 방문객 차량의 주차장 사용시간을 기반으로 하여 매월 주차장 관리비를 차등적으로 부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홈 관리, 공동현관문과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및 주차장 관리를 연계시킨 아파트 통합관리 시스템{APARTMENT MANAGEMENT SYSTEM OF INTEGRATING SAMART HOME, COMMON ENTRANCE DOOR AND ELEVATOR DOOR AND PARKING LOT}
본 발명은 스마트 홈 관리, 공동현관문과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및 주차장 관리를 연계시킨 아파트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 세대에 구축되어 있는 스마트 홈 시스템과, 공동현관문 및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 및 주차장 관리시스템을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통합시킨 아파트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의 출입구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주민이 아닌 사람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공동현관문(4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가 지하주차장까지 연결된 아파트에는, 엘리베이터 승강장과 주차상 사이에 지하주차장 출입문(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공동현관문 또는 지하주차장 출입문(이하 통칭하여 '공동현관문'이라 한다)에는 공동현관문 조작부(4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공동현관문 조작부(41)에는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키패드 또는 출입카드 인식부, 각 세대 및 관리실과의 통화을 위한 인터폰, 카메라 등이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입주민이 공동현관문 조작부(41)에서 사전에 입력한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출입카드를 태그하면, 상기 공동현관문(40)이 개방된다.
이어서 상기 공동현관문(40)을 통과한 입주민 또는 외부인(이하 '이용자'라 한다)은, 엘리베이터 승강장으로 이동하여 승강장 외벽에 설치된 승강장 버튼(31)을 눌러 엘리베이터를 호출한다.
그러면 엘리베이터 탑승카(이하 '탑승카'라 한다)가 1층 또는 지하주차장으로 이동하여, 승강장 도어(30a)와 탑승카 도어(30b)가 동시에 열리게 된다.
이어서 탑승카 내부로 진입한 이용자가 탑승카 내부에 구비된 탑승카 버튼(32)을 조작하면, 탑승카가 목적층으로 이동한 후, 탑승카 도어(30b)와 승강장 도어(30a)가 동시에 개방된다.
즉 이용자가 외부에서 아파트로 들어가는 경우에는, 공동현관문(또는 지하주차장 출입문) 비밀번호 입력(또는 출입카드 태그) → 승강장 버튼 누름 → 탑승카 버튼 누름 동작을 반복하여야 한다.
또한 이용자가 아파트를 나올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대 현관문(D)을 나온 이용자가 승강장 외벽에 구비된 승강장 버튼(31)을 눌러 탑승카를 호출한다.
이어서 탑승카 내부로 진입한 이용자는, 탑승카 내부에 구비된 탑승카 버튼(32)을 눌러 1층 또는 지하주차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이용자가 실내에서 아파트 외부로 외출하기 위해서는, 승강장 버튼 누름 → 탑승카 버튼 누름의 동작을 수행하여야 한다.
한편, 최근에 전세계적으로 코로나 바이러스가 확산되면서 인류의 건강에 커다란 위협을 주고 있다.
상기한 코로나 바이러스는, 밀폐된 공간에서 감염의 위험성이 높아지고, 특히 엘리베이터 버튼을 통해서도 감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버튼에 항균필름을 부착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항균필름은 바이러스 감염차단의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발표된 바 있다.
따라서 여러사람이 이용하는 공동현관문 또는지하주차장 출입문의 버튼, 승강장 버튼 및 탑승카 버튼을 통해 바이러스가 전파될 위험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 중, 불루투스(Bluetooth) 및 비콘센서(Beacon Sensor)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공동현관문의 일정 거리에 접근하면 공동현관문을 자동으로 개방하는 방식이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이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출입카드를 태그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동현관문 출입이 간편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불루투스 및 비콘센서를 이용한 종래의 방식은, 전파의 특성상 3m 이내 접근시에는 문이 열리지 않거나 오동작을 일으킨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기술은 공동현관문을 자동으로 개방할 뿐이므로, 이용자는 승강장에 접근한 후 승강장 버튼(31)을 눌러 엘리베이터가 도착하기 까지 기다려야 하고, 탑승카에 탑승한 후에는 탑승카 버튼(32) 버튼을 눌러야 한다.
이로써 상기 버튼들을 통한 바이러스의 확산 우려를 해소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의 아파트는 고층으로 건설되고 있는데, 엘리베이터가 고층에 정차해 있는 경우에는 다른 이용자가 없다 하더라도 이용자가 엘리베이터를 호출한 후 승강장에서 대기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아파트 단지의 입구에는, 차량의 출입차단기가 설치되어 등록된 차량 이외의 출입을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출입차단기는,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여 입주민 차량인 경우에는 차단기를 올려 바로 통과시키고, 방문객의 경우에는 차단기 부스의 관리인에게 방문신고를 한 후 출입차단기를 통과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아파트의 주차장은, 각 세대당 일정한 주차공간을 부여하고 이를 합산하여 단지 주차장이 확보되어 있다.
그런데 최근 세대당 2대 또는 그 이상의 차량을 구입하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아파트에서의 주차가 어려워지고 있다.
특히 오래된 아파트의 경우에는, 대부분 세대당 1대로 주차장을 건설하였기 때문에 주차문제가 더욱 심각해지고 있고, 이러한 주차문제는 이웃간의 갈등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주차장 관리방식은, 주차장 이용의 형평성에 문제가 있고, 주차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즉 세대당 1.5대의 주차공간을 부여받고 차량 1대를 보유한 입주민은, 자신에게 부여된 면적보다도 주차공간을 적게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차에 어려움을 겪을 뿐만 아니라, 복수의 차량을 보유한 세대와 동일한 주차장 관리비를 부담해야 한다.
위와 같은 불합리성을 해소하고자, 1대 이상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는 세대에게 초과 보유차량에 따라 관리비용을 추가로 부과하기도 한다..
즉 각 세대당 1.5대의 주차공간이 확보된 주차장의 경우, 1대는 무료이지만 2대 이상일 경우 일정금액을 더 부과하고 있다.
그런데 입주민 중에는, 차량을 추가로 보유하고 있으면서 추가등록을 하지 않고 방문차량으로 신고한 후, 주차장에 장기간 주차를 경우가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을 1대만 보유한 세대의 불만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주차장 관리방식은, 아파트 방문자가 아파트 입구에 설치된 차단기 부스에 일단 정지하여 관리자에게 신고한 후 출입을 해야 한다.
즉 아파트를 방문하는 사람은 친척이나 방문교사 등 일정한 사람으로 한정되어 있음에도, 방문시마다 일일이 신고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아파트 주차장은, 운전자가 자신이 선호하는 주차장소가 비어 있는지를 사전에 확일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운전자는 자신의 집 출입구와 가까운 위치에 주차하려는 경향이 있어, 일단 자신이 선호하는 장소를 찾아가게 되고, 빈 공간이 없는 경우에 다른 곳을 찾게 된다.
이에 따라 주차를 하기 위해 필요 이상으로 주차장을 돌아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사무실 빌딩의 경우, 지하주차장 각 층별로 현재 주차가능한 대수를 표시해주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표시방식은 아파트의 경우에는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
아파트에 진입한 운전자에게는, 현재 주차가능한 대수보다 자신의 선호 주차위치가 비어 있는지가 관심사이고, 일단 자신이 선호하는 장소를 찾아가는 경향이 많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의 주차장 관리방식에서는, 운전자가 집안에서 자신이 어느 위치에 주차하였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없고, 주차장에 근접하여 자동차 스마트 키를 눌러야 차량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하에 주차하였는지, 아니면 지상 주차하였는지가 확실하지 않을 경우에는, 운전자가 지하주차장과 지상주차장을 오르내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10-2029601호(2019. 10. 7. 공고) 한국 공개특허 10-2006-0001904호(2006. 1. 6.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아파트 공동현관문 또는 지하주차장 출입문의 개방, 엘리베이터의 호출 및 도어의 개방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이용자가 공동현관문과 엘리베이터 도어를 원패스 방식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용자가 공동현관문 또는 지하주차장 출입문 버튼, 승강장 버튼, 탑승카 버튼을 손으로 누를 필요가 없이, 공동현관문을 통과하고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용자가 각종 버튼을 누르는 동작을 생략함으로써 손가락의 버튼 접촉으로 인한 바이러스의 확산을 방지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차장 관리비를 차량의 대수가 아니라 실제 주차장 사용시간을 기반으로 하여 차등적으로 부과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세대에 부여된 사용시간보다 적게 주차장을 사용한 세대는 주차장 관리비를 삭감하고, 많이 사용한 세대는 증액하도록 하여, 주차장 관리비를 합리적으로 부과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입주민 차량 뿐만 아니라 방문객 차량의 입출상황을 각 세대에 구비된 월패드를 통해 음성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아파트 방문자의 차량을 스마트폰이나 각 세대의 월패드를 통해 직접 등록할 수 있도록 하여, 방문차량의 통과절차를 간소화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입주민이 주차시 자신이 선호하는 주차장소가 비어 있는지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세대에 구비된 월패드 또는 스마트폰에서 자신의 주차위치가 지상주차장인지, 지하 몇층인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차장에 고해상도 주차면 카메라를 설치하여 주차상황을 동영상으로 저장하고, 주차시의 접촉사고, 도난사고시 그 상황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파트 단지를 관리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와 연결되는 스마트폰과, 각 세대에 구비되는 월패드를 포함하는 아파트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공동현관문 및 엘리베이터 관리부와, 주차장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동현관문 및 엘리베이터 관리부는, 공동현관문, 지하주차장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도어가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연동하여 개폐되도록 하여, 이용자가 공동현관문, 지하주차장 출입문과 엘리베이터 도어를 원패스 방식으로 통과하도록 하고, 상기 주차장 관리부는, 각 세대의 등록차량 및 방문객 차량의 주차장 사용시간을 기반으로 하여 매월 주차장 관리비를 차등적으로 부과하며, 상기 공동현관문 및 엘리베이터 관리부(60)의 공동현관문, 지하주차장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방식은, 이용자가 외출시, (a) 이용자가 각 세대내에서 하차층을 입력하는 단계(S10), (b) 엘리베이터가 호출층으로 이동하여 대기하는 단계(S11), (c) 이용자가 엘리베이터에 탑승하면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하차층으로 이동하는 단계(S12), (d) 하차층이 1층일 경우 공동현관문이 자동으로 개방되고, 지하주차장일 경우 지하주차장 출입문이 자동으로 개방되는 단계(S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공동현관문 및 엘리베이터 관리부의 공동현관문 및 엘리베이터 제어방식은, 이용자가 귀가시, (a) 이용자가 스마트폰의 앱에서 해당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S20), (b) 공동현관문 또는 지하주차장 출입문이 자동으로 개방되는 단계(S21), (c) 엘리베이터가 1층 또는 지하주차장으로 이동하는 단계(S22), (d) 이용자가 탑승하면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이용자의 거주층으로 이동하는 단계(S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주차장 관리부의 주차장 관리비 부과방법은, (a) 각 세대별로 주차장 사용시간을 부여하는 단계(S30), (b) 각 세대와 세대별 방문객의 주차장 사용시간을 산정하는 단계(S31), (c) 각 세대별 총 주차장 사용시간을 합산하는 단계(S32), (d) 각 세대별 주차장 실제 사용시간이 부여된 사용시간을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S33), (e) 주차장 실제 사용시간이 부여된 사용시간을 초과하면, 초과시간에 따라 주차장 관리비를 증액하는 단계(S34), (f) 주차장 실제 사용시간이 부여된 사용시간에 미달하면, 미달시간에 따라 주차장 관리비를 삭감하는 단계(S35)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장 관리부는, 각 세대에 구비된 월패드 또는 스마트폰에서 방문객 차량의 번호를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방문객 차량이 관리사무소에 신고하지 않고도 출입차단기를 통과하도록 하고, 방문객 차량의 입출차시, 각 세대의 월패드 또는 스마트폰으로 입출상황을 음성 또는 문자로 안내해 주며, 상기 주차장 관리부는, 입주민 차량이 아파트 입구의 출입차단기 통과시, 해당 운전자의 스마트폰으로 자신의 주차 선호장소가 비어 있는지의 여부를 음성으로 안내하고, 상기 서버는, 각 운전자가 주차하는 장소를 데이터베이스에 계속 기록하고,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에 의해 각 운전자의 선호 주차장소를 학습하도록 하며, 이용자가 각 세대의 월패드 또는 스마트폰에서 자신의 차량 주차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주차장에 설치되는 카메라는, 4대 내지 6대의 차량을 180도 각도에서 한꺼번에 인식할 수 있는 주차면 감시 카메라이고, 상기 주차면 감시 카메라는, 차량의 움직임이 포착될 경우에 동영상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각 세대내에 설치된 월패드 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호출 및 하차층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스마트폰은, 우리집가기, 1층가기, 지하주차장가기 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은, 제3자의 출입을 일시적으로 허용하는 제3자 출입허용 메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은, 가족의 공동현관문 또는 지하주차장 출입문의 출입상황을 음성 또는 문자로 안내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공공현관문 및 엘리베이터 관리부에 의하면, 이용자가 귀가시 스마트폰의 앱에서 해당 메뉴를 선택하기만 하면, 공동현관문 또는 지하주차장 출입문이 자동으로 개방되는 동시에 엘리베이터가 자동으로 1층 또는 지하주차장으로 이동한다.
또한 이용자가 외출시에는, 각 세대 내에서 엘리베이터를 호출하고 세대 현관문을 나와 개방된 탑승카에 탑승하기만 하면,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자동으로 원하는 층으로 이동된다.
이로써 이용자가 손으로 공공현관문 또는 지하주차장 출입문 버튼, 승강장 버튼, 탑승카 버튼을 누를 필요가 없이 원패스 방식으로 원하는 층으로 이동할 수가 있다.
또한 각종 버튼을 누를 필요가 없으므로, 버튼을 통한 바이러스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용자가 귀가시, 공동현관문 또는 지하주차장 출입문을 통과하고 난 후 승강장에서 탑승카를 기다릴 필요가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마트폰의 앱을 이용하여 원격에서도 공동현관문을 개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마트폰의 앱 또는 통합관리실에서 일시적인 출입을 지정할 수 있으므로, 외부인에게 정해진 시간 동안 공동현관의 출입을 허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입주민 가족 또는 외부인이 공동현관문을 통과할 경우, 이 사실을 음성 또는 문자로 알려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동현관문 또는 지하주차장을 출입하는 모든 기록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므로, 아파트 관리의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주차장 관리부에 의하면, 차량의 보유 대수에 따라 주차장 관리비를 부과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주차장 사용시간에 따라 관리비를 부과하게 되므로, 주차장 관리비를 합리적으로 부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1대만 소유한 세대의 불만을 해소할 수 있고, 주차장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세대에 부여된 사용시간보다 적게 주차장을 사용한 세대는 주차장 관리비가 삭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을 2대 이상 보유함에도 불구하고 방문차량으로 신고하여 장시간 주차할 경우, 이에 합당한 주차장 관리비를 부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아파트 정문 뿐만 아니라 후문에도 번호판 인식 카메라를 설치하여 차량의 모든 입출입 기록을 저장함으로써, 아파트 관리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입주민 차량뿐만 아니라 방문객 차량의 입출상황을 각 세대의 월패드를 통해 음성으로 안내함으로써,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아파트 방문자의 차량을 스마트폰이나 각 세대의 월패드에서 직접 등록할 수 있으므로, 방문차량의 통과절차가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입주민이 자신이 선호하는 주차장소가 비어 있는지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으므로, 주차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내의 월패드 또는 스마트폰에서 자신의 주차위치가 지상주차장인지, 지하 몇층인지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차량을 쉽게 찾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차장에 고해상도 주차면 카메라를 설치하여 주차상황을 동영상으로 저장함으로써, 주차시의 접촉사고, 도난사고시 그 상황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사용자가 외출시 종래기술에 따른 엘리베이터 사용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사용자가 귀가시 종래기술에 따른 공동현관문 및 엘리베이터 사용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사용자가 외출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사용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사용자가 귀가시 본 발명에 따른 공동현관문 및 엘리베이터 사용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아파트 통합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현관문의 외출시 사용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따른 공동현관문의 귀가시 사용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 관리비의 부과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단지 서버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된 아파트 통합관리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승강장 버튼(31)이라 함은 각층 승강장의 외벽에 구비되는 호출버튼을 의미하고, 탑승카 버튼(32)이라 함은 탑승카 내부에 구비되는 조작부에 구비되는 각종 버튼을 의미한다.
또한 탑승카 도어(30b)라 함은 탑승카와 함께 승강하는 도어를 의미하고, 승강장 도어(30b)라 함은 각층 승강장에 설치되는 도어를 의미한다.
상기 탑승카 도어(30b)와 승강장 도어(30b)은 동시에 개폐되는 것이므로, 경우에 따라 상기 도어들을 단순히 '도어'라 칭하기로 한다.
또한 공동현관문이라 함은, 경우에 따라 지하주차장 출입문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파트 단지를 관리하는 서버(10)와, 상기 서버(10)와 연결되는 스마트폰(20)과, 각 세대에 구비되는 월패드(50)를 포함하는 아파트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공동현관문 및 엘리베이터 관리부(60)와, 주차장 관리부(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공공현관문 및 엘리베이터 관리부(6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공공현관문 및 엘리베이터 관리부(60)는, 공동현관문과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아파트에서 공동현관문 또는 지하주차장 출입문 개폐와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동작을 연동시켜 제어한다.
이용자가 외출하는 경우에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이용자가 각 세대내에서 하차층을 입력하는 단계(S10), (b) 엘리베이터가 호출층으로 이동하여 대기하는 단계(S11), (c) 이용자가 엘리베이터에 탑승하면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하차층으로 이동하는 단계(S12), (d) 하차층이 1층일 경우 공동현관문이 자동으로 개방되고, 지하주차장일 경우 지하주차장 출입문이 자동으로 개방되는 단계(S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S10 단계에서는, 이용자가 각 세대내에 설치된 월패드(50)에서 하차 목적층을 입력한다.
그러면 엘리베이터가 해당층으로 이동하여 도어가 개방된 상태로 대기한다.
이에 따라 이용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대 현관문(D)을 나와 대기하고 있던 엘리베이터에 바로 탑승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가 엘리베이터에 탑승하고 나면, 탑승카는 자동으로 목적층(1층 또는 지하주차장)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이용자는, 엘리베이터를 타기 위해 승강장 버튼(31)을 누를 필요가 없고, 탑승카에 탑승한 후에 탑승카 버튼(32)을 누를 필요가 없다.
여기서 이용자가 일정 시간 경과 후에도 탑승카에 탑승하지 않으면, 이용자의 호출신호를 취소시켜 다른 이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탑승카가 1층으로 이동하여 엘리베이터 도어가 개방되면, 공동현관문(40) 또는 지하주차장 출입문(도시 생략)이 자동으로 개방된다.
이에 따라 이용자는, 탑승카를 하차하여 열려져 있는 공동현관문(40) 또는 지하주차장 출입문을 바로 통과할 수 있다.
통상의 공동현관문 및 지하주차장 출입문은, 건물 내측 상부에 센서가 설치되어 있어 이용자가 문에 근접하여야만 열리게 된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은, 이용자가 엘리베이터를 하차함과 동시에 공동현관문 또는 지하주차장 출입문이 열리게 되므로, 이용자가 발걸음을 멈추지 않고 원패스 방식으로 공동현관문 또는 지하주차장 출입문을 통과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10 단계에서, 실내에 구비된 월패드(50)를 통해 엘리베이터를 호출하지 않고,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이하 간단히 '앱'이라 한다)을 이용하여 하차 목적층을 입력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4 및 도 7을 참조하여 이용자가 귀가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a) 이용자가 스마트폰의 앱에서 해당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S20), (b) 공동현관문 또는 지하주차장 출입문이 자동으로 개방되는 단계(S21), (c) 엘리베이터가 1층 또는 지하주차장으로 이동하는 단계(S22), (d) 이용자가 탑승하면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이용자의 거주층으로 이동하는 단계(S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이용자가 공동현관문 또는 지하주차장 출입문에 접근하면서 스마트폰의 앱에서 '우리집가기' 메뉴를 터치하면, 공동현관문(40) 또는 지하주차장 출입문이 자동으로 개방되는 동시에, 엘리베이터를 1층으로 호출한다.
이로써 공동현관문(40) 또는 지하주차장 출입문을 통과한 이용자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로 대기하고 있던 탑승카에 바로 탑승할 수 있다.
즉 엘리베이터를 호출하기 위해 승강장 버튼(31)을 누를 필요가 없다.
또한 이용자가 탑승카에 탑승하기만 하면, 탑승카 내부에서 탑승카 버튼(32)을 누르지 않아도 거주층으로 자동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스마트폰(20)에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앱이 설치되며, 상기 앱에는 '우리집가기', '1층가기', '지하주차장가기' 등의 메뉴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이용자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공동현관문과 엘리베이터 도어를 원패스(One-Pass)로 통과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폰(20)은, 제3자의 출입을 일시적으로 허용하는 제3자 출입허용 메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마트폰(20) 앱에 '문열기' 버튼을 구비하여, 원격으로 공동현관문(40)을 일시적으로 개방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방식에 의하면, 집에 아무도 없는 경우 원격지에서 외부인의 공동현관문(40) 출입을 허용하여, 택배기사가 물품을 집앞까지 배달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공동현관문의 제3차 출입허용은 아파트 통합관리실에서 관리할 수도 있다.
즉 택배기사나 도우미 등 공동출입이 잦은 사람에 대해서는 통합관리실에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20)에서, 입주민 가족의 공동현관문 및 지하주차장 출입문 출입상황을 문자로 안내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입상황은, 실내에 구비된 월패드(50)를 통해 음성으로 안내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공현관문 및 엘리베이터 관리부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이용자가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해당 아파트 통합관리실에 인증 요청을 한다.
이용자가 통합관리실에서 입주민 승인을 받은 후에는, 본 출원인 '모빌토크주식회사'의 앱을 자신의 스마트폰에 설치한다.
그리고 이용자는 상기 웹사이트에서 승인받은 아이디 및 패스워드로 스마트폰의 앱에 접속한다..
이어서 자신의 아파트를 선택하여 '우리집가기', '1층가기', '지하주차장가기' 등의 메뉴를 터치하면, 이 신호가 자신의 아파트 단지에 설치된 서버(10)로 전송된다.
그러면 상기 서버(10)가, 유선으로 연결된 공동현관문 제어서버 및 엘리베이터 제어서버에 신호를 보내, 공동현관문과 엘리베이터 도어를 제어하게 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주차장 관리부(7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 관리부(70)는, 아파트 단지를 통합 관리하는 서버(10)와, 각 세대에 구비되는 월패드(50) 및 스마트폰(20)과 연결되는 것으로, 각 세대의 등록차량 및 방문객 차량의 주차장 사용시간을 기반으로 하여 매월 주차장 관리비를 차등적으로 부과한다.
여기서 상기 주차장 관리부(70)의 주차장 관리비 부과방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각 세대별로 주차장 사용시간을 부여하는 단계(S30), (b) 각 세대와 세대별 방문객의 주차장 사용시간을 산정하는 단계(S31), (c) 각 세대별 총 주차장 사용시간을 합산하는 단계(S32), (d) 각 세대별 주차장 실제 사용시간이 부여된 사용시간을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S33), (e) 주차장 실제 사용시간이 부여된 사용시간을 초과하면, 초과시간에 따라 주차장 관리비를 증액하는 단계(S34), (f) 주차장 실제 사용시간이 부여된 사용시간에 미달하면, 미달시간에 따라 주차장 관리비를 삭감하는 단계(S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차량의 보유 대수에 따라 주차장 관리비를 부과하는 것이 아니라, 각 세대와 방문객이 주차장을 실제로 사용한 시간을 근거로 하여 주차장 관리비를 부과한다.
예컨대 아파트 주차장이 세대당 차량 보유대수를 1.5대로 하여 건설되었다면, 각 세대별로 한달에 1,080시간을 부여한다(1.5대×24시간×30일=1,080시간).
그리고 상기 사용시간을 초과 또는 미달하였는지를 계산하여 매월 주차장 관리비를 부과하는 동시에, 방문객 차량의 주차장 사용시간도 해당 세대의 사용시간에 합산시킨다.
이로써 2대 이상의 차량 소유자가, 차량을 관리사무소에 등록을 하지 않고 방문차량으로 신고한 후 장기주차하는 사례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주차장 이용의 형평성을 제고할 수 있고, 특히 차량을 1대만 소유한 세대의 불만을 해소할 수가 있다.
즉 법적으로 1.5대의 주차공간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차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차량 1대 소유 세대의 불만을 해소할 수가 있다.
한편 매월 주차장 관리비의 산정시, 차량이 붐비는 시간(저녁부터 익일 아침 출근시간 까지)과 낮시간대에 가중치를 달리하여 주차장 관리비를 산정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세대에 구비된 월패드(50) 또는 스마트폰(20)에서 방문객 차량의 번호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방문 차량의 입력시에는, 차량번호, 차종, 색상, 방문 허용시간을 모두 입력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한 정보는 단지 서버(10)의 차량등록 데이터베이스(이하 'DB'라 한다)에 저장된다.
상기한 방식에 의해, 방문객이 출입차단기 부스에 방문신고를 할 필요가 없이 바로 출입차단기를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방문객 차량의 주차장 사용시간을 각 세대별 사용시간에 합산하여 주차장 관리비를 부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파트 정문뿐만 아니라 후문에 각각 2대의 카메라를 구비하여,입출차량의 번호판 영역을 추출하여 서버에 전송하는 동시에, 차량의 이미지도 전송한다.
한편 번호판 인식 영역에서 번호판의 인식이 불가한 경우에는, 서버의 차량등록 DB에서 입주자 동호수, 연락처, 차량번호, 차종, 색상을 검색하여 차량 번호를 추정하도록 한다.
차량의 번호판 인식이나 추정이 완료되면, 차량등록 DB를 검색하여 해당 동호수 및 등록 스마트폰을 추출하여, 스마트폰 또는 각 세대에 구비된 월패드에 "귀 세대의 차량(방문차량) 1234호가 입차(출차) 되었습니다"라고 음성 또는 메시지로 통보한다.
또한 모든 입출 차량의 출입시간을 주차장 사용시간 산정 및 주차요금 정산을 위해 DB에 저장한다.
이로써 스마트폰이나 각 세대의 월패드를 통해 모든 차량의 입출차 기록을 조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주차시, 해당 운전자의 스마트폰(20)으로 자신의 주차 선호장소가 비어 있는지를 알려준다.
즉 입주민 차량이 아파트 입구의 출입차단기를 통과하면, 해당 차량의 주차 선호장소를 파악하여 주차가 가능한지의 여부를 음성으로 통보해준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주차를 위해 주차장을 돌아다닐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또한 운전자가 스마트폰에서 자신의 주차 선호위치를 입력하면(예컨대 지하1층 A1번 기둥 부근), 서버에서 해당 주차면 감시 카메라를 찾아 운전자의 스마트폰에 영상을 전송해 준다.
또한 해당 선호위치에 차량이 있으면, 인접그룹의 주차면 감시 카메라를 조회하여 비어있는 주차장소의 영상을 전송해 준다.
이때 입주민의 주차기록은 DB에 계속 기록되도록 하며,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에 의해 각 개인의 주차 선호장소를 자동적으로 학습하도록 한다.
이로써 주차이력이 계속 축적되면 운전자가 자신의 주차 선호위치를 따로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주차장의 각 주차위치 상부에 램프를 설치하여, 주차가 가능한 곳은 녹색램프가 점멸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각 세대의 월패드(50) 또는 스마트폰(20)에서 자신의 차량 주차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단지 서버는. 입주민 또는 해당세대 방문차량인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에, 차량조회를 허용하도록 한다.
또한 주차차량 조회시에는, 차량번호 외에 검색범위를 지정하여 조회할 수 있도록 하고, 영상 전송시에는 차량과 주차장 기둥의 번호가 같이 나오도록 촬영하여 전송한다.
만일 평행주차를 한 경우에는 주차 위치를 추정하여 안내해 준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집을 나오면서 자신의 차량이 지상 또는 지하 몇층에 주차되어 있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차량을 찾는 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주차장에 설치되는 카메라는, 4대 내지 6대의 차량을 180도 각도에서 한꺼번에 인식할 수 있는 고해상도의 주차면 감시 카메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차면 감시 카메라는, 차량이 주차하면 번호판 영역을 추출하여 번호를 인식하고, 차종 및 색상도 동시에 인식한다.
또한 상기 주차면 카메라는, 차량의 움직임이 포착될 경우에만 동영상을 기록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주차시에 접촉사고가 발생하거나 도난 사고 발생시, 용의자의 인상착의 등을 명확하게 특정할 수 있다.
현재 주차장에 설치된 대부분의 CCTV는, 해상도가 낮기 때문에 각종 사고시에 용의자를 명확하게 특정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최근 차량을 2대 또는 그 이상 보유하는 세대가 점점 증가하고 있어 아파트에서의 주차문제가 갈수로 심각해지고 있다.
대부분의 아파트 주차장은 세대당 1.5대의 주차공간을 부여하여 주차장을 설치하고 있고, 오래된 아파트의 경우에는 법정 최소기준이던 세대당 1대의 주차공간을 부여하여 주차장을 건설하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1대의 차량을 소유한 세대는, 자신들에게 부여된 주차공간을 다 사용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주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발명은, 각 세대당 주차장 월정 사용시간을 부여하고, 부여된 시간보다 많이 사용할 경우에는 주차장 관리비를 증액시키고, 적게 사용할 경우에는 주차장 관리비를 감액시킨다.
이로써 주차장 관리비 부과기준을 합리적으로 개선할 수 있고, 차량을 1대만 소유한 세대의 불만을 해소할 수가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서버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된 아파트 통합관리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가 아파트 단지의 출입차단기를 통과하면 스마트폰으로 자신의 주차 선호장소가 비었는지를 음성으로 안내받을 수 있다.
이로써 주차장을 돌지 않아도 되므로 주차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이어서 차에서 내려 지하주차장의 출입문 또는 공공현관문에 접근하면서 스마트폰에서 '우리집가기' 메뉴를 터치하면, 지하주차장 출입문 또는 공동현관문이 개방되는 동시에, 엘리베이터가 호출층으로 자동으로 호출된다.
이로써 승강장에서 승강장 버튼(31)을 누를 필요가 없이 바로 엘리베이터에 탑승할 수가 있다.
또한 이용자가 엘리베이터에 탑승하기만 하면, 탑승카 버튼(32)을 누르지 않아도 거주층으로 자동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용자가 집을 나설 경우에는, 실내에 설치된 월패드(50) 또는 스마트폰(20)에서 차량이 어디에 주차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가 있다.
또한 월패드(50) 또는 스마트폰(20)에서 '1층가기' 또는 '지하주차장 가기' 메뉴를 터치하면, 엘리베이터가 자동으로 거주층으로 호출된다. 이로써 승강장 버튼(31)을 누를 필요가 없이 바로 탑승할 수 있다.
또한 탑승카에 탑승하기만 하면, 탑승카 버튼(32)을 누르지 않아도 자동으로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층으로 이동한다.
또한 차량이 주차된 층의 엘리베이터 도어가 개방되면, 지하주차장 또는 공동현관문이 연이어서 자동으로 개방되므로, 이용자는 엘리베이터 도어와 지하주차장 또는 공동현관문을 원패스 방식으로 통과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서버(Server) 20: 스마트폰(Smart Phone)
30a: 승강장 도어(Door) 30b: 탑승카 도어
31: 승강장 버튼(Button) 32: 탑승카 버튼
40: 공동현관문 41: 공동현관문 조작부
50: 월패드(Wall Pad) 60: 공공현관문 및 엘리베이터 관리부
70: 주차장 관리부

Claims (14)

  1. 아파트 단지를 관리하는 서버(10)와, 상기 서버(10)와 연결되는 스마트폰(20)과, 각 세대에 구비되는 월패드(50)를 포함하는 아파트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공동현관문 및 엘리베이터 관리부(60)와, 주차장 관리부(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동현관문 및 엘리베이터 관리부(60)는,
    공동현관문, 지하주차장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도어가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연동하여 개폐되도록 하여, 이용자가 공동현관문, 지하주차장 출입문과 엘리베이터 도어를 원패스 방식으로 통과하도록 하고,
    상기 주차장 관리부(70)는,
    각 세대의 등록차량 및 방문객 차량의 주차장 사용시간을 기반으로 하여 매월 주차장 관리비를 차등적으로 부과하며,
    상기 공동현관문 및 엘리베이터 관리부(60)의 공동현관문, 지하주차장 출입문 및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방식은, 이용자가 외출시,
    (a) 이용자가 각 세대내에서 하차층을 입력하는 단계(S10),
    (b) 엘리베이터가 호출층으로 이동하여 대기하는 단계(S11),
    (c) 이용자가 엘리베이터에 탑승하면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하차층으로 이동하는 단계(S12),
    (d) 하차층이 1층일 경우 공동현관문이 자동으로 개방되고, 지하주차장일 경우 지하주차장 출입문이 자동으로 개방되는 단계(S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공동현관문 및 엘리베이터 관리부(60)의 공동현관문 및 엘리베이터 제어방식은, 이용자가 귀가시,
    (a) 이용자가 스마트폰의 앱에서 해당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S20),
    (b) 공동현관문 또는 지하주차장 출입문이 자동으로 개방되는 단계(S21),
    (c) 엘리베이터가 1층 또는 지하주차장으로 이동하는 단계(S22),
    (d) 이용자가 탑승하면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이용자의 거주층으로 이동하는 단계(S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주차장 관리부(70)의 주차장 관리비 부과방법은,
    (a) 각 세대별로 주차장 사용시간을 부여하는 단계(S30),
    (b) 각 세대와 세대별 방문객의 주차장 사용시간을 산정하는 단계(S31),
    (c) 각 세대별 총 주차장 사용시간을 합산하는 단계(S32),
    (d) 각 세대별 주차장 실제 사용시간이 부여된 사용시간을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S33),
    (e) 주차장 실제 사용시간이 부여된 사용시간을 초과하면, 초과시간에 따라 주차장 관리비를 증액하는 단계(S34),
    (f) 주차장 실제 사용시간이 부여된 사용시간에 미달하면, 미달시간에 따라 주차장 관리비를 삭감하는 단계(S35)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장 관리부(70)는,
    각 세대에 구비된 월패드(50) 또는 스마트폰(20)에서 방문객 차량의 번호를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방문객 차량이 관리사무소에 신고하지 않고도 출입차단기를 통과하도록 하고,
    방문객 차량의 입출차시, 각 세대의 월패드(50) 또는 스마트폰(20)으로 입출상황을 음성 또는 문자로 안내해 주며,
    상기 주차장 관리부(70)는,
    입주민 차량이 아파트 입구의 출입차단기 통과시, 해당 운전자의 스마트폰(20)으로 자신의 주차 선호장소가 비어 있는지의 여부를 음성으로 안내하고,
    상기 서버(10)는,
    각 운전자가 주차하는 장소를 데이터베이스에 계속 기록하고,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에 의해 각 운전자의 선호 주차장소를 학습하도록 하며,
    이용자가 각 세대의 월패드(50) 또는 스마트폰(20)에서 자신의 차량 주차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주차장에 설치되는 카메라는, 4대 내지 6대의 차량을 180도 각도에서 한꺼번에 인식할 수 있는 주차면 감시 카메라이고,
    상기 주차면 감시 카메라는, 차량의 움직임이 포착될 경우에 동영상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통합관리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10 단계에서, 각 세대내에 설치된 월패드(50)에서 엘리베이터 호출 및 하차층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통합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10 단계에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호출 및 하차층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통합관리 시스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20)은, 우리집가기, 1층가기, 지하주차장가기 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통합관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20)은, 제3자의 출입을 일시적으로 허용하는 제3자 출입허용 메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통합관리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20)은, 가족의 공동현관문 또는 지하주차장 출입문의 출입상황을 음성 또는 문자로 안내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통합관리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200183695A 2020-12-24 2020-12-24 스마트 홈 관리, 공동현관문과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및 주차장 관리를 연계시킨 아파트 통합관리 시스템 KR102415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695A KR102415931B1 (ko) 2020-12-24 2020-12-24 스마트 홈 관리, 공동현관문과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및 주차장 관리를 연계시킨 아파트 통합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695A KR102415931B1 (ko) 2020-12-24 2020-12-24 스마트 홈 관리, 공동현관문과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및 주차장 관리를 연계시킨 아파트 통합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2179A KR20220092179A (ko) 2022-07-01
KR102415931B1 true KR102415931B1 (ko) 2022-07-05

Family

ID=82396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695A KR102415931B1 (ko) 2020-12-24 2020-12-24 스마트 홈 관리, 공동현관문과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및 주차장 관리를 연계시킨 아파트 통합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593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019B1 (ko) * 2019-02-28 2019-11-20 (주)에스엠종합관리 공동주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7712B1 (ko) * 2003-06-04 2005-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와 블루투스를 이용한 자동 결재 시스템 및그의 제어방법
KR20060001904A (ko) 2005-12-13 2006-01-06 주식회사 라이징테크놀러지 실시간 연동서버를 이용한 홈네트워크시스템이 적용된아파트 및 공동주택의 통합관리시스템 및 통합카드시스템
KR20080014192A (ko) * 2006-08-10 2008-02-14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공동 현관 시스템의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장치
KR101134028B1 (ko) * 2009-11-02 2012-04-13 주식회사 씨브이네트 원패스 태그를 이용한 주차 및 출입 관리 시스템 그리고 세대원 주차관리 방법과 세대원 출입 관리 방법
KR102029601B1 (ko) 2018-11-23 2019-10-07 주식회사 와이에스제이 아파트 통합 유지 관리를 위한 통합 cctv 관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019B1 (ko) * 2019-02-28 2019-11-20 (주)에스엠종합관리 공동주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2179A (ko) 2022-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87666B (zh) 操作电梯装置的方法及执行该方法的电梯装置
CN110853158B (zh) 解决占用充电车位的管理方法及充电停车场无感收费系统
CN100595810C (zh) 停车控制系统和方法
CN106373404B (zh) 一种车位锁装置及停车场系统
CN111047754A (zh) 一种基于访客身份识别的访客管理系统及控制方法
CN105370070A (zh) 停车场及智能停车方法
KR100757012B1 (ko) 거주자 지정 주차시스템 및 방법
JP7060898B2 (ja) 遠隔制御装置及び遠隔制御システム
KR101011800B1 (ko) 알에프 태그를 가진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영역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2617362B1 (ko) 공동주택 주차관리시스템
KR102415931B1 (ko) 스마트 홈 관리, 공동현관문과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어 및 주차장 관리를 연계시킨 아파트 통합관리 시스템
KR102016089B1 (ko) 전화 자동응답시스템 겸 Web기반 보이는 ARS를 이용한 주차면 공유 시스템
KR102457783B1 (ko) 스마트홈을 기반으로 하는 인공지능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
CN113538960A (zh) 基于大数据的小区智能停车系统及方法
KR102421230B1 (ko) 안면인식 공동현관 원패스 출입 및 엘리베이터 자동호출 시스템
KR102425450B1 (ko) 주차장 실제 사용시간을 기반으로 한 아파트 주차장의 스마트 관리 시스템
KR20140077651A (ko)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18209B1 (ko) 공유주차공간을 연결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주차장 공유장치 및 주차장 공유방법
KR102392159B1 (ko) 사물인터넷 기반 비콘을 이용한 공유주차장 운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2104746A (ja) エレベータ保守管理料金課金システム
KR20220134182A (ko) 방문예약을 제공하는 주차 시스템 및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20130126241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57151A (ko) 주차 관련 자동 감지 시스템
JP2006011657A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KR20220092184A (ko) 공동현관문과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를 연동시킨 언택트 원패스 도어 개폐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