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4077B1 - 셀 방식 대역들의 반송파 집성을 위한 무선 주파수 전단 아키텍처 - Google Patents

셀 방식 대역들의 반송파 집성을 위한 무선 주파수 전단 아키텍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4077B1
KR102414077B1 KR1020150114835A KR20150114835A KR102414077B1 KR 102414077 B1 KR102414077 B1 KR 102414077B1 KR 1020150114835 A KR1020150114835 A KR 1020150114835A KR 20150114835 A KR20150114835 A KR 20150114835A KR 102414077 B1 KR102414077 B1 KR 102414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band
amplification path
band
signal
transm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4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0379A (ko
Inventor
에탄 창
로만 즈비그뉴 아르키스제브스키
존 지 프리드
에드워드 제임스 안토니
레자 카스나비
Original Assignee
스카이워크스 솔루션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카이워크스 솔루션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스카이워크스 솔루션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20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H04B1/48Transmit/receive switching in circuits for connecting transmitter and receiver to a common transmission path, e.g. by energy of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9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using time-sh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회로들 및 방법들은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을 갖는 무선 주파수(RF) 아키텍처들에 관련된다.  몇몇 구현들에서, CA 아키텍처는 공통 안테나에 의해 제1 주파수 대역과 제 2 주파수 대역에게 듀플렉싱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듀플렉서를 포함할 수 있다.  CA 아키텍처는 듀플렉서의 각각의 포트들에 결합되는 제1 증폭 경로 및 제2 증폭 경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제1 증폭 경로와 제2 증폭 경로는 자신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증폭 경로는 증폭된 신호와 수신된 신호에게 TDD(time-division duplexing)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TX/RX(transmit/receive) 스위치를 포함한다.  몇몇 구현들에서, 제1 주파수 대역은 B39 대역을 포함하고 제2 주파수 대역은 B41 대역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셀 방식 대역들의 반송파 집성을 위한 무선 주파수 전단 아키텍처{RADIO-FREQUENCY FRONT-END ARCHITECTURE FOR CARRIER AGGREGATION OF CELLULAR BANDS}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4년 8월 13일 출원되고 발명이 명칭이 "셀 방식 대역들의 반송파 집성을 위한 무선 주파수 전단 아키텍처(RADIO-FREQUENCY FRONT-END ARCHITECTURE FOR CARRIER AGGREGATION OF CELLULAR BANDS)"인 미국 가출원 번호 제62 /036,844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청구하며, 이 출원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이로써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통합된다.
기술 분야
본 개시는 무선 주파수 응용들에서의 반송파 집성과 관련된다.
몇몇 무선 주파수(radio-frequency: RF) 응용들에서, 셀 방식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은 공통 경로를 통해 처리되고 있는 2개 이상의 RF 신호를 수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송파 집성은 충분히 떨어져 있는 주파수 범위들을 갖는 복수의 대역에 대해 한 경로를 이용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에서, 2 이상의 대역의 동시 동작이 달성될 수 있다.
많은 구현들에 따라서, 본 개시는 공통 안테나에 의해 제1 주파수 대역 및 제2 주파수 대역에 대한 듀플렉싱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듀플렉서를 포함하는 CA 아키텍처와 관련된다. CA 아키텍처는 듀플렉서의 각각의 포트들에 결합되는 제1 증폭 경로 및 제2 증폭 경로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1 증폭 경로 및 제2 증폭 경로 각각은 자신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증폭 경로는 증폭된 신호 및 수신된 신호에 대한 TDD(time-division duplexing)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TX/RX(transmit/receive) 스위치를 포함한다.
몇몇 구현들에서, 제1 주파수 대역은 B39 대역을 포함한다.
몇몇 구현들에서, 제2 주파수 대역은 B41 대역을 포함한다.
몇몇 구현들에서, CA 아키텍처는 듀플렉서의 노드에 결합되는 안테나 스위치 모듈을 추가로 포함한다.
몇몇 구현들에서, 제1 증폭 경로 및 제2 증폭 경로 각각은 대역 선택 스위치를 포함한다.
몇몇 구현들에서, 제1 증폭 경로는 제1 증폭 경로의 동작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어 기능성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몇몇 구현들에서, 제1 증폭 경로는 전력 증폭기 및 전력 증폭기를 바이어싱하도록 구성되는 바이어스 포트를 포함한다.
몇몇 구현들에서, TX/RX 스위치는 TX 및 RX 신호들에 대한 듀플렉서에 결합되는 공통 노드를 포함한다.
몇몇 구현들에서, 본 개시는 복수의 컴포넌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패키징 기판을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RF) 모듈과 관련된다. RF 모듈은 패키징 기판상에 구현되는 CA 아키텍처를 추가로 포함하는데, CA 아키텍처는 공통 안테나에 의해 제1 주파수 대역 및 제2 주파수 대역에 대한 듀플렉싱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듀플렉서를 포함하고, CA 아키텍처는 듀플렉서의 각각의 포트들에 결합되는 제1 증폭 경로 및 제2 증폭 경로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1 증폭 경로 및 제2 증폭 경로 각각은 자신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증폭 경로는 증폭된 신호 및 수신된 신호에 대한 TDD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TX/RX 스위치를 포함한다.
몇몇 구현들에서, RF 모듈은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PA) 모듈이다.
몇몇 구현들에서, RF 모듈은 전단 모듈(front-end module: FEM)이다.
몇몇 구현들에서, 제1 주파수 대역은 B39 대역을 포함하고 제2 주파수 대역은 B41 대역을 포함한다.
몇몇 구현들에서, CA 아키텍처는 듀플렉서의 노드에 결합되는 안테나 스위치 모듈을 추가로 포함한다.
몇몇 구현들에서, 제1 증폭 경로 및 제2 증폭 경로 각각은 대역 선택 스위치를 포함한다.
몇몇 구현들에서, 제1 증폭 경로는 제1 증폭 경로의 동작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어 기능성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몇몇 구현들에서, 제1 증폭 경로는 전력 증폭기 및 전력 증폭기를 바이어싱하도록 구성되는 바이어스 포트를 포함한다.
몇몇 구현들에서, TX/RX 스위치는 TX와 RX 신호들에 대한 듀플렉서에 결합되는 공통 노드를 포함한다.
몇몇 교시에 따라, 본 개시는 RF 신호들을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RF) 장치에 관한 것이다. RF 장치는 송수신기와 통신하는 RF 모듈을 포함하고, RF 모듈은 CA 아키텍처를 가지며, CA 아키텍처는 공통 안테나에 의해 제1 주파수 대역 및 제2 주파수 대역에 대한 듀플렉싱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듀플렉서를 포함하고, CA 아키텍처는 듀플렉서의 각각의 포트들에 결합되는 제1 증폭 경로 및 제2 증폭 경로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1 증폭 경로 및 제2 증폭 경로 각각은 자신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증폭 경로는 증폭된 신호 및 수신된 신호에 대한 TDD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TX/RX 스위치를 포함한다.
몇몇 구현들에서, RF 장치는 무선 장치를 포함한다.
몇몇 구현들에서, 무선 장치는 셀 방식 폰이다.
몇몇 구현들에서, 제1 주파수 대역은 B39 대역을 포함하고 제2 주파수 대역은 B41 대역을 포함한다.
몇몇 구현들에서, CA 아키텍처는 듀플렉서의 노드에 결합되는 안테나 스위치 모듈을 추가로 포함한다.
몇몇 구현들에서, 제1 증폭 경로 및 제2 증폭 경로 각각은 대역 선택 스위치를 포함한다.
몇몇 구현들에서, 제1 증폭 경로는 제1 증폭 경로의 동작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어 기능성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몇몇 구현들에서, 제1 증폭 경로는 전력 증폭기 및 전력 증폭기를 바이어싱하도록 구성되는 바이어스 포트를 포함한다.
몇몇 구현들에서, TX/RX 스위치는 TX와 RX 신호들에 대한 듀플렉서에 결합되는 공통 노드를 포함한다.
본 개시를 요약하기 위한 목적으로, 본 발명의 소정 양태들, 이점들, 및 신규 특징들이 본 명세서에 기술되었다. 그러한 모든 이점들이 본 발명의 임의의 특정 실시예에 따라 필수적으로 달성될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교시된 어느 한 이점 또는 이점들의 그룹을, 본 명세서에 교시 및 제안될 수 있는 그 외의 이점들을 반드시 달성할 필요 없이, 달성하거나 또는 최적화하는 방식으로 구체화되거나 완수될 수 있다.
본 개시가 더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더 구체적인 설명이 다양한 구현의 특징부(feature)들에 의거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특징부들 중 몇몇은 첨부 도면에 도해된다. 그러나 첨부 도면은 본 개시 내용의 더 적절한 특징부를 도해한 것에 불과하고, 이에 따라 본 설명이 다른 실효적 특징부들을 받아들일 수도 있으므로 첨부 도면이 제한을 위한 것으로 간주해서는 안 된다.
도 1은 몇몇 구현들에 따른 예시적인 전단 아키텍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몇몇 구현들에 따른 또 다른 예시적인 전단 아키텍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몇몇 구현들에 따른 또 하나의 예시적인 전단 아키텍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몇몇 구현들에 따른 또 하나의 예시적인 전단 아키텍처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몇몇 구현들에 따른 전단 아키텍처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몇몇 구현들에 따른 전단 아키텍처를 포함하는 예시적 무선 주파수(RF) 장치의 구성도이다.
일반적인 관행에 따라, 도면들에 도해된 다양한 특징부들은 일정한 비율로 도시되지 않았을 수 있다. 그에 따라, 다양한 특징부들의 치수들은 명확성을 기하기 위해 임의로 확대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 중 일부는 주어진 시스템, 방법 또는 장치의 컴포넌트들 모두를 묘사하지 않을 수 있다. 끝으로, 유사한 도면 부호들은 명세서 및 도면들 전체에 걸쳐서 유사한 특징부들을 가리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제목들은 만약 있다면 단지 편의상 지은 것이어서, 청구된 발명의 범위 또는 의미에 반드시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다.
셀 방식 CA는 2개 이상의 무선 주파수(RF) 신호들이 공통 경로를 통해 처리되도록 허용함으로써 지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송파 집성은 충분히 떨어져 있는 주파수 범위들을 갖는 복수의 대역에 대해 한 경로를 이용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에서, 2 이상의 대역들의 동시 동작이 가능하다.
몇몇 구현들에서, 본 개시는 2 이상의 셀 방식 대역들의 CA를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전단 아키텍처와 관련된다. 다양한 예들이 셀 방식 대역들 B39 및 B41(예를 들어, 중국 모바일 네트워크에 할당되는 것과 같음)의 맥락에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데; 그러나,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특징부들이 또한 다른 대역들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몇몇 구현들에서, 1.880 내지 1.920 GHz의 주파수 범위를 갖는 B39 및 2.496 내지 2.690 GHz의 주파수 범위를 갖는 B41의 예시적인 대역들에 대한 CA 능력을 갖는 전단 아키텍처가 축소된 부품 수, 적은 BoM(bill-of-materials) 비용, 및/또는 더 좋은 RF 성능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그러한 아키텍처는 주어진 모바일 네트워크에 대해 정의되는 기타 반송파 집성 시나리오들 중 일부 또는 모든 것을 지원하기 위해 또한 구성될 수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CA는 데이터 처리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LTE(Long-Term Evolution) 기술의 진보의 산물이다. 동일하거나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에서 두 개의 이용 가능한 스펙트럼을 집성함으로써, 조합된 신호 대역폭은 동시에 더 많은 데이터의 전송을 허용하도록 확장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모바일 네트워크들에서, TD-LTE는 4G 표준으로 채택되었고, 대역들 B39, B40 및 B41이 할당되었다.
1.880 내지 1.920 GHz의 주파수 범위를 갖는 B39 대역과 2.496 내지 2.690 GHz의 주파수 범위를 갖는 B41 대역의 반송파 집성의 예시적 맥락에서, 기술적 도전 과제들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상이한 탑(tower)으로부터 핸드셋까지의 타이밍 동기화 어려움 및 허용되고 있는 동적 UL/DL(업링크/다운링크) 구성 조정 때문에, 어느 한 대역의 송신 슬롯이 다른 대역의 수신 슬롯과 시간상으로 중첩될 수 있다. 동시에 2개의 대역으로부터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기 위해서, 종래의 아키텍처는 B39와 B41을 위한 2개의 개별 안테나를 이용하였다. 그러한 종래의 아키텍처는 더 많은 BoM 비용들과 더 긴 교정 절차들로 인해 전형적으로 손해를 본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특징부들은 단일 안테나 설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B39 TX/RX 스위치 설계를 갖는 것 뿐만 아니라, B39 RX 필터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하는 전단 아키텍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한 전단 아키텍처는 더 적은 BoM 비용과 더 좋은 성능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대역들 B39와 B41을 위해 두 개의 안테나(118, 130)로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전단 아키텍처(100)의 예를 도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 증폭기(PA) 경로(120)는 B39 TX 동작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보여지며, 여기서 증폭될 입력 신호는 입력 노드(122)에서 제공된다. PA(124)(예로, 높은 대역(HB) 4G 신호와 연관됨)는 그러한 입력 신호를 증폭할 수 있고, 증폭된 신호는 B39 TX 동작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대역 선택 스위치(126)(예를 들어, 1 풀 4 스로우(single-pull four-throw: SP4T) 스위치)에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B39 TX 필터(127)는 대역 선택 스위치(126)와 안테나 스위치 모듈(ASM)(128) 사이에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ASM(128)이 B39 TX 모드에서 작동될 때, 증폭되고 필터링된 RF 신호는 송신용 안테나(130)에 라우팅될 수 있다. ASM(128)이 B39 RX 모드에서 작동될 때, 안테나(130)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는, 예를 들어 B39 RX 필터(129)를 통하여 저 잡음 증폭기(LNA)에 라우팅될 수 있다.
PA 경로(102)는 B41 TX와 B41 RX 동작들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증폭될 입력 신호는 입력 노드(104)에서 제공된다. PA(106)는 그러한 입력 신호를 증폭할 수 있고, 증폭된 신호는 B41 TX/RX 동작들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대역/모드 선택 스위치(108)에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B41 TX 필터(115)는 대역/모드 선택 스위치(108)와 안테나 스위치 모듈(ASM)(116) 사이에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ASM(116)이 B41 대역에서 작동될 때, 증폭되고 필터링된 RF 신호는 송신용 안테나(118)에 라우팅될 수 있다. B41 TX 모드에 있을 때, 대역/모드 선택 스위치(108)는 증폭된 신호를 B41 TX 필터에 라우팅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B41 RX 모드에 있을 때, 안테나(118)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는 ASM(116)을 통하여 대역/모드 선택 스위치(108)에 라우팅될 수 있다. 대역/모드 선택 스위치(108)는 이후, 예를 들어 B41 RX 노드를 통하여 저 잡음 증폭기(LNA)에 수신된 신호를 라우팅할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 컨트롤러(110)는 B41 증폭 경로(102)의 동작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어 기능성들을 제공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PA(106)는 바이어스 노드(112)를 통하여 바이어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와 같은 제어 및 바이어싱 기능성들은 또한 B39 증폭 경로(120)에 대하여 제공될 수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B39와 B41 대역들을 위한 2개의 안테나 시스템으로 된 상기 예는 부피가 커지고 비교적 높은 비용이 들 수 있다.
도 2는 예시적인 대역들 B39와 B41을 위한 단일 안테나(166)로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전단 아키텍처(150)의 예를 도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 증폭기(PA) 경로(170)는 B39 TX 동작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며, 여기서 증폭될 입력 신호는 입력 노드(172)에서 제공된다. PA(174)(예로, 높은 대역(HB) 4G 신호와 연관됨)는 그러한 입력 신호를 증폭할 수 있고, 증폭된 신호는 B39 TX 동작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대역 선택 스위치(176)(예를 들어, 1 풀 4 스로우(SP4T) 스위치)에 제공된다. B39 TX 필터(177)는 대역 선택 스위치(176)와 안테나 스위치 모듈(ASM)(164) 사이에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위상 시프팅 회로(178)는 B39 TX 필터(177)와 ASM(164) 사이에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PA 경로(152)는 B41 TX와 B41 RX 동작들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증폭될 입력 신호는 입력 노드(154)에서 제공된다. PA(156)는 그러한 입력 신호를 증폭할 수 있고, 증폭된 신호는 B41 TX/RX 동작들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대역/모드 선택 스위치(158)에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B41 TX 필터(159)는 대역/모드 선택 스위치(108)와 ASM(164) 사이에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예에서, ASM(164)은 단일 안테나(166)에 의해 B39와 B41 대역들의 CA 동작들을 허용하기 위한 다중 닫힘 스위치(multi-close switch)로서 구성될 수 있다. B39 대역을 위해, ASM(164)은 상기 PA 경로(170)를 통한 TX 동작과 B39 RX 필터(179)를 통하여 RX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작동될 수 있다. B41 대역에 대해, 증폭되고 필터링된 RF 신호는 B41 TX 모드에 있을 때, 대역 선택 스위치(158)와 ASM(164)을 통한 송신을 위해 안테나(166)에 라우팅될 수 있다. B41 RX 모드에 있을 때, 안테나(166)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는 ASM(166)을 통하여 대역/모드 선택 스위치(158)에 라우팅될 수 있다. 대역/모드 선택 스위치(158)는 이후, 예를 들어 B41 RX 노드를 통하여 저 잡음 증폭기(LNA)에 수신된 신호를 라우팅할 수 있다.
도 2의 예에서, 컨트롤러(160)는 B41 증폭 경로(152)의 동작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어 기능성들을 제공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PA(156)는 바이어스 노드(162)를 통하여 바이어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와 같은 제어 및 바이어싱 기능성들은 또한 B39 증폭 경로(170)에 대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 2의 상기 예에서, 위상 시프팅 회로(178)에 의해 제공되는 위상 시프트는 전형적으로 소망 시스템 성능을 획득하기 위해 최적화되거나 튜닝될 필요가 있다. 그와 같은 최적화는 특히 휴대폰 보드와 같은 작은 폼 팩터 보드들에 대해 도전적 과제가 될 수 있다. 또한, RF 성능은 최적화된 위상이 유지되지 않으면 쉽게 저하될 수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전단 아키텍처는 공통 노드를 통하여 송신 및 수신 동작들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상이한 시간들에서 가능하게 한다. 그러한 스위치와 함께, B39/B41 듀플렉서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은 전단 아키텍처로 하여금 단일 안테나에 의한 CA 조합들의 일부 또는 모두를, B39 RX 필터의 더 단순한 구현과 제거로 지원하게 허용할 수 있다.
도 3은 몇몇 구현들에 따른 다중 모드 다중 대역(multi-mode multi-band: MMMB) 전력 증폭기 모듈(power amplifier module: PAM)상에 구현되는 전단 아키텍처의 예시적인 구성(200)을 도시한다. 그러한 전단 아키텍처의 하나 이상의 특징부들이 다른 유형들의 모듈들 또는 제품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또한 이해할 것이다.
적절한 특징부들이 도시되지만, 통상의 기술자들은 간략화를 위해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예시적인 구현들의 더 적절한 양태들을 불명확하게 하지 않기 위해 다양한 다른 특징부들이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본 개시로부터 알 것이다. 이 목적상, 도 3의 구성(200)을 참조하면, 전력 증폭기(PA) 경로(220)가 B39 TX와 RX 동작들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증폭될 입력 신호는 입력 노드(222)에서 제공된다. PA(224)는 그러한 입력 신호를 증폭할 수 있고, 증폭된 신호는 B39 TX 동작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대역 선택 스위치(226)에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B39/B41 듀플렉서(214)는 대역 선택 스위치(226)와 안테나 스위치 모듈(ASM)(216) 사이에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 대역 선택 스위치(226)는 B39 대역에 대해 TX와 RX 동작들을 용이하게 하는 TX/RX 스위치(228)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TX 동작 동안, 스위치(228)는, PA(224)의 출력이 듀플렉서(214)의 B39 부분과 연관되는 공통 노드에 연결되고 또한 B39 RX 노드는 공통 노드로부터 단절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RX 동작 동안, 스위치(228)는, PA(224)의 출력이 공통 노드로부터 단절되고 또한 B39 RX 노드가 공통 노드에 연결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TX/RX 스위치(228)는 증폭된 B39 TX 신호 및 B39 RX 신호에 대한 TDD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 3의 구성(200)을 참조하면, PA 경로(202)는 B41 TX와 B41 RX 동작들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증폭될 입력 신호는 입력 노드(204)에서 제공된다. PA(206)는 그러한 입력 신호를 증폭할 수 있고, 증폭된 신호는 B41 TX/RX 동작들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대역/모드 선택 스위치(208)에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B39/B41 듀플렉서(214)는 대역/모드 선택 스위치(208)와 ASM(216) 사이에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TX 동작 동안, 스위치(208)는, PA(206)의 출력이 듀플렉서(214)의 B41 부분과 연관되는 공통 노드에 연결되고 또한 B41 RX 노드가 공통 노드로부터 단절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RX 동작 동안, 스위치(208)는, PA(206)의 출력이 공통 노드로부터 단절되고 또한 B41 RX 노드가 공통 노드에 연결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적어도 스위치(208)의 일부는 증폭된 B41 TX 신호 및 B41 RX 신호에 대한 TDD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TX/RX 스위치이다.
도 3의 예에서, 컨트롤러(210)는 B41 증폭 경로(202)의 동작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어 기능성들을 제공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PA(206)는 바이어스 노드(212)를 통하여 바이어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와 같은 제어 및 바이어싱 기능성들은 또한 B39 증폭 경로(220)에 대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 3의 예에서, ASM(216)은 B39/B41 듀플렉서(214)와 공통 안테나(218) 사이의 경로의 라우팅을 허용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예시적인 방식에서의 B39와 B41 대역들의 반송파 집성은 도 2의 예에서와 같은 비슷한 기능성을 달성할 수 있지만, 더 작은 부품 수, 더 쉬운 구현, 더 좋은 성능, 및 더 적은 BoM 비용으로 그렇게 할 수 있다.
도 4는 몇몇 구현들에 따른 TX 전단 모듈(FEM)상에 구현되는 전단 아키텍처의 예시적인 구성(250)을 도시한다. 그러한 전단 아키텍처의 하나 이상의 특징부들이 또한 다른 유형들의 모듈들 또는 제품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적절한 특징부들이 도시되지만, 통상의 기술자들은 간략화를 위해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예시적인 구현들의 더 적절한 양태들을 불명확하게 하지 않기 위해 다양한 다른 특징부들이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본 개시로부터 알 것이다. 이 목적상, 도 4의 구성(250)을 참조하면, 전력 증폭기(PA) 경로(270)는 B39 TX와 RX 동작들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증폭될 입력 신호(예로, 높은 대역(HB) 2G/TD 신호와 연관됨)는 입력 노드(272)를 통해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PA(274)는 그러한 입력 신호를 증폭할 수 있고, 증폭된 신호는 매칭 네트워크(280)에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입력 노드(272) 및 PA(274)는 예시적 B39 TX 대역을 포함하여 다중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다른 대역(들)이 2G/TD 동작을 위한 높은 대역(HB)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2G 동작에 대해, 낮은 대역(LB) 신호가 입력 노드(276)를 통하여 PA(278)에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PA(278)로부터의 증폭된 신호는 매칭 네트워크(280)에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예에서, TX/RX 스위치(282)는 B39 대역에 대한 TX와 RX 동작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구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TX 동작 동안, 스위치(282)는 PA(274)의 출력이 듀플렉서(264)의 B39 부분과 연관되는 공통 노드에 연결되고 또한 B39 RX 노드가 공통 노드로부터 단절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RX 동작 동안, TX/RX 스위치(282)는 PA(274)의 출력이 공통 노드로부터 단절되고 또한 B39 RX 노드가 공통 노드에 연결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TX/RX 스위치(282)는 증폭된 B39 TX 송신 신호 및 B39 RX 신호에 대한 TDD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TX/RX 스위치(282)는 PA(274)와 연관되는 기타 비 B39 대역(들)의 라우팅을 허용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282)는 PA(274)의 출력이 필터들(284, 286)에 라우팅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출력 PA(278)은 필터(288)에 라우팅된다. 몇몇 구현들에서, 스위치(282)는 출력 PA(278)이 필터(288) (도시 생략)에 라우팅되도록 선택 사항으로 작동될 수 있다. 도 4의 예에서, 컨트롤러(290)는 B39 증폭 경로(270)의 동작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어 기능성들을 제공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구성(250)을 참조하면, PA 경로(252)는 B41 TX와 B41 RX 동작들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증폭될 입력 신호는 입력 노드(254)에서 제공된다. PA(256)는 그러한 입력 신호를 증폭할 수 있고, 증폭된 신호는 B41 TX/RX 동작들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대역/모드 선택 스위치(258)에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B39/B41 듀플렉서(264)는 대역/모드 선택 스위치(258)와 안테나 스위치 모듈(ASM)(292) 사이에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적어도 스위치(258)의 일부는 증폭된 B41 TX 신호 및 B41 RX 신호에 대한 TDD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TX/RX 스위치이다.
도 4의 예에서, 컨트롤러(260)는 B41 증폭 경로(252)의 동작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어 기능성들을 제공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PA(256)는 바이어스 노드(262)를 통하여 바이어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와 같은 제어 및 바이어싱 기능성들은 또한 B39 증폭 경로(270)에 대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 4의 예에서, ASM(292)은 B39/B41 듀플렉서(264)와 공유 안테나(294) 사이의 경로의 라우팅을 허용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예시적인 방식에서의 B39와 B41 대역들의 반송파 집성은 도 2의 예에서와 같은 비슷한 기능성을 달성할 수 있는데, 그러나 더 적은 부품 수, 더 쉬운 구현, 더 좋은 성능, 및 더 적은 BoM 비용으로 그렇게 할 수있다.
도 5는 몇몇 구현들에서,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특징부들이 모듈(300)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적절한 특징부들이 도시되지만, 통상의 기술자들은 간략화를 위해 및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예시적인 구현들의 더 적절한 양태들을 불명확하게 하지 않기 위해 다양한 다른 특징부들이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본 개시로부터 알 것이다. 이 목적상, 몇몇 구현들에서, RF 장치(예를 들어, 무선 장치)에 대한 전단 모듈(FEM) 또는 전력 증폭기 모듈(PAM)과 같은 모듈(300)은 기판(306)(예를 들어, 라미네이트 기판)을 갖는다. 모듈(300)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특징부들(예를 들어, 도 3의 전단 아키텍처의 구성(200) 또는 도 4의 전단 아키텍처의 구성(250))을 갖는 CA 아키텍처(302)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CA 아키텍처(302)는 하나 이상의 반도체 다이상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것처럼, 그러한 CA 아키텍처(302)는 공유 안테나(304)에 CA 기능성들을 제공할 수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모듈(300)은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하나 이상의 특징부들을 갖는 아키텍처, 장치, 및/또는 회로이고, 무선 장치와 같은 RF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아키텍처, 장치 및/또는 회로는 직접적으로 무선 장치로,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모듈 형태들로, 또는 이들의 어떤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하나 이상의 유리한 특징부들을 갖는 RF 장치(400)를 도식적으로 묘사한다. 적절한 특징부들이 도시되지만, 통상의 기술자들은 간략화를 위해 및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예시적인 구현들의 더 적절한 양태들을 불명확하게 하지 않기 위해 다양한 다른 특징부들이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본 개시로부터 알 것이다. 이 목적상, 몇몇 구현들에서, RF 장치(400)는 무선 장치이다. 몇몇 구현들에서, 이런 무선 장치는, 예를 들어, 셀 방식 폰, 스마트 폰, 전화 기능을 갖거나 갖지 않는 핸드헬드 무선 장치, 무선 태블릿, 무선 라우터, 무선 액세스 포인트, 무선 기지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RF 장치(400)는, 증폭되고 송신될 RF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알려진 방식들로 구성되고 작동될 수 있는 송수신기(410)로부터 자신들의 각각의 RF 신호들을 수신하고, 및 수신된 신호들을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PA 모듈(412)의 하나 이상의 PA들을 포함한다. 송수신기(410)는 사용자에 대해 적절한 데이터 및/또는 음성 신호들과 송수신기(410)에 대해 적절한 RF 신호들 간의 변환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기저대역 서브시스템(408)과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송수신기(410)는 또한 RF 장치(400)의 동작을 위한 전력을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전력 관리 컴포넌트(406)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한 전력 관리는 또한 RF 장치(400)의 기저대역 서브시스템(408) 및 다른 컴포넌트들의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기저대역 서브시스템(408)은 사용자에 제공되고 그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및/또는 데이터의 다양한 입력 및 출력을 용이하게 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402)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기저대역 서브시스템(408)은 또한 무선 장치의 동작을 용이하게 하는 명령어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및/또는 사용자를 위한 정보의 저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404)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 RF 장치(400)에서, PA 모듈(412)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은 듀플렉싱 및/또는 스위칭 기능성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필터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대역/모드 선택 스위치들(집합적으로 (413)으로 묘사됨)을 포함할 수 있다. 그와 같은 필터들/스위치들(413)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특징부들을 갖는 안테나 스위치 모듈(ASM)(416)과 통신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도 6에서, 몇몇 수신된 신호들은 ASM(416)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저 잡음 증폭기들(LNA들)(418)에 라우팅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LNA들(418)로부터의 증폭된 신호들은 송수신기(410)에 라우팅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몇몇 구현들에 따라, PA 모듈(412), 필터들/스위치들(413), 및/또는 ASM(416)은 모듈(300)의 CA 아키텍처(302)(예를 들어, 도 3의 전단 아키텍처의 구성(200) 또는 도 4의 전단 아키텍처의 구성(250))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다수의 기타 무선 장치 구성이 본 명세서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특징부들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 장치(400)는 다중 대역 장치일 필요는 없다. 또 다른 예에서, RF 장치(400)는 다이버시티 안테나와 같은 추가 안테나들, 및 Wi-Fi, 블루투스, 및 GPS와 같은 추가 연결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특징부들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은 다양한 셀 방식 주파수 대역들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한 대역들의 예들이 표 1에 열거된다. 대역들 중 적어도 일부는 서브 대역들로 분할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특징부들은 표 1의 예들과 같은 지정들을 갖지 않는 주파수 범위들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Figure 112015085405035-pat00001
설명 목적을 위해, "멀티플렉서(multiplexer)", "멀티플렉싱" 및 그와 유사한 것은 "다이플렉서(diplexer)", "다이플렉싱" 및 그와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맥락적으로 달리 명확히 요구하지 않는 한, 명세서 및 청구항 전체에 걸쳐서, 표현 "포함한다", "포함하는" 및 그와 유사한 것은 배타적이거나 배타적인 의미와는 상반되는 포괄적 의미로 해석해야 하는데; 다시 말하면, "제한적이지 않게 구비하는" 의미로 해석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현 "결합되는"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중간 요소들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 2개 이상의 요소들을 가리킨다. 또한, "여기서", "상기", "하기" 및 유사한 의미의 표현들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본 명세서의 임의의 특정 부분들이 아닌 전체로서 본 명세서를 가리킨다. 맥락이 허용하는 경우,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단수 또는 복수를 이용하는 표현들은 각각의 복수 또는 단수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2개 이상의 항목들의 리스트를 참조하는 "또는" 이라는 표현은 단어의 모든 하기 해석들을 포괄한다: 리스트의 항목들 중 임의의 것, 리스트의 모든 항목들, 및 리스트의 항목들 중 임의의 조합.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상기 상세한 설명은 하나도 빠짐없이 제시하거나 또는 본 발명을 위에 개시된 정확한 형태로만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 및 예들은 예시적인 목적들을 위해서 위에 설명되었는데, 통상의 기술자가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등가의 수정들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처리들 또는 블록들이 주어진 순서로 제시되었지만, 대안적 실시예들은 상이한 순서로 단계들을 갖는 루틴들을 수행하거나 또는 블록들을 갖는 시스템들을 채택할 수 있고, 일부 처리들 또는 블록들은 삭제, 이동, 추가, 세분화, 조합, 및/또는 수정될 수 있다. 이들 처리들 또는 블록들의 각각은 다양한 상이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처리들 또는 블록들이 시간상 직렬로 실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처리들 또는 블록들이 병렬로 실행되거나, 또는 상이한 시간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제공되는 본 발명의 교시는 반드시 위에서 기술된 시스템에만 아니라, 기타 시스템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다양한 실시예들의 요소들 및 작용들은 추가 실시예들을 제공하기 위해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구현들이 설명되었지만, 이들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로서 제시되었고,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사실상,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신규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은 다양한 기타 형태들로 구체화될 수 있고; 더욱이, 본 개시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서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방법들 및 시스템들의 형태에서의 다양한 생략들, 치환들 및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첨부된 청구항들 및 그 균등물들이 본 개시 내용의 범위 및 사상 내에 드는 이러한 형태들 또는 수정들을 포괄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20)

  1. 반송파 집성 아키텍처로서:
    공통 안테나에 의해 제1 주파수 대역 및 제2 주파수 대역에 대한 듀플렉싱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듀플렉서; 및
    상기 듀플렉서의 각각의 포트들에 결합되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연관된 제1 증폭 경로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과 연관된 제2 증폭 경로 - 상기 제1 증폭 경로 및 상기 제2 증폭 경로 각각은 자신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증폭 경로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증폭된 신호 및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수신된 신호에 대한 시분할 듀플렉싱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제1 송신/수신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송신/수신 스위치는 상기 제1 증폭 경로의 제1 대역 선택 스위치 내에서 구현되고, 상기 제2 증폭 경로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증폭된 신호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수신된 신호에 대한 시분할 듀플렉싱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제2 송신/수신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송신/수신 스위치 및 상기 제2 송신/수신 스위치 각각은 송신된 신호 및 수신된 신호에 대한 상기 듀플렉서에 결합되는 공통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증폭 경로는 제3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증폭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제1 송신/수신 스위치는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에서 증폭된 신호를 필터로 라우팅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하는 반송파 집성 아키텍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B39 대역을 포함하는 반송파 집성 아키텍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은 B41 대역을 포함하는 반송파 집성 아키텍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듀플렉서의 노드에 결합되는 안테나 스위치 모듈을 더 포함하는 반송파 집성 아키텍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신/수신 스위치는 대역/모드 선택 스위치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되는 반송파 집성 아키텍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증폭 경로는 상기 제1 증폭 경로의 동작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어 기능성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반송파 집성 아키텍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증폭 경로는 전력 증폭기 및 상기 전력 증폭기를 바이어싱하도록 구성되는 바이어스 포트를 포함하는 반송파 집성 아키텍처.
  8. 무선 주파수 모듈로서:
    복수의 컴포넌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패키징 기판; 및
    상기 패키징 기판상에 구현되는 반송파 집성 아키텍처 - 상기 반송파 집성 아키텍처는 공통 안테나에 의해 제1 주파수 대역 및 제2 주파수 대역에 대한 듀플렉싱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듀플렉서를 포함하고, 상기 반송파 집성 아키텍처는 상기 듀플렉서의 각각의 포트들에 결합되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연관된 제1 증폭 경로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과 연관된 제2 증폭 경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증폭 경로 및 상기 제2 증폭 경로 각각은 자신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증폭 경로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증폭된 신호 및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수신된 신호에 대한 시분할 듀플렉싱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제1 송신/수신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송신/수신 스위치는 상기 제1 증폭 경로의 제1 대역 선택 스위치 내에서 구현되고, 상기 제2 증폭 경로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증폭된 신호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수신된 신호에 대한 시분할 듀플렉싱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제2 송신/수신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송신/수신 스위치 및 상기 제2 송신/수신 스위치 각각은 송신된 신호 및 수신된 신호에 대한 상기 듀플렉서에 결합되는 공통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증폭 경로는 제3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증폭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제1 송신/수신 스위치는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에서 증폭된 신호를 필터로 라우팅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주파수 모듈은 전력 증폭기 모듈인 무선 주파수 모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주파수 모듈은 전단 모듈인 무선 주파수 모듈.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B39 대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은 B41 대역을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모듈.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신/수신 스위치는 대역/모드 선택 스위치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되는 무선 주파수 모듈.
  13. 무선 주파수 장치로서:
    무선 주파수 신호들을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와 통신하는 무선 주파수 모듈 - 상기 무선 주파수 모듈은 반송파 집성 아키텍처를 가지며, 상기 반송파 집성 아키텍처는 공통 안테나에 의해 제1 주파수 대역 및 제2 주파수 대역에 대한 듀플렉싱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듀플렉서를 포함하고, 상기 반송파 집성 아키텍처는 상기 듀플렉서의 각각의 포트들에 결합되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연관된 제1 증폭 경로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과 연관된 제2 증폭 경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증폭 경로 및 상기 제2 증폭 경로 각각은 자신의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증폭 경로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증폭된 신호 및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수신된 신호에 대한 시분할 듀플렉싱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제1 송신/수신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송신/수신 스위치는 상기 제1 증폭 경로의 제1 대역 선택 스위치 내에서 구현되고, 상기 제2 증폭 경로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증폭된 신호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수신된 신호에 대한 시분할 듀플렉싱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제2 송신/수신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송신/수신 스위치 및 상기 제2 송신/수신 스위치 각각은 송신된 신호 및 수신된 신호에 대한 상기 듀플렉서에 결합되는 공통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증폭 경로는 제3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증폭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제1 송신/수신 스위치는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에서 증폭된 신호를 필터로 라우팅하도록 구성됨 -
    을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주파수 장치는 무선 장치(wireless device)를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장치는 셀룰러 폰인 무선 주파수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B39 대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은 B41 대역을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신/수신 스위치는 대역/모드 선택 스위치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되는 무선 주파수 장치.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50114835A 2014-08-13 2015-08-13 셀 방식 대역들의 반송파 집성을 위한 무선 주파수 전단 아키텍처 KR1024140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36844P 2014-08-13 2014-08-13
US62/036,844 2014-08-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379A KR20160020379A (ko) 2016-02-23
KR102414077B1 true KR102414077B1 (ko) 2022-06-29

Family

ID=55303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4835A KR102414077B1 (ko) 2014-08-13 2015-08-13 셀 방식 대역들의 반송파 집성을 위한 무선 주파수 전단 아키텍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0447458B2 (ko)
JP (2) JP6591829B2 (ko)
KR (1) KR102414077B1 (ko)
CN (1) CN105376040B (ko)
HK (1) HK1216469A1 (ko)
TW (1) TWI6729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69618B2 (en) * 2016-01-14 2018-09-04 Qorvo Us, Inc. Single RF PA chain for CA FDD-TDD and TDD TX
KR102476051B1 (ko) * 2016-04-22 2022-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안테나 전환 방법
US10200183B2 (en) 2016-06-22 2019-02-05 Apple Inc. Multi-radio filtering front-end circuitry for transceiver systems
CN106209120A (zh) * 2016-06-30 2016-12-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射频电路及移动终端
CN110138520B (zh) * 2018-02-02 2022-04-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上行载波的发射方法、装置及上行载波聚合装置
CN108880571B (zh) * 2018-05-22 2020-05-0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射频电路及电子设备
KR102408077B1 (ko) 2018-07-19 2022-06-13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고주파 모듈 및 통신 장치
CN108900234B (zh) * 2018-07-23 2021-02-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接收模组、天线切换控制方法及相关产品
JP2020099028A (ja) * 2018-12-19 2020-06-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モジュールおよび通信装置
WO2020129445A1 (ja) * 2018-12-21 2020-06-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モジュールおよび通信装置
KR102194705B1 (ko) * 2019-03-19 2020-12-23 삼성전기주식회사 밴드 선택 스위치 회로 및 증폭 장치
JP2020170919A (ja) 2019-04-02 2020-10-1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信号送受信回路
US11303255B2 (en) 2019-07-22 2022-04-12 Skyworks Solution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adaptive power amplifier biasing
JP7373835B2 (ja) 2019-08-23 2023-11-06 四国プランニング株式会社 物品保管システム
EP4205331A1 (en) * 2020-08-27 2023-07-05 Qualcomm Incorporated Switching period symbol location for receiver switching
US11909435B2 (en) * 2020-11-02 2024-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multi-band commun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WO2022249770A1 (ja) * 2021-05-26 2022-12-0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回路及び通信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3989A (ja) * 2001-08-10 2003-05-09 Hitachi Metals Ltd マルチバンドアンテナスイッチ回路及びマルチバンドアンテナスイッチ積層モジュール複合部品並びにこれを用いた通信装置
JP2013135473A (ja) * 2011-12-26 2013-07-08 Shenzhen Futaihong Precision Industrial Co Ltd パワー増幅器及びこれを備える無線通信装置
US20130250819A1 (en) * 2012-03-22 2013-09-26 Rf Micro Devices, Inc. Carrier aggregation front end architecture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40068C (zh) * 2002-04-22 2007-09-26 Ipr许可公司 多输入多输出无线通信方法及具有无线前端部件的收发机
US20050118977A1 (en) * 2003-12-02 2005-06-02 Drogi Serge F. Method, apparatus, and systems for digital radio communication systems
US20070243832A1 (en) * 2004-03-15 2007-10-18 Hyung-Weon Park Multimode/Multiband Mobile St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060121937A1 (en) * 2004-12-07 2006-06-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transmission/reception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frequency band signals according to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JP2006166277A (ja) 2004-12-10 2006-06-22 Hitachi Media Electoronics Co Ltd 送受信装置およびモジュール
JP4521602B2 (ja) * 2005-06-06 2010-08-11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マルチモード高周波回路
DE102007004911A1 (de) * 2007-01-26 2008-08-07 Funkwerk Dabendorf Gmbh Mehrteilige Schaltungsanordnung zur Dämpfungskompensation
WO2008099383A2 (en) * 2007-02-12 2008-08-21 Mobileaccess Networks Ltd. Mimo-adapted distributed antenna system
US8027699B2 (en) * 2007-03-02 2011-09-27 Alcatel Lucent Systems and methods of band amplification with a shared amplifier
CN101442838A (zh) * 2007-11-23 2009-05-27 Nxp股份有限公司 使用双工器实现多模待机终端的系统
DE102008003820B4 (de) * 2008-01-10 2013-01-17 Epcos Ag Frontendschaltung
US20090180403A1 (en) * 2008-01-11 2009-07-16 Bogdan Tudosoiu Multi-band and multi-mode radio frequency front-end module architecture
KR101457704B1 (ko) * 2008-06-19 2014-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송수신기와 이를 구비한 중계국
JP5189958B2 (ja) * 2008-11-10 2013-04-24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およびそれを内蔵した高周波モジュール
US8644197B2 (en) 2008-12-24 2014-02-04 Hollinworth Fund, L.L.C. RF front-end module and antenna systems
CN101826884B (zh) * 2010-04-16 2013-01-30 华为终端有限公司 多模终端电路及多模终端
US8655299B2 (en) * 2010-06-03 2014-02-18 Broadcom Corporation Saw-less receiver with RF frequency translated BPF
WO2012044969A1 (en) * 2010-10-01 2012-04-05 Andrew Llc Distributed antenna system for mimo signals
US20120243447A1 (en) * 2011-03-21 2012-09-27 Qual Comm Incorporated Dual antenna distributed front-end radio
KR101769568B1 (ko) * 2011-05-16 2017-08-21 마벨 월드 트레이드 리미티드 시분할 신호 및 주파수분할 신호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5823168B2 (ja) * 2011-05-24 2015-11-25 太陽誘電株式会社 通信モジュール
US8737376B2 (en) 2011-08-12 2014-05-2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Frontend module for time division duplex (TDD) carrier aggregation
US20130043946A1 (en) * 2011-08-16 2013-02-21 Qualcomm Incorporated Low noise amplifiers with combined outputs
US9660687B2 (en) * 2011-09-22 2017-05-23 Qualcomm Incorporated Front-end circuit for band aggregation modes
US9263793B2 (en) * 2012-04-20 2016-02-16 Ethertronics, Inc. Multi-band communication system with isolation and impedance matching provision
JP2014017764A (ja) * 2012-07-11 2014-01-30 Sony Corp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325042B2 (en) 2012-09-12 2016-04-26 Sony Corporation RF front end module and mobile wireless device
US9113481B2 (en) 2012-09-27 2015-08-18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non-linear interference cancellation using side-band information
EP2717482B1 (en) * 2012-10-04 2016-07-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transceiver
US9240811B2 (en) * 2012-10-23 2016-01-19 Intel Deutschland Gmbh Switched duplexer front end
US9866365B2 (en) * 2012-12-03 2018-01-09 Lg Electronics Inc. RF structure of user terminal for supporting multi-carrier aggregation and various communication radio access technologies
JP2014138312A (ja) * 2013-01-17 2014-07-28 Murata Mfg Co Ltd 半導体モジュール
EP2974048B1 (en) * 2013-03-14 2021-06-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nsmitter receiver leakage reduction in a full duplex system without the use of a duplexer
GB2512586B (en) * 2013-04-02 2015-08-12 Broadcom Corp Switch arrangement
US9768941B2 (en) * 2013-04-29 2017-09-19 Skyworks Solutions, Inc. Duplexer architectures and methods for enabling additional signal path
CN103338050B (zh) * 2013-05-30 2015-11-25 华为技术有限公司 射频收发装置、终端及方法
US20140378075A1 (en) * 2013-06-20 2014-12-25 Qualcomm Incorporated Multi-frequency range processing for rf front end
US9621327B2 (en) * 2013-09-17 2017-04-11 Skyworks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related to carrier aggregation front-end module applications
KR101853753B1 (ko) * 2014-03-26 2018-05-02 후아웨이 디바이스 (둥관) 컴퍼니 리미티드 무선 주파수 프런트-엔드 시스템, 신호 전송 제어 방법, 그리고 모바일 단말
US9954491B2 (en) * 2014-05-28 2018-04-24 Skyworks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related to switchable output stages in power amplifiers
US20150358791A1 (en) * 2014-06-06 2015-12-10 Aviacomm Inc. System architecture for multiple antenna/services remote radio head
WO2015191880A1 (en) * 2014-06-11 2015-12-17 Skyworks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related to time-division and frequency-division duplex protocols for wireless applications
US20150372702A1 (en) * 2014-06-24 2015-12-24 Qualcomm Incorporated Filters for a frequency band
US20160013923A1 (en) * 2014-07-11 2016-01-1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Flexible integrated communications and navigation transceiver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3989A (ja) * 2001-08-10 2003-05-09 Hitachi Metals Ltd マルチバンドアンテナスイッチ回路及びマルチバンドアンテナスイッチ積層モジュール複合部品並びにこれを用いた通信装置
JP2013135473A (ja) * 2011-12-26 2013-07-08 Shenzhen Futaihong Precision Industrial Co Ltd パワー増幅器及びこれを備える無線通信装置
US20130250819A1 (en) * 2012-03-22 2013-09-26 Rf Micro Devices, Inc. Carrier aggregation front end archite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379A (ko) 2016-02-23
US11664963B2 (en) 2023-05-30
US20200162229A1 (en) 2020-05-21
TWI672917B (zh) 2019-09-21
JP6591829B2 (ja) 2019-10-16
US20220045833A1 (en) 2022-02-10
TW201608835A (zh) 2016-03-01
CN105376040B (zh) 2020-05-22
HK1216469A1 (zh) 2016-11-11
JP2019216478A (ja) 2019-12-19
US20160050665A1 (en) 2016-02-18
JP2016042696A (ja) 2016-03-31
US11070347B2 (en) 2021-07-20
CN105376040A (zh) 2016-03-02
JP6949914B2 (ja) 2021-10-13
US10447458B2 (en) 201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4077B1 (ko) 셀 방식 대역들의 반송파 집성을 위한 무선 주파수 전단 아키텍처
KR102665202B1 (ko) 고조파 누설을 감소시키기 위한 스위치를 갖는 무선 트랜시버
US10498521B2 (en) Switched-filter duplexing architecture for front-end systems
KR102304742B1 (ko) 반송파 집성 프런트 엔드 모듈 응용에 관련된 시스템 및 방법
CN105376660B (zh) 与通过模式或频率划分的输入兼容的功率放大器接口
US10439685B2 (en) Front-end architectures for multiple antennas
US1130994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switch combining and simplex operation modes
US10111115B2 (en) Front end system with lossy transmission line between front end module and transceiver
JP6294273B2 (ja) 無線周波数モジュール、無線デバイス及び受信インタフェイスモジュール
EP3357164B1 (en) Front-end circuitry for multiband frequency management
EP3656060B1 (en) Filter circuit with complex baseband filters for non-contiguous carrier aggregation
KR102215081B1 (ko) 송신 신호 처리 방법 및 그 송신기
US20230097428A1 (en) Single matching inductor for receivers to operate frequency bands in a multi-band radio frequenc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