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9568B1 - 시분할 신호 및 주파수분할 신호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시분할 신호 및 주파수분할 신호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9568B1
KR101769568B1 KR1020137033239A KR20137033239A KR101769568B1 KR 101769568 B1 KR101769568 B1 KR 101769568B1 KR 1020137033239 A KR1020137033239 A KR 1020137033239A KR 20137033239 A KR20137033239 A KR 20137033239A KR 101769568 B1 KR101769568 B1 KR 101769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requency
division
mode
trans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3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4828A (ko
Inventor
밍지에 팬
Original Assignee
마벨 월드 트레이드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벨 월드 트레이드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마벨 월드 트레이드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34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4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9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9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 H04B1/0057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using diplexing or multiplexing filters for selecting the desired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 H04B1/006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using switches for selecting the desired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4/00Combined time-division and frequency-division multiplex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다중-모드 송수신기를 사용하여 시-분할 신호들 및 주파수-분할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예시적 시스템은, 전력 증폭기, 스위칭 소자 및 듀플렉서를 포함한다. 전력 증폭기는 송수신기가 시-분할 모드에 있다면 송수신기로부터 제 1 시-분할 신호를 수신하고 증폭된 시-분할 신호를 제 1 시-분할 신호에 근거하여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전력 증폭기는 또한, 송수신기가 주파수-분할 모드에 있다면 송수신기로부터 제 1 주파수-분할 신호를 수신하고 증폭된 주파수-분할 신호를 제 1 주파수-분할 신호에 근거하여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스위칭 소자는 증폭된 시-분할 신호를 전력 증폭기로부터 수신하고 증폭된 시-분할 신호를 전송을 위해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듀플렉서는 증폭된 주파수분할 신호를 스위칭 소자로부터 수신하고 전송 신호를 전송을 위해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시분할 신호 및 주파수분할 신호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IME-DIVISION SIGNALS AND FREQUENCY-DIVISION SIGNALS}
본 출원은 미국 가특허 출원 번호 제61/486,705호(출원일: 2011년 5월 16일, 발명의 명칭: "Methods to reuse the WCDMA Band1 TX for TDSCDMA Band1/2")에 대한 우선권 혜택을 주장하며, 이 특허출원은 그 전체가 참조로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은 일반적으로 모바일 통신(mobile communication)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주파수 신호 프로세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무선 주파수 신호들을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 표준들, 예를 들어,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모바일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GSM 환경을 위한 인핸스드 데이터(Enhanced Data for GSM Environment, EDGE), CDMA-2000, 시분할 동기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Time Division Synchronou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SCDMA),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롱 텀 에볼류션(Long Term Evolution, LTE) 및 마이크로파 액세스를 위한 전세계적 상호운용성(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WCDMA는 널리 채택되고 있는 제3세대(3G) 무선 인터페이스 표준이다. WCDMA는 업링크 통신(uplink communication)(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기지국으로의 통신) 및 다운링크 통신(downlink communication)(예를 들어, 기지국으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통신)이 두 개의 개별 5 MHz 채널들을 통해 수행되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동작 모드를 지원한다. WCDMA는 1920 MHz - 1980 MHz 및 2110 MHz - 2170 MHz를 커버하는 대역 1(Band 1)과 같은 다수의 주파수 대역들을 포함한다. 1920 MHz - 1980 MHz의 주파수 범위는 업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되고, 2110 MHz - 2170 MHz의 주파수 범위는 다운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
TDSCDMA는 또 하나의 다른 3G 무선 인터페이스 표준으로, 이 표준은 업링크 전송과 다운링크 전송을 위해 동일한 채널이 사용되는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동작 모드를 구현하는바, 여기서는 업링크 전송 및 다운링크 전송을 위해 다수의 타임슬롯(timeslot)들이 동적으로 할당된다. TDSCDMA는 2010 MHz - 2025 MHz를 커버하는 대역 1 및 1880 MHz - 1920 MHz를 커버하는 대역 2와 같은 다수의 주파수 대역들을 포함한다.
세계 각지의 서로 다른 영역은 (예를 들어, 셀 폰(cell phones), 비퍼(beepers), 컴퓨터 등의) 무선 주파수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서로 다른 기술 표준에 의존하고 있다. 서로 다른 표준을 사용하는 소비자 디바이스의 계속적인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마주칠 수 있는 다수의 서로 다른 표준들 각각을 사용하여 통신을 행하기 위한 다중-모드 디바이스들(multi-mode devices)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디바이스 내에서 WCDMA 대역 1 신호들 및 TDSCDMA 대역 1/2 신호들을 송수신하기 위해 2-모드 송수신기 혹은 3-모드 송수신기가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2-모드 송수신기 혹은 3-모드 송수신기를 기반으로 하여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복수의 전력 증폭기들을 포함하고, 그 각각은 특정 주파수 대역을 위해 특정적으로 설계되거나, 혹은 값이 비싼 다중-대역 다중-모드 전력 증폭기이다. 추가적으로, 2-모드 송수신기 혹은 3-모드 송수신기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듀플렉서(duplexer)들 및 필터(filter)들을 포함하고, 그 각각은 특정 대역폭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가르침에 따르면, 다중-모드 송수신기(multi-mode transceiver)를 사용하여 시-분할 신호들(time-division signals) 및 주파수-분할 신호들(frequency-division signals)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예시적 시스템은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스위칭 소자(switching component) 및 듀플렉서를 포함한다. 전력 증폭기는 송수신기가 시-분할 모드에 있는 경우 송수신기로부터 제 1 시-분할 신호를 수신하고 증폭된 시-분할 신호를 제 1 시-분할 신호에 근거하여 발생시키도록 구성되고, 전력 증폭기는 또한, 송수신기가 주파수-분할 모드에 있는 경우 송수신기로부터 제 1 주파수-분할 신호를 수신하고 증폭된 주파수-분할 신호를 상기 제 1 주파수-분할 신호에 근거하여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제 1 시-분할 신호는 제 1 주파수 대역(frequency band)과 관련되고, 제 1 주파수-분할 신호는 제 2 주파수 대역과 관련된다. 추가적으로, 제 1 주파수 대역은 제 2 주파수 대역에 인접한다. 전력 증폭기는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대역폭을 갖는다. 더욱이, 스위칭 소자는 증폭된 시-분할 신호를 전력 증폭기로부터 수신하고 증폭된 시-분할 신호를 전송을 위해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스위칭 소자는 또한, 증폭된 주파수-분할 신호를 전력 증폭기로부터 수신하고 증폭된 주파수-분할 신호를 후속 프로세싱을 위해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듀플렉서는 증폭된 주파수-분할 신호를 스위칭 소자로부터 수신하고, 전송 신호를 전송을 위해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전송 신호는 증폭된 주파수-분할 신호에 근거하여 발생된다.
또 다른 예로서, 다중-모드 송수신기를 사용하여 시-분할 신호들 및 주파수-분할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시스템은 전력 증폭기, 스위칭 소자 및 듀플렉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증폭기는 송수신기가 시-분할 모드에 있는 경우 송수신기로부터 제 1 시-분할 신호를 수신하고 증폭된 시-분할 신호를 제 1 시-분할 신호에 근거하여 발생시키도록 구성되고, 전력 증폭기는 또한, 송수신기가 주파수-분할 모드에 있는 경우 송수신기로부터 제 1 주파수-분할 신호를 수신하고 증폭된 주파수-분할 신호를 상기 제 1 주파수-분할 신호에 근거하여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제 1 시-분할 신호는 제 1 주파수 대역과 관련되고, 제 1 주파수-분할 신호는 제 2 주파수 대역과 관련되며, 제 1 주파수 대역은 제 2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고, 전력 증폭기는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대역폭을 갖는다. 스위칭 소자는 증폭된 시-분할 신호 혹은 증폭된 주파수-분할 신호를 수신하고 증폭된 시-분할 신호 혹은 증폭된 주파수-분할 신호를 후속 프로세싱을 위해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듀플렉서는 증폭된 시-분할 신호 혹은 증폭된 주파수-분할 신호를 스위칭 소자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증폭된 시-분할 신호에 근거하여 발생되는 제 1 전송 신호 혹은 증폭된 주파수-분할 신호에 근거하여 발생되는 제 2 전송 신호를 전송을 위해 안테나 스위치 회로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듀플렉서는 또한, 안테나 스위치 회로로부터 제 2 시-분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 신호를 스위칭 소자에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수신 신호는 제 2 시-분할 신호에 근거하여 발생되고, 듀플렉서는 제 1 주파수 대역과 제 2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대역폭을 갖는다. 더욱이, 스위칭 소자는 또한, 수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 신호를 송수신기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예로서, 다중-모드 송수신기를 사용하여 시-분할 신호들 및 주파수-분할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송수신기가 시-분할 모드에 있는 경우, 송수신기로부터 시-분할 신호가 전력 증폭기에서 수신되고, 시-분할 신호는 제 1 주파수 대역과 관련된다. 증폭된 시-분할 신호는 시-분할 신호에 근거하여 발생된다. 증폭된 시-분할 신호는 전송을 위해 출력된다. 송수신기가 주파수-분할 모드에 있는 경우, 송수신기로부터 주파수-분할 신호가 전력 증폭기에서 수신되고, 주파수-분할 신호는 제 2 주파수 대역과 관련되며, 제 1 주파수 대역은 제 2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고, 전력 증폭기는 제 1 주파수 대역과 제 2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대역폭을 갖는다. 추가적으로, 증폭된 주파수-분할 신호는 주파수-분할 신호에 근거하여 발생된다. 증폭된 주파수-분할 신호에 근거하여 듀플렉서에서 전송 신호가 발생된다. 더욱이, 전송 신호는 전송을 위해 출력된다.
또 다른 예로서, 다중-모드 송수신기를 사용하여 시-분할 신호들 및 주파수-분할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송수신기가 시-분할 모드에 있는 경우, 송수신기가 전송 모드에 있을 때 송수신기로부터 시-분할 신호가 전력 증폭기에서 수신되고, 제 1 시-분할 신호는 제 1 주파수 대역과 관련된다. 증폭된 시-분할 신호는 제 1 시-분할 신호에 근거하여 발생된다. 증폭된 시-분할 신호에 근거하여 제 1 전송 신호가 듀플렉서에서 발생되고, 듀플렉서는 제 1 주파수 대역과 제 2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대역폭을 가지며, 제 1 주파수 대역은 제 2 주파수 대역에 인접한다. 제 1 전송 신호가 전송을 위해 안테나 스위치 회로에 출력된다. 송수신기가 수신 모드에 있을 때, 제 2 시-분할 신호가 안테나 스위치 회로로부터 수신된다. 수신 신호가 제 2 시-분할 신호에 근거하여 듀플렉서에서 발생된다. 수신 신호가 송수신기에 출력된다. 송수신기가 주파수-분할 모드에 있는 경우, 송수신기로부터 주파수-분할 신호가 전력 증폭기에서 수신되고, 주파수-분할 신호는 제 2 주파수 대역과 관련되며, 전력 증폭기는 제 1 주파수 대역과 제 2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대역폭을 갖는다. 증폭된 주파수-분할 신호가 주파수-분할 신호에 근거하여 발생된다. 더욱이, 증폭된 주파수-분할 신호에 근거하여 듀플렉서에서 제 2 전송 신호가 발생된다. 제 2 전송 신호는 전송을 위해 안테나 스위치 회로에 출력된다.
도 1은 WCDMA 대역 1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종래의 통신 시스템의 예시적 도면을 나타낸다.
도 2는 TDSCDMA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종래의 통신 시스템의 예시적 도면을 나타낸다.
도 3은 WCDMA 대역 1 신호들은 듀플렉서를 사용하여 프로세싱하고 TDSCDMA 대역 1/2 신호들은 듀플렉서를 바이패스시켜 프로세싱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의 예시적 도면을 나타낸다.
도 4는 다중-모드 송수신기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용으로 이용될 수 있는 특수 듀플렉서의 주파수 커버리지를 나타낸 예시적 도면이다.
도 5는 특수 듀플렉서를 사용하여 WCDMA 대역 1 신호들 및 TDSCDMA 대역 1/2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의 예시적 도면을 나타낸다.
도 6은 주파수-분할 모드에서의 주파수-분할 신호들은 듀플렉서를 사용하여 프로세싱하고 시-분할 모드에서의 시-분할 신호들은 듀플렉서를 바이패스시켜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 예시적인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7은 특수 듀플렉서를 사용하여 시-분할 모드에서의 시-분할 신호들 및 주파수-분할 모드에서의 주파수-분할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 예시적인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8은 시-분할 신호들 및 주파수-분할 신호들을 프로세싱하는 예시적인 구현예를 나타낸다.
도 1은 WCDMA 대역 1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종래의 통신 시스템(100)의 예시적 도면을 나타낸다. WCDMA 대역 1 전력 증폭기(104)는 WCDMA 송수신기(102)로부터 수신된 WCDMA 신호들(112)을 증폭한다. 듀플렉서(106)는 증폭된 WCDMA 신호들(114)을 전력 증폭기(104)로부터 수신하고, 전송 신호들(116)을 안테나 스위치(108)에 출력한다. 동시에, 듀플렉서(106)는 WCDMA 신호들(118)을 안테나 스위치(108)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수신 신호들(120)을 송수신기(102)에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TDSCDMA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종래의 통신 시스템(200)의 예시적 도면을 나타낸다. TDSCDMA 대역 1/2 전력 증폭기(204)는 TDSCDMA 송수신기(202)로부터 수신된 TDSCDMA 대역 1/2 신호들(214)을 증폭한다. 안테나 스위치(210)는 증폭된 TDSCDMA 대역 1/2 신호들(216)을 전송을 위해 수신한다. 서로 다른 시간에, 안테나 스위치(210)는 안테나(212)로부터 수신된 TDSCDMA 대역 1 신호들(218)을 대역 1 필터(206)로 라우팅(routing)시키거나 대안적으로 안테나(212)로부터 수신된 TDSCDMA 대역 2 신호들(220)을 대역 2 필터(208)로 라우팅시킨다. 그 다음에, 필터들(206 및 208)의 출력들은 송수신기(202)에 전송된다.
도 1 및 도 2에 제시된 개별적인 종래 시스템들의 개개의 소자들을 고려하는 경우 어떤 시너지가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WCDMA 대역 1 전력 증폭기(예를 들어, 도 1에 제시된 전력 증폭기(104))는 종종, WCDMA 대역 1 업링크 주파수 범위보다 큰 범위를 커버하는 대역폭을 갖는다. 따라서, WCDMA 대역 1 전력 증폭기는, TDSCDMA 대역 1(2010 MHz - 2025 MHz) 및 TDSCDMA 대역 2(1880 MHz - 1920 MHz)가 WCDMA 대역 1 업링크 주파수 범위(1920 MHz - 1980 MHz)에 인접하여 있기 때문에, TDSCDMA 대역 1/2 신호들을 만족스러운 성능으로, 종종 프로세싱할 수 있다. 유사하게, TDSCDMA 대역 1/2 전력 증폭기(예를 들어, 도 2에 제시된 전력 증폭기(204))는 TDSCDMA 대역 1과 TDSCDMA 대역 2 모두를 커버하는 대역폭을 갖는다. TDSCDMA 대역 1과 TDSCDMA 대역 2 사이에 WCDMA 대역 1 업링크 주파수 범위가 위치하기 때문에, WCDMA 대역 1 업링크 주파수 범위는 대게 TDSCDMA 전력 증폭기의 대역폭 내에 있게 되고, 이에 따라 TDSCDMA 전력 증폭기는 WCDMA 대역 1 업링크 신호들을 프로세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단일 전력 증폭기(WCDMA 대역 1 전력 증폭기 혹은 TDSCDMA 대역 1/2 전력 증폭기)가 WCDMA 대역 1 업링크 신호들과 TDSCDMA 대역 1/2 신호들 모두를 프로세싱하도록 통신 시스템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듀플렉서들을 고려하는 경우 또 다른 시너지가 실현될 수 있다. 도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WCDMA 대역 1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해, 통신 시스템은 WCDMA 대역 1 업링크 통신 및 다운링크 통신을 위해 개별적으로 사용된 두 개의 서로 다른 채널들을 분리시키기 위해 듀플렉서(106)를 종종 필요로 한다. 그러나, 도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TDSCDMA 업링크 통신과 TDSCDMA 다운링크 통신 모두에 대해 동일한 채널이 사용되기 때문에, TDSCDMA 대역 1/2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해 듀플렉서는 필요하지 않다. WCDMA 대역 1 신호들과 TDSCDMA 대역 1/2 신호들 모두를 프로세싱하기 위해 다중-모드 송수신기가 사용되는 경우, 일부 종래의 통신 시스템들은 TDSCDMA 신호들도 WCDMA 신호들을 위해서만 필요한 듀플렉서를 거치도록 강제할 수 있다. 만약 TDSCDMA 대역 1/2 신호들이 WCDMA 대역 1 신호들과 일반 듀플렉서(regular duplexer)를 공유한다면, TDSCDMA 대역 1/2 신호들에서 삽입 손실(insertion loss)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관측사실을 활용하여 보면, 양쪽 신호들, 즉 WCDMA 대역 1 신호들과 TDSCDMA 대역 1/2 신호들, 모두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은, 도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양쪽 신호들을 위한 단일 전력 증폭기, 그리고 오로지 WCDMA 대역 1 신호들만을 위한 듀플렉서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WCDMA 대역 1 신호들은 듀플렉서를 사용하여 프로세싱하고 TDSCDMA 대역 1/2 신호들은 듀플렉서를 바이패스(bypass)시켜 프로세싱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300)의 예시적 도면을 나타낸다. 시스템(300)은 송수신기 칩(transceiver chip)(301) 및 안테나(316)를 포함한다. 도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다중-모드 송수신기(302)에 의해 제공되는 WCDMA 대역 1 업링크 신호들 및 TDSCDMA 대역 1/2 신호들은 송수신기 칩(301) 상의 공통 전력 증폭기(304)에 의해 증폭된다. 스위치(306)는 증폭된 WCDMA 신호들을 듀플렉서(308)로 라우팅시키는 반면, 증폭된 TDSCDMA 신호들은 스위치(306)를 통해 듀플렉서(308)를 바이패스한다.
구체적으로, 통신 시스템(300)이 전송 모드에 있는 경우, 송수신기(302)로부터 안테나 스위치(314)로 신호들이 전송된다. 만약 송수신기(302)가 TDSCDMA 대역 1/2 신호(318)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전력 증폭기(304)는 신호(318)를 증폭하고, 스위치(306)는 증폭된 TDSCDMA 신호(320)를 전송을 위해 안테나 스위치(314)로 라우팅시킨다. 만약 송수신기(302)가 WCDMA 대역 1 업링크 신호(330)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전력 증폭기(304)는 신호(330)를 증폭하고, 스위치(306)는 증폭된 WCDMA 신호(332)를 듀플렉서(308)로 라우팅시키고, 듀플렉서(308)는 전송 신호(334)를 전송을 위해 안테나 스위치(314)에 출력한다.
시스템(300)이 수신 모드에 있는 경우, 안테나 스위치(314)로부터 송수신기(302)로 신호들이 전송된다. 안테나(316)가 TDSCDMA 대역 1 신호(322)를 수신하는 경우, 안테나 스위치(314)는 신호(322)를 TDSCDMA 대역 1 필터(310)로 라우팅시키고 TDSCDMA 대역 1 필터(310)는 필터링된 신호(326)를 송수신기(302)에 출력한다. 만약 안테나(316)가 TDSCDMA 대역 2 신호(324)를 수신한다면, 안테나 스위치(314)는 신호(324)를 TDSCDMA 대역 2 필터(312)로 라우팅시키고, 그 다음에 TDSCDMA 대역 2 필터(312)는 필터링된 신호(328)를 송수신기(302)에 출력한다. 안테나(316)가 WCDMA 대역 1 다운링크 신호(336)를 수신하는 경우, 안테나 스위치(314)는 신호(336)를 듀플렉서(308)로 라우팅시키고, 듀플렉서(308)는 수신 신호(338)를 송수신기(302)에 출력한다.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전력 증폭기(304)는 WCDMA 대역 1 전력 증폭기 혹은 TDSCDMA 대역 1/2 전력 증폭기일 수 있다. 그러나, WCDMA 대역 1 업링크 주파수 범위, TDSCDMA 대역 1 및 TDSCDMA 대역 2를 커버하는 대역폭을 갖는 임의의 다른 전력 증폭기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제시된 시스템(300)은 TDSCDMA 전송과 WCDMA 전송 모두를 지원한다. 추가적으로, 송수신기(302)는 다음과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 표준들, 즉, CDMA, GSM, EDGE, CDMA-2000, LTE, 및 WiMax 중 하나 이상을 지원할 수 있다.
시스템(300)은 만족스러운 성능을 여전히 제공하면서 여러 가지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306)는 단극쌍투(Single Pole, Double Throw, SPDT) 스위치일 수 있다. 안테나 스위치(314)는 단극다투(Single Pole, Multiple Throw, SPMT) 스위치일 수 있다. 필터들(310 및 312)은 표면 탄성파(Surface Acoustic Wave, SAW) 필터들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서 다른 변형들이 또한 고려된다.
도 4는 다중-모드 송수신기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용으로 이용될 수 있는 특수 듀플렉서의 주파수 커버리지를 나타낸 예시적 도면이다. 도 3에 관해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TDSCDMA 신호들은 삽입 손실을 피하기 위해 듀플렉서(306)를 바이패스할 수 있다. 이러한 손실은 TDSCDMA 대역 1/2을 커버하지 못하는 (도면번호 402로 표시된 바와 같은) 대역폭을 갖는 종래의 듀플렉서들로 인한 것이다. 도면번호 404로 표시된 바와 같이, WCDMA 대역 1, TDSCDMA 대역 1, 및 TDSCDMA 대역 2를 커버하는 확장된 대역폭을 갖는 특수 듀플렉서(special duplexer)가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특수 듀플렉서는 상당량의 삽입 손실을 일으킴이 없이 TDSCDMA 대역 1/2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제시된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은 시스템 구조가 보다 더 간략하게 되도록 특수 듀플렉서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특수 듀플렉서를 사용하여 WCDMA 대역 1 신호들 및 TDSCDMA 대역 1/2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500)의 예시적 도면을 나타낸다. 시스템(500)은 송수신기 칩(501) 및 안테나(512)를 포함한다. 도 5에 제시된 바와 같이, 확장된 대역폭을 갖는 특수 듀플렉서(508)가 WCDMA 대역 1 신호들과 TDSCDMA 대역 1/2 신호들 모두를 프로세싱하기 위해 사용된다.
시스템(500)이 전송 모드에 있는 경우, 다중-모드 송수신기(502)로부터 안테나 스위치(510)로 신호들이 전송된다. 송수신기(502)는 신호(514)(예를 들어, TDSCDMA 대역 1/2 신호 혹은 WCDMA 대역 1 업링크 신호)를 전력 증폭기(504)에 출력한다. 스위치(506)는 증폭된 신호(516)를 수신하고 신호(517)를 특수 듀플렉서(508)(예를 들어, 특수 듀플렉서(508)의 전송 포트(509))에 출력한다. 그 다음에, 특수 듀플렉서(508)는 전송 신호(518)를 전송을 위해 안테나 스위치(510)에 출력한다.
시스템(500)이 수신 모드에 있는 경우, 안테나 스위치(510)로부터 송수신기(502)로 신호들이 전송된다. 안테나(512)가 TDSCDMA 대역 1/2 신호(520)를 수신하는 경우, 안테나 스위치(510)는 신호(520)를 특수 듀플렉서(508)로 라우팅시키고, 특수 듀플렉서(508)는 신호(521)를 (예를 들어, 전송 포트(509)를 통해) 스위치(506)에 출력하며, 그 다음에 스위치(506)는 신호(522)를 송수신기(502)에 출력한다. 안테나(512)가 WCDMA 대역 1 다운링크 신호(524)를 수신하는 경우, 안테나 스위치(510)는 신호(524)를 특수 듀플렉서(508)로 라우팅시키고, 특수 듀플렉서(508)는 수신 신호(526)를 (예를 들어, 듀플렉서(508)의 수신 포트(511)를 통해) 송수신기(502)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전력 증폭기(504)는 WCDMA 대역 1 전력 증폭기 혹은 TDSCDMA 대역 1/2 전력 증폭기일 수 있다. 그러나, WCDMA 대역 1 업링크 주파수 범위, TDSCDMA 대역 1 및 TDSCDMA 대역 2를 커버하는 대역폭을 갖는 임의의 다른 전력 증폭기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주파수-분할 모드에서의 주파수-분할 신호들은 듀플렉서를 사용하여 프로세싱하고 시-분할 모드에서의 시-분할 신호들은 듀플렉서를 바이패스시켜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 예시적인 흐름도를 나타낸다. 602에서, 송수신기가 시-분할 모드에 있는지 아니면 주파수-분할 모드에 있는지 여부에 관한 결정이 행해진다. 송수신기가 시-분할 모드에 있는 경우, 604에서, 송수신기가 전송 모드에 있는지 아니면 수신 모드에 있는지 여부에 관한 결정이 행해진다. 송수신기가 전송 모드에 있는 경우, 606에서, 송수신기로부터 제 1 시-분할 신호(예를 들어, TDSCDMA 대역 1/2 신호)가 전력 증폭기에서 수신된다. 제 1 시-분할 신호는 제 1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TDSCDMA 대역 1 및 대역 2)과 관련된다. 증폭된 시-분할 신호가 608에서 시-분할 신호에 근거하여 발생되고, 증폭된 시-분할 신호는 610에서 전송을 위해 안테나 스위치 회로에 출력된다. 송수신기가 수신 모드에 있는 경우, 612에서 안테나 스위치 회로로부터 제 2 시-분할 신호(예를 들어, TDSCDMA 대역 1/2 신호)가 수신된다. 제 2 시-분할 신호는 제 1 주파수 대역과 관련된다. 제 1 수신 신호가 614에서 제 2 시-분할 신호에 근거하여 필터에서 발생되고, 616에서 송수신기에 출력된다. 예를 들어, 만약 제 2 시-분할 신호가 TDSCDMA 대역 1 신호라면, 제 1 수신 신호는 TDSCDMA 대역 1 필터에서 발생된다. 만약 제 2 시-분할 신호가 TDSCDMA 대역 2 신호라면, 제 1 수신 신호는 TDSCDMA 대역 2 필터에서 발생된다.
송수신기가 주파수-분할 모드에 있는 경우, 618에서, 송수신기가 전송 모드에 있는지 아니면 수신 모드에 있는지 여부에 관한 결정이 행해진다. 송수신기가 전송 모드에 있는 경우, 620에서, 송수신기로부터 제 1 주파수-분할 신호(예를 들어, WCDMA 대역 1 업링크 신호)가 전력 증폭기에서 수신된다. 제 1 주파수-분할 신호는 제 2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WCDMA 대역 1 업링크 주파수 범위)과 관련되며, 여기서 제 1 주파수 대역은 제 2 주파수 대역에 인접한다. 전력 증폭기가 제 1 주파수 대역과 제 2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대역폭을 갖기 때문에, 제시된 프로세싱의 양쪽 분기된 부분에 대해 동일한 증폭기가 사용된다. 증폭된 주파수-분할 신호가 622에서 주파수-분할 신호에 근거하여 발생된다. 624에서 전송 신호는 증폭된 주파수-분할 신호에 근거하여 듀플렉서에서 발생되고, 626에서 전송 신호가 전송을 위해 안테나 스위치 회로에 출력된다. 송수신기가 수신 모드에 있는 경우, 628에서 제 2 주파수-분할 신호가 안테나 스위치 회로로부터 수신된다. 630에서 제 2 수신 신호가 제 2 주파수-분할 신호에 근거하여 듀플렉서에서 발생되고 632에서 스위치를 통해 송수신기에 출력된다.
예를 들어, 도 6에 제시된 방법은 WCDMA 대역 1 신호들은 듀플렉서를 사용하여 프로세싱하고 TDSCDMA 대역 1/2 신호들은 듀플렉서를 바이패스시켜 프로세싱하는 도 3에 제시된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다.
도 7은 특수 듀플렉서를 사용하여 시-분할 모드에서의 시-분할 신호들 및 주파수-분할 모드에서의 주파수-분할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 예시적인 흐름도를 나타낸다. 702에서, 송수신기가 시-분할 모드에 있는지 아니면 주파수-분할 모드에 있는지 여부에 관한 결정이 행해진다. 송수신기가 시-분할 모드에 있는 경우, 703에서, 송수신기가 전송 모드에 있는지 아니면 수신 모드에 있는지 여부에 관한 결정이 행해진다. 송수신기가 전송 모드에 있는 경우, 704에서, 송수신기로부터 제 1 시-분할 신호(예를 들어, TDSCDMA 대역 1/2 신호)가 전력 증폭기에서 수신된다. 제 1 시-분할 신호는 제 1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TDSCDMA 대역 1 및 대역 2)과 관련되며, 증폭된 시-분할 신호는 706에서 제 1 시-분할 신호에 근거하여 발생된다. 예를 들어, 증폭된 시-분할 신호는 스위치를 거치게 되고 듀플렉서에 의해 필터링된다. 708에서, 제 1 전송 신호는 증폭된 시-분할 신호에 근거하여 듀플렉서에서 발생되고, 듀플렉서는 제 1 주파수 대역과 제 2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WCDMA 대역 1 업링크 주파수 범위) 모두를 포함하는 대역폭을 가지며, 제 1 주파수 대역은 제 2 주파수 대역에 인접한다. 710에서, 제 1 전송 신호가 전송을 위해 안테나 스위치 회로에 출력된다. 송수신기가 수신 모드에 있는 경우, 712에서 제 2 시-분할 신호가 안테나 스위치 회로로부터 수신된다. 714에서, 제 1 수신 신호가 제 2 시-분할 신호에 근거하여 듀플렉서에서 발생되고, 716에서 스위치를 통해 송수신기에 출력된다. 예를 들어, 제 2 시-분할 신호는 듀플렉서에 의해 필터링된다.
송수신기가 주파수-분할 모드에 있는 경우, 717에서, 송수신기가 전송 모드에 있는지 아니면 수신 모드에 있는지 여부에 관한 결정이 행해진다. 송수신기가 전송 모드에 있는 경우, 718에서, 송수신기로부터 제 1 주파수-분할 신호(예를 들어, WCDMA 대역 1 업링크 신호)가 전력 증폭기에서 수신된다. 제 1 주파수-분할 신호는 제 2 주파수 대역과 관련된다. 전력 증폭기가 제 1 주파수 대역과 제 2 주파수 대역을 모두 포함하는 대역폭을 갖기 때문에, 프로세싱의 양쪽 분기된 부분에 대해 동일한 전력 증폭기가 사용될 수 있다. 증폭된 주파수-분할 신호가 720에서 제 1 주파수-분할 신호에 근거하여 발생된다. 예를 들어, 증폭된 주파수-분할 신호는 스위치를 거치게 되고 듀플렉서에 의해 필터링된다. 722에서 제 2 전송 신호는 증폭된 주파수-분할 신호에 근거하여 듀플렉서에서 발생되고, 724에서 제 2 전송 신호가 전송을 위해 안테나 스위치 회로에 출력된다. 송수신기가 수신 모드에 있는 경우, 726에서 제 2 주파수-분할 신호가 안테나 스위치 회로로부터 수신된다. 728에서 제 2 수신 신호가 제 2 시-분할 신호에 근거하여 듀플렉서에서 발생되고, 730에서 제 2 수신 신호가 송수신기에 출력된다. 예를 들어, 제 2 시-분할 신호는 듀플렉서에 의해 필터링된다.
예를 들어, 도 7에 제시된 방법은 특수 듀플렉서를 사용하여 WCDMA 대역 1 신호들 및 TDSCDMA 대역 1/2 신호들을 프로세싱하는 도 5에 제시된 통신 시스템(500)에서 구현된다.
이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가 제시된다. 본 발명은 셀률러 안테나(cellular antenna)(804)를 포함할 수 있는 셀률러 폰(cellular phone)(802)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분할 신호들 및 주파수-분할 신호들의 프로세싱은, 셀률러 폰(802)의 신호 프로세싱 및/또는 제어 회로들(signal processing and/or control circuits)(도 8에서 도면번호 806으로 전체적으로 식별됨), WLAN 인터페이스 및/또는 대용량 데이터 저장소 중 어느 하나 혹은 모두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셀률러 폰(802)은 마이크로폰(microphone)(808), 오디오 출력(audio output)(810)(예를 들어, 스피커 및/또는 오디오 출력 잭(audio output jack)), 디스플레이(812), 그리고/또는 입력 디바이스(814)(예를 들어, 키보드,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 음성 작동(voice actuation) 및/또는 다른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셀률러 폰(802) 내의 신호 프로세싱 및/또는 제어 회로들(806) 그리고/또는 다른 회로들(미도시)은 데이터를 프로세싱할 수 있고, 코딩 및/또는 암호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계산을 수행할 수 있고, 데이터를 포맷팅(formatting)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다른 셀률러 폰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셀률러 폰(802)은, 광학 및/또는 자기 저장 디바이스(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및/또는 DVD)와 같은 비휘발성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대용량 데이터 저장소(816)와 통신할 수 있다. HDD는 대략 1.8"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하나 이상의 플랫터(platter)들을 포함하는 미니 HDD(mine HDD)일 수 있다. 셀률러 폰(802)은 RAM, ROM, 로우 레이턴시 비휘발성 메모리(low latency nonvolatile memory)(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및/또는 다른 적절한 전자 데이터 저장소와 같은 메모리(818)에 연결될 수 있다. 셀률러 폰(802)은 또한, WLAN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0)를 통해 WLAN과의 연결을 지원할 수 있다.
기술된 본 설명내용은 본 발명을 개시하기 위해, 그리고 최상의 모드를 포함하도록,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들이 본 발명을 만들고 사용할 수 있도록 사례들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특허가능한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들이 행할 수 있는 다른 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분할 신호들과 주파수-분할 신호들 모두를 프로세싱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간략하게 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사용되는 전력 증폭기들의 개수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사용되는 무선-주파수-신호 필터들의 개수를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필요한 레이아웃 면적(layout area)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제조 비용을 절약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Claims (20)

  1. 다중모드 송수신기(multi-mode transceiver)를 사용하여 시분할 신호들(time-division signals) 및 주파수분할 신호들(frequency-division signals)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전송 모드에서,
    상기 다중모드 송수신기가 시분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다중모드 송수신기로부터 제 1 시분할 신호를 수신하고 증폭된 시분할 신호를 상기 제 1 시분할 신호에 근거하여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고, 상기 다중모드 송수신기가 주파수분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다중모드 송수신기로부터 제 1 주파수분할 신호를 수신하고 증폭된 주파수분할 신호를 상기 제 1 주파수분할 신호에 근거하여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는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와, 여기서 상기 제 1 시분할 신호는 제 1 주파수 대역(frequency band)과 관련되고, 상기 제 1 주파수분할 신호는 제 2 주파수 대역과 관련되며,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고, 상기 전력 증폭기는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대역폭을 갖고;
    상기 전력 증폭기로부터 상기 증폭된 시분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증폭된 시분할 신호를 듀플렉서(duplexer)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전력 증폭기로부터 상기 증폭된 주파수분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증폭된 주파수분할 신호를 듀플렉서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는 스위칭 소자(switching component)와; 그리고
    상기 듀플렉서를 포함하며, 상기 듀플렉서는 상기 듀플렉서의 제 1 포트에서 그리고 상기 스위칭 소자로부터, 상기 다중모드 송수신기가 주파수분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증폭된 주파수분할 신호를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다중모드 송수신기가 시분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증폭된 시분할 신호를 수신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듀플렉서는 전송 신호를 전송을 위해 안테나 스위치 회로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듀플렉서는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대역폭을 갖고,
    수신 모드에서,
    상기 듀플렉서는 또한 상기 다중모드 송수신기가 시분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안테나 스위치 회로로부터 제 2 시분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시분할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 1 수신 신호를 상기 제 1 포트를 통해 상기 스위칭 소자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듀플렉서는 또한 상기 다중모드 송수신기가 주파수분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안테나 스위치 회로로부터 제 2 주파수분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주파수분할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 2 수신 신호를 상기 듀플렉서의 제 2 포트를 통해 상기 다중모드 송수신기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시분할 신호는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과 관련되고,
    상기 스위칭 소자는 또한, 상기 제 1 수신 신호를 상기 다중모드 송수신기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송수신기를 사용하여 시분할 신호들 및 주파수분할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분할 신호 및 상기 제 2 시분할 신호는 시분할 동기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Time Division Synchronou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SCDMA)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송수신기를 사용하여 시분할 신호들 및 주파수분할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파수분할 신호 및 상기 제 2 주파수분할 신호는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송수신기를 사용하여 시분할 신호들 및 주파수분할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증폭기는, TDSCDMA 대역 1/2 전력 증폭기(TDSCDMA Band 1/2 power amplifier), WCDMA 대역 1 전력 증폭기(WCDMA Band 1 power amplifier), 또는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과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모두를 포함하는 대역폭을 갖는 전력 증폭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송수신기를 사용하여 시분할 신호들 및 주파수분할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의 범위는 1920 MHz 내지 1980 M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송수신기를 사용하여 시분할 신호들 및 주파수분할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은 제 3 주파수 대역 및 제 4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주파수 대역의 범위는 2010 MHz 내지 2025 MHz이고, 상기 제 4 주파수 대역의 범위는 1880 MHz 내지 1920 M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송수신기를 사용하여 시분할 신호들 및 주파수분할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스위치 회로는 단극쌍투(Single Pole Double Throw, SPDT)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송수신기를 사용하여 시분할 신호들 및 주파수분할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단극쌍투(Single Pole Double Throw, SPDT)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송수신기를 사용하여 시분할 신호들 및 주파수분할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시스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모드 송수신기는 WCDMA 및 TDSCDMA를 지원하고, 아울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EDGE(Enhanced Data for GSM Environment), CDMA-2000, LTE(Long Term Evolution) 및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중 하나 이상의 통신표준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송수신기를 사용하여 시분할 신호들 및 주파수분할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시스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다중모드 송수신기를 사용하여 시분할 신호들 및 주파수분할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다중모드 송수신기가 시분할 모드에 있을 때, 그리고 상기 다중모드 송수신기가 전송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다중모드 송수신기로부터 제 1 시분할 신호를 전력 증폭기에서 수신하는 단계와, 여기서 상기 제 1 시분할 신호는 제 1 주파수 대역과 관련되며;
    증폭된 시분할 신호를 상기 제 1 시분할 신호에 근거하여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증폭된 시분할 신호를 스위칭 소자를 통해 듀플렉서의 제 1 포트에서 수신하는 단계와;
    제 1 전송 신호를 상기 증폭된 시분할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듀플렉서에서 발생시키는 단계와, 여기서 상기 듀플렉서는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과 제 2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대역폭을 갖고,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 인접하며; 그리고
    상기 제 1 전송 신호를 전송을 위해 안테나 스위치 회로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다중모드 송수신기가 시분할 모드에 있을 때, 그리고 상기 다중모드 송수신기가 수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안테나 스위치 회로로부터 제 2 시분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시분할 신호는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과 관련되고;
    제 1 수신 신호를 상기 제 2 시분할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듀플렉서에서 발생시키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제 1 수신 신호를 상기 듀플렉서의 상기 제 1 포트를 통해 상기 스위칭 소자에 출력하고 그리고 상기 스위칭 소자에 의해 상기 제 1 수신 신호를 상기 다중모드 송수신기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다중모드 송수신기가 주파수분할 모드에 있을 때, 그리고 상기 다중모드 송수신기가 전송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다중모드 송수신기로부터 제 1 주파수분할 신호를 상기 전력 증폭기에서 수신하는 단계와, 여기서 상기 제 1 주파수분할 신호는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과 관련되며, 상기 전력 증폭기는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대역폭을 갖고;
    증폭된 주파수분할 신호를 상기 제 1 주파수분할 신호에 근거하여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증폭된 주파수분할 신호를 스위칭 소자를 통해 듀플렉서의 제 1 포트에서 수신하는 단계와;
    제 2 전송 신호를 상기 증폭된 주파수분할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듀플렉서에서 발생시키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제 2 전송 신호를 전송을 위해 상기 안테나 스위치 회로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다중모드 송수신기가 주파수분할 모드에 있을 때, 그리고 상기 다중모드 송수신기가 수신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안테나 스위치 회로로부터 제 2 주파수분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 2 수신 신호를 상기 제 2 주파수분할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듀플렉서에서 발생시키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제 2 수신 신호를 상기 듀플렉서의 제 2 포트를 통해 상기 다중모드 송수신기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송수신기를 사용하여 시분할 신호들 및 주파수분할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KR1020137033239A 2011-05-16 2012-04-13 시분할 신호 및 주파수분할 신호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7695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86705P 2011-05-16 2011-05-16
US61/486,705 2011-05-16
PCT/IB2012/000849 WO2012156791A2 (en) 2011-05-16 2012-04-13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ime-division signals and frequency-division signa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4828A KR20140034828A (ko) 2014-03-20
KR101769568B1 true KR101769568B1 (ko) 2017-08-21

Family

ID=46086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3239A KR101769568B1 (ko) 2011-05-16 2012-04-13 시분할 신호 및 주파수분할 신호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625472B2 (ko)
EP (1) EP2710738B1 (ko)
KR (1) KR101769568B1 (ko)
CN (1) CN103548273B (ko)
WO (1) WO201215679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08121B1 (en) * 2009-03-13 2015-10-28 Huawei Technologies Co., Ltd. Radio frequency unit and integrated antenna
DE112012006941B4 (de) * 2012-09-26 2018-02-15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Sender-Empfänger-Einrichtung, die dazu angepasst ist, in einer ersten Kommunikationsbetriebsart und einer zweiten Kommunikationsbetriebsart zu arbeiten
KR102207866B1 (ko) 2014-04-01 2021-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10447458B2 (en) * 2014-08-13 2019-10-15 Skyworks Solutions, Inc. Radio-frequency front-end architecture for carrier aggregation of cellular bands
US10098038B2 (en) * 2016-05-31 2018-10-09 Mediatek Inc. Wireless module and method of reducing interference between multiple wireless antennas
KR102578502B1 (ko) 2016-08-01 2023-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8029269A1 (en) * 2016-08-12 2018-02-15 Sony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mmunicating position reference signals
KR102559978B1 (ko) * 2017-02-21 2023-07-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주파수 밴드들을 이용한 d2d 통신을 지원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과 그를 구비한 전자 장치
US10958407B2 (en) * 2017-06-09 2021-03-23 Qualcomm Incorporated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with mini-slo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07115A1 (en) * 2002-02-20 2005-05-1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obile multimode terminal with joint power amplifier
US20100202325A1 (en) * 2009-02-06 2010-08-12 Sige Semiconductor Inc. Dual mode transceiv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2583B (fi) * 1999-05-26 2003-12-15 Nokia Corp Menetelmä solukkoradiojärjestelmien välisten kanavanvaihtomittausten toteuttamiseksi ja päätelaite
US7593691B2 (en) * 2002-02-12 2009-09-22 Atc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level of interference to a wireless receiver responsive to a power level associated with a wireless transmitter
US7490182B2 (en) * 2005-04-08 2009-02-10 Panasonic Corporation Switching control circuit provided with serial to parallel converter and storage unit, and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689407B1 (ko) * 2005-07-05 200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송수신기에서 iip3 조절 장치 및 방법
CN1917685A (zh) * 2005-08-17 2007-02-21 三星电子株式会社 多模式/多频带无线收发器
US8374225B2 (en) * 2006-12-19 2013-02-12 Broadcom Corporation Voice/data/RF integrated circuit
US9048932B2 (en) * 2009-02-06 2015-06-02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existence of an OFDMA transmitter with a synchronous frame-based transmitter
US8233846B2 (en) * 2009-02-26 2012-07-31 Broadcom Corporation Configurable transceiver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US9894674B2 (en) * 2011-02-07 2018-02-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ystem level solution for different service co-existen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07115A1 (en) * 2002-02-20 2005-05-1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obile multimode terminal with joint power amplifier
US20100202325A1 (en) * 2009-02-06 2010-08-12 Sige Semiconductor Inc. Dual mode transceive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표준문서(3GPP TR 25.889 V6.0.0, 2003.0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10738A2 (en) 2014-03-26
WO2012156791A3 (en) 2013-01-17
KR20140034828A (ko) 2014-03-20
US8625472B2 (en) 2014-01-07
WO2012156791A9 (en) 2013-03-07
EP2710738B1 (en) 2020-03-04
CN103548273A (zh) 2014-01-29
US9184903B2 (en) 2015-11-10
WO2012156791A2 (en) 2012-11-22
US20120294205A1 (en) 2012-11-22
CN103548273B (zh) 2017-03-15
US20140092791A1 (en) 201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9568B1 (ko) 시분할 신호 및 주파수분할 신호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665202B1 (ko) 고조파 누설을 감소시키기 위한 스위치를 갖는 무선 트랜시버
TWI672912B (zh) 電子系統、功率放大器系統、封裝模組、行動器件、提供射頻信號至一天線之電子實施方法、及前端
US10505700B1 (en) Reducing intermodulation distortion for intra-band dual connectivity
US8565701B2 (en) Multi-band and multi-mode antenna system and method
RU2658656C2 (ru) Многорежимный беспроводной терминал
US10523305B2 (en) Variable channelized bandwidth booster
KR101713930B1 (ko) 휴대 단말기의 송신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WO2015131456A1 (zh) 多模双通终端
US10499352B2 (en) Power amplification module for multiple bands and multiple standards
CN102404881A (zh) 双模射频收发装置、滤波装置和双模终端
US20140038667A1 (e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with rf lte switches and related methods
KR102653890B1 (ko)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는 rfic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KR20160035842A (ko) 송신 신호 처리 방법 및 그 송신기
US10840966B2 (en) Wireless device
EP2693648A1 (e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with rf lte switches and related methods
KR101688947B1 (ko) 이동 단말기
US20160043821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