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3917B1 - 동축 커넥터, 고주파 유닛 및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동축 커넥터, 고주파 유닛 및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3917B1
KR102413917B1 KR1020197004324A KR20197004324A KR102413917B1 KR 102413917 B1 KR102413917 B1 KR 102413917B1 KR 1020197004324 A KR1020197004324 A KR 1020197004324A KR 20197004324 A KR20197004324 A KR 20197004324A KR 102413917 B1 KR102413917 B1 KR 102413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member
center electrode
outer conductor
terminal portion
coaxi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4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8566A (ko
Inventor
히로시게 타카쿠와
타카히로 안도
Original Assignee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38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2Resilient sockets forked sockets having two le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in or to a panel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8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vision

Abstract

금속재를 포함하는 통 형상의 외부 도체(2)와, 외부 도체 내에 배치된 제1 절연 부재(4)와, 선재의 삽입 구멍(5d)이 형성된 전면판(5a)과, 전면판으로부터 배면을 향해 연장하며, 제1 절연 부재의 전면측과 단부가 겹치는 복수의 탄성편(5b)을 갖고, 전면 및 배면 방향으로 가동의 제2 절연 부재(3)와, 제1 및 제2 절연 부재 내의 중공부에 설치되고, 제1 절연 부재(4)의 배면으로부터 외부로 도출되는 단자부(6e) 및 단자부와 접속된 선재를 협지하는 협지편(6a)을 가지는 중심 전극(6)을 구비하는 동축 커넥터(1).

Description

동축 커넥터, 고주파 유닛 및 수신 장치
본 기술은 예를 들어 F형 커넥터에 적용할 수 있는 동축 커넥터, 고주파 유닛 및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젼 방송(지상파 방송, 위성 방송, 케이블 텔레비젼 등)의 신호 전송을 위해 동축 케이블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안테나의 출력을 텔레비젼 수상기, 퍼스널 컴퓨터 등의 내부의 튜너에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축 커넥터로서 F형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F형 커넥터의 하나의 타입은, 동축 케이블의 일단에 접속되는 것으로, F형 커넥터 플러그 등으로 불린다. 다른 타입은, F형 커넥터 플러그로부터 돌출하여 있는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이하, 심선이라 칭함)를 받아들이는 F형 커넥터이며, F형 커넥터 리셉터클(receptacle) 등으로 불린다. 이하에 설명하는 것은, F형 커넥터 리셉터클이다. 그러나, 단순히 F형 커넥터라 칭한다.
F형 커넥터의 일례가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F형 커넥터는, 동축 케이블의 심선이 삽입되는 중심 전극과, 중심 전극을 지지하는 통 형상의 절연 수지와, 절연 수지의 외측에 설치되는 금속제의 외부 도체를 구비하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 제2004-228021호 공보
종래의 F형 커넥터에서는, 중심 전극을 지지하는 절연체를 외부 도체 내에 배치하고, 외부 도체의 단부를 코킹함으로써, 절연체를 고정하고 있다. 그러나, 절연체가 갈라질 우려가 있으므로, 코킹을 체결하는 힘을 크게 할 수 없다. 그 결과, 코킹의 느슨해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코킹의 편차가 존재한다. 또한, 동축 커넥터를 구비한 튜너 유닛을 텔레비젼 수상기 등의 기판에 장착할 때에 리플로우 납땜이 이루어진다. 이 리플로우 납땜 시의 가열에 의해 절연체가 재결정화를 일으켜서, 약간 수축하여, 예를 들어 외부 도체의 코킹부와 절연체 사이에 간극이 발생한다. 튜너 유닛이 예를 들어 텔레비젼 수상기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 스피커로부터 큰 음량이 발생하면, 세트의 샤시가 진동하고, 더욱 더 진동이 튜너에 전달된다. 상술한 간극의 존재 때문에, 절연체가 공진하여 이음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기술의 목적은, 이음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동축 커넥터, 고주파 유닛 및 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기술은, 금속재를 포함하는 통 형상의 외부 도체와,
외부 도체 내에 배치된 제1 절연 부재와,
선재의 삽입 구멍이 형성된 전면판과, 전면판으로부터 배면을 향해 연장하며, 제1 절연 부재의 전면측과 단부가 겹치는 복수의 탄성편을 갖고, 전면 및 배면 방향에 있어 가동의 제2 절연 부재와,
제1 및 제2 절연 부재 내의 중공부에 설치되고, 제1 절연 부재의 배면으로부터 외부로 도출되는 단자부 및 단자부와 접속된 선재를 협지하는 협지편을 가지는 중심 전극을 구비하는 동축 커넥터이다.
또한, 본 기술은, 신호 처리부가 수납된 케이스체와,
케이스체에 고정되고, 중심 전극의 단자부가 신호 처리부에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축 커넥터를 갖고,
동축 커넥터가 상술한 구성으로 된 고주파 유닛이다.
또한, 본 기술은, 튜너 기능을 가지는 튜너 모듈 기판이 수납된 케이스체와,
케이스체에 고정되고, 중심 전극의 단자부가 튜너 모듈 기판에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축 커넥터를 갖고,
동축 커넥터가 상술한 구성으로 된 수신 장치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기술은, 코킹에 의한 조립 후에, 절연 부재를 구성하는 수지가 수축하거나, 코킹의 편차가 존재하거나 하더라도, 외부 도체와 절연 부재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기재된 효과는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기술 중에 기재된 임의의 효과이여도 좋다.
[도 1] F형 커넥터의 일례의 단면도 및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2] 본 기술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F형 커넥터의 코킹에 의한 조립 전의 단계의 단면도이다.
[도 3] 본 기술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F형 커넥터의 코킹에 의한 조립 후의 단계의 단면도이다.
[도 4] 본 기술의 일 실시형태의 일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본 기술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절연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 본 기술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절연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7] 중심 전극의 일례의 사시도, 평면도 및 심선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 중심 전극의 다른 예의 사시도, 평면도 및 심선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 본 기술에 따른 F형 커넥터와 종래의 F형 커넥터 각각의 전기 특성 데이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 중심 전극의 형상이 다른 2개의 F형 커넥터 각각의 전기 특성 데이터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 본 기술에 따른 동축 커넥터가 장착된 튜너 유닛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본 기술의 바람직한 구체예이며, 기술적으로 바람직한 여러 가지 한정이 부가되어 있다. 그러나, 본 기술의 범위는, 이하의 설명에 있어, 특히 본 기술을 한정하는 취지의 기재가 없는 한,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기술의 설명은, 하기의 순서에 따라 행한다.
<<1. F형 커넥터의 일례>>
<<2. 일 실시형태>>
<<3. 응용예>>
<<4. 변형예>>
<<1. F형 커넥터의 일례>>
도 1을 참조하여 F형 커넥터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의 A는 F형 커넥터(21)를 수직 방향으로 절단했을 경우의 단면도이며, 도 1의 B가 F형 커넥터(21)를 수평 방향으로 절단했을 경우의 단면도이다. F형 커넥터(21)는, 통 형상의 외부 도체(22), 외부 도체(22) 내에 수용되어 있는 원통형의 절연체(23), 및 절연체(23)의 중공부에 지지되고 있는 중심 전극(26)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부 도체(22)는, 철, 황동, 아연 등의 금속을 포함하며, 둘레면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다. 외부 도체(22)의 기부에는 플랜지부(22a)가 형성되고, 기부측 단면에는 코킹부(22b, 22c)가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코킹부(22b, 22c)가 예를 들어 튜너 유닛의 케이스판의 구멍에 삽입되고, 코킹부(22b, 22c)를 절곡함으로써 F형 커넥터(21)가 튜너 유닛에 장착된다.
절연체(23)는, 2체 구성으로 되며, 기부측에 배치되는 지지체(24)와 선단측에 배치되는 원통체(25)를 가진다. 지지체(24)의 기부측 단면에는, 직사각형의 지지구멍(24a)이 형성되고, 중심 전극(26)의 단자부(26e)가 지지구멍(24a)을 관통하여, 외부로 단자부(26e)가 도출된다. 단자부(26e)의 선단이 절곡되며, 튜너 케이스 내의 프린트 배선 기판(도시하지 않음) 상의 소정 개소에 납땜된다.
지지체(24) 및 원통체(25)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 내에 중심 전극(26)이 배치된다. 중심 전극(26)은, 도전성 및 스프링성을 가지는 금속을 포함하며, 삽입되는 동축 케이블의 심선을 협지하는 협지편(26a, 26b)을 가진다. 협지편(26a, 26b)이 연결편(26c)에 의해 연결되며, 협지편(26a, 26c)이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촉부(26d)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편(26c)에 대해 단자부(26e)가 접속되어 있다.
협지편(26a, 26b)을 지지하는 경사면이 지지체(24)에 형성되어 있다. 원통체(25) 및 지지체(24)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수평 방향 폭은,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협지편(26a, 26b)의 폭보다 약간 큰 것으로 되어 있다. 협지편(26a, 26b)의 단부가 서로 이간하도록 절곡되어, 횡 방향으로부터 보아 도 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 < " 형상의 선단이 형성된다. 원통체(25)의 선단측 단면의 중심에 구멍(25a)이 형성되고, 구멍(25a)을 통해 삽입되는 동축 케이블의 심선이 협지편(26a, 26b)의 선단으로부터 삽입되어, 접촉부(26d)에 협지된다.
외부 도체(22)의 선단측의 단면이 원통체(25)의 단면보다 약간 돌출하는 크기로 되고, 외부 도체(22)의 전면 및 배면 방향으로 하중을 가하는 코킹에 의해, 절연체(23)(지지체(24) 및 원통체(25))를 고정한다.
상술한 F형 커넥터(21)의 일례에 있어서, 코킹의 느슨해짐이나, 코킹의 치수의 편차나, 리플로우 납땜 시의 가열에 의한 절연체(23)의 수축 등에 의해, 도 1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도체(22)의 단부와 원통체(25) 사이에 약간의 간극 G가 발생할 경우가 있다. 텔레비젼 수상기에 F형 커넥터(21)를 가지는 튜너 유닛을 장착했을 경우, 큰 음량이 발생할 때에, 간극의 존재에 의해 절연체(23)(지지체(24) 및 원통체(25))가 공진하여, 귀에 거슬리는 이음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2. 일 실시형태>>
본 기술은, 이러한 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 본 기술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기술에 따른 F형 커넥터(1)를 수평 방향으로 절단했을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2가 코킹에 의해 F형 커넥터(1)를 조립하기 전의 단계의 단면도이다. 도 3이 코킹에 의해 F형 커넥터(1)를 조립한 후의 단계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F형 커넥터(1)의 일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절연체를 구성하는 가요성 부재의 정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튜너 유닛 등의 고주파 모듈의 케이스체에 장착되는 측을 배면이라 칭하고, 동축 케이블의 심선이 삽입되는 측을 전면이라 칭한다.
F형 커넥터(1)는, 통 형상의 외부 도체(2)와, 외부 도체(2) 내에 수용되어 있는 절연체(3)와, 절연체(3)의 중공부에 지지되고 있는 중심 전극(6)으로 구성되어 있다. 절연체(3)는, 2체 구성으로 되며, 배면측(F형 커넥터(1)가 튜너 유닛에 장착되는 측)에 배치되는 제1 절연 부재(이하, 지지체라 칭함)(4)와, 전면측(동축 케이블의 심선(도시하지 않음)이 삽입되는 측)에 배치되는 제2 절연 부재(이하, 가요성 부재라 칭함)(5)를 가진다. 가요성 부재(5)의 단부가 탄성을 가진다. 외부 도체(2)에는, 지지체(4), 가요성 부재(5) 및 중심 전극(6)을 조립한 조립체가 전면측의 개구부로부터 삽입되어 수납되어 있다.
지지체(4) 및 가요성 부재(5)는, 수지 성형품이다. PPS(폴리페닐렌 설파이드), LCP(액정 폴리머), 나일론 등의 내열성이 우수한 수지를 성형하여 지지체(4) 및 가요성 부재(5)가 제조된다.
외부 도체(2)는, 철, 황동, 아연 등의 금속을 포함하며, 외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된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고 있다. 외부 도체(2)의 기부에는 플랜지부(2a)가 형성되고, 기부측 단면에는 코킹부(2b, 2c)가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코킹부(2b, 2c)가 예를 들어 튜너 유닛의 케이스판의 구멍에 삽입되고, 코킹부(2b, 2c)를 절곡함으로써 F형 커넥터(1)가 튜너 유닛에 장착된다. 납땜, 너트에 의한 고정 등에 의해 F형 커넥터(1)를 장착하여도 된다. 외부 도체(2)의 내면에는, 지지체(4)에 형성된 볼록부(4a)와 접촉하는 잠금(locking) 부재(예를 들어 볼록부)(2d)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외부 도체(2)의 내면에 볼록부가 형성되고, 지지체(4)의 외주면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볼록부가 가이드 홈에 삽입됨으로써, 지지체(4)가 잠금되고 있다.
지지체(4) 및 가요성 부재(5)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 내에 중심 전극(6)이 배치된다. 중심 전극(6)은, 도전성 및 스프링성을 가지는 금속, 예를 들어 인청동을 포함하며, 삽입되는 동축 케이블의 심선을 협지하는 협지편(6a, 6b)을 가진다. 협지편(6a, 6b)이 연결부(6c)에 의해 연결되고, 협지편(6a, 6c)이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촉부(6d)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6c)에 대해 단자부(6e)가 접속되어 있다.
중심 전극(6)의 연결부(6c)를 지지하는 구멍이 지지체(4)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자부(6e)를 배면으로 도출하기 위한 구멍(4b)이 지지체(4)에 형성되어 있다. 협지편(6a, 6b)의 단부가 서로 이간하도록 절곡되어, 횡 방향으로부터 보아, " < " 형상의 선단이 형성된다.
가요성 부재(5)는, 원형의 전면판(5a)과, 전면판(5a)으로부터 배면을 향해 연장하도록 심어 세워진 한 쌍의 탄성편(5b, 5c)이 일체로 성형된 것이다. 가요성 부재(5)의 단부가 지지체(4)의 전면측 단부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가요성 부재(5)는, 전면 및 배면 방향으로 가동의 부재이다. 탄성편(5b, 5c)은, 협지편(6a, 6b)의 폭 방향의 양측에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다. 탄성편(5b, 5c)의 대향면의 일부에 오목부(7a, 7b)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7a, 7b)에 의해 협지편(6a, 6b)과 가요성 부재(5)와의 거리를 크게 하여, F형 커넥터(1)의 고주파 특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면판(5a)의 대략 중심에 동축 케이블의 심선의 삽입 구멍(5d)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5d)을 통해 삽입되는 동축 케이블의 심선이 협지편(6a, 6b)의 선단으로부터 삽입되어, 접촉부(6d)에 의해 협지된다. 탄성편(5b, 5c)의 전면판(5a)의 근방 부분이 협지편(6a, 6b)의 선단부의 양측에 근접하게끔 된다. 이 구성에 의해, 심선의 삽입 시에 협지편(6a, 6b)의 선단의 위치가 규제되고, 심선의 삽입이 스무드하게 된다.
지지체(4)의 전면측에, 탄성편(5b, 5c)의 단부를 바깥쪽으로 벌리기 위한 경사면(4c, 4d)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4c, 4d)과 합치하는 경사면(5e, 5f)이 탄성편(5b, 5c)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경사면(4c, 4d, 5e, 5f)은, 전면으로부터 배면을 향해 외측을 향해 벌어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가요성 부재(5)는, 지지체(4)와 감합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전면 및 배면 방향으로 가동인 구성으로 된다. 또한, 경사면에 한정되지 않고, 돌기를 설치하여 탄성편(5b, 5c)의 단부를 바깥쪽으로 벌리도록 해도 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체(4), 가요성 부재(5) 및 중심 전극(6)을 조립한 것이 외부 도체(2)의 전면측의 개구부로부터 삽입된다. 외부 도체(2)의 전면측의 단면이 가요성 부재(5)의 전면판(5a)의 전면보다 약간 돌출하는 크기로 된다. 외부 도체(2)의 전면 및 배면 사이에 힘을 가함으로써 코킹이 실시되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도체(2)의 전면이 절곡되며, 중심 전극(6)을 가지는 지지체(4) 및 가요성 부재(5)를 외부 도체(2)의 내부에 고정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킹에 의한 조립 전, 즉, 전면 및 배면 사이에 하중을 걸지 않은 상태에서는, 탄성편(5b, 5c)의 선단과 지지체(4)의 볼록부(4a)의 사이에 폭 b의 간극이 존재한다. 지지체(4)의 배면으로부터 볼록부(4a)의 전면까지의 길이를 a라 하고, 가요성 부재(5)의 전면으로부터 선단까지의 길이를 c라 하면, 조립 전의 단계에서 접촉하고 있는 상태의 지지체(4)의 배면으로부터 가요성 부재(5)의 전면까지의 길이 x는, (x=a+b+c)가 된다.
이 길이 x는 하기의 관계로 설정된다.
x > (외부 도체(2) 내의 지지체(4) 및 가요성 부재(5)의 수납 스페이스의 길이 + 예상되는 지지체(4) 및 가요성 부재(5)를 구성하는 수지의 수축량 + 코킹의 편차)
코킹 시의 하중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도체(2)의 절곡된 단면이 가요성 부재(5)의 전면을 배면 방향으로 누르는 것이다. 따라서, 탄성편(5b, 5c)의 각각의 선단이 경사면(4c, 4d)을 따라 배면측으로 이동함과 함께, 외측으로 벌어진다. 이동량의 최대치는 조립 전에 존재하고 있던 탄성편(5b, 5c)의 선단과 지지체(4)의 볼록부(4a) 사이의 간극의 길이 b이다. 이와 같이, 코킹에 의한 하중이 가해지면, 가요성 부재(5)가 배면 방향으로 이동하여, 간극이 없어지거나, 또는 보다 작아진다.
코킹의 편차, 수지의 수축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지지체(4)와 가요성 부재(5)의 감합 상태를 유지한 채로, 외부 도체(2)의 절곡 단부의 내면과 전면판(5a)의 전면 사이의 간극 G(도 1의 C 참조)를 채우는 방향으로 가요성 부재(5)가 이동한다. 따라서, 간극 G의 발생을 방지하여, 간극 G에 기인하는 이음,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중심 전극의 구체예」
중심 전극(6)의 일례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중심 전극(6)은, 1매의 금속판을 절곡 등에 의해 가공하고, 2매의 협지편(6a, 6b)이 서로 중첩되어 있다. 또한, 지지체(4)의 구멍에 지지되는 연결부(6c)와, 이 연결부(6c)의 일단측으로부터 연장하는 단자부(6e)와, 협지편(6a, 6b)이 접촉하는 접촉부(6d)를 가진다.
예를 들어 텔레비젼 방송에 있어서, 8K 방송이 계획되고 있다. 그 경우의 IF 주파수는 현재의 값보다 높아진다(예를 들어 고도 BS에 있어서는 3.2GHz). 이와 같이 주파수가 높아질 경우, F형 커넥터의 중심 전극(6)의 폭을 가늘게 하여 중심 전극(6)과 절연 부재 사이의 공극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다. 그러나, 중심 전극(6)의 폭을 가늘게 하면, 접촉부(6d)가 삽입된 동축 케이블의 심선을 보유 지지하는 힘이 약해져 버린다. 따라서,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협지편(6a, 6b)의 단면 형상이 원호 형상으로 된다.
도 7의 A는, 중심 전극(6)의 사시도이며, 도 7의 B가 중심 전극(6)의 정면도이며, 도 7의 C가 동축 케이블의 심선(8)을 협지편(6a, 6b)의 접촉부(6d)가 협지한 상태를 나타낸다. 심선(8)을 협지한 상태에서는, 협지편(6a, 6b)을 펴서 넓힐 수 있는 양(스프링의 편향량)이 P가 된다. 심선(8)의 둘레면과 원호 형상의 면과의 접촉에 의해, 협지편(6a, 6b)을 펴서 넓힐 수 있는 양(스프링의 편향량) P가 감소되어, 보유 지지력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없다.
이 점을 개량한 중심 전극(6')을 도 8의 A, 도 8의 B 및 도 8의 C에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내는 중심 전극(6)과 마찬가지로, 협지편(6a', 6b'), 연결부(6c'), 단자부(6e'), 접촉부(6d')를 가진다. 중심 전극(6)과 상위한 점은, 협지편(6a' 및 6b')의 접촉부(6d')를 포함하는 선단의 구간(Lp)의 단면 형상을 평판 형상으로 하는 점이다. 협지편(6a' 및 6b')의 구간(Lp) 이외의 단면 형상은 원호 형상으로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중심 전극(6')은, 도 8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심선(8)을 평판으로 협지하므로, 협지편(6a', 6b')을 펴서 넓힐 수 있는 양(스프링의 편향량)이 단면 원호 형상인 경우의 양 P에 비해 보다 큰 양 Q가 된다. 따라서, 심선(8)을 보유 지지할 때의 펴서 넓힐 수 있는 양(스프링의 편향량)이 많아지므로, 보유 지지력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F형 커넥터의 전기 특성」
도 9 및 도 10은, F형 커넥터의 전기 특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9 및 도 10에 있어서 횡축이 주파수이며, 종축이 S 파라미터 S11이다. S 파라미터 S11은, 반사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 파라미터 S11의 값이 작을수록 반사 특성이 양호하게 된다.
도 9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전기 특성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체(24) 및 원통체(25)로 이루어지는 절연체(23)를 구비하는 F형 커넥터(21)의 특성이다. 파선으로 나타내는 전기 특성은, 본 기술의 일 실시형태(지지체(4) 및 가요성 부재(5)로 이루어지는 절연체(3)를 가지는 구성)의 특성이다. 양방의 특성을 비교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기술의 일 실시형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F형 커넥터(21)에 비해 양호한 반사 특성을 가진다.
도 10은, 다른 구성의 중심 전극을 구비하는 F형 커넥터의 전기 특성을 나타낸다. 도 10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특성은, 중심 전극의 단면 형상이 평판 형상으로 된 F형 커넥터의 반사 특성이다. 파선으로 나타내는 특성은, 중심 전극의 단면 형상이 원호 형상으로 된 F형 커넥터의 반사 특성이다. 단면 원호 형상의 F형 커넥터 쪽이 보다 양호한 특성을 가진다. 그 이유로서는, 중심 전극의 강성이 높아지는 것, 심선을 협지부로 도입시킬 수 있는 것, 외부 도체가 원통형이므로, 중심 전극과 외부 도체의 거리가 균등하게 유지되는 것에 의한 것이라 생각된다. 상술한 중심 전극(6')은, 전체적으로 단면 원호 형상이므로, 도 10에 있어서 파선으로 나타내는 반사 특성을 갖고, 또한, 심선의 보유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응용예>>
「튜너 유닛」
도 11은, 본 기술에 따른 F형 커넥터가 장착된 튜너 유닛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튜너 유닛(11)은, 튜너 기능부가 형성된 튜너 모듈 기판을 튜너 케이스(12)에 내장한 것이다. 튜너 케이스(12)는 쉴드(shield) 케이스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또한, 튜너 유닛(11)은, 튜너 케이스(12)에 고정되고, 심선이 튜너 케이스(12)에 내장되는 튜너 모듈 기판에 접속되는 2개의 안테나 커넥터(F형 커넥터)(13, 14)를 가진다. 상술한 본 기술에 따른 F형 커넥터가 안테나 커넥터(13, 14)로서 사용된다.
튜너 모듈 기판은, 그 주면(main surface)에 예를 들어 지상 텔레비젼 방송(TV) 튜너 모듈 기능부로서의 IC(회로)나, 위성 방송(BS) 튜너 모듈 기능부로서의 IC(회로), 전자 부품이 형성(탑재)되어 있다. 튜너 모듈 기판은, 일례로서 텔레비젼 수상기의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된다.
이와 같은 튜너 유닛(11)을 사용하여 수신 장치가 구성된다. 이 수신 장치는, 예를 들어 지상 텔레비젼 방송파 신호 및 위성 방송파 신호를 수신 가능하게 구성된다. 수신 장치는, 방송파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 주파수 변환 기능을 포함하는 튜너 유닛(예를 들어 도 11에 나타내는 튜너 유닛(11)), 및 복조부를 가진다.
수신 장치의 제1 계통은, 수신 안테나, 안테나 커넥터, 필터,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LNA), 튜너부, 복조부로 구성된다. 또한, 수신 장치의 제2 계통은, 수신 안테나, 안테나 커넥터, 필터, 저잡음 증폭기(LNA), 튜너부, 복조부로 구성된다. 안테나 커넥터로서 본 기술에 따른 F형 커넥터가 사용된다.
<<4. 변형예>>
이상, 본 기술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기술은, 상술한 일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기술의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는 각종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튜너 유닛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종류의 고주파 유닛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젼 수상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텔레비젼 방송 녹화 장치 등의 수신 장치에 본 기술의 F형 커넥터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 언급한 구성, 방법, 공정, 형상, 재료 및 수치 등은 어디까지나 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이와 다른 구성, 방법, 공정, 형상, 재료 및 수치 등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도 취할 수 있다.
(1)
금속재를 포함하는 통 형상의 외부 도체와,
상기 외부 도체 내에 배치된 제1 절연 부재와,
선재의 삽입 구멍이 형성된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으로부터 배면을 향해 연장하며, 상기 제1 절연 부재의 전면측과 단부가 겹치는 복수의 탄성편(elastic piece)을 갖고, 전면 및 배면 방향으로 가동의 제2 절연 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절연 부재 내의 중공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절연 부재의 배면으로부터 외부로 도출되는 단자부 및 상기 단자부와 접속된 상기 선재를 협지하는 협지편을 가지는 중심 전극을 구비하는, 동축 커넥터.
(2)
상기 (1)에 있어서,
코킹(caulking)을 위한 하중을 가하기 전의 단계에서, 접촉하고 있는 상태의 상기 제1 절연 부재의 배면으로부터 상기 제2 절연 부재의 전면까지의 길이 x를 하기의 관계로 설정하도록 한, 동축 커넥터.
x > (외부 도체 내의 제1 및 제2 절연 부재의 수납 스페이스의 길이 + 예상되는 절연 부재의 수축량 + 코킹의 편차)
(3)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 부재는, 상기 협지편을 지지함과 함께, 상기 단자부를 도출하기 위한 구멍을 가지는, 동축 커넥터.
(4)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 부재의 전면측에, 상기 탄성편의 단부를 바깥쪽으로 벌리기 위한 경사면 또는 돌기가 형성된, 동축 커넥터.
(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단면 형상이 원호 형상인 한 쌍의 상기 탄성편이 대향하여 상기 전면판에 심어 세워진, 동축 커넥터.
(6)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탄성편의 대향면의 일부가 박육(薄肉)으로 되고, 상기 중심 전극의 외측에 오목부가 형성된, 동축 커넥터.
(7)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탄성편의 대향면의 상기 전면판의 근방 부분이 상기 중심 전극의 상기 협지편에 근접하는, 동축 커넥터.
(8)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심 전극의 상기 협지편이 상기 선재를 협지하는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접촉부를 포함하는 상기 협지편의 단면 형상이 평판 형상으로 되고, 상기 협지편의 다른 부분의 단면 형상이 원호 형상으로 된, 동축 커넥터.
(9)
신호 처리부가 수납된 케이스체와,
상기 케이스체에 고정되고, 중심 전극의 단자부가 상기 신호 처리부에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축 커넥터를 갖고,
상기 동축 커넥터가 상기 (1)에 기재된 구성으로 된, 고주파 유닛.
(10)
상기 (9)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가 튜너 기능을 가지는 튜너 모듈 기판이며,
상기 동축 커넥터의 단자부가 상기 튜너 모듈 기판에 접속되는, 고주파 유닛.
(11)
튜너 기능을 가지는 튜너 모듈 기판이 수납된 케이스체와,
상기 케이스체에 고정되고, 중심 전극의 단자부가 상기 튜너 모듈 기판에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축 커넥터를 갖고,
상기 동축 커넥터가 상기 (1)에 기재된 구성으로 된, 수신 장치.
1: F형 커넥터
2: 외부 도체
3: 절연체
4: 지지체
4c, 4d: 경사면
5: 가요성 부재
5a: 전면판
5b, 5c: 탄성편
5e, 5f: 경사면
6: 중심 전극
7a, 7b: 오목부
8: 심선

Claims (11)

  1. 금속재를 포함하는 통 형상의 외부 도체와,
    상기 외부 도체 내에 배치된 제1 절연 부재와,
    선재의 삽입 구멍이 형성된 전면판(前面板)과, 상기 전면판으로부터 배면을 향해 연장하며, 상기 제1 절연 부재의 전면측과 단부가 겹치는 복수의 탄성편(elastic piece)을 갖고, 전면 및 배면 방향으로 가동의 제2 절연 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절연 부재 내의 중공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절연 부재의 배면으로부터 외부로 도출되는 단자부 및 상기 단자부와 접속된 상기 선재를 협지하는 협지편을 가지는 중심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절연 부재의 전면측에, 상기 탄성편의 단부를 바깥쪽으로 벌리기 위한 경사면 또는 돌기가 형성된, 동축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코킹(caulking)을 위한 하중을 가하기 전의 단계에서, 접촉하고 있는 상태의 상기 제1 절연 부재의 배면으로부터 상기 제2 절연 부재의 전면까지의 길이 x를 하기의 관계로 설정하도록 한, 동축 커넥터.
    x > (외부 도체 내의 제1 및 제2 절연 부재의 수납 스페이스의 길이 + 예상되는 절연 부재의 수축량 + 코킹의 편차)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금속재를 포함하는 통 형상의 외부 도체와,
    상기 외부 도체 내에 배치된 제1 절연 부재와,
    선재의 삽입 구멍이 형성된 전면판(前面板)과, 상기 전면판으로부터 배면을 향해 연장하며, 상기 제1 절연 부재의 전면측과 단부가 겹치는 복수의 탄성편(elastic piece)을 갖고, 전면 및 배면 방향으로 가동의 제2 절연 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절연 부재 내의 중공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절연 부재의 배면으로부터 외부로 도출되는 단자부 및 상기 단자부와 접속된 상기 선재를 협지하는 협지편을 가지는 중심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절연 부재는, 상기 협지편을 지지함과 함께, 상기 단자부를 도출하기 위한 구멍을 갖고,
    단면 형상이 원호 형상인 한 쌍의 상기 탄성편이 대향하여 상기 전면판에 심어 세워지며,
    상기 한 쌍의 탄성편의 대향면의 일부가 박육(薄肉)으로 되고, 상기 중심 전극의 외측에 오목부가 형성된, 동축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탄성편의 대향면의 상기 전면판의 근방 부분이 상기 중심 전극의 상기 협지편에 근접하는, 동축 커넥터.
  8. 금속재를 포함하는 통 형상의 외부 도체와,
    상기 외부 도체 내에 배치된 제1 절연 부재와,
    선재의 삽입 구멍이 형성된 전면판(前面板)과, 상기 전면판으로부터 배면을 향해 연장하며, 상기 제1 절연 부재의 전면측과 단부가 겹치는 복수의 탄성편(elastic piece)을 갖고, 전면 및 배면 방향으로 가동의 제2 절연 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절연 부재 내의 중공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절연 부재의 배면으로부터 외부로 도출되는 단자부 및 상기 단자부와 접속된 상기 선재를 협지하는 협지편을 가지는 중심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중심 전극의 상기 협지편이 상기 선재를 협지하는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접촉부를 포함하는 상기 협지편의 단면 형상이 평판 형상으로 되고, 상기 협지편의 다른 부분의 단면 형상이 원호 형상으로 된, 동축 커넥터.
  9. 신호 처리부가 수납된 케이스체와,
    상기 케이스체에 고정되고, 중심 전극의 단자부가 상기 신호 처리부에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축 커넥터를 갖고,
    상기 동축 커넥터가 제1항에 기재된 구성으로 된, 고주파 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가 튜너 기능을 가지는 튜너 모듈 기판이며,
    상기 동축 커넥터의 단자부가 상기 튜너 모듈 기판에 접속되는, 고주파 유닛.
  11. 튜너 기능을 가지는 튜너 모듈 기판이 수납된 케이스체와,
    상기 케이스체에 고정되고, 중심 전극의 단자부가 상기 튜너 모듈 기판에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축 커넥터를 갖고,
    상기 동축 커넥터가 제1항에 기재된 구성으로 된, 수신 장치.
KR1020197004324A 2016-08-23 2017-06-19 동축 커넥터, 고주파 유닛 및 수신 장치 KR1024139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62663 2016-08-23
JP2016162663 2016-08-23
PCT/JP2017/022491 WO2018037684A1 (ja) 2016-08-23 2017-06-19 同軸コネクタ、高周波ユニット及び受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566A KR20190038566A (ko) 2019-04-08
KR102413917B1 true KR102413917B1 (ko) 2022-06-27

Family

ID=61245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4324A KR102413917B1 (ko) 2016-08-23 2017-06-19 동축 커넥터, 고주파 유닛 및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944194B2 (ko)
EP (1) EP3506436B1 (ko)
JP (1) JP6933382B2 (ko)
KR (1) KR102413917B1 (ko)
CN (1) CN109643874B (ko)
TW (1) TWI733851B (ko)
WO (1) WO20180376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00586B2 (ja) * 2018-09-14 2023-06-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マイクロ波加熱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59605A (ja) * 2010-09-10 2012-03-22 Alps Electric Co Ltd 高周波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8183A (ja) 1983-01-28 1984-08-08 Mitsubishi Electric Corp 色彩画像符号化方法
JPS59138183U (ja) * 1983-03-04 1984-09-14 豊無線株式会社 同軸コ−ドとf型コネクタ−との接続構造
US4491685A (en) 1983-05-26 1985-01-01 Armex Cable Corporation Cable connector
JP3685898B2 (ja) * 1997-03-03 2005-08-24 Uro電子工業株式会社 終端型同軸コネクタ
WO2000014829A1 (en) * 1998-09-09 2000-03-16 Tang Danny Q Hermetically sealed f-connector
CN2440276Y (zh) * 2000-09-22 2001-07-25 利阳电子股份有限公司 讯号连接器结构
CN2473782Y (zh) * 2001-03-20 2002-01-23 翁胜嘉 具有高夹持力的同轴电缆连接器
JP2004228021A (ja) 2003-01-27 2004-08-12 Alps Electric Co Ltd F型コネクタ
JP2007103063A (ja) * 2005-09-30 2007-04-19 Maspro Denkoh Corp 同軸ケーブル用f型接栓
CN201490509U (zh) * 2009-06-09 2010-05-26 钱云成 一种新型电视插芯
CN201540995U (zh) * 2009-10-19 2010-08-04 宁波兴瑞电子有限公司 一种f型连接器
US9793660B2 (en) * 2012-03-19 2017-10-17 Holland Electronics, Llc Shielded coaxial connector
US8777658B2 (en) * 2012-03-19 2014-07-15 Holland Electronics, Llc Ingress reduction coaxial cable connector
US9923308B2 (en) * 2012-04-04 2018-03-20 Holland Electronics, Llc Coaxial connector with plunger
US9136629B2 (en) * 2012-07-19 2015-09-15 Holland Electronics, Llc Moving part coaxial cable connecto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59605A (ja) * 2010-09-10 2012-03-22 Alps Electric Co Ltd 高周波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8037684A1 (ja) 2019-06-20
JP6933382B2 (ja) 2021-09-08
US10944194B2 (en) 2021-03-09
KR20190038566A (ko) 2019-04-08
WO2018037684A1 (ja) 2018-03-01
US20190181577A1 (en) 2019-06-13
CN109643874A (zh) 2019-04-16
CN109643874B (zh) 2021-03-02
EP3506436A4 (en) 2019-08-14
TWI733851B (zh) 2021-07-21
EP3506436A1 (en) 2019-07-03
TW201807908A (zh) 2018-03-01
EP3506436B1 (en)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8388B2 (en) Connector
US10741973B2 (en) Electrical cable connector
US9172194B2 (en) Coaxial connector plug
WO2008001482A1 (fr) Connecteur intégré de carte de circuit imprimé et résonateur de sortie
JP6588403B2 (ja) 同軸コネクタ
JPH06314580A (ja) 二基板接続用同軸コネクタ
CN103138084A (zh) 同轴连接器插头及其制造方法
US8137134B1 (en)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an insulating member with a bendable section with a pair of projections
US11031712B2 (en) Connector for a printed circuit board equipped with an 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line conducting enclosure
JP2017501643A (ja) アンテナ・システムにおけるダイポール据付け
US20090186491A1 (en) Series unit
KR102413917B1 (ko) 동축 커넥터, 고주파 유닛 및 수신 장치
JP2009151985A (ja) L型同軸プラグ
JP2015130266A (ja) 同軸コネクタ装置
US9515422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integrated impedance equalisation element
US20080045043A1 (en) Right Angle Coaxial Connector Mountable on Pcb
JP4292683B2 (ja) 電子機器及びコネクタ
US9293864B2 (en) Shunt for electrical connector
JP6681655B2 (ja) 同軸コネクタ
JPH05144488A (ja) 同軸ケーブル用接続端子
KR100993490B1 (ko)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
US20230335948A1 (en) Connector
KR20240066999A (ko) 커넥터 장치
JP2002117949A (ja) 高周波同軸コネクタの取付装置
CN111740263A (zh) 同轴电缆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