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3490B1 -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 - Google Patents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3490B1
KR100993490B1 KR1020080070143A KR20080070143A KR100993490B1 KR 100993490 B1 KR100993490 B1 KR 100993490B1 KR 1020080070143 A KR1020080070143 A KR 1020080070143A KR 20080070143 A KR20080070143 A KR 20080070143A KR 100993490 B1 KR100993490 B1 KR 100993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housing
antenna
removable antenna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0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8737A (ko
Inventor
박승교
김경훈
윤석주
김찬국
Original Assignee
김경훈
주식회사 메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훈, 주식회사 메닉스 filed Critical 김경훈
Publication of KR20100008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42Rigid mas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n a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이 단말기와 착탈식 안테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급전부로 이루어져 착탈식 안테나의 플러그가 하우징에 삽입되어 전기 접촉 및 고정됨으로써 착탈식 안테나와의 체결구조가 단순해지며 강도가 향상된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에 설치되되, 원통형의 플러그, 플러그의 일단에 결합된 스타일러스부 및 플러그의 타단에 결합된 안테나부를 포함하는 착탈식 안테나가 장착되어 단말기와 착탈식 안테나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에 있어서, 일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중공형의 도전체로 이루어지되, 상부에는 축방향과 축수직방향으로 교차 절개된 슬롯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단말기의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를 개시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착탈식 안테나와의 체결구조가 단순해지며 하우징 내부의 공간이 확보되어 착탈식 안테나의 탈부착으로 인한 강도 저하가 방지된다.
단말기, 돌기, 접속 장치, 착탈식 안테나, 플러그, 하우징

Description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CONNECTOR DEVICE FOR REMOVABLE ANTENNA}
본 발명은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이 단말기와 착탈식 안테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급전부로 이루어져 착탈식 안테나의 플러그가 하우징에 삽입되어 전기 접촉 및 고정됨으로써 착탈식 안테나와의 체결구조가 단순해지며 강도가 향상된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착탈식 안테나(Removable Antenna)는 단부에 연결된 동축 커넥터(Coaxial Connector)를 매개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ting) 등의 시청을 위해 단말기에 장착되어 전파를 수신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단말기에는 착탈식 안테나의 장착을 위한 접속 장치가 설치되며, 통상적으로 접속 장치는 외부 하우징과, 착탈식 안테나의 고정을 위한 탄성부재와, 착탈식 안테나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담당하는 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접속 장치는 단말기의 인쇄 회로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에 납땜되어 핀부와 단말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술한 종래의 접속 장치는 착탈식 안테나가 외부에서 장착 및 탈착되는 구 조로서, 지렛대의 원리와 마찬가지로 착탈식 안테나가 접속 장치에 큰 힘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접속 장치는 착탈식 안테나의 잦은 착탈로 인하여 납땜부가 손상되어 단말기로부터 이탈되거나, 외부 하우징 또는 탄성부재의 입구가 부러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상술한 접속 장치는 착탈식 안테나의 플러그와 접속을 위하여 외부 하우징 내부에 탄성 부재 및 핀부 등을 포함하기 때문에 구조상 외부 하우징 내부의 공간 사용에 제약이 있다. 즉, 종래의 접속 장치는 구조상 내부 공간이 착탈식 안테나의 잦은 착탈로 인한 강도의 저하로 탄성 부재 및 핀부 등의 부품에 손상을 입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 부재에 의해 압입되는 착탈식 안테나의 플러그 하우징이 변형되는 등의 진행성 불량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하우징이 단말기와 착탈식 안테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급전부로 이루어져 착탈식 안테나의 플러그가 하우징에 삽입되어 전기 접촉 및 고정됨으로써 착탈식 안테나와의 체결구조가 단순해지며 강도가 향상된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단말기에 설치되되, 플러그 및 상기 플러그의 일단에 결합된 안테나부를 포함하는 착탈식 안테나가 장착되어 상기 단말기와 상기 착탈식 안테나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에 있어서, 일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중공형의 도전체로 이루어지되, 상부에는 축방향과 축수직방향으로 교차 절개된 슬롯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단말기의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삽입 고정되되, 축방향의 절개부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가 내삽되는 플러그 접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슬롯부 중 축수직방향에 형성된 슬롯부의 양단에 대응하는 상기 플러그 접속부 외주에는 엠보턱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 내부에 삽입 고정되되, 축방향의 절개부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가 내삽되는 플러그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슬롯부는 절개부가 T형 또는 H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롯부는 오무림 가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에 설치되되, 원통형의 플러그, 상기 플러그의 일단에 결합된 스타일러스부 및 상기 플러그의 타단에 결합된 안테나부를 포함하는 착탈식 안테나가 장착되어 상기 단말기와 상기 착탈식 안테나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에 있어서, 일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중공형의 도전체로 이루어지되, 하부에 상기 단말기의 인쇄회로기판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플러그가 내삽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삽입 고정되되, 등 간격으로 이격되는 다수의 절개홈이 형성된 중공형의 도전체로 이루어지고 중심부가 내부로 절곡된 탄성부 및 축방향의 절개부가 형성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탄성부의 중심부를 감싸는 탄성링을 갖는 플러그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는 하우징이 단말기와 착탈식 안 테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급전부로 이루어짐으로써 체결 구조가 단순해지고 부품 단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착탈식 안테나와의 단순한 체결구조로 인하여 하우징 내부의 공간이 확보되므로 착탈식 안테나의 탈부착에 따라 강도가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다수의 돌기를 통해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하우징과 단말기 사이의 체결 강도가 향상된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동축 커넥터 연결 구조에 비하여 하우징의 내부 공간이 더 확보되며, 플러그와의 단순한 접촉만으로도 전기적으로 연결이 가능해지므로 잦은 착탈로 인해 접속 장치의 내부 강도가 저하되거나, 플러그의 압입으로 인하여 착탈식 안테나로부터 플러그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동축 커넥터 접속 구조와 동일한 외형을 유지한 상태에서 착탈식 안테나가 장착되기 때문에 하우징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안테나의 플러그가 하우징과의 단순한 접촉을 통해 전기 접속되어 펜 겸용 착탈식 안테나 등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와 체결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 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에 착탈식 안테나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부분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의 결합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의 하우징을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1)는 착탈식 안테나(2)의 장착을 위해 단말기(3)에 고정된다.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1)는 인쇄회로기판(3a)을 매개로 하여 단말기(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장착된 착탈식 안테나(2)를 통해 수신된 전기 신호를 단말기(3)로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1)는 도전체로 이루어진 하우징(100) 및 플러그 접속부(200)를 포함하여 착탈식 안테나(2)를 플러그 접속부(200) 내부에 전기 접속 시킨다. 착탈식 안테나(2)는 도전성의 플러그(2a)와 플러그(2a)의 일단에 고정되어 회동하는 힌지모듈(2b)과 힌지모듈(2b)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부(2c)를 포함한다. 착탈식 안테나(2)는 단말기(3)가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진 경우 플러그(2a)의 타단에 스타일러스부(2d)가 형성된 펜 겸용 착탈식 안테나일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착탈식 안테나(2)는 플러그(2a)가 원통형의 기둥으로 이루어지므로 플러그 접속부(200)와의 단순한 접촉을 통해 전기 접속이 가능하며, 플러그 접속부(200)가 삽입되는 하우징(100)은 그 자체가 단말기(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종래 동축 커넥터를 포함한 연결 구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체결 구조가 단순해진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부품의 강도가 향상되며 조립이 간편하고 부품 단가가 절감된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1)는 중공형의 도전체로 이루어진 하우징(100) 및 하우징(100) 내부에 삽입되는 중공형의 플러그 접속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중공형의 도전체로, 일단(100a)에 개구부(100h)가 형성되며, 상부(100u)에는 슬롯부(110)가 형성되며 하부(100d)에는 인쇄회로기판(3a)에 납땜되는 다수의 돌기(120)가 형성된다. 이때, 하우징(100)의 개구부(100h)는 대략 원형으로 이루어져 외부로부터 착탈식 안테나(2)의 플러그(2a)가 장착된다. 돌기(120)는 인쇄회로기판(3a)에 납땜되어 단말기(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하우징(100)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므로 착탈식 안테나(2)는 하우징(100)을 통해 단말기(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100)의 하부(100d) 전 면적에 걸쳐 돌기(120)가 골고루 형성되므로, 하우징(100)이 인쇄회로기판(3a)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의 슬롯부(110)는 하우징(100)의 일단(100a)으로부터 축방 향(A)으로 절개된 제1슬롯부(110a) 및 축방향(A)과 교차되는 축수직방향(B)으로 절개된 제2슬롯부(110b)를 포함한다. 여기서, 축방향(A)은 플러그(2a)가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1)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이해하기로 한다. 제1슬롯부(110a)는 하우징(100)의 개구부(100h)로부터 중앙부를 향해 절개되고, 제2슬롯부(110b)는 중앙부에 형성된 제1슬롯부(110a)의 단부와 교차되도록 축수직방향(B)으로 절개된다. 하우징(100)의 슬롯부(110)는 플러그(2a)의 내삽에 따라 벌어졌다가 다시 오무림되는 탄성 부재일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된 부분이 대략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플러그(2a)가 하우징(100)의 개구부(100h)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직경인 경우 슬롯부(110)는 오무림 가공되지 않을 수 있다. 슬롯부(110)의 오무림 가공은 'T'자 형상으로 절개 후 절개된 부분의 압입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열처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100)은 인청동 또는 열처리 후 탄성을 갖는 베릴륨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하우징(100)의 재질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플러그 접속부(200)는 하우징(100)에 삽입 고정된 것으로, 중공형의 원통형 도전체로 이루어지고 축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절개부(210)를 포함한다. 플러그 접속부(200)는 하우징(100) 내부에 탄력적으로 고정되며, 플러그(2a)가 내부에 삽입되어 착탈식 안테나(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플러그 접속부(200)는 하우징(110)의 슬롯부(110) 중 제2슬롯부(110b)의 양단에 대응하는 외주에 형성된 엠보턱(220)을 더 포함한다. 엠보턱(220)은 플러그 접속부(200)가 하우징(100) 내부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1)에 신뢰성을 더할 수 있다. 플러그 접속부(200)는 플러그(2a)의 삽입을 안내하며, 슬롯부(110)가 형성된 하우징(100)에 이물질이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플러그 접속부(200)는 하우징(100) 외부를 테이프 부재(미도시) 또는 보호커버(미도시)로 감싸도록 설치하는 것으로 대신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100)이 단말기(3)와 착탈식 안테나(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급전부로 이루어짐으로써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1)와 착탈식 안테나(2)의 체결 구조가 단순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1)는 플러그(2a)를 하우징(100)에 삽입 고정 및 전기 접속시킬 수 있다.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1)는 종래 동축 커넥터 연결 구조에 비하여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이 더 확보되며, 플러그(2a)와의 단순한 접촉만으로도 전기적으로 연결이 가능해지므로 잦은 착탈로 인해 접속 장치의 내부 강도가 저하되거나, 플러그(2a)의 압입으로 인하여 착탈식 안테나(2)로부터 플러그(2a)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체결 구조가 단순해지는 만큼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1) 및 착탈식 안테나(2)의 부품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를 나타 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11)는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100) 및 플러그 접속부(1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우징(1100)은 상부(1100u)에 대략 'H'자 형상으로 절개된 슬롯부(1110)를 포함한다. 슬롯부(1110)는 축방향(A)으로 절개된 제1슬롯부(1110a) 및 축수직방향(B)으로 서로 이격되어 제1슬롯부(1110a)에 교차하는 제2슬롯부(1110b)를 포함한다. 슬롯부(1110)는 하우징(1100)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되며 오무림 가공을 통해 플러그 접속부(1200)와 착탈식 안테나(2)를 탄력적으로 고정한다. 한편, 하우징(1100)의 하부(1100d)에는 단말기(3)의 인쇄회로기판(3a)에 납땜되는 다수의 돌기(1120)가 형성되어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11)가 인쇄회로기판(3a)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플러그 접속부(1200)는 도 1 내지 도 4의 플러그 접속부(120)와 동일한 원통형 도전체로 이루어지며, 축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절개부(1210)와 제2슬롯부(1110b)에 걸쳐지도록 외주면에 형성된 엠보턱(1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 밖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미설명된 부분은 도 1 내지 도 4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100)에 오무림 가공된 슬롯부(1110)를 포함하여 플러그(2a)가 하우징(1100)에 탄력적으로 전기 접촉된다. 즉, 하우징(1100)의 중앙부에 형성된 슬롯부(1110)가 오무림 가공되며, 오무림 된 중앙부는 슬롯부(1110)에 비해 직경이 큰 플러그(2a)에 의해 강제 벌림되어 플러 그(2a)가 장착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11)는 플러그(2a)의 직경이 하우징(1100)의 개구부(1100h)의 직경 보다 작은 경우에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 밖의 기본적인 작용은 도 1 내지 도4의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1)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21)는 도전체로 이루어진 하우징(2100) 및 하우징(2100)에 삽입 고정되는 플러그 접속부(2200)를 포함한다. 하우징(2100)은 일단(2100a)에 개구부(2100h)가 형성된 중공형으로 이루어지며, 하부(2100d)에는 단말기(3)의 인쇄회로기판(3a)에 납땜되는 다수의 돌기(2120)가 형성된다. 플러그 접속부(2200)는 하우징(2100)에 삽입되어 플러그(2a)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되, 탄성부(2221) 및 탄성링(2222)을 포함하여 플러그(2a)가 하우징(2100)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한다. 탄성부(2221)는 등 간격으로 이격되는 다수의 절개홈(2221s)이 형성된 중공형의 도전체로, 중심부(2221c)가 내부로 절곡되어, 착탈식 안테나(2)의 플러그(2a)가 중심부(2221c)에 전기 접촉된다. 탄성링(2222)은 축방향의 절개부가 형성된 원통형으로 탄성부(2221)의 중심부(2221c)를 감싸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21)는 하우징(2100)의 타단(2100b)에 탄성부(2221)의 단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고정캡(2230)을 더 포함한다. 고정캡(2230)은 개방된 하우징(2100)으로부터 탄성부(2221)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여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21)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21)는 종래의 동축 커넥터 접속 구조와 동일한 외형을 유지한 상태에서 착탈식 안테나(2)와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21)를 단순한 접촉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즉, 플러그가 탄성부(2221)에 삽입 및 접촉되는 구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가 탈부착될 수 있으며, 플러그(2a)의 전단부에 스타일러스부(2d)가 연결된 형태의 펜 겸용 착탈식 안테나 또한 간편한 체결 구조를 갖는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21) 통해 단말기(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특허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에 착탈식 안테나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 중 하우징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의 결합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의 결합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1, 21 :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 2 : 착탈식 안테나
2a : 플러그 3 : 단말기
3a : 인쇄회로기판 100, 1100, 2100 : 하우징
110, 1110 : 슬롯부 120, 1120, 2120 : 돌기
200, 1200, 2200 : 플러그 접속부 220, 1220 : 엠보턱

Claims (6)

  1. 삭제
  2. 단말기에 설치되되, 플러그 및 상기 플러그의 일단에 결합된 안테나부를 포함하는 착탈식 안테나가 장착되어 상기 단말기와 상기 착탈식 안테나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에 있어서,
    일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중공형의 도전체로 이루어지되, 상부에는 축방향과 축수직방향으로 교차 절개된 슬롯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단말기의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삽입 고정되되, 축방향의 절개부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가 내삽되는 플러그 접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슬롯부 중 축수직방향에 형성된 슬롯부의 양단에 대응하는 상기 플러그 접속부 외주에는 엠보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슬롯부는 절개부가 T형 또는 H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부는 오무림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
  5. 삭제
  6. 단말기에 설치되되, 원통형의 플러그, 상기 플러그의 일단에 결합된 스타일러스부 및 상기 플러그의 타단에 결합된 안테나부를 포함하는 착탈식 안테나가 장착되어 상기 단말기와 상기 착탈식 안테나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에 있어서,
    일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중공형의 도전체로 이루어지되, 하부에 상기 단말기의 인쇄회로기판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플러그가 내삽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삽입 고정되되, 등 간격으로 이격되는 다수의 절개홈이 형성된 중공형의 도전체로 이루어지고 중심부가 내부로 절곡된 탄성부 및 축방향의 절개부가 형성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탄성부의 중심부를 감싸는 탄성링을 갖는 플러그 접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
KR1020080070143A 2008-07-16 2008-07-18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 KR1009934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69325 2008-07-16
KR1020080069325 2008-07-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737A KR20100008737A (ko) 2010-01-26
KR100993490B1 true KR100993490B1 (ko) 2010-11-11

Family

ID=41817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0143A KR100993490B1 (ko) 2008-07-16 2008-07-18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34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84998B (zh) * 2019-02-15 2022-01-14 神讯电脑(昆山)有限公司 电子装置的外部天线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3709A (ja) 2003-04-01 2004-10-28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アンテナ用同軸コネクタ
KR200434447Y1 (ko) 2006-08-31 2006-12-21 김장수 이동통신 단말기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3709A (ja) 2003-04-01 2004-10-28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アンテナ用同軸コネクタ
KR200434447Y1 (ko) 2006-08-31 2006-12-21 김장수 이동통신 단말기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737A (ko) 2010-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5467B2 (en) Connector device
KR101375039B1 (ko) 동축 커넥터 장치
CN104505642B (zh) 插头电连接器
US7614899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20060252310A1 (en) Electrical connector
US20130115810A1 (en) Coaxial connector plug
JPH06314580A (ja) 二基板接続用同軸コネクタ
JP2012230820A (ja) 同軸型電気コネクタ
US6390840B1 (en) Auto termination PCB mount connector
JP2007157594A (ja) コネクタ
EP1003248A3 (en) Angled coaxial connector module
JP2002134239A (ja) ジャック
KR101344933B1 (ko) 커넥터 조립체
US6473045B1 (en) Coaxial connector assembly and antenna assembly having a switching function
US6435892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supporting mechanism
US8814594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rotation prevention function
JP2008243703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を備える携帯端末
US7114957B2 (en) Micro-plug and socket connector
JP2005116447A (ja) コネクタおよび電子機器
KR100646826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dmb수신안테나용 동축커넥터
KR100993490B1 (ko) 착탈식 안테나용 접속 장치
JP5473758B2 (ja) コネクタ
US7575466B2 (en) Electrical connector
JP2013089342A (ja) コネクタ装置
JP2015076186A (ja) 同軸型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