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2600B1 - 발광 소자 및 발광 모듈 - Google Patents

발광 소자 및 발광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2600B1
KR102412600B1 KR1020150095455A KR20150095455A KR102412600B1 KR 102412600 B1 KR102412600 B1 KR 102412600B1 KR 1020150095455 A KR1020150095455 A KR 1020150095455A KR 20150095455 A KR20150095455 A KR 20150095455A KR 102412600 B1 KR102412600 B1 KR 102412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support member
electrode
disposed
c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5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4724A (ko
Inventor
슈헤이 마츠다
Original Assignee
쑤저우 레킨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쑤저우 레킨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쑤저우 레킨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150095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600B1/ko
Priority to PCT/KR2016/007111 priority patent/WO2017007181A1/ko
Priority to US15/740,388 priority patent/US10270006B2/en
Publication of KR20170004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16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the devices being of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forming hybrid circuits
    • H01L25/167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the devices being of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forming hybrid circuits comprising optoelectronic devices, e.g. LED, photodi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36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8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 H01L33/60Reflec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6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emiconductor body, e.g. lead-frames, wire-bonds or solder ba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64Heat extraction or cool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64Heat extraction or cooling elements
    • H01L33/642Heat extraction or cooling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64Heat extraction or cooling elements
    • H01L33/647Heat extraction or cooling elements the element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emiconductor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05Connecting bonding areas at different heights
    • H01L2224/48106Connecting bonding areas at different heights the connector being orthogonal to a sid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parallel layo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2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01L2224/4822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14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the subject-matter covered by the group, the symbol of which is combined with the symbol of this group, being disclosed without further technical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1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20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to light source life; for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는, 하부에 제1전극 및 제2전극을 갖고 광을 방출하는 발광 칩; 상기 발광 칩 아래에 복수의 비아 전극을 갖는 세라믹 재질의 제1지지 부재; 상기 제1지지 부재의 아래에 복수의 리드 전극을 갖는 제2지지 부재; 상기 복수의 리드 전극 사이에 배치된 보호 칩; 및 상기 발광 칩의 둘레에 배치된 반사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발광 소자 및 발광 모듈{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ING MODULE HAVING THEREOF}
실시 예는 발광 소자 및 이를 구비한 발광 모듈에 관한 것이다.
발광 소자, 예컨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evice)는 전기 에너지를 빛으로 변환하는 반도체 소자의 일종으로, 기존의 형광등, 백열등을 대체하여 차세대 광원으로서 각광받고 있다.
발광 다이오드는 반도체 소자를 이용하여 빛을 생성하므로, 텅스텐을 가열하여 빛을 생성하는 백열등이나, 또는 고압 방전을 통해 생성된 자외선을 형광체에 충돌시켜 빛을 생성하는 형광등에 비해 매우 낮은 전력만을 소모한다.
발광 다이오드는 실내 및 실외에서 사용되는 각종 램프, 액정표시장치, 전광판, 가로등, 지시등과 같은 조명 장치의 광원으로서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실시 예는 새로운 방열 구조를 갖는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실시 예는 발광 칩 아래에 이종의 지지부재를 갖는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실시 예는 발광 칩 아래에 세라믹 재질의 제1지지 부재와 리드 전극을 갖는 제2지지부재가 적층된 발광 소자 및 이를 구비한 발광 모듈을 제공한다.
실시 예는 발광 칩 아래에서 세라믹 기판의 상면 또는 하면에 리드 전극들 사이에 보호 칩을 구비한 발광 소자 및 이를 구비한 발광 모듈을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는, 하부에 제1전극 및 제2전극을 갖고 광을 방출하는 발광 칩; 상기 발광 칩 아래에 복수의 비아 전극을 갖는 세라믹 재질의 제1지지 부재; 상기 제1지지 부재의 아래에 복수의 리드 전극을 갖는 제2지지 부재; 상기 복수의 리드 전극 사이에 배치된 보호 칩; 및 상기 발광 칩의 둘레에 배치된 반사 부재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는, 하부에 제1전극 및 제2전극을 갖고 광을 방출하는 발광 칩; 상기 발광 칩 아래에 복수의 비아 전극을 갖는 세라믹 재질의 제1지지 부재; 상기 제1지지 부재와 상기 발광 칩 사이에 복수의 리드 전극을 갖는 제2지지 부재; 상기 복수의 리드 전극 사이에 배치된 보호 칩; 및 상기 발광 칩의 둘레 및 상기 제2지지 부재 상에 배치된 반사 부재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발광 모듈은, 상기의 발광 소자; 상기 발광 소자 아래에 제 1및 제2전극 패드를 갖는 회로 기판; 및 상기 회로 기판과 상기 발광 소자 사이에 배치된 접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 소자의 제1 및 제2리드 전극은 상기 접합 부재에 의해 상기 회로 기판의 제1 및 제2전극 패드에 연결된다.
실시 예는 플립 형태의 발광 칩 아래에 보호 칩을 갖는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실시 예는 발광 칩 아래에 세라믹 기판의 상면 및 하면에 보호 칩을 배치함으로써, 발광 소자의 두께를 감소시켜 줄 수 있다.
실시 예는 방열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실시 예는 발광 소자 내의 발광 칩에 걸리는 열 응력을 줄여줄 수 있다.
실시 예는 광 추출 효율이 개선된 발광 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 예는 발광 소자 및 이를 구비한 발광 모듈의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제1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를 나타낸 측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발광 소자의 저 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발광 소자의 변형 예이다.
도 4는 제2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측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발광 소자의 변형 예이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를 갖는 발광 모듈의 측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발광 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의 (a)(b)는 실시 예 및 비교 예에 따른 발광 소자에서 발광 칩에 걸리는 응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의 (a)(b)는 실시 예 및 비교 예에 따른 발광 소자에서 발광 소자 아래의 접합 부재에 걸리는 응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에 있어서, 세라믹 층의 두께에 따른 열 저항 값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에 있어서, 지지 기판의 두께와 리드 프레임의 두께의 비율에 따른 열 저항 값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실시 예에 따른 비교 예와 본 발명의 지지 부재의 두께에 따라 열 저항 값 및 열 저항의 저감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은 첨부된 도면 및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실시 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on)"와 "하/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의 전체에 걸쳐,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지칭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제1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를 나타낸 측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발광 소자의 저 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발광 소자(10)는 발광 칩(11)과, 상기 발광 칩(11)의 아래에 복수의 비아 전극(31,33)을 갖는 제1지지 부재(30)와, 상기 제1지지 부재(30) 아래에 복수의 리드 전극(41,43)을 갖는 제2지지 부재(40)와, 상기 제2지지 부재(40) 내의 복수의 리드 전극(41,43) 사이에 배치된 보호 칩(51)과, 상기 발광 칩(11)의 둘레에 배치된 반사 부재(71)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 소자(10)는 청색, 녹색, 적색, 또는 백색 광 중 적어도 하나를 방출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10)는 상기 발광 칩(11)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측면 누설을 방지하고 상면을 통해 방출시켜 줄 수 있다.
상기 발광 칩(11)은 가시광선 대역부터 자외선 대역의 범위 중에서 선택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칩(11)은, 예컨대 UV(Ultraviolet) LED, 적색 LED, 청색 LED, 녹색 LED, 엘로우 그린(yellow green) LED, 또는 백색 L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칩(11)은 칩 내의 두 전극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수평형 칩 구조, 또는 두 전극이 서로 반대측에 배치된 수직형 칩 구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칩(11)은 플립 칩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립 칩 방식의 발광 칩(11)은 하부에 두 전극(21,23)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발광 칩(11)의 상면은 광 추출을 위해 요철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요철 구조는 방출되는 광의 임계각을 변화시켜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철 구조는 형광체층(61)과의 접착 면적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칩(11)은 하부에 복수의 전극 예컨대, 제1전극(21) 및 제2전극(23)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전극(21) 및 제2전극(21,23)은 상기 발광 칩(11)의 하부에서 서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21) 및 제2전극(23)은, 금(Au), 니켈(Ni), 크롬(Cr), 탄탈늄(Ta), 백금(Pt), 주석(Sn), 은(Ag), 인(P), 티타늄(Ti), 팔라듐(Pd), 구리(Cu)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선택적인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21) 및 제2전극(23) 중 적어도 하나는 암(arm) 패턴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암 패턴은 전류를 확산시켜 줄 수 있다.
상기 발광 칩(11) 아래에는 지지 부재(13)가 배치된다. 상기 지지 부재(13)는 서로 다른 열 팽창 계수를 갖는 이종의 지지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13)는 상기 발광 칩(11)의 제1지지 부재(30) 및 상기 제1지지 부재(30) 아래에 제2지지 부재(40)를 포함한다. 상기 이종의 지지 부재는 어느 하나는 세라믹 재질이며, 다른 하나는 금속 지지 부재일 수 있다. 상기 이종의 지지 부재는 어느 하나는 발광 칩(11)에 인접하며, 다른 하나는 어느 하나의 지지 부재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지지 부재(30,40)은 서로 다른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 부재(30)는 비 금속 또는 세라믹 재질을 포함하며, 방열 기판 또는 세라믹 기판일 수 있다. 상기 제2지지 부재(40)는 수지 재질을 포함하며, 수지 기판 또는 절연 기판일 수 있다. 상기 제2지지 부재(40)는 보호 칩(51)이 제거된 경우, 상기 보호 칩(51)을 밀봉하는 부재가 제거되므로, 리드 전극(41,43)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제1지지 부재(30)는 수지 재질에 비해 열 전도도가 높고 열 저항이 낮은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제1지지 부재(30)는 예컨대, 실리콘(Si), 알루미늄(Al), 타이타늄(Ti), 지르코늄(Zr) 등과 같은 금속원소가 산소, 탄소, 질소 등과 결합하여 만든 산화물, 탄화물, 질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지지 부재(30)는 질화 알루미늄(AlN)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 부재(30)는 다른 예로서, 탄화규소(SiC), 알루미나(Al2O3), 산화지르코늄(ZrO2), 질화규소(Si3N4), 질소화붕소(BN)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열 전도율을 보면, AlN은 70~250W/mK, BN은 60-200W/mK, Si3N4은 60-90W/mK, Si는 150W/mK, SiC는 270W/mK, Al2O3 및 ZrO2는 20-30 W/mK일 수 있다. 상기 제1지지 부재(30)는 방열을 위해 열 전도율이 60W/mK 이상인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제1지지 부재(30)는 비아 전극(31,33)을 포함하며, 상기 비아 전극(31,33)은 상기 제1전극(21)에 연결된 제1비아 전극(31), 상기 제2전극(23)에 연결된 제2비아 전극(3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비아 전극(31,33)은 상기 제1지지 부재(30)의 두께(T1)와 동일한 높이이거나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비아 전극(31,33)은 전도성 재질 예컨대, 금속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비아 전극(31,33)은 티타늄(Ti), 팔라듐(Pd), 구리(Cu), 니켈(Ni), 금(Au), 크롬(Cr), 탄탈늄(Ta), 백금(Pt), 주석(Sn), 은(Ag), 인(P)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선택적인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 부재(30)의 하면에 제1 및 제2금속층(35,37)이 배치되며, 상기 제1금속층(35)은 상기 제1비아 전극(31)에 연결되며, 상기 제2금속층(37)은 상기 제2비아 전극(3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금속층(35)은 상기 제1비아 전극(31)과 오버랩(overlap)되며 상기 제1지지 부재(30)와 상기 제2지지 부재(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금속층(37)은 상기 제2비아 전극(33)과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며 상기 제1지지 부재(30)와 제2지지 부재(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금속층(35,37)은 상기 제1지지 부재(30) 또는 제2지지 부재(4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금속층(35,37)은 상기 제1 및 제2지지 부재(30,40) 사이에 별도의 구성 요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제2지지 부재(40)는 상기 제1지지 부재(30)의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제2지지 부재(40)는 상기 제1지지 부재(30)의 열 전도율보다 낮은 열 전도율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2지지 부재(40)의 두께는 상기 제1지지 부재(30)의 두께(T1)보다 얇을 수 있다.
상기 제2지지 부재(40)는 수지 재질 예컨대, 실리콘, 에폭시, FR(fluoro resins) 계열, CEM(Composite Epoxy Material) 계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 부재(40)는 열 전도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도성 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티렌테레프탈레이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티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등의 스티렌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락트산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 등의 비닐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설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수지; 알릴레이트계 수지; 또는 상기 수지들의 블렌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 부재(40) 내에는 제1 및 제2리드 전극(41,43)이 배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리드 전극(41,43)은 상기 제2지지 부재(40)에 포함되거나 별도의 금속 지지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제1리드 전극(41)은 상기 제1금속층(35)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제2리드 전극(43)은 상기 제2금속층(37)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리드 전극(41)은 상기 제1금속층(35)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비아 전극(31)을 통해 발광 칩(11)의 제1전극(2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리드 전극(43)은 상기 제2금속층(37)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2비아 전극(33)을 통해 발광 칩(11)의 제2전극(2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리드 전극(41) 및 상기 제2리드 전극(43)의 하면은 상기 제2지지 부재(40)의 하면보다 더 아래로 돌출되거나, 동일 수평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리드 전극(41,43)이 상기 제2지지 부재(40)의 하면 아래로 돌출될 경우, 솔더와 같은 접합 부재와의 접착력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리드 전극(41,43)의 두께(T2)는 상기 제2지지 부재(40)의 두께(T1)와 동일하거나 더 얇은 두께로 배치될 수 있어, 방열 효율을 개선시켜 줄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리드 전극(41,43)은 티타늄(Ti), 팔라듐(Pd), 구리(Cu), 니켈(Ni), 금(Au), 크롬(Cr), 탄탈늄(Ta), 백금(Pt), 주석(Sn), 은(Ag), 인(P)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선택적인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리드 전극은 예컨대,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2리드 전극(41,43)은 전원 공급과 더블어, 상기 제1지지 부재(30)로부터 전도된 열을 전도하거나 방열하게 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리드 전극(41,43)은 방열 표면적을 위해, 소정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리드 전극(41,43)의 두께(T2)는 상기 제1지지 부재(30)의 두께(T1)의 1/2 이상이거나 상기 제1지지 부재(30)의 두께(T1)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리드 전극(41,43)의 두께(T2)는 상기 보호 칩(51)의 두께와 상기 와이어(53)의 저점 높이를 합한 값보다 큰 값으로서, 0.15mm 이상 예컨대, 0.18mm 내지 0.3mm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리드 전극(41,43)의 두께(T2)가 상기 범위보다 작을 경우 상기 와이어(53)의 저점이 리드 전극(41,43)의 아래로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보다 두꺼운 경우 발광 소자(10)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지지 부재(13)의 두께(T1+T2)는 상기 제1지지 부재(30)과 리드 전극(41,43)의 두께 비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10은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에서, 상기 제1지지 부재(30)의 재질과 열 저항 값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에 도시된, 상기 제1지지 부재(30)는 세라믹 재질로서 AlN이며, 열 저항 값은 AlN의 두께가 0.2mm 까지는 감소하지만, 0.2mm±0.02mm을 초과할 경우 열 저항 값이 점차 증가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제1지지 부재(30)는 상기한 열 저항 값을 고려하여 0.2mm±0.02mm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두께 범위에 의해 열 저항 값을 낮추어 전 표면을 통해 열을 확산시켜 줄 수 있다.
도 11은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에서, 지지 부재(13)의 전체 두께(T1+T2)에 대한 리드 전극(41,43)의 두께(T2)의 비율에 따른 열 저항 값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보면, 도 1에 도시된 지지 부재(13)의 두께(T1+T2)에 대한 리드 전극(41,43)의 두께(T2)의 비율이 50%±10%의 비율일 때 열 저항 값이 가장 낮음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리드 전극(41,43)의 두께(T2)는 지지 부재(13)의 두께(T1+T2)의 40% 내지 60% 범위의 비율(T2/(T1+T2))로 형성할 경우, 발광 소자(10)의 열 저항 값은 낮아짐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비율은 지지 부재(13)의 두께(T1+T2)는 일정하게 하고, 상기 리드 전극(41,43)의 두께(T2)만을 변화시킨 것이다.
도 12는 실시 예에 따른 지지 부재의 전체 두께에 따른 비교 예와 실시 예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비교 예는 세라믹 기판(예: AlN)을 복수로 적층한 발광 소자로서, 세라믹 기판(AlN)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열 저항 값은 점차 증가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실시 예와 같이 제1지지 부재인 세라믹 기판(AlN)의 두께(T1)을 0.2mm±0.02mm로 고정한 경우, 열 저항 값의 증가는 비교 예보다 낮아짐을 알 수 있다. 즉, 제1지지 부재의 두께(T1)는 상기의 두께를 초과할 경우 열 저항 값이 다시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지지 부재와 리드 전극의 적층 구조를 제공한 것이다. 상기 리드 전극이 Cu인 경우로 실험하였다.
그리고, 실시 예의 지지 부재(13) 내의 두께 비율은 제1지지부재/리드 전극의 두께 비율로서, 예컨대, AlN/Cu의 비율이 40% 내지 55% 범위일 때 열 저항의 저감율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때의 지지 부재의 전체 두께(T1+T2)는 상기의 비율을 고려한 경우, 0.5mm 이하 예컨대, 0.36mm 내지 0.5mm 범위일 수 있다.
실시 예는 상기 제1 및 제2리드 전극(41,43)과 발광 칩(11) 사이에 세라믹 재질의 제1지지 부재(30)가 배치됨으로써, 회로 기판 상에 솔더와 같은 접합 부재가 접합될 때, 발광 칩(11)으로 전달되는 열 응력을 줄여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리드 전극(41,43)이 구리(Cu) 재질인 경우, 접합 부재와의 열 팽창 계수(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차이를 줄여줄 수 있어, 접합 부재의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 부재(40)는 보호 칩(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 칩(51)은 상기 제1 및 제2금속층(35,37) 중 적어도 하나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 칩(51)은 상기 제1 및 제2금속층(35,37)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호 칩(51)은 상기 제1금속층(35)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2금속층(37)과 와이어(53)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호 칩(51) 및 와이어(53)는 상기 제2지지 부재(40) 내에 밀봉됨으로써,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기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 2와 같이, 상기 제1리드 전극(41)에는 제1리세스(R1)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리드 전극(43)에는 제2리세스(R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리세스(R1)는 상기 제1 및 제2리드 전극(43) 사이의 갭(gap)으로부터 제1리드 전극(41) 방향 또는 상기 제2지지 부재(40)의 제1측면 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되며, 상기 제2리세스(R2)는 상기 제1 및 제2리드 전극(43) 사이의 갭으로부터 제2리드 전극(43) 방향 또는 상기 제2지지 부재(40)의 제2측면 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면 및 제2측면은 서로 반대측 측면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리세스(R1)에는 상기 제1금속층(35)이 배치되며, 상기 제2리세스(R2)에는 제2금속층(37)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리세스(R1)에는 상기 보호 칩(51)이 배치되며, 상기 제2리세스(R2)에는 상기 와이어(53)의 단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 칩(51) 및 와이어(53)는 상기 제 1 및 제2리세스(R1,R2) 내에서 상기 제1 및 제2금속층(37)에 연결되어, 상기 발광 칩(11)을 보호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보호 칩(51)은 제2리세스(R2)에 배치되고, 와이어(53)는 제1리세스(R1)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제1 및 제2리세스(R1,R2)는 상기 발광 소자(10)의 하부 센터 영역에 배치되거나, 센터 영역을 벗어난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제1 및 제2리세스(R1,R2)는 리드 전극(41,43)에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보호 칩(51)은 싸이리스터, 제너 다이오드, 또는 TVS(Transient voltage suppression)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보호 칩(51)은 상기 발광 칩(11)과 병렬 또는 역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호 칩(51)은 단 방향 다이오드 또는 양 방향 다이오드일 수 있다. 상기 보호 칩(51)은 상기 발광 칩(11)을 ESD(electro static discharge)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상기 보호 칩(51)의 어느 한 변의 길이는 상기 발광 칩(11)의 어느 한 변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보호 칩(51)의 두께는 상기 발광 칩(11)의 두께 및 상기 리드 전극(41,43)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10)는 형광체층(6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형광체층(61)은 상기 발광 칩(11)의 상면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형광체층(61)은 상기 발광 칩(11)의 상면 상에 접촉되거나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형광체층(61)은 상기 발광 칩(11)의 상면 및 측면 상에 접촉되거나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형광체층(61)의 너비 또는 상면 면적은 상기 발광 칩(11)의 너비 또는 상면 면적과 같거나 더 넓을 수 있다. 이러한 형광체층(61)이 상기 발광 칩(11)의 상면 전체를 커버하는 크기로 배치되므로, 상기 발광 칩(11)으로부터 방출된 광의 파장 변환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형광체층(61)은 상기 발광 칩(11)으로부터 방출된 일부 광을 파장 변환하게 된다. 상기 형광체층(61)은 실리콘 또는 에폭시 수지 내에 형광체를 포함하며, 상기 형광체는 적색 형광체, 녹색 형광체, 청색 형광체, 황색 형광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형광체는 예컨대, YAG, TAG, Silicate, Nitride, Oxy-nitride 계 물질 중에서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형광체층(61)의 너비는 상기 발광 칩(11)의 너비보다는 넓고 상기 제1 및 제2지지 부재(40)의 너비보다는 좁을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형광체층(61)의 상면은 볼록한 면, 오목한 면, 평탄한 면이거나, 또는 러프한 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칩(11)의 둘레에 반사 부재(71)가 배치된다. 상기 반사 부재(71)는 상기 발광 칩(11)의 외측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71)는 상기 지지 부재(13)의 외측 둘레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71)는 상기 제1지지 부재(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반사 부재(71)은 상기 발광 칩(11)의 외 측면을 밀봉함으로써, 습기 침투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71)는 발광 칩(11)의 하면 즉, 제1 및 제2전극(21,23)의 하면부터 상기 발광 칩(11)의 상면의 둘레까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71)는 상기 발광 소자(10)가 형광체층(61)을 구비한 경우, 상기 발광 칩(11)의 하면부터 상기 형광체층(61)의 상면 높이까지의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형광체층(61)의 상면은 상기 반사 부재(71)의 상면과 동일한 수평 면 상에 배치되거나 더 높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형광체층(61)은 제거되거나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반사 부재(71)는 발광 칩(11) 및 형광체층(61)의 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 칩(11) 및 상기 형광체층(61)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반사시켜 주어, 상기 형광체층(61)을 통해 광이 추출되도록 한다.
상기 반사 부재(71)는 비 금속 재질 또는 절연 재질을 포함하며, 예컨대 실리콘 또는 에폭시와 같은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71)는 내부에 상기 수지 재질의 굴절률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는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71)는 Al, Cr, Si, Ti, Zn, Zr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산화물, 질화물, 불화물, 황화물과 같은 화합물들 중 적어도 하나가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71)는 예컨대, TiO2, SiO2, Al2O3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71)의 두께는 상기 발광 칩(11) 및 형광체층(61)의 두께의 합과 같거나 더 얇을 수 있다. 이러한 반사 부재(71)의 크기에 따라 상기 발광 소자(10)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어, 이러한 발광 소자(10)의 두께는 얇은 두께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발광 소자의 다른 예이다. 도 4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과 동일한 구성은 도 1의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발광 소자는 발광 칩(11) 아래에 제1 및 제2지지 부재(30,40)가 배치되며, 상기 발광 칩(11)의 둘레에 반사 부재(7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 부재(40) 내에는 보호 칩(51)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보호 칩(51)은 제1 및 제2금속층(35,37) 아래에 플립 칩 형태로 탑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리드 전극(43) 간의 간격은 줄어들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제1 및 제2리세스(R1,R2)의 깊이가 줄어들 수 있어, 제 1 및 제2리드 전극(41,43)의 표면적이 도 1의 구조에 비해 증가될 수 있다.
도 4는 제2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를 나타낸 측 단면도이다. 상기 제2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실시 예와 동일한 부분은 제1실시 예의 구성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발광 소자(10)는 발광 칩(11)과, 상기 발광 칩(11)의 아래에 복수의 리드 전극(45,47)을 갖는 제2지지 부재(40A)와, 상기 제2지지 부재(40A) 아래에 복수의 비아 전극(31,33)을 갖는 제1지지 부재(30A)와, 상기 복수의 리드 전극(45,47) 사이에 배치된 보호 칩(51)과, 상기 발광 칩(11)의 둘레에 배치된 반사 부재(71)를 포함한다.
제2실시 예는 발광 칩(11)과 제1지지 부재(30A) 사이에 제2지지 부재(40A)를 배치한 구조이다. 이는 제1지지 부재(30A)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제2지지 부재(40A)를 배치하여, 발광 칩(11)으로 전달되는 열 응력에 의한 충격을 줄여줄 수 있다.
상기 제2지지 부재(40A)는 수지 재질 예컨대, 실리콘, 에폭시, FR(fluoro resins) 계열, CEM(Composite Epoxy Material) 계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 부재(40A)는 열 전도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도성 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티렌테레프탈레이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티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등의 스티렌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락트산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 등의 비닐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설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수지; 알릴레이트계 수지; 또는 상기 수지들의 블렌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 부재(40A) 내에는 제1 및 제2리드 전극(45,47)이 배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리드 전극(45,47)은 상기 제2지지 부재(40A)에 포함되거나 별도의 금속 지지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제1리드 전극(45)은 상기 제1전극(21)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제2리드 전극(47)은 상기 제2전극(23)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리드 전극(45,47)은 발광 칩(1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 부재(40A)의 아래에는 제1 및 제2금속층(42,44)이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금속층(42,44) 중 적어도 하나의 위에는 보호 칩(51)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 칩(51)은 상기 제1금속층(42) 상에 배치되고, 상기 보호 칩(51)에 연결된 와이어(53)는 제2금속층(4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호 칩(51)은 상기 복수의 리드 전극(45,47) 사이에 제2지지 부재(40A)로 밀봉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 칩(51)은 밀봉되며, 발광 칩(11)을 전기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보호 칩(51)을 제2지지 부재(40A) 내에 매립하게 됨으로써, 발광 소자의 크기를 줄여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보호 칩(51)은 상기 제1 및 제2금속층(42,44) 상에 플립 칩 형태로 탑재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보호 칩(51)은 싸이리스터, 제너 다이오드, 또는 TVS(Transient voltage suppression)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보호 칩(51)은 상기 발광 칩(11)과 병렬 또는 역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호 칩(51)은 단 방향 다이오드 또는 양 방향 다이오드일 수 있다. 상기 보호 칩(51)은 상기 발광 칩(11)을 ESD(electro static discharge)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리드 전극(45,47)의 두께(T2)는 상기 제2지지 부재(40A)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어, 방열 효율을 개선시켜 줄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리드 전극(45,47)은 티타늄(Ti), 팔라듐(Pd), 구리(Cu), 니켈(Ni), 금(Au), 크롬(Cr), 탄탈늄(Ta), 백금(Pt), 주석(Sn), 은(Ag), 인(P)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선택적인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리드 전극(45,47)은 예컨대,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 부재(40A) 아래에는 제1지지 부재(30A)가 배치된다. 상기 제1지지 부재(30A)는 수지 재질에 비해 열 전도도가 높고 열 저항이 낮은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제1지지 부재(30A)는 예컨대, 실리콘(Si), 알루미늄(Al), 타이타늄(Ti), 지르코늄(Zr) 등과 같은 금속원소가 산소, 탄소, 질소 등과 결합하여 만든 산화물, 탄화물, 질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지지 부재(30A)는 질화 알루미늄(AlN)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 부재(30A)는 다른 예로서, 탄화규소(SiC), 알루미나(Al2O3), 산화지르코늄(ZrO2), 질화규소(Si3N4), 질소화붕소(BN)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 부재(30A)는 비아 전극(32,34)을 포함하며, 상기 비아 전극(32,34)은 상기 제1전극(21)에 연결된 제1비아 전극(32), 상기 제2전극(23)에 연결된 제2비아 전극(34)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비아 전극(32,34)은 상기 제1지지 부재(30A)의 두께(T1)와 동일한 높이이거나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비아 전극(32,34)은 전도성 재질 예컨대, 금속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비아 전극(32,34)은 티타늄(Ti), 팔라듐(Pd), 구리(Cu), 니켈(Ni), 금(Au), 크롬(Cr), 탄탈늄(Ta), 백금(Pt), 주석(Sn), 은(Ag), 인(P)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선택적인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리드 전극(45,47)의 두께(T2)와 상기 제1지지 부재(30A)의 두께(T1)는 도 10 내지 도 12의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즉, 상기 제1지지 부재(30A)의 상면에 상기 리드 전극(45,47)을 적용하더라도, 상기의 두께(T1,T2)는 제1실시 예에 개시된 범위 내에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 부재(30A)의 하면에 제3 및 제4금속층(36,38)이 배치되며, 상기 제3금속층(36)은 상기 제1비아 전극(32)에 연결되며, 상기 제4금속층(38)은 상기 제2비아 전극(3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금속층(36)은 상기 제1비아 전극(32)과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며, 상기 제4금속층(38)은 상기 제2비아 전극(34)과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제3 및 제4금속층(36,38)은 상기 제2지지 부재(40)에 포함되거나, 별도의 본딩 패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제3 및 제4금속층(36,38)은 티타늄(Ti), 팔라듐(Pd), 구리(Cu), 니켈(Ni), 금(Au), 크롬(Cr), 탄탈늄(Ta), 백금(Pt), 주석(Sn), 은(Ag), 인(P)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선택적인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및 제4금속층(36,38)은 패드로서, 금(Au)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10)는 형광체층(6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형광체층(61)은 상기 발광 칩(11)의 상면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형광체층(61)은 상기 발광 칩(11)의 상면 상에 접촉되거나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형광체층(61)은 상기 발광 칩(11)의 상면 및 측면 상에 접촉되거나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형광체층(61)이 상기 발광 칩(11)의 상면 전체를 커버하는 크기로 배치되므로, 상기 발광 칩(11)으로부터 방출된 광의 파장 변환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형광체층(61)의 상면은 볼록한 면, 오목한 면, 평탄한 면이거나, 또는 러프한 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칩(11)의 둘레에 반사 부재(71)가 배치된다. 상기 반사 부재(71)는 상기 발광 칩(11)의 외측 둘레 및 상기 제2지지 부재(40A)의 외측 상면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칩(11)의 외 측면은 상기 반사 부재(71)의 양 측면 또는 모든 측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어, 습기 침투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71)는 발광 칩(11)의 하면 즉, 제1 및 제2전극(21,23)의 하면부터 상기 발광 칩(11)의 상면의 둘레까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71)는 상기 발광 소자(10)가 형광체층(61)을 구비한 경우, 상기 발광 칩(11)의 하면부터 상기 형광체층(61)의 상면 높이까지의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형광체층(61)의 상면은 상기 반사 부재(71)의 상면과 동일한 수평 면 상에 배치되거나 더 높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형광체층(61)은 제거되거나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반사 부재(71)는 상기 제2지지 부재(40A)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71)는 상기 제2지지 부재(40A)의 상면 외측과 상기 리드 전극(45,47)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사 부재(71)는 상기 반사 부재(71)과 제2지지 부재(40A) 사이의 계면으로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71)의 외 측면은 상기 제2지지 부재(40A)의 외 측면과 동일 수직 면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반사 부재(71)는 발광 칩(11) 및 형광체층(61)의 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 칩(11) 및 상기 형광체층(61)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반사시켜 주어, 상기 형광체층(61)을 통해 광이 추출되도록 한다.
상기 반사 부재(71)는 비 금속 재질 또는 절연 재질을 포함하며, 예컨대 실리콘 또는 에폭시와 같은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71)는 내부에 상기 수지 재질의 굴절률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는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71)는 Al, Cr, Si, Ti, Zn, Zr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산화물, 질화물, 불화물, 황화물과 같은 화합물들 중 적어도 하나가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71)는 예컨대, TiO2, SiO2, Al2O3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은 도 4의 발광 소자의 다른 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발광 소자는 발광 칩(11)의 제1 및 제2전극(21,23) 중 적어도 하나에 보호 칩(51)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호 칩(51)은 상기 제1전극(21)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2전극(23)과 와이어(53)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보호 칩(51)은 상기 제1 및 제2전극(21,23) 아래에 플립 칩 형태로 탑재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보호 칩(51) 및 와이어(53)는 제2지지 부재(40A) 내에 밀봉될 수 있다. 상기 보호 칩(51) 및 와이어(53)는 상기 제2지지 부재(40A) 내의 복수의 리드 전극(45,4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 칩(51)이 발광 칩(11)에 직접 연결됨으로써, 발광 칩(11)을 ESD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상기 보호 칩(51)의 탑재 공정이 용이할 수 있다. 즉, 발광 칩(11) 상에 보호 칩(51)을 탑재한 후 복수의 리드 전극(45,47) 사이에 삽입하고, 제2지지 부재(40A)를 몰딩할 수 있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를 갖는 발광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발광 모듈은 발광 소자(10)와, 상기 발광 소자(10) 아래에 회로 기판(111)과, 상기 회로 기판(111)과 상기 발광 소자(10) 사이에 제1 및 제2접합 부재(133,143)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 소자(10)는 실시 예에 개시된 발광 소자를 포함하며, 예컨대 제1 내지 제2실시 예에 개시된 발광 소자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10)는 하부에 배치된 제1 및 제2리드 전극(41,43)이 상기 회로 기판(111)의 제1 및 제2전극 패드(131,141)와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111)은 상기 제1 및 제2전극 패드(131,141)를 갖는 회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접합 부재(133)는 상기 제1리드 전극(41)과 상기 회로 기판(111)의 제1전극 패드(131)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리드 전극(41)과 제1전극 패드(131)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준다.
제2접합 부재(143)는 상기 제2리드 전극(43)과 상기 회로 기판(111)의 제2전극 패드(141)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리드 전극(43)과 상기 제2전극 패드(141)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준다.
상기 제1 및 제2접합 부재(133,143)는 솔더 페이스트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솔더 페이스트 재질은 금(Au), 주석(Sn), 납(Pb), 구리(Cu), 비스무트(Bi), 인듐(In), 은(Ag)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접합 부재(133,143)는 열 전달을 회로 기판(111)에 직접 전도하기 때문에 열 전도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접합 부재(133,143)는 다른 예로서, 전도성 필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도성 필름은 절연성 필름 내에 하나 이상의 도전성 입자를 포함한다. 상기 도전성 입자는 예컨대, 금속이나, 금속 합금, 탄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입자는 니켈, 은, 금, 알루미늄, 크롬, 구리 및 탄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필름은 이방성(Anisotropic) 전도 필름 또는 이방성 도전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10)와 상기 회로 기판(111) 사이에는 접착 부재 예컨대, 열전도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도성 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티렌테레프탈레이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티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등의 스티렌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락트산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 등의 비닐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설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수지; 알릴레이트계 수지; 또는 상기 수지들의 블렌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111)은 수지 재질의 PCB, 메탈 코어 PCB(MCPCB, Metal Core PCB), 연성 PCB(FPCB, Flexible PC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발광 소자(11)은 상기 회로 기판(111) 상에 복수개가 적어도 1열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8의 (a)(b)는 실시 예와 비교 예의 발광 소자에서 발광 칩(11)에 걸리는 응력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8의 (a)는 실시 예의 발광 소자로서, 발광 칩(11)에 걸리는 열 응력을 전 영역에 균일하게 분산시켜 줄 수 있다. 도 8의 (b)는 비교 예로서 발광 칩(11) 아래에 리드 프레임 만을 배치한 구조이며, 이러한 비교 예는 리드 프레임으로 전달되는 열 응력이 발광 칩(11)에 직접 전달됨으로써, 발광 칩(11)에 전달되는 열 응력은 실시 예에 비해 2배 이상 예컨대, 2.5배 이상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실시 예는 발광 칩(11)에 전달되는 열 응력을 제1지지 부재(30) 즉, 세라믹 재질의 기판이 차단하게 됨으로써, 제2지지 부재(40)의 전 영역에 균일하게 열 응력이 분산될 수 있다.
도 9의 (a)(b)는 실시 예와 비교 예의 발광 소자에서 접합 부재에 걸리는 열 응력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9의 (a)는 실시 예의 발광 소자로서, 접합 부재에 전달되는 열 응력이 열 팽창 계수가 유사한 제2지지 부재(40)의 복수의 리드 전극(41,43)의 두께에 의해 분산시켜 주어, 접합 부재에서의 열 응력을 낮추어 줄 수 있다. 또한 접합 부재의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의 (b)는 비교 예로서, 세라믹 기판을 복수로 적층한 구조이며, 이러한 복수의 세라믹 기판의 적층 구조는 접합 부재와의 열 팽창 계수의 차이가 있어, 접합 부재에 전달되는 열 응력을 낮출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접합 부재에 크랙이 발생되고, 이러한 접합 부재의 크랙은 발광 소자의 전기적 연결을 오픈시킬 수 있는 문제가 될 수 있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발광 칩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발광 칩(11)은 발광 구조물(225) 및 복수의 전극(21,23)을 포함한다. 상기 발광 구조물(225)은 II족 내지 VI족 원소의 화합물 반도체층 예컨대, III족-V족 원소의 화합물 반도체층 또는 II족-VI족 원소의 화합물 반도체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극(21,23)은 상기 발광 구조물(225)의 반도체층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발광 칩은 기판(2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221)은 상기 발광 구조물(225) 위에 배치된다. 상기 기판(221)은 예컨대, 투광성, 절연성 기판, 또는 전도성 기판일 수 있다. 상기 기판(221)은 예컨대, 사파이어(Al2O3), SiC, Si, GaAs, GaN, ZnO, Si, GaP, InP, Ge, Ga2O3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기판(221)의 탑 면 및 바닥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모두에는 복수의 볼록부(미도시)가 형성되어, 광 추출 효율을 개선시켜 줄 수 있다. 각 볼록부의 측 단면 형상은 반구형 형상, 반타원 형상, 또는 다각형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판(221)은 제거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발광 칩(11)은 상기 기판(221)과 상기 발광 구조물(225) 사이에 버퍼층(미도시) 및 언도프드 반도체층(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퍼층은 상기 기판(221)과 반도체층과의 격자 상수 차이를 완화시켜 주기 위한 층으로서, II족 내지 VI족 화합물 반도체 중에서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퍼층 아래에는 언도핑된 III족-V족 화합물 반도체층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기판(221)은 제거될 수 있다. 상기 기판(221)이 제거된 경우 형광체층(61)은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222)의 상면이나 다른 반도체층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발광 구조물(225)은 상기 기판(221) 아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도전형 반도체층(222), 활성층(223) 및 제2도전형 반도체층(224)을 포함한다. 상기 각 층(222,223,224)의 위 및 아래 중 적어도 하나에는 다른 반도체층이 더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222)은 기판(221) 아래에 배치되며, 제1도전형 도펀트가 도핑된 반도체 예컨대, n형 반도체층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222)은 InxAlyGa1-x-yN (0≤x≤1, 0≤y≤1, 0≤x+y≤1)의 조성식을 포함한다.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222)은 III족-V족 원소의 화합물 반도체 예컨대, GaN, AlN, AlGaN, InGaN, InN, InAlGaN, AlInN, AlGaAs, GaP, GaAs, GaAsP, AlGaInP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전형 도펀트는 n형 도펀트로서, Si, Ge, Sn, Se, Te 등과 같은 도펀트를 포함한다.
상기 활성층(223)은 제1도전형 반도체층(222) 아래에 배치되고, 단일 양자 우물, 다중 양자 우물(MQW), 양자 선(quantum wire) 구조 또는 양자 점(quantum dot) 구조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며, 우물층과 장벽층의 주기를 포함한다. 상기 우물층/장벽층의 주기는 예컨대, InGaN/GaN, GaN/AlGaN, AlGaN/AlGaN, InGaN/AlGaN, InGaN/InGaN, AlGaAs/GaA, InGaAs/GaAs, InGaP/GaP, AlInGaP/InGaP, InP/GaAs의 페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224)은 활성층(223)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224)은 제2도전형 도펀트가 도핑된 반도체 예컨대, InxAlyGa1-x-yN (0≤x≤1, 0≤y≤1, 0≤x+y≤1)의 조성식을 포함한다.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224)은, GaN, InN, AlN, InGaN, AlGaN, InAlGaN, AlInN, AlGaAs, GaP, GaAs, GaAsP, AlGaInP와 같은 화합물 반도체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224)이 p형 반도체층이고, 상기 제1도전형 도펀트는 p형 도펀트로서, Mg, Zn, Ca, Sr, B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구조물(225)은 다른 예로서,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222)이 p형 반도체층,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224)은 n형 반도체층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224) 아래에는 상기 제2도전형과 반대의 극성을 갖는 제3도전형 반도체층이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발광 구조물(225)은 n-p 접합 구조, p-n 접합 구조, n-p-n 접합 구조, p-n-p 접합 구조 중 어느 한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칩(11)은 하부에는 제1 및 제2전극(21,23)이 배치된다. 상기 제1전극(21)은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2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전극(23)은 제2도전형 반도체층(22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및 제2전극(21,23)은 바닥 형상이 다각형 또는 원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발광 칩(11)은 제1 및 제2전극층(241,242), 제3전극층(243), 절연층(231,23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전극층(241,242) 각각은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류 확산층으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전극층(241,242)은 상기 발광 구조물(225)의 아래에 배치된 제1전극층(241); 및 상기 제1전극층(241) 아래에 배치된 제2전극층(2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층(241)은 전류를 확산시켜 주게 되며, 상기 제2전극층(241)은 입사되는 광을 반사하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전극층(241,242)은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층(241)은 투광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금속 산화물 또는 금속 질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층(241)은 예컨대 ITO(indium tin oxide), ITON(ITO nitride), IZO(indium zinc oxide), IZON(IZO nitride), IZTO(indium zinc tin oxide), IAZO(indium aluminum zinc oxide), IGZO(indium gallium zinc oxide), IGTO(indium gallium tin oxide), AZO(aluminum zinc oxide), ATO(antimony tin oxide), GZO(gallium zinc oxide) 중에서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전극층(242)은 상기 제1전극층(241)의 하면과 접촉되며 반사 전극층으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제2전극층(242)은 금속 예컨대, Ag, Au 또는 Al를 포함한다. 상기 제2전극층(242)은 상기 제1전극층(241)이 일부 영역이 제거된 경우, 상기 발광 구조물(225)의 하면에 부분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1 및 제2전극층(241,242)의 구조는 무지향성 반사(ODR: Omni Directional Reflector layer) 구조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무지향성 반사 구조는 낮은 굴절률을 갖는 제1전극층(241)과, 상기 제1전극층(241)과 접촉된 고 반사 재질의 금속 재질인 제2전극층(242)의 적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층(241,242)은, 예컨대, ITO/Ag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전극층(241)과 제2전극층(242) 사이의 계면에서 전 방위 반사각을 개선시켜 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2전극층(242)은 제거될 수 있으며, 다른 재질의 반사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층은 분산형 브래그 반사(distributed bragg reflector: DBR)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분산형 브래그 반사 구조는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갖는 두 유전체층이 교대로 배치된 구조를 포함하며, 예컨대, SiO2층, Si3N4층, TiO2층, Al2O3층, 및 MgO층 중 서로 다른 어느 하나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전극층(241,242)은 분산형 브래그 반사 구조와 무지향성 반사 구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98% 이상의 광 반사율을 갖는 발광 칩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플립 방식으로 탑재된 발광 칩은 상기 제2전극층(242)로부터 반사된 광이 기판(221)을 통해 방출하게 되므로, 수직 상 방향으로 대부분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칩(11)의 측면으로 방출된 광은 실시 예에 따른 반사 부재에 의해 광 출사 영역으로 반사될 수 있다.
상기 제3전극층(243)은 상기 제2전극층(242)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전극층(241,242)과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상기 제3전극층(243)은 금속 예컨대, 티타늄(Ti), 구리(Cu), 니켈(Ni), 금(Au), 크롬(Cr), 탄탈늄(Ta), 백금(Pt), 주석(Sn), 은(Ag), 인(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3전극층(243) 아래에는 제1전극(21) 및 제2전극(23)가 배치된다.
상기 절연층(231,233)은 제1 및 제2전극층(241,242), 제3전극층(243), 제1 및 제2전극(21,23), 발광 구조물(225)의 층 간의 불필요한 접촉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절연층(231,233)은 제1 및 제2절연층(231,233)을 포함한다. 상기 제1절연층(231)은 상기 제3전극층(243)과 제2전극층(24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2절연층(233)은 상기 제3전극층(243)과 제1,2전극(21,23)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3전극층(243)은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222)과 연결된다. 상기 제3전극층(243)의 연결부(244)는 상기 제1, 2전극층(241, 242) 및 발광 구조물(225)의 하부를 통해 비아 구조로 돌출되며 제1도전형 반도체층(222)과 접촉된다. 상기 연결부(244)는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전극층(243)의 연결부(244)의 둘레에는 상기 제1절연층(231)의 일부(232)가 연장되어 제3전극층(243)과 상기 제1 및 제2전극층(241,242), 제2도전형 반도체층(224) 및 활성층(223)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차단한다. 상기 발광 구조물(225)의 측면에는 측면 보호를 위해 절연 층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제2전극(23)은 상기 제2절연층(233)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2절연층(233)의 오픈 영역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전극층(241, 242)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되거나 연결된다. 상기 제1전극(21)은 상기 제2절연층(233)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제2절연층(233)의 오픈 영역을 통해 상기 제3전극층(243)과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전극(23)의 돌기(248)는 제1,2전극층(241,242)을 통해 제2도전형 반도체층(22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전극(21)의 돌기(246)는 제3전극층(243)을 통해 제1도전형 반도체층(2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발광 소자 또는 발광 모듈은, 각 종 휴대 단말기, 노트북 컴퓨터의 모니터, 랩탑 컴퓨터의 모니터, TV와 같은 표시 장치에 적용되거나, 3차원 디스플레이, 각종 조명등, 신호등, 차량 전조등, 전광판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발광 소자 11: 발광 칩
21,23: 전극 30,30A: 제1지지 부재
31,32,33,34: 비아 전극 40,40A: 제2지지 부재
41,43,45,47: 리드 전극 51: 보호 칩
53: 와이어 61: 형광체층
71: 반사 부재

Claims (12)

  1. 하부에 제1전극 및 제2전극을 갖고 광을 방출하는 발광 칩;
    상기 발광 칩 아래에 배치되며 제1 및 제2 비아 전극을 갖는 세라믹 재질의 제1지지 부재;
    상기 제1지지 부재의 아래에 배치되며 제1 및 제2 리드 전극을 갖는 제2지지 부재;
    상기 제1 및 제2 리드 전극 사이에 배치된 보호 칩; 및
    상기 발광 칩의 둘레에 배치된 반사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 칩은 상기 제1지지부재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지지부재의 하면은 상기 제2지지부재의 상면보다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의 상면은 상기 발광 칩의 하면보다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제1비아 전극은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1리드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제2비아 전극은 상기 제2전극과 상기 제2리드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1리드 전극 및 상기 제2리드 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지지부재의 하면보다 더 아래로 돌출된 발광 소자.
  2. 하부에 제1전극 및 제2전극을 갖고 광을 방출하는 발광 칩;
    상기 발광 칩 아래에 배치되며 제1 및 제2비아 전극을 갖는 제1지지 부재;
    상기 제1지지 부재와 상기 발광 칩 사이에 배치되며 제1 및 제2 리드 전극을 갖는 제2지지 부재;
    상기 제1 및 제2 리드 전극 사이에 배치된 보호 칩; 및
    상기 발광 칩의 둘레 및 상기 제2지지 부재의 외측 상면 위에 배치된 반사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지지부재의 상면은 상기 발광 칩의 하면보다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제2지지부재의 하면은 상기 제1지지부재의 상면보다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1비아 전극은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1리드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제2비아 전극은 상기 제2전극과 상기 제2리드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발광 소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리드 전극의 두께는 상기 제1지지 부재의 두께의 1/2 이상이고 상기 제1지지 부재의 두께 이하의 범위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리드 전극은 상기 제1 및 제2리드 전극 사이의 갭으로부터 오목하게 함몰된 제1 및 제2리세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리세스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보호 칩이 배치되며,
    상기 보호 칩은 상기 발광 칩과 수직 방향으로 중첩되는 발광 소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비아 전극은 상기 제1전극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제2비아 전극은 상기 제2전극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1리드 전극 사이에서 상기 보호 칩과 상기 제1지지부재 사이로 연장되는 제1금속층; 및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리드 전극 사이에서 상기 제1금속층을 향해 연장되는 제2금속층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 부재는 수지 재질 또는 열 전도성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보호 칩을 밀봉하며,
    상기 발광 칩 상에 형광체층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형광체층의 둘레까지 배치되는 발광 소자.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50095455A 2015-07-03 2015-07-03 발광 소자 및 발광 모듈 KR102412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455A KR102412600B1 (ko) 2015-07-03 2015-07-03 발광 소자 및 발광 모듈
PCT/KR2016/007111 WO2017007181A1 (ko) 2015-07-03 2016-07-01 발광 소자 및 발광 모듈
US15/740,388 US10270006B2 (en) 2015-07-03 2016-07-01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455A KR102412600B1 (ko) 2015-07-03 2015-07-03 발광 소자 및 발광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724A KR20170004724A (ko) 2017-01-11
KR102412600B1 true KR102412600B1 (ko) 2022-06-23

Family

ID=57685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455A KR102412600B1 (ko) 2015-07-03 2015-07-03 발광 소자 및 발광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70006B2 (ko)
KR (1) KR102412600B1 (ko)
WO (1) WO20170071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63832B (zh) * 2019-04-30 2024-04-09 成都辰显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电子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6140A (ja) 1999-07-16 2001-02-09 Stanley Electric Co Ltd 静電対策表面実装型led
KR100638876B1 (ko) * 2005-07-22 2006-10-27 삼성전기주식회사 보호 소자의 배치 구성을 개선한 측면형 발광 다이오드
JP2008021987A (ja) 2006-06-16 2008-01-31 Shinko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基板
JP2010021400A (ja) 2008-07-11 2010-01-28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放熱特性に優れたプリント配線基板
JP2013122951A (ja) 2011-12-09 2013-06-20 Ngk Spark Plug Co Ltd 発光素子搭載用配線基板
JP2015043374A (ja) * 2013-08-26 2015-03-05 京セラ株式会社 発光素子搭載用部品および発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713B1 (ko) 2006-06-16 2013-10-07 신꼬오덴기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반도체 장치, 그 제조 방법, 및 기판
KR101891620B1 (ko) * 2011-09-22 2018-08-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한 라이트 유닛
KR102131853B1 (ko) * 2013-10-10 2020-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 어레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6140A (ja) 1999-07-16 2001-02-09 Stanley Electric Co Ltd 静電対策表面実装型led
KR100638876B1 (ko) * 2005-07-22 2006-10-27 삼성전기주식회사 보호 소자의 배치 구성을 개선한 측면형 발광 다이오드
JP2008021987A (ja) 2006-06-16 2008-01-31 Shinko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基板
JP2010021400A (ja) 2008-07-11 2010-01-28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放熱特性に優れたプリント配線基板
JP2013122951A (ja) 2011-12-09 2013-06-20 Ngk Spark Plug Co Ltd 発光素子搭載用配線基板
JP2015043374A (ja) * 2013-08-26 2015-03-05 京セラ株式会社 発光素子搭載用部品および発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07181A1 (ko) 2017-01-12
US20180190868A1 (en) 2018-07-05
KR20170004724A (ko) 2017-01-11
US10270006B2 (en) 201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0789B2 (en) Light emitt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ing module hav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JP5503572B2 (ja) 発光素子
KR102407329B1 (ko) 광원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장치
KR20140023512A (ko) 질화물 발광장치
US10199540B2 (en) Light emitting diode,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including same, and lighting system including same
KR102261956B1 (ko) 발광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라이트 유닛
KR20170114450A (ko) 발광 소자 및 이를 구비한 발광 모듈
US10811566B2 (en) Light emitting device, method for producing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module
KR102412600B1 (ko) 발광 소자 및 발광 모듈
US9660145B2 (en) Light emitting devic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having the same and light system having the same
KR101734541B1 (ko) 발광 소자, 발광 소자 패키지
KR101778157B1 (ko) 발광소자
KR101063907B1 (ko) 발광 소자
KR102251225B1 (ko) 광원 모듈
KR20160093311A (ko) 발광소자, 이를 포함하는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시스템
KR102426840B1 (ko) 발광 소자 및 발광 모듈
KR102509312B1 (ko) 발광 소자 패키지
KR102432215B1 (ko) 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장치
KR102486034B1 (ko) 발광소자 패키지 및 조명 장치
KR101866568B1 (ko) 발광소자 및 이를 구비한 라이트 유닛
KR20190095749A (ko) 반도체 소자 패키지
KR20160089068A (ko) 리드 프레임
KR20170054805A (ko) 발광소자 및 이를 구비한 발광 소자 패키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