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1167B1 - 맷돌형 분쇄기 - Google Patents

맷돌형 분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1167B1
KR102411167B1 KR1020210171244A KR20210171244A KR102411167B1 KR 102411167 B1 KR102411167 B1 KR 102411167B1 KR 1020210171244 A KR1020210171244 A KR 1020210171244A KR 20210171244 A KR20210171244 A KR 20210171244A KR 102411167 B1 KR102411167 B1 KR 102411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shaft
coffee beans
groove
gr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1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준
최민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프로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프로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프로토
Priority to KR1020210171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11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1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1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12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grinding discs
    • A47J42/14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grinding discs hand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12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grinding discs
    • A47J42/20Grinding disc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8Parts or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맷돌형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맷돌 구조를 통해 분쇄되는 커피 원두의 입자 크기를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는 맷돌형 분쇄기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은 상부의 중앙에 제1 축홈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커피 원두를 분쇄하면서 외부로 배출하는 분쇄홈을 포함하는 분쇄부가 마련되는 아랫돌과,
하부의 중앙에 제2 축홈이 형성되고,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블록아웃되도록 마련되어 커피 원두를 상기 분쇄부로 안내하는 투입구가 마련되며, 일측에는 손잡이부가 마련되는 윗돌과,
상기 제1 축홈과 상기 제2 축홈에 결합되면서 상기 윗돌이 상기 아랫돌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하면서 상기 윗돌을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중심축을 포함하는 맷돌형 분쇄기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Description

맷돌형 분쇄기{millstone-type grinder}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맷돌형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맷돌 구조를 통해 분쇄되는 커피 원두의 입자 크기를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는 맷돌형 분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로스팅된 커피 원두를 추출방식과 기구에 적합한 크기로 분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커피 원두 분쇄기이다. 분쇄되는 커피 원두의 입자 크기는 커피의 향미와 추출 수율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분쇄된 커피 원두의 입자 크기의 정도를 원두 분쇄도라고 한다. 분쇄된 커피 원두의 입자 크기가 에스프레소 추출방식에 적합할 정도로 작다면 원두 분쇄도가 가늘다라고 하며, 프렌치프레스 추출에 적합할 정도로 크다면 원두 분쇄도가 굵다라고 한다. 즉 분쇄된 커피 원두의 입자 크기가 클수록 분쇄도가 굵다고 하며, 작을수록 분쇄도가 가늘다라고 한다.
원두 분쇄도에 따라서 커피의 향미와 추출 수율이 달라지므로, 커피 원두를 크기별로 분쇄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107944호,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7-0123356호는 맷돌 구조를 통해 저속으로 커피 원두를 분쇄함으로써 소음 발생이 거의 없고 분쇄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작게 하여 분쇄하거나, 분쇄된 커피 원두가 수거되는 배출트레이에서 뜨거운 물을 부어 원두를 분쇄함과 동시에 커피를 드립추출할 수 있는 맷돌형 분쇄기를 개시하고 있다.
기존의 맷돌형 분쇄기는 맷돌형 분쇄기의 사용자가 원두의 분쇄도를 선택할 수 없어 커피 추출방식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없으므로, 원두의 분쇄도에 적합하지 않은 추출방식에 의하거나, 원하지 않는 원두 분쇄도에 의한 커피를 즐길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1.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07944호(2020.05.07. 공고) 2.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23356호(2017.11.08. 공개)
로스팅된 커피 원두를 일정한 크기로 분쇄하면서 분쇄되는 커피 원두의 입자 크기를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는 맷돌형 분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은 상부의 중앙에 제1 축홈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커피 원두를 분쇄하면서 외부로 배출하는 분쇄홈을 포함하는 분쇄부가 마련되는 아랫돌과,
하부의 중앙에 제2 축홈이 형성되고,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블록아웃되도록 마련되어 커피 원두를 상기 분쇄부로 안내하는 투입구가 마련되며, 일측에는 손잡이부가 마련되는 윗돌과,
상기 제1 축홈과 상기 제2 축홈에 결합되면서 상기 윗돌이 상기 아랫돌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하면서 상기 윗돌을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중심축을 포함하는 맷돌형 분쇄기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또한, 상기 아랫돌의 분쇄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단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턱부와 상기 분쇄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분쇄부에서 분쇄된 커피 원두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윗돌의 상부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홈을 관통하는 연장부가 마련되되, 상기 연장부의 단부는 수직으로 하향 연장되어 상기 수용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연장부가 회전하면서 상기 수용부로 배출된 상기 커피 원두를 이동시키고, 이동된 상기 커피 원두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홈이 상기 수용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랫돌의 하면에는 상기 아랫돌을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홈의 하부에는 분쇄되어 이동되는 상기 커피 원두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축은 상기 제1 축홈에 삽입되는 받침축과, 하부가 상기 받침축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부와 상부가 상기 제2 축홈에 결합되되, 외경이 상기 받침축보다 작게 형성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아랫돌과 상기 윗돌의 거리 거리를 조절하는 이격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맷돌형 분쇄기에 의하면, 커피 원두를 분쇄하면서 분쇄되는 커피 원두의 입자 크기를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맷돌형 분쇄기에 의하면, 맷돌형 분쇄기를 운반하기에 용이하고, 분쇄된 커피 원두를 한 곳에 수집하기가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맷돌형 분쇄기의사용상태도.
도 2는 도 1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1의 아랫돌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중심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의 무게추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맷돌형 분쇄기(1)는 아랫돌(100), 윗돌(200) 및 중심축(300)을 포함한다.
아랫돌(100)은 상부의 중앙에 제1 축홈(110)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커피 원두를 분쇄하면서 외부로 배출하는 분쇄홈(122)을 포함하는 분쇄부(120)가 마련된다.
아랫돌(100)은 석재를 소정의 형태로 깍아서 다듬거나, 소정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석분을 이용하여 형을 만든 후 이를 소결하여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절삭가공이 가능한 돌이나 세라믹 재료 등을 이용하여 성형될 수 있다. 기공이 많은 석재 등의 재료는 그 기공에 분쇄된 커피 원두 등이 들어간 후 배출이 되지 않고 안착하여 부패할 수 있으므로 비위생적인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아랫돌(100)의 재료는 기공이 작거나 없는 재료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랫돌(100)의 상부면은 커피 원두가 분쇄된 커피 분말이 원심력 및 중력에 의하여 외부로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상부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축홈(110)은 아랫돌(100) 상부의 중앙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고 중심축(300)의 하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공간이다. 제1 축홈(110)은 중심축(300) 하부에 대응되는 형상이 바람직하고, 중심축(300)은 제1 축홈(110)에 끼워맞춤(fits)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아랫돌(100)의 상면에는 커피 원두가 분쇄되면서 외부로 배출되는 분쇄홈(122)을 포함하는 분쇄부(120)가 마련된다. 아랫돌(100)의 상부에 해당되는 분쇄부(120)는 커피 원두를 분쇄시키는 분쇄홈(122)이 형성되고, 분쇄홈(122)에 의하여 분쇄된 커피 분말이 외부로 배출된다. 분쇄홈(122)은 분쇄부(120)의 상면에 직선으로 형성된 홈이며, 이러한 홈들은 분쇄부(120) 상면의 균등하게 분획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분획된 영역에 형성된 분쇄홈(122)은 빗살무늬 형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고, 다른 분획된 영역의 분쇄홈(122)에 대하여는 소정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커피 원두는 분쇄홈(122)을 타고 넘어가면서 다른 분쇄홈(122)으로 이동되는 반복과정을 통해 분쇄되고, 분쇄홈(122)의 규격보다 작은 크기로 분쇄된 커피 분말은 다른 분쇄홈(122)으로 넘어가지 않고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분쇄홈(122)의 폭과 깊이 등의 규격은 목적하는 커피 분말의 입자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비교적 큰 크기의 커피 분말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분쇄홈(122)의 규격을 크게 하여 형성하고, 비교적 작은 크기의 커피 분말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분쇄홈(122)의 규격을 작게 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동일한 규격으로 형성된 분쇄홈(122)은 커피 원두를 일정한 크기의 커피 분말로 분쇄하기에 효과적인바, 분쇄홈(122)들은 동일한 규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쇄부(120)는 아랫돌(100)의 상부에 탈착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분쇄부(120)의 하면에 돌기(도면 미도시)가 형성되고 분쇄부(120)의 하면과 접촉하는 아랫돌(100)의 상면에 홈(도면 미도시)이 형성됨으로써, 분쇄부(120)가 아랫돌(10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반대로 분쇄부(120)의 하면에 홈(도면 미도시)이 형성되고, 아랫돌(100)의 상면에 돌기(도면 미도시)가 형성됨으로써, 분쇄부(120)가 아랫돌(10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분쇄부(120)의 착탈이 가능한 구조는 다른 규격의 분쇄홈(122)이 형성된 분쇄부(120)의 교체를 통해 커피 분말을 여러 가지 크기로 분쇄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아랫돌(100)의 분쇄부(120)의 외주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단턱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단턱부(130)와 분쇄부(120)의 외주면에는 분쇄부(120)에서 분쇄된 커피 원두를 수용하는 수용부(140)가 마련될 수 있다. 단턱부(130)는 외부로 배출되는 커피 분말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용부(140)는 아랫돌(100)과 윗돌(200) 사이에서 커피 분말이 배출되면서 수용되는 공간이다. 커피 원두의 분쇄과정 동안 분쇄된 커피 분말은 지속적으로 배출되는데, 이러한 커피 분말은 비산되지 않고 수용부(140)에 수용될 수 있다.
후술할 윗돌(200)의 일측에 마련되는 손잡이부(230)는, 윗돌(200)의 상부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홈(240)을 관통하는 연장부(232)가 마련되되, 연장부(232)의 단부는 수직으로 하향 연장되어 수용부(140)에 배치될 수 있다. 손잡이부(230)의 회전에 연동되어 연장부(232)가 회전하면서 수용부(140)로 배출된 커피 원두를 이동시키고, 이동된 커피 원두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홈(142)이 수용부(14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연장부(232)의 단부는 수용부(140)에 수용된 커피 분말을 배출홈(142)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연장부(232)의 단부에는 부드러운 재질의 나일론 섬유나 천연소재의 짚이나 깃털 등 다양한 소재로 제작된 솔 형태의 이송수단(234)을 부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송수단(234)은 수용부(140)의 커피 분말을 쓸어가면서 배출홈(142)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아랫돌(100)의 하면에는 아랫돌(100)을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부(150)가 형성되고, 배출홈(142)의 하부에는 분쇄되어 이동되는 커피 원두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부(160)가 형성될 수 있다. 커피 원두를 분쇄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손잡이부(230)를 잡고 윗돌(200)을 회전시킬 때, 지지부(150)는 아랫돌(100)이 지면에 대하여 움직이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 지면에 대하여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 아랫돌(100)은, 커피 원두 분쇄작업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므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지부(150)는 삼발이 형태 등으로 형태로 아랫돌(10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50)는 아랫돌(100)의 하면에 부착되는 고무 등의 재질로 된 미끄럼을 방지하는 패드가 될 수 있다.
수집부(160)는 커피 분말이 배출홈(142)을 통하여 낙하한 후 도달하는 소정의 공간으로, 수집부(160)에 용기나 컵 등이 위치할 수 있다. 즉 수집부(160)에 위치한 용기나 컵 등에 커피 분말이 최종적으로 수거될 수 있다.
또한 아랫돌(100)에는 수집부(160)와 일정간격을 두고, 아랫돌(100)의 하부 둘레에 파지부(170)가 형성될 수 있다. 파지부(170)는 사용자가 아랫돌(100)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며, 운반 시 아랫돌(100)이 낙하하여 사용자가 부상을 입을 위험을 줄일 수 있다. 파지부(170)는 아랫돌(100)과 윗돌(200)이 결합된 상태로 운반되는 경우에도 운반을 용이하게 하며, 사용자가 부상을 입을 위험을 줄일 수 있다. 파지부(170)는 아랫돌(100) 하단의 일부가 블록아웃되어 사용자가 파지하기 쉬운 홈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윗돌(200)은 하부의 중앙에 제2 축홈(210)이 형성되고,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블록아웃되어 커피 원두를 상기 분쇄부(120)로 안내하는 투입구(220)가 마련될 수 있다. 윗돌(200)의 일측에는 손잡이부(230)가 마련될 수 있다.
윗돌(200)은 아랫돌(100)과 마찬가지로 석재를 소정의 형태로 깍아서 다듬거나, 소정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석분을 이용하여 형을 만든 후 이를 소결하여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절삭가공이 가능한 돌이나 세라믹 재료 등을 이용하여 성형될 수 있다. 기공이 많은 석재 등의 재료는 그 기공에 분쇄된 커피 원두 등이 들어간 후 배출이 되지 않고 부패할 수 있어 비위생적인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윗돌(200)의 재료는 기공이 작거나 없는 재료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랫돌(100)의 상부면이 상부방향으로 볼록한 경우에 윗돌(200)의 하부면은 아랫돌(100)의 볼록한 형상에 대응하여 상부방향으로 오목하게 만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축홈(210)은 윗돌(200)의 하부의 중앙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고 중심축(300)의 상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공간이다. 제2 축홈(210)은 중심축(300)에 대응되는 형상이 바람직하고, 중심축(300)은 제2 축홈(210)에 끼워맞춤될 수 있다.
제2 축홈(210)의 외경이 중심축(300)보다 크게 형성되는 경우 중심축(300)의 최상단에 베어링(215)이 결합될 수 있다. 중심축(300)의 최상단에 결합되는 베어링(215)은 제2 축홈(210)과 간극 없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베어링(215)은 윗돌(20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베어링(215)이 깊은홈 볼베어링(deep groove ball bearing)이나 자동조심 볼베어링(self-aligning ball bearing)인 경우 윗돌(200)과 연결축(320)을 포함한 중심축(300)이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이격조절부(330)의 상부가 스러스트 볼베어링(thrust ball bearing) 등으로 형성되는 경우 연결축(320)을 포함한 중심축(300)은 회전하지 않고 윗돌(200)만 회전될 수 있다.
삭제
윗돌(200)의 하면에도 커피 원두를 분쇄시키는 분쇄홈(도면에 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보관홈(250)은 윗돌(200)의 상부에 오목형으로 형성되고 투입구(220)에 투입될 커피 원두를 보관할 수 있다. 커피 원두는 투입구(220)에 투입되어 투입구(220)의 하단에서부터 적층되고, 적층된 커피 원두는 아랫돌(100)의 분쇄부(120)로 이동하여 차례대로 분쇄된다. 따라서 투입구(220)에 투입될 수 있는 분량을 넘어선 커피 원두는 보관홈(250)에서 투입구(220)에 투입되기 전까지 보관될 수 있다.
윗돌(200)의 상부 둘레에는 무게추홈(260)이 형성될 수 있다. 무게추홈(260)은 일정 질량을 가지는 무게추(262)를 수용할 수 있다. 도 6를 참조하면, 무게추홈(260)에 수용된 무게추(262)는 윗돌(200)의 무게를 가중시켜 커피 원두가 분쇄될 때, 윗돌(200)이 상하방향으로 들썩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무게추(262)는 비중이 큰 철이나 납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중심축(300)은 받침축(310), 연결축(320) 및 이격조절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축(310)은 제1 축홈(110)에 삽입될 수 있다. 받침축(310)은 제1 축홈(110)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아랫돌(100)에 고정될 수 있다.
연결축(320)은 하부가 받침축(31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부와 상부가 제2 축홈(210)에 결합되되, 외경이 받침축(310)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축(320)은 제2 축홈(210)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윗돌(200)에 연결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이격조절부(330)는 연결축(32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아랫돌(100)과 윗돌(200)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격조절부(330)는 받침축(310)에 결합되며, 그 외경은 받침축(310)의 외경에 대응되고, 내경은 연결축(320)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이격조절부(330)는 연결축(320)에 관통되어 받침축(310)의 상면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격조절부(330)는 다수개가 적층될 수 있다. 이격조절부(330)가 링 형상으로 다수개가 형성되는 경우, 각 링 형상의 두께의 조합에 따라 윗돌(200)과 아랫돌(10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가령, 이격조절부(330)가 0.2mm, 0.4mm, 0.5mm 두께인 3개의 링 형상인 경우, 윗돌(200)과 아랫돌(100)의 거리는 3개의 이격조절부(330)를 조합하여 최소 0.2mm부터 최대 0.9mm까지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개시된 내용에 따른 맷돌형 분쇄기(1)에 의하면, 커피 원두를 분쇄하면서 분쇄되는 커피 원두의 입자 크기를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맷돌형 분쇄기(1)에 의하면, 맷돌형 분쇄기(1)를 운반하기에 용이하고, 분쇄된 커피 원두를 한 곳에 수집하기가 용이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맷돌형 분쇄기
100: 아랫돌
110: 제1 축홈
120: 분쇄부
122: 분쇄홈
130: 단턱부
140: 수용부
142: 배출홈
150: 지지부
160: 수집부
170: 파지부
200: 윗돌
210: 제2 축홈
215: 베어링
220: 투입구
230: 손잡이부
232: 연장부
234: 이송수단
240: 돌출홈
250: 보관홈
260: 무게추홈
262: 무게추
300: 중심축
310: 받침축
320: 연결축
330: 이격조절부

Claims (6)

  1. 상부의 중앙에 제1 축홈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커피 원두를 분쇄하면서 외부로 배출하는 분쇄홈을 포함하는 분쇄부가 마련되는 아랫돌;
    하부의 중앙에 제2 축홈이 형성되고,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블록아웃되도록 마련되어 커피 원두를 상기 분쇄부로 안내하는 투입구가 마련되며, 일측에는 손잡이부가 마련되는 윗돌;
    상기 제1 축홈과 상기 제2 축홈에 결합되면서 상기 윗돌이 상기 아랫돌을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하면서 상기 윗돌을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중심축;을 포함하는 맷돌형 분쇄기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은
    상기 제1 축홈에 삽입되는 받침축;
    하부가 상기 받침축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부와 상부가 상기 제2 축홈에 결합되되, 외경이 상기 받침축보다 작게 형성되는 연결축;
    상기 연결축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분쇄되는 커피 원두의 입자 크기를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아랫돌 상면과 상기 윗돌 바닥면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 형태의 이격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맷돌형 분쇄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10171244A 2021-12-02 2021-12-02 맷돌형 분쇄기 KR102411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244A KR102411167B1 (ko) 2021-12-02 2021-12-02 맷돌형 분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244A KR102411167B1 (ko) 2021-12-02 2021-12-02 맷돌형 분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1167B1 true KR102411167B1 (ko) 2022-06-22

Family

ID=82216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1244A KR102411167B1 (ko) 2021-12-02 2021-12-02 맷돌형 분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116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5898A (ja) * 2003-12-24 2005-07-14 Masahiro Sugawara 石臼
KR20170123356A (ko) 2016-04-15 2017-11-08 정정교 맷돌을 이용한 드립 커피 추출기
KR102107944B1 (ko) 2019-10-07 2020-05-07 차기정 커피 원두 분쇄용 맷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5898A (ja) * 2003-12-24 2005-07-14 Masahiro Sugawara 石臼
KR20170123356A (ko) 2016-04-15 2017-11-08 정정교 맷돌을 이용한 드립 커피 추출기
KR102107944B1 (ko) 2019-10-07 2020-05-07 차기정 커피 원두 분쇄용 맷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67201A1 (en) A grinding unit, a cartridge for the grinding unit and use of same for grinding coffee beans
US4605175A (en) Precision coffee grinder
US11116353B2 (en) Coffee machine
KR102411167B1 (ko) 맷돌형 분쇄기
WO2023274895A1 (en) A bean grinding apparatus
JP2015523103A (ja) コーヒー豆を挽く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10471434B2 (en) Three-stage millstones
KR101753751B1 (ko) 휴대용 커피 메이커
KR100995873B1 (ko) 밀이 내장되는 휴대용 커피 추출장치
JP6624667B1 (ja) 臼体及びミル装置
KR20170123356A (ko) 맷돌을 이용한 드립 커피 추출기
JP6795815B2 (ja) コーヒー豆粉砕器
CN105433804A (zh) 咖啡机下豆组件及咖啡机
KR200490342Y1 (ko) 커피가루 분산장치
GB2605990A (en) A coffee grinder
KR200493831Y1 (ko) 드립퍼 장착이 가능한 핸드밀
CN208177585U (zh) 具有送料螺杆的研磨机
CN221105619U (zh) 一种咖啡研磨刀及具有该咖啡研磨刀的咖啡研磨机
KR200466044Y1 (ko) 맷돌
CN208659007U (zh) 一种球面磨轮的磨豆机
KR101653147B1 (ko) 로스터기
KR20170099311A (ko) 포타필터 바스켓내의 분쇄원두 수평기
CN211324533U (zh) 一种咖啡豆加工用研磨装置
EP3954258A1 (en) Automatic coffee machine having a grinder with a safety element
KR102084468B1 (ko) 성능 개선 및 분리가 간편한 믹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