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3356A - 맷돌을 이용한 드립 커피 추출기 - Google Patents

맷돌을 이용한 드립 커피 추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3356A
KR20170123356A KR1020160046456A KR20160046456A KR20170123356A KR 20170123356 A KR20170123356 A KR 20170123356A KR 1020160046456 A KR1020160046456 A KR 1020160046456A KR 20160046456 A KR20160046456 A KR 20160046456A KR 20170123356 A KR20170123356 A KR 20170123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coffee
millstone
ston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정교
Original Assignee
정정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정교 filed Critical 정정교
Priority to KR1020160046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3356A/ko
Publication of KR20170123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3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12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grinding discs
    • A47J42/14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grinding discs hand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12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grinding discs
    • A47J42/20Grinding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맷돌을 이용하여 커피 원두를 분쇄하고, 뜨거운 물을 부었을 때 분쇄된 커피분말과 뜨거운 물을 여과기로 공급하여 커피를 드립 추출하도록 구성된 맷돌을 이용한 드립 커피 추출기가 제공된다. 상기 맷돌을 이용한 드립 커피 추출기는 상면 외주연에 배출홈이 형성되고 일측에 배출구가 형성된 아랫돌과, 관통된 투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아랫돌의 상면에 축 결합되며, 일측에 맷손이 결합된 윗돌로 구성된 맷돌과; 금속재로서, 내부 중앙에 형성된 중공의 주연부에는 환상의 이송홈이 형성되고, 상기 환상의 이송홈의 일단부에는 일정한 길이로 돌출된 배출 헹거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이 상기 윗돌을 관통하였을 때 상기 이송홈이 상기 아랫돌의 배출홈에 안착되는 열전도성을 갖는 배출트레이와; 상기 배출트레이의 배출 헹거에 장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호퍼 형상의 드립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맷돌을 이용한 드립 커피 추출기{Drip coffee Extractor Brewing using a millstone}
본 발명은 커피 추출기(Coffee Extractor Brewing)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맷돌을 이용하여 커피 원두를 분쇄하고, 뜨거운 물을 부었을 때 분쇄된 커피분말과 뜨거운 물을 여과기로 공급하여 커피를 드립 추출하도록 구성된 맷돌을 이용한 드립 커피 추출기에 관한 것이다.
커피 추출기는 일반적으로 볶아진 커피콩, 즉 원두를 분쇄하는 분쇄기 및 이에 의해 분쇄된 커피분말을 뜨거운 물로 압축하거나 상기 커피분말에 뜨거운 물을 드립 하여 추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커피를 추출하는 방식은 크게 에스프레소 머신(espresso machine)을 이용하는 방법과 여과지에 커피분말을 담고 뜨거운 물을 여과지 위에서 부여 자연 낙하시키는 드립퍼(Dripper) 추출방식으로 구별된다.
에스프레소 머신은 원두를 분쇄하는 분쇄기와 일체화되어 전자동으로 커피를 추출하는 것으로 발전되어 왔다. 이러한 에스프레소 머신은 볶아진 커피 콩, 즉 원두를 호퍼에 넣고 추출버튼을 누르면 커피분쇄로부터 커피 추출까지 전자동으로 하는 형태로 발전되어 왔다. 그러나 전자동 에스프레소 머신은 가격이 고각일 뿐만 아니라 취급을 부피가 커 보관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드립퍼를 이용하는 커피 추출방식은 포트 안에 여과지를 깔고 필요한 양의 커피 분말을 담은 후 끓인 물을 여과지의 중심에서 주위로 조금씩 주입하면서 커피를 추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드립퍼는 그 디자인이 매우 다양하여 커피를 추출 시 아날로그적인 감성을 느낄 수 있고, 커피의 맛과 향이 좋아 일반 가정은 물론 다양한 장소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드립퍼를 이용하여 가장 맛있는 커피를 즐기기 위해서는 커피 분쇄기 등을 이용하여 볶아진 원두를 분쇄하여 추출하여야 만 좋은 맛과 향미를 느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드립퍼를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원두를 분쇄하기 위한 커피 그라인더(coffee grinder) 또는 커피 핸드밀(coffee hand mill)를 필수적으로 구비하여야 한다. 따라서, 커피를 드립하여 추출하기 위해서는 드립퍼와 분쇄기를 각기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커피 그라인더를 모터의 회전력으로 분쇄 날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전기와 같은 동력이 필수적으로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커피 핸드밀은 수동으로 분쇄 날을 회전시켜 원두를 분쇄하는 것으로 언제든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디자인이 획일화되어 있어 다양한 디자인을 원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없었고, 무엇보다도 드립방식으로 커피를 추출하는 경우 가장 큰 불편은 드립퍼와 분쇄기를 각기 구비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원두를 분쇄하는 커피 핸드밀의 디자인인 아날로그 감성을 자극하기 위한 형태로고 발전되었다. 일예를 들면, 아래 비특허문헌(인터넷 자료)에는 맷돌구조로 커피를 분쇄하는 맷돌커피분쇄기가 개시(開示)되어 있다. 그러나 아래 비특허문헌에 개시된 맷돌 커피 분쇄기는 단순히 커피를 맷돌 구조에 의해 분쇄만 할 뿐 분쇄된 커피분말에 뜨거운 물을 부여 드립 추출하기 위해서는 포트에 여과지를 넣고 상기 여과지로 분쇄된 커피분말을 옮겨 넣어야 함으로써 커피 분쇄와 드립추출을 한 번에 할 수 없었다.
또한, 아래의 맷돌커피로 원두를 분쇄한 후, 맷돌에 집적 뜨거운 물을 부어서 커피를 추출할 수도 있으나, 맷돌이 현무암 등과 같은 석재로 만들어져 뜨거운 물을 맷돌에 수납된 커피분말에 부었을 때 뜨거운 물의 온도가 급격히 떨어짐으로써 커피 추출이 원활하지 않아 커피 맛이 좋지 못하였다.
맷돌커피 http://blog.naver.com/PostPrint.nhn?blogId=chaesuk1&logNo=220452117669[2015.8.16.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원두를 분쇄하여 열전도가 우수한 재질로 만들어져 아랫돌의 상부 외연에 결합되는 트레이에 수납하고, 뜨거운 물을 상기 배출 트레이에 부는 것에 의해 배출 트레이의 단부에 형성된 포트에 넣어지는 여과기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커피가 드립 추출되도록한 맷돌을 이용한 드립 커피 추출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무암 등의 석재로 만들어지는 맷돌로 원두를 분쇄하고, 커피분말을 맷돌의 외주연의 홈에 수납하고, 상기 수납된 커피분말에 뜨거운 물을 부어서 커피를 추출 시 뜨거운 물의 급격한 온도변화를 방지하여 드립 커피 시 맛좋은 커피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한 맷돌을 이용한 드립 커피 추출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면 외주연에 배출홈이 형성되고 일측에 배출구가 형성된 아랫돌과, 관통된 투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아랫돌의 상면에 축 결합되며, 일측에 맷손이 결합된 윗돌로 구성된 맷돌과; 금속재로서, 내부 중앙에 형성된 중공의 주연부에는 환상의 이송홈이 형성되고, 상기 환상의 이송홈의 일단부에는 일정한 길이로 돌출된 배출 헹거(discharge hanger)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이 상기 윗돌을 관통하였을 때 상기 이송홈이 상기 아랫돌의 배출홈에 안착되는 열전도성을 갖는 배출트레이와; 상기 배출트레이의 배출 헹거에 장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호퍼 형상의 드립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트레이는 구리를 함유한 구리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드립 커피 추출기는 맷돌을 이용하여 원두를 분쇄하고, 맷돌에서 분쇄된 커피분말을 아랫돌의 외주연에 형성된 배출홈에 결합된 배출트레이에 수집하고, 상기 배출트레이에 뜨거운 물을 붓는 동작만으로 배출트레이의 단부에 형성된 배출 헹거 측으로 이송시켜 상기 배출 헹거에 장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드립퍼로 모이게 하여 커피를 드립 추출함으로써 수동으로 원두의 분쇄와 거의 동시에 커피를 드립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맛있는 커피를 손쉽게 즐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맷돌을 이용한 드립 커피 추출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맷돌을 이용한 드립 커피 추출기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하여야 하며, 아래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하게 전달하기 위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맷돌을 이용한 드립 커피 추출기(1)(이하 "맷돌커피추출기"라 칭함)은 크게 맷돌(10)과 상기 맷돌(1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된 배출트레이(40) 및 상기 배출트레이(40)의 배출헹거(43)에 결합된 드립퍼(50)로 구성된다.
상기 맷돌(10)은 아랫돌(20)과 윗돌(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아랫돌(20)과 윗돌(30)은 석재를 소정의 형태로 깎아서 다듬거나 소정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석분 등을 이용하여 형을 만든 후 이를 소결하여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고, 분쇄가 가능한 재질, 예를 들면 돌 또는 세라믹제품 등을 이용하여 직접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기론 현무암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윗돌(30)에는 윗돌(30)을 관통하는 투입구(31)가 구비되는 한편, 윗돌(30)의 상면 일측에는 맷손(32)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맷손(32)은 단순히 윗돌(30)의 일측에 형성된 깊은 구멍에 끼워서 결합할 수도 있으며, 측면에 결합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맷돌(10)을 구성하는 윗돌(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부면은 중심을 향하여 약 5mm 정도의 경사로 오목하게 가공하고 그 중심에는 삽입 홈(31)을 형성하며, 아랫돌(10)은 상기 윗돌(30)의 하부면의 경사에 부응하여 그 상부면을 중심을 향하여 약 5mm 정도 경사로 볼록하게 가공되어 분쇄된 곡물, 예를 들면 커피 분말이 자연스럽게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였다.
상기 아랫돌(20)의 상면 중앙에는 돌축(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축(21)은 윗돌(30)의 결착홈(31에 결합되어 상기 윗돌(30)이 아랫돌(20)의 상면에서 회전가능토록 되어 있다. 따라서 윗돌(30)은 아랫돌(20)의 돌축(2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때 분쇄물은 상기 윗돌(30)의 저면과 아랫돌(3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경사면을 따라 맷돌의 외측으로 보다 원활하게 흘러내리게 된다.
상기 맷돌(10)을 구성하는 아랫돌(20)의 상면 외주연에는 이탈 방지턱(23)를 갖는 배출홈(22)이 형성되고 배출홈(22)의 일측에는 개구된 배출구(2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아랫돌(20)의 상면에서 분쇄된 곡물가루는 배출홈(22)에 수입되어 배출구(24)측으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아랫돌(20)의 하부에는 상기 아랫돌(20)을 지지하는 받침대(40)가 구비되어 있는데, 아랫돌(20)과 그 상부에 결하된 윗돌(30)로 구성되는 맷돌(11) 전체를 받치는 기능과 함께 배출구(24)로 배출되어 용기(도시하지 않음)에 수용되는 분쇄물이 아랫돌(20)의 외부에 접하는 현상을 배제시켜 분쇄물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세척 및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아랫돌(20)의 배출홈(22)과 배출구(24)의 상부에는 배출 트레이(50)가 결합된다.
배출 트레이(5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중앙에 형성된 중공(51)의 주연부에는 환상의 이송홈(51)이 형성되고, 상기 환상의 이송홈(52)의 일단부에는 일정한 길이로 돌출된 배출 헹거(53)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이송홈(51)의 형상은 상기 아랫돌(20)의 상면 주연부에 형성된 배출홈(22)과 같은 형상으로 하는 것이 좋으며, 배출 헹거(53)는 양측면이 상부로 신장되어 배출되는 물체가 단부로만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요구된다.
상기 배출 트레이(50)의 중공(51)이 상기 윗돌(30)을 관통하였을 때 상기 배출 트레이(50)의 이송홈(51)의 저면은 상기 아랫돌(20)의 배출홈(22)에 안착되어 결합된다. 이때, 배출 헹거(53)는 아랫돌(20)의 측면에 개구된 배출구(24)의 위에 놓아지는 형태로 되며,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배출 트레이(50)는 열전도가 우수한 금속제, 예를 들면 구리나 구리합금, 또는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뜨거운 물을 배출트레이(50)의 이송홈(52)에 부었을 때 열손실이 없이 배출 헹거(53)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데 유용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배출 헹거(53)의 상부에는 철사 등과 같은 것이 걸어질 수 있도록 홈이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배출 헹거(53)에는 호퍼 형상의 드립퍼(6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드립퍼 걸이구(63)가 걸어진다. 이때, 드립퍼 걸이구(63)는 굵은 와이어로 할 수 있으며, 드립퍼 걸이구(63)의 양측단은 드립퍼(60)의 상부 양측에 뚫어진 구멍에 회동 가능 하게 끼워져 결합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맷돌커피추출기(1)를 이용하여 원두를 분쇄한 후 바로 커피를 드립하여 추출하는 과정은 아래와 같다.
여과지를 드립퍼(60)의 내부에 설치한 후, 드립퍼(60)의 걸이구(63)를 맷돌(20)에 결합된 배출트레이(50)의 배출 헹거(53)의 홈에 걸어 놓는다.
이후, 볶아진 원두를 맷돌(10)의 윗돌(30) 상면에 놓아 투입구(33)로 투입시키면서 맷손(32)을 회전시키면, 윗돌(30)은 아랫돌(20)의 상부에서 회전됨으로써 원두를 분쇄되어 아랫돌(20)과 윗돌(30)의 사이로 배출된다.
상기 맷돌(10)에 의해 분쇄된 커피 분말은 아랫돌(20)의 상면 배출홈(22)의 상부에 결합된 배출트레이(45)의 이송홈(52)으로 수납된다. 어느 정도의 커피 분말이 배출 트레이(45)의 이송홈(52)에 쌓인 후 뜨거운 물, 예를 들면 90~95도의 물을 배출트레이(54)의 이송홈(52)으로 공급하면, 이송홈(52)에 쌓인 커피분말이 뜨거운 물과 함께 이송홈(52)을 따라 단부에 형성된 배출 헹거(53) 측으로 이송됨으로써 종국에는 드립퍼(60)의 내부로 투입된다.
따라서 상기 드립퍼(60) 내의 여과지에는 뜨거운 물과 혼합된 커피 분말이 계속적으로 쌓이게 되며, 여과지내의 물은 커피 분말의 침투 후 하부로 배출됨으로써 원두 커피가 추출된다. 상기 추출되는 원두 커피는 드립퍼(60)의 하부에 위치된 드립 서버(61)의 내부로 담겨진다. 이때, 상기 배출트레이(50)는 열전도가 우수한 금속재로 구성되어 있어 뜨거운 물의 온도는 빠른 속도로 떨어지지 않음으로 커피 추출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맷돌(20)에 의해 원두를 분쇄하고, 물을 배출트레이(50)의 이송홈(52)에 붓는 동작만으로 커피를 추출할 수 있어 커피분쇄와 추출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내에서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 맷돌을 이용한 드립 커피 추출기, 10 : 맷돌, 20 : 아랫돌, 21 : 돌축, 22 : 배출홈, 23 : 방지턱, 24 : 배출구, 30 : 윗돌, 31 : 결착홈, 32 : 맷손, 33 : 투입구, 40 : 받침대, 50 : 배출트레이, 51 : 중공, 52 : 이송홈, 53 : 배출 헹거, 60 : 드립퍼, 61 : 드립서버,

Claims (2)

  1. 맷돌을 이용한 드립 커피 추출기에 있어서, 상면 외주연에 배출홈이 형성되고 일측에 배출구가 형성된 아랫돌과, 관통된 투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아랫돌의 상면에 축 결합되며, 일측에 맷손이 결합된 윗돌로 구성된 맷돌과; 금속재로서, 내부 중앙에 형성된 중공의 주연부에는 환상의 이송홈이 형성되고, 상기 환상의 이송홈의 일단부에는 일정한 길이로 돌출된 배출 헹거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이 상기 윗돌을 관통하였을 때 상기 이송홈이 상기 아랫돌의 배출홈에 안착되는 열전도성을 갖는 배출트레이와; 상기 배출트레이의 배출 헹거에 장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호퍼 형상의 드립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맷돌을 이용한 드립 커피 추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트레이는 구리, 구리합금, 알루미늄, 알루미늄함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종의 금속재임을 특징으로 하는 맷돌을 이용한 드립 커피 추출기.
KR1020160046456A 2016-04-15 2016-04-15 맷돌을 이용한 드립 커피 추출기 KR201701233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456A KR20170123356A (ko) 2016-04-15 2016-04-15 맷돌을 이용한 드립 커피 추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456A KR20170123356A (ko) 2016-04-15 2016-04-15 맷돌을 이용한 드립 커피 추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356A true KR20170123356A (ko) 2017-11-08

Family

ID=60385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456A KR20170123356A (ko) 2016-04-15 2016-04-15 맷돌을 이용한 드립 커피 추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335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90672A (zh) * 2019-10-07 2021-04-23 车基正 咖啡原豆粉碎用磨石
KR102411167B1 (ko) 2021-12-02 2022-06-22 주식회사 에이스프로토 맷돌형 분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90672A (zh) * 2019-10-07 2021-04-23 车基正 咖啡原豆粉碎用磨石
KR102411167B1 (ko) 2021-12-02 2022-06-22 주식회사 에이스프로토 맷돌형 분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17847B2 (en) A grinding unit, a cartridge for the grinding unit and use of same for grinding coffee beans
JP6319431B2 (ja) ハンドドリップコーヒータンブラー
CN205392657U (zh) 冲泡材料磨碎机
US4605175A (en) Precision coffee grinder
Beckett Traditional chocolate making
WO2012120363A2 (en) Portable coffee mill-doser for moka coffee makers or coffee machines or similar
KR101011692B1 (ko) 필터 일체형 핸드밀
TWM480345U (zh) 直落粉式咖啡磨豆機
KR20170123356A (ko) 맷돌을 이용한 드립 커피 추출기
KR100995873B1 (ko) 밀이 내장되는 휴대용 커피 추출장치
KR101285558B1 (ko) 커피추출장치 및 방법
KR101753751B1 (ko) 휴대용 커피 메이커
JP2006346061A (ja) コーヒー沸かし器
AU2017390388A1 (en) A tool for removing compacted particle residue from a cylindrical container
JP6553724B2 (ja) 三段石臼
KR200473090Y1 (ko) 커피 원두 분쇄기용 덮개
JPS58426Y2 (ja) ミル付コ−ヒ−メ−カ−
CN204734355U (zh) 一种土耳其咖啡机制备机
KR200493831Y1 (ko) 드립퍼 장착이 가능한 핸드밀
JP2001061664A (ja) 飲料作成機
KR102411167B1 (ko) 맷돌형 분쇄기
EP3954258A1 (en) Automatic coffee machine having a grinder with a safety element
CN2647166Y (zh) 咖啡壶
JPH03149012A (ja) 全自動コーヒー抽出装置
Schakel Investigation of the Coffee Grinding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