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6412B1 - 점착성이 우수한 박리용이성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점착성이 우수한 박리용이성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6412B1
KR102406412B1 KR1020210143734A KR20210143734A KR102406412B1 KR 102406412 B1 KR102406412 B1 KR 102406412B1 KR 1020210143734 A KR1020210143734 A KR 1020210143734A KR 20210143734 A KR20210143734 A KR 20210143734A KR 102406412 B1 KR102406412 B1 KR 102406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delete delete
film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3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동식
Original Assignee
주동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식 filed Critical 주동식
Priority to KR1020210143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64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07/00Adhesives based on natural 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안정적인 점착력을 가지면서도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거 시에 점착제 잔류물이 남지 않아 점착제 잔류물에 의한 제반 문제점이 원활히 해소되도록 하는 박리용이성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수평으로 연신이 가능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우레탄 필름의 상면과 하면에 점착제를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착성이 우수한 박리용이성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점착성이 우수한 박리용이성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an easy-to-peel double-sided adhesive tape with excellent adhesion.}
본 발명은 박리용이성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정적인 점착력을 가지면서도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거 시에 점착제 잔류물이 남지 않아 점착제 잔류물에 의한 제반 문제점이 원활히 해소되도록 하는 박리용이성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전화 또는 차량용 내비게이션이나 소형 영상촬영장치(디지털 카메라, 블랙박스 등)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수단이나 촬영수단을 구비하는 전자제품은 패널모듈과 액정모듈의 접합 작업이나 글라스(glass) 또는 카메라 렌즈 등과 같은 광학용 자재를 고정부에 고정하는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고정하는 방법에는 나사 고정 방식, 접착제 고정 방식 및 양면 점착테이프 고정 방식 등 여러 가지가 사용되고 있는데, 여기서 양면 점착테이프 고정 방식은 간단하면서 저렴하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전자ㆍ광학부품의 부재고정용으로서, 일부의 용도에서는, 점착제층을 전사하는 테이프를 사용해서 박형화에 대응하고 있지만, 이런 경우, 심재가 없기 때문에, 내구성이 뒤떨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박막의 형상을 가지는 양면점착테이프가 다수 개발되고 있지만, 이들 양면점착테이프에서는, 엄격한 내환경시험이 요구되기 때문에, 지금까지 점착제층을 그다지 얇게 할 수 없었다.
또한 양면 점착테이프는 전자전기 산업분야, 디스플레이 제조공정 및 자동차 산업분야에서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각종 산업용 자재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주요 산업기재로서, 특히 디스플레이용도로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양면 점착테이프는 디스플레이에서 각종 디바이스를 결합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따라서 그 내구성 및 광특성이 요구된다. 양면 모두 점착이 가능한 무기재 양면점착테이프의 경우 두장의 이형필름 사이에 점착제가 존재하는 구조이며, 이형필름은 경박리 필름과 중박리 필름으로 구성된다. 경박리 필름의 박리력이 중박리 필름의 박리력보다 높으며 이에 따라 점착층에서 경박리 필름을 먼저 박리한 후 점착층을 기판에 부착한 후 중박리 필름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경박리 필름과 중박리 필름의 박리력의 균형이 맞지 않을 경우 경박리 필름을 박리할 때 점착층이 들뜨거나 필름으로 전이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형필름의 도공상태가 균일하지 않을 경우 에는 필름 박리시 점착제와의 불균일한 박리로 인한 마찰음(zippy sound)이 발생한다. 이런 문제는 공정상 작업 저하 또는 제품불량의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양면 점착테이프 고정 방식에 의해 부품이 고정된 기기가 고장이 나거나 기기의 조립 과정에서 불량이 발생한 경우에 부품에 접착된 양면 점착 테이프를 제거하면 테이프에 도포된 점착제가 부품에 붙여 남게 되는데,
이러한 점착제 잔류물은 잘 떨어지지 않아 이를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이를 제거하기 위해 불필한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잔유물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미국 등록특허 제10508224호에서는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점착필름을 제조함에 있어서, 특정에너지를 가지는 전자파를 이용하여 경화시키는 것으로 점착성을 조절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특정 에너지의 사용의 경우 초기 설비비용이 많이 필요로 하여 비경제적이며, 다양한 소재에 대응이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미국 등록특허 제07101615호에서는 중간지지체를 특정형상을 가지도록 제작하는 것으로 점착테이프의 제거시 중간지지체가 변형될 수 있도록 제작하여 점착성분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제작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중간 지지체의 변형은 중간지지체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점착면에는 별다른 가공이나 특성을 추가하지 않기 때문에 점착성분의 잔류가 나타날 수 잇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점착성분이 대상물에 남아 있지 않으면서도 높은 점착능을 발휘할 수 있는 박리용이성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정적인 점착력을 가지면서도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거 시에 점착제 잔류물이 남지 않아 점착제 잔류물에 의한 제반 문제점이 원활히 해소되도록 하는 박리용이성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점착테이프의 제조시 그 표면을 적절히 변형시키는 것으로 필요한 용도에 따라 점착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박리용이성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평으로 연신이 가능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우레탄 필름의 상면과 하면에 점착제를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박리용이성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는, 천연고무 100 중량부에 대해 해교제 0.2 내지 0.5 중량부 및 툴루엔 650 내지 700 중량부를 혼합하고 70 내지 90℃에서 8 내지 12시간 동안 교반하여 해교된 고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해교된 고무 용액에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고무 20 내지 40 중량부 및 점착성 부여제 80 내지 120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 용액에 폴리머계 비드 1 내지 5 중량부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점착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액은 고형분 20 내지 30중량%이고 점도 2500 내지 3500cps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폴리머계 비드를 첨가하기 전에, 상기 폴리머계 비드의 외면을 매끄럽게 표면 처리를 하는 단계; 상기 매끄럽게 표면 처리된 폴리머계 비드의 외면에 윤활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윤활제가 도포된 폴리머계 비드의 외면에 상기 혼합 용액을 코팅하여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계 비드는, 폴리데실 메타크릴레이트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계 비드는 입자크기가 1 내지 100㎛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는,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를 혼합한 다음, 일축연신을 통하여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필름의 양면을 롤러로 압착하여 연신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그루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폴리에테르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이며,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는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는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4,4'-Diphenylmethnae diisocyanate, MDI), 폴리머릭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polymeric 4,4'-Diphenylmethnae diisocyanate, PMDI),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toluene diisocyanate, TDI), 1-4 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1,4-phenylene diisocyanate, PPDI) 또는 1,5-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1,5-Naphthalene diisocyanate, NDI)이며, 상기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는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1,6-Hexamethylene diisocyanate, HDI),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soporon diisocyanate, IPDI) 또는 디사이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Dicyclohexylmethane-4,4'-diisocyanate, H12MDI)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0.1~100㎛의 깊이를 가지며, 0.1~200㎛의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필름 일면에 형성된 전면 그루브와 필름 타면에 형성된 후면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후면 그루브는 상기 전면 그루브와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전면 그루브와 등간격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후면 그루브는 상기 전면 그루브와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전면 그루브와 상이한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는, a) 소정의 길이와 넓이를 가지며, 외력에 의하여 길이 전체와 넓이 전체를 따라 둘 이상의 조각으로 분리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층; 및 b)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층의 양면에 코팅된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층은 20~400kg/㎥의 밀도를 가지며, 175㎛~100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층은 발포체 함유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층은 25℃의 온도 및 1.0Hz의 주파수에서 측정된 저장 모듈러스(G'a25)가 1.0x106Pa 미만인 활성 에너지 경화층을 포함하며, 상기 활성 에너지 경화층은 중합 가능한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폴리 우레탄 및 2 내지 4 개의 중합 가능한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아크릴 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 레이트 화합물은 상기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폴리 우레탄 100 중량부 대비 5 내지 30 중량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활성 에너지 경화층은 10㎛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활성 에너지 경화층은 톨릴렌 디이소시안산염, 클로로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안산염, 테트라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자이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안산염과 수소 첨가 다이페닐메탄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이상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일축 연신이 가능한 필름제조부; 상기 필름제조부에서 베출되는 필름의 상부 및 하부를 압착하여 그루브를 형성하는 그루브 형성용 롤러; 상기 그루브가 형성된 필름의 상면과 하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점착제 도포수단; 및 상기 점착제가 도포된 필름의 양면에 이형필름을 부착하는 합지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방법으로 제작되는 박리용이성 양면 점착 테이프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안정적인 점착력을 가지면서도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거 시에 점착제 잔류물이 남지 않아 점착제 잔류물에 의한 제반 문제점이 원활히 해소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필름의 표면에 그루브를 형성하는 것으로 연신에 따라 접촉면이 변화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점착된 필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박리 용이성 점착테이프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점착제에 폴리머계 비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점착제 필름을 제거하기 위하여 외력을 가했을 때, 상기 폴리머계 비드가 외부로 돌출되어 점착제의 이탈을 용이하게 하므로 점착제의 잔류없이 제거할 수 있는 박리 용이성 점착테이프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박리용이성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방법을 간력히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박리용이성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방법중 점착액 제조방법을 간략이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폴리머계 비드의 제조방법을 간략히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박리용이성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방법중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방법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간략히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기존의 박리성 점착테이프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박리용이성 점착테이프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그루브 간격이 좁은 박리용이성 점착 테이프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그루브 간격이 넓은 박리용이성 점착테이프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다리꼴 구조의 돌출부를 가지는 박리용이성 점착테이프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삼각형 구조의 돌출부를 가지는 박리용이성 점착테이프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폴리머계 비드를 포함하는 박리용이성 점착테이프의 일부를 확대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크기가 작은 폴리머계 비드를 포함하는 박리용이섬 점착테이프의 일부를 확대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크기가 큰 폴리머계 비드를 포함하는 박리용이성 점착테이프의 일부를 확대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박리용이성 점착테이프를 연신하는 경우 그루브의 변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박리용이성 점착테이프를 연신하는 경우 폴리머계 비드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박리용이성 점착테이프를 연신하는 경우 크기가 작은 폴리머계 비드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박리용이성 점착테이프를 연신하는 경우 크기가 큰 폴리머계 비드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외력에 의하여 둘 이상의 조각으로 분리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활성 에너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박리용이성 점착테이프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박리용이성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장치의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것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그루브 형성용 롤러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박리용이성 점착테이프의 간력히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수평으로 연신이 가능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우레탄 필름의 상면과 하면에 점착제를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박리용이성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폴리우레탄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는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를 혼합한 다음, 일축연신을 통하여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필름의 양면을 롤러로 압착하여 연신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그루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도 4참조).
폴리 우레탄은 높은 전성과 연성을 가지고 있으며, 화학적으로 안정하기 때문에 본 발명과 같은 점착성 테이프에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점착제에 우레탄계 점착제를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우레탄계 점착재와 피착물 사이의 접착력보다 코어 부분에 사용되는 필름과의 점착력이 더욱 높아야 하므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사용하여 높은 친화율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폴리올은 폴리에테르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이며,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는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은 수크로스, 소르비톨, 글리콜, 글리세롤 등과 같은 다가 알코올이나 폴리아민과 같은 이가 이상의 활성수소를 가지고 있는 화합물인 출발물질에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등의 공중합체 폴리올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은 다염기산(polybasic acid) 및 글리콜, 글리세롤 등의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다가 알코올(polyalcohol)을 용매로 합성된 것으로서, 상기 다가 알코올은 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다이에틸렌글리콜 등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다염기산은 테레프탈산, 아디프산, 말레산, 숙신산 등 방향족 염기산, 지방족 이염기산 등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는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4,4'-Diphenylmethnae diisocyanate, MDI), 폴리머릭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polymeric 4,4'-Diphenylmethnae diisocyanate, PMDI),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toluene diisocyanate, TDI), 1-4 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1,4-phenylene diisocyanate, PPDI), 1,5-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1,5-Naphthalene diisocyanate, NDI)을 포함하는 화합물로서 방향족 고리를 가지는 이소시아네이트이다.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는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1,6-Hexamethylene diisocyanate, HDI),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soporon diisocyanate, IPDI), 디사이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Dicyclohexylmethane-4,4'-diisocyanate, H12MDI)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우레탄을 제조하기 위하여 촉매를 추가로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촉매는 상기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 사이의 가교반응을 촉진하기 위하여 포함되는 것으로 폴리우레탄 제조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촉매라면 제한없이 사용 가능하다. 하지만 반응성의 증대 및 물성향상을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아민계 촉매와 삼량화 촉매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N,N-디메틸사이클로헥실아민(N,N-dimethylcyclohexylamine), N,N,N',N'-펜타메틸디에틸렌트리아민(N,N,N',N'-pentamethyldiethylenetriamine), 트리에틸렌디아민(triethylenediamine), 디-N-부틸틴디라우릴레이트, 아세트산 칼륨, 아세트산 리튬, 아세트산 마그네슘, 유기주석 화합물, 유기티타늄 화합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외에도 상기 폴리루레탄층을 발포시키기 위한 발포제, 생성되는 폴리우레탄 복합 발포제의 물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정포제, 계면활성제, 난연제, 활제와 같은 첨가제가 추가적으로 포함되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발포제의 경우 상기 폴리우레탄을 발포시켜 상기 점착테이프가 단열성, 절연성, 층격흡수성 등의 특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점착테이프의 사용목적에 따라 이를 포함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원활한 발포를 위하여 화학적 발포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적 발포제는 상기 폴리우레탄-실리카 에어로겔유사체 복합 수지 전구체에 혼합되어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가 반응할 때 또는 반응직후 기체를 생성하는 것으로 상기 폴리우레탄 복합체를 발포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노르말펜탄, 시클로펜탄, 아이소펜탄, 하이드로겐클로로플루오로카본(H-CFCs), 하이드로겐플루오로카본(H-FCs) 또는 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를 혼합한 다음 이를 중합함과 동시에 필름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는,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를 혼합한 다음, 일축연신을 통하여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필름의 양면을 롤러로 압착하여 연신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그루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의 경우 일축방향으로 연신되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수평방향으로 연신되어 필름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의 경우 수평방향으로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신은 일반적인 필름을 제조하는 연신수단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연신이후 롤러를 통과시키는 것으로 표면을 매끄럽게 가공함과 동시에 균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름의 제조는 불활성기체 분위기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경우 높은 반응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대기중에 방치하는 경우 산소와 접촉하여 산화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필름의 제조는 불활성 기체 분위기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사용되는 불활성 기체는 질소, 헬륨, 네온, 아르곤 또는 제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질소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분위기”는 반응기 또는 반응공간의 내부를 일정기체로 치환한 것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불활성기체 분위기는 반응기 내부의 공기 전체를 불활성 기체로 치환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필름은 양면이 롤러로 압착되어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도 6 참조). 상기 그루브는 상기 연신방향과 동일한 방향 즉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루브는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필름의 점착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부분으로, 상기 그루브의 형상 및 밀도에 따라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점착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거하기 위하여 외력을 가하는 경우, 특히 수평방향으로 연신시키는 경우 상기 그루브가 변형되면서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그루브는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함몰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경우 상기 필름의 표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골을 형성하여 골과 돌출부가 교대로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그루브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그루브는 골과 돌출부가 교대로 반복되어 형성된다. 이때 피착물과 접촉하는 부분은 상기 돌출부에 해당하며, 상기 돌출부의 형상을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피착물과의 접촉면적을 조절함과 동시에 점착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돌출부가 직경이 작은 반원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경우 골의 깊이도 낮아지게 되므로 상기 점착 테이프를 부착하기 위하여 가압할 때 상기 피착물과 넓은 범위에서 부착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는 점착력이 강해질 수 있다(도 7 참조).
이와는 반대로 직경이 큰 반원을 가지고 있는 경우 상기 골부분이 깊어짐에 따라 압력을 가하더라도 골의 일부는 부착되지 않는 상태로 남아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낮은 점착력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도 8 참조).
또한 이러한 점착력을 조절을 더욱 크게 하기 위하여 상기 돌출부는 타원의 일부를 구성하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사다리꼴, 사각형, 삼각형으로 제작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돌출부의 형상 및 간격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점착제를 동일한 것을 사용하더라도 점착강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9 및 도 10 참조).
또한 상기 그루브는 상기 점착 테이프의 제거시 점착제의 이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점착테이프를 제거하는 경우 상기 점착테이프에 외력을 가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점착테이프의 측면을 연신하여 제거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상기 그루브는 변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점착면에 변형이 나타나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그루브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신되는 경우 상기 그루브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며, 상기 돌출부의 면적이 줄어들게 되므로 결과적으로는 상기 점착면이 줄어들게 되어 상기 피착물에서 자연스럽게 이탈될 수 있다(도 14 참조).
또한 상기 그루브는 0.1~100㎛의 깊이를 가지며, 0.1~200㎛의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루브가 0.1㎛미만의 깊이를 가지는 경우 상기 그루브에 의한 점착력 제어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100㎛를 초과하는 깊이를 가지는 경우 상기 필름의 두께가 얇아져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0.1㎛미만의 간격을 가지는 경우 역시 상기 점착테이프의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고, 200㎛를 초과하는 간격으로 형성되는 경우 점착면이 넓어져 점착력의 제어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그루브는 상기 필름의 양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그루브는 필름 일면에 형성된 전면 그루브와 필름 타면에 형성된 후면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도 6 참조).
이때 상기 그루브는 각 그루브가 평행을 이루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성 테이프의 경우 상기 그루브가 형성된 방향으로 연신하여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그루브는 상기 필름의 표면에 균일한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각 그루브는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연신을 통한 제거시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그루브가 평행을 이루지 않는 경우 상기 그루브가 교체되는 지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교차되는 부분에 점착제가 잔류할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그루브는 평행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루브는 상기와 같이 필름의 양면에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그루브는 필름 일면에 형성된 전면 그루브와 필름 타면에 형성된 후면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면 그루브와 후면 그루브의 경우 등간격으로 배치되거나 상이한 간격을 가질수도 있다. 상기 전면 그루부와 상기 후면그루브가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테이프의 양측에 동일한 부착력을 가지도록 할 수 있으며, 상이한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테이프의 일측에 더 강한 부착력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전?? 그루브와 상기 후면 그루브가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경우 즉 상기 전면 그루브의 간격과 상기 후면 그루브의 간격이 동일한 경우 상기 테이프를 연신하여 제거하는 경우 상기 테이프의 전면과 후면이 동시에 이탈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상기 테이프를 한번에 제거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후면 그루브에 형성된 골은 상기 전면그루브의 돌출부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제작되는 것으로 상기 필름이 일정한 두께를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필름에 그루브를 형성하더라고 일정이상의 내구성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전면 그루브의 간격과 상기 후면 그루브의 간격이 상이하도록 제작되는 경우 상기 테이프의 전면과 후면의 점착력이 상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테이프를 연신하여 제거하는 경우 그루브의 간격이 좁은면부터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테이프를 전자제품에 적용하는 경우 분해되는 부품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로 상기 점착 테이프의 제거가 가능하며, 부품에 부착되는 면도 부품을 제거한 다음 조금 더 연신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면 그루브와 후면 그루브 사이의 간격을 적절히 조절하여 상기 전면 그루브의 골과 상기 후면 그루브의 골이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전면 그루부 사이의 간격과 상기 후면 그루브사이의 간격은 정수배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 그루브의 골과 상기 후면 그루부의 골이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골이 만나는 지점의 필름두께가 얇아져 연신시 필름의 중단이 파단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전착필름의 제거시 잔유물이 남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전면그루브의 간격과 상기 후면그루브의 간격이 정수배를 가지도록 제작하는 것으로 상기 그루브의 골이 일정한 위치에서 만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이 제조된 이후 상기 폴리우레탄 필름의 상면과 하면에 점착제를 코팅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는, 천연고무 100 중량부에 대해 해교제 0.2 내지 0.5 중량부 및 툴루엔 650 내지 700 중량부를 혼합하고 70 내지 90℃에서 8 내지 12시간 동안 교반하여 해교된 고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해교된 고무 용액에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고무 20 내지 40 중량부 및 점착성 부여제 80 내지 120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 용액에 폴리머계 비드 1 내지 5 중량부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점착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도 2 참조).
상기 천연고무는 고무나무에서 추출한 천연 소재의 고무로 본 발명의 경우 이 천연고무를 해교하여 고무용액을 제조한 다음, 합성고무인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고무를 혼합하여 점착제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천연고무의 경우 다양한 고분자 성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점착력이 우수하며, 점착제가 분리될 때에도 잔유물을 적게 남기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내구성이 약하며, 화학성분에 의하여 쉽게 분해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반대로 상기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고무의 경우 높은 화학적 안정성 및 내구성을 가지고 있지만 점착제로 제작되는 경우 분리시 잔유물을 남기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이를 최적의 비로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높은 내구성 및 화학적 안정성을 가지면서도 점착제 분리시 깔끔하게 분리될 수 있는 점착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해교된 고무 용액은 천연고무 100 중량부에 대해 해교제 0.2 내지 0.5 중량부 및 툴루엔 650 내지 700 중량부를 혼합하고 70 내지 90℃에서 8 내지 12시간 동안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해교제는 가교로 형성된 고무 고분자의 가교를 제거하는 것으로 고무를 고무 용액으로 제조할 수 있는 성분으로, 고무의 제조시 고무용액에 가교제를 투입하여 고체의 고무를 제조하는 단계를 반대로 수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사용되는 해교제는 일반적인 천연고무용 해교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교제는 상기 점착제의 점성을 감소시켜 상기 필름의 표면에 용이하게 분사 및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해교제는 상기 천연고무 100중량부 대비 0.2~0.5중량부가 투입될 수 있다. 상기 해교제가 0.2중량부 미만으로 투입되는 경우 상기 천연고무의 해교가 완전하지 않아 후술할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고무와의 혼합이 어려울 수 있으며, 0.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고무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점착제의 점도가 낮아져 점착력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톨루엔은 상기 해교된 고무를 용액으로 만들기 위한 용제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천언고무 100중량부 대비 650~700중량부를 혼합할 수 있다. 상기 톨루엔이 650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해교된 고무의 용해가 완전하지 않아 전착제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며ㅡ 700중량부룰 초과하는 경우 점착제의 점도가 낮아질 수 있있다.
상기와 같이 해교제 및 톨루엔과 혼합된 천연고무는 70 내지 90℃에서 8 내지 12시간 동안 교반하여 천연고무 용액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교반온도가 70℃미만이거나 8시간 미만으로 교반하는 경우 용액의 생성이 완전하지 못하여 점착제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며, 9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교반되는 경우 천연고무 용액이 열분해되어 첨착력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12시간을 초과하여 교반하는 경우 더 이상의 효과는 없으므로 비경제적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천연고무 용액에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고무 20 내지 40 중량부 및 점착성 부여제 80 내지 120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고무는 유리전이온도(Tg)가 낮고 탄화수소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표면에너지가 매우 낮은 특성을 가지고 젖음성(wetting)이 우수한 합성고무이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고무는 20 내지 30 중량%의 스티렌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스티렌 함량이 20 중량% 미만인 경우 응집력이 불충분해지고,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접착성이 불충분해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점착성 부여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치환식 포화 탄화수소 수지(합성 석유 수지)나 로진에스테르 유도체, 테르펜계 수지, 페놀계 수지 등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치환식 포화 탄화수소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점착성 부여제는 그 연화점이 90 내지 160℃인 것이 바람직한데, 화점은 일반적으로 물질이 가열에 의해 변형되어 연화를 일으키기 시작하는 온도를 일컫는다. 따라서, 점착성 부여제는 90℃에서 변형 및 연화가 시작될 수 있다.
상기 점착성 부여제의 연화점을 90℃ 이상으로 유지하는 경우, 고온 뢰성 조건에서 점착 증진제가 유리 상태(glassy state)를 유지함으로 열 변형률이 작아진다는 점에서 유리하며, 고온 신뢰성 확보가 용이하다. 반면, 상기 점착성 부여제의 연화점이 90℃ 미만인 경우 고온 조건에서 점착성 부여제가 연화를 시작하여 내구성의 저하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점착성 부여제의 연화점이 160℃를 초과하면 상온에서 점착성 부여제의 점착증진의 역할이 미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혼합용액은 이밖에도 경화제를 보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상기 제조되는 점착제의 경도를 높여 상기 점착제가 흐르지 않도록 하며, 내열도를 높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상기 천연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경화제가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경화 반응이 충분하지 않아 내열도가 떨어짐과 동시에 점착제의 점도가 낮아져 잔유물이 발생할 수 있으며, 2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점착제의 경도가 높아져 점착력의 저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화제는 고무 수지의 관능기인 하이드록실기, 카르보닐기, 마레인산기 등에 적합한 이소시아네이트, 에폭시, 아지리딘, 알루미늄 킬레이트 등을 원료로 사용할 수 있지만, 이소시아네이트가 후술할 폴리머계 비드와 가장 잘 결합됨에 따라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상기와 같이 혼합용액을 제조한 다음, 상기 혼합 용액에 폴리머계 비드 1 내지 5 중량부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점착제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폴리머계 비드는 폴리머 재질로 이루어진 구체를 말하고 연질이면서 탄성을 가지는 것으로, 양면 점착테이프가 수평으로 연신되면서 두께가 얇아질 때 점착층의 외부로 돌출되어 노출되면서 피착제와 점착층 사이의 접촉면적을 줄여줌으로써 점착력을 현저히 감소시키면서 점착 잔류물의 없이 점착층과 피착제를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도 15참조).
상기 폴리머계 비드는 상기 천연고무 100 중량부에 대해 1 내지 5 중량부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폴리머계 비드가 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폴리머계 비드의 수량이 너무 적어 수평 연신시에 점착제의 외면으로 적절히 돌출되지 않게 되고, 상기 폴리버계 비드가 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수량이 늘어나게 되어 상기 점착제의 표면으로 돌출될 수 있으므로 점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폴리머계 비드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나일론, 폴리우레탄, 폴리데실 메타크릴레이트, 실리카 등의 재질이 사용가능하며, 특히 히드록시 관능기를 포함하는 폴리데실 메타크릴레이트로 제조된 비드의 경우 경화제인 이소시아네트와 우레탄 반응이 일어남으로 점착층과의 결합력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폴리버계 비드는 상기 점착층의 두께 미만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는 1~2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므로 상기 폴리버계 비드는 1~100㎛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폴리머계 비드의 경우 상기 점착층에 매몰되어 연신시에만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점착제의 두께를 L 상기 폴리머계 비드의 직경을 R로 하는 경우 하기와 같은 비율을 가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도 11 내지 도 13 참조).
[식 1]
R=(L/(100+p))X100+K
(이?? K는 1~50㎛, 이며 p는 상기 필름의 연신률(%))
상기 K는 상기 폴리머 비드에 의한 상기 점착제의 제거율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K의 크기가 커질수록 상기 점착테이프 제거시 연신량이 줄어들게되지만, 상기 점착재의 점착강도가 약해질 수 있으므로 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상기 점착강도 및 연신량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P의 경우 상기 필름의 연신률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필름의 연신율이 낮은 경우 상기 점착층의 두께와 유사한 두께를 가지는 비드를 사용해야 하며 상기 필름의 연신률이 높은 경우 상기 점착제의 두께에 비하여 작은 직경을 가지는 폴리머 비드를 사용하여 각 연신률에 따라 적절한 비드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서 상기 필름이 100%의 연신율을 가지는 경우 상기 점착제는 연신에 의하여 약 2배가량 연신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점착제의 두께는 1/2로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을 만족하는 폴리버 비드 즉 상기 점착제 층의 두께 절반에 해당하는 직경을 가지는 폴리머 비드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연신에 의하여 상기 폴리머 비드의 일부가 상기 점착제의 표면으로 돌출되어 점착제를 분리할 수 있다.
즉 상기 범위 미만의 크기를 가지는 폴리머계 비드를 사용하는 경우 연신을 하는 경우에서 상기 폴리머계 비드가 돌출되지 않아 점착제 제거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도 16참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크기의 폴리머계 비드를 사용하는 경우 연신이전에도 상기 점착제의 외부로 폴리머계 비드가 돌출될 수 있으므로 점착력이 떨어질 수 있다(도 17 참조).
상기 폴리머계 비드를 첨가하기 전에, 상기 폴리머계 비드의 외면을 매끄럽게 표면 처리를 하는 단계; 상기 매끄럽게 표면 처리된 폴리머계 비드의 외면에 윤활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윤활제가 도포된 폴리머계 비드의 외면에 상기 혼합 용액을 코팅하여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도 3 참조).
상기 폴리머계 비드는 상기 점착제의 연심시 상기 정착제의 외면으로 돌출되어야 하므로 상기 접착제와 접착이 되지 않도록 표면가공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폴리머계비드의 표면은 매끄럽게 가공된 다음, 윤활제가 도포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윤활제는 상기 점착제와 친화성이 낮은 윤활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리콘계 윤활제, 몰리브덴 윤활제, 테프론 윤활제 또는 광유계 윤활제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윤활성이 높고 반응성이 낮은 테프론 윤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윤활제가 도포된 폴리머계 비드의 표면에는 상기 혼합용액이 도포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폴리머계 비드가 상기 혼합용액과 혼합될 때 기포의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상기 혼합용액의 내부에서 응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용액은 자외선 안정제, 산화방지제, 충진제 및 가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 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점착제 조성물의 물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혼합용액은 고형분 20 내지 30중량%이고 점도 2500 내지 3500cps일 수 있다. 상기 고형분이 20중량%미만인 경우 상기 점착제의 분리가 어려워 잔유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고형분이 30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점착력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용액의 점도가 2500cps미만인 경우 제조되는 점착제가 고정되지 않고 흐를 수 있으며, 3500cps를 초과하는 점도를 가지는 경우 점착력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양면 점착 테이프는, a) 소정의 길이와 넓이를 가지며, 외력에 의하여 길이전체와 넓이 전체를 따라 둘 이상의 조각으로 분리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층; 및 b)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층의 양면에 코팅된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도 18 참조).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층은 외력에 의하여 둘이상의 조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외력은 외부에서 상기 필름에 가해지는 힘을 의미하는 것으로 비틀림, 레버힘 또는 박리력과 같이 상기 필름의 임의적인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의미한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층은 이러한 외력에 의하여 둘이상의 조각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분리를 통하여 상기 조각사이의 거리가 변화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점착재의 변형을 더욱 크게 하여 상기 점착제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와 같인 외력에 의하여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층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층은 발포체 함유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포체 함유기재는 상기 외력의 작용하에 적절히 절단될 수 있도록 폼 함유지지 재료(중간 폼 지지체)가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에틸렌의 동종 및 공중 합체, 특히 저밀도 및 초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LLDPE, VLDP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 합체 및 상기 언급된 중합체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밖에도 상기 발포체 함유기재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프로필렌, 방향족 및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기반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폴리스티렌, PVC 또는 아크릴레이트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발포체 함유기재는 가교 또는 비가교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층은 20~400kg/㎥, 바람직하게는 25~150kg/㎥의 밀도를 가지며, 175㎛~100mm, 바람직하게는 350㎛~3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밤위 내에서는 상기 외력에 의하여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층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지만 상기 두께 미만이거나 상기 밀도 미만인 경우 외력을 가하지 않은 경우에도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두께를 초과하거나 상기 밀도를 초과하는 경우 외력을 가하는 경우에도 분리가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발포체는 폐쇄 셀, 개방 셀 또는 혼합 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포체는 표면구조가 형성된 발포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러한 표면구조가 없는 발포체를 사용하는 것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발포체는 상이한 구조를 가지는 둘 이상의 발포체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각 지점사이에 상이한 단열성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일부 지점에서는 단열을 수행하며, 타지점에서는 열을 방출하는 구조를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층은 25℃의 온도 및 1.0Hz의 주파수에서 측정된 저장 모듈러스(G'a25)가 1.0x106Pa 미만인 활성 에너지 경화층을 포함하며, 상기 활성 에너지 경화층은 중합 가능한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폴리 우레탄 및 2 내지 4 개의 중합 가능한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아크릴 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 레이트 화합물은 상기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폴리 우레탄 100 중량부 대비 5 내지 30 중량부일 수 있다(도 19 참조).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피착체에 부착될 때 우수한 점착력을 갖기 때문에 상기 점착 테이프는 피착체 등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높은 점착력은 피착제의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반면 점착제의 잔유물을 남길 가능성을 같이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상기와 같이 활성 에너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활성 에너지를 조사한 후 쉽게 박리될 수 있다.
상기 활성 에너지를 조사하기 전에 미 경화된 활성 에너지 경화층을 가지는 상기 점착 테이프는 피착체에 부착될 때 점착층이 피착체에 강하게 점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점착 테이프 자체는 상대적으로 유연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피착체와 점착층 사이의 점착력을 깨뜨리거나, 상기 점착 테이프를 피착체로부터 박리하려는 경우 박리를 수행하기 어렵게 만들 수 있다.
상기 활성 에너지 조사에 의해 후술하는 경화층을 가지는 상기 박리성 점착 테이프의 경도는 경화층의 경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따라서 피착체에서 상기 점착 테이프를 박리시키는 경우 상기 경화층에 의하여 용이하게 박리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경우 상기 경화가 완료된 이후 연신을 통하여 필름층을 변형시키고 있으므로 이 과정에서 상기 경화층의 변형이 더욱 증대되어 상기 점착테이프의 제거가 더욱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활성에너지 경화층은 상기 필름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설치되며, 활성에너지의 공급에 의하여 경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필름층에 외력을 가하는 경우 특히 필름층을 수평방향으로 연신시키는 경우 상기 경화층에 의하여 필름층이 파단되거나 변형이 알어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그루브에 의한 상기 점착층의 변형을 더욱 가속시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활성에너지 경화층은 경화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점착층의 완충층으로 작용하거나 점착층의 점착성을 높여주는 층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활성 에너지의 공급이전에는 높은 점착력을 가지면서도 활성에너지의 공급 및 수평방향의 연신을 통하여 상기 점착 테이프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활성에너지 경화층을 상기 필름의 일면에만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점착면의 분리는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피착면에 부품을 부착화는 경우 상기 피착면 방향에만 상기 활성에너지 경화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활성에너지를 공급하고 연신하는 경우 상기 피착면이 먼저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품의 제거시 피착면에 점착테이프가 남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부품에 부착된 점착 테이프의 경우 상기 테이프를 조금더 연신하여 상기 그루브의 변형에 의하여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더.
이때 사용되는 활성에너지는 자외선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은 파장이 짧아 전달가능한 활성에너지가 상대적으로 크며, 이에 따라 상기 활성 에너지 경화층을 빠른 시간내에 경화시킬 수 있다.
상기 자외선을 조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광원으로는 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LED는 반도체 LED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반도체 LED칩은 405nm에 중심 파장을 가지는 발광 반치폭30nm의 반도체 칩으로서 GaN계 반도체 LED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반도체 LED칩은 380nm 이상 430nm 이하에 발광 피크를 가질 수 있으며, 외부 양자 효율이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피크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405nm에 중심 파장을 가질 수 없어 상기 활성에너지 경화층의 경화가 불완전할 수 있으며, 양자효율이 50% 미만인 경우 발광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발광 LED의 경우 발광층에서 발생한 빛을 보다 많이 외부로 추출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전극 구조, 반사 구조, 상하를 역전시킨 플립칩 구조 등)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LED는 기존의 조명장치에서 사용되는 LED와는 달리 350nm 이상 430nm 이하에 발광 피크를 가지는 자외선 및 자색 파장 영역의 빛을 방출하는 반도체 LED 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의 자외선 램프의 경우 가시광선을 발광시킨 다음, 이를 형광체를 이용하여 자외선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치고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상기 형광체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에너지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가시광선의 일부가 유출되어 작업자의 시야를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LED의 경우 GaN계 반도체칩을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반도체 칩이 직접 자외선을 발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활성 에너지 경화층은 25℃의 온도 및 1.0Hz의 주파수에서 측정된 저장 모듈러스(G'a25)가 1.0x106Pa 미만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점착 테이프는 피 착체에 부착될 때 우수한 박리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활성 에너지 경화층은 저장 모듈러스 (G'a25)가 1.0x106Pa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저장 모듈러스 (G'a25)가 5.0x105Pa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점착 테이프는 피착체에 부착될 때 우수한 박리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탄성 계수(G'a25)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1.0x104Pa이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25 ℃에서의 저장 모듈러스 (G'a25) 및 저장 모듈러스 (G'a25)는 다음과 같이 점탄성 시험기 (Rheometrics, Inc. 제품명 : ARES-2KSTD)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점탄성 시험기는 시험기의 측정 유닛에서 평행 디스크 사이에 시험편을 배치하는 단계; 및 25℃의 온도 및 1Hz의 주파수에서 저장 모듈러스 및 손실 모듈러스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측정에 사용된 시험편은 상기 활성 에너지 경화층을 두께 1mm, 직경 8mm의 원형으로 절단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활성 에너지 경화층은 중합 가능한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폴리 우레탄 및 2 내지 4 개의 중합 가능한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아크릴 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성 에너지 경화층은 보다 우수한 접착력을 가짐과 동시에 시간 경과에 따른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후술하는 접착층(예 : 이소시아네이트 기)과 반응성을 가지는 작용기(예 : 히드록실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활성 에너지 경화층이 가질 수있는 작용기의 예로는 히드록실기와 같은 열 반응성 작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점착층은 이소시아네이트기와 같은 열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점착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활성 에너지 경화층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또는 열반응성 작용기와 아크릴로일과 같은 활성 에너지 경화성 작용기를 갖는 폴리우레탄을 함유할 수 있다. 특히 열반응성 작용기를 갖는 폴리 우레탄 및 아크릴로일기와 같은 활성 에너지 경화성 작용기를 함유하는 층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크릴로일기와 같은 열반응성 작용기와 활성 에너지 경화성 작용기를 갖는 폴리 우레탄은 바람직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폴리우레탄과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성인 작용기(예를 들어, 히드록실기)를 갖는 아크릴계 단량체 사이의 반응 생성물인 폴리 우레탄일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폴리우레탄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생성물이다. 이때 상기 폴리올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및 폴리에테르 폴리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은 탄산에스테르 또는 포스겐과 반응성을 가지는 저분자량 폴리올이 포함될 수 있다.
탄산 에스테르는 메틸 카보네이트, 디메틸 카보네이트, 에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시클로 카보네이트 또는 디페닐 카보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산 에스테르 또는 포스겐과 반응성이 있는 저분자량 폴리올의 예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1,2-부탄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2,3-부탄디올, 1,5-펜탄디올, 1,5-헥산디올, 1,6-헥산디올, 2,5-헥산디올, 1,7-헵탄디올, 1,8-옥탄디올, 1,9-노난디올, 1,10-데칸디올, 1,11-운데칸디올, 1,12-도데칸디올, 2-메틸-1,3-프로판디올, 네오펜틸글리콜,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 3-메틸-1,5-펜탄디올, 2-에틸-1,3-헥산디올, 2-메틸-1,8-옥탄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하이드로퀴논, 레조르신, 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또는 4,4'-비페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성 에너지 경화층은 톨릴렌 디이소시안산염, 클로로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안산염, 테트라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자이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안산염과 수소 첨가 다이페닐메탄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이상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일축 연신이 가능한 필름제조부; 상기 필름제조부에서 베출되는 필름의 상부 및 하부를 압착하여 그루브를 형성하는 그루브 형성용 롤러; 상기 그루브가 형성된 필름의 상면과 하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점착제 도포수단; 및 상기 점착제가 도포된 필름의 양면에 이형필름을 부착하는 합지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방법으로 제작되는 박리용이성 양면 점착 테이프 제조장치를 제공한다(도 20 참조).
본 발명의 필름 제조부(510)는 수평연신을 통하여 상기 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제조정치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평으로 연신이 가능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의 경우 수평방향으로 1방향 이상의 연신축을 형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신축이 길이 방향을 가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수평으로 연신이 가능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필름은 롤러를 통하여 인출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롤러는 후술할 그루브 형성용 롤러와는 달리 표면이 평탄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조된 필름의 표면을 평탄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필름의 제조가 완료된 이후 상기 필름을 그루브 형성용 롤러에 삽입하여 그루브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그루브 형성용 롤러(520)는 표면에 그루브 형성용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므려 상기 돌기의 형상에 따라 상기필름의 표면에 일정한 그루브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상기 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그루브를 형성하는 것을 바람직하므로 상기 그루브 형성용 돌기는 상기 롤러 외주면 표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돌기일 수 있다. 상기 그루브 형성용 돌기를 가지는 롤러를 상하방향으로 위치시킨 다음 상기 롤러의 사이로 상기 필름을 통과시키는 경우 상기 필름에는 일정하게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도 21참조).
아울러 상기와 같은 그루브의 형성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롤러의 전면에는 프리히터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롤러도 일정한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의 경우 수평으로 연신이 가능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적절한 온도로 가열하는 경우 상기 필름의 표면에 연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름을 가열하기 위한 프리히터를 사용함과 더불어 상기 롤러를 일정온도로 가열하는 것으로 상기 필름의 표면에 용이하게 그루브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그루브가 형성된 이후 상기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점착제를 도포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는 점착제 도포수단(530)을 통하여 도포될 수 있으며, 상기 점착제는 스프레이 또는 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필름의 표면에 도포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필름은 표면에 다수개의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프레이 분사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점착제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 도포수단에 의하여 상기 점착제가 도포된 이후 상기 점착제는 경화되어 점착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도포과정에서 도포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점착제는 점도가 낮게 제조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낮은 점조에서는 상기 점착제가 피착면에 잔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필름의 표면에서 뭉치거나 흘러내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도포가 완료된 이후 상기 점착제를 경화시켜 점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점착제의 도포가 완료된 이후 합지수단(540)를 통하여 상기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이형필름을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이형필름은 상기 점착면에 부착되어 본 발명의 점착성 테이프의 사용이전까지 점착면의 경화를 방지함과 동시에 점착면에 이물질이 부착되지 않도록 하는 필름으로, 폴리에틸렌 테리프탈레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스티렌과 같은 고분자 소재로 제작되는 필름이거나 철, 구리, 알루미늄, 아연, 주석 또는 납으로 제조되는 포일일 수 있다.
상기 합지수단은 상기 이형필름을 상기 점착면에 균일하게 부착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실시예 1
천연 고무(SMR) 100 중량부, 해교제(NOCTIZER SZ, Ohuchi Shinko Kagaku K.K.) 0.3 중량부 및 톨루엔 690.7 중량부를 플라스크에 넣고, 80℃에서 10시간동안 교반하여서 해교된 천연 고무 용액을 수득하였다. SIS계 고무(Quintac 3421, ZEON CORPORATION) 30 중량부, 점착성 부여제(U185 제온 코퍼레이션 ZEONCORPORATION) 100 중량부 및 폴리머계 비드 80H(폴리데실 메타크릴레이트, 선진화학) 3중량부를 상기 수득된 용액에 첨가하여서 고형분 25% 인 천연고무-합성 고무계 감압성 접착제 용액을 수득하였다.
수평방향으로 연신하여 제조되는 TPU필름(두께 0.025mm, T-MAX KG, SK F&C)을 그루브 형성용 롤러에 삽입한 다음 상기 필름의 양측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그루브를 형성하였다. 이때 상기 그루브는 깊이가 80㎛이며, 각 그루브 사이의 간격을 100㎛로 하여 형성하였다.
상기 그루브가 형성된 필름에 스프레이 방식으로 상기 감압성 점착제 용액을 분무하였으며, 대기중에 30초간 노출하여 톨루엔을 증발시키는 것으로 점도 3000cps(25℃)이며 두께가 30㎛인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상기의 점착제 용액에 경화제 PAPI 135(DOW Plasitics) 0.5중량부를 첨가하며 경화온도는 최고 온도 130℃이고, 코팅 속도 25m/min으로 코팅을 수행하였다.
상기 코팅이 완료된 이후 상기 필름의 양면에 이형필름을 접착하여 점착성 테이프를 준비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상기 그루브를 1㎛의 깊이를 가지며 2㎛의 간격을 가지도록 제작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상기 그루브를 120㎛의 깊이를 가지며 200㎛의 간격을 가지도록 제작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상기 폴리머계 비드를 0.5중량부를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폴리머계 비드를 7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에서 상기 TPU필름에 5mm의 간격으로 깊이 0.01mm의 분리홈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1에서 상기 필름과 점착제 사이에 활성 에너지 경화층으로 톨릴렌 디이소시안산염을 포함하는 우레탄수지층을 10㎛의 두께로 형성하였으며, 분리이전 자외선을 10초간 조사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폴리머계 비드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TPU 필름의 표면에 그루브를 형성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기존에 시판되는 점착성 필름인 TESA 67210 두께 0.1mm인 양면 점착테이프를 사용하였다.
시험예 1
상기 실시예 1~7 및 비교예 1~3의 물성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을 실시하였다
점착력은 SKT1107에 준하여 측정하였으며, 내열유지력은 SUS 304에 25mm*25mm로 접착 후 80℃, 90℃, 100℃, 110℃, 120℃에서 1kg의 추를 메달아 1시간 후 밀린 거리를 측정하였다.
인장력과 연신율은 ASTM D882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빠짐력은 양면 점착테이프를 10mm*20mm사이즈로 성형 후 유리에 접착 후 2kg의 롤러로 압착하고 1시간 경과 후에 수평 방향으로 빠지는 힘을 측정하였다. 여기서, 빠짐력은 피착제인 유리에서 양면 점착테이프가 수평방향으로 분리될 때 소요되는 힘을 의미한다. 즉, 빠짐력이 높을수록 분리가 어려워 점착제 잔류물이 많고, 빠짐력이 낮을수록 쉽게 분리되어 점착제 잔류물이 없게 된다.
점착력(gf/in) 내열도 (mm) 인장력(gf) 연신률(%) 빠짐력
(gf/10*20mm)
실시예 1 1670 100℃, 2mm 2530 300 744.2
실시예 2 1840 100℃, 2mm 2840 270 681.2
실시예 3 1430 100℃, 4mm 2330 310 787.9
실시예 4 1570 100℃, 3mm 2510 310 643.8
실시예 5 1130 100℃, 2mm 2100 300 761.4
실시예 6 1610 100℃, 2mm 2540 330 819.4
실시예 7 1600 100℃, 2mm 2520 280 818.7
비교예 1 1590 100℃, 4mm 2510 290 348.9
비교예 2 1860 100℃, 2mm 2790 290 397.6
비교예 3 1150 80℃2mm 2010 300 438.4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경우 기존에 판매되는 비교예에 비하여 높은 점착력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빠짐력이 우수하여 분리시 잔유물을 거의 형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분리홈 및 활성에너지 경화층을 가지는 실시예 6 및 7의 경우 점착력은 그대로 보존하면서도 높은 빠진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다만 그루브가 조밀하게 형성된 실시예 2의 경우 점착력은 높아지고 있지만 빠짐력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깊고 넓은 그루브를 가지는 실시예 3의 경우 반대로 빠짐력이 증가하면서 점착력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 그루브의 깊이 및 간격을 조절하는 것으로 빠진력과 점착력을 조절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폴리머계 비드의 경우에도 과소하게 첨가하는 경우 빠림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실시예 4) 과도하게 첨가한 실시예 5의 경우 빠짐력은 증가하였지만, 점착력의 감소가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
110 : 그루브
120: 파단부
200 : 점착제
210 : 폴리머계 비드
300 : 이형필름
400 : 활성에너지 경화층
510 : 필름제조부
520 : 그루브 형성용 롤러
530 : 점착제 도포수단
540 : 합지수단

Claims (20)

  1. 수평으로 연신이 가능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우레탄 필름의 상면과 하면에 점착제를 코팅하는 단계;
    포함하는 점착성이 우수한 박리용이성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는,
    천연고무 100 중량부에 대해 해교제 0.2 내지 0.5 중량부 및 툴루엔 650 내지 700 중량부를 혼합하고 70 내지 90℃에서 8 내지 12시간 동안 교반하여 해교된 고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해교된 고무 용액에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고무 20 내지 40 중량부 및 점착성 부여제 80 내지 120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 용액에 폴리머계 비드 1 내지 5 중량부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점착제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며,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층은 25℃의 온도 및 1.0Hz의 주파수에서 측정된 저장 모듈러스(G'a25)가 1.0x106Pa 미만인 활성 에너지 경화층을 포함하며,
    상기 활성 에너지 경화층은 중합 가능한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폴리 우레탄 및 2 내지 4 개의 중합 가능한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아크릴 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 레이트 화합물은 상기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폴리 우레탄 100 중량부 대비 5 내지 30 중량부이고,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는,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를 혼합한 다음, 일축연신을 통하여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필름의 양면을 롤러로 압착하여 연신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그루브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성이 우수한 박리용이성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210143734A 2021-05-03 2021-10-26 점착성이 우수한 박리용이성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방법 KR102406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734A KR102406412B1 (ko) 2021-05-03 2021-10-26 점착성이 우수한 박리용이성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496A KR102320827B1 (ko) 2021-05-03 2021-05-03 박리용이성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방법
KR1020210143734A KR102406412B1 (ko) 2021-05-03 2021-10-26 점착성이 우수한 박리용이성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496A Division KR102320827B1 (ko) 2021-05-03 2021-05-03 박리용이성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6412B1 true KR102406412B1 (ko) 2022-06-07

Family

ID=7851939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496A KR102320827B1 (ko) 2021-05-03 2021-05-03 박리용이성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방법
KR1020210143734A KR102406412B1 (ko) 2021-05-03 2021-10-26 점착성이 우수한 박리용이성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496A KR102320827B1 (ko) 2021-05-03 2021-05-03 박리용이성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208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70234B1 (ja) 2023-05-31 2024-04-17 有限会社エイケイアイ 電動ドリル用粉塵飛散防止補助具及びこれを用いた壁の穴あけ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0827B1 (ko) * 2021-05-03 2021-11-01 주동식 박리용이성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20348A (ja) * 2008-11-21 2010-06-03 Mitsubishi Rayon Co Ltd 保護フィルム、および保護フィルム付き成形体
JP2018090665A (ja) * 2016-11-30 2018-06-14 共同技研化学株式会社 粘着テープ及び粘着テープの製造方法
KR101961674B1 (ko) * 2018-08-31 2019-03-26 주식회사 에스필름존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 방법
KR102320827B1 (ko) * 2021-05-03 2021-11-01 주동식 박리용이성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76101B2 (ja) * 2002-12-26 2010-11-04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
JP3729820B2 (ja) * 2003-06-12 2005-12-21 シーダム株式会社 積層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108291120B (zh) * 2015-12-17 2021-02-12 Dic株式会社 易剥离性粘着胶带、物品以及物品的解体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20348A (ja) * 2008-11-21 2010-06-03 Mitsubishi Rayon Co Ltd 保護フィルム、および保護フィルム付き成形体
JP2018090665A (ja) * 2016-11-30 2018-06-14 共同技研化学株式会社 粘着テープ及び粘着テープの製造方法
KR101961674B1 (ko) * 2018-08-31 2019-03-26 주식회사 에스필름존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 방법
KR102320827B1 (ko) * 2021-05-03 2021-11-01 주동식 박리용이성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70234B1 (ja) 2023-05-31 2024-04-17 有限会社エイケイアイ 電動ドリル用粉塵飛散防止補助具及びこれを用いた壁の穴あけ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0827B1 (ko) 202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02776B2 (ja) 両面粘着テープ、作製方法、使用方法、およびそれにより組み立てられる物品
KR102406412B1 (ko) 점착성이 우수한 박리용이성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방법
KR102309944B1 (ko) 휴대형 전자 기기용 점착 시트
JP6541775B2 (ja) ワーク加工用粘着テープ
JP4125875B2 (ja) 電気・電子機器用シール材
KR102292340B1 (ko) 양면 점착 테이프 및 전자기기
TWI580569B (zh) Adhesive sheet
KR101961674B1 (ko)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 방법
TWI472429B (zh) 用於吸收衝擊與密封且具有黏性之片狀物及其製造方法
JP6559151B2 (ja) 表面保護用シート
US20130084416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ape
JP6519825B2 (ja) 易剥離性粘着テープ、物品及び物品の解体方法
JP6270437B2 (ja) 粘着テープ、および粘着テープの製造方法
JP2004010662A (ja) 複合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粘着シート
KR102328421B1 (ko) 피착제의 종류와 관계없이 점착가능한 아크릴계 점착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US8697767B2 (en) Production method for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KR102444267B1 (ko) 탈부착이 용이한 양면 점착테이프의 제조방법
TWI789506B (zh) 硬化性黏接劑組成物、使用此組成物之黏接片、含有此黏接片之疊層體及其製造方法
WO2019130741A1 (ja) 光学部材用表面保護シート
JP7453606B2 (ja) 接着シートを含む積層体の製造方法
JP5659863B2 (ja) ポリエステル系樹脂組成物
US20130085250A1 (en) Heat-adherent film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JP7484454B2 (ja) 積層体、携帯電子端末及び車載画像表示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JP2013166275A (ja) 断熱性を有する伸長性有機基材
JP2019173001A (ja) 硬化性接着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接着シート、その接着シートを含む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