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5994B1 - 마이코플라스마 갈리셉티쿰의 야외주와 백신주를 동시에 구별하여 검출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검출방법 - Google Patents

마이코플라스마 갈리셉티쿰의 야외주와 백신주를 동시에 구별하여 검출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검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5994B1
KR102405994B1 KR1020220000654A KR20220000654A KR102405994B1 KR 102405994 B1 KR102405994 B1 KR 102405994B1 KR 1020220000654 A KR1020220000654 A KR 1020220000654A KR 20220000654 A KR20220000654 A KR 20220000654A KR 102405994 B1 KR102405994 B1 KR 102405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mycoplasma gallisepticum
vaccine
primer
simultaneous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0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용석
김정헌
이재승
김금솔
김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젠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젠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젠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220000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9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8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 C12Q1/689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for bacteri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65/00Nucleic acid analysis characterised by mode or means of detection
    • C12Q2565/10Detection mode being characterised by the assay principle
    • C12Q2565/101Interaction between at least two lab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닭 마이코플라즈마 병(Avian mycoplasmosis)의 원인체인 마이코플라즈마 갈리셉티쿰 (Mycoplasma Gallisepticum, MG)의 야외주(wild strain)와 백신주(vaccine strain)를 구별하여 검출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검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기술을 이용하여 야외주와 백신주 각각을 감별하여 검출할 수 있는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들을 조합하여 이들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이코플라스마 갈리셉티쿰의 야외주와 백신주를 동시에 구별하여 검출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검출방법{Composition for simultaneously distinguishing and detecting wild strain and vaccine strain of Mycoplasma Gallisepticum and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닭 마이코플라즈마 병(Avian mycoplasmosis)의 원인체인 마이코플라즈마 갈리셉티쿰 (Mycoplasma Gallisepticum, MG)의 야외주(wild strain)와 백신주(vaccine strain)를 구별하여 검출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검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기술을 이용하여 야외주와 백신주 각각을 감별하여 검출할 수 있는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들을 조합하여 이들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닭 마이코플라즈마 병(Avian mycoplasmosis)은 조류에서 감염되는 마이코플라즈마에 의한 것으로, 이는 17종이 존재하며 그중 8종(Mycoplasma(M) gallisepticum, M. synoviae, M. gallinaceum, M. gallinarum, M. iners, M. iowae, M. lipofaciens, M. pullorum)이 닭에서 분리된 것이다. 그중 닭에서 병원성이 높은 것은 마이코플라즈마 갈리셉티쿰(Mycoplasma gallisepticum, MG)과 마이코플라즈마 시노비에(Mycoplasma Synoviae, MS)에 의한 감염증이다. 이는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닭에서 흔히 발생하는 질병이다.
MG 감염은 흔히 닭에서 기낭염을 수반하는 만성 호흡기병(chronic respiratory disease, CRD)과 칠면조의 전염성 부비동염(infectious sinusitis)을 일으킨다. 일반적인 증상으로 콧물, 이상 호흡음 및 기침 등의 호흡기 증상이 나타나며 육수와 육관이 창백하며 야위고 성장이 지연되며 우모가 거칠고 원기가 없어 보인다. 균을 보유하고 있으면서 임상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으며 이병률은 5~75%로 다양하나 높은 편이고 폐사율은 10% 이내로 낮은 편이다. 그러나 대장균이나 전염성 기관지염 등과 혼합 감염 시 그 증상은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
전염경로는 닭에서 닭으로 전파되는 수평감염과 종계의 종란을 통하여 병아리에 직접 전파되는 수직전염(난계대전염)에 의해 감염된다. 수평감염은 감염계의 호흡기로부터 배출된 비말에 직접 노출되거나 균에 오염된 먼지, 사료 및 음수 등을 통하여 계군 내에서 쉽게 전파되고 계군 간의 전파는 오염된 신발, 양계 기구 등을 통한 간접적인 전염이 이루어진다. 또한 멀리 떨어져 있는 계사나 농장 간의 전파는 야조류나, 야생동물, 차량이나 사람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마이코플라스마 균이 외부환경에 대한 저항성이 약하기 때문에 흔하지 않다. 수직감염인 난계대 전염은 MG, MS의 전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난소나 수란관의 상피세포에 감염되었거나 균에 오염된 정액이 난관을 통해 난황에 감염됨으로써 난계대 전염이 이루어진다.
국내에서는 1964년부터 국외로부터 종란과 초생추가 다량으로 수입된 이래 마이코플라즈마에 대한 양계업계의 관심이 고조되기 시작하였으며, 1967년에 야외 가검계에 대한 혈청검사에서 12%의 MG 양성율이 확인되고 8주의 MG가 분리되면서 MG 감염증이 처음 보고되었다. 이후 1970년에 서울 근교의 종계장을 대상으로 한 혈청검사에서 4.1%가 양성반응을 나타내어 비교적 낮은 편이었으나, 1978년에 6개 지역의 20개의 종계장에 대하여 조사한 MG 감염상황은 20~67%(평균 47.4%)을 나타냄으로써 국내 닭의 전염성 관절활막염 감염률이 상당히 높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이후 혈청검사와 균분리 검사를 통하여 자연 감염 예가 지속적으로 검출되고 있다. 1993년에 보고된 국내 종계군의 마이코플라즈마 항체 보유율 조사결과에서는 MG가 계군별로 75.0%, 개체별로 54.9%의 양성율을 보여 국내 종계장의 대부분이 마이코플라즈마에 감염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국가동물방역통합시스템(KAHIS)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닭 마이코프라즈마 병의 최근 공식 발생 현황은 2008년 1만5603마리(13호), 2009년 6만6738마리(34호), 2010년 8만4160마리(34호), 2011년 1만8749(22호), 2012년 1만2420마리(19호), 2013년에는 2만3920마리(19호), 2014년에는 9250마리(16호), 2015년 4398마리(15호)로 공식 집계되었다.
본 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종란을 통해서 감염되기 때문에 종계군에 대한 마이코플라스마균의 부재계군을 작성하는 것이 중요하며 위생적인 사양 관리 및 차단 방역을 통해서 농장 내로의 균 유입을 막아야 한다. 감염되어 있는 종계군의 경우 모계에 항생제를 투여함으로써 또는 종란을 열처리하거나 항생제 용액에 침지하여 감염율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부재계군으로 출발하였다하더라도 재오염되지 않도록 외부로부터의 철저한 격리를 실시하여야 한다. 오염이 심한 산란계 농장에서 백신에 의한 예방법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국내에 상용화되어있는 MG 백신은 현재 3종이 있다. 상기의 3종의 백신은 MG F 균주를 사용한 백신, MG 6/85 균주를 사용한 백신, 그리고 MG TS-11 균주를 사용한 백신이다. MG F 균주를 사용한 백신은 동결건조 백신으로 음수백신이 가능해 유통과 사용이 편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부작용이 우려되는 단점이 있다. MG 6/85 균주를 사용한 백신은 MG F 균주 백신과 동일하게 동결건조 백신으로 사용이 편리하지만 체내에 머무르는 기간이 짧아 효과가 떨어지는 편이다. 마지막으로 MG TS-11 균주를 사용한 백신은 동결된 백신을 해동해 사용해야 하므로 사용하기에는 불편하며 비용이 비싸지만 부작용 우려가 적은 편이다.
현재 닭 마이코플라즈마 병의 검사 방법으로는, 종계장·부화장 방역관리요령 제 10조의2 (닭마이코플라즈마병 검사방법)에 의해 1차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2차 균분리 검사를 실시한다. 1차 검사에서 검사대상 전체수수의 계사별 양성율이 30%이상인 계사는 양성계군으로 판정하며 1차 검사에서 양성율이 30%미만인 계사에 대하여 2차 검사를 실시한다. 2차 검사결과 1수 이상에서 균분리가 된 계사는 양성계군으로 판정한다. 검사결과 닭 마이코플라즈마 병 양성군으로 판정된 계사의 종계에 대하여는 이동제한 조치를 명하고 종계로서의 사용을 금지해야 하며 종계에서 생산된 씨알을 부화하지 못하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상기의 닭 마이코플라즈마 병의 1차 검사 방법인 ELISA 검사 방법은 MG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야외주 및 백신주 각각을 검출할 수 없다는 점을 개시하고 있다 (Kwak et al. 2016). 때문에 1차 검사로 인해 양성 계군으로 확진되었을 때, 이들이 실제 야외주에 의한 감염인지 또는 백신 접종에 의한 결과인지 감별하기 어렵다. 자칫 MG 백신을 접종한 닭을 자연 감염된 닭으로 오진하게 된다면 해당 계사에 대해서는 종계로서의 사용을 금지하거나 씨알을 부화하지 못하도록 조치함에 따라 해당 계사에 불이익을 초래할 수 있으며 전체 양계 산업에 대한 불이익 또한 초래할 수 있다.
또한, 2차 검사 방법인 균분리 검사의 경우는 멸균 면봉으로 각 시료를 채취하여 각각 액체배지에 접종하여 37℃에서 최소 20일 배양한다. 이후 분리된 닭 마이코플라즈마 병 원인체에 대해 PCR 반응 및 염기서열 비교 분석을 실시하게 된다. 때문에 2차 검사 방법으로는 야외주와 백신주를 구별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균 배양 및 PCR 염기서열 분석 등의 과정을 거쳐야하므로 많은 시간이 소모된다.
중국 공개특허(CN 109971874 A)에서는 마이코플라즈마 갈리셉티쿰 F 백신주에 대한 검출 프라이머쌍에 관한 것으로, 일반 PCR(conventional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통해 MG F 백신주를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는 점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중국 공개특허(CN 109971875 A)에서는 마이코플라즈마 갈리셉티쿰 TS-11 백신주에 대한 검출 프라이머쌍에 관한 것으로, 일반 PCR을 통해 MG TS-11 백신주를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는 점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닭 마이코플라즈마 병 원인체인 MG의 백신주와 야외주를 구별하여 검출할 수 있는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는 아직 개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닭 마이코플라즈마 병 원인체인 MG의 백신 3종 (F, TS-11, 6/85)을 모두 검출할 수 있으며 이들과 야외주를 구별하여 검출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백신주와 야외주를 각각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in silico 방법을 통해 서열을 확인한 후 제작하였다. 상기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기술과 Taqman 프로브법으로 야외주와 백신주를 특이적으로 구분할 수 있고 한 번의 검사로 진단할 수 있는 신속한 진단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MG의 정확한 감염 진단 프로토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닭 마이코플라즈마 (MG)의 야외주와 백신주를 구별하여 검출할 수 있는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제작하여 이를 포함하는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정방향 프라이머 염기서열, (b)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제1 역방향 프라이머 염기서열, (c)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제2 역방향 프라이머 염기서열, (d)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제1 프로브 염기서열, (e) 서열번호 5로 표시되는 제2 프로브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MG의 야외주 및 백신주를 감별할 수 있는 동시 검출용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제공한다(표 1).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포함하는 MG의 야외주 및 백신주를 감별할 수 있는 동시 검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상기 조성물 또는 키트를 사용하여 다중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수행하는 단계; 및 2) 상기 단계 1)로부터 얻은 증폭 산물을 검출 및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MG의 야외주 및 백신주를 감별할 수 있는 동시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키트는 MG의 야외주와 백신주를 각각 또는 다른 바이러스 및 병원체와 구별하여 검출할 수 있을 정도로 특이도가 좋고, 상기 조성물 또는 키트를 사용하여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기술과 Taqman 프로브법을 수행하였을 때 높은 민감도를 나타냈다.
따라서, 본 발명을 통해 MG의 야외주와 국내 시판중인 백신주 간 신속하고 정확한 감별 진단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효율적으로 MG 감염의 효과적인 예방 및 제어가 가능할 것이며, 본 발명을 통하여 고도화된 MG 진단 및 분석기술을 이용한 추가 연구 기반으로의 활용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포함하는 키트를 이용하여 MG의 백신주 및 야외주를 구별하여 검출한 다중 실시간 PCR 결과를 증폭 플롯(amplication plot)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포함하는 키트의 분석적 민감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MG의 야외주를 검출한 다중 실시간 PCR 결과를 증폭 플롯(amplication plot)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포함하는 키트의 분석적 민감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MG의 야외주를 검출한 표준 곡선(standard curve)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포함하는 키트의 분석적 민감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MG의 백신주를 검출한 다중 실시간 PCR 결과를 증폭 플롯(amplication plot)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포함하는 키트의 분석적 민감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MG의 백신주를 검출한 표준 곡선(standard curve)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정방향 프라이머 염기서열, (b)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제1 역방향 프라이머 염기서열, (c)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제2 역방향 프라이머 염기서열, (d)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제1 프로브 염기서열 및 (e) 서열번호 5로 표시되는 제2 프로브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MG의 야외주 및 백신주를 감별할 수 있는 동시 검출용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제공한다(표 1).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MG의 MAHNPLFK_00194 유전자 영역을 특이적으로 증폭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서열번호 1 내지 3의 염기서열로 각각 기재되는 프라이머 세트이다. 여기서, 서열번호 1은 정방향 프라이머이고, 서열번호 2 및 3은 역방향 프라이머이다(표 1).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프라이머(primer)”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를 의미하는 것으로, 핵산쇄(주형)에 상보적인 프라이머 연장 산물의 합성이 유도되는 조건, 즉, 뉴클레오타이드와 DNA 중합효소와 같은 중합제의 존재, 그리고 적합한 온도와 pH의 조건에서 합성의 개시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프라이머는 디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이며 단일쇄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프라이머는 자연(naturally occurring) dNMP(즉, dAMP, dGMP, dCMP 및 dTMP), 변형 뉴클레오타이드 또는 비-자연 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라이머는 리보뉴클레오타이드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라이머는 중합제의 존재 하에서 연장 산물의 합성을 프라이밍시킬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길어야 한다. 프라이머의 적합한 길이는 다수의 요소, 예컨대, 온도, 응용분야 및 프라이머의 소스(source)에 따라 결정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어닐링" 또는 "프라이밍"은 주형 핵산에 올리고디옥시뉴클레오타이드 또는 핵산이 병치(apposition)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병치는 중합효소가 뉴클레오타이드를 중합시켜 주형 핵산 또는 그의 일부분에 상보적인 핵산 분자를 형성하게 한다.
본 발명의 프라이머는 포스포르아미다이트 고체 지지체 방법 또는 기타 널리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화학적으로 합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라이머는 MG의 야외주 및 백신주를 검출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내는 한, 당해 분야에 공지된 많은 수단을 이용하여 변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의 예로는 메틸화, 캡화, 천연 뉴클레오티드 하나 이상의 동족체로의 치환 및 뉴클레이티 간의 변형, 예를 들면 하전되지 않은 연결체(예를 들어, 메틸 포스포네이트, 포스포트리에스테르, 포스포로아미데이트, 카바메이트 등) 또는 하전된 연결체(또는 포스포로티오에이트, 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 등)로의 변형을 포함할 수 있다. 핵산은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공유 결합된 잔기, 예를 들면 단백질(예를 들어, 뉴클레아제, 독소, 항체, 시그널 펩타이드, 폴리-L-리신 등), 삽입제(예를 들어, 아크리딘, 프로랄렌 등), 킬레이트화제(예를 들어, 금속, 방사성 금속, 철, 산화성 금속 등) 및 알킬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라이머는 필요한 경우, 분광학적, 광화학적, 생화학적, 면역화학적 또는 화학적 수단에 의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검출 가능한 표지를 포함할 수 있다. 표지의 예로는, 효소(예를 들어, 호스래디쉬 퍼옥시다제, 알칼린 포스파타아제), 방사성 동위원소(예를 들어, 32P), 형광성 분자 및 화학그룹(예를 들어, 바이오틴) 등이 있다.
상기 프로브 세트는 MG의 야외주 및 백신주의 MAHNPLFK_00194 유전자 영역을 특이적으로 증폭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서, 상기 프로브 세트는 서열번호 4 및 5의 염기서열로 각각 기재되는 프로브 세트이다(표 1).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프로브"는 DNA 또는 RNA와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수 개 내지 수 백개의 염기에 해당하는 핵산 단편을 의미하며, 올리고뉴클레오티드(oligonucleotide) 프로브, 단 쇄 DNA(single stranded DNA) 프로브, 이중 쇄 DNA(double stranded DNA) 프로브 또는 RNA 프로브 등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프로브 세트는 이의 5' 말단에 형광 염료가 접합(부착)된다. 상기 형광 염료는 FAM(6-carboxyfluorescein), 텍사스 레드(Texas red), 플로오레신(fluorescein), 플루오레신 클로르트리아지닐(fluorescein chlorotriazi nyl), HEX(2', 4', 5', 7'-tetrachloro-6-carboxy-4,7-dichlorofluorescein), 로다민 그림(rhodamine green), 로다민 레드(rhodamine red), 테트라메틸로다민(tetramethylrhodamine), FITC(fluorescein isothiocyanate), 오레곤 그린(oregon green), 알렉사 플루오로(alexa fluor), JOE(6-Carboxy-4',5'-Dichloro-2',7'-Dime thoxyfluorescein), ROX(6-Carboxyl-X-Rhodamine), TET(Tetrachloro-Fluorescein), TRITC(tertramethylrodamine isothiocyanate), TAMRA(6-carboxytetramethyl-rhoda mine), NED(N-(1-Naphthyl) ethylenediamine), VIC(2′-chloro-7′phenyl-1,4-dich loro-6-carboxy-fluorescein), 시아닌(Cyanine) 계열 염료 및 씨아디카르보시아닌(thiadicarbocyanine)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외에 당업계에서 형광 염료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이라고 알려진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프로브 세트는 이의 3' 말단에 소광자가 추가로 더 접합(부착)될 수 있다. 상기 소광자는 TAMRA, BHQ(black hole quencher) 1, BHQ2, BHQ3, NFQ(nonfluorescent quencher), 답실(dabcyl), Eclipse, DDQ(deep dark quencher), 블랙베리 퀸처(Blackberry Quencher), 아이오와 블랙(Iowa black)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외에 당업계에서 소광자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이라고 알려진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는 미국국립생물정보센터(NCBI, https://www.ncbi.nlm.nih.gov/)에서 MG 야외주 및 백신주에 대한 유전자 염기서열을 검색한 후, 각 서열을 정렬하여 염기서열 데이터베이스를 확보하여 제작하였다.
MG의 야외주 및 백신주의 확보된 염기서열들은 여러 개의 염기서열을 묶어서 정렬하는 다중 정렬(multi-alignment) 방법으로 분석되었으며, 다중 정렬 결과 MG 야외주 및 백신주 간의 단일염기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부위를 확보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제작하였다(표 1).
상기 디자인한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의 검출율을 확보한 전체 염기서열 database에 대하여 in silico로 확인하였다.
MG 야외주의 경우, 염기서열 상동성 (100%) 기준에서 정방향 프라이머(서열번호: 1), 제1 역방향 프라이머(서열번호: 2), 제1 프로브(서열번호: 4)에서 100%의 검출율을 보였다(표 2).
그 결과, MG 백신주의 경우, 염기서열 상동성 (100%) 기준에서 정방향 프라이머(서열번호: 1), 제2 역방향 프라이머(서열번호: 3), 제2 프로브(서열번호: 5)에서 100%의 검출율을 보였다(표 3).
상기 제작한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이용하여, 다중 실시간 PCR을 수행하여 MG의 백신주와 야외주를 구별하여 검출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에서 제공한 MG 야외주와 백신주의 순수 분리주를 이용하여 하기 표 6에 기재된 프라이머 및 프로브 농도 조건으로 표 7에 기재된 반응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표 8에 기재된 반응 조건에 따라 실시간 PCR 기기(AB7500: Applied Biosystems 7500 Real-time PCR Instrument System, Applied Biosystems, 미국)을 이용하여 실시간 PCR을 수행하고, 검출 소프트웨어 (ABI Version 2.3, 미국)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이용한 다중 실시간 PCR 수행 시, MG의 야외주와 백신주를 구별하여 검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1).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포함하는 MG의 야외주 및 백신주 감별 검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에는 상기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 이외에 DNA 중합효소, Mg2+와 같은 조인자, dATP, dCTP, dGTP 및 dTTP가 포함될 수 있다. DNA 중합효소의 예로 E. coli DNA 중합효소 I의 클레나우단편, 열안정성 DNA 중합효소 또는 박테리오파지 T7 DNA 중합효소가 있다. 중합효소는 박테리아 그 자체로부터 분리하거나, 상업적으로 구입하거나, 또는 중합효소를 암호화하는 클로닝 유전자의 높은 레벨을 발현하는 세포로부터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MG의 야외주 및 백신주의 감별 검출용 키트(kit)를 제공한다.
상기 키트는 검출 방법에 적합한 한 종류 또는 그 이상의 조성물, 용액 또는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트는 MG의 야외주 및 백신주의 타겟 유전자 영역에 대한 특이적인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 이외에도 튜브 또는 다른 적절한 컨테이너, 반응 완충액(pH 및 마그네슘 농도는 다양), 데옥시뉴클레오티드(dNTPs), Taq-폴리머라제와 같은 효소, DNase 억제제, DEPC-수(DEPC-water) 및 멸균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 상기 조성물 또는 키트를 사용하여 다중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수행하는 단계; 및 2) 상기 단계 1)로부터 얻은 증폭 산물을 검출 및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MG의 야외주 및 백신주를 구별하여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PCR)”은 PCR 증폭 산물의 증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분석하는 기술이다(Levak KJ, et al., PCRMethods Appl., 4(6): 357-62(1995)). PCR 생산물의 증가가 타겟 템플레이트의 초기 양과 비례하는 지수기(exponential phase) 동안 각 사이클에서 형광 방출량을 기록하여 PCR 반응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핵산 타겟의 출발 카피 수가 높을수록, 형광 증가가 더 빨리 관찰되고 더 낮은 Ct 값(cycle threshold)을 가지게 된다. 3-15 사이클 사이에서 측정된 기준값보다 높은 형광의 뚜렷한 증가는 축적된 PCR 생산물의 검출을 의미한다.
종래의 PCR 방법에 비해, 실시간 PCR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a) 종래의 PCR은 정체 상태(plateau)에서 측정되는 반면에, 실시간 PCR은 지수성장기(exponential growth phase) 동안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b) 리포터 형광 시그널의 증가는 발생된 앰플리콘(amplicons)의 수와 직접적으로 비례한다; (c) 분해된 프로브는 앰플리콘의 영구적인 기록 증폭(record amplification)을 제공한다; (d) 검출 범위의 증가; (e) 종래 PCR 방법에 비해 1,000배 이상 적은 핵산을 필요로 한다; (f) 전기영동을 통한 분리 없이 증폭된 DNA의 검출이 가능하다; (g) 작은 앰플리콘 크기를 이용하여 증가된 증폭 효율을 획득할 수 있다; 및 (h) 오염 위험성이 적다.
PCR 증폭 산물량은 형광으로 검출 가능한 양에 도달하면 증폭곡선이 일어나기 시작해 지수적으로 시그널이 상승하다가 정체 상태에 도달한다. 초기 DNA량이 많을수록 증폭 산물량이 검출 가능한 양에 달하는 사이클 수가 적어지므로 증폭곡선이 빨리 나타난다. 따라서, 단계적으로 희석한 표준시료를 사용하여 실시간 PCR 반응을 하면 초기 DNA량이 많은 순서로 같은 간격으로 늘어선 증폭 곡선이 얻어진다. 여기서 적당한 지점에 역치(threshold)를 설정하면 역치와 증폭 곡선이 교차하는 지점 Ct 값이 산출된다.
Ct(cycle threshold) 값은 반응에서 발생된 형광이 역치를 넘어서는 사이클 수를 의미하며, 이는 초기 카피 수의 대수에 반비례한다. 그러므로, 특정 웰에 할당된 Ct 값은 반응에서 앰플리콘의 충분한 수가 축적된 사이클의 수를 반영한다. Ct 값은 ΔRn의 증가가 처음으로 검출된 사이클이다. Rn은 각 시점에서 PCR 동안 발생된 형광 시그널의 크기를 의미하며, ΔRn은 레퍼런스 다이의 형광 방출 강도로 나뉘어진 리포터 다이의 형광방출강도(표준화된 리포터 시그널)를 의미한다. Ct 값은 LightCycler에서는 Cp(crossing point)로도 명명된다.
Ct 값은 시스템이 로그-선형 단계(log-linear phase)에서 PCR 생산물의 지수성장과 관련된 형광 시그널의 증가를 검출하기 시작하는 시점을 나타낸다. 이 시기는 반응에 대한 가장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로그-선형 단계의 기울기는 증폭 효율(amplification efficiency, Eff)을 나타낸다(http://www.appliedbiosystems.co.kr/).
실시간 PCR에서는 PCR 증폭 산물을 형광을 통해 검출한다. 검출 방법은 크게 interchelating 방법(SYBR 그린 I 방법), 형광 표지 프로브를 이용하는 방법(TaqMan 프로브 방법) 등이 있다. Interchelating 방법은 이중 가닥 DNA를 모두 검출하기 때문에 유전자별 프로브를 준비할 필요가 없어 저렴한 비용으로 반응계를 구축할 수 있다. 형광 표지 프로브를 이용하는 방법은 고비용이 드는 반면에 검출 특이성이 높아 유사 서열까지도 구별해서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키트 및 검출 방법은 TaqMan 프로브 방법을 이용한다. TaqMan 프로브는 전형적으로 5'-말단에 형광물질(fluorophore) 및 3'-말단에 퀀처(quencher; 예컨대, 오타이드)가 접합되어 있다. 여기된 형광물질은 형광을 내기 보다는 근처의 퀀처에 에너지를 전달한다(FRET = Frster or fluor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 Chen, X.,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4(20): 10756-61(1997)). 그러므로, 프로브가 정상인 경우, 어떠한 형광도 발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TaqMan 프로브는 PCR 생산물의 내부 부위에 어닐링할 수 있도록 고안된다. 구체적으로는, TaqMan 프로브는 본원발명의 타겟 유전자 절편 또는 바이러스 게놈 절편의 내부서열로 고안될 수 있다.
TaqMan 프로브는 어닐링 단계에서 템플레이트 DNA에 특이적으로 혼성화하지만, 프로브 상에 퀀처에 의해 형광 발색이 억제된다. 연장 반응 시에 Taq DNA 폴리머라제가 갖는 5' to 3' 뉴클레아제 활성에 의해 템플레이트에 혼성화한 TaqMan 프로브가 분해되어 형광 색소가 프로브로부터 유리되면서 퀀처에 의한 억제가 해제되어 형광을 나타낸다. 이때, TaqMan 프로브의 5'-말단은 상기 연장 프라이머의 3'-말단의 다운스트림에 위치하여야 한다. 즉, 연장 프라이머의 3'-말단이 주형-의존성 핵산 중합효소에 의해 연장되는 경우, 이 중합효소의 5' to 3' 뉴클레아제 활성에 의해 TaqMan 프로브의 5'-말단이 절단되어 리포터 분자의 형광 시그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방법은 단일 튜브 및 단일 단계(one tube and one step)로 처리되어 교차 오염이 적다.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서 본 발명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포함하는 MG의 야외주 및 백신주 검출 키트를 이용하여 다중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수행하였고, 다양한 종류의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 등에 대해 특이도 및 민감도를 측정하였다.
특이도 측정 결과, 본 발명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포함하는 키트에 의하여 MG의 야외주 및 백신주는 모두 검출되었으나, 그 외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 등에서는 증폭 반응이 검출되지 않아 특이도가 좋은 것을 확인하였다(표 9).
민감도의 경우, MG의 야외주 및 백신주 모두 1.0 X 101 copies/mL 까지 검출이 가능하였다(도 2 내지 5).
또한, 본 발명의 MG 야외주 및 백신주를 구별하여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은 검체로부터 분리된 핵산을 주형으로 다중 실시간 PCR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검체는 임상시료 또는 환경시료로부터 수득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닭의 조직 및 기낭삼출물, 구개틈새의 swab을 배양한 배양액, 또는 산란계와 육계의 혈청 등으로부터 수득되는 시료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아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마이코플라즈마 갈리셉티쿰( Mycoplasma Gallisepticum )의 야외주 및 백신주를 구별하여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및 프로브 제작
미국국립생물정보센터(NCBI, https://www.ncbi.nlm.nih.gov/)에서 MG 야외주 및 백신주에 대한 유전자 염기서열 정보를 수집한 뒤, 야외주와 백신주 간의 SNP를 이용하여 프라이머 및 프로브를 디자인하였다.
MG의 야외주와 백신주의 확보된 염기서열들은 여러 개의 염기서열을 묶어서 정렬하는 다중 정렬 (multi-alignment) 방법으로 분석되었으며, 다중 정렬 결과 염기서열이 변하지 않으며 야외주와 백신주 간의 SNP가 다수 밀집되어있는 영역이 확보되었다. 이에 따라 해당 영역 내에서 프라이머 및 프로브를 디자인하여 제작하였다 (표 1).
마이코플라즈마 갈리셉티쿰(Mycoplasma Gallisepticum, MG)의 야외주 및 백신주에 특이적인 프라이머 및 프로브 염기서열
병원체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서열 (5'-3') 서열번호 타겟 유전자
(영역)
마이코플라즈마 갈리셉티쿰 MG_qPCR_F TTA TGC CAT CTT CTT TCT TGT CTT CTT 1 MAHNPLFK
_00194
MG_qPCR_R1 CTT GTG GTT CTT CGA TTT TTG CC 2
MG_qPCR_R2 CTT GTG GTT CTT CGA TTT TTG CG 3
MG_wild_qPCR_
FAM
CTT GTT TTT GTG CTT AGC 4
MG_vaccine_qPCR_VIC CTT CTT TAT TGC TAA TCA C 5
본 연구에서 디자인한 프로브의 검출율을 수집한 전체 염기서열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in silico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MG 야외주의 경우, 염기서열 상동성 (>95%) 기준에서 정방향 프라이머(서열번호: 1), 제1 역방향 프라이머(서열번호: 2), 제1 프로브(서열번호: 4)에서 100%의 검출율을 보였다(표 2 및 3).
MG 백신주의 경우, 염기서열 상동성 (>95%) 기준에서 정방향 프라이머(서열번호: 1), 제2 역방향 프라이머(서열번호: 3), 제2 프로브(서열번호: 5)에서 100%의 검출율을 보였다(표 4 및 5).
본 발명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의 마이코플라즈마 갈리셉티쿰(Mycoplasma Gallisepticum, MG) 야외주 검출율
타겟 프라이머 및 프로브 염기서열 상동성 (>95%)
야외주 MG_qPCR_F 100% (14 sequences)
MG_qPCR_R1 100% (14 sequences)
MG_wild_qPCR_FAM 100% (14 sequences)
본 발명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와 마이코플라즈마 갈리셉티쿰(Mycoplasma Gallisepticum, MG) 야외주의 상동성 확인 결과
타겟 Acession No. 염기서열 상동성(%)
MG_qPCR_F MG_qPCR_R1 MG_wild_qPCR_FAM
야외주 AE015450 100 100 100
CP001872 100 100 100
CP003506 100 100 100
CP003507 100 100 100
CP003508 100 100 100
CP003509 100 100 100
CP003510 100 100 100
CP003511 100 100 100
CP003512 100 100 100
CP003513 100 100 100
CP006916 100 100 100
CP044226 100 100 100
CP070622 100 100 100
LS991952 100 100 100
본 발명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의 마이코플라즈마 갈리셉티쿰(Mycoplasma Gallisepticum, MG) 백신주 검출율
타겟 프라이머 및 프로브 염기서열 상동성 (>95%)
백신주 MG_qPCR_F 100% (5 sequences)
MG_qPCR_R2 100% (5 sequences)
MG_vaccine_qPCR_VIC 100% (5 sequences)
본 발명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와 마이코플라즈마 갈리셉티쿰(Mycoplasma Gallisepticum, MG) 백신주의 상동성 확인 결과
타겟 Acession No. 염기서열 상동성(%)
MG_qPCR_F MG_qPCR_R2 MG_vaccine_qPCR_VIC
백신주 CP001873 96.3 100 100
CP028146 96.3 100 100
CP044225 100 100 100
CP028147 96.3 100 100
CP044224 100 100 100
실험예 1. 본 발명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이용한 MG의 야외주 및 백신주 검출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작한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이용하여 다중 실시간 PCR을 수행하여 MG의 야외주와 백신주를 구별하여 검출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에서 제공한 MG 야외주와 백신주의 순수 분리주 DNA 시료를 이용하여 하기 표 6에 기재된 프라이머 및 프로브 농도조건으로 표 7에 기재된 반응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표 8에 기재된 반응 조건에 따라 실시간 PCR 기기(ABI7500; Applied Biosystems 7500 Real-time PCR Instrument System, Applied Biosystems, 미국)를 이용하여 실시간 PCR을 수행하고, 검출 소프트웨어(ABI Version 2.3, 미국)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이용한 다중 실시간 PCR 수행 시, MG의 야외주와 백신주를 구별하여 검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1).
병원체 프라이머 및
프로브
최종 농도(nM)
마이코플라즈마 갈리셉티쿰 MG_qPCR_F 500
MG_qPCR_R1 250
MG_qPCR_R2 500
MG_wild_qPCR_FAM 50
MG_vaccine_qPCR_VIC 100
반응 조성물 부피 (μL)
마스터 믹스 10
프라이머 및 프로브 믹스 5
주형 DNA 시료 5
합계 20
온도 (℃) 시간 사이클 수
50 2 분 1
95 10 분 1
95 15 초 40
60* 1 분
* 형광 검출 단계
실험예 2. 본 발명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이용한 다중 실시간 PCR의 분석적 특이도 확인
본 발명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포함하는 MG의 야외주 및 백신주 검출 키트를 이용하여 다중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수행하였고, 다양한 종류의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 등에 대해 특이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포함하는 키트에 의하여 MG의 야외주와 백신주는 모두 검출되었으나, 그 외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 등에서는 증폭 반응이 검출되지 않았다(표 9).
이는 본 발명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가 MG의 야외주 및 백신주를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번호 병원체 출처 검출여부 (+/-)
야외주 백신주
Bacteria/Virus
1 Mycoplasma gallisepticum_야외주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
2 Mycoplasma gallisepticum_백신주(F)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
3 Mycoplasma gallisepticum_백신주(TS-1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
4 Mycoplasma gallisepticum_백신주(6/8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
5 Mycoplasma gallisepticum aKVCC-BA1200149 - -
6 Mycoplasma synoviae KVCC-BA0702556 - -
7 Staphylococcus aureus bATCC 13565 - -
8 Campylobacter jejuni ATCC 33250 - -
9 Salmonella Dublin ATCC 33250 - -
10 Salmonella Heidelberg ATCC 8326 - -
11 Salmonella typhimurium ATCC 29629 - -
12 Salmonella enterica subsp. Enterica ATCC 43971 - -
13 Salmonella enterica subsp. Arizonae cKCTC 12398 - -
14 Salmonella bongori KCTC 12397 - -
15 Shigella flexneri ATCC 12022 - -
16 Shigella boydii KCTC 22528 - -
17 Clostridium perfringens ATCC 12916 - -
18 Bacillus cereus dNCCP 10084 - -
19 Escherichia coli ATCC 43888 - -
20 Listeria monocytogens ATCC 19113 - -
21 Yersinia enterocolitica eKCCM 41657 - -
22 Vibrio vulnificus ATCC 27562 - -
23 Legionella birminghamensis KCTC 12007 - -
24 Legionella israelensis KCTC 12008 - -
25 Legionella pneumopjilasubsp.
Pneumophila
KCTC 12084 - -
26 Bordetella pertussis ATCC 10380 - -
27 Enterococcus spp. KVCC-BA0500611 - -
28 Riemerellaanatipestifer KVCC-BA1100204 - -
29 AMPLIRUN® INFLUENZA H5 RNA CONTROL fVircell (MBC052) - -
30 Influenza A virus (A/wild/duck/korea/MHC35-41/2011(H7N9)) KVCC VR1400047 - -
31 Influenza A virus (A/CK/Kr/MS96/96 (H9N2)) KVCC VR1700061 - -
32 Newcastle disease virus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
33 Infectious bronchitis virus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
aKVCC: Korea Veterinary Culture Collection
bATCC: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cKCTC: Korea Collection for Type Cultures
dNCCP: National Culture Collection for Pathogens
eKCCM: Korean Culture Center of Microorganisms
fVircell: Vircell, S.L (https://en.vircell.com)
실험예 3. 본 발명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이용한 다중 실시간 PCR의 분석적 민감도 확인
다중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 기술을 이용한 MG의 야외주와 백신주 검출 키트의 분석적 민감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MG의 야외주 및 백신주 모두 1.0 X 101 copies/mL 까지 검출이 가능하였다(도 2 내지 5).
<110> KoGene BioTech Co., LTD. <120> Composition for simultaneously distinguishing and detecting wild strain and vaccine strain of Mycoplasma Gallisepticum and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130> 2021P-12-019 <160> 5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G_qPCR_F <400> 1 ttatgccatc ttctttcttg tcttctt 27 <210> 2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G_qPCR_R1 <400> 2 cttgtggttc ttcgattttt gcc 23 <210> 3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G_qPCR_R2 <400> 3 cttgtggttc ttcgattttt gcg 23 <210> 4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G_wild_qPCR_FAM <400> 4 cttgtttttg tgcttagc 18 <210> 5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G_vaccine_qPCR_VIC <400> 5 cttctttatt gctaatcac 19

Claims (18)

  1. 하기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코플라즈마 갈리셉티쿰 (Mycoplasma Gallisepticum, MG)의 야외주(wild strain) 및 백신주(vaccine strain) 동시 검출용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
    (a)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정방향 프라이머 염기서열;
    (b)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제1 역방향 프라이머 염기서열;
    (c)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제2 역방향 프라이머 염기서열;
    (d)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제1 프로브 염기서열; 및
    (e) 서열번호 5로 표시되는 제2 프로브 염기서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서열 (a), (b) 및 (c)는 MG의 MAHNPLFK_00194 유전자 영역을 특이적으로 증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코플라즈마 갈리셉티쿰 (Mycoplasma Gallisepticum, MG)의 야외주(wild strain) 및 백신주(vaccine strain) 동시 검출용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서열 (d) 및 (e)은 TaqMan 프로브 기술이 적용된 것으로써, 이의 5' 말단에 형광 염료 및 이의 3' 말단에 소광자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코플라즈마 갈리셉티쿰 (Mycoplasma Gallisepticum, MG)의 야외주(wild strain) 및 백신주(vaccine strain) 동시 검출용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 염료는 FAM(6-carboxyfluorescein), 텍사스 레드(Texas red), 플로오레신(fluorescein), 플루오레신 클로르트리아지닐(fluorescein chlorotriazi nyl), HEX(2', 4', 5', 7'-tetrachloro-6-carbpxu-4,7-dichlorofluorescein), 로다민 그린(rhodamine green), 로다민 레드(rhodamine red), 테트라메틸로다민(tetramethylrhodamine), FITC(fluorescein isothiocyanate), 오레곤 그린(oregon green), 알렉사 플루오로(alexa fluor), JOE(6-Carboxy-4',5'-Dichloro-2',7'-Dime thoxyfluorescein), ROX(6-Carboxyl-X-Rhodamine), TET(Tetrachloro-Fluorescein), TRITC(tertramethylrodamine isothiocyanate), TAMRA(6-carboxytetramethyl-rhoda mine), NED(N-(1-Naphthyl) ethylenediamine), VIC(2′-chloro-7′phenyl-1,4-dich loro-6-carboxy-fluorescein), 시아닌(Cyanine) 계열 염료 및 씨아디카르보시아닌(thiadicarbocyanine)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코플라즈마 갈리셉티쿰 (Mycoplasma Gallisepticum, MG)의 야외주(wild strain) 및 백신주(vaccine strain) 동시 검출용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광자는 TAMRA, BHQ(black hole quencher) 1, BHQ2, BHQ3, NFQ(nonfluorescent quencher), 답실(dabcyl), Eclipse, DDQ(deep dark quencher), 블랙베리 퀸처(Blackberry Quencher), 아이오와 블랙(Iowa black)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코플라즈마 갈리셉티쿰 (Mycoplasma Gallisepticum, MG)의 야외주(wild strain) 및 백신주(vaccine strain) 동시 검출용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 검출은 MG의 야외주와 백신주를 다른 병원체와 구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코플라즈마 갈리셉티쿰 (Mycoplasma Gallisepticum, MG)의 야외주(wild strain) 및 백신주(vaccine strain) 동시 검출용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병원체는 Mycoplasma synoviae, Staphylococcus aureus, Campylobacter jejuni, Salmonella Dublin, Salmonella Heidelberg, Salmonella typhimurium, Salmonella enterica subsp. Enterica, Salmonella enterica subsp. Arizonae, Salmonella bongori, Shigella flexneri, Shigella boydii, Clostridium perfringens, Bacillus cereus, E. Coli, Listeria monocytogens, Yersinia enterocolitica, Vibrio vulnificus, Legionella birminghamensis, Legionella israelensis, Legionella pneumopjilasubsp., Pneumophila, Bordetella pertussis, Enterococcus spp., Riemerellaanatipestifer, Avian Influenza H5, Avian Influenza H7, Avian Influenza H9, Newcastle disease virus, Infectious bronchitis virus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코플라즈마 갈리셉티쿰 (Mycoplasma Gallisepticum, MG)의 야외주(wild strain) 및 백신주(vaccine strain) 동시 검출용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 검출은 MG의 야외주 및 백신주를 구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코플라즈마 갈리셉티쿰 (Mycoplasma Gallisepticum, MG)의 야외주(wild strain) 및 백신주(vaccine strain) 동시 검출용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MG의 야외주는 MAHNPLFK_00194 유전자 영역으로부터 선택된 MG 특이적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통해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코플라즈마 갈리셉티쿰 (Mycoplasma Gallisepticum, MG)의 야외주(wild strain) 및 백신주(vaccine strain) 동시 검출용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MG의 백신주는 MAHNPLFK_00194 유전자 영역으로부터 선택된 MG 특이적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통해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코플라즈마 갈리셉티쿰 (Mycoplasma Gallisepticum, MG)의 야외주(wild strain) 및 백신주(vaccine strain) 동시 검출용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는 다중(multiplex) 실시간(real-time)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코플라즈마 갈리셉티쿰 (Mycoplasma Gallisepticum, MG)의 야외주(wild strain) 및 백신주(vaccine strain) 동시 검출용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는 최소검출한계가 1.0X101 copies/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코플라즈마 갈리셉티쿰 (Mycoplasma Gallisepticum, MG)의 야외주(wild strain) 및 백신주(vaccine strain) 동시 검출용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
  13. 제1항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코플라즈마 갈리셉티쿰 (Mycoplasma Gallisepticum, MG)의 야외주(wild strain) 및 백신주(vaccine strain) 동시 검출용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역전사 중합효소, DNA 중합효소, Mg2+와 같은 조인자, dATP, dCTP, dGTP 및 dTTP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코플라즈마 갈리셉티쿰 (Mycoplasma Gallisepticum, MG)의 야외주(wild strain) 및 백신주(vaccine strain) 동시 검출용 조성물.
  15. 제1항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 또는 제13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코플라즈마 갈리셉티쿰 (Mycoplasma Gallisepticum, MG)의 야외주(wild strain) 및 백신주(vaccine strain) 동시 검출용 키트.
  16. 1) 제13항의 조성물 또는 제15항의 키트를 사용하여 다중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수행하는 단계; 및
    2) 상기 단계 1)로부터 얻은 증폭 산물을 검출 및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코플라즈마 갈리셉티쿰 (Mycoplasma Gallisepticum, MG)의 야외주(wild strain) 및 백신주(vaccine strain) 동시 검출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 세트는 단일 튜브 및 단일 단계(one tube and one step)로 처리되어 교차 오염이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코플라즈마 갈리셉티쿰 (Mycoplasma Gallisepticum, MG)의 야외주(wild strain) 및 백신주(vaccine strain) 동시 검출방법.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 검출방법은 i) MG의 야외주 및 다른 병원체, ii) MG의 백신주 및 다른 병원체, iii) MG의 야외주 및 백신주 또는 i)~iii) 모두를 구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코플라즈마 갈리셉티쿰 (Mycoplasma Gallisepticum, MG)의 야외주(wild strain) 및 백신주(vaccine strain) 동시 검출방법.
KR1020220000654A 2022-01-04 2022-01-04 마이코플라스마 갈리셉티쿰의 야외주와 백신주를 동시에 구별하여 검출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검출방법 KR102405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654A KR102405994B1 (ko) 2022-01-04 2022-01-04 마이코플라스마 갈리셉티쿰의 야외주와 백신주를 동시에 구별하여 검출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검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654A KR102405994B1 (ko) 2022-01-04 2022-01-04 마이코플라스마 갈리셉티쿰의 야외주와 백신주를 동시에 구별하여 검출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검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5994B1 true KR102405994B1 (ko) 2022-06-09

Family

ID=81985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0654A KR102405994B1 (ko) 2022-01-04 2022-01-04 마이코플라스마 갈리셉티쿰의 야외주와 백신주를 동시에 구별하여 검출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검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599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7826A (ko) * 2003-08-11 2005-02-23 국윤호 마이코플라즈마의 탐지 및 동정
KR20130128334A (ko) * 2012-05-16 2013-11-2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코플라즈마 오염 유무 확인을 위한 프라이머 세트, TaqMan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Real―Time PCR 시험 방법
WO2016038877A1 (ja) * 2014-09-10 2016-03-17 国立大学法人東京医科歯科大学 マイコプラズマを検出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7826A (ko) * 2003-08-11 2005-02-23 국윤호 마이코플라즈마의 탐지 및 동정
KR20130128334A (ko) * 2012-05-16 2013-11-2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코플라즈마 오염 유무 확인을 위한 프라이머 세트, TaqMan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Real―Time PCR 시험 방법
WO2016038877A1 (ja) * 2014-09-10 2016-03-17 国立大学法人東京医科歯科大学 マイコプラズマを検出する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inga m. Sulyok et al., Journal of Clinical Microbiology, 57(6), e01084-18, 20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74000B (zh) 一种区分asfv野毒株与双基因缺失株的三重荧光定量pcr检测材料及试剂盒
CN107299155A (zh) 一种鹅星状病毒实时荧光定量pcr检测的引物和探针
CN109136410B (zh) 猫泛白细胞减少症病毒lamp检测引物组、试剂盒以及检测方法
CN110229932B (zh) 非洲猪瘟病毒核酸免提取荧光等温扩增检测试剂盒
KR101149422B1 (ko) 우역 바이러스, 가성우역 바이러스, 블루텅 바이러스, 리프트 계곡열 바이러스의 동시 검출을 위한 다중 프라이머 세트 및 그를 이용한 검출 방법
JP2019201660A (ja) Cpv2a、2b及び2cを検出する方法及び野生型をワクチン型から識別する方法
US8609375B2 (en) Method for detecting viable cells in a sample by using a virus
KR102231338B1 (ko) 조류인플루엔자, 뉴캐슬병 및 닭전염성 기관지염 바이러스를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및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조류인플루엔자, 뉴캐슬병 및 닭전염성 기관지염 바이러스의 검출 방법
CN114790490A (zh) 一种可区分牛种和羊种布鲁氏菌的分子标记和检测方法
US9163287B2 (en) Rapid salmonella serotyping assay
KR20090100950A (ko) 실시간 pcr을 이용한 브루셀라 속 균주의 검출 방법
KR102405994B1 (ko) 마이코플라스마 갈리셉티쿰의 야외주와 백신주를 동시에 구별하여 검출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검출방법
CN114395643A (zh) 非洲猪瘟病毒的双通道数字pcr检测试剂盒及方法
KR102293563B1 (ko) 돼지 장염 코로나바이러스 동시 검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238561B1 (ko) 중증 열성 혈소판 감소 증후군(sfts) 바이러스 감염 질환 진단용 키트
KR20240003001A (ko) 마이코플라스마 시노비애의 야외주와 백신주를 동시에 구별하여 검출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검출방법
Ahmed et al. Development of real-time PCR assay for simultaneous detection and genotyping of cystic echinococcosis in humans and livestock
KR102532166B1 (ko) 돼지열병을 유발하는 바이러스의 검출 또는 판별을 위한 조성물 및 방법
RU2802929C1 (ru) Набор специфических олигодезоксирибонуклеотидных праймеров и флуоресцентно-меченого зонда для идентификации фрагмента гена N, кодирующего нуклеокапсидный белок коронавируса кошек/вируса инфекционного перитонита кошек (FCoV, FIP)
EP1612283B1 (en) Genotype specific detection of chlamydophila psittaci
KR102435209B1 (ko) 인플루엔자 a형 및 b형 바이러스와 제2형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를 구별하여 동시에 검출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검출 방법
RU2799416C1 (ru) Набор олигодезоксирибонуклеотидных праймеров и флуоресцентно-меченого зонда к фрагменту ДНК гена 16S рибосомальной РНК рода Ureaplasma семейства Mycoplasmataceae порядка Mycoplasmatales (Ureaplasma spp.) класса Mollicutes для детекции патогенных уреаплазм кошек и собак
CN104685068A (zh) 鸟分枝杆菌亚种副结核分枝杆菌的检测方法
CN108753999B (zh) 用于检测鸽副伤寒沙门氏菌的核酸、试剂盒及检测方法
KR102618075B1 (ko)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세트를 포함하는 사료의 살모넬라 d 그룹 신속 검출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