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677B1 - 분지형 dna 덴드리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분지형 dna 덴드리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677B1
KR102404677B1 KR1020200031428A KR20200031428A KR102404677B1 KR 102404677 B1 KR102404677 B1 KR 102404677B1 KR 1020200031428 A KR1020200031428 A KR 1020200031428A KR 20200031428 A KR20200031428 A KR 20200031428A KR 102404677 B1 KR102404677 B1 KR 102404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
nucleotide sequences
complementary
dna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5527A (ko
Inventor
이주영
오종한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31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677B1/ko
Publication of KR20210115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Nucle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88Compounds having three or more nucleosides or nucleotides
    • A61K31/711Natural deoxyribonucleic acids, i.e. containing only 2'-deoxyriboses attached to adenine, guanine, cytosine or thymine and having 3'-5' phosphodiester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ir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지형 DNA 덴드리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Y-분지형 구조의 DNA 덴드리머 또는 X-분지형 구조의 DNA 덴드리머가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사이토카인인 IL-1β의 분비를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Y-분지형 구조의 DNA 덴드리머 또는 X-분지형 구조의 DNA 덴드리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분지형 DNA 덴드리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A Composition comprising branched DNA dendrimer as an active ingredient for enhancing immunity}
본 발명은 분지형 DNA 덴드리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면역은 체내에서 외래성 및 내인성 이물질을 생리적으로 인식하고, 이를 제거 및 대사시키는 자기 방어 반응이다. 면역 반응은 초기 면역반응인 선천성 면역반응(innate immunity)과 후기 면역반응인 후천성 면역반응(acquired immunity)으로 구분될 수 있다.
선천성 면역반응은 자연 면역이라고도 하며, 일반적으로 모든 감염원에 비특이적으로 반응하여 제거하기 위해 나타나는 염증과 같은반응을 일컫는다. 후천성 면역반응은 감염원에 의한 선천성 면역반응 후에 면역 세포들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 분열로 나타나는 면역 형태이다. 그러나 일부 환자들은 면역 세포들이 분화되지 않거나, 감염원을 인식하지 못하는 등의 면역 결핍으로 감염원을 제거하지 못하여 질병이 유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면역 결핍(immunodeficiency) 현상이 지속되면, 감염에 대한 저항력이 저하되고, 항체가 생성되지 않아 세균에 의한 감염을 방어할 수 없으며, 호중구의 탐식작용 능력도 저하되어 다양한 면역결핍 질환이 발병한다 이 경우에는 보체계(complement system) 활성화 반응도 저하되기 때문에 백혈구 유주인자 등이 생성되지 않아, 염증발생율이 높아지고, 바이러스 혈증이 일어나 중추신경이나 다른 곳으로 확산되기도 한다. 암 환자의 경우, 화학요법이나 방사선치료 과정에서 암 세포뿐만 아니라 정상세포까지 영향을 줌으로써 환자의 면역력이 급격히 저하되는 부작용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면역결핍 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면역 증진제가 개발되고 있다.
한편, 독특한 형태의 DNA는 보호 면역, 알레르기 반응 감소, 백신 반응 보조제 및 암 면역 요법 등의 제제로 연구되어 왔다. 최근 임상 연구에서는 DNA의 몇몇 모형은 흑색종, 유방암, 난소암 및 림프종을 포함하는 암, 말라리아 감염, 및 폐염의 치료를 위한 제제로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특정 형태의 DNA 덴드리머가 면역 세포의 사이토카인 분비를 증진하는 활성이 있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Y-분지형 구조의 DNA 덴드리머 또는 X-분지형 구조의 DNA 덴드리머가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사이토카인인 IL-1β의 분비를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Y-분지형 구조의 DNA 덴드리머 또는 X-분지형 구조의 DNA 덴드리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Y-분지형 구조의 DNA 덴드리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X-분지형 구조의 DNA 덴드리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면역 증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면역결핍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면역 증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면역결핍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면역 증진용 조성물은 Y-분지형 구조의 DNA 덴드리머 또는 X-분지형 구조의 DNA 덴드리머가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사이토카인인 IL-1β의 분비를 증가시키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됨에 따라, Y-분지형 구조의 DNA 덴드리머 또는 X-분지형 구조의 DNA 덴드리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면역 증진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Y-분지형 구조의 DNA 덴드리머 및 X-분지형 구조의 DNA 덴드리머의 구조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Y-분지형 구조의 DNA 덴드리머 또는 X-분지형 구조의 DNA 덴드리머가 사이토카인 IL-1β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수치 범위는 상기 범위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Y-분지형 구조의 DNA 덴드리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Y-분지형 구조의 DNA 덴드리머는 서열번호 1, 서열번호 2, 서열번호 3, 서열번호 4, 서열번호 5 및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로 나타내는 뉴클레오타이드들의 상보적 결합에 의해 형성된다. 서열번호 1, 3, 및 5는 36개의 염기서열로 구성되고, 서열번호 2, 4, 및 6은 108개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며, 서로 상보적인 결합에 의해 도 1로 표현되는 Y-분지형 구조의 DNA 덴드리머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Y-분지형 구조의 DNA 덴드리머는 (1) 서열번호 1의 1번부터 18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6의 91번부터 108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고, (2) 서열번호 1의 19번부터 36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2의 1번부터 18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고, (3) 서열번호 2의 19번째부터 54번까지 36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6의 55번부터 90번까지 36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고, (4) 서열번호 2의 55번부터 90번까지 36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4의 19번부터 54번까지 36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고, (5) 서열번호 2의 91번부터 108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3의 1번부터 18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고, (6) 서열번호 3의 19번부터 36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4의 1번부터 18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고, (7) 서열번호 4의 55번부터 90번까지 36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6의 19번부터 54번까지 36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고, (8) 서열번호 4의 91번부터 108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5의 1번부터 18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고, (9) 서열번호 5의 19번부터 36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6의 1번부터 18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열번호 1 내지 6의 염기서열은 5’부터 3’으로 순서가 매겨지며, 서로 상보적인 결합을 통해 도 1로 표현되는 Y-분지형 구조의 DNA 덴드리머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X-분지형 구조의 DNA 덴드리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X-분지형 구조의 DNA 덴드리머는 서열번호 7, 서열번호 8, 서열번호 9, 서열번호 10, 서열번호 11, 서열번호 12, 서열번호 13, 서열번호 14, 서열번호 15, 서열번호 16, 서열번호 17 및 서열번호 18의 염기서열로 나타내는 뉴클레오타이드들의 상보적 결합에 의해 형성된다. 서열번호 7, 9, 10, 12, 13, 15, 16, 및 18은 36개의 염기서열로 구성되고, 서열번호 8, 11, 14 및 17은 108개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며, 서로 상보적인 결합에 의해 도 1로 표현되는 X-분지형 구조의 DNA 덴드리머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X-분지형 구조의 DNA 덴드리머는 (1) 서열번호 7의 1번부터 18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18의 19번부터 36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고, (2) 서열번호 7의 19번부터 36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8의 1번부터 18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고, (3) 서열번호 8의 19번부터 54번까지 36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17의 55번부터 90번까지 36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고, (4) 서열번호 8의 55번부터 90번까지 36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11의 19번부터 54번까지 36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고, (5) 서열번호 8의 91번부터 108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9의 1번부터 18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고, (6) 서열번호 9의 19번부터 36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10의 1번부터 18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고,. (7) 서열번호 10의 19번부터 36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11의 1번부터 18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고, (8) 서열번호 11의 55번부터 90번까지의 36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14의 19번부터 54번까지의 36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고, (9) 서열번호 11의 91번부터 108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12의 1번부터 18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고, (10) 서열번호 12의 19번부터 36번까지의 18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13의 1번부터 18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고, (11) 서열번호 13의 19번부터 36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14의 1번부터 18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고, (12) 서열번호 14의 55번부터 90번까지 36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17의 19번부터 54번까지 36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고, (13) 서열번호 14의 91번부터 108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15의 1번부터 18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고, (14) 서열번호 15의 19번부터 36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16의 1번부터 18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고, (15) 서열번호 16의 19번부터 36번까지의 18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17의 1번부터 18번까지의 18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고, (16) 서열번호 17의 91번부터 108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18의 1번부터 18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열번호 7 내지 18의 염기서열은 5’부터 3’으로 순서가 매겨지며, 서로 상보적인 결합을 통해 도 1로 표현되는 X-분지형 구조의 DNA 덴드리머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DNA 덴드리머는 규칙적인 가지 구조를 가지는 DNA 분자로, 중심의 Y형 또는 X형 구조를 가지며, 각 구조의 끝에 중심 구조와 동일한 형태로 가지를 형성한 형태를 의미한다.
상기 Y-분지형 구조의 DNA 덴드리머 또는 X-분지형 구조의 DNA 덴드리머는 면역 세포에서 사이토카인인 IL-1β의 분비를 증가시켜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수지상 세포의 IL-1β의 분비를 증가시켜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면역 증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면역결핍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면역결핍 질환은 선천성 면역결핍증, 암, 만성바이러스 감염, 골수이식 후 면역결핍증, 박테리아 패혈증 또는 항암 치료 후 면역결핍증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면역력을 향상시켜서 치료해야 하는 질환들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및 카타플라스마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외용제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제형화를 위해 추가로 있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 희석제는 전분, 당, 및 만니톨과 같은 부형제, 칼슘 포스페이트 등과 같은 충전제 및 증량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과 같은 셀룰로오스 유도체, 젤라틴, 알긴산염, 및 폴리비닐 피롤리돈 등과 같은 결합제, 활석, 스테아린산 칼슘, 수소화 피마자유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윤활제, 포비돈, 크로스포비돈과 같은 붕해제, 폴리소르베이트, 세틸알코올, 및 글리세롤 등과 같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 희석제는 대상체에게 생물학적 및 생리학적으로 친화적인 것일 수 있다. 희석제의 예로는 염수, 수용성 완충액, 용매 및/또는 분산제(dispersion media)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대상체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면역 증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면역결핍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식품으로써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 식품"이라 함은 건강기능 식품에 관한 법률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들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정제, 캡슐,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슐 형태의 건강기능 식품 중 경질캡슐제는 통상의 경질캡슐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 및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캡슐제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으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하고 젤라틴 등 캡슐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캡슐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교미제, 착향제 등에 대한 용어 정의는 당업계에 공지된 문헌에 기재된 것으로 그 기능 등이 동일 내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한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질환의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치료”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개선"이란 본 발명의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거나 섭취시켜 질환의 나쁜 상태를 좋게 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험예 및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험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험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험예 및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 등에서 사용한 시약은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것으로, 최상품을 사용하였으며,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Sigma-aldrich사에서 구입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하기의 실험예들은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실시예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실험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1. 실험 동물 샘플
모든 동물은 국립 과학 아카데미(National Academy of Sciences)가 준비하고, 국립 보건원(National Institutes of Health)에 의해 출판된 “실험실 동물의 치료 및 사용을 위한 가이드 (Guide for the Care and Use of Laboratory Animals)”에 설명된 기준에 따라 인도적 치료를 받았다. 모든 실험 절차는 가톨릭대학교의 동물실험 윤리 위원회(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IACUC)가 승인한 의정서에 따라 수행되었다 (허가 번호 2016-004-02).
2. 동물 및 세포 배양
동물 관리 및 연구 방법은 가톨릭대학교의 동물실험 윤리 위원회(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IACUC)의 지침에 따라 수행되었다(허가 번호 2012-5-001).
C57BL/6 마우스는 오리엔트바이오(서울, 한국)에서 구입하였으며, 실험 전 최소 1주일 동안 동물 시설에서 특정 병원균이 없는 조건하에서 적응하였다. 마우스는 23±3℃, 상대 습도 40% 내지 60% 조건으로 사육되었다. Balb/C TLR9 녹아웃(KO) 마우스는 강원도 한림대학교로부터 수득하였다.
수지상 세포(dendritic cells, cDCs)를 준비하기 위해, 골수 세포를 마우스로부터 분리하고, 10%(v/v) 열 불활성 태아 소 혈청(Life Technologies; Grand Island, NY, USA), 50 μM 2- mercaptoethanol, 100 units/mL 페니실린, 100 μg/mL 스트렙토마이신, 2 mM 글루타민 및 3% J558L 하이브리도마 세포 배양 상급제 과립(과립구-대식세포 콜로니 자극 인자(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GMCSF) 함유)을 포함하는 RPMI1640 배지에 6 일 동안 배양하였다. 비부착 세포는 수지상 세포 (DC)로 사용하였다.
3. 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IL-1β의 농도는 제조사(R&D Systems)의 지시에 따라 ELISA로 측정하였다. 각 플레이트는 아이크로 플레이트 리더(Molecular Devices, San Francisco, CA, USA)로 450 nm 파장에서 판독되었다. 표준 곡선의 농도 범위는 46.875 pg/mL 내지 3000 pg/mL이고, 샘플은 표준 곡선 범위 내에서 측정하기 위해 적절하게 희석되었습니다.
4. 통계 분석
통계 분석은 소프트웨어 그래프 패드 프리즘7 (GraphPad Software, San Diego, CA)을 사용하여 수행되었으며, 모든 데이터는 파라메터 통계 검정을 적용하기 전에 Kolmogorov-Smirnov 시험에 의해 평균± SEM으로 표시하였다. 데이터 집합은 단방향 ANOVA로 분석되었으며, Brown-Forsythe 테스트에서 분산 차이를 테스트한 후 동일한 표본 크기의 데이터 그룹이 비슷한 분산을 갖도록 했습니다. P-값이 <0.05 인 경우는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제조예>
본 발명에 따른 분지형 구조의 DNA 덴드리머의 면역 증진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서, 분지형 구조의 DNA 덴드리머 및 비교군을 제조하였다. 비교군으로 제조된 X형 구조의 DNA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4521호를 참고하였고, Y형 구조의 DNA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5290호를 참고하였다.
10 mM Tris-HCl, [0084] pH 8.0, 1mM EDTA, 50mM NaCl을 혼합하여 어닐링 버퍼를 준비하고, 하기 표 1에 기재된 각각의 DNA구조를 구성하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들의 조합을 각각 동일한 양으로 10mM Tris-HCl, pH 8.0, 1mM EDTA, 50mM NaCl으로 제조된 어닐링 버퍼에 용해하고, 멸균된 Milli-Q 워터를 첨가하여 최종 농도가 0.5mM이 되도록 준비하였다. 혼합물을 95℃에서 5분, 65℃에서 2분, 62℃에서 1분간 반응시키고, 서서히 4℃까지 온도를 낮추어 주었다. 제조된 각각의 구조의 DNA들은 21% PAGE를 이용하여 200V에서 1.5-2 시간동안 전기영동하여 확인하였다.
Y-분지형 구조의 DNA 덴드리머
구분 염기서열 (5'-3') 서열번호
Yb1 GTCGCTGACACTGTGATGGGATTGTAGGTGAACGCT 1
Yb2 AGCGTTCACCTACAATCCAGGAGTCACGCTTACAGA ATCTATGTCCGGTAGTGAAATGAGAACGATCTCTGA GGTGGATCTCGGACATGAGTTCAGAGCGTAAAGGTT 2
Yb3 AACCTTTACGCTCTGAACCATACCTGTCGACTTGAA 3
Yb4 TTCAAGTCGACAGGTATGTCATGTCCGAGATCCACC TCAGAGATCGTTCTCATTGGAGTAACGGTCTGTGTC TGACCTATAGCTTGTCTGGTCCAGTGCTGTGTCCTT 4
Yb5 AAGGACACAGCACTGGACATTTGTTCGTGGAGACTT 5
Yb6 AAGTCTCCACGAACAAATCAGACAAGCTATAGGTCA GACACAGACCGTTACTCCTCACTACCGGACATAGAT TCTGTAAGCGTGACTCCTCATCACAGTGTCAGCGAC 6
X-분지형 구조의 DNA 덴드리머
구분 염기서열 (5'-3') 서열번호
Xb1 GTCGCTGACACTGTGATGGGATTGTAGGTGAACGCT 7
Xb2 AGCGTTCACCTACAATCCAGGAGTCACGCTTACAGA ATCTATGTCCGGTAGTGAAATGAGAACGATCTCTGA GGTGGATCTCGGACATGAGTTCAGAGCGTAAAGGTT 8
Xb3 AACCTTTACGCTCTGAACCATACCTGTCGACTTGAA 9
Xb4 TTCAAGTCGACAGGTATGAATACACAGCATGTTCTT 10
Xb5 AAGAACATGCTGTGTATTTCATGTCCGAGATCCACC TCAGAGATCGTTCTCATTGGAGTAACGGTCTGTGTC TGACCTATAGCTTGTCTGGTCCAGTGCTGTGTCCTT 11
Xb6 AAGGACACAGCACTGGACTGGACCATTGCTTGAGTA 12
Xb7 TACTCAAGCAATGGTCCAATTTGTTCGTGGAGACTT 13
Xb8 AAGTCTCCACGAACAAATCAGACAAGCTATAGGTCA GACACAGACCGTTACTCCCACTCATCGCTGACAACT CATCAGTTGCTTCTATGAGTCAGTACGCAGAGTGAA 14
Xb9 TTCACTCTGCGTACTGACCATTATCCGATATCACTT 15
Xb10 AAGTGATATCGGATAATGTCAGAATAGCAATTAGTT 16
Xb11 AACTAATTGCTATTCTGATCATAGAAGCAACTGATG AGTTGTCAGCGATGAGTGTCACTACCGGACATAGAT TCTGTAAGCGTGACTCCTAATTGAGTCGGATACCTT 17
Xb12 AAGGTATCCGACTCAATTCATCACAGTGTCAGCGAC 18
이중나선 DNA
구분 염기서열 (5'-3') 서열번호
Ds1 ATCTATGTCCGGTAGTGAAATGAGAACGATCTCTGA 19
Ds2 TAGATACAGGCCATCACTTTACTCTTGCTAGAGACT 20
Y형 구조의 DNA
구분 염기서열 (5'-3') 서열번호
Ys1 TGA CTG GAT CCG CAT GAC ATT CGC CGT AAG 21
Ys2 TGA CCT TAC GGC GAA TGA CCG AAT CAG CCT 22
Ys3 TGA CAG GCT GAT TCG GTT CAT GCG GAT CCA 23
X형 구조의 DNA
구분 염기서열 (5'-3') 서열번호
Xs1 TGA CGA TGA ATA GCG GTC AGA TCC GTA CCT 24
Xs2 TGA CAG GTA CGG ATC TGC GTA TTG CGA ACG 25
Xs3 TGA CCG TTC GCA ATA CGG CTG TAC GTA TGG 26
Xs4 TGA CCC ATA CGT ACA GCA CCG CTA TTC ATC 27
상기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Y-분지형 구조의 DNA 덴드리머의 경우 서열번호 1 내지 6으로 표시되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들이 서로 상보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 X-분지형 구조의 DNA 덴드리머의 경우 서열번호 7 내지 18로 표시되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들이 서로 상보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비교군으로 사용된 이중나선 DNA의 경우 서열번호 19 및 20으로 표시되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들이 서로 상보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 Y형 구조의 DNA의 경우 서열번호 21 내지 23으로 표시되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들이 서로 상보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 X형 구조의 DNA의 경우 서열번호 24 내지 27로 표시되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들이 서로 상보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실시예 1: 면역 사이토카인 생성 효과 분석
상기 제조예에 따라 제조된 분지형 구조의 DNA 덴드리머 및 비교군에 면역 증진 활성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이들 DNA 구조가 수지상 세포의 사이토카인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배양된 수지상 세포에 제조예에 따라 제조된 각각의 분지형 구조의 DNA 덴드리머 또는 비교군 DNA를 처리한 후, 수지상 세포에서 분비되는 IL-1β의 양을 ELISA로 측정하였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조예에 따라 제조된 DNA들을 처리한 수지상 세포는 비처리 수지상 세포보다 IL-1β의 양이 증가하였고, 특히, X-분지형 DNA 덴드리머 또는 Y-분지형 DNA 덴드리머로 처리된 수지상 세포에서 분비되는 IL-1β의 양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상기 결과는 제조예에 따라 제조된 분지형 DNA 덴드리머가 다른 구조의 DNA보다 수지상 세포에서 사이토카인인 IL-1β의 분비를 촉진하는 활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입증한다. 따라서 분지형 구조의 DNA 덴드리머는 항원 제시 세포인 수지상 세포를 활성화시켜 면역 사이토카인 및 보조 자극 분자의 생성을 유도하고 그 결과 후천성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분지형 구조의 DNA 덴드리머는 면역 증진제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즉,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
<110> The Catholic University <120> A Composition comprising branched DNA dendrimer as an active ingredient for enhancing immunity <130> ADP-2020-0048 <160> 27 <170> KoPatentIn 3.0 <210> 1 <211> 3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Yb1 <400> 1 gtcgctgaca ctgtgatggg attgtaggtg aacgct 36 <210> 2 <211> 10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Yb2 <400> 2 agcgttcacc tacaatccag gagtcacgct tacagaatct atgtccggta gtgaaatgag 60 aacgatctct gaggtggatc tcggacatga gttcagagcg taaaggtt 108 <210> 3 <211> 3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Yb3 <400> 3 aacctttacg ctctgaacca tacctgtcga cttgaa 36 <210> 4 <211> 10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Yb4 <400> 4 ttcaagtcga caggtatgtc atgtccgaga tccacctcag agatcgttct cattggagta 60 acggtctgtg tctgacctat agcttgtctg gtccagtgct gtgtcctt 108 <210> 5 <211> 3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Yb5 <400> 5 aaggacacag cactggacat ttgttcgtgg agactt 36 <210> 6 <211> 10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Yb6 <400> 6 aagtctccac gaacaaatca gacaagctat aggtcagaca cagaccgtta ctcctcacta 60 ccggacatag attctgtaag cgtgactcct catcacagtg tcagcgac 108 <210> 7 <211> 3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Xb1 <400> 7 gtcgctgaca ctgtgatggg attgtaggtg aacgct 36 <210> 8 <211> 10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Xb2 <400> 8 agcgttcacc tacaatccag gagtcacgct tacagaatct atgtccggta gtgaaatgag 60 aacgatctct gaggtggatc tcggacatga gttcagagcg taaaggtt 108 <210> 9 <211> 3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Xb3 <400> 9 aacctttacg ctctgaacca tacctgtcga cttgaa 36 <210> 10 <211> 3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Xb4 <400> 10 ttcaagtcga caggtatgaa tacacagcat gttctt 36 <210> 11 <211> 10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Xb5 <400> 11 aagaacatgc tgtgtatttc atgtccgaga tccacctcag agatcgttct cattggagta 60 acggtctgtg tctgacctat agcttgtctg gtccagtgct gtgtcctt 108 <210> 12 <211> 3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Xb6 <400> 12 aaggacacag cactggactg gaccattgct tgagta 36 <210> 13 <211> 3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Xb7 <400> 13 tactcaagca atggtccaat ttgttcgtgg agactt 36 <210> 14 <211> 10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Xb8 <400> 14 aagtctccac gaacaaatca gacaagctat aggtcagaca cagaccgtta ctcccactca 60 tcgctgacaa ctcatcagtt gcttctatga gtcagtacgc agagtgaa 108 <210> 15 <211> 3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Xb9 <400> 15 ttcactctgc gtactgacca ttatccgata tcactt 36 <210> 16 <211> 3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Xb10 <400> 16 aagtgatatc ggataatgtc agaatagcaa ttagtt 36 <210> 17 <211> 10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Xb11 <400> 17 aactaattgc tattctgatc atagaagcaa ctgatgagtt gtcagcgatg agtgtcacta 60 ccggacatag attctgtaag cgtgactcct aattgagtcg gatacctt 108 <210> 18 <211> 3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Xb12 <400> 18 aaggtatccg actcaattca tcacagtgtc agcgac 36 <210> 19 <211> 3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s1 <400> 19 atctatgtcc ggtagtgaaa tgagaacgat ctctga 36 <210> 20 <211> 3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s2 <400> 20 tagatacagg ccatcacttt actcttgcta gagact 36 <210> 21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Ys1 <400> 21 tgactggatc cgcatgacat tcgccgtaag 30 <210> 22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Ys2 <400> 22 tgaccttacg gcgaatgacc gaatcagcct 30 <210> 23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Ys3 <400> 23 tgacaggctg attcggttca tgcggatcca 30 <210> 24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Xs1 <400> 24 tgacgatgaa tagcggtcag atccgtacct 30 <210> 25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Xs2 <400> 25 tgacaggtac ggatctgcgt attgcgaacg 30 <210> 26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Xs3 <400> 26 tgaccgttcg caatacggct gtacgtatgg 30 <210> 27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Xs4 <400> 27 tgacccatac gtacagcacc gctattcatc 30

Claims (11)

  1. 서열번호 1, 서열번호 2, 서열번호 3, 서열번호 4, 서열번호 5 및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로 나타내는 뉴클레오타이드들로 구성되는 Y-분지형 구조의 DNA 덴드리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로서,
    상기 Y-분지형 구조의 DNA 덴드리머는,
    (1) 서열번호 1의 1번부터 18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6의 91번부터 108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고;
    (2) 서열번호 1의 19번부터 36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2의 1번부터 18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고;
    (3) 서열번호 2의 19번째부터 54번까지 36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6의 55번부터 90번까지 36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고;
    (4) 서열번호 2의 55번부터 90번까지 36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4의 19번부터 54번까지 36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고;
    (5) 서열번호 2의 91번부터 108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3의 1번부터 18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고;
    (6) 서열번호 3의 19번부터 36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4의 1번부터 18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고;
    (7) 서열번호 4의 55번부터 90번까지 36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6의 19번부터 54번까지 36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고;
    (8) 서열번호 4의 91번부터 108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5의 1번부터 18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고;
    (9) 서열번호 5의 19번부터 36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6의 1번부터 18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Y-분지형 구조의 DNA 덴드리머는 IL-1β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증가시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5. 서열번호 7, 서열번호 8, 서열번호 9, 서열번호 10, 서열번호 11, 서열번호 12, 서열번호 13, 서열번호 14, 서열번호 15, 서열번호 16, 서열번호 17 및 서열번호 18의 염기서열로 나타내는 뉴클레오타이드들로 구성되는 X-분지형 구조의 DNA 덴드리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로서,
    상기 X-분지형 구조의 DNA 덴드리머는,
    (1) 서열번호 7의 1번부터 18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18의 19번부터 36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고;
    (2) 서열번호 7의 19번부터 36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8의 1번부터 18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고;
    (3) 서열번호 8의 19번부터 54번까지 36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17의 55번부터 90번까지 36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고;
    (4) 서열번호 8의 55번부터 90번까지 36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11의 19번부터 54번까지 36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고;
    (5) 서열번호 8의 91번부터 108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9의 1번부터 18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고;
    (6) 서열번호 9의 19번부터 36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10의 1번부터 18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고;
    (7) 서열번호 10의 19번부터 36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11의 1번부터 18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고;
    (8) 서열번호 11의 55번부터 90번까지의 36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14의 19번부터 54번까지의 36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고;
    (9) 서열번호 11의 91번부터 108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12의 1번부터 18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고;
    (10) 서열번호 12의 19번부터 36번까지의 18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13의 1번부터 18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고;
    (11) 서열번호 13의 19번부터 36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14의 1번부터 18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고;
    (12) 서열번호 14의 55번부터 90번까지 36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17의 19번부터 54번까지 36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고;
    (13) 서열번호 14의 91번부터 108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15의 1번부터 18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고;
    (14) 서열번호 15의 19번부터 36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16의 1번부터 18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고;
    (15) 서열번호 16의 19번부터 36번까지의 18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17의 1번부터 18번까지의 18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고;
    (16) 서열번호 17의 91번부터 108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과 서열번호 18의 1번부터 18번까지 18개의 염기서열이 서로 상보적인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X-분지형 구조의 DNA 덴드리머는 IL-1β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증가시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200031428A 2020-03-13 2020-03-13 분지형 dna 덴드리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KR102404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428A KR102404677B1 (ko) 2020-03-13 2020-03-13 분지형 dna 덴드리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428A KR102404677B1 (ko) 2020-03-13 2020-03-13 분지형 dna 덴드리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527A KR20210115527A (ko) 2021-09-27
KR102404677B1 true KR102404677B1 (ko) 2022-06-02

Family

ID=77925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428A KR102404677B1 (ko) 2020-03-13 2020-03-13 분지형 dna 덴드리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677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521B1 (ko) * 2013-06-26 2015-04-22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X형 구조의 dna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효과 및 항암 효과 증진용 조성물
KR101515290B1 (ko) * 2013-06-26 2015-04-2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Y형 구조의 dna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및 항암 효과 증진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medicine & Pharmacotherapy. 2019. Vol.112, Article 108657.
Immunology. 2008. Vol.124, No.2, pp.247-25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527A (ko) 202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9116B1 (ko) 코디세핀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및 예방제용 약학 조성물
CN102083824A (zh) 使用cMET和AXL抑制剂和ErbB抑制剂治疗癌症的方法
KR101417341B1 (ko) 아포-9&#39;&#39;-푸코잔티논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404677B1 (ko) 분지형 dna 덴드리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HU223903B1 (hu) Lizozim dimerek új alkalmazása
KR101710081B1 (ko) 아출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용도
EP1105467B1 (en) USE OF MODIFIED LYSOZYME c TO PREPARE MEDICIN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SOME SERIOUS DISEASES
EP1939216A1 (en) Immunomodulating composition
CN112569358B (zh) 培干扰素和原癌基因产物靶向抑制剂在协同抑制肿瘤中的应用
JP7430010B2 (ja) 幹細胞の機能強化用組成物
KR102517456B1 (ko)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1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KR101829587B1 (ko) 4-하이드록시-2,3-디메틸-2-노넨-4-올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2425551B1 (ko) 분지형 dna 덴드리머 및 환원성 양이온 중합체로 구성된 복합체, 및 상기 복합체를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CN114773428A (zh) 新多肽及其在制备治疗皮肤创面或黏膜损伤药物中的应用
Tamura et al. A soluble factor induced by an extract from Pinus parviflora Sieb et Zucc can inhibit the replication of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in vitro.
KR101705361B1 (ko) Egcg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쇼그렌 증후군, 베체트 증후군, 강직성척추염 또는 루프스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22549741A (ja) 腎がんの相乗的治療におけるペグインターフェロンおよびプロトオンコジーン産物標的阻害剤の適用
EP1666046A1 (en) Use of n-acetyl-d-aminoglycosamine in preparation of drugs for the treatment of cacer and metastasis
KR101467339B1 (ko) 갈락토만난과 라이소자임의 마이얄반응을 통해 생성된 네오글라이코프로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KR101728977B1 (ko) 모노올레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777497B1 (ko) 4-하이드록시-2,3-디메틸-2-노넨-4-올라이드 또는 3-하이드록시-4,7-메가스티그마디엔-9-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JP6983395B2 (ja) 抗加齢剤
KR20190057599A (ko) 선천 면역 증강용 조성물
KR20030074265A (ko) 면역조절제의 활성을 갖는 잣버섯 추출물 및 이를포함하는 조성물
EP1462108A1 (en) Interferon g (g) production promo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