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7599A - 선천 면역 증강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선천 면역 증강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7599A
KR20190057599A KR1020170154732A KR20170154732A KR20190057599A KR 20190057599 A KR20190057599 A KR 20190057599A KR 1020170154732 A KR1020170154732 A KR 1020170154732A KR 20170154732 A KR20170154732 A KR 20170154732A KR 20190057599 A KR20190057599 A KR 20190057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ealth
disease
cells
mixed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4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홍구
구본암
전효진
최한석
김상백
김예진
임순민
박지민
허웅
강기성
송지훈
이다혜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4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7599A/ko
Publication of KR20190057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5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8Zingiber, e.g. garden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향, 가자 및 건강 중 2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천 면역 증강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목향, 건강 및 가자 혼합 추출물의 선천 면역을 유도하는 인자의 발현 증가 효과를 가지는 선천 면역 증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천 면역 증강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increasing of innate immunity}
본 발명은 목향, 가자 및 건강 중 2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목향, 가자 및 건강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천 면역 증강용 조성물, 및 이의 이용에 관한 것이다.
면역은 태어날 때부터 지니고 있는 선천 면역(innate immunity)과 후천적으로 생활하면서 적응되어 얻어지는 후천 면역(acquired immunity)으로 구분될 수 있다. 선천 면역은 일명 '자연 면역'이라고도 하며, 항원에 대해 비특이적으로 반응하고, 특별한 기억작용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천 면역체계로는 항원의 침입을 차단하는 피부, 점액조직, 위산, 체내로 들어온 침입자를 제거하는 식균작용을 담당하는 대식세포(macrophage), 다형핵 백혈구 등과 같은 식세포 등이 있다. 이러한 선천 면역은 실제 대부분의 감염을 방어한다. 한편 후천 면역은 처음 침입한 항원에 대한 기억작용이 있어, 다시 침입이 발갱하였을 때 특이적으로 반응하여 효과적으로 항원을 제거하는 특징이 있다.
선천 면역계는 전형적으로 패턴 인식 수용체(pattern recognition receptors)라 불리는, 소수의 수용체들에 기초한다. 그들은 그들의 숙주 세포와 바이러스, 박테리아, 곰팡이 및 기생충과 같은 외래 유기체를 구별하는 보존된 분자 패턴(conserved molecular pattern)을 인지한다. 그러한 병원균-관련 분자 패턴에는 바이러스 핵산, 박테리아 및 곰팡이 벽 성분, 편모모양의 단백질 등이 포함된다.
세부적으로 연구된 패턴 인지 수용체의 최초 패밀리는 Toll-유사 수용체(Toll-like receptor (TLR)) 패밀리였다. TLRs은 엔도좀 루멘의 또는 외세포성 환경의 리간드를 인지하는 막통과 단백질이다. 리간드-결합 다음에 그들은 숙주-방어 반응을 유도하고 항미생물 펩티드, 전염증성 케모카인 및 사이토카인, 항바이러스성 사이토카인, 등을 생산하는 세포질 어댑터 단백질을 통해 신호를 변환시킨다. (참고 예를 들어,. Meylan, E., J. Tschopp, et al. (2006). "Intracellular pattern recognition receptors in the host response". Nature 442(7098): 39-44). 현재까지, Toll-유사 수용체의 적어도 10 가지 구성원들(TLRs 1-10)이 인간 내에서 동정되었고 13 (TLRs 1-13)는 마우스 내에서 동정되었다. 그들 인간 내 Toll-유사 수용체(TLRs)는 TLR1-TLR2 (공지된 리간드: 트리아실 리포펩티드), TLR1-TLR6 (공지된 리간드: 다이아실 리포펩티드), TLR2 (공지된 리간드: 펩티도글리칸), TLR3 (공지된 리간드: dsRNA), TLR4 (공지된 리간드: 그람 음성균의 LPS (리포폴리사카라이드)), TLR5 (공지된 리간드: 박테리아 프라젤린(들)), TLR7/8 (공지된 리간드: 아미다조퀴놀린, 구아노신 유사체 및 ssRNA), TLR9 (공지된 리간드: 박테리아, 바이러스 및 원핵생물의 CpG DNA 및 말라리아 색소 헤모조인(헤모글로빈의 소화 산물)) 및 TLR10을 포함한다. 미생물 병원균의 인지 후에, 이들 TLRs은 전형적으로 염증 사이토카인의 유도로 귀결되는 내세포 신호전달 경로(intracellular signalling pathways)를 유도한다 (예를 들어, TNF-알파, IL-6, IL-1-베타 및 IL-12), type I 인터페론 (IFN-베타 및 다중 IFN-알파) 및 케모카인 (Kawai, T. and S. Akira (2006). "TLR signaling." Cell Death Differ 13(5): 816-25).
한편, 대식세포(Macrophage)는 다양한 기능을 가진 세포로 산화적 스트레스 상황에서 여러 가지 사이토카인(cytokine)과 일산화산소(NO)를 생성하여 면역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대식세포에서 리포다당류(Lipopolysaccharide; LPS), 사이토카인, TNF-α와 같은 자극에 의해 발현되는 iNOS는 장시간 동안 다량의 NO를 생산하여, NFκB 활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활성화된 대식세포에 의한 슈퍼옥사이드 음이온(superoxide anion, O2 -),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H2O2)와 같은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 및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의 생산은 비특이적 면역에 있어서 중요한 세포독성 및 세포활성억제기작이다. 대식세포에 의한 ROS 및 NO의 생성에 어떤 천연화합물이 영향을 미치는지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 대식세포는 항원을 제시하거나(antigen-presenting), 종양을 없애거나(tumoricidal) 미생물세포를 죽이는(microbicidal) 세포로서, 세포매개 (cell-mediated) 또는 체액성 면역(humoral immunity)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조절세포로, 활성화된 대식세포에서 생산되는 NO는 비특이적 숙주방어기작인 대식작용, 그리고 세균 및 암세포의 증식억제활성을 보인다(Dawson T.M., et al., Annu. Rev. Med, 47, pp.219-227, 1996).
또한, 대식세포는 많은 라이소좀을 가지고 있고 이들은 산성가수분해효소와 과산화 효소를 함유하고 있다. 또한 유리면과 플라스틱 표면에 강하게 부착하는 성질이 있으며 미생물이나 종양세포 등을 활발하게 탐식한다. 상기 세포는 IFN-γ등의 사이토카인 수용체를 가지고 있다. 이들은 보체성분, 인터페론, 인터루킨-1 및 종양괴사인자 같은 사이토카인을 생산하며 T-세포로부터 생산되는 여러 가지 사이토카인에 의해 기능이 증강될 수 있다.
한편, 면역기능을 증강시키는 면역 증강제의 개념은 로만(Roman)에 의해 제시되었으며, 어떠한 면역 증강 물질을 백신과 함께 투여하면 백신만을 투여한 경우에 비해 백신의 효과가 더 증진되는 것이 밝혀지면서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면역 증강제란 숙주의 특이 또는 비특이, 세포성 및 체액성 면역반응을 상승시키는 모든 물질로, 최근 감염이나 종양의 치료에 면역강화가 이용되면서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면역기능이 저하되면, 천식, 계절성 또는 통년성 비염, 알러지성 부비강염, 결막염, 아토피성 피부염, 두드러기, 적혈구의 용혈, 급성 사구체 신염 등 다양한 면역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면역질환은 치료보다 예방이 중요한데, 현재 시판되고 있는 치료제는 예방을 위하여 복용하기에는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에 부작용의 가능성이 있는 면역증강제의 복용 없이, 면역기능 장애를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며, 면역기능장애를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약물연구 및 제재개발에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져 왔다. 특히,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 유래 면역증강제 개발에 관한 연구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식물 소재를 사용하여 부작용을 초래하지 않으며, 선천 면역 증강에 효과적인 천연식물 혼합 추출물 유래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목향, 가자 및 건강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이 효과적인 포식작용 및 미생물 사멸, 염증을 자극하는 사이토카인의 생성 및 분비를 촉진시킴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목향, 가자 및 건강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의 다양한 용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목향, 가자 및 건강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천 면역 증강용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목향, 가자 및 건강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천 면역 증강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목향, 가자 및 건강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천 면역 증강용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위해 상기 혼합 추출물의 유효한 용량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 구체예로서, 목향, 가자 및 건강 중 2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천 면역 증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혼합 추출물은 예를 들어, 목향 및 가자 혼합 추출물인 경우, 목향 : 가자를 1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고; 목향 및 건강 혼합 추출물인 경우, 목향 : 건강을 1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건강 및 가자 혼합 추출물인 경우, 건강 : 가자를 1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고; 목향, 가자 및 건강 혼합 추출물인 경우, 목향 : 가자 : 건강을 2 : 2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목향, 가자 및 건강의 조추출물,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일 수 있으며, 상기 조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로부터 가용한 추출물일 수 있고, 상기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물, 에탄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되어진 용매로부터 가용한 추출물일 수 있으며, 상기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헥산,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또는 에틸아세테이트에 가용한 추출물일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는,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은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을 이용할 수 있고, 특히, 열수추출물 또는 에탄올추출물을 이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특히는 50~100%의 에탄올추출물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 목향과 상기 가자 및 상기 건강을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을 추출한 것인 혼합 추출물이거나, 또는 상기 혼합 추출물은 상기 목향으로부터 수득 된 목향추출물과 상기 가자로부터 수득 된 가자추출물 및/또는 상기 건강으로부터 수득 된 건강추출물을 혼합한 추출물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혼합물은 목향, 가자 및 건강 이외에 작약, 대황, 검인, 후박, 육계, 승마, 시호, 사인, 백출, 의이인 등의 추출물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목향, 가자 및 건강 중 2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은 20~120℃에서 1~15시간 동안 추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60~120℃에서 1~6시간 동안 추출할 수 있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선천 면역에 관여하는 세포의 활성을 유도하여 선천 면역을 증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선천 면역에 관여하는 세포는 식세포(phagocytes), 비만세포(mast cell), 호염기구(basophil), 호산구(eosinophil), 항원-제시 세포(antigen-presenting cells, APCs) 및 자연 살해 세포(natural killer cells, NK cells)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세포일 수 있다.
상기 식세포는 호중구(neutrophiles), 다형핵백혈구(polymorphonuclear leukocytes), 단핵구(monocytes) 및 대식세포(macrophages)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세포일 수 있다.
상기 항원-제시 세포는 수지세포(dendritic cells)일 수 있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선천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NO, iNOS, COX-2, IFNα, INFβ, INFγ, lL-1β, IL-6, TNF-α, TGF-β, NFκB, IL-10, IL-12, IL-15, IL-18, IL-23 및 IL-27 중 하나 이상을 생성시켜 선천 면역을 증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구체예로서, 목향, 가자 및 건강 중 2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천 면역 결핍 질환(Innate immune deficiency disorder)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선천 면역 결핍 질환은 만성육아종질환(chronic granulomatous disease,CGD), 백혈구부착결핍증(leucocyte adhesion deficiency, LAD), 치은염, 구강궤양, 폐렴, 임파선염, 항문주위의 농양, 미생물 감염 질환, 피부감염, 아토피 피부염, 골수염, 간농양, 비장농양, 뇌막염, 피부육아종, 폐혈증, 자가면역질환, 중이염, 상기도 감염, 점막염, 위염, 설사, 발열, 기관지염, 두드러기, 알러지성 염증, 급성 사구체 신염 또는 만성 부비동염 등일 수 있다.
상기 선천 면역 결핍 질환은 선천 면역에 관여하는 세포의 기능저하 또는 불활성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일 수 있다.
상기 선천 면역 결핍 질환은 선천 면역 결핍 질환이 아닌 제 3의 질환의 치료 과정에서 발생되는 면역 저하증일 수 있다.
이때, 제 3의 질환은 각종 암, 백혈병 등의 방사선치료 또는 화학치료의 대상이 되는 질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구체예로서, 가자 및 건강 중 2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천 면역 증강용 건강 기능 식품 및 이의 이용을 제공한다.
상기 건강 기능식품은 예를 들어,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제 또는 음료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다른 구체예로서, 목향, 가자 및 건강 중 2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천 면역 증강용 또는 선천 면역 결핍 질환 예방,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 기능 식품을 위해 상기 혼합 추출물의 유효한 용량을 제공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목향, 가자 및 건강 중 2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의 선천 면역 증강 기능, 보다 구체적으로 선천 면역에 관여하는 세포의 활성을 유도하는 NO, iNOS, COX-2, IFNα, INFβ, lL-1β, IL-6, TNF-α 및 IL-10의 발현을 증가시켜 선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선천 면역 증강 효능을 이용하는 다양한 용도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목향, 가자 및 건강 중 2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선천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세포독성이 거의 없으므로, 선천 면역 증강 및/또는 선천 면역 결핍 질환 예방, 치료를 위한 의약품, 가공식품, 기능성 식품, 식품첨가제, 기능성 음료, 또는 음료첨가제 등의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목향, 가자 및 건강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에 의한 세포 생존능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목향, 가자 및 건강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에 의한 NO 생성능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목향, 가자 및 건강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에 의한 iNOS 발현 증가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목향, 가자 및 건강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에 의한 COX-2 발현 증가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목향, 가자 및 건강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에 의한 IFNα 발현 증가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목향, 가자 및 건강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에 의한 IFNβ 발현 증가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목향, 가자 및 건강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에 의한 IL-1β 발현 증가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목향, 가자 및 건강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에 의한 IL-6 발현 증가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목향, 가자 및 건강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에 의한 TNF-α 발현 증가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목향, 가자 및 건강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에 의한 IL-10 발현 증가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한 정의는 이하와 같다.
"추출물(extract)"은 생약을 적절한 침출액으로 짜내고 침출액을 증발시켜 농축한 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일반적인 추출방법, 분리 및 정제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방법으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 열탕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분획물 또한 상기 추출물에 포함된다.
"조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50~100% 에탄올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되어진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에탄올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헥산,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바람직하게는 헥산, 디클로로메탄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보다 바람직하게는, 헥산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담체(carrier)"는 세포 또는 조직 내로의 화합물의 부가를 용이하게 하는 화합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디메틸술폭사이드(DMSO)는 생물체의 세포 또는 조직 내로의 많은 유기 화합물들의 투입을 용이하게 하는 통상 사용되는 담체이다.
"희석제(diluent)"는 대상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형태를 안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화합물을 용해 시키는 물에서 희석되는 화합물로 정의된다. 버퍼 용액에 용해되어 있는 염은 당해 분야에서 희석제로 사용된다. 통상 사용되는 버퍼 용액은 포스페이트 버퍼 식염수이며, 이는 인간 용액의 염 상태를 모방하고 있기 때문이다. 버퍼 염은 낮은 농도에서 용액의 pH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버퍼 희석제가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을 변형하는 일은 드물다.
"대상" 또는 "환자"는 인간, 소, 개, 기니피그, 토끼, 닭, 곤충 등을 포함하여 치료가 요구되는 임의의 단일 개체를 의미하며, 또한, 임의의 질병 임상 소견을 보이지 않는 임상 연구 시험에 참여한 임의의 대상 또는 역학 연구에 참여한 대상 또는 대조군으로 사용된 대상이 포함된다.
"조직 또는 세포 샘플"은 대상 또는 환자의 조직으로부터 얻은 유사한 세포의 집합체를 의미한다. 조직 또는 세포 샘플의 공급원은 신선한, 동결된 및/또는 보존된 장기 또는 조직 샘플 또는 생검 또는 흡인물로부터의 고형 조직; 혈액 또는 임의의 혈액 구성분; 대상의 임신 또는 발생의 임의의 시점의 세포일 수 있다. 조직 샘플은 또한 1차 또는 배양 세포 또는 세포주일 수 있다.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유효량"은, 이롭거나 바람직한 임상적 또는 생화학적 결과에 영향을 주는 적절한 양이다. 유효량은 한번 또는 그 이상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유효량은 질병 상태의 진행을 일시적으로 완화, 개선, 안정화, 되돌림, 속도를 늦춤 또는 지연시키는데 적절한 양이다. 만약, 수혜동물이 조성물의 투여에 견딜 수 있거나, 조성물의 그 동물에의 투여가 적합한 경우라면,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함"을 나타낸다. 투여된 양이 생리학적으로 중요한 경우에는 상기 제제는 "치료학적으로 유효량"으로 투여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상기 제제의 존재가 수혜 환자의 생리학적으로 검출 가능한 변화를 초래한 경우라면 상기 제제는 생리학적으로 의미가 있다.
"치료하는"이란 용어는,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상기 용어가 적용되는 질환 또는 질병, 또는 상기 질환 또는 질병의 하나 이상의 증상을 역전시키거나, 완화시키거나, 그 진행을 억제하거나, 또는 예방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치료'란 용어는 '치료하는'이 상기와 같이 정의될 때 치료하는 행위를 말한다.
"건강기능식품"이란, 일반 식품에 본 발명의 일 구체예의 추출물을 첨가함으로써 일반 식품의 기능성을 향상시킨 식품을 의미한다. 기능성은 물성 및 생리기능성으로 대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추출물을 일반식품에 첨가할 경우, 일반 식품의 물성 및 생리기능성이 향상될 것이고, 본 발명은 이러한 향상된 기능의 식품을 포괄적으로 '건강 기능식품'이라 정의한다.
"약"이라는 것은 참조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에 대해 30, 25, 20, 25, 10, 9, 8, 7, 6, 5, 4, 3, 2 또는 1% 정도로 변하는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게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도입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목향, 가자 및 건강 중 2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목향, 가자 및 건강 중 2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이 내포하고 있는 특정 생리활성 및 기능의 발휘에 관한 것이다.
[유효 물질]
목향(Aucklandia lappa Decne)은 국화과(Asteraceae/Composit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개화기는 7~9월이고 결실기는 8~10월이다. 비교적 높은 산지에서 자라며, 원산지는 인도이며 중국에서는 운남, 광성, 사천에서 재배하고, 목향의 여러 가지 이름은 밀향(蜜香), 청목향(靑木香), 오향(五香), 오목향(五木香), 남목향(南木香), 광목향(廣木香), 운목향(雲木香), 월서목향(越西木香), 천목향(川木香) 등으로 부른다.
목향은 약성이 따뜻하므로 복부가 차가워서 일어나는 복통, 헛배가 부른 증상, 구토, 설사 등에 좋은 치료 효과를 나타내며, 이질에도 효력이 있고, 대장의 기능을 증강시키는 효능,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효능 및 통증을 그치게 하는 효능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건강(Zingiber officinale Rosc.)은 생강의 근경을 말린 것으로, 생강과 생강속에 속하는 열대 아시아 원산의 다년생 풀로, 생강과는 주로 열대에 많이 나며 전세계에 약 47속 1,400여종이 있으며, 생강 속은 동아시아, 인도, 말레이시아에 약 50종이 분포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생강속에 양하, 생강이 재배되고 있으며 꽃생강속에 꽃생강이 재배되고 있고, 꽃양하속에 꽃양하가 남부지방 섬의 숲 밑에 자생하고 있다. 건강은 건생강(乾生薑), 균강(均薑), 백강(白薑), 생건강(生乾薑)으로도 불린다.
건강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며 독이 없어 폐, 위, 비경에 작용하며, 또한 심경, 간경, 담경에도 작용한다. 표사를 발산시키고 찬기운을 풀어주며 구토를 멎게 하고 가래를 소통시키는 효능이 있으며, 감기, 풍한, 구토, 담음, 천식, 해수, 창만, 설사를 치료한다. 또한, 기력을 돕고 혈액순환을 촉진키며 냉한 것과 풍을 제거시키고 해독, 소염작용을 하며 치통의 약취를 제거하고 통증을 멎게 하며 습양(濕痒)을 가라앉힌다고 알려져 있다.
가자(Terminalia chebula Retzius)는 가자나무의 성숙한 과실로, 가자나무는 인도, 미얀마, 말레이시아, 중국 사천성 등에 자생하는 열대성 큰키나무로 과즙에서는 미로발란(myrovalan)이란 노란 색소를 추출하기도 하며 가구용 목재로도 쓰인다. 가자의 여러 가지 이름은 가려늑(訶黎勒), 가리늑(訶梨勒), 수풍자(隨風子), 가리(訶梨), 가려(訶黎) 등으로 부른다.
가자는 약간의 특이한 냄새가 나며, 약성은 쓰고 조금 시며 떫고 따뜻하다. 기(氣)를 내리고 오래된 담과 기침을 삭히고 숨이 차는 것, 오래된 설사, 이질, 대학, 탈항에 효과가 있고, 소화를 돕고 입맛을 돋우며 뱃속의 태아를 편안하게 하는 작용도 한다. 또한, 약리작용으로는 수렴, 지사, 녹농균 등에 대한 균을 억제하는작용이 보고되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상기 목향, 가자 및 건강 중 2 이상을 조합한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이용한다.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상기 목향, 가자, 건강의 다양한 부위로부터 추출 또는 분획될 수 있다.
상기 목향, 가자, 건강 분획물은 각각의 추출물을 유기용매를 비극성에서 극성으로 분획하는 과정을 통해 각 용매 분획물로서 얻을 수 있다. 분획하기 위한 적절한 용매로는 물, 에탄올, 메탄올, 헥산,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향, 가자, 건강 추출물은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 이의 변형된 방법 또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법으로 제조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 추출 또는 가열 추출법으로 추출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추출물은 열수 추출 또는 환류냉각 추출을 통해 추출할 수 있으며, 1회 내지 10회, 1회 내지 8회 또는 1회 내지 6회 반복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목향, 가자, 건강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re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과 같은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추가로 정제된 분획으로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목향, 가자, 건강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일 구체예로서, 이하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i) 목향, 가자 및 건강 중 2 이상의 물질에 각각 또는 동시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ii) 단계 i)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iii) 단계 ii)의 여과한 추출물을 건조하는 단계.
i) 에서, 추출 용매로는 당업계에서 허용되는 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코올로는 C1 내지 C4 저급 알코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저급 알코올로는 에탄올을 이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정제수,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및 시클로헥산(cyclohexane)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추출용매는 예를 들어, 50~100%, 50~95%, 50~90%, 50~85%, 50~80%, 50~75%, 50~70%, 50~65%, 또는 50~60% 농도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50~60% 농도로 사용할 수 있다.
추출방법으로는 진탕추출, Soxhlet 추출 또는 환류 추출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용매를 목향, 가자 및 건강의 분량에 1 내지 10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온도는 20 내지 12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추출시간은 비제한적으로 1 내지 20시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시간일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iii)의 건조 방법으로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 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일 예로서, 목향, 가자 및 건강 중 2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 예를 들어, 목향 및 가자 혼합 추출물, 목향 및 건강 혼합 추출물 또는 건강 및 가자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목향 : 가자, 목향 : 건강 또는 건강 : 가자를 1~3 : 1~3의 중량비로 혼합, 더욱 바람직하게는 목향 : 가자, 목향 : 건강 또는 건강 : 가자를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혼합 중량의 약 1 내지 30배 부피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배 부피량 (w/v%)의 정제수를 포함한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 예를 들어, 50% ~ 100% 에탄올을 가하여, 약 2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에서 1 내지 15시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시간 동안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추출, 또는 가열추출법 등의 추출방법으로, 바람직하게는 환류추출법으로 추출한 후 여과하고 건조하여 본 발명의 목향 : 가자, 목향 : 건강 또는 건강 : 가자를 포함한 혼합 조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다른 구체적인 일 예로서, 목향, 가자 및 건강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경우, 목향 : 가자 : 건강을 1~3: 1~3 :1~3의 중량비로 혼합할 수 있다. 구체예로서, 목향 : 가자 : 건강을 1:1:1, 2:2:1, 2:1:1, 1:2:1, 1:1:2의 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목향 : 가자 : 건강을 2:2:1 또는 2:1:1의 비율로 혼합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한 예로서 목향 : 가자 : 건강을 2:2:1의 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본 발명의 목향, 가자 및 건강 중 2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은, 각 중량의 약 1 내지 30배 부피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배 부피량 (w/v%)의 정제수를 포함한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50~100% 에탄올을 가하여, 약 2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에서 1 내지 15시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시간 동안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추출, 또는 가열추출법 등의 추출방법으로, 바람직하게는 환류추출법으로 각각 추출한 후 여과하고, 각각의 추출물을 상기 설명한 비율의 부피비로 혼합한 후, 건조하여 본 발명의 목향, 가자 및 건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조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목향, 가자 및 건강 추출물을 함유하는 혼합 추출물; 및 목향, 가자, 건강 추출물을 함유하는 혼합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추출물은 백작약, 시호, 승마, 대황, 검인, 후박, 육계, 사인, 백출, 의이인 등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물질의 추출물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목향, 가자 및 건강 중 2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그것의 예시적인 방법에 지나지 않으며, 당해 분야의 기술에 근간한 다양한 방법들에 의해 적절히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비-예시된 추출방법은 당분야의 숙련가에게 명백한 변형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에 따른 목향, 가자 및 건강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의 제조를 위한 구체적인 반응조건 등을 추후에 설명하는 실시예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선천 면역 증강]
본 발명은 상기 제조한 목향, 가자 및 건강 중 2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의 선천 면역 증강 기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선천 면역은 자연 면역 또는 내재 면역으로 일컬어지며 비특이적인 방법으로 숙주가 감염되지 않도록 방어하는 세포 또는 기작으로, 특정의 병원체를 기억하지 아니하고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면역 체계를 말한다. 후천 면역과는 달리 면역력이 장기간 지속되지 않으며, 포괄적인 방법으로 병원체를 처리한다. 선천 면역은 감염에 대한 일차적인 방어선으로, 이에 관여하는 세포들은 감염되지 전부터 우리 몸 속에 존재하고 있으며 특이성을 가지지 않는 질병 억제를 담당한다. 대식세포 및 호중구와 같은 식세포(phagocytes), 비만세포(mast cells), 호염기구(basophil), 호산구(eosinophil), 항원-제시 세포(antigen-presenting cells, APCs) 및 자연 살해 세포(natural killer cells, NK cells), 피부와 같은 장벽, 그리고 체내의 항생물질 등이 선천 면역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상기 선천 면역은 외부방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외부방어는 병원체가 체내로 들어오기 전에 이루어지는 방어로, 외부방어의 대표적인 예로 인체의 내외를 구분하는 경계인 피부를 포함한다. 피부는 그 자체만으로 물리적인 방어선일 뿐만 아니라 지선(sabaceous gland) 등에서 분비되는 기름층으로 인해 화화적인 방어선으로 작용한다. 이외에도 피부가 덮히지 않는 눈, 코, 입 등의 점막 부위에 리소자임(lysozyme) 등이 포함된 분비물, 음식물로 들어오는 병원균을 방어하기 위한 강산성의 위산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선천 면역은 내부방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내부방어는 생체 내에서 이루어지는 방어로, 대표적인 예로 식세포를 포함한다. 모든 척추 및 무척추 동물의 식세포들은 Toll-유사 수용체(Toll-like receptor, TLR)이라는 수용체를 가지고 있어 항원을 인식할 수 있으며, 항원이 인식되면 염증 사이토카인의 유도로 귀결되는 세포 내 신호전달 경로(intracellular signalling pathways)를 유도한다 (예를 들어, TNF-α, IL-6, IL-1β 및 IL-12), type I 인터페론 (IFN-β 및 다중 IFN-α) 및 케모카인 (Kawai, T. and S. Akira (2006). "TLR signaling." Cell Death Differ 13(5): 816-25)).
또한, 상기 식세포의 대표적인 예인 대식세포(macrophage)는 생체 내로 침입한 각종 외부 병원체들을 식세포작용(phagocytosis)을 이용해 삼켜버리며, 삼켜진 병원체는 탐식소체(phagosome)라고 하는 내포(endosome) 안에 갇히게 되고, 이 내포가 리소좀(lysosome)이나 퍼옥시좀(peroxisome)과 결합하여 탐식용해소체(phagolysosome)가 형성되며 그 안에서 가수분해효소와 NO, ROS 등에 의해 병원체는 분해된다. 이러한 대식세포의 기능을 유도하거나 도와주는 물질을 대식세포활성인자(MAF; Macrophage Activating Factor)라 부르며, 이러한 물질로는 TNF-β, 각종 IFN, IL-1, 과립구-대식세포집락자극인자(GM-CSF; Granulocyte-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대식세포유주저해인자(MIF; Macrophage Migration Inhibitory Factor) 등이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선천 면역 증강은 선천 면역의 기능을 증가 또는 상승시키는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선천 면역 증강은 선천 면역 중 외부 방어를 증가 또는 상승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선천 면역 증강은 선천 면역 중 내부 방어를 증가 또는 상승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 방어는 식세포의 기능 또는 활성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천 면역 증강은 선천 면역에 관여하는 세포를 활성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선천 면역에 관여하는 세포는 식세포(phagocytes), 비만세포(mast cells), 호염기구(basophil), 호산구(eosinophil), 항원-제시 세포(antigen-presenting cells, APCs) 및 자연 살해 세포(natural killer cells, NK cells)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세포일 수 있다.
상기 식세포는 호중구(neutrophiles), 다형핵백혈구(polymorphonuclear leukocytes), 단핵구(monocytes) 및 대식세포(macrophages)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세포일 수 있다.
상기 항원-제시 세포는 수지세포(dendritic cells)일 수 있다.
상기 선천 면역에 관여하는 세포의 활성은 활성 인자의 발현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활성 인자는 NO, iNOS, COX-2, IFNα, INFβ, INFγ, lL-1β, IL-6, TNF-α, TGF-β, NFκB, IL-10, IL-12, IL-15, IL-18, IL-23 또는 IL-27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천 면역 증강은 선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인자의 생성을 증가 또는 촉진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선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인자는 NO, iNOS, COX-2, IFNα, INFβ, INFγ, lL-1β, IL-6, TNF-α, TGF-β, NFκB, IL-10, IL-12, IL-15, IL-18, IL-23 또는 IL-27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한 목향, 가자 및 건강 중 2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의 선천 면역 결핍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선천 면역 증강 기능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천 면역 결핍 질환은 만성육아종질환(chronic granulomatous disease,CGD), 백혈구부착결핍증(leucocyte adhesion deficiency, LAD), 치은염, 구강궤양, 폐렴, 임파선염, 항문주위의 농양, 미생물 감염 질환, 피부감염, 아토피 피부염, 골수염, 간농양, 비장농양, 뇌막염, 피부육아종, 폐혈증, 자가면역질환, 중이염, 상기도 감염, 점막염, 위염, 설사, 발열, 기관지염, 두드러기, 알러지성 염증, 급성 사구체 신염 또는 만성 부비동염 등일 수 있다.
상기 만성육아종질환(chronic granulomatous disease,CGD)은 일차성 면역결핍질환은 유전성 희귀질환의 일종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여러 질환 중 탐식 세포에 이상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구체적으로는 활성 산소 대사물(reactiveoxygen)을 생성하는 효소인 NADPH oxidasecomplex의 결함으로 인해 생긴다. CGD는 각종 세균과 진균에 의한 반복적인 감염과 육아종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임상 증상은 대부분 1세 이전에 시작되나, 경우에 따라서는 10대 이후에 지연되어 나타날 수도 있으며, 반복적인 감염에 의해 대부분의 환자들이 25세 이전에 사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백혈구부착결핍증(leucocyte adhesion deficiency, LAD)은 감염에 의해서 조직에서 chemokine이나 다른 화학물질이 분비되면 혈관에서 ICAM이 발현되고 탐식구에서 LFA-19(CD11a/CD18),Mac-1(CD11b/CD18),P150,95(CD11c/CD18)등 beta2 integrin들이 발현되며 탐식구가 내피세포에 강한 결합으로 부착하고 결국 혈관 밖으로 이동하여 염증부위로 가서 일차 방어를 시작하게 되는데, 이때 부착 기능에 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LAD 에는 LAD-1,LAD-2,LAD-3등 3가지 종류가 있으며, 그 중 LAD-1은 백혈구 integrin에 유전적 이상이 있어서 생기는 질환으로 반복되는 진균과 세균 감염 및 혈중 중성구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염증반응이 저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생물 감염 질환은 포도상구균, 녹농균 같은 세균, 아스페르길루스, 캔디다와 같은 진균이나 결핵균의 감염에 의한 질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천 면역 결핍 질환은 선천 면역에 관여하는 세포의 기능저하 또는 불활성에 의해 발생하는 모든 질환을 포함한다.
상기 선천 면역 결핍 질환은 선천 면역 결핍 질환이 아닌 제 3의 질환의 치료 과정에서 발생되는 면역 저하 증상을 포함한다.
이때, 제 3의 질환은 각종 암, 백혈병 등의 방사선치료 또는 화학치료의 대상이 되는 질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을 통해 목향, 가자 및 건강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의 대식세포에서 효과적인 포식작용 및 미생물 사멸, 염증을 자극하는 사이토카인의 생성 및 분비를 촉진시킴을 관찰함으로써, 선천 면역 증강 효과를 확인하였다.
(i) 본 발명의 목향, 가자 및 건강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은 염증을 자극하는 NO(nitric oxide)의 생성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대식세포에 목향, 가자 및 건강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NO의 생성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ii) 본 발명의 목향, 가자 및 건강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은 대식세포의 포식작용 및 미생물 사멸, 염증을 자극하는 사이토카인의 생성 및 분비를 촉진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대식세포에 목향, 가자 및 건강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대식세포의 기능을 유도하거나 도와주는 물질인 대식세포활성인자 및 염증을 자극하는 사이토카인인 iNOS, COX-2, IFNα, INFβ, lL-1β, IL-6, TNF-α 및 IL-10의 발현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천연 소재를 이용한 혼합 추출물의 경우, 각 천연소재 혹은 한약재의 배합비율에 따라 얻어지는 유효성분이나 효과의 차이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독성을 최소화하면서 효능을 최대화할 수 있는 배합비율을 찾는 것 또한 기술적으로 유의미한 특징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목향, 가자 및 건강의 배합비율(w/w)에 따른 혼합 추출물의 대식세포의 포식작용 및 미생물 사멸, 염증을 자극하는 사이토카인의 생성 및 분비를 촉진하는 효과 확인하였고, 목향 : 가자 : 건강이 약 2 : 2 : 1 비율로 혼합될 때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목향, 가자 및 건강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의 선천 면역 증강 효과를 이용하는 다양한 용도를 모두 포함한다.
[약학적 조성물]
일 구체예로서, 본 발명은 목향, 가자 및 건강 중 2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천 면역 증강용 및/또는 선천 면역 결핍 질환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선천 면역 기능 저하 및 결핍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천 면역 증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선천 면역 증강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합 추출물은 50~600 mg/kg, 가장 바람직하게는 200~600 mg/kg 농도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이미 사용되고 있는 스테로이드성 약물, 항히스타민제, 소염진통제 및 항생제 등의 약제와 함께 제제화하거나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경구형 제형으로 제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함유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즈(lactose), 덱스트로즈, 수크로스(sucrose),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 조성물의 투여법에 있어, 경구 투여 및 비경구 투여로 이용 가능하며 특정하게 투여법을 한정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 경구 투여제로 사용한다.
본 발명 조성물의 사용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0.0001 내지 400mg/kg으로 투여할 수 있다. 또한 그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 있고,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정맥내, 복강내, 근육내, 동맥내, 구강, 심장내, 골수내, 경막내, 경피, 장관, 피하, 설하 또는 국소 투여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염증성 장질환 또는 관련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치료 또는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거나 치료효과를 높이기 위한 보조제로 사용할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
한편, 본 발명은 다른 구체예로서, 목향, 가자 및 건강 중 2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천 면역 증강용 건강 기능 식품에 관한 것이다.
기능성은 물성 및 생리기능성으로 대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목향, 가자 및 건강 중 2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일반식품에 첨가할 경우, 일반식품의 물성 및 생리기능성이 향상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목향, 가자 및 건강 중 2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의 선천 면역 증강용 기능성 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이용한 기능성 강화식품 등을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향, 가자 및 건강 중 2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은 다양한 기능성 식품 및 건강기능성 식품의 제조시 식품의 주성분 또는 첨가제 및 보조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상기 목향, 가자 및 건강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각종 식품류,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제, 음료, 껌류,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차,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목향, 가자 및 건강 중 2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은 생약 성분이기 때문에, 질병 치료, 개선 및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목향, 가자 및 건강 중 2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의 선천 면역 증강을 위한 효과적인 포식작용 및 미생물 사멸, 염증을 자극하는 사이토카인의 생성 및 분비를 촉진하는 효과 및/또는 선천 면역에 관여하는 세포의 활성화 효과를 보이는 유효량을 이용하는 다양한 용도를 모두 포함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험 방법
1. 재료 및 시료 추출
목향 10g, 건강 5g 및 가자 10g을 각각 혼합하여, 시료 중량의 10배의 양인 250ml의 50%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여 80℃에서 3시간 환류추출 하였으며, 수득한 추출액은 여과한 뒤 동결건조하여 분말상태로 냉장실에 보관하면서 본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이후 실험에서 목향 : 가자 : 건강이 2 : 2 : 1 비율로 혼합된 시료를 사용하였고, 상기 시료를 API로 명명하여 이후 실시예에 기재하였다. 실험 효과 비교를 위한 대조군으로 Prednisolone(PDS) 및 5-Aminosalicylic acid(5-ASA)를 사용하였다.
2. 세포 배양
마우스 유래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를 10% 소태아혈청(Atlas, USA)과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Gibco, USA) 항생제가 포함된 DMEM 배지(Corning, USA)를 사용하여 5% 이산화탄소가 공급되는 37℃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3. 세포 생존률 측정
세포 생존률을 측정하기 위해 1×105개의 RAW264.7 세포를 96 well 플레이트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한 후, API, PDS, 그리고 5-ASA를 25, 50, 100 μM 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세포 생존률을 측정하기 위해서, EZ-CyTox (Daeil Lab Service, Korea) 용액 10 ㎕를 처리하여 1시간 동안 추가 반응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리더(Molecular Devices, USA)를 이용하여 450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률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세포의 생존률(100%)를 기준으로, 물질이 세포 생존률에 미치는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3. 세포 내 NO 생성량 측정
대식세포인 RAW246.7 세포를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 10% Fatal bovine serum(FBS), 1% Antibiotic-Antimycotic(GIBCO, Cat No. 15240-062)과 함께 100 mm/60.1 cm²culture dish에서 37℃, 5% CO2의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세포가 80%이상 증식하면 6well plate에 105 cells/well 분주한 후 세포배양 조건에서 80% 이상 증식할 때까지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한 다음 적정 농도로 제조한 추출물이 포함된 새 배지로 교환 후 24시간 세포배양 조건에서 추가 배양하였다. 이 세포의 배양액을 취하여 시험시료로 사용하였다. 시험분석은 Total NO/Nitrite/Nitrate ELISA kit(R&D systems, Cat.# KGE001)을 사용하여 제조사의 매뉴얼에 따라 수행하였다. 간략하게 시험 순서로는 시료를 처리하여 배양한 세포 배양액을 96well plate에 50㎕씩 넣고, Griess Reagent를 처리하고, 10분간 상온에서 반응시킨 후 540nm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4. RT- PCR (Real time-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assay
Total RNA 분리
RAW264.7 세포를 지름이 60mm인 배양접시에 배양한 후, API, PDS, 그리고 5-ASA를 25, 50, 100 μM 농도로 1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세포 RNA를 분리하기 위해, 물질이 처리된 세포배양액을 PBS를 이용하여 씻어낸 후, Trizol 1ml를 처리하여 세포를 파괴하고, 클로로포름 200 ㎕를 첨가하여 잘 섞어 원심분리하였다. RNA가 포함된 상층액을 새로운 튜브로 옮겨 상층액의 0.7 볼륨에 해당하는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을 넣어 잘 섞어 상온에서 10분간 방치하였다. 이후, 원심분리를 수행하여 RNA가 포함된 침전물을 획득하였으며, 70% 에탄올을 이용하여 침전물을 씻어주고 공기 중에서 10분 동안 건조하였다. RNA 침전물을 핵산분해효소가 없는 DW를 이용하여 잘 녹여준 후, Nanodrop을 이용하여 RNA정량을 수행하였다.
cDNA 합성
1 ㎍의 RNA와 역전사효소, 그리고 올리고 dT (oligo dT), 완충액을 함께 잘 섞어주었다. 이후, PCR기계를 이용하여 42℃에서 1시간, 그리고 72℃에서 5분간 연속적으로 반응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사이토카인 mRNA 발현량 조사
합성된 cDNA 1 ㎕를 표 1에 나타낸 각 프라이머 세트와 SYBRgreen PCR 마스터 믹스 용액을 넣어 잘 섞어 준 후 real-time PCR 기계를 이용하여 PCR 반응을 수행하였다. 각 유전자의 증폭은 실시간으로 매 사이클 경과시 형광의 강도가 측정하도록 프로그램을 디자인하여 ΔCT값을 얻었다. 상대적인 mRNA 발현량은 ΔΔCT 분석법을 이용하여 산출하였으며, 물질을 처리하지 않은 세포에서의 각 유전자의 mRNA 발현량을 1로 하여, 물질 처리에 의한 mRNA 발현양의 증감을 비교 분석하였다.
각 사이토카인 mRNA 발현 확인 위한 priemr 목록
유전자 Sense (5'→ 3') Antisense (5'→ 3')
INF-α CCTGTGTGATGCAGGAACC TCACCTCCCAGGCACAGA
INF-β ACTAGAGGAAAAGCAAGAGGA CTGGTAAGTCTTCGAATGATG
TNF-α ATAGCTCCCAGAAAAGCAAGC CACCCCGAAGTTCAGTAGACA
iNOS CATGCTACTGGAGGTGGGTG CATTGATCTCCGTGACAGCC
COX-2 TCTGGAACATTGTGAACAACATC AAGCTCCTTATTTCCCTTCACAC
IL-1β ACCTGCTGGTGTGTGACGTT TCGTTGCTTGGTTCTCCTTG
IL-6 TGGAGTCACAGAAGGAGTGGCTAAG TCTGACCACAGTGAGGAATGTCCAC
IL-10 GTGAAGACTTTCTTTCAAACAAAG CTGCTCCACTGCCTTGCTCTTATT
β-actin TCACCCACACTGTGCCCATCTACGA GGATGCCACAGGATTCCATACCCA
실시예 1 : 혼합 추출물에 의한 세포 생존률 측정
본 발명의 API(혼합 추출물)이 세포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API의 농도에 따른 세포 생존률 측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API 및 대조군인 PDS와 5-ASA는 25, 50, 100 μM 모든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도 1).
실시예 2 : 혼합 추출물에 의한 세포 내 NO 생성량 측정
본 발명의 API(혼합 추출물)이 NO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API의 농도에 따른 NO 생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API, PDS, 그리고 5-ASA를 세포독성이 없는 25, 50, 100 μM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세포에 비해 NO발생량이 증가 되었다(도 2). 특히 API의 경우, 세포 생존율에는 영향이 없지만 NO 생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서 사용된 PDS와 5-ASA와 비교하였을 때 현저하게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이는 면역증강 효과가 양성대조군인 PDS와 5-ASA보다 상당히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3 : 혼합 추출물에 의한 사이토카인 생성 증가 효과
본 발명의 API(혼합 추출물)이 선천 면역을 유도하는 사이토카인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API의 농도에 따른 대식세포의 기능을 유도하거나 도와주는 물질인 대식세포활성인자 및 염증을 자극하는 사이토카인인 iNOS, COX-2, IFNα, INFβ, lL-1β, IL-6, TNF-α 및 IL-10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처리한 API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COX-2(도 4), IFNα(도 5), INFβ(도 6), lL-1β(도 7), IL-6(도 8) 및 IL-10(도 10)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외에 iNOS(도 3) 및 TNF-α(도 9)의 경우, API의 농도 의존적이지는 않으나 발현이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API 처리한 세포에서는 iNOS mRNA의 발현이 현저하게 증가한 반면, 동일 농도의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된 PDS와 5-ASA을 처리한 세포에서는 iNOS mRNA 발현이 증가 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NO 발생량 측정 결과와 유사한 패턴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면역증진과 관련된 사이토카인 유전자들의 mRNA 발현 양상을 비교하였으며, API의 경우 qRT-PCR을 수행 한 IL-1β, IL-6, IL-10, COX-2, INF-α, INF-β, TNF-α 모든 유전자들의 mRNA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현저하게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된 PDS의 경우 INF-α, INF-β, 그리고 IL-10 mRNA 발현이 증가 되었으며, 5-ASA의 경우 INF-α, INF-β, 그리고 IL-10 mRNA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INF-α mRNA 발현의 경우 API 처리군과 양성대조군인 PDS 그리고 5-ASA 처리군 모두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유사한 증가를 보였으나, INF-β와 IL-10 mRNA 발현의 경우 양성대조군 처리군과 비교하였을 때 API 처리군에서의 그 효과가 매우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API가 면역력 증강과 관련된 사이토카인 유전자 발현량 증가에 매우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추출물에 의한 대식세포의 기능을 유도하거나 도와주는 물질인 대식세포활성인자 및 염증을 자극하는 사이토카인의 발현 증가 효과가 대조군에 비해 더 크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미루어 보아 상기 사이토카인의 발현이 선천 면역을 유도하여 면역 증강 효과를 가지도록 함을 알 수 있다.

Claims (21)

  1. 목향, 가자 및 건강 중 2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천 면역 증강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목향, 가자 및 건강 중 2 이상을 각각 1 내지 3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천 면역 증강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목향, 가자 및 건강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로,
    목향 : 가자 : 건강을 2 : 2 : 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천 면역 증강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목향, 가자 및 건강의 조추출물,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선천 면역 증강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천 면역 증강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열수추출물 또는 에탄올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천 면역 증강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50% 에탄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천 면역 증강용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선천 면역을 유도하는 인자인 iNOS, COX-2, IFNα, INFβ, INFγ, lL-1β, IL-6, TNF-α, TGF-β, NFκB, IL-10, IL-12, IL-15, IL-18, IL-23 및 IL-27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인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천 면역 증강용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선천 면역을 유도하는 NO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천 면역 증강용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천 면역 증강은 선천 면역에 관여하는 세포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천 면역 증강용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선천 면역에 관여하는 세포는 식세포(phagocytes), 비만세포(mast cell), 호염기구(basophil), 호산구(eosinophil), 항원-제시 세포(antigen-presenting cells, APCs) 및 자연 살해 세포(natural killer cells, NK cells)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천 면역 증강용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식세포는 호중구(neutrophiles), 다형핵백혈구(polymorphonuclear leukocytes), 단핵구(monocytes) 및 대식세포(macrophages)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천 면역 증강용 조성물.
  13. 목향, 가자 및 건강 중 2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천 면역 결핍 질환(Innate immune deficiency disorder)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선천 면역 결핍 질환은 만성육아종질환(chronic granulomatous disease,CGD), 백혈구부착결핍증(leucocyte adhesion deficiency, LAD), 치은염, 구강궤양, 폐렴, 임파선염, 항문주위의 농양, 미생물 감염 질환, 피부감염, 아토피 피부염, 골수염, 간농양, 비장농양, 뇌막염, 피부육아종, 폐혈증, 자가면역질환, 중이염, 상기도 감염, 점막염, 위염, 설사, 발열, 기관지염, 두드러기, 알러지성 염증, 급성 사구체 신염 또는 만성 부비동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천 면역 결핍 질환(Innate immune deficiency disorder)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선천 면역 결핍 질환은 선천 면역에 관여하는 세포의 기능저하 또는 불활성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천 면역 결핍 질환(Innate immune deficiency disorder)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선천 면역 결핍 질환은 선천 면역 결핍 질환이 아닌 제 3의 질환의 치료 과정에서 발생되는 면역 저하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천 면역 결핍 질환(Innate immune deficiency disorder)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의 질환은 각종 암, 백혈병 등의 방사선치료 또는 화학치료의 대상이 되는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천 면역 결핍 질환(Innate immune deficiency disorder)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8. 목향, 가자 및 건강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천 면역 증강용 건강기능 식품.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목향 : 가자 : 건강을 2 : 2 : 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천 면역 증강용 건강기능 식품.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기능식품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제 또는 음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천 면역 증강용 건강기능 식품.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선천 면역 증강은 선천 면역에 관여하는 세포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천 면역 증강용 건강기능 식품.






KR1020170154732A 2017-11-20 2017-11-20 선천 면역 증강용 조성물 KR201900575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732A KR20190057599A (ko) 2017-11-20 2017-11-20 선천 면역 증강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732A KR20190057599A (ko) 2017-11-20 2017-11-20 선천 면역 증강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599A true KR20190057599A (ko) 2019-05-29

Family

ID=66672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732A KR20190057599A (ko) 2017-11-20 2017-11-20 선천 면역 증강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75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3974A (ko) * 2019-12-11 2021-06-21 주식회사 네오캠코리아 천연 항균제 및 아토피 개선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3974A (ko) * 2019-12-11 2021-06-21 주식회사 네오캠코리아 천연 항균제 및 아토피 개선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5041B1 (ko)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130019352A (ko) 꾸지뽕나무 줄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1916580B1 (ko) 인진, 지유 및 울금 추출물 및 항바이러스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91084B1 (ko) 몰로키아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20160016280A (ko) 타히보 추출물 또는 인삼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KR20190057599A (ko) 선천 면역 증강용 조성물
KR20210051637A (ko) 식물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10081B1 (ko) 아출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1790657B1 (ko) 잣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KR101534498B1 (ko) 단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42786B1 (ko) 생약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용 조성물
KR20120035741A (ko) 퀘르세타제틴을 함유하는 아토피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31148B1 (ko) 유동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101790654B1 (ko) 잣박 추출물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46878B1 (ko) 메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1862282B1 (ko) 황칠나무 및 가시오가피로 구성된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면역증강용 조성물
CN101291679A (zh) 包含猕猴桃属植物的组合物及其使用方法
KR20140142516A (ko) 시호 및 꽈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00035785A (ko) 곽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
KR101624293B1 (ko) 동과자 추출물 또는 동과자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2154284B1 (ko) 해동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
KR102428697B1 (ko) 부아메라 추출분말 및 분골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EP2505203B1 (en) Antiviral composition containing an aleurites fordii or daphne kiusiana extract or a fraction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KR102308618B1 (ko) 산수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KR101895158B1 (ko) 두충과 누에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