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3974A - 천연 항균제 및 아토피 개선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항균제 및 아토피 개선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3974A
KR20210073974A KR1020190164839A KR20190164839A KR20210073974A KR 20210073974 A KR20210073974 A KR 20210073974A KR 1020190164839 A KR1020190164839 A KR 1020190164839A KR 20190164839 A KR20190164839 A KR 20190164839A KR 20210073974 A KR20210073974 A KR 20210073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gujeolcho
mulberry
dried plum
mokhya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4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5336B1 (ko
Inventor
이재성
황현진
김윤기
김상진
윤성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캠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캠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캠코리아
Priority to KR1020190164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5336B1/ko
Publication of KR20210073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인진쑥을 포함하는 복합 폴리올 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따르면 복합 폴리올 추출방법으로 제조된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인진쑥은 천연 항균효과가 우수하며, 동시에 세포 독성이 없고, 아토피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복합 폴리올 복합 추출방법은 종래 유기용매 추출 및 열수 추출의 단점을 보완하여 유기용매 제거 단계 없이 효능 효과가 우수한 유효성분을 획득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을 감축하여 생산성 및 경제성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천연 항균제 및 아토피 개선 화장료 조성물{Natural antibacterial agent and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본 발명은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인진쑥을 포함하는 복합 폴리올 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인진쑥을 폴리올 복합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며, 천연 항균제 및 아토피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목단피는 작약과 모란(Paeonia suffruticosa)의 뿌리껍질로 원통모양~반원통모양이며, 세로로 쪼개서 벌려 놓으면 안으로 약간 굽어 있거나 길게 벌어져 있고, 길이 5~20cm, 지름 0.5~1.2cm, 두께 0.1~0.4cm이다. 주로 3~5년산 모란의 뿌리껍질을 가을과 겨울에 채취한 후 말려서 한약재로 사용한다. 목단피는 어혈제거, 관절통, 생리통, 항염, 피부 진정, 항균, 항암 효과가 있다. 주요 성분으로는 페오놀(Paeonol), 페오니플로닌(Paeoniflorin) 등이 있다.
매실은 매화나무(Prunus mume ( Siebold ) Siebold & Zucc .)의 열매로 6월 말에 수확한 매실이 가장 영양가가 높으며 동의보감에 따르면 매실은 갈증과 설사를 멈추게 하고 근육과 맥박이 활기를 찾게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매실에는 무기질, 비타민, 유기산이 풍부하며, 피로 회복, 해열 작용, 항염, 항균, 피부 탄력, 피부 재생에 효과가 있다. 주요 성분으로는 말릭산(malic acid), 시트릭산(citric acid), 피루브산(pyruvic acid) 등이 있다.
목향(Inula helenium)은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향기가 좋아서 밀향이라고 한다. 높이는 0.8~2m이며 꽃은 황색이며 7~8월에 핀다. 뿌리를 건조하여 약재로 사용한다. 복부통증, 고환염, 구토, 설사 및 항염, 항균, 항암 효과가 있다. 주요 성분으로는 코스투놀라이드(costunolide), 디하이드로코스투실아세톤(dehydrocostuslactone)등이 있다.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은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식물로 국화과(compositae)의 다년생 초본 식물이며, 더위지기, 애탕쑥이라고도 불린다. 인진쑥은 주로 어린순이 사용되며, 항염, 항균, 항여드름, 항산화, 이뇨제, 황달 등에 효과가 있다. 주요 성분으로는 폴리페놀의 일종인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카페익산(caffeic acid)부터 정유 성분인 올레산(oleic acid), 리놀레산(linoleic acid)까지 다양한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다.
구절초(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는 넓은잎구절초·구일초(九日草)·선모초(仙母草)·들국화·고뽕[苦蓬]이라고도 한다. 산기슭 풀밭에서 자란다. 높이 50cm 정도로 땅속줄기가 옆으로 길게 벋으면서 번식한다. 구절초는 몸을 따뜻하게 하고, 혈액순환을 도와주며 어혈을 풀어주며 소염, 진통, 항염, 항균, 항산화 효과가 있다. 주요 성분으로는 폴리페놀의 일종인 리날린(Linarin),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3,4-카페오릭산(3,4-di-O-caffeoylquinic acid)등 이 있다.
한편, 폴리올 추출방법은 화장품에서 사용 가능한 폴리올류를 특정 비율로 섞은 후 혼합하여 추출하는 방법이다. 종래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등을 이용하여 제조된 추출물의 경우, 효능 효과 측면에서는 우수하나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되기 위해서 유기용매 제거 단계를 거쳐야 하므로 이로 인해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열수 추출로 제조된 추출물의 경우, 화장료 조성물로 바로 사용이 가능하나 유기용매로 추출된 추출물보다 효능 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새로 고안한 방법이 폴리올 추출방법이다. 폴리올 추출은 열수 추출과 달리 효능 효과가 우수한 성분을 얻을 수 있으며 동시에 통상 화장품에서 바로 사용이 가능한 유기용매를 사용하기 때문에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같이 유기용매 제거 단계가 필요하지 않은 장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89991호 (2012.10.04. 등록)
이에, 본 발명에서는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및 인진쑥의 복합 폴리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복합 폴리올 추출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및 인진쑥의 복합 폴리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및 인진쑥의 복합 폴리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및 인진쑥을 세절하는 단계; (2) 상기 세절된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및 인진쑥을 0.8~1:0.8~1:0.5~0.9:0.3~0.7:0.4~0.8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및 (3) 프로판디올(Propanediol), 뷰탄디올(Butanediol), 펜탄디올(Pentanediol) 및 옥탄디올(Octanediol)을 0.3~0.7:0.5~0.8:0.8~1:0.1~0.3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용매로, 상기 (2) 단계에서 혼합한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및 인진쑥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균 활성, TARC 억제 효과 및 필라그린(Filaggrin) 증가 효과가 우수한 복합 폴리올 추출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천연 항균제 및 아토피 개선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인진쑥을 포함하는 복합 폴리올 추출물은 아토피의 염증지표인 TARC 감소 효과가 우수하며, 세포장벽 유지에 필수인 필라그린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우수하여 아토피 개선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인진쑥을 포함하는 복합 폴리올 추출물은 천연 항균제 효과가 우수하여 천연 화장품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복합 폴리올 추출방법은 종래 유기용매 추출과 열수 추출의 단점을 보완하여 효능 효과가 우수한 유효성분을 획득할 수 있고, 제조비용을 감축하여 생산성 및 경제성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인진쑥 복합 폴리올 추출물의 천연 항균제실험(Paper disc)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인진쑥 복합 폴리올 추출물의 천연 항균제실험(MIC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인진쑥 복합 폴리올 추출물의 세포독성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인진쑥 복합 폴리올 추출물의 TARC ELISA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인진쑥 복합 폴리올 추출물의 필라그린 ELISA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복합 폴리올 추출방법을 통해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인진쑥을 포함하는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상기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인진쑥 복합 추출물이 천연 항균제로서 효과가 우수하고, 세포 독성은 없으며, TARC 감소와 필라그린 발현 증가를 통해 아토피 개선 효과가 우수하여 화장료 조성물로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며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및 인진쑥의 복합 폴리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인진쑥은 약효가 가장 좋다는 시기에 채취해서 말린 것으로, 잎, 꽃, 줄기, 뿌리 중에서 하나 이상의 부위를 사용하여 수득할 수 있다. 이때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인진쑥은 0.01 mm~2 cm 크기로 분쇄 또는 세절하여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크기"는, "최대 길이", "최대 넓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 한다.
상기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인진쑥 복합 폴리올 추출물은 추출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지는 용매 추출물, 상기 용매 추출물의 희석액 또는 농축물, 상기 용매 추출물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또는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합 폴리올 추출물은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및 인진쑥을 프로판디올(Propanediol), 뷰탄디올(Butanediol), 펜탄디올(Pentanediol) 및 옥탄디올(Octanediol) 혼합 용매로 추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및 인진쑥은 0.8~1:0.8~1:0.5~0.9:0.3~0.7:0.4~0.8의 중량비로 혼합할 수 있고, 상기 혼합 용매는 프로판디올(Propanediol), 뷰탄디올(Butanediol), 펜탄디올(Pentanediol) 및 옥탄디올(Octanediol)을 0.3~0.7:0.5~0.8:0.8~1:0.1~0.3의 중량비로 혼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대장균(Escherichia coli), 황색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또는 아스파질러스 브라실리엔시스(Aspergillus brasiliensis)에 대해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및 인진쑥의 복합 폴리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합 폴리올 추출물은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및 인진쑥을 프로판디올(Propanediol), 뷰탄디올(Butanediol), 펜탄디올(Pentanediol) 및 옥탄디올(Octanediol) 혼합 용매로 추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및 인진쑥은 0.8~1:0.8~1:0.5~0.9:0.3~0.7:0.4~0.8의 중량비로 혼합할 수 있고, 상기 혼합 용매는 프로판디올(Propanediol), 뷰탄디올(Butanediol), 펜탄디올(Pentanediol) 및 옥탄디올(Octanediol)을 0.3~0.7:0.5~0.8:0.8~1:0.1~0.3의 중량비로 혼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TARC(thymus and activation-regulated chemokine) 억제 효과 및 필라그린(Filaggrin) 증가 효과가 우수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합 폴리올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 내지 7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인 경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 외에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그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피부 흡수 촉진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피부외용연고, 크림,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팩, 에센스,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젤, 스킨 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 크림, 영양크림, 아이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 크림, 파운데이션, 영양에센스, 선스크린,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 로션 및 바디 클렌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각 제형의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상기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및 인진쑥을 세절하는 단계; (2) 상기 세절된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및 인진쑥을 0.8~1:0.8~1:0.5~0.9:0.3~0.7:0.4~0.8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및 (3) 프로판디올(Propanediol), 뷰탄디올(Butanediol), 펜탄디올(Pentanediol) 및 옥탄디올(Octanediol)을 0.3~0.7:0.5~0.8:0.8~1:0.1~0.3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용매로, 상기 (2) 단계에서 혼합한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및 인진쑥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균 활성, TARC 억제 효과 및 필라그린(Filaggrin) 증가 효과가 우수한 복합 폴리올 추출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21일 내지 49일 동안 20℃ 내지 50℃에서 추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 온도 및 추출 시간을 적용 시, 추출 효율이 우수하고, 유효 성분의 효과가 가장 우수할 수 있다.
상기, 복합 폴리올 추출물은 교반 추출, 환류 냉각 추출, 초음파 추출 및 초임계 추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방법을 더 적용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여 여과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실시예 1> 목단피, 건매실 , 목향 , 구절초, 인진쑥 복합 폴리올 추출물 제조
목단피 전초(경동시장), 건매실 전초(경동시장), 목향 전초(경동시장), 구절초 전초(경동시장), 인진쑥 전초(경동시장) 각각 300 중량부를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한 후 믹서기를 이용하여 각각 0.1~1cm 크기로 세절하였다.
세절한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인진쑥을 1:1:0.8:0.5:0.8 중량부로 혼합하여 총 200 중량부를 준비하였다. 복합 폴리올은 프로판디올, 뷰탄디올, 펜탄디올, 옥탄디올을 0.3:0.5:1:0.1 중량부로 혼합하여 총 1,000 중량부를 준비하였다.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인진쑥 총 중량부 200과 복합 폴리올 총 1,000 중량부를 혼합하여 21일간 35℃의 온도에서 침지 및 교반 추출한 후, Whatman No. 2 여과지로 여과하여 여과물을 수득하였으며, 수득된 여과물은 상기와 동일 방법으로 2회 추출 및 여과를 반복하였다.
원물 폴리올
원물 원물 혼합 비율 폴리올 폴리올 혼합 비율
시험물질 1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인진쑥
0.8:0.8:0.6:0.3:0.4 프로판디올,
뷰탄디올,
펜탄디올,
옥탄디올
0.3:0.5:1:0.1
시험물질 2 0.8:0.8:0.6:0.3:0.4 0.7:0.6:0.8:0.3
시험물질 3 1:1:0.8:0.5:0.8 0.7:0.6:0.8:0.3
시험물질 4 1:1:0.8:0.5:0.8 0.3:0.5:1:0.1
비교물질 1 0.8:0.8:0.6:0.3:0.4 뷰탄디올
비교물질 2 1:1:0.8:0.5:0.8 뷰탄디올
< 실시예 2> 목단피, 건매실 , 목향 , 구절초, 인진쑥 복합 폴리올 추출물의 천연 항균제실험 (Paper disc)
표 1에 시험물질 1, 시험물질 2, 시험물질 3, 시험물질 4, 비교물질 1, 비교물질 2의 대하여 항균 활성 정도를 알아보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평가 방법으로 원형여과지법(paper disc method)을 이용하였으며, 항균활성 평가에는 표준시험균주(식약처 및 MIC test guide line)인 대장균(Escherichia coli, ATCC 8739), 황색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P),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ATCC 9027),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ATCC 10231), 아스파질러스 브라실리엔시스(Aspergillus brasiliensis, ATCC 16404)를 한국미생물보존센터(KCCM, Korea)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상기 표준시험균주 중 대장균, 황색 포도상구균 및 녹농균의 배양에는 TSA 배지(Tryptic Soy Agar) 배지를 사용 하였다. 상기 표준시험균주 중 칸디다 알비칸스의 배양에는 SOA 배지(Sabouraud Dextrose Agar) 배지를 사용하였다. 아스파질러스 브라실리엔시스 배양에는 PDA 배지(Potato Dextrose Agar)를 사용하였다. 121℃에서 15분간 멸균한 독립적인 영양배지(Nutrient Broth)를 준비한 후, 상기에서 준비한 각 표준시험균주를 3 × 10^5 cfu/㎖의 양으로 접종하였다. 시험물질 1, 시험물질 2, 시험물질 3, 시험물질 4, 비교물질 1, 비교물질 2의 조성물을 지름 10mm인 페이퍼디스크 (paper disk)에 약 15~20㎕를 흡수시킨 후 용매를 건조시키고 균주가 접종된 배지 표면상에 밀착시켜 표준시험 균주를 배양하였다. 표준시험균주 중 대장균, 황색 포도상구균, 녹농균은 37℃의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칸디다 알비칸스 및 아스파질러스 브라실리엔시스는 26℃의 배양기에 서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후, 페이퍼디스크 주변에 형성된 투명환 (clear zone)의 크기를 측정하여 항균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의 양성대조군으로 세균은 젠타마이신(Sigma) 1%, 진균은 엠포테리신B(Sigma) 0.1%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도 1).
비교물질 1, 비교물질 2번보다 시험물질 1, 2, 3, 4가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녹농균, 칸디다 알비칸스, 아스파질러스 브라실리엔시스의 항균효과가 우수했다. 시험물질간의 비교에는 시험물질 4번이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 칸디다 알비칸스, 아스파질러스 브라실리엔시스의 항균효과가 우수했다. 표 2에 결과를 정리하였다.
E. coli S. aureus P. aeruginosa C. albicans A. brasiliensis
Control 13mm 15mm 12mm 12mm 11mm
시험물질 1 19mm 20mm 17mm 16mm 15mm
시험물질 2 17mm 20mm 17mm 15mm 15mm
시험물질 3 17mm 19mm 17mm 15mm 15mm
시험물질 4 21mm 24mm 19mm 18mm 15mm
비교물질 1 17mm 18mm 15mm 13mm 13mm
비교물질 2 18mm 18mm 16mm 13mm 13mm
< 실시예 3>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인진쑥 복합 폴리올 추출물의 천연 항균제실험 (MIC 실험)
121℃에서 15분간 멸균한 독립적인 영양배지(Nutrient Broth)를 준비한 후, 상기에서 준비한 각 표준 시험균주를 3 × 10^5 cfu/㎖의 양으로 접종하였다. 시험물질 1, 시험물질 2, 시험물질 3, 시험물질 4, 비교물질 1, 비교물질 2의 조성물을 시험농도 4%, 2%, 1% 농도로 맞추고 시험균주의 single colony 이용하여 접종하여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흡광도(600nm)를 측정하여 결과를 확인하였다. 사용한 균주는 실시예 2번과 동일 균주를 사용하였다. 대장균, 황색 포도상구균 및 녹농균의 배양에는 TSB 배지(Tryptic Soy Broth) 배지를 사용 하였다. 상기 표준시험균주 중 칸디다 알비칸스의 배양에는 SOB 배지(Sabouraud Dextrose Broth) 배지를 사용하였다. 아스파질러스 브라실리엔시스 배양에는 PDB 배지(Potato Dextrose Broth) 배지를 사용하였다. 실험의 양성대조군으로 세균은 젠타마이신(Sigma) 1%, 진균은 엠포테리신B (Sigma) 0.1%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도 2).
비교물질 1, 비교물질 2번보다 시험물질 1, 2, 3, 4가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 칸디다 알비칸스, 아스파질러스 브라실리엔시스의 항균효과가 우수했다. 시험물질 간의 비교에는 시험물질 4번이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 칸디다 알비칸스, 아스파질러스 브라실리엔시스의 항균효과가 우수했다.
E. coli S. aureus P. aeruginosa C. albicans A. brasiliensis
Control X X X X X
시험물질 1 2% 4% 5% 5% 5%
시험물질 2 5% 5% 5% 10% 10%
시험물질 3 2% 5% 5% 10% 10%
시험물질 4 2% 4% 2% 2% 2%
비교물질 1 10% 10% 10% 10% 10%
비교물질 2 10% 10% 10% 10% 10%
< 실시예 4> 목단피, 건매실 , 목향 , 구절초, 인진쑥 복합 폴리올 추출물의 아토피 개선 효과
1. 세포독성
각질형성세포 HaCaT (ATCC)는 혈구계(hemacytometer)를 이용하여 계수한 후, 96 웰 플레이트에 1 × 10^4 세포/웰 농도로 분주하였다.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각질형성세포에 실시예 1의 시험물질 또는 비교물질을 전체 100ug/ml 농도로 각 웰에 첨가하고, 5%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포함된 DMEM 배지 100 ㎕를 이용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DMEM 배지와 WST 용액(EZ-cytox)을 9: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첨가한 다음 37℃, 5% CO2 배양기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독성 정도(세포 생존율)는 시험물질 및 비교물질과 같은 용매를 사용한 대조군의 흡광 강도를 기준으로 하여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계산식 1]
세포 생존율 (%) = 시료물질 첨가군 흡광도 / 대조군 흡광도 × 100
그 결과, 시험물질 및 비교물질 모두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
2. TARC ELISA
각질형성세포 HaCaT (ATCC)는 혈구계(hemacytometer)를 이용하여 계수한 후, 24 웰 플레이트에 2 × 10^5 세포/웰 농도로 분주하였다. 24시간 동안 DMEM 배지 (10% 우태아혈청, 5%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에서 배양한 후, 10% 우태아혈청이 없는 DMEM 배지로 교체 후 24시간 추가 배양하였다. 실시예 1의 시험물질 또는 비교물질을 전체 100ug/ml 농도로 1시간 처리 한 후 재조합 hTNF-a 10ng/ml(BioLegend 570102)과 hIFN-r 10ng/ml(BioLegend 570202)을 24시간 처리하였다. 배양액을 회수한 후 TARC ELISA (R&D systems DDN00)을 진행하였다. TARC ELISA는 제조사에서 제공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였다. 실험의 양성대조군으로 TGF-b 10ng/ml(BioLegend 580702)을 처리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 시험물질 4에서 가장 TARC 억제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도 4).
3. 필라그린 ELISA
각질형성세포 HaCaT (ATCC)는 혈구계(hemacytometer)를 이용하여 계수한 후, 24 웰 플레이트에 2 × 10^5 세포/웰 농도로 분주하였다. 24시간 동안 DMEM 배지 (10% 우태아혈청, 5%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에서 배양한 후, 10% 우태아혈청이 없는 DMEM 배지로 교체 후 24시간 추가 배양하였다. 실시예 1의 시험물질 또는 비교물질을 전체 100ug/ml 농도로 48시간 처리하였다. 배양액을 회수한 후 Filaggrin ELISA (Cloud-Clone SEJ103Hu)을 진행하였다. Filaggrin ELISA는 제조사에서 제공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였다. 실험의 양성대조군으로 TGF-b 10ng/ml(BioLegend 580702)을 처리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 시험물질 4에서 가장 필라그린 증가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도 5).
< 실시예 5>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인진쑥 복합 폴리올 추출물의 천연 항균제실험 (Challenge test)
앞에서 수행한 실험에서 가장 효과가 우수하였던 시험물질 4번을 대상으로 에센스 제품, 크림 제품으로 제조한 후 challenge test를 진행하였다. 제제예는 다음과 같다.
<제제예 1> 화장료 조성물의 제제예
<제제예 1-1> 로션의 제조
프로필렌글리콜 3.0 중량부, 카르복시폴리머 0.1 중량부, 방부제 미량과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교반하면서 80 내지 85℃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폴리솔베이트60 1.0 중량부,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0.5 중량부, 유동 파라핀 10.0 중량부,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1.0 중량부,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0.5 중량부, 스테아린산 1.5 중량부,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PEG-400 스테아레이트 1.0 중량부, 트리에탄올아민 0.2 중량부를 80 내지 85℃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하였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까지 열 냉각한 뒤 향료 미량을 투입하고, 45℃까지 냉각한 뒤 색소 미량을 투입하고, 35℃에서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인진쑥의 복합 폴리올 추출물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켰다.
<제제예 1-2> 크림의 제조
카르복시폴리머 0.3 중량부, 부틸렌글리콜 5.0 중량부, 글리세린 3.0 중량부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교반하면서 80 내지 85℃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스테아린산 2.0 중량부, 세틸알콜 2.0 중량부, 글리세릴모노 스테아레이트 2.0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0.5 중량부,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중량부,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 1.0 중량부, 왁스 1.0 중량부, 유동파라핀 4.0 중량부, 스쿠알란 4.0 중량부,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중량부를 80 내지 85℃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트리에탄올아민 0.5 중량부를 투입하여 유화하였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35℃까지 냉각한 뒤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인진쑥의 복합 폴리올 추출물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켰다.
<제제예 1-3> 에센스의 제조
카르복시폴리머 0.05 중량부, 부틸렌글리콜 3.0 중량부, 글리세린 3.0 중량부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 교반하면서 80 내지 85℃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25℃까지 냉각한 뒤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인진쑥의 복합 폴리올 추출물을 투입한 후 숙성시켰다.
에센스와 크림제형에는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인진쑥의 복합 폴리올 추출물은 2% 들어가게 제조하였으며 challenge test를 진행하였다.
에센스와 크림제형에 대장균, 녹농균, 황색포도상구균은 각각 1×10^6 CFU/ml을 처리하였고, 칸디다 알비칸스, 아스파질러스 브라실리엔시스는 각각 1×10^5 CFU/ml을 처리하였다. 0일차, 1일차, 5일차, 7일차, 14일차, 21일차, 28일차에 걸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각 균별 배양 배지는 실시예 2번에 명시하였다.
그 결과, 아래의 표로 표시하였으며, 세균의 경우 1일차 이내에서 진균에 경우 5일차부터 사멸을 확인하였으며 28일까지 천연 항균 효과는 유지되었다.
day 검출 균수 (CFU)
E. coli S. aureus P. aeruginosa C. albicans A. brasiliensis
0 >3.0×10^5 >3.0×10^5 >3.0×10^5 >3.0×10^5 >3.0×10^5
1 N.D N.D N.D 1.1×10^3 3.0×10^2
5 N.D N.D N.D N.D N.D
7 N.D N.D N.D N.D N.D
14 N.D N.D N.D N.D N.D
21 N.D N.D N.D N.D N.D
28 N.D N.D N.D N.D N.D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예 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1)

  1.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및 인진쑥의 복합 폴리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폴리올 추출물은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및 인진쑥을 프로판디올(Propanediol), 뷰탄디올(Butanediol), 펜탄디올(Pentanediol) 및 옥탄디올(Octanediol) 혼합 용매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및 인진쑥은 0.8~1:0.8~1:0.5~0.9:0.3~0.7:0.4~0.8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용매는 프로판디올(Propanediol), 뷰탄디올(Butanediol), 펜탄디올(Pentanediol) 및 옥탄디올(Octanediol)을 0.3~0.7:0.5~0.8:0.8~1:0.1~0.3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대장균(Escherichia coli), 황색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또는 아스파질러스 브라실리엔시스(Aspergillus brasiliensis)에 대해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6.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및 인진쑥의 복합 폴리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폴리올 추출물은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및 인진쑥을 프로판디올(Propanediol), 뷰탄디올(Butanediol), 펜탄디올(Pentanediol) 및 옥탄디올(Octanediol) 혼합 용매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및 인진쑥은 0.8~1:0.8~1:0.5~0.9:0.3~0.7:0.4~0.8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용매는 프로판디올(Propanediol), 뷰탄디올(Butanediol), 펜탄디올(Pentanediol) 및 옥탄디올(Octanediol)을 0.3~0.7:0.5~0.8:0.8~1:0.1~0.3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TARC(thymus and activation-regulated chemokine) 억제 효과 및 필라그린(Filaggrin) 증가 효과가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1. (1)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및 인진쑥을 세절하는 단계;
    (2) 상기 세절된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및 인진쑥을 0.8~1:0.8~1:0.5~0.9:0.3~0.7:0.4~0.8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및
    (3) 프로판디올(Propanediol), 뷰탄디올(Butanediol), 펜탄디올(Pentanediol) 및 옥탄디올(Octanediol)을 0.3~0.7:0.5~0.8:0.8~1:0.1~0.3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용매로, 상기 (2) 단계에서 혼합한 목단피, 건매실, 목향, 구절초 및 인진쑥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균 활성, TARC 억제 효과 및 필라그린(Filaggrin) 증가 효과가 우수한 복합 폴리올 추출물 제조방법.
KR1020190164839A 2019-12-11 2019-12-11 천연 항균제 및 아토피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2305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839A KR102305336B1 (ko) 2019-12-11 2019-12-11 천연 항균제 및 아토피 개선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839A KR102305336B1 (ko) 2019-12-11 2019-12-11 천연 항균제 및 아토피 개선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974A true KR20210073974A (ko) 2021-06-21
KR102305336B1 KR102305336B1 (ko) 2021-09-28

Family

ID=76599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839A KR102305336B1 (ko) 2019-12-11 2019-12-11 천연 항균제 및 아토피 개선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533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6102A (ko) * 2010-02-12 2011-08-29 주식회사 케이씨아이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복합 천연 방부제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120047692A (ko) * 2010-11-04 2012-05-1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소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189991B1 (ko) 2006-11-24 2012-10-12 (주)아모레퍼시픽 백련초 추출물, 자작나무 수액,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및 폴리올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46358A (ko) * 2015-06-12 2016-12-21 (주) 아마존허브 초고압 효소 반응으로 추출된 구취 개선 및 구강 질환 예방용 매실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57599A (ko) * 2017-11-20 2019-05-29 한국콜마주식회사 선천 면역 증강용 조성물
KR20190079849A (ko) * 2017-12-28 2019-07-08 우용규 항염증 및 항균효과를 가지는 a.c.c.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9991B1 (ko) 2006-11-24 2012-10-12 (주)아모레퍼시픽 백련초 추출물, 자작나무 수액,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및 폴리올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96102A (ko) * 2010-02-12 2011-08-29 주식회사 케이씨아이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복합 천연 방부제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120047692A (ko) * 2010-11-04 2012-05-1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소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60146358A (ko) * 2015-06-12 2016-12-21 (주) 아마존허브 초고압 효소 반응으로 추출된 구취 개선 및 구강 질환 예방용 매실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57599A (ko) * 2017-11-20 2019-05-29 한국콜마주식회사 선천 면역 증강용 조성물
KR20190079849A (ko) * 2017-12-28 2019-07-08 우용규 항염증 및 항균효과를 가지는 a.c.c.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5336B1 (ko) 202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7359B1 (ko) 천연 방부제 화장료 조성물 및 물티슈 용액
KR101532005B1 (ko) 유자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986249B1 (ko) 관중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항균, 방부제 조성물.
KR101749690B1 (ko) 배초향을 함유하는 피지관리 및 모공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1533624B1 (ko) 항균 활성을 갖는 가락지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18361B1 (ko) 고삼뿌리, 소나무잎 및 쑥잎을 포함하는 자연유래 항균 보존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11154580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acne symptoms using natural extracts as active ingredients
KR101930264B1 (ko) 현호색, 캣츠클로, 센티드제라늄, 아그리모니, 인동덩굴, 개박하 및 솔잣나무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생성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09554A (ko) 항산화 및 항알레르기 효과를 갖는 허브 추출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133562A (ko) 정향, 히비스커스, 및 코코넛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진균 조성물
KR101473925B1 (ko) 태산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방부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1191140B1 (ko) 장딸기 열매 추출물 및 마유를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94531B1 (ko)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를 함유하는 방부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941133B1 (ko) 방부활성과 항염 활성을 가지는 카프릴릴 글라이콜 에칠헥실글리세린과 노간주나무 추출물 부추 추출물과 산들깨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63969B1 (ko) 유동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05336B1 (ko) 천연 항균제 및 아토피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1367703B1 (ko) 화장료 및 피부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2140238B1 (ko) 침향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2282645B1 (ko) 천궁 및 황금 혼합 추출물 또는 이들의 분리화합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및 비듬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00090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98194B1 (ko) 헤어 및 바디용 다기능 소취 화장료 조성물
KR102074129B1 (ko) 고련피, 작약 및 초피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방부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42410B1 (ko) 비정제당 벌노랑이 씨앗 추출물의 제조방법, 그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2622690B1 (ko) 벌나무 및 함박꽃나무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43098A (ko) 영실 추출물 또는 이의 분리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생물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