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8697B1 - 부아메라 추출분말 및 분골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부아메라 추출분말 및 분골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8697B1
KR102428697B1 KR1020210146403A KR20210146403A KR102428697B1 KR 102428697 B1 KR102428697 B1 KR 102428697B1 KR 1020210146403 A KR1020210146403 A KR 1020210146403A KR 20210146403 A KR20210146403 A KR 20210146403A KR 102428697 B1 KR102428697 B1 KR 102428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powder
powder
extract
enhancing immun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6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셀로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셀로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셀로맥스
Priority to KR1020210146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86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2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from offal, e.g. rinds, skins, marrow, tripes, feet, ears or snou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2Bones; Osteocytes; Osteoblasts; Tendons; Tenocytes; Teeth; Odontoblasts; Cartilage; Chondrocytes; Synovial membr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Cell Biology (AREA)
  • Vir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아메라 추출분말 및 분골 추출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부아메라 추출분말 및 분골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세포 내에서 산화 질소와 사이토카인인 TNF-α, IL-1β, IL-6의 생성을 유도하여 면역활성을 조절함으로써 면역을 증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부아메라 추출분말 및 분골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MUNE-ENHANCING COMPRISING BUAH MERAH EXTRACT POWDER AND DEER ANTLERS EXTRACT POWDER}
본 발명은 면역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부아메라 추출분말 및 분골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인간은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다양한 외부 자극물질에 노출됨에 따라 외부 자극으로부터 건강을 지키기 위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환경 및 병원체와 같은 외부 자극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 위한 면역력의 중요성과 더불어 면역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제품에 대한 관심도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인체는 외부로부터 병원체의 침입이 발생할 경우, 이를 식별하고 제거하는 면역작용을 통해 몸을 보호하며 항상성을 유지한다. 이러한 면역 반응은 선천성 면역반응(innate immunity)인 초기 면역반응과 후천성 면역반응(acquired immunity)인 후기 면역반응으로 구분될 수 있다. 선천성 면역반응에서는 대식세포가 병원체를 탐식하면서 TNF-α와 같은 활성표지를 생산하여 분비하면 자연살해세포, 즉 NK 세포가 퍼포린(perforin)과 같은 활성지표를 생산 및 분비하여 병원체 감염세포를 살해함으로써 병원체로부터 숙주를 보호한다. 후천성 면역반응에서는 세포독성 T 림프구가 퍼포린(perforin)을 다량 생산하고 분비함으로써 병원체 감염세포를 죽인고, B 림프구가 헬퍼 T 림프구의 의존 또는 비의존적으로 항체를 생성하여 숙주세포를 보호한다. 반대로, 면역 결핍(immunodeficiency)시에는 감염에 대한 저항력이 저하됨에 따라 세균에 의한 감염 방어 능력이 감소되어 감기와 같은 경증 질환부터 심각하게는 암와 같은 중증 질환을 유발하게 되므로, 면역력을 증강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면역력을 증강시키기 위해서는 평소에 개인 위생을 철저히 지키고, 병원균이 입과 호흡기를 통해 전파되는 것을 막기 위해 수시로 물을 섭취해주며,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평소에 단백질, 비타민, 진세노사이드 성분 등이 포함된 음식을 섭취함으로써 면역력을 증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음식만으로 면역력을 증강시키기 위한 영양소를 고루 섭취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면역력 증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건강기능 보조식품을 추가로 섭취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면역력 증강을 위한 건강기능 보조식품의 소비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부아메라(buah merah)는 인도네시아령 파푸아(이리안자야) 지역에서만 자생하는 뉴기니섬의 토종식물로서 폐암 예방은 물론 골다공증과 각종 호흡기 질환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염증성 피부를 위한 화장품의 원료로도 이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한국공개특허 제2021-0065591호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주요 구성 성분으로서 부아메라 열매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아토피 및 여드름을 개선하는 효과가 우수함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부아메라는 다양한 효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부패가 빨리 진행되는 부아메라의 특성으로 인해 건강기능식품으로의 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특히 면역을 증진시키기 위한 부아메라의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개발은 미미한 실정이다.
녹용(deer antlers)은 사슴의 뿔로서, 자라기 시작한지 2개월 이내의 아직 각질화가 되지 않은 조직이 연하고 털이 골고루 덮여 있는 수컷의 뿔을 잘라 말린 것을 녹용이라 일컫는다. 자라기 시작해서 한달 이내의 뿔은 아주 부드럽고 혈액이 많이 있고, 보통 한달 정도 되면 30㎝ 정도로 뿔이 자라고 2개월이 되면 가지가 두 개 정도 뻗는데, 품종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대개는 60~70㎝까지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녹용은 부위에 따라 가장 끝부터 분골, 상대 중대 및 하대로 분류된다. 먼저 분골은 뿔 위에서부터 3 내지 5cm에 해당하는 최상단 부위로서 세포활동이 가장 활발하며, 조직이 매우 치밀하며 발육을 촉진하는 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상대는 뿔 위에서부터 5 내지 15cm에 해당하는 부위로서 조직이 치밀하고 부드러우며 조혈작용을 하고 심장과 위를 보호하는데 효과적이다. 중대는 뿔 위에서부터 15 내지 30cm에 해당하는 부위로서 상대와 가까운 윗부분은 조직이 치밀하고 부드러우며, 중간부위부터는 벌집처럼 작은 구멍이 있고 자흙색을 띄며, 중풍, 결핵 및 당뇨병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마지막으로 하대는 뿔 위에서부터 30 cm 이하에 해당하는 부위로서 각질화되어 딱딱하며 칼슘과 미네랄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골다공증, 관절염, 디스크 및 갱년기 치료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녹용은 특히 면역을 증강시키기 위한 성분으로 이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한국등록특허 제2176809호는 면역증강용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고, 한국공개특허 제2021-0047240호는 면역증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문헌에는 녹용이 면역력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임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는 녹용 전체를 이용하여 추출한 녹용 추출물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특정 효과에 대한 상승 효과가 현저하지 못하다.
KR 10-2021-0065591 A KR 10-2176809 B KR 10-2021-0047240 A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면역력을 증강시킬 수 있는 부아메라 추출분말 및 분골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부아메라 추출분말 및 분골 추출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용어 '면역 증진'이란, 저하된 면역력을 회복시켜 정상적으로 유지하고 면역력이 저하되는 것을 막기 위해 강화시키는 것을 일컫는다. 좀 더 상세하게는 세포 내에 산화질소(Nitric oxide)와 TNF-α, IL-1β, IL-6와 같은 사이토카인(Cytokine)의 생성을 증가시켜 대식세포의 증식을 유도하여 면역반응을 조절함으로써 면역력을 증진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본 발명의 용어 '부아메라 추출분말'은 부아메라 추출물을 분무 건조하여 수득한 분말을 일컫는다. 상기 부아메라 추출물은 통상적인 식물 추출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적당하다. 또한 상기 유기용매로는 에탄올, 메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함수에탄올, 함수부틸렌글리콜, 함수프로필렌글리콜, 헥산, 에틸아세테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사용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유기용매와 물을 적절히 혼합한 용매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용매를 이용한 추출방법으로는 통상적인 식물추출방법 예컨대, 열수추출, 유기용매 추출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부아메라를 물에 투입하여 40-100℃에서 4-20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는 것이 적당하다. 추출에 사용되는 용매의 양은 추출원료의 통상 5 내지 20배량(중량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용어 '분골 추출분말'은 녹용의 상부부터 3 내지 5cm에 해당하는 최상단 부위인 분골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고, 이를 분무 건조하여 수득한 분말을 일컫는다. 상기 분골 추출물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적당하다. 또한 상기 유기용매로는 에탄올, 메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함수에탄올, 함수부틸렌글리콜, 함수프로필렌글리콜, 헥산, 에틸아세테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사용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유기용매와 물을 적절히 혼합한 용매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용매를 이용한 추출방법으로는 통상적인 식물추출방법 예컨대, 열수추출, 유기용매 추출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세절한 분골을 물에 투입하여 교반하면서 5-40℃에서 1-15일간 침적시켜 추출하는 것이 적당하다. 추출에 사용되는 용매의 양은 추출원료의 통상 5 내지 20배량(중량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면역 증진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부아메라 추출분말 및 분골 추출분말의 혼합 비율은 1:0.1~1 중량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분골 추출분말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면역증진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분골 추출분말이 상기 범위 초과일 경우 조성물에 포함되는 함량 대비 면역증진 상승 효과가 미미하여 경제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면역 증진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부아메라 추출분말 및 분골 추출분말은 면역 증진용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내지 50 중량% 함유시켜 제조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면역 증진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분골 추출분말은 녹용 상부에서 3cm 내지 5cm에 해당하는 부위로부터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르면, 녹용 추출분말보다 분골 추출분말이 NO 생성 및 사이토카인 생성을 유도하는데 더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녹용 자체에 분골 부위가 포함되어 있다 하더라도 녹용 자체를 이용하는 것 보다 녹용 중 분골 부분만을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면역력을 증진시키는데 더욱 효과적임을 보여주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분골 추출분말은 녹용 추출분말보다 면역 증진용 조성물로서 더 적합함을 시사한다(도 2 내지 5 참조).
본 발명의 면역 증진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면역 증진용 조성물은 면역을 증진시키기 위해 종래에 알려진 어떠한 성분도 추가적으로 더 포함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홍삼 농축액, 도라지 농축액, 효소처리 로열젤리 분말, 생강 농축액, 감초 추출물, 나한과 추출분말, 후코이단, 돈태반, 아교 추출물, 침향 추출물, 전칠삼 추출물, 베타-글루칸(beta-glucan), 아연, 프로폴리스, 초유 및 락토페린(lactoferrin)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면역 증진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식품 조성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면역 증진용 조성물이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 이용될 경우, 섭취와 활용에 편리한 제형을 가질 수 있고, 분말, 과립, 분말 또는 과립이 충전된 캡슐, 코팅된 캡슐, 코팅된 정제, 코팅된 펠릿, 코팅된 과립, 액상의 혼합음료 또는 농축액의 연조엑스제의 제형을 갖는 것일 수 있으며, 이러한 제형으로 제조하기 위하여 통상의 부형제, 안정제, 증점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품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첨가물" 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정청에 승인된 식품첨가물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본 발명의 면역 증진용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이용될 경우, 다양한 가공식품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예컨대 유제품, 음료, 소스류, 잼류 또는 제과류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면역 증진용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이용될 경우, 상기 조성물은 투여를 위하여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 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 형태, 투여 경로 및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부아메라 추출분말 및 분골 추출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일일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1 ㎎/㎏ 내지 1500 ㎎/㎏이며, 필요에 따라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부아메라 추출분말 및 분골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조성물(실시예)이 부아메라 추출분말 (비교예 1) 및 분골 추출분말(비교예 2) 각각보다 산화 질소 및 사이토카인을 생성하는데 더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부아메라 추출분말 및 분골 추출분말의 시너지 효과로 인해 면역을 증진시키는데 더 효과적이므로, 면역 증진용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이용 가능함을 시사한다(도 2 내지 도 5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아메라 추출분말 및 분골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세포 내에서 산화 질소와 사이토카인인 TNF-α, IL-1β, IL-6의 생성을 유도하여 면역활성을 조절함으로써 면역을 증강시킬 수 있다.
도 1은 세포 독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산화 질소의 생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사이토카인 중 TNF-α의 생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사이토카인 중 IL-1β의 생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5는 사이토카인 중 IL-6의 생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면역 증강용 조성물의 제조
먼저, 뉴질랜드로부터 수입한 녹용을 12시간 자연풍으로 해동하고 고온수로 살균 후, 일정시간 고열을 가하여 증식 가능성이 있는 세균 또는 병원균을 제거한다. 상기 살균을 마친 녹용을 25일 가량 저온 보관 및 숙성 하였다. 숙성된 녹용의 분골 부분만을 취하여 세절한 후, 분골에 100배의 정제수를 넣고 10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한 후 여과하였다. 수득한 액상추출물을 회전감압농축기로 농축하였다. 상기 농축액 80%와 덱스트린 20%를 혼합한 혼합물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분말화하여 분골 추출분말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인도네시아로부터 수입한 부아메라를 세척한 후, 부아메라를 정제수 및 발효주정과 혼합하여 95℃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한 후 여과하였다. 수득한 액상추출물을 회전감압농축기로 농축하였다. 상기 농축액 65%와 덱스트린 35%를 혼합한 혼합물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분말화하여 부아메라 추출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분골 추출분말과 부아메라 추출분말을 1:1로 혼합하여 면역 증강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준비예: 세포 배양
대식세포 계열(Murine macrophage cell line)인 RAW 264.7 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KCLB; Seoul, Korea)으로부터 분양 받아 penicillin-streptomycin 100 units/ml과 10% fetal bovine serum (FBS)이 함유된 DMEM 배지 (GIBCO, Grand Island, NY, USA)를 사용하여 37℃% CO2 항온기에서 배양하였으며, 3일에 한 번씩 계대배양을 시행하였다.
실험예 1: 세포 독성 평가(LDH assay)
RAW 264.7 세포(1.5 x 105 cells/ml)를 DMEM 배지에 부아메라 추출분말 및 분골 추출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실시예), 부아메라 추출분말(비교예 1), 분골 추출분말(비교예 2) 각각을 처리한 후, 각 배지에 LPS (1 μg/ml)를 동시에 처리하여 18시간 배양 한 후 배양 배지를 얻어 3,000 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LDH(lactate dehydrogenase) assay는 non-radioactive cytotoxicity assay kit (Promega)를 이용하여 측정했으며, 48 well plate에 원심 분리하여 얻는 배양 배지 50 μl와 reconstituted substrate mix 를 50 μl를 넣고, 실온에서 30분 반응시킨 후 50 μl의 stop solution을 넣은 후 microplate reader (Bio-TEK Instruments Inc., Vermont, WI, USA)를 사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시료군에 대한 평균 흡광도 값을 구하였으며, 대조군 (LDH control, 1:5,000)의 흡광도 값과 비교하여 세포독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실험예 2: 세포 내 Nitric oxide 생성 평가
RAW 264.7 세포를 10% FBS가 첨가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1.5x105 cells/ml로 조절한 후 48 well plate에 접종하고, 부아메라 추출분말 및 분골 추출물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실시예), 부아메라 추출분말(비교예 1), 분골 추출분말(비교예 2) 각각을 처리한 후, 각 배지에 LPS (1 μg/ml)를 동시에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생성된 NO의 양은 Griess 시약[1% (w/v) sulfanilamide, 0.1% (w/v) naphylethylenediamine in 2.5%(v/v) phosphoric acid]을 이용하여 세포배양액 중에 존재하는 NO2-의 형태를 측정하였다. 세포배양 상등액 100 μl와 Griess 시약 100 μl를 혼합하여 96 well plates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생성된 NO의 양은 sodium nitrite(NaNO2)를 standard로 비교하였다.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아메라 추출분말 및 분골 추출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NO 생성 평가를 한 결과,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부아메라 추출분말 및 분골 추출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실시예)은 부아메라 추출분말(비교예 1) 단독 및 분골 추출분말(비교예 2) 단독보다 NO 생성에 더 효과적이며, 녹용 추출분말보다 분골 추출분말이 NO 생성에 더 효과적이다.
실험예 3: 세포 내 Cytokines (TNF-α, IL-1
Figure 112021124560050-pat00001
, IL-6) 생성 평가
RAW 264.7 세포(1.5 x 105 cells/ml)를 DMEM 배지를 이용하여 48 well plate에 접종하고, 5% CO2 항온기에 18시간 전 배양하였다. 이후 배지를 제거하고 10배 농도 (1 mg/ml)로 조제된 시험물질(실시예, 비교예 1 및 비교예 2) 50 μl 및 LPS (1 μg/ml) 450 μl를 함유한 새로운 배지와 LPS가 존재하지 않는 배지를 동시에 처리하여 전 배양과 동일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배양 배지를 원심부리(12,000 rpm, 3분)하여 얻어진 상층액의 pro-inflammatory cytokines 생성 함량을 측정하였다. 모든 시료는 정량 전까지 -20℃ 이하에 보관하였다. Pro-inflammatory cytokines 정량은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kit (R&D Systems Inc., Minneapolis, MN, USA)를 이용하여 정량하였으며, standard에 대한 표준곡선의 r2 값은 0.99 이상이었다. 결과는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아메라 추출분말 및 분골 추출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사이토카인 생성 평가를 한 결과, 도 3 내지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부아메라 추출분말 및 분골 추출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실시예)은 부아메라 추출분말(비교예 1) 단독 및 분골 추출분말(비교예 2) 단독보다 사이토카인 생성에 더 효과적이며, 녹용 추출분말보다 분골 추출분말이 사이토카인 생성에 더 효과적이다.
제형예: 부아메라 추출분말 및 분골 추출분말을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건강식품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함량으로 각 성분을 혼합하여 면역 증진용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부아메라 추출분말 10%
분골 추출분말 10%
홍삼 농축액 20%
도라지 농축액 20%
나한과 추출분말 10%
효소처리 로열젤리 분말 10%
생강 농축액 10%
감초 추출물 10%

Claims (9)

  1. 부아메라 추출분말 및 분골 추출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로서,
    상기 분골 추출분말은 녹용 상부에서 3cm 내지 5cm에 해당하는 부위로부터 제조된 것인, 면역 증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아메라 추출분말 및 분골 추출분말의 혼합 비율은 1:0.1~1 중량비인 것인, 면역 증진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아메라 추출분말 및 분골 추출분말은 면역 증진용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 내지 40중량% 포함되는 것인, 면역 증진용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골 추출분말은 녹용 상부에서 3cm 내지 5cm에 해당하는 부위를 절단하여 추출한 후, 분말화한 것인, 면역 증진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증진용 조성물은 홍삼 농축액, 도라지 농축액, 효소처리 로열젤리 분말, 생강 농축액 및 감초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인, 면역 증진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인 것인, 면역 증진용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인, 면역 증진용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인, 면역 증진용 조성물.
KR1020210146403A 2021-10-29 2021-10-29 부아메라 추출분말 및 분골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KR102428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403A KR102428697B1 (ko) 2021-10-29 2021-10-29 부아메라 추출분말 및 분골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403A KR102428697B1 (ko) 2021-10-29 2021-10-29 부아메라 추출분말 및 분골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8697B1 true KR102428697B1 (ko) 2022-08-04

Family

ID=82834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6403A KR102428697B1 (ko) 2021-10-29 2021-10-29 부아메라 추출분말 및 분골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869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809B1 (ko) 2018-10-11 2020-11-10 몸엔용바이오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녹용 및 가시오가피로 구성된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면역증강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20210047240A (ko) 2020-06-05 2021-04-29 몸엔용바이오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녹용추출물 및 오가피추출물을 함유한 면역증강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65591A (ko) 2019-11-27 2021-06-04 주식회사 다솔 부아메라열매오일과 클로브꽃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809B1 (ko) 2018-10-11 2020-11-10 몸엔용바이오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녹용 및 가시오가피로 구성된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면역증강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20210065591A (ko) 2019-11-27 2021-06-04 주식회사 다솔 부아메라열매오일과 클로브꽃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210047240A (ko) 2020-06-05 2021-04-29 몸엔용바이오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녹용추출물 및 오가피추출물을 함유한 면역증강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도네시아 기적의 과일로 급부상한 ‘부아메라’란? 중도일보. [online], 2019.01.29., [2021.12.16. 검색], 인터넷: <URL: http://www.joongdo.co.kr/web/print.php?key=20190129001127123> 1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74237B1 (en) Equol-containing fermentation product of soybean embryonic axis,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KR101841181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JP2002179586A (ja) リパーゼ阻害剤
KR100950437B1 (ko) 발모, 양모 촉진 및 탈모 방지를 위한 생약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JP2003192605A (ja) リパーゼ阻害剤
KR100999870B1 (ko) 어성초 및 느릅나무 혼합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Rizwan Therapeutic potential of Thymus vulgaris: A Review
CN102526346A (zh) 一种增强免疫力、延缓衰老功能的保健药物配方
KR20110133381A (ko) 초피 열매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당단백질을 함유하는 항알레르기성 조성물
KR102428697B1 (ko) 부아메라 추출분말 및 분골 추출분말을 함유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KR101842786B1 (ko) 생약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용 조성물
KR101816739B1 (ko)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74384B1 (ko) 용안육 포함 조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374385B1 (ko) 용안육 포함 조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90006285A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JP4371431B2 (ja) 抗アレルギー性組成物
WO2022157810A1 (en) A synergistic herbal immunomodulatory formulation
KR20140106058A (ko) 수용성 연어이리 추출물 및 식물성 유산균을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KR20220069727A (ko) 불가사리 추출물 및 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326439B1 (ko) 인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바이러스 및 면역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862282B1 (ko) 황칠나무 및 가시오가피로 구성된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면역증강용 조성물
JP4245291B2 (ja) 生理活性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90119020A (ko) 지칭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2176839B1 (ko) 녹용 및 가시오갈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20063216A (ja) 経口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